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375A1 -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375A1
WO2021107375A1 PCT/KR2020/013239 KR2020013239W WO2021107375A1 WO 2021107375 A1 WO2021107375 A1 WO 2021107375A1 KR 2020013239 W KR2020013239 W KR 2020013239W WO 2021107375 A1 WO2021107375 A1 WO 20211073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tton
cap
push button
container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2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주)
Publication of WO20211073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3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05B11/1085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the pump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65D81/3288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dissimilar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push button is pressed, a plurality of discharging means is simultaneously pressed while the push button is not tilted to either side and maintained horizontally, so that the plurality of discharging mea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that operates stably and smoothly and uniformly discharges dissimilar contents to the outside.
  • a lyotropic substance mixing container that can separate and store heterogeneous contents in a single container and then simultaneously discharge and use when necessary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heterogeneous material mixing container of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23306 was disclosed.
  • the prior art inserts and mounts an inner container in an outer container, and mounts one of the pump sets in the inner container, respectively, and others
  • Different cosmetic contents are stored in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ut different types of cosmetic contents can be simultaneously discharged with a single pump so that they can be mixed and used.
  • the first pump set and the second pump set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hrough the pressurization of the button member.
  • the button member is tilted to one side and pressed, the first pump set and the second pump set are There was a problem in use that the discharge amount of different cosmetic contents was not uniformly pressurized, and that the first pump set and the second pump set did not operate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rotatably disposing the anti-tilt ball between the push button and the cap member surrounding the push button, the anti-tilt ball is presse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 the purpose of providing a dispens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dissimilar contents is that the push button is operat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without inclining to either side. hav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irst and second containers in which different kinds of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to the outside, respectively. and a push button for simultaneousl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nd a cap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wherein an anti-tilt ball is formed between the push button and the cap member It provides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dissimilar contents.
  • a ball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button, and an anti-tilt ball is inserted into the ball insertion groove.
  • the ball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long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and anti-tilt balls are disposed respectively.
  • the ball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button.
  • the anti-tilt ball is rotatably formed between the push button and the cap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member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 the push button is made of a button outer cap and a button inner cap
  • the button outer cap is formed with a low-center pressing projection
  • the button inner cap is formed with a low-center press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center pressing projection is inserted.
  • outer cap outlet and inner cap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button outer cap and the button inner cap, and a discharge nozzle having a discharge path in the center passes through the outer cap outlet and is coupled to the inner cap outlet.
  •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re pumps for pump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 the anti-tilt ball rotates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ush button and the cap member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re stably operated, and different types of contents are uniformly It has the effect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re smoothly operated by the push butt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dissimilar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re pump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ump-typ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dissimilar contents includes a first container 10 , a second container 20 , a first discharging means 30 , and a second discharging means 40 .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ush button (50) and a cap member (60).
  • a first content C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10
  • a second content C2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ainer 20 .
  • the first content (C1) and the second content (C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content that doubles the efficacy or effect when mixed with each other.
  •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second container 20 may be formed by a blow molding method.
  •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second container 20 are shown as being in the form of a rigid semi-cylindrical shape that becomes a single cylindrical shape when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second container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ience or the preference or fashion of the buyer.
  • First and second inlets 12 and 2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 and 20, and the first and second inlets 12 and 22 are filled wit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respectively. It serves as an inlet, and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inlet parts 12 and 22, respectively.
  •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second container 20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and the cap member 60 and the closing member 68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2
  • the containers (10, 20) are fixed.
  • the cap member 60 is fixedly coupled while enclosing the first and second inlet portion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 and 20, and is preferably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
  • a discharging means installation part 62 is formed inside the cap member 60, and an inner wall 64 is formed vertically on the outside of the discharging means installation part, and the outer 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64 by a predetermined interval. (66) may be formed.
  • the discharging means installation part 62 of the cap member 60 is fixed while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as shown in FIG. 3 , and the discharging means installing part 62 has the first container
  • the coupling part 62a and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part 62b are formed side by side and are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second container 20, respectively.
  • the closing member 68 is fixedly coupled while enclosing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 portion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 and 20, and it is appropriate that one side has an open cylindrical shape.
  • the first and second vessels 10 and 20 and the cap member 60 or the closing member 68 are shown as being undercut coup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have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screw coupling, coupling of protrusions and grooves, or forced fitting coupling.
