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2795A1 -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 Google Patents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2795A1
WO2021172795A1 PCT/KR2021/001765 KR2021001765W WO2021172795A1 WO 2021172795 A1 WO2021172795 A1 WO 2021172795A1 KR 2021001765 W KR2021001765 W KR 2021001765W WO 2021172795 A1 WO2021172795 A1 WO 20211727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steam
vacuum
boil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7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상열
Original Assignee
정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열 filed Critical 정상열
Publication of WO20211727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27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7/00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 F22D7/04Injectors for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는 난방부하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하강하여 스팀의 상태가 변환된 응축수 또는 스팀 일부가 유입되는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에서 유입된 응축수 및 스팀을 유입받아 저장하는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응축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가 측정한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열림되어 자동으로 부족한 물을 보충하는 자동급수 밸브;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로 응축수를 회수시켜 응축수 배수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진공상태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진공게이지; 상기 진공게이지가 측정한 진공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한 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진공상태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과 응축수 배수관에 형성되어 보일러와 결합되는 탈장착부재;를 포함하여 보일러에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어, 고장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삼방밸브를 조작하여 응축수의 유로를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보일러의 기능이 계속 수행하면서, 수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본 발명은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어떤 보일러에도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고장시에도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진공 스팀 순환기 없이 난방이 가능한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공 스팀 순환기는 주로 보일러 시스템 내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보일러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탈장착부재를 이용해 진공 스팀 순환기를 보일러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착할 수 있으며, 진공 스팀 순환기에 고장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삼방밸브를 조작하여 응축수의 유로를 용이하게 전환하여 보일러의 기능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는 난방부하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하강하여 스팀의 상태가 변환된 응축수 또는 스팀 일부가 유입되는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에서 유입된 응축수 및 스팀을 유입받아 저장하는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응축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가 측정한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열림되어 자동으로 부족한 물을 보충하는 자동급수 밸브;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로 응축수를 회수시켜 응축수 배수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진공상태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진공게이지; 상기 진공게이지가 측정한 진공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한 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진공상태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과 응축수 배수관에 형성되어 보일러와 결합되는 탈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는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탱크; 상기 스팀생성탱크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설치된 공간을 난방하는 난방부하; 상기 난방부하를 경유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의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관;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의 응축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스팀생성탱크로 회수시키는 응축수 회수관; 및 물에 용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생성탱크의 하부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관; 및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응축수 회수관을 직접연결하는 응축수 비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의 탈장착부재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 및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의 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 회수관, 상기 응축수 배수관,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의 출구를 삼방밸브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는 탈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진공 스팀 순환기를 보일러에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는 진공 스팀 순환기에 고장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삼방밸브를 조작하여 응축수의 유로를 용이하게 전환하여 보일러의 기능이 계속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 진공 스팀 순환기를 수리하거나, 새로운 진공 스팀 순환기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에 진공 스팀 순환기를 탈장착하기 위한 탈장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하는 보일러의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에 진공 스팀 순환기를 탈장착하기 위한 탈장착부재인 삼방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에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전체 보일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보일러
110: 스팀생성탱크 120 : 난방부하
130 : 응축수 배출관 140 : 응축수 회수관
150 : 에어 주입관 160 : 응축수 비상유로(160)
200 : 진공 스팀 순환기
210 :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 220 :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230 : 수위센서 240 : 자동급수밸브
250 : 응축수 배수관 251 : 필터
252 : 순환모터 253 : 전동밸브
260 : 진공게이지 270 : 진공펌프
280 : 퇴수배출 밸브 290 : 고수위 센서
300 : 컨트롤러
400 : 탈장착부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200)는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수위센서(230), 자동급수밸브(240), 응축수 배수관(250), 진공게이지(260), 진공펌프(270), 퇴수배출 밸브(280), 고수위 센서(290), 및 컨트롤러(300)를 포함한다.
