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9461A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9461A1
WO2021029461A1 PCT/KR2019/010329 KR2019010329W WO2021029461A1 WO 2021029461 A1 WO2021029461 A1 WO 2021029461A1 KR 2019010329 W KR2019010329 W KR 2019010329W WO 2021029461 A1 WO2021029461 A1 WO 20210294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threshold
state
subject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3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선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33,13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82239B2/en
Priority to KR1020217021953A priority patent/KR102628105B1/ko
Priority to PCT/KR2019/010329 priority patent/WO2021029461A1/ko
Priority to CN201980094241.8A priority patent/CN113574847B/zh
Publication of WO20210294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94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46Indirect determination of position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Definitions

  •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hange from a state in which the light quantity data acquired after sensing the first proximity of the subject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paration threshold to a state greater than the second separation threshold.
  • the controller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intaining the first proximity state of the subject.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tire processor for converting a mobile terminal into an active state using a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1B and 1C describe basic features of a foldable mobile terminal in an unfolded state.
  • the light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to notify when an event occurs.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so that light output is terminated.
  •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is rea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off, start, end, scrolling, etc., adjusting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entering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151 Commands such as conversion can be input.
  •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ting by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a case in which the display 210 is activated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may occur frequently. For example, when the user's hand unintentionally passes over the mobile terminal 200 while the mobile terminal 200 is placed on a table, the display 210 may be activated against the user's intention. In this cas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is unnecessarily consumed, and the user's attention is also distracted. Similarly, when the depth camera 220 is frequently switched to the active state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220,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unnecessarily consumed.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maintain an active state to obtain light quantity data in real time or at preset time intervals.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ditionally operated through a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that always maintains an active state.
  • the first threshold may include a first proximity threshold and a first spacing threshold
  • the second threshold may include a second proximity threshold and a second spacing threshold.
  • the proximity of a subject can be discriminated twice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s of the proximity sensor.
  • the reason for setting the second threshold in addition to the first threshold is to discriminate the proximity of the subject twice within a wider range of distances. .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FIG. 7.
  • the first separation state may be defined through a change in acquired light quantity data.
  • the first proximity state definition may use a first threshold or a second threshold. Specifically, a first spacing threshold of the first threshold or a second spacing threshold of the second threshold may be used.
  • the first separation state may be defined using the first separation threshold.
  • the first separation state may be defined using the second separation threshold.
  •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tting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first approach state, the first separation state, the second proximity state, and the second separation state are sequentially def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proximity conditions of the subject are satisfied. can do.
  • the maximum amount of light 510 that can be detected is determined. Accordingly, in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ubject approaches a distance L_min or les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ight amount value 510, the size of the detected light amount may not be changed.
  • the light amount data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attern that increases exponentially as the subject approaches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ly, the proximity sensor needs to have a larger difference in threshold for discriminating proximity and separation as the subject approache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roximity threshold 551 and the second separation threshold 552 needs to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ximity threshold 541 and the first separation threshold 542.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riminates two proximity of the subject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proximity sensor may define a first proximity state.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smaller than the second proximity threshold 551 and changes to a state smaller than the first separation threshold 542 , A first separation state of the subject 600 may be defined.
  • the subject 600 After defining the first separation state, when the acquired light quantity data is changed from a state smaller than the first separation threshold 542 to a state larger than the first proximity threshold 541, the subject 600 ) To define a second proximity state.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riminates the proximity of the subject 600 twice.
  • the proximity sensor may define a first proximity state.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greater than the first separation threshold 542 and changes to a state greater than the second proximity threshold 551, the second 1 Can maintain proximity.
  • the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fine a first separation state when the acquired light quantity data is changed to a state greater than the second separation threshold 552 from a state smaller than the second proximity threshold 551. .
  •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first proximity of a subject based on a first threshold, and may sense proximity based on a first threshold or a second threshold.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or that detects a first proximity of a subject based on a first threshold.
  • the present invention can define that the subject is basically in a separated state when setting the reference value.
  • a reference value may be set, and light quantity data may be obtained in a spaced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reference value and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acquired light quantity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oximity threshold, and (S320),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oximity threshold, (S320, Yes) can define a first proximity state have.
  • (S560) when the elapsed time after the reference value is set does not exceed a preset time, (S560, No) additionally acquired light quantity data can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ximity threshol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the step of resetting the reference value (S560, Yes), updating the moving average value, and resetting the reference value (S210, FIG. 3) when the transit time after setting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time (S560, Yes). can do.

