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64261A1 -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64261A1
WO2022164261A1 PCT/KR2022/001599 KR2022001599W WO2022164261A1 WO 2022164261 A1 WO2022164261 A1 WO 2022164261A1 KR 2022001599 W KR2022001599 W KR 2022001599W WO 2022164261 A1 WO2022164261 A1 WO 20221642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slider
opening
conveyor belt
disp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15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상규
Original Assignee
유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237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99508A/ko
Application filed by 유상규 filed Critical 유상규
Priority to CN202280025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157964A/zh
Priority to JP2023546178A priority patent/JP2024507703A/ja
Publication of WO20221642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642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terminal having automatic and manual sliders.
  •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stress prevention device of a portable device that bends, winds, or unfolds a flexible display such as a folding device, a slider device, a wearable device, a rollable device, and a roll type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It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terminal.
  • terminals using flexible displays are manufactured and sold in the form of folders.
  • slide-out type and roll type devices are foretold as a method adopting the slider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expansion/reduction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with a simple operation that can selectively automatically slide.
  •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is a device that can be expanded and reduced in various ways such as voice recognition, body recognition, button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You can use it to smoothly move the slider and the flexible display.
  • a terminal using only a slider method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combining it have in common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partially bent and accommodated. Through thi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flow of dust and removing the inflow of dust without direct friction on the screen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conveyor belt 101 engaged with the electric motor 100 by powering the electric motor 100 as shown in FIG. 1 .
  • the conveyor belt 101 rotates around the electric motor 100 and the rotating roll 106 .
  • the slider connecting part 10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veyor belt, so that the slider slides.
  • the flexible display connection unit 102 connect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05 moves from right to left in the drawing,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drawn out along the rotating roll 106 along the extended slider.
  • the conveyor belt can use various materials such as fiber, rubber, and metal, and the shape can have the form of a belt, a line, or a caterpillar.
  • the motor device when the motor device is of a gear type rather than a round type, it is made to have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it can be interlocked.
  • the flexible display connection portion 102 is displayed only at the end, it may be arranged in the middle in various ways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nveyor belt.
  • the electric motor 100 When using the hydraulic pump 200, the electric motor 100 may be replaced by the rotating roll 106 or may be used in parallel. .
  • an elastic device is disposed in the hydraulic pump 200 to manually operate the slider 104 .
  • the case of the hydraulic pump 200 is also optional.
  • the slider connection part 103 is placed at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r upper right and lower left corners of the conveyor belt, so that even if one conveyor belt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sliders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It can also be produced in a form that is expanded or reduced at the same time.
  •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veyor belt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liding width. In the case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veyor belts having only one slider connection part 103,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can be cross-applied.
  • the slider connecting part 102 adopts a hinge structure and after sliding over a certain length,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after leaving the sliding guide part of the housing.
  • the conveyor belt which requires a change in length according to folding,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 the slider method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combine it have in common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partially bent and accommodated. did it
  • the flexible display inlet 1101 in which the slider is bent and introduced, has an open structur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is introduced.
  • This opening and closing method is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at can adopt a folder method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1100, a slider method having a slider guide groove in the main housing 1100, and a button method having a spring, etc. or the body extension unit 1200. It can be automatically moved using a device such as a gear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ans such as line, electricity, rod, etc.
  • the opening protrusion 1401 of the guide part is made convex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1102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conveyor belt 1403 including the caterpillar which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 a conveyor belt or the like is rotated by a motor 1404 or manual force,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1102 installed in the body housing 1100 is pushed up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ning protrusion 1401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formed long.
  • the opening protrusion 1401 may be continued until all the flexible displays are expanded, or a closing groove 1402 may be made at the end.
  •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1102 places an elastic device 1405 such as a spr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the housing to receive the pushing force from the opening protrusion 1401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naturally.
  • an elastic device 1405 such as a spr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the housing to receive the pushing force from the opening protrusion 1401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naturally.
  • the flexible display opening and closing port 110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to prevent damage to the flexible display screen unit 1300 in the form of a mother or a band.
  • the main body opening 110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1100 so tha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housing can be manually removed.
  • the main body opening/closing opening 1103 can manually remove dust introduced into the device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and this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a folder type, a slider type, and a button type. When a large foreign material such as sand enters, the foreign material can be removed without disassembling the device.
  •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part 1301 in another method, by attaching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part 1301 to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screen par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entered the body housing.
  • the flexible display inlet unit 1101 has an open structure
  •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301 forms a blocking film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stay in only a part of the body housing, although foreign substances can enter.
  •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part located at the end of the display rises up to the position of the inlet part 1101 of the flexible display to block the inlet part.
  •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unit 1301 may be interlocked with a locking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with an elastic device or a gear device.
  • the above three methods may be used simultaneously or may be used separately.
  •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device for preventing dust from entering a slider phone having a flexible display that extends to one side
  • the device for preventing dust from entering a slider phone having a flexible display that extends to both side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exible display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rolling the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is subjected to a lot of stress.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flexible display is broken and it is difficult to exert its proper function.
