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64193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64193A1
WO2022164193A1 PCT/KR2022/001380 KR2022001380W WO2022164193A1 WO 2022164193 A1 WO2022164193 A1 WO 2022164193A1 KR 2022001380 W KR2022001380 W KR 2022001380W WO 2022164193 A1 WO2022164193 A1 WO 20221641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resolution
display
content providing
reque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13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성창
김범은
서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4474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11164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12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848838A/zh
Priority to EP22746219.9A priority patent/EP4246960A4/en
Priority to US17/689,175 priority patent/US11699374B2/en
Publication of WO20221641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641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Abstract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수신하는 입/출력부,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하고, 요청 해상도 변경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하여,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요청 해상도를 제2 해상도에서 제1 해상도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텔레비전(TV)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셋탑 박스, 블루레이 디스크(Blue ray Disk) 플레이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스트리밍 장치, 홈 시어터, 오디오 장치 등의 컨텐츠 제공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 변경 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류를 인지하여, 출력 해상도를 유지하거나 원복을 진행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로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에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을 알려주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해상도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출력 해상도를 자동으로 원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하고, 상기 요청 해상도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에서 상기 제1 해상도로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해상도의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해상도의 제2 화면 비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의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2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화면 비율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HDMI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EDID 정보를 통해, 상기 요청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요청 해상도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에서 상기 제1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변경된 요청 해상도로 표시되는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 인지가 어려운 오류 발생 시에도, 영상의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요청 해상도를 다시 원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와 연결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가 그래픽 카드 또는 게임 타이틀에 따라 21:9, 32:9와 같이 게임에 특화된 비율을 지원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른 오류 발생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의 상기 및 다른 측면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동작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청 해상도 변경 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청 해상도 변경 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임의로 선택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시스템,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개발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사이니지나 TV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셋탑 박스, 블루레이 디스크(Blue ray Disc) 플레이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게임기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트리밍 장치, 홈 시어터, 오디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컨텐츠는 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 디스크에 기록된 컨텐츠일 수 있다. 또는 컨텐츠는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기록 매체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포트,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커넥터,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등으로 연결되어,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무선랜,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재생 장치 또는 소스 장치(Source device)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크 장치(Sink device)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해상도 및 화면 비율을 가지는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4:3, 16:9, 16:10, 21:9, 32:9 등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면 비율에 따라 다양한 해상도를 가지는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9의 화면 비율에서는 예를 들어, 1280 x 720, 1366 x 768, 1600 x 900, 1920 x 1080, 2560 x 1440, 3840 x 2160, 5120 x 2880, 7680 x 4320 등의 해상도들을 가지는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21:9의 화면 비율에서는 2560 x 1080, 3440 x 1440, 5120 x 2160의 해상도들을 가지는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해상도의 화면들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블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요청되는 요청 해상도가 제1 해상도이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1 해상도를 지원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가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되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2 해상도를 지원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변경된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오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다시 제1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함으로써, 영상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영상을 입력 받아, 제1 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10).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DID 정보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요청 해상도 셋(set)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요청 해상도 셋은 복수의 해상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해상도들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해상도들 중 하나는 추천 해상도로, 나머지 해상도들은 기타 해상도들로 설정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요청 해상도 셋을 수신하고, 요청 해상도 셋에 포함된 복수의 해상도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1 해상도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1 해상도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2 해상도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요청 해상도 셋에 포함된 복수의 해상도들 중 추천 해상도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추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추천 해상도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 복수의 해상도들 중 기타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은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출력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지정된) 해상도 및 화면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은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또는 요청 해상도 셋)를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해상도를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에서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제2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16:9에서 21:9로 변경되는 경우, 영상의 상, 하 영역에 블랙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화면 모드 전환에 대응하여, 제2 해상도(예를 들어,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를 가지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DID 정보에 포함된 요청 해상도 셋을 변경함으로써, 요청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변경된 요청 해상도에 따라, 제2 해상도 또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2 해상도 지원이 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2 해상도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가 아닌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영상을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3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제1 영상과 해상도 변경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 영상에 포함되던 영상 데이터 일부가 제2 영상에서 손실된 경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의 화면 비율과 제2 영상 중 제1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의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화면 비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설명은 예시일 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S240에서 'Yes'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를 다시 제2 해상도에서 제1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와이드 화면 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16:9의 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오류 발생으로 인하여, 화면 모드를 전환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제2 해상도에서 제1 해상도로 변경됨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다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 영상을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60).