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45708A1 -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45708A1
WO2022145708A1 PCT/KR2021/016622 KR2021016622W WO2022145708A1 WO 2022145708 A1 WO2022145708 A1 WO 2022145708A1 KR 2021016622 W KR2021016622 W KR 2021016622W WO 2022145708 A1 WO2022145708 A1 WO 20221457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batteries
group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6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의선
민준홍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257,21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39302A1/en
Priority to EP21915506.6A priority patent/EP4274053A1/en
Priority to AU2021412527A priority patent/AU2021412527A1/en
Publication of WO20221457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457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balancing a battery in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uto-balancing regardless of a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 An energy storage system is applied to renewable energy generation where the amount of charge is not constant, and stores the generated surplus power, and plays a role of supplementing whe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amount of power in the load stage.
  • ESSs usually contain lithium-ion batteri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next-generation power system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3075 (Apparatus and method for balancing a battery rack of an energy storage system, registered on October 19, 2015) describ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balancing a battery rack.
  • the ESS master BMS connects the output of the specific battery rack to the first load bank to separate the specific battery rack with voltage imbalance from the high voltage warning to make it an independent battery state, and discharges it It is a configuration that makes
  • the above registered patent does not consider the overall state of the battery racks, and separates and discharges a high voltage battery rack, and when the voltage difference with other battery racks is large, it takes a lot of time to discharge, A plurality of relays are used for separation and individual discharg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lay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balancing a battery of an energy storage system suitable for an ESS.
  • a battery auto balancing device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relay for controlling a battery and a battery to be connected to a power line and a battery management unit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battery Detects the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units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units, groups the batteries into a charging group and a discharging group, and performs charging using batteries belonging to the charging group according to the battery operation mode, and a power converter for discharging using batteries belonging to the discharging group.
  • the power convers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battery management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units, groups the batteries into a charging group and a discharging group,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relay according to the mode may include
  • the processor detects a maximum voltage battery having the highest voltage and a minimum voltage battery having the lowest voltage among the batteries, and has a voltage value within a safe voltage range based on the maximum voltage.
  • a battery unit including a battery may be set as a discharging group, and a battery unit including a battery having a voltage value within a safe voltage range based on the minimum voltage may be set as a charging group.
  • the battery auto balancing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es: a) checking the battery voltage of each of the battery units in the processor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detecting the battery having the maximum voltage and the battery having the minimum voltage Steps, b) comparing the battery states of all battery parts based on the maximum voltage and minimum voltage battery, and grouping them into a charging group and a discharging group; c) Checking the battery operation mode in the processor, if the charging mode and performing balancing by charging batteries belonging to the charging group and discharging batteries belonging to the discharging group in a discharging mode.
  • step a voltages of all batteries may be sequentially detected, and the maximum and minimum voltage values that can be updated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the values.
  • step b) compares the maximum voltage with the voltages of all batteries, and sets the battery unit including the batteries having a voltage value within the safe voltage range based on the maximum voltage among the batteries as a discharge group and a battery unit including a battery having a voltage value within a safe voltage range based on the minimum voltage may be set as a charging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battery into a charging group and a discharging group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installed batteries, and balancing the voltage of the batteries by charging or discharging the charging group or discharging the charging group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nd balanc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cost is reduced, which has an effect suitable for ESS.
  •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battery with a maximum voltage and a battery with a minimum voltage among installed batteries, classifies batteries having a similar voltage based on the maximum voltage and minimum voltage battery and assigns them into groups, and then sets the maximum voltage By designating a group including a battery as a discharging group and a group including a minimum voltage battery as a charging group, balancing can be performed while charging or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ESS opera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balancing device for a home energy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of an auto-balan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10 in FIG. 2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S10 in FIG. 2 .
  • step S20 in FIG. 2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S20 in FIG. 2 .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balancing device of an energy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ing group performing charging in the charging mode and discharging the discharging group in the discharging mode
  • Each battery unit 2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battery unit 20 while converting power between the power grid 50 and the PV module 30 and the battery unit 20 to which the unit 20 and the load 40 are connected ) by checking the voltage and SOC, and grouping the battery unit 20 into the charging group and the discharging group in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and includes a power conversion unit 10 for performing control.
  •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converts the power (DC) produced by the PV module 30 into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20, or converts the DC voltage of the battery unit 20 into an AC voltage to load ( 40) or the power grid 50 to which the power plant is connected, or serves to convert the AC voltage of the power grid 50 into a charging voltage.
