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30722A1 -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30722A1
WO2022030722A1 PCT/KR2021/004314 KR2021004314W WO2022030722A1 WO 2022030722 A1 WO2022030722 A1 WO 2022030722A1 KR 2021004314 W KR2021004314 W KR 2021004314W WO 2022030722 A1 WO2022030722 A1 WO 20220307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bulizer
biomaterial
bio
vacuum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3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민혁
최종언
전경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리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리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리셀
Priority to JP202350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36513A/ja
Priority to US17/923,109 priority patent/US20230173750A1/en
Priority to EP21854307.2A priority patent/EP4194181A1/en
Publication of WO20220307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307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76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 B05B7/088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the outlet orifices for jets constituted by a liquid or a mixture containing a liquid being alig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B05B17/0646Vibrating plates, i.e. plates being directly subjected to the vibrations, e.g. hav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64Conditioning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a bio 3D printer, and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eventing unexpected leakage of a bio material from the nebulizer due to gravity in a 3D printer device including a nebulizer that sprays the bio material downward in the form of mist.
  • the 3D printer includes a frame constituting the XYZ axis, and a nozzle through which a liquid or powder material capable of stacking a three-dimensional form in a flat form is sprayed.
  • the 3D printer includes, for example, a Cartesian method, a Mendel method, a delta method, and a Core XY method depending on a method.
  • the Cartesia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bed moves in the X and Y axes and the nozzle moves in the Z axis to implement 3D printing.
  • the Mendelia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bed moves in the Z axis and the nozzle moves in the X and Y axes to implement 3D printing.
  • the delta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nozzle moves in the X, Y, and Z axes to implement 3D printing.
  • the nozzle In the core XY method, the nozzle is moved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by a belt connected by two motors, and the bed is moved in the Z direction.
  • the core Recently, the core XY method, which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nozzle most precisely, is widely used.
  • a bio three-dimensional (3D) printer is a device that has been structurally modified to three-dimensionally create living tissues or organs by discharging biomaterials through the nozzles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 Such a bio 3D printer includes a nozzle in the form of a dispenser for discharging biomaterials.
  • Bio 3D printers fill nozzles with viscous biomaterials such as collagen and gelatin.
  • a pneumatic system is connected to a nozzle filled with viscous biomaterials and the biomaterials are ejected while pushing them out.
  • the dispenser-type nozzle as described above cannot be used. If the fluidity of the biomaterial is too low due to its low viscosity, a nozzle-type dispenser that uses an extrusion method to squeeze out the material cannot be us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lui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use a valve-type dispenser that controls and injects a small amount of biomaterial in the form of droplets.
  • a method of layered crosslinking or mixed crosslinking while spraying the biomaterial in the form of mist on a substrate by employing a nebulizer may be used.
  • the nebulizer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nebulizer as described above, the nebulizer must be configured to spray the biomaterial downward toward the substrate. Most biomaterials used in bio 3D printers are expensive. However, in the case of a downward spraying nebuliz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iomaterial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unexpectedly leaks downward due to gravity while the output is stopped. In general, it takes about 30 to 60 minutes to print a bio material in a bio 3D printer. In this case, if the research is conducted in the order of output-->cultivation-->printing-->incubation-->observation, it may take more than two weeks. In this process, if the biomaterial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leaks unexpectedly,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economic loss but also fatal errors may occur.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biomaterial of the bio 3D prin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bio 3D printer system including the nebulizer configured to spray the bio material downward. It is to provide a leak-proof system for a downward-spraying nebulizer for material lamination.
  • a leak prevention system of a downward injection type nebulizer for biomaterial lamination of a bio 3D printer is a system constituting an output unit of a bio 3D printer
  • a nebulizer that sprays down the biomaterial in the form of a mist toward the substrate
  • a vacuum cap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ebulizer
  • a vacuum generating modul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through a hose
  •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and the nebulizer to control an output pressure of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an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nebulizer.
  • the leak prevention system of the downward injection type nebulizer for biomaterial lamination of the bio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ir pressure below atmospheric pressure in a preset range is applied to the nebulizer during a time when the nebulizer is not operated.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biomaterials by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nebulizer shown in FIG. 2 .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nebulizer shown in FIG. 1 .
  •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 - IV shown in FIG. 3 .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nebulizer shown in FIG. 2 .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nebulizer shown in FIG. 1 .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 - IV shown in FIG. 3 .
