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941A1 -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941A1
WO2020213941A1 PCT/KR2020/005067 KR2020005067W WO2020213941A1 WO 2020213941 A1 WO2020213941 A1 WO 2020213941A1 KR 2020005067 W KR2020005067 W KR 2020005067W WO 2020213941 A1 WO2020213941 A1 WO 20202139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displayed
operation comman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0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CN202080027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661698B/zh
Priority to CN202310984661.1A priority patent/CN117061657A/zh
Priority to US17/604,866 priority patent/US20220224788A1/en
Priority to KR1020217029300A priority patent/KR102617269B1/ko
Priority to KR1020237009457A priority patent/KR20230043236A/ko
Publication of WO20202139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9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within a smart phone text service, and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method of operating instruction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programs or contents as well as information within the text service. will be.
  • Touch screen or touch panel refers to a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displayed on the screen (screen) without using a keyboard to detect the touched position by directly touching it with a finger or an arbitrary means of operation, and to handle the manipulation of the touched position through pre-stored software. It refers to a user interface device.
  • a pressure type Resistive Overlay
  • a surface acoustic wave Surface Acoustic Wave
  • a capacitive type Capacitive Overlay
  • an infrared type Infrared Beam
  • touch input devices enable direct execution of a desired manipulation command on the display, and as the function of text service is actually diversified, the role of the input function through such a touch screen or touch panel is increasing.
  •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tent so that it can be sequentially played according to the flow.”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8682 In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messenger server that manages DRM content in connection with a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server, the account of the first user registered as a member and the second Setting up a messenger chat session between users' accounts; DRM contents managed in association with the DRM server in response to content uploaded by the first user through the messenger chat session; Checking whether the uploaded content is the DRM content, the seco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icense included in the DRM content is linked to the DRM server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nd providing the DRM content in whic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to be shared with the second user through the messenger conversation session.”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using a text service, a method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and an operation command that effectively provides various content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xt service and various programs provided by a smartphone are provided. It has its purpose to provide.
  • the object is, in a smartphone for providing step-by-step information provided with a display,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input device, when an operation command of a step for distinguishing a step is input on the display, the input device outputs a step operation command, and the center
  • the process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the step of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and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n the display, the text service is executed on the smartphone, the text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text service, and the transmission There is a selection area between the received characters in which step-by-step operation commands can be executed, and the stage 1 exists up to stage K, K is 2 or more, and when the selection area is stage 1, from stage 1 to stage K This is accomplished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ther functions or other programs through one arbitrary step in
  •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area.
  •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phone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rver in more detail.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smart phone.
  •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ypical input device and an input device driving unit.
  • FIG. 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performing a step operation command through an input device.
  • FIG. 6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performing a step operation command through an input device.
  • Fig. 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struction of a distance step.
  • FIG. 8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an input device.
  •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ummary corresponding to each step is displayed i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 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lection area exists in a text service.
  •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displayed for each step.
  • 15 to 17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 each step.
  •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group item is selected.
  • 19 to 21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cept of a hierarchical structure.
  • 19 to 21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cept of a hierarchical structure.
  • Fig. 23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steps.
  • 24 is another embodime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steps.
  • 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pplying a stepw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o an emoticon service used in a text service.
  • FIG. 26 is a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25, illustrating a case of being applied to an emoticon.
  • 2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ext retransmission.
  • 28 and 2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a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block diagram when connected to another smartphone capable of step input;
  • 31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eed is reflected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 33 to 35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possible in two different ways for the same selection area.
  • 36 is another example in which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executed in two ways for the same selection area.
  • FIG. 3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with two-dimensional steps.
  • 38 and 39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when two or more displays are provided.
  • 4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ap.
  • 41 to 42 are diagrams of another embodiment using two displays.
  • 43 to 48 are examples of foldable smart phones.
  • Central processing unit 21 memory unit
  • R/F unit 28 input device
  • step 3 step 4
  • step display 47 input space
  • New Item 101 Server Control Panel
  • server database 110 smartphone
  •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phone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 the server 100 in the communication system is a device constituting a system for operat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 the server 100 an input unit 103 for administrators or operators to input and manage information, an output unit 105 for outputting or displaying information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print, etc.),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 a database unit 104 for storing information on operation and an interface unit 102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visitor through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network are provided.
  •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such as images, videos, and texts.
  • the smart phone 110 (or portabl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communication network).
  • the smart phone 11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0, a display unit 30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memory unit 21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 input device 28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data input/output unit 10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or data is provided.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display unit 30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 memory unit 21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 input device 28 for inputting information
  • a data input/output unit 10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or data is provided.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rver in more detail.
  • a control unit 101 is configured, and the control unit 101 includes a data search unit 111 for searching data, a data processing unit 112, and a site operation unit that manages and operates Internet accessors or Internet members ( 113).
  • a database 104 is further configured, and the database 14 includes an operation database 141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site operation, an information database 142 storing data suitable for each information, and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It consists of 143.
  • control unit 101 and the database 104 are only one example, and a general control unit that performs all algorithms for server operation and a general database that stores all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 the site operation unit 113 determines information on the visitor (or smartphone), the membership status, and information on the use of content, and the data search unit 111 Information match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r a smart phone) is searched through the database 14,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12 transmit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algorithm, etc. and the searched data to the visitor through the interface.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smart phone.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of a portable smart phone (in general, a portable display device, a smart phone, or a computer)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M 21a existing in the memory unit 21 controls the execution program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RAM 21b stores data generate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 (21c) stores data required by users and data necessary to process them.
  • the R/F unit 24 as a radio frequency, tunes to an RF channel, amplifies various input signals, and converts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 required frequency signal.
  • the input/output unit 10 includes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and the input unit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input devices, numeric keys, menu keys, and selection keys, and the output unit includes a speaker or a vibration device.
  • a display driving circuit 25 that drives the display by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and again, the driving circuit outputs a signal capable of driving the display 3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input device 28 through the input device driving unit 27. That is,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28, the input window driving unit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be output.
  • the portabl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rtable display device, a smartphone, a tablet, and the like.
  •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ypical input device and an input device driving unit.
  • FIG. (A) is a diagram showing a capacitance method
  • FIG. (B) is a diagram showing a resistive film method.
  • an electrode plate 29a coa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is provided under the protective plate 28a, and the electrode plate 29a includes one or two films coa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 Fig. (B) two films 29a and 29b coa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protective plate 28a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and the input devices 28 and 28 )
  • An outer protective plate (or decorative plate) 28b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top.
  • the protective plate 28b is coated with a desired pattern.
  • FIG. 4 shows an example of an input device 28 that is commonly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n invention of the input device 28. Accordingly, a conventional input device 28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on a display i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evice in which an input device element and a display are integrated.
  • FIG. (C)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n input device driving unit.
  • Fig. (C) is only one embodimen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mon input device driving units can be used.
  • the touch input driving unit 50 includes a calibration function execution unit 51, an average value detection count adjustment unit 52, an average value detection unit 43, a panel signal generation unit 54, and the like.
  • the input device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mbodimen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driving unit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libration function performing unit 51 performs calibration o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 input unit 72 when the device is initially operated. According to this calibration function, a pane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actual position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72 is selected. That is, a signal from the touch input unit 72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touch display 74 and the selected signal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30.
  • control unit 30 stores and manages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anel signals.
  • the average value detection number adjustment unit 52 adjusts the average value detection number of the panel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input unit 72 based on th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display 74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
  • the screen resolution is changed to high resolution, the number of times the average value is detected is adjusted larger than the previously set value.
  • the screen resolution is changed to a lower resolution, the number of times the average value is detected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previously set value.
  • the average value detection unit 53 detects an average value of the pane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input unit 72 based on the average value detection number adjusted by the average value detection number adjustment unit 52. Further, the average value detection unit 53 transmits the detected average value to the panel signal generation unit 54.
  • the panel signal generator 54 generates a panel signal using the changed screen resolution of the touch display 74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 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screen changed by virtual scrolling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ly input panel signal. do.
  • the touch input driving unit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point consecutivel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he user touches it using two or one finger or using an arbitrary manipulation means, and then the average value of the values. It is output as the final location information.
  • FIG. 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performing a step operation command through an input device.
  • a small bar is used on the display 30 or a finger is used to command the operation of steps.
  •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s input.
  • two fingers or bars are used to execute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by reducing or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points) selected by the two fingers.
  • FIG. 6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performing a step operation command through an input device.
  •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s executed.
  • a selection area 32 an area in the display 30 in which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possible is referred to as a selection area 32, and the selection area 32 occupies a partial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30. Then, the selection area 32 is selected using a finger (or bar), and the length of time maintained after the selection is adjusted, thereby executing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 selecting means that a finger (or bar) is used to contact the display 30.
  • contacting the display 30 is contacting the input device 28.
  • the contact method may not necessarily be used.
  • tapping on the display 30 or a selection area may be divided into steps by number, or by selecting an image and dividing the step into a shape of a finger image.
  • step J if it is maintained below the predetermined time T value, it is moved by step J, and when it is moved beyond the predetermined time T value, it is moved by step J+1. Or, if it is maintained below the predetermined time T1 value, it is moved by step J, and when it is moved above the predetermined time T1 value and below the predetermined time T2 value, it moves by step J+1. (Where J is 1 or more and K-1 or less, and K is the highest level value.)
