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65876A1 -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65876A1
WO2022065876A1 PCT/KR2021/012959 KR2021012959W WO2022065876A1 WO 2022065876 A1 WO2022065876 A1 WO 2022065876A1 KR 2021012959 W KR2021012959 W KR 2021012959W WO 2022065876 A1 WO2022065876 A1 WO 20220658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ell
access
terminal
base st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9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향선
김기준
고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72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21326A1/en
Priority to KR1020237004473A priority patent/KR20230039683A/ko
Publication of WO20220658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658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3Reselecting an access poin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ccess points is a mov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finitions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As more and more communication devices require greater communication capacity, there is a need for improv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radio access technology (RAT).
  • massive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massive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 the cell is a cell operated for a certain time at a specific location by a movable base sta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comprises information related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cell.
  • the terminal by providing the terminal with cell access-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ime resources for later accessing the cell, the terminal efficiently accesses the cell and network make it availabl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unnecessarily,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 NG-RAN 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2 illustrates functional partitioning between NG-RAN and 5GC.
  • FIG. 3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in NR.
  • FIG. 4 shows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for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5 shows an example of a 5G usage scenario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base station operates a cell while moving.
  • FIG.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to a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cell access time setting.
  • FIG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cell access time setting.
  • FIG.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cell access time setting.
  • 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single/multi-route based drone base station.
  • FIG. 12 shows an example of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ccess to a cell from the viewpoi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ccess to a cell from the viewpoi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transmitting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6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19 shows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device applicabl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or B (A or B) may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 a or B (A or B)” may be interpreted as “A and/or B (A and/or B)”.
  • A, B or C(A, B or C) herein means “only A”, “only B”, “only C”, or “any and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 a slash (/) or a comma (comma) used herein may mean “and/or”.
  • A/B may mean “A and/or B”. Accordingly, “A/B” may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 A, B, C may mean “A, B, or C”.
  • At least one of A and B may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eans “at least one It can be interpreted the same as “at least one of A and B”.
  • At least one of A, B and C means “only A”, “only B”, “only C”, or “A, B and C”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Also, “at least one of A, B or C” or “at least one of A, B and/or C” means may mean “at least one of A, B and C”.
  • parentheses used herein may mean “for example”. Specifically, when displayed as “control information (PDCCH)”, “PDCCH” may be proposed as an example of “control information”. In other words, “control inform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PDCCH”, and “PDDCH” may be proposed as an example of “control information”. Also, even when displayed as “control information (ie, PDCCH)”, “PDCCH” may be proposed as an example of “control information”.
  •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NR
  •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As more and more communication devices require greater communication capacity, there is a need for improv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radio access technology (RAT).
  • massive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massive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 NG-RAN 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the NG-RAN may include a gNB and/or an eNB that provides a UE with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protocol termination.
  •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ly gNBs are included.
  • the gNB and the eN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Xn interface.
  • the gNB and the eNB are connected to the 5G Core Network (5GC) through the NG interface. More specifically, it is connected to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through an NG-C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a user plane function (UPF) through an NG-U interface.
  •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 UPF user plane function
  • 2 illustrates functional partitioning between NG-RAN and 5GC.
  • the gNB is inter-cell radio resource management (Inter Cell RRM), radio bearer management (RB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radio admission control (Radio Admission Control), measurement setup and provision Functions such as (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an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may be provided.
  • AMF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NAS security, idle state mobility processing, and the like.
  • the UPF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mobility anchoring and PDU processing.
  •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terminal IP address assignment and PDU session control.
  • FIG. 3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in NR.
  • a frame may be configured in 10 milliseconds (ms), and may include 10 subframes configured in 1 ms.
  • One or a plurality of slots may be included in the subframe according to subcarrier spacing.
  • Table 1 illustrates a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 .
  • Table 2 illustrates the number of slots in a frame (N frame ⁇ slot ), the number of slots in a subframe (N subframe ⁇ slot ), and the number of symbols in a slot (N slot symb ) according to the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 . .
  •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ay include one or more control channel elements (CCEs) as shown in Table 3 below.
  • CCEs control channel elements
  • the PDCCH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resource composed of 1, 2, 4, 8 or 16 CCEs.
  • the CCE consists of six resource element groups (REGs), and one REG consists of one resource block in the frequency domain and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 in the time domain.
  • REGs resource element groups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FIG. 4 shows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for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a structure in which a control channel and a data channel are time division multiplexed (TDM) in one TTI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rame structures.
  • a hatched area indicates a downlink control area
  • a black area indicates an uplink control area.
  • An area without an indication may be used for downlink data (DL data) transmission or uplink data (UL data) transmission.
  • a characteristic of this structure is that downlink (DL) transmission and uplink (UL) transmission are sequentially performed within one subframe, so that DL data is transmitted within a subframe, and UL ACK / Acknowledgment/Not-acknowledgement (NACK) may also be received.
  • NACK Acknowledgment/Not-acknowledgement
  •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witch from the transmit mode to the receive mode, or a time gap for the conversion process from the receive mode to the transmit mode. ) is required.
  • some OFDM symbols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DL to UL in the self-contained subframe structure may be set as a guard period (GP).
  • FIG. 5 shows an example of a 5G usage scenario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 the 5G usage scenario shown in FIG. 5 is merely exemplary,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other 5G usage scenarios not shown in FIG. 5 .
  • the three main requirements areas of 5G are (1)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area, (2)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area and ( 3) includes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domains.
  •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 Some use cases may require multiple domains for optimization, while other use cases may focus on only one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 5G is to support these various use cases in a flexible and reliable way.
  • eMBB focuses on overall improvements in data rates, latency, user density, capacity and coverage of mobile broadband connections. eMBB aims for a throughput of around 10 Gbps. eMBB goes far beyond basic mobile internet access, covering rich interactive work, media and entertainment applications in the cloud or augmented reality. Data is one of the key drivers of 5G, 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5G era, we may not see dedicated voice services. In 5G, voice is simply expected to be processed as an application using the data connection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main causes of the increased traffic volume are the increase in content siz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requiring high data rates. Streaming services (audio and video), interactive video and mobile Internet connections will become more widely used as more devices connect to the Internet.
  • Cloud storage and applications are rapidly increasing in mobile communication platforms, which can be applied to both work and entertainment.
  • Cloud storage is a special use case that drives the growth of uplink data rates.
  • 5G is also used for remote work on the cloud, requiring much lower end-to-end latency to maintain a good user experience when tactile interfaces are used.
  • cloud gaming and video streaming are another key factor increasing the demand for mobile broadband capabilities.
  • Entertainment is essential on smartphones and tablets anywhere, including in high-mobility environments such as trains, cars and airplanes.
  • Another use example is augmented reality for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 augmented reality requires very low latency and instantaneous amount of data.
  • mMTC is design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a large number of low-cost devices powered by batteries and is intended to support applications such as smart metering, logistics, field and body sensors.
  • mMTC is targeting a battery life of 10 years or so and/or a million devices per square kilometer.
  • mMTC enables seamless connectivity of embedded sensors in all fields and is one of the most anticipated 5G use cases. Potentially, by 2020, there will be 20.4 billion IoT devices.
  • Industrial IoT is one of the areas where 5G will play a major role in enabling smart cities, asset tracking, smart utilities, agriculture and security infrastructure.
  • URLLC is ideal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industrial control, factory automation, telesurgery, smart grid,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s by enabling devices and machines to communicate very reliably, with very low latency and with high availability.
  • URLLC aims for a delay on the order of 1 ms.
  • URLLC includes new services that will transform industries through ultra-reliable/low-latency links such as remote control of critical infrastructure and autonomous vehicles. This level of reliability and latency is essential for smart grid control, industrial automation, robotics, and drone control and coordination.
  • 5G could complement fiber-to-the-home (FTTH) and cable-based broadband (or DOCSIS) as a means of delivering streams rated from hundreds of megabits per second to gigabits per second.
  • FTTH fiber-to-the-home
  • DOCSIS cable-based broadband
  • Such a high speed may be required to deliver TVs with resolutions of 4K or higher (6K, 8K and higher) as well a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 VR and AR applications almost include immersive sporting events. Certain applications may require special network settings. For VR games, for example, game companies may need to integrate core servers with network operators' edge network servers to minimize latency.
  • Automotive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new driving force for 5G, with many use cases for mobile communication to vehicles. For example, entertainment for passengers requires both high capacity and high mobile broadband. The reason is that future users continue to expect high-quality connections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and speed.
  • Another example of use in the automotive sector is augmented reality dashboards.
  • the augmented reality contrast board allows drivers to identify objects in the dark above what they are seeing through the front window.
  • the augmented reality dashboard superimposes information to inform the driver about the distance and movement of objects.
  • wireless modules will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vehicles and supporting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utomobiles and other connected devices (eg, devices carried by pedestrians).
  • Safety systems can lower the risk of accidents by guiding drivers through alternative courses of action to help them drive safer.
  • the next step will be remote-controlled vehicles or autonomous vehicles.
  • This requires very reliable and very fast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autonomous vehicles and/or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
  • autonomous vehicles will perform all driving activities, allowing drivers to focus only on traffic anomalies that the vehicle itself cannot discern.
  • the technological requirements of autonomous vehicles require ultra-low latency and ultra-fast reliability to increase traffic safety to unattainable levels for humans.
  • Smart cities and smart homes will be embedded with high-density wireless sensor networks.
  • a distributed network of intelligent sensors will identify conditions for keeping a city or house cost- and energy-efficient.
  • a similar setup can be performed for each household.
  • Temperature sensors, window and heating controllers, burglar alarms and appliances are all connected wirelessly. Many of these sensors typically require low data rates, low power and low cost.
  • real-time HD video may be required in certain types of devices for surveillance.
  • Smart grids use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interconnect these sensors to collect information and act on it. This information can include supplier and consumer behavior, enabling smart grids to improve efficiency, reliability, economics, sustainability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uels such as electricity in an automated manner.
  • the smart grid can also be viewed as another low-latency sensor network.
  • the health sector has many applications that can benefit from mobile communications.
  •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support telemedicine providing clinical care from a remote location. This can help reduce barriers to distance and improve access to consistently unavailable health care services in remote rural areas. It is also used to save lives in critic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s.
  •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may provide remote monitoring and sensors for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industrial applications. Wiring is expensive to install and maintain. Thus,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cables with reconfigurable radio links is an attractive opportunity for many industries. Achieving this, however, requires that wireless connections operate with similar delays, reliability and capacity as cables, and that their management is simplified. Low latency and very low error probability are new requirements that need to be connected with 5G.
  • Logistics and freight tracking are important use cases for mobile communications that use location-based information systems to enable tracking of inventory and packages from anywhere.
  • Logistics and freight tracking use cases typically require low data rates but require wide range and reliable location information.
  • a network In a wide area where a network is not established (e.g., mountainous/desert/grassy area, etc.), a high cost is required to establish a network,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network utilization rate is not high.
  • a base station In such an environment, rather than installing a base station to cover a wide area to support a network, it may be considered to install a mobile base station so that the network can be operated at a necessary location at a time when necessary.
  • the following network operat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 a base station having a shape such as a drone or a balloon moves and can support data communic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necessary area.
  • a small number of mobile base stations can support the minimum data communication while moving over a wide area.
  •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base station operates a cell while moving.
  • a situation in which a cell operates as follows is considered.
  • the base station moves and operates the cell at predetermined locat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 each base station cycles through the positions of P1, P2, ..., P5, and the cell operates at each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may move and operate a cell through the same route.
  • each base station can operate a cell at each location while maintaining its own cell ID the same.
  • the terminal in the same location uses a different cell ID as the base station operating the cell changes. You need to connect to
  • the base station can operate the cell by applying the cell I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 different base stations may operate a cell using the same cell id.
  • the UE may access the cell using the same cell ID regardless of the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may operate as follows.
  • Base station A1 is located at locations P1, P2, ... , it cycles through P5 and operates the cell at each location.