  • the leak prevention system of the downward injection type nebulizer for biomaterial lamination of the bio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nebulizer cartridge 10 and , a nebulizer 20 , a vacuum cap 30 , a distributor 40 , a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a compressor 60 , a controller 70 , and a drying fan 80 .
  • the leak prevention system of the nebulizer is a system constituting the output unit of the bio 3D printer.
  • the nebulizer cartridge 10 is fixed to the housing 1 of the bio 3D printer.
  • the nebulizer cartridge 10 is a rod-shaped structur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25 penetr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plurality of nebulizers 2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 a drying fan 80 for blowing air to promote drying of the biomaterial 100 sprayed from the nebulizer 20 may b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nebulizer cartridge 10 .
  • the nebulizer 20 is a device for downwardly spraying the biomaterial 100 in the form of a mist toward the substrate.
  • the nebulizer 20 is installed in a stat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hole 25 .
  • the nebulizer 20 may be firmly fixed to the nebulizer cartridge 10 by a fixing member 27 screwed to the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25 .
  • the nebulizer 20 is provided with a space accommodating the biomaterial 100 at an upper portion.
  • the nebulizer 20 has a vibration membrane 22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nebulizer 20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ng membrane type.
  • the vibrating membrane 22 vibrates at a high frequency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a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biomaterial 100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20 is divided into mist below the vibrating membrane 22 and sprayed.
  • the principle of the nebulizer 20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a known vibrating membrane type nebulizer.
  • the particle size of the biomaterial 100 sprayed by the nebulizer 20 is preferably 5 ⁇ m or less.
  • the nebulizer 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vacuum cap 3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ebulizer 20 .
  • the vacuum cap 30 is installed on the nebulizer 20 so as to have a coupling force that can be installed and separated by a person's hand. More specifically, the force applied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vacuum cap 30 and the nebulizer 20 is preferably 20N to 100N.
  • the vacuum cap 30 is connected to a distributor 40 to be described later by a hose.
  • An O-ring 35 is coupled to the vacuum cap 30 .
  • the O-ring 35 is installed at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vacuum cap 30 and the nebulizer 20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vacuum cap 30 and the nebulizer 20 from occurring.
  • the distributor 40 is connected to the vacuum cap 30 through a hose.
  • the distributor 40 functions to uniformly distribute the air pressure of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act on each of the nebulizers 20 .
  • the distributor 40 may adopt a known structure.
  • the air pressure output from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is preferably -1.5KPa to 0KPa.
  • the output air pressure of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is less than -1.5 KP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iomaterial 100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20 may flow back toward the distributor 40 .
  • the output air pressure of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exceeds 0 KP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iomaterial 100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20 cannot be prevented from leaking downward.
  •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40 through a hose.
  •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is a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a specific branch pipe using the principle of the atomizer.
  •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may be configured by employing a known vacuum generating module.
  •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may variably adjust the pressure generated by a signal of the controller 7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mpressor 60 is a device that applies air pressure to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As the air pressur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6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an air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s form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 a moisture removal filt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cap 30 and the distributor 40 or between the distributor 40 and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 the biomaterial 100 is removed from the nebulizer 20 by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It can flow back toward (50), in this case, it performs an action of preventing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from being damaged by the backflowing biomaterial (100).
  • the controller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and the nebulizer 20 .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output pressure of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ebulizer 20 .
  • the drying pan 80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nebulizer 20 .
  • the drying fan 80 is a device that blows air to promote drying of the biomaterial 100 sprayed on the substrate.
  • the drying pan 8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
  • the drying fan 8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nebulizer cartridge 10 .
  • the drying fan 80 may be an axial fan or a sirocco fan.
  • the drying fan 80 is configured to suck air from the side of the nebulizer 20 and discharge it downward of the nebulizer 20 .
  • the upper part is sealed with a vacuum cap 30 .
  • the vacuum cap 3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40 by a hose.
  • the distributor 40 is connected to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through another hose.
  • the compressor 60 and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are connected by a hose.
  • the nebulizer 20 is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70 .
  • the vibrating membrane 22 of the nebulizer 20 vibrates at a high frequency
  • the biomaterial 100 is sprayed downward of the nebulizer 20 .
  • the nebulizer 20 is stopped.
  • the compressor 60 is always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 bio 3D printer is turned on,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nebulizer 20 . Accordingly, an air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and a pressure within a certain range below atmospheric pressure acts on each nebulizer 20 through the distributor 40 .
