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595A1 -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595A1
WO2022114595A1 PCT/KR2021/016119 KR2021016119W WO2022114595A1 WO 2022114595 A1 WO2022114595 A1 WO 2022114595A1 KR 2021016119 W KR2021016119 W KR 2021016119W WO 2022114595 A1 WO2022114595 A1 WO 20221145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rod
stress corrosion
cold working
corrosion resistanc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1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준학
고성웅
김용호
박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EP21898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53590A1/en
Priority to BR112023010429A priority patent/BR112023010429A2/pt
Publication of WO20221145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59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Definitions

  • stress corrosion cracks are more vulnerable to high-strength materials, which is a major limitation to the development of load-bearing steel wires, which are trending toward high strength.
  •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the load bearing steel wire of the CO 2 transfer pipe i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 the bill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more than 0 and 0.3% or less, Ni: more than 0 and 0.3% or less, and V: 0.02 to 0.1%.
  • the present inventors are studying a method of suppressing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a high CO 2 corrosive environment of the deep sea, and when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layer is ferrite and the thickness of the area and the size of the surface layer particles are controlled, the surface layer microstructure is uniform and the hardness is lowered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stress corrosion cracks was suppressed.
  • the wire rod for cold working with improved stress corrosion resistance is, by weight, C: 0.3 to 0.6%, Mn: 0.5 to 1.0%, Si: 0.6 to 2.0%, Cr: 0.2 to 0.6%, heating the billet containing the remainder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manufacturing a wire rod by hot rolling the heated billet; a first cooling step of cooling the rolled wire rod at a cooling rate of 5°C/s or less in a section of 830 to 700°C; And after the first cooling, the second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ire rod in the range of 700 to 400 °C at a cooling rate of 2 °C / s to 25 * (1-C eq ) °C / 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clu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층의 페라이트 분율이 90 % 이상인 영역의 두께가 30㎛ 이상이고, 내부 미세조직은 펄라이트를 50% 이상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해의 높은 CO2 부식 환경에서 이송관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선 혹은 바(bar)로 제조될 수 있는 냉간 가공용 선재 및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강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CO2) 를 해저에 저장하기 위해 심해까지 CO2를 이송하는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상에서 포집한 CO2 기체를 이송관에 주입하여 해저까지 이송하기 위해 이송관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선 혹은 바 (bar) 사용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장소가 점차 심해로 이동함에 따라 이송관의 길이도 점차 길어지고 그에 따라 이송관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선 혹은 바 (bar) 는 점차 고강도화 추세에 있다.
한편 심해의 높은 수압에서는 CO2 의 용해도가 높아져서 해수 내 CO2 함량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하중 지지 강선을 피복하여 CO2 이송관에 설치하면 현장 적용 초기에는 소재가 직접 해수에 노출되는 상황은 피할 수 있다. 문제는 상기 상황에서 실 사용 중 피복층이 벗겨져서 소재가 직접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이다. 이렇게 되면 소재는 응력이 걸린 상황에서 고농도 CO2 해수에 접촉하여 응력부식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는 것이다. 더욱이 응력부식크랙은 고강도 소재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이는 고강도화 추세에 있는 하중 지지 강선의 개발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즉 CO2 이송관의 하중 지지용 강선에서 응력부식크랙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인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4898은 심해 이송관 지지 강선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CO2 응력부식균열이 아닌 황화물 응력 균열 (Sulfide Stress Crack, SSC) 이나 수소 유기 균열 (Hydrogen Induced Crack, HIC)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심해 이송관 지지 강선의 CO2 응력부식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다. 따라서, 심해의 높은 CO2 환경에서, 고강도를 확보하면서도 CO2 응력부식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선재, 강선 혹은 바(bar)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심해의 높은 CO2 환경에서,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및 강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V: 0.02 내지 0.1%,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층의 페라이트 분율이 90 % 이상인 영역의 두께가 30 ㎛ 이상이며, 내부 미세조직은 펄라이트를 50% 이상 포함한다.
또한,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및 V: 0.02 내지 0.1%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층의 페라이트의 입자의 크기가 8 내지 50 ㎛일 수 있다.