  • the flexible display unit directly receives stress, such as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rolling and unfol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 a specific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or the housing is responsible for the tensile force generated during the expansion/reduction process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foldable type, wearable type, slider type, and rollable type, so that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stress It is transmitted to a flexible display to increase durability.
  • All lines mentioned below include materials such as fibers, carbon nanotubes, metals, and composite materials, and the form refers to all connection types such as lines, chains, and nodes.
  • FIG 9 shows a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 and a housing elastic connection line 2302 in which a horizontal line protrusion 2304 is formed in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210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from the left e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to the right of the flexible display It is connected all the way to the elastic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end 2102.
  • the flexible display unit horizontal line 2303 continues from the left e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to the right end 2102 of the flexible display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2103 .
  • the projection direction is shown up and down in FIG. 10 to express the technology, it can be laid horizontally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a left and right form.
  •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2103 is made somewhat larger than the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 protrusion 2304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empty spaces of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of these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sequential. may make it slightly different.
  • the caterpillar 2200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 the flexible display fixed vertical line 2300 may be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caterpillar 2200 .
  • the horizontal line spacing protrusion 2304 is accommodated and connected in the vertical spacing fixed line 2301 .
  • the fixing direction is arrang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fixed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vertical spacing fixing line or horizontal spacing protrusion give a stopper action such as a one-time jamming, so that the screen size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by having a detachable or retractable connection type using a button. makes it possible
  • the description of the multi-stage gap adjustment fixing device is omitted because there are various technologies that have already been disclosed.
  • two or more spacing fixing lines 301 are arranged at short intervals in the two separated folder parts to minimize the separa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lexible display part that occurs when the two separated folder parts expand and contract. This can provide a flat screen.
  • a line, etc.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ave-convex display lower device by placing a sliding part between two or more folder parts or at the end of the folder by putting a display device in an uneven shape.
  • FIG. 13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ft end 2100 or the right e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is further shown.
  • a flexible display end connection 2104 connected to a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 and a housing elastic connection line 2302 to which a tensile force is directly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uch as expansion/reduction.
  • a second elastic device 2105 is built-i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exible display end connection par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2100 a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are connected to the elastic device 2105 to have a slight movement.
  • the device shown in FIG. 13 is optional, and the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s 2302 and 230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exible display 2101,2102. The devices shown here may adopt some or all of them.
  • the tensile force applied directly to the flexible display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stress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 the upper slider part and the lower slider part of a port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interlock with the conveyor belt based on the power of the hydraulic pump or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to ensure durability while naturally interlocking.
  • the slider method with a flexible display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combine it have a common flexible display that is partially bent and accommodated. did it
  • the flexible display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rolling the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is subjected to a lot of stress.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flexible display is damaged and it is difficult to exert its proper function.
  • the flexible display unit directly receives the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rolling and unfol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 a specific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or the housing is responsible for the tensile force generated during the expansion/reduction process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foldable type, wearable type, slider type, and rollable type, so that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stress It is transmitted to a flexible display to increase durability.
  • 1 is a side structural diagram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having a slider structure on both sides.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lider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accommodated and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unit 1301 attached to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ning/closing opening 1102 and the main opening/closing opening 103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formed in the slider phon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accommodated.
  •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unit 1301 after the screen unit 1300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is fully expanded.
  •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various device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ower connection spac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and the vertical line of the flexible display.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provided with a flexible display slider device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rollable device and a foldable device among flexible display terminals.
  • 13 is a buffer elastic device formed at the end and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 1 is a side structural diagram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having a slider structure on both sides.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lider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accommodated and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unit 1301 attached to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ning/closing opening 1102 and the main opening/closing opening 103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formed in the slider phon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accommodated.
  •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unit 1301 after the screen unit 1300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is fully expanded.
  •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various device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ower connection spac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and the vertical line of the flexible display.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provided with a flexible display slider device of the flexible display terminal.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rollable device and a foldable device among flexible display terminals.
  • 13 is a buffer elastic device formed at the end and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conveyor belt 101 engaged with the electric motor 100 by powering the electric motor 100 as shown in FIG. 1 .
  • the conveyor belt 101 rotates around the electric motor 100 and the rotating roll 106 .
  • the slider connecting part 10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veyor belt, so that the slider slides.
  • the flexible display support unit 102 connect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05 moves from right to left in the drawing,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drawn out along the rotating roll 106 along the extended slider.
  • the conveyor belt can use various materials such as fiber, rubber, and metal, and the shape can have the form of a belt, a line, or a caterpillar.
  • the motor device when the motor device is of a gear type rather than a round type, it is made to have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it can be interlocked.
  • connection portion 102 of the flexible display is displayed only at the end, it may be arranged in the middle in various ways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nveyor belt.
  • the electric motor 100 may be replaced by the rotating roll 106 or may be used in parallel.
  • an elastic device is disposed in the hydraulic pump 200 to manually operate the slider 104 .
  • the case of the hydraulic pump 200 is also optional.
  • the slider connection part 103 is placed at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r upper right and lower left corners of the conveyor belt, so that even if one conveyor belt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sliders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It can also be produced in a form that is expanded or reduced at the same time.
  •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veyor belt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liding width. In the case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veyor belts having only one slider connection part 103,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can be cross-applied.