  • a funct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intensity of pressure may be further added to the input devices 28-1 and 28-2 of the present invention.
  • Input devices capable of recognizing pressure follow the usual method.
  •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can be executed as follows.
  • steps are divided into steps such as 1st level pressure, 2nd level pressure, 3rd level pressure, or K level pressure.
  • Step 2 Within the 1st stage pressure, the stage is divided by time. Steps are divided into steps 1, 2, 3, or K.
  • step 1 time At K step pressure, step 1 time, step 2 time, step 3 time, or step K time
  • Fig. 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struction of a distance step.
  • Two fingers determine two points, divide the moving distance of the points into steps, and recognize the command according to each step is a "step operation command". Then, when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s execu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display 30.
  • the step is a finite number N of at least two steps or more. Too many are not good, so 10 or 5 steps are appropriate.
  • Steps are set, such as Step 1, Step 2, Step 3, and Step N, and the distance recognized as a step or the time to be maintained is predetermined. Alternatively, a pressure value corresponding to a step applied to the selected point is predetermined.
  • the maximum number of steps that can be recognized is predetermined.
  • the maximum distance (time or pressure) that can be recognized is also predetermined.
  •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has a + direction, and in some cases, a-direction.
  • each of the steps 50a, 50b, 50c, 50d, and 50e is shown on the guide line. ) Is indicated.
  • each step is "(51a), (51b), (51c), (51d), and (51e)"
  • Step 1 "50a", step 2 "50b", step 3 "50c", step 4 "50d", step 5 "50e",
  • Step 1 51a
  • step 2 51b
  • step 3 51c
  • step 4 51d
  • step 5 51e
  • the distance when moving one step is set to 10mm in advance, if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s moved by 20 mm, the movement is performed in two steps, and since all steps exist up to five steps, the maximum moving distance is 50mm.
  • the distan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for each step.
  • the distance from step 1 to step 2 may be 10 mm, and the distance from step 2 to step 3 may be 12 mm. It is just that the step-by-step distance is predetermined.
  • the step distance may also vary variably when executing the program by determining the algorithm.
  • the moving distance of step 1 to step 2 is 10 mm, bu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tep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12 before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t can also be changed to mm.
  • step 4 it is natural that an error range may exist in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moves 13mm, it can be judged as step 1, and if it moves 18mm, it can be judged as step 2. As in mathematics, the concept of rounding and rounding can also determine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step.
  • the guide lines 50 and 51 marked with step-by-step scal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30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guide lines 50 and 52” are a method of displaying each step,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step on the display screen to conveniently execute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 the guide lines 50 and 52 are not necessarily displayed,
  • Step-by-step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FIG. 7 is "(50a-1), (50b-1), (50c-1), (50d-1), and (50e-1)" and "(51a-1), (51b-) 1), (51c-1), (51d-1), and (51e-1)".
  •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50a” in FIG. (A) is “50a-1"
  •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51a” is "51a-1”.
  • FIG. 8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an input device.
  • FIG. 8A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movement of a point (point) selected by a finger or a bar through an input device
  • FIG. 8A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n angle that is moved by performing a rotational motion.
  • the command of the + (plus) step may be determined when the point moves upward or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minus) direction is determined opposite to the direction determined by +.
  • each step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upward movement can be set as 1 step, the right direction 2 steps, the downward movement 3 steps, and so on.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subdivide several of these directions. That is, starting from the clockwise direction, the angle may be divided by 40 degrees, and the angle may be divided into 9 steps. For example, moving from the clockwise direction to the 80 degree direction is two steps.
  • the step movement according to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may be performed around the selection area 32 or around a single point, and may be performed on the entire screen without specifying a specific selection area.
  •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ummary corresponding to each step is displayed i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a straight line distance
  • the straight line distance is divided into steps, and summary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step are displayed.
  • step 1 is “52a” and step 2 is “52b”.
  • step 2 is “52b”.
  • step 1 is “52a” and step 2 is "52b”.
  • step 1 is "52a” and step 2 is "52b”.
  • step 2 is "52b”.
  • step 1 is "52a”
  • step 2 is "52b”.
  • step 1 is "52a”
  • step 2 is "52b”.
  • step 1 is "52a”
  • step 2 is "52b”.
  • the first step summary information is "52a-1”
  • the second step summary information is "52b-1”. Accordingly, on the display 30 screen, a number indicating a step and the contents of the summary information of each step can be displayed. .
  • step 1 the summ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tep 1 (52a) is "Simple mobile phone specification”
  • step 2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tep 2 (52b) is "mobile phone detailed specification”. Therefore, when step 2 is selected, the mobile phone detail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 is displayed.
  • Data on the design of the guide line and the summar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guide l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of the smartphone 110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110 Can be.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of the smartphone stores guide line information and summar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above step. It is to display 30 on the display.
  • FIG. 1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at the moved angle is divided into steps, and characteristics (summary information) of information for each step and each step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 steps 53a, 53b, 54c, 54d, 54e are displayed on the guide line 50, and summary information 53a-1, 53b-1, 54c-1) and 54d-1 (54e-1) is also displayed.
  • the execu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 the input device driver 27 When a point (poin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 of the smartphone (it can be selected with a finger or directly), the input device driver 27 outputs the position value (coordinate) of the selected point. do. In addition, when the point is moved, the input device driving unit 27 outputs a moving value (coordinate) of the point. At this time, the value (coordinate) may be a number or symbol.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etermines the position and movement value (coordinates) of the output point, determines the movement step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determines the selected final step.
  • stage 4 For example, if the current stage was stage 2 and moving by 2 stages in the + direction, the selected final stage becomes stage 4.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sele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from the memory unit 21 (or 21a, 21b, 21c), and displays the selec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30. do. 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that causes the selected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final step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and the control unit 101 of the server may search f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in the database 104 and transmit it to the smartphone. Then, the smartphone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screen.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of the smartphone 110 displays the information stored in step 3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of the smartphone or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30). Mark on.
  • the level of movement or movement of the smartphone itself can be divided into stages.
  • the motion at the top of the display is recognized as an image element,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element is determined by an algorithm, and the degree of motion can be divided into stages. At this time, it can be determined by dividing the steps into the shape of the finger, the shape of the eye, or the shape of another image.
  • the smartphone 110 may be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a step operation command. That is, when an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s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28 of the smartphone 110,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rver sele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from the database. Thus, the sel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displays the received new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30.
  • the server can receive the step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 the sequence is as follow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capable of stepwise operation command to the server.
  •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tep is gener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but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tep is not necessarily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end of the previous program.
  • control unit of the server retrieve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phone.
  • the server may transmit all the information from steps 1 to 7 to the smartphone, but the server can transmit only some of the information from steps 1 to 7 to the smartphone. .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of the smartphone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21.
  • the final step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b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is selected from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It may b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or may b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for step 1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4 for step 2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connection of the server or the execution of the algorithm in the smartphone itself can be determined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corresponding program and information.
  • this setting can be set programmatically or can be set by the user's choice.
  • 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lection area exists in a text service.
  • the selection area 32 exists in the text service, and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can be executed on the selection area 32.
  • a selection area 32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text box 1 and 2. That is, the selection area 32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text box 1 or the side of the sending text box 2.
  • the selection area 32 exists in an area between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s, and the selection area may be separated from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s, but the selection area 32 may be attached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s.
  • FIG. 1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 text box 1 and 2 to be transmitted/received and a selection area 32 are attached.
  • the method of attaching the text boxes 1 and 2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 selection area 32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election area 32 or a design method.
  • FIGS. 11 to 13 show that the selection area 32 may exist in the area cre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racters (1) and 2, or the reception character or the reception character and the selection area may be attached. Yes.
  • two or more selection areas existing between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s 1 and 2 in the display unit 30 may be used.
  • the type of information in the first stage while being a selection area is as follows.
  • the information displayed between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s i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tage.
  •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may be performed on the first step information displayed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racters
  • Step 1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has a box and is displayed as text or an image in the box.
  • Level 1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has a box, does not exist, and consists only of text or images.
  • the video may or may not exist in the box.
  • Box does not necessarily mean square. Various typ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or the shape of a design circle.
  • Information of two or more steps 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as a result of performing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on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tep.
  • step 2 From step 2 or higher, it may or may not be a selection area in which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can be executed.
  • the selection area in which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can be performed may be a selection area in which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can be executed
  • the menu displayed on the top of the display it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 While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display, it may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screen.
  •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ext, images, and videos.
  •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displayed for each step.
  • Fig. 14(1) is a form of an image as a form of one-step information. Of cours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image information.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level information are in accordance with the items described in "Selection area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xisting between transmitted and received characters".
  • (2) to (7) of FIG. 14 are the types of information in two or more steps.
  • form and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in two or more steps is in accordance with the items described in "Selection area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xisting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racters".
  • (3) of FIG. 14 is text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design shape.
  • information of a step is displayed as a table of contents 71 of at least two or more.
  •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elected table of contents 71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 FIG. 14 is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other functions
  • (6) of FIG. 14 is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program
  • (7) of FIG. 14 is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knowledge information.
  • audio information may also be output.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a speaker provided in the smartphone 110.
  • Step 1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It is possible to perform stepwise operation commands.
  • Step 2 Video or tex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It may or may not be possible to perform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 Step 3 Video or tex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It may or may not be possible to perform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 Step 4 One of "other functions", “other programs” or “knowledge information”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30. It may or may not be possible to perform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 15 to 17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 each step.