  • the container lid 9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cap member 60 .
  • the container lid 90 protects while enclosing the push button 50 ,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member 60 .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ing means 30 i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inlet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 and is pressed by the first container coupling portion 62a of the cap member 60 . It is fixed, and discharges the first contents (C1)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10) to the outside.
  • the first discharging means 30 is preferably a pump for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content to the outside by a pumping action.
  • the first discharge means 30 includes a first housing 31 having a first content inlet 31a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sucti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ntent inlet 31a of the first housing 31 . 32 , a first suction pipe 33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 to suck the first contents C1 into the first housing 31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 .
  • first housing cap 34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31, a first piston support 35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31 to move in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ump, and an outer side of the first piston support 35
  • the first piston 36 f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first stem 37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ston support 35 and the first stem 37 It may be composed of a first spring 38 that elastically supports.
  • the second discharging means 40 is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inlet portion 22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is fix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second container coupling portion 62b of the cap member 60 . and discharges the second contents C2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20 to the outside.
  • the second discharging means 40 is preferably a pump for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a pumping action.
  • the second discharging means 40 includes a second housing 41 having a second content inlet 41a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sucti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ntent inlet 41a of the second housing 41 .
  • a second suction pipe 43 for sucking the second contents C2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20 into the second housing 41,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41
  • a second housing cap 44 for fixing the second housing 41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a second piston support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41 and moving in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ump ( 45)
  • It may be composed of two stems 47 and a second spring 48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stem 47 .
  •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
  • the push button 50 operates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
  • the push button 50 consists of a button outer cap 52 exposed to the outside and directly pressed by the user, and a button inner cap 54 inserted into the button outer cap 52 and pressed by the button outer cap 52 .
  •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button cap 52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64 of the cap member 60,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do.
  • the inner button cap 54 is pressed by the button outer cap 5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outer cap 52, and is coupl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 a low-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is formed on the button outer cap 52 of the push button 50, and a low-center pressing groove 55 is formed on the button inner cap 54, so that the low-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is a low center pressing groove. (55) can be inserted. Accordingly, the pressing point of the button inner cap 54 in contact with the outer button cap 52 is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inner cap button 54, no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p button 54.
  •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push button 50 as a double of the button outer cap 52 and the button inner cap 54, but as shown in FIG. 5, a predetermined downwar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utton outer cap 52, as shown in FIG.
  • the low-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is formed to protrude as much as the length, and the low-center pressing groove 55 is reces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utton inner cap 54, and the low-center pressing projection 53 is pressed with low center of gravity.
  • the button inner cap 54 is pressed by the low center pressure protrusion 53 and the low center pressure groove 55 when the button outer cap 52 is pressed.
  • the portion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end of the low-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center pressing groove 55 becomes the pressing point of the button naecap 54, and the pressing point is the upper end of the button naecap 54 or
  • the button inner cap 54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are formed in the center of a lower position than the coupling part, and the button inner cap 54 is not inclined to either side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do.
  • the low 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end of the button outer cap 52 and the low center pressing groove 55 of the button inner cap 54 bottom surface are It will be appropriate that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button outer cap 5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utton inner cap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as shown in FIG.
  •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53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and the insertion projection (55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low-center pressing groove (55),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projection (55a). It can be fitted into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53a). Accordingly, when the button outer cap 52 is pressed, the button inner cap 54 is effectively pressed by the button outer cap 52 without shaking.
  • the anti-tilt ball 80 is rotatably formed between the push button 50 and the cap member 60, and through this, when the push button 50 is pressed, the push button 50 is stably leveled. It can be pressed while holding it.
  • a long ball insertion groove 56 is formed along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50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inner cap 54 of the push button 50, and the ball inserting groove 56
  • the anti-tilt ball 8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t this time, only a part of the anti-tilt ball 80 is inserted into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 and the remaining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ush button 50 to contact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wall 64 of the cap member 60 . do.
  • the ball insertion grooves 56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inner cap 54 of the push button 50 and formed in plurality.
  • each of the ball insertion grooves 56 is spaced 120°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inner cap 54, and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has 4
  • each of the ball insertion grooves 5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0°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inner cap 54 .
