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730A1 - 화학요법제로써의 합성-바이칼레인-유도체 - Google Patents

화학요법제로써의 합성-바이칼레인-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730A1
WO2021107730A1 PCT/KR2020/017304 KR2020017304W WO2021107730A1 WO 2021107730 A1 WO2021107730 A1 WO 2021107730A1 KR 2020017304 W KR2020017304 W KR 2020017304W WO 2021107730 A1 WO2021107730 A1 WO 20211077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baicalein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3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명경재
홍성유
사이캇마이티
오정민
서유리
Original Assignee
기초과학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초과학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기초과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11077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7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e.g. flav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baicalein derivativ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Chromone core provides an important building block of flavonoids, which are secondary metabolites commonly found in the plant kingdom (Gaspar, A., et al. Chem. Rev. 2014, 114, 4960-4992; Khadem, S., et al. Molecules 2012, 17, 191-206; Valdameri, G., et al., J. Med. Chem. 2012, 55, 966-970).
  • baicalein 5,6,7-trihydroxyflavone, 5,6,7-tryhydroxyflavone
  • MMR system mismatch repair system
  • MSH2 protein forms a heterodimer with either MSH6 or MSH3, depending on the type of site to be repaired.
  • MSH6 is involved in single base mismatch, and MSH3 and MSH6 are known to contribute to repair of indel loops (Peltomaki, P., J. Clin. Oncol. 2003, 21, 1174-1179).
  • microsatellite is included in the coding region, so if the MMR gene is defective, it is highly likely to cause frame shift in the gene containing these microsatellites, and the tumor is easy to form
  • MMR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signal transduction due to DNA damage in the mechanism of apoptosis.
  • MMR deficiency prevents the apoptosis pathway from proceeding in DNA damaged cells, and as a result, several DNA damaging agents targeting the apoptosis pathway through DNA damage, especially It makes it resistant to the apoptotic effect of methylating agents and cisplatin.
  • Chemotherapeutic agents one of the treatment methods for cancer, are genotoxic small molecules, which impair the division of cancer and induce natural death.
  • MMR-deficient cancer cells are resistant to most conventional chemotherapeutic agents, particularly cancer cell apoptosis treatment using DNA damaging substances, because of their resistance to the apoptosis effect described above. Due to the resistance to apoptosis of MMR-deficient cancer cells, treatment through chemotherapy is difficult, and an altern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MMR-deficient cancer is required (Jiricny, J., Minna Nystrom-Lahti, M., Curr. Opin. Genet. Dev. 2000, 10,157-161).
  • MSH2-mutant-sensitive drugs such as methotrexate and psoralen have been reported.
  • Metrotrexate has been tested positive in standard genotoxicity assays (Chemical Carcinogenesis Research Information System http://toxnet.nlm.nih.gov/cgibin/sis/htmlgen?CCRIS) to activate psoralen.
  • Treatment strategies targeting DNA mismatch repair-deficient cells, such as mutagenesis of necessary UV rays have the side effect of causing DNA mutations and damage, which can increase malignancy.
  • baicalin 5 It was confirmed that the baicalein derivative produced through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residues at the 6th and 7th carbons produced a more effective killing effect of MMR-deficient cancer cells even with a small dose, and showed a specific effect on MMR-deficient cancer cells at low concentrations.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the enemy killing ability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of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baicalein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whether a mutation in the MutS protein gene is detected from a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and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the subject when the mutation is detected in the MutS protein gene.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 FIG. 2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preparing a baicalein derivative from compound 2 through reaction with a benzyl bromide derivative.
  • FIG. 3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preparing a negative control baicalin derivative used i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and the resulting negative control was named I-3, I-4, and I-5, respectively.
  • Figure 4 shows the 19 F NMR (376 MHz, CDCl 3 ) result of SM-110.
  • Figure 5 shows the 1 H NMR (400 MHz, CDCl 3 ) results of SM-110.
  • Figure 8 shows the 1 H NMR (400 MHz, CDCl 3 ) results of SM-233.
  • FIG 10 shows that various concentrations (31.25 ⁇ M, 62.5 ⁇ M and 125 ⁇ M) of native baicalin and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 baicalin derivatives (I-4, SM-110 and SM-233) were MMR-deficient (HEC59)/non-deficient (HEC59).
  • HEC59-2) is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at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reatment with the cell line.
  • Figure 11 shows that at low concentrations (10 ⁇ M or less), natural baicalin and baicalin derivatives (SM-110 and SM-233) were treated in MMR-deficient (HEC59)/non-deficient (HEC59-2) cell lines for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reatment.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and IC 50 values are shown.
  • baicalin kills MutS ⁇ (MSH2/6 heterodimer) deficient cancer cells in vitro.
  • Muts ⁇ is a protein that recognizes mismatches in mismatch repair, and baicalin can interact with Muts ⁇ to affect the MMR pathway, reducing mutagenesis.
  • baicalin targets MMR-deficient tumor populations by targeting both Muts ⁇ and mismatched DNA, whereas most standard chemotherapeutic agents do not have clear targets.
  • the dose of baicalein required to sufficiently remove the target cancer cells is high, and it has a high K d value for mismatched DNA, so there is a high risk of side effects to apply to the human body. (Zhang, Y. et al., Cancer Res. 2016, 76, 4183-4191).
  • the killing effect of the baicale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cancer cells was enhanced by about 7.8 to 13.3 times that of natural baicalin, in particular, MMR-deficient cancer cells (HEC59-2).
  • MMR-deficient cancer cells HEC59-2
  • the targeting ability of MMR-deficient cancer cells at low concentrations was also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baicalin.
  • Natural baicalin has a cancer cell killing effect at a high concentration, but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baicalin at a high concentration for therapeutic purposes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o show a significant killing effect even at a low concentration.
  • the baicale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remarkable cancer cell killing effect even at a low concentration and has a specific killing ability against MMR-deficient cancer cel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natural baikalein having a high K d value for mismatched DNA and exceeding the acceptable IC 50 value as a therapeutic agent, and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MMR-deficient cancers resistant to chemotherapeutic agents. hav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icalein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in Formula I refers to a functional group possessed by the benzyloxyl group at the 7-position carbon, for example, R may be of Formula II:
  • R 1 , R 2 and R 3 may be H or F
  • R 4 may be a single bond, O, S or NH, preferably R 1 , R 2 and R 3 are and F, and R 4 may be a single bond or S.
  • the single bond means that a specific atom is not attached to R 4 , and the central carbon of Formula II is bonded to a benzyloxy group of Formula I.
  • R is most preferably CF 3 or SCF 3 It may be characterized.
  • baicalin is a kind of flavonoid (5,6,7-trihydroxyflavone) of the present invention, Scutellaria baicalensis (Scutellaria baicalensis) and Scutellaria lateriflora (Scutellaria lateriflora) was first isolated from, Oroxylum It is also known to be isolated from indicum (Indian trumpet flower).
  • Baicalin is the aglycone in baicalin and is one of the active ingredients in Sho-Saiko-To, a traditional Chinese supplement known to improve liver health.
  • the chemical structure of natural baicalein is as shown in Figure 1 and Formula I.
  • the term "baicalein derivative” refers to a baicalein-like substance derived by various reactions such as addition and substitution with the structure of baicalein as a basic skeleton.
  • the hydrogen of the hydroxyl groups (-OH) at the 5th and 6th carbon sites is substituted with acetate as shown in Formula I, and the hydroxyl group at the 7th carbon site is various functional groups (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bstituted with a benzyloxy group having
  • position - means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 numbering according to the IUPA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nomenclature.