  • Fig. 1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names of other functions are displayed as a table of contents and information of arbitrary steps. And, if one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5, the other selected function is executed.
  • the other functions refer to other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text service.
  • a friend list is also provided. That is, other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FIG. 15 refer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text service.
  • FIG. 15A shows information 70 in which names of other function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able of contents. That is, the other function information 7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able of contents 71.
  • the voice stock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A)
  • it is connected to enable voice stock (telephone).
  • voice stock telephone
  • a friend list is selected in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5A
  • a character list is displayed when a character list is selected, and a character (not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5A) is selected. You can take steps to make the transfer possible.
  • priority may be determined. That is,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text service capable of executing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ority may be determined among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a user who uses the text service.
  • the priority number 1 is Voicestock
  • the priority number 2 is the friend list display
  • the text list display is the third most frequent use.
  • the 3rd priority is the character list display.
  • the names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1st, 2nd, and 3rd rankings (for example, voicestock, friend list, text list, etc.) It is displayed in the table of contents.
  • 4th, 5th, and higher may also be displayed.
  • the selected function is executed. For example, when a voice stock is selected in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5A, a function of voice stock can be performed, and when a friend list is selected, a friend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15B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only one other function 74 is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one other function is selected, the selected function is executed. At this time, one having a higher priority may be indicated by one other function 74.
  • Fig. 1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names of other programs are displayed as a table of contents and information of arbitrary steps. And, if one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6, another selected program is executed.
  • the other program means another program or application provided within the smartphone 110.
  • various programs are execu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r the like in the smart phone 110.
  • FIG. 16 shows these programs as a table of contents. Means displayed.
  • FIG. 16 shows information 90 in which names of other program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able of contents.
  • the phone is connected to enable a phone call.
  • the phone is not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voice talk) provided in the tex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 phone program provided by the smartphone itself through a communication company.
  • the text is not a text service provided within the tex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 text transmission program provided by the smartphone itself through a communication company.
  • the camera program is connected to run, and the map is connected to run the map program, which is a pre-application.
  • priority may be determined. That is, various programs (including applications and programs provided by the smartphone) provided in the smartphone capable of executing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of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tex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 It is a program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ex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ority may be determined among programs frequently used by a user who uses the program.
  • the top priority is the telecom company's phone program
  • the top 2 priority is the telecom company's text program.
  • the names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1st, 2nd, and 3rd ranks are displayed in the table of contents. do.
  • 4th, 5th, and higher may also be displayed.
  • the selected function is executed. For example, when a phone is selected in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6, a phone program can be executed, and when a text is selected, a text program can be executed.
  • usage tim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priority.
  •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time of use are reflected in priority. For example, it is used less frequently, but once it is used, the priority increases if it is used a lot of time.
  • Items present in the table of contents 70, 80, and 90 may be created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For example, "user's search word” and "user's input word” may be analyzed to create an item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also, the item of the table of contents may be made with the recommendation of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mber of items in the table of contents does not have to be plural. If there is more than on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 the knowledge information 90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news, weather, stories, shopping, sports, and so on.
  • the embodiment of Fig. 17 is also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s. 15 and 16. That is, the knowledge information 90 is displayed as a table of contents 91, and when one of the contents 91 is selected, the selec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9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the method of the priority of displaying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90 is also based on the embodiments of FIGS. 15 and 16.
  • a selection area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etermines a predetermined moving step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and determines the final step.
  • the final step is a step reflected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moving step from the first step (see the previou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select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from the memory unit 21 or receives it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3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transmits the final stage value through the R/F unit 24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unit 101 of the server sele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age from the database 104 , It sends to the smartphone 11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mart phone 110 may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in advance from the server and store it in the memory unit 21.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isplay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on the display 30 in the form of a table of content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can display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table of contents on the display 30, and execute a program for the selected table of contents. , Or perform other functions on the selected table of content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may process a result for the selected table of contents through information or an algorithm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and may als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connect to the server to proceed with the result for the selected table of contents.
  • the item and the group item may be displayed together.
  • examples of the group items 72, 82, and 92 are as follows.
  • Words may be displayed on the group items 72, 82, and 92. For example, if the word “game” is displayed on the group item 82 representing the program, and the item marked “game” is selected, games such as “StarCraft”, “Diablo”, and “Tetris” are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The items are displayed as a table of contents.
  • the items displayed in the table of contents displayed in the separate window are items having a low priority.
  • Figs. 15, 16 and 17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able of contents is displayed by dividing each into different functions, different programs, and knowledge information, but only different functions or only different programs exist as items in the same table of contents, or knowledge There is no need for information alone. For example, different programs, different functions, or knowledge information may exist as each item in the same table of contents.
  •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group item is selected.
  • the selected item (72a) (82a) ) (92a) is displayed to be differentiated from unselected group items 72, 82, 92.
  • the color, thickness of the line, brightness, etc. are distinguished or displayed visually by blinking.
  • new items 97a are displayed as a table of contents in a separate window 97.
  • the table of contents can consist of only items, or the table of contents can consist of only group items.
  • items and group items may exist together in the table of contents.
  • Fig. 18 is an embodiment in which group items 72, 82, and 92 are selected in the table of contents, but the embodiment of Fig. 18 shows the items 71 in the table of contents 70, 80, and 90. This also applies when (81) (91) is selected.
  •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 separate window 97, bu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 the selection menu or the control menu is displayed together (here, the menu refers to a commonly used menu displayed at the top or part of the screen).
  • -One item (71) (81) (91) or group item (72) (82) (92)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contents (70) (80) (90) through the input device (28).
  • the input device outputs the selected position valu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ich item (71) (81) (91) or which group item (72) (82) (92) has been select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or group item on the display.
  •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or group ite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or may b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le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or group item from the memory uni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transmits the status of the selected item or group item (a predetermined code may be used) to the server, and the control unit 101 of the server is in the database 104.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or group item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of the smartphone display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 items and group items are distinguished in the table of contents and described as an example for display of description, but in an actual embodiment, items and group items are not used separately.
  • 19 to 21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cept of a hierarchical structure.
  •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erarchical structure.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assumption that "shopping" is selected in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7. When “shopping" is selected in the table of contents of FIG. 17, items related to soaping appear in a separate window 97.
  • a table of contents first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is referred to as a first layer.
  • the first tier 60 items from No. 1 "Fashion Brand” to No. 9 "Furniture Life Products” exist as items.
  • the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s of nine tables of contents.
  • the third hierarchical structure exists as large as the number of all items that existed in the second hierarchical table of contents.
  • the number of items in the above example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number of items may be one or two or more.
  • the table of contents 61-1 is a lower layer of the item "1. Fashion brand”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first layer 60.
  • the table of contents 61-9 is a lower hierarchy of the item "9. Household life products"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first hierarchical 60.
  • the table of contents 61-1-1 is a lower hierarchy of the item "1-1. Women's clothing fashion"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second hierarchy 61-1.
  • the table of contents 61-9-10 is a lower hierarchy of the item "10. 000 0000 00"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second hierarchy 61-9.
  • FIG. 20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lay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in a separate window 97.
  • FIG. 21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layer is displayed as an additional separate window 97a.
  • the table of contents is determined by reflecting priorities, input words, and recommendations, but is also determined by the concept of a hierarchy.
  •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a method that allows two or more steps to be moved from the current step to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And, as it moves from step 1 to step 3, there is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that moves from the current step to the higher step direction (step K direction). In addition, there is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that moves from the current step to the lower step direction (step 1 direction) as it moves from step 3 to step 1.
  • Moving to a higher level executes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with a method of maintaining time (or applying pressure), while moving to a lower step executes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with a method of moving distance or angle.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possible for moving to a higher level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6,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possible for moving to a lower level by the method of Fig. 5 or 8.
  •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may be performed in a method of maintaining a time of 1 second, and when moving from step 3 to step 1,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may be performed by moving 2 cm or moving 30 degrees. .
  • step 1 it is possible to move more than 2 steps, but after step 2, the low-level operation command may not be executed.
  • the first step may be moved in the lower step direction (the first step direction).
  • the step is not limited to step 2, the step movement rule of item 2) can be applied from step 3 or higher, and an arbitrary N From step 2, the step movement rule of item 2) can be applied.
  • N is 2 or more and up to K
  • J is 2 or more.
  • the J-step shift can be either a high step or a low step.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time-maintained length into stages (or by dividing the stage by pressure intensity), but a specific mark to a lower stage (operation mark 34a in Fig. 22) Step by step operation command is possible by selecting.
  • 2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item 2).
  • FIG. 22A shows one step in which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can be executed, and corresponds to the selection area 32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tep information is shown as an image, but may be text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or the like.
  • step 1 of FIG. 22A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 an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elected time, FIG. 22B, which is the second step 34, shows the display 30 ) And the third step (C) of FIG. 22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a method of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for moving in a lower step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 step 1 direction If you touch it once, it moves only one step in the lower step direction (step 1 direction).
  • step 1 direction If you select the exit button, which is commonly used in smartphones, only one step is moved in the lower step direction (step 1 direction).
  • step 1 (32), step 2 (34) or step 3 (36) is selected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the step is moved to the higher step direction.
  • Step is moved in the lower step direction.
  • Moving to a lower level means moving from step 3 to step 1.
