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94092A1 -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94092A1
WO2021194092A1 PCT/KR2021/001933 KR2021001933W WO2021194092A1 WO 2021194092 A1 WO2021194092 A1 WO 2021194092A1 KR 2021001933 W KR2021001933 W KR 2021001933W WO 2021194092 A1 WO2021194092 A1 WO 20211940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s
egg
human body
time
contac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9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훈
김규리
김근영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733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8719A/ko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ublication of WO20211940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940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9/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ther than insects, by hot water, steam, hot air,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6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uses electrical stimulation to lose the function of an animal's 'egg' or an 'egg' in the case of humans, thereby exterminating harmful animals or pests and, in the case of humans, as a drug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not as a contraceptive. It is about a method of pre- or post-contraception with only a small amount of electrical stimulation that is harmless to health.
  • 'amount of electricity that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means that in accordance with IEC61200 of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ublication (IEC) international standard, if the maximum voltag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s 50V or less, the contact time is infinitely electrical stimulation is possible. It destroys the function of the egg by giving electric stimulation to the front and back or left and right to the part of the human body where the egg is created and stayed.
  •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ublication
  • the maximum breaking time is 0.40 seconds at 100V, 0.12 seconds at 300V, and 0.04 seconds at 500V.
  • the estimated contact voltage and maximum breaking time for the human body can be secured by determining and executing the estimated contact voltage and maximum breaking time of electrical stimulation in accordance with IEC61200.
  • the method of allowing current to flow is to put water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nd at the same time wet the skin of the chicken so that electricity flows well. did.
  • 'amount of electricity that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is an amount of electricity that meets the estimated contact voltage and maximum cutoff time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ccording to IEC61200 of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ublication (IEC) international standard. It destroys the function of the egg by giving electric stimulation to the front and back or left and right with each electrode.
  •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ublication
  • the 'eggs' of the parasite are either born dead in the mother's womb due to the impact of static electricity hundreds of times greater than the 12V battery, or the mother of the parasite is dead because the mother cannot release the dead 'egg' that has already lost its function. Throw it away, the parasites can no longer stay inside or by the side of humans and have disappeared.
  • head lice are treated with the same amount of electricity of 50V maximum as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fill the washbasin with water at an interval of about 50mm between each electrode, put the head in the washbasin, and stir around the head to induce electrical stimulation for head lice. you should be able to receive it. Of course, a simpler way would be to put on synthetic clothing and it would be solved by static electricity.
  • Contraception can be achieved with only a very small amount of electricity, that is, micro-electric stimulation, and it will be possible to elevate human happiness by not requiring the use of contraceptives. Furthermore, post-pregnancy will be avoid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극을 이용한 인간의 피임에 관한 방법 및 유해동물의 제거와 기생충, 해충의 제거에 관한 방법으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약을 이용하여 피임을 하거나 환경에 유해한 살충제등을 이용하여 기생충이나 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전기량으로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난자의 기능을 파괴함으로서 사전 피임과 사후 피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자극을 통한 기생충의 구제와 해충의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본 발명은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동물의 '알' 또는 인간의 경우 '난자(알)' 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여 유해동물이나 해충의 구제 및 인간의 경우 인체에 해로운 약으로서 피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미량의 전기자극만으로 사전 또는 사후 피임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속의 기생충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약을 복용하고, 몸 밖의 기생충에 대해서는 살충제를 뿌리는 방식으로 해결하나, 이는 인간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머릿니 등의 경우는 뿌리는 약이 있으나 인체에 아주 해로워 사실상 사용하지 못하고 씻어내거나 일일이 하나씩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인간의 임신과 관련하여 피임을 위해 약을 복용하는데, 사전 피임의 경우 약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복용하여야 하며, 사후 피임의 경우 인체에 매우 해로운 약을 복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극을 이용한 인간의 피임에 관한 방법 및 기생충, 해충의 제거에 관한 방법으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약을 이용하여 피임을 하거나 환경에 유해한 살충제등을 이용하여 기생충이나 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전기량으로 신체에 자극을 주어 사전 피임과 사후 피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전기자극을 통한 기생충 구제와 해충 구제를 하려는 것이다.
