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7923A1 -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7923A1
WO2022107923A1 PCT/KR2020/016451 KR2020016451W WO2022107923A1 WO 2022107923 A1 WO2022107923 A1 WO 2022107923A1 KR 2020016451 W KR2020016451 W KR 2020016451W WO 2022107923 A1 WO2022107923 A1 WO 20221079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original digital
smart contract
webassembly
h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4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은주
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소프트
Priority to US18/025,92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51051A1/en
Publication of WO20221079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79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06F21/125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by manipulating the program code, e.g. source code, compiled code, interpreted code, machin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etec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a WebAssembly-based blockchain platform and a method for detecting forgery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same. It is about a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using a web assembly-based blockchain platform and a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Block chain also called public transaction ledger
  • Blockchain sends transaction details to all users participating in the transaction and uses a method to prevent data forgery by verifying each transaction.
  • Blockchain is applied to Bitcoin, a representative online cryptocurrency. Bitcoin transparently records transaction details in a ledger that anyone can view, and multiple computers using Bitcoin verify this record every 10 minutes to prevent hacking.
  • Blockchain technology has a chain-like structure in which one block containing transaction information cross-references the previous block and the next block as a unique value.
  • Patent Document 1 KR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89749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digital content such as video, image, voice or text has been forged or falsified through data verification of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smart contract verification of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system using the s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of digital cont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digital content is forgery or not,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same, designed to facilitate tracking of original works and secure sourc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digital content is forged or falsified, which is driven based on web assembly,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choosing a smart contract language, and can operate in a web environment with performance close to nativ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same. purpose is to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s to a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using a web 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and a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includes: a client device that provides original digital content to a relay server; a relay server that generates a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and transmits the hash to a blockchain network; and a block including a transaction generated by distribution of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mined and distributed on the network, and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includes a blockchain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nodes that perform comparative verification with smart contracts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may be any one of digital content including audio content, video content, image content, text content,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lay server includes first and second relay servers each receiving the sam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client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servers mutually verify the hash of the provided digital content. can be performed.
  • the relay server may be an IPFS server that is a distributed file system of a client-client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PFS nodes.
  • the IPFS server may distribute and stor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the plurality of IPFS nodes and generate an IPFS hash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IPFS hash may include a unique hash value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 secret hash, owner inform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ntract regarding the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holder from a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so that a third user can visually read the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for providing copyright holder information to extract and separately store.
  •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may include a transaction having a web assembly module running on a web assembly virtual machine as a web assembly module in which a smart contract source code is compiled and converted into binary byte code.
  •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performs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a smart contract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obtained through decompilation of the WebAssembly module and a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his can be done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the plurality of nodes may include: a first grove that performs mining on a block including a transaction for generating a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second node group that performs verification between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and the smart contract for the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 the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WebAssembly-based blockchain platform uses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transmitting to the network; generating, by the client device that provide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hash generated in the relay server as an attribute, and generating a transaction for distributing the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network; Any one of a plurality of nodes in the blockchain network mines a block containing a transaction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mart contract to receive a reward, and includes the transaction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mart contract on the block chain writing a block to and one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in the blockchain network performs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a smart contract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and a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web assembly. and performing on a virtual machine.
  • the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Web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mutual verification on the hash of the digital content provided by each relay server receiv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and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rly identify whethe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self is verified and whether the digital content derived from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has been forged or tampered with.
  •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and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dvantages in tracing the original work and securing the source of the secondary work.
  •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and the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high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a smart contract language and can operate in a web environment with performance close to native, and thus have excellent system versatility and scalability.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orger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smart contract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wer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same are linked.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smart contract verification function performed by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step of a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of digital content using a web 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etec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a web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and a method for detec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same.
  •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ebAssembly-based blockchain platform as a system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ose who have obtained a legitimate permission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a blockchain platform and those who have not.
  • One technical feature of th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verification of original digital content itself and verification of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link the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o as to facilitate the tracking of the original work of the secondary work and secure the source.
