WO2022203345A1 -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03345A1
WO2022203345A1 PCT/KR2022/003969 KR2022003969W WO2022203345A1 WO 2022203345 A1 WO2022203345 A1 WO 2022203345A1 KR 2022003969 W KR2022003969 W KR 2022003969W WO 2022203345 A1 WO2022203345 A1 WO 20222033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ge
display area
electronic chart
animation effect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9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규남
장지영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263,30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27913A1/en
Priority to CN202280023524.5A priority patent/CN117063241A/zh
Priority to EP22776045.1A priority patent/EP4318484A1/en
Publication of WO20222033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033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개시한다. 페이지 전환 방법은 기존의 종이 차트에서 환자의 진료 내역을 조회하는 사용자의 행동을 고려하여 전자 차트 상 사용자의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조절하여 전자 차트 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 및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전자 차트를 통해 환자의 진료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는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자의 진료 내역을 종이 차트에 기재하여 보관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에 따라 환자의 진료 내역을 검색 및 확인하였다. 최근에는 일련의 변화 과정을 통해 종이 차트로 보관된 환자의 진료 내역을 디지털 기반의 전자 차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그러나, 종이 차트를 사용하다 전자 차트로 전환하는 경우, 종이 차트에 대해 오랜 기간 사용하던 방식의 익숙함 및 사용 방법의 상이점 때문에 다시 기존의 종이차트로 되돌아가는 경우들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전자 차트는 제약된 화면에서 진료 내역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진료 내역을 조회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진료 내역을 확인하는 데에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던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진료 내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회 가능한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치과 진료 시,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전자 차트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날로그적 행동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전자 차트의 제약된 화면에서 유기적인 반응으로 종이 차트와 같이 책장을 넘기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전자 차트의 각 페이지에 적용함으로써, 전자 차트 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법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에서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1 페이지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상기 제1 페이지에서 제1 페이지의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내역을 열람하기 위한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이 그룹화된 제1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표시 영역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엣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표시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여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화면 전환 범위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페이지에서 이동되어 감지된 제2 위치 간에 이격 거리 또는,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의 횟수 또는,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이후에 감지된 압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은, 상기 진료 내역을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은, 전체 페이지수를 기준으로 전자 차트에 시각화 된 진료 내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번호가 각각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제1 페이지가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되고,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된 제1 페이지의 뒷면 및 뒷면에 연결된 다른 면을 이용하여 제2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법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제1 표시 영역에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진료 내역과 연계된 제1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제1 구강 영상에서 제2 구강 영상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여 제1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제2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된 제2 표시 영역에 제1 구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엣지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구강 영상을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에서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1 페이지에 적용하고,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상기 제1 페이지에서 제1 페이지의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제1 표시 영역에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을 표시하고, 상기 진료 내역과 연계된 제1 구강 영상을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고,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제1 구강 영상에서 제2 구강 영상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구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페이지 전환 방법은 치과 진료 시,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전자 차트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날로그적 행동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페이지 전환 방법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전자 차트의 제약된 화면에서 유기적인 반응으로 종이 차트와 같이 책장을 넘기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전자 차트의 각 페이지에 적용함으로써, 전자 차트 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페이지 전환 방법은 전자 차트의 조회 모드에 따른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의료 히스토리에 따른 복수의 진료 내역을 전자 차트에 표시 및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표시 영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표시 영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표시 영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오버 시,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여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오버 