Abstract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깊이 카메라, 사용자 손의 정맥 패턴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깊이 카메라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깊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형상을 분별하고, 기 저장된 사용자 정맥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하고, 사용자 인증된 경우, 사용자 손의 3차원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상기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인증 절차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8.10.2019]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직접 터치 없이 사용자의 손 모션을 통해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기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삼차원 깊이 카메라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삼차원 비전(Vision) 기술 기반으로 사용자의 모션(motion)이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도 발전하고 있다. 삼차원 비전(Vision) 기반 UO는 기존 이차원 터치 기반 UI를 보완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어플리케이션에서 오브젝트를 삼차원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할 수 없는 위치에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에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거나 장갑을 끼고 있을 경우 등 터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삼차원 비전(Vision) 기반 제스처 인식 기술이 각광 받고 있다.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깊이 카메라가 활성화하되, 깊이 카메라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무분별하게 활성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깊이 카메라,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시간 동안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깊이 카메라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는 광을 조사하고, 피사체에 반사된 광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광량 데이터의 이동 평균 값을 이용하여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값 보다 작은 제1 트레숄드 및 상기 기준 값과 상기 제1 트레숄드 사이 값인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하여 피사체의 근접 및 이격을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는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평균 값을 획득하고, N+1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기 설정 값 이상 차이 나는 경우, 상기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에 대응하여 획득한 이동 평균 값을 상기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는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이전에 연속적으로 기 설정 개수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평균하여 상기 이동 평균 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트레숄드는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 제1 근접 트레숄드 및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고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제1 이격 트레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레숄드는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 제2 근접 트레숄드 및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고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제2 이격 트레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은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와 차이는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와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제1 트레숄드 또는 상기 제2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값을 설정한 후 상기 기 설정 시간 이내에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깊이 카메라가 활성된 후 획득한 깊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형상을 기 설정 시간 이상 분별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깊이 카메라를 비활성 시키고, 이동 평균 값을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깊이 카메라를 활성 시킨 경우, 상기 깊이 카메라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시간 동안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터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깊이 카메라를 조건부로 작동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활성 상태 전환하거나 깊이 카메라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되,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게 디스플레이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거나 깊이 카메라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물리적 터치 없이 이동 단말기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전체 프로세서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의 기준 값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의 제1 및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하여 디바이스를 웨이크업 시키는 프로세서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근접 센서에서 설정되는 값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의 거리에 대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하는 광량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제1 및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0은 제1 및 제2 트레솔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는 펼쳐진 상태의 폴더블 방식의 이동 단말기에서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151)를 덮는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151)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1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143)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도 1에 도시된 카메라(121) 및 도 2A에 도시된 카메라(121a))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일정 거리이내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디텍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카메라를 깊이 카메라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깊이 카메라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2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번째 방안은, 멀티 카메라(또는 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을 포착하고,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두번째 방안은, 카메라 모듈에 심도 센싱(Depth sensing)을 위한 별도의 센서를 탑재하는 방식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SL(Structured Light) 및 ToF(Time of Flight) 방식이 적용된다.
