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06508A1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06508A1
WO2021206508A1 PCT/KR2021/004502 KR2021004502W WO2021206508A1 WO 2021206508 A1 WO2021206508 A1 WO 2021206508A1 KR 2021004502 W KR2021004502 W KR 2021004502W WO 2021206508 A1 WO2021206508 A1 WO 20212065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ell
terminal
information
rrc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5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상엽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9021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25882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96,77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84366A1/en
Priority to CN202180027365.1A priority patent/CN115428489A/zh
Priority to EP21784544.5A priority patent/EP4120710A4/en
Publication of WO20212065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065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a terminal.
  •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r the pre-5G communication system is called a 4G network after (Beyond 4G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or an LTE system after (Post LTE) system.
  •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in a very high frequency (mmWave) band (eg, such as a 60 gigabyte (60 GHz) band).
  • mmWave very high frequency
  •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 SWSC Small Cell Superposition Coding
  • ACM advanced coding modulation
  • FBMC Fan Bank Multi Carrier
  •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 IoT Internet of Things
  • IoE Internet of Everything
  • 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 IoT an intelligent IT (Internet Technology) service that collects and analyzes data generated from connected objects and creates new values in human life can be provided.
  • IoT is a field of smart home, smart building, smart city, smart car or connected car, smart grid, health care, smart home appliance, advanced medical service, etc. can be applied to
  • 5G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mplemented by techniques such as beam forming, MIMO, and array antenna.
  • cloud 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When constructing or optimizing a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usually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in an expected service area, and then goes through a process of arranging or re-adjusting base stations in the service area based on this. The operator loads the signal measurement equipment on the vehicle and collects the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the service area, which may require a lot of time and money.
  • the process may be commonly referred to as a drive test, using a vehicle in general.
  • the UE In order to support operations such as cell reselection, handover, and serving cell addition when the UE moves between cells, the UE is equipped with a function of measuring a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Therefore, instead of the drive test, a terminal in the service area may be used,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 the operator can set the MDT operation to specific terminal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the network, and the terminals are i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RRC idle mode (RRC_IDLE) or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serving cell and neighboring cells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stor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signal quality information may be stored together.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reported to the network when the terminals are in the connected mode, and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specific server.
  •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RRC_IDLE RRC idle mode
  • RRC_INACTIVE RRC inactive mod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UE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mod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mod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mode).
  •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NR may include both LTE and NR visited cell information, but a method for including LTE visited cell information is still insufficient.
  • 'outside NR for example, it may mean all situations in which the NR cell itself is not connected
  •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 method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of an arbitrary cell selection state or a camped on any cell state Checking whether the transition from any one state to a normally camped state (camped normally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 to the normally camped state is confirmed, determining information on time spent in at least one of the random cell selection state and the random cell camp-on state; storing the determined time information 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RRC connection setup request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message from a terminal; transmitting an RRC connection setup message to the terminal;
  • RRC connection setup request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 the terminal supports the storage of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 receiving an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can be used from the terminal transmitt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receiving, from the terminal,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wherein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time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is when the terminal is normally camped.
  • any cell selection state any cell selection state or the time spent in at least one of the state camped on any cell (camped on any cell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 a transceiver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y cell selection state) or any cell camped on state (camped on any cell state) in at least any one state to check whether the transition to the normally camped state (camped normally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 to the normally camped state is confirmed, time information for staying in at least one of the random cell selection state or the random cell camp-on state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time information is used in the mobility histo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that stores the information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message including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ransceiver.
  • a transceiver In addition, in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ransceiver; And receiving an RRC connection setup request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ransmits an RRC connection setup (RRC setup) message to the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he terminal stores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 RRC connection setup request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 RRC setup RRC connection setup
  •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time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is
  • the transition to the normally camped state (camped normally state), any cell selection state (any cell selection state) or the time spent in at least one of the state camped on any cell (camped on any cell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in an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and repor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LTE base station in the conventional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a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in a conventional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NR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for processing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when the terminal transitions to an RRC deactivation mode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each block of the flowchart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iagram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not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 a means for performing functions may be created.
  •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low chart block(s)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t is possible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 the term '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or ASIC, and '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the ' ⁇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 ' ⁇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components and '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 units'.
  • components and '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 ' ⁇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 a term for identifying an access node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term referring to network entities, a term referring to messages, a term referring to an interface between network objects, and a term referring to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terms described below, and other terms referring to objects having equivalent technical meanings may be used.
  • eNB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gNB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is, a base station described as an eNB may represent a gNB.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LTE system is a next-generation base station (evolved Node B, hereinafter ENB, Node B or base station) (105, 110, 115, 120) and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S-GW (130, serving-gateway).
  • ENB next-generation base station
  •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S-GW serving-gateway
  • a user equipment (hereinafter, UE or terminal) 135 may access an external network through ENBs 105 to 120 and S-GW 130 .
  • ENBs 105 to 120 may correspond to existing Node Bs of the UMTS system.
  • the ENB is connected to the UE 135 through a radio channel and may perform a more complex role than the existing Node B.
  • all user traffic including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over IP (VoIP) through the Internet protocol, is serviced through a shared channel, so information about the buffer status of UEs,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status, channel status, etc.
  • VoIP voice over IP
  • a device for scheduling is required, and the ENBs 105 to 120 can be in charge of this.
  • One ENB can usually control multiple cells.
  • the LTE system may use, for exampl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n a 20 MHz bandwidth as a radio access technology.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AMC adaptive modulation & coding
  • the S-GW 13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data bearer, and may create or remove a data bearer under the control of the MME 125 .
  • the MME is a device in charge of various control functions as well as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for the UE, and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in an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adio protocol of the LTE system consists of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s 205 and 240 (PDCP), radio link control 210 and 235 (RLC), and medium access control 215 and 230 (MAC) in the UE and ENB, respectively.
  •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205 and 240 may be in charge of operations such as IP header compression/restore.
  • the main functions of PDC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adio link control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RLC) 210 and 235 may perform ARQ operation by reconfiguring a PDCP protocol data unit (PDU) to an appropriate size.
  • RLC radio link control
  • PDU PDCP protocol data unit
  • RLC SDU discard function (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the MACs 215 and 230 are connected to several RLC layer devices configured in one terminal, and may perform operations of multiplexing RLC PDUs into MAC PDUs and demultiplexing RLC PDUs from MAC PDUs.
  • the main functions of MAC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physical layers 220 and 225 channel code and modulate upper layer data, make OFDM symbols and transmit them over a wireless channel, or demodulate OFDM symbol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hannel, decode the channels, and deliver to the upper layers.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next-generation base station (new radio node B, hereinafter, NR gNB or NR base station) 310 and NR CN (305, new radio core network).
  • a user terminal (new radio user equipment, hereinafter NR UE or terminal) 315 may access an external network through the NR gNB 310 and the NR CN 305 .
  • the NR gNB 310 may correspond to an Evolved Node B (eNB) of the existing LTE system.
  • the NR gNB is connected to the NR UE 315 through a radio channel and can provide a service superior to that of the existing Node B.
  • eNB Evolved Node B
  • a device for scheduling by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buffer status,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status, and channel status of UEs is required. (310) may be in charge.
  • One NR gNB 310 can typically control multiple cells.
  • the NR CN 305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mobility support, bearer setup, QoS setup, and the like.
  • the NR CN is a device in charge of various control functions as well as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for the terminal, and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interlocked with the existing LTE system, and the NR CN may be connected to the MME 325 through a network interface.
  • the MME may be connected to the eNB 330, which is an existing base sta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adio protocol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NR SDAP (401, 445), NR PDCP (405, 440), NR RLC (410, 435), NR MAC (415, 430) in the terminal and the NR base station, respectively. ), and NR PHYs 420 and 425.
  • the main functions of the NR SDAPs 401 and 445 may include some of the following functions.
  • the UE can receive a configuration of whether to use the header of the SDAP layer device or whether to use the function of the SDAP layer device for each PDCP layer device, for each bearer, or for each logical channel in an RRC message.
  • the terminal uses the NAS QoS reflection setting 1-bit indicator (NAS reflective QoS) and the AS QoS reflection setting 1-bit indicator (AS reflective QoS) of the SDAP header to control uplink and downlink QoS flows and data bearers. It may instruct to update or reset the mapping information.
  • the SDAP header may include QoS flow ID information indicating QoS.
  • the QoS information may be used as data processing priority and scheduling information to support a smooth service.
  • the main functions of the NR PDCPs 405 and 440 may include some of the following functions.
  • the reordering function of the NR PDCP device refers to a function of reordering PDCP PDUs received from a lower layer in an order based on a PDCP sequence number (SN), and a function of delivering data to a higher layer in the reordered order may include, or may include a function of directly delivering without considering the order.
  • it may include a function of reordering the order to record the lost PDCP PDUs,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reporting a status on the lost PDCP PDUs to the transmitting side, and retransmission of the lost PDCP PDUs. It may include the requested function.
  • the main functions of the NR RLCs 410 and 435 may include some of the following functions.