  • the slider connecting portion 102 adopts a hinge structure, and after sliding over a certain length,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fter leaving the sliding guide portion of the housing.
  • a separate conveyor belt connected only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placed separately, so that the entire position of the conveyor belt must be moved according to the screen expansion along the slider as shown in FIG. 3 .
  •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may be fixed to the end of the slider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conveyor belt.
  • the conveyor belt which requires a change in length according to folding,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 the slider method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combine it have in common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partially bent and accommodated. did it
  • the flexible display inlet 1101 in which the slider is bent and introduced, has an open structure, so there was a problem that dust was introduced.
  • This opening and closing method is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at can adopt a folder method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1100, a slider method having a slider guide groove in the main housing 1100, and a button method having a spring, etc. or the body extension unit 1200. It can be automatically moved using a device such as a gear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ans such as line, electricity, rod, etc.
  • the opening protrusion 1401 of the guide part is made convex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1102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conveyor belt 1403 including the caterpillar which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 a conveyor belt or the like is rotated by a motor 1404 or manual force,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1102 installed in the body housing 1100 is pushed up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ning protrusion 1401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formed long.
  • the opening protrusion 1401 may be continued until all the flexible displays are expanded, or a closing groove 1402 may be made at the end.
  •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1102 places an elastic device 1405 such as a spr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the housing to receive the pushing force from the opening protrusion 1401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naturally.
  • an elastic device 1405 such as a spr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the housing to receive the pushing force from the opening protrusion 1401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naturally.
  • the flexible display opening and closing port 110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to prevent damage to the flexible display screen unit 1300 in the form of a mother or a band.
  • the main body opening 110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1100 so tha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housing can be manually removed.
  • the main body opening/closing opening 1103 can manually remove dust introduced into the device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opening/closing opening, and this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a folder type, a slider type, and a button type. When a large foreign material such as sand enters, the foreign material can be removed without disassembling the device.
  •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part 1301 in another method, by attaching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part 1301 to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screen par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entered the body housing.
  • the flexible display inlet unit 1101 has an open structure
  •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301 forms a blocking film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stay in only a part of the body housing, although foreign substances can enter.
  •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part located at the end of the display rises up to the position of the inlet part 1101 of the flexible display to block the inlet part.
  •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unit 1301 may be interlocked with a locking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with an elastic device or a gear device.
  • the above three methods may be used simultaneously or may be used separatel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troduced a dust ingress prevention device for a slider phone having a flexible display that extends to one side, but a dust ingress prevention device for a slider phone having a flexible display that extends to both side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flexible display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rolling the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is subjected to a lot of stress.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flexible display is broken and it is difficult to exert its proper function.
  • the flexible display unit directly receives stress, such as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rolling and unfol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 a specific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or the housing is responsible for the tensile force generated during the expansion/reduction process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foldable type, wearable type, slider type, and rollable type, so that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stress It is transmitted to a flexible display to increase durability.
  • All lines mentioned below include materials such as fibers, carbon nanotubes, metals, and composite materials, and the form refers to all connection types such as lines, chains, and nodes.
  • FIG 9 shows a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 and a housing elastic connection line 2302 in which a horizontal line protrusion 2304 is formed in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210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from the left e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to the right of the flexible display It is connected all the way to the elastic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end 2102.
  • the flexible display unit horizontal line 2303 continues from the left e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to the right end 2102 of the flexible display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2103 .
  • the projection direction is shown up and down in FIG. 10 to express the technology, it can be laid horizontally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a left and right form.
  •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2103 is made somewhat larger than the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 protrusion 2304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empty spaces of the flexible display lower connection space of these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sequential. may make it slightly different.
  • the caterpillar 2200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 the flexible display fixed vertical line 2300 may be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caterpillar 2200 .
  • the horizontal line spacing protrusion 2304 is accommodated and connected in the vertical spacing fixed line 2301 .
  • the fixing direction is arrang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fixed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vertical spacing fixing line or horizontal spacing protrusion give a stopper action such as a one-time jamming, so that the screen size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by having a detachable or retractable connection type using a button. makes it possible
  • the description of the multi-stage gap adjustment fixing device is omitted because there are various technologies that have already been disclosed.
  • two or more spacing fixing lines 301 are arranged at short intervals in the two separated folder parts to minimize the separa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lexible display part that occurs when the two separated folder parts expand and contract. This can provide a flat screen.
  • a line, etc.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ave-convex display lower device by placing a sliding part between two or more folder parts or at the end of the folder by putting a display device in an uneven shape.
  • FIG. 13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ft end 2100 or the right e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is further shown.
  • a flexible display end connection 2104 connected to a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 and a housing elastic connection line 2302 to which a tensile force is directly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uch as expansion/reduction.
  • a second elastic device 2105 is built-i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exible display end connection par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2100 and 2101 of the flexible display are connected to the elastic device 2105 to have a slight movement.
  • the device shown in FIG. 13 is optional, and the flexible display horizontal lines 2302 and 230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exible display 2101,2102. The devices shown here may adopt some or all of them.