  • Another technical feature is the inclusion of a blockchain network.
  • WebAssembly refers to a stack-based virtual machine that compiles a program made in a low-level source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C, C+, Go, or Rust, etc. and defines it in a binary format by compiling the corresponding programming language so that it can be executed in a web browser. It means a web standard developed by the W3C Foundation that makes it run.
  •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digital content forgery detection system using a web 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ystem for determin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a web 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includes a client device 100; relay server 200; and a blockchain network 300 .
  • the client device 100 serves to provid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the relay server 200 .
  • the client device 100 may be designed so that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r a user who has obtained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uploads the digital content created by him/her on the block chain network 300 .
  • the client device 100 may be, for example, a PC or a smart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ransmit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the block chain network 300 via the relay server 200 through a web environment.
  •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digital content transmitted by the client device 100 is digital content composed of, for example, video content, audio content, image content, text conten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s transmitted, modified, copied, distributed and viewed in the form of a digital file. It could be possible.
  •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may be any one of digital content consisting of audio content, video content, image content, text content,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lay server 200 serves to delive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to the block chain network 300 .
  • the relay server 200 generates a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 and transmits the hash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
  • the hash transmitted by the relay server 200 can be referred to as a property of a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includes a unique hash value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 secret hash key, owner inform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may include a contract regarding the use of the content.
  • the hash generated by the relay server 200 is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 the hash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has a unique hash value that allows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 access the digital content uploaded by him or her. and a contract on use and owner information provided to a third party who wants to us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ogether with the secret hash key.
  • the contract on the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s the content of whether the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s permitted and the scope or condition thereof, and may be set and changed by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may be reflected in the smart contract.
  • the hash generated by the relay server 200 is also transmitted to the client device 100, and the client device 100 that has received the hash transmits the unique hash value and secret hash value included in the hash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ploaded by the client device 100. can be accessed using
  • the relay server 200 serves to verify the integrity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relay server 200 includes at least two sub relay servers or nodes that deliver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to the block chain network 300 ,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
  • Each sub relay server or node that has receive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may verify the integrity of data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through mutual cross-verification.
  • each of the first relay server 201 and the second relay server 202 included in the relay server 200 and receiv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client device 100 is The integrity of data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may be verified by performing mutual verification on the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mutual verification of the hash may mean, for example, mutual verification of a unique hash value and a secret hash included in the has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dividual mutual verification of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ash can mean
  • the relay server 200 data and a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by the client device 100 are stored,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it to the block chain network 300 is adopted, for example, by the IPFS server. It may be a client-client method.
  • the relay server 200 may be an IPFS server that is a distributed file system of a client-client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PFS nodes.
  • the IPFS server may distribute and stor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 the plurality of IPFS nodes and generate an IPFS hash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wherein the IPFS hash is a hash value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 secret It may include a hash key, owner inform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contract regarding the use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method of exchanging data and a hash with the client device 100 and a method of storing data when the relay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PFS server 200a. has been
  •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by the client device 100 is based on a shamir secret sharing (SSS) algorithm by any one of a plurality of IPFS nodes 201a included in the IPFS server 200a. It can be distributed as k data, encrypted with n random keys, and then distributed and stored in each node.
  • the IPFS hash is generated by the hash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data, and the IPFS hash is provided to the client device 100 so that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an access the uploaded data.
  • a protocol for distributed storage of original digital content is adopted as shown in FIG. 3, data can be stored, viewed, and shared effectively and stably without the control of a central server.
  • the relay server 200 may also separately extract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holder who provide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from the IPFS hash and provide it to a third party who wants to obtain permission to use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relay server 200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copyright holder from a hash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the client device 100 so that a third user can visually browse the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holder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may include a copyright hold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at is extracted and stored separately.