  • the in-sequence delivery function of the NR RLC device refers to a function of sequentially delivering RLC SDUs received from a lower layer to an upper layer, and an original RLC SDU is divided into several RLC SDUs and received. , it may include a function of reassembling it and delivering it,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rearranging the received RLC PDUs based on an RLC sequence number (SN) or PDCP SN (sequence number), and rearranging the order It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ording the lost RLC PDUs, a function of reporting a status on the lost RLC PDUs to the transmitting side, and a function of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lost RLC PDUs.
  • SN RLC sequence number
  • PDCP S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RLC SDU may include a function of sequentially delivering only RLC SDUs before the lost RLC SDU to the upper layer, or if a predetermined timer expires even if there is a lost RLC SDU It may include a function of sequentially delivering all RLC SDUs received before the start of RLC to the upper layer, or if a predetermined timer expires even if there are lost RLC SDUs, all RLC SDUs received so far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upper layer.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transmit.
  • the RLC PDUs may be process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received (in the order of arrival, regardless of the sequence number and sequence number) and delivered to the PDCP device out of sequence (out-of sequence delivery).
  • segments segments stored in the buffer or to be received later are received, reconstructed into one complete RLC PDU, processed, and delivered to the PDCP device.
  • the NR RLC layer may not include a concatenation function, and the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NR MAC layer or replaced with a multiplexing function of the NR MAC layer.
  • the out-of-sequence delivery function of the NR RLC device refers to a function of directly delivering RLC SDUs received from a lower layer to a higher layer regardless of order, and one RLC SDU originally has several RLCs.
  • it may include a function of reassembling and delivering it,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storing the RLC SN or PDCP SN of the received RLC PDUs, arranging the order, and recording the lost RLC PDUs.
  • the NR MACs 415 and 430 may be connected to several NR RLC layer devices configured in one terminal, and the main function of the NR MAC may include some of the following functions.
  • the NR PHY layers 420 and 425 channel code and modulate the upper layer data, make an OFDM symbol and transmit it to the radio channel, or demodulate the OFDM symbol received through the radio channel, decode the channel, and deliver the operation to the upper layer. can be don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and repor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an usually measure the signal strength in the expected service area, and may go through a process of disposing or re-adjusting the base stations in the service area based on this.
  • the operator loads the signal measurement equipment on the vehicle and collects the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the service area, which may require a lot of time and money.
  • the process may be commonly referred to as a drive test, generally utilizing a vehicle.
  • th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function of measuring a signal with a base station to support operations such as cell reselection, handover, and serving cell addition when moving between cells. Therefore, instead of the drive test, a terminal in a service area may be used,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 the operator can set the MDT operation to specific terminal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the network, and the terminals are i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RRC idle mode (RRC_IDLE) or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serving cell and neighboring cells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stor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signal quality information may be stored together.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reported to the network when the terminals are in the connected mode, and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specific server.
  •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RRC_IDLE RRC idle mode
  • RRC_INACTIVE RRC inactive mode
  • the MDT operation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immediate MDT and logged MDT.
  • Immediate MDT may be characterized by directly repor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network. Since it needs to be reported immediately, only the RRC connected mode UE can perform this. In general, a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 process for supporting operations such as handover and serving cell addition is recycled,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reported.
  •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 Logged MD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stored without directly reporting to the network, and after the terminal switches to the RRC connected mode, the stored information is reported. Usually, a UE in an RRC idle mode or RRC deactivation mode that cannot directly report to the network may perform this.
  • the terminal of the RRC inactive mode introduced in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characterized in performing Logged MDT.
  • the network provide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Logged MDT operation to the terminal, and after the terminal switches to the RRC idle mode or RRC inactive mode, the configured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stored. . In this regard, it is shown in [Table 1] below.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LTE base station in the conventional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601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or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 the RRC idle mode terminal 601 may transmit 610 an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RRCConnectionRequest)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602 .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615) an RRC connection setup message (RRCConnectionSetup)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 the UE may apply it and transition to the RRC connection mode (616).
  • the RRC connection mode terminal may transmit 620 an RRC connection setup completion message (RRCConnectionSetupComplete) to the base station.
  • the terminal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re i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the terminal provides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 mobilityHistoryAvail indicator indicating availability may be included in the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completion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620).
  • the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601 may transmit 610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request message (RRCConnectionResumeRequest)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602 .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message (RRCConnectionResum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 615 ).
  • the UE may apply it and transition to the RRC connected mode (616).
  •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transmit 620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completion message (RRCConnectionResumeComplete) to the base station.
  • the UE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re i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the UE connects the mobilityHistoryAvail indicator to RRC It may be included in the resume completion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620).
  • the terminal 601 that has not set security may perform an initial security activation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602 ( 621 ).
  • a terminal that has not configured security may mean a terminal that has switched from an RRC idle mode to an RRC connected mode.
  • the terminal 601 may transmit a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 (SecurityModeCommand) to the base station 602, and in response thereto,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security mode completion message (SecurityModeComplete) to the terminal.
  • SecurityModeCommand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
  • SecurityModeComplete security mode completion message
  • the base station 602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to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601 .
  • the terminal may apply the received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and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to the base station in response thereto ( 630 ).
  • the base station 602 may perform a UE information procedure for collecting terminal information when security activation is successfully performed.
  • the base station 602 may transmit (635)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UEInformationRequest) to the terminal in order to reques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601 .
  •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MobilityHistoryReportReq indicator.
  • the terminal 601 that has successfully activated security in step 640 may transmit ( 640 ) a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UEInformationResponse) to the base station 602 .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dures.
  • UEInformationRespons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VarMobilityHistoryReport can be included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the terminal may transmit 640 to the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by performing the above procedur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a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in a conventional L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terminal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ditions.
  • E-UTRA cel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it may mean a PCell (primary cell), and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 PCell primary cell
  • RRC idle mod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 RRC idle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Condition 2-1 When entering an E-UTRA cell (for example,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an RRC idle mode terminal) while being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or using another RAT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 E-UTRA for example,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an RRC idle mode terminal
  • another RAT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 Condition 2-2 In the case of entering an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while being in out of service before and/or using another RAT (upon entering E- 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 another RAT upon entering E- 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 the terminal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1-1 or condition 1-2, if necessary, it can delete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1-1 and condition 1-2 Th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 1-1 and condition 1-2 is whether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RC deactivation mode.
  •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1-1 does not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RRC deactivation mod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nd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1-2 is in RRC deactivation mode
  • the terminal storing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1-2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report accurat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compared to condition 1-1.
  •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2-1 or condition 2-2,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ime spent outside E-UTRA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side E-UTRA).
  • Time out of E-UTRA may mean the time spent in out of service or time using RAT other than E-UTRA cell, or the sum of time staying in out of service and time using RAT other than E-UTRA cell. have.
  • condition 2-1 and condition 2-2 Th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 2-1 and condition 2-2 is whether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RC deactivation mode.
  •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2-1 does not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RRC deactivation mod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2-2 is in RRC deactivation mode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s described above through steps 705 to 745 .
  • the terminal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E-UTRA cell may refer to the following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2] below.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be connected to the E-UTRA cell 5 as a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LTE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755,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described above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step 760 the terminal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if necessary for the current cell (eg, E-UTRA cell 5), and adds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E-UTRA cell 5) to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nd the time spent in E-UTRA cell 5 can be included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LTE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801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or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 the RRC idle mode terminal 801 may transmit 810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RRCSetupRequest)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802 .
  • RRCSetupRequest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RRCSetup)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 815 ).
  •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the UE may apply it and transition to the RRC connection mode (816).
  •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transmit (820) an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message (RRCSetupComplete) to the base station.
  • the UE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re i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the UE connects the mobilityHistoryAvail indicator to RRC It may be transmitted (820) to the base station by being included in the setup completion message.
  • the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801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request message or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request 1 message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802 ( 810 ).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815)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message (RRCResum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 the UE may apply it and transition to the RRC connected mode (816).
  •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transmit (820)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completion message (RRCResumeComplete) to the base station.
  • RRCResumeComplete RRC connection resumption completion message
  • the UE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re i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the UE connects the mobilityHistoryAvail indicator to RRC It may be included in the resume completion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820).
  • the terminal 801 without security setting may perform an initial security activation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802 ( 821 ).
  • a terminal that has not configured security may mean a terminal that has switched from an RRC idle mode to an RRC connected mode.
  • the terminal 801 may transmit a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 (SecurityModeCommand) to the base station 802, and in response thereto,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security mode completion message (SecurityModeComplete) to the terminal.
  • the base station 802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Reconfiguration) to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801 .
  • the terminal may apply the received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and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 (RRCReconfigurationComplete) to the base station in response thereto (830).
  • the base station 802 may perform a UE information procedure for collecting terminal information when security activation is successfully performed.
  • the base station 802 may transmit (835)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UEInformationRequest) to the terminal in order to reques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801 .
  •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MobilityHistoryReportReq indicator.
  • the terminal 801 that has successfully activated the security in step 840 may transmit (840) a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UEInformationResponse) to the base station 802 .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dures.