전술한 SL 방식은, 직선이나 격자 무늬 등 특정 패턴의 레이저를 촬영 대상에 방사한 후 대상 표면의 모양에 따라 패턴이 변형된 정보를 분석한다.  나아가, 깊이 정보를 계산한 후, 이미지 센서가 촬영한 사진과 합성하여 3D 기반의 촬영 결과를 도출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특정 패턴을 송출하는 레이저 적외선(IR) 프로젝터, 적외선 심도 센서, 이미지 센서 및 3D 프로세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ToF 방식은, 레이저가 촬영 대상에 갔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깊이 정보를 계산한 후, 이미지 센서가 촬영한 사진과 합성하여 3D 기반의 촬영 결과를 도출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레이저 적외선(IR) 프로젝터, 수신 센서, 이미지 센서 및 3D 프로세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물리적 터치 없이 이동 단말기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0), 피사체(300)를 촬영하여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깊이 카메라(220) 및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근접 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10)는 활성 상태에서 비주얼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비활성 상태에서는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10)는 비활성 상태에서 비주얼 정보를 제한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10)는 비활성 상태에서 일 영역에 시계를 나타내는 비주얼 정보를 제한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깊이 카메라(210)는 피사체(300)의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깊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깊이 카메라(210)은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깊이 카메라(210)의 종류는 TOF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깊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피사체(300)의 근접 또는 이격을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피사체(300)의 구체적인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가 아니라, 근접과 이격 만을 분별하는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광을 조상하고, 피사체(300)에 반사된 광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광량 데이터가 기 설정 값 보다 큰 경우, (즉, 큰 광량을 수광한 경우) 피사체(300)가 근접 상태에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광량 데이터가 기 설정 값 보다 작은 경우, (즉, 작은 광량을 수광한 경우) 피사체(300)가 이격 상태에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구체적인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가 근접 상태에 있는지 또는 이격 상태에 있는지를 선택적으로 구분하는 구분하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230)는 획득하는 정보가 구체적이지 않아 깊이 카메라(210) 보다 적은 에너지로 구동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230)를 계속 사용하고, 깊이 카메라(210)를 조건부로 사용하는 것이 근접 센서(230)를 사용하지 않고 깊이 케메라(210)를 계속 사용하는 것 보다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은 디스플레이(210)가 비활성 상태에서 근접 센서(230)를 통해 피사체(900)의 근접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b)는 피사체(300)의 근접을 감지한 후 디스플레이(310)가 활성 생태로 전환되어 그래픽 인터페이스(211)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인터페이스(211)는 깊이 카메라(2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손의 모션과 이동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깊이 카메라(220)가 비활성 상태일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깊이 카메라(22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어 깊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깊이 카메라(220)는 근접 센서(230)를 통해 피사체(300)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조건부로 활성되어 깊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근접 센서(220)를 통해 디스플레이(210)를 활성 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게 디스플레이(210)가 활성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탁자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의도 하지 않게 이동 단말기(200) 상을 지나는 경우, 디스플레이(210)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게 활성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며, 사용자의 주의력 역시 흩트릴 수 있다. 마찬 자기로, 근접 센서(220)를 통해 깊이 카메라(220)가 빈번히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접 센서(220)를 통해 디스플레이(210) 및/또는 깊이 카메라(220)를 활성 시키되,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게 디스플레이(210) 및/또는 깊이 카메라(220)가 활성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근접 센서(220)를 통해 피사체(300)의 2회 근접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210) 및/또는 깊이 카메라(220)를 활성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접 센서(230)를 통해 피사체(300)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210) 및/또는 깊이 카메라(220)를 활성 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한된 시간 내에 근접 센서(230)를 통해 피사체(300)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210) 및/또는 깊이 카메라(220)를 활성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근접 센서(220)를 통해 피사체(300)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전체 프로세서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기초로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S210)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고정된 기준 값을 가지고 있지 않고, 상황에 따라 기준 값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기준 값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는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설정된 기준 값을 기초하여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S220) 여기서,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는 각각 피사체의 근접 및 이격을 분별하는 분별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트레숄드는 상기 기준 값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트레숄드는 제1트레숄드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근접 센서가 획득하는 광량 데이터는 피사체가 근접 할수록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가 근접 하지 않는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 값이 작지만, 피사체가 근접한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는 값이 클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값은 피사체가 근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값으로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트레숄드는 피사체가 더 많이 근접한 경우 근접 상태로 정의하는 분별 값으로 상기 제1 트레숄드보다 값이 클 수 있다.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에 관련하여 도 5 및 도 7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기준 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값을 기초하여 제1 및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한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값 변화를 통해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할 수 있다. (S230) 여기서, 피사체의 2회 근접은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이 순차적으로 포함된 조건일 수 있다. 본 발명이 근접 센서의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접근을 분별하는 실시예는 도 7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통해 피사체의 2회 근접를 분별한 경우, 이동 단말기를 활성 상태로 전환 할 수 있다. (S240)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활성 상태는 디스플레이가 비주얼 그래픽을 출력하는 상태 및 깊이 카메라가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의 기준 값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3의 S21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항상 활성 상태를 유지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 시간 간격으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모션 센서를 통해 조건부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항상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센서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N 번째 광량 데이터를 획득하고(S211), N번째 광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동 평균 값을 회득할 수 있다. (S212) 여기서 N 번째 과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획득한 이동 평균 값은, N 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이전에 연속적으로 기 설정 개수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평균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평균 값은 근접 센서가 최신으로 획득한 기 설정 개수의 광량 데이터의 평균한 값으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새로 계산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평균 값을 계산하기 위해 최신으로 획득 5개의 광량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 센서가 5번째 광량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첫 번째부터 5 번째 광량 데이터를 평균하여 이동 평균 값을 계산하고, 6 번째 광량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두 번째부터 6 번째 광량 데이터를 평균하여 이동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이다.