  •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has a groove shape recess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inner cap 54 of the push button 50, and has a bottom surfac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nti-tilt ball 80 can be easily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it has a curved shape.
  • the anti-tilt ball 80 is rotatably formed between the push button 50 and the cap member 60 and rotates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member 60 when the push button 50 is pressed. It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cap member 60 .
  • the anti-tilt ball 80 has a sphe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s well as various other materials.
  •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is formed elongated along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50, separated into two or more by the partition wall 56a, each of the anti-tilt balls 80 may be disposed.
  • a partition wall 56a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so that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is separated into two or more spaces by the partition wall 56a, and each space thus separated
  • each anti-tilt ball 80 forms a layer with each other. While form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member 60 and two or more point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member 60 are brought into contact together. Accordingly, when the push button 50 is pressed, the push button 50 is raised and lower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level more stably without shaking inside the cap member 60 .
  • the ball insertion groove 56 is shown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member 60 in a stat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button 50, Converse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member 60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button 50 .
  •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54a-1 and 54a-2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low-center pressing groove 55 of the button inner cap 54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 40),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54b-1 and 54b-2 are formed inside the button inner cap 54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means 30 and 40.
  • the outer cap outlet (52c) and the inner cap outlet (54c)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button outer cap (52) and the inner cap (54), respectively, and a discharge nozzle (70) having a discharge path (70c) formed in the center It may be coupled with the inner cap outlet (54c) through the outer cap outlet (52c).
  • the discharge nozzle 70 serves as an outlet for discharg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together to the outside, and is coupled to the button inner cap 54 while penetrating the button outer cap 52 so that the button outer cap 52 is a button. It also serves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naecap 54.
  •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naecap 54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cap (57).
  • the upper cap 57 has a thin disk shape, and covers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54b-1 and 54b-2 formed in the button inner cap 54, and is cover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inner cap 54 while being covered.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outer button cap (52).
  • a pressing protrusion through-hole (57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cap (57), so that the low center pressing protrusion (53) of the outer button cap (52) passes through.
  • the upper cap 57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utton inner cap 54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are simultaneously pum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content (C1) and the second container (20)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10) while simultaneously pressurizing the first discharge means (30) and the second discharge means (40) by pressing the push button (50)
  • the second contents (C2) stored in the are discharged together, and the different contents discharged in this way are mixed and used.
  • the low center pressure protrusion 53 of the button outer cap 52 lowers the center pressure of the button inner cap 54 .
  • the bottom of the groove 55 is pressed to move the button inner cap 54 in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and at this time, the pressing point of the button inner cap 54, that is, the low center pressure protrusion 53 )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low-center pressure groove 55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button inner cap 54 or at the center lower tha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utton inner cap 54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means 30 and 40, so that the button Naekaep 54 is lowered in a horizontal state.
  • the anti-tilt ball 80 formed in the button inner cap 54 of the push button 50 rotates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wall 64 of the cap member 60, the cap member 60 is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 and the push button 50 is stably raised and lowered without shaking to either side from the inside of the cap member 60 .
  •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ston supports 35 and 45 lifts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36 and 46 up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piston supports 35 and 45 and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36 , 46) is blocked and the first and second piston supports 35 and 45 and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36 and 46 move upward together.
  • the volum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1 and 41 is increased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and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valves 32 and 42 are lifted by this vacuum pressur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inlet ( 31a, 41a) are open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C1, C2)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 20)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pipes (33, 43)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 31, 41) flows into the interior.