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동작들의 예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예: 통신적으로 결합됨)(S3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HDMI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저장부(예를 들어, EDID ROM)에 엑세스하여 EDID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EDID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EDID정보를 요청하면(S320),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EDID 저장부의 EDID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330).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통신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EDID 저장부에 엑세스하여 EDID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EDI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게 EDID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EDID 저장부의 EDID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EDID정보는, 예를 들어, 장치의 명칭, 아이디, 모델명, 제조사, 제조년월일, 시리얼 넘버, 영상의 최대 표시 크기, 화면 비율, 수평 주파수, 수직 주파수, 최대 해상도, 감마,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모드 지원 여부, 지원 가능 영상 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ID정보는 영상 요청 정보(복수의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요청 해상도 셋), 또는 영상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정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특성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영상의 최대 표시 크기, 화면 비율, 최대 해상도, 설정 해상도, 화면 모드 등) 및 영상 요청 정보(복수의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요청 해상도 셋)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 비율 및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요청 해상도 셋을 수신하고, 요청 해상도 셋에 포함된 복수의 해상도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해상도들의 지원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요청 해상도 셋에 포함된 복수의 해상도들 중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1 해상도가 지원 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S335).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해상도 및 화면 비율을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S345).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6:9화면 모드, 21:9화면 모드, 32:9 화면 모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1:9 화면 모드(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3840 x 2160에서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로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16:9에서 21:9로 변경되는 경우, 영상의 상, 하 영역에 블랙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모드가 변경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S3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특정 해상도로 영상을 출력하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 저장부에 저장된 EDID 정보 중 해상도 정보(예를 들어, 요청 해상도 셋)가 변경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EDID 정보 중 변경된 요청 해상도 셋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요청 해상도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S355).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 또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S360).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2 해상도 지원이 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제2 해상도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가 아닌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365).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비교하여,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제1 영상과 요청 해상도 변경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 영상에 포함되던 영상 데이터 일부가 제2 영상에서 손실된 경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의 화면 비율과 제2 영상 중 제1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의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화면 비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들에 불과할 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S370에서 'Yes'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를 다시 제2 해상도에서 제1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S38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9 화면 모드(와이드 화면 모드)를 종료하고, 요청 해상도를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에서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3840 x 2160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 저장부에 저장된 EDID 정보 중 요청 해상도 셋이 변경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변경된 요청 해상도 셋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해상도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변경된 요청 해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S385).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다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S390). 예를 들어,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395).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청 해상도 변경 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의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제1 영역(40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제1 해상도(예를 들어,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설정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에 기초하여, 제1 영역(401) 중 제2 영역(402)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41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해상도 지원이 가능하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 데이터(41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 데이터(411)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해상도(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제1 영상 데이터(411)에 대응하는 제1 영상(4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9 화면 모드(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화면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화면 비율 및 해상도를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모드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변경된 요청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해상도가 제2 해상도(예를 들어,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변경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영역(401) 중 제3 영역(403)에 대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42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 지원이 가능하며,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 데이터(42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 데이터(421)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제2 영상 데이터(421)에 대응하는 제2 영상(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기 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1 영상(410)과 요청 해상도가 변경된 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2 영상(420)을 비교하여, 제2 영상(420)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410)에 포함되는 제1 영상 데이터(411)와 제2 영상(420)에 포함되는 제2 영상 데이터(421)를 비교하여, 제1 영상 데이터(411)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영상 데이터(421)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42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상 데이터(411)는 제2 영상 데이터(421)에 모두 포함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42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해상도가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변경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영역(401) 중 제4 영역(404)에 대응하는 제3 영상 데이터(43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영상 데이터(431)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제3 영상 데이터(431)에 대응하는 제3 영상(4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기 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1 영상(410)과 해상도가 변경된 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3 영상을 비교하여, 제3 영상(430)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410)에 포함되는 제1 영상 데이터(411)와 제3 영상(430)에 포함되는 제3 영상 데이터(431)를 비교하여, 제1 영상 데이터(411) 중 적어도 일부가 제3 영상 데이터(431)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3 영상(43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에서 401의 음영 부분 참조).