  • the tensile force applied directly to the flexible display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stress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flexible display terminal using a flexibl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슬라이드형태를 구비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의 확장축소작동을 원할히 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방식 및 이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일부 구부러져서 수납되는 것이 공통이며 이과정에서 수납부부분이 오픈되어 있어 이러한 오픈구조를 보완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등을 통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화면부에 직접적인 마찰없이 먼지 등의 유입방지 및 유입된 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기기의 확장 축소시 플렉시블디스플레이에 직접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스트레스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 슬라이더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방식을 채택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자동먼지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기기, 슬라이더형기기, 웨어러블형기기, 롤러블기기, 두루마리형기기 등 플렉시블디시플레이를 휘거나 감았다 펴거나 하는 휴대용기기의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스트레스방지 장치에 갖춘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시점,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단말기는 폴더형태로 제조 판매되고 있다.
조금 더 직관적이고 편리한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요구는 슬라이드 형태의 폰 개발에도 가속화를 가져 왔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에 더하여 자동기능으로 개폐되거나 슬라이더되는 형태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요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슬라이더방식을 채택한 형태의 단말기 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가장 단순하게는 슬라이더방식을 채용한 것과 더 나아가 슬라이더방식과 폴더방식을 결합하는 형태도 고려되고 있다.
더불어 슬라이더방식을 채택한 방식으로 슬라이드아웃형태, 두루마리형 기기등의 등장이 예고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이 등장함에도 폴더형태나 슬라이더 형태등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내구성에 관해서 많은 우려가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우선 선택적으로 자동슬라이드가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확장축소작동을 원할히 하고자 한다.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는 음성인식, 동체인식, 버튼조작, 수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확장축소가 가능한 기기이므로 음성인식, 동체인식, 노크, 버튼 조작 등을 통해 확장축소명령이 주어 졌을때 자동수동겸용 슬라이더장치를 이용해 슬라이더의 이동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이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방식만을 이용한 단말기 및 이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가 일부 구부러져서 수납되는 것이 공통이며 이 과정에서 수납부부분이 오픈되어 있어 이러한 오픈구조를 보완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등을 통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화면부에 직접적인 마찰없이 먼지 등의 유입방지 및 유입된 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슬라이딩 장치를 갖는 폴더블형태, 슬라이더형태, 롤러블형태에 웨어러블형태에 두루 쓰이고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스트레스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1에서 보듯이 전기모터(100)를 동력으로 전기모터(100)와 맞물리는 컨베이어벨트(101)를 작동시킨다. 이때 컨베이어벨트(101)는 전기모터(100)와 회전롤(106)중심으로 회전한다.
컨베이어벨트가 회전할 때 컨베이어벨트의 상단에는 슬라이더연결부(103)가 연결되어 있어 슬라이더는 슬라이딩 된다.
하단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105)와 연결된 플렉시블디스플레이연결부(102)가 도면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확장되는 슬라이더를 따라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가 회전롤(106)을 따라 인출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는 섬유, 고무, 금속등 다양한 소재를 쓸 수 있고 형태는 띠, 라인, 무한궤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모터장치가 라운드형태가 아닌 기어형태일때 이와 연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의 홈을 가지도록 만든다.
도1에서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연결부(102)를 끝단에만 표시했지만 컨베이어벨트와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중간 중간 배치할 수도 있다.
유압식 펌프(200)를 사용할 경우 유압식펌프가 작동을 하면 슬라이더(104)와 슬라이더연결부(103)가 앞으로 인출되고 컨베이어벨트(101)가 회전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5)는 회전롤(106)을 따라 인출된다.
유압식 펌프(200)를 사용할때 전기모터(100)는 회전롤(106)로 대체될 수도 있고 병행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
자동동력장치를 배제할 경우 유압식펌프(200)엔 탄성장치가 배치되어 슬라이더(104)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유압식펌프(200)의 경우도 선택사항이다.
도3의 경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3과 달리 좌우로 확장되는 슬라이드아웃의 경우 컨벤이어벨트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 또는 우측상단과 좌측하단에 슬라이더연결부(103)를 두어 하나의 컨벤이어벨트가 한방향으로 회전해도 좌우측 슬라이더가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확장거나 축소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컨벤이어벨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연결부의 위치는 슬라이딩되는 폭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하나의 슬라이더연결부(103)만 가진 다수개의 컨벤이어벨트를 설치하는 경우 상단과 하단의 위치를 교차적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연결부(102)는 힌지구조를 채택해서 일정길이 이상 슬라이딩된 후 하우징의 슬라이딩가이드부를 벗어난후에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일부를 각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컨벤이어벨트를 둘 경우 가운데 힌지를 두어 폴딩기능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폴딩되는 것에 따라 길이변화가 요구되는 컨벤이어벨트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등의 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방식 및 이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일부 구부러져서 수납되는 것이 공통이며 이과정에서 수납부부분이 오픈되어 있어 먼지 등의 유입방지 및 유입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슬라이더 방식을 이용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확장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정에서 슬라이더가 구부러져 인입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입부(1101)는 개방구조로 되어 있어 먼지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인입부를 닫았다 열었다 할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폐구(1102)를 채택한다. 이러한 개폐구는 본체하우징(1100)과 연결된 폴더방식, 본체하우징(1100)에 슬라이더가이드홈을 구비한 슬라이더방식 그리고 스프링을 구비한 버튼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는 수동개폐방식이나 본체확장부(1200)와 연동에 따라 라인, 전기, 로드 등의 연결수단에 따라 기어 등의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서 보듯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무한궤도를 포함한 컨베이어 벨트(1403)에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개폐구(1102)가 개폐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분의 개방돌기(1401)를 볼록하게 만들고 무한궤도나 컨베이어벨트등이 모터(1404)나 수동에 의한 힘에 의해 회전 할때 본체하우징(1100)에 설치된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개폐구(1102)가 개방돌기(1401)의 이동에 따라 위로 밀려나며 자동오픈되며 길게 형성된 개방돌기(1401)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가 모두 확장할때까지 이어지게 하거나 끝단에 패쇄홈(1402)을 만들 수도 있다. 이때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개페구(1102)는 개방돌기(1401)에서 미는 힘을 받을 수 있게 개폐구와 하우징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장치(1405)를 두어 자연스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된 후 다시 축소 수납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개폐구(1102)가 패쇄홈(1402)과 연결된 개방돌기(1401)를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본체하우징(1100)에 인입되어 다시 개방되고 인입이 끝나면 개방돌기(1401)끝단에서 미끄러져 내려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개폐구(1102)는 다시 닫히게 된다.