  • the selection of steps (32) (34) (36) or the operation mark (34a) means selecting the area in which the step (32) (34) (36) or the operation mark (34a) is displayed through an input device on the display. Is to do.
  • Fig. 23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steps.
  • FIGS. 14 to 18 various embodiments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stages have been described.
  • Fig. 24 is another embodime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steps.
  • a search window 9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N step (where N is an arbitrary N in the range of 1 or more and K or less), and in the search window 95
  • a word search window 95a may exist, and a voice search window 95a may exist. It is natural that there may also be an image search box.
  • search window information may be searched, other functions may be searched, and other programs may be searched.
  • Fig. 2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when a character is a selection area.
  • a received character (1) (32) is selected as a selection area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selected received character (1) (32), the second or third steps (34) (36) )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 (1) (2) becomes the selection area (32),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 (1) (2), it corresponds to the 2nd, 3rd or Nth step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a search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step N.
  • various searches such as keyword search, friend list search, and phone number search can be performed.
  • the keyword search may be a search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 word search within a text sent and received, another function search, or another program search within a smartphone.
  • 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pplying a stepw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o an emoticon service used in a text service.
  • 25A is information provided by a service operator. That is, the selection field 40 is displayed, and the selection item 41 exists in the selection window 40. In addition, one item is selected from among the selection items 41, that is, it can be said to have a principle similar to selecting one emoticon image from among emoticon images provided for a typical text service.
  • FIG. 25B is a new method that does not exist in the conventional emoticon service.
  • an input space 47 for inputting information As shown in (B) of FIG. 25, an input space 47 for inputting information, a step display 46 for displaying the level of input information, and other data (text, image, or video) are attached to the input window 45. There is an attachment mark 48 that can be done.
  • the step display 46 indicates how many step information is currently input in the input space 47. That is, if “third step” is displayed on the step display 46,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space 47 becomes three step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space 47 is stored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 a new input window 45 is displayed, and information of a new step can be input in the input window 45. That is, if the information currently input to the input field 45 is at 3 level (or N level),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new input window 45 is at 4 level (or N+1 level).
  • FIG. 26 is a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25, illustrating a case of being applied to an emoticon.
  • Figure 26 (1) is a selection area 32 and an image in one step
  • Figure 26 (2) is a video
  • Figure 26 (3) is a three-step 36 information
  • Figure 26 (4) is the information of step 4 (38).
  •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is not limited to images or videos, text data or data that is mixed with text and image, and data that is mixed with text and video is also possible. And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steps is composed. The same is true for the data you are doing.)
  • 2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ext retransmission.
  • the received character (1) can be retransmitted (or transmitted).
  • a step input function is further added.
  • step input is selected in the retransmission menu 2b of the embodiment of FIG. 27, an input window 45 for inpu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eps is displayed, and information on the step is input.
  • the input window 45 may be displayed in the text input window 2a, which is an area where characters are inputted when using text.
  • 28 and 2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a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input mark 2c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
  • FIG. 2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how the input mark 2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when i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 That is, when the input mark 2c is selected, the selection window 2d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2a or in the display 30 as shown in FIG. 29A. In addition, in the selection field 2d, various items that can be selected are shown as a table of contents.
  • step input (2e) item there is a step input (2e) item and other input (2f) items.
  • step input (2e) item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other input item 2f is omitted.
  • the input window 4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s shown in FIG. 29B. Then, information on the step is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45,
  •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2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window 45.
  • the operator provides information on some steps, but in the embodiments of FIGS. 28 and 29, all information from step 1 (lowest level) to level K (highest level) 110). That is, the user who uses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ll information from step 1 (lowest level) to level K (highest level).
  •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21.
  • being transmitted to the server may mea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input step is transmitted as a text message to another smartphone connected as a text message with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may be transmitted by a method other than text.
  • FIG. 3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block diagram when connected to another smartphone capable of step input;
  • FIG. 30 is another smart phone 110-1 in which the stepw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 a step input is input from another smartphone 110-1.
  • another smart phone (110-1) or portable terminal has substantially the same or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smart phone (110) or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smart phone ( 110-1) also applies.
  • Step inpu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1 of another smart phone 110-1. At this time, there may be two or more other smart phones 110-1.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another smart phone 110-1 displays the input window 45 on the display 30 when the step input is select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the other smartphone 110-1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step input to the server,
  •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input step to the smartphone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Meanwhile, the controller of the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step in a database.
  •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step on a display.
  • 31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1A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 pass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For example, when a password is set for information about a certain step, the information on the ste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only when the password is input.
  • step 3 step 4 (34.36.38) or step 1 (lowest step) to K (highest ste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the password input window 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s in FIG. 31A.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or the control unit 101 of the server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step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a preset password (30). Will be marked on.
  • a common general method is used for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or not and to display it on the display.
  • 31B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method in which step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 a function of setting automatic display of step information may be used.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step information, if the automatic display of step information is selected, the automatic setting window 6 is displayed.
  • automatic display may or may not be specified in the automatic display of step information 6a.
  • the automatic display is set. If “N(no)” is selected, the automatic display is not set.
  • a step to b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can be designated. For example, if the entire step is from step 1 to step 5, if step 1 is designated as the starting step in the step setting window (6b) and the end step is designated as step 4 in the step setting window (6b), then step 1 to step 4 Step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isplayed until only.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step 5 is not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only whe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 Automatically displaying the step information means that step 1 to step 4 is automatically displayed sequentially.
  • the time at which each step is displayed is designated when automatically displayed in sequence.
  • the above automatic setting can be set not only by the user of the smartphone 110 but also by the server operator, and the automatic display setting may be canceled, that is, the step information in which the automatic display setting is specifi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If the user who wants to display cancels the automatic display setting, the step information is not automatically displayed.
  • 3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eed is reflected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 step 1 one arbitrary N-level information from step 1, step 2, step 3, step 4 (32,34.36.38) or step 1 (lowest step) to K (highest ste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 the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can be execu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32.
  • ste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n FIG. 32 is selected and the selection poin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arrow, it moves one step in the lower direction (first step direction).
  • ste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selected and the selection poin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arrow, it moves one step in the higher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K step).
  • the moving speed may be reflected, that is,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f the contact time is long (if the speed is slow), more steps may be moved. For example, if the time that the selection poin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0.5 seconds or less than 0.5 seconds, it moves one step (in the low direction or the high direction), and the time that the selection poin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1 second, or If it is 0.5 seconds or more and 1 second or less, it moves in two steps (lower or higher).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the method of moving the selected point, and step movem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range is also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33 to 35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possible in two different ways for the same selection area.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can be executed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5.
  •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may also be executed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7.
  • Step 3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ar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B) (Step 3)
  • the information in Step 4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s in (C) of FIG. 33.
  • the selection area 32 capable of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selected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33, and information on the 2nd, 3rd and more steps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selection area is selected and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 (or divides the steps by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hereinafter displayed on the display by method A) and “whe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n which the step is divided by the moving distance (or angle) is executed for the same selection area 32).
  •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hereinafter displayed on the display by method B) whe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which is divided by the duration of time, is different.
  • 3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method A and an embodiment according to method B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argeting the same selection area 32 as step 1,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step 2 is reached by method A” and step 2 information 34 and “display when step 2 is reached by method B”
  • the two-step information 34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if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is different, the same two-step information 34 is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 step 2 When executing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of different methods for the same selection area 32, information of a certain step, from step 2, which is the lowest level, to level K, which is the highest level ( 39) are different.
  • the information of the N steps is the same, if the method of the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is different, the information 39 of the N steps is different.
  • step 2 In the information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method of 1) above, it is not that all of the information from step 2 to step K is different.
  • step 1 information to step N information was set as one (where N step is any one step from step 2 to step K)
  • the first step information to the N step information is a third set.
  •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tep (first step selection area) 32 is all the same. However, if the sets are different, there is at least one step with different information from step 2 to step K. Of course, if the set is different, all information from step 2 to step K may be different (as in the drawing of FIG. 35).
  • the place where the set is stored is the memory unit 21 of the smartphone and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of the smartphone selects the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21 of the smartphone or display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30.
  • Method A is a method in which a point is selected and moved.
  • Method B is a method in which steps are determined by the duration of time.
  • Method A is to move up and down (select one point or two points).
  • Method B is to move left and right.
  • method C is a method in which the steps are determined by the duration of time
  • Method A is a method in which a point is selected and moved.
  • Method B is a method in which the step is determined by the angle of movement.
  • method C is a method in which the steps are determined by the duration of time,
  • Method A is a method in which two points are selected and the selected points are narrowed or stretched.
  • Method B is how the steps are determined by the duration of time
  • 36 is another example in which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executed in two ways for the same selection area.
  • FIG. 36A is a case in which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5 or 8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tep 32 is “newspaper” information, and if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s executed in the first step, the newspaper information is displayed as the second step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34. That is, “The New York Times” and “Washington Post” are displayed as items in the table of contents on the display.
  • the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36 of the third leve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ws in the newspaper is displayed as items such as “Main News”, “Weather”, and “Economy”.
  • selection information regarding “weather” or “major news”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r connected to an Internet site on which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 36B is a case in which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is executed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6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method in Fig. (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 stepwise operation command displayed in multiple dimensions is the case (A) of FIG. 36.
  • One-step information (selection area) 32 is selected and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is executed.