  • the copyright hold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s a centralized server existing on a different network from the above-described sub relay server, node or IPFS node, or as a client-client server in the same way as the relay server 200, a plurality of storing copyright holder information data It may be a decentralized server including a node of
  • the blockchain network 300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301 that record a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and perform verification on the recorded smart contract.
  • the blockchain network 300 performs mining on a block including a transaction generated by distribution of a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distributes it on the network, an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301 that perform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a lower smart contract linked to a smart contract for a smart contract and a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the blockchain network 300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that mine blocks including smart contracts that are designed based on WebAssembly and can be executed, modified and viewed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the client device 100 When a smart contract is created and distributed, mined by a node and then stored on a blockchain, the client device 100 that provide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reates a smart contract with properties and variables based on the IPFS hash. It creates and distributes it in the form of a transaction on the blockchain network. After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des performs mining on the block including the transaction created by the smart contract distribution to receive a reward, and the block is recorded on the block chain along with the creation of the smart contract account address. do. Therefore, each node in the blockchain network will share the same smart contract.
  • the smart contract byte code and sender can be input to the distributed smart contract, and the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web assembly-based virtual machine mounted on the block chain, and the fee to be used for the smart contract may be additionally input.
  •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block in the same way as above has the form of a web assembly module executable by the web assembly virtual machine.
  • the smart contract stored in the block is a binary byte code by compiling the smart contract source code.
  • a WebAssembly module converted to it may have the form of a WebAssembly module running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may include a transaction having a web assembly module running on a web assembly virtual machine as a web assembly module in which a smart contract source code is compiled and converted into binary byte code.
  •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recorded on the block chain can be executed by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through each node, and can be modified and changed as well as viewed.
  •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recorded on the block chain allows a general user (secondary copyright holder) to access the smart contract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hrough each node and comply with the contract conditions written on the smart contract. Accordingly, the right to share, distribute, edit, copy, or modify the original copyright is requested, and a smart contract of the secondary copyright holder is created according to the approval of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 and the created smart contract of the secondary copyright holder is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s It can be linked with a smart contract.
  • the smart contract (sub smart contract, SC1)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he secondary copyright holder who is given the right to share, distribute, edit, copy, or modify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smart contract (child smart contract, SC2, SC3) of SC6) can be linked.
  • that the smart contract is linked means that information about the child and grandchild smart contracts is recorded on the secondary smart contract and is in a traceable state.
  • the information on the smart contract may include a smart contract account address, smart contract owner information, or a token account address for driving a block chain network.
  • Each node included in the blockchain network also performs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and the smart contract for the digital content created using the original content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do.
  •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performs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btained through decompilation of the WebAssembly module and the smart contract for the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with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can be performed on
  • the smart contract (SC1)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existing on the block of the block chain is decompiled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to obtain a smart contract or a grandson smart contract.
  • the digital content related to the smart contract SC7 is the client device 100 that provide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that is,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a legitimate permission has been obtained from the copyright holde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forgery or not.
  • the node performing comparative verification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may be any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nodes included in the blockchain network.
  • a node that performs mining in terms of network stability, speed improvement, and ver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 according to role sharing and a node that performs verification may be separated.
  • the plurality of nodes may include: a first grove that performs mining on a block including a transaction for generating a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and a second node group that performs verification between the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and the smart contract for the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on the WebAssembly virtual machine. .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system.
  • the relay server 200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web assembly-based blockchai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server 200 generates a hash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provided by the client device 100 and transmitting the hash to the blockchain network 300 (S1);
  • the client device 100 that provided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creates a smart contract for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using the hash generated in the relay server 200 as an attribute, and distributes the smart contract on the blockchain network 300 creating a transaction 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nodes in the blockchain network mines a block containing a transaction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mart contract to receive a reward, and includes the transaction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mart contract on the block chain Recording the block to be (S3); and one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in the blockchain network performs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a smart contract for original digital content included in the mined block and a smart contract for digital content produced us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web assembly. and a step (S4) performed on the virtual machine.