  • UEInformationRespons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VarMobilityHistoryReport can be included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the terminal may transmit (840)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by performing the above procedure.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UE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Another NR cell or E-UTRA in an NR cell may mean a PCell, and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or an RRC inactiv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 Condition 2 When entering the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after being out of service before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 Condition 3 In case of entering NR cell after using E-UTRA cell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 condition 1 If condition 1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2 If condition 2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delete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ime spent in out of service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 the terminal may propose to store only the time spent in out of service in the timeSpent field.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LTE system,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spent in the inter-RAT cell (E-UTRA cell and/or UTRA cell) is not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Unlike the conventional system, when only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is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inaccurate. However, the U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parately manage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because the time spent in the inter-RAT cell (E-UTRA cell and/or UTRA cell) is separately stored and manag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it is not separately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Implement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For example,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U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he UE does not need to rearrange the order of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 condition 3 If condition 3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condition 3 is satisfied, only the most recent E-UTRA cell information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condition 3 when condition 3 is satisfied, only the most recent E-UTRA cell information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only information about E-UTRA cell b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since information about E-UTRA cell a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and information about E-UTRA cell a is not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the UE may be inaccurate, but the UE uses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and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can be managed separately. That is, information on E-UTRA cell a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only information about E-UTRA cell b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have. For example,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U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he UE does not need to rearrange the order of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rough steps 905 to 950 as described above.
  • the UE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NR VarMobiltiyHistoryReport.
  •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E-UTRA cell may follow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NR cell means the following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3 below.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have NR cell 4 connected to the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NR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960,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described above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step 965 the terminal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if necessary for the current cell (eg, NR cell 4), and adds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to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nd NR cell 4 You can include the time spent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 the current cell eg, NR cell 4
  •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UE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Another NR cell or E-UTRA in an NR cell may mean a PCell, and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or an RRC inactiv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 Condition 2 Previously in out of service and/or using an inter-RAT cell other than the E-UTRA cell, entering the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or using another RAT except E-UTRA)
  •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 Condition 3 In case of entering NR cell after using E-UTRA cell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 condition 1 If condition 1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2 If condition 2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delete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terminal may propose to store in the timeSpent fiel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out of service staying time and the time using RATs other than E-UTRA.
  • RATs other than E-UTRA may mean UTRA. Since the time spent in RATs other than E-UTRA can be stored in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more accurate.
  • condition 3 If condition 3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condition 3 is satisfied, only the most recent E-UTRA cell information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condition 3 when condition 3 is satisfied, only the most recent E-UTRA cell information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VarMobilityHistoryReport when changing a cell from E-UTRA cell a to E-UTRA cell b, and changing from E-UTRA cell b to an NR cell, only information about E-UTRA cell b may be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 Since this does not store information on E-UTRA cell a, although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inaccur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rminal can separately manage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 E-UTRA cell a information on E-UTRA cell a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only information about E-UTRA cell b is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have.
  • the UE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U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he UE does not need to rearrange the order of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LTE and VarMobilityHistoryReport for NR.
  • the UE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rough steps 1005 to 1050 as described above.
  • the UE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not includ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tiyHistoryReport of NR.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have NR cell 4 connected to the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NR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1060,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the aforementioned VarMobilityHistoryReport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step 1065 the terminal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if necessary for the current cell (eg, NR cell 4), and adds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to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nd NR cell 4 You can include the time spent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 the current cell eg, NR cell 4
  •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UE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Another NR cell or E-UTRA in an NR cell may mean a PCell, and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or an RRC inactiv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 Condition 2 When entering the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after being out of service before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 Condition 3 In case of entering NR cell after using E-UTRA cell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RRC idle mode or RRC inactive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RRC idle mode or RRC inactive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RRC idle mode or RRC inactive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E-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to anothe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condition 1 If condition 1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2 If condition 2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ime spent in out of service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 condition 3 If condition 3 is satisfied and the terminal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NR's VarMobilityHistoryReport,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entry in NR's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4 If condition 4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delete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the UE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rough steps 1105 to 1150 as described above.
  • the UE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not includ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tiyHistoryReport of NR.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have NR cell 4 connected to the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NR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1160,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described above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step 1165 the terminal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if necessary for the current cell (eg, NR cell 4), and adds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to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nd NR cell 4 You can include the time spent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 the current cell eg, NR cell 4
  •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UE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Another NR cell or E-UTRA in an NR cell may mean a PCell, and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or an RRC inactiv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 Condition 2 In case of entering NR cell while using E-UTRA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 condition 1 If condition 1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2 If condition 2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delete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base st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total time for mobility of the terminal before entering the NR cell.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r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most recent E-UTRA cell before entering the NR cell ar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and the total time spent in the E-UTRA cell and out of service (stayed in the E-UTRA cell) time, time spent out of service)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 the base station checks only the time spent in the E-UTRA cell and the time spent in the out of service before entering the NR cell to further improv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 the UE does not store the time spent in RATs other than the E-UTRA cell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implement for a UE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r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most recent E-UTRA cell before entering the NR cell ar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and the total time spent in the E-UTRA cell (the time spent in the E-UTRA cell) is timeSpent You can store it in a field.
  • the base station may check only the time spent in the E-UTRA cell before entering the NR cell to more inaccurately determin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but the terminal stays out of service Since the time and the time spent in the inter-RAT cell except for E-UTRA are not stored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implement for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 the UE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rough steps 1205 to 1220 as described above.
  • the UE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E-UTRA cell 2 Global cell identifier or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for E-UTRA cell 2, and total time spent in E-UTRA cell 1 and E-UTRA cell 2 12s (1210, 1215).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have NR cell 2 connected to the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NR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1230,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the aforementioned VarMobilityHistoryReport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step 1235 if necessary for the current cell (eg, NR cell 2), the previous entry value is deleted, and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2) and the time spent in NR cell 2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can be included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 the current cell eg, NR cell 2
  • the previous entry value is deleted, and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2) and the time spent in NR cell 2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can be included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may not be out of service (eg, if there is no camp-on or access to any cell). cas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is not camped on any suitable cell or any acceptable cell).
  • the UE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an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Another NR cell or E-UTRA in an NR cell may mean a PCell, and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or an RRC inactive terminal, it may mean a serving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 Condition 2 When entering the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after being out of service before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 NR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 Condition 3 In case of entering NR cell after using E-UTRA cell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 condition 1 If condition 1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2 If condition 2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cell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ime spent in out of service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 condition 3 If condition 3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f necessary, it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when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nd may additionally report it when reporting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n NR base station.
  • Condition 4-1 Change from an E-UTRA cell (eg,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a PCell, and an RRC idle mode terminal may mean a serving cell) to another E-UTRA cell or an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from E-UTRA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to another E-UTRA or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E-UTRA cell eg,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a PCell, and an RRC idle mode terminal may mean a serving cell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mean PCell
  •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may mean serving cell
  • E-UTRA cell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to another E-UTRA or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 Condition 5-1 When entering an E-UTRA cell (for example,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an RRC idle mode terminal) while using a RAT other than the NR and/or out of service before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except NR)
  • E-UTRA cell for example,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an RRC idle mode terminal
  • Condition 5-2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 or while using another RAT other than NR
  • E-UTRA cell eg, RRC connected mode terminal or RRC idle mode terminal or RRC deactivation mode
  •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If the terminal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according to condition 4-1 or condition 4-2, if necessary, delete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4-1 and condition 4-2 Th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 4-1 and condition 4-2 is whether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RC deactivation mode.
  •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4-1 does not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RRC deactivation mod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nd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4-2 is in RRC deactivation mode
  • the terminal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5-1 or condition 5-2, if necessary, it can delete the value of the previous entry and st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ime out of E-UTRA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At this time, the time out of E-UTRA stays in out of service or uses RAT other than E-UTRA cell and NR cell, or stays in out of service and RAT other than E-UTRA cell and NR cell can mean the time to use .
  • condition 5-1 and condition 5-2 Th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 5-1 and condition 5-2 is whether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RC deactivation mode.
  •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5-1 does not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RRC deactivation mod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 a terminal that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according to condition 5-2 is in RRC deactivation mode
  • the UE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through steps 1305 to 1350 as described above.
  • the UE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 the UE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as described above through steps 1305 to 1350.
  • the terminal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LTE.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have NR cell 4 connected to the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NR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1360,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described above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Additionally, the entry value in the LTE mobilityHistoryReport may be included in the NR mobilityHistoryReport to be included in the NR terminal capability response message, or the LTE mobilityHistoryReport may be separately included in the NR terminal capability response message. In this case, it may be included in the NR terminal capability response message by arranging in the order of steps 1305 to 1350.
  • step 1365 if necessary for the current cell (for example, NR cell 4), the previous entry value is deleted, and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and the NR cell 4 in the entry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You can include the time spent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 the current cell for example, NR cell 4
  • the previous entry value is deleted, and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NR cell 4) and the NR cell 4 in the entry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You can include the time spent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processing unit 1410 , a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 a storage unit 1430 , and a control unit 1440 .