본 발명은 N 번째 광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동 평균 값을 획득한 후, N+1번째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213)
본 발명의 N+1 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N 번째 광량 데이터가 반영된 이동 평균 값을 비교하고, (S214) 기 설정 값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S214, Yes) N 번째 광량 데이터가 반영된 이동 평균 값을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15) 이동 단말기가 감지하는 주변 환경이 변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근처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광량 데이터가 급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광량 데이터가 급변하는 경우, 피사체의 근접을 판단하기 위한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N 번째 광량 데이터가 반영된 이동 평균 값과 N+1 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광량 데이터가 급변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평균 값이 200에 대응되었는데 다음에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230을 넘어서는 250값에 대응되는 경우,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광량 데이터가 급변한다 판단하고, 변한 광량 데이터 이전에 획득한 이동 평균 값 200을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값은 이하 설명하는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 값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N+1 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N 번째 광량 데이터가 반영된 이동 평균 값과 차이가 크지 않는 경우, (S214, No) 기준 값을 따로 설정하기 않고, N+1 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이 이동 평균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216, S212)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연속적으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각각에 대응하여 이동 평균 값을 새로이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새로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이동 평균 값과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피사체의 근접 여부를 분별할 필요가 없는바 새로이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동 평균 값을 새로이 계산할 수 있다. 다반,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새로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이동 평균 값과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 피사체의 근접 여부를 분별할 필요가 있는바 이동 평균 값을 새로이 업데이트 하지 않고, 기존 업데이트된 이동 평균 값을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준 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서 주변환경 요인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근접 센서가 고정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근접을 판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에서 광을 조사하는 부분에 이물질이 낀 경우, 반사되는 광량 데이터는 피사체의 근접과 무관하게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주변광이 달라지는 경우 근접 센서가 인지하는 광량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연속적으로 이동 평균 값을 계산하되, 광량 데이터에 큰 변화가 있는 시점에 이동 평균 값을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값으로 피사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트레숄드를 설정하여, 획득한 광량 데이터에서 피사체의 근접 외에 다른 주변환경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의 제1 및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3의 S22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설정된 기준 값을 기준으로 트레숄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숄드는 피사에의 근접 여부를 직접적으로 분별하는 분별 값일 수 있다. 기준 값은 근처에 피사체가 없는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값은 피사체가 근접 했을 때 획득한 광량 데이터 보다 작다. 트레숄드는 피사체가 근전 센서와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분별하는 분별 값이므로, 기준 값 보다 크게 설정 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설정된 기준 값에 일정 값을 더하여 트레숄드를 설정할 수 잇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트레숄드를 설정할 때 근접 트레숄드와 이격 트레숄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트레숄드는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근접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피사체가 근접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마찬 가지로,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이격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피사체가 이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지만 이격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기존의 상태를 유지한다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기준 값을 설정할 때, 피사체가 이격 상태에 존재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기준 값을 설정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경우,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피사체가 근접 상태에 존재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근접 트레숄드 보다는 작지만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경우 상태 정의를 근접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마찬 가지로, 기준 값을 설정한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이격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피사체가 이격 상태에 존재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격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이격 트레숄드 보다 크지만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경우 상태 정의를 이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정된 기준 값을 기준으로 제1 트레숄드를 설정하고, (S221) 제1 트레숄드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할 수 있다. (S222) 다만, 제1 트레숄드와 제2 트레숄드는 기준 값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값이므로, 제2 트레숄드를 설정 후 제1 트레숄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트레숄드와 제2 트레숄드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트레숄드와 제2 트레숄드는 각각 근접 트레숄드와 이격 트레숄들르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숄드는 제1 근접 트레숄드와 제1 이격 트레숄드를 포함하고, 제2 트레숄드는 제2 근접 트레숄드와 제2 이격 트레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접센서의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트레숄드 외에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하는 이유는(또는, 제2 트레숄드 외에 제1 트레숄드를 설정하는 이유는) 보다 다양한 거리 범위 내에서 피사체의 2회 근접를 분별하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7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서,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하여 디바이스를 웨이크업 시키는 프로세서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다. 구체적으로, 도 6는 도 3의 S23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광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피사체의 근접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접 센서가 기준 값을 설정하기 이전을 이격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기준 값을 설정하기 이전 단계는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는 단계로 이동 단말기가 감지하는 주변 환경에 큰 변화가 없는 단계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감지하는 주변 환경에 변화가 없는 단계는 인접 위치에서 사용자가 모션이 감지되진 않는 단계로 이격 상태로 정의 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설정된 기준 값에 기초하여 제1 트레숄드 및 제 2트레숄드를 설정한 후 연속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변화를 감지한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격 상태에서 광량 데이터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231) 여기서 제1 근접 상태 정의는 제1 트레숄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레숄드의 제1 근접 트레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근접 상태 정의는 제2 트레숄드가 이용될 필요가 없다. 