  • first container 12 first inlet portion
  • first discharging means 40 second discharging means
  • cap member 68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내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2 용기와, 상기 제1, 2 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과,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가압하는 누름버튼 및 상기 제1, 2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과 캡부재 사이에는 기울어짐방지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버튼의 가압 시 상기 누름버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의 토출수단을 동시에 누르게 되어 상기 다수의 토출수단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작동되고, 이종의 내용물이 외부로 균일하게 토출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을 처음부터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함께 수용한 후, 유통 또는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내용물이 응고 또는 침전되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각각 다른 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시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각각 배출시켜 직접 혼합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 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의 위험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에 이종 내용물을 격리 저장하여 보관한 후, 필요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토출시켜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액물질 혼합용기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23306호의 이종물질 혼합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외용기 내에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이 내용기에 각각 펌프세트 중 하나를 장착하여 놓고, 이 외용기와 내용기에 서로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저장하여 놓되, 한 번의 펌핑으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버튼부재의 가압을 통해 제1 펌프세트와 제2 펌프세트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튼부재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눌려질 경우 제1 펌프세트와 제2 펌프세트가 균일하게 가압되지 않아 서로 다른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량이 달라지게 되고, 제1 펌프세트와 제2 펌프세트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게 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듀얼 펌프와 상기 듀얼 펌프를 동시에 누르면서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의 중앙 이외의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누름버튼이 쉽게 기울어지지 않면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듀얼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390095호(2005. 07. 18. 공고),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10-1923306호(2018. 11. 28. 공고.), “이종물질혼합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을 감싸는 캡부재 사이에 기울어짐방지볼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 시 상기 기울어짐방지볼이 누름버튼과 캡부재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눌러 작동시키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2 용기와, 상기 제1, 2 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과,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가압하는 누름버튼 및 상기 제1, 2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과 캡부재 사이에는 기울어짐방지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연에는 볼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삽입홈에 기울어짐방지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삽입홈은 누름버튼의 가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구획벽에 의해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각각 기울어짐방지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삽입홈은 누름버튼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어짐방지볼은 누름버튼과 캡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누름버튼의 가압 시 캡부재의 내주연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은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튼외캡에는 저중심가압돌기가 형성되고, 버튼내캡에는 저중심가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저중심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에는 각각 외캡토출구와 내캡토출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로가 형성된 토출노즐이 상기 외캡토출구를 관통하여 내캡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 토출수단은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버튼과 캡부재 사이에 기울어짐방지볼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 시 상기 기울어짐방지볼이 누름버튼과 캡부재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누르게 되어 상기 제1, 2 토출수단이 안정적으로 작동되고, 이종의 내용물이 균일하게 외부로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버튼의 정중앙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상기 누름버튼에 의해 제1, 2 토출수단이 원활하게 작동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2 토출수단이 동시에 펌핑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형 화장품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와,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과, 누름버튼(50) 및 캡부재(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에는 제1 내용물(C1)이 수용되고, 제2 용기(20)의 내부에는 제2 내용물(C2)이 수용된다. 상기 제1 내용물(C1)과 제2 내용물(C2)와 서로 다른 내용물로써, 서로 혼합 사용되었을 때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내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는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서로 밀착되었을 때 하나의 원통 형상이 되는 경질의 반 원통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의성 또는 구매자의 기호 또는 유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2 용기(10, 20)의 일측에는 제1, 2 입구부(12, 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2 입구부(12, 22)는 이종의 내용물이 각각 충전되는 충전 입구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2 입구부(12, 22)에는 각각 제1, 2 토출수단(30, 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캡부재(60)과 마감부재(68)가 결합되어 상기 제1, 2 용기(10, 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캡부재(60)는 제1, 2 용기(10, 20)의 제1, 2 입구부(12, 22)를 감싸면서 고정 결합되며,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캡부재(60)의 내측에는 토출수단 설치부(62)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수단 설치부의 외측에는 내벽(64)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64)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벽(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60)의 토출수단 설치부(6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2 토출수단(30, 40)을 압박하면서 고정시키는데, 상기 토출수단 설치부(62)에는 제1 용기결합부(62a)와 제2 용기결합부(62b)가 나란히 형성되어 각각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결합된다.