  • RF radio frequency
  •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wireless channel, such as band conversion and amplification of the signal. That is, the RF processor 141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420 into an RF band signal, transmits it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a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a baseband signal. can be down-converted to
  •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include a transmit filter, a receive filter, an amplifier, a mixer, an oscillator,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and the like. . In the figure, only one antenna is shown, but the terminal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F chains. Furthermore,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perform beamforming. For the beamforming,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adjust the phase and magnitude of each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or antenna elements. In addition, the RF processing unit may perform MIMO, and may receive multiple layers when performing MIMO operation.
  •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a physical layer standard of a system. 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data,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may generate complex symbols by encoding and modulating a transmitted bit stream. Also, when receiving data,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may restore a received bit stream by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ing unit 1410 .
  •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generates complex symbols by encoding and modulating a transmission bit stream, and mapping the complex symbols to subcarriers After that, OFDM symbols can be configured through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peration and cyclic prefix (CP) insertion. Also, upon data reception, the baseband processor 1420 divide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or 1410 into OFDM symbol units, and restores signals mapped to subcarriers through fast Fourier transform (FFT). After that, the received bit stream can be restored through demodulation and decoding.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and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420 and the RF processing unit 141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a receiver, a transceiver, or a communication unit. Furthermore, at least one of the baseband processor 1420 and the RF processor 14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o support a plurality of different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baseband processor 1420 and the RF processor 1410 may include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to process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example, the different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may include a wireless LAN (eg, IEEE 802.11), a cellular network (eg, LT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fferent frequency bands may include a super high frequency (SHF) (eg, 2.NRHz, NRhz) band and a millimeter wave (eg, 60GHz) band.
  • SHF super high frequency
  • the storage unit 1430 may store data such as a basic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 the storage unit 143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a second access nod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second wireless access technology.
  • the storage unit 1430 may provide stored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1440 .
  • the controller 144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40 may transmit/receive a signal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1420 and the RF processor 141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40 writes and reads data in the storage unit 1440 . To this end, the controller 144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that controls for communication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at controls an upper layer such as an application program.
  • CP communication processor
  • AP application processor
  •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NR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n RF processing unit 1510 , a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 a backhaul communication unit 1530 , a storage unit 1540 , and a control unit 1550 .
  • the RF processing unit 151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wireless channel, such as band conversion and amplification of the signal. That is, the RF processor 151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520 into an RF band signal, transmits it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a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a baseband signal. can be down-converted to
  • the RF processing unit 1510 may include a transmit filter, a receive filter, an amplifier, a mixer, an oscillator, a DAC, an ADC, and the like.
  • the first access no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 the RF processing unit 15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F chains. Furthermore, the RF processing unit 1510 may perform beamforming. For the beamforming, the RF processor 1510 may adjust the phase and magnitude of each of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or antenna elements. The RF processing unit may perform a downlink MIMO operation by transmitting one or more layers.
  •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the physical layer standard of the first radio access technology. 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data,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may generate complex symbols by encoding and modulating a transmitted bit stream. Also, when receiving data,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may restore a received bit stream by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ing unit 1510 . For example, in the OFDM scheme, when transmitting data,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generates complex symbols by encoding and modulating a transmitted bit stream, maps the complex symbols to subcarriers, and performs IFFT operation and OFDM symbols can be configured through CP insertion.
  • the baseband processor 1520 divide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or 1510 into OFDM symbol units, restores signals mapped to subcarriers through FFT operation, and demodulates them. And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received bit stream through decoding.
  •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and the RF processing unit 151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and the RF processing unit 151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a receiver, a transceiver, a communication uni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the backhaul communication unit 153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ther nodes in the network. That is, the backhaul communication unit 1530 converts a bit string transmitted from the main station to another node, for example, an auxiliary base station, a core network, etc. into a physical signal, and converts the phys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node into a bit string. can be converted
  • the storage unit 1540 may store data such as a basic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ain station.
  • the storage unit 15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bearer allocated to an accessed terminal, a measurement result reported from the accessed terminal, and the like.
  • the storage unit 1540 may store information serving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or stop multiple connections to the terminal.
  • the storage unit 1540 may provide stored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1550 .
  • the controller 155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main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50 may transmit/receive a signal through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520 and the RF processing unit 1510 or through the backhaul communication unit 153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50 writes and reads data in the storage unit 1540 . To this end, the controller 155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for processing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when the terminal transitions to an RRC deactivation mode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1601 may be in an RRC idle mode (RRC_IDLE) or an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 the RRC idle mode terminal 1601 may transmit (1610)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RRCSetupRequest)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1602 .
  •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Upon receiving the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RRCSetup)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 1615 ).
  •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Upon receiving the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the UE may apply it and transition to the RRC connection mode (1616).
  •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transmit (1620) an RRC connection setup completion message (RRCSetupComplete) to the base station.
  • the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1601 transmits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request message or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request 1 message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1602 (1610).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message (RRCResum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1615).
  • the UE may apply it and transition to the RRC connected mode (1616).
  •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may transmit (1620) an RRC connection resumption completion message (RRCResumeComplete) to the base station.
  • the terminal 1601 that has not set security may perform an initial security activation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1602 ( 1621 ).
  • a terminal that has not configured security may mean a terminal that has switched from an RRC idle mode to an RRC connected mode.
  • the terminal 1601 may transmit a security mode command message (SecurityModeCommand) to the base station 1602, and in response thereto,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security mode completion message (SecurityModeComplete) to the terminal.
  • the base station 1602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Reconfiguration) to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1601 .
  • the terminal may apply the received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and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 (RRCReconfigurationComplete) to the base station in response thereto (1630).
  • the base station 1602 may transmit (1635) a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message to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1601 to initiate a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procedure.
  •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message,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sses.
  • VarLogMeasConfig If loggingDuration, loggingInterval, and areaConfiguration are included in VarLogMeasConfig, it can be saved.
  • RPLMNs and PLMNs included in plmn-IdentityList in VarLogMeasReport can be set to plmn-IdentityList. If plmn-IdentityList is not included in the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message, RPLMN can be set to plmn-IdentityList in VarLogMeasReport.
  • the received bt-NameList, wlan-NameList, sensor-NameList, and reportType can be stored in VarLogMeasConfig.
  • the T330 timer can be started with the timer value included in loggingDuration.
  • the ASN.1 structure for the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is shown in [Table 4] below.
  • the base station 1602 may transmit (1640) an RRC connection release message (RRCRelease) containing reserv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suspendConfig) to the RRC connected mode terminal 1601 for a predetermined reason (eg,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reception).
  • RRCRelease RRC connection release message
  • suspendConfig reserv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 the UE is present in the UE Inactive AS Context with KgNB and KRRCInt keys, ROHC state, stored QoS flow to DRB mapping rules, C-RNTI used in the source PCell, cellIdentity and physical cell identity of the source PCell, ReconfigurationWithSync of the PSCell.
  • Stored spCellConfigCommon and other configured parameters can be saved.
  • the UE may not store the parameters contained in ReconfigurationWithySync of the PCell, the servingCellConfigCommonSIB, and the parameters contained in the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message received in step 1635 in the UE Inactive AS Context.
  • the UE may make a transition (1646) to the RRC deactivation mode (RRC_INACTIVE).
  • the terminal has a feature that does not store the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the UE Inactive AS Context.
  •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is configuration information commonly applied to both RRC inactive mode and RRC idle mode, and is stored and updated in a separate terminal variable (eg, VarLogMeasConfig and/or VarLogMeasReport) and managed, so it is separately stored in the UE Inactive AS Context. Because there is no need That is, since the UE Inactive AS Context has the purpose of storing and using the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used in the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store the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the UE Inactive AS Context.
  • the values in the actual terminal variables eg, VarLogMeasConfig and/or VarLogMeasReport
  • the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stored in the UE Inactive AS Context may have different values.
  •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the terminal to repor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an NR base station in a next-generation mobi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supporting the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change a cell through a cell selection process, a cell reselection process, or a handover process, or a camped normally state (a state camped on a suitable cell for general use), any cell selection state (a state that has not camped on any cell), camped on any cell state (a state that has camped on acceptable cells for limited service (emergency calls, ETWS and CMAS)).
  • a camped normally state a state camped on a suitable cell for general use
  • any cell selection state a state that has not camped on any cell
  • camped on any cell state a state that has camped on acceptable cells for limited service (emergency calls, ETWS and CMAS)
  • the UE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RRC idle mode (RRC_IDLE), RRC inactive mode (RRC_INACTIVE), or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for NR cells, and RRC idle mode (RRC_IDLE) or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RRC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 RRC_IDLE RRC idle mode
  • RRC_CONNECTED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RRC deactivation mode for the E-UTRA cell, but thi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rminal's capability or standard release. That is, in the foregoing, it is assumed for convenience that the RRC deactivation mode terminal does not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for E-UTRA.
  • the terminal may stor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suitable cell changes for an E-UTRA cell, it may mean a PCell in the case of an RRC connected mode terminal, and may mean a serving cell in the case of an RRC idle mode terminal);
  • a suitable cell change may mean a change from an NR suitable cell to an E-UTRA suitable cell or another NR suitable cell or a change from an E-UTRA suitable cell to another E-UTRA suitable cell or an NR suitable cell (upon change).