  • the numbering in the baicalein and baicalin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hromone structure and is as follows.
  • the HEC59 cell line was used as the cell line of the cancer deficient in the mismatch repair (MMR), and the HEC59 cell line was characterized in that the DNA mismatch repair function was deficient due to the MSH2 nonsense mutation. do it with
  • the baicalein derivati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hibits the interaction of normal MutS ⁇ with ATM and/or CHK2.
  • the baicalein derivati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binds to mismatched DNA.
  • the baicalein derivati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igher binding affinity to mismatched DNA than to matched DNA.
  • mismatch repair refers to a DNA repair mechanism that recognizes and repairs mismatch bonds between bases that are not corrected even after a DNA replication process.
  • the mismatch repair process is also known to play a role in inducing cell cycle arrest and natural death in response to DNA damage. Through this, the mismatch repair mechanism removes cells with severely damaged DNA and prevents the cells from developing into cancer cells. Therefore, it is known that in the case of cells lacking mismatch repair, the cells do not die even if DNA is damaged, and thus can develop into cancer.
  • mutations in human MMR-related genes cause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 also called lynch syndrome,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 HNPCC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 DNA mismatch repair function When the DNA mismatch repair function is deficient, the DNA mismatch is recognized and the apoptosis signal does not occur, allowing the cells to continue to differentiate without dying,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or tumors.
  • DNA damaging agents which are chemotherapeutic agents that treat cancer by damaging cancer-specific DNA and causing the death of cancer cells, etc. make it tolera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icale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cancer may be characterized as a cancer lacking a mismatch repair function.
  • cancer deficient in mismatch repair (MMR) function refers to a can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smatch repair function is damaged or lacking, and preferably, the cancer is a hematologic malignancy.
  • hematological malignancies colorectal cancer (colon cancer),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 endometrial cancer (endometrium cancer),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varian cancer (ovary cancer) and most preferably hematological malignancies or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
  • the cancer may be characterized as a cancer lacking a mismatch repair function due to mutation of the MutS protein gene.
  • the MutS protein may be characterized as a protein constituting MutS ⁇ .
  • the MutS protein may be characterized as MSH2 or MSH6.
  • the canc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SH2 gene is mutated and the mismatch repair function is deficient.
  • a mutation in the MSH2 gene means a mutation that impairs or lacks the function or production of MSH2, thereby lacking the mismatch repair function.
  • mutant of the MSH2 gene may include all mutations in which the mismatch repair function of the MSH2 protein is reduced or lost, and includes mutations in the gene itself and mutations in the promoter region.
  • it may be a mutation of MSH2 found in HNPCC1, such as V161D, G162R, L173P, L187P, C333Y, of the MSH2 gene present on chromosome 2 (Ollila, S., et al., Hum. Mutat). 2008, 29, 1355-1363),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canc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lacks a mismatch repair function, and has resistance to an anticancer agent or anticancer treatment.
  • the canc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lacks a mismatch repair function, and thus has resistance to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example, a DNA damaging agent.
  •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example, a DNA damaging agent.
  • the deficiency of the mismatch repair function may be caused by mutation of the MSH2 gene, reduction or loss of the number or repair activity of MSH2 protein due to mutation of the gene itself, or MSH2 caused by hypermethylation of a promoter, etc.
  • Gene expression may be caused by a mechanism such as reduction or gene silenc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Kansikas, M., et all, Hum. Mutat. 2011, 32, 107 ⁇ 115; Ollila S. , et al., Nystroem M. Gastroenterology 2006, 131, 1408-1417).
  • MSH2 (MutS protein homolog 2)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proteins that form a complex involved in DNA mismatch repair, and is a DNA mismatch repair protein MSH2 (MutS protein homolog 2). the gene that encodes it.
  • the MSH2 gene is present on chromosome 2 and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gene. Mutations in the MSH2 gene region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Jiricny, J., Nystrom-Lahti, M., Curr). (Opin. Gen. Dev. 2000, 10, 157-161).
  • HNPCC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 DNA damaging agent refers to a chemotherapeutic agent that damages DNA, and causes DNA damage in cells treated with the DNA damaging agent, resulting in cell cycle arrest and cell death (cell toxicity) may be induced. It has been widely developed as an anti-cancer chemotherapeutic agent that induces the death of cancer cells by damaging the DNA of cancer cells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cancer cells generally have a mitigated DNA damage detection/repair ability. Examples of DNA damaging substances used as anticancer agents include cisplatin, doxorubicin, 5-fluorouracil, etoposide, and gemcitabine.
  • native baikalein exhibits a significant killing effect of the HEC59 cell line at a high concentration, and has an IC 50 value of about 100 ⁇ M.
  • IC 50 value of about 100 ⁇ M.
  • the baicalin derivatives, SM-110 and SM233 have IC50 values of 7.5 ⁇ M and 12.8 ⁇ M, respectively, which are about 7.8 and 13.3 times superior to that of baikalein, against MMR-deficient cancer (HEC59 cell line). ) shows a killing effect, and for MMR-deficient cancer cells (HEC59-2 cell line), the IC 50 value of about 2.2 times (16.3 ⁇ M) to about 12.7 times (162.7 ⁇ M) compared to MMR-deficient cancer cells (HEC59 cell line), respectively As a result, it exhibited a remarkable selective killing ability against MMR-deficient cancer cells at low concentrations of about 15 ⁇ M or les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at a baicalein derivative concentration of about 15 ⁇ 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ministered at a baicalein derivative concentration of about 5 to about 10 ⁇ M.
  •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ense, and “prevention” refers to the clinical treatment of a disease in a patient who may be exposed to a disease or susceptible to a disease, but has not yet experienced or revealed symptoms of the disease. It means that one or more of the symptoms do not progress. “Treatment” means any action that arrests or reduces the development of a disease or one or more clinical symptoms thereof.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on various cancers through the above-described cancer cell killing effect of the baicalin derivative,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thereof, and preferably through the MMR-deficient cancer cell killing effect.
  •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refers to a formulation of a compound that does not cause serious irritation to the organism to which the compound is administered and does not impair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compound.
  • the pharmaceutical salt is an acid that forms a non-toxic acid addition salt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ion, for example, an inorganic acid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etc., tartaric acid, formic acid, citric acid , organic carboxylic acids such as acetic acid, trichloro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gluconic acid, benzoic acid, lact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salicylic acid, etc., sulfonic acid such as methanesulfonic acid, 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etc.
  • acid addition salts formed with phonic acid and the like are include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carboxylic acids include metal salts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formed with lithium,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etc., amino acid salts such as lysine, arginine, guanidine, dicyclohexylamine, N organic salts such as -methyl-D-glucamine, tris(hydroxymethyl)methylamine, diethanolamine, choline and triethylamine, and the like.
  • Acids such as oxalic acid are not pharmaceutically acceptable, but can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useful salts as intermediates for obtaining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addition to containing the baicalein derivativ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 hydroxy benzoate, propyl 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extender, binder, wetting agent, disintegrant, surfactant, etc. commonly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Suitable dosage forms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dragees, hard or soft capsules, solutions, suspensions or emulsions, injections, oral dosage forms such a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 Suitable dosage forms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dragees, hard or soft capsules, solutions, suspensions or emulsions, injections, oral dosage forms such a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 suitable dosage form using a pharmaceutically inert organic or inorganic carrier. That is, when the dosage form is a tablet, a coated tablet, a dragee and a hard capsule, lactose, sucrose, starch or a derivative thereof, talc, calcium carbonate, gelatin, stear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be included.
