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801Y1 - 유충 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유충 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801Y1
KR200477801Y1 KR2020140008876U KR20140008876U KR200477801Y1 KR 200477801 Y1 KR200477801 Y1 KR 200477801Y1 KR 2020140008876 U KR2020140008876 U KR 2020140008876U KR 20140008876 U KR20140008876 U KR 20140008876U KR 200477801 Y1 KR200477801 Y1 KR 200477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supply
electrode
floa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2020140008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2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continuous feeding of dc or ac volt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충 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유충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출입구에 뚜껑이 설치된 정화조 또는 집수정에 서식하는 유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로, 수면 상에 부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체; 상기 부유체와 결합되고 상기 수면과 접촉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극;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중량체; 상기 전극에 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전극 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전원 공급부;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대한 상기 뚜껑의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근접 센서;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전원 공급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기;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기 위한 AC/DC 변환기를 포함하는 유충 방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충 방제 장치{DEVICE FOR PREVENTING FOR LARVA}
본 고안의 실시예는 유충 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조 또는 집수정 등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알, 유충(장구벌레), 번데기 및 성충의 시기를 거치는 곤충으로, 수면 위에서 산란하고 알, 유충 및 번데기의 시기를 물어서 보낸다. 알은 약 3일 만에 부화되어 유충이 되고, 이 유충은 약 7일간 4회의 탈피를 통하여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는 물속에서 약 3일이 지나면 성충으로 변태한다. 모기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약 13~20일 정도 걸리고, 성충의 수명은 약 1~2개월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모기의 산란지는 물이 고여있는 하수구 및 방화용수, 계곡이나 바닷가 바위의 움푹한 곳에 고여 있는 물속, 바닷가 바위에 괸 물속 등이다. 모기의 유충은 물이나 공기의 흐름이 비교적 적은 환경에 집중적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꼬리 끝에 있는 숨관을 통해 공기호흡을 하기 위해 꼬리를 수면 상에 내어 놓는다. 특히 흡혈활동을 하는 종류의 도시 모기는 그 유충이 정화조나 집수정 등의 가장자리에 집중서식하며, 성충으로 변태한 후 사람들에게 많은 해를 끼친다. 지구온난화와 난방기술의 발달로 정화조나 집수정 등에서는 사계절 내내 모기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모기유충 1마리가 성장하여 성충이 되면 약 30~40일 간의 모기 일생 동안 약 5~6회의 산란으로 약 1,000~1,200개의 알을 산란하므로, 모기유충 1~2마리를 구제하는 것은 결국 수천 마리 이상의 성충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탁월한 방제효과를 낳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한가지 방도로, 구제약품을 이용하여 모기유충의 서식지에 서식하고 있는 유충을 구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 모기의 주 발생원(95% 이상)인 정화조 또는 집수정 등의 모기유충 및 성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구제약품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통상적인 구제약품인 효력지속시간은 약 1개월 정도에 지나지 않아 광범위한 방역지에 1개월마다 1회씩 구제약품을 투입하여 유충구제를 실시하려면 약품비나 인건비 등이 상당히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발생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9760호 '부유식 해충방제장치 및 그 해충방제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1574호 '전기감전법'
본 고안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유충 방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충 방제 장치는 출입구에 뚜껑이 설치된 정화조 또는 집수정에 서식하는 유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로, 수면 상에 부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체; 상기 부유체와 결합되고 상기 수면과 접촉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극;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중량체; 상기 전극에 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전극 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전원 공급부;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대한 상기 뚜껑의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근접 센서;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전원 공급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기;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기 위한 AC/DC 변환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기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AC/DC 변환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뚜껑이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해 있는 경우 상기 개폐기가 닫히도록 제1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뚜껑이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가 열리도록 제2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입력 받고 출력하는 AC 전원 입출력부; 전압 인가에 대한 시간간격 및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모드 또는 특정 시간 및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모드를 갖는 타이머; 및 상기 전극 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모드 및 상기 제2 설정모드는 시간, 분 및 