시,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여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오버 시,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여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오버 시,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여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에 가해진 사용자의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의 크기 조절에 따른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따라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복수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복수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복수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에 표시된 현재 페이지를 시각화 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에 표시된 현재 페이지를 시각화 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에 표시된 현재 페이지를 시각화 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 알람 영역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 영역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되어 전자 차트에 표시된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구강 영상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영상이 전환되는 종류를 나열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 상에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른 환자의 진료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기존의 종이 차트를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 내역을 검출하는 사용자의 행동 방식을 고려하여 진료 내역을 열람하도록 유도하는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1)는 치과 업계에 디지털 생태계 환경을 조성하고 디지털 생태계 환경에 따른 전자 차트의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페이지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페이지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 진료 시 종이 차트와 가장 유사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대해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이 차트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전자 차트에 대한 아날로그적 사용감을 디지털 환경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전자 차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별도의 학습 과정 없이도 종이 차트와 같은 익숙한 느낌으로 전자 차트를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 차트에서 사용되는 스크롤 방식을 개선하며, 진료 이력을 열람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전자 차트에서 진료 내역을 제공함에 있어, 종이책을 펼치는 듯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차트를 보며 편안하게 인지하며, 인터랙션 디자인과 결합을 통한 전자 차트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책장 넘김 애니메이션, 슬라이드 애니메이션, 줌인 애니메이션, 줌아웃 애니메이션, 사이드 줌인/줌아웃 애니메이션, 페이드아웃 애니메이션, 회전 애니메이션, 떨어짐 애니메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전자 차트에 표시함으로써, 신규 환자보다 많은 진료 내역을 포함하는 기존 환자에 관한 진료 내역을 보다 신속하게 조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에 진료 내역을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 기존 환자의 진료 내역에 관한 필수 정보를 열람, 치료 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국, 컴퓨팅 장치(101)는 진료 내역의 조회 모드에 관한 전자 차트의 인터페이스 또는, 화면 네비게이션을 사용 편의성에 따라 새롭게 디자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새롭게 디자인된 전자 차트의 인터페이스 또는, 화면 네비게이션을 통해 자연스럽게 책장을 넘기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표시 영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조회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200)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200)은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진료 내역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구역(201), (202), (2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역 각각(201), (202), (203)은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환자의 진료 내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구조적 기능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200) 내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까지의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환자의 진료 내역은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환자의 진료 히스토리에 기록된 내용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초진 환자이거나, 상대적으로 진료 히스토리에 기록된 내용의 적은 경우, 표시 영역(200)의 각 구역은 빈칸(blank)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1)는 환자 A의 진료 히스토리에 기록된 내용을 표시 영역(200) 중 구역 1(201)에 배치하고, 구역 2(202), 구역 3(203)은 빈칸으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조회 모드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진료 내역의 종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로 나뉘어 표시되는 분할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회 모드는 표시 영역(200)을 기준으로 1분할, 2분할 및 4분할 중 하나의 분할 화면으로 구현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 1분할
도 2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이 1 분할로 설정된 화면으로, 환자의 진료 내역을 복수의 구역(201'), (201''), (201''')으로 구성된 하나의 표시 영역(200)에 표시할 있다. 컴퓨팅 장치는 표시 영역(200) 내 3개의 구역(201'), (201''), (201''')을 통해 진료 내역을 전자 차트에 표시함으로써, 기존의 전자 차트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2분할
도 3을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이 2 분할로 설정된 화면으로, 전체 화면에 제1 표시 영역(301)과 제2 표시 영역(302)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301)과 제2 표시 영역(302) 각각은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표시 영역(301)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과 제2 표시 영역(302)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은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서로 연속된 진료 내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1 표시 영역(301)과 제2 표시 영역(302)에 따른 총 6개의 구역에 환자의 진료 히스토리에 따른 진료 내역을 기록하여 전자 차트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 4분할