인간의 피임에 대해서는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전기량으로 인간의 '난자' 기능을 파괴함으로서 피임을 가능하도록 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체에 해롭지 않은 전기량' 이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ublication, 이하 IEC라 함)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무해한 최대 전압 50V 이하의 경우 접촉시간은 무한대의 전기자극이 가능하며, 이 전기량으로 난자가 생성되고 머무는 인체의 부위를 각각의 전극으로 앞과 뒤로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우로 전기자극을 주어 난자의 기능을 파괴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한 예로는, 직류전기의 경우 전압은 최대 50V로 하는 전지에 각각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전선을 연결하고 각각의 전극에 물을 묻혀 신체에 대거나 신체에 물을 묻혀 사용하거나, 각 전선의 끝에 현재 의료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저주파 전기치료기의 전기Pad를 사용하여 전선의 끝에 연결한 후, 이 전기패드를 난자가 생성되고 머무는 인체의 부위의 앞과 뒤로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우로 전기자극을 주면 보다 용이하게 전기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무해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의 기준에 따르면 100V에서는 최대차단시간은 0.40초이고, 300V에서는 0.12초이며, 500V에서는 0.04초의 최대차단시간을 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체에 대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61200에 의거 전기자극의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을 정하여 실행함으로서 신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하겠다.
기생충 제거의 경우 머릿니는 위의 방법과 동일한 최대 50V의 전기량으로 세면대에 물을 채운 후 머리를 세면대에 넣은 후 각각의 전극의 간격을 약 50mm로 하여 머리 주위로 휘휘 저어 머릿니가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게 하면 될 것이다. 더 쉬운 방법은 정전기가 발생하는 옷을 입어 자연스럽게 소멸시키는 것이 더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기, 파리, 초파리 등의 유해해충과 알을 생산하는 유해동물의 경우 트랩을 만들거나 적정량의 전기자극이 될 수 있는 전기량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0x250X200(mm)의 수족관에 물고기, 열대어 구피를 실험한 결과 6V의 건전지에 각각의 전극의 거리를 40mm 로 하여 전기자극을 주어 알을 배고 있는 물고기들이 모두 죽은 실험을 3차례 실시하여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간의 경우 사전 피임은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피임의 효과가 없고 사후 피임의 경우 인체에 아주 해로운 약으로 가능하지만 전기자극을 이용할 경우 인체에 전혀 해룹지 않는 전기량의 자극만으로 피임이 가능하며 사전 피임이 거의 불필요 하고 사후에도 같은 전기자극으로 피임이 가능하다.
기생충이나 해충 등의 경우 그 구제 방법은 살충제로서만 가능한데, 머릿니 같은 인체에 붙어 있는 기생충의 경우 살충제의 사용이 사실상 불가하여 그 구제에 어려움이 많고, 초파리, 파리, 모기, 농작물의 해충의 경우 살충제 사용으로 환경문제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으나 전기자극만으로 이를 구제할 수 있으므로 아주 유용한 방법이라 하겠다.
<Fig. 1> 'Fig. 1' 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6V 건전지를 이용하여 닭의 몸에 자극을 준 후 4일 후 낳은 달걀을 깨어 찍은 사진으로 일반 달걀에 전혀 볼 수 없던 혈반(넓은 피의 반점)이나 혈점(피의 점)들이 뚜렷이 육안으로 보이는 사진이다.
<Fig. 2> 'Fig. 2' 는 12V로 닭의 몸에 자극을 준 후, 18일에 낳은 달걀을 깨어 찍은 사진으로 달걀 노른자에 혈반(넓은 피의 반점)이나 혈점(피의 점)들이 뚜렷이 보이는 사진이며, 'Fig 1', 'Fig. 2'의 사진 두 개 모두 바탕에 보이는 그림은 접시의 그림이며, "대표도" 는 'Fig.1' 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험 1]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많던 머릿니들과 사람 몸속의 기생충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을까? 특별한 오염도 없는데 호수의 물고기들은 왜 갑자기 떼죽음을 당할까?
굶주리고 헐벗던 시절에도 아기들은 너무도 많이 태어났고, 전쟁이 한창일 때 인간의 스트레스는 극한에 달했을 텐데 그 많은 임신과 애기들의 탄생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물질적으로 풍요하고 전쟁시에 비하면 정말 좋은 환경임에도 왜 현대인들은 임신이 잘 안될까?
