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2571A1 - 칫솔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칫솔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2571A1
WO2021112571A1 PCT/KR2020/017500 KR2020017500W WO2021112571A1 WO 2021112571 A1 WO2021112571 A1 WO 2021112571A1 KR 2020017500 W KR2020017500 W KR 2020017500W WO 2021112571 A1 WO2021112571 A1 WO 20211125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nit
irradiation
main bod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5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텐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2426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21112571(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텐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텐핑
Publication of WO20211125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25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that is portable and can more hygienically manage a toothbrush.
  •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re propagated by moisture and nutrients remaining on the toothbrush after use, and the use of a toothbrush contaminated by these microorganisms increases the risk of 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that can more easily manage a toothbrush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o enable por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that allows moisture and residues remaining on the bristles to be more easily discharged, and irradiates ultraviolet rays at regular intervals to manage the toothbrush more hygienically and efficiently. have.
  •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in body portion forming a second spac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sterilizing a first space and a toothbrush sterilizing a portion of the toothbrush is accommodated therein; a side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at a lower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ide body portion at an upper portion; and a driving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wherein the bottom par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part, or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 the moisture and residue remaining on the bristles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an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toothbrush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and efficient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form of the toothbrush mounted o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has strong sterilization power, and prevents the growth of bacteria by moisture and organic matter remaining on the toothbrush after use, as well as removes deformed bacteria.
  • the bristles are configured to face downward so that the residue remaining on the bristles can be discharged more easily, an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according to a preset cycle to prevent bacterial growth. to make it more hygienic.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mounted on a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shape of the toothbrush.
  •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 a side body 130 , a bottom 150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 the main body 110 forms a first sp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toothbrush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a driving unit for sterilizing the toothbrush is provided.
  • a separation member 170 for separ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10 .
  • the side body part 13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
  •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body 130 is formed with a penetrating part 131 through which a part of the toothbrush rest passes, and a mounting member 137 for allowing a part of the toothbrush rest to be fixed and mounted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thereof. can At this time, the toothbrush is mounted so that the bristles portion (A) is facing downward, the bristles 10 are mounted so as to face the second space.
  • a tray portion 190 configured to receive moisture or residue falling from the toothbrush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body portion 130 . That is, moisture or residue falling from the toothbrush mounted so that the bristle portion (A) faces downward is accommodated in the tray portion 190 .
  • the tray unit 19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 user can separate it and wash it.
  • the side body portion 130 is further formed with an outlet so that moisture or residue falling from the toothbrush can be discharged.
  • a prevention member 133 to be coupled to the outlet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discharge.
  • the prevention member 133 is provided to seal the outlet of the side body part 130, and only when the user wants to discharge moisture or residue falling from the toothbrush, the prevention member 133 is removed to prevent discharge. can make it
  • the bottom 150 forms a bottom surface at the bottom, and at this time, an anti-slip member for preventing slippage and/or a fixing member for fixing without falling dow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 the upp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the side body portion (130).
  • the bottom part 15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member 151 that allows the separation member 170 and the tray part 190 to be more firmly coupled.
  •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of the main body 1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cycle when the toothbrush is mounted.
  • the bottom portion 15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portion 110 as shown in FIG. 1 ,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110 ,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configuration thereof.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0 is not shown in order to more clearly show the internal configuration.
  • the in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by a separating member 170 .
  • the protrusions 135 are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body portion 130 .
  • the protrusion 135 is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part 110 so that the side body part 130 is rotatable from the main body part 110 .
  • the side body par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a motor.
  • FIG. 5 is a view showing a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tray portion 190 to be detachable.
  • the tray portion 19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9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so that moisture or residue falling from the toothbrush mounted so that the bristles portion (A) faces downward can be accommodated.
  • a discharge port 19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unit 190 so that the moisture or residu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can be discharged.
  •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tray por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93 has a lower inclination toward the outlet 191 so that the moisture or residu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93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is formed to have As a result, the moisture or residu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93 is drawn toward the outlet 191 alo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discharge is facilitated.
  • the discharge port 191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prevention member 133 for preventing the moisture or residue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193 from being discharged. Accordingly,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discharge the moisture or residu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93 by detaching the preventing member 133 as necessary.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switch unit 201 , an irradiation unit 203 , a timer unit 205 , and a control unit 207 .
  • the switch unit 20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100, and the user presses or touches the switch unit 201 to input an instruction for an operation mode.