제1 트레숄드를 이용하는 경우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 먼 거리에서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 변화를 통해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231) 여기서 제1 근접 상태 정의는 제1 트레숄드 또는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레숄드의 제1 이격 트레숄드 또는 제2 트레숄드의 제2 이격 트레숄드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이동 단말기에 멀리서 근접한 경우 제1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손이 이동 단말기에 가까이에서 근접한 경우 제2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 변화를 통해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233) 여기서 제2 근접 상태 정의는 제1 트레숄드 또는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근접 트레숄드 또는 제2 근접 트레숄드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1 이격 상태가 정의된 경우, 제1 근접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1 이격 상태가 정의된 경우, 제2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한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 변화를 통해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234) 여기서 제2 이격 상태 정의는 제1 트레숄드 또는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격 트레숄드 또는 제2 이격 트레숄드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근접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가 정의된 경우, 제1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근접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가 정의된 경우, 제2 이격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값을 설정한 후, 기 정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제1 접근 상태, 제1 이격 상태, 제2 근접 상태 및 제2 이격 상태로 정의한 경우, 피사체의 2회 근접 조건이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근접 센서에서 설정되는 값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연속 적으로 광량 데이터(400)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광량 데이터(400)가 연속 적으로 획득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사실상 기 설정 시간 간격으로 획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피사체가 가까울수록 감지하는 광량 데이터가 커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감지할 있는 최대 광량 값(510)이 존재한다. 따라서, 피사체가 최대 광량 값(510)에 대응되는 거리 이하로 접근하더라도 획득하는 광량 값이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3cm 거리에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 획득하는 광량 데이터가 최대 광량 값(510)에 대응되는 경우, 피사체가 3cm 거리 이하에서는 거리가 변화되더라도 근접 센서가 획득하는 광량 데이터가 가변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400)를 이용하여 이동 평균 값(520)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평균 값은 기 설정 개수의 최신 광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되며, 광량 데이터를 새로이 획득함에 따라 이동 평균 값(520)은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N번째 광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동 평균 값(520)을 연산한 후, N+1 번째 광량 연산된 후에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이동 평균 값(520)과 기 설정 값(d) 이상 차이 나는 경우, N번째 광량 데이터를 반영하여 연산된 이동 평균 값(520)을 기준 값(5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광량 데이터(400)를 연속적으로 획득하며 이동 평균 값(520)를 갱신하다가, t1시점에 들어온 광량 데이터(400) 이동 평균 값(520)과 기 설정 값(d1) 이상 차이가 나자, t1 시점에 이동 평균 값(520)을 기준 값(530)으로 설정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t1 시점 이전에 이동 평균 값(520)은 새로이 획득한 광량 데이터(400)를 반영하여 갱신되는 특징이 있지만, t1 시점 이후에 설정된 기준 값(530)은 갱신되지 않고 t2 시점 이후 다시 이동 평균 값(520)을 연산하기 전까지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은 설정된 기준 값(530)을 기준으로 제1 트레숄드(540)와 제2 트레숄드(550)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트레숄드(540)은 제1 근접 트레숄드(541)과 제1 이격 트레숄드(542)를 포함할수 있으며, 제2 트레숄드(550)는 제2 근접 트레숄드(551)와 제2 이격 트레숄드(5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격 트레숄드(542)는 기준 값(530)과 기 설정 값(d2) 차이 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근접 트레숄드(541)는 제1 이격 트레숄드(542)와 기 설정값(d3) 차이 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격 트레숄드(552)는 기준 값(530)과 기 설정 값(d4) 차이 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는 제2 이격 트레숄드(552)와 기 설정 값(d5) 차이 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근접 트레숄드(551)가 가장 큰 값을 가지고, 제2 이격 트레숄드(552), 제1 근접 트레숄드(541),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및 기준 값(530)가 순차적으로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근접 트레숄드(551)는 최대 광량 값(510) 보다 작게 설정되야 한다. 또한, 제2 근접 트레숄드(551)와 제2 이격 트레숄드(552)의 차이(d5)는 제1 근접 트레숄드(541)과 제1 이격 트레숄드(542)의 차이(d3)보다 크게 설정 됨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피사체의 거리에 대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하는 광량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광을 조사하고, 피사체에 반사된 광량을 감지하여 피사체의 근접 여부를 분별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피사체가 근접 센서에 근접할수록 감지하는 광량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광량 값(510)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피사체가 최대 광량 값(510)에 대응되는 거리(L_min) 이하로 근접하더라도 감지하는 광량의 크기는 가변 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피사체가 최대 광량 값(510)에 대응되는 거리(L_min) 이상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감지하는 광량 데이터는 피사체가 근접 센서에 근접할수록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인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피사체가 근접 할수록 근접과 이격을 분별하는 트레숄드의 차가 클 필요가 있다. 즉, 제2 근접 트레숄드(551)와 제2 이격 트레숄드(552)의 차가 제1 근접 트레숄드(541)와 제1 이격 트레숄드(542)의 차보다 클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제1 트레숄드(540)과 제2 트레숄드(550)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근접를 분별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0 내지 도 14는 제1 및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은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 트레숄드(540)와 제2 트레숄드(550)를 근접 센서(500)와 거리에 대응하여 표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이동 평균 값(520)을 갱신하다가, 새로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기 설정 값(d1) 이상 차이 나는 경우 이동 평균 값(520)을 갱신하지 않고 기준 값(510)으로 고정할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기준 값(510)을 기초하여 제1 트레숄드(540)와 제2 트레숄드(550)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트레숄드(540)은 기준 값 보다 크게 설정되며, 제2 트레숄드(550)는 제1 트레숄드(540)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마, 제2 트레숄드(550)은 근접 센서(500)가 최대로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광량 값(510)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피사체(6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광량 데이터를 획득하 수 있으며,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제1 트레숄드(540) 및 제2 트레숄드(550)를 비교하여 피사체(600)의 2회 근접을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피사체(600)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일 실시예를 도 10을 통해 살펴본다. 