  • the PV module 30 may include all power generation devices to which the ESS system such as wind power generation is applied.
  •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includes a DC/DC converter 12 and a DC/AC converter 13 . It also includes a processor 11 for control.
  • Each of the battery units 20 detects and manages a battery 21 , a relay 22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battery 21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 and the state of the battery 21 . It may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unit 23 for
  • the battery management unit 23 communicates with the processor 11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so that the battery state of each battery unit 20 can be check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
  • the battery management units 23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to operat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ir own battery 21 .
  •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may perform a master role of battery management together.
  • Each battery 21 of the battery unit 20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C/DC converter 12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through a power line 60 separated from the power grid 50 .
  • the processor 11 checks all the states of the batteries 21 of each battery unit 20 ( S10 ), and the states of the batteries 21 .
  • the processor 11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checks the state of the battery 21 of each battery unit 20 as in step S10.
  • each battery unit 20 operates as a slave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transmits the state of the battery 21 of each battery unit 2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the battery management unit 23 of the battery unit 20 transmits the state of the battery 21 to the processor 11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 respectively.
  • the processor 11 identifies a specific battery having the highest voltage and a battery having the lowest voltage among the batteries 21 of all battery units 20 , and designates the maximum voltage battery and the minimum voltage battery, respectively.
  • batteries having a value within delta V and the voltage of the minimum voltage battery are found and grouped into a charging group.
  • the delta V becomes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difference when connected in parallel.
  • step S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tep S10.
  • Step S10 is a process of finding a maximum voltage and a minimum voltage among voltages of several batteries.
  • step S11 is an initialization step, and a set reference maximum voltage and reference minimum voltage are set.
  • step S12 it is checked whether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maximum voltage.
  • step S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maximum voltage, the voltage of the battery 21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set as the maximum voltage as in step S13.
  • step S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maximum voltage, it is checked whether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as in step S14.
  • step S1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less than the reference minimum voltage,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set as the minimum voltage in step S15.
  • N is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and after checking in step S16 whether N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installed batteries, if not the same, increase N by 1 as in step S17, step S12 re-run
  • the battery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unit 20 #2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the battery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 the battery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it is set to the maximum voltage, and if it is low, it is set to the minimum voltage, and the maximum voltage or the minimum voltage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0 #2 ) and compare the voltages.
  • step S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battery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unit 20 #2 is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the battery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unit 20 #2 is set to the maximum voltage. It is set in step S13. At this time, the battery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set to the minimum voltage.
  • the battery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unit 20 #2 is set to the minimum voltage in step S15. set At this time, the battery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set to the maximum voltage.
  • the maximum voltage and the minimum voltage may be changed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FIG. 3 .
  • step S10 a battery having a maximum voltage and a battery having a minimum voltage may be detected from among the N batteries 21 currently connected to the system.
  • step S20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S20.
  • Step S20 is a step of grouping the N batteries 21 .
  • step S21 it is checked whether the result of subtracting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from the maximum voltage detected in step S10 is less than delta V.
  • delta V is the maximum allowable voltage difference, and when batteries having a voltage difference greater than delta V are connected in parallel, overcurrent may occur.
  • delta V is used as a safe voltage difference range for safety.
  • step S21 I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1 is satisfied, as in step S22,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set as a discharge group.
  • step S21 determines whether the result of subtracting the minimum voltage from the battery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0 #1 is less than the safe voltage difference range (delta V) After checking, if th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set as a charging group as in step S24.
  • steps S23 and S25 are performed,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one battery can belong to both a discharging group and a charging group.
  • step S25 it is checked whether the grouping of all batteries is completed. If not, step S21 is re-performed for the next battery by adding N in step S26.
  • the batteries 11 of all the battery units 20 installed through this process are grouped.
  • the batteries within the safe voltage range from the maximum voltage become the discharge group, and the batteries within the safe voltage range from the minimum voltage become the charge group.
  • step S30 the current battery operation mode is checked.
  •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tery is charging or discharging
  • charging is an operation of charging power of the PV module 30 or the power grid 50 to the battery
  • discharg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used by the load 40 .
  • step S40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selects the battery 21 of the battery unit 20 of the charging group among the grouped battery units 20.
  • the relay 22 is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charged.
  • the relay 22 of the battery unit 20 belonging to the charging group is closed to allow charging, and the relay 22 of the battery units 20 belonging to the discharging group, not the charging group, is opened so as not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do.