나일론의 발명과 제품화가 머릿니를 박멸시켰다는 건 상식인데 왜? 정전기에 의해서, 또는 합섬이 가져다준 환경이 이러한 머릿니와 유사한 기생충들이 살 수 없어서 사라졌다는 설이 있지만 증명된 바는 없다. 강력한 전기충격에도 죽지 않는 이것들은 왜 갑자기 사람들 곁에서 사라졌을까?
결론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정전기에 의해 아예 박멸이 되어 버린 것이다. 정전기에 의해 절대로 죽지 않는 머릿니가 어떻게 박멸이 되었는가?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인간의 임신과 관련이 있는가?
이러한 정전기 전기자극에 의해 머릿니들이 사라졌다는 결론에 따라 전기충격에 의해 머릿니와 같이 아주 작은 생명체들이 죽을까? 를 알기 위해, 아마 수많은 사람들이 나 보다 먼저 실험을 했을 그런 똑 같은 종류의 실험이었으며, 결론은 나의 실험에 의하면 이런 작은 기생충이나 생명체는 어지간한 전기충격에도 죽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20V/20A/60HZ의 교류인 가정용 전기를 이용하여 모기 유충이나 유사한 유충들이 물속에 있는 상태에서 가정용 전기의 두 가닥을 갈라 각각의 전극을 유충의 근처 30mm 가까이에 가져가도 이 유충들은 아무런 움직임이 없으며 어떤 충격을 받은 것 같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 따라서 작은 머릿니 같은 기생충들도 이와 같이 어지간한 전기충격에는 바로 죽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이라면 바로 즉사하고도 남을 전기충격인데도 말이다. 그런데 왜 기생충은 합성섬유가 등장한 후 사라졌는가?
[실험 2]
여기서 실험이 한계에 부딪혀 많은 시간이 흐른 뒤, 두 개의 가정이 생각났다.
가정 1. 기생충의 '알'이 전기자극에 파괴된다면, 이들의 재생산이 불가능할 것이다.
가정 2. 만약에 기생충이 '알'을 몸에 가진 상태에서 전기자극이 가해졌을 때, 몸 안에서 '알'이 파괴된다면 기생충은 '알'을 배설하지도 못하고 그대로 죽을 수도 있을 것이다.
위의 가정들이 실현이 된다면 기생충은 합성섬유의 조건(정전기 발생) 아래에서는 더 이상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이 가정 아래, '알'과 관련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 미꾸라지와 열대어 구피를 실험한 결과
열대어인 '구피' 를 400x250X200(mm)의 수족관에 넣고 실험한 결과로서 6V의 건전지에 각각 전선을 연결하고 각각의 전극의 거리를 40mm 로 하여 전기자극을 주어 알을 배고 있는 물고기들이 모두 죽은 실험을 3차례 실시하여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는 온몸에 피가 맺힌 채로 죽어 있고, 이를 해부한 결과 알이 모두 터진 상태로 있었으며, 이 실험에서 어린 물고기는 전기자극에는 반응을 하지만 절대로 죽지 않는다는 결과물을 얻었다.
미꾸라지의 경우 6V 건전지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12V로 만든 후 각각의 전극의 간격을 약 40mm로 하여 미꾸라지 마다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게 골고루 휘저어 준 결과 죽은 미꾸라지 암컷은 구피와 동일하게 피가 맺혀 죽은 모습으로 죽어 있는 실험 결과를 얻었음.
또한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번개나 전기누설로 인한 물고기의 죽음의 경우 대부분 단일 어종이 죽는데, 이는 산란기가 동일하기 때문인 것이 확실하다 할 것이다.
분명히 같은 물속에는 아주 다양한 어종이 살고 있음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이는 아래 '실험 3'에서 닭의 실험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동일하게 '알'이 파괴되어 일어난 현상인 것이다.
[실험 3]
그러는 와중에 내 주위에 임신을 못해 애태우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수시로 그런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갑자기 '알'('난자')이라는 공통분모가 떠올랐고, '알'이라면 '닭'이 인간에게 최고의 선물을 거의 매일 주고 있으니 실험대상으로는 최적인 것이다.