  • a pharmaceutically inert organic or inorganic carrier when the dosage form is a tablet, a coated tablet, a dragee and a hard capsule, lactose, sucrose, starch or a derivative thereof, talc, calcium carbonate, gelatin, stear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be included.
  • the formulation when the formulation is a soft capsule, it may contain vegetable oils, waxes, fats, semi-solid and liquid polyols.
  • water, polyol, glycerol, and vegetable oil may be inclu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ervative, a stabilizer, a wetting agent, an emulsifier, a solubilizing agent, a sweetener, a colorant,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an antioxidant,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arrier described abov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type, severity, and drug activity of the patient. , sensitivity to drugs,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ancer therapies such as immunotherap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othe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being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cancer therapies such as immunotherap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othe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being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 an individual by various routes.
  • the mode of administration can be, for example, by subcutaneous, intravenous, intramuscular or intrauterine intrathecal or intracerebrovascular injec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rug as an active ingredient, along with several related factors such as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sex and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a mutation in the MutS protein gene from a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And when a mutation of the MutS protein gene is detected, it relates to a method of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icalin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term “subject” refers to a subject suffering from cancer, and if suffering from cancer, all living things may correspond to it, but preferably an animal, more preferably a human.
  • sample includes tissue, cells, blood, serum, urine, saliva, plasma or body fluid obtained from the subject or patient, and the source of the tissue or cell sample is fresh, frozen and/or or solid tissue from a preserved organ or tissue sample or biopsy or aspirate; blood or any blood component;
  • the cells may be at any time of conception or development in a subject.
  • a tissue sample may also be a primary or cultured cell or cell line.
  • the MutS protein gene may be characterized as a protein gene constituting MutS ⁇ .
  • the MutS protein may be characterized as MSH2 or MSH6.
  • the MutS protein ge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SH2 gene.
  •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MutS protein gene is mutated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rough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 various primers, probes and binding molecules may be used to detect whether a gene is mutated, and methods such as sequencing, PCR, electrophoresis, and microarray such as NGS may be used, but are limited thereto it is not
  • the "step of detecting the mutation of the MutS protein gene” includes detecting whether all MutS protein genes in which the mismatch repair function is reduced or lost, preferably, the mutation of the MSH2 gene is detected. It could be For example, V161D, G162R, L173P, L187P, or C333Y mutation of the MSH2 gene present on chromosome 2 may be to detect whether hypermethylation of the promo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HRMS High-resolution mass spectra
  • Example 1-1 Preparation of 4-oxo-2-phenyl-4H-chromene-5,6,7-triyl triacetate (Compound 2) (Fig. 1)
  • baicalin 4-oxo-2-phenyl-4H-chromene-5,6,7-triyl triacetate
  • baicalin 770 mg, 2.85 mmol, compound 1
  • NaOAc 320 mg, 3.99 mmol
  •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 Example 1-2 Preparation of positive control baicalin derivatives (SM-110 and SM-233) (Fig. 2)
  • EA ethyl acetate
  • acyclic and cyclic structure derivatives having a methoxy (methoxy, -OCH 3 ) group were prepared as shown in FIG. 3 .
  • the negative control sample was prepared by the previously reported method (FIG. 3) (Cenni, B., et al. Brit. J. Cancer 1999, 80, 699-704), and as a result, I-4 was obtained.
  • HEC59 and HEC59-2 human adenocarcinoma cell lines were used. There are loss-of-function MSH2 nonsense mutations and HEC59-2 in HEC59 cells. HEC59-2 restores wild-type MSH2 expression and DNA mismatch repair (MMR) functions by transfection of human chromosome 2 into HEC59 cells. will be.
  • MMR DNA mismatch repair
  • Example 3-1 Comparative analysis of cell viability in the treatment of native baicalin,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 baicalin derivatives
  • each compound was treated to HEC59 and HEC59-2 cells plated in white solid bottom 96-well plates at various doses (31.25 ⁇ M, 62.5 ⁇ M and 125 ⁇ M) shown in FIG. 10 . After 24 and 48 hours of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Cell titer 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kit (Promega).
  • the negative control group I-4 did not show any killing effect at all, and it was confirmed that SM-110 and SM-233 compound treatment reduced the survival rate by more than 50%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even at the lowest concentration of 31.25 ⁇ M.
  • natural baicalin exhibits a significant killing effect of the HEC59 cell line only at high concentrations, and has an IC 50 value of about 100 ⁇ M or more ( FIG. 10 ).
  • Such a high concentration of baikalein has difficulties such as side effects when applied to humans.
  • the ability to kill cancer cells at a low concentration of the baicale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becaus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only when it efficiently exhibits a cancer cell killing effect.
  • Example 3-2 Confirmation of cancer cell killing ability and MMR-deficient cancer cell specific killing ability at low concentration of natural baicalin, SM-110, and Sm-233 treatment
  • HEC59 and HEC59-2 cells plated in white solid bottom 96-well plates were treated with native baicalin, SM-110 and SM-233. After 24 and 48 hours of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Cell titer 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kit (Promega).
  • the baicalin derivatives, SM-110 and SM-233 showed IC 50 values (48h) of 7.5 ⁇ M and 12.8 ⁇ M, respectively, against the HEC59 cell line, which is an MMR-deficient cancer cell. This means that it has an effective cancer cell killing ability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3.3 times and about 7.8 times lower than that of native baicalin having an IC 50 value (48h) of about 100 ⁇ M, respectively (FIG. 11).
  • the baicalin derivatives, SM-110 and SM-233 showed IC 50 values (48h) of 16.3 ⁇ M and 162.7 ⁇ M, respectively, against the HEC59-2 cell line, which is an MMR-deficient cancer cell. This is an increase of about 2.3-fold and 12.7-fold, respectively, for the MMR-deficient cell line, and the SM-110 and SM-233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at low concentrations of 15 ⁇ M or less, hardly kill MMR-deficient cancer cells. It suggests that it has a specific killing effect on cancer cells (FIG. 11).
  • Example 3-3 Analysis of the viability of normal cells upon treatment with SM-110
  • baicalin in the case of normal cells with normal MutS ⁇ (MSH2/6 heterodimer), baicalin binds to MutS ⁇ , inhibits the binding of ATM and CHK2 to the MSH6 portion of MutS ⁇ , and in the S phase of cell division It increases the viability of cells by causing arrest, and even when treated with baicalin, it can suppress the death of normal cells and exhibit a cancer cell-specific killing effect.
  • SM-110 does not induce normal cell death like native baicalin
  • a normal 293T cell line with normal MutS ⁇ was treated with 100 ⁇ M of native baicalin or 15 ⁇ M of SM-110.
  • the protein was extract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ny change in the binding between MutS ⁇ and ATM.
  • the binding to ATM was compared in samples treated with DMSO, native baicalin, and SM-110.
  • baicalin or SM-110 is added at a labeled concentration to check whether EtBr is escaping from DNA. , the binding affinity of baicalin or SM-110 with perfectly matched DNA or mismatched DNA was confirmed.
  • the baicale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sufficient cancer cell killing effect even at a concentratio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atural baicalei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tural baikalein, which exceeds the acceptable IC 50 value as a therapeutic agent and has a high K d value for mismatched DNA, and can be particularly usefully used as a selective therapeutic agent for MMR-deficient cancer cells.
  • the baicalin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kill MMR-deficient cancer cells even at a lower dose than natural baicalin, and exhibits a specific killing effect on MMR-deficient cancer cells at low concentrations.