  • step S50 the power conversion unit 10 controls the relay 22 of the battery unit 20 belonging to the discharging group among the grouped battery units 20. is closed, and the relay of the battery unit belonging to the charging group is opened to discharge the battery 21 of the battery unit 20 belonging to the discharging group.
  • step S60 it is checked whether the balancing of the voltages of the batteries 21 of the battery units 20 is completed in the current operation mode.
  • Balancing completion confirmation may be completed when the voltage of the entire battery is within the safe voltage range.
  • step S70 of operating the entire battery unit 20 in a single operation mode is performed.
  • step S10 may be re-per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perform balancing when installing an ESS while using a simple configu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balancing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home ESS using the laws of nature,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 배터리와 배터리를 전력선에 연결 제어하는 릴레이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여 송신하는 배터리관리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배터리부와, 다수의 상기 배터리부 각각의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고, 배터리들을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배터리 동작모드에 따라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거나,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이용하여 방전을 수행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는 무관하게 오토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충전양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적용되어 발전된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부하단의 전력량에 비해 발전량이 부족할 때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아파트나 주택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ESS는 보통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차세대 전력 계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ESS의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가 몇차례 있었으며, 이러한 사고 발생 뉴스를 접한 개인들이 위험성 때문에 ESS 설치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배터리 폭발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서 배터리 전압 및 배터리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에 차이가 많은 배터리들을 병렬로 설치할 때, 배터리간의 전위차로 인하여 과전류가 발생되며, 과전류에 의해 배터리의 소손 또는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설치자가 배터리의 전압 및 SOC를 확인하고 배터리들 각각의 상태를 고려하여 충전 또는 방전하여 각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조정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설치자의 실수로 배터리들의 전압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역시 과전류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배터리들 간의 전압 및 SOC에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563075호(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랙 밸런싱 장치 및 방법, 2015년 10월 19일 등록)에는 배터리 랙을 밸런싱하는 장치와 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위의 등록특허에는 전압 불균형이 발생한 특정 배터리 랙을 고전압 경고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인 배터리 상태로 있게 한 후, ESS 마스터 BMS는 상기 특정 배터리랙의 출력을 제1로드 뱅크에 연결하여 방전시키는 구성이다.
즉, 고전압 경고가 있는 배터리 랙을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하여 방전하는 것으로, 고전압 경고가 있는 배터리 랙을 방전시켜 다른 배터리 랙의 전압과 동등한 수준으로 낮춰 배터리 랙간의 전압차에 의한 문제 발생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등록특허는 전체적인 배터리 랙들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전압이 높은 배터리 랙을 분리하여 방전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른 배터리 랙들과의 전압차가 큰 경우 방전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배터리 랙의 분리와 개별 방전을 위하여 다수의 릴레이들이 사용되며, 다수의 릴레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의 복잡성에 기인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산업용의 경우 비용을 감내할 수 있으나, 가정용의 경우에는 복잡한 구성과 비용의 증가에 의해 실제 시장에서의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ESS에 적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전력선에 연결 제어하는 릴레이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여 송신하는 배터리관리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배터리부와, 다수의 상기 배터리부 각각의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고, 배터리들을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배터리 동작 모드에 따라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거나,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이용하여 방전을 수행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부는, 다수의 상기 배터리부 각각에 마련된 배터리관리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모드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들 중 전압이 가장 높은 최대 전압의 배터리와, 전압이 가장 낮은 최소 전압 배터리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방전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충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방법은, a) 전력변환부의 프로세서에서 배터리부들 각각의 배터리 전압을 확인하여, 최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와 최소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 배터리를 기준으로 모든 배터리부들의 배터리 상태를 비교하여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와, c) 상기 프로세서에서 배터리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충전 모드이면 상기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충전하고, 방전 모드이면 상기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방전시켜, 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모든 배터리들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그 값에 따라 갱신 가능한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최대 