  • the number of items in the table of contents displayed in the second step is related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point in order to execute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for the first step selection area.
  • step 2 of (B) of FIG. 33 when moving from step 1 to step 2, in (step 2) of (B) of FIG. 33, four items are displayed i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34. .
  • Step 1 the distance to which the point selected by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moved
  • only 2 or 6 items may be displayed. have.
  • step 2 of (B) of 33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in the above st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If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to move the selection point), the displayed 4 items are increased to 5 or more (of course,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he arrow). Then, the displayed 4 items may be reduced to 1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point.
  • the number of items i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34 increases (of course, it does not increas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 the selected two points do not increase.
  • the number of items i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34 is reduced to one.
  • the number of items to increase or decreas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moving distance.
  • the number of items generated in the third-stag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36 depends on how the second-stag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s displayed.
  • the number of items generated in the N+1 step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36 depends on how the second step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s displayed.
  • Stepwise operation command displayed in multiple dimensions is an expression that mimics the example of mathematics displaying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and four-dimensional.
  • N-level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is selected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direction in which the selected point is moved) is execu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number of items in the N-level information increases or decreases.
  • sub-step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item (lower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 FIG. 19) Is displayed as N+1 level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 the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of the N+1 level is displayed as two or more items (very exceptionally, even one item is possible).
  • the lower information is displayed, but information other than the low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number of items in the table of contents increases and decreases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point.
  • methods A and B are selected from a method of dividing a selected point by the time it is maintained, a method of dividing a step by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to the selected point, and a method of dividing a step by a distance or angle that the selected point moves.
  • step 1, step 2, and step 3 increase, the amount of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increases.
  • the number of items or tables of contents increases.
  • Step 1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changes as the steps increase, such as Step 1, Step 2, and Step 3.
  • N+1 level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N level information.
  • -One item (name, name or number) is selected from the phone number list (table of contents), and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selected item. Then, as the steps increase, data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ne number increases.
  • the phone number is additionally displayed.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name is additionally displayed, other phone numbers, e-mail addresses, addresses, and memos are additionally displayed.
  • a table of contents of other programs or contents appear besides the phone.
  • the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es or restaurants at the point (generally, it may be a building or a place), if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the number of stores or restaurants displayed on the display increases.
  • a window for ordering the product or menu is displayed.
  • a window for payment of the product or menu is displayed.
  • a window for sending a message to the store or restaurant is displayed.
  • a window for sending mail to the above store or restaurant is displayed.
  • FIG. 3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with two-dimensional steps.
  • each information step is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method or a three-dimensional method.
  • the first step (1-1 step) exists, and the second step, third step, fourth step, or N step is displayed as the size of the applied value.
  • steps 2-1, 2-2, 2-3, 2-4, or 2-N steps within the second step.
  • Step 1 (Step 1-1), Step 2 (Step 2-1), Step 3 (Step 3-1), Step 4 (Step 4-1), or Step N (Step N-1)
  • the method of operation instruction can be called method A.
  • the method of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for step-by-step operation to step N-1, N-2, N-2, N-4, or N-N may be referred to as method B.
  • the method used as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ncludes pressure, time, distance movement, angle movement, and the like.
  • method A may be a method of using the intensity of pressure
  • method B may be a method of maintaining time
  • method A may be a time keeping method and method B may be a distance movement method.
  • method A may be a method of speed and method B may be a method of distance movement.
  • method A may be a method of "moving a distance in a right (or left) horizontal method
  • method B may be a method of "moving a d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down (or up)”.
  • the icons of steps N-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icons of steps 2-3 or N-N indicate characteristics (or summary) of information of each step. A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r summary) of the information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9 an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7B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each step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method or a three-dimensional method.
  • step 1 when the selection area 32 is selected through an input device on the display, a guide li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guide line 50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r summary) of information for each step. .
  • the method A or Method B may be indicated on the display.
  • Step 1-1-2, step 1-1-2, step 1-1-3, step 1-1-4, or step 1-1-N exist in step 1-1 (step 1-1) do.
  • step 2-2 there are 2-2-2 steps, 2-2-3 steps, 2-2-4 steps, or 2-2-N steps within step 2-2 (2-2-1).
  • N-N-1, N-N-2, N-N-2, N-N-4, or N-N-N in the N-N step are steps N-N-1, N-N-2, N-N-2, N-N-4, or N-N-N in the N-N step.
  • step movement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is called A method
  • step movement in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is called the B method
  • step movement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is called the C method
  •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in the C method is also A It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of method and B method.
  • method A information movement of the same layer
  • method B information movement to a lower direction by one layer
  • method C information movement to two layers lower direction
  • 38 and 39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when two or more displays are provided.
  • first display 30-1 and a second display 30-1 are provided, and first and second display driving circuits 25-1 and 25-2 are also provided.
  • first input device 28-1 is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 second input device 28-2 is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 driving units 27-1 and 27-2 for driving the input device are provided.
  • the two displays 30-1 and 30-1 and the two input devices 28-1 and 28-2 are controlled by one central processing unit 20.
  • 3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wo displays. That is, whe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on the first display 30-1,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30-2. Of course, if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on the second display, the result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 the selection area (currently 1 step) is selected on the first display 30-1 and moves by step 2 through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the final step becomes step 3 and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3 becomes the second step.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0-2.
  • the functions of FIG. 39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of the smart phone by an algorithm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smart phone (or the data base of the server). That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step select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tep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device 28-1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 step information input is selected through the first display 30-1, the input window 45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30-2, so that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using the smartphone 110. You can en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at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is input to the input window 45.
  • the selection window 40 is display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5A.
  • each ste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and even if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performed, it cannot proceed to a level below the lowest level or above the highest leve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de variety of embodiments. And the method of the smart phone, the server, and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which are the basi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each other in each embodiment.
  • the selection area is an area in which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can be executed, and the area may be partially covered in the entire screen, or the entire screen (a region in which menus, etc. are displayed even in the full screen). Excluding) may be eligible. Then, the concept of the selection area is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tep must be a selection area, but from step 2 to the highest level, step K, it is not a selection area, and only the information of that step is displayed (any one step within step 2 to K) If there is a concept of "there is also present", the above concept is also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4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ap.
  • FIG. 4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when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are present.
  • the embodiment of FIG. 40 can be applied as it is even when one display is divided into two areas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exist.
  • a map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and a selection area 32 exists in the map.
  • the selected area may be a store, station, or building specific place in the map.
  • the selection 32 is selected to execute a stepwise operation instruction. The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 a menu is displayed, and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order can be placed through the menu is shown.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may be executed for the entir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 the described distance is divided into steps.
  •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displayed as it is on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may be executed for the selection area 32 existing in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This is a method of dividing the length of time into steps or the magnitude of pressure into steps. In this case, the result of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 the selection area 34a may also exist i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on the selection area 34a existing i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 the result is returned to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Can be displayed,
  • a result When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a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or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display (or the second area) The results can come out.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 a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or the second area) or the first display (or the first area). ) Can produce result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isplays o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ccording to the algorithm (metho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4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isplays o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display 30 according to the algorithm (metho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40.
  • 41 to 42 are diagrams of another embodiment using two displays.
  • FIGS. 41 and 42 can be applied as they are even wh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displayed on one display.
  • Stepwise operation of dividing the distance into steps for the first information (a map in the embodiment of Fig. 41) displayed on two displays 30-1, 30-2 (or one display 30)
  • the result of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wo displays 30-1, 30-2 (or one display 30).
  • a selection area (in the embodiment of Fig. 41) in the first information (a map in the embodiment of Fig. 41) displayed over two displays 30-1 and 30-2 (or one display 30)
  • a shop, restaurant, or building exists in the map, if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selected area, it is display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0.
  • a selection area is selected as a dot through an input device, and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issued for the selected area. 1 step execut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final step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ep of the selected area to 3 step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isplays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and the selection area determined in step 3 is o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It can be said that an example in which the result of the 4 steps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in the 4th step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final step (in the embodiment of FIG. 40 ). )
  • the firs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30-2 (or the second area), and the final selection area determined in step 3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30-1 (or the first area).
  • the information of the stage can be display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final step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ep by the time the point of step 1 is maintained or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point.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according to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that divides the distance or angle into steps for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or second area) (refer to the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40) in the step of the 4th step. If so, the result of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or second area).
  • the result is the first display (or the second area). 1 area) (see the example in Fig. 42).
  • FIG. 42 a table of contents for food is displayed.
  • an item (“chicken salad” in the embodiment of FIG. 42) among the table of contents for the food may be a selection area.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for dividing time or pressure into steps is executed for the item ("Chicken Sarada" in the embodiment of FIG. 42)
  •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or the first area).
  • 43 to 48 are examples of foldable smart phones.
  • the external display 30-3 exists outside, and when the smart phone is unfolded, the display 30 (or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unfolded inside exists.
  •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30-3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is the same as that of controlling the displa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0-1 and 30-2.
  • a selection area is selected as a point through an input device, and a step-by-step oper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selected area,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final step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ep of the selected area to 3 step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llows the first information (a ma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external display 30-3, and another part of the external display 30-3 (a separate window in the embodiment of FIG. 48).
  • the first information a ma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part of the external display 30-3 a separate window in the embodiment of FIG. 48.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determines the final step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ep by the time the point of step 1 is maintained or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point.