상기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210)은 난방부하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떨어져 스팀에서 응축수로 상태가 변환된 응축수 또는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스팀이 유입되는 경로이다.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에서 유입된 응축수 및 스팀을 유입받아 저장하는 공간이다.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는 상기 난방부하를 경유하여 회수되는 응축수를 안정화하고 보일러(100)에 물을 보충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수위센서(23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에 설치되어 해당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내의 응축수 수위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위센서(23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하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수압에 따라 탱크 내의 수위를 측정한다.
즉, 상기 수위센서(230)는 탱크의 규격에 맞게 해당 탱크의 크기와 높이에 따른 수압을 DB화하여 저장하면서, 수압의 변화에 따라 연속적인 수위값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자동급수밸브(240)는 상기 수위센서(230)가 측정한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를 받아 열림되어 자동으로 부족한 물을 보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200)는 상기 자동급수밸브(240)와 반대되는 구성으로 퇴수배출 밸브(280)를 더 포함하는데, 해당 퇴수배출 밸브(280)는 상기 보일러(100)에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바닥에 침전되게 되는데, 해당 이물질을 포함하는 퇴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응축수 배수관(250)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100)로 응축수를 회수시켜 해당 응축수가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와 상기 보일러(100)를 순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응축수 배수관(250)은 경로상에 필터(251), 순환모터(252), 및 전동밸브(253)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251)는 상기 순환모터(252)와 상기 전동밸브(253)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모터(252)와 상기 전동밸브(253)로 응축수가 유입되기전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전동밸브(253)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내의 응축수가 보일러(100)로 회수될 수 있도록 열림되거나, 회수가 중단되도록 닫힘이 이루어지는 밸브로 응축수의 회수량을 제어한다.
상기 순환모터(252)는 상기 전동밸브(253)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와 상기 보일러(100)간의 원활한 응축수 순환을 돕는다.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의 자동급수밸브(240), 전동밸브(253), 및 퇴수배출 밸브(280)는 전자 밸브로서,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는 솔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진공게이지(26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내의 진공상태를 측정하고 표시한다.
상기 진공펌프(270)는 상기 진공게이지(260)가 측정한 진공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0)에 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내의 진공상태가 기준치 또는 설정값에 맞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수위센서(230), 자동급수밸브(240), 순환모터(252), 전동밸브(253), 진공게이지(260), 진공펌프(270)와 연결되어, 상기 수위센서(230) 및 상기 진공게이지(260)가 측정한 수위와 진공상태에 따라 자동급수밸브(240), 순환모터(252), 전동밸브(253), 진공게이지(260), 및 진공펌프(270)를 제어한다.
예를들어,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위센서(230)가 측정한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내의 수위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을 침수하는 경우, 상기 퇴수배출 밸브(250) 또는 전동밸브(253)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수위센서(230)와 별개로 상기 고수위 센서(29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상부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상기 진공펌프(270)로 넘쳐 발생할 수 있는 범람위험을 감지한다.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 상부에 설치된 고수위 센서(290)가 고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하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고수위 센서(290)의 감지정보에 따라 먼저 상기 진공펌프(27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일정시간 상기 순환모터(252)를 동작시켜 상기 응축수가 상기 진공펌프(270)의 응축수를 배수시켜 범람위험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가 우선적으로 상기 진공펌프(27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에서 상기 진공펌프(270)로 응축수가 범람하는 경우 진공펌프의 고장의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고수위 센서(290)에 의한 고수위의 응축수 감지가 해제되면, 상기 순환모터(252)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진공펌프(270)의 동작을 재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스팀 순환기(20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과 응축수 배수관(250)이 보일러(100)와 탈장착부재(400)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한다.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양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테이퍼지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의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과 응축수 배수관(250) 그리고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와 연결되는 상기 보일러(100)의 연결관은 상기 탈장착부재(400)의 내주면과 대응되게 동일한 경사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진공 스팀 순환기(200)가 결합된 보일러(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보일러(100)는 스팀생성탱크(110), 난방부하(120), 응축수 배출관(130), 응축수 회수관(140), 에어 주입관(150), 및 응축수 비상유로(16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생성탱크(110)는 전기, 가스, 기름 화목 기타의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화시켜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난방부하(120)는 하우스, 건조실, 주거 공간 등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생성탱크(110)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해당 공간을 난방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130)은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의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과 연결되어, 난방부하(120)로 공급된 스팀의 온도가 하강하여 변환된 응축수를 전달한다.
