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03328A1 -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03328A1
WO2022203328A1 PCT/KR2022/003937 KR2022003937W WO2022203328A1 WO 2022203328 A1 WO2022203328 A1 WO 2022203328A1 KR 2022003937 W KR2022003937 W KR 2022003937W WO 2022203328 A1 WO2022203328 A1 WO 20222033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lock
mobile terminal
manageme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9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filed Critical 이현우
Publication of WO20222033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033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unlocking the lock by supplying power to the lock device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 a dial lock is a locking device that locks or unlocks by combining the numbers engrav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al.
  • a power cable is always connected to the lock, or the lock device is driven by a portable battery power that is always mounted on the lock.
  • the mobile terminal is being developed into an evolved form such as a smart phone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today.
  • smartphones can perform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functions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y developing various apps along with improved performance.
  • the locking device is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key for opening and closing a lock, a battery for driving, or a constant power supply.
  • a terminal unit connected to receive power; After a cabl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unit, when password authentication is reques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lock management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ata communication, an authent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the lock and unlock of the lock device are performed.
  • a control unit a driving unit for receiv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driving a motor for releasing the lock; and a locking part that is driven by the motor by the driving part to operate or unlock the lock.
  • the lock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unit, the owner authentication using the lock mode sett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so that the lock management app can be executed in the unlocked state.
  • the management server After owner authentication, whe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s reques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case management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store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uthentication attempt history in a database, and the management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user authentication for unlocking is performed.
  • the user authentication for unlocking the 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a blockchain distributed and stor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ase management app of the mobile terminal.
  • a lock management system includes the lock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unlock the lock dev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to unlock the lock device connected by a cable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 the management server is an app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case management app for user authent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an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app management unit with user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ase management app provided from the app managemen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ase management app to transmit and receive user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a unique key, and a user certificate.
  •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user personal information, key device identification code, and unique key information encrypted for user authentication.
  • the management server may store user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a unique key, and a user certificate encrypted with a hash value, and further includes a database managed based on a block chain through a distributed network.
  • the authentication unit builds a block chain network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through the built-in internal block chain network, converts it into a hash value, and stores it in a distributed man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key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 a lock management method is a lock management method using a lock management system for supplying power by connecting a cable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lock device, authenticating the lock device, and releasing the lock,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k device Receiving power supply by connecting a cable between the locking devices; performing own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fter supplying power to the locking device; performing password authentication for the key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key case management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Storing the unlock information for the key key device authenticated after performing password authentica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unlock information to the key key management app; and receiving the lock device unlocking information through the lock management app in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ing unlocking of the lock device.
  • the step of performing the own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wn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lock mode setting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lock management app can be executed in the unlocked state.
  • the step of performing password authentication for the key key device, requesting password authentic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stor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uthentication attempt history in a database; further includes
  • the step of performing password authentication for the key key device includes: pre-stored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key key management app when first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of the key key device in the management server; and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password authentication is reques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llating
  • the key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to supply power without having a constant power supply, and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powered key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lock management app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 separate key is not required, and in the case management app, in conjun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ly for authorized users through user information, thereby enhancing security.
  • the lock device does not include an internal battery, it is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ock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connection cable to supply power to the lock device. Since the process is performed, there is no need for an authentication module or a power supply means, which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 the management server separates and stores user information for each lock device, so that even if authentication for a plurality of lock devices is requested, it is processed collectively and integrated management is facilitated.
  •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locking device is facilitated even in a place using a plurality of locking devices, such as a retail store, a furniture store, or a library.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FIG. 1 in detail.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1 in detail.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 chain-based merkle trees data storage structure.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c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400 without having a constant power supply or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can supply power, and also locks the lock device 10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400 .
  • user authentication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100 is possible remote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400.
  • the mobile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a time management app that interworks with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may be installed.
  •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include not only an Internet network, but also an LTE or 5G network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400 can be accessed.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100 of FIG. 1 .