  • MMR-deficient cancer that exceeds the acceptable IC 50 value as a therapeutic agent, has a high Kd value for mismatched DNA,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ancer treatment use of baicalin, and is resistant to standard chemotherapy It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천연 바이칼레인 보다 적은 용량으로도 효과적으로 MMR-결핍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고, MMR-결핍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으로 인해 MMR-결핍 암세포만을 표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표준 화학요법 치료, 특히 DNA 손상 물질을 통한 치료에 내성을 갖는 MMR-결핍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화학요법제로써의 합성-바이칼레인-유도체
본 발명은 신규한 바이칼레인 유도체 및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크로몬 코어(Chromone core)는 식물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2차 대사산물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의 중요한 구성단위를 제공한다(Gaspar, A., et al. Chem. Rev. 2014, 114, 4960~4992; Khadem, S., et al. Molecules 2012, 17, 191~206; Valdameri, G., et al., J. Med. Chem. 2012, 55, 966~970).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Polyphenolic flavonoids)의 한 유형으로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바이칼레인(5,6,7-트리하이드록시플라본, 5,6,7-tryhydroxyflavone)은 낮은 독성, 용이한 풍부성 및 항암 효과를 포함하는 치료학적 잠재력으로 인해 의료화학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Zhang, Y., et al., Cancer Res. 2016, 76, 4183~4191; Bie, B., et al., Biomed. Pharmacother. 2017, 93, 1285-1291; Gao, Y., et al., Med. Chem. Res. 2016, 25, 1515~1523). 혈액악성종양(hematological malignancies)의 억제에 관여하는 바이칼레인의 정확한 표적을 확인하고, 관련된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Chen, H., et al., Cancer Lett. 2014, 354, 5-11). 향상된 항암 활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변형된 구조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기 위한 많은 합성적 노력이 있어왔다(Luo, R., et al., Cancer Lett. 2014, 354, 5-11; Neves, M., et al., Eur. J. Med. Chem. 2011, 46, 2562~2574; Ding, D., et al., Org. Biomol. Chem. 2011, 9, 7287~7291).
미스매치 복구 시스템(mismatch repair system, MMR system)의 주요 기능은 DNA 복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단일 염기의 미스매치 및 삽입-결실 루프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스매치 복구 시스템에는 적어도 4가지 이상의 MMR 단백질이 필요하다. 미스매치의 인식의 경우, MSH2 단백질은 복구할 위치의 유형에 따라 MSH6 또는 MSH3과 이종이량체를 형성한다. MSH6는 단일 염기 미스매치에 관여하며 MSH3 및 MSH6는 삽입-결실 루프의 복구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ltomaki, P., J. Clin. Oncol. 2003, 21, 1174~1179). 자연사멸에 관여하는 BAX 유전자와 TGFβIIR의 경우 암호화 지역에 미세부수체(microsatellite)를 포함하고 있어, MMR 유전자에 결함이 있을 경우 이러한 미세부수체를 포함하는 유전자에 프레임 이동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종양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이러한 MMR 시스템은 세포 자연사멸(apoptosis) 기작에 DNA 손상에 의한 신호 전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 손상에 의한 세포 자연사멸 기작에서 MMR의 결핍은 DNA 손상된 세포에서 자연사멸 경로(apoptosis pathway)가 진행될 수 없도록 하고 그 결과, DNA 손상을 통한 세포 자연사멸 경로를 타겟으로 하는 여러 DNA 손상 약제, 특히 메틸화제 및 시스플라틴(cisplatin)의 세포 사멸효과에 내성을 갖게 한다. 암의 치료방법 중 하나인 화학요법제는 유전독성 소분자로서, 암의 분열을 손상시키고, 이로 인한 자연사멸을 유도하여 암을 치료하는 제제이다. 그러나 MMR-결핍 암세포는 상기한 세포 사멸효과에 대한 내성 때문에 대부분의 통상적인 화학요법제, 특히 DNA 손상 물질을 이용한 암세포 자연사멸 치료에 내성이 있다. MMR-결핍 암세포의 자연사멸 내성으로 인해, 화학요법을 통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MMR 결핍-암에 대한 대체 의약 조성물이 요구된다(Jiricny, J., Minna Nystrom-Lahti, M., Curr. Opin. Genet. Dev. 2000, 10,157~161).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및 프소랄렌(psoralen)과 같은 MSH2-돌연변이 감수성 약물의 여러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메트로트렉세이트는 표준 유전독성 분석(standard genotoxicity assays)에서 양성으로 테스트 되었으며(Chemical Carcinogenesis Research Information System http://toxnet.nlm.nih.gov/cgibin/ sis/htmlgen?CCRIS), 프소랄렌을 활성화 시키는데 필요한 자외선은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등 DNA 미스매치 복구 결핍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전략은 DNA의 돌연변이 및 손상을 일으켜 오히려 악성종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부작용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바이칼레인이 Mutsα(MSH2/6 heterodimer) 및 미스매치 DNA를 모두 표적으로 함으로써, MMR-결핍 종양 집단을 표적으로 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 Mutsα(MSH2/6 heterodimer) 결핍 암세포에서 baicalein의 IC50 값이 인간 치료제로서 허용 가능한 바이칼레인의 나노몰 값을 훨씬 상회하고, 불일치DNA에 대한 높은 Kd의 바이칼레인은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화합물 구조의 최적화를 통한 부작용 감소 및 효능 향상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Zhang, Y., et al., Cancer Res. 2016, 76, 4183~4191).
이러한 배경기술 아래에서, 본 발명자들은 화학요법제에 내성을 갖는 MMR-결핍 암의 표적 치료가 가능하고, 천연 바이칼레인보다 부작용이 적은 신규한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바이칼레인 5번, 6번, 7번 자리 탄소의 잔기의 구조적 변형을 통해 제작한 바이칼레인 유도체가 적은 용량으로도 더욱 효과적으로 MMR-결핍 암세포의 사멸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저농도에서 MMR-결핍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 사멸능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상기 정보는 오직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있어 이미 알려진 선행기술을 형성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한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MutS 단백질 유전자에 변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스매치 복구기능이 결핍된 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4-oxo-2-phenyl-4H-chromene-5,6,7-triyl triacetate(화합물 2)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한 화합물 2로부터의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의 작용기는 각각 CF3 및 SCF3이며, 각 유도체의 반응으로 생성된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각각 SM-110(R=CF3) 및 SM-233(R=SCF3)로 명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음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생성된 음성 대조군을 각각 I-3, I-4 및 I-5로 명명하였다.