  • the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web 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mutual verification on the hash of the digital content provided by each relay server receiv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 the method for determin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the WebAssembly-based block chai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system, and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operations and functions is in the description in the above-mentioned system. same as descri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Bioeth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이미지, 음성 또는 텍스트 등의 디지털 콘텐츠의 딥 페이크를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본 발명은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영상, 이미지, 음성 또는 텍스트 등의 디지털 콘텐츠의 딥 페이크를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암호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암호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비트코인을 온라인상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블록과 블록체인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트랜잭션 정보를 담은 하나의 블록이 이전의 블록과 다음의 블록을 고유 값으로 상호 참조하도록 하여 체인처럼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P2P 네트워크에 참여한 피어들 또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기 위한 참여자들이 P2P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모든 블록을 저장함으로써 누구나 거래 내역의 조회가 가능하고 특유의 작업 증명 방식으로 작업을 증명한 자에게 자체적으로 발행한 재화를 보상하는 절차와 대차 형태의 잔액 가감 절차를 사용하는 전문 형식의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이다.
한편, AI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공지능의 데이터 학습에 따른 가짜 제작물, 일명 딥 페이크와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딥 페이크는 인격권 침해를 야기할 수 있고 가짜 뉴스 전달에 따른 사회경제 및 문화적 곤란을 야기 할 수 있다. 이러한 딥 페이크 문제는 4차 산업 혁명 기술발달에 따라 더욱 크게 대두될 문제이다.
이러한 딥 페이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는데,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로는 단순히 원본에 대한 출처 표시 및 추적 기능만을 구현 할 수 있을 뿐, 원저작권자의 허가를 얻어 제작된 2차 저작물에 대한 통합적 관리나 추적 등 블록체인의 특징을 극대화하여 딥 페이크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공개특허공보 10-2020-0089749
본 발명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 검증과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검증을 통해 영상, 이미지, 음성 또는 텍스트 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원저작물 추적 용이성 및 출처 확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웹어셈블리 기반으로 구동되어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선택의 자유도가 높고,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으로 웹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은 릴레이 서버에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릴레이 서버; 및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상에 배포하고,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는 음성 콘텐츠, 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콘텐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릴레이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동일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각각 제공받는 제 1 및 2 릴레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릴레이 서버는 제공받은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릴레이 서버는 복수의 IPFS 노드로 구성된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구조의 분산형 파일 시스템인 IPFS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PFS 서버는 상기 복수의 IPFS 노드에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분산 저장하고,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IPFS 해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PFS 해시는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고유 해시값, 비밀 해시키,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정보 및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계약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은 제 3의 이용자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육안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로부터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별도 저장하는 저작권자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코드가 컴파일 되어 바이너리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 웹어셈블리 모듈로서 웹어셈블리 가상머신 상에서 구동되는 웹어셈블리 모듈을 가지는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상기 웹어셈블리 모듈의 디컴파일을 통해 획득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는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는 제 1 노드군; 및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제 2 노드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써, 릴레이 서버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제공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릴레이 서버에서 생성된 해시를 속성으로 하여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배포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채굴하여 보상을 수여받고, 블록체인 상에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기록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상기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또한,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받은 릴레이 서버 각각이 제공받은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대한 검증과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파생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위변조 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원저작물 추적 용이성이 있고, 2차적 저작물의 출처 확보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선택의 자유도가 높고,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으로 웹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여 시스템 범용성 및 확장성이 뛰어나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판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서버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이의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하위 스마트 컨트랙트가 링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노드 각각이 수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검증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 및 예시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지다" 또는 "이루어지는"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 이외의 다른 구성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구성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당 허가 권한을 얻은 자와 그렇지 아니한 자를 구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웹어셈블리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대한 검증과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검증을 구현하는 것을 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2차적 저작물의 원저작물 추적 용이성 및 출처 확보가 가능하도록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하위 링크시킨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웹어셈블리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선택의 자유도가 높고,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으로 웹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웹어셈블리”는 C, C+, Go 또는 Rust 등과 같은 저급 소스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파일 하여 바이너리 포맷으로 정의하는 스택 기반 가상 머신에서 구동되게 하는 W3C재단에서 개발한 웹 표준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 릴레이 서버(2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는 릴레이 서버(200)에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 또는 상기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은 이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자신이 창작한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 하도록 설계된 것 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PC 또는 스마트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웹 환경을 통해 릴레이 서버(200)를 매개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구현할 수 있는 디바이스 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가 전송하는 디지털 콘텐츠는, 예를 들면 영상 콘텐츠, 음성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콘텐츠로서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전송, 수정, 복사, 배포 및 열람이 가능한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는 음성 콘텐츠, 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콘텐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릴레이 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한다.