상기 응축수 회수관(140)는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의 응축수 배수관(250)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의 응축수가 상기 스팀생성탱크(110)로 회수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 주입관(150)은 상기 스탬생성탱크(110)에서 스팀의 생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팀생성탱크(110)에 에어가 주입되는 관으로, 상기 스팀생성탱크(110)의 하부로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물에 에어를 용해시킨다.
기존에는 상기 에어 주입관(150)이 스팀생성탱크(110)의 상부로 에어가 주입되는 구조였으나, 이런경우 생성된 스팀이 유입되는 에어로 인해 응축되게되어 결과적으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이 있는 하부로 에어를 주입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160)는 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탈장착부재(400)의 동작으로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로 전달되던 응축수가 차단된 경우, 해당 응축수를 바로 상기 응축수 회수관(140)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과 응축수 배수관(250)을 각각 상기 응축수 배출관(130)과 응축수 회수관(140)에 연결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와 보일러(10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특히,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과 상기 응축수 배출관(130) 그리고 응축수 비상유로(160)의 입구를 하나로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 배수관(250)과 상기 응축수 회수관(140) 그리고 응축수 비상유로(160)의 출구를 하나로 연결하는 삼방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유로를 변환 한다.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평소에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30)으로 유로가 열려있고, 상기 응축수 배수관(250)과 상기 응축수 회수관(140)으로 유로가 열려 있다.
하지만,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에 문제가 발행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220)의 응축수 수위가 너무 높아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이 응축수에 의해 침수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30)으로 형성된 유로를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160)의 입구로 전환한다.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200)에 발생하는 문제는 상술한 문제에 한정되지 않고, 진공펌프(270)의 고장, 각종 밸브의 고장, 또는 순환모터(252)의 고장이 해당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상기 응축수 배수관(250)에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140)으로 형성된 유로를,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160)의 출구에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140)으로 전환한다.
상기 탈장착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삼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테이퍼지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탈장착부재(400)에 결합되는 진공 스팀 순환기(200)의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210)과 응축수 배수관(250), 상기 보일러(100)의 응축수 배출관(130)과 응축수 회수관(140), 그리고 응축수 비상유로(160)는 상기 탈장착부재(400)의 내주면과 동일한 경사로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진공 스팀 순환기와 보일러가 탈장착부재에 의해 결합된 전체 보일러 시스템의 계통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난방부하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하강하여 스팀의 상태가 변환된 응축수 또는 스팀 일부가 유입되는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에서 유입된 응축수 및 스팀을 유입받아 저장하는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응축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가 측정한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열림되어 자동으로 부족한 물을 보충하는 자동급수 밸브;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로 응축수를 회수시켜 응축수 배수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진공상태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진공게이지;
    상기 진공게이지가 측정한 진공상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한 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진공상태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응측수&잔여스팀 유입관과 응축수 배수관에 형성되어 보일러와 결합되는 탈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
  2. 제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상부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상기 진공펌프로 넘쳐 발생할 수 있는 범람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고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장착부재는 내주면이 양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테이퍼지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수관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 내의 응축수가 보일러로 회수될 수 있도록 열림되거나, 회수가 중단되도록 닫힘이 이루어져 응축수의 회수량을 제어하는 전동밸브;
    상기 전동밸브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와 상기 보일러 간의 응축수 순환을 돕는 순환모터; 및
    상기 순환모터와 상기 전동밸브 전단에 구비되어 응축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의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에 있어서,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탱크;