상기 마감부재(68)는 제1, 2 용기(10, 20)의 제1, 2 입구부(12, 22)의 반대편을 감싸면서 고정 결합되며, 한쪽이 개방된 원통 형태인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2 용기(10, 20)와 캡부재(60) 또는 마감부재(68)가 언더컷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60)에는 용기뚜껑(9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뚜껑(90)은 누름버튼(50)을 감싸면서 보호하며, 캡부재(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용기(10)의 제1 입구부(12)를관통하여 설치되며, 캡부재(60)의 제1 용기결합부(62a)에 의해 압박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일측에 제1 내용물흡입구(31a)가 형성된 제1 하우징(31)과, 상기 제1 하우징(31)의 제1 내용물흡입구(31a)를 개폐하는 제1 흡입밸브(32)와, 상기 제1 하우징(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내용물(C1)을 제1 하우징(31)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관(33)과, 상기 제1 하우징(3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캡(34)과, 상기 제1 하우징(31) 내측에 형성되어 펌프의 작동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피스톤받침(35)과, 상기 제1 피스톤받침(35)의 외측에 끼워져 제1 하우징(3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 피스톤(36)과, 상기 제1 피스톤받침(35)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스템(37) 및 상기 제1 스템(37)을 탄력 지지하는 제1 스프링(38)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제2 용기(20)의 제2 입구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캡부재(60)의 제2 용기결합부(62b)에 의해 압박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일측에 제2 내용물흡입구(41a)가 형성된 제2 하우징(41)과, 상기 제2 하우징(41)의 제2 내용물흡입구(41a)를 개폐하는 제2 흡입밸브(42)와, 상기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제2 하우징(41)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관(43)과, 상기 제2 하우징(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하우징(41)을 제2 용기(2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캡(44)과, 상기 제2 하우징(41) 내측에 형성되어 펌프의 작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피스톤받침(45)과, 상기 제2 피스톤받침(45)의 외측에 끼워져 제2 하우징(4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피스톤(46)과, 상기 제2 피스톤받침(45)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스템(47)과, 상기 제2 스템(47)을 탄력 지지하는 제2 스프링(4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제1, 2 토출수단(30, 40)을 동시에 가압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는 버튼외캡(52)과 상기 버튼외캡(5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버튼외캡(52)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내캡(54)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의 하부는 캡부재(60)의 내벽(64) 안쪽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작동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상기 버튼내캡(54)은 버튼외캡(52)의 안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버튼외캡(52)에 의해 가압되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단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50)의 버튼외캡(52)에는 저중심가압돌기(53)가 형성되고, 버튼내캡(54)에는 저중심가압홈(55)이 형성되어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가 저중심가압홈(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외캡(52)과 접하는 버튼내캡(54)의 가압 지점은 내캡버튼(54)의 상단이 아닌, 내캡버튼(54)의 중앙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누름버튼(50)을 버튼외캡(52)과 버튼내캡(54)의 이중으로 구성하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의 내부 중앙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저중심가압돌기(5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버튼내캡(54)의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저중심가압홈(55)을 함몰 형성하여,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를 저중심가압홈(55)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버튼외캡(52)의 가압 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와 저중심가압홈(55)에 의해 버튼내캡(54)이 눌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의 단부와 저중심가압홈(55)의 바닥면 사이의 밀착된 부분이 버튼내캡(54)의 가압 지점이 되는데, 상기 가압 지점이 버튼내캡(54)의 상단 또는 버튼내캡(54)과 제1, 2 토출수단(30, 40)의 결합 부분보다 낮은 위치의 정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내캡(54)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직선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내캡(54)이 수평을 이루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튼외캡(52)의 저중심가압돌기(53) 단부와 버튼내캡(54)의 저중심가압홈(55) 바닥면은 밀착되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의 내측 상부면과 버튼내캡의 상부면은 미세하게 일정 간격(d) 이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의 중앙에는 돌기삽입홈(53a)이 형성되고, 상기 저중심가압홈(55)의 바닥에는 삽입돌기(55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55a)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기삽입홈(53a)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외캡(52)의 가압 시 상기 버튼내캡(54)이 흔들리지 않으면서 버튼외캡(52)에 의해 효과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50)과 캡부재(60) 사이에는 기울어짐방지볼(80)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누름버튼(50)의 가압 시 상기 누름버튼(50)이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버튼내캡(54) 외주연에는 누름버튼(50)의 가압 방향을 따라 길게 볼삽입홈(56)이 형성되고, 상기 볼삽입홈(56)의 내측에 기울어짐방지볼(8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기울어짐방지볼(80)은 볼삽입홈(56)에 일부분만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누름버튼(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캡부재(60)의 내벽(64) 내주연에 접촉된다.