또한, 펄라이트의 층간 간격은 450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V: 0.02 내지 0.1%,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 가열한 빌렛을 열간압연하여 선재로 제조하는 단계; 압연된 선재를 830 내지 700℃에서 5℃/s이하로 냉각하는 제1 냉각단계; 및 제1 냉각 후, 선재를 700 내지 400 ℃의 에서 2℃/s 내지 25*(1-Ceq)℃/s 로 냉각하는 제2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단, Ceq= [C] + [Si]/24 + [Mn]/6 + [Ni]/40 + [Cr]/5 + [V]/14)
여기서, [C], [Si], [Mn], [Ni], [Cr] 및 [V]은 각 합금원소의 중량%를 의미한다.
빌렛은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및 V: 0.02 내지 0.1%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표층의 페라이트 분율 및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하중 지지 강선 혹은 바(bar)로 제조되었을 때, 심해의 높은 CO2 부식 환경에서 내응력부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V: 0.02 내지 0.1%,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층의 페라이트 분율이 90 % 이상인 영역의 두께가 30 ㎛ 이상이며, 내부 미세조직은 펄라이트를 50% 이상 포함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심해의 높은 CO2 부식 환경에서의 응력부식크랙 억제 방안을 연구하다가 표층의 조직을 페라이트로 하고, 그 영역의 두께 및 표층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면, 표층 미세조직이 균일하고 경도가 낮아짐에 따라, 응력부식크랙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오스테나이트의 상변태 구간에서 냉각속도를 제어할 경우, 표층 페라이트 형성에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또한,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및 V: 0.02 내지 0.1%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합금성분 원소 함량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
C의 함량은 0.3 내지 0.6% 이다.
C는 강선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원소로서, C의 함량이 0.3% 미만일 경우, 강도가 저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로 사용되기 어렵고, C의 함량이 0.6%를 초과할 경우, 강도는 향상되는 반면, 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강선의 내부식 특성은 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강선의 강도 및 내부식성의 확보하기 위해 C의 함량을 0.3 내지 0.6%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의 함량은 0.5 내지 1.0%이다.
Mn은 강선의 소입성 향상과 더불어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미세조직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Mn의 함량이 0.5% 미만일 경우, 소입성 확보가 어려워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미세조직과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Mn의 함량이 1.0%를 초과할 경우, 중심편석이 조장되어 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의 함량은 0.5 내지 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의 함량은 0.6 내지 2.0%이다.
Si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직인 표층 페라이트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소이다. Si 함량이 높으면 표층 페라이트 형성에 유리하나,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중심편석이 조장되어 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i의 함량을 0.6 내지 2.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의 함량은 0.2 내지 0.6%이다.
Cr은 표층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소재의 내식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Cr의 함량이 0.2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0.6%를 초과할 경우, 소입성을 크게 증가시켜 강선 제조공정 중 열처리 시간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고, 고가의 원소이므로 합금 원가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r의 함량을 0.2 내지 0.6%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와 Ni는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원소이고, 첨가될 경우, 0 초과 0.3% 이하로 제한한다. Cu와 Ni은 페라이트 조직의 내식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Cu를 단독으로 첨가할 경우 고온 취성의 우려가 있으므로, 고온 취성을 억제할 수 있는 Ni과 함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Cu와 Ni은 고가의 원소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Cu와 Ni의 상한을 0.3%로 제한한다.
V은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원소이고, 첨가될 경우, V의 함량은 0.02 내지 0.1%으로 제한한다. V은 Si과 마찬가지로 표층 페라이트를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는 원소이다. V의 함량이 0.02%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V의 함량이 0.1%를 초과할 경우, 중심 편석부에서 저온 조직을 유발할 수 있고, 합금 원가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V를 첨가할 경우, V의 함량을 0.02 내지 0.1 %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금조성 외 잔부는 Fe이다. 본 발명의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통상 강의 공업적 생산 과정에서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그 종류와 함량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표층에 페라이트 분율이 90% 이상인 영역의 두께가 30㎛ 이상일 수 있다.
심해의 높은 CO2 부식 환경에서 응력부식크랙은 표층 미세조직이 균일하고 경도가 낮을수록 억제된다.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표층의 조직을 페라이트 분율 90% 이상으로 제어할 경우 미세조직 경도 및 균일도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페라이트 층이 냉간 가공 후에도 응력부식억제에 효과가 있으려면 냉간 가공 전 선재의 페라이트의 영역의 두께가 30㎛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의 표층 페라이트 입자의 크기는 8 내지 50 ㎛ 일 수 있다.