  • Base station A2 is located at locations P1, P2, ... , it cycles through P5 and operates the cell at each location.
  • Base station A1 is located at locations P1, P2, ... , it cycles through P5 and operates the cell at each location.
  • Base station A2 is located at locations P1, P2, ... , it cycles through P5 and operates the cell at each location.
  • the cell does not move and stops to operate the cell.
  • the terminal may operate as follows.
  • the terminal may access the cell and perform data communication.
  • the terminal since the cell is not always operated at a specific location, the terminal needs to efficiently perform cell search and cell access using its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for power saving without unnecessarily trying to access a cell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cell does not exist in the vicinity of the user.
  • a cell is periodically operated at a specific location. Therefore, a situation in which the UE reconnects to the same cell may occur frequently. Considering this situation, it may be helpful for the terminal to efficiently perform the access process when reconnecting to the same cell or a cell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 the terminal should attempt to access the cell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time of the cell.
  • a 'cell access time setting' when the setting for the time during which the UE can access the cell is referred to as a 'cell access time setting', this setting should be defined to support various cell operating methods.
  • the cell I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ell, or the cell ID of the base st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 'cell access time sett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needs to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and 'cell access time setting' for a plurality of locations needs to be set.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the operating time of the cell.
  • the time a cell is created and operated may change depending on circumstances. For example, a cell may be generated more frequently at a specific point by using more base stations on a day/time zone when traffic is high.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which is the setting for the time that the UE can access the cell
  • FIG.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to a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terminal may receiv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abov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broadcast.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may b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ell to which the terminal previously accessed.
  •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is denoted as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convenience, but this may mean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to be described later.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cell search based on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S710).
  • the cell may be a cell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specific location by a mobile base sta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cell.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erminal may perform access to the cell based o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ell search (S720).
  • performing access to the cell may mean camping on the discovered cell.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 for the cell.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me resour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 a duration, ii) a period, and iii) at least one offset of a time resource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corresponding to the ID.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erminal may attempt to access the cell in the time resource, and the terminal may not attempt to access the cell in a time resource other than the time resource.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erminal further receives other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the other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relates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a cell different from the cell.
  • the other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contain information.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ime resource may be a time resource in which the cell is operated, or the time resource may be a time in which the cell is operated with a high probability.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ime resource information for periodic cell access or time resource information for aperiodic cell access.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terminal may perform handover within a specific time interval based on receiving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 the specific time period may be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me resource.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base station is a drone or a hot air balloon
  • the cell operated by the base station may have a fixed cell ID or a cell ID that varies according to movement.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be configured from the network.
  • This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correspond to the 'cell access setting information' described above, and upper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be set through, for example, an MIB broadcast by the network.
  • the MIB shown in Table 4 below may be provided, and the MIB at this time may include system information transmitted on the BCH.
  • each parameter may be as follows.
  • the position of the (first) DM-RS for downlink and uplink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DM-RS for downlink and uplink.
  • field pdcch-ConfigSIB1 is the frequency location at which the UE can find the SS/PBCH block with SIB1 or the frequency at which the network does not provide the SS/PBCH block with SIB1 indicates the range.
  • kSSB which is a frequency domain offset (number of subcarriers) between the SSB and the entire resource block grid.
  • the value range of this field may be extended by an additional most significant bit encoded in the PBCH.
  • This field may indicate that there is no CORESET#0 configured in the MIB as this cell does not provide SIB1.
  • the field pdcch-ConfigSIB1 may indicate a frequency location where the UE can (not) find an SS/PBCH having a control resource set and a search space for SIB1.
  • Subcarrier spacing for SIB1, Msg.2/4 for initial access, paging and broadcast SI messages When the UE acquires this MIB on the FR1 carrier frequency, the scs15or60 value corresponds to 15 kHz and the scs30or120 value corresponds to 30 kHz. When the UE acquires this MIB on the FR2 carrier frequency, the scs15or60 value corresponds to 60 kHz and the scs30or120 value corresponds to 120 kHz.
  • the subcarrier spacing for SIB1 is the same as the spacing for that SSB and this IE is instead used to derive the QCL relationship between SS/PBCH blocks in the serving cell.
  • MSB most significant 6 bits
  • SFN system frame number
  • the 4 LSBs of the SFN are carried in the PBCH transport block as part of the channel coding (ie outside the MIB encoding).
  • the follow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while being included with the parameters in the MIB described above.
  • an example in which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MIB may be merely an example. That is, the information below may be signaled through a method different from the MIB (eg, a method in which the information below is transmitted through dedicated signaling).
  • the network may set a cell ID (physCellId), a location of a cell corresponding to the cell ID, a cell-access-time, and the like to the UE.
  • the cell access time indicates a method of notifying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times, but directly informs the corresponding time, or i) Period: the period of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access to the cell is attempted, ii) Offset: an offset of a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a cell, iii) Duration: The duration of a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a cell, etc. may be informe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this configur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the configuration through the MIB is only an example, not a limitation (system information, UE-specific RRC message, MAC message, DCI, or at least two of them)
  • the setting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by combination, etc.).
  • the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ime resources for which the UE may attempt access to a cell having a specific cell ID. Accordingly, the terminal receives time resource information accessible to a specific cell through one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 the UE may attempt to access the cell having the corresponding cell ID within the corresponding time resourc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E from unnecessarily trying to access the cell when the cell is not created/operated.
  •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cell access time settings. This may be to configure a cell accessable time resource for a different cell ID and/or location to one UE.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plurality of cell access time settings, each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be a setting for a different cell ID. This may be, for example, to set cell access time settings for different locations when a cell is operated using different cell IDs according to loca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Cell Operating Method 2'. Or, for example, when operating cells using different cell IDs depending on the base station as in 'Cell Operating Method 1' described above, it is to set cell access time settings for different base stations at the same location can
  • the terminal receives a single cell access time setting, and in this cas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 IDs and/or locations may be included in one cell access time setting.
  •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here is, for example, i) Period: Periods of a time period for attempting to access a cell, ii) Offset: Offsets of a time period for attempting to access a cell, iii) Duration (Duration): may be durations of a time period for attempting to access a cell. Since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s the same as the bar (and/or the bar described above) to be described later,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follow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mean the time during which the cell is operated. Accordingly, the UE may attempt a cell search and access, assuming that a cell exists within the configured time interval. Alternatively, in this case, si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ell exists, access to the corresponding cell may be attempted without a cell search process. In this case, the UE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ell outside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and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searching or accessing the corresponding cell. That is, whether an operation for searching for a cell 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access is performed may be dependent on whether or not it is within a time period set through cell access time setting.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mean a time during which a probability of operating a cell exists or a high probability. Therefore, the UE cannot assume that the cell always exists in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However, since it is a time interval in which a cell is highly likely to exist, the UE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discovering a corresponding cell in the corresponding interval, and may attempt a cell search and access. On the other hand, it cannot be determined that the cell does not exist outside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bu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robability that the cell exists is low. That is, cell detection may be successful and access to the cell may be possible even in an area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time period.
  • the terminal may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searching or accessing the corresponding cell outside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 the UE may perform a cell search at a lower frequency without performing an active cell search outside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That is, the frequency of performing a cell search or access operation may be determined dependently on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performed within a time period set through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 a power saving mode operation (eg, monitoring of a specific signal is not performed) may be performed. That is, whether the terminal performs the power saving mode operation (or the performance intensity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may be dependent on whether it is within a time interval set through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 the time interval set by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be the same as the time during which the actual cell is operated or may be the same as a part thereof. For example, in the second half of cell operation, since the base station will soon stop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leave, the corresponding time period is excluded from the resources set by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and a new terminal accesses unnecessarily. can be prevented from trying.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may be specifically configured as follows: periodic setting and/or aperiodic setting.
  • the periodic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sets periodic cell access available time resource information.
  • the UE may receive periodic time resource information configuration through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includes all or part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 location information where a cell is created This may mean a center position where a cell is created.
  • the UE may determine a cell to attempt access by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 the duration of the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refers to the duration of the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 it can be determined as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cell is operated during a time period of -X msec to X msec from a time determined by the period and offset without setting a separate duration for X msec or from a time determined by the period and offset. .
  • FIG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cell access time setting.
  • a plurality of offsets may be set in one cell access time setting. This may be to indicate cell access times for different base stations having the same cell ID through each offset or to indicate cell access times for different locations.
  • two offset values of offset 1 and offset 2 it means that a cell access time section having a set period, offset 1, and duration and a cell access time section having a period, offset 2, and duration exist, respectively.
  • an independent duration may be set for each offset value. 8 shows a cell access time period when a plurality of offsets are set in one cell access time setting. As shown in FIG. 8 , the UE may determine that a cell access time having the same period and duration exists for two offsets of offset 1 and offset 2,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locations may be set in one cell access time setting.
  • an independent period, offset, and/or duration may be set for each position.
  •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is changed one-time only for the next cell access time interval without reconfiguring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the next arriving base station temporarily fails to align the time, the terminal may be informed of an offset value that is changed for the next cell access time interval. At this time, the UE determines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by applying an offset value that is changed only for the next cell access time interval. Thereafter, the cell access time period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existing cell access time setting information again. In this case, the network may directly inform the changed offset value. Alternatively, if the value of offset_d, which is a change value from the existing offset, is informed, the terminal determines the existing offset + offset_d as the updated offset value.
  • offset_d which is a change value from the existing offset
  • the cell access time period exists during the duration period starting from the updated offset position.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offset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cell access time may be constant in duration.
  •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starts from the updated offset position, but ends after a duration of time based on the existing offset. That is, the cell access time period starts at offset + offset_d and ends at the position of offset + duration. In this case, even if the offset position is changed, the time at which the cell access time period ends may be constant.
  • FIG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cell access time setting.
  • the UE may determine the cell access time according to the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configured from the network and attempt to access the cell.
  • an indic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signaling such as RRC, MAC CE, DCI, and the like.
  • the UE was instructed to update the offset in the first cell access time interval.
  • the UE may determine the cell access time by applying the changed offset value to the next cell access time.
  • the UE determines the cell access time using the changed offset for the second cell access time interval. Thereafter, the cell access time is determined again using the existing offset value.
  •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can be changed for the following cell access time interval.
  • the changed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the next cell access time interval of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in which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is instructed.
  • the changed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may be applied to N cell access time intervals from the next cell access time of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in which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is instructed.
  • the value of N may be fixed to a specific value or configured from a network.
  • the changed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the cell access time located after the Mth from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in which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information is instructed.
  • the value of M may be fixed to a specific value or configured from the network.
  • the aperiodic cell access time setting sets the aperiodic cell access available time resource information.
  • the UE may receive aperiodic time resource information set through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 the cell access time setting includes all or part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 location information where a cell is created This may mean a center position where a cell is created.
  • the UE may determine a cell to attempt access by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 a reference time point for determining such an offset value may be as follows.
  • the duration of the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refers to the duration of the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 it can be determined as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cell is operated during a time period of -X msec to X msec from a time determined by the period and offset without setting a separate duration for X msec or from a time determined by the period and offset. .
  • a plurality of offsets may be set in one cell access time setting. This may be to indicate cell access times for different base stations having the same cell ID through each offset or to indicate cell access times for different locations.
  • two offset values of offset 1 and offset 2 are set, it means that a cell access time section having the set offset 1 and duration and a cell access time section having offset 2 and duration exist, respectively.
  • an independent duration may be set for each offset value.
  • a plurality of locations may be set in one cell access time setting.
  • an independent period, offset, and/or duration may be set for each position.
  • FIG.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cell access time setting.
  •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periodic cell access time setting is made.
  •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e next cell access time period using the corresponding setting.
  • the UE is configured to configure the cell access time for the cell access time period B while accessing the cell using the cell access time period A. Through this,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ell access time section B.
  • the cell access time configuration for the cell access time period C is configured. Through this,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ell access time section C.