  • the biomaterial 100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20 may leak downward of the nebulizer 20 through the pores of the vibrating membrane 22 due to gravity even when the vibrating membrane 22 does not vibrate. have. However, the biomaterial 100 accommodated in the nebulizer 20 does not leak from the nebulizer 20 due to the sub-atmospheric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50 .
  • the nebulizer 20 When the nebulizer 20 is operated again by the controller 70 , the nebulizer 20 normally outputs the biomaterial 100 by vibration of the vibrating membrane 22 .
  • the leak prevention system of the downward injection type nebulizer for biomaterial lamination of the bio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ir pressure below atmospheric pressure in a preset range is applied to the nebulizer, so that the nebulizer is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of biomaterials due to gravity during non-operation.
  • a leak prevention system of a downward injection type nebulizer for biomaterial lamination of a bio 3D printer is a system constituting an output unit of a bio 3D printer
  • a nebulizer that sprays down the biomaterial in the form of a mist toward the substrate
  • a vacuum cap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ebulizer
  • a vacuum generating modul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through a hose
  •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and the nebulizer to control an output pressure of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an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nebulizer.
  • the air pressure output from the vacuum generating module is preferably -1.5KPa to 0KPa.
  • the vacuum cap has an O-ring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nebul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바이오 3D 프린터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서, 기판을 향해 바이오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하향 분무하는 네블라이저; 상기 네블라이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진공 캡; 상기 진공 캡에 호스를 통해 연결된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 진공 발생 모듈; 상기 진공 발생 모듈에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컴프레셔; 및 상기 진공 발생 모듈과 상기 네블라이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 발생 모듈의 출력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네블라이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 도 1)

Description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본 발명은 바이오 3D 프린터에 관한 기술로서, 생체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네블라이저를 포함한 3D 프린터 장치에서 중력에 의해 바이오 물질이 예기치 않게 네블라이저로부터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프린터는 XYZ 축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입체적 형태를 평면 형태로 적층할 수 있는 액상 또는 분상의 소재가 분사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3차원 프린터는 방식에 따라 예컨대, 카르테시안(Cartesian) 방식, 멘델(Mendel) 방식, 델타(Delta) 방식, 코어XY(Core XY)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카르테시안 방식은 베드가 X,Y축으로 이동하고 노즐이 Z축으로 이동하여 3차원 프린팅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상기 멘델 방식은 베드가 Z축으로 이동하고 노즐이 X,Y축으로 이동하여 3차원 프린팅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상기 델타 방식은 노즐이 X,Y,Z축으로 이동하여 3차원 프린팅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상기 코어XY 방식은 노즐이 2개의 모터에 의해 연결된 벨트에 의해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베드는 Z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상기 코어 최근에는 노즐의 위치를 가장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코어XY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 3차원(3D) 프린터는 3차원 프린터의 노즐을 통해 바이오 물질을 토출시켜 생체 조직이나 장기를 입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변형된 장치이다.
이러한 바이오 3차원 프린터는 바이오 물질의 토출을 위한 디스펜서(dispenser) 형태의 노즐을 포함한다. 바이오 3차원 프린터는 노즐에 콜라겐, 젤라틴 등과 같은 점성이 있는 바이오 물질을 채워 넣는다. 점성이 있는 바이오 물질이 채워진 노즐에 공압 시스템을 연결하여 바이오 물질을 밀어내면서 토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바이오 3차원 프린터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28345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바이오 3D 프린터에 채용되는 바이오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 디스펜서 형태의 노즐을 사용할 수 없다. 바이오 물질의 점도가 낮아 유동성이 지나치게 큰 경우 물질을 짜내는 압출 방식을 사용하는 노즐 형태의 디스펜서는 유체 제어가 힘들어 사용할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작은 물방울 형태로 바이오 물질을 소량 제어하여 분사하는 밸브 타입 디스펜서를 사용해야 한다. 유동성이 큰 바이오 물질을 출력하는 경우, 예컨대, 미국공개특허 제2011-02125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네블라이저를 채용하여 바이오 물질을 기판 상에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면서 층상 가교 또는 혼합 가교를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네블라이저를 채용하는 경우, 그 네블라이저는 바이오 물질을 기판을 향해 하향 분무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바이오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바이오 물질은 대부분 고가이다. 그런데 하향 분무식 네블라이저의 경우 네블라이저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이 출력이 정지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예기치 않게 네블라이저 하방으로 누액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바이오 3D 프린터에서 바이오 물질을 출력할 때 30분~60분 정도의 출력시간이 소요된다. 이 경우 출력-->배양-->출력-->배양-->관찰 순으로 연구를 진행할 경우 2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네블라이저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이 예기치 않게 누액되는 경우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바이오 물질이 하방 분사되도록 구성된 네블라이저를 포함한 바이오 3D 프린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바이오 물질의 누액이 방지된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바이오 3D 프린터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서,
기판을 향해 바이오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하향 분무하는 네블라이저;
상기 네블라이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진공 캡;
상기 진공 캡에 호스를 통해 연결된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 진공 발생 모듈;
상기 진공 발생 모듈에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컴프레셔; 및
상기 진공 발생 모듈과 상기 네블라이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 발생 모듈의 출력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네블라이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네블라이저가 작동하지 않은 시간에 미리 설정된 범위의 대기압 이하의 공기압이 상기 네블라이저에 가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중력에 의한 바이오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네블라이저 주변의 구성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네블라이저 주변의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 - Ⅳ 선 부분 절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네블라이저 주변의 구성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네블라이저 주변의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 - Ⅳ 선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이하.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네블라이저 카트리지(10)와, 네블라이저(20)와, 진공 캡(30)과, 분배기(40)와, 진공 발생 모듈(50)과, 컴프레셔(60)와, 제어기(70)와, 건조 팬(80)을 포함한다.
