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5573A1 -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5573A1
WO2021235573A1 PCT/KR2020/006668 KR2020006668W WO2021235573A1 WO 2021235573 A1 WO2021235573 A1 WO 2021235573A1 KR 2020006668 W KR2020006668 W KR 2020006668W WO 2021235573 A1 WO2021235573 A1 WO 20212355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oustic
sound
building structure
wing plate
induc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66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이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호 filed Critical 이형호
Priority to EP20936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55484A4/en
Priority to CN202080104754.5A priority patent/CN116134199A/zh
Priority to PCT/KR2020/006668 priority patent/WO2021235573A1/ko
Priority to JP2022570326A priority patent/JP2023535119A/ja
Publication of WO20212355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55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99Room acoustics, i.e. forms of, or arrangements in, rooms for influencing or directing sound
    • E04B1/994Acoustical surfaces with adjustmen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auditoriu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0Reflecting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open building structure having a space with an open upper part in the central part of a building pl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generated from a central stage when outdoor events such as music performances, speeches, and weddings are held in the open space.
  • the amplification occurs on its own by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caus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ry building, so the audience or audience can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at a satisfactory volume without a separate speaker or amplification equipment such as an amplifier.
  • it is also ab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tructures that can create a clear and transparent optimal reverberation by inducing appropriate harmony between reflection, sound absorption, and interference of sound.
  • the pre-registered utility model is a design for a system for adding outdoor reverberation and a speaker device. As shown in the drawing shown in FIG. 6, in the previously registered utility models, an early reflection speaker in addition to a main speaker outputting direct sound A large number of and reverberation speakers are provided and these speakers are arrang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outdoor performance hall, creating an effect similar to artificially installing a reflective wall around the performance hall during an outdoor performance. It is structured to obtain
  •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entral stage is amplified by itself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o that the audience or the audience is as clear and satisfied as the indoor performances. Since it is possible to listen at a high volume, it is a task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can carry out events such as outdoor performances without a separate speaker or sound equipment such as an amplifi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because the audience can enjoy the performance with pure original sound not through the sound equipment during the outdoor event as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the reflection and sound absorption of sound in terms of sound quality
  • Another technical task is to provide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can create a clear and transparent optimal reverberation by harmonizing the interference properly.
  •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open type building structure installed and installed on a reference floor surface, with a point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s a center point in plan view, and the reference floor a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er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surface, disposed radially 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nd installed to form a curved frame shape in a plane as a whole;
  • an acoustic reflective wall connected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having the same curved shape in plan view a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installed to form a constant acoustic space inside; and ;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oftop viewing floor that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floor by a certain height, and is instal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a columnar member in which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s a whole is connected up and down, and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has a long side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toward the center point on the plane of the reference floor, respectively.
  • all or part of the cross-sec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install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point on the plane.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re install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floor surface,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top, to form a circular shape, or a partially open arc on one sid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at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or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t can be configured by further forming a sound-absorbing finishing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ve wallboard on the surface.
  • a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 the acoustic park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vents such as music performances, speeches, and weddings are held outdoor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entral stage is self-contained due to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caus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s an amplification effect occurs, the audience or audience can listen to the sound with a clear and satisfactory volume as high as that of an indoor performance.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because it can be watched in its state.
  • the original stage sound, resonance sound, and reverberation sound can be heard together.
  • the reflection, sound absorption, and interference of the sound are properly harmonized, so that the appropriate reverberation and the clear and transparent optimal reverberation are achiev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a sound.
  • FIG. 1 is a top plan view of an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levatio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side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ound effect in an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peaker layout diagram for a conventional outdoor performance reverberation adding system.
  •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rtyard-type building structure having a space in the form of a building structure erected on the ground and constructed, but the upper part is open and open because there is no ceiling in the central part of the building plan, and is surrounded by the surrounding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e of space and reverberation sound that is comparable to that of a performance in an indoor space by allowing the audience to listen to the performance without additional sound equipment when performing outdoor performances or performances in the upper ope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art as described above. It is intended to be implemented by structurally configuring an acoustic space that allows you to feel the
  • FIG. 1 is a top plan view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FIG. 2 is an elevation view.
  •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is a reference floor surface
  • an acoustic reflective wall 20 connected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having the same curved shape in plan view and forming an acoustic space 200 enclosed inside the wall surface;
  •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nstalled exten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ircular arc center (CP) at a certain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erected as described above; including a basic configuration and here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stage unit 50 installed in the center on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circular arc at the center point CP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 It is installed to form a radial arrangement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and in this cas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wall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that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arc)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columnar member erect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nd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shown in FIGS. 1 and 2 As shown in , a plurality of pieces are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have one point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s the center point (CP). It is installed to form a frame structure in a curved shape on a plane as shown in FIG.
  • CP center point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column-shaped member with a uniform cross-sectional shape extending up and dow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s a whole is long side and It is a rectangular column shape having a cross-section, and is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long side direction is in the inner spac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s aligned to the planar center point (CP) of the reference floor surface.
  • CP planar center point
  •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stage part 50 in the center is reflect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e reflected sound is transmitted together to the central part.