  • the cell access time period can be set by setting only the necessary specific settings thereafter. For example, when setting the cell access time interval for the first time, all the settings necessary for the above-mentioned cell access time setting are set. However, when setting the next cell access time period, only the offset value or only the offset and duration values are configured in the terminal to configure the cell access time period. At this time, for the other settings, the value set initially/previously can be used.
  • a method and apparatus are proposed for a drone base sta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n area such as a mountainous island where a terrestrial base station cannot provide a service.
  • a drone base st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base station that has mobility and operates with limited battery resources.
  • a drone base sta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ile moving from a specific location or a plurality of locations.
  • the drone base station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falls below a certain value due to the battery capacity limit, the drone base station returns to the operation station and performs charging.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continuous communication service in an area where the drone base station provides services, a drone base station having a sufficient number of drone base stations and sufficient battery capacity is required, and there are economic difficulties in satisfying these requirements.
  • regions A and B are defined as follows.
  • Zone A Areas wher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provided at all times.
  • terrestrial base station service area Areas wher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provided at all times.
  • Drone base station service area * Zone B; Areas wher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provided. Drone base station service area
  •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moves from area A to area B, th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drone base station service location, drone base station operating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in area B in advance from the network.
  • the terminal agrees to use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 moving from area A to area B. Thereafter, information on service use (information on the service location of the drone base station in area B, the operating time of the drone base station, frequency resources, etc.) is requested,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et.
  • the terminal agrees to use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 moving/entering area B, and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ay be supported for the terminal that has agreed to this.
  •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is in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the terminal notifies the user that the user is in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Alternatively, if the user attempts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hone call, message, Internet, etc.) in area B, the terminal notifies that the user is in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 the terminal displays whether mobile communication is currently available. I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the terminal displays the waiting time until the service is available.
  • the SMS transmiss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service is available.
  • the SMS transmiss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the terminal when the service is available.
  •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transmit traffic with a delay tolerant characteristic at a time when mobile communication is unavailable in the 'intermit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the terminal automatically transmits the traffic when the service is available.
  • 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single/multi-route based drone base station.
  • the service can be provided by a single route metho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locations P1, P2, P3, and P4 exist, P1, P2, P3, and P4 constitute one route.
  • the drone base station (DB) circulates P1, P2, P3, and P4 in order and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a specific time period at each location.
  • a plurality of drone base stations may cycle through one rout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One drone base sta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a specific time period at each location by circulating one route.
  • route R1 includes P1, P2, P3, and P4
  • route R2 includes P2, P3, P5, and P6.
  • DB1 and DB2 run on R1, and DB3 runs on R2.
  • routes R1 and R2 overlap at positions P2 and P3.
  • inter-cell interference may occur, which may cause a problem.
  • the center frequency of the cell operated in the drone base station may be allocated differently for each route. That is, a cell is operated using a different center frequency for each route.
  • DB1 and DB2 operating in route R1 form a cell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t center frequency f1
  • DB2 operating in route R2 forms a cell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t center frequency f2 .
  • the operating altitudes of drones operating along each route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operating altitude of the drone may be different for each route. Therefore, the radius of the cells formed in each route may be different.
  • the drone base station does not operate a cell by moving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drone base station can operate a cell by stopping at a fixed location. In different locations, different drone base stations operate the cells.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falls below a certain value due to the battery capacity limit, the drone base station returns to the operation station and performs charging. Therefore, one drone base station cannot continuously create and operate a cell in a specific location.
  • Another drone base station DB2 may operate the cell at the same location P1 while the drone base station DB1 stops operating the cell at location P1 and performs return and charging to the operating station.
  • one or a plurality of drone base stations provid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t specific locations within a specific route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viewpoint of each location, cells operated by the same or different drone base stations are sequentially cre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isappear. For example, in time section T1 configured periodically/aperiodically, the drone base station DB1 creates and operates a cell, and in time section T2 configured periodically/aperiodically, the drone base station DB2 creates and operates a cell.
  • the time sections T1 and T2 may or may not overlap each other.
  • the cell disappears as the drone base station operating the currently connected cell ends the cell operation,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cell operated by another/same drone base station after a specific start is repeated is performed with
  • the drone base station operating the currently connected cell also ends the cell operation for battery charging and the cell disappears, and after a specific start, another/same drone base station is operated The process of creating a cell is repeatedly performed.
  • the terminal is required to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cell currently operated by the first drone base station and perform the connection with the cell operated by the second drone base station.
  • the first drone base station which is the current serving drone base station of the terminal, will be abbreviated as DB_L
  • the second drone base station that will provide a service in the next time interval will be abbreviated as DB_A.
  • the cell operated by the first drone base station is called a living cell (Cell_L)
  • the cell operated by the second drone base station is called an arriving cell (Cell_A).
  • the living cell operated by DB_L and the living cell operated by DB_A become a serving cell and a target cell, respectively.
  • the current serving drone base station DB_L informs the arrival/operation time of the next serving drone base station DB_A, or corrects the previously notified time.
  • This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hrough a message (e.g., handover command message) that DB_L sets to perform handover to DB_A to the terminal.
  • a message in which DB_L sets information for performing handover to DB_A to the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handover command message (HCM). This may mean a message different from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of the existing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FIG. 12 shows an example of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rone base station #1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for a specific time (eg, T1) (S1210).
  • DB_L determines the need for handover of the terminal (S1220). For example, i) whether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DB_L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ii) whether the estimated distance between DB_L and th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iii) whether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etc.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andover necessity of the terminal.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necessity of handover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in a fixed location and DB_L and DB_A regularly move, the handover necessity determination may be omitted a certain number of times.
  • DB_L transmits a handover command message (handover command message) to the terminal (S1230).
  •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arrival/operation time (eg, T2) of DB_A, which is the next serving drone base station, or correcting the previously notified time.
  •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handover eg, cell ID, center frequency location, C-RNTI to be used by the UE in the corresponding cell, etc.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terminal may apply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setting (S1240) and communicate with the drone base station #2 (DB_A) based on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S1250). For example, an attempt can be made to connect to DB_A according to the arrival/operation time (T2) of DB_A, which is informed by DB_L.
  • T2 arrival/operation time
  • DB_L Drone Base Station #1
  • the terminal may determine its own handover necessity.
  • the terminal may request a handover command from the Drone Base Station #1 (DB_L) and receive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in response thereto.
  • DB_L and DB_A may use the same physical cell ID.
  • the UE uses the C-RNTI given to DB_L for transmission/reception with DB_A. That is, the C-RNTI used in cell_L is used as it is in cell_A.
  • the UE receives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DB_L (cell_L), but information such as a center frequency location, cell ID and/or C-RNTI may not be set.
  • DB_L and DB_A may use different physical cell IDs.
  • the UE receives DB_A and C-RNTI to be used (to be used in cell_A) designation through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DB_L (cell_L).
  • information such as cell ID and/or center frequency of cell_A is designated.
  • Cell_L may designate a plurality of cells_A to the UE.
  • handover to a cell existing in the same route as well as an adjacent route may be considered.
  • the UE may receive a set of handover command messages for a plurality of cells_A from cell_L.
  • the first handover command message is a message for a cell having the same center frequency and the same cell ID, and the cell ID for the surviving cell, center frequency location, and/or C to be used by the terminal in the cell - Information such as RNTI may not be included.
  • the second handover command message is a message for a cell having a different center frequency and a different cell ID, such as the cell ID for the living cell, the center frequency location, and/or the C-RNTI to be used by the terminal in the cel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 the terminal selects one surviving cell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erforms access based on the configured HCM information.
  •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C-RNTI to be used in the living cell through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etc., the terminal monitors the PDCCH from the operation start time of the arriving cell and receives a 'PDCCH order' for the designated C-RNTI. and performs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CFRA) using the RACH resource allocated in the 'PDCCH order'. If the 'PDCCH order' of the designated C-RNTI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operating time of the surviving cell,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BRA) is performed.
  • CFRA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has not set the C-RNTI to be used in the arranging cell, the terminal performs an initial access process with the arranging cell from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arranging cell or within the operation start time to establish a connection. bind
  • the UE may perform RSRP measurement for the living cell befor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 the terminal performs RSRP measurement from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living cell or within the operation start time, and if the RSRP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threshold, the handover process and the initial access process are performed. At this time, if the RSRP measurement value does not exceed a specific threshold value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T1, the handover and initial access process for the corresponding living cell may not be performed.
  • the threshold value of the time interval T1 and/or RSRP for performing this RSRP measurement may be set from the network or a predefined value.
  • the UE In the case of an existing handover, the UE must complete the handover process within the handover interrupt tim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is received. However, since the living cell generated by DB_A does not currently exist and is created after a certain time, when handover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ent, the terminal completes the handover process to the living cell within the handover interrupt time. There is a very high chance that you won't be able to. To this end, the handover interrupt time may operate as follows. In this case, or the handover interrupt time may mean a time duration during which the terminal must complete handover from a specific time point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andover interrupt time definition.
  •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from the operating start time of the surviving cell and the timer operates.
  • This operation start time means the operation start (expected) time of the arranging cell configured by the terminal from the network.
  •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terminal starts the operation for handover to the living cell (that is, the time when it starts to try to receive the channel/signal of the living cell)
  • the timer works.
  •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from the point when the terminal detects the surviving cell, and the timer operates.
  • the timer operates as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set or determined by the network. More specifically,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after T_A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and the timer operates. T_A may be set from the network or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terminal detects the surviving cell before T_A from the time the terminal receives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immediately, and the timer may operate.
  • the handover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FIG. 7 described above.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i) Period: a period of a time period for attempting to access the handover target cell, ii) Offset: the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access to the handover target cell Offset, iii) Dur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uration of a time interval for attempting to access a handover target cell.
  • the UE may receiv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a handover candidate cell separately from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Since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the terminal may perform handover to the handover target cell indicated by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based on the previously configured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may initiate a handover procedure.
  • the handover procedure here, the extended handover interrupt time (ie, a longer handover interrupt time than the existing one) described above by the UE may be applied.
  • the terminal may declare a handover failure. Thereafter, the UE may initiate a cell search procedure to search for another cell.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by the UE in which the handover has failed to perform a cell search procedure. That is, the terminal may perform cell search based on a predetermined period, offset, duration, etc. using broadcast or previously configured or preset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 the terminal may be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network can be used by accessing the cell only for a limited time.
  • the existing terminal may waste a lot of energy by continuously trying to access the cell unnecessarily in the time resource in which the cell is not operated.
  • the terminal can efficiently access the cell and use the network by providing the terminal with cell access-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ime resources for later accessing the cell. let there b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attempting to access the cell unnecessarily,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 a form in which a cell is periodically/aperiodically operated only for a partial time period may be considered.
  • the UE may have to perform handover to another cell that is cre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ell being accessed disappears.
  • the handover process must be completed within the handover interrupt time from the time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is received.
  • the UE completes the handover process to the living cell within the handover interrupt time. There is a very high chance that you won't be able to.
  • the arrival/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next serving drone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so that handover can be performed to a cell generated after a relatively long time.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handover interrupt time starts is changed so that a handover process to a cell gen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can be performed.
  • FIG.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ccess to a cell from the viewpoi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terminal may receiv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S1310).
  • S1310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cell search based on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S1320).
  • S1320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terminal may perform access to the cell based o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ell search (S1330).
  •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cell may be a cell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specific location by a mobile base sta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cell.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ccess to a cell from the viewpoi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processor 14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ceiver 1410 , a cell search performer 1420 , and an access performer 1430 .
  • an information receiver 1410 the information receiver 1410
  • a cell search performer 1420 the cell search performer 1420
  • an access performer 1430 the access performer 1430 .
  •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1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ceiver to receive cell access setting information.
  •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cell search performing unit 14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cell search based on the cell access setting information.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access performing unit 1430 may be configured to access a cell based on a result of the cell search.
  •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cell may be a cell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specific location by a mobile base sta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cell.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1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transmitting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S1510).