  • the switch unit 201 may include a switch indicating the driving mode and the sleep mode, respectively, or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driving mode and the sleep mode through one switch. In the latter case, for example, after the user touches the switch once to operate in the driving mode, the user may touch the switch once more to operate in the sleep mode. That is, whenever the switch is pressed, the driving mode and the sleep mode may be alternately changed.
  • an on/off type switch may be provided to operate in a driving mode when the switch is set to on, and to enter a sleep mode as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is set to off.
  • the irradiation unit 203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mounted toothbrush through an ultraviolet lamp.
  • the timer unit 205 counts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number of irradiation times.
  • control unit 207 controls the operation to operate in the driving mode or the sleep mode.
  • the control unit 207 controls to irradiate the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by driving the timer, and controls to stop the driving of the irradiation unit 203 and the timer unit 205 in the sleep mode. That is, the control unit 207 operates in the driving mode or the sleep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instruction input through the switch unit 201 .
  • control unit 207 controls to reset the irradiation time and number of irradiation whenever an operation instruction to the driving mode is inputted through the switch unit 201 , thereby counting the number of irradiation anew.
  •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maximum number of irradiation may be preset. For example, when it is se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for 1 minute and 30 seconds every 3 hours in the driving mode, the controller 207 controls the irradiation unit 203 according to the set value. ) is controlled to irradiate UV rays for 1 minute and 30 seconds every 3 hours.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number of irradiation is set to 24, the control unit 207 controls the operation to terminate the driving mode and operate in the sleep mode when the number of irradiation exceeds 24 according to the set value.
  • Figure 7 only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and without receiving an operation instruction through the switch unit 201, the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mounting or detachment of the toothbrush provided with a sensor unit.
  • This periodic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is intended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by remaining bacteria after sterilization when the toothbrush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toothbrush is mounted.
  • the toothbrush is continuously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fter being mounted,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toothbrush sterilizer because pow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so that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based on a preset cycle.
  • the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used by having a power supply unit, but also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n the mounted state. Power may also be supplied.
  •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arry and to enable hygien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toothbru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칫솔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바디부;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바디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텀부; 및 칫솔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부는 상기 메인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칫솔 살균 장치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계에서 발표한 자료를 인용하자면, 구강 내에는 약 28종의 20,000여 마리의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있으며, 이들 세균은 사용한 칫솔모를 통하여 구강내로 옮겨져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성 미생물은 사용 후의 칫솔에 잔류된 수분 및 영양물질에 의해 번식하게 되며,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칫솔을 사용하게 되면 치주염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간염,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워 칫솔의 사용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칫솔을 자연건조 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 후의 칫솔을 살균하도록 하는 장치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칫솔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장치들은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거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그 구성에 의해 살균력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칫솔을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칫솔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모에 남아있던 수분과 잔여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을 일정 주기에 따라 조사하도록 하여 칫솔을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는, 내부에 칫솔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바디부;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바디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텀부; 및 칫솔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부는 상기 메인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칫솔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모에 남아있던 수분과 잔여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을 일정 주기에 따라 조사하도록 하여 칫솔을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거치되는 칫솔의 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서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세균은 증식하기 좋은 환경에서는 한마리의 세균만 있어도 3~5시간 후에 백만마리로 번식을 하는 특성을 갖는다. 기존 칫솔 살균 장치들은 살균 이후에 무균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살균 이후 증식하는 세균에 대해서는 살균 능력이 없어 살균력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살균력이 강한 칫솔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 사용 후의 칫솔에 잔류하는 수분과 유기물에 의해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기형성된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칫솔을 거치할 시에 칫솔모 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구성하여 칫솔모에 남아있던 잔여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을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조사하도록 하여 세균 증식을 방지함으로써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거치되는 칫솔의 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는 메인 바디부(110), 사이드 바디부(130), 바텀부(150)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부(110)는 내부에 칫솔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한다. 이떄, 메인 바디부(110) 내에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바디부(130)는 메인 바디부(11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사이드 바디부(130)이 상단부 일부에는 칫솔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부(131)가 형성되며, 그 내부의 벽면에는 칫솔대의 일부가 고정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재(1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칫솔은 칫솔모 부분(A)이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되되, 칫솔모(10)가 제2 공간을 바라보도록 거치된다.