릴레이 서버(200)가 전송하는 상기 해시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속성으로 참조될 수 있는 것으로써,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고유 해시값, 비밀 해시키,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정보 및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계약서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서버(200)가 생성한 해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되는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되는 해시에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고유 해시값 및 비밀 해시 키와 함께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3자에게 제공되는 소유자 정보 및 이용에 관한 계약서가 포함된다.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계약서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허용 여부 및 그 범위나 조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에 의해 설정되고 변경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에 반영될 수 있다.
릴레이 서버(200)가 생성한 해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에게도 전달되고, 해시를 전달받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는 자신이 업로드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해시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해시값 및 비밀 해시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릴레이 서버(200)는 전술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의 전송 기능과 더불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릴레이 서버 혹은 노드를 포함하는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전달받은 각 서브 릴레이 서버 또는 노드는 상호 교차 검증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서버(200)에 포함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받은 제 1 릴레이 서버(201) 및 제 2 릴레이 서버(202) 각각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이란, 예를 들면 해시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해시값 및 비밀 해시키에 대한 상호 검증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해시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정보에 대한 개별적 상호 검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릴레이 서버(200)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와 이에 대한 해시가 저장되어 있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IPFS 서버가 채택하는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방식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릴레이 서버(200)는 복수의 IPFS 노드로 구성된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구조의 분산형 파일 시스템인 IPFS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PFS 서버는 상기 복수의 IPFS 노드에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분산 저장하고,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IPFS 해시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IPFS 해시는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값, 비밀 해시키,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정보 및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계약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서버(200)가 IPFS 서버(200a) 일 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와 데이터 및 해시를 주고받는 방식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가 제공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는 IPFS 서버(200a)에 포함되는 복수의 IPFS 노드 중 어느 한 노드(201a)에 의해 shamir secret sharing(SS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k개의 데이터로 분산되고, n개의 랜덤 키로 암호화 된 후 각 노드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와 상응하는 해시를 IPFS 해시를 생성한 후 이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하여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분산 저장하는 프로토콜을 채택하는 경우, 중앙 서버의 제어 없이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열람 및 공유할 수 있다.