실험의 결과는 아주, 아주 완벽한 사진과, 완벽한 데이터, 누구나 알 수 있는 결과, 누구나 간단한 실험으로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나온 것이다.
사례 1. 6V 건전지를 이용한 닭에 대한 실험
방사되어 '알'을 낳고 있는 닭 가운데 암탉 2마리와 수탉 1마리를 준비하고(유정란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6V 건전지를 이용, 이를 전선으로 길게 연결하고 +전극과 -전극의 양쪽 끝을 하나는 목 부분에, 다른 한쪽은 꽁무니 쪽에 대고 몸속으로 전류가 통하게 함. 이 때 닭 몸속의 알집으로 전류가 통하게 하기 위하여 꽁무니에 있는 전극은 고정을 하고 목 부분의 전극은 목의 좌와 우에 각각 한번 씩 하였다.
전류가 흐르게 하는 방법은 전극의 양쪽에 물을 묻히고 동시에 닭의 피부에도 물을 묻혀 전기가 잘 통하도록 하는 방법과 전극의 양쪽에 각각의 바늘을 달고 바늘을 닭의 몸속에 넣어 전류가 잘 흐르도록 하였다.
여기서 얻은 달걀 8개를 일반 유정란 4개와 같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자동형 부화기에 넣어 부화 여부를 관찰한 결과, 7일 경과 후 유정란 검사를 하였고, 전체가 유정란으로 확인 되었으며, 14일 경과 후 검사한 결과에서는 일반 유정란은 계속해서 부화가 진행이 되고 있었으나 닭의 몸속에서 전기자극올 받은 유정란은 부화 7일째와 동일하여 부화가 진행이 안 됨. 이중 1개를 깨어 본 결과 머리 쪽 아주 작은 일부만 부화가 진행된 후 멈춘 상태였으며. 5차례 더 동일한 방법의 부화 실험에서도 똑 같은 결과가 나옴.
보다 명백한 증거는 전기자극을 준 나머지 달걀을 깨서 본 결과 달걀노른자 위에 혈점 또는 약간 큰 혈반이 또렷하게 있으며('Fig. 1' 및 'Fig. 2' 사진 참조), 일반 달걀의 경우 혈점이나 혈반 등의 이상이 전혀 없었다. 무정란을 낳는 닭의 경우, 동일한 전기자극에서 위의 실험한 동일하게 혈반과 혈점이 나타났다.
'Fig. 1'은 전기자극 후 4일째 낳은 달걀이며 'Fig. 2'는 전기자극 후 18일째에 얻은 달걀이나 동일한 혈반과 혈점이 나타났다.
전기자극 후 18일이 지나서 낳은 달걀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 것은 이는 일반적으로 '알'을 낳는 닭의 경우 배 속의 '알'집에는 거의 달걀 속의 노른자 정도의 크기 2-3개와 보다 작은 노른자 10여개에서 많게는 20개 이상을 품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전류가 흐르는 부분에 있는 알의 경우 모두가 전기자극에 의해 '알'속의 미세혈관이 파괴된 것 때문으로 보여 진다.
6 V 건전지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12V로 만들어 위와 같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봤으며, 그 결과도 동일하게 나왔으며, 6V에 비해 특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닭의 스트레스에 의해 달걀에 혈반이 생기는가에 대한 실험에서 닭에게 똑 같은 스트레스 즉, 몸에 바늘을 찔러 넣기 등을 하여도 달걀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었음.
따라서 닭의 경우 건전지 6V 또는 12V 와 같이 일정량 전기량에 의한 전기자극으로 닭의 체내에 있는 많은 '알' 들 중에서 전기가 흐른 '알' 즉, 전기자극이 된 난자(알)에 영향을 미쳐 난자(알)의 미세혈관이 파괴되어 난자의 생명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이는 모든 알들에서 혈반이나 혈점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일부에서 나타나는 것과 닭을 해부해 보면 수십 개의 미성숙 노른자가 군집을 이루어 있는 것을 보면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6개월 후 수차례의 추가로 한 닭의 실험에서도 전기자극을 준 달걀에서 동일한 혈점과 혈반이 나타났음.