  • a large volume can be obtained without acoustic equipmen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by arranging the direction of each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toward the central point (CP), the diffusely reflected sound is held constant and the direction of the reflected sound is concentrated to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sound focusing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can occur smoothly. is specially considered.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respectively, from the planar center point (CP) of the reference floor surface. By installing at the same distance, it can be installed to form an open arc when viewed from the top. That is, according to the main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o that the sound generated inside the acoustic space 200 is the sound source stage 50. It is to be reflected and returned in the direction, if,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point CP on the plan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are not all the same and are implemented so that there is some differe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ime when the reflected sound from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reaches the central point (CP), so that the reflected sound of the same content continuously arrives from different directions with a time difference and arrives in a relay-type manner. To the player, it can be heard in the form of an echo.
  • the distance to the arc center (CP)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It will be said that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have a circular arrangement by making the It may be configured in a form or the lik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an embodiment also basically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all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is opened in a range of about 90°. is showing
  • the open angle range is 120° from the center of the arc. It is preferable not to exceed this range, and when it is opened beyond this range (eg, a semi-circular plan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sound focusing effect corresponding to the main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occur.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has a highe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n terms o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to be described later. (absorption coefficient) or it is more preferable to consist of a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a sound focusing phenomenon by concentrating the sound reflected from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toward the center, at this time the reflected sound is too excessive. If you do, you may feel that the sound quality is somewhat resonant and coarse.
  •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level of the reflected sound by making some sound absorption for the original sound by configuring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to have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that an optimal reverber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an appropriate harmony between sound absorption and reflection.
  • it is also substantially carried out by a method of forming a sound-absorbing finishing layer (not shown) by further attaching or coating a material having a high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n the surfac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 Sinc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 wood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to some extent, and basically use a wooden column or a metal square pipe It can be carried out by attaching a wooden panel to the surface of a column member of another material, such as a method of finishing.
  • a wood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to some extent, and basically use a wooden column or a metal square pipe It can be carried out by attaching a wooden panel to the surface of a column member of another material, such as a method of finishing.
  •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s about 5 to 10% depending on the frequency,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s not high, but the more empty space inside the member, the greater the sound absorption rate. ) can be adjusted as needed.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made of, for example, a sound-absorb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each metal pip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wood-based material as described above, painting or spraying construction, synthetic resin member, precast concrete member It is possible to use a member of a different material, such as, or use another construction method such as pouring concrete.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hat i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int (CP) on a plane)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which is one of the structural features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duce a sound focusing phenomenon, which is a major technical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sound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 certain portion of the sound is reflected diffusely on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nd accordingly the reflected sound is dispersed and cannot sufficiently return to the center of the stage.
  • the sound reflected from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by protru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toward the center of the stage. It has a feature of inducing and focusing (sound focusing action).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hould protrude to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sound focusing action as described above can occur smoothly. , preferably 15 to 30 cm is suitable.
  •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8 cm or less,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ound focusing action, but when it is implemented to protrude to a rather long length exceeding 30 cm, problems in space design and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o some extent in this range.
  •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blades 15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coustic induction blades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More can be installed.
  •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blade plate 15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in parallel to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in the same cross-sectional form as the acoustic induction blade plate 10 described above.
  •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also a major component to make the sound focusing action more smoothly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added, the sound spreads up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dispersion of the naga,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sound focusing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flected sound rising upward by the action of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to the lower stage center part and sent back, so the sound of his/her performance is sent back.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btain a very advantageous effect for monitoring while listening.
  • the vertical position of such a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about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overall height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is installation position i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 can be slightly changed depending on the total height of the arc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rc.
  •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a wall-shaped structure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the outsid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s shown in FIGS. 1 and 2 . It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 As shown in FIG.
  •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may be implemented to have an arc-shaped curved shape in the same way a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described abov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accordingl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 the surface of (20) is install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toward the circular arc center point (CP), so that the sound incident from the central arc center point (CP) can be reflected and sent back to the circle direction.
  •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reflects the sound to cause self-amplification of the sound through a resonance phenomenon, and the sound foc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described above. It corresponds to the key component that generates the action.
  •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mposed of a member having a smooth surface and high acoustic reflectance so that the incident sound can be reflected and returned as it is, and a glass panel can be most suitably used as such a material. have.
  • a glass panel can be most suitably used as such a material.
  • other materials such as metal panels such as aluminum, synthetic resin panels, smooth surface-treated marble, and smooth exposed concrete are possible, and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above material members ,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glass panel and an aluminum panel can also be implemented.
  •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constructed as an integrated wall,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closely connected as a separate member to the inner surface (ie, circular arc center direction)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but in addition to this embodiment,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shown. It may be constructed in such a way as to configure a window frame with (10) and fix a separate glass panel betwee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combined as described above form a circular wall structure as a whole, and a courtyard-shaped space part inside. As a result, a certain acoustic space 200 is formed.
  • a sound source stage unit 50 may be installed in a planar central portion within the sound space 200, and the sound generated by a performance/performance on the sound source stage unit 50 is Self-amplification occurs by acoustic reflection and concentration induction from on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nd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o that viewers watch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can appreciate it without additional acoustic equipment. to generate sufficient volume.
  •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s a ceiling structure installe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to the outside, and the lower part thereof is shown in FIGS. 1 and 2 .
  • an indoor space is formed and used, and on the upper part, in the form of a roof, the audience climbs up to enjoy the performance performed in the acoustic space 200 with the sound source stage 50 described above.
  •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height slightly lowered from the top end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s shown in a form that is parallel to the ground, it may be constructed in a slightly inclined form according to a specific design.