이 또한,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와 연동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폐구(1102)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유연소재를 채택하여 모형태나 밴드형태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화면부(130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체하우징(1100)의 하단부에는 본체 개폐구(1103)를 두어 본체하우징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 개폐구(1103)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페구를 통해서 기기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이또한 본체와 연결하여 폴더방식, 슬라이더방식, 버튼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모래등의 큰 이물질이 들어갔을때 기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다른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부의 끝단에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유입을 차단하거나 본체하우징에 들어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입부(1101)가 오픈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이물질이 들어올 수 있지만 본체하우징일부에만 이물질이 머물도록 차단막을 형성해준다. 그러나 본체확장부(1200)가 확장될때는 디스플레이의 끝단에 위치한 이물질 유입방지부가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인입부(1101)위치까지 올라가 인입부를 막는 효과가 있다.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는 잠금장치와 연동될 수 있고 탄성장치나 기어장치와 연동되어 구성될 수 있다.
위의 3가지 방식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고 각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 확장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폰의 먼지유입방지장치를 소개하였으나 양측으로 확장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폰의 먼지유입방지장치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거나 말거나 하는 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망가져서 제기능을 발휘하기 힘들다.
이러한 이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부리거나 말고 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 등 스트레스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직접 받아서이다.
따라서, 폴더블형태, 웨어러블형태, 슬라이더형태 및 롤러블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기기의 확장 축소 과정시 발생하는 인장력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부분이 담당하거나 하우징에서 담당하도록 하여 비교적 적은 양의 스트레스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달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아래에서 언급하는 모든 라인은 섬유, 탄소나노튜브, 금속, 복합소재 등의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태는 라인, 체인, 마디형태 등 모든 연결형태를 말한다.
도9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2103)에 가로라인 돌기(2304)가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가로라인 및 하우징탄성연결라인(230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좌측 끝단(2101)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우측끝단(2102)을 통하여 휴대용기기의 탄성장치까지 쭉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가로라인(230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2103)을 통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좌측끝단(2101)에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우측끝단(2102)까지 이어져 있다. 기술을 표현하기 위해 도10에서 돌기방향이 위아래로 나타나 있으나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와 수평하게 좌우 형태로 누워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2103)은 이에 수납되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가로라인 돌기(2304)보다 다소 크게 만들며 휴대용기기의 확장축소에 따라 이 돌기들이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의 좌우빈공간의 간격은 연차적으로 다소 차이가 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무한궤도(2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이나 측면에 설치되는데 이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고정세로라인(2300)이 무한궤도(2200)의 상단에 얹혀질 수 있다. 또한 세로고정라인(2300)과 유사한 세로간격고정라인(2301)이 있다. 세로간격고정라인(2301)안에는 가로라인간격돌기(2304)가 수납되어 연결된다. 고정 방향은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휴대용기기의 하우징 내측의 하단 또는 측면에 설치된 고정장치와 세로간격고정라인 또는 가로간격돌기가 한번의 걸림등 스토퍼동작을 주어 버튼을 이용한 착탈식이나 인입되는 연결형태 등을 갖추어 화면사이즈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다단 간격조절고정장치는 이미 공개된 다양한 기술이 존재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폴더블단말기형태에서는 분리된 두개의 폴더부에 간격고정라인(301)을 짧은 간격으로 2개이상 배치하여 확장시 고정되어 분리된 두개의 폴더부의 확장축소시 발생하는 하우징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이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평평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폴더블단말기의 하우징부에 슬라이딩홈이 있는 경우 요철형태의 디스플레이부장치를 두어 슬라이딩이 2개이상의 폴더부 사이나 폴더끝단에 슬라이딩부를 두고 요철형태의 디스플레이하단장치내에 라인등이 삽입될 수 있다. 도13의 경우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좌측끝단(2100) 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우측끝단(2101)의 세부구성을 더 나타낸 것이다. 여기엔 확장축소 등의 동작에 따른 인장력이 직접 전달되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가로라인과 하우징탄성연결라인(2302)과 연결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 연결부(2104)가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 연결부내에는 좌우측으로 제2탄성장치(2105)가 내장되어있으며 여기에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좌, 우측(2100, 2101)이 약간의 이동을 가지도록 탄성장치(2105)와 연결되어 있다. 도13에 나온 장치는 선택사항이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가로라인(2302, 2303)은 플렉서블디스플렝 좌우측(2101,210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에 나온 장치들은 일부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전체를 채택할 수도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면확장 축소시 플렉시블디스플레이에 직접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스트레스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압식펌프의 힘이나 전기모터의 힘을 바탕으로 컨베이어벨트와 연동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기기의 상부슬라이더부와 하부슬라이더부가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연동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음성인식, 동체인식, 버튼조작, 수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확장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방식 및 이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일부 구부러져서 수납되는 것이 공통이며 이 과정에서 수납부부분이 오픈되어 있어 먼지 등의 유입방지 및 유입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거나 말거나 하는 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망가져서 제기능을 발휘하기 힘들다.