[실험 4]
인간의 피임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위해 햄스터로 포유동물에 대한 실험을
하였는바, 햄스터 수컷 2마리와 암컷 4마리로 총 6마리를 구입하여, 620mmX440mmX340mm 크기의 한개의 대형 햄스터 케이지(cage) 안에 넣고 사육하면서 암수 각 1마리 씩 2쌍을 별도의 소형 케이지 2개에 각각 넣어 사육하면서 임신의 징후인 하얀색의 암컷 페르몬 방출을 확인한 후, 평균 4일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기자극을 준 바, 성체가 된 후 3개월이 지나도록 회임을 하지 못하였음. 페르몬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매일 1회씩 전기자극을 줌
보다 구체적인 실험으로, 새끼 출산 경험이 있는 암수 햄스터를 출산 후50일이 지난 후, 암수 각 1마리 암수를 분리하여 사육하면서 암것에게서 페르몬이 발견될 때 마다 수컷을 합사하여 교미를 시킨 결과, 22차례의 합사에도 임신과 출산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때, 수컷과 합사하기 전에 암컷에게 전기자극을 주고 합사한 후, 4시간이 지나 교미의 혼적이 또렷한 것을 확인한 후 수컷을 분리시키고, 암컷은 다시 전기자극을 주었음. 이를 4개월 동안 22차례 하였음.
인간의 피임에 대해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하자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간의 피임에 대해서는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전기량으로 인간의 '난자' 기능을 파괴함으로서 피임을 가능하도록 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체에 해롭지 않은 전기량' 이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ublication, 이하 IEC라함)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무해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을 충족하는 전기량으로 난자가 생성되고 머무는 인체의 부위를 각각의 전극으로 앞과 뒤로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우로 전기자극을 주어 난자의 기능을 파괴하는 것이다.
이의 한 예로서, 직류전기의 경우 전압은 최대 50V로 하는 전지에 각각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전선을 연결하고 각각의 전극에 물을 묻혀 신체에 대거나 신체에 물을 묻혀 사용하거나, 각 전선의 끝에 현재 의료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저주파 전기치료기의 전기Pad콜 사용하여 전선의 끝에 연결한 후, 이 전기패드를 난자가 생성되고 머무는 인체의 부위의 앞과 뒤로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우로 전기자극을 주면 보다 용이하게 전기자극을 즐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기생충에 적용해 보면 기생충의 '알'들은 건전지 12V의 수백배 더 큰 정전기의 충격에 의해 어미의 배속에서 죽은 채로 태어나거나 기생충 어미가 이미 그 기능올 상실한 죽은 '알'을 배출 못해 어미까지 죽어 버려 기생충은 더 이상 인간의 속이나 곁에서 머물지 못하고 사라져 버린 것이다.
특이한 것은 가끔 여름에 한국에서 가장 부유하다는 동네 강남에서 어린이들에게서 이 머릿니가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한국에서는 부유 할수록 어린이들에게 면 100%의 옷을 입힌다는 것이다. 이것이 강남 어린이들의 특징인데, 이는 정전기의 발생이 거의 없는 여름철에 면 100%를 고집하는 부모를 가진 어린이들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에서의 요양병원의 많은 경우의 머릿니 사건도 면100%와 관련이 있음이 확실하다 할 것이다.
인간의 경우, 합섬 옷을 점점 많이 입고 있으며, 이는 정전기의 발생을 증가시켜 난자의 파괴로 인한 임신의 확률을 점점 떨어트리기 때문에 현대인은 과거 면 100%의 시절에 비해 임신이 갈수록 힘들어 진다고 할 것이다.