  • the key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app linkage unit 120, a driving unit 130, a key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terminal unit 160, Sinc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400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unit 160 ,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onstant power supply device or a battery for internal power supply.
  • control unit 110 receives an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400 to control overall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100 carry out
  • control unit 110 is cable-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400 through the terminal unit 160
  • a password authentication is reques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ase management app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400
  • an authentication signal is provided.
  • Control can be performed to lock and unlock the locking device 100 by receiving the transmission.
  • the owner is authenticated using the lock mode setting of the mobile terminal 400 after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400 with a cable through the terminal unit 160.
  • the lock mode of the mobile terminal 400 is released,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case management app should precede, and then, when authenticated by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case management app, an authent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strengthening security through secondary authentication.
  • the app interlocking unit 120 may interwork with a case management app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400 in order to be authenticated to enable unlocking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 and for this purpose, a separate key case management for the key device 100 .
  • the app may be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pp linkage unit 120 instead of the case management app being installed.
  • User authentication for unlocking can be made by blockchain-based user authentic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lock management app,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security and ensuring the reliability of user authentication.
  • the driving unit 130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to perform a function of driving a motor for unlocking the key unit 140 , and the driving unit 130 may be, for example, a motor itself.
  • the locking unit 140 may be driven by a motor by the driving unit 130 to operate the lock or release the lock.
  • the lock unit 140 may be, for example, a lock lock of a lock device, that is, a lock.
  • the communication unit 150 communicates with the key case management app of the mobile terminal 4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n behalf of the terminal unit 160 to receive an authentication signal so that the control unit 110 can unlock the key unit 140 .
  • the communication unit 150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but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in order to utilize it as an alternative method in case a problem occurs in cable connection.
  • the terminal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to perform a power supply function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locking device 100 .
  • the locking device 100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internal battery for power supply or a power supply device for receiving constant power supply.
  • the lock device 100 has a display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for the lock management app management function, such as a lock release function, user information initial registration or renewal, user authentication, lock or unlock notification, etc. through the screen (not shown) may be included, and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f the case management app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400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 the lock management app management function such as a lock release function, user information initial registration or renewal, user authentication, lock or unlock notification, etc. through the screen (not shown) may be included, and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f the case management app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400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 the lock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built-in battery (not shown) for receiving power instead of the terminal unit 160 , and through this,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on behalf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
  • the battery may be used semi-permanently using a solar cell.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of FIG. 1 in detail.
  • the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s a time management app, and as shown in FIG. 3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or unlocking, an app management unit 310, an authentication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 database ( 340).
  • the app management unit 310 provides a case management app for user authent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400 .
  • the management server 300 store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uthentication attempt history in the database 340, thereby the server manager can manage the histor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security.
  • the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0 through the app management unit 310 with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40 .
  •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encrypted unique key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in addition to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key lock device 100 ,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is unique key matches the unique key stored in the database 340 . can be performed.
  • the authentication unit 320 builds a block chain network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300,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through the built-in internal block chain network, converts it into a hash value, and stores it in a distributed manner,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istributed public key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 the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ceive personal user information together with a public key from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400 and generate user certificates including a hash value for user information, respectively, in each user certificate.
  • the storage method may be made by a Merkle tree structure.
  • each user certificate (transaction) is stored including a hash value in the lowest child node, and the Merkle root (parent nod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the Merkle tree, is on the path connected to the lowest child node. It is hashed and stored to share the hash value with intermediate nodes in .
  • the user certificate copied to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400 and the user certificate in the database 340 are compared, and only hash values hashed along the path of the Merkle tree are compared.
  • the communication unit 330 transmits the case management app provided from the app management unit 310 to the mobile terminal 400 or the key device 100, or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400 through the case management app for user authentication.
  • User information, unique key, and user certificat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 user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a unique key, and a user certificate may be encrypted and stored as a hash value, and may be managed based on a block chain through a distributed network,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attempt history is separately stored. can be stored and managed.