  • FIG. 46 can be applied as it is even when the first display 30-1 and the second display 30-2 are present.
  •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may exist therein.
  • the first information (a ma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or second display), and the information of the final step of the selected area determined in the third step is the second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r the first display).
  • the display 30 exists inside the smartphone, and the distance is taken as a target for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30 (a map in the embodiment of FIG. 45).
  •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to divide or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to divide the angle into steps is executed, the result of the stepwise oper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he unfolded display 3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final step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ep of the selected area to 3 step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llows the first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unfolded display 30 (the first region 30a) (or the first display), and another part of the unfolded display 30 (the second region 30b) (Or the second display) is a 4 step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final step of the selected area determined in the 3rd step, (the result of the 4th step may refer to the embodiment of FIG. 46)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final step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ep by the time the point of step 1 is maintained or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point.
  • FIG. 47 may be implemented. That is, the information of the final stage of the selection area determined in step 3 i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30b (or the second display), and the selection area exists in the second area 30b (or the second display). And, when a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executed for the selected area, a new window 34-1a is created,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tepwise manipulation command is displayed on the new window 34-1a.
  • FIG. 46 a table of contents for food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30b (or the second display).
  • an item (“chicken salad” in the embodiment of FIG. 46) from the table of contents for the food may be a selection area.
  • a stepwise operation command for dividing time or pressure into steps for the item (selected area) is executed, the result is displayed in a new window 34-1a (see the embodiment of FIG. 47).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uses the first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30-1, 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parate window 30d-1 on the second display 30-2. Is displayed.
  • the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two displays 30-1 and 30-2 that appears when the smartphone is unfolded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dividing the screen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one display uses a conventional method, that is, A conventional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two displays or a conventional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dividing the display screen i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계적 정보 제공 스마트폰에서,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문자 서비스가 실행되고, 상기 문자 서비스에 송수신 문자가 존재하고,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단계는 1 단계는 K 단계까지 존재하고, K는 2 이상이고, 상기 선택 영역이 1 단계 일때, 상기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단계를 통하여, 다른 기능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므로서,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하여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 혹은 컨텐츠도 제공할 수 있는 조작 명령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손가락 또는 임의의 조작 수단으로 직접 터치하여 터치한 위치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터치된 위치의 조작을 처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하나의 예로, 터치 패널에는 압력식(Resistiv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 장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조작 명령을 직접 수행할 수가 있게 되며, 실제로 문자 서비스의 기능히 다양해 지면서 이러한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 기능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많은 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있으므로,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또 다른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즉,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7-0029466 호에서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타임라인 형태로 입력된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들 각각을 대응하는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시간 흐름에 따른 대화 형태의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의 메신저 계정과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메신저 계정간의 메신저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신저 대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포함하는 데이터들이 상기 매칭된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 흐름의 순서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에서 시간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7-0138682 호에서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서버와 연계되어 DRM 컨텐츠를 관리하는 메신저 서버의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회원으로 등록된 제1 사용자의 계정과 제2 사용자의 계정간에 메신저 대화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메신저 대화 세션을 통한 컨텐츠 업로드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상기 DRM 서버와 연관하여 관리되는 DRM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가 상기 DRM 컨텐츠인 경우, 상기 DRM 컨텐츠가 포함하는 라이선스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DRM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변경된 상기 DRM 컨텐츠를 상기 메신저 대화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공유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 기술은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7-0029466호(2017년03월15일)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7-0138682호(2017년12월18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조작 명령의 입력 방법과 조작 명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계적 정보 제공 스마트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문자 서비스가 실행되고, 상기 문자 서비스에 송수신 문자가 존재하고,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단계는 1 단계는 K 단계까지 존재하고, K는 2 이상이고, 상기 선택 영역이 1 단계 일때, 상기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단계를 통하여, 다른 기능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중에서 일부 단계 혹은 전체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수신 문자가 선택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신 문자 혹은 송신 문자를 재 전송할 때, 단계 입력을 추가하여 재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하여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휴대용 스마트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통상의 입력장치와 입력장치 구동부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거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명령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요약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문자 서비스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단계 별로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내지 도 17은 각각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그룹 항목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내지 도 21은 계층구조 개념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내지 도 21은 계층구조 개념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3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4은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5는 문자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이모티콘 서비스에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을 적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모티콘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문자 재전송에 본원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단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은 단계 입력이 가능한 또 다른 스마트폰과 연결된 경우의 불럭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1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2는 속도가 반영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6은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7은 2차원 단계를 가진 단계적 조작 명령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8과 도 39는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0은 본원 발명이 지도에 적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 내지 도 42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3내지 도 48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한 예이다.
부호의 설명
1 : 수신 문자 2 : 송신 문자
20 ; 중앙처리장치 21 : 메모리부
24 : R/F부 28 : 입력장치
30 ; 디스플레이 32 : 선택 영역 (1단계)
34 : 2 단계 34a : 조작 마크
36 : 3 단계 38 : 4 단계
40 : 선택 창 41 : 선택 항목
42 : 단계 입력 45 : 입력 창
46 : 단계 표시 47 : 입력 공간
48 : 첨부 마크 60 : 제 1 계층
61-1, 61-9 : 제 2 계층
62-1-1, 62-4-3 : 제 3 계층
70, 80, 90 : 목차 71, 81, 91 : 항목
72, 82, 92 ; 그룹 항목
72a, 82a, 92a : 선택된 항목
95 : 검색창 95a : 단어 검색
95b : 음성 검색 97 : 별도 창
97a : 새로운 항목 101 : 서버 제어부
104 : 서버 데이터 베이스 110 : 스마트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므로서,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정보를 출력하는 연결 단자나 프린트 등도 포함된다),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및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02)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마트폰(110)(혹은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마트폰(110)에는 중앙처리장치(CPU)(20),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8) 및 정보 혹은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10)가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100) 내에는 제어부(101)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11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04)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4)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141), 각각의 정보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와 데이터 베이스(104)는 하나의 일 예일 뿐이며, 서버 운영의 모든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통상의 제어부와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통상의 데이터 베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는 사이트 운영부(113)가 접속자(혹은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와 회원 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111)에서는 접속자(혹은 스마트폰)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4)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112)에서는 알고리즘 등을 수행한 결과와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도 3은 휴대용 스마트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스마트폰(일반적인 경우에는 휴대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혹은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그리고, 메모리부(21)(혹은 21a,21b,21c)에 존재하는 롬(21a)은 표시장치의 수행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1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1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10)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부는 각종 정보 입력 기기, 숫자 키, 메뉴키 및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출력부에는 스피커 나 진동장치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0)의 신호 출력을 받아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5)가 있으며, 다시 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30)가 구동 가능한 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7)를 통해서 입력장치(28)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창치 구동부는 중앙처리장치에 입력 정보를 출력하게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스마트폰는 휴대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통상의 입력장치와 입력장치 구동부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장치의 단면도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으로, (A)도는 정전용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B)도는 저항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기 (A)도에서 보호판(28a) 하부에 투명 전극이 코팅된 전극판(29a)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29a)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필름이 한 장 혹은 두장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B)도는 보호판(28a) 상부에 투명전극이 코팅된 2 개의 필름(29a)(29b)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입력장치(28) (28) 상단에 외부 보호판(혹은 화장판)(28b)가 더 구비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28b)에 원하는 문양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통상 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입력장치(28)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입력장치(28)에 대한 발명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입력장치(28)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이때,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이나 접촉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장치 소자와 디스플레이가 일체화된 기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변화나 동작의 변화를 통하여도 단계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C)도는 입력장치 구동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C)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입력장치 구동부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구동부(50)는 교정기능 수행부(51),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52), 평균값 검출부(43), 패널 신호 발생부(54)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입력장치 구동부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통상의 입력장치 구동부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교정기능 수행부(51)는 장치가 최초 동작할 때 터치 입력부(72)의 좌표값에 대하여 교정(calibration)을 수행한다. 이 교정 기능에 따라서 터치 입력부(72)에서 터치한 실제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패널 신호가 선정된다. 즉, 터치 디스플레이(74)의 해상도에 따라 좌표값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부(72)의 신호가 선정되고, 선정된 신호는 제어부(3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패널 신호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52)는 제어부(3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74)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터치 입력부(72)로부터 출력되는 패널 신호에 대한 평균값 검출 횟수를 조정한다. 화면 해상도가 고해상도로 변경되면,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크게 조정된다. 반대로 화면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변경되면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작게 조정된다.
평균값 검출부(53)는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52)에 의해 조정된 평균값 검출 횟수를 토대로 터치 입력부(72)로부터 전송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평균값 검출부(53)는 검출된 평균값을 패널 신호 발생부(54)로 전송한다.