상기 볼삽입홈(56)은 누름버튼(50)의 버튼내캡(54)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볼삽입홈(56)이 3개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볼삽입홈(56)은 버튼내캡(54)의 외주연에 120°씩 이격되고, 상기 볼삽입홈(56)이 4개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볼삽입홈(56)은 버튼내캡(54)의 외주연에 90°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삽입홈(56)은 누름버튼(50)의 버튼내캡(54) 외주연에 함몰된 홈 형상으로, 기울어짐방지볼(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어짐방지볼(80)은 누름버튼(50)과 캡부재(6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누름버튼(50)의 가압 시 캡부재(60)의 내주연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면서 상기 캡부재(60)의 표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기울어짐방지볼(80)은 구 형상으로써,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은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삽입홈(56)은 누름버튼(50)의 가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구획벽(56a)에 의해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각각 기울어짐방지볼(8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볼삽입홈(56)의 중간에 구획벽(56a)을 형성하여 상기 구획벽(56a)에 의해 볼삽입홈(56)이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분리된 공간마다 기울어짐방지볼(80)을 배치하여 상기 각각의 기울어짐방지볼(80)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기울어짐방지볼(80)이 서로 층을 이루면서 캡부재(60)의 내주연과 둘 이상의 지점 즉, 캡부재(60)의 내주연 상부와 하부에 함께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누름버튼(50)의 가압 시 상기 누름버튼(50)이 캡부재(60)의 내측에서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도면에서는 상기 볼삽입홈(56)이 누름버튼(5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태로 캡부재(60)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캡부재(60)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누름버튼(50)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내캡(54)의 저중심가압홈(55)의 외측으로 제1, 2 결합부(54a-1, 54a-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과 결합되고, 상기 버튼내캡(54)의 내측으로 제1, 2 토출유로(54b-1, 54b-2)가 형성되어 제1, 2 토출수단(30, 4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외캡(52)과 버튼내캡(54)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캡토출구(52c)와 내캡토출구(54c)가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로(70c)가 형성된 토출노즐(70)이 상기 외캡토출구(52c)를 관통하여 내캡토출구(54c)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노즐(70)은 이종의 내용물이 함께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 역할을 하는 동시에, 버튼외캡(52)을 관통한 상태로 버튼내캡(54)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외캡(52)이 버튼내캡(5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내캡(54)의 상부에는 상캡(57)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캡(57)은 얇은 원판 형상으로써, 버튼내캡(54)에 형성된 제1, 2 토출유로(54b-1, 54b-2)의 상부를 덮게 되며, 상기 버튼내캡(54)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버튼외캡(52)의 내측 하부면에 직접 닿게 된다. 상기 상캡(57)의 중앙에는 가압돌기 관통홀(57a)이 형성되어 버튼외캡(52)의 저중심가압돌기(53)가 관통된다. 물론, 상기 상캡(57)은 버튼내캡(54)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2 토출수단이 동시에 펌핑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누름버튼(50)을 눌러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과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함께 토출시키고, 이와 같이 토출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버튼(50)의 버튼외캡(52)을 가압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의 저중심가압돌기(53)가 버튼내캡(54)의 저중심가압홈(55)의 바닥을 눌러 상기 버튼내캡(54)을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작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버튼내캡(54)의 가압 지점 즉, 저중심가압돌기(53)와 저중심가압홈(55)의 접촉 지점이 버튼내캡(54)의 상단이나, 버튼내캡(54)과 제1, 2 토출수단(30, 40)의 결합 부분보다 낮은 정중앙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버튼내캡(54)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50)의 버튼내캡(54)에 형성된 기울어짐방지볼(80)이 캡부재(60)의 내벽(64)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캡부재(60)의 표면을 타고 이동하게 되어, 상기 누름버튼(50)이 캡부재(60)의 내측에서 어느 한쪽으로 흔들리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과정을 거쳐 누름버튼(50)의 버튼내캡(54)이 제1, 2 토출수단(30, 40)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면 제1, 2 스템(37, 47)과 상기 제1, 2 스템(37, 47)의 하부에 결합된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이 하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제1, 2 피스톤(36, 46)은 제1, 2 하우징(31, 41)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제1, 2 내용물(C1, C2)의 토출통로가 생긴다.