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충 방제 장치는 정화조 또는 집수정 등에 수납되는 오염수의 수면에 전극을 통해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여 모기 유충을 사멸함으로써, 약품이나 인력을 이용한 종래의 유충 방제 방법보다 친환경적이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화조 또는 집수정에서 유충이 군집되어 서식하는 부분에 중량체를 통해 전극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유충을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근접 센서와 개폐기를 이용하여 작업 간에 전기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모기유충의 방제작업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횟수로 자동 실시함으로써, 방제작업에 대한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충 방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부, 개폐기 및 AC/DC 변환기의 회로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충 방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충 방제 장치(100)는 부유체(110), 전극봉(120), 중량체(130), 전원 공급부(140), 근접 센서(150),개폐기(160) 및 AC/DC 변환기(17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부유체(110), 전극봉(120) 및 중량체(130)는 모기 유충의 주 서식지가 되는 정화조 또는 집수정(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는 오염수(A) 등을 수집하기 위한 탱크 본체(11), 상기 탱크 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출입구(12)를 덮기 위한 뚜껑(1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오염물(A)의 유입 또는 유입출하기 위한 하수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110)는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110)는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 내에 수집되는 오염수(A)의 수면 가까이 적당한 부력으로 부유할 수 있는 모든 공지된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봉(120)은 상기 부유체(110)에 결합되어 수면 밑 일정 깊이까지 돌출된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봉(120)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40)으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극봉(120)은 소정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탱크 본체(11) 내에 있는 오염수(A)에 고압의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봉(120)이 수면에 전기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수면 가까이에 있는 모기 유충들은 사멸되거나, 전기적인 충격을 피하기 위해 물속 깊이 잠수함으로써 호흡을 못하게 되어 사멸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봉(120)은 전압을 인가 받아 전류를 흐를 수 있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암모니아나 습기 등에 녹슬지 않는 모든 공지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량체(13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와이어(131) 등을 통해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110)의 유동 범위를 한정할 뿐만 아니라, 배수 과정 등을 통해 상기 부유체(110)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131)는 상기 중량체(130)가 상기 부유체(110)를 수중으로 끊어 당기지 않을 정도로 길게 이루어진 것이 적절하다. 일반적으로 모기 유충들은 상기 탱크 본체(11)와 오염수(A) 간의 경계가 되는 상기 탱크 본체(11)의 내 벽면과 가까운 위치에 군집을 이루며 서식하는데, 이러한 습성을 감안하여 상기 중량체(130)는 상기 부유체(110)가 상기 탱크 본체(11)의 내 벽면과 가까운 위치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유동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전극봉(120)을 통해 오염수(A)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정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40)는 AC 전원 입출력부(141), 타이머(142) 및 전류 조절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 전원 입출력부(141)는 외부로부터 AC 전원(220V)을 입력 받고, 입력된 AC 전원을 상기 타이머(142)와 전류 조절부(143)의 설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42)는 제1 설정모드 또는 제2 설정모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이머(142)의 제1 설정모드에서는 상기 전극봉(120)으로의 전압 인가에 대한 시간간격 및 지속시간을 특정 시간, 분 및 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루에 1회씩 10초간 상기 전극봉(12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자 한다면, 상기 타이머(142)는 시간간격에서 ‘시(hour)’를 ‘24’로 ‘분(minute)’을 ‘00’ 설정하고, ‘지속시간(sec’)을 ‘10’로 설정하면, 그 설정시작시간으로부터 24시간(1일)마다 10초 동안 상기 전극봉(120)으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시간 30분마다 15초씩 상기 전극봉(12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자 한다면, 시간간격에서 ‘시(hour)’를 ‘03’으로, ‘분(minute)’을 ‘30’으로 각각 설정하고, ‘지속시간(sec)’을 ‘15’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142)의 제2 설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설정모드와 달리 특정 시간마다 일정 지속시간으로 상기 전극봉(120)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오전 11시, 오후 2시, 오후 5시마다 20초씩 상기 전극봉(120)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선, 제2 설정모드를 설정하고 ‘시(hour)와 분(minute)’에서 ‘오전 11시 00분’, ‘오후 2시 00분’, ‘오후 5시 00분’을 각각 선택하고, 지속시간(sec)을 ‘20’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머(142)를 통해 전극봉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여 모기유충 방제작업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횟수로 자동 실시함으로써 방제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기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전류 조절부(143)는 상기 전극봉(120)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암페어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머(142)를 통한 전압인가 지속시간(sec)과 전류(mA)의 크기는 작업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할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접 센서(150)는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의 출입구(12) 측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13)의 