패널 신호 발생부(54)는 제어부(3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74)의 변경된 화면 해상도 또는 가상 스크롤에 의해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정보및 현재 입력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패널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입력 구동부(50)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 또는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또는 임의의 조작 수단을 이용하여 터치한 경우 터치 지점의 위치정보를 소정 횟수 연속하여 검출한 후 그 값들의 평균치를 최종 위치 정보로 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처럼, 디스플레이(30) 위에서 작은 바(Bar)를 사용하거나 혹은 손가락을 사용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하게 된다,
즉, 입력장치(2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선택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도 5에서처럼 두 개의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두 손가락이 선택한 점(포인트)의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늘이는 방법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도 6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에서처럼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스마트폰(110)에서 디스플레이(30) 상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다음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정하므로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30) 내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영역을 선택 영역(32)이라고 하고, 상기 선택 영역(32)은 디스플레이(30) 전체 면적에서 일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32)을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다음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정하므로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선택한다는 것은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 디스플레이(30) 위를 접촉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디스플레이(30) 위에는 입력장치(28)가 존재하므로, 디스플레이(30) 위를 접촉하는 것은 입력장치(28)를 접촉하는 것이다. 물론, 입력장치의 종류에 따라서는 반드시 접촉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단계를 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동거리와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30) 위 혹은 선택 영역을 두두리고, 두두리는 숫자로 단계를 나눌 수도 있으며, 이미지를 정하여 손가락 이미지의 모양으로도 단계롤 나눌 수가 있다.
- 시간으로 단계 이동 실시예 -
1) 유지되는 시간 값에 의하여 단계가 정해진다.
예를들어, 0.5초 유지되면 1 단계 이동하고 1초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되고 1.5초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된다.
2) 유지되는 시간 값이 단계 이동의 경계가 된다.
예를들어, 0.5초 이하로 유지되면 1 단계 이동되고 0.5초 이상으로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된다. 1초 이하로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되고 1초 이상으로 유지되면 3 단계 이동된다,
즉, 정해진 시간 T 값 이하로 유지되면 J 단계 이동되고, 정해진 시간 T 값 이상 이동되면 J+1 단계 이동된다. 혹은 정해진 시간 T1 값 이하로 유지되면 J 단계 이동되고, 정해진 시간 T1 값 이상 정해진 시간 T2 값 이하로 이동되면 J+1 단계 이동된다. (여기서 J 는 1 이상 K-1 이하이며, K 는 최고 단계의 값이다.)
- 압력 으로 단계 이동 실시예 -
본원 발명의 입력장치(28-1)(28-2)에 압력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장치는 통상의 방법에 준한다.
압력 기능이 부가된 입력장치치(28-1)(28-2)일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가 가능하다.
1) 압력의 세기에 따라 1 단계 압력, 2 단계 압력 3 단계 압력, 혹은 K 단계 압력 처럼 단계가 나누어진다.
2) 1 단계 압력 내에서, 시간으로 단계가 나누어 진다.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처럼 단계가 나누어진다.
3) 그 단계의 경우의 수는 아래와 같다,
: 1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 2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 3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 K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도 7은 거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두 손가락(혹은 두 개의 바)이 두 개의 점을 정하고, 상기 점이 움직인 이동 거리를 단계로 구분하고, 각각 단계에 따라 명령을 인식하도록 하는 조작 명령이 "단계의 조작 명령"이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단계는 적어도 2 단계 이상의 한정된 숫자 N 이다. 너무 많으면 좋지 않으므로 10 단계 혹은 5 단계 이내가 적당하다.
또한, 단계에 대하여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1 단계, 2단계, 3 단계 및 N 단계처럼 단계가 정해지고, 하나의 단계로 인식되는 거리 혹은 유지되는 시간은 미리 정해진다. 혹은 선택된 점에 가해지는 하나의 단계에 해당되는 압력 값이 미리 정해진다.
2) 인식될 수 있는 최대 단계의 수는 미리 정해진다. 인식될 수 있는 최대 거리(시간 혹은 압력)도 미리 정해진다.
3) 단계의 조작 명령은 + 방향이 존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 방향도 존재한다.
4)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할 때, 오차 범위가 존재한다.
5) 각각의 단계별로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한다.
도 7에서 보면, 두 점 사이의 이동 경로인 가이드 선(50)(51)을 표시하였고, 도(A)에서처럼 상기 가이드 선에 각각의 단계(50a)(50b)(50c)(50d)(50e)를 표시하였다. (도 (B)에서는 각각 단계가 "(51a), (51b), (51c), (51d), 및 (51e)" 이다)
이때, 선택된 두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도 (A)의 경우에는,
1 단계 "50a", 2 단계 "50b", 3 단계 "50c", 4 단계 "50d", 5 단계 "50e" 이고,
선택된 두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도 (B)의 경우에도,
1 단계 "51a", 2 단계 "51b", 3 단계 "51c", 4 단계 "51d", 5 단계 "51e" 이다.
그리고, 한 단계 이동할 때의 거리를 10mm 로 미리 정한다면,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20 mm 이동한 경우 2 단계 이동이 되고, 전체 단계가 5 단계까지 존재하므로, 최대의 이동 거리는 50mm 가 된다.
물론, 각 단계별로 거리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2 단계까지의 거리는 10mm 로 하고, 2 단계에서 3 단계까지의 거리는 12 mm로 할 수도 있다. 단지 단계별 거리가 미리 정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단계별 거리도, 알고리즘을 정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변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2 단계의 이동 거리가 10mm 이지만, 단계의 조작 명령 전에 상기 단계의 이동 거리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12 mm로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두 점(포인트)이 가까워지면 -(마이너스) 이동, 멀어지면 +(플러스) 이동이 된다. (반대로 가까워지면 + 이동, 멀어지면 - 이동으로 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의 (A)의 예에서는, 1 단계 이동이 10mm 이고 20mm 이동하게 되면,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한 것이다. 또한, 도 7의 (B)의 예에서는, 1 단계 이동이 10mm 이고 20mm 이동하게 되면,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한 것이다.
한편, 상기 4) 번의 항목에서처럼, 본 발명의 단계의 조작 명령에서는 오차 범위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3mm 이동하였을 경우 1 단계로 판단하고, 18 mm이동하였을 경우 2 단계 이동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마치 수학에서 반올림과 내림의 개념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 실시에 따른 오차 범위를 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고자 할 때, 도 6의 실시에에서 도시된 것처럼 단계별 눈금이 표시된 가이드선(50)(51)이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선(50)(52)”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각각의 단계, 단계의 거리 및 방향이 표시되어, 단계의 조작 명령을 편리하게 실시하도록 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물론, 상기 가이드선(50)(52)이 반드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가이드 선이 표시되므로서, 각각의 단계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즉, 가이드선(51)(52)으로 표시된 눈금만큼 이동하므로서 원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 수행을 할 수 있다.
도 7에서 단계별 대응 정보는 "(50a-1), (50b-1), (50c-1), (50d-1), 및 (50e-1)"과 "(51a-1), (51b-1), (51c-1), (51d-1), 및 (51e-1)" 이다.
즉, 도 (A)에서 1 단계 "50a" 에 대응하는 정보는 "50a-1" 이고, 도 (B)에서 1 단계 "51a"에 대응하는 정보는 "51a-1"이다.
아울러, 상기 항목 1)에서 5)까지의 실시예는 유지되는 시간(혹은 압력)의 길이로 단계를 나누는 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명령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의 (A)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손가락 혹은 바가 선택한 한점(포인트)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고, (B)는 회전 운동을 하므로서 이동한 각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플러스) 단계의 명령은 상기 점이 위로 이동할 때이거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로 정해질 수 있고, , -(마이너스) 방향은 +로 정해진 방향과는 반대로 정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정하여 각각의 단계를 정할 수가 있다. 즉 상 방향 이동을 1 단계, 우 방향 2 단계, 하 방향 이동을 3 단계 등으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을 여러개 더 세분할 수도 있다. 즉 시계 방향에서 출발하여 40 도씩 각도를 나누어, 9 단계로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시계 방향에서 80 도 방향으로 이동하면 2 단계가 되는 것이다.
상기의 단계적 조작 명령에 따른 단계의 이동은 선택 영역(32)을 중심으로 하거나 하나의 점을 중심으로 할 수 있고, 특별히 선택 영역을 정하지 않고 화면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은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요약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직선거리이고, 상기 직선 거리가 단계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요약 내용이 표시되는 예이다.
이동한 거리(위 방향 이동이면 + 이동, 아래 방향 이동이면 - 이동)를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정보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1 단계가 "52a" 이고, 2 단계가 "52b" 이다. 그리고, 1 단계 요약 정보가 "52a-1" 이고 2 단계 요약 정보가 "52b-1" 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0) 화면에서는 단계를 표시하는 숫자와 각 단계의 요약 정보의 내용 표시될 수가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선(50)에 단계를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1 단계(52a)에 대응되는 요약 정보는 “휴대폰 간단 사양”이고, 2 단계(52b)에 대응되는 정보는 “휴대폰 세부 사양”이 된다, 따라서 2 단계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휴대폰 세부 사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는 가이드선의 디자인과 가이드선에 표시되는 요약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스마트폰(110)의 메모리부(21)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이 선택되면(사용자의 선택)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의 단계의 조작 명령의 선택 신호를 근거로 메모리부(21)에 저장된 가이드선 정보와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에(30)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의 조작 명령 선택 명령이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의하여 서버에 전송되면,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가이드선 정보와 요약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3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또한, 도 10은 이동한 각도를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와 각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요약 정보)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가이드선(50)에 단계(53a)(53b)(54c)(54d)(54e)가 표시되고, 요약 정보(53a-1)(53b-1)(54c-1)(54d-1)(54e-1)도 표시된다.
-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 -
본원 발명에서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예에 따른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스마트폰의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점(포인트)이 선택(손가락 혹은 바로 선택되어 질 수 있음.)되어 지면,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선택되어진 점의 위치 값(좌표)를 출력한다. 그리고, 점이 이동되면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점의 이동 값(좌표)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값(좌표)는 숫자나 기호가 될 수 있다.