도 4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이 4 분할로 설정된 화면으로, 전체 화면에 제1 표시 영역(401) 내지 제4 표시 영역(404)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401) 내지 제4 표시 영역(404) 각각은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표시 영역(401) 내지 제4 표시 영역(404)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은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서로 연속된 진료 내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도 3의 제1 표시 영역(301)과 제2 표시 영역(302)에 따른 총 12개의 구역을 통해 진료 내역을 기록하여 전자 차트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의 검색 목적에 따라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을 필요할 때마다 자유롭게 재설정이 가능함으로써, 분할된 화면을 통한 시각 효과와 환자의 진료 히스토리를 보다 쉽고, 빠르게 검색 가능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도 2에 따른 환자의 진료 히스토리를 열람함에 있어, 한 번에 보일 수 있는 진료 내역을 3 개의 구역(201), (202), (203)까지 하나의 표시 영역(200)으로 표현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가 설정한 분할 화면에 따라 그 이상의 진료 히스토리를 열람할 경우, 도 4에 따른 최대 12 개의 구역 즉, 4 개의 표시 영역(401), (402), (403), (404)을 통해 진료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안에 필수 정보의 열람, 환자에 관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여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에서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601), (701), (801)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제1 페이지(601), (701), (801)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페이지(601), (701), (801)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동작은 진료 내역을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의 행동으로 전자 차트의 페이지에 전환하기 위한 행위로, 사용자로부터 화면의 일정 영역에 가해진 터치, 드래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페이지(601), (701), (801)에서 이동되어 감지된 제2 위치 간에 이격 거리 또는,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 페이지(601), (701), (801)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 이격 거리
컴퓨팅 장치(101)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간 이격 거리를 따라 전환 가능한 페이지의 장수 또는, 페이지의 전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1)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간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산출된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정도에 따라 페이지의 장수를 증가하거나, 또는, 제1 페이지(601), (701), (801)가 화면 상에서 전환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컴퓨팅 장치(101)는 산출된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 전환 가능한 페이지의 장수를 그래도 유지하거나 또는, 제1 페이지(601), (701), (801)의 전환 속도를 낮출 수 있다
ⓑ 이동 방향
컴퓨팅 장치(101)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경로)에 대응하여 인터랙션 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전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팅 장치(101)는 화면 상에 이동이 가능한 좌, 우, 상, 하, 대각선 각각에 대응하여 페이지의 전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기준으로 전자 차트 내 표시 영역 4(404)에서 인터랙션 동작에 관한 제1 위치를 감지하고, 표시 영역 1(401)에서 인터랙션 동작에 관한 제2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101)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가 연결되는 방향 즉, 우측에서 좌측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페이지의 전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 결정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1 페이지(601), (701), (801)에 적용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제1 페이지(601), (701), (801)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제1 페이지(601), (701), (801)에서 제1 페이지(601), (701), (801)의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602), (702)로 전환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페이지 전환에 따른 제2 페이지(602), (702)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 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기준 위치를 고려하여 양면 또는, 단면으로 진료 내역이 표시되는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위치는 책 넘김과 같은 애니메이션이 적용되기 위한 화면 상의 페이지 전환 지점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함에 있어, 양면으로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지 또는 단면으로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팅 장치(101)는 페이지에 포함된 표시 영역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준 위치에 따른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화면 전환 범위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 양면 표시
컴퓨팅 장치(101)는 양면으로 진료 내역이 표시되는 경우, 기준 위치에 따른 화면 전환 범위가 페이지의 절반(half)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위치는 전자 차트 상에 페이지가 차지는 화면 비율에 따라 중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1)는 도 3B와 같이 마우스 오버 시, 2 분할 된 표시 영역을 통해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도 3C과 같이 마우스 오버 시, 12 분할 된 표시 영역을 통해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1)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상기 제1 페이지가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되고, 상기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된 제1 페이지의 뒷면 및 상기 뒷면에 연결된 다른 면을 이용하여 제2 페이지(602), (702)를 표시할 수 있다.
ⓑ 단면 표시
컴퓨팅 장치(101)는 단면으로 진료 내역이 표시되는 경우, 기준 위치에 따른 화면 전환 범위가 페이지의 전체(full)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위치는 인터랙션 동작의 전환 방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 위치는 제1 페이지(301)에 포함된 표시 영역의 엣지에 따라 중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는 도 3D와 같이 마우스 오버 시, 3 분할 된 표시 영역을 통해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팅 장치(101)는 현재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로 넘기는 방향과 현재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방향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101)는 각 방향에 따라, 제1 페이지가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사라지는 애니메이션 효과 또는, 제1 페이지가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펼쳐지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됨으로써,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사용자의 진료 히스토리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현재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로의 전환이 자유로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상응하여 전환될 페이지가 결정되면, 전환될 페이지에 기록된 진료 내역 중 일부 정보를 썸네일 이미지 또는, 말풍선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페이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자세하게, 현재 페이지가 '3 페이지'이고, 다음 페이지인 '4 페이지'로 전환된다고 가정할 때, 컴퓨팅 장치(101)는 '4 페이지'로 표시되는 진료 내역을 대상으로 최근 진료 일자 또는, 처방 내용 등 '4 페이지'의 진료 내역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말풍선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 또는, 말풍선을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페이지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환될 다음 페이지에 대한 진료 내역을 사전에 유추 또는,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의 페이지에 가해진 사용자의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901)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동작(901)은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을 분할하기 위한 전자 차트 내 삽입된 분할 아이콘을 선택하는 동작이거나, 제1 페이지에 가해진 클릭 동작일 수 있다. 