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2757A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2757A1
WO2021132757A1 PCT/KR2019/018440 KR2019018440W WO2021132757A1 WO 2021132757 A1 WO2021132757 A1 WO 2021132757A1 KR 2019018440 W KR2019018440 W KR 2019018440W WO 2021132757 A1 WO2021132757 A1 WO 20211327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ent
icon
leng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84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은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184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32757A1/ko
Priority to US17/786,964 priority patent/US11978374B2/en
Priority to KR1020227016448A priority patent/KR20220086616A/ko
Priority to EP19957361.9A priority patent/EP4083765A4/en
Publication of WO20211327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27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processing, and displaying an image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for example, a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separates the video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displays the separated video signal on the display again.
  •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device have been diversified considerably, and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has been improved accordingly. That i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not only broadcast content, but also various other content to user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provide not only programs received from broadcasting stations, but also game play, music listening, Internet shopping, user customized information, and the like using various applications. In order to perform such extended functions, the display device is bas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or network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may provide a user with ubiquitous computing. That is, the display device has evolved into a smart device that enables connectivity to a network and continuous computing.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the flexible display a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rollable display in which an are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is changed by being wound or unwound in a direction guided by a roller. By using such a rollable display, the display device may have a more compact structure.
  • the entire display area may be drawn out to display the content, or only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may be drawn out and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only in a partial area.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user can view the entire content even while the display is being pulled out.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utilizing an area remaining after content is displayed while the display is being drawn out.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a user's image viewing while the display is being pulled out.
  • the display device controls the display so that the entir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housing, the display, the roll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rotating to wind or unwind the display, and the display drawn out from the housing while the display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the entire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the entire content while the image size of the content increases while the display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 the display may display the entire content so that the image size of the content increases while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is maintained while being drawn out from the housing.
  •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and adjust the image size of the content to the maximum siz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splay.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further display the menu on the display drawn out from the housing.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so that the menu is displayed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content among the area of the display drawn out from the housing.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change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instead of the content, or to display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nstead of the menu.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instead of the content.
  • the content may be a broadcast image
  • the menu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lication icon, a program icon, and an external device icon.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ller to stop drawing of the display.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ller so that the display is drawn out up to a preset length.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a screen indicating the stop of drawing of the display when drawing out of the display is stopped before drawing out the display to the maximum length.
  • the screen indicating the stop of drawing out of the display further includes an icon for selecting whether to draw the display to a maximum length, and when receiving a command to select an ic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ller so that the display is drawn out to the maximum length.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ntent in the form of a list if the pull-out length of the displa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length.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ntent in the form of a thumbnail when the pull-out length of the display is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and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ntent in a full screen form if the pull-out length of the display is greater than the second length and less than or equal to a third length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s a priority when displaying the content as a list or thumbnail.
  • the controller may fix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icon when the drawing-out length of the display is increased.
  • the control unit may fix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while the display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shows an actual configuratio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shows an example of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ide of a housing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a display is in a zero view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a display is in a partial view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a display is in a full view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device to display content and a menu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further displaying a menu by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5 and 16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when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a sub-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ub-menu differently according to a length of a display drawn out.
  • 1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when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content is a channel change signal.
  • 1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when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content is a signal for changing an image of an external device.
  • 2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maximum fetch command when the display apparatus stops before being fetched to a maximum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n icon and a pointer positioned on the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n icon and a pointer positioned on the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apparatus to adjust a cont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rollable display TV, smart TV, network TV, HBBTV (Hybrid Broadcast Broadband Television), Internet TV, web TV,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digital signage, desktop Computers,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slate PC, tablet PC ),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 the rollable display means that the display can be wound in a roll shape, and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bent, a foldable display that can be folded, and the lik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a storage unit 140 ,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a control unit 170 , a communication unit 173 , It may include a display 180 , an audio output unit 185 ,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 the broadcast receiver 130 may include a tuner 131 , a demodulator 132 ,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
  • the tuner 131 may tune into a specific broadcasting channe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ion command.
  • the tuner 131 may receive a broadcast signal for a specific selected broadcast channel.
  • the demodulator 132 may separate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related to a broadcast program, and may restore the separated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data signal to an outputable form.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 or to a user selected from among other electronic devices or to a selected electronic device.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it is possible to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 corresponding server.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such as a movie, advertisement, game, VOD, broadcast signal,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or the network provider through the network.
  • content such as a movie, advertisement, game, VOD, broadcast signal,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or the network provider through the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and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provide a connection path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one or more of an image and audio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70 .
  • the external device connectable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any one of a set-top box, a Blu-ray player, a DVD player, a game machine, a sound bar, a smart phone, a PC, a USB memory, and a home theater.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programs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 and may store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s.
  •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 and may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through the channel storage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produce content files (movie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 content files moving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s Bluetooth (Bluetooth), WB (Ultra Wideband), ZigBee (ZigBe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 RF Radio Frequency
  • IR infrared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t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
  • a local key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ting value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audio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 Also,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 controlle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within the display apparatus 100 .
  •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r an internal program, and access the network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You can make it available for download in (100).
  • the controller 170 allows the user-selected channel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from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31 or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 or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reproduce content stor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ent includes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d an audio file.
  • the content includes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d an audio file.
  •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may be in various forms.
  • the communication unit 173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73 may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unit 173 is Bluetooth (BluetoothTM),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 At least one of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73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another display apparatus 100, or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display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It is possib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in which the device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 the local area networks may b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Local Area Networks).
  • the other display apparatus 100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a smart watch, smart glasses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it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 the communication unit 173 may detect (or recognize) a communicable wearable device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controller 170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data processed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3 . It can be transmitted to a wearable devic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data processed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 the display 180 converts the image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or the im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and converts them into driving signals. can create
  • the display 180 may be a rollable display.
  • the rollable display can be drawn into the housing 183 (refer to FIG. 7) and wound around the roller 184 (refer to FIG. 7), or pulled out from the housing (183 (refer to FIG. 7) and released from the roller (184, see FIG. 7)). It may mean a display.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rollable display, and the area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drawing out or retracting of the rollable display.
  • the referenced display 180 may mean a rollable display.
  •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actually implemented display apparatus 100 .
  •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 the function performed in each block is for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apparatus 100 does not include a tuner 131 and a demodulator 132, and does not include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 135), the video may be received and reproduced.
  •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divided in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contents according to a broadcast signal or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which reproduces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n be implemented.