결과론적으로 '알'을 낳거나 '알'을 품고 있는 동물은 일정수준 이상의 전기량으로 전기자극을 주면 그 '알'은 파괴되어 더 이상 난자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이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류에 유익한 것을 도출하자면, 첫째, 간단한 전기자극만으로 기생충 등의 유해 해충을 없애거나 트랩을 설치하여 모기뿐만 아니라 다른 해충의 증식과정을 없애 인류는 보다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수경재배 농사의 경우 해충의 구제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여 임신올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고,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보다 피임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으로 인류에 유익한 것을 도출하자면, 첫째, 간단한 전기자극만으로 동물의 체내나 체외에 있는 유해 기생충 즉, 머릿니, 빈대, 회충 등을 없애거나, 모기 트랩 같은 것을 설치하여 모기뿐만 아니라 초파리, 파리 등의 유해 해충의 증식과정을 없앰으로서, 인류는 보다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생충 제거의 경우, 머릿니는 앞에서 언급한 방법과 동일한 최대 50V의 전기량으로 각각의 전극의 간격을 약 50mm로 하여 세면대에 물을 채운 후 머리를 세면대에 넣은 후 머리 주위로 휘휘 저어 머릿니가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게 하면 될 것이다. 물론 더 간단한 방법은 합섬 의류를 입으면 정전기에 의해 저절로 해결될 것이다.
둘째, 인간의 임신과 관련하여 합섬이나 기타 물질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피함으로서 임신의 보다 원활함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셋째, 반대로 원하지 않는 임신 즉, 피임을 위하여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아주 작은 적정량의 전기량 즉 미세전기 자극만으로 피임을 할 수가 있고, 피임약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서 인간의 행복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후임신에 대한 것도 일정기간 안에서는 피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인체에 해롭지 않은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으로 하는 전기량으로 피임을 하는 방법으로서, 여성의 신체 즉 난자가 생성되고 머무는 인체의 부위를 각각의 전극으로 앞과 뒤를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와 우로 전기자극을 주어 목표하는 인체의 부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난자의 기능을 파괴하여 원하지 않는 임신을 막는 방법으로서 사전 또는 사후 피임을 보다 쉽게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전혀 무해한 최대차단시간이 무한대인 추정접촉전압 50V이하의 전기량으로 피임을 하는 방법으로 여성의 신체 즉 난자가 생성되고 머무는 인체의 부위를 각각의 전극으로 앞과 뒤로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우로 전기자극을 주어 목표하는 인체의 부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난자의 기능을 파괴하여 원하지 않는 임신을 막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전혀 무해한 75V에서는 0.60초, 100V에서는 0.40초, 125V에서는 0.33초, 220V에서는 0.18초, 300V에서는 0.12초, 400V에서는 0.07초, 500V에서는 0.04초의 방법으로 피임을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61200의 기준에 의거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으로 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전기량과 시간으로 피임을 하는 방법
  5. 인체에 해롭지 않은 전기량으로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61200의 기준에 의거 인체에 전혀 무해한 최대차단시간이 무한대인 추정접촉전압 50V이하의 전기량으로 기생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생충이 머무는 인체의 부위를 각각의 전극으로 앞과 뒤로 전기자극을 주거나 좌와 우로 전기자극을 주어 목표하는 신체의 부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인간의 신체나 동물의 신체에 자극을 주어 기생충의 알의 기능을 파괴하여 체내 또는 체외의 기생충을 제거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전혀 무해한 75V에서는 0.60초, 100V에서는 0.40초, 125V에서는 0.33초, 220V에서는 0.18초, 300V에서는 0.12초, 400V에서는 0.07초, 500V에서는 0.04초의 방법으로 목표하는 신체의 부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인간의 신체나 동물의 신체에 자극을 주어 기생충의 알의 기능을 파괴하여 체내 또는 체외의 기생충을 제거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61200의 기준에 의거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으로 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전기량과 시간으로 목표하는 신체의 부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인간의 신체나 동물의 신체에 자극을 주어 기생충의 알의 기능을 파괴하여 체내 또는 체외의 기생충을 제거하는 방법
  8. 전기자극으로 수중에 서식하는 해로운 동물의 알을 파괴하여 그 증식을 없애는 방법으로서, 전극간 간격을 최저40mm로 하고 IEC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전혀 무해한 최대차단시간이 무한대인 추정접촉전압 50V이하의 전기량으로 두 전극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수중에 서식하는 해로운 동물의 '알' 을 파괴하여 이들을 근본적으로 구제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 국제표준의 IEC61200에 의거 인체에 전혀 무해한 75V에서는 0.60초, 100V에서는 0.40초, 125V에서는 0.33초, 220V에서는 0.18초, 300V에서는 0.12초, 400V에서는 0.07초, 500V에서는 0.04초의 방법으로 전극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수중에 서식하는 해로운 동물의 '알' 을 파괴하여 구제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한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은 IEC61200의 기준에 의거 추정접촉전압과 최대차단시간으로 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전기량과 시간으로 전극간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수중에 서식하는 해로운 동물의 '알' 을 파괴하여 구제는 방법