냉간 가공 전 선재의 표층 페라이트 입자의 크기는 냉간 가공 후 최종 강선 또는 바의 표층 경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응력부식크랙 발생에도 관여한다.
냉간 가공 전 선재의 페라이트 입자 크기가 작을 경우, 경도와 가공에 따른 경화율이 높아지므로, 냉간 가공 후 경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응력부식크랙 발생에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재의 페라이트 입자 크기를 8㎛ 이상으로 제어하여, 냉간 가공 후의 표층 경도를 낮추고, 응력부식크랙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페라이트 입자 크기가 50㎛를 초과할 경우, 펄라이트의 층간간격이 300nm 초과하여 가공성과 가공 경화량이 열위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페라이트 입자의 크기를 8 내지 50 ㎛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입자의 크기를 크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선재의 열간압연 후 냉각 공정에서, 830 내지 700℃의 구간에서의 냉각 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후술할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의 제조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내부 미세조직으로서 펄라이트를 50% 이상 포함하고, 펄라이트의 층간 간격은 450nm 이하일 수 있다.
이송관의 하중 지지용 강선 또는 바(bar)는 열간 압연된 선재를 냉간 가공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공 전의 선재의 가공성뿐 만 아니라 최종 소재의 강도도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간 가공용 선재의 기지 조직은 가공성 및 가공 경화량이 우수한 펄라이트를 포함하고, 그 분율은 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펄라이트의 가공성 및 가공 경화량은 층간 간격에 크게 의존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펄라이트 층간 간격이 300nm 이하일 때 가공성과 가공 경화량이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일 실시예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전술한 합금 조성을 포함하는 빌렛을 가열하고,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얻고, 이후 열간 압연된 선재를 냉각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 가열한 빌렛을 열간압연하여 선재로 제조하는 단계; 압연된 선재를 830 내지 700℃의 구간에서 냉각속도 5℃/s이하로 냉각하는 제1 냉각단계; 및 제1 냉각후, 선재를 700 내지 400 ℃의 구간에서 냉각속도 2℃/s 내지 하기 식(1)로 정의되는 25*(1-Ceq)℃/s의 범위로 냉각하는 제2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단, Ceq= [C] + [Si]/24 + [Mn]/6 + [Ni]/40 + [Cr]/5 + [V]/14
(여기서, [C], [Si], [Mn], [Ni], [Cr] 및 [V]은 각각 합금원소의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빌렛은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및 V: 0.02 내지 0.1%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합금 성분을 만족하는 빌렛을 1,000℃ 내지 1,100℃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후, 가열한 빌렛을 9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열간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다.
이어서, 제1 냉각단계로서, 열간 압연한 선재를 830 내지 700℃의 구간에서 5℃/s 이하의 냉각 속도로 냉각한다. 열간 압연된 강재의 냉각 속도는 느릴수록 본 발명에 따른 표층 페라이트 형성에 유리하다. 통상적으로, 표층의 페라이트는 열간압연 직후 오스테나이트 상태인 표층 조직이 냉각되고, 상변태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830 내지 700℃의 상변태 구간에서의 냉각 속도는 상변태 거동과 연관이 있고, 이 상변태 구간에서 오래 머무를수록 표층 페라이트 형성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830 내지 700℃의 구간에서 냉각속도를 5℃/s 이하로 제한한다.
