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0792A1 -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0792A1
WO2021010792A1 PCT/KR2020/009459 KR2020009459W WO2021010792A1 WO 2021010792 A1 WO2021010792 A1 WO 2021010792A1 KR 2020009459 W KR2020009459 W KR 2020009459W WO 2021010792 A1 WO2021010792 A1 WO 20210107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attery
hole
safety vent
mark
hole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94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한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7/613,29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223971A1/en
Priority to EP20839713.3A priority patent/EP3958340A4/en
Priority to JP2021559681A priority patent/JP7239242B2/ja
Priority to CN202080036207.8A priority patent/CN113826257A/zh
Publication of WO20210107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07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battery.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having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 a jelly-roll type (wound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long sheet-shaped anode and cathode are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anodes and cathodes cut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interposed with the separator. Stacked (stacked) electrode assemblies sequentially stacked.
  • the jelly-roll type and the stack type are mixed.
  •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in which a predetermined unit of anodes and cathodes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re sequentially wound on a separation film has been developed.
  • such electrode assemblies are accommodated in a pouch case, a cylindrical can, and a rectangular case to manufacture a battery.
  • cylindrical batteries are easy to manufacture and have high energy density per weight, and are therefore used as energy sources for various devices ranging from portable computers to battery vehicles.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 the cylindrical battery 100 accommodates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120 in a cylindrical case 130, injects an electrolyte into the cylindrical case 130, and then at the open top of the cylindrical case 130. It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top cap 140.
  •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120 is a structure in which an anode 121, a cathode 122, and a separator 123 are stacked and wound in a round shape, and a cylindrical center pi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which is a winding core thereof. (150) is inserted.
  • the center pin 150 functions as a path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for discharging gas generated by internal reactions during charge/discharge and operation.
  •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100 undergoes oxidation and decomposition reactions of an electrolyte solution while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o that the life of the cylindrical battery 100 is rapidly reduced.
  •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100 structurally cannot exchange or add an electrolyte.
  •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ylindrical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battery capabl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cylindrical battery by adding an electrolyte.
  • the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cap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p, a safety vent, and a current blocking memb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afety vent Hole marks can be formed.
  • the upper cap may include an exhaust port.
  •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current blocking member.
  • the exhaust port, the hole mark, and the opening may be positioned in a line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opposite to gravity.
  • the top cap may contact the safety vent along the edge of the safety vent.
  • the hole mark may be formed on the edge.
  • the hole mark may be applied with a dye visible through the exhaust port.
  • the dye may be a fluorescent dye.
  • the top cap may include two or more of the exhaust ports.
  • It may include two or more of the hole marks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ports.
  • a notch may be formed in the hole mark.
  • a dye may be applied to the notch.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battery in which an electrolyte is add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omprising: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hole mark; Inserting an electrolyte injection tube into the through hole;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tube; Remov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tube; And sealing the through hole.
  •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may penetrate the hole mark whil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based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opposite to gravity.
  • the angle may be 50 degrees or less.
  • the through hole may be sealed by laser welding.
  • the through hole may be sealed with silicone.
  • the cylindrical batter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life of the cylindrical battery because an electrolyte may be additionally injected.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afety vent of FIG. 2.
  • FIG. 4 and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at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of FIG. 2 passes through the cap assembly.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ap assembly of FIG. 6.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200 inserts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240 into the metal can 230 and mounts the cap assembly 210 on the open top of the metal can 230.
  • the cap assembly 210 may include an upper cap 211, a safety vent 212, a CURRENT INTERRUPTIVE DEVICE 213, and a gasket 215.
  • the upper cap 2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terminal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200 and an exhaust port 214 is perforated.
  • the upper cap 2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afety vent 212 along the edge of the safety vent 212.
  • the safety vent 212 may have a predetermined notch 222 to be ruptured by the high-pressure gas of the cylindrical battery 200.
  • the safety vent 212 maintains a structure protruding downward when the cylindrical battery 200 operates normally. However, when gas is generated inside the cylindrical battery 200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the safety vent 212 may be ruptured while protruding upward to discharge the internal gas.
  • the current blocking member 213 may block current and relieve internal pressure when the cylindrical battery 200 operates abnormally.
  • the current blocking member 213 may be mounted in a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240 and the safety vent 212.
  • the current blocking member 213 may have an opening 217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njection tube 50 may pass.
  • the gasket 215 may be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p 211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upper cap 211 acting as a positive terminal and the metal cap 230 acting as a negative terminal.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afety vent of FIG. 2.
  • the safety vent 212 may display a hole mark 216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may pass.
  • the position of the hole mark 21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med at an edge where the upper cap 211 and the safety vent 212 are in contact.
  •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 the hole mark 216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top cap 211 contacts the safety vent 212 so that the safety vent 212 is not deformed by the pressure.