이때, 클릭 동작은 애니메이션을 적용하기 위한 동작과 상이하도록 더블 클릭 또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의 클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90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1)는 도 10과 같이 인터랙션 동작(901)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는 진료 내역을 열람하는 동작에 대한 효율을 높이기 위한 효과로써, 전체 열람 및 세부 열람이 가능하도록 페이지를 전환할 수 있다. 전체 열람은 도 4와 같이 4 개의 표시 영역이 페이지로 표시된 상태로, 진료 히스토리에 따른 전반적인 진료 내역의 변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열람일 수 있다. 그리고, 세부 열람은 도 2와 같이 1개의 표시 영역이 페이지로 표시된 상태로, 진료 히스토리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진료 내역을 자세하게 확인하기 위한 열람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 전체 열람 및 세부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1)는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 세부 열람이 가능한 페이지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또는, 확대함으로써, 전자 차트 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 및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세부 열람에서 전체 열람으로 페이지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에 따라 표시 영역 또는, 페이지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진료 내역이 배치된 구성에 대해 페이지로 표현된다. 하지만, 도 11과 같이 페이지의 크기가 조절되어 서로 다른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페이지의 표시 영역으로 표현됨에 따라, 표시 영역 및 페이지는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형식에 따라 혼용(호환)하여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세부 열람 또는, 전체 열람으로 페이지를 전환함에 있어,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제1 페이지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1 페이지에 대한 백그라운드 형태로 제2 페이지를 제1 페이지와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페이지가 전환되는 효과가 극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복수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일정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의 횟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자세하게, 사용자는 사용자의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을 검색하기 위해, 전차 차트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목적에 따라 한 장의 페이지 또는, 복수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전자 차트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 한 장의 페이지 전환
사용자는 전자 차트의 검색 목적에 따른 최근의 진료 내역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한 장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전자 차트 상의 입력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부여되는 연번으로 인한, 최신 기록이 먼저 표시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페이지에 전환하기 위한 행위로, 전자 차트의 일정 영역에 가해진 터치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동작(1202)을 감지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1202)에 대응하여 현재 페이지(1201)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열람하고자 하는 다음 페이지로의 페이지를 전환할 수 있다.
ⓑ 복수의 페이지 전환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진료 일자가 일정 기간을 초과하였거나 또는, 과거에 처치된 특정 진료 내역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한 번에 복수의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101)는 인터랙션 동작(1202)으로 전자 차트의 일정 영역에 가해진 터치의 횟수 또는, 컴퓨팅 장치(101)와 연동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해 터치 된 이후에 눌려진 시간을 고려하여 한 번에 전환되는 페이지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된 이후에 눌려진 시간은 전차 차트를 통한 3초, 5초, 10초, 30초, 또는, 사용 안함으로 설정값이 조절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입력 장치에 의해 눌려진 시간이 길수록 '건너 뛰기' 되는 페이지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컴퓨팅 장치(101)는 입력 장치를 통해 눌려진 시간이 짧을수록 '건너 뛰기' 되는 페이지의 수가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장치를 통해 눌려진 시간이 3초 또는, 5초에 해당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01)는 도 13과 같이 인터랙션 동작(1302)에 따른 상기 시간에 비례하여 2 장의 페이지(1201), (1203)가 전환 순서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1)는 페이지(1201)와 페이지(1203) 간에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한 번에 일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입력 장치를 통해 눌려진 시간 10초 또는, 30초에 해당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01)는 도 5c와 같이 상기 시간에 비례하여 복수의 페이지(1401), (1402), (1403)가 전환 순서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페이지가 전환되는 중 특정 시점에서 페이지의 전환을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차트의 일정 영역을 재 터치함으로써, 페이지의 전환을 중도에 취소시킬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에 표시된 현재 페이지를 시각화 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표시 영역에 포함 가능한 구역의 개수를 고려하여 현재 페이지의 상태 및 표시 영역에 포함된 구역 별 식별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에 표시된 현재 페이지를 기준으로 (i) 전체 페이지수, (ii) 현재 페이지의 번호, (iii) 및 표시 영역에 포함된 구역 별 식별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상태 표시 탭에 표시 영역에 포함 가능한 구역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1501, 1502, 150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 각각(1501), (1502), (1503)은 전자 차트의 조회 모드로, 사용자에게 진료 내역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구역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해 기호적 형상일 수 있다. 