제1 냉각 이후, 제2 냉각단계로서, 선재를 700 내지 400 ℃ 구간에서 2 ℃/s 내지 25*(1-Ceq)℃/s의 냉각속도로 냉각한다. 단, Ceq = [C] + [Si]/24 + [Mn]/6 + [Ni]/40 + [Cr]/5 + [V]/14 이다. ([C], [Si], [Mn], [Ni], [Cr] 및 [V]은 각각 합금원소의 중량%를 의미한다)
700 내지 400℃ 구간의 냉각 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라이트 미세조직을 형성하는데 중요하다. 고강도 및 냉간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세조직을 층간 간격이 미세한 펄라이트로 할 필요가 있다. 층간 간격이 미세한 펄라이트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간에서 냉각 속도가 2 ℃/s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냉각 속도가 25*(1-Ceq)℃/s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빠를 경우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 등이 생성되어 오히려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700 내지 400 ℃ 구간의 냉각 속도를 2℃/s 이상 25*(1-Ceq)℃/s 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는 사이즈 감소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감면율 40 내지 80% 범위로 냉간 신선되고, 최종 제품의 형태에 따라 필요할 경우 냉간 압연되고, 이후, 냉간 가공에 의한 내부조직에 형성된 전위를 제거해주기 위해 400 내지 600℃ 구간에서 열처리되어 최종적으로 이송관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선 혹은 바(bar)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 예
하기 표 1의 합금 조성을 갖는 빌렛을 1,050℃ 에서 가열하고, 1,000℃의 온도에서 직경 15mm이 되도록 열간 압연한 후, 하기 표 2의 냉각 속도 조건으로 제1 냉각 및 제2 냉각을 수행하였다.
구분 합금조성 성분계 (wt.%)
C Si Mn Cr Cu Ni V
발명예1 0.3 0.6 1 0.6 0.1 0.02 0.1
발명예2 0.4 1 0.5 0.25 0.02 0.02 0.02
발명예3 0.3 1 1 0.2 0.1 0.1 0.07
발명예4 0.5 2 0.9 0.25 0.2 0.3 0.03
발명예5 0.6 1.5 0.9 0.6 0.3 0.2 0.03
발명예6 0.4 2 0.5 0.4 0.2 0.2 0.1
발명예7 0.5 1.5 0.7 0.4 0.02 0.1 0.07
발명예8 0.6 0.6 0.7 0.2 0.3 0.3 0.02
발명예9 0.3 1 1 0.2 0 0.1 0.07
발명예10 0.5 2 0.9 0.25 0.2 0 0.03
발명예11 0.6 1.5 0.9 0.6 0.3 0.2 0
비교예1 0.3 1 1 0.2 0.1 0.1 0.07
비교예2 0.5 2 0.9 0.25 0.2 0.3 0.03
비교예3 0.4 1 0.5 0.25 0.02 0.02 0.02
비교예4 0.3 1 1 0.2 0.1 0.1 0.07
비교예5 0.5 2 0.9 0.25 0.2 0.3 0.03
비교예6 0.6 1.5 0.9 0.6 0.3 0.2 0.03
구분 냉각속도 (℃/s)
제1 냉각구간(830~700℃) 25*(1-Ceq)℃/s 값 제2 냉각구간(700~400℃)
발명예1 4 10 8
발명예2 3 11 10
발명예3 3 11 11
발명예4 4 5 4
발명예5 5 2 2
발명예6 3 9 8
발명예7 4 6 5
발명예8 5 5 5
발명예9 4 11 6
발명예10 4 7 5
발명예11 3 4 4
비교예1 6 11 10
비교예2 6 5 5
비교예3 3 11 12
비교예4 3 11 12
비교예5 4 5 1
비교예6 5 2 1
그 후,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선재의 펄라이트 분율, 펄라이트 층간 간격, 표층 페라이트 분율, 표층 페라이트 층 두께 및 표층 페라이트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열간 압연후 냉각된 선재를 60%의 감면율로 냉간 신선하고 40 % 압하율로 냉간압연한 후, 최종 냉간 가공 제품으로 제조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 시편의 응력부식크랙 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제품의 CO2 부식환경 응력부식크랙 저항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우선, CO2 부식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3.5 wt.% 농도의 NaCl 용액 1L 기준에 순도 99% 이상의 NaHCO3 83g, 순도 99% 이상의 Na2CO3 105g 을 용해하여 부식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냉간 가공 강선을 길이 400mm 로 자르고, 중간 200 mm 는 준비된 부식용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한 후 밀봉하고, 양쪽은 외부에 노출시켰다. 이후, 용액의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시편에 항복강도 기준 100%와 70%의 하중을 1x10-3 Hz 주파수로 15일 동안 반복 응력을 부여하였다. 15 일 후, 실시예 및 비교예 제품 시편을 꺼내어 냉간 압연 방향과 압하 방향을 포함하는 중심부 단면을 얻었다. 중심부 단면에서 압하면으로부터 발생한 크랙을 관찰하고, 압연 방향으로 단위 길이당 발생한 크랙의 개수를 측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응력부식크랙의 발생 정도를 비교하였다.