  •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contents according to a broadcast signal or various network services
  •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which reproduces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not only the display apparatus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but als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or display 180 such as the separated set-top box. )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shows an actual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10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 a user input unit 230 , a sensor unit 240 , an output unit 250 , and a power supply unit 260 . ), a storage unit 270 , a control unit 280 , and a voice acquisition unit 290 .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transmits/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 An IR module 223 may be provided.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22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n NFC module 227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display according to a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standard.
  • a WLAN module 229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device 100 may be provided.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 and if necessary, turn on/off power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 It can send commands about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0 .
  •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 the plurality of buttons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a power button 231, a home button 232, a live button 233, an external input button 234, a volume control button 235, a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It may include a channel change button 237 , a confirmation button 238 , and a back button 239 .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a button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In an embodimen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perform a push operation, and thus may receive a push operation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operation.
  • the power button 23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home button 232 may be a button for moving to the hom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live button 233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real-time broadcast program.
  • the external input button 234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n external input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volume control button 235 may be a button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volume output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recognizing the received voice.
  • the channel change button 237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 the confirmation button 238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and the back button 239 may be a button for returning to a previous screen.
  • the user input unit 230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 and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43 is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t is possible to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display 180 may be sensed.
  •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n image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 Through the output unit 250 ,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trolled.
  • the output unit 250 includes an LED module 25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nd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 253), a sound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may be provided.
  • 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tops the power supply, thereby reducing power wastage.
  •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 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application data required for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
  • 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and references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in which a signal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270 . can do.
  • the controller 2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o the display device ( 100) can be transmitted.
  • 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acquire a voice.
  • 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291 , and may acquire a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291 .
  • FIG. 4 will be described.
  • FIG. 4 shows an example of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A illustrates that a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down, left and right.
  •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ler because the corresponding pointer 205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movement in 3D space.
  • FIG. 4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lso moves to the left correspondingly.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 4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ccordingly,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in and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r to the display 180 ,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 the selection area is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pproaches the display 180 ,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 a pointer refers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ccordingly, objects of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rrow shape shown in the drawing are possible with the pointer 205 . For example,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dot, a cursor, a prompt, a thick outline, and the like.
  • the pointer 205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ny one point among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on the display 180, and may also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such as a line and a surface. .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ide of a housing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housing 183 , a display 180 that is drawn into or withdrawn from the housing 183 , and a roller 184 that guides the display 180 to be wound or unwound.
  • the roller 184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83 .
  • the roller 184 may be a rotatable guide bar.
  • the roller 184 may be rotatable so that the display 180 is wound or unwound.
  • the display 180 when the roller 184 rotates in the R1 direction, the display 180 may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83 .
  • the display 180 when the roller 184 rotates in the R2 direction, the display 180 may be drawn into the housing 183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roller 184 . In this way, the display 180 may be drawn out or re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so, the display 180 may be drawn out or retr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using.
  • the display 180 may be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18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ller 184 .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content in an area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86 .
  • the cover 186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83 , and may protect the display 180 inserted into the housing 183 .
  • the area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may increase or decrease. That is, the display area of the content in the display 18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drawing out or drawing in of the display 180 .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display is in a zero view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display is in a partial view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 a full view mode.
  • 'zero view mode' 'partial view mode'
  • 'full view mode' are only given as exampl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so it is appropriate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 the zero view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entire display 180 operates while being drawn into the housing 183 .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in the zero view mode.
  • the display 180 When the display 180 is in the zero view mode, the display 180 may not display content in all areas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180 may be turned off when in the zero view mode.
  • the partial view mode may be a mode in which a part of the display 180 is operated while being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
  • the display apparatus 100 operates in a menu mode, a mood mode, a music mode, a frame mode, or a watch mode
  • the display 180 is set to a partial view mode. can be controlled.
  • the display 180 may display content only in an area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of the display 180 . That is, in the partial view mode, content may not be displayed in an area of the display 180 tha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83 .
  • the full view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display 180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80 is maximally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 That is, the full-view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is maximum.
  • the display 180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operates in the normal mode,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in the full view mode, and in this case, the normal mode displays a broadcast image, an input image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etc. It may be an output mode.
  • the display 180 When the display 180 is in the full view mode, the display 180 may display content in an area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 In the full view mode, the display 180 may display content in an output mode area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83 and a display 180 that is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housing 183 , and as shown in FIG. 7 , the housing 183 has a bottom. It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seated on the
  • the display 180 may be elongated in an upward direction when i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
  •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drawing area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180 is additionally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as shown in FIG. 8 , content may be displayed in all of the drawing areas.
  • the length L at which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may be variable.
  •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housing 183 and a display 180 that is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housing 183 , and the housing 183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a wall or the like.
  • the display 180 may be elongated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i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
  •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housing 183 is fixed to the ceiling.
  • the display area of the content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L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180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display 180 is controlled to the zero-view mode,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display 180 can be controlled to the partial-view mode or the full-view mode. have.
  • the display 180 When the display 180 is fu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83 and then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183 according to a power-on command, part of the content is cut and displayed until the display 180 is completely drawn out. , the user may have to wait a predetermined time to view the entire cont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100 in which a user can grasp the contents of a content even when the display 180 is not drawn to the maximum.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may receive a fetch command of the display 180 (S10).
  • the command to draw out the display 180 may be a command to draw out the display 180 from the housing 183 or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from the housing 183 .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a command that requires additional retrieval of the display 180, such as a power-on command, an entry command from the zero-view mode to the partial-view mode, and an entry command from the partial-view mode to the full-view mode. ) can be recognized as a fetch command.
  • a command that requires additional retrieval of the display 180 such as a power-on command, an entry command from the zero-view mode to the partial-view mode, and an entry command from the partial-view mode to the full-view mode.
  • the controller 170 When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fetch command of the display 180, the controller 170 can display the entire content 1001 (refer to FIG. 10) on the fetched display 180 while the display 180 is fetched. There is (S20).
  • content (1001, 10 ) may mean an image that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the display 180 .
  • the content 1001 may be a broadcast image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 or an external device image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or the storage unit It may be an image stored in 140 .
  • the controller 170 may reduce the size of the content 1001 so that the entire content 1001 is displayed on the fetched display 180 while the display 180 is fetched.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increas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content 1001 while maintaining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1001 while the display 180 is retrieved.