  • FIG. 4 and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at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of FIG. 2 passes through the cap assembly.
  • an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having a shape like an injection needle may pass through the exhaust port 214 and pass through the hole mark 216 and the opening 217.
  • the exhaust port 214, the hole mark 216, and the opening 217 may be formed in a line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dashed arrow in FIG. 4)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opposite to gravity.
  •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may pass through the cap assembly 2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opposite to gravity.
  •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at a predetermined angle ⁇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200 based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dotted arrow in FIG. 4)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 Can be inserted in a tilted state.
  •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passes through the exhaust port 214, the hole mark 216, and the opening 217, but the angle ⁇ may be formed to be 50 degrees or less. If the angle ⁇ exceeds 50 degrees,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may deform the structure of the safety vent 212, which is not preferable. Howev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afety vent 212, the angle ⁇ may exceed 50 degrees.
  •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tube 50,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using a separate mechanism. Can be formed.
  • the gasket 215 is mounted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upper cap 211 and electrically insulates the upper cap 211 serving as a positive terminal and the metal can 230 serving as a negative terminal.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ap assembly of FIG. 6.
  • the cylindrical battery 300 may include a safety vent 312 having a hole mark 316 formed thereon.
  • the hole mark 316 may be coated with a dye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naked eye.
  • the hole mark 316 may be coated with a fluorescent dye.
  • the dye applied to the hole mark 316 may have water resistance that is not removed by moisture generated inside the cylindrical battery 300. In addition, the dye applied to the hole mark 316 may have heat resistance that is not affected by heat generated inside the cylindrical battery 300.
  • cylindrical battery 3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ylindrical battery 200 shown in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400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two or more electrolyte injection paths.
  • the cylindrical battery 400 may include a safety vent 412 in which two or more hole marks 416 are formed.
  • the top cap 411 may include two or more exhaust ports 414.
  • the current blocking member 413 may also include two or more openings 417.
  • the cylindrical battery 400 may include two or more paths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njection tube 50 may pass, and the operator may uniformly distribute th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electrode assembly 440.
  • cylindrical battery 4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ylindrical battery 200 shown in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is an enlarged notch formed in the hole mark.
  • the cylindrical battery 500 may include a safety vent 512 in which a hole mark 516 is formed.
  • the hole mark 516 may include a notch 526.
  • the shape of the notch 52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 the portion in which the notch 526 is formed in the hole mark 516 may be formed to be thinner when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safety vent 512.
  • a dye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naked eye may be applied to the region where the notch 526 is formed.
  • the electrolyte injection pipe 50 can penetrate the hole mark 516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pressure.
  • Cylindrical batteries 200, 300, 400,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10% to 20%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jected during initial manufacture through the hole marks 216, 316, 416, 516 .
  •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hole marks 216, 316, 416, and 516 may be sealed with laser welding or silicon.
  • the added electrolyte may be prepared by adding and/or removing specific components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된 원통형 전지로써, 상단 캡, 안전 벤트 및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안전 벤트에는 홀 마크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9년 7월 17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9-0086460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 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저장 장치에도 많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모바일 기기와 전지 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된다.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권취형) 전극 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 조립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 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 조립체로서,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파우치 케이스, 원통형 캔, 및 각형 케이스 등에 수납하여 전지를 제조한다.
이 중에서, 원통형 전지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휴대용 컴퓨터에서 전지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기들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전지(100)는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120)를 원통형 케이스(130)에 수납하고, 원통형 케이스(130)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원통형 케이스(130)의 개방 상단에 탑 캡(140)을 결합하여 제작한다.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120)는 양극(121), 음극(122) 및 분리막(123)을 적층하여 둥근 형태로 귄취한 구조로서, 그것의 권심인 전극 조립체(120)의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센터 핀(150)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 핀(150)은 전극 조립체(12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작용과 충방전 및 작동시 내부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를 방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원통형 전지(100)는 충방전이 반복되면서 전해액의 산화 및 분해 반응이 진행되어, 원통형 전지(100)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원통형 전지(100)는 구조적으로 전해액을 교환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해액을 추가하여 원통형 전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된 원통형 전지로써, 상단 캡, 안전 벤트 및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안전 벤트에는 홀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캡은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 상기 홀 마크 및 상기 개구는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인 가상의 직선 상에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캡은 상기 안전 벤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전 벤트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홀 마크는 상기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마크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되는 염료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형광 염료일 수 있다.