구분 내부 펄라이트 조직 표면 페라이트 조직 응력부식크랙
분율
(%)
층간 간격 (nm) 분율
(%)
두께
(㎛)
입자 크기 (㎛) 단위길이당
크랙 개수 (1/mm)
발명예1 50 330 94 34 42 25
발명예2 64 310 95 35 45 23
발명예3 57 300 95 35 50 25
발명예4 97 430 94 34 35 15
발명예5 90 450 92 32 25 10
발명예6 78 320 95 35 50 22
발명예7 97 430 94 34 15 27
발명예8 97 440 90 30 8 16
발명예9 63 350 95 35 48 24
발명예10 94 440 94 34 36 16
발명예11 93 450 92 32 28 13
비교예1 57 310 89 29 7 31
비교예2 97 440 89 29 7 32
비교예3 49 290 93 33 38 28
비교예4 49 300 94 34 40 30
비교예5 97 455 95 36 35 29
비교예6 90 460 94 33 33 28
본 발명의 합금 조성 및 제조 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11의 경우, 내부 조직으로서 50% 이상의 펄라이트 분율 및 450nm 이하의 펄라이트 층간 간격을 만족하고, 90% 이상의 표면 페라이트 분율, 30㎛ 이상의 두께 및 8 내지 50㎛ 범위의 입자 크기를 만족하여, 강선으로 제조시, 단위길이당 크랙 개수가 27개 이하로 내응력부식크랙 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1 내지 6은 본 발명의 합금 조성은 만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냉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로, 강선으로 제조시, 단위길이당 크랙 개수가 28개 이상으로 내응력부식크랙 특성이 실시예보다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1 및 2는 830~700℃구간에서의 냉각 속도가 5℃/s를 초과한 경우로, 표면 페라이트 분율이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인 90%에 미치지 못하고, 페라이트 두께도 페라이트 두께의 하한인 30㎛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페라이트 입자 크기도 페라이트 입자 크기의 하한인 8㎛에 미치지 못하여, 단위길이당 크랙 개수가 각각 31, 32개로 나타나 내응력부식크랙 특성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3 및 비교예4는 본 발명의 합금 조성은 만족하였으나, 700~400℃ 구간에서의 냉각속도가 25*(1-Ceq)℃/s 값을 초과하는 경우로, 내부 펄라이트 분율이 페라이트 분율 하한인 50%에 미치지 못하여, 단위길이당 크랙 개수가 각각 28, 30개로 나타나 내응력부식크랙 특성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5 및 비교예6은 700~400℃구간에서의 냉각속도가 25*(1-Ceq)℃ 값에 미달하는 경우로, 내부 펄라이트의 층간 간격이 상한인 450nm를 초과하였고, 단위길이당 크랙 개수가 각각 29, 28개로 나타나 내응력부식크랙 특성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심해의 높은 CO2 환경에서,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및 강선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층의 페라이트 분율이 90 % 이상인 영역의 두께가 30 ㎛ 이상이고,
    내부 미세조직은 펄라이트를 50% 이상 포함하는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2. 제1항에 있어서,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및 V: 0.02 내지 0.1%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의 페라이트의 입자의 크기는,
    8 내지 50 ㎛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라이트의 층간 간격은,
    450nm 이하인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5. 중량%로, C: 0.3 내지 0.6%, Mn: 0.5 내지 1.0%, Si: 0.6 내지 2.0%, Cr: 0.2 내지 0.6%,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한 빌렛을 열간압연하여 선재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압연된 선재를 830 내지 700℃ 에서 5℃/s이하로 냉각하는 제1 냉각단계; 및
    제1 냉각 후, 상기 선재를 700 내지 400 ℃의 에서 2℃/s 내지 25*(1-Ceq)℃/s 로 냉각하는 제2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의 제조방법.
    단, Ceq= [C] + [Si]/24 + [Mn]/6 + [Ni]/40 + [Cr]/5 + [V]/14)
    (여기서, [C], [Si], [Mn], [Ni], [Cr] 및 [V]은 각각 합금원소의 중량%를 의미한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빌렛은,
    Cu: 0 초과 0.3%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및 V: 0.02 내지 0.1%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냉간 가공용 선재의 제조방법.