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상 데이터(411) 중 일부 데이터(510)는 제3 영상 데이터(431)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영상(43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는 제1 영상 데이터(411) 전체가 제3 영상 데이터(431)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3 영상(43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기 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1 영상(410)의 영상 데이터와 요청 해상도가 변경된 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2 영상(420)의 영상 데이터 사이에 불일치하는 데이터 영역의 비율(예를 들어, 제1 영상(410) 또는 제2 영상(420)의 전체 영역 대비 제1 영상(410)의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420)의 영상 데이터 사이에 불일치하는 데이터 영역의 비율)이 기 설정된(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제2 영상(42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불일치하는 데이터 영역의 비율이 기 설정된(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2 영상(42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청 해상도 변경 시,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 변경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제1 영상과 요청 해상도 변경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3 영상의 화면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해상도(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제1 영상(6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제2 영상(6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61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2 영상(62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모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610)의 화면 비율과 제2 영상(620) 중 제1 영상(6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625)의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제2 영상(62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610)의 화면 비율은 16:9의 비율을 가지며, 제1 영역(625)의 화면 비율도 16:9의 비율을 가지는 경우, 또는 제1 영상(610)의 화면 비율은 16:9의 비율을 가지며, 제1 영역(625)의 화면 비율은 16:10의 비율을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62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제1 해상도(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에서 제3 해상도(32: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1080의 해상도)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해상도(32: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1080의 해상도)로 제3 영상(6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61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3 영상(63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모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610)의 화면 비율과 제3 영상(630) 중 제1 영상(610)에 대응하는 제2 영역(635)의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제3 영상(63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610)의 화면 비율은 16:9의 비율을 가지며, 제2 영역(635)의 화면 비율도 16:9의 비율을 가지는 경우, 또는 제1 영상(610)의 화면 비율은 16:9의 비율을 가지며, 제2 영역(635)의 화면 비율은 16:10의 비율을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영상(63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해상도(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제1 영상(7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의 해상도)로 제2 영상(7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해상도 지원이 가능하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가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가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만을 지원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2 해상도로 스케일링한 제2 영상(72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71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72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동일하다.
그러나, 제1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비율은 16:9이고, 제2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비율은 21:9로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72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제1 해상도(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의 해상도)에서 제3 해상도(32: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1080의 해상도)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해상도(32: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1080의 해상도)로 제3 영상(7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3 해상도 지원이 가능하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가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가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만을 지원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3 해상도로 스케일링한 제3 영상(73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710)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제3 영상(730)에 대응하는 제3 영상 데이터는 동일하다.
그러나, 제1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비율은 16:9이고, 제3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비율은 32:9로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 변경 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요청 해상도 변경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비교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16: 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제1 영상(710)의 전체 영역과 제2 영상(720)에서 16:9의 비율을 가지는 제1 영역(725)을 비교함으로써, 제1 영상(710)과 제2 영상(720)의 영상 일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710)과 제1 영역(725)의 영상이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72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영상(710)과 제1 영역(725)의 영상이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72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제1 영상(710)의 전체 영역과 제3 영상(730)에서 16:9의 비율을 가지는 제2 영역(735)을 비교함으로써, 제1 영상(710)과 제3 영상(730)의 영상 일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710)과 제2 영역(735)의 영상이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영상(73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영상(710)과 제2 영역(735)의 영상이 기 설정된(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영상(73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되고,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출력될 때, 사용자(시청자)는 요청 해상도 변경 후의 영상(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 변경 후의 영상(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오류가 확인되었습니다”라는 내용과 함께 요청 해상도를 변경 전의 원래 해상도(제1 해상도)로 다시 변경할지를 묻는 메시지(8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해상도 변경 후의 영상(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를 다시 변경 전의 해상도(제1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오류로 인해 요청 해상도가 자동 변경되었다는 메시지(82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는 팝업 메시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내용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출력부(110)(예를 들어, 다양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함), 프로세서(120)(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함), 메모리(230) 및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포트,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커넥터,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부(11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무선랜,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HDMI 포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입/출력부(1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DDC 채널을 통해, EDID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에서 수신된 영상은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프로세서(12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40)는 예를 들어,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다양한 해상도 및 화면 비율을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4:3, 16:9, 16:10, 21:9, 32: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면 비율에 따라 다양한 해상도를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9의 화면 비율에서는 1280 x 720, 1366 x 768, 1600 x 900, 1920 x 1080, 2560 x 1440, 3840 x 2160, 5120 x 2880, 7680 x 4320의 해상도들을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21:9의 화면 비율에서는 2560 x 1080, 3440 x 1440, 5120 x 2160의 해상도들을 가지는 화면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140)의 요청 해상도를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요청 해상도를 제1 해상도(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3840 x 2160)에서 제2 해상도(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2560 x 1080)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요청 해상도 변경 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과 해상도 변경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제1 영상과 요청 해상도 변경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 영상에 포함되던 영상 데이터 일부가 제2 영상에서 손실된 경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영상의 화면 비율과 제2 영상 중 제1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의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화면 비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들에 불과할 뿐,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140)의 요청 해상도를 제2 해상도에서 다시 제1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와이드 화면 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16:9의 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영상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오류 발생으로 인하여, 화면 모드를 전환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입/출력부(210)(예를 들어, 다양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함), 프로세서(220)(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함),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21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210)는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포트,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부(21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외부 장치와 무선랜,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20)는 다양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3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USB 메모리, HDD와 같은 외부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DVD,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로부터 광디스크에 기록된 컨텐츠를 읽어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EDID정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특성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영상의 