  • the database 340 separates and stores user information for each key device 100 , so that even when a request for authentication for a plurality of key devices 100 is received, the database 340 processes it in a batch and facilitates integrated management. )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locking devices even in places where multiple locking devices are used, such as industrial locking devices, bicycle stores, furniture stores, or libraries.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wner authent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400 is to perform owner authentication using the lock mode setting of the mobile terminal 400, and enables the case management app to be execu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mode of the mobile terminal 400 is released.
  • password authentication for the key device may be performed (S403).
  • the management server 300 After performing password authentica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it stores the unlock information for the authenticated key key device, and transmits the unlock information to the key key management app (S406).
  • the mobile terminal 400 receives the unlock information on the key device 100 through the key management app, and unlocks the key device 100 (S40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장치는 별도의 상시 전원 공급 장치없이 휴대단말기와 충전용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받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케이블 연결된 후, 데이터 통신에 의해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모터 구동되어 잠금을 동작시키거나 잠금 해제하는 시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시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기로 시건 장치의 전원 공급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시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기계식 자물쇠는 열쇠를 이용한 자물쇠, 다이얼을 이용한 자물쇠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다이얼 자물쇠는 다이얼 외주면에 각인된 숫자를 조합하여 잠그거나 해제하는 잠금장치로서, 공공장소의 사물함이나 캐비닛 등에 소지품을 보관하거나 자전거 도난 방지를 위해 체인으로 바퀴를 고정하는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물쇠는 비밀번호의 노출 위험성이 높고, 열쇠는 분실에 우려가 있어서 보안성 및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물쇠 중 전원을 공급받는 자물쇠는, 전원 케이블이 상시 연결되어 있거나, 자물쇠에 상시 장착된 휴대용 배터리 전원으로 시건장치를 구동하고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는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진화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앱의 개발로 유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 전원이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케이블로 연결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받고,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원격으로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시건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상시 전원 공급 장치 없이도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전원 공급된 시건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완료 후 시건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시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장치는, 자물쇠 개폐를 위한 별도의 열쇠, 구동을 위한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 공급장치가 없는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상시 전원 공급 장치없이 휴대단말기와 충전용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받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케이블 연결된 후, 데이터 통신에 의해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모터 구동되어 잠금을 동작시키거나 잠금 해제하는 시건부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연결 후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 설정을 이용한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모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시건 관리앱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소유자 인증 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상기 시건 관리앱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분산 저장된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건장치;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증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케이블로 연결된 시건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인증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시건 관리앱을 제공하는 앱관리부; 상기 앱관리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앱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시건 관리앱을 휴대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고유키 및 사용자 인증서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개인 정보, 시건장치 식별코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암호화된 고유 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고유키, 사용자 인증서가 해쉬값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분산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다수의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블록체인망을 구축하고, 기구축된 내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여 해쉬값으로 변환하여 분산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공개키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 관리 방법은, 휴대단말기와 시건장치 간에 케이블 연결에 의한 전원 공급, 시건장치 인증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시건장치 간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받는 단계; 상기 시건 장치에 전원 공급 후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요청함에 따라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암호 인증 수행 후 인증된 해당 시건장치에 대한 잠금해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건 관리앱으로 잠금해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시건장치 잠금해제정보를 수신하고, 시건장치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 설정을 이용한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모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시건 관리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관리서버에 암호 인증을 요청하고, 관리서버에서는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에 시건장치의 사용자 정보 최초 등록시 상기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전송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암호 인증 요청시 전송된 사용자정보를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건장치는 