  • S1510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is a mobile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operates a cell for a certain time at a specific loca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cell.
  • 16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processor 16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tter 1610 .
  • an information transmitter 1610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1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ceiver to transmit cell access setting information.
  •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peat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 the base station is a mobile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operates a cell for a certain time at a specific location
  • the cel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time resource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cell.
  • the communication system 1 appli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wireless device,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 the wireless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eg, 5G NR (New RAT), LTE (Long Term Evolut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wireless/5G device.
  • a radio access technology eg, 5G NR (New RAT), LTE (Long Term Evolution)
  • the wireless device may include a robot 100a, a vehicle 100b-1, 100b-2, an eXtended Reality (XR) device 100c, a hand-held device 100d, and a home appliance 100e. ), an Internet of Thing (IoT) device 100f, and an AI device/server 400 .
  • the vehicle may include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 vehicle capable of performing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the like.
  • the vehicle may inclu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g, a drone).
  • UAV Unmanned Aerial Vehicle
  • XR devices include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MR (Mixed Reality) devices, and include a Head-Mounted Device (HMD), a Head-Up Display (HUD) provided in a vehicle, a television, a smartphone,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a wearable device, a home appliance, a digital signage, a vehicle, a robot, and the like.
  • the portable device may includ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wearable device (eg, a smart watch, smart glasses), a computer (eg,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 Home appliances may include a TV,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 the IoT device may include a sensor, a smart meter, and the like.
  • the base station and the network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device, and the specific wireless device 200a may operate as a base station/network node to other wireless devices.
  •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300 through the base station 200 .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network 300 may be configured using a 3G network, a 4G (eg, LTE) network, or a 5G (eg, NR) network.
  •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base station 200/network 300, but may also communicate directly (e.g. sidelink communica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ase station/network.
  • the vehicles 100b-1 and 100b-2 may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e.g. Vehicle to Vehicle (V2V)/Vehicle to everything (V2X) communication).
  • the IoT device eg, sensor
  • the IoT device may communicate directly with other IoT devices (eg, sensor) or other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150b, and 150c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base station 200 and the base station 200/base station 200 .
  • the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includes uplink/downlink communication 150a and sidelink communication 150b (or D2D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s 150c (eg relay, IAB (Integrated Access Backhaul)).
  • This can be done through technology (eg 5G NR)
  •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150b, 150c allows the wireless device and the base station/radio device,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o transmit/receive wireless signals to each other.
  • the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150b, and 150c may transmit/receive signals through various physical channels.
  • various signal processing processes eg, channel encoding/decoding, modulation/demodulation, resource mapping/demapping, etc.
  • resource allocation processes etc.
  • NR supports a number of numerology (or subcarrier spacing (SCS)) to support various 5G services.
  • numerology or subcarrier spacing (SCS)
  • SCS subcarrier spacing
  • the NR frequency band may be defined as a frequency range of two types (FR1, FR2).
  • the numerical value of the frequency range may be changed, and for example, the frequency ranges of the two types (FR1, FR2) may be as shown in Table 5 below.
  • FR1 may mean “sub 6GHz range”
  • FR2 may mean “above 6GHz range” and may be called millimeter wave (mmW). .
  • mmW millimeter wave
  • FR1 may include a band of 410 MHz to 7125 MHz as shown in Table 6 below. That is, FR1 may include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5850, 5900, 5925 MHz, etc.) or higher.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6GHz (or 5850, 5900, 5925 MHz, etc.) or higher included in FR1 may include an unlicensed band. The unlicensed band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for communication for a vehicle (eg, autonomous driving).
  • the first wireless device 100 and the second wireless device 200 may transmit/receive wireless signals through various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eg, LTE, NR).
  • ⁇ first wireless device 100, second wireless device 200 ⁇ is ⁇ wireless device 100x, base station 200 ⁇ of FIG. 17 and/or ⁇ wireless device 100x, wireless device 100x) ⁇ can be matched.
  • the first wireless device 1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one or more memories 104 , an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and/or one or more antennas 108 .
  • the processor 102 controls the memory 104 and/or the transceiver 106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 charts disclosed herein.
  • the processor 102 may process information in the memory 104 to generate first information/signal, and then transmit a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6 .
  • the processor 102 may receive the ra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6 , and then st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signal processing of the second information/signal in the memory 104 .
  • the memory 104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2 and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02 .
  • memory 104 may provid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some or all of the processes controlled by processor 102 , or for performing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charts disclosed herein. may store software code including
  • the processor 102 and the memory 104 may be part of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designed to impl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g, LTE, NR).
  • the transceiver 106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102 , and may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via one or more antennas 108 .
  • the transceiver 106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or a receiver.
  • the transceiver 106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radio frequency (RF) unit.
  • RF radio frequency
  • a wireless device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 the second wireless device 2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202 , one or more memories 204 , an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transceivers 206 and/or one or more antennas 208 .
  • the processor 202 controls the memory 204 and/or the transceiver 206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flow charts disclosed herein.
  • the processor 202 may proces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204 to generate third information/signal, and then transmit a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third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206 .
  • the processor 202 may receive the radio signal including the fourth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206 , and then st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signal processing of the fourth information/signal in the memory 204 .
  • the memory 204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202 and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202 .
  • the memory 204 may provid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some or all of the processes controlled by the processor 202, or for performing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charts disclosed herein. may store software code including
  • the processor 202 and the memory 204 may be part of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designed to impl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g, LTE, NR).
  • the transceiver 206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202 and may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via one or more antennas 208 .
  • Transceiver 206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or receiver. Transceiver 206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n RF unit.
  • a wireless device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 one or more protocol layers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
  •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may implement one or more layers (eg, functional layers such as PHY, MAC, RLC, PDCP, RRC, SDAP).
  •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are configured to process one or more Protocol Data Units (PDUs) and/or one or more Service Data Units (SDU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function, procedure, proposal, method, and/or operational flowcharts disclosed herein.
  • PDUs Protocol Data Units
  • SDUs Service Data Units
  •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may generate messages, control information,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function, procedure, proposal, method, and/or flow charts disclosed herein.
  •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202 generate a signal (eg, a baseband signal) including PDUs, SDUs, messages, control information,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 to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and 206 .
  •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may receive signals (eg, baseband signals) from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 and may be described,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charts disclosed herein.
  • PDUs, SDUs, messages, control information, data, or information may be acquired according to the fields.
  •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be referred to as a controller, microcontroller, microprocessor, or microcomputer.
  •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firmware or software may be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and the firmware or software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modules, procedures, functions, and the like.
  •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flow char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provide that firmware or software configured to perform is included in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 or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104 , 204 . It may be driven by the above processors 102 and 202 .
  •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methods, and/or flowcharts of operation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in the form of code, instructions, and/or a set of instructions.
  • One or more memories 104 , 204 may be coupled with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 and may store various forms of data, signals, messages, information, programs, code, instructions, and/or instructions.
  • the one or more memories 104 and 204 may be comprised of ROM, RAM, EPROM, flash memory, hard drives, registers, cache mem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and/or combinations thereof.
  • One or more memories 104 , 204 may be located inside and/or external to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 Additionally, one or more memories 104 , 204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through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may transmit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referred to in the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charts of this document to one or more other devices.
  • th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may receive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s,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methods and/or flow charts, etc. disclosed herein, from one or more other devices. there is.
  •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may control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to transmit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or wireless signals to one or more other devices.
  •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may control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to receive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or wireless signals from one or more other devices.
  •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antennas 108, 208, and th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may be coupled via one or more antennas 108, 208 to the descriptions, functions, and functions disclosed herein. , may be set to transmit and receive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 one or more antennas may be a plurality of physical antennas or a plurality of logical antennas (eg, antenna ports).
  • th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convert the received radio signal/channel, etc. from the RF band signal to process the received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channel, etc. using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It can be converted into a baseband signal.
  •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may convert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processed using one or more processors 102 , 202 from baseband signals to RF band signals.
  •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 206 may include (analog) oscillators and/or filters.
  • FIG 19 shows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device applicabl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wireless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02 , 202 , at least one memory 104 , 204 , at least one transceiver 106 , 206 , and one or more antennas 108 , 208 . there is.
  • FIG. 18 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ample of the wireless device described above in FIG. 18 and the example of the wireless device in FIG. 19 , in FIG. 18 , the processors 102 and 202 and the memories 104 and 204 are separated, but in the example of FIG. 19 , the processor The point is that memories 104 and 204 are included in (102, 202).
  • the specific descriptions of the processors 102 and 202, the memories 104 and 204, the transceivers 106 and 206, and the one or more antennas 108 and 208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so to avoid unnecessary repetition of the description, A description of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고 및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이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에 관련된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한편, 네트워크가 구축되지 않은 넓은 지역(e.g., 산간/사막/초원 지역 등)에서는 네트워크를 신설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그에 비해 네트워크 이용률이 높지 않다는 특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넓은 지역을 커버하도록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 보다는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위치에서 네트워크가 운영될 수 있도록 이동형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고 및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이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셀이 운영되는 시간을 예측 가능한 이동 가능한 셀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추후 셀에 접속할 수 있는 시간 자원을 포함한 셀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에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단말이 불필요하게 셀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방지되어 단말의 에너지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자긴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3은 NR에서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는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5G 사용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기지국이 이동하면서 셀을 운영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8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단일/다중 라우트 기반의 드론 기지국 동작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D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NR)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도 1은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을 제공하는 gNB 및/또는 eN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gNB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gNB 및 eNB는 상호 간에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gNB 및 eNB는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과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UPF(user plane function)과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도 2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 IP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NR에서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10 ms(millisecond)로 구성될 수 있고, 1 ms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10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에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slot)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부반송파 간격 설정(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를 예시한다.
[표 1]
Figure PCTKR2021012959-appb-I000001
다음 표 2는 부반송파 간격 설정(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에 따라, 프레임 내 슬롯 개수(Nframeμ slot),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 슬롯 내 심볼 개수(Nslot symb) 등을 예시한다.
μ Nslot symb Nframe , μ slot Nsubframe , μ slot
0 14 10 1
1 14 20 2
2 14 40 4
3 14 80 8
4 14 160 16
도 3에서는, μ=0, 1, 2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다음 표 3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들로 구성될 수 있다.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CCE의 개수(Number of CCEs )
1 1
2 2
4 4
8 8
16 16
즉, PDCCH는 1, 2, 4, 8 또는 16개의 CCE들로 구성되는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CCE는 6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며, 하나의 REG는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된다. NR에서는 다음 기술/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 구조(Self-contained subframe structure)>도 4는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NR에서는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4과 같이, 하나의 TTI내에,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되는 구조가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의 한가지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4에서 빗금 친 영역은 하향링크 제어(down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은 상향링크 제어(up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낸다.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DL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 UL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서 하향링크(DL) 전송과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서 DL data를 보내고, UL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및 제어 영역이 TDM된 서브프레임 구조(data and control TDMed subframe structure)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의 전환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위한 타입 갭(time gap)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5G 사용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5G 사용 시나리오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은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5G 사용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G의 세 가지 주요 요구 사항 영역은 (1) 개선된 모바일 광대역(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영역, (2) 다량의 머신 타입 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영역 및 (3) 초-신뢰 및 저 지연 통신(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사용 예는 최적화를 위해 다수의 영역을 요구할 수 있고, 다른 사용 예는 단지 하나의 핵심 성능 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에만 포커싱 할 수 있다. 5G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들을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eMBB는 데이터 속도, 지연, 사용자 밀도, 모바일 광대역 접속의 용량 및 커버리지의 전반적인 향상에 중점을 둔다. eMBB는 10Gbps 정도의 처리량을 목표로 한다. eMBB는 기본적인 모바일 인터넷 접속을 훨씬 능가하게 하며, 풍부한 양방향 작업, 클라우드 또는 증강 현실에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커버한다. 데이터는 5G의 핵심 동력 중 하나이며, 5G 시대에서 처음으로 전용 음성 서비스를 볼 수 없을 수 있다. 5G에서, 음성은 단순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연결을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처리될 것으로 기대된다. 증가된 트래픽 양의 주요 원인은 콘텐츠 크기의 증가 및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수의 증가이다. 스트리밍 서비스(오디오 및 비디오), 대화형 비디오 및 모바일 인터넷 연결은 더 많은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될수록 더 널리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많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 및 알림을 푸쉬하기 위해 항상 켜져 있는 연결성을 필요로 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통신 플랫폼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업무 및 엔터테인먼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의 성장을 견인하는 특별한 사용 예이다. 5G는 또한 클라우드 상의 원격 업무에도 사용되며, 촉각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때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도록 훨씬 더 낮은 단-대-단(end-to-end) 지연을 요구한다. 엔터테인먼트에서 예를 들면, 클라우드 게임 및 비디오 스트리밍은 모바일 광대역 능력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이다. 엔터테인먼트는 기차, 차 및 비행기와 같은 높은 이동성 환경을 포함하여 어떤 곳에서든지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 필수적이다. 또 다른 사용 예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증강 현실 및 정보 검색이다. 여기서, 증강 현실은 매우 낮은 지연과 순간적인 데이터 양을 필요로 한다.
mMTC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다량의 저비용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되며, 스마트 계량, 물류, 현장 및 신체 센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mMTC는 10년 정도의 배터리 및/또는 1km2 당 백만 개 정도의 장치를 목표로 한다. mMTC는 모든 분야에서 임베디드 센서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며, 가장 많이 예상되는 5G 사용 예 중 하나이다. 잠재적으로 2020년까지 IoT 장치들은 204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 IoT는 5G가 스마트 도시, 자산 추적(asset tracking), 스마트 유틸리티, 농업 및 보안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 중 하나이다.