  • Maintaining the image ratio means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atio of the image is kept constant, and increasing the image size means that the size of the image also increases as the area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increases.
  • the size of the image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extent to which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image size increases proportionally.
  •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entire content 1001 in a reduced size when a portion of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by L1.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display 180 so that the image size is gradually increased and displayed while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1001 is maintained while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by L2.
  • the image ratio of the displayed content 1001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80 is pulled out by L1 is the same as the image ratio of the displayed content 1001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80 is pulled out by L2, and the display 180
  • An image size of the displayed content 1001 in a state in which is fetched by L1 may be smaller than an image size of the displayed content 1001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80 is fetched by L2.
  • the controller 170 maintains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1001 while the display 180 is fetched by L3 and displays the image so that the image size is displayed the same as that of FIG. (18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may further display a menu 1010 (refer to FIG. 22 ) in the remaining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2 .
  • the controller 170 adjusts the size of the content 1001 so that the entire content 100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regardless of the image ratio of the content 1001 .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content 1001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10 .
  •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content 1001 based on the pull-out length of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ler 170 maintains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1001 whil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display 180 increases by L1 to L2, while the content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ize of the image of 1001 is displayed while increasing to the maximum siz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rawing of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display ( 170 ) so that the image size of the content 1001 is displayed while increasing to the maximum size according to L3 whil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display 180 is increased by L3. 180) can be controlled.
  • an image of the maximum size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while the display 180 is pulled out can be provided while maintaining the image ratio.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hange a method or form of displaying the content 1001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pulled out.
  •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content 1001 in the form of a list ( 18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may convert the content 1001 into text information and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tex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ist.
  • the control unit 170 may convert the content 1001 into text information by itself and display it in the form of a list, or may receive the text information and display it in the form of a list.
  • an item in the list may be added. For example, two items of the list displayed as the content 1001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2A , and then the number of items in the list may increase to three or more as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content 1001 as a thumbnail.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form.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content 1001 in the form of a thumbnail.
  •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content 1001 in the form of a full screen ( 18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content 1001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e form of a full screen.
  • the full screen form may mean a basic display form of the content 1001 .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preferentially display user preference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content 1001 in the form of a list as shown in FIG. 12A ,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and the subsequent ranking information is further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trieval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to do so.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ize and image ratio of the content 1001 so that the entire content 1001 is displayed until the display 180 is pulled out to a target length according to a fetch command from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form can be adjusted.
  • the target length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etch command of the display 18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display the menu 1010 on the pulled out display 180 while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content 1001 and the menu 1010 together while the display 180 is pulled out.
  • the menu 1010 may mean an icon or a collection of ico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menu 1010 may include icons such as an application icon 1011 , a program icon 1012 , and an external device icon 1013 , through which the user select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 the menu 1010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a clock application or a weather application.
  •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device to display content and a menu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may receive a fetch command of the display 180 (S10).
  •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entire content 1001 on the fetched display 180 while the display 180 is fetched ( S20 ). .
  • Steps S10 and S2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the controller 170 may further display the menu 1010 on the pulled out display 180 ( S22 ).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so that the menu 1010 is displayed in an area other than the content 1001 , or the menu 1010 is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on the content 1001 .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further displaying a menu by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menu 1010 together with the content 1001 of the first size on the display 180 ( 180), and when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by L2 as shown in FIG. 14B, the display 180 is displayed so that the menu 1010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ntent 1001 of the second size.
  • control and when the display 180 is pulled out by L3 as shown in (C) of FIG. 14, the display 18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menu 1010 together with the content 1001 of the third size. have.
  • the first siz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size, and the second size may be smaller than the third size.
  •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iz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L1, which is the drawn-out length of the display 180 , by a predetermined size
  •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ize is the same as or smaller than L2, which is the drawn-out length of the display 180
  • the vertical length of the third size may be the same as L3, which is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or may be smaller than L3 by a predetermined size.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menu 1010 in an area excluding the content 1001 of the first size among the retrieved displays 180, and in the example of FIG. 14(B)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menu 1010 in an area excluding the content 1001 of the second size among the fetched displays 180, and in the example of FIG. 14C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etched display ( 180), the menu 1010 may be displayed in an area excluding the content 1001 of the third siz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so that the display position, the arrangement method, the number or size of the icons, and the like of the menu 1010 change as the size of the content 1001 changes.
  • control unit 170 changes the display form of the menu 1010 in an area excluding the content 1001 with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content 1001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while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and displays the display. (18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icon from the menu 1010 ( S24 ).
  • Any one of the icons in the menu 1010 means any one of the icons for which the user select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such as the application icon 1011, the program icon 1012, and the external device icon 1013. can mean
  • control unit 170 When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icon from the menu 1010 (S24),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sub-menu 102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con selection signal or the received icon selec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180 to change and display the content 1001 corresponding to (S26).
  • the input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menu icons is This is called the icon selection signal.
  • the icon selection signal may be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ub-menu 102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lected icon, or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ent 1001 being displayed to be changed.
  • the icon selection signal is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ub-menu 1020 .
  • the sub-menu 1020 may mean a collection of icons for receiving an additional input signal when an additional input signal is required to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100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icon selection signal.
  • the submenu 1020 of the application icon 1011 is a collection of application icons that can be currently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mong applications such as the video sharing application icon 1021 and the TV replay application icon 1022 . can mean
  • the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may mean a collection of icons that provide program information and additional channel information, such as the channel information icon 1023 or the channel list icon 1024 .
  • the submenu 1020 of the external device icon 1013 may mean a collection of external device icon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the HDMI icon 1025 and the smartphone icon 1026 .
  • sub-menus 1020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sub-menus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icon.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sub-menu 1020 instead of the currently displayed menu 1010 ( S26). Also,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sub-menu 1020 of the selected icon while displaying the displayed menu 1010 as it is.
  • 15 and 16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when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a sub-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a submenu 1020 of the application icon 1011 exists. have.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video sharing application icon 1021 which is the submenu 1020 of the application icon 1011 as shown in FIG. 15B and the TV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replay application icon 1022 .
  •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program icon 1012 and the external device icon 1013 among the displayed menu 1010 as they are.
  • the video sharing application icon 1021 and the TV replay application icon 1022 which are sub-menus 1020 of the application icon 1011 , are merely examples,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that can be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100 , the application icon The sub-menu 1020 of 1011 may be different.