피사체(600)가 근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600)의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1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600)의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 되는 경우, 피사체의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피사체의 2회 근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피사체(600)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 11을 통해 살펴본다. 피사체(600)가 근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큰 상태로 가변 되는 경우,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2 이격 트레숄드(552)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로 가벼 되는 경우, 제1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근접 센서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근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큰 상태에서, 제2 이격 트레숄드(552)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피사체의 2회 근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피사체(600)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 12을 통해 살펴본다. 피사체(600)가 근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큰 상태로 가변 되는 경우,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2 이격 트레숄드(552)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큰 상태에서, 제2 이격 트레숄드(552)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피사체의 2회 근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피사체(600)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 13을 통해 살펴본다. 피사체(600)가 근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큰 상태로 가변 되는 경우,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2 이격 트레숄드(552)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로 가벼 되는 경우, 제1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근접 센서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1이격 트레숄드(542)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피사체의 2회 근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피사체(600)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 11을 통해 살펴본다. 피사체(600)가 근접하여 근접 센서가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 되는 경우,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1 근접 트레숄드(541) 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근접 센서가 제1 이격 트레숄드(542)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근접 트레숄드(551)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근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551) 보다 큰 상태에서, 제2 이격 트레숄드(552)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피사체의 2회 근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0은 제1 및 제2 트레솔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2회 근접을 분별하는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제1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제1 트레숄드 또는 제2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5는 제1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준 값을 설정할 때 기본적으로 피사체가 이격 상태에 있음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값을 설정하고, 이격 상태에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310) 본 발명은 기준 값을 설정하고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이상인지 분별하고, (S320) 제1 근접 트레숄드 이상인 경우, (S320, Yes)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330) 본 발명은 기준 값을 설정하고 획득한 괄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S32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지난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어서는지 분별할 수 있다. (S340) 기준 값 설정 이후 지난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어서지 않는 경우, (S340, No)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데이터를 제1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지난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어서는 경우, (S34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에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1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하거나, 제2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도 16은 제1 근접 상태 정의 후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S350)를 제2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S360) 제1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이하이고, (S360, Yes) 제1 이격 트레숄드 이하인 경우, (S370, Yes)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380) 제1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이하이지만, (S360, Yes) 제1 이격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S37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39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미만인 경우, (S390, No) 제1 근접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2 근접 트레숄드 및 제1 이격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이상인 경우, (S39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S360, No)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400)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이하인 경우 (S410, Yes) 제1 이격 상태를 정의 할 수 있다. (S420) 다만,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S41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과 기 설정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S43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 (S430, No) 추가적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2 이격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이다. 