근접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13)이 열렸다는 것은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의 보수 공사 등의 이유로 작업자가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 내부로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40)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142)의 시간 설정에 따라 상기 전극봉(120)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근접 센서(150)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조 또는 집수정(10) 내부로 작업자가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미리 판단해 볼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50)는 상기 뚜껑(13)이 근접해 있는 경우 제1 센싱 신호를 상기 개폐기(160)로 출력하고, 상기 뚜껑(13)이 근접해 있지 않은 경우 제2 센싱 신호를 상기 개폐기(16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개폐기(160)가 상기 제1 또는 제2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봉(120)과 상기 전원 공급부(140) 간을 전기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기(160)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와 AC/DC 변환기(17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근접 센서(15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또는 제2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봉(120)과 상기 전원 공급부(14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기(160)는 전위차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센싱 신호에 따라 접점의 위치가 가변되는 기계식 스위치일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기(16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C/DC 변환기(170)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극봉(1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부, 개폐기 및 AC/DC 변환기의 회로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140)와 AC/DC 변환기(170)가 병렬로 연결되며, 그 사이에 개폐기(16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40)와 AC/DC 변환기(170)에 각각 회로 보호용 차단기(CP1, CP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부(140)는 AC 전압단(RN) 사이에 매뉴얼 수동조작 스위치(G1), 오프 스위치(G2), 온 스위치(G3), 마그네틱 코일(MC)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매뉴얼 수동조작 스위치(G1)와 오프 스위치(G2) 간의 제1 연결노드(a1) 및 AC 전압단(N) 사이에 자동 스위치(M)와 램프(Ra)가 연결된다. 또한, AC 전압단(R) 및 상기 온 스위치(G3)과 마그네틱 코일(MC) 간의 제2 연결노드(a2) 사이에 트윈 타이머 시간 접점 스위치(G4)와 24시간 타이머 접점 스위치(G5)가 연결된다. 또한, AC 전압단(RN) 사이에 타이머 코일(24h)이 연결되고, 서로 직렬 연결된 트윈 타이머 코일(G6)과 초 타이머(Sec)가 상기 타이머 코일(24h)과 병렬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화조 또는 집수정 등에 수납된 오염수의 수면에 전극을 통해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여 모기 유충을 사멸함으로써, 약품이나 인력을 이용한 종래의 유충 방제 방법보다 친환경적이며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정화조 또는 집수정에서 유충이 군집되어 서식하는 부분에 중량체를 통해 전극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유충을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와 개폐기를 이용하여 작업 간에 전기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를 이용하여 모기유충의 방제작업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횟수로 자동 실시함으로써, 방제작업에 대한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40)의 외면(즉, 전원 공급부(140)를 보호하는 케이스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 변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 변색 물질이 전원 공급부(140)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 변색층 위에는 온도 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 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변색층은 전원 공급부(14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 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 변색 물질이 전원 공급부(140)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변색 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변색 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변색 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 변색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 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 변색 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을 사용하여 온도 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14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 공급을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전원 공급부(14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온도 변색층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 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 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 변색 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유충 방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정화조 또는 집수정 11: 탱크 본체 본체
12: 출입구 13: 뚜껑
100: 유충 방제 장치 110: 부유체
120: 전극봉 130: 중량체
140: 전원 공급부 141: AC 전원 입출력부
142: 타이머 143: 전류 조절부
150: 근접 센서 160: 개폐기
170: AC/DC 변환기

Claims (4)

  1. 출입구(12)에 뚜껑(13)이 설치된 정화조 또는 집수정(10)에 서식하는 유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로,
    수면 상에 부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체(110);
    상기 부유체(110)와 결합되고 상기 수면과 접촉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극(120);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110)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중량체(130);