  • control unit 170 when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program icon 1012 as shown in FIG. 16A, the control unit 170 includes a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can determine whether When the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exists,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channel list icon 1024, which is the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as shown in FIG. 16B.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when displaying the submenu 1020 of the selected icon, displays the remaining unselected icons as it is, as in the example of FIG. 15 , or is not selected as in the example of FIG. 16 .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remaining icons are not displayed.
  • the display method of the sub-menu 1020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ifferent for each icon.
  • a method of displaying the submenu 102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 a method of displaying the sub-menu 102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
  • 1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ub-menu differently according to a length of a display drawn out.
  • the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is the channel information icon 1023.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channel information icon 1023 as a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
  • the channel information icon 1023 may mean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rogram, such as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er information, a broadcast program name, and a broadcast time of the content 1001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is L2
  • the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may be a channel list icon 1024 .
  •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a command to select the program icon 1012 in a state where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display 180 exceeds the preset length,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channel list icon 1024 as a sub-menu 1020 of the program icon 1012 . can be displayed.
  • the channel list icon 1024 may mean that a list of currently aired programs and other channels is displayed in the form of thumbnails.
  • the display method of the sub-menu 1020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different for each pull-out length of the display 180 .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submenu 1020 including more information as the length of the fetch is longer.
  • the icon selection signal is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the content 1001.
  • the controller 170 changes it to the content 1001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con selection signal and displays it (180) can be controlled (S26).
  • the input signal for changing the content 1010 may mean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and displaying the content 1001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 unit 170 when the icon sel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70 is another channel selection signal of the channel list icon 1024, the control unit 170 outpu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ent 1001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 It can be recognized as a channel change signal of That is,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change and display the content 1001 of the selected channel instead of the content 1001 currently being displayed.
  • the controller 170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ent 1001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to the video sharing application. It can be recognized as an input signal that is changed to the content 1001 corresponding to . That is,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change and display the content 1001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deo sharing application instead of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1001 .
  • 1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when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content is a channel change signal.
  • the icon sel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ler 170 is the channel list If it is a selection signal of the “BBB” channel, which is another channel among the icons 1024 , the controller 170 may recognize the input signal as a channel change signal of the content 1001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18, the control unit 170 changes to the content 1001 of “BBB”, which is the selected channel, instead of the content 1001 of FIG. 18 (A) that was being displayed and displays the display 180.
  • controller 170 inputs the up, down, left, and right key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even when the channel information icon 1023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7A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splay 180 drawn out.
  • the content 1001 may be changed through a signal.
  • 1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when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content is a signal for changing an image of an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mage is an imag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s shown in (A) of FIG. 19, a mirroring image of an external device as shown in FIG. 19 (B), or the image shown in (C) of FIG. It may be a thumbnail indicating a fil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bar.
  •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ent 1001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 unit 170 instead of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1001 as the content 1001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HDMI.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to change and display.
  • the control unit 170 when the icon sel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70 is a smartphone icon 1026 selection signal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 the control unit 170 currently displays the input signal.
  • the content 1001 displayed through 180 is recognized as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the content 1001 to the content 1001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smartphon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1001 ),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to change and display the content 1001 that is a mirroring image of a smartphon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nstead.
  •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80 . Recognizes 1001 as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the content 1001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port, and the control unit 170 replaces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1001 with the content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port.
  • the display 180 can be controlled to change to 1001 and display it.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hange and display the content 1001 in response to the icon selection signal while the display 180 is being drawn out.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stop drawing of the display 180 ( S40 ).
  • the command to stop drawing the display 180 may include an icon selection signal, an arbitrary drawing stop command by the user, a stop command according to the maximum drawing of the display 180,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170 may recognize the icon selection signal as a command to stop drawing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roller 184 to stop the display 180 immediately or to stop the display 180 after drawing it out to a preset length.
  • the preset length may mean a length that is 80% of the maximum length of the display 180, but this is only given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 screen indicating the stop of drawing out of the display 180 . .
  • 2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maximum fetch command when the display apparatus stops before being fetched to a maximum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 screen indicating stop withdrawal as shown in FIG. 20A.
  • the screen indicating the withdrawal stop may be a screen indicating that withdrawal is stopped before reaching the maximum withdrawal length of the display 180 .
  • the screen indicating withdrawal stop may include a full screen icon 1014 .
  • the full screen icon 1014 may mean an icon that receives a command to display only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1001 on the display 180 excluding the menu 1010 .
  • the full screen icon 1014 may mean an icon for selecting whether to draw out the display 180 to the maximum length while displaying only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1001 on the display 180 .
  • control unit 170 when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the command to select the full screen icon 1014 , it may be recognized as receiving the command to withdraw the maximum of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ler 170 may recognize that the maximum withdrawal command is received even when no user input is sens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in which withdrawal is stopped at a preset length before reaching the maximum withdrawal length of the display 180 . can For example, when the withdrawal is stopped because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display 180 reaches 80% of the maximum withdrawal length, the controller 170 may cause the display 180 to withdraw to the maximum withdrawal length if no user input is detect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 the roller 184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fetches the display 180 to the maximum fetch length as shown in FIG. 20B and controls the display 180 to display only the content 1001 on the display 180 .
  • L2 may be a length corresponding to 80% of the maximum drawn-out length
  • L4 may be the maximum drawn-out length of the display 180 .
  •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cons among the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changed while the display 180 is being drawn out.
  • a user tries to select an icon, it may be difficult to select a desired icon due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con.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05 to be fixed on the icon while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or The display 18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n icon on which the pointer 205 is located in a fixed manner.
  • 2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n icon and a pointer positioned on the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05 by moving it on the icon. That is, the controller 170 recognizes the icon being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pointer 205 is located, and controls the display 180 so that the pointer 205 is positioned on the recognized ic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recognized icon is changed.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pointer even if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icon are changed as shown in (B) of FIG.
  • Reference numeral 205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icon 1013 .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displayed pointer 205 by fixing the position. can do.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con is fix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display 180 . .
  • FIG. 2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n icon and a pointer positioned on the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osition of the icon may change according to the drawing of the display 180 .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icon with a fixed position as shown in (B) of FIG. 22 .
  • the position or size of the content 100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ixed icon position.
  • the display apparatus 100 with which the selection is easy may be provided.
  • the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allowing the user to grasp the contents of the content 1001 can be provided. have.
  •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content 1001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ontents of the content 1001 even when only a part of the content 1001 is displayed while the display 180 is being drawn out. can be adjusted.