상기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바이오 3D 프린터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네블라이저 카트리지(10)는 바이오 3D 프린터의 하우징(1)에 고정된다. 상기 네블라이저 카트리지(10)는 막대 형상의 구조물로서 복수의 네블라이저(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설치공(25)을 구비한다. 상기 네블라이저 카트리지(10)의 측면에는 상기 네블라이저(20)에서 분무된 바이오 물질(100)의 건조를 촉진시키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건조 팬(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네블라이저(20)는 기판을 향해 바이오 물질(100)을 미스트 형태로 하향 분무하는 장치다. 상기 네블라이저(20)는 상기 설치공(25)에 일부 수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네블라이저(20)는 상기 설치공(25)의 측방에 나사 조립되는 고정 부재(27)에 의해 견고하게 상기 네블라이저 카트리지(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네블라이저(20)는 상부에 바이오 물질(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네블라이저(20)는 하부에 진동 멤브레인(22)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네블라이저(20)는 진동 멤브레인 타입이다. 상기 진동 멤브레인(22)은 후술하는 제어기(70)의 신호에 의해 고주파로 진동함으로써 상기 네블라이저(20)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100)이 진동 멤브레인(22)의 하방으로 미스트 형태로 분할되어 분무된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네블라이저(20)의 원리는 공지된 진동 멤브레인 타입의 네블라이저와 동일하다. 상기 네블라이저(20)에서 분무되는 바이오 물질(100)의 입자크기는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블라이저(2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캡(30)은 상기 네블라이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진공 캡(30)은 사람의 손으로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정도의 결합력을 가지도록 상기 네블라이저(20)에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 캡(30)과 네블라이저(2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가해지는 힘은 20N 내지 100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 캡(30)은 후술하는 분배기(40)와 호스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진공 캡(30)에는 오링(35)이 결합된다. 상기 오링(35)은 상기 진공 캡(30)과 상기 네블라이저(20)의 접촉 부위에 설치됨으로써 진공 캡(30)과 네블라이저(20)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배기(40)는 상기 진공 캡(30)에 호스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분배기(40)는 후술하는 진공 발생 모듈(50)에서 발생하는 부압의 공기 압력을 일정하게 분배하여 각각의 네블라이저(20)에 작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배기(40)는 공지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에서 출력되는 공기압은 -1.5KPa 내지 0K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의 출력 공기압이 -1.5KPa 미만인 경우 상기 네블라이저(20)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100)이 분배기(40) 쪽으로 역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의 출력 공기압이 0KPa를 초과하는 경우 네블라이저(20)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100)이 하방으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은 상기 분배기(40)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은 분무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특정 분기관에 대기압 보다 낮은 공기 압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은 공지된 진공 발생 모듈을 채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은 후술하는 제어기(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제어기(70)의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60)는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에 공기압을 작용시키는 장치다. 상기 컴프레셔(60)에서 발생된 공기압이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의 특정 부분에 대기압 보다 낮은 공기압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 캡(30)과 상기 분배기(40) 사이 또는 상기 분배기(40)와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 사이에는 수분 제거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 제거 필터는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에서 발생된 압력이 적정 범위를 벗어나 바이오 물질(100)의 필요 이상의 큰 음압을 발생시키는 경우 바이오 물질(100)이 네블라이저(20)로부터 진공 발생 모듈(50) 쪽으로 역류하는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역류된 바이오 물질(100)에 의해 진공 발생 모듈(5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과 상기 네블라이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의 출력 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네블라이저(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건조 팬(80)은 상기 네블라이저(20)의 인근에 배치된다. 상기 건조 팬(80)은 상기 기판에 분무된 바이오 물질(100)의 건조를 촉진시키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다. 상기 건조 팬(80)은 상기 제어기(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건조 팬(80)은 상기 네블라이저 카트리지(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팬(80)은 축류팬 또는 시로코 팬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팬(80)은 상기 네블라이저(20)의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네블라이저(20)의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의 작용 효과를 네블라이저의 작동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게로 한다.