상기 상단 캡은 둘 이상의 상기 배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들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상기 홀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마크에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에 염료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전지에 전해액을 추가하는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홀 마크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홀에 전해액 주입관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관을 통해서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관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홀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관은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인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원통형 전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홀 마크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5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통홀은 레이저 용접으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통홀은 실리콘으로 밀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은 전해액을 추가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 전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전 벤트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전해액 주입관이 캡 어셈블리를 관통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캡 어셈블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통형 전지(200)는 금속 캔(230)의 내부에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240)을 삽입하고, 금속 캔(230)의 개방 상단에 캡 어셈블리(210)를 장착할 수 있다. 캡 어셈블리(210)는 상단 캡(211), 안전 벤트(212), 전류 차단 부재(CURRENT INTERRUPTIVE DEVICE: 213) 및 가스켓(2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캡(211)은 원통형 전지(2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양극 단자를 형성하고 배기구(214)가 천공된 구조일 수 있다. 상단 캡(211)은 안전 벤트(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안전 벤트(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안전 벤트(212)는 원통형 전지(200)의 고압 가스에 의해 파열되도록 소정의 노치(222)가 형성될 수 있다. 안전 벤트(212)는 원통형 전지(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하향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유지한다. 하지만, 원통형 전지(200)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안전 벤트(212)는 상향 돌출되면서 파열되어 내부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전류 차단 부재(213)는, 원통형 전지(200)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전류를 차단하고 내압을 해소할 수 있다. 전류 차단 부재(213)는 전극 조립체(240)와 안전 벤트(212) 사이의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전류 차단 부재(213)는 전해액 주입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217)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215)은 상단 캡(21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양극 단자로 작용하는 상단 캡(211)과 음극 단자로 작용하는 금속 캡(230)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안전 벤트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벤트(212)는 전해액 주입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홀 마크(HOLE MARK: 216)가 표시될 수 있다. 홀 마크(216)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단 캡(211)과 안전 벤트(212)가 접촉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홀 마크(216)에 전해액 주입관(50)이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해액 주입관(50)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에 의해서 안전 벤트(212)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안전 벤트(212)가 상기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홀 마크(216)는 상단 캡(211)이 안전 벤트(212)에 접촉되는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전해액 주입관이 캡 어셈블리를 관통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사 바늘과 같은 형상의 전해액 주입관(50)이 배기구(214)를 지나 홀 마크(216) 및 개구(217)를 관통할 수 있다. 배기구(214), 홀 마크(216) 및 개구(217)는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인 가상의 직선(도 4의 점선 화살표) 상에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전해액 주입관(50)이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캡 어셈블리(210)을 관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관(50)은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인 가상의 직선(도 4의 점선 화살표)을 기준으로 원통형 전지(200)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전해액 주입관(50)이 배기구(214), 홀 마크(216) 및 개구(217)를 관통하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각도(θ)는 5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θ)가 50도를 초과할 경우 전해액 주입관(50)이 안전 벤트(212)의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안전 벤트(212)의 구조에 따라 각도(θ)가 50도를 초과할 수 있다.
홀 마크(216)에 전해액 주입관(50)이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할 때, 전해액 주입관(50)을 가압하여 상기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가스켓(215)은, 상단 캡(21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양극 단자로 작용하는 상단 캡(211)과 음극 단자로 작용하는 금속 캔(230)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캡 어셈블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원통형 전지(300)는 홀 마크(316)가 형성된 안전 벤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홀 마크(316)는 육안으로 구별이 가능한 염료로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마크(316)는 형광 염료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홀 마크(316)에 도포되는 염료는 원통형 전지(3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내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홀 마크(316)에 도포되는 염료는 원통형 전지(3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작업자는 배기구(314)를 통해서 육안으로 홀 마크(316)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제외하고, 원통형 전지(300)는 도 2에 나타난 원통형 전지(20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통형 전지(400)는 둘 이상의 전해액 주입 경로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원통형 전지(400)는 둘 이상의 홀 마크(416)가 형성된 안전 벤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홀 마크(416) 위치에 대응하여, 상단 캡(411)은 둘 이상의 배기구(4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의 홀 마크(416) 위치에 대응하여, 전류 차단 부재(413) 또한 둘 이상의 개구(4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원통형 전지(400)는 전해액 주입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자는 전해액을 전극 조립체(440)에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제외하고, 원통형 전지(400)는 도 2에 나타난 원통형 전지(20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A는 홀 마크에 형성된 노치를 확대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원통형 전지(500)는 홀 마크(516)가 형성된 안전 벤트(512)를 포함할 수 있다. 홀 마크(516)는 노치(52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526)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 예로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홀 마크(516)에서 노치(526)가 형성된 부위는 안전 벤트(51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할 때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노치(526)가 형성된 부위에는 육안으로 구분이 가능한 염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전해액 주입관(50)은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으로도 홀 마크(516)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200, 300, 400, 500)는, 홀 마크(216, 316, 416, 516)를 통해서, 초기 제조 시 주입된 전해액의 10 퍼센트 내지 20 퍼센트의 전해액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의 추가 주입이 끝나면 홀 마크(216, 316, 416, 516)에 형성된 관통홀은 레이저 용접 또는 실리콘으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추가를 통해서 원통형 전지(200, 300, 400, 500)의 수명이 30퍼센트 내지 35퍼센트 연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되는 전해액은 전지의 퇴화 원인에 따라 특정 성분을 추가 및/또는 제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된 원통형 전지로써,
    상단 캡, 안전 벤트 및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안전 벤트에는 홀 마크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캡은 배기구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상기 홀 마크, 및 상기 개구는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인 가상의 직선 상에 일렬로 위치하는 원통형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캡은 상기 안전 벤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전 벤트에 접촉된 원통형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 마크는 상기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통형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마크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되는 염료로 도포된 원통형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형광 염료인 원통형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캡은 둘 이상의 상기 배기구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들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상기 홀 마크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마크에 노치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에 염료가 도포된 원통형 전지.