URLLC는 장치 및 기계가 매우 신뢰성 있고 매우 낮은 지연 및 높은 가용성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통신, 산업 제어, 공장 자동화, 원격 수술, 스마트 그리드 및 공공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URLLC는 1ms의 정도의 지연을 목표로 한다. URLLC는 주요 인프라의 원격 제어 및 자율 주행 차량과 같은 초 신뢰/지연이 적은 링크를 통해 산업을 변화시킬 새로운 서비스를 포함한다. 신뢰성과 지연의 수준은 스마트 그리드 제어,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드론 제어 및 조정에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도 5의 삼각형 안에 포함된 다수의 사용 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5G는 초당 수백 메가 비트에서 초당 기가 비트로 평가되는 스트림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FTTH(fiber-to-the-home) 및 케이블 기반 광대역(또는 DOCSIS)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속도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뿐 아니라 4K 이상(6K, 8K 및 그 이상)의 해상도로 TV를 전달하는 데에 요구될 수 있다. VR 및 AR 애플리케이션은 거의 몰입형(immersive) 스포츠 경기를 포함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특별한 네트워크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게임의 경우, 게임 회사가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어 서버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에지 네트워크 서버와 통합해야 할 수 있다.
자동차(Automotive)는 차량에 대한 이동 통신을 위한 많은 사용 예와 함께 5G에 있어 중요한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승객을 위한 엔터테인먼트는 높은 용량과 높은 모바일 광대역을 동시에 요구한다. 그 이유는 미래의 사용자는 그들의 위치 및 속도와 관계 없이 고품질의 연결을 계속해서 기대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분야의 다른 사용 예는 증강 현실 대시보드이다. 운전자는 증강 현실 대비보드를 통해 앞면 창을 통해 보고 있는 것 위에 어둠 속에서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대시보드는 물체의 거리와 움직임에 대해 운전자에게 알려줄 정보를 겹쳐서 디스플레이 한다. 미래에, 무선 모듈은 차량 간의 통신, 차량과 지원하는 인프라구조 사이에서 정보 교환 및 자동차와 다른 연결된 장치(예를 들어, 보행자에 의해 수반되는 장치)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 시스템은 운전자가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행동의 대체 코스를 안내하여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한다. 다음 단계는 원격 조종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이 될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자율 주행 차량 사이 및/또는 자동차와 인프라 사이에서 매우 신뢰성이 있고 매우 빠른 통신을 요구한다. 미래에, 자율 주행 차량이 모든 운전 활동을 수행하고, 운전자는 차량 자체가 식별할 수 없는 교통 이상에만 집중하도록 할 것이다. 자율 주행 차량의 기술적 요구 사항은 트래픽 안전을 사람이 달성할 수 없을 정도의 수준까지 증가하도록 초 저 지연과 초고속 신뢰성을 요구한다.
스마트 사회로서 언급되는 스마트 도시와 스마트 홈은 고밀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임베디드 될 것이다. 지능형 센서의 분산 네트워크는 도시 또는 집의 비용 및 에너지 효율적인 유지에 대한 조건을 식별할 것이다. 유사한 설정이 각 가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창 및 난방 컨트롤러, 도난 경보기 및 가전 제품은 모두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센서 중 많은 것들이 전형적으로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 저전력 및 저비용을 요구한다. 하지만, 예를 들어, 실시간 HD 비디오는 감시를 위해 특정 타입의 장치에서 요구될 수 있다.
열 또는 가스를 포함한 에너지의 소비 및 분배는 고도로 분산화되고 있어, 분산 센서 네트워크의 자동화된 제어가 요구된다. 스마트 그리드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도록 디지털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이런 센서를 상호 연결한다. 이 정보는 공급 업체와 소비자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그리드가 효율성, 신뢰성, 경제성, 생산의 지속 가능성 및 자동화된 방식으로 전기와 같은 연료의 분배를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지연이 적은 다른 센서 네트워크로 볼 수도 있다.
건강 부문은 이동 통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임상 진료를 제공하는 원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다. 이는 거리에 대한 장벽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주고, 거리가 먼 농촌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의료 서비스로의 접근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중요한 진료 및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 통신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심박수 및 혈압과 같은 파라미터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및 모바일 통신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배선은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높다. 따라서, 케이블을 재구성할 수 있는 무선 링크로의 교체 가능성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매력적인 기회이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는 것은 무선 연결이 케이블과 비슷한 지연, 신뢰성 및 용량으로 동작하는 것과, 그 관리가 단순화될 것을 요구한다. 낮은 지연과 매우 낮은 오류 확률은 5G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새로운 요구 사항이다.
물류 및 화물 추적은 위치 기반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여 어디에서든지 인벤토리(inventory) 및 패키지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에 대한 중요한 사용 예이다. 물류 및 화물 추적의 사용 예는 전형적으로 낮은 데이터 속도를 요구하지만 넓은 범위와 신뢰성 있는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가 구축되지 않은 넓은 지역(e.g., 산간/사막/초원 지역 등)에서는 네트워크를 신설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그에 비해 네트워크 이용률이 높지 않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넓은 지역을 커버하도록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 보다는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위치에서 네트워크가 운영될 수 있도록 이동형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운영 환경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드론(drone), 풍선(balloon)과 같은 형태를 지닌 기지국이 이동하며 필요한 지역에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이동하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는 않지만 적은 수의 이동형 기지국이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최소한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6은 기지국이 이동하면서 셀을 운영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셀(cell)이 운영하는 상황을 고려한다. 도 6에서와 같이 기지국이 이동하며 정해진 위치들에서 일정 시간 동안 셀을 운영한다. 도 6에서 각 기지국은 P1, P2, ..., P5의 위치를 순환하며 각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셀은 운영한다. 이 때, 동일 루트(route)를 통해 복수개의 기지국이 이동하며 셀을 운영할 수 있다.
이 때, 각 기지국은 자신의 셀 ID를 동일하게 유지하며 각 위치에서 셀을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 위치에서 단말은 셀을 운영하는 기지국이 달라짐에 따라 다른 셀 ID를 사용하여 셀에 접속을 수행해야 한다. 반면 기지국은 자신은 셀 ID를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셀을 운영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위치에서는 서로 다른 기지국들이 동일한 셀 id를 사용하여 셀을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 위치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상관없이 동일 셀 ID를 사용하여 셀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셀 운영 방법 1
기지국 A1은 위치 P1, P2, …, P5를 순환하며 각 위치에서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1에서 D1_1의 시간 동안 셀 ID X1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2에서 D2_1의 시간 동안 셀 ID X1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5에서 D5_1의 시간 동안 셀 ID X1을 사용항 셀을 운영한다.
기지국 A2는 위치 P1, P2, …, P5를 순환하며 각 위치에서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1에서 D1_2의 시간 동안 셀 ID X2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2에서 D2_2의 시간 동안 셀 ID X2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5에서 D5_2의 시간 동안 셀 ID X2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셀 운영 방법 2
기지국 A1은 위치 P1, P2, …, P5를 순환하며 각 위치에서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1에서 D1_1의 시간 동안 셀 ID X1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2에서 D2_1의 시간 동안 셀 ID X2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5에서 D5_1의 시간 동안 셀 ID X5을 사용항 셀을 운영한다.
기지국 A2는 위치 P1, P2, …, P5를 순환하며 각 위치에서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1에서 D1_2의 시간 동안 셀 ID X1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2에서 D2_2의 시간 동안 셀 ID X2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 위치 P5에서 D5_2의 시간 동안 셀 ID X5을 사용하여 셀을 운영한다.
특징적으로 각 위치에서 셀은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여 셀을 운영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주변에 셀이 생성되면, 해당 셀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위치에서 셀이 항상 운영되는 것이 아니므로 단말은 자신의 위치 및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셀 서치(search) 및 셀 접속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반면 자신의 주변에 셀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불필요하게 셀 접속을 시도하지 않고 파워 세이빙(power saving)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특정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셀이 운영되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말이 동일한 셀에 다시 접속을 수행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단말은 동일 셀 또는 비슷한 특성을 지닌 셀에 재 접속 시 효율적으로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운영되는 셀 환경에서 단말이 효과적으로 셀을 서치하고 셀에 접속하여 동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의 추가적인 이점, 목적 및 특징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다음을 검토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또는 본 명세서의 실시로부터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목적 및 기타 이점은 첨부된 도면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된 구조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작용 및 기타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셀 운영 방식을 기반으로,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을 서치하고 셀에 접속하는 방법 및 관련 설정(configuration)을 제안한다.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을 서치하고 셀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단말은 셀이 운영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셀에 접속을 시도해야 한다.
이 때, 단말이 셀에 접속 가능한 시간에 대한 설정을 ‘셀 액세스(access) 타임(time) 설정’이라 할 때,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셀의 운영 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셀의 운영 방식에 따라 기지국에 따라 셀 ID가 결정되거나, 위치(location)에 따라 기지국의 셀 ID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고려하여 단말의 위치에 따른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이 설정될 필요가 있으며, 복수개 위치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셀의 운영 시간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셀이 생성 및 운영되는 시간은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Traffic)이 많아지는 요일/시간대에는 더 많은 기지국을 사용하여 특정 지점에 더 자주 셀이 생성될 수 있다.
* 셀이 운영되는 시간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이 셀에 접속 가능한 시간에 대한 설정인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할 때에, 셀이 생성 및 운영되는 시간이 계획된 시간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트래픽, 기상 등의 영향으로 특정 지점에 기지국이 도달하는 시간이 약속 시간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예시에 대한 보다 원활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해 본 명세서의 개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구체적인 장치의 명칭이나 구체적인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이하의 도면에 사용된 구체적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7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도 7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말은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위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단말이 수신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단말이 이전에 액세스를 수행했던 셀로부터 수신한 정보 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이 수신한 정보를 편의 상 ‘셀 액세스 설정 정보’라고 표기하였으나, 이는 후술할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에 따르면, 단말은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S710). 여기서,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은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720). 여기서,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은, 탐색된 셀에 대해 캠프 온 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셀에 대한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상기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셀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시간 자원의 i) 듀레이션, ii) 주기, iii)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자원에서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시도하고, 및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자원 이외의 시간 자원에서는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시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단말은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와는 상이한 다른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고, 및 상기 다른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과는 상이한 다른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시간 자원은 상기 셀이 운영되는 시간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시간 자원은 상기 셀이 운영되는 확률이 높은 시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주기적인 셀 접속에 대한 시간 자원 정보 또는 비주기적인 셀 접속에 대한 시간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특정 시간 구간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은 드론 또는 열기구이고, 상기 기지국이 운영하는 상기 셀은 고정된 셀 아이디를 가지거나 또는 이동에 따라 가변하는 셀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7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섹션 A 내지 섹션 F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A. 셀 액세스 타임 설정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을 서치하고 셀에 접속하기 위해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네트워크로부터 설정(configure)받을 수 있다. 이러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닐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앞서 설명한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 상 위 용어들을 혼용하도록 한다.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트하는 MIB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아래 표 4와 같은 MIB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의 MIB는 BCH 상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4]
Figure PCTKR2021012959-appb-I000002
여기서, 각각의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을 수 잇다.