  • FIGS. 3 and 4 are views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building structure is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
  • the surface forming the courtyard space is made by erecting a wall structure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nd acoustic reflection walls, such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nd sound
  • a circular acoustic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ne by the reflective wall.
  • FIGS. 3 and 4 separate identification codes are omitted to prevent congestion in the drawings.
  •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rc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that is, the arc radius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range of about 15 to 35 m. This is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stage in the center to the audience on the roof top viewing floor, the parallax in which the sound hits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and returns to the center,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resonance phenomenon due to the harmony of the original sound and the reflected sound can occur smoothly. As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it is judged that a distance of 15 to 25 m is most suitable for creating an optimal reverberation sound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 the height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structure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to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and may be implemented to a height of approximately 3 to 8 m.
  •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und effect in an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oustic space 200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architectural plan in a form surround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music in the acoustic space 200 is
  • the sound generated in the central stage is amplified by itself by the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described above. It is an invention whose main technical feature is to enable the audience on the roof top viewing floor 30 to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at a satisfactory volume without the need for amplification equipment such as a separate speaker or amplifier.
  • the original sound S0 by this performance is It diffuses and hits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nd is reflected, thereby generating a reflected sound (S1).
  •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installed so as to form a circle on the plane with the center point CP on the reference floor 100 as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as shown in FIG. 1, so the reflection sound S1 is basically the original sound S0. It will return to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stage where it occurred.
  • the sound reflective wall 2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installing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n a shape that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 the reflected sound diffusely reflected and scattered from the surface is guid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by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o that the reflected sound S1 is dispersed and concentr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ed sound
  • the action of inducing and concentrating the sound to the center is specifically named and used as the sound focusing action).
  • the reflected sound (S1) that is concentratedly reflected and returned to the center of the stage as described above meets the original sound of the stage (S0) and the reflected sound returning from the other direction, causing interference and resonance.
  • a resonance sound (S2) is generated, and the resonance sound (S2) escapes to the upper part of the acoustic space 200 and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o the audience watching from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reached and heard.
  • the audience o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directly receives the resonance sound (S2) and reverberation sound generat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and resonance action inside the acoustic space 200 along with the original stage sound (S0). Since it can be heard together,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ppreciate the performance with a three-dimensional, resonant, and lingering sound, just like in an indoor performance.
  • the stage original sound (S0) is directly external. Since the resonance sound S2 is generated and delivered to the audience in a certain acoustic space 200 while being reflected through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without being diffused into the According to the acoustic space architectural structure, sufficient volume can be obtained without acoustic equipment such as speakers, so the audience can enjoy the stage performance sound as it is in the pure original sound.
  •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space surrounded by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t a lower height tha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where the audience is viewed. 200 is formed, and the acoustic space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like a resonator (woollimtong) of a musical instrument to amplify the original stage sound loudly and listen to it o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above.
  • a resonator woollimtong
  • the performance sound when a performance sound is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stage unit 50 in the center, the performance sound is trapped in the acoustic space 200 and does not immediately escape, but is reflected several times from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causing interference and overlapping of the sound After being amplified to a loud sound by the phenomenon, it escapes to the upper part of the acoustic space 200 and is heard by the audience o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acoustically clear and three-dimensional sound in the state of pure original sound without the use of sound equipment.