  • suitable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NACTIVE (for NR cell) or in RRC_IDLE (for NR or E-UTRA cell), to another NR or E-UTRA cell)
  • NR cell or E-UTRA cell in the previous any cell selection state or camped on any cell state in the case of transition to the camped normal state in the NR cell (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UE is RRC_IDLE, RRC_INACTIVE or RRC_CONNECTED) Or, if it i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or camped on any cell state before for NR cell or E-UTRA cell and transitions to camped normally state in E-UTRA cell (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RRC_IDLE or RRC_CONNECTED) (upon entering camped normally state in NR (in RRC_IDLE, RRC_INACTIVE, or RRC_CONNECTED) or E-UTRA (in RRC_IDLE or RRC_CONNECTED) while previously in any cell selection state or camped on any cell state in NR or LTE)
  •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ich condition among condition 1, condition 2, or condition 3 is satisfied (1705).
  • condition 1 or condition 2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 step 1710, if necessary, the UE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if necessary and adds the following information to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If there is no glob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the carrier frequency and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visitedCellId field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And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or serving cell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 condition 3 is satisfied and the UE stores the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 step 1715, if necessary, the UE deletes the previous entry value and stor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the entry in VarMobilityHistoryReport in VarMobilityHistoryReport of NR.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the time spent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or camped on any cell state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 /or camped on any cell state in NR or LTE).
  • any cell selection state and/or for NR or E-UTRA at the time of transition to a camped normally state ie, a state camped on a suitable cell
  • the time spent in the camped on any cell state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and at the time of transition to the camped on any cell state (that is, the state camped on an acceptable cell), any cell for an NR cell or an E-UTRA cell
  • the time spent in the selection state and/or camped on any cell state may not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 entering into an NR cell or an E-UTRA cell may include both a camped normally state and a camped on any cell state.
  • the terminal may have a disadvantage of storing the overlapped time.
  • the terminal can store the time (T5-T1) at the time T5 in the timeSpent field.
  • the terminal n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tores the time of (T2-T1) at the time T2 in the timeSpent field, the time of (T4-T1) at the time T4 in the timeSpent field, and at the time T5 ( Since the time T5-T1) can be stored in the timeSpent field, an unnecessarily duplicated time (eg, T2-T1 time or T4-T1 time) can be stored to report incorrec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 T2-T1 time or T4-T1 time can be stored to report incorrect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 the UE in the RRC connected mode may be connected to a primary cell (PCell) that is an NR cell.
  • PCell primary cel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mobilityHistoryReportReq from the NR base station.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in step 1730, the terminal may include the entry value in the aforementioned VarMobilityHistoryReport in mobilityHistoryReport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 step 1730 if necessary, the previous entry value is deleted for the current cell (eg, PCell), and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and the time spent in the PCell may be included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entry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 the current cell eg, PCell
  • the global cell identifier for the current cell and the time spent in the PCell may be included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entry in the VarMobilityHistoryReport.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mobilityHistoryReport to the NR base station by including the mobilityHistoryReport in the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 단말 및 기지국 동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망 구축 혹은 최적화 시, 이동통신 사업자는 통상 예상 서비스 영역에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영역 내의 기지국들을 배치 혹은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사업자는 차량에 신호 측정 장비를 싣고,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차량을 활용하여, Drive Test라고 통용될 수 있다. 단말은 셀 간 이동시 셀 재선택 혹은 핸드오버,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Drive Test 대신,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을 활용할 수 있는데, 이를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라고 칭할 수 있다. 사업자는 네트워크의 여러 구성 장치들을 통해, 특정 단말들에게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들은 RRC 연결 모드 (RRC_CONNECTED), RRC 유휴 모드 (RRC_IDLE) 혹은 RRC 비활성 모드 (RRC_INACTIVE)에서 서빙 셀 및 주변 셀들로부터의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외,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신호 품질 정보 등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상기 단말들이 연결 모드에 있을 때, 네트워크로 보고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특정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모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모드),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 모드)에 있을 수 있다. NR에서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LTE 및 NR 방문 셀 정보를 모두 포함 할 수 있으나, LTE 의 방문 셀 정보를 어떻게 포함할 지에 대한 방법은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outside NR(예를 들어, NR 셀 자체에 접속하지 않은 모든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이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또는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간 정보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RRC 연결 설정 요청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RRC 연결 설정 (RRC setup)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 (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또는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간 정보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며,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RRC 연결 설정 요청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RRC 연결 설정 (RRC setup)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한 경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 측정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종래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LTE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종래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 시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될 수 있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할 수 있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할 수 있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 (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 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할 수 있다)(210, 235)는 PDCP PDU(protocol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2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gNB 혹은 NR 기지국)(310) 과 NR CN (3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315)은 NR gNB(310) 및 NR CN (3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에서 NR gNB(3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될 수 있다. NR gNB는 NR UE(3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gNB(31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NR gNB(3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할 수 있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할 수 있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NR CN (3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 (3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3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401, 445), NR PDCP(405, 440), NR RLC(410, 435), NR MAC(415, 430), NR PHY(420, 425)으로 이루어진다.
NR SDAP(401, 4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를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f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상기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로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 (405, 4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상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410, 4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다.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415, 4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420, 4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 측정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망 구축 혹은 최적화 시, 이동통신 사업자는 통상 예상 서비스 영역에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영역 내의 기지국들을 배치 혹은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사업자는 차량에 신호 측정 장비를 싣고,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차량을 활용하여, drive test라고 통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셀 간 이동시 셀 재선택 혹은 핸드오버,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drive test 대신,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을 활용할 수 있는데, 이를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라고 칭할 수 있다. 사업자는 네트워크의 여러 구성 장치들을 통해, 특정 단말들에게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들은 RRC 연결 모드 (RRC_CONNECTED), RRC 유휴 모드 (RRC_IDLE) 혹은 RRC 비활성 모드 (RRC_INACTIVE)에서 서빙 셀 및 주변 셀들로부터의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외,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신호 품질 정보 등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상기 단말들이 연결 모드에 있을 때, 네트워크로 보고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특정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MDT 동작은 크게 Immediate MDT와 Logged MDT로 분류될 수 있다.
Immediate MDT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로 보고해야 하므로, RRC 연결 모드 단말만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통상, 핸드오버 및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과정을 재활용하며,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이 추가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Logged MDT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로 보고하지 않고 저장하며, 이 후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저장한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상 바로 네트워크로 보고할 수 없는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의 단말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입된 RRC 비활성 모드의 단말은 Logged MDT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특정 단말이 RRC 연결 모드에 있을 때, Logged MDT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 [표 1]와 같다.
Figure PCTKR2021004502-appb-I000001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종래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LTE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단말(6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단말(601)은 기지국(602)과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ConnectionRequest)를 기지국에게 전송(610)할 수 있다.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ConnectionSetup)를 단말에게 전송(615)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616)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ConnectionSetupComplete)를 전송(620)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며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있는 경우(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상기 단말은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mobilityHistoryAvail 지시자를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620)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601)은 기지국(602)과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ConnectionResumeRequest)를 기지국에게 전송(610)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ConnectionResume)를 단말에게 전송(615)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616)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ConnectionResumeComplete)를 전송(620)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며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있는 경우(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상기 단말은 mobilityHistoryAvail 지시자를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620)할 수 있다.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단말(601)은 초기 보안 활성화 절차를 기지국(602)과 수행(621)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단말이란 RRC 유휴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601)은 기지국(602)에게 보안 모드 명령 메시지(SecurityModeCommand)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안 모드 완료 메시지(SecurityMode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625 단계에서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602)은 RRC 연결 모드 단말(601)에게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를 전송(630)할 수 있다.