한편, 사이드 바디부(130) 내부의 하단에는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부(19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칫솔모 부분(A)이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된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이 이 트레이부(190)에 수용되는 것이다. 이 트레이부(190)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바디부(130)에는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를 더 형성하는데, 이때 배출구에 결합되도록 방지부재(133)를 더 구비하여 배출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방지부재(133)는 사이드 바디부(130)의 배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가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방지부재(133)를 제거하여 배출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바텀부(150)는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바닥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 및/또는 쓰러짐 없이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에는 메인 바디부(110) 및 사이드 바디부(1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 바텀부(150)에는 분리부재(170) 및 트레이부(190)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1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메인 바디부(110)의 제2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칫솔이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한다.
한편, 바텀부(1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부(11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메인 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내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메인 바디부(110)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의 내부는 분리부재(170)에 의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이 분리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바디부(130)에서 하단의 양측에는 대응하도록 돌기(135)를 형성한다. 이 돌기(135)는 메인 바디부(11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사이드 바디부(130)가 메인 바디부(110)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사이드 바디부(130)를 회동시킨 후, 칫솔모 부분(A)이 칫솔 살균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칫솔대의 일부를 거치부재(137)에 인입하고, 그 상태에서 사이드 바디부(130)를 메인 바디부(110) 쪽으로 다시 회동시킴에 따라 칫솔을 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사이드 바디부(130)가 모터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의 내부에는 트레이부(190)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트레이부(190)에는 칫솔모 부분(A)이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된 칫솔에서 떨어지는 수분 또는 잔여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는 수용부(193)가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부(190)의 일측면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수분 또는 잔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지름을 갖는 배출구(191)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트레이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레이부(190)는 수용부(193)에 수용된 수분 또는 잔여물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91)를 향할수록 수용부(193)의 바닥면이 보다 낮은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수용부(193)에 수용된 수분 또는 잔여물이 바닥면을 타고 배출구(191) 쪽으로 쏠리게 됨에 따라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배출구(191)에는 수용부(193)에 수용된 수분 또는 잔여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지부재(133)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이 방지부재(133)를 탈착시켜 수용부(193)에 수용된 수분 또는 잔여물에 대한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서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스위치부(201), 조사부(203), 타이머부(205) 및 제어부(207)를 포함한다.
스위치부(201)는 칫솔 살균 장치(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이 스위치부(201)를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하여 동작모드에 대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201)는 구동모드 및 휴면모드를 지시하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동모드 및 휴면모드를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한번 터치하여 구동모드로 동작하게 된 이후, 한번 더 스위치를 터치함에 따라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구동모드 및 휴면모드로 교번적으로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온/오프 형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구동모드로 동작하고, 스위치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원이 꺼짐에 따라 휴면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조사부(203)는 자외선 램프를 통해 거치된 칫솔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타이머부(205)는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카운트한다.
제어부(207)는 스위치부(201)를 통해 동작 지시가 입력되면 구동모드 또는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7)는 구동모드에서는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휴면모드에서는 조사부(203) 및 타이머부(205)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7)는 스위치부(201)를 통한 동작 지시 입력에 따라 구동모드 또는 휴면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제어부(207)는 스위치부(201)를 통해 구동모드로의 동작 지시가 입력될 때 마다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리셋(reset)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조사 횟수를 새로이 카운트한다.
이때, 조사 시간 및 최대 조사 횟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동모드에서 3시간 마다 1분 30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그 설정값에 따라 조사부(203)가 3시간 마다 1분 30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최대 조사 횟수가 24회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그 설정값에 따라 조사 횟수가 24회를 초과하면 구동모드를 종료하고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7은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스위치부(201)를 통해 동작 지시를 입력 받지 않고도, 센서부를 구비하여 칫솔의 거치 또는 이탈을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자외선을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칫솔이 거치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일회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그 살균 후 남아있던 세균에 의해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칫솔이 거치된 후에 계속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칫솔 살균 장치를 휴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기반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원부에 대해 별도로 기재하거나 설명하지 않았을 뿐,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는 전원부를 구비함으로써 충전하여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거치된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칫솔에 대한 위생적이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칫솔 살균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칫솔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바디부;
    하부에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바디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텀부; 및
    칫솔 거치 시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부는 상기 메인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디부는,
    상단부에 칫솔대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내부 벽면에 칫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재가 형성되며,
    칫솔 거치 시에 칫솔모 부분이 하부를 향하되, 칫솔모가 제2 공간을 바라보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디부는,
    하단의 양측에 대응하도록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메인 바디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디부는,
    하단부에 칫솔에서 탈락하는 수분 또는 잔여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수용된 수분 또는 잔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를 형성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부는,
    상기 바닥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 및/또는 쓰러짐 없이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동작 지시를 입력 받는 스위치부;
    자외선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카운트하는 타이머부; 및
    칫솔이 거치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구동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칫솔이 이탈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드에서는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휴면모드에서는 상기 조사부 및 상기 타이머부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구동모드로의 동작 지시가 입력될 때 마다 상기 조사 시간 및 조사 횟수를 리셋(reset)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대 조사 횟수가 설정된 경우,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카운트된 조사 횟수가 설정된 최대 조사 횟수를 초과하면 휴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장치.