  •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sound absorption and reflection by giving a certain level o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connected to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where the reflection of sound is made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roblem. It is presented as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produce a sound.
  •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or attaching a sound-absorbing finishing material to the surface (or coating, etc.) ) to form a sound-absorbing finishing layer, so that when the original stage sound (S0) hits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20 and is reflected, some sound is absorbed by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can be returned.
  •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ound S1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make the reverberation sound optimal.
  •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entral stage is amplified by itself by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so that a separate Even without amplification equipment such as speakers or amplifiers, it is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at a satisfactory volume, and also in terms of sound quality, it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outdoor performances, the dry and poor sound, so that it can be used in indoor performanc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building structure 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기준 바닥면 상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연결되어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벽면 내측으로 둘러싸인 음향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반사 벽체와;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 및 음향반사 벽체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기준 바닥면에서 평면상 중심점을 원호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음향반사 벽체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음향장비 없이도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게 되며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룸으로써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1.06.2020]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본 발명은 건축 평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개방 공간에서 음악 공연, 연설, 결혼식 등의 야외 행사를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으로 유발되는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확성 장비 없이도 청중 또는 관객이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며, 아울러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서도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도록 유도함으로써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존에 실내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여러 종류의 행사들, 예컨대 음악 콘서트, 결혼식, 문화 행사, 강연, 연설 등의 행사를 진행함에 있어 개방감, 특색있는 느낌, 자유로운 분위기 등을 추구하기 위해 실내를 벗어나 야외 행사로 진행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공연 행사의 경우 관객들의 거동이 구속되지 않으므로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내면서 관객들에게 개성 있고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기본적으로 날씨 및 기후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며, 아울러 공간적으로 밀폐된 실내에서와는 달리 소리가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그대로 퍼져 나감으로써 음향 손실이 크고 관객들에게 소리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야외 공연에 있어 문제가 되는 음향적인 면에서의 단점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연주나 공연 등의 경우 무대에서 발생된 음이 벽체, 천장 및 바닥에 의해 반사되고 이와 같은 반사음이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울려 잔향음을 만들어 냄으로써 음향적으로 충만한 느낌과 공간감을 느낄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실외 공연의 경우 무대에서 발생된 음이 반사됨이 없이 그대로 개방된 외부로 확산되므로 음향 손실이 크게 일어나 충분한 음량으로 감상이 어려울 뿐 아니라 소리의 울림이 없어 관객들에게 빈약하고 메마른 느낌의 소리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주자의 입장에서도 공연 중에 자신의 연주 소리를 들으면서 공연해야 함에도 실외 공연에서는 자신의 연주 또는 가창음이 공연자에게 반사음을 통해 전해지지 못하므로 이와 같은 연주 모니터링이 매우 어려우며, 반대로 주변 소음들은 연주자에게 그대로 산만하게 들리게 되어 연주자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수준 높은 공연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 공연 등의 행사에 있어 종래에는 관객들이 무대 공연음을 충분한 음량으로 들을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피커, 앰프와 같은 음향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었는바,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음향 장비의 사전 설치 및 공연 후 회수에 따른 시간, 비용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아울러 관객에게 있어서는 무대 공연음을 순수 원음 그대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음향을 듣는 것이기 때문에 관객의 만족도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 공연의 경우 무대 원음과 함께 벽, 바닥, 천장 등에서의 반사음 및 잔향음을 함께 들으면서 감상이 이루어지므로 음향적으로 입체적이고 풍부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음향 장비를 통해 공연을 감상하는 경우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감상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실내 공연에 비해 소리가 평면적이고 건조한 느낌으로 전달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해 종래에도 메인 스피커 외에 공연장의 외측 주변으로 별도의 서라운딩 스피커들을 다수 배치하여 실내 공연시의 반사음 및 잔향음과 유사한 효과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서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451호 및 제20-0316692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은 야외 잔향 부가용 시스템 및 스피커 장치에 관한 고안으로서, 도6에 도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들에서는 직접음을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에 부가하여 초기 반사음 스피커와 잔향음 스피커를 다수 구비하고 이 스피커들을 야외 공연장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야외 공연시 인위적으로 공연장 주변에 반사벽을 설치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 내면서 실내 공연장에서의 반사음과 잔향음으로 인해 느껴지는 공간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스피커의 추가 설치로 인하여 공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야외 공연 시마다 숙련된 기술자의 음향 장비 설치 및 철거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전 공연 준비와 뒷정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음향적인 면에서 부가적인 스피커의 설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반사음과 잔향음 효과를 내려 하더라도 이와 같은 스피커를 이용한 인위적 효과를 통해서는 실내 공연과 같은 입체감과 여운을 느끼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악 공연, 연설, 결혼식 등의 행사를 야외에서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확성 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청중 또는 관객이 실내 공연에 못지않게 뚜렷하고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청취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음향 장비 없이도 야외 공연 등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야외 행사시에 관객들이 음향 장비를 통하지 않은 순수 원음으로 공연 등을 감상할 수 있으므로 관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룸으로써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기준 바닥면 상에 시공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건축 