  13. 제1항에 따른 원통형 전지에 전해액을 추가하는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홀 마크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홀에 전해액 주입관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관을 통해서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관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홀을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관은 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중력의 반대 방향인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원통형 전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홀 마크를 관통하는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50도 이하인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통홀은 레이저 용접으로 밀봉하는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통홀은 실리콘으로 밀봉하는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PCT/KR2020/009459 2019-07-17 2020-07-17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WO20210107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13,297 US20220223971A1 (en) 2019-07-17 2020-07-17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839713.3A EP3958340A4 (en) 2019-07-17 2020-07-17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2021559681A JP7239242B2 (ja) 2019-07-17 2020-07-17 円筒形電池および円筒形電池の製造方法
CN202080036207.8A CN113826257A (zh) 2019-07-17 2020-07-17 圆柱形电池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60A KR20210009654A (ko) 2019-07-17 2019-07-17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KR10-2019-0086460 2019-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792A1 true WO2021010792A1 (ko) 2021-01-21

Family

ID=7421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9459 WO2021010792A1 (ko) 2019-07-17 2020-07-17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23971A1 (ko)
EP (1) EP3958340A4 (ko)
JP (1) JP7239242B2 (ko)
KR (1) KR20210009654A (ko)
CN (1) CN113826257A (ko)
WO (1) WO2021010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1989A1 (de) 2022-08-31 2024-02-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ckelbaugruppe, energiespeicherzelle,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ckelbaugruppe
SE2251554A1 (en) * 2022-12-22 2023-11-14 Northvolt Ab A controlled ventilating terminal part for a cylindrical secondary ce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47A (ko) * 1997-12-12 1999-07-05 홍건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KR20060106463A (ko) * 2005-04-08 2006-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80037862A (ko) * 2006-10-27 2008-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10024249A (ko) * 2009-09-01 2011-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372477B1 (ko) * 2008-03-06 201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1619U (en) * 2002-10-16 2003-09-01 Delta Electronics Inc 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refilling electrolyte and safety valve thereof
KR100779002B1 (ko) * 2005-12-23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24896B1 (ko) * 2005-12-2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JP5024615B2 (ja) * 2007-10-12 2012-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US8501333B2 (en) * 2010-10-21 2013-08-06 Lg Chem,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47A (ko) * 1997-12-12 1999-07-05 홍건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KR20060106463A (ko) * 2005-04-08 2006-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80037862A (ko) * 2006-10-27 2008-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372477B1 (ko) * 2008-03-06 201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110024249A (ko) * 2009-09-01 2011-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5834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9242B2 (ja) 2023-03-14
CN113826257A (zh) 2021-12-21
KR20210009654A (ko) 2021-01-27
EP3958340A4 (en) 2022-07-06
EP3958340A1 (en) 2022-02-23
US20220223971A1 (en) 2022-07-14
JP2022540538A (ja)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7112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0044554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WO2012050343A2 (ko) 신규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WO2019074193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생산 방법
WO2021241939A1 (ko) 이차전지
WO2021020743A1 (ko) 이차 전지
WO2013027935A1 (en) Battery module
WO2013100643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5141920A1 (ko) 비대칭 구조 및 만입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0235916A1 (ko) 이차 전지
WO2021010792A1 (ko) 원통형 전지 및 원통형 전지 제조 방법
WO2015080380A1 (ko)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WO2019208985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38545A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0204385A1 (ko) 이차 전지
WO2015037813A2 (ko) 파우치형 케이스,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제조방법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2071759A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033959A1 (ko) 원통형 전지
WO2018052209A1 (ko) 이차 전지
WO2019160236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1006518A1 (ko) 이차 전지
WO2018131822A1 (ko) 단락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3전극 시스템용 전극전위 측정 장치
WO2018056630A1 (ko) 이차 전지
WO2018038448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5968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397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17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