다만,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은 경우, (S43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에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1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제2근접 상태를 정의하거나, 제2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를 어느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정의 했느냐에 따라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트레숄드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제1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경우, 제1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S380 단계 이후,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에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S440) 제1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S450) 본 발명은 도 16의 S380 단계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이상인 경우, (S450, Yes)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460) 본 발명은 도 16의 S380 단계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S45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을 기 설정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S47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 (S470, No) 추가적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1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이다. 다만,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은 경우, (S47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 (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경우, 제1 트레숄드 및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S420 단계 이후,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를 정의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S480)를 제1 이격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S490) 제1 이격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이상이고, (S490, Yes) 제2근접 트레숄드 이상인 경우, (S500, Yes) 제2 근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510) 제1 이격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이상이지만, (S490, Yes) 제2 근접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S50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52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미만인 경우, (S520, No) 제1 이격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1 이격 트레숄드 및 제2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이상인 경우, (S52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이격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S490, No) 제1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530)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이상인 경우 (S540, Yes) 제2 근접 상태를 정의 할 수 있다. (S550) 다만, 본 발명은 제1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1 근접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S54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과 기 설정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S56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 (S560, No) 추가적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1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이다. 다만,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은 경우, (S56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근접 상태에서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1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제2이격 상태를 정의하거나, 제2 트레숄드를 기준으로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2 근접 상태를 어느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정의 했느냐에 따라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트레숄드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은 제1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 정의 후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 17의 S460 단계 이후 또는 도 18의 S550 단계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S350)를 제2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S570) 제2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 이하이고, (S570, Yes) 제1 이격 트레숄드 이하인 경우, (S580, Yes)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590) 제2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 이하이지만, (S570, Yes) 제2 이격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S58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60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미만인 경우, (S600, No) 제2 근접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2 근접 트레숄드 및 제1 이격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 이상인 경우, (S60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근접 상태에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근접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S570, No) 제2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610) 본 발명은 제2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이하인 경우 (S620, Yes) 제2 이격 상태를 정의 할 수 있다. (S630) 다만, 본 발명은 제1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보다 큰 경우 (S62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과 기 설정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S64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 (S640, No) 추가적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2 이격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이다. 다만,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은 경우, (S640, Yes)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제2 트레숄드를 이용하여 제2 근접 상태 정의 후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의 S510 단계 이후, 본 발명은 제2 근접 상태에서 광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S640) 제2 이격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있다. (S650) 본 발명은 도 18의 S510 단계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이상인 경우, (S650, Yes) 제2 이격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S660) 본 발명은 도 18의 S510 단계 이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제2 이격 트레숄드 보다 작은 경우, (S650, No)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을 기 설정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S670)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 (S670, No) 추가적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제1 근접 트레숄드와 비교할 수 이다. 다만, 본 발명은 기준 값 설정 이후 도과 시간이 기 설정 시간을 넘은 경우, (S670, Yes) 기준 값을 리셋 하고, 이동 평균 값을 갱신하며 기준 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 (S210, 도 3)로 이동 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깊이 카메라;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시간 동안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면, 상기 깊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깊이 카메라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광을 조사하고, 피사체에 반사된 광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광량 데이터의 이동 평균 값을 이용하여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값 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1 트레숄드 및 상기 제1 트레숄드 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2 트레숄드를 설정하여 피사체의 근접 및 이격을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평균 값을 획득하고,