릴레이 서버(200)는 또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IPFS 해시에서 별도 추출하여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허락을 얻고자 하는 제 3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릴레이 서버(200)는 제 3의 이용자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육안 열람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로부터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별도 저장하는 저작권자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정보 제공 서버는 전술한 서브 릴레이 서버, 노드 또는 IPFS 노드와 다른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중앙 집중식 서버이거나 또는 릴레이 서버(200)와 동일하게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방식의 서버로서 저작권자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탈중앙화 서버 일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기록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복수의 노드(30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상에 배포하고,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링크된 하위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복수의 노드(30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웹어셈블리 기반으로 설계되어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 수정 및 열람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블록을 채굴하는 노드를 복수 개 포함한다.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 및 배포되고 노드에 의해 채굴된 후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는 IPFS 해시를 기반으로 한 속성 및 변수를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의 형태로 배포한다. 이후,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여 보상을 수여받고, 스마트 컨트랙트 계정주소의 생성과 함께 해당 블록이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노드는 동일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공유하게 된다. 한편,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스마트 컨트랙트 바이트 코드 및 송신자 등이 입력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에 탑재된 웹어셈블리 기반 가상머신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바,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사용될 수수료가 추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블록에 저장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웹어셈블리 모듈 형태를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블록에 저장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코드가 컴파일 되어 바이너리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 웹어셈블리 모듈로서 웹어셈블리 가상머신 상에서 구동되는 웹어셈블리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코드가 컴파일 되어 바이너리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 웹어셈블리 모듈로서 웹어셈블리 가상머신 상에서 구동되는 웹어셈블리 모듈을 가지는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각 노드를 매개로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열람뿐만 아니라 수정 변경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각 노드를 매개로 일반 사용자(2차 저작권자)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접근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기재된 계약 조건에 따라 원 저작권에 대한 공유, 배포, 편집, 복사 또는 수정 등의 권한을 요청하게 되고, 원저작권자의 승인에 따라 2차 저작권자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되며, 생성된 2차 저작권자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원저작권자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링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스마트 컨트랙트(부 스마트 컨트랙트, SC1)에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공유, 배포, 편집, 복사 또는 수정 등의 이용 권한을 부여받은 2차 저작권자의 스마트 컨트랙트(자 스마트 컨트랙트, SC2,SC3)가 링크될 수 있고, 2차 저작권자의 스마트 컨트랙트(자 스마트 컨트랙트, SC2,SC3) 상에는 또한 3차 저작권자의 스마트 컨트랙트(손자 스마트 컨트랙트, Sc4,SC5,SC6)가 링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링크되어 있다는 것은 부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자 및 손자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추적 가능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정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소유자 정보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동시키는 토큰 계정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각 노드는 또한,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노드 각각은 웹어셈블리 모듈의 디컴파일을 통해 획득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의 블록 상에 존재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SC1)를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디컴파일링 하여 획득한 자 스마트 컨트랙트 또는 손자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SC7)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SC7)와 연관된 디지털 콘텐츠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 즉 원저작권자에게 적법한 허가를 획득하였는지를 검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비교 검증을 수행하는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역할 분담에 따른 네트워크의 안정성, 속도 개선 및 검증 정확성 향상의 관점에서 채굴을 수행하는 노드와 검증을 수행하는 노드가 분리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는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는 제 1 노드군; 및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제 2 노드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대한 검증과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파생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위변조 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원저작물 추적 용이성과 2차적 저작물의 출처 확보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선택의 자유도가 높고,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으로 웹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여 시스템 범용성 및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릴레이 서버(200)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가 제공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하는 단계(S1);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가 릴레이 서버(200)에서 생성된 해시를 속성으로 하여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 배포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채굴하여 보상을 수여받고, 블록체인 상에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기록하는 단계(S3);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상기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받은 릴레이 서버 각각이 제공받은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에서 설명한 구성의 동작 및 기능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동작과 기능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시스템에서 설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해 도면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가 도면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함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
[부호의 설명]
100 :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00 : 릴레이 서버
201 제 1,2 릴레이 서버
200a : IPFS 서버
201a : IPFS 노드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301 : 블록체인 노드

Claims (10)

  1. 릴레이 서버에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릴레이 서버; 및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상에 배포하고,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는,