구조물로서,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한 점을 평면상 중심점으로 하고, 상기 기준 바닥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지며,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중심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과; 상기 기준 바닥면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벽체 구조물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일정한 음향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음향반사 벽체 및; 상기 기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전체적으로 장변과 단변을 갖는 단면 형상이 상하로 이어진 기둥형 부재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그 단면의 장변 방향이 각각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을 향하도록 하여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평면상 중심점을 향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상기 기준 바닥면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에 설치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 정원(正圓) 형태, 또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표면에 음향반사 벽판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된 흡음 마감층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의 사이에는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이 수평 방향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음악 공연, 연설, 결혼식 등의 행사를 야외에서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유발되는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확성 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청중 또는 관객이 실내 공연에 못지않게 뚜렷하고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청취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야외 공연 진행시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음향 장비 없이도 관객이 무대 공연음을 순수 원음 상태로 감상할 수 있으므로 관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 무대 원음과 공명음 및 잔향음을 함께 들을 수 있으므로 야외 공연의 단점인 소리가 건조하고 빈약하게 들리는 점을 극복하여 실내 공연에서와 같이 입체적이고 울림 및 여운이 있는 풍성한 느낌의 음향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게 됨으로써 적절한 울림과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 무대부의 연주자들에게 있어 일반적인 야외 공연에서는 개방된 외부로 공연음이 그대로 퍼져 나감으로써 자신의 연주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어려웠던 점에 대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반사음을 통해 자신의 공연음을 들으면서 공연할 수 있으므로 연주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공연이 이루어지는 무대부와 관람 플로어 간의 레벨 차이로 인해 공연자에게 전달되는 주변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의 집중력 유지에 유리하고 수준 높은 공연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부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한 입단면도로서 도1의 A-A'선에 따라 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의 음향 효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의 야외 공연 잔향 부가 시스템에 대한 스피커 배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향유도 날개판 15 :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
20 : 음향반사 벽체 30 : 루프탑 관람플로어
50 : 음원 무대부
100 : 기준 바닥면 200 : 음향 공간
S0 : 무대 원음 S1 : 반사음
S2 : 공명음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상에 건축 구조물을 세워 시공하되 건축 평면상 중앙 부분에는 천정을 두지 않아 상부가 오픈·개방되어 있으며 주위에 구조물에 의해 둘러싸여지도록 한 형태의 공간을 갖는 중정(中庭)형 건축 구조물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중정부에 해당하는 상부 개방 공간에서 야외 연주, 공연 등을 하는 경우에 별도의 음향 장비 없이도 연주를 듣는 관객이 실내 공간에서의 연주에 못지않은 공간감과 잔향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공간을 구조적으로 구성하여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도1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부 평면도이고 도2는 입면도를 나타내 도시한 것으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기준 바닥면(100) 상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연결 설치되어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벽면 내측으로 둘러싸인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는 음향반사 벽체(20)와; 상기와 같이 세워진 음향유도 날개판(10) 및 음향반사 벽체(20)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원호 중심(CP)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30);를 기본적 구성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기준 바닥면(100) 상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음원 무대부(5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기준 바닥면(100) 상에서 평면상 중심점(CP)을 원호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와 연결 설치됨에 있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즉, 원호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형 부재로서,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다수개의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은 기준 바닥면(100) 상의 한 점을 중심점(CP)으로 하여 이 중심점(CP)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1과 같이 평면상 곡선 형태로 된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단면 형태가 상하로 길게 이어진 기둥형 부재이며, 여기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단면 형태는 전체적으로 장변과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의 기둥 형태로서 그 장변 방향이 내측 공간 방향으로, 즉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CP)을 향하도록 방향을 맞추어 각각 설치된다. 즉, 후술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의 음원 무대부(50)에서 발생된 음향이 음향반사 벽체(20)에 의해 반사되고 이 반사음이 중앙부로 함께 집중되면서 공명 현상이 일어나게 함으로써(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음향 집중에 의한 증폭 효과를 사운드 포커싱(Sound Focusing) 작용이라 명명하고 있다) 음향 장비 없이 큰 음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방향이 중심점(CP)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난반사되는 반사음을 일정하게 잡아 주고 반사음의 방향을 중앙부로 집중 유도하여 상기와 같은 사운드 포커싱 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특히 고려하고 있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은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설치됨에 있어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CP)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를 두고 설치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일측이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에는 음향반사 벽체(20)가 연결되어 음향 공간(200)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가 음원 무대부(50) 방향으로 반사되어 되돌아 가도록 되어 있는데, 만약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평면상 중심점(CP)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지 않고 일부 차이가 있도록 실시되는 경우에는 음향반사 벽체(20)로부터의 반사음이 중심점(CP)에 도달하는 시간에 차이가 생기게 되어 동일한 내용의 반사음이 다른 방향으로부터 연속하여 시차를 두고 릴레이식으로 도달함으로써 음원 무대부(50)에서 공연하는 연주자에게는 마치 메아리의 울림과 같은 형태로 들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사음의 시차로 인한 연주자의 혼란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원호 중심(CP)에 대한 거리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원형 배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며, 다만 상기와 같은 단점을 어느 정도 감안하고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원(正圓) 또는 원호(圓弧) 형태가 아닌 타원형 등 다른 곡선 형태나 굴곡 있는 곡선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실시 형태 역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1에서는 상기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을 실시함에 있어 원형 