도 4는 SM-110의 19F NMR (376 MHz, CDCl3)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SM-110의 1H NMR (400 MHz, CDCl3)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SM-110의 13C NMR (100 MHz, CDCl3)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SM-233의 19F NMR (376 MHz, CDCl3)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SM-233의 1H NMR (400 MHz, CDCl3)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SM-233의 13C NMR (100 MHz, CDCl3)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다양한 농도(31.25μM, 62.5μM 및 125μM)의 천연 바이칼레인 및 음성 및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I-4, SM-110 및 SM-233)를 MMR-결핍(HEC59)/미결핍(HEC59-2) 세포주에 처리한 후 24시간 및 48시간에서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저농도(10μM 이하)에서 천연 바이칼레인 및 바이칼레인 유도체(SM-110 및 SM-233)를 MMR-결핍(HEC59)/미결핍(HEC59-2) 세포주에 처리한 후 24시간 및 48시간에서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및 IC50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SM-110이 천연 바이칼레인과 같이 Mutsα (MSH2/6 heterodimer)와 ATM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면역침강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하단의 Input은 protein loading control로써, 동일한 양의 샘플을 사용함을 나타내고, IgG 샘플은 MSH6 항체의 대조군으로, MSH6와 ATM가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13은 SM-110의 matched DNA 또는 mismatched DNA와의 결합여부를 형광 강도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 예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천연 바이칼레인의 in vitro에서 MutSα(MSH2/6 heterodimer) 결핍 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Mutsα는 미스매치 복구에서 미스매치를 인식하는 단백질로서, 바이칼레인은 Mutsα와 상호작용하여 MMR 경로에 영향을 미쳐 돌연변이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표준 화학요법제의 대부분은 명확한 표적을 가지지 않는데 반해, 바이칼레인이 Mutsα 및 미스매치 DNA를 모두 표적으로 함으로써, MMR-결핍 종양 집단을 표적으로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 확인된 IC50 값을 고려할 때, 표적 암세포를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baicalein의 투여량이 높고, 불일치 DNA에 대해 높은 Kd 값을 가져 인체에 적용하기에는 부작용의 위험이 크다. (Zhang, Y. et al., Cancer Res. 2016, 76, 4183~4191).
이에, 본 발명자들은, Derong Ding (Org. Biomol. Chem. 2011, 9, 7287~7291)등이 항암 효과를 보고한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전구체인, 트리아세테이트 바이칼레인(4-oxo-2-phenyl-4H-chromene-5,6,7-triyl triacetate)을 기본 골격으로 하여 7번 탄소자리의 수산화기를 다양한 작용기(R)를 갖는 벤질옥시(benzyloxy) 그룹으로 치환하여 보다 적은 용량으로도 효과적으로 MMR-결핍 암세포 특이적인 사멸을 유도하는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암세포(HEC59)에 대한 사멸효과가 천연 바이칼레인보다 약 7.8배 내지 13.3배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MMR-미결핍 암세포(HEC59-2)와의 비교를 통해 저농도에서의 MMR-결핍 암세포 표적화 능력도 바이칼레인보다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천연 바이칼레인은 고농도에서 암세포 사멸효과가 있으나, 고농도의 바이칼레인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치료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농도에서도 현저한 사멸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저농도에서도 현저한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며 MMR-결핍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 사멸 능력을 가진다. 따라서, 치료제로서 허용 가능한 IC50 값을 상회하고, 불일치 DNA에 대한 높은 Kd값을 갖는 천연 바이칼레인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화학요법제에 내성을 가지는 MMR-결핍 암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R"은 7번 자리의 탄소의 벤질옥실 그룹이 갖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R은 하기 화학식 II일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H 또는 F일 수 있으며, 상기 R4는 단일 결합, O, S 또는 NH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1, R2 및 R3는 F이고, R4는 단일 결합 또는 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일 결합은 R4에 특정 원자가 오지 않고 화학식 II의 중심탄소가 화학식 I의 벤질옥시(benzyloxy)그룹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CF3 또는 SCF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바이칼레인"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의 플라본(5,6,7-trihydroxyflavone)으로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Scutellaria baicalensis)와 스쿠텔라리아 라테리플로라(Scutellaria lateriflora)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Oroxylum indicum(인디안 트럼펫꽃)에서도 분리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바이칼레인은 바이칼린(baicalin)의 아글리콘(aglycone)이며, 간 건강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 전통 보충제인 Sho-Saiko-To의 활성 성분 중 하나이다. 천연 바이칼레인(baicalein)의 화학 구조는 도 1 및 화학식 I에 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바이칼레인 유도체"란 바이칼레인의 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하여 첨가, 치환 등의 각종 반응에 의해 유도된 바이칼레인 유사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I과 같이 5번 및 6번 탄소자리의 수산화기(-OH)의 수소가 아세테이트(acetate)로 치환되고, 7번 탄소자리의 수산화기가 다양한 작용기(R)를 갖는 벤질옥시(benzyloxy) 그룹으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번 자리" 란 IUPAC(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명명법에 따라 번호 매김 하였을 때의 해당 자리의 번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및 바이칼레인 유도체에서의 번호 매김은 크로몬(chromone) 구조를 중심으로 하며 하기와 같다.
[화학식 I]-번호 매김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스매치 복구(MMR) 결핍된 암의 세포주로 HEC59 세포주를 이용하였으며, 상기 HEC59 세포주는 MSH2 넌센스 돌연변이 (nonsense mutation)로 인하여 DNA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정상 MutSα와 ATM 및/또는 CHK2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미스매치 DNA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매치 DNA(matched DNA)에 비해 미스매치 DNA에 더욱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미스매치 복구(Mismatch repair)”란 DNA 복제과정 후에도 교정되지 않은 염기 간 미스매치 결합을 인식하고 수리하는 DNA 복구 기작을 의미한다. 진핵생물에서 미스매치 복구 과정은 DNA 손상에 반응해 세포주기 정지 및 자연사멸을 유도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미스매치 복구 기작은 DNA가 심하게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여 해당 세포가 암세포 등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스매치 복구가 결핍된 세포의 경우 DNA가 손상되어도 세포가 사멸되지 않아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간 MMR 관련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가장 흔한 암중 하나인 린치 증후군(lynch syndrome)이라고도 불리는 유전성 비폴립성 결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을 유발한다.
DNA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되는 경우 이러한 DNA 미스매치를 인지하고 자연사멸 신호전달이 일어나지 않아, 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계속해서 분화를 진행하도록 하여 암 또는 종양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MMR-결핍 암 세포의 경우 자연사멸 신호전달 체계의 결핍으로 인하여, 암 특이적 DNA에 손상을 주어 암세포의 사멸을 일으켜서 암을 치료하는 화학 요법제인 대부분의 DNA 손상 물질(DNA damaging agent)등에 내성을 가지게 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암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Mismatch repair) 기능이 결핍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미스매치 복구(Mismatch Repair, MMR) 기능이 결핍된 암” 이란, 상기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손상 또는 결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혈액악성 종양(hematological malignancies), 대장암(colon cancer), 유전성 비폴립성 결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 자궁내막암(endometrium cancer) 및 난소암(ovary cancer)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혈액악성 종양(hematological malignancies) 또는 유전성 비폴립성 결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utS 단백질은 MutSα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utS 단백질은 MSH2 또는 MSH6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MSH2 유전자가 변이되어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변이(variation)”또는 “돌연변이(mutation)”는 종래에 공지된 모든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점 돌연변이, 삽입, 치환 및/또는 결실에 따른 Frame shift, 넌센스(nonsense), 미스센스(missense) 기능 상실 변이, hypermethylation 등을 모두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SH2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는 MSH2의 기능 또는 생산을 손상 또는 결핍시켜, 미스매치 복구 기능을 결핍시키는 돌연변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MSH2 유전자의 변이”는 MSH2 단백질의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감소 또는 상실되는 모든 변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전자 자체의 변이 및 프로모터 부위의 변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HNPCC1에서 발견되는 MSH2의 변이로, 2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MSH2 유전자의 V161D, G162R, L173P, L187P, C333Y 등의 돌연변이 일 수 있으나(Ollila, S., et al., Hum. Mutat. 2008, 29, 1355~1363),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되어, 항암제 또는 항암 치료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되어, 화학요법제, 예를 들어, DNA 손상 물질(DNA damaging agent)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스매치 복구 기능의 결핍은 상기 MSH2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유전자 자체의 변이에 의한 MSH2 단백질의 수 또는 복구활성의 감소 또는 상실, 프로모터 등의 hypermethylation에 의한 MSH2 유전자 발현이 감소 또는 유전자 침묵(gene silencing) 등의 기전으로 발생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Kansikas, M., et all, Hum. Mutat. 2011, 32, 107~115; Ollila S., et al., Nystroem M. Gastroenterology 2006, 131, 1408~1417).