아이콘 각각(1501), (1502), (1503)은 시각적으로 표현된 목적에 따라 조회 모드에 따른 상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이콘(1501, 1502, 1503)은 시각 이미지로서의 형태와 색상 등의 그래픽 요소에 따라 표시 영역에 포함 가능한 구역의 개수가 예측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아이콘(1501)은 1 개의 구역이 포함된 표시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차트를 조회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아이콘(1502)은 2 개의 구역이 포함된 표시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차트를 조회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며, 아이콘(1503)은 3 개의 구역이 포함된 표시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차트를 조회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1501, 1502, 1503)을 식별하고, 식별된 아이콘에 대응하여 전체 페이지수, 현재 시각화 된 페이지의 번호 및, 표시 영역에 포함된 구역 별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구역은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환자의 진료 히스토리에 기록된 진료 내용을 포함에 따라, 컴퓨팅 장치(101)는 구역 각각에 식별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조회 모드에 따라 표시 영역에 포함되어 시각화된 각 구역의 식별 번호를 전체 페이지수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가 설정한 분할 화면에 따라 그 이상의 진료 히스토리를 열람할 경우, 최대 12 개의 구역 즉, 4 개의 표시 영역을 통해 진료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표시 영역을 통해 진료 히스토리를 시각화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체 페이지나 현재 페이지가 몇 페이지인지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음에 따라 컴퓨팅 장치(101)는 각각의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에 포함된 구역의 식별 번호를 전체 페이지수와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도 17과 같이 입력 장치를 통해 분할 화면 내 표시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활성화된 표시 영역에 포함된 구역들의 식별 번호를 전체 페이지수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분할 화면을 통해 진료 히스토리를 열람하는 경우, 전자 차트의 상태 표시 탭을 통해 추가적으로 전체 페이지수를 기준으로 현재 페이지의 상태를 표시해줌으로써, 빠르게 검색 가능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진료 히스토리에 따른 전체 페이지수가 24개이고, 4 개의 표시 영역을 통해 진료 내역을 시각화 한다고 가정할 때, 한 페이지당 표시되는 구역의 개수는 12개이고, 전환 가능한 페이지의 수는 2장(구역의 개수/전체 페이지수)일 수 있다. 이에,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상태 표시 탭을 통해 현재 페이지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진료 내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 알람 영역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살펴보면, 컴퓨팅 장치(101)는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802)과 환자의 구강 영상 및 치료 계획을 기록하는 제2 표시 영역(180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로 나타낸 도면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의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구조와 동일하나, 각 표시 영역에 서로 다른 형식을 갖는 진료 내역이 표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1803)에 표시되는 구강 영상은 제1 표시 영역(1802)에 표시된 진료 내역과 연계된 영상으로, 제1 표시 영역(1802)에 표시된 진료 내역이 변경되면, 변경된 진료 내역에 따라 구강 영상도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802)과 환자의 구강 영상 및 치료 계획을 기록하는 제2 표시 영역(1803)을 이동하면서, 환자의 처치 내용, 진료 계획 등을 전자 차트에 기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전환을 위한 인터랙션 동작(1801)이 감지되면,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동작(1801)은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을 분할하기 위한 전자 차트 내 삽입된 분할 아이콘을 선택하는 동작이거나, 제1 페이지에 가해진 클릭 동작일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컴퓨팅 장치(101)는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표시 영역(1901)의 크기 및 제2 표시 영역(미도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는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컴퓨팅 장치(101)는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 제2 표시 영역을 전자 차트의 엣지 영역으로 숨겨두기로 설정하고, 제1 표시 영역(1901)을 전자 차트의 전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표시 영역(1901)과 제2 표시 영역 간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동작에 따른 구강 영상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진료 내역과 연계하여 구강 영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제1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구강 영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터랙션 동작은 제1 표시 영역에 기록된 진료 내역을 클릭하는 사용자의 행위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된 구강 영상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제1 구강 영상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구강 영상을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제1 구강 영상에서 제2 구강 영상으로 전환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21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101)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구강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상, 하, 좌, 우, 대각선을 포함하는 제1 구강 영상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각 엣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1) 왼쪽/오른쪽/위쪽/아래쪽으로 구강 영상이 넘겨지는 애니메이션 효과, 2)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되거나, 위에서 아내로 슬라이딩되는 애니메이션 효과, 3) 대각선으로 구강 영상이 넘겨지는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적용하여 구강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2201)에서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에서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진료 내역을 열람하기 위한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이 그룹화된 제1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은, 진료 내역을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단계(2202)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표시 영역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엣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그룹화된 표시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여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화면 전환 범위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페이지에서 이동되어 감지된 제2 위치 간에 이격 거리 또는,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203)에서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 결정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1 페이지에 적용할 수 있다.