형태 중의 일부분이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로 구성한 예로서 도면상 하부측에 약 90°범위로 개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평면상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로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을 배치 시공하는 경우, 이 개방된 각도 범위는 원호 중심에서 120°범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 범위를 초과하여 개방되는 경우(예컨대 반원형 평면)에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에 해당하는 사운드 포커싱 효과가 충분히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따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후술하는 음향반사 벽체(20)와 비교하여 흡음 성능면에서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 또는 흡음 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음향반사 벽체(20)에서 반사된 음을 중심부 방향으로 집중시켜 사운드 포커싱 현상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인데, 이때 반사음이 너무 과하게 되면 음질 면에서 다소 울림이 심하고 조악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음향유도 날개판(10)이 음향반사 벽체(20)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원음에 대한 일부 흡음이 이루어지게 하여 반사음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은 음의 흡음과 반사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최적의 잔향음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표면에 높은 흡음률을 갖는 재질을 더 부착하거나 코팅하는 등의 방법으로 흡음 마감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를 경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어느 정도 흡음 성능이 있는 목재 재질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나무 재질의 기둥을 사용하거나, 금속제 각파이프 등 다른 재질의 기둥 부재 표면에 목재 패널을 부착하여 마감하는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목재의 경우 주파수에 따라 다르나 흡음률이 5 ~ 10% 정도로서 기본적으로 흡음률이 높지는 않지만, 부재 내부에 빈 공간이 많을수록 흡음률이 크게 증가하므로 목재 부재 내부의 공간 점유율 조정을 통해 흡음률(또는 흡음 계수)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나무 기둥 또는 목재 패널의 경우 야외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방부 처리되고 변형이 완료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와 같은 나무계 재질 외에도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예컨대 금속제 각파이프 표면에 흡음성 재료의 부착, 도색 또는 뿜칠 시공, 합성수지 부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등 다른 재질의 부재를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성형 등의 다른 시공 방식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내측으로(즉, 평면상 중심점(CP)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효과인 사운드 포커싱 현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고려한 구성상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즉,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에서 음향이 반사됨에 있어 실질적으로 음향의 일정 부분은 음향반사 벽체(20) 표면에서 난반사되고 이에 따라 반사음이 분산되어 무대 중심 방향으로 충분히 되돌아가지 못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음향유도 날개판(10)을 설치 구성함에 있어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으로부터 무대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음향반사 벽체(20)에서 반사되는 음향을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여 집중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사운드 포커싱 작용).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와 같은 사운드 포커싱 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돌출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돌출 길이는 기본적으로 최소한 8cm 이상이 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5 ~ 30cm가 적당하다. 다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돌출 길이는 8cm 이하로 될 경우 사운드 포커싱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30cm를 넘겨 다소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간 설계 및 시공상 문제점이 없는 범위에서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물에는 상기와 같은 수직 방향의 음향유도 날개판(10)에 부가하여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기준 바닥면(100)에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 역시 본 발명에 있어 사운드 포커싱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상기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을 부가하는 경우 음향이 상부로 퍼져 나가 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잡아 줄 수 있어 본 발명의 사운드 포커싱 작용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의 음원 무대부(50)에서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의 작용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는 반사음이 아래쪽 무대 중앙부로 유도되어 되돌려 보내지므로 자신의 연주음을 들으면서 모니터링하기에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의 수직 위치는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전체 높이의 대략 중앙부 높이 정도가 적당하고 이 설치 위치는 음향유도 날개판(10) 및 음향반사 벽체(20)의 전체 높이 및 원호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다소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벽체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의 외측에 연결되어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세워져 설치된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평면상으로 볼 때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동일하게 원호형의 곡선 형태를 가지도록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은 원호 중심점(CP)을 향한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룸으로써 중앙부의 원호 중심점(CP)으로부터 입사한 음향을 반사하여 원 방향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음향을 반사하여 공명 현상을 통해 음향의 자체 증폭을 일으키는 구성으로서,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함께 본 발명의 사운드 포커싱 작용을 발생시키는 핵심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음향반사 벽체(20)는 입사한 소리를 그대로 반사해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매끈한 표면을 가지면서 음향 반사율이 높은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로는 유리 패널이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패널, 합성수지 패널, 평활하게 표면 가공된 대리석, 평활한 노출 콘크리트 등의 다른 재질도 가능하며, 상기한 재료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예컨대 유리 패널과 알루미늄 패널의 조합 등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가 결합되는 형태에 있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를 일체화된 벽체로 시공하고, 이 음향반사 벽체(20)의 내측면(즉, 원호 중심 방향)에 음향유도 날개판(10)을 별도 부재로서 밀착하여 연결 시공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와 같은 실시 형태 외에도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으로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사이에 별도의 유리 패널을 끼워 고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벽체 구조물 형태를 이루면서 그 안쪽으로 중정 형태의 공간부로서 일정한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음향 공간(200) 내의 평면상 중앙부에는 음원 무대부(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음원 무대부(50) 위에서 공연/연주 등에 의해 발생된 음향은 상기한 음향반사 벽체(20) 및 음향유도 날개판(10)에서의 음향 반사 및 집중 유도에 의해 자체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음향 장비 없이도 루프탑 관람플로어(30)의 상부에서 관람하는 관람객이 감상하기에 충분한 음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루프탑 관람플로어(3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상부측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 연장 설치되는 천장 구조물로서 그 하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내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상부에는 옥상과 같은 형태로 관람객이 올라가 상기한 음원 무대부(50)가 있는 