본 발명의 용어 “MSH2(MutS protein homolog 2) 유전자”는 DNA의 미스매치 회복에 관여하는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하나로서, DNA 미스매치 회복(mismatch repair) 단백질인 MSH2(MutS protein homolog 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MSH2 유전자는 2번 염색체 존재하고,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 기능한다. MSH2 유전자 부위의 돌연변이는 미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및 유전성 비폴립성 결장 직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iricny, J., Nystrom-Lahti, M., Curr. Opin. Gen. Dev. 2000, 10, 157~161).
본 발명의 용어 “DNA 손상 물질(DNA damaging agent)”이란 DNA에 손상을 주는 화학요법제로서, DNA 손상 물질이 처리된 세포의 DNA의 손상을 유발하여, 세포주기의 정지 및 세포의 사멸(세포독성)을 유도할 수 있다. 암 세포가 일반적으로 완화된 DNA 손상 감지/수리 능력을 가진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사멸을 유발하는 항암 화학요법제로 널리 개발되어 왔다. 항암제로 사용되는 DNA 손상 물질의 예로, 시스플라틴(cisplat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및 젬시타빈(gemcitabin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천연 바이칼레인은 고농도에서 유의미한 HEC59 세포주의 사멸효과를 나타내며, 약 100μM의 IC50 값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농도의 바이칼레인은 인간에게 적용하는데 부작용 등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저농도 고효율의 유도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칼레인 유도체, SM-110 및 SM233은 각각 7.5μM 및 12.8μM 의 IC50값을 가져, 바이칼레인보다 약 7.8배 및 13.3배 뛰어난, MMR-결핍 암에 대한(HEC59 세포주) 사멸효과를 나타내며, MMR-미결핍 암세포(HEC59-2 세포주)에 대해서는 각각 MMR-결핍 암세포(HEC59 세포주) 대비, 약 2.2배(16.3μM) 내지 약 12.7배(162.7μM)의 IC50값을 나타내어 약 15μM이하의 저농도에서 MMR-결핍 암세포에 대한 현저한 선택적 사멸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 15μM 이하의 바이칼레인 유도체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μM의 바이칼레인 유도체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 및 "치료"는 최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방"이란, 질환에 노출되거나 질환에 걸리기 쉬울 수 있으나 질환의 증상을 아직 경험하거나 드러내지 아니한 환자에게서 질환의 임상적 증상 중 하나 이상이 진행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란, 질환 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임상적 증상의 발달을 저지 또는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상술한 암세포 사멸효과 바람직하게는 MMR-결핍 암세포 사멸효과를 통해 다양한 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의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신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실산 염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옥살산 (oxalic)과 같은 산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얻기 위한 중간체로서, 유용한 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 이외에 통상적으로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비제한적으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제형으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용액제, 현탁제 또는 유화액제, 주사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불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담체를 이용하여 적합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제형이 정제, 코팅된 정제, 당의정 및 경질 캡슐제인 경우 락토스, 수크로스, 전분 또는 그 유도체, 탈크, 칼슘 카보네이트, 젤라틴, 스테아르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연질 캡슐제인 경우에는 식물성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용액 또는 시럽 형태인 경우, 물, 폴리올, 글리세롤, 및 식물성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의 담체 외에도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을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면역요법,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 등과 같은 암 치료법 및 다른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방식은, 예를 들면, 피하, 정맥, 근육 또는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대상”은 암을 앓고 있는 대상을 의미하며, 암을 앓고 있다면, 모든 생물이 제합없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시료(샘플)"는 상기 대상 또는 환자로부터 얻은 조직, 세포, 혈액, 혈청, 소변, 타액, 혈장 또는 체액을 포함하며,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의 공급원은 신선한, 동결된 및/또는 보존된 장기 또는 조직 샘플 또는 생검 또는 흡인물로부터의 고형 조직; 혈액 또는 임의의 혈액 구성분; 대상의 임신 또는 발생의 임의의 시점의 세포일 수 있다. 조직 샘플은 또한 1차 또는 배양 세포 또는 세포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utS 단백질 유전자는 MutSα를 구성하는 단백질 유전자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utS 단백질은 MSH2 또는 MSH6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utS 단백질 유전자는 MSH2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각종 프라이머, 프로브 및 결합 분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NGS와 같은 염기서열분석, PCR, 전기영동, 마이크로 어레이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는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감소 또는 상실되는 모든 MutS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MSH2 유전자의 변이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MSH2 유전자의 V161D, G162R, L173P, L187P, 또는 C333Y 변이, 또는 프로모터의 hypermethylation 여부를 검출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모든 시약은 표준 공급 업체(Sigma-Aldrich, Alfa Aesar 또는 TCI)에서 구입하여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했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는 머크 실리카겔 60(Merck silica gel 60, mesh 230-40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머크 실리카겔 F254 플레이트(Merck Silica Gel F254 plates, 0.25 mm)상에서 분석 박막 크로마토그래피(Analytic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를 수행하였다.
1H, 광대역 양성자-짝풀림 13C(broadband proton-decoupled 13C) 및 19F NMR 스펙트럼이 Bruker Avance III HD 400 MHz 기기에서 기록되었다. 화학적 이동 값은 잔류 용매 신호와 관련하여 ppm(parts per million)으로 기록되었다. 각 실시예에서 기술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ppm의 화학적 이동(δ), 다중도(s=단일, d=이중, t=삼중, q=사중, br s=광역 단일, m=다중), 결합 상수(J, Hz) 및 피크면적(integration).
고-해상 질량 스펙트럼(High-resolution mass spectra, HRMS)은 Thermo Scientific Q Exactive Plus Hybrid Quadrupole-Orbitrap 질량분석기 또는 a DART-SVP 이온 소스에 결합된 JEOL AccuTOF LC-Plus 4G+ DART (Ionsense Inc.)를 사용하여 얻었다.
실시예 1: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제조
실시예 1-1: 4-oxo-2-phenyl-4H-chromene-5,6,7-triyl triacetate(화합물 2)의 제조 (도 1)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합성 전구체로서, 트리아세틸화 바이칼레인(4-oxo-2-phenyl-4H-chromene-5,6,7-triyl triacetate)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이칼레인(770 mg, 2.85 mmol, 화합물 1) 및 NaOAc (320 mg, 3.99 mmol)를 건조 밀봉 튜브에 넣고, 5mL의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5℃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로 모니터링하였다. 출발 물질(바이칼레인)의 완전한 소비 후(4시간), 얼음물을 첨가하였다. 백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건조시켜 트리아세틸화 바이칼레인 (1.03 g, 2.6 mmol, 91%, 화합물 2)을 수득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는 기존 문헌에 보고된 데이터와 동일하다(Ding, D., et al., Org. Biomol. Chem. 2011, 9, 7287~7291).
실시예 1-2: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SM-110 및 SM-233)의 제조 (도 2)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 2를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와 반응시켰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2 (60 mg, 1.0 equiv) 및 K2CO3의 혼합물에 아세톤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R=CF3 또는 SCF3, 화학식 II)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밤새 환류(reflux)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TLC로 모니터링),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미가공 잔여물을 헥세인(hexane) 중 15-25% EA(ethyl acetate)를 용리제로 사용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인 SM-110(R=CF3) 및 SM-233(R=SCF3)를 얻었다.