이러한 이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부리거나 말고 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직접 받아서이다.
따라서, 폴더블형태, 웨어러블형태, 슬라이더형태 및 롤러블형태등 다양한 형의 휴대용기기의 확장 축소 과정시 발생하는 인장력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부분이 담당하거나 하우징에서 담당하도록 하여 비교적 적은 양의 스트레스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달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도1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측면구조도이다.
도2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3은 양측슬라이더구조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4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장치의 예시도이다.
도5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된 형태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부착된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 예시도이다.
도6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된 슬라이더폰에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단말기의 개폐구(1102)와 본체 개폐구(103)의 예시도이다.
도7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면부(1300)가 완전히 확장된 후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의 예시도이다.
도8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면부(1300)이다.
도9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하단면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10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단 연결공간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세로라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1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슬라이더장치를 구비한 예시도이다.
도12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중 롤러블형 기기와 폴더블형기기의 예시도이다.
도13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끝단 및 끝단에 형성된 완충 탄성장치이다.
도1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측면구조도이다.
도2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3은 양측슬라이더구조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4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장치의 예시도이다.
도5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된 형태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부착된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 예시도이다.
도6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수납된 슬라이더폰에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단말기의 개폐구(1102)와 본체 개폐구(103)의 예시도이다.
도7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면부(1300)가 완전히 확장된 후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의 예시도이다.
도8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면부(1300)이다.
도9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하단면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10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단 연결공간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세로라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1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슬라이더장치를 구비한 예시도이다.
도12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단말기중 롤러블형 기기와 폴더블형기기의 예시도이다.
도13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끝단 및 끝단에 형성된 완충 탄성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1에서 보듯이 전기모터(100)를 동력으로 전기모터(100)와 맞물리는 컨베이어벨트(101)를 작동시킨다. 이때 컨베이어벨트(101)는 전기모터(100)와 회전롤(106)중심으로 회전한다.
컨베이어벨트가 회전할 때 컨베이어벨트의 상단에는 슬라이더연결부(103)가 연결되어 있어 슬라이더는 슬라이딩 된다.
하단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105)와 연결된 플렉시블디스플레이지지부(102)가 도면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확장되는 슬라이더를 따라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가 회전롤(106)을 따라 인출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는 섬유, 고무, 금속등 다양한 소재를 쓸 수 있고 형태는 띠, 라인, 무한궤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모터장치가 라운드형태가 아닌 기어형태일때 이와 연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의 홈을 가지도록 만든다.
도1에서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연결부(102)를 끝단에만 표시했지만 컨베이어벨트와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중간 중간 배치할 수도 있다.
유압식 펌프(200)를 사용할 경우 유압식펌프가 작동을 하면 슬라이더(104)와 슬라이더연결부(103)가 앞으로 인출되고 컨베이어벨트(101)가 회전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5)는 회전롤(106)을 따라 인출된다.
유압식 펌프(200)를 사용할때 전기모터(100)는 회전롤(106)로 대체될 수도 있고 병행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자동동력장치를 배제할 경우 유압식펌프(200)엔 탄성장치가 배치되어 슬라이더(104)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유압식펌프(200)의 경우도 선택사항이다.