  •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a main portion of the content 1001 while the display 180 is being drawn out.
  • the main part of the content 1001 may mean a partial area of the content 1001 when the content of the content 1001 is immediately graspable only in a partial area even if the entire content 1001 is not displayed.
  • the main part of the content 100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tent 1001 .
  • a main part may be a subtitle
  • the main part may be an actor's face.
  •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main part of the displayed content 1001 , and control the display 180 so that the main part is displayed first in the part from which the display 180 is drawn out.
  • FIG. 2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apparatus to adjust a cont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subtitle of the content 1001 as a main part.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sequentially display the subtitles of the content 1001 in the fetched area.
  • the controller 170 displays other parts other than the subtitles of the content 1001 to be addition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wing length of the additionally drawn display 180 . (18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entire content 1001 . can be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서의 디스플레이가 최대로 인출되지 않아도 컨텐트의 내용을 파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되며, 디스플레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하는 롤러, 롤러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장치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트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장치로 진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에 말려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변형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은 플레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롤러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려 디스플레이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외부로 인출되어 컨텐트가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만 인출되어 일부 영역에서만 컨텐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인출될 때 까지는 소정 시간이 소요되며, 디스플레이 영역 일부만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컨텐트의 일부만 표시되기 때문에 시청자가 컨텐트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컨텐트 전체를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가 표시되고 남는 영역을 활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 사용자의 영상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수용되며 디스플레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하는 롤러,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에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텐트의 영상 비율을 유지하면서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의 영상 크기가 증가하면서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의 영상 비율이 유지되면서, 컨텐트의 영상 크기가 증가하도록 컨텐트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텐트의 영상 비율을 유지하며, 컨텐트의 영상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에 따른 최대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에 메뉴가 더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컨텐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메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컨텐트 대신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변경하거나, 메뉴 대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뉴에서 특정 외부 기기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을 컨텐트 대신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이고,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프로그램 아이콘 및 외부기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의 인출을 정지하도록 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인출되도록 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최대 길이로 인출하기 전에 디스플레이의 인출을 정지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은 디스플레이를 최대 길이로 인출 여부를 선택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가 최대 길이로 인출되도록 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를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기설정된 제1 길이 이하이면 컨텐트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를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제1 길이 초과이며, 제1 길이 보다 긴 제2 길이 이하이면 컨텐트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를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제2 길이 초과이며, 제2 길이 보다 긴 제3 길이 이하이면 컨텐트를 전체 화면 형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텐트를 리스트 또는 썸네일로 표시할 때 사용자 선호 정보를 우선순위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포인터가 어느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늘어날 때 포인터의 위치를 아이콘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최대로 인출되지 않아도 컨텐트의 내용을 파악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에도 시청자가 컨텐트의 내용 전체를 파악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에 컨텐트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활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트 시청 방해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동안 시청자가 컨텐트에 집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가 제로뷰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파셜뷰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풀뷰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의 전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의 전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와 메뉴를 함께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메뉴를 더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에 따라 하위 메뉴 표시를 다르게 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8은 컨텐트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가 채널 변경 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9는 컨텐트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가 외부기기 영상으로 변경하는 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대 길이로 인출되기 전에 정지한 경우, 최대 인출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콘 및 아이콘 상에 위치한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콘 및 아이콘 상에 위치한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의 표시 방식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TV, 스마트 TV, 네트워크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지털 사이니지,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란, 디스플레이가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통신부(173),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장치와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테퍼이스부(135)는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하우징(183, 도 7 참고)으로 인입되어 롤러(184, 도 7 참고)에 감기거나, 하우징(183, 도 7 참고)에서 인출되어 롤러(184, 도 7 참고)로부터 풀리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18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83)과, 하우징(183)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디스플레이(180), 디스플레이(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하는 롤러(184)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84)는 하우징(183)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184)는 회전 가능한 가이드 바일 수 있다.
롤러(184)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84)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80)는 하우징(183)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롤러(184)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80)는 롤러(184)의 주변에 감기면서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는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하우징의 배치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롤러(184)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183)으로 인입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86)는 하우징(183)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된 디스플레이(180)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컨텐트의 표시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가 제로뷰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7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파셜뷰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풀뷰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예를 들어 '제로뷰 모드', '파셜뷰 모드' 및 '풀뷰 모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용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제로뷰 모드(zero view mode)는, 디스플레이(180) 전체가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제로뷰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80)의 모든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로뷰 모드일 때 오프될 수 있다.
파셜뷰 모드(partial view mode)는, 디스플레이(180) 중 일부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메뉴(menu) 모드, 무드(mood) 모드, 뮤직(music) 모드, 프레임(frame) 모드 또는 시계 모드 등으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파셜뷰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서만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파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에 인입된 영역에서는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풀뷰 모드(full view mode)는,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풀뷰 모드는 하우징(183)으로부터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최대인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풀뷰 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이 때 일반 모드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의 입력 영상 등을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풀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180) 중 출력이 가능한 모드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83)과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83)이 바닥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측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영역에 컨텐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추가 인출되면, 인출 영역 모두에서 컨텐트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길이(L)는 가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83)과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며, 하우징(183)이 벽 등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될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83)이 천장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트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일 때 디스플레이(180)가 제로뷰 모드로 제어되고, 전원 온으로 변경될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파셜뷰 모드 또는 풀뷰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에 전부 인입되어 있다가, 전원 온 명령에 따라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을 시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전부 인출될 때까지 컨텐트 중 일부가 잘려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컨텐트 전체를 시청하기 위해 소정 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가 표시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80) 전체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가 전부 표시되지 않아 시청자가 컨텐트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가 최대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컨텐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0).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은 하우징(183)으로부터 디스플레이(180)를 인출시키는 명령 혹은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전원 온 명령, 제로뷰 모드에서 파셜뷰 모드로의 진입 명령, 파셜뷰 모드에서 풀뷰 모드로의 진입 명령 등 디스플레이(180)의 추가 인출이 필요한 명령을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에 컨텐트(1001, 도 10 참고)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S20).