음향 공간(200)에서 진행되는 공연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탑 관람플로어(30)는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최상단으로부터 약간 내려온 높이에서 수평으로 설치됨으로써 음향반사 벽체(20)와 음향유도 날개판(10)의 높이를 최대한 높이도록 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최상단 높이에서 루프탑 관람플로어(30)를 설치하고 안전 난간(도시되지 않음) 등의 안전 시설물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2에 따르면 상기 루프탑 관람플로어(3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실시 설계에 따라 다소 경사진 형태로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도3 및 도4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원호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건축 구조물을 배치하여 건축 평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 평면의 중정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상기 중정 공간을 이루는 면은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 및 음향반사 벽체의 결합에 의한 벽면 구조물을 세워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 및 음향반사 벽체에 의해 평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의 음향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3 및 도4에서는 도면상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식별 부호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의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 원호 중심으로부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음향반사 벽체까지의 거리, 즉 원호 반경은 대략 15 ~ 35 m 범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앙의 음원 무대부로부터 루프탑 관람플로어 상부의 관객과의 거리와 음향이 상기 음향반사 벽체에 부딪쳐 중심부로 돌아오는 시차 및 원음과 반사음의 조화에 의한 공명 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내기에는 15 ~ 25 m 거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음향반사 벽체 구조물의 높이는 상기한 원호 중심으로부터 음향반사 벽체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대략 3 ~ 8 m 높이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포커싱 현상에 의한 음향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의 음향 효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향 효과와 관련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반사 벽체(20)와 음향유도 날개판(10)으로 둘러 싸인 형태로 건축 평면상 중앙부에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고, 상기 음향 공간(200) 내에서 음악 공연 등의 야외 행사를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부에서 발생한 소리가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의 구성으로 유발되는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확성 장비 없이도 루프탑 관람플로어(30) 상부에 있는 청중이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음향 공간(200) 내에서 공연 등으로 음향이 발생하면, 이 공연에 의한 원음(S0)은 확산되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에 부딪쳐 반사되고 이에 따른 반사음(S1)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도1과 같이 기준 바닥면(100) 상의 중심점(CP)을 원호 중심으로 하여 평면상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사음(S1)은 기본적으로 원음(S0)이 발생한 무대 중심 방향을 향하여 되돌아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무대 원음(S0)이 음향반사 벽체(20)에 의해 반사됨에 있어 비록 상기 음향반사 벽체(20)가 음향 반사에 적합하도록 평활면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반사음(S1)의 전부가 정확하게 무대 중심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며, 실제적으로는 일정 부분 음향반사 벽체(20) 표면에서 난반사가 일어남으로써 반사음의 분산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반사 벽체(20)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음향유도 날개판(10)을 설치하는 구성을 구비하는바, 상기와 같이 음향반사 벽체(20) 표면에서 난반사되어 흩어지는 반사음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반사음(S1)의 분산을 잡아 주면서 무대 중심부를 향해 집중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반사음을 중앙으로 유도하여 집중시키는 작용을 사운드 포커싱 작용이라고 특히 명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인 사운드 포커싱 작용에 의해, 상기와 같이 무대 중앙부로 집중 반사되어 되돌아가는 반사음(S1)은 무대 원음(S0) 및 다른 방향에서 돌아오는 반사음과 만나 간섭 및 공명을 일으키면서 공명음(S2)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공명음(S2)은 음향 공간(200) 상부로 빠져나가 음향반사 벽체(2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된 루프탑 관람플로어(30)에서 관람하는 관객에게 도달하여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루프탑 관람플로어(30) 위의 관객은 직접적인 무대 원음(S0)과 함께 음향 공간(200) 내부의 음향 반사와 공명 작용에 의해 생성된 공명음(S2) 및 잔향음(reverberation sound)을 같이 들을 수 있게 되므로 마치 실내 공연에서와 같이 입체적이고 울림 및 여운이 있는 풍성한 느낌의 음향으로 공연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야외 공연에서 무대 원음이 그대로 외부로 퍼져 나가 음량 손실이 큼으로써 별도의 확성 장치를 필요로 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무대 원음(S0)이 바로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음향반사 벽체(20)를 통해 반사되면서 일정한 음향 공간(200) 내부에서 공명음(S2)을 생성하여 관객에게 전달하게 되므로 손실되는 음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비 없이도 충분한 음량을 얻을 수 있어 관객이 무대 공연음을 순수한 원음 그대로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도2 및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청중의 관람이 이루어지는 루프탑 관람플로어(30)보다 낮은 높이에 음향반사 벽체(20)로 둘러싸인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음향 공간(200)은 마치 악기의 공명통(울림통)과 같은 기능을 함으로써 무대 원음을 큰 소리로 증폭하여 위에 있는 루프탑 관람플로어(30)에서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의 음원 무대부(50)에서 공연음이 발생하면 이 공연음은 상기한 음향 공간(200) 내에 갇혀 바로 빠져나가지 않고, 음향반사 벽체(20)에서 여러 번 반사되면서 음의 간섭 및 중첩 현상에 의해 큰 소리로 증폭된 다음 음향 공간(200)의 상부로 빠져나가 루프탑 관람플로어(30) 위의 청중에게 들려지게 되며, 이와 더불어 반복된 음향 반사에 따른 잔향음이 계속하여 이어져 들림으로써 음향적으로 맑고 입체적인 음향을 음향 장비를 거치지 않은 순수 원음 상태로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잔향음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음향의 반사시에 원음의 흡수가 거의 없이 잔향음이 반사음으로만 이루어질 경우 매우 울림이 심하고 잔향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메아리와 같이 늘어지는 현상(동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음향의 반사가 이루어지는 음향반사 벽체(20)와 연결된 음향유도 날개판(10)에 대하여 일정한 수준의 흡음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흡음과 반사를 조절하여 최적의 잔향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제시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음향반사 벽체(20)에 비해 더욱 높은 흡음률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거나 또는 표면에 흡음성 마감재를 부착(또는 코팅 등)하여 흡음 마감층을 형성함으로써 무대 원음(S0)이 음향반사 벽체(20)에 부딪쳐 반사될 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에 의해 일부 흡음되어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10)의 흡음 성능 조절을 통해 반사음(S1)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잔향음을 최적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개방된 옥외 공간에서 진행되는 음악 공연 등의 행사에 있어 중앙 무대부에서 발생된 소리가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확성 장비 없이도 청중이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서도 야외 공연의 단점인 소리가 건조하고 빈약하게 들리는 점을 극복하여 실내 공연에서와 같이 입체적이고 풍성한 느낌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게 됨으로써 적절한 울림과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전용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및 건설 분야에 관련된 기술로서 건축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0)

  1. 기준 바닥면 상에 시공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건축 구조물로서,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한 점을 평면상 중심점으로 하고,