도3의 경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3과 달리 좌우로 확장되는 슬라이드아웃의 경우 컨벤이어벨트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 또는 우측상단과 좌측하단에 슬라이더연결부(103)를 두어 하나의 컨벤이어벨트가 한방향으로 회전해도 좌우측 슬라이더가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확장거나 축소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컨벤이어벨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연결부의 위치는 슬라이딩되는 폭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하나의 슬라이더연결부(103)만 가진 다수개의 컨벤이어벨트를 설치하는 경우 상단과 하단의 위치를 교차적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연결부(102)는 힌지구조를 채택해서 일정길이 이상 슬라이딩된 후 하우징의 슬라이딩가이드부를 벗어난후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일부를 각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베이어벨트에 상하 슬라이더결합부를 둘 때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만 연결된 별도의 컨베이어벨트를 별도로 두어 도3에서 보여준 것처럼 슬라이더를 따라 컨베이어벨트전체위치가 화면확장에 맞추어 이동되어야 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한쪽끝은 슬라이더의 끝단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컨베이어벨트에 고정될수도 있다. 물론 컨베이어벨트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부 한쪽 끝단을 탄성장치와 연결한 기존방식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모든 방식에서 하우징 가운데 힌지를 두어 폴딩기능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폴딩되는 것에 따라 길이변화가 요구되는 컨벤이어벨트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등의 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방식 및 이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일부 구부러져서 수납되는 것이 공통이며 이과정에서 수납부부분이 오픈되어 있어 먼지 등의 유입방지 및 유입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73슬라이더 방식을 이용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확장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정에서 슬라이더가 구부러져 인입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입부(1101)는 개방구조로 되어 있어 먼지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인입부를 닫았다 열었다 할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폐구(1102)를 채택한다. 이러한 개폐구는 본체하우징(1100)과 연결된 폴더방식, 본체하우징(1100)에 슬라이더가이드홈을 구비한 슬라이더방식 그리고 스프링을 구비한 버튼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는 수동개폐방식이나 본체확장부(1200)와 연동에 따라 라인, 전기, 로드 등의 연결수단에 따라 기어 등의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서 보듯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무한궤도를 포함한 컨베이어 벨트(1403)에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개폐구(1102)가 개폐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분의 개방돌기(1401)를 볼록하게 만들고 무한궤도나 컨베이어벨트등이 모터(1404)나 수동에 의한 힘에 의해 회전 할때 본체하우징(1100)에 설치된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개폐구(1102)가 개방돌기(1401)의 이동에 따라 위로 밀려나며 자동오픈되며 길게 형성된 개방돌기(1401)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가 모두 확장할때까지 이어지게 하거나 끝단에 패쇄홈(1402)을 만들 수도 있다. 이때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개페구(1102)는 개방돌기(1401)에서 미는 힘을 받을 수 있게 개폐구와 하우징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장치(1405)를 두어 자연스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된 후 다시 축소 수납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개폐구(1102)가 패쇄홈(1402)과 연결된 개방돌기(1401)를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본체하우징(1100)에 인입되어 다시 개방되고 인입이 끝나면 개방돌기(1401)끝단에서 미끄러져 내려와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개폐구(1102)는 다시 닫히게 된다.
이 또한,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와 연동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폐구(1102)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유연소재를 채택하여 모형태나 밴드형태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화면부(130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체하우징(1100)의 하단부에는 본체 개폐구(1103)를 두어 본체하우징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 개폐구(1103)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페구를 통해서 기기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이또한 본체와 연결하여 폴더방식, 슬라이더방식, 버튼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모래등의 큰 이물질이 들어갔을때 기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다른 방식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부의 끝단에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유입을 차단하거나 본체하우징에 들어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입부(1101)가 오픈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이물질이 들어올 수 있지만 본체하우징일부에만 이물질이 머물도록 차단막을 형성해준다. 그러나 본체확장부(1200)가 확장될때는 디스플레이의 끝단에 위치한 이물질 유입방지부가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인입부(1101)위치까지 올라가 인입부를 막는 효과가 있다.
이물질 유입방지부(1301)는 잠금장치와 연동될 수 있고 탄성장치나 기어장치와 연동되어 구성될 수 있다.
위의 3가지 방식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고 각자 사용될 수도 있다.
\*82또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 확장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폰의 먼지유입방지장치를 소개하였으나 양측으로 확장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더폰의 먼지유입방지장치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거나 말거나 하는 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망가져서 제기능을 발휘하기 힘들다.
이러한 이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부리거나 말고 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 등 스트레스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가 직접 받아서이다.
따라서, 폴더블형태, 웨어러블형태, 슬라이더형태 및 롤러블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기기의 확장 축소 과정시 발생하는 인장력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부분이 담당하거나 하우징에서 담당하도록 하여 비교적 적은 양의 스트레스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달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아래에서 언급하는 모든 라인은 섬유, 탄소나노튜브, 금속, 복합소재 등의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태는 라인, 체인, 마디형태 등 모든 연결형태를 말한다.