컨텐트(1001, 도 10 참고)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텐트(1001)는 제어부(170)가 방송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방송 영상일 수 있고, 제어부(170)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일 수도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일 수도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컨텐트(1001)는 그림, 사진, 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 전체가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컨텐트(1001)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이 유지되면서, 컨텐트(1001)의 영상 크기가 증가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영상 비율이 유지된다는 것은 영상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고, 영상 크기가 증가한다는 것은 인출된 디스플레이(180) 영역의 증가에 따라 영상의 크기도 함께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영상의 크기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된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지만,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컨텐트(1001)의 전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의 전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의 (A)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일부가 L1만큼 인출되었을 때, 컨텐트(1001)의 전체를 크기를 줄여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L2만큼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이 유지되면서 영상 크기가 점차 증가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L1 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표시된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은 디스플레이(180)가 L2 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표시된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과 동일하고, 디스플레이(180)가 L1 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표시된 컨텐트(1001)의 영상 크기는 디스플레이(180)가 L2 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표시된 컨텐트(1001)의 영상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10의 (C)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L3만큼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이 유지되며 영상 크기는 도 10의 (B)와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남은 영역에 메뉴(1010, 도 22 참고)를 더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의 예시와 달리,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과 관계없이 컨텐트(1001) 전체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컨텐트(1001)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컨텐트(1001)를 표시하는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1001)의 전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의 전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의 크기를 증가시킬 때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에 기초하여 컨텐트(100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L1에서 L2만큼 증가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을 유지하면서, 컨텐트(1001)의 영상 크기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에 따른 최대 크기로 증가하면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C)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L3만큼 증가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영상 크기도 L3에 따른 최대 크기로 증가하면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영상을 영상 비율을 유지하면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 인출 길이에 따라 컨텐트(1001)를 표시하는 방법 또는 형태를 달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출 길이에 따라 컨텐트(1001)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컨텐트(1001)를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L1)가 기설정된 제1 길이 이하이면, 컨텐트(1001)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를 문자 정보로 변환할 수 있고, 문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자체적으로 컨텐트(1001)를 문자 정보로 변환하여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고,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L)가 증가함에 따라 리스트 내 항목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1001)로 표시되는 리스트의 항목이 도 12 (A)와 같이 2개가 표시되다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에 따라 리스트의 항목이 3개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L2)가 기설정된 제1 길이 초과이며 제1 길이 보다 긴 제2 길이 이하이면, 컨텐트(1001)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B)과 같이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L3)가 기설정된 제2 길이 초과이며 제2 길이 보다 긴 제3 길이 이하이면, 컨텐트(1001)를 전체 화면 형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C)와 같이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트(1001)를 전체 화면 형태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체 화면 형태는 컨텐트(1001)의 기본 표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를 리스트 또는 썸네일 형태로 표시할 때, 사용자 선호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와 같이 제어부(170)가 컨텐트(1001)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때, 사용자 선호 정보를 먼저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80) 인출에 따라서 후 순위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목표 길이로 인출될 때까지 컨텐트(1001)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컨텐트(1001)의 크기 및 영상 비율, 표시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목표 길이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에 메뉴(101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와 메뉴(101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메뉴(1010)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아이콘 또는 아이콘의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101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 프로그램 아이콘(1012), 외부기기 아이콘(1013) 등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할 정보를 선택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뉴(1010)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이나 날씨 어플리케이션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에 메뉴(1010)를 더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와 메뉴를 함께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0).
제어부(170)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에 컨텐트(1001)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S20).
단계 S10 및 단계 S20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에 메뉴(1010)를 더 표시할 수 있다(S22).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를 제외한 영역에 메뉴(1010)가 표시되거나, 컨텐트(1001) 위에 메뉴(1010)가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메뉴(1010)를 더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메뉴를 더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L1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80) 제1 크기의 컨텐트(1001)와 함께 메뉴(1010)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고,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L2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제2 크기의 컨텐트(1001)와 함께 메뉴(1010)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고,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L3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제3 크기의 컨텐트(1001)와 함께 메뉴(1010)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크기는 제2 크기 보다 작고, 제2 크기는 제3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크기의 세로 길이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인 L1과 동일하거나 L1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고, 제2 크기의 세로 길이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인 L2와 동일하거나 L2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고, 제3 크기의 세로 길이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인 L3와 동일하거나 L3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을 수 있다.
도 14의 (A)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인출된 디스플레이(180) 중 제1 크기의 컨텐트(1001)를 제외한 영역에 메뉴(1010)를 표시하고, 도 14의 (B)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인출된 디스플레이(180) 중 제2 크기의 컨텐트(1001)를 제외한 영역에 메뉴(1010)를 표시하고, 도 14의 (C)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인출된 디스플레이(180) 중 제3 크기의 컨텐트(1001)를 제외한 영역에 메뉴(1010)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메뉴(1010)의 표시 위치, 정렬 방식, 아이콘의 갯수 또는 크기 등이 달라지며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컨텐트(1001)의 크기 증가와 함께 컨텐트(1001)를 제외한 영역에 메뉴(1010)의 표시 형태를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트(1001)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남는 영역에 메뉴(1010)를 표시할 경우, 컨텐트(1001)의 영상 비율을 유지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3으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메뉴(1010)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4).
메뉴(1010)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 프로그램 아이콘(1012), 외부기기 아이콘(1013) 등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할 정보를 선택하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메뉴(1010)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S24), 제어부(170)는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1020) 또는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S26).
이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는 아이콘 선택 신호라고 한다.
아이콘 선택 신호는 선택된 아이콘의 종류에 따라 하위 메뉴(10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신호이거나,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먼저, 아이콘 선택 신호가 하위 메뉴(10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하위 메뉴(1020)란, 아이콘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추가 입력 신호가 필요한 경우, 추가 입력 신호를 받기 위한 아이콘의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의 하위 메뉴(1020)는 동영상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1) 및 TV 다시 보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2)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도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는 채널 정보 아이콘(1023) 또는 채널 목록 아이콘(1024) 등과 같이 프로그램 정보 및 추가적으로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아이콘의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기기 아이콘(1013)의 하위 메뉴(1020)는 HDMI 아이콘(1025), 스마트폰 아이콘(1026)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기기 아이콘의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하위 메뉴(1020)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아이콘의 종류에 따라 하위 메뉴는 다양할 수 있다.