단계(2204)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페이지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상기 제1 페이지에서 제1 페이지의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제1 페이지가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되고,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된 제1 페이지의 뒷면 및 뒷면에 연결된 다른 면을 이용하여 제2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2301)에서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제1 표시 영역에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2302)에서 컴퓨팅 장치는 진료 내역과 연계된 제1 구강 영상을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여 제1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제2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된 제2 표시 영역에 제1 구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2303)에서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엣지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구강 영상을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304)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구강 영상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제1 구강 영상에서 제2 구강 영상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구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차트에 가해진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에서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1 페이지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상기 제1 페이지에서 제1 페이지의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내역을 열람하기 위한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이 그룹화된 제1 페이지를 표시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표시 영역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엣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표시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여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화면 전환 범위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페이지에서 이동되어 감지된 제2 위치 간에 이격 거리 또는,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의 횟수 또는, 인터랙션 동작이 감지된 이후에 감지된 압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수가 결정되는 페이지 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진료 내역을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은,
    전체 페이지수를 기준으로 전자 차트에 시각화 된 진료 내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번호가 각각 부여되는 페이지 전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상기 제1 페이지가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되고, 상기 접혀지는 효과가 적용된 제1 페이지의 뒷면 및 상기 뒷면에 연결된 다른 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9.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제1 표시 영역에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진료 내역과 연계된 제1 구강 영상을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제1 구강 영상에서 제2 구강 영상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차트의 분할 화면에 대응하여 제1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제2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된 제2 표시 영역에 제1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의 엣지에 가해진 인터랙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엣지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구강 영상을 전환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는 페이지 전환 방법.
  1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에서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 가능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차트의 페이지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1 페이지에 적용하고,
    상기 제1 페이지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상기 제1 페이지에서 제1 페이지의 진료 내역과 서로 다른 진료 내역이 배치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페이지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페이지를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
  13.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제1 표시 영역에 진료 히스토리에 따라 진료 내역을 표시하고,
    상기 진료 내역과 연계된 제1 구강 영상을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 차트의 제2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인터랙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고,
    상기 제1 구강 영상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제1 구강 영상에서 제2 구강 영상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
PCT/KR2022/003969 2021-03-24 2022-03-22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WO202220334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63,300 US20240127913A1 (en) 2021-03-24 2022-03-22 Electronic Chart Page Turning Method for User Interac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CN202280023524.5A CN117063241A (zh) 2021-03-24 2022-03-22 用于用户交互的电子病历的页面切换方法及执行该方法的计算装置
EP22776045.1A EP4318484A1 (en) 2021-03-24 2022-03-22 Electronic chart page turning method for user interac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90 2021-03-24
KR1020210038090A KR20220132919A (ko) 2021-03-24 2021-03-24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345A1 true WO2022203345A1 (ko) 2022-09-29

Family

ID=8339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969 WO2022203345A1 (ko) 2021-03-24 2022-03-22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27913A1 (ko)
EP (1) EP4318484A1 (ko)
KR (1) KR20220132919A (ko)
CN (1) CN117063241A (ko)
WO (1) WO202220334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556A (ja) * 2003-07-03 2005-01-27 Nemoto Kyorindo:Kk 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20130070090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멀티 터치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4074982A (ja) * 2012-10-03 2014-04-24 Konica Minolta Inc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93260A (ko) * 2009-01-07 2017-08-1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가상 페이지 넘기기
KR20200056176A (ko) * 2018-11-14 2020-05-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화면 디자인 편집방법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556A (ja) * 2003-07-03 2005-01-27 Nemoto Kyorindo:Kk 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20170093260A (ko) * 2009-01-07 2017-08-1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가상 페이지 넘기기
KR20130070090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멀티 터치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4074982A (ja) * 2012-10-03 2014-04-24 Konica Minolta Inc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56176A (ko) * 2018-11-14 2020-05-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화면 디자인 편집방법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18484A1 (en) 2024-02-07
KR20220132919A (ko) 2022-10-04
US20240127913A1 (en) 2024-04-18
CN117063241A (zh)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91289A1 (en) Method for moving object between pages and interface apparatus
WO201420404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030155A2 (en) Item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WO2011132892A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WO2011078540A2 (en) Mobile device and relate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user interaction based on image sensing module
WO201210871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user commands using relative movements of device panels
WO201202673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WO2015020496A1 (ko) 동영상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장치, 그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
WO20160395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WO201308947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mode using the same
WO20131259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y tracking head of user through camera modu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WO201620880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5009103A1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4011009A1 (e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WO201608518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WO201313361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t least one function of device by using eye ac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12021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04727A1 (ko) 멀티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529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EP31919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WO2014109449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203345A1 (ko)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 차트의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WO2014069815A1 (ko) 학습용 마스크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학습용 마스크 표시 방법
WO2021133081A1 (ko) 가상의 대상체 배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0231074A1 (ko) 커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760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3300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23524.5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760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760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