먼저, 네블라이저(20)에 바이오 물질(100)을 충전 한 후 상부를 진공 캡(30)으로 밀봉한다. 상기 진공 캡(30)은 분배기(40)와 호스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40)는 다른 호스를 통해 진공 발생 모듈(50)에 연결된다. 상기 컴프레셔(60)와 진공 발생 모듈(50)은 호스에 의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기(70)의 신호에 의해 네블라이저(20)가 작동된다. 네블라이저(20)의 진동 멤브레인(22)이 고주파로 진동하면서 바이오 물질(100)이 네블라이저(20)의 하방으로 분무된다. 이와 같은 분무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네블라이저(20)가 정지된다. 상기 컴프레셔(60)는 네블라이저(20)의 작동과 상관없이 바이오 3D 프린터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항상 작동한다. 이에 따라 진공 발생 모듈(50)에서 대기압 보다 낮은 공기 압력이 발생하여 분배기(40)를 통해 각각의 네블라이저(20)에 대기압 이하의 일정 범위 압력이 작용한다. 네블라이저(20)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100)은 상기 진동 멤브레인(22)이 진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중력에 의해 상기 진동 멤브레인(22)의 기공을 통해 상기 네블라이저(20)의 하방으로 누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진공 발생 모듈(50)이 발생시키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네블라이저(20)에 수용된 바이오 물질(100)이 네블라이저(20)로부터 누액되지 않게 된다.
제어기(70)에 의해 다시 네블라이저(20)가 작동되는 경우 진동 멤브레인(22)의 진동에 의해 네블라이저(20)는 정상적인 바이오 물질(100)의 출력 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에 미리 설정된 범위의 대기압 이하의 공기압이 상기 네블라이저에 가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네블라이저가 작동하지 않은 동안에 중력에 의한 바이오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은, 바이오 3D 프린터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서,
기판을 향해 바이오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하향 분무하는 네블라이저;
상기 네블라이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진공 캡;
상기 진공 캡에 호스를 통해 연결된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 진공 발생 모듈;
상기 진공 발생 모듈에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컴프레셔; 및
상기 진공 발생 모듈과 상기 네블라이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 발생 모듈의 출력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네블라이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진공 발생 모듈에서 출력되는 공기압은 -1.5KPa 내지 0K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 캡은 상기 네블라이저와 접촉되는 부위에 오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블라이저의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에 분무된 바이오 물질의 건조를 촉진시키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건조 팬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4)

  1. 바이오 3D 프린터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서,
    기판을 향해 바이오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하향 분무하는 네블라이저;
    상기 네블라이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진공 캡;
    상기 진공 캡에 호스를 통해 연결된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 진공 발생 모듈;
    상기 진공 발생 모듈에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컴프레셔; 및
    상기 진공 발생 모듈과 상기 네블라이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 발생 모듈의 출력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네블라이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 모듈에서 출력되는 공기압은 -1.5KPa 내지 0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캡은 상기 네블라이저와 접촉되는 부위에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블라이저의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에 분무된 바이오 물질의 건조를 촉진시키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건조 팬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PCT/KR2021/004314 2020-08-05 2021-04-07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WO20220307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08093A JP2023536513A (ja) 2020-08-05 2021-04-07 バイオ3dプリンタの生体物質積層のための下方噴射方式ネブライザーの漏れ防止システム
US17/923,109 US20230173750A1 (en) 2020-08-05 2021-04-07 Leakage prevention system for downward spraying-type nebulizer for stacking a biomaterial of bio-3d printer
EP21854307.2A EP4194181A1 (en) 2020-08-05 2021-04-07 Leakage prevention system for downward spraying-type nebulizer for stacking biomaterial of bio-3d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115A KR102337814B1 (ko) 2020-08-05 2020-08-05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KR10-2020-0098115 2020-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722A1 true WO2022030722A1 (ko) 2022-02-10

Family

ID=7886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314 WO2022030722A1 (ko) 2020-08-05 2021-04-07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73750A1 (ko)