상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전원 공급된 시건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휴대단말기의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열쇠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시건 관리앱에서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를 통한 허가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인증이 이루어져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건장치에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아도 휴대단말기 접속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와 시건장치 간에 연결되어 시건장치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시건장치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증모듈이나 전원공급수단이 필요치 않아 시건장치의 내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리서버에서는 각각의 시건장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시건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더라도 일괄적으로 처리하고 통합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로토(Loto)사의 산업용 시건장치나 자전거 판매점, 가구점 또는 도서관 등과 같은 다수의 시건장치를 사용하는 장소에서도 시건장치의 통합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인증 방식에 비해 간단하고, 무선 통신 장애의 영향을 받지않으며, 케이블 연결 후 휴대단말기로 소유자 인증 및 관리서버에 의한 시건장치 인증을 포함한 2차 인증으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분산 저장하고 인증을 수행하도록 관리함으로써, 보안성이 더욱 강화되고, 무결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건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블록체인 기반의 머클트리(merkle trees) 데이터 저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건 관리 시스템은 상시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전원공급용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40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휴대단말기(400)를 통하여 시건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통신망(200)으로 연결된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으며, 사용자 인증된 경우 휴대단말기(400)에서 원격으로 시건장치(1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400)에는 관리서버(300)에서 제공되며, 각 단말 상호 간에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는 시건 관리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200)은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400)가 접속 가능한 LTE , 5G 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건장치(100)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시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앱연동부(120), 구동부(130), 시건부(140), 통신부(150), 단자부(160)를 포함하며, 단자부(160)를 통하여 연결된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상시 전원 공급 장치 또는 내부 전원공급용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4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시건장치(1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단자부(160)를 통하여 휴대단말기(400)와 케이블 연결된 후, 휴대단말기(400)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300)로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시건장치(1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에서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인증신호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400)에 단자부(160)를 통하여 케이블로 연결 후 휴대단말기(400)의 잠금모드 설정을 이용한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여 휴대단말기(400)의 잠금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시건 관리앱이 실행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후에 시건 관리앱의 관리서버(300)에 사용자 인증 요청에 의해 인증된 경우 인증신호를 전송받게 됨으로써, 2차 인증을 통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앱연동부(12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인증받기 위해 휴대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시건 관리앱과 연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시건장치(100)용 시건 관리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시건 관리앱이 설치되는 대신 앱연동부(120)의 기능을 제어부가(110)가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은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인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안성을 더욱 강화하고, 사용자 인증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제어부(110)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시건부(14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동부(130)는 예컨대 모터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시건부(140)는 구동부(130)에 의해 모터 구동되어 잠금을 동작시키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시건부(140)는 예컨대, 시건장치 즉 자물쇠의 잠금락이 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단자부(160)를 대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휴대단말기(400)의 시건 관리앱과 통신하여 인증신호를 받아 제어부(110)에서 시건부(140)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 연결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통신부(150)를 별도 구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케이블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대체 방식으로 활용하기 위해 통신부(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단자부(160)는 휴대단말기(400)의 충전용 케이블이 연결되어 시건장치(100)의 각부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건장치(100)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용 내부 배터리나 상시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시건장치(100)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통하여 잠금 해제 기능, 사용자 정보 최초 등록이나 갱신, 사용자 인증 여부, 잠금 또는 잠금 해제에 대한 알림 등의 시건 관리앱 관리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시건 관리앱의 기능은 휴대단말기(400)에 설치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시건장치(100)는 단자부(160)를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휴대단말기(400)를 대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는 태양열 전지를 사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관리서버(300)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관리서버(300)는 시건 관리앱을 제공하고, 잠금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관리부(310), 인증부(320), 통신부(330), 데이터베이스(340)를 더 포함한다.
앱관리부(310)는 휴대단말기(400)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시건 관리앱을 제공한다.
이때, 휴대단말기(400)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에서 관리서버(300)에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관리서버(300)는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함으로써, 서버 관리자가 이력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한다.