[화학식 I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4
Figure PCTKR2020017304-appb-T000001
실시예 1-3: 음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I-4)의 제조
음성 대조군 샘플을 제조하기 위해, 메톡시(methoxy, -OCH3) 그룹을 갖는 비고리형 및 고리형 구조 유도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음성 대조군 샘플은 종래 보고된 방법(도 3)을 통해 제조하였으며(Cenni, B., et al. Brit. J. Cancer 1999, 80, 699~704), 그 결과 I-4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KR2020017304-appb-T000002
실시예 2: 제조된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SM-110 및 SM-233)의 특성 분석
상기 재료 및 방법과 같이 NMR 및 HRMS를 이용하여 각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SM-110 (4-Oxo-2-phenyl-7-((4-(trifluoromethyl)benzyl)oxy)-4H-chromene-5,6-diyl diacetate)
[화학식 II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5
SM-110은 백색 고체(70 mg, 90%)로 정제되었으며, 19F NMR (376 MHz, CDCl3)은 δ = -62.66의 피크를 나타내었다(도 4). 1H NMR (400 MHz, CDCl3)은 δ = 7.83 (d, J = 8 Hz, 2H), 7.69 (d, J = 8 Hz, 2H), 7.54-7.49 (m, 5H), 6.97 (s, 1H), 6.61 (s, 1H), 5.27 (s, 2H), 2.46 (s, 3H), 2.33 (s, 3H)의 피크를 나타내었다(도 5). 13C NMR (100 MHz, CDCl3)은 δ = 176.3, 168.8, 168.1, 162.3, 155.7, 154.9, 142.1, 139.1, 131.7, 131.3, 130.9, 130.8 (q, J = 32 Hz), 129.2, 127.3, 126.2, 125.9 (q, J = 4 Hz), 124.0 (q, J = 271 Hz), 111.9, 108.5, 99.4, 70.4, 21.0, 20.3의 피크를 나타내었다(도 6). HRMS (ESI+)는 다음과 같다: C27H20O3에 대해 계산된 m/z [M + H]+: 513.1156; found, 513.1155.
SM-233 (4-Oxo-2-phenyl-7-((4-((trifluoromethyl)thio)benzyl)oxy)-4H-chromene-5,6-diyl diacetate)
[화학식 IV]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6
SM-233은 백색 고체(67 mg, 81%)로 정제되었으며, 19F NMR (376 MHz, CDCl3)은 δ = -42.55의 피크를 나타내었다(도 7). 1H NMR (400 MHz, CDCl3)은 δ = 7.83 (d, J = 8 Hz, 2H), 7.71 (d, J = 8 Hz, 2H), 7.54-7.46 (m, 5H), 6.97 (s, 1H), 6.61 (s, 1H), 5.24 (s, 2H), 2.46 (s, 3H), 2.32 (s, 3H)의 피크를 나타내었다(도 8). 13C NMR (100 MHz, CDCl3)은 δ = 176.3, 168.9, 168.1, 162.4, 155.7, 154.9, 142.1, 138.2, 136.8, 131.8, 131.3, 130.9, 129.2, 128.0, 126.3, 124.8, 118.2 (q, J = 248 Hz), 111.9, 108.5, 99.4, 70.4, 21.0, 20.3의 피크를 나타내었다(도 9). HRMS (ESI+)는 다음과 같다: C27H20F3O7에 대해 계산된 m/z [M + H]+: 545.0876; found, 545.0877.
실시예 3: 세포 생존성 테스트
세포 생존에 대한 합성 바이칼레인 유도체 처리의 효과를 테스트 하기 위해, HEC59 및 HEC59-2 인간 선암(adenocarcinoma)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HEC59 세포에는 기능 상실 MSH2 넌센스 변이와 HEC59-2가 있으며, HEC59-2는 인간 염색체 2를 HEC59 세포로 형질주입(transfection)하여 야생형 MSH2 발현과 DNA 미스매치 복구(mismatch repair, MMR) 기능을 복구시킨 것이다.
실시예 3-1: 천연 바이칼레인, 음성 및 양성 대조군 바이칼레인 유도체 처리 시의 세포 생존률 비교 분석
먼저, 3개의 바이칼레인 유도체(양성: SM-110 및 SM-233, 음성: I-4) 및 천연 바이칼레인의 세포 생존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합물을 도 10에 도시된 다양한 용량(31.25μM, 62.5μM 및 125μM))으로 백색 고체 바닥 96-웰 플레이트에 도말된 HEC59 및 HEC59-2 세포에 처리하였다. 처리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세포 생존력을 세포 역가 Glo 발광 세포 생존력 분석 키트(Cell titer 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kit, Promeg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인 I-4는 전혀 사멸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SM-110 및 SM-233 화합물 처리는 최저 농도인 31.25μM 에서도 용량 및 시간 의존적으로 50% 이상 생존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천연 바이칼레인은 고농도에서만 유의미한 HEC59 세포주의 사멸효과를 나타내며, 약 100μM 이상의 IC50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 이와 같은 고농도의 바이칼레인은 인간에게 적용하는데 부작용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저농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암세포 사멸효과를 나타내어야 치료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의 저농도에서의 암세포 사멸능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천연 바이칼레인, SM-110, Sm-233 저농도 처리 시의 암세포 사멸 능력 및 MMR-결핍 암세포 특이적 사멸능력 확인
천연 바이칼레인, SM-110 및 SM-233의 IC50 값 및 MMR-결핍 암세포 특이적 사멸능력을 확인하였다. 백색 고체 바닥 96-웰 플레이트에 도말된 HEC59 및 HEC59-2 세포에 천연 바이칼레인, SM-110 및 SM-233을 처리하였다. 처리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세포 생존력을 세포 역가 Glo 발광 세포 생존률 분석 키트(Cell titer 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kit, Promeg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률 분석 결과, MMR-결핍 암세포인 HEC59 세포주에 대해 바이칼레인 유도체, SM-110 및 SM-233는 각각 7.5μM 및 12.8μM의 IC50 값(48h)을 나타내었다. 이는 약 100μM의 IC50 값(48h)을 가지는 천연 바이칼레인 보다 각각 약 13.3배 및 약 7.8배의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인 암세포 사멸 능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도 11).
또한, MMR-미결핍 암세포인 HEC59-2 세포주에 대해 바이칼레인 유도체, SM-110 및 SM-233는 각각 16.3μM 및 162.7μM의 IC50 값(48h)을 나타내었다. 이는 MMR-결핍 세포주에 대해 각각 약 2.3배 및 12.7배 증가한 값으로, 본 발명의 SM-110 및 SM-233이 특히 15μM 이하의 저농도에서, MMR-미결핍 암세포는 거의 사멸되지 않아, MMR-결핍 암세포에 대해 특이적 사멸효과를 가짐을 시사한다(도 11).