- cellBarred
'barred' 값은 셀이 차단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필드는 IAB-MT에서 무시된다.
- dmrs-TypeA-Position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대한 (첫 번째) DM-RS의 위치.
- intraFreqReselection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금지되거나 UE에 의해 금지된 것으로 처리될 때 주파수 내 셀에 대한 셀 선택/재선택을 제어한다. 이 필드는 IAB-MT에서 무시된다.
- pdcch-ConfigSIB1
공통 ControlResourceSet(CORESET), 공통 검색 공간 및 필요한 PDCCH 매개변수를 결정한다. 필드 ssb-SubcarrierOffset이 SIB1이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경우, 필드 pdcch-ConfigSIB1은 UE가 SIB1을 갖는 SS/PBCH 블록을 찾을 수 있는 주파수 위치 또는 네트워크가 SIB1과 함께 SS/PBCH 블록을 제공하지 않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 ssb-SubcarrierOffset
kSSB에 해당하며, 이는 SSB와 전체 자원 블록 그리드 간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서브캐리어 수)이다.
이 필드의 값 범위는 PBCH 내에서 인코딩된 추가적인 최상위 비트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이 필드는 이 셀이 SIB1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MIB에 구성된 CORESET#0이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필드 pdcch-ConfigSIB1은 UE가 SIB1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 및 검색 공간을 갖는 SS/PBCH를 (못) 찾을 수 있는 주파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 subCarrierSpacingCommon
초기 액세스, 페이징 및 브로드캐스트 SI 메시지를 위한 SIB1, Msg.2/4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 UE가 FR1 반송파 주파수에서 이 MIB를 획득하면 scs15or60 값은 15kHz에 해당하고 scs30or120 값은 30kHz에 해당한다. UE가 FR2 반송파 주파수에서 이 MIB를 획득하면 scs15or60 값은 60kHz에 해당하고 scs30or120 값은 120kHz에 해당한다. 공유 스펙트럼 채널 액세스를 사용한 동작의 경우, SIB1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은 해당 SSB에 대한 간격과 동일하고 이 IE는 대신 서빙 셀에서 SS/PBCH 블록 간의 QCL 관계를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 systemFrameNumber
10비트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의 최상위 6비트(MSB). SFN의 4 LSB는 채널 코딩의 일부로 PBCH 전송 블록에서 전달된다(즉, MIB 인코딩 외부).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 정보들이 앞서 설명한 MIB에서의 파라미터와 함게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아래 정보들이 MIB를 통해 전송되는 예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수 있다. 즉, 아래 정보들은 MIB와는 상이한 방식(예컨대, 아래 정보들이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방식)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셀 ID(physCellId), 셀 ID에 대응하는 셀의 위치(location), 셀 접속 시간(cell-access-time) 등을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셀 접속 시간은 상기 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직접 해당 시간을 알려주거나, 또는 i) 주기(Period):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주기, ii) 오프셋(Offset):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오프셋, iii) 듀레이션(Duration):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듀레이션 등을 알려줄 수도 있다(아래 보다 상세히 후술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MIB를 통한 설정 수행은 단지 예일 뿐, 제한이 아니다(시스템 정보, 단말 특정적 RRC 메시지, MAC 메시지, DCI,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 등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단말이 특정 셀 ID를 지닌 셀에 대해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통해 특정 셀에 접속 가능한 시간 자원 정보를 설정 받는다.
이러한 정보를 받으면 단말은 해당 셀 ID를 지닌 셀에 대한 접속을 해당 시간 자원 내에서 시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이 셀이 생성/운영되지 않는 시간에 불필요하게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개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단말에게 서로 다른 셀 ID and/or 위치에 대한 셀 접속 가능 시간 자원을 설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복수개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 받을 때, 각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서로 다른 셀 ID에 대한 설정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앞서 기술한 ‘셀 운영 방법 2’에서와 같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셀 ID를 사용하여 셀을 운영 할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앞서 기술한 ‘셀 운영 방법 1’에서와 같이 기지국에 따라 서로 다른 셀 ID를 사용하여 셀을 운영 할 때, 동일 위치에서 서로 다른 기지국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 본 명세서에 따르면, 단말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단일 개 설정 받고, 이때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 내에 복수의 셀 아이디 및/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포함된 복수의 정보들은 예컨대, i) 주기(Period):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주기들, ii) 오프셋(Offset):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오프셋들, iii) 듀레이션(Duration):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듀레이션들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할 바(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 관점에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 받은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셀이 운영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설정 받은 시간 구간 내에 셀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셀 서치 및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에는 셀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셀 서치 과정 없이 해당 셀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해당 시간 구간 밖에서는 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해당 셀을 서치하거나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셀을 서치 하거나 접속을 위한 동작의 수행 여부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통해 설정 받은 시간 구간 내인지 여부에 종속적일 수 있다.
-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셀이 운영되는 확률이 존재하는 또는 확률이 높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해당 시간 구간에 셀이 항상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셀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시간 구간이므로 단말은 해당 구간에서 해당 셀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셀 서치 및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시간 구간 밖에서는 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는 없으나, 셀이 존재할 확률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해당 시간 구간 외의 영역에서도 셀 감지(detection)에 성공하고 셀에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해당 시간 구간 밖에서는 해당 셀을 서치하거나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해당 시간 구간 밖에서는 적극적인 셀 서치를 수행하지 않고 보다 적은 빈도로 셀 서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셀을 서치 하거나 접속을 위한 동작의 수행 빈도를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통해 설정 받은 시간 구간 내인지 여부에 종속적으로 정할 수 있다.
-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의하여 설정 받은 시간 구간 바깥에서는, 전력 절감 모드 동작(예를 들어, 특정 신호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전력 절감 모드 동작 수행 여부(또는 전력 절감 동작의 수행 강도)는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통해 설정 받은 시간 구간 내인지 여부에 종속적일 수 있다.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의해 설정 받은 시간 구간은 실제 셀이 운영되는 시간과 동일하거나 그 일부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이 운영하는 후반부의 시간에는 기지국이 곧 해당 지역에서 동작을 중단하고 떠날(leave) 것이기 때문에, 해당 시간 구간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으로 설정되는 자원에서 제외하여, 새로운 단말이 불필요하게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구체적으로 하기 주기적(periodic) 설정 and/or 비주기적(aperiodic) 설정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B. 주기적 설정
주기적인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주기적인 셀 접속 가능 시간 자원 정보를 설정한다. 단말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통해 주기적인 시간 자원 정보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가 포함된다.
- 셀 ID
운영되는 셀의 셀 ID 정보를 의미한다.
- 위치
셀이 생성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이는 셀이 생성되는 센터(center)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정보를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할 셀을 판단할 수 있다.
- 주기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주기를 의미한다.
- 오프셋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오프셋을 의미한다.
- 듀레이션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듀레이션을 의미한다. 또는 별도 듀레이션의 설정 없이 주기와 오프셋으로 인해 결정되는 시점에서부터 X msec 동안 또는 주기와 오프셋으로 인해 결정되는 시점에서부터 - X msec ~ X msec의 시간 구간 동안을 셀이 운영되는 시간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때,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복수개의 오프셋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각 오프셋을 통해 동일 셀 ID를 지니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을 나타내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을 나타내기 위함일 수 있다. 오프셋 1과 오프셋 2의 두 개 오프셋 값이 설정될 경우, 설정 된 주기, 오프셋 1, 듀레이션을 지니는 셀 액세스 타임 구간과 주기, 오프셋 2, 듀레이션을 지니는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이 각각 존재함을 의미한다. 오프셋 값이 여러 개일 경우, 오프셋 값 별로 독립적인 듀레이션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복수개의 오프셋이 설정되었을 때의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나타낸다. 도 8에서와 같이 단말은 동일 주기와 듀레이션을 지닌 셀 액세스 타임 이 오프셋 1, 오프셋 2의 2개 오프셋에 대해 각각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복수개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위치 별로 독립적인 주기, 오프셋, and/or 듀레이션이 설정될 수 있다.
셀이 생성/운영되는 시간이 변경되거나 오차 (e.g., delay)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반영하기 위해 이러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정보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Alt 1.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재설정(reconfigure)할 수 있다. 이 때,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일부 정보만이 재설정(reconfigure)되고 재설정(reconfigure)된 정보만이 업데이트(updat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오프셋 값만이 재설정(reconfigure)되는 경우, 다른 값들은 기준대로 유지되고 오프셋 값 만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변경되는 오프셋 값을 직접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기존 오프셋으로부터의 변화 값인 오프셋_d의 값을 알려주면, 단말은 기존 오프셋 + 오프셋_d를 업데이트 된 오프셋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재설정(reconfigure)된 정보는 이후 지속적으로 적용된다.
* Alt 2.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재설정(reconfigure)하지 않고, 다음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서만 일회성으로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다음에 도달하는 기지국이 일시적으로 시간을 맞추지 못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다음의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 변경 되는 오프셋 값을 알려줄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다음 번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서만 변경되는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판단한다. 이후에는 다시 기존 셀 액세스 타임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판단한다. 이 때, 네트워크는 변경되는 오프셋 값을 직접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기존 오프셋으로부터의 변화 값인 오프셋_d의 값을 알려주면, 단말은 기존 오프셋 + 오프셋_d를 업데이트 된 오프셋 값으로 판단한다.
이 때,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은 업데이트 된 오프셋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듀레이션 구간 동안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즉, 오프셋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셀 액세스 타임의 구간 길이는 듀레이션으로 일정할 수 있다. 반면,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은 업데이트 된 오프셋 위치에서부터 시작하되, 기존 오프셋을 기준으로 듀레이션의 시간 뒤에 종료된다고 판단한다. 즉,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은 오프셋 + 오프셋_d에서 시작하여 오프셋 + 듀레이션의 위치에서부터 종료된다. 이 경우 오프셋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은 일정할 수 있다.
도 9는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설정(configure) 받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따라 셀 액세스 타임을 판단하고 셀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셀과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셀로부터 다음 셀 액세스 타임에 대한 변경된 오프셋 값을 지시(indication)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시는 RRC, MAC CE, DCI 등의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그림에서 단말은 첫 번째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서 오프셋이 업데이트됨을 지시 받았다. 이 경우 단말은 다음 셀 액세스 타임에 대해 변경된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셀 액세스 타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림에서 단말은 두 번째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 변경된 오프셋을 사용하여 셀 액세스 타임을 판단한다. 이후에는 다시 기존의 오프셋 값을 사용하여 셀 액세스 타임을 판단한다.
이를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의 변경 정보를 지시 받은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의 다음(next)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 변경된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의 변경 정보를 지시 받은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의 다음(next) 셀 액세스 타임으로부터 N개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해 변경된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N의 값은 특정 값으로 고정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설정(configure) 될 수 있다.
-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의 변경 정보를 지시 받은 셀 액세스 타임 구간으로부터 M번째 후에 위치하는 셀 액세스 타임에 대해 변경된 셀 액세스 타임 구간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M의 값은 N의 값은 특정 값으로 고정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설정(configure) 될 수 있다.