635 단계에서 기지국(602)은 보안 활성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우에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UE informa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602)은 단말(601)로부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UEInformationRequest)를 단말에게 전송(635)할 수 있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MobilityHistoryReportReq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보안 활성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단말(601)은 기지국(602)에게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UEInformationResponse)를 전송(640)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에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 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상기 단말은 다음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정보를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필요시 가장 이전의 정보를 지우고, 현재 셀에 대한 정보를 mobilityHistoryReport에 아래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include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an entry for the current cell,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required, set its fields as follows)
- 현재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로 셋팅할 수 있다 (set visitedCellId to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current cell)
- 현재 셀에서 보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셋팅할 수 있다 (set field timeSpent to the time spent in the current cell)
상기 단말은 상기 절차를 수행하여 mobilityHistoryReport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640)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종래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1: E-UTRA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primary 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E-UTRA 셀 또는 inter-RAT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E-UTRA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to another E-UTRA or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1-2: E-UTRA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은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E-UTRA 셀 또는 inter-RAT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E-UTRA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to another E-UTRA or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2-1: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거나 및/또는 다른 RAT을 사용하다가 E-UTRA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조건 2-2: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거나 및/또는 다른 RAT을 사용하다가 E-UTRA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만약 단말이 조건 1-1 또는 조건 1-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조건 1-1과 조건 1-2에서의 차이는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지 여부이다. 조건 1-1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지 않으며, 조건 1-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조건 1-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단말은 조건 1-1에 비해 정확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단말이 조건 2-1 또는 조건 2-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E-UTRA에서 벗어난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side E-UTRA). E-UTRA에서 벗어난 시간은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 또는 E-UTRA셀이 아닌 다른 RAT를 사용한 시간 또는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과 E-UTRA 셀이 아닌 다른 RAT을 사용한 시간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조건 2-1과 조건 2-2에서의 차이는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지 여부이다. 조건 2-1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지 않으며, 조건 2-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조건 1-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단말은 조건 1-1에 비해 정확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단말은 705 단계부터 745 단계를 거쳐 상술한 동작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E-UTRA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705)
- E-UTRA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2 에 머문 시간 5s (710)
- IRAT (inter-RAT)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715)
- E-UTRA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3 에 머문 시간 2s (720)
-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 3s (725)
- E-UTRA cell 4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4 에 머문 시간 5s (730)
- out of service 와 IRAT cell 2에 머문 총 시간 20s (735, 740)
참고로, E-UTRA 셀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는 하기 [표 2]와 같이 다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1004502-appb-I000002
74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E-UTRA cell 5가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75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LTE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75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76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현재 셀(일 예로, E-UTRA cell 5)에 대해 필요 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E-UTRA cell 5)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E-UTRA cell 5에 머문 시간을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76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LTE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단말(8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단말(801)은 기지국(802)과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를 기지국에게 전송(810)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를 단말에게 전송(815)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816)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를 전송(820)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며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있는 경우(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상기 단말은 mobilityHistoryAvail 지시자를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820)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801)은 기지국(802)과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1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기지국에게 전송(810)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815)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816)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820)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며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있는 경우(If the UE supports storage of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E has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available in VarMobilityHistoryReport), 상기 단말은 mobilityHistoryAvail 지시자를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820)할 수 있다.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단말(801)은 초기 보안 활성화 절차를 기지국(802)과 수행(821)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단말이란 RRC 유휴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801)은 기지국(802)에게 보안 모드 명령 메시지(SecurityModeCommand)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안 모드 완료 메시지(SecurityMode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825 단계에서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802)은 RRC 연결 모드 단말(801)에게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Reconfigur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ReconfigurationComplete)를 전송(830)할 수 있다.
835 단계에서 기지국(802)은 보안 활성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우에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UE informa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802)은 단말(801)로부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UEInformationRequest)를 단말에게 전송(835)할 수 있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MobilityHistoryReportReq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840 단계에서 보안 활성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단말(801)은 기지국(802)에게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UEInformationResponse)를 전송(840)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에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 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상기 단말은 다음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정보를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 필요시 가장 이전의 정보를 지우고, 현재 셀에 대한 정보를 mobilityHistoryReport에 아래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include in the mobilityHistoryReport an entry for the current cell,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required, set its fields as follows)
- 현재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로 셋팅할 수 있다 (set visitedCellId to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current cell)
- 현재 셀에서 보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셋팅할 수 있다 (set field timeSpent to the time spent in the current cell)
상기 단말은 상기 절차를 수행하여 mobilityHistoryReport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840)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 NR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단말인 경우에는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NR 셀 또는 E-UTRA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NR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2: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다가 NR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조건 3: E-UTRA 셀을 사용하다가 NR 셀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만약 단말이 조건 1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2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out of service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조건 2 이 충족되는 경우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만 timeSpent 필드에 저장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즉, 종래 LTE 시스템과 다르게 inter-RAT 셀 (E-UTRA 셀 and/or UTRA 셀)에 머문 시간에 대해서는 timeSpent 필드에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 시스템과 다르게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만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경우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와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inter-RAT 셀 (E-UTRA 셀 and/or UTRA 셀)에 머문 시간은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별도로 저장하지 않아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실제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단말은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와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의 순서를 재정렬할 필요가 없다.
만약 단말이 조건 3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 (E-UTRA cell에 대한 정보)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조건 3 이 충족되는 경우 가장 최근의 E-UTRA 셀 정보만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E-UTRA 셀 a 에서 E-UTRA 셀 b로 셀을 변경하고, E-UTRA 셀 b 에서 NR 셀로 변경하는 경우 E-UTRA 셀 b에 대한 정보만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E-UTRA 셀 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E-UTRA 셀 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지만 단말이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와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E-UTRA 셀 a에 대한 정보는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고, E-UTRA 셀 b 에 대한 정보만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기 때문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실제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단말은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와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의 순서를 재정렬할 필요가 없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905 단계부터 950 단계를 거쳐 상술한 방법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NR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905)
- NR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2 에 머문 시간 5s (910)
- E-UTRA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2 에 머문 시간 2s (920)
- NR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3 에 머문 시간 3s (925)
-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 2s (945)
참고로, 본 실시 예를 따른 단말은 NR의 VarMobiltiyHistoryReport에 다음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E-UTRA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915)
-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 5s (930)
- 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935)
- E-UTRA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3 에 머문 시간 10s (94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단말은 E-UTRA cell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고, NR 셀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는 하기 [표 3]와 같이 다음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1004502-appb-I000003
95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NR cell 4가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95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96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96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현재 셀(일 예로, NR cell 4)에 대해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NR cell 4)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NR cell 4 에 머문 시간을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97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 NR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단말인 경우에는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NR 셀 또는 E-UTRA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NR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2: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다가 및/또는 E-UTRA 셀을 제외한 다른 inter-RAT 셀을 이용하다가 NR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or using another RAT except E-UTRA)
조건 3: E-UTRA 셀을 사용하다가 NR 셀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만약 단말이 조건 1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2 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out of service 및/또는 E-UTRA을 제외한 다른 RAT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outside NR except using E-UTR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조건 2 이 충족되는 경우 out of service 머문 시간과 E-UTRA을 제외한 다른 RAT을 사용한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timeSpent 필드에 저장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예로, E-UTRA을 제외한 다른 RAT은 UTRA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에 E-UTRA을 제외한 다른 RAT에 머문 시간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더 정확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조건 3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 (E-UTRA cell에 대한 정보)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조건 3 이 충족되는 경우 가장 최근의 E-UTRA 셀 정보만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E-UTRA 셀 a 에서 E-UTRA 셀 b로 셀을 변경하고, E-UTRA 셀 b 에서 NR 셀로 변경하는 경우 E-UTRA 셀 b에 대한 정보만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E-UTRA 셀 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지만 단말이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와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E-UTRA 셀 a에 대한 정보는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고, E-UTRA 셀 b 에 대한 정보만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기 때문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실제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단말은 LTE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와 NR에 대한 VarMobilityHistoryReport의 순서를 재정렬할 필요가 없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1005 단계부터 1050 단계를 거쳐 상술한 방법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NR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005)
- NR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2 에 머문 시간 5s (1010)
- E-UTRA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2 에 머문 시간 2s (1020)
- NR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3 에 머문 시간 3s (1025)
- UTRA cell 1과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의 총합 12s (1040, 1045)
참고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단말은 NR의 VarMobiltiyHistoryReport에 다음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E-UTRA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015)
-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 5s (1030)
- E-UTRA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3 에 머문 시간 10s (1040)
105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NR cell 4가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105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106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106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현재 셀(일 예로, NR cell 4)에 대해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NR cell 4)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NR cell 4 에 머문 시간을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107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 NR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단말인 경우에는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NR 셀 또는 E-UTRA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NR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2: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다가 NR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조건 3: E-UTRA 셀을 사용하다가 NR 셀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조건 4: E-UTRA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은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E-UTRA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E-UTRA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to anothe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만약 단말이 조건 1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2 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out of service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만약 단말이 조건 3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 (E-UTRA cell에 대한 정보)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4 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 (E-UTRA cell에 대한 정보)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서빙 셀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1105 단계부터 1150 단계를 거쳐 상술한 방법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NR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105)
- NR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2 에 머문 시간 5s (1110)
- E-UTRA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115)
- E-UTRA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2 에 머문 시간 2s (1120)
- NR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3 에 머문 시간 3s (1125)
-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 2s (1145)
참고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단말은 NR의 VarMobiltiyHistoryReport에 다음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 5s (1130)
- E-UTRA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3 에 머문 시간 10s (1135)
- 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140)
115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NR cell 4가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115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116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116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현재 셀(일 예로, NR cell 4)에 대해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NR cell 4)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NR cell 4 에 머문 시간을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117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 NR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단말인 경우에는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NR 셀 또는 E-UTRA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NR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2: E-UTRA을 사용하다가 NR 셀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만약 단말이 조건 1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2 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NR 셀로 들어오기 전 가장 최근의 E-UTRA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하고, NR 에서 벗어난 전체 시간(inter-RAT 셀에 머문 시간과 out of service 에 머문 시간을 의미)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NR 에서 벗어난 전체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경우, 기지국은 NR 셀로 들어오기 전 단말의 이동성에 대한 전체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NR 셀로 들어오기 전 가장 최근의 E-UTRA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하고, E-UTRA 셀과 out of service에 머문 전체 시간(E-UTRA 셀에 머문 시간,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UTRA 셀과 out of service 에 머문 전체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한 경우, 기지국은 NR 셀로 들어오기 전 E-UTRA 셀에 머문 시간과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만 확인하여 단말의 이동성을 좀 더 부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단말은 E-UTRA 셀을 제외한 다른 RAT에 머문 시간을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는 NR 셀로 들어오기 전 가장 최근의 E-UTRA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하고, E-UTRA 셀에 머문 전체 시간(E-UTRA 셀에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UTRA 셀에 머문 전체 시간만 timeSpent에 저장할 경우, 기지국은 NR 셀로 들어오기 전 E-UTRA 셀에 머문 시간만 확인하여 단말의 이동성을 좀 더 부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단말은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과 E-UTRA 을 제외한 inter-RAT 셀에 머문 시간을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에 대한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1205 단계부터 1220 단계를 거쳐 상술한 방법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NR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205)
- E-UTRA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와 E-UTRA cell 1과 E-UTRA cell 2에서 머문 전체 시간 12s (1210, 1215).