    상기 기준 바닥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지며,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중심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과;
    상기 기준 바닥면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벽체 구조물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일정한 음향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음향반사 벽체 및;
    상기 기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전체적으로 장변과 단변을 갖는 단면 형상이 상하로 이어진 기둥형 부재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그 단면의 장변 방향이 각각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을 향하도록 하여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평면상 중심점을 향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바닥면의 중심점 상부에는 음원 무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상기 기준 바닥면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에 설치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 정원(正圓) 형태, 또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표면에는 상기 음향반사 벽판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된 흡음 마감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전체적으로 나무 재질이거나 또는 표면에 나무 재질의 판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반사 벽체는 유리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의 사이에는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이 수평 방향으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길이는 8 ~ 30 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이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 상기 개방된 각도 범위는 원호 중심에서 0°~ 120°범위 내에서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무대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음향반사 벽체까지의 거리는 15 ~ 30 m이고,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높이는 3 ~ 8 m 이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판의 평면에 대해 돌출되는 길이는 8 ~ 30 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PCT/KR2020/006668 2020-05-21 2020-05-21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WO20212355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936565.9A EP4155484A4 (en) 2020-05-21 2020-05-21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apable of amplifying sound and producing optimal reverberant sound by means of sound focusing without sound equipment
CN202080104754.5A CN116134199A (zh) 2020-05-21 2020-05-21 在无音响设备的情况下通过声音聚集实现声音放大及最佳混响声的声音空间建筑结构
PCT/KR2020/006668 WO2021235573A1 (ko) 2020-05-21 2020-05-21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JP2022570326A JP2023535119A (ja) 2020-05-21 2020-05-21 サウンドフォーカシングを通じて音響装備なしにも音の増幅と最適な残響音を作り出す音響空間建築構造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6668 WO2021235573A1 (ko) 2020-05-21 2020-05-21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573A1 true WO2021235573A1 (ko) 2021-11-25

Family

ID=7870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6668 WO2021235573A1 (ko) 2020-05-21 2020-05-21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55484A4 (ko)
JP (1) JP2023535119A (ko)
CN (1) CN116134199A (ko)
WO (1) WO202123557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44A (ko) * 1999-12-10 2000-03-06 손희수 음향블럭
KR200295451Y1 (ko) 2002-08-26 2002-11-18 강희만 야외 잔향 부가 시스템
KR200316692Y1 (ko) 2003-03-27 2003-06-18 강희만 잔향 부가용 스피커장치
KR200422496Y1 (ko) * 2006-05-17 2006-07-27 (주)시공사 음향 반사장치
US20120198777A1 (en) * 2009-07-29 2012-08-09 Sound Forms Ltd. c/o Woodside Corporate Services Limited Sound shell
KR20200094494A (ko) * 2019-01-30 2020-08-07 이형호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5610B2 (en) * 2001-08-22 2005-07-12 Ssoe, Inc. Multi-purpose arena
US10335705B2 (en) * 2015-12-18 2019-07-02 Tait Towers Manufacturing Llc Venue trays and method for moving venue trays
CN206753133U (zh) * 2017-01-10 2017-12-15 上海灿星文化传播有限公司 荣耀之桥舞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44A (ko) * 1999-12-10 2000-03-06 손희수 음향블럭
KR200295451Y1 (ko) 2002-08-26 2002-11-18 강희만 야외 잔향 부가 시스템
KR200316692Y1 (ko) 2003-03-27 2003-06-18 강희만 잔향 부가용 스피커장치
KR200422496Y1 (ko) * 2006-05-17 2006-07-27 (주)시공사 음향 반사장치
US20120198777A1 (en) * 2009-07-29 2012-08-09 Sound Forms Ltd. c/o Woodside Corporate Services Limited Sound shell
KR20200094494A (ko) * 2019-01-30 2020-08-07 이형호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GYEONG HOE: "9.2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ARCHITECTURAL ENVIRONMENT PLAN, 20 August 1999 (1999-08-20), Seoul, pages 480 - 502, XP009542572, ISBN: 89-7393-043-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34199A (zh) 2023-05-16
EP4155484A1 (en) 2023-03-29
EP4155484A4 (en) 2023-06-28
JP2023535119A (ja)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5765A (en) Acoustical virtual environment
US8978816B2 (en) Sound limiting acoustic shell using a hanging acoustic canopy
WO2015012379A1 (ja) 携帯端末用ブース
Asselineau Building Acoustics
JP2018107678A (ja) イベントの会場施設及びその設置方法
WO2021235573A1 (ko)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KR102273431B1 (ko)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JP7064263B1 (ja) 建物の防音構造
US20050047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coustical signal control among acoustical virtual environments
Teuber et al. Acoustical requirements and results for music rehearsal rooms
Gitonga Acoustic Comfort in Church Auditoria a Case of Citam Church Designs at Ngong and Parklands, Nairobi, Kenya
Adelman-Larsen et al. Design Principles
D'Antonio Performance acoustics: the importance of diffusing surfaces and the variable acoustics modular performance shell-VAMPS
Allen The Gulbenkian Great Hall, Lisbon, I: Acoustic design
Kawai et al. A field experiment on the effect of sound absorption installed to a highly reverberant kindergarten classroom: A second report
Katunský et al. ENVIRONMENTAL PROBLEMS OF TEST ROOMS IN MUSICAL CENTERS INFLUENCE ON THE INTERIOR
Blomqvist The Lodge
Ayrault Multidisciplinary Student Project for the Sound system of a Medieval City
Orlowski et al. Multi-purpose halls and variable acoustics
Katunský et al. Environmental and Technical Problems of Test Room Spaces in Cultural Buildings
Johansson Waves of sound
Malmlund et al. Sound Amplification Systems for San Diego All American Stadium
Luhr Meeting for music
Kaudern Obsidian
Marshall et al. the acoustical design of a 4000-seat chu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65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032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365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