이후, 하측으로 이동하던 제1, 2 스템(37, 47)의 하단이 제1, 2 피스톤(36, 46)을 눌러 상기 제1, 2 피스톤(36, 46)이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2 하우징(31, 4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2 하우징(31, 4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2 흡입밸브(32, 42)가 제1, 2 내용물흡입구(31a, 4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제1, 2 하우징(31, 41)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1, 2 내용물(C1, C2)이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로 나와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의 내부 및 제1, 2 토출유로(52a, 52b)를 통과하여 제1, 2 토출구(54a, 54b)로 토출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1, 2 스템(37, 47)을 탄력 지지하는 제1, 2 스프링(38, 48)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2 스템(37, 47)과 상기 제1, 2 스템(37, 47)의 하측에 결합된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의 하부가 제1, 2 피스톤(36, 46)을 위로 끌어올려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의 틈새가 막히면서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2 하우징(31, 4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제1, 2 흡입밸브(32, 42)가 들리면서 제1, 2 내용물흡입구(31a, 41a)가 개방되어 제1, 2 용기(10, 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1, 2 내용물(C1, C2)이 제1, 2 흡입관(33, 43)을 통해 제1, 2 하우징(31, 41)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함께 토출된 서로 다른 제1, 2 내용물(C1, C2)을 섞어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제1 용기 12: 제1 입구부
20: 제2 용기 22: 입구부
30: 제1 토출수단 40: 제2 토출수단
50: 누름버튼 52: 버튼외캡
54: 버튼내캡 56: 볼삽입홈
60: 캡부재 68: 마감부재
70: 토출노즐 80: 기울어짐방지볼
90: 용기뚜껑

Claims (8)

  1. 내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2 용기;
    상기 제1, 2 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가압하는 누름버튼 및
    상기 제1, 2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과 캡부재 사이에는 기울어짐방지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연에는 볼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삽입홈에 기울어짐방지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삽입홈은 누름버튼의 가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구획벽에 의해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각각 기울어짐방지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삽입홈은 누름버튼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짐방지볼은 누름버튼과 캡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누름버튼의 가압 시 캡부재의 내주연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튼외캡에는 저중심가압돌기가 형성되고, 버튼내캡에는 저중심가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저중심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에는 각각 외캡토출구와 내캡토출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로가 형성된 토출노즐이 상기 외캡토출구를 관통하여 내캡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토출수단은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PCT/KR2020/013239 2019-11-26 2020-09-28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WO202110737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22A KR20210064893A (ko) 2019-11-26 2019-11-26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019-0153622 2019-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375A1 true WO2021107375A1 (ko) 2021-06-03

Family

ID=7613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239 WO2021107375A1 (ko) 2019-11-26 2020-09-28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4893A (ko)
WO (1) WO2021107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711B1 (ko) * 2022-04-15 2024-02-14 펌텍코리아(주) 가압 토출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725A (ja) * 2009-01-30 2010-08-1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容器
KR20150063689A (ko) * 2013-12-02 2015-06-10 펌텍코리아 (주)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US20170348714A1 (en) * 2016-06-01 2017-12-07 Pum-Tech Korea Co., Ltd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KR20180086623A (ko) * 2017-01-23 2018-08-0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80108070A (ko) * 2017-03-24 2018-10-04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5Y1 (ko) 2005-05-06 2005-07-18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KR101923306B1 (ko) 2017-03-24 2018-11-28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725A (ja) * 2009-01-30 2010-08-1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容器
KR20150063689A (ko) * 2013-12-02 2015-06-10 펌텍코리아 (주)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US20170348714A1 (en) * 2016-06-01 2017-12-07 Pum-Tech Korea Co., Ltd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KR20180086623A (ko) * 2017-01-23 2018-08-0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80108070A (ko) * 2017-03-24 2018-10-04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93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08084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WO2012070843A2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5023104A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WO2014112737A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21118025A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WO2011087196A1 (ko)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용기
WO2021187718A1 (ko) 이중 용기
WO2021107375A1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WO2019164065A1 (ko) 이중 용기
US11180304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WO2023027383A1 (ko)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WO2021015467A1 (ko) 이액용기
WO2020059945A1 (ko) 스프레이 펌프
WO2022197126A1 (ko) 용기 장착용 니들 어셈블리
WO2022149759A1 (ko) 내용물 용기
US11034503B1 (en)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WO2018038320A1 (ko) 펌프 용기
WO2021107374A1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WO2011118885A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WO2021261711A1 (ko) 내용물 용기
WO2017073920A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WO2023249256A1 (ko) 친환경 화장품 드로퍼
WO2022055044A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WO2022075532A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WO2016085309A1 (ko) 진공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31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31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