122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NR cell 2가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12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12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1235 단계에서 현재 셀(일 예로, NR cell 2)에 대해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NR cell 2)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NR cell 2 에 머문 시간을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out of service (일 예로,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경우나 접속하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in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로써, any suitable cell 또는 any acceptable cell에 캠프 온 되지 않은 경우이다.)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 NR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단말인 경우에는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NR 셀 또는 E-UTRA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NR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for NR cell), to another NR or E-UTRA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2: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다가 NR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조건 3: E-UTRA 셀을 사용하다가 NR 셀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NR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using E-UTRA)
만약 단말이 조건 1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2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 셀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out of service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out of service)
만약 단말이 조건 3 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 (E-UTRA cell에 대한 정보)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으며, NR 기지국에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보고할 때 이를 추가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조건 4-1: E-UTRA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은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은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E-UTRA 셀 또는 inter-RAT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E-UTRA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to another E-UTRA or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4-2: E-UTRA 셀 (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은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serving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에서 다른 E-UTRA 셀 또는 inter-RAT 셀로 변경하거나 또는 E-UTRA 셀에서 out of service로 들어가는 경우 (upon change of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DLE or RRC_INACTIVE, to another E-UTRA or inter-RAT cell or when entering out of service)
조건 5-1: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거나 및/또는 NR을 제외한 다른 RAT을 사용하다가 E-UTRA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except NR)
조건 5-2: 이전에 out of service에 있거나 및/또는 NR을 제외한 다른 RAT을 사용하다가 E-UTRA 셀(일 예로, RRC 연결 모드 단말 또는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들어오는 경우 (upon entering E-UTRA (in RRC_CONNECTED or RRC_IDLE or RRC_INACTIVE) while previously out of service and/ or using another RAT except NR)
만약 단말이 조건 4-1 또는 조건 4-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서빙 셀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조건 4-1과 조건 4-2에서의 차이는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지 여부이다. 조건 4-1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지 않으며, 조건 4-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차이가 있다.
만약 단말이 조건 5-1 또는 조건 5-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E-UTRA에서 벗어난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E-UTRA에서 벗어난 시간은 out of service 에 머물거나 또는 E-UTRA셀과 NR 셀이 아닌 다른 RAT를 사용하거나 또는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과 E-UTRA 셀과 NR 셀이 아닌 다른 RAT을 사용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조건 5-1과 조건 5-2에서의 차이는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지 여부이다. 조건 5-1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지 않으며, 조건 5-2에 따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하는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발생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하는 차이가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단말은 1305 단계부터 1350 단계를 거쳐 상술한 방법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NR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305)
- NR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2 에 머문 시간 5s (1310)
- E-UTRA cell 2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2 에 머문 시간 2s (1320)
- NR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NR cell 3 에 머문 시간 3s (1325)
-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 2s (1345)
단말은 1305 단계부터 1350 단계를 거쳐 상술한 방법대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LTE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 E-UTRA cell 1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315)
- out of service에 머문 시간 5s (1330)
- E-UTRA cell 3 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 또는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 그리고 E-UTRA cell 3 에 머문 시간 10s (1335)
- UTRA cell 1 에 머문 시간 10s (1340)
135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NR cell 4가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135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136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추가적으로 LTE의 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NR의 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하여 NR 단말 능력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거나 또는 LTE의 mobilityHistoryReport를 별도로 NR 단말 능력 응답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1305 단계에서 1350 단계 순서대로 정렬하여 NR 단말 능력 응답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1365 단계에서 현재 셀(일 예로, NR cell 4)에 대해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NR cell 4)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NR cell 4 에 머문 시간을 Var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137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4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420), 저장부(1430), 제어부(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처리부(14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RF처리부(14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4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4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4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4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상기 RF처리부(14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상기 RF처리부(14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4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제어부(14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40)는 상기 저장부(14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4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1510), 기저대역처리부(1520), 백홀통신부(1530), 저장부(1540), 제어부(1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F처리부(15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RF처리부(15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5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5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5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5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상기 RF처리부(15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상기 RF처리부(15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 및 상기 RF처리부(15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 및 상기 RF처리부(15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15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15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540)는 상기 제어부(15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 및 상기 RF처리부(15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5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50)는 상기 저장부(15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 시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단말(16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단말(1601)은 기지국(1602)과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를 기지국에게 전송(1610)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를 단말에게 전송(1615)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1616)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를 전송(1620)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601)은 기지국(1602)과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1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기지국에게 전송(1610)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1615)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1616)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620)할 수 있다.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단말(1601)은 초기 보안 활성화 절차를 기지국(1602)과 수행(1621)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단말이란 RRC 유휴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601)은 기지국(1602)에게 보안 모드 명령 메시지(SecurityModeCommand)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안 모드 완료 메시지(SecurityMode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1625 단계에서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1602)은 RRC 연결 모드 단말(1601)에게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Reconfigur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ReconfigurationComplete)를 전송(1630)할 수 있다.
기지국(1602)은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RRC 연결 모드 단말(1601)에게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1635)할 수 있다.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다음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과 logged measurement information을 지울 수 있다.
- VarLogMeasConfig에 loggingDuration, loggingInterval, areaConfiguration 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저장할 수 있다.
-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에 plmn-IdentityList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VarLogMeasReport에 RPLMN와 plmn-IdentityList에 포함된 PLMN들을 plmn-IdentityList으로 셋팅할 수 있다.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에 plmn-IdentityList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VarLogMeasReport에 RPLMN을 plmn-IdentityList으로 셋팅할 수 있다.
- VarLogMeasReport에 수신한 absoluteTimeInfo, traceReference, traceRecordingSessionRef, tce-Id를 저장할 수 있다.
-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한 bt-NameList, wlan-NameList, sensor-NameList, reportType를 VarLogMeasConfig에 저장할 수 있다.
- loggingDuration에 포함된 타이머 값으로 T330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에 대한 ASN.1 구조는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PCTKR2021004502-appb-I000004

Figure PCTKR2021004502-appb-I000005

Figure PCTKR2021004502-appb-I000006
기지국(1602)은 소정의 이유로 (일 예로, 데이터 송수신 없을 경우) RRC 연결 모드 단말(1601)에게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수납된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1640)할 수 있다.164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UE Inactive AS Context에 현재 KgNB와 KRRCInt keys, ROHC state, 저장된 QoS flow to DRB mapping rules, 소스 PCell에서 사용되는 C-RNTI, 소스 PCell의 cellIdentity와 physical cell identity, PSCell의 ReconfigurationWithSync 내에 수납된 spCellConfigCommon, 설정된 다른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은 PCell의 ReconfigurationWithySync에 수납된 파라미터들과 servingCellConfigCommonSIB, 그리고 1635 단계에서 수신한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UE Inactive AS Context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1646)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은 UE Inactive AS Context에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저장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은 RRC 비활성화 모드와 RRC 유휴 모드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설정 정보로서, 별도의 단말 변수 (일 예로, VarLogMeasConfig and/or VarLogMeasReport)에 저장 및 업데이트 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별도로 UE Inactive AS Context에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UE Inactive AS Context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서 사용되는 RRC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하고자 하기 위한 목적이 있기 때문에, 별도로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UE Inactive AS Context에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UE Inactive AS Context에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저장할 경우, 실제 단말 변수(일 예로, VarLogMeasConfig and/or VarLogMeasReport)에 있는 값들과 UE Inactive AS Context에서 저장된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과 상이한 값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단말이 추후 오작동(예를 들면, 잘못된 logged measurement information을 기지국에게 보고)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UE Inactive AS context에는 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제외한 다른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7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mobility history information)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단말은 셀 선택 과정, 셀 재선택 과정, 핸드오버 과정을 통해 셀이 변경되거나, camped normally state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suitable cell에 캠프-온 한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어떠한 셀에도 캠프-온을 하지 않은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limited service (emergency calls, ETWS and CMAS)를 위해 acceptable cell에 캠프-온 한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단말은 NR 셀에 대해서는 RRC 유휴 모드(RRC_IDLE),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E-UTRA 셀에 대해서는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E-UTRA 셀에 대해서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나, 이는 단말의 능력 또는 규격 release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앞으로 전술 하는 내용에서는 편의상 E-UTRA 에 대해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가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수 있다.