C. 비주기적 설정
비주기적인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은 비주기적인 셀 접속 가능 시간 자원 정보를 설정한다. 단말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통해 비주기적인 시간 자원 정보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전체 또는 일부가 포함된다.
* 셀 ID
운영되는 셀의 셀 ID 정보를 의미한다.
* 위치
셀이 생성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이는 셀이 생성되는 센터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정보를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할 셀을 판단할 수 있다.
* 오프셋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오프셋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프셋 값을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Alt 1.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수신한 시점이 포함되는 셀 액세스 타임 구간 또는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수신한 시점 이전에 위치한 최신의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의 시작 or 종료 심볼
- Alt 2.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포함한 PDSCH의 전송이 수행되는 시작 or 종료 심볼
- Alt 3.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포함한 PDSCH의 전송이 시작되는 슬롯의 시작 or 종료 심볼
- Alt 4.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포함한 PDSCH의 전송이 종료되는 슬롯의 시작 or 종료 심볼
- Alt 5.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포함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의 전송이 수행되는 시작 or 종료 심볼
- Alt 6.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포함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의 전송이 시작되는 슬롯의 시작 or 종료 심볼
- Alt 7.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포함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의 전송이 종료되는 슬롯의 시작 or 종료 심볼
* 듀레이션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듀레이션을 의미한다. 또는 별도 듀레이션의 설정 없이 주기와 오프셋으로 인해 결정되는 시점에서부터 X msec 동안 또는 주기와 오프셋으로 인해 결정되는 시점에서부터 - X msec ~ X msec의 시간 구간 동안을 셀이 운영되는 시간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복수개의 오프셋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각 오프셋을 통해 동일 셀 ID를 지니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을 나타내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을 나타내기 위함일 수 있다. 오프셋 1과 오프셋 2의 두 개 오프셋 값이 설정될 경우, 설정 된 오프셋 1, 듀레이션을 지니는 셀 액세스 타임 구간과 오프셋 2, 듀레이션을 지니는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이 각각 존재함을 의미한다. 오프셋 값이 여러 개일 경우, 오프셋 값 별로 독립적인 듀레이션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복수개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위치 별로 독립적인 주기, 오프셋, and/or 듀레이션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서는 비주기적인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이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낸다. 단말이 셀에 접속해 있는 동안 다음 셀 액세스 타임 구간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받으면, 단말은 해당 설정을 사용하여 다음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에서 단말은 셀 액세스 타임 A 구간을 사용하여 셀에 접속해 있는 동안 셀 액세스 타임 B 구간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configure) 받는다. 이를 통해 단말은 셀 액세스 타임 B 구간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셀 액세스 타임 B 구간을 사용하여 셀에 접속해 있는 동안 셀 액세스 타임 C 구간에 대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을 설정(configure) 받는다. 이를 통해 단말은 셀 액세스 타임 C 구간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특징적으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의 최초 설정 시에는 필요한 모든 설정이 전송되지만, 이후에는 필요한 특정 설정 만을 설정함으로써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설정할 때에는 상기 언급한 셀 액세스 타임 설정에 필요한 설정들이 모두 설정된다. 하지만 다음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설정할 때에는 오프셋 값 만을 또는 오프셋과 듀레이션 값만을 단말에게 설정(configure)하여 셀 액세스 타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이외의 설정들에 대해서는 처음에/이전에 설정(configure) 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는 아래와 같은 구성 또한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상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산간도서 등의 지역에서 드론(drone) 기지국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드론 기지국은 이동성을 지니며 한정된 배터리 자원을 가지고 동작하는 기지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드론 기지국은 특정 위치에서 또는 복수개의 위치를 이동하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드론 기지국은 배터리 용량 한계로 인하여 잔여 배터리 용량이 일정 값 이하가 되면 운영 스테이션으로 회귀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따라서 드론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에서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드론 기지국 숫자 및 충분한 배터리 용량을 지닌 드론 기지국이 요구되며, 이를 만족하기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운영되는 셀 환경에서 단말이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셀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D.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역 A와 영역 B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영역 A; 항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지역. 지상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 지역
* 영역 B;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지역. 드론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 지역
단말이 영역 A에서 영역 B로 이동 시, 단말은 영역 B 내의 드론 기지국 서비스 위치, 드론 기지국 운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등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사전에 설정 받는다.
또는 단말은 영역 A에서 영역 B로 이동 시,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동의한다. 이 후,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정보 (영역 B 내의 드론 기지국 서비스 위치, 드론 기지국 운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정보를 설정 받는다.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해 단말은 영역 B로 이동/진입 시,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을 동의하며, 이를 동의한 단말에 대해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단말이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 있는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 있음을 알린다. 또는 영역 B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서비스(전화 통화, 메시지, 인터넷 등) 사용을 시도하면,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 있음을 알린다. 단말이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 있는 경우, 단말기는 현재 이동통신 이용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 현재 이동통신 이용이 불가한 경우, 단말기는 서비스가 가능한 시점까지의 대기 시간을 표시한다.
단말이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이용이 불가한 시점에 SMS 송신을 시도하는 경우, 서비스가 가능한 시간에 자동으로 SMS 전송이 수행된다. 이동통신 이용이 불가한 시점에 단말을 수신자로 하는 SMS가 전송되는 경우, 서비스가 가능한 시간에 자동으로 단말에게 SMS 전송이 수행된다.
단말이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이용이 불가한 시점에 지연 허용(delay tolerant)한 특성을 지니는 트래픽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단말기는 서비스가 가능한 시간에 자동으로 트래픽 전송을 수행한다.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통신 이용이 불가한 시점에 있는 단말을 수신자로 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송신자에게 수신자가 간헐적 서비스 영역에 있기에 실시간 통화 서비스가 되지 않음을 알린다.
E. 드론 기지국 동작 방식
E.1. 단일/다중 라우트 기반의 드론 기지국 동작
도 11은 단일/다중 라우트 기반의 드론 기지국 동작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이 작은 넓이의 지역인 경우, 단일 라우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위치 P1, P2, P3, P4가 존재할 때, P1, P2, P3, and P4가 하나의 라우트를 구성한다. 드론 기지국(DB)은 P1, P2, P3, and P4를 순서대로 순환하며 각 위치에서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나의 라우트를 복수개의 드론 기지국이 순환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간헐적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이 광대해지면 다중 라우트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드론 기지국은 하나의 라우트를 순환하여 각 위치에서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는 2개의 라우트가 존재하며, 라우트 R1은 P1, P2, P3, and P4로 구성되고, 라우트 R2는 P2, P3, P5, and P6로 구성된다. DB1과 DB2는 R1에서 운영되며, DB3는 R2에서 운영된다.
다수의 라우트들은 일부 위치에서 중첩될 수 있다. 도 11에서 라우트 R1과 라우트 R2는 P2와 P3 위치에서 중첩된다. 이 경우 각 라우트에서 동작하는 드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들에 있어, 셀간 간섭이 발생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각 라우트 별로 드론 기지국에서 운영되는 셀의 중심 주파수를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즉, 라우트 별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여 셀이 운영된다. 일례로, 라우트 R1에서 운영되는 DB1과 DB2는 중심 주파수 f1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형성하도록 하고, 라우트 R2에서 운영되는 DB2은 중심 주파수 f2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형성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서로 다른 라우트가 중첩될 때, 서로 다른 라우트에서 운영되는 드론 기지국간 물리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 라우트를 따라서 운행하는 드론의 운행 고도는 다를 수 있다. 즉, 라우트 별로 드론의 운행 고도가 가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라우트에서 형성되는 셀의 반경이 다를 수 있다.
E.2. 고정 위치 기반의 드론 기지국 동작
라우트 방식과 같이 드론 기지국이 복수개의 위치를 이동하여 셀을 운영하지 않고, 드론 기지국은 고정 위치에서 정지하여 셀을 운영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는 서로 다른 드론 기지국이 셀을 운영한다. 드론 기지국은 배터리 용량 한계로 인하여 잔여 배터리 용량이 일정 값 이하가 되면 운영 스테이션으로 회귀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따라서 하나의 드론 기지국이 지속적으로 특정 위치에서 셀을 생성하여 운영할 수 없다. 드론 기지국 DB1이 위치 P1에서 셀의 운영을 중단하고 운영 스테이션으로 회귀 및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드론 기지국 DB2가 동일 위치 P1에서 셀을 운영할 수 있다.
F. 핸드 오버 과정
상기 섹션 E.1의 단일/다중 라우트 기반의 드론 기지국 동작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드론 기지국은 특정 라우트 내의 특정 위치들에서 일정 시간 동안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위치 관점에서는 서로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이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생성되었다가 사라진다. 예를 들어 주기적/비주기적으로 구성되는 시간 구간 T1에서는 드론 기지국 DB1이 셀을 생성하여 운영하고, 주기적/비주기적으로 구성되는 시간 구간 T2에서는 드론 기지국 DB2가 셀을 생성하여 운영한다. 시간 구간 T1과 T2는 서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관점에서는 단말이 동일 위치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현재 접속 중인 셀을 운영하는 드론 기지국이 셀의 운영을 종료하여 셀이 사라지며, 특정 시작 후에 다른/동일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이 생성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섹션 E.2의 고정 위치 기반의 드론 기지국 동작에서 역시 현재 접속 중인 셀을 운영하는 드론 기지국이 배터리 충전을 위해 셀의 운영을 종료하여 셀이 사라지며, 특정 시작 후에 다른/동일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이 생성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즉, 단말은 현재 제 1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 2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과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이 요구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의 현재 서빙 드론 기지국인 제 1 드론 기지국을 DB_L로 약칭하고, 다음 시간 구간에 서비스를 제공할 제 2 드론 기지국을 DB_A로 약칭한다. 제 1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을 리빙(leaving) 셀 (셀_L)이라 명칭하고, 제 2 드론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을 어라이빙(arriving) 셀 (셀_A)이라 명칭한다. 기존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절차상에서 DB_L이 운영하는 리빙 셀과 DB_A가 운영하는 어라이빙 셀은 각각 서빙(serving) 셀과 타겟(target) 셀이 된다.
F.1. 드론 기지국 간 핸드 오버를 위한 정보 설정 방법
현재 서빙 드론 기지국 DB_L은 다음 서빙 드론 기지국 DB_A의 도착/운영 시간을 알려주거나 사전에 알려준 시간을 보정한다. 이러한 정보는 DB_L이 단말에게 DB_A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해 설정하는 메시지(e.g.,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 DB_L이 단말에게 DB_A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메시지를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HCM)라 하겠다. 이는 기존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와는 다른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DB_L(Drone Base station #1)은 단말과 특정 시간(예컨대, T1) 동안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210).
DB_L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필요성을 판단한다(S1220). 예를 들어, i) DB_L의 잔여 배터리 량이 일정 값 이하가 되었는지, ii) DB_L과 상기 단말 간의 추정 거리가 일정 값 이상인지 iii)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일정 값 이하인지 등 다양한 기준/이유로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오버 필요성의 판단 과정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이 고정된 위치에 있고, DB_L과 DB_A가 규칙적인 이동을 수행할 경우, 핸드오버 필요성 판단을 일정 횟수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DB_L은 상기 단말에게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S1230).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는 예를 들어, 다음 서빙 드론 기지국인 DB_A의 도착/운영 시간(예를 들어, T2)을 알려주거나 사전에 알려준 시간을 보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외에 핸드오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예컨대, 아래에서 설명하는 셀 ID, 중심 주파수 위치, 해당 셀에서 단말이 사용할 C-RNTI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의 설정을 적용하고(S1240),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기반하여 DB_A(Drone Base station #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250). 예를 들면, DB_L이 알려준, DB_A의 도착/운영 시간(T2)에 맞추어 DB_A에게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2 에서는 단말의 핸드오버 필요성을 DB_L(Drone Base station #1)이 판단하였지만, 단말이 스스로의 핸드오버 필요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B_L(Drone Base station #1)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전술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DB_L과 DB_A는 서로 동일한 피지컬(physical) 셀 ID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지시 사항이 없는 경우 단말은 DB_L에서 부여 받았던 C-RNTI를 DB_A와의 송수신에 사용한다. 즉, 셀_L에서 사용하던 C-RNTI를 셀_A에서 그대로 사용한다. 이 경우, 단말은 DB_L (셀_L)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나, 중심 주파수 위치, 셀 ID and/or C-RNTI 등의 정보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DB_L와 DB_A는 서로 다른 피지컬 셀 ID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B_L (셀_L)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통해 DB_A과 사용 할 (셀_A에서 사용 할) C-RNTI를 지정 받는다. 이 외에 셀_A의 셀 ID and/or 중심 주파수 등의 정보를 지정 받는다.