PCT/KR2020/017500 2019-12-03 2020-12-02 칫솔 살균 장치 WO202111257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51 2019-12-03
KR1020190158951A KR102146380B1 (ko) 2019-12-03 2019-12-03 칫솔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571A1 true WO2021112571A1 (ko) 2021-06-10

Family

ID=7224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500 WO2021112571A1 (ko) 2019-12-03 2020-12-02 칫솔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6380B1 (ko)
WO (1) WO20211125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8915A (zh) * 2022-12-02 2023-04-25 雅香丽化妆用品(深圳)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380B1 (ko) * 2019-12-03 2020-08-20 주식회사 텐핑 칫솔 살균 장치
KR102214712B1 (ko) * 2020-08-18 2021-02-10 주식회사 텐핑 칫솔 살균 장치
KR102577553B1 (ko) * 2020-11-19 2023-09-13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살균 및 건조기능이 구비된 칫솔살균기
KR102559236B1 (ko) 2022-11-28 2023-07-24 정철균 칫솔 살균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36U (ja) * 1994-03-24 1994-09-20 化成工業株式会社 歯ブラシ用殺菌装置
KR20090002229U (ko) * 2007-08-31 2009-03-04 육심언 자외선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칫솔 케이스
KR20120026235A (ko) * 2010-09-09 2012-03-19 김영길 근접센서를 이용한 자동도어개폐 장치를 구비한 칫솔 살균기
KR101543550B1 (ko) * 2014-04-25 2015-08-12 이현정 칫솔용 커버
KR20190080003A (ko) * 2017-12-28 2019-07-08 (주)에스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칫솔 살균기
KR102146380B1 (ko) * 2019-12-03 2020-08-20 주식회사 텐핑 칫솔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36U (ja) * 1994-03-24 1994-09-20 化成工業株式会社 歯ブラシ用殺菌装置
KR20090002229U (ko) * 2007-08-31 2009-03-04 육심언 자외선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칫솔 케이스
KR20120026235A (ko) * 2010-09-09 2012-03-19 김영길 근접센서를 이용한 자동도어개폐 장치를 구비한 칫솔 살균기
KR101543550B1 (ko) * 2014-04-25 2015-08-12 이현정 칫솔용 커버
KR20190080003A (ko) * 2017-12-28 2019-07-08 (주)에스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칫솔 살균기
KR102146380B1 (ko) * 2019-12-03 2020-08-20 주식회사 텐핑 칫솔 살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8915A (zh) * 2022-12-02 2023-04-25 雅香丽化妆用品(深圳)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器
CN115998915B (zh) * 2022-12-02 2023-12-08 雅香丽化妆用品(深圳)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380B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2571A1 (ko) 칫솔 살균 장치
WO2013122297A1 (ko) 살균기가 구비된 휴대용 칫솔
WO2017057916A1 (ko)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WO2018117503A1 (ko)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WO2015072676A1 (ko) 구강형 전동칫솔
WO2017142338A1 (ko)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소독장치
WO2018155842A1 (ko) 스마트 살균 수저통
WO2011052986A2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샤워기 거치대
US20210345767A1 (en) Disinfecting toothbrush box
KR102214712B1 (ko) 칫솔 살균 장치
WO2018236004A1 (ko) 치아 미백 장치
WO2020017703A1 (ko) 신발 살균 건조기
WO2012102534A2 (ko)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
WO2016175368A1 (ko) 구강스캐너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스캐너 시스템
WO2021071023A1 (ko)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WO2021145531A1 (en) Shoe management device
WO2013180502A1 (ko) 테스크형 의료용 흡인장치
WO2017111424A1 (ko) 자외선 살균장치
WO2022055209A1 (ko) 승강기용 자외선살균장치
WO2017099429A1 (ko) 살균 기능이 구비된 화장실
WO2017065339A1 (ko) 유축기가 포함된 유아용품 살균기
WO2018004274A1 (ko) 의료용 센서 소독 및 살균 장치
WO2021107301A1 (ko) 청소기
WO2021246601A1 (ko)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CN211512151U (zh) 一种口腔内科器械存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55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55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