    N+1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기 설정 값 이상 차이 나는 경우, 상기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에 대응하여 획득한 이동 평균 값을 상기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N번째 획득한 광량 데이터와 이전에 연속적으로 기 설정 개수 획득한 광량 데이터를 평균하여 상기 이동 평균 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숄드는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 제1 근접 트레숄드 및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고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제1 이격 트레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레숄드는
    근접 상태를 정의하는 제2 근접 트레숄드 및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고 이격 상태를 정의하는 제2 이격 트레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와 차이는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와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첫 번째 이격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1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이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을 감지 후 획득한 광량 데이터가 상기 제2 이격 트레숄드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근접 트레숄드보다 큰 상태로 가변되는 경우, 피사체의 두 번째 근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값을 설정한 후 상기 기 설정 시간 이내에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기준 값을 리셋하고 이동 평균 값을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깊이 카메라가 활성된 후 획득한 깊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형상을 기 설정 시간 이상 분별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깊이 카메라를 비활성 시키고, 이동 평균 값을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깊이 카메라를 활성 시킨 경우, 상기 깊이 카메라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피사체의 근접을 분별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시간 동안 피사체의 첫 번째 근접, 첫 번째 이격, 두 번째 근접 및 두 번째 이격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CT/KR2019/010329 2019-08-13 2019-08-13 이동 단말기 WO20210294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33,139 US11682239B2 (en) 2019-08-13 2019-08-13 Mobile terminal
KR1020217021953A KR102628105B1 (ko) 2019-08-13 2019-08-13 이동 단말기
PCT/KR2019/010329 WO2021029461A1 (ko) 2019-08-13 2019-08-13 이동 단말기
CN201980094241.8A CN113574847B (zh) 2019-08-13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0329 WO2021029461A1 (ko) 2019-08-13 2019-08-13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461A1 true WO2021029461A1 (ko) 2021-02-18

Family

ID=7457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329 WO2021029461A1 (ko) 2019-08-13 2019-08-1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82239B2 (ko)
KR (1) KR102628105B1 (ko)
WO (1) WO202102946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462A (ko) * 2009-09-04 201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근접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30097284A (ko) * 2012-02-24 2013-09-03 김철환 동작인식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30122213A (ko) * 2012-04-30 2013-11-07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광학 근접 cmos 센서, 광학 근접 cmos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방법
WO2014168558A1 (en) * 2013-04-11 2014-10-16 Crunchfish Ab Portable device using passive sensor for initiating touchless gesture control
KR101675830B1 (ko) * 2015-09-21 2016-11-15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시각장애인용 월패드
CN107341473A (zh) * 2017-07-04 2017-11-10 深圳市利众信息科技有限公司 手掌特征识别方法、手掌特征识别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0716A1 (en) * 2003-01-31 2004-08-05 Jeffrey Ho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recording images of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KR20100136649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2547054B1 (ko) * 2016-07-29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462A (ko) * 2009-09-04 201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근접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30097284A (ko) * 2012-02-24 2013-09-03 김철환 동작인식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30122213A (ko) * 2012-04-30 2013-11-07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광학 근접 cmos 센서, 광학 근접 cmos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방법
WO2014168558A1 (en) * 2013-04-11 2014-10-16 Crunchfish Ab Portable device using passive sensor for initiating touchless gesture control
KR101675830B1 (ko) * 2015-09-21 2016-11-15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시각장애인용 월패드
CN107341473A (zh) * 2017-07-04 2017-11-10 深圳市利众信息科技有限公司 手掌特征识别方法、手掌特征识别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74847A (zh) 2021-10-29
US20220157082A1 (en) 2022-05-19
KR20220044893A (ko) 2022-04-12
KR102628105B1 (ko) 2024-01-23
US11682239B2 (en)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3036A1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WO2016167483A1 (ko)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WO2016195191A1 (en) Mobile terminal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50636A1 (ko)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WO2015190641A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9300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07101A1 (ko)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94972A1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WO201612978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30212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35955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30236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18591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74615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31747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07200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WO2018079869A1 (ko) 이동 단말기
WO2020171342A1 (ko) 외부 객체의 정보에 기반하여 시각화된 인공 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7039064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29461A1 (ko) 이동 단말기
WO2020166740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33809A1 (ko) 이동 단말기
WO2020171295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66736A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16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16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