    상기 스팀생성탱크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설치된 공간을 난방하는 난방부하;
    상기 난방부하를 경유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의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관;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의 응축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스팀생성탱크로 회수시키는 응축수 회수관; 및
    물에 용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생성탱크의 하부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진공 스팀 순환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응축수 회수관을 직접연결하는 응축수 비상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 및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의 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 회수관, 상기 응축수 배수관,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의 출구가 탈장착부재로 연결하는 상기 탈장착부재는 삼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내주면이 삼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테이퍼지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 상기 응축수&잔여스팀 유입관,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의 입구, 상기 응축수 회수관, 상기 응축수 배수관, 및 상기 응축수 비상유로의 출구는 외주면에 상기 탈장착부재의 내주면과 동일한 경사로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PCT/KR2021/001765 2020-02-25 2021-02-10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WO20211727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63 2020-02-25
KR1020200023063A KR102309684B1 (ko) 2020-02-25 2020-02-25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795A1 true WO2021172795A1 (ko) 2021-09-02

Family

ID=7749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765 WO2021172795A1 (ko) 2020-02-25 2021-02-10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9684B1 (ko)
WO (1) WO2021172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138A (ko) 2021-08-17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이전 신호들에 기초하여 dpsk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166U (ko) * 1997-09-08 1997-12-11 이병무 파이프 연결구
JP2012107819A (ja) * 2010-11-18 2012-06-07 Miura Co Ltd 蒸気ボイラ装置
KR101406481B1 (ko) * 2013-01-28 2014-06-13 뉴젠에너지 주식회사 진공 순환식 스팀 보일러
KR101457153B1 (ko) * 2014-05-23 2014-11-04 정상열 응축수의 강제 순환과 진공압 유지 및 물 보충 자동형 진공 스팀 보일러
KR20160128178A (ko) * 2015-07-16 2016-11-07 문수연 순환 효율 개선형 진공 순환식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82B1 (ko) 2018-06-19 2019-11-13 정상열 진공식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166U (ko) * 1997-09-08 1997-12-11 이병무 파이프 연결구
JP2012107819A (ja) * 2010-11-18 2012-06-07 Miura Co Ltd 蒸気ボイラ装置
KR101406481B1 (ko) * 2013-01-28 2014-06-13 뉴젠에너지 주식회사 진공 순환식 스팀 보일러
KR101457153B1 (ko) * 2014-05-23 2014-11-04 정상열 응축수의 강제 순환과 진공압 유지 및 물 보충 자동형 진공 스팀 보일러
KR20160128178A (ko) * 2015-07-16 2016-11-07 문수연 순환 효율 개선형 진공 순환식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84B1 (ko) 2021-10-06
KR20210108180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6000A2 (ko) 재증발 증기 및 응축수 회수 장치
WO2021172795A1 (ko)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WO2012157942A2 (ko) 세탁기의 수위측정오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WO2013005976A2 (ko) 가스 온수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공급장치
WO2010137763A1 (ko) 폐수의 열회수장치 및 방법
WO2020122483A1 (ko) 압축기 부착형 밀폐식 팽창탱크
WO2017150819A1 (ko) 압력탱크 내부 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관 시스템
WO2011122747A1 (ko) 물 저장 및 배출장치
WO2021075650A1 (ko) 자동밸브를 이용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WO2016088950A1 (ko) 노 트랩 타입 스팀발생시스템의 응축수 및 스팀 회수/공급장치
WO2016085096A1 (ko) 비상운전수단이 구비되는 터빈발전시스템과 그 비상운전방법
WO2014030808A1 (ko)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BRPI0920207B1 (pt) Filtro e reservatório
WO2013103198A1 (ko) 액체필터부를 구비한 입자회수장치
WO2012091470A2 (ko) 증기압력을 이용한 자동 급수식 증기발생기
WO2019066090A1 (ko) 가스 공급용 이중 배관을 통한 공기순환 시스템 및 그에 의한 공기순환 방법
WO2020213975A1 (ko) 보일러 자동 세관 방법
WO2011083910A2 (ko) 보충수밸브와 보충수연결배관 및 이들의 결합구조
WO2015133686A1 (ko)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용 온풍기
WO2022102808A1 (ko)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WO2014092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ration
WO2018124651A1 (ko) 밀폐식 보일러의 물 보충 장치 및 물 보충 방법
WO2022075697A1 (ko) 난방 및 냉방 겸용 보일러
WO2016143924A1 (ko) 태양열 온수시스템
WO2020213974A1 (ko) 보일러 자동 세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604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604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9.01.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