인증부(320)는 앱관리부(310)를 통하여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개인 정보, 시건장치(100) 식별코드 외에도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암호화된 고유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고유 키가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고유 키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인증부(320)는 다수의 관리서버(300)와 연계하여 블록체인망을 구축하고, 기구축된 내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여 해쉬값으로 변환하여 분산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공개키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증부(320)는 다수의 휴대단말기(400)에서 공개키와 함께 개인 고유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각각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인증서에 대한 저장 방식은 머클 트리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 인증서(거래)를 최하위 자식 노드에 해쉬값을 포함하여 저장하고, 머클 트리의 최상위 레벨인 머클 루트(부모 노드)에는 최하위 자식 노드와 이어지는 경로 상에 있는 중간 노드에 해시값을 공유하도록 해싱(hashing)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저장된 사용자 인증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때, 개인의 휴대단말기(400)에 복사된 사용자 인증서와 데이터베이스(340)의 사용자 인증서를 비교하게 되고, 머클 트리의 경로를 따라 해싱된 해쉬값만을 비교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머클 트리의 경로 상에서 비교 연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모든 노드의 블록에 대한 비교 연산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교적 쉬운 연산량으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거래의 위변조도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으며, 용량이 작은 휴대단말기(400)에서도 쉽게 거래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330)는 앱관리부(310)로부터 제공되는 시건 관리앱을 휴대단말기(400) 또는 시건장치(100)에 전송하거나,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휴대단말기(400)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고유키 및 사용자 인증서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고유키, 사용자 인증서가 해쉬값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분산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가 별도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40)는 각각의 시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시건장치(100)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더라도 일괄적으로 처리하고 통합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로토(Loto)사의 산업용 시건장치나 자전거 판매점, 가구점 또는 도서관 등과 같은 다수의 시건장치를 사용하는 장소에서도 시건장치의 통합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건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시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은 먼저 휴대단말기(400)와 시건장치(300)가 케이블로 연결되면 휴대단말기(400)의 소유자 인증을 수행한다(S401, S402).
휴대단말기(400)의 소유자 인증은 휴대단말기(400)의 잠금모드 설정을 이용한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400)의 잠금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시건 관리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휴대단말기(400)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300)로 요청함에 따라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403).
또한, 시건장치(100)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시 관리서버(300)에 암호 인증을 요청하고, 관리서버(300)에서는 보안 및 이력 관리를 위해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S404).
관리서버(300)에서 암호 인증 수행 후 인증된 해당 시건장치에 대한 잠금해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건 관리앱으로 잠금해제정보를 전송한다(S406).
이후, 휴대단말기(400)에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시건장치(100)에 대한 잠금해제정보를 수신하고, 시건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S407)..
[부호의 설명]
100 ; 시건장치
110 ; 제어부
120 ; 앱연동부
130 ; 구동부
140 ; 시건부
150 ; 통신부
160 ; 단자부
200 ; 통신망
300 ; 관리서버
310 ; 앱관리부
320 ; 인증부
330 ; 통신부
340 ; 데이터베이스
400 ; 휴대단말기

Claims (13)

  1. 자물쇠 개폐를 위한 별도의 열쇠, 구동을 위한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 공급장치가 없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와 충전용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받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케이블 연결된 후, 데이터 통신에 의해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인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모터 구동되어 잠금을 동작시키거나 잠금 해제하는 시건부
    를 포함하는 시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연결 후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 설정을 이용한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모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시건 관리앱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소유자 인증 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상기 시건 관리앱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암호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분산 저장된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시건장치;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증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케이블로 연결된 시건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인증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시건 관리앱을 제공하는 앱관리부;
    상기 앱관리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앱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시건 관리앱을 휴대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고유키 및 사용자 인증서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개인 정보, 시건장치 식별코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암호화된 고유 키 정보를 포함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 고유키, 사용자 인증서가 해쉬값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분산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다수의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블록체인망을 구축하고, 기구축된 내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여 해쉬값으로 변환하여 분산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공개키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
  10. 휴대단말기와 시건장치 간에 케이블 연결에 의한 전원 공급, 시건장치 인증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시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시건장치 간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받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요청함에 따라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암호 인증 수행 후 인증된 해당 시건장치에 대한 잠금해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건 관리앱으로 잠금해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시건장치 잠금해제정보를 수신하고, 시건장치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건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 설정을 이용한 소유자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모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시건 관리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관리서버에 암호 인증을 요청하고, 관리서버에서는 인증 시도 이력에 대한 알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건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에 대한 암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에 시건장치의 사용자 정보 최초 등록시 상기 시건 관리앱을 통하여 전송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암호 인증 요청시 전송된 사용자정보를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건 관리 방법.