PCT/KR2021/001933 2020-03-23 2021-02-16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WO202119409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4852 2020-03-23
KR10-2020-0034852 2020-03-23
KR1020200073333A KR20210118719A (ko) 2020-03-23 2020-06-17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에 관한 방법 및 기생충, 해충 그리고 유해동물의 제거에 관한 방법
KR10-2020-0073333 2020-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092A1 true WO2021194092A1 (ko) 2021-09-30

Family

ID=7789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933 WO2021194092A1 (ko) 2020-03-23 2021-02-16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9409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5856A1 (en) * 2013-08-12 2015-02-12 MedEquity Capital LLC Lice egg removal tool
US20150201606A1 (en) * 2012-04-27 2015-07-23 China Three Gorges University Viscous Fish Egg Killing Device
KR200477801Y1 (ko) * 2014-12-03 2015-07-27 김성훈 유충 방제 장치
KR20190004972A (ko) * 2017-07-05 2019-01-15 김정호 전기충격식 과채류 세척 및 살충장치
KR102016874B1 (ko) * 2019-01-31 2019-08-30 전정룡 외래어종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1606A1 (en) * 2012-04-27 2015-07-23 China Three Gorges University Viscous Fish Egg Killing Device
US20150045856A1 (en) * 2013-08-12 2015-02-12 MedEquity Capital LLC Lice egg removal tool
KR200477801Y1 (ko) * 2014-12-03 2015-07-27 김성훈 유충 방제 장치
KR20190004972A (ko) * 2017-07-05 2019-01-15 김정호 전기충격식 과채류 세척 및 살충장치
KR102016874B1 (ko) * 2019-01-31 2019-08-30 전정룡 외래어종 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ssl et al. Invasion of an avian nest parasite, Philornis downsi, to the Galapagos Islands: colonization history, adaptations to novel ecosystems, and conservation challenges
Oliva et al. Male reproductive biology of Aedes mosquitoes
Nieh A negative feedback signal that is triggered by peril curbs honey bee recruitment
Schofield The behaviour of Triatominae (Hemiptera: Reduviidae): a review
Andelt et al. Coyote predation on domestic sheep deterred with electronic dog-training collar
Abele et al. Homosexual rape and sexual selection in acanthocephalan worms
Drummond et al. Dominance between booby nestlings involves winner and loser effects
Newberry Cannibalism.
Kawata Pregnancy failure and suppression by female-female interaction in enclosed populations of the red-backed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bedfordiae
WO2021194092A1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KR20210118719A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에 관한 방법 및 기생충, 해충 그리고 유해동물의 제거에 관한 방법
Ellis et al. Varroa mite, varroa destructor anderson and trueman (arachnida: Acari: Varroidae)
Coatney On the biology of the pigeon fly, Pseudolynchia maura Bigot (Diptera, Hippoboscidae)
Bickle et al. Contraception in striped skunks with Norplant® implants
Mehlhorn et al. In vivo and in vitro effects of imidacloprid on sheep keds (Melophagus ovinus):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Martin Is the fruit you eat flying-fox friendly? The effects of orchard electrocution grids on Australian flying-foxes (Pteropus spp. Megachiroptera)
Cafiero et al. An urban outbreak of red mite dermatitis in Italy
Curry Florida Scrub Jay kills a mockingbird
Ravipati Venu et al. Severe infestation of Ornithonyssus bursa in a commercial poultry layer farm and its successful management
Matheson et al. The transmission of fowl-pox by mosquitoes, preliminary report
Greene et al. Predatory Response of Brown Tree Snakes, to Chemical Stimuli from Human Skin
Weary et al.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ur.
Titchener Inhabitants of avian skin with special reference to ectoparasitic infestations and diseases of poultry skin
Rizwan et al. Biology and Ecology of Parasites
Lupu et al. Aggression of broiler breeder males against females in a poultry reproduction farm: injuries and possible contributing f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76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76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