    음성 콘텐츠, 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콘텐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동일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각각 제공받는 제 1 및 2 릴레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릴레이 서버는 제공받은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을 수행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서버는 복수의 IPFS 노드로 구성된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구조의 분산형 파일 시스템인 IPFS 서버이고,
    상기 IPFS 서버는,
    상기 복수의 IPFS 노드에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분산 저장하고,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IPFS 해시를 생성하며,
    상기 IPFS 해시는,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고유 해시값, 비밀 해시키,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정보 및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계약서를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제 3의 이용자가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육안 열람할 수 있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로부터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별도 저장하는 저작권자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코드가 컴파일 되어 바이너리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 웹어셈블리 모듈로서 웹어셈블리 가상머신 상에서 구동되는 웹어셈블리 모듈을 가지는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상기 웹어셈블리 모듈의 디컴파일을 통해 획득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는,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채굴을 수행하는 제 1 노드군; 및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제 2 노드군을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으로서,
    릴레이 서버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제공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해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릴레이 서버에서 생성된 해시를 속성으로 하여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배포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채굴하여 보상을 수여받고, 블록체인 상에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에 의해 생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기록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한 노드가 상기 채굴된 블록에 포함된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비교 검증을 웹어셈블리 가상 머신 상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받은 릴레이 서버 각각이 제공받은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에 대한 상호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PCT/KR2020/016451 2020-11-19 2020-11-20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WO202210792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5,920 US20230351051A1 (en) 2020-11-19 2020-11-20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gital content forgery using web assembly-based blockchain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02 2020-11-19
KR1020200155202A KR102423523B1 (ko) 2020-11-19 2020-11-19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7923A1 true WO2022107923A1 (ko) 2022-05-27

Family

ID=8170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451 WO2022107923A1 (ko) 2020-11-19 2020-11-20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51051A1 (ko)
KR (1) KR102423523B1 (ko)
WO (1) WO2022107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968B1 (ko) * 2022-06-10 2023-07-03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트랜잭션 정보 추적을 통한 디지털 자산 가치 보전 시스템
KR102556677B1 (ko) *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4735A (ko) * 2019-01-03 2020-07-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 분석 리포팅 시스템
KR20200103394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시그널나인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163930B1 (ko) * 2019-09-30 2020-10-12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 보상을 통한 분산 컴파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1551B (zh) 2018-06-29 2023-01-2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数据验证方法及装置、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4735A (ko) * 2019-01-03 2020-07-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 분석 리포팅 시스템
KR20200103394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시그널나인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163930B1 (ko) * 2019-09-30 2020-10-12 넷마블 주식회사 블록체인 보상을 통한 분산 컴파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51051A1 (en) 2023-11-02
KR102423523B1 (ko) 2022-07-21
KR20220068429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3865A2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파일 관리/검색 시스템 및 파일 관리/검색 방법
WO2022107923A1 (ko)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US623368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rendered digital works through watermaking
KR101026607B1 (ko) 디지털 콘텐츠 공표 및 대응 디지털 공표자 라이센스 발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9074579A (zh) 使用分布式散列表和区块链保护计算机软件的方法及系统
CN100412841C (zh) 在设备间的认证系统和在设备间的认证方法及通信装置
US200902287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oordination of access to digital files
WO2020101191A1 (ko)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
She et al. A double steganography model combining blockchain and interplanetary file system
WO2024010233A1 (ko)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900269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稿件保护方法
CN112241553B (zh) 一种基于多账本架构的区块链隐私保护方法及系统
WO2021172668A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34176A1 (ko) 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WO2023136448A1 (ko)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ung Prospects and challenges posed by blockchain technology on the copyright legal system
WO2022245069A1 (ko) 기축 코인 예치를 통한 가상화폐 수수료 거래 시스템
CN112804252B (zh) 一种用户管理系统
WO2023095967A1 (ko) 블록체인 기반의 did 서비스, ipfs 기반의 데이터 공유 기술, 및 개인키 분산 저장 기술이 결합된 비대면 대용량 문서 접근 시스템
CN113806817B (zh) 构建孪生nft的方法、全量可信存储的nft协议和系统
WO2020242166A1 (ko) 컨텐츠 월렛, 단말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판매 시스템
Moezkarimi et al. An overview on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platforms
WO20232772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issuing media content token based on blockchain
WO2023106630A1 (ko) 블록체인 기반 공유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WO2023229067A1 (ko) Did 기반의 nft 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2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2/09/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62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