최대 표시 크기, 화면 비율, 최대 해상도, 설정 해상도, 화면 모드 등) 및 요청 해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의 화면 비율 및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해상도가 변경되면, 프로세서(220)는 변경된 요청 해상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출력 해상도도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튜너부(1140), 프로세서(1110)(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함), 디스플레이부(1120), 통신부(1150)(예를 들어, 통신 회로를 포함함), 감지부(1130), 입/출력부(1170)(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함), 비디오 처리부(1180)(예를 들어, 비디오 처리 회로를 포함함), 오디오 처리부(1185)(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 회로를 포함함), 오디오 출력부(1160)(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회로를 포함함), 메모리(1190), 전원부(11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입/출력부(1170)는 도 9의 입/출력부(110)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고, 도 11의 프로세서(1110)는, 도 9의 프로세서(120)에 도 11의 메모리(1190)는 도 9의 메모리(130)에, 도 11의 디스플레이부(1120)는 도 9의 디스플레이(140)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1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1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1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50)는 다양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 또는 서버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통신부(1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130)는 다양한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1131), 카메라부(1132) 및 광 수신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1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1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광 수신부(113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2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133)는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다양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1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180)는, 비디오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0)는, 프로세서(11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120)는 예를 들어,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부(1185)는 다양한 오디오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18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18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60)는 다양한 오디오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160)는 통신부(1150) 또는 입/출력부(1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160)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60)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95)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195)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메모리(1190)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1190)는 다양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100, 1100)의 블록도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들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1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자 장치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제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제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3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제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제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을 사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개선이 이루어지고 본 개시 내용의 진정한 사상 및 전체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음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하고,
    상기 요청 해상도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에서 상기 제1 해상도로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의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해상도의 제2 화면 비율은 서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영상의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2 화면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화면 비율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HDMI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EDID 정보를 통해, 상기 요청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요청하는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요청 해상도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에서 상기 제1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해상도를 상기 제1 해상도에서 제2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는,
    와이드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해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의 제1 화면 비율과 상기 제2 해상도의 제2 화면 비율은 서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22/001380 2021-02-01 2022-01-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216419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12515.6A CN116848838A (zh) 2021-02-01 2022-01-26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EP22746219.9A EP4246960A4 (en) 2021-02-01 2022-01-26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7/689,175 US11699374B2 (en) 2021-02-01 2022-03-08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38 2021-02-01
KR20210014338 2021-02-01
KR1020210044744A KR20220111164A (ko) 2021-02-01 2021-04-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21-0044744 2021-04-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689,175 Continuation US11699374B2 (en) 2021-02-01 2022-03-08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4193A1 true WO2022164193A1 (ko) 2022-08-04

Family

ID=8265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1380 WO2022164193A1 (ko) 2021-02-01 2022-01-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16419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760A (ko) * 2007-10-10 2009-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해상도 자동 복구 장치 및 방법
KR20090106070A (ko) * 2008-04-04 200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화면 설정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120081603A1 (en) * 2010-10-01 2012-04-05 Mitsumi Electric Co., Ltd. Display screen changeover apparatus, display screen changeover method, display screen changeov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display screen changeover program
KR20160102653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14494A (ko) *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760A (ko) * 2007-10-10 2009-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해상도 자동 복구 장치 및 방법
KR20090106070A (ko) * 2008-04-04 200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화면 설정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120081603A1 (en) * 2010-10-01 2012-04-05 Mitsumi Electric Co., Ltd. Display screen changeover apparatus, display screen changeover method, display screen changeov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display screen changeover program
KR20160102653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14494A (ko) *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64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6167468A1 (en) Playback device for playing video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O20211374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455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816454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923113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O2017146518A1 (en) Serve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O2021112368A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8110956A1 (en)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16419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711973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0101189A1 (en) Image and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EP344963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WO20201225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07567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0184856A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2092535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59492A1 (en) ELECTRONIC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306850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41198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WO2019235716A1 (ko) 소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63995A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301403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69937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O202212457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46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46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15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12515.6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