PCT/KR2022/003937 2021-03-26 2022-03-22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WO20222033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25A KR102301478B1 (ko) 2021-03-26 2021-03-26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KR10-2021-0039425 2021-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328A1 true WO2022203328A1 (ko) 2022-09-29

Family

ID=7777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937 WO2022203328A1 (ko) 2021-03-26 2022-03-22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1478B1 (ko)
WO (1) WO2022203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78B1 (ko) * 2021-03-26 2021-09-10 이현우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KR102500228B1 (ko) * 2022-05-09 2023-02-16 조원엽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137A (ko) * 2007-06-19 2009-01-09 주식회사 네오텔레콤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잠금 시스템
KR101470747B1 (ko) * 2013-07-23 2014-12-08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1599055B1 (ko) * 2015-08-21 2016-03-02 (주)에스앤티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101933686B1 (ko) * 2016-08-22 2018-12-28 김세환 스마트박스 잠금/잠금해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스마트박스
KR20200145028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더블체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물품 배송 박스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1478B1 (ko) * 2021-03-26 2021-09-10 이현우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688B1 (ko) * 1995-12-05 1999-06-15 임종숙 황칠의 다량채취 방법 및 채취하기 위한 이식판
KR101969928B1 (ko) 2017-12-05 2019-08-13 주식회사 자커 다이얼 자물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137A (ko) * 2007-06-19 2009-01-09 주식회사 네오텔레콤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 잠금 시스템
KR101470747B1 (ko) * 2013-07-23 2014-12-08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1599055B1 (ko) * 2015-08-21 2016-03-02 (주)에스앤티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101933686B1 (ko) * 2016-08-22 2018-12-28 김세환 스마트박스 잠금/잠금해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스마트박스
KR20200145028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더블체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물품 배송 박스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1478B1 (ko) * 2021-03-26 2021-09-10 이현우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478B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03328A1 (ko)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EP2348490B1 (en) Access control system
WO2015119417A1 (ko)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222169A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 방법,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및 스마트 카드
WO2019098413A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09110703A2 (ko) 홈 네트워크에서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20013560A1 (ko)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자율 주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039387A1 (ko) 사용자 고유 식별키 등록 및 인증을 통한 공유서비스 관리 시스템
WO2016148483A1 (ko)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9189986A1 (ko) 사용 패턴에 기반한 전자식 잠금 장치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13085217A1 (ko) 다수의 중계 서버를 갖는 보안관리 시스템 및 보안관리 방법
WO2017217808A1 (ko) 모바일 인증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86757A1 (ko)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206289A1 (ko) 유저 인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2004120257A (ja) 錠管理システム及び錠管理方法
KR101155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WO2022145966A1 (ko) 공개키 기반 구조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WO2013100636A1 (ko) 마스터 tsm
WO2022060156A1 (ko) 인증모듈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19088411A1 (ko)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149726A1 (ko) 배송원의 공동주택에 대한 출입 편의를 지원하기 위한 공동 출입문 관리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U2021254627B2 (en) Method for unlocking vehicle door using mobile terminal
WO2021086161A1 (ko) 전자 키 관리 시스템 및 서버
WO2021132914A2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003615A (ja) 移動携帯端末を利用した開錠可能なインター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760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760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