아이콘 선택 신호가 하위 메뉴(10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되고 있는 메뉴(1010) 대신 하위 메뉴(1020)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S26).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되고 있는 메뉴(1010)를 그대로 표시하면서, 선택된 아이콘의 하위 메뉴(1020)를 같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아이콘 선택 신호가 하위 메뉴(1020)를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인 경우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의 (A)와 같이 제어부(170)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의 하위 메뉴(1020)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의 하위 메뉴(1020)가 존재하는 경우, 도 15의 (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의 하위 메뉴(1020)인 동영상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1) 및 TV 다시 보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2)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표시되고 있던 메뉴(1010) 중 프로그램 아이콘(1012)과 외부기기 아이콘(1013)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의 하위 메뉴(1020)인 동영상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1) 및 TV 다시 보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2)은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1)의 하위 메뉴(1020)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도 16의 (A)와 같이 제어부(170)가 프로그램 아이콘(1012)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아이콘의 하위 메뉴(1020)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가 존재하는 경우, 도 16의 (B)와 같이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인 채널 목록 아이콘(1024)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아이콘의 하위 메뉴(1020)를 표시할 때, 도 15의 예시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아이콘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도 16의 예시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하위 메뉴(1020) 표시 방법은 아이콘 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위메뉴(1020)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에 따라 하위 메뉴(1020) 표시를 다르게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에 따라 하위 메뉴 표시를 다르게 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7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L1이고, 만약 L1이 기설정된 길이 이하이면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는 채널 정보 아이콘(1023)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하인 상태에서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로 채널 정보 아이콘(1023)을 표시할 수 있다. 채널 정보 아이콘(1023)이란,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의 채널 정보, 방송사 정보, 방송 프로그램 명칭, 방송 시간 등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L2이고, 만약 L2가 기설정된 길이 초과이면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는 채널 목록 아이콘(1024)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초과인 상태에서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그램 아이콘(1012)의 하위 메뉴(1020)로 채널 목록 아이콘(1024)을 표시할 수 있다. 채널 목록 아이콘(1024)이란, 현재 방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및 다른 채널의 목록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하위 메뉴(1020)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 마다 다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출 길이가 길수록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위 메뉴(10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이콘 선택 신호가 컨텐트(1001)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인 경우를 설명한다.
다시 도 13으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아이콘 선택 신호가 컨텐트(1001)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S26).
컨텐트(1010)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란,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가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가 채널 목록 아이콘(1024)의 다른 채널 선택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의 채널 변경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 대신에 선택된 채널의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가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가 동영상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21) 선택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를 동영상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는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 대신에 선택된 동영상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컨텐트(1001)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컨텐트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가 채널 변경 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8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가 채널 ”AAA”에서 송출되고 있는 컨텐트(1001)인 경우, 제어부(170)가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가 채널 목록 아이콘(1024)중 다른 채널인 “BBB” 채널의 선택 신호이면,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의 채널 변경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도 18의 (B)와 같이 제어부(170)는 표시되고 있던 도 18 (A)의 컨텐트(1001) 대신에 선택된 채널인 “BBB”의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 인출 길이에 따라서 채널 정보 아이콘(1023)이 도 17의 (A)와 같이 표시된 경우에도,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키의 입력 신호를 통하여 콘텐트(1001)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9는 컨텐트를 변경하는 입력 신호가 외부기기 영상으로 변경하는 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외부기기 영상이란,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기기에서 입력되는 영상이거나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기기의 미러링 영상이거나,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기기에 저장된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일 수 있다.
도 19의 (A)와 같이, 제어부(170)가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가 HDMI 아이콘(1025) 선택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를 HDMI에 연결된 외부기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는 입력 신호로 인식하고,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 대신에 HDMI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B)와 같이, 제어부(170)가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스마트폰 아이콘(1026) 선택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스마트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는 입력 신호로 인식하고,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 대신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스마트폰의 미러링 영상인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C)와 같이, 제어부(170)가 수신한 아이콘 선택 신호가 USB 아이콘(1027) 선택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현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컨텐트(1001)를 USB 포트에 연결된 외부기기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트(1001)로 변경하는 입력 신호로 인식하고,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 대신에 USB 포트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컨텐트(1001)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아이콘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컨텐트(1001)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메뉴(1010) 또는 하위 메뉴(1020) 및 컨텐트(1001)의 크기, 위치 및 배치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시 도 13으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인출 정지 명령을 수신하면(S30), 디스플레이(180)의 인출을 정지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S40).
이때, 디스플레이(180) 인출 정지 명령은 아이콘 선택 신호,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인출 정지 명령,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에 따른 정지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아이콘 선택 신호를 디스플레이(180) 인출 정지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를 바로 정지하거나, 기설정된 길이까지 인출한 후에 정지하도록 롤러(184)를 제어할 수 있다. 기설정된 길이는 디스플레이(180) 최대 인출 길이의 80%인 길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최대 길이로 인출되기 전에 디스플레이(180)의 인출을 정지한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대 길이로 인출되기 전에 정지한 경우, 최대 인출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 길이에 도달하기 전에 인출이 정지된 경우, 도 20의 (A)와 같이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은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 길이에 도달하기 전에 인출을 정지했음을 알리는 화면일 수 있다.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은 전체화면 아이콘(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화면 아이콘(1014)은 메뉴(1010)를 제외하고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만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전체화면 아이콘(1014)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1001)만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하면서 디스플레이(180)를 최대 길이로 인출 여부를 선택하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가 전체화면 아이콘(1014)의 선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 명령을 수신한 경우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 길이에 도달하기 전에 기설정된 길이에서 인출이 정지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최대 인출 명령을 수신한 경우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 인출길이가 최대 인출 길이의 80%에 도달하여 인출이 정지된 경우,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80)가 최대 인출 길이로 인출하도록 롤러(184)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최대 인출 명령을 수신하면, 도 20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최대 인출 길이로 인출하며 디스플레이(180)에 컨텐트(1001)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L2는 최대 인출 길이의 80%에 해당하는 길이일 수 있고, L4는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 길이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메뉴 중에서 아이콘의 위치 또는 배치가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려고 할 때, 아이콘의 위치 또는 배치 변화에 의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어느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포인터(205)의 위치를 아이콘 위에 고정되도록 표시하거나,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아이콘을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포인터(205)의 위치를 고정시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콘 및 아이콘 상에 위치한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1의 (A)같이, 포인터(205)가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인출길이가 L1에서 L2로 증가함에 따라 아이콘의 위치 및 배치가 도 21의 (B)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포인터(205)의 위치를 아이콘 상에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콘을 인식하고, 인식된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포인터(205)는 인식된 아이콘 상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 21의 (A)와 같이 외부기기 아이콘(1013)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면, 도 21의 (B)와 같이 아이콘의 위치 및 배치가 변하더라도 포인터(205)는 외부기기 아이콘(1013) 상에 위치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도 21의 (C)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인출에 따라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제어부(170)는 표시된 포인터(205)의 위치를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인출에 