실시예 3-3: SM-110 처리 시의 정상세포 생존률 분석
천연 바이칼레인의 경우, 정상 MutSα(MSH2/6 heterodimer)가 존재하는 정상세포의 경우 바이칼레인이 MutSα 에 결합하여, ATM, CHK2이 MutSα의 MSH6 부분과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고, 세포분열의 S 단계에서 어레스트를 일으켜 세포의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바이칼레인을 처리하더라도 정상세포의 사멸은 억제하면서도 암세포 특이적인 사멸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 SM-110이 천연 바이칼레인과 같이 정상세포의 사멸은 유도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상 MutSα이 존재하는 정상293T 세포주에 100μM의 천연 바이칼레인 또는 15μM의 SM-110을 처리하고 단백질을 추출하여 MutSα와 ATM의 결합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MSH6 항체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풀-다운 하여, ATM와의 결합을 DMSO, 천연 바이칼레인, SM-110을 처리한 샘플에서 비교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조군(DMSO)와 비교하여 천연 바이칼레인을 처리한 샘플에서 MutSα의 MSH6과 ATM의 결합이 감소하고, SM-110을 처리하는 경우에도 천연 바이칼레인과 같이 MutSα의 MSH6과 ATM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을 면역침강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SM-110은 천연 바이칼레인의 약 1/10의 농도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수준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4: SM-110의 미스매치 DNA 특이적 결합 친화도 확인
EtBr이 DNA에 intercalation된 경우와 솔루션에 free하게 존재할 때, 형광 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점에 착안하여, 바이칼레인 또는 SM-110을 표지된 농도로 첨가하여, DNA에서 EtBr이 빠져나오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칼레인 또는 SM-110의 완전하게 매치되는 DNA 또는 미스매치 DNA와의 결합 친화도를 확인하였다.
90mer의 이중가닥 핵산 올리고머에 완전하게 매칭되는 DNA(Matched DNA) 또는 5개의 미스매치가 있는 DNA(Mismatched DNA)를 준비하여, 두 올리고머를 EtBr과 incubation한 후에, 바이칼레인과 SM-110을 표지된 농도(0.8mM)로 첨가하고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DNA에 intercalation된 EtBr이 빠져나오는지 확인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사용한 Netropsin의 경우 match와 mismatch에 상관없이 EtBr을 DNA로부터 빼내는 것에 비해, Baicalein과 SM110은 mismatch DNA에서 더 많은 EtBr을 빼내어 형광 강도가 더 크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SM-110이 Baicalein과 마찬가지로 mismatched DNA에 더 잘 결합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SM-110은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된 암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천연 바이칼레인보다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도 충분한 암세포 사멸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치료제로서 허용 가능한 IC50 값을 상회하고, 불일치 DNA에 대한 높은 Kd값을 갖는 천연 바이칼레인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MMR-결핍 암세포 선택적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상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칼레인 유도체는 천연 바이칼레인 보다 적은 용량으로도 효과적으로 MMR-결핍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고, 저농도에서 MMR-결핍 암세포에 대해 특이적인 사멸효과를 나타낸다. 치료제로서 허용 가능한 IC50 값을 상회하고, 불일치 DNA에 대한 높은 Kd값을 갖는 기존의 바이칼레인의 암 치료 용도에 있어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표준 화학요법 치료에 내성을 갖는 MMR-결핍 암의 예방 및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7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하기 화학식 II 이며,
    [화학식 I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8
    상기 R1, R2 및 R3는 H 또는 F이고,
    상기 R4는 단일 결합, O, S 또는 NH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CF3 또는 SC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의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의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Mismatch repair) 기능이 결핍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MSH2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미스매치 복구기능이 결핍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되어 DNA 손상 물질(DNA damaging agent)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악성 종양(hematological malignancies), 대장암(colon cancer), 유전성 비폴립성 결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 자궁내막암(endometrium cancer) 및 난소암(ovary cancer)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바이칼레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화학식 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09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하기 화학식 II 이며,
    [화학식 II]
    Figure PCTKR2020017304-appb-I000010
    상기 R1, R2 및 R3는 H 또는 F이고,
    상기 R4는 단일 결합, O, S 또는 NH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은 CF3 또는 SC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Mismatch repair) 기능이 결핍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MSH2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미스매치 복구기능이 결핍된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미스매치 복구 기능이 결핍되어 DNA 손상 물질(DNA damaging agent)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악성 종양(hematological malignancies), 대장암(colon cancer), 유전성 비폴립성 결장암(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HNPCC), 자궁내막암(endometrium cancer) 및 난소암(ovary cancer)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6.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MSH2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MSH2 유전자에 변이가 검출되는 경우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스매치 복구기능이 결핍된 암의 치료 방법.
PCT/KR2020/017304 2019-11-29 2020-11-30 화학요법제로써의 합성-바이칼레인-유도체 WO202110773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7333 2019-11-29
KR10-2019-0157333 2019-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730A1 true WO2021107730A1 (ko) 2021-06-03

Family

ID=7612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304 WO2021107730A1 (ko) 2019-11-29 2020-11-30 화학요법제로써의 합성-바이칼레인-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0773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90481A (zh) * 2005-12-29 2007-07-04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黄芩素衍生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01209257A (zh) * 2006-12-29 2008-07-02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黄芩甙及黄芩素衍生物的医学用途
US20080176932A1 (en) * 2005-02-01 2008-07-24 Shanghai Gloriayx Biopharmaceuticals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Baicalein And Baicalin With Synergistic Effect In Tumor Treatment
US20110059913A1 (en) * 2006-01-09 2011-03-1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d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6932A1 (en) * 2005-02-01 2008-07-24 Shanghai Gloriayx Biopharmaceuticals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Baicalein And Baicalin With Synergistic Effect In Tumor Treatment
CN1990481A (zh) * 2005-12-29 2007-07-04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黄芩素衍生物其制备方法和用途
US20110059913A1 (en) * 2006-01-09 2011-03-1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dications
CN101209257A (zh) * 2006-12-29 2008-07-02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黄芩甙及黄芩素衍生物的医学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NG DERONG, ZHANG BAOZI, MENG TAO, MA YING, WANG XIN, PENG HONGLI, SHEN JINGKANG: "Novel synthetic baicalein derivatives caused apoptosis and activate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human tumor cells", NOVEL SYNTHETIC BAICALEIN DERIVATIVES CAUSED APOPTOSIS AND ACTIVATE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HUMAN TUMOR CELLS, vol. 9, no. 21, 24 August 2011 (2011-08-24), pages 7287 - 7291, XP055815922, ISSN: 1477-0520, DOI: 10.1039/C1OB06094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5931B2 (ja) ストレス活性化蛋白質キナーゼ系をモジュレートするためのピリドン誘導体
JP2015232047A (ja) N置換インデノイソキノリン及びその合成
WO2017078405A9 (ko) 글루코코르티코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9537518A (ja) 3,4−二置換クマリン及びキノロン化合物
WO2021178437A1 (en) Glucose triptolide conjugates and uses thereof
WO2018199633A1 (ko) 데커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107730A1 (ko) 화학요법제로써의 합성-바이칼레인-유도체
WO2024039164A1 (ko) 스테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03158A2 (ko) DX2 단백질과 p14/ARF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WO2018174320A1 (ko) 신규한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19035522A1 (ko) 트리아졸로피리딘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50077A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WO2010050783A2 (ko) 스파이로키랄 탄소 골격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7048069A1 (ko) 신규한 피라졸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4051359A1 (ko) 네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5111971A1 (ko) Gpr119 리간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277331A1 (ko) Dyrk1 억제제인 피롤로[3,2-c]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0143919A2 (ko) Il-6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라이노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WO2017150927A1 (ko) Bkca 채널 활성화용 조성물
WO2011074881A2 (ko) 알레르기 질환 감수성 유전자 발현 억제 물질
WO2021194276A1 (ko) 13-하이드록시옥타데카디에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6190616A1 (ko) 벤조옥사졸 또는 벤조티아졸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WO2022092970A1 (ko) 남극-유래 진균 균주 아크레모늄 sf-7394에서 분리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항암 또는 항당뇨용 조성물
WO2024063529A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과 암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되는 mri 조영제
WO2024005506A1 (ko) Nadph 옥시다제 2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47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47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