전압과 모든 배터리들의 전압을 비교하여 배터리들 중 최대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방전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충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된 배터리들의 전압에 따라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나누고, 동작모드에 따라 충전 그룹을 충전 또는 방전 그룹을 방전 시켜 배터리들의 전압을 밸런싱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밸런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비용을 줄여 ESS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설치된 배터리들 중 최대 전압의 배터리와 최소 전압의 배터리를 검출하고, 그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 배터리를 기준으로 유사한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분류하여 그룹으로 지정한 후, 최대 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그룹을 방전 그룹, 최소 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그룹을 충전 그룹으로 지정하여, ESS 동작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하면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오토 밸런싱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오토 밸런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S1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S2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전력변환부 20:배터리부
30:PV 모듈 40:부하
50:전력망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오토 밸런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각각 병렬연결되고, 초기 전압의 값에 따라 충전 그룹 또는 방전 그룹으로 분류되어, 충전 모드에서는 충전 그룹이 충전을 수행하고 방전 모드에서는 방전 그룹이 방전되는 다수의 배터리부(20)와, 부하(40)가 연결된 전력망(50)과 PV 모듈(30) 및 상기 배터리부(20) 간의 전력을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부(20)와 통신하면서 각 배터리부(20)의 전압 및 SOC를 확인하여, 초기 설치 상태에서 배터리부(20)를 상기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변환부(1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오토 밸런싱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력변환부(10)는 PV 모듈(30)에서 생산된 전력(DC)을 배터리부(20)의 충전전압으로 변환하거나, 배터리부(20)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40) 또는 발전소가 연결된 전력망(50)으로 공급하거나, 전력망(50)의 교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PV 모듈(30)을 예로 들었으나, 풍력 발전 등 ESS 시스템이 적용되는 발전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10)는 DC/DC 컨버터(12)와 DC/AC 컨버터(13)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11)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20) 각각은 배터리(21)와, 상기 배터리(21)를 상기 전력변환부(1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릴레이(22)와, 상기 배터리(21)의 상태를 검출하고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23)는 상기 전력변환부(10)의 프로세서(11)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 배터리부(20)의 배터리 상태를 전력변환부(1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23)들은 상기 전력변환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의 배터리(21)의 상태에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전력변환부(10)는 배터리 관리의 마스터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20)들 각각의 배터리(21)는 전력망(50)과는 분리된 전력선(60)을 통해 상기 전력변환부(10)의 DC/DC 컨버터(12)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프로세서(11)는 초기 설치시, 각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들의 밸런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1)는, 각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 상태를 모두 확인하는 단계(S10)와, 상기 배터리(21)의 상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20)와, 현재 배터리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단계에서 배터리 동작 모드가 충전 모드이면, 그룹화된 배터리부(20)들 중 충전 그룹의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를 충전하는 단계(S40)와, 상기 S30단계에서 배터리 동작 모드가 방전 모드이면, 그룹화된 배터리부(20)들 중 방전 그룹의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를 방전하는 단계(S50)와, 현재 동작 모드에서 배터리부(20)들의 배터리(21)의 전압의 밸런싱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단계에서 밸런싱이 완료되었으면 정상 동작을 수행하고 밸런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S10단계부터 재수행하는 단계(S70) 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밸런싱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력변환부(10)의 프로세서(11)는 S10단계와 같이 각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 상태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부(20)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것이며, 전력변환부(10)와 통신을 통해 각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 상태를 송신한다.
배터리부(20)의 배터리 관리부(23)는 각각 전력변환부(10)의 프로세서(11)로 배터리(21)의 상태를 송신한다.
이때, 프로세서(11)는 모든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 중 가장 높은 전압을 가지는 특정 배터리와 가장 낮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확인하고, 최대 전압 배터리와 최소 전압 배터리로 각각 지정한다.
그 다음, 다른 모든 배터리들을 확인하여, 최대 전압 배터리의 전압과 설정된 전압차(Delta V라 칭함)의 범위 내의 배터리들을 찾아 그룹화한다. 이때의 그룹은 방전 그룹이 된다.
또한, 최소 전압 배터리의 전압과 delta V 이내의 값을 가지는 배터리들을 찾아 충전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상기 delta V는 병렬 연결시 허용 가능한 최대 전압차이가 된다.
도 3은 상기 S1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S10단계는 여러대의 배터리들의 전압 중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을 찾는 과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1단계는 초기화 단계로, 설정된 기준최대전압과 기준최소전압을 설정한다.
그 다음, S12단계와 같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이 설정된 기준최대전압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S12단계의 판단결과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이 기준최대전압보다 크면 S13단계와 같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21) 전압을 최대 전압으로 설정한다.
상기 S12단계의 판단결과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이 기준최대전압보다 크지 않으면, S14단계와 같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지 확인한다.