도9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2103)에 가로라인 돌기(2304)가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가로라인 및 하우징탄성연결라인(230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좌측 끝단(2101)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우측끝단(2102)을 통하여 휴대용기기의 탄성장치까지 쭉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가로라인(230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2103)을 통하여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좌측끝단(2101)에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우측끝단(2102)까지 이어져 있다. 기술을 표현하기 위해 도10에서 돌기방향이 위아래로 나타나 있으나 플렉시블디스플레이부와 수평하게 좌우 형태로 누워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2103)은 이에 수납되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가로라인 돌기(2304)보다 다소 크게 만들며 휴대용기기의 확장축소에 따라 이 돌기들이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하단 연결공간의 좌우빈공간의 간격은 연차적으로 다소 차이가 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무한궤도(2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이나 측면에 설치되는데 이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고정세로라인(2300)이 무한궤도(2200)의 상단에 얹혀질 수 있다. 또한 세로고정라인(2300)과 유사한 세로간격고정라인(2301)이 있다. 세로간격고정라인(2301)안에는 가로라인간격돌기(2304)가 수납되어 연결된다. 고정 방향은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휴대용기기의 하우징 내측의 하단 또는 측면에 설치된 고정장치와 세로간격고정라인 또는 가로간격돌기가 한번의 걸림등 스토퍼동작을 주어 버튼을 이용한 착탈식이나 인입되는 연결형태 등을 갖추어 화면사이즈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다단 간격조절고정장치는 이미 공개된 다양한 기술이 존재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폴더블단말기형태에서는 분리된 두개의 폴더부에 간격고정라인(301)을 짧은 간격으로 2개이상 배치하여 확장시 고정되어 분리된 두개의 폴더부의 확장축소시 발생하는 하우징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이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평평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폴더블단말기의 하우징부에 슬라이딩홈이 있는 경우 요철형태의 디스플레이부장치를 두어 슬라이딩이 2개이상의 폴더부 사이나 폴더끝단에 슬라이딩부를 두고 요철형태의 디스플레이하단장치내에 라인등이 삽입될 수 있다.
도13의 경우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의 좌측끝단(2100) 또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우측끝단(2101)의 세부구성을 더 나타낸 것이다. 여기엔 확장축소 등의 동작에 따른 인장력이 직접 전달되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가로라인과 하우징탄성연결라인(2302)과 연결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 연결부(2104)가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 연결부내에는 좌우측으로 제2탄성장치(2105)가 내장되어있으며 여기에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좌, 우측(2100, 2101)이 약간의 이동을 가지도록 탄성장치(2105)와 연결되어 있다. 도13에 나온 장치는 선택사항이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가로라인(2302, 2303)은 플렉서블디스플렝 좌우측(2101,210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에 나온 장치들은 일부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전체를 채택할 수도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면확장 축소시 플렉시블디스플레이에 직접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스트레스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제작에 이용하가능하다.

Claims (5)

  1. 전기모터를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와 연동하여 화면을 확장하는 하나이상의 자동 슬라이더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2. 유압식펌프를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와 연동하여 화면을 확장하는 하나이상의 자동 슬라이더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3. 탄성장치를 갖는 슬라이더장치를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와 연동하여 화면을 확장하는 수동모드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하나이상의 끝단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부연결되어 있는 자동먼지유입방지장치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끝단에서 끝까지 하나이상의 라인으로 연결되는 스트레스 방지 장치를 갖는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PCT/KR2022/001599 2021-01-28 2022-01-28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WO20221642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25452.8A CN117157964A (zh) 2021-01-28 2022-01-28 柔性显示终端
JP2023546178A JP2024507703A (ja) 2021-01-28 2022-01-28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1969 2021-01-28
KR10-2021-0011969 2021-01-28
KR10-2021-0015756 2021-02-04
KR20210015756 2021-02-04
KR10-2022-0002378 2022-01-06
KR1020220002378A KR20220099508A (ko) 2021-01-06 2022-01-06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4261A1 true WO2022164261A1 (ko) 2022-08-04

Family

ID=8265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1599 WO2022164261A1 (ko) 2021-01-28 2022-01-28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07703A (ko)
CN (1) CN117157964A (ko)
WO (1) WO202216426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453A (ko) * 2011-09-09 2013-03-19 유상규 유압식펌프를 구비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0181A (ko) * 2016-10-11 2018-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209708516U (zh) * 2019-03-22 2019-11-29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0256183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33558A (zh) * 2020-10-29 2021-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204630B1 (ko) * 2020-02-24 2021-01-19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반자동 슬라이드 디스플레이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453A (ko) * 2011-09-09 2013-03-19 유상규 유압식펌프를 구비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0181A (ko) * 2016-10-11 2018-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209708516U (zh) * 2019-03-22 2019-11-29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0256183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4630B1 (ko) * 2020-02-24 2021-01-19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반자동 슬라이드 디스플레이 힌지장치
CN112233558A (zh) * 2020-10-29 2021-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57964A (zh) 2023-12-01
JP2024507703A (ja)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9549A1 (ko) 양방향으로 접히는 단말기용 힌지구조
WO2016140524A1 (ko) 단일면 폴딩장치
WO2015030432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WO2019009542A1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WO2021085985A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접히는 힌지
WO2016175432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WO2013039326A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WO2022050589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14133265A1 (en) Display apparatus
CN107207098A (zh) 云台、成像装置及无人飞行器
WO2020046025A2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22164261A1 (ko)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단말기
WO2019182412A1 (ko) 창호 개폐장치
WO2018038500A1 (ko) 서랍장 가구의 안전 잠금장치
WO2018070778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21187960A1 (ko)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22108401A1 (ko) 인폴딩타입 디스플레이장치용 고하중 힌지구조
WO2021187899A1 (ko) 인폴딩타입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구조
WO2021025441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접히는 힌지모듈
WO2020226335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부
WO2009120037A2 (ko) 개인휴대단말기
WO2013062224A1 (ko)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WO2016195294A1 (ko)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22154445A1 (ko) 유격방지 기능을 가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WO2020130293A1 (ko) 접철식 관람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46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4617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9.11.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