따라 아이콘의 위치가 고정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포인터(205)가 위치한 아이콘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콘 및 아이콘 상에 위치한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22의 (A)같이, 포인터(205)가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인출에 따라 아이콘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도 22의 (B)에서 표시된 것 같이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이 고정될 경우, 고정된 아이콘 위치에 따라 컨텐트(1001)의 위치 또는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려고 할 때, 선택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일부만 표시하더라도, 컨텐트(1001)의 내용을 사용자가 파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일부만 표시하더라도, 컨텐트(1001)의 내용을 사용자가 파악 가능하도록, 컨텐트(1001)의 표시 방식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되는 동안 컨텐트(1001)의 주요 부분부터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트(1001)의 주요 부분이란, 컨텐트(1001)가 전부 표시되지 않더라도, 일부 영역만으로 컨텐트(1001)의 내용이 곧바로 파악 가능한 경우, 그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텐트(1001)의 주요 부분은 컨텐트(1001)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1001)가 뉴스 영상인 경우 주요 부분은 자막이고, 컨텐트(1001)가 드라마인 경우 주요 부분은 배우 얼굴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하고 있는 컨텐트(1001)의 주요 부분을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된 일부에 주요 부분이 먼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컨텐트(1001)의 표시 방식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트의 표시 방식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는 컨텐트(1001)가 뉴스 영상인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의 자막을 주요 부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23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L1만큼 인출된 경우, 제어부(170)는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1001)의 자막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L2만큼 추가적으로 인출되면, 제어부(170)는 추가 인출된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에 맞게 컨텐트(1001)의 자막 외에 다른 부분들이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L3만큼 인출된 경우, L3가 디스플레이(180)의 최대 인출 길이라면, 제어부(170)는 컨텐트(1001)의 전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디스플레이(180)가 전부 인출되지 않아도 컨텐트(1001)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 예와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하우징;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하는 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에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의 영상 비율을 유지하면서 상기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컨텐트의 영상 크기가 증가하면서 상기 컨텐트의 전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컨텐트의 영상 비율이 유지되면서, 상기 컨텐트의 영상 크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컨텐트의 전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의 영상 비율을 유지하며, 상기 컨텐트의 영상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에 따른 최대 크기로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에 메뉴가 더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상기 컨텐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메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트 대신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변경하거나, 상기 메뉴 대신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에서 특정 외부 기기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컨텐트 대신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방송 영상이고,
    상기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프로그램 아이콘 및 외부기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을 정지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최대 길이로 인출하기 전에 디스플레이의 인출을 정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정지를 나타내는 화면은 디스플레이를 최대 길이로 인출 여부를 선택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최대 길이로 인출되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컨텐트를 표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기설정된 제1 길이 이하이면 상기 컨텐트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컨텐트를 표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상기 제1 길이 초과이며, 상기 제1 길이 보다 긴 제2 길이 이하이면 상기 컨텐트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컨텐트를 표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상기 제2 길이 초과이며, 상기 제2 길이 보다 긴 제3 길이 이하이면 상기 컨텐트를 전체 화면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리스트 또는 썸네일로 표시할 때 사용자 선호 정보를 우선순위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인터가 어느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출 길이가 늘어날 때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콘 상에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9/018440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27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8440 WO2021132757A1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US17/786,964 US11978374B2 (en) 2019-12-26 2019-12-26 Display apparatus
KR1020227016448A KR20220086616A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EP19957361.9A EP4083765A4 (en) 2019-12-26 2019-12-2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8440 WO2021132757A1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757A1 true WO2021132757A1 (ko) 2021-07-01

Family

ID=7657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8440 WO2021132757A1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78374B2 (ko)
EP (1) EP4083765A4 (ko)
KR (1) KR20220086616A (ko)
WO (1) WO20211327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3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WO2023106463A1 (ko) * 2021-12-10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36456A1 (ko) * 2022-01-12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6954768A (zh) * 2022-04-12 2023-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窗口尺寸的方法和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US11907516B2 (en) * 2022-04-1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se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 in size of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702A (ja) * 2004-05-11 2005-11-17 Denso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
KR20150095538A (ko) * 2014-02-13 2015-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50533A (ko) * 2015-06-22 2016-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140504A1 (en) * 2015-11-18 2017-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a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28261A (ko) * 2017-05-23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7771A (en) * 1991-07-10 1993-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ly changing window size on a display
US5452150A (en) * 1994-06-27 1995-09-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ata cartridge with magnetic tape markers
US6012112A (en) * 1997-09-30 2000-01-0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DVD assembly,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a convergent device
US9043720B2 (en) * 2011-10-11 201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st selection mouse pointer location
KR102070244B1 (ko) * 2012-08-0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69625B1 (ko) *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0060B1 (ko) *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196624A1 (en) * 2016-05-08 2017-11-16 Modernfol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vable panel wall system
US20180137840A1 (en) * 2016-11-17 2018-05-17 Fuji Xerox Co., Ltd. Termina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420877B1 (ko) * 2017-08-25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WO2021117953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702A (ja) * 2004-05-11 2005-11-17 Denso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
KR20150095538A (ko) * 2014-02-13 2015-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50533A (ko) * 2015-06-22 2016-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140504A1 (en) * 2015-11-18 2017-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a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28261A (ko) * 2017-05-23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83765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3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WO2023106463A1 (ko) * 2021-12-10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36456A1 (ko) * 2022-01-12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616A (ko) 2022-06-23
US11978374B2 (en) 2024-05-07
US20230040472A1 (en) 2023-02-09
EP4083765A4 (en) 2023-09-27
EP4083765A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275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03007A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WO20140424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14017759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WO201821686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111795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39634A1 (ko) 영상표시장치
WO20171112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canning channels in electronic device
WO2017111321A1 (ko) 영상표시장치
WO201715994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9182323A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620452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71464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operating channel of the same
WO202107099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2604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6059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공 지능 시스템
WO201611148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WO2013062213A1 (en) Media card, media apparatus, content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1070976A1 (ko) 소스 기기 및 무선 시스템
WO201611148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WO202114116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733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7124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11795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1051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573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016448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573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