S14단계의 판단결과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이 기준최소전압보다 작은 경우, S15단계에서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을 최소 전압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적어도 최대 전압, 최소 전압 또는 기준전압이 결정된다. 이러한 전압의 의미는 다음의 반복 과정에서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위의 예에서 N은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처리 과정이며, N이 설치된 배터리 수와 동일한지 S16단계에서 확인한 후, 동일하지 않으면 S17단계와 같이 N을 1만큼 증가시키고, S12단계를 재수행한다.
즉, 두 번째 배터리부(20 #2)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이 기준전압에 비하여 높은 것이면 최대 전압으로 설정되고, 반대로 낮으면 최소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최대 전압 또는 최소 전압과 두 번째 배터리부(20 #2)의 전압을 비교한다.
만약 S12단계의 판단결과 두 번째 배터리부(20 #2)의 배터리 전압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보다 높으면, 두 번째 배터리부(20 #2)의 배터리 전압을 최대 전압으로 S13단계에서 설정한다. 이때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은 최소 전압으로 설정된다.
반대로, 두 번째 배터리부(20 #2)의 배터리 전압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보다 낮으면, 두 번째 배터리부(20 #2)의 배터리 전압을 최소 전압으로 S15단계에서 설정한다. 이때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은 최대 전압으로 설정된다.
위의 과정을 거치면서, 적어도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은 도 3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변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N개의 배터리들 중 최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와 최소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즉, S10단계에서는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N개의 배터리(21)들 중 최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와 최소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S2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S20단계는 N개의 배터리(21)들을 그룹화하는 단계이다.
먼저, S21단계는 S10단계에서 검출된 최대 전압에서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전압을 감한 결과가 delta V보다 작은 지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elta V는 허용 가능한 최대 전압차이이며, delta V 이상의 전압차가 나는 배터리들을 병렬 연결했을 때에는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을 위한 안전전압차범위로서 delta V를 사용한다.
S21단계의 판단을 만족하면 S22단계와 같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는 방전 그룹으로 설정한다.
만약 S21단계의 판단을 만족하지 않거나, S21단계를 수행한 후에, S23단계와 같이 첫 번째 배터리부(20 #1)의 배터리 전압에서 최소 전압을 감한 결과가 안전전압차범위(delta V) 이하인지 확인하고, 조건에 만족하면 S24단계와 같이 충전 그룹으로 설정한다.
S21단계의 판단 및 S23의 판단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각각 S23단계와 S25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배터리가 방전 그룹이면서 충전 그룹에 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S25단계와 같이 모든 배터리들에 대한 그룹화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완료되지 않았으면 S26단계에서 N을 가산하여 다음의 배터리에 대하여 S21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치된 모든 배터리부(20)의 배터리(11)들은 그룹화된다.
즉, 최대 전압으로부터 안전전압차범위 내에 있는 배터리들은 방전 그룹, 최소 전압으로부터 안전전압범위 내에 있는 배터리들은 충전 그룹이 된다.
그 다음, S30단계와 같이 현재 배터리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
배터리의 동작 모드는 충전 또는 방전이며, 충전은 PV 모듈(30) 또는 전력망(50)의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동작이며, 방전은 배터리의 전압을 부하(40)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뜻한다.
상기 S30단계에서 확인된 배터리 동작 모드가 충전 모드이면, S40단계와 같이 상기 전력변환부(10)는 각 그룹화된 배터리부(20)들 중 충전 그룹의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를 충전할 수 있도록 릴레이(22)를 제어한다.
즉,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20)의 릴레이(22)를 닫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충전 그룹이 아닌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20)들의 릴레이(22)는 열어 충전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S30단계에서 확인된 배터리 동작 모드가 방전 모드이면, S50단계와 같이 상기 전력변환부(10)는 각 그룹화된 배터리부(20)들 중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20)의 릴레이(22)를 닫고,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의 릴레이는 열어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20)의 배터리(21)를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들과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들은 그 전압의 차이가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밸런싱이 수행된다.