조건 1: suitable 셀이 변경되는 경우 (NR suitable cell에 대해서는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유휴 모드 단말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서빙 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E-UTRA cell에 대해서는 RRC 연결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PCell을 의미할 수 있고, RRC 유휴 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서빙 셀을 의미할 수 있다); suitable 셀이 변경되는 것은 NR suitable cell에서 E-UTRA suitable cell 또는 다른 NR suitable cell로 변경 또는 E-UTRA suitable cell에서 다른 E-UTRA suitable cell 또는 NR suitable cell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upon change of suitable cell, consisting of PCell in RRC_CONNECTED or serving cell in RRC_INACTIVE (for NR cell) or in RRC_IDLE (for NR or E-UTRA cell), to another NR or E-UTRA cell)
조건 2: NR 셀 또는 E-UTRA 셀에서 camped normally state에 있다가 any cell selection state로 천이하는 경우 (when entering any cell selection state from camped normally state in NR or LTE)
조건 3: NR 셀 또는 E-UTRA 셀에 대해 이전에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camped on any cell state에 있다가 NR 셀로 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하는 경우 (이 때, 단말의 상태는 RRC_IDLE, RRC_INACTIVE or RRC_CONNECTED) 또는 NR 셀 또는 E-UTRA 셀에 대해 이전에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camped on any cell state에 있다가 E-UTRA 셀로 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하는 경우 (이 때, 단말의 상태는 RRC_IDLE or RRC_CONNECTED) (upon entering camped normally state in NR (in RRC_IDLE, RRC_INACTIVE, or RRC_CONNECTED) or E-UTRA (in RRC_IDLE or RRC_CONNECTED) while previously in any cell selection state or camped on any cell state in NR or LTE)
상기 단말은 조건 1, 조건 2 또는 조건 3 중 어떤 조건이 충족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1705).
만약 단말이 조건 1 또는 조건 2가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1710 단계에서 단말은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있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if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is available, include the global cell identit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만약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가 없다면,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캐리어 주파수와 물리적 셀 식별자를 visitedCellId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else, include the physical cell identity and carrier frequency of that cell in the field visitedCellId of the entry). 그리고 이전 PCell 또는 serving cell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the previous PCell/ serving cell)
만약 단말이 조건 3이 충족하여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 에 저장할 경우, 1715 단계에서 단말은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다음의 정보를 NR의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include an entry in variable VarMobilityHistoryReport possibly after removing the oldest entry, if necessary, according to following)
- NR 셀 또는 E-UTRA 셀에 대해 any cell selection state and/or camped on any cell state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set the field timeSpent of the entry as the time spent in any cell selection state and/or camped on any cell state in NR or LT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은 조건 3이 충족할 경우, camped normally state (즉 suitable cell에 캠프-온 한 상태)로 천이할 시점에 NR 또는 E-UTRA 에 대해 any cell selection state and/or camped on any cell state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으며, camped on any cell state (즉, acceptable cell에 캠프-온 한 상태)로 천이할 시점에는 별도로 NR 셀 또는 E-UTRA 셀에 대해 any cell selection state and/or camped on any cell state에서 머문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NR 셀 또는 E-UTRA 셀으로 entering 하는 것은 (upon entering NR in RRC_IDLE, RRC_INACTIVE or RRC_CONNECTED or upon entering E-UTRA in RRC_IDLE or RRC_CONNECTED) camped normally state와 camped on any cell state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단말은 중복된 시간을 저장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 T0: camped normally state
- T1: any cell selection state
- T2: camped on any cell state
- T3: any cell state
- T4: camped on any cell state
- T5: camped normally state
만약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단말은 T5 시점에 (T5-T1)의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지 않는 단말은 T2 시점에 (T2-T1)의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하고, T4 시점에 (T4-T1)의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하고, T5 시점에 (T5-T1)의 시간을 timeSpent 필드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중복된 시간을 (예를 들면, T2-T1 시간, 또는 T4-T1 시간) 저장하여 기지국에게 잘못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172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은 NR cell인 PCell (Primary cell)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17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포함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mobilityHistoryReportReq 가 true로 설정된 경우(if mobilityHistoryReportReq is set to true), 17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앞서 상술한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 값을 mobilityHistoryReport 에 포함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HistoryReport and set it to include entries from VarMobilityHistoryReport)
1730 단계에서 현재 셀(일 예로, PCell)에 대해 필요시 가능하다면 가장 이전의 엔트리 값을 지우고 VarMobilityHistoryReport에 있는 엔트리에 현재 셀에 대한 글로벌 셀 식별자와 PCell 에 머문 시간을 VarMobilityHistoryReport에 포함할 수 있다.
17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술한 mobilityHistoryReport을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또는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간 정보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 RRC 연결 설정 요청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설정 (RRC setup)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문 시간 정보는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하기 전의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에서 머문 시간과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에서 머문 시간의 누적된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 시 가장 이전의 저장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RRC 연결 설정 요청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RRC 연결 설정 (RRC setup)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 (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셀 식별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문 시간 정보는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되기 전의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에서 머문 시간과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에서 머문 시간의 누적된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 시 가장 이전에 저장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또는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간 정보를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며,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RRC 연결 설정 요청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설정 (RRC setup)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문 시간 정보는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되기 전의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에서 머문 시간과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에서 머문 시간의 누적된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 시 가장 이전의 저장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RRC 연결 설정 요청 (radio resource control setup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RRC 연결 설정 (RRC setup)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단말이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의 저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camped normally state)로 천이한 경우, 임의의 셀 선택 상태 (any cell selection state) 또는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 (camped on any cell s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머문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셀 식별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문 시간 정보는 상기 정상적으로 캠프된 상태로 천이되기 전의 상기 임의의 셀 선택 상태에서 머문 시간과 상기 임의의 셀에 캠프 온 된 상태에서 머문 시간의 누적된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저장 시 가장 이전에 저장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는 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CT/KR2021/004502 2020-04-09 2021-04-09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2065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96,774 US20230084366A1 (en) 2020-04-09 2021-04-09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2180027365.1A CN115428489A (zh) 2020-04-09 2021-04-09 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收集和报告移动性历史信息的方法和设备
EP21784544.5A EP4120710A4 (en) 2020-04-09 2021-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3411 2020-04-09
KR10-2020-0043411 2020-04-09
KR20200059373 2020-05-18
KR10-2020-0059373 2020-05-18
KR1020200090212A KR20210125882A (ko) 2020-04-09 2020-07-21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0-0090212 2020-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508A1 true WO2021206508A1 (ko) 2021-10-14

Family

ID=7802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502 WO2021206508A1 (ko) 2020-04-09 2021-04-09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84366A1 (ko)
EP (1) EP4120710A4 (ko)
CN (1) CN115428489A (ko)
WO (1) WO202120650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37635A1 (en) * 2017-07-28 2019-01-3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overing rrc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73223B1 (ko) * 2012-03-26 2020-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상태 천이 시 이동 정보 보존 및 이종 셀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으로 재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4039B1 (en) * 2014-04-15 2019-03-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event repor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23B1 (ko) * 2012-03-26 2020-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상태 천이 시 이동 정보 보존 및 이종 셀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으로 재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037635A1 (en) * 2017-07-28 2019-01-3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overing rrc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MCC: "UE capability for SON/MDT WI", 3GPP DRAFT; R2-1915208,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2, no. USA; 20191118 - 20191122, 8 November 2019 (2019-11-08),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 XP051817091 *
HUAWEI, ERICSSON, HISILICON: "CR for introducing MDT and SON", 3GPP DRAFT; R2-2002003,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2, no. Electronic meeting; 20200224 - 20200306, 11 March 2020 (2020-03-11),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 pages 1 - 577, XP051864628 *
HUAWEI: "Enhancements to UE history information", 3GPP DRAFT; R3-197178,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3, no. Reno, Nevada, US; 20191118 - 20191122, 8 November 2019 (2019-11-08),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 XP051820797 *
See also references of EP412071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0710A1 (en) 2023-01-18
EP4120710A4 (en) 2023-08-09
CN115428489A (zh) 2022-12-02
US20230084366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972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connection failure to network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8174676A1 (ko) 제 1 무선접속기술과 제 2 무선접속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174489A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모드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2968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
WO201814758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20218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327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network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0067791A1 (en) Method for processing node failure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direction information therein
WO201903188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p 재수립 방법 및 장치
WO20210664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20954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 보고 방법 및 장치
WO2020162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list of cells to be measured in reselection of cell in idle mode in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12250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핸드오버의 실패 타이머 운용방법
WO20201456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6020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226024A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dcp 장치 및 sdap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1068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1029730A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의 페이징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1145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requency band li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035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connection failure to network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1006524A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밴드위스 파트 별로 최대 mimo 레이어 갯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394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12065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about rrc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21084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9122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845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845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01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