EP (1) EP4194181A1 (ko)
JP (1) JP2023536513A (ko)
KR (1) KR102337814B1 (ko)
WO (1) WO202203072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2501A1 (en) 2008-09-12 2011-09-01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3-dimensional multi-layered hydrog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60033126A (ko) * 2013-08-01 2016-03-25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단일 사용 생물학적 3차원 프린터
CN105835367A (zh) * 2016-05-07 2016-08-10 浙江大学 一种面向自由组合化可快速插装的生物3d打印喷头及其方法
KR101805774B1 (ko) * 2016-05-31 2018-01-10 울산과학기술원 3차원 바이오 프린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바이오 프린트 방법
KR101828345B1 (ko) 2016-10-19 2018-03-29 주식회사 로킷 바이오 3차원 프린터
JP2019510879A (ja) * 2016-03-03 2019-04-18 デスクトップ メタ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Desktop Metal, Inc. 付加製造のための金属の空気噴射
KR101992625B1 (ko) * 2018-10-30 2019-06-25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다중 노즐 3d 프린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삼차원 바이오 프린팅 방법
JP6594582B1 (ja) * 2019-03-14 2019-10-23 株式会社クリセル サスペンション維持方法、サスペンション維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バイオ3dプリンタ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2501A1 (en) 2008-09-12 2011-09-01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3-dimensional multi-layered hydrog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60033126A (ko) * 2013-08-01 2016-03-25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단일 사용 생물학적 3차원 프린터
JP2019510879A (ja) * 2016-03-03 2019-04-18 デスクトップ メタ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Desktop Metal, Inc. 付加製造のための金属の空気噴射
CN105835367A (zh) * 2016-05-07 2016-08-10 浙江大学 一种面向自由组合化可快速插装的生物3d打印喷头及其方法
KR101805774B1 (ko) * 2016-05-31 2018-01-10 울산과학기술원 3차원 바이오 프린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바이오 프린트 방법
KR101828345B1 (ko) 2016-10-19 2018-03-29 주식회사 로킷 바이오 3차원 프린터
KR101992625B1 (ko) * 2018-10-30 2019-06-25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다중 노즐 3d 프린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삼차원 바이오 프린팅 방법
JP6594582B1 (ja) * 2019-03-14 2019-10-23 株式会社クリセル サスペンション維持方法、サスペンション維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バイオ3dプリン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4181A1 (en) 2023-06-14
JP2023536513A (ja) 2023-08-25
KR102337814B1 (ko) 2021-12-10
US20230173750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69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erosolizing a substance
AU5663201A (en) Service station for inkjet printheads
EP3804995B1 (en) Inkjet recording device
EP1149602A3 (en) Spray device for an inhaler suitable for respiratory therapies
EP0719646A3 (en) Ink container, ink cartridge, ink jet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A2129677A1 (en) Improved Trigger Sprayer Apparatus
CA2267997A1 (en) Apparatus for washing the nasal cavities
CN1235564A (zh) 喷洒装置
WO2022030722A1 (ko) 바이오 3d 프린터의 생체물질 적층을 위한 하방 분사 방식 네블라이저의 누액 방지 시스템
WO2014046387A1 (ko)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RU2009106690A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KR20120052998A (ko) 네거티브하게 바이어싱된 밀봉된 분무기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14051300A1 (ko) 액체 살포기
JP2002522279A (ja) 媒体上に直接印刷す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BR0007516A (pt) Dispositivo e método de reabastecer tinta emcartuchos de tinta para impressoras de jato detinta
EP2678115B1 (en) Screen insert for a powder chamber of a powder supplying device
CN210082671U (zh) 用于喷墨打印机的隔离保湿系统
JP2006021148A (ja) 静電噴霧装置
WO2018100799A1 (ja) 噴霧ノズル
CN113478976A (zh) 一种外置负压集成装置
JP2005169235A (ja) 液滴吐出装置
KR20220071993A (ko)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KR20090129420A (ko) 노즐, 드라이 클리너 및 드라이 클리너 시스템
JPH03242253A (ja) 導電性塗料の静電塗装装置
JP2002018327A (ja) 粉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543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080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543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