이때 밸런싱의 기준이 되는 전압은 중간 그룹에 속한 배터리부들의 전압을 기준으로 하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S60단계에서는 현재 동작 모드에서 배터리부(20)들의 배터리(21)의 전압의 밸런싱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밸런싱의 완료 확인은 전체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안전전압범위 내에 있으면 밸런싱이 완료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밸런싱이 완료되면 전체 배터리부(20)를 단일한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S70 단계의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밸런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S10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사용하면서도, ESS 설치시 안전하게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법칙을 이용하여 가정용 ESS에 적합한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각각 배터리와 배터리를 전력선에 연결 제어하는 릴레이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여 송신하는 배터리관리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배터리부; 및
    다수의 상기 배터리부 각각의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고, 배터리들을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배터리 동작 모드에 따라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거나,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이용하여 방전을 수행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부는,
    다수의 상기 배터리부 각각에 마련된 배터리관리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모드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들 중 전압이 가장 높은 최대 전압의 배터리와, 전압이 가장 낮은 최소 전압 배터리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방전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충전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4. a) 전력변환부의 프로세서에서 배터리부들 각각의 배터리 전압을 확인하여, 최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와 최소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 배터리를 기준으로 모든 배터리부들의 배터리 상태를 비교하여 충전 그룹과 방전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세서에서 배터리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충전 모드이면 상기 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충전하고, 방전 모드이면 상기 방전 그룹에 속한 배터리들을 방전시켜, 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모든 배터리들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그 값에 따라 갱신 가능한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최대 전압과 모든 배터리들의 전압을 비교하여 배터리들 중 최대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방전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 전압을 기준으로 안전전압범위 내의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충전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방법.
PCT/KR2021/016622 2020-12-31 2021-11-15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WO20221457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57,210 US20240039302A1 (en) 2020-12-31 2021-11-15 Battery auto-balancing device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EP21915506.6A EP4274053A1 (en) 2020-12-31 2021-11-15 Battery auto-balancing device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AU2021412527A AU2021412527A1 (en) 2020-12-31 2021-11-15 Battery auto-balancing device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41A KR102583291B1 (ko) 2020-12-31 2020-12-31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2020-0188941 2020-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5708A1 true WO2022145708A1 (ko) 2022-07-07

Family

ID=8226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622 WO2022145708A1 (ko) 2020-12-31 2021-11-15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39302A1 (ko)
EP (1) EP4274053A1 (ko)
KR (1) KR102583291B1 (ko)
AU (1) AU2021412527A1 (ko)
WO (1) WO202214570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190A (ja) * 2012-01-31 2013-08-15 Toyota Industries Corp 均等化装置
KR20140087503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3075B1 (ko) 2014-01-07 2015-10-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랙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1619268B1 (ko) * 2015-03-20 2016-05-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셀의 밸런싱 방법
KR20200000060A (ko) * 2018-06-22 2020-0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셀 밸런싱 방법
KR20200086960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468A (ko) * 2013-04-18 2014-1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1906384B1 (ko) * 2016-10-3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190A (ja) * 2012-01-31 2013-08-15 Toyota Industries Corp 均等化装置
KR20140087503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3075B1 (ko) 2014-01-07 2015-10-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랙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1619268B1 (ko) * 2015-03-20 2016-05-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셀의 밸런싱 방법
KR20200000060A (ko) * 2018-06-22 2020-0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셀 밸런싱 방법
KR20200086960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9302A1 (en) 2024-02-01
KR102583291B1 (ko) 2023-09-26
AU2021412527A1 (en) 2023-07-06
KR20220096471A (ko) 2022-07-07
EP4274053A1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6955A2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압균등화회로
WO2012033254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WO2012165858A2 (ko) 전력 저장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의 구성 방법
WO2019132428A1 (ko) Mmc 컨버터 초기충전시 서브모듈 상태 진단방법
WO2018079905A1 (ko) 단일형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8016735A1 (ko) 배터리 시스템
WO2022114624A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21033956A1 (ko)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WO2020091168A1 (ko) 전력변환장치
WO2015056999A1 (ko)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WO2020189998A1 (ko) 배터리 뱅크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079918A1 (ko)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WO2022145708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방법
WO2018230831A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0171417A1 (ko) Ess의 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88685A1 (ko) 배터리 팩
WO2017090896A1 (ko)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 계통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45155A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운용 시스템
WO2021153923A1 (ko) 공통 모드 전압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WO2021132913A1 (ko) 병렬 연결 셀의 셀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셀 스위칭 방법
WO2020059952A1 (ko) 배터리의 밸런싱 장치 및 방법
WO2023003441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270736A1 (ko)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배터리 보호 장치
WO2023146176A1 (ko) Pv-ess 직접 연계형 에너지관리 시스템 및 태양광발전 시스템 연동 장치
WO2022265192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55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57210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412527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1115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155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