    상기 전극(120)에 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전극(120) 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전원 공급부(140);
    상기 출입구(12)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12)에 대한 상기 뚜껑(13)의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근접 센서(150);
    상기 근접 센서(15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극(120)과 상기 전원 공급부(14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기(160); 및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극(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AC/DC 변환기(170); 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기(160)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와 상기 AC/DC 변환기(17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근접 센서(150)는 상기 뚜껑이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해 있는 경우 상기 개폐기(160)가 닫히도록 제1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뚜껑(13)이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160)가 열리도록 제2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입력 받고 출력하는 AC 전원 입출력부(141)와, 전압 인가에 대한 시간간격 및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모드 또는 특정 시간 및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모드를 갖는 타이머(142)와, 상기 전극(120) 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조절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모드 및 상기 제2 설정모드는 시간, 분 및 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AC 전압단(RN) 사이에 매뉴얼 수동조작 스위치(G1), 오프 스위치(G2), 온 스위치(G3) 및 마그네틱 코일(MC)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오프 스위치(G2) 및 상기 온 스위치(G3) 간의 제1 연결노드(a1)와 AC 전압단(N) 사이에 자동 스위치(M)와 램프(Ra)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온 스위치(G3)및 상기 마그네틱 코일(MC) 간의 제2 연결노드(a2)와 AC 전압단(R) 사이에 트윈 타이머 시간 접점 스위치(G4)와 24시간 타이머 접점 스위치(G5)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AC 전압단(RN) 사이에 타이머 코일(24h)이 연결되고, 제3 연결노드(a3)와 상기 AC 전압단(N) 사이에 직렬 연결된 트윈 타이머 코일(G6)과 초 타이머(Sec)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노드(a3)와 상기 AC 전압단(N) 사이에 상기 타이머 코일(24h)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 방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8876U 2014-12-03 2014-12-03 유충 방제 장치 KR200477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76U KR200477801Y1 (ko) 2014-12-03 2014-12-03 유충 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76U KR200477801Y1 (ko) 2014-12-03 2014-12-03 유충 방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801Y1 true KR200477801Y1 (ko) 2015-07-27

Family

ID=5387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876U KR200477801Y1 (ko) 2014-12-03 2014-12-03 유충 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8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8725A (zh) * 2017-01-15 2017-05-10 浙江海洋大学 一种石油储运装置
CN109349254A (zh) * 2018-12-11 2019-02-19 赵雅琴 浮板式蚊香液加热器
WO2021194092A1 (ko) * 2020-03-23 2021-09-30 김재훈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371B1 (ko) * 2001-11-13 2004-09-01 주식회사 지인테크놀로지 수중 미생물 살균장치
KR20060029301A (ko) * 2004-10-01 2006-04-06 공기천 태양전지 발전 부표형 오염수 처리장치
KR20080003906U (ko) * 2007-03-12 2008-09-18 삼건세기(주) 저수조에 설치되는 은이온 살균장치
KR200464342Y1 (ko) * 2010-12-07 2012-12-28 주식회사 우전그린 전기충격살충기가 설치된 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371B1 (ko) * 2001-11-13 2004-09-01 주식회사 지인테크놀로지 수중 미생물 살균장치
KR20060029301A (ko) * 2004-10-01 2006-04-06 공기천 태양전지 발전 부표형 오염수 처리장치
KR20080003906U (ko) * 2007-03-12 2008-09-18 삼건세기(주) 저수조에 설치되는 은이온 살균장치
KR200464342Y1 (ko) * 2010-12-07 2012-12-28 주식회사 우전그린 전기충격살충기가 설치된 맨홀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8725A (zh) * 2017-01-15 2017-05-10 浙江海洋大学 一种石油储运装置
CN109349254A (zh) * 2018-12-11 2019-02-19 赵雅琴 浮板式蚊香液加热器
CN109349254B (zh) * 2018-12-11 2022-04-29 赵雅琴 浮板式蚊香液加热器
WO2021194092A1 (ko) * 2020-03-23 2021-09-30 김재훈 전기자극을 이용한 피임 및 해충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801Y1 (ko) 유충 방제 장치
CA275622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turation of aquatically hatched insects
CN105475253B (zh) 太阳能灭虫灯
JP2006223276A (ja) ボウフラ駆除容器
US20180352801A1 (en) Animal trap
CN108902079A (zh) 一种农田双重诱捕灭害虫装置及其工作方法
CN102017935A (zh) 双灯多频谱太阳能电网式灭虫器
WO2015097722A1 (en) Device to kill insects such as mosquitoes, flies and sandflies
US20150082687A1 (en) Automatic self functioning full season mosquito larvae eradicator
GB2410668A (en) A mosquito eradicator
US11116198B2 (en) Complex mosquito trap for outdoor spaces
CN203633382U (zh) 一种新型电蚊香液
DE10201321460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kämpfung von Bienenschädlingen
CN102415361A (zh) 太阳能杀虫灯
CN204853299U (zh) 一种园林灭蚊景观灯
KR101029760B1 (ko) 부유식 해충방제장치 및 그 해충방제방법
CN201713016U (zh) 一种带灭蚊器的垃圾桶
FR3048161A1 (fr) Dispositif pour tuer des insectes par electrocution
CN209185480U (zh) 一种用于茶树的害虫诱杀装置
KR100893536B1 (ko) 양어장 용수 살충 장치
CN109906031B (zh) 一种用于杀死害虫的装置
CN210987838U (zh) 一种智能灭蚊装置
CN205052584U (zh) 一种公园杀虫灯
CN210987884U (zh) 一种电热驱蚊器
CN109526903A (zh) 一种便于安装的太阳能灭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