PCT/KR2021/016119 2020-11-27 2021-11-08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145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98421.9A EP4253590A1 (en) 2020-11-27 2021-11-08 Wire rod for cold working with improved stress corros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steel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BR112023010429A BR112023010429A2 (pt) 2020-11-27 2021-11-08 Fio-máquina para trabalho a frio com características de resistência à corrosão sob tensão melhoradas, fio de aço, e método para fabricar me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012A KR102429603B1 (ko) 2020-11-27 2020-11-27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0163012 2020-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595A1 true WO2022114595A1 (ko) 2022-06-02

Family

ID=8175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119 WO2022114595A1 (ko) 2020-11-27 2021-11-08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53590A1 (ko)
KR (1) KR102429603B1 (ko)
BR (1) BR112023010429A2 (ko)
WO (1) WO202211459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291A (ja) * 2005-04-11 2006-10-26 Kobe Steel Ltd 耐食性に優れた冷間成形ばね用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55006B1 (ko) * 2012-06-08 2016-09-0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선재 또는 막대강
KR101674750B1 (ko) * 2014-12-04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경화 열처리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비조질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4898A (ko)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ssc 저항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216B1 (ko) * 2015-03-27 2019-09-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산세성 및 담금질 템퍼링 후의 내지연파괴성이 우수한 볼트용 선재, 및 볼트
KR102120699B1 (ko) * 2018-08-21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인성 및 부식피로특성이 향상된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291A (ja) * 2005-04-11 2006-10-26 Kobe Steel Ltd 耐食性に優れた冷間成形ばね用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55006B1 (ko) * 2012-06-08 2016-09-0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선재 또는 막대강
KR101674750B1 (ko) * 2014-12-04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경화 열처리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비조질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216B1 (ko) * 2015-03-27 2019-09-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산세성 및 담금질 템퍼링 후의 내지연파괴성이 우수한 볼트용 선재, 및 볼트
KR20190064898A (ko)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ssc 저항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0699B1 (ko) * 2018-08-21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인성 및 부식피로특성이 향상된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10429A2 (pt) 2023-10-24
KR20220074473A (ko) 2022-06-03
EP4253590A1 (en) 2023-10-04
KR102429603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8836B (zh) 一种高强度建筑结构用抗震耐火钢及其制备方法
WO2011055919A2 (en) Wire rod for drawing having excellent drawability, super-high-strength steel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091394A9 (ko) 고내식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779A1 (ko)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WO2017111290A1 (ko)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저온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17430A1 (ko) 고온 내산화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7065371A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039768A1 (ko) 열간가공성 및 내수소취성이 우수한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3172510A1 (ko) 극저온에서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Fe-Mn-C계 TWIP 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59660A1 (ko)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24729A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2114595A1 (ko) 내응력부식 특성이 향상된 냉간 가공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81236A1 (ko) 열간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열처리 강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7656B1 (ko)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793A1 (ko) 우수한 수소취성 저항성을 가지는 고강도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564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0085687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4690A1 (ko) 확관 가공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6047840A1 (ko) 압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7436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6113B1 (ko) 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선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선의 제조방법
WO2022139135A1 (ko) 강도와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449A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50mpa급 후육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010554A1 (ko) 고강도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095B1 (ko) 신선성이 우수한 열처리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8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3010429

Country of ref document: BR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98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27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E

Ref document number: 112023010429

Country of ref document: BR

Free format text: APRESENTE NOVAS FOLHAS DAS REIVINDICACOES CONTENDO A EXPRESSAO ?CARACTERIZADO POR?, CONFORME ART. 17 INCISO III DA INSTRUCAO NORMATIVA/INPI/NO 31/2013, UMA VEZ QUE AS APRESENTADAS NA PETICAO NO 870230045272, NAO POSSUEM A EXPRESSAO CITADA. A EXIGENCIA DEVE SER RESPONDIDA EM ATE 60 (SESSENTA) DIAS DE SUA PUBLICACAO E DEVE SER REALIZADA POR MEIO DA PETICAO GRU CODIGO DE SERVICO 207.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3010429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3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