셀_L은 단말에게 다수의 셀_A를 지정해 줄 수 있다. 단말의 위치에 복수개의 라우트가 중첩되는 경우 또는 단말의 이동 등을 고려할 때, 동일 라우트 뿐 아니라 인접 라우트에 존재하는 셀로의 핸드 오버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셀_L로부터 다수의 셀_A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HCM1)는 동일 중심 주파수 및 동일 셀 ID를 지니는 셀에 대한 메시지로, 어라이빙 셀에 대한 셀 ID, 중심 주파수 위치, and/or 해당 셀에서 단말이 사용할 C-RNTI 등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HCM2)는 다른 중심 주파수 및 다른 셀 ID를 지니는 셀에 대한 메시지로, 어라이빙 셀에 대한 셀 ID, 중심 주파수 위치, and/or 해당 셀에서 단말이 사용할 C-RNTI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어라이빙 셀을 선택하여 설정 받은 HCM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을 수행한다.
F.2. 드론 기지국 간의 핸드 오버 방식
단말이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등을 통해 어라이빙 셀에서 사용 할 C-RNTI를 설정 받은 경우, 단말은 어라이빙 셀의 운영 시작 시간부터 PDCCH를 모니터링 하여 지정된 C-RNTI에 대한 ‘PDCCH 오더’를 수신하고, ‘PDCCH 오더’에서 할당한 RACH 자원을 사용하여 CFRA(Contention free Random Access)를 수행한다. 어라이빙 셀의 가동 시간부터 사전에 정해진 시간 이내에 지정된 C-RNTI의 ‘PDCCH 오더’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CBRA(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를 수행한다.
단말이 어라이빙 셀에서 사용 할 C-RNTI를 설정 받지 않은 경우, 단말은 어라이빙 셀의 운영 시작부터 또는 운영 시작 시간 내에 어라이빙 셀과의 이니셜(initial)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여 연결(connection)을 맺는다.
추가적으로 단말이 상기 과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어라이빙 셀에 대한 RSRP 측정(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어라이빙 셀의 운영 시작부터 또는 운영 시작 시간 내에서 RSRP 측정을 수행하고, RSRP 측정 값이 특정 문턱 값(threshold) 이상이면, 상기 핸드오버(handover) 과정 및 이니셜 액세스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특정 시간 구간 T1 내에 RSRP 측정 값이 특정 문턱 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해당 어라이빙 셀에 대한 핸드오버 및 이니셜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RSRP 측정을 수행하는 시간 구간 T1 and/or RSRP의 문턱 값은 네트워크로부터 설정 받거나 사전에 정의된 값일 수 있다.
기존 핸드오버 시,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받은 시점으로부터 핸드오버 인터럽트(interrupt) 타임 내에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해야 한다. 하지만 DB_A가 생성하는 어라이빙 셀이 현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시간 후에 생성되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면, 단말은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 내에 어라이빙 셀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위해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또는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은 기존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의 정의 외에 단말이 특정 시점으로부터 핸드오버 수행을 완료해야 하는 시간 듀레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a) 어라이빙 셀의 운영 시작 시간부터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어 타이머가 동작한다. 이러한 운영 시작 시간은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설정 받은 어라이빙 셀의 운영 시작 (예상) 시간을 의미한다.
b) 단말이 어라이빙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 (즉, 어라이빙 셀의 채널/시그널(channel/signal)의 수신을 시도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어 타이머가 동작한다.
c) 단말이 어라이빙 셀을 감지한 시점부터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어 타이머가 동작한다.
d) 네트워크가 설정하거나 정해진 특정 시점부터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어 타이머가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받음 시점부터 T_A 이후에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어 타이머가 동작한다. T_A는 네트워크로부터 설정 받거나 사전에 정해진 값일 수 있다.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받음 시점부터 T_A 이전에 어라이빙 셀을 감지한 경우, 즉시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어 타이머가 동작할 수 있다.
핸드오버의 수행과 관련하여 ,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앞서 설명했던 도 7에서의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수신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내에는, 앞서 설명한 셀 액세스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i) 주기(Period): 핸드오버 대상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주기, ii) 오프셋(Offset): 핸드오버 대상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오프셋, iii) 듀레이션(Duration): 핸드오버 대상 셀에 접속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의 듀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와는 별개로, 핸드오버 후보 셀에 대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사전에 설정 받은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서 지시하는 핸드오버 대상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핸드오버 실패의 경우에 대한 실시예 또한 제공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핸드오버 절차에서는, 단말이 앞서 설명했던 확장된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즉, 기존보다 시간이 더 긴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확장된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 내에서도 핸드오버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 실패를 선언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다른 셀을 탐색 하기 위해 셀 탐색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가 실패한 단말은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앞서 설명했던 셀 액세스 설정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브로드캐스트된 혹은 기존에 설정 받은 혹은 단말에게 미리 설정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진 주기, 오프셋, 듀레이션 등에 기반하여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셀 환경에서는 셀이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일부 시간 구간 동안만 운영되는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제한된 시간에만 셀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존 단말은 셀이 운영되지 않은 시간 자원에서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셀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여 많은 에너지를 낭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셀이 운영되는 시간을 예측 가능한 이동 가능한 셀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추후 셀에 접속할 수 있는 시간 자원을 포함한 셀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단말이 효율적으로 셀에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단말이 불필요하게 셀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방지되어 단말의 에너지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셀 환경에서는 셀이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일부 시간 구간 동안만 운영되는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접속 중인 셀이 사라지고 일정 시간 후에 생성되는 다른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수 있다. 기존 핸드오버 과정에서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받은 시점으로부터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 내에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해야 한다. 하지만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셀이 현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시간 후에 생성되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면, 단말은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 내에 어라이빙 셀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명세서에 따를 경우, 상대적으로 긴 시간 이후에 생성되는 셀로 핸드오버 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다음 서빙 드론 기지국의 도착/운영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핸드오버 인터럽트 타임이 시작되는 시점을 변경하여 일정 시간 후에 생성되는 셀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 이후에 생성되는 셀로 핸드오버 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이동 셀 환경에서 단말이 현재 접속 중이 셀이 종료되고 새로운 셀이 생성될 때에 성공적으로 해당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자긴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예시들이 적용되는 내용을 다양한 주체 관점에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구체적인 장치의 명칭이나 구체적인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이하의 도면에 사용된 구체적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13에 따르면, 단말은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10).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은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S1320).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은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1330).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다.
도 14에 따르면, 프로세서(1400)는 정보 수신부(1410), 셀 탐색 수행부(1420) 및 액세스 수행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정보 수신부(1410)는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셀 탐색 수행부(1420)는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액세스 수행부(1430)는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기지국은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510).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이고, 상기 기지국은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셀을 운영하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의 일례에 대한 블록도다.
도 16에 따르면, 프로세서(1600)는 정보 전송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정보 전송부(1610)는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이고, 상기 기지국은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셀을 운영하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7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 기지국(200)/기지국(20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e.g.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또는 subcarrier spacing(SCS))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타입(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하기 표 5와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50MHz - 6000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하기 표 6과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가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17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되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2, 202),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4, 204),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106, 206),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18에서 설명한 무선 장치의 예시와, 도 19에서의 무선 장치의 예시의 차이로써, 도 18은 프로세서(102, 202)와 메모리(104, 204)가 분리되어 있으나, 도 19의 예시에서는 프로세서(102, 202)에 메모리(104, 204)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프로세서(102, 202), 메모리(104, 204), 트랜시버(106, 206),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불필요한 기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반복되는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고; 및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이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셀에 대한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셀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시간 자원의 i) 듀레이션, ii) 주기, iii)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자원에서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시도하고, 및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자원 이외의 시간 자원에서는 상기 셀에 대한 액세스를 시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와는 상이한 다른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고, 및
    상기 다른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과는 상이한 다른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자원은 상기 셀이 운영되는 시간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시간 자원은 상기 셀이 운영되는 확률이 높은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주기적인 셀 접속에 대한 시간 자원 정보 또는 비주기적인 셀 접속에 대한 시간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특정 시간 구간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드론 또는 열기구이고,
    상기 기지국이 운영하는 상기 셀은 고정된 셀 아이디를 가지거나 또는 이동에 따라 가변하는 셀 아이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단말(user equipment)은,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게 구성되고;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이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게 구성되고;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이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는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에 있어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게 구성되고;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셀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셀 탐색의 수행에 대한 결과에 기반하여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셀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운영되는 셀이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기지국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이고,
    상기 기지국은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셀을 운영하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기지국은,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액세스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게 구성되되,
    상기 기지국은 이동 가능한 기지국이고,
    상기 기지국은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셀을 운영하고, 및
    상기 셀 액세스 설정 정보는 단말이 상기 셀에 액세스를 하기 위한 시간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CT/KR2021/012959 2020-09-23 2021-09-23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220658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72904.4A EP4221326A1 (en) 2020-09-23 2021-09-23 Method for accessing moving cell, and apparatus using same method
KR1020237004473A KR20230039683A (ko) 2020-09-23 2021-09-23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44 2020-09-23
KR20200123144 2020-09-23
KR10-2020-0147317 2020-11-06
KR20200147317 2020-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876A1 true WO2022065876A1 (ko) 2022-03-31

Family

ID=8084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959 WO2022065876A1 (ko) 2020-09-23 2021-09-23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21326A1 (ko)
KR (1) KR20230039683A (ko)
WO (1) WO202206587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114A (ja) * 2010-10-20 2012-05-10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セル選択方法
WO2016021816A1 (ko)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유발하는 이동 셀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07407A (ko) * 2014-07-01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306785A1 (en) * 2015-09-24 2019-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procedure with mov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20200107237A1 (en) * 2018-09-28 2020-04-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PLOYING A MOVING BASE STATION FOR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114A (ja) * 2010-10-20 2012-05-10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セル選択方法
KR20170007407A (ko) * 2014-07-01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021816A1 (ko)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유발하는 이동 셀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90306785A1 (en) * 2015-09-24 2019-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procedure with mov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20200107237A1 (en) * 2018-09-28 2020-04-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PLOYING A MOVING BASE STATION FOR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683A (ko) 2023-03-21
EP4221326A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664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0197306A1 (en) Activation of secondary cell group configuration upon master cell group failure detection
WO2021071332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WO2020027637A1 (ko) Nr v2x에서 캐리어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85813A1 (ko)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27635A1 (ko) Nr v2x에서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6021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단말
WO2020060281A1 (ko)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27636A1 (ko) Nr v2x에서 파워 컨트롤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60089A1 (ko) 하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20446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을 위한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의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020451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소 적용가능 k0의 예외적 케이스에 대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103394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9142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pdcch 모니터링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009155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빔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2039580A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pusch 반복 전송 자원에 대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2106633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동작 및 휴면 bwp에서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1025467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WO202020449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시그널의 오감지에 대한 에러 핸들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1162465A1 (ko) 멀티플 rx 타이밍을 가진 iab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노드
WO20211580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activity handling in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20904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WO202012252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pdcch 모니터링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2154408A1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2065876A1 (ko) 이동하는 셀의 액세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729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004473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729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