2)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출력된 점의 위치 및 이동 값(좌표)를 판단하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이동 단계를 판단하고, 선택된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현재의 단계가 2 단계였고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하게 되면 선택된 최종 단계는 4 단계가 된다.
3)선택된 최종 단계가 정해지면, 중앙처리장치(20)는 메모리부(21)(혹은 21a, 21b, 21c)에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즉, 중앙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최종 단계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스마트폰는 서버에서 전송받은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즉, 최종 단계가 3 단계라면,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20)는 스마트폰의 메모리부(21)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3 단계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를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정도로도 단계를 나눌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상단에의 움직임을 이미지 소자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가 출력하는 신호를 알고리즘의 판단으로 하여, 움직임의 정도를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의 모양이나 눈의 모양 혹은 다른 이미지의 모양으로 단계를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어떠한 입력의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단계의 조작 명령처럼 단계를 구별하여 나누고, 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면, 단계의 조작 명령 후의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와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
1)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
스마트폰(110)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혹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이 되어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110)의 입력장치(28)를 통해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달되고, 서버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는 전송받은 새로운 정보를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2) 스마트폰 메모리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
스마트폰 내의 중앙처리장치(20)와 메모리부(21)를 사용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그때, 그때 서버에서 단계의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수신 받을 수 있다.이경우는 아래와 같은 순서를 가지게 된다.
첫번째,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혹은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단계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프로그램 실행을 서버에 전송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일반적으로 1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만, 이전 프로그램의 종료 상황에 따라 반드시 1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 만은 아니다.
두번째, 서버의 제어부는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에서스마트폰으로 모든 단계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전체에서 일부 단계의 정보 만 서버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들들어, 단계가 1 단계부터 7 단계까지 존재한다면, 서버가 스마트폰으로 1 단계부터 7 단계의 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지만, 서버가 스마트폰으로 1 단계에서 7 단계중 일부의 정보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단계만 전송할 때에는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의 주변 단계 정보가 서버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세번째,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수신 받은 정보를 메모리부(21)에 저장한다.
네번째,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 최종 단계가 정해지만, 서버에서 전송 받아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3) 혼합 사용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시작될 때 해당되는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 혹은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 최종 단계가 정해져서 그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다.
즉, 1 단계의 정보는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고, 2 단계의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질 수 있다.
또한, 서버의 연결 혹은 스마트폰 자체에서의 알고리즘 수행은, 각각 해당되는 프로그램과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때 그때 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렇게 정하는 것은 프로그램적으로 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기 위해서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혹은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는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단계별로 구별되어 저장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문자 서비스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문자 서비스 내에 선택 영역(32)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문자 박스(1)(2) 측면에 선택 영역(32)가 위치하게 된다. 즉, 수신 문자 박스(1)의 측면 혹은 송신 문자 박스(2)의 측면에 선택 영역(32)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32)은 송수신 문자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며, 상기 선택 영역이 송수신 문자와 분리될 수도 있지만, 상기 선택 영역(32)이 송수신 문자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2는 송수신되는 문자(1)(2) 사이에 선택 영역(32)이 존재하는 실시예이다.
도 13은 송수신되는 문자 박스(1)(2)와 선택 영역(32)이 붙어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송수신되는 문자 박스(1)(2)와 선택 영역(32)이 붙어 있는 방법은 선택 영역(32)의 형태나 디자인의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도 11내지 도 13은 송 수신 문자(1)(2) 사이에 만들어지는 영역에 선택 영역(32)이 존재할 수 있거나, 혹은 수신 문자 혹은 수신 문자와 선택 영역이 붙어 있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 내에서 송수신 문자(1)(2)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은 2 개 이상도 가능하다.
- 송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과 정보의 특징 -
첫째, 선택 영역이면서 1 단계 정보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송수신 문자(1)(2)가 표시 될 때, 송 수신 문자 사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1 단계의 정보이다.
2)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표시되는 1 단계 정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3) 1 단계 정보는 박스가 존재하고, 상기 박스 내에 텍스트 혹은 이미지로 표시되는 정보이다.
4) 1 단계 정보는 박스가 존재하고, 박스가 존재하지 않고 텍스트 혹은 이미지로 만 되어 있는 정보이다.
5) 동영상으로 존재하는 정보이다. 이때, 상기 동영상은 박스내에 존재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6) 박스는 반드시 사각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의 종류에 따라 혹은 디자인의 원의 모양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둘째, 2 단계 이상의 정보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2 단계 이상의 정보라 함은, 1 단계의 정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한 결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이다.
2) 2 단계 이상 부터는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될 있는 선택 영역이 될 수도 있고, 선택 영역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될 있는 선택 영역이 될 수도 있을 때에는 별도로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3) 반드시 송수신 문자(1)(2) 사이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 문자(1)(2) 사이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송수신 문자(1)(2) 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단에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단에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 면적에 표시될 수 있다.
4)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4는 단계 별로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1) 도는 1 단계 정보의 형태로서 이미지의 형태이다. 물론 반드시 이미지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단계 정보의 일반적인 특징은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과 정보의 특징" 에서 설명된 항목에 준한다.
그리고, 도 14의 (2) 내지 (7)도는 2 단계 이상의 정보의 형태이이다. 그리고, 2 단계 이상의 정보의 형태와 특징은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과 정보의 특징" 에서 설명된 항목에 준한다.
이때, 도 14의 (3)은 디자인 형상의 외형에 텍스트 정보이다.
또한, 도 14의 (4)는 단계의 정보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목차(71)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목차(7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목차(71)에 대한 추가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5)는 다른 기능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정보이고, 도 14의 (6)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정보이고, 도 14의 (7)은 지식 정보로 연결될 수 있는 정보이다.
아울러, 상기 예의 실시예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오디오 정보(혹은 음성 정보)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정보는 스마트폰(11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 도 14에 따른 단계별로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 -
1 단계 : 이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다.
2 단계 : 동영상 혹은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단계 : 동영상 혹은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단계 : "다른 기능", "다른 프로그램" 혹은 "지식 정보" 중에 하나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5내지 도 17은 각각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기능의 명칭이 목차로서, 임의의 단계의 정보로서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의 목차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다른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다른 기능은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을 의미한다. 요 사이에는 문자 서비스에서도 전화 기능(보이스톡)을 제공하기도 하고, 뉴스 정보 나 쇼핑 정보도 제공하고, 또한 설정 기능도 제공하여 문자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가 있다. 당연히 친구 리스트도 제공된다. 즉, 도 15의 실시예에서의 다른 기능은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기능을 의미한다.
도 15의 (A)는 다른 기능의 명칭이 목차 형태로 표시된 정보(70)이다. 즉, 상기 다른 기능 정보(70)는 목차(71)의 형태로서 제공된다. 예를들어, 상기 도 (A)의 목차 중에서 보이스톡을 선택하면, 보이스톡(전화)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인 보이스톡이 실행될 수 있든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도 15의 (A)의 목차에서 친구 리스트를 선택하면 친구 리스트가 표시되고, 문자 리스트를 선택하면 문자 리스트가 표시되고, 문자(도 (A)의 실시예에서는 도시 생략)를 선택하면 문자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차를 밟을 수 있다.
- 목차에서 우선 순위를 반영한 표시 -
이때,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여러 기능 중에서, 상기 문자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 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문자 보내기를 제일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1 위가 보이스톡이며, 친구 리스트 표시를 두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2 위가 친구 리스트 표시이고, 또한, 문자 리스트 표시가 세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3 위가 문자 리스트 표시가 된다.
그러면, 도 15의 (A)에서처럼 목차의 형태로 표시될 경우에는, 상기 1 순위, 2 순위 그리고, 3 순위에 해당되는 기능의 명칭(예를들면, 보이스톡, 친구 리스트 혹은 문자 리스트 등)이 상기 목차에 표시되게 된다. 당연히 경우에 따라서는 4 순위 5 순위 및 그 이상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의 명칭을 나타낸 목차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예를들어 도 15의 (A)의 목차에서 보이스톡이 선택되면 보이스톡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고, 친구 리스트를 선택하면 친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게 된다.
도 15의 (B)는 1 개의 다른 기능(74) 만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상기 1 개의 다른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이 1 개의 다른 기능(74)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프로그램의 명칭이 목차로서, 임의의 단계의 정보로서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의 목차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때, 다른 프로그램은 스마트폰(110) 내에서 제공하는 다른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요 사이에는 스마트폰(110) 내에서도 원래 스마트폰(110) 내에서 제공된 프로그램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예를들어, 원래 스마트폰 내에서 제공되는 문자, 전화, 문자 리스트, 인터넷 등의 프로그램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포털 사이트, 지도, 쇼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도 16은 이러한 프로그램 들이 목차로서 표시됨을 의미한다.
도 16은 다른 프로그램의 명칭이 목차 형태로 표시된 정보(90)이다. 예를들어, 상기 도 16의 목차 중에서 전화를 선택하면, 전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전화는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에서 제공되는 음성 통신 기능(보이스 톡)이 아니라 통신사를 통하여 스마트폰 자체에서 제공하는 전화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도 16의 목차 중에서 문자를 선택하면, 문자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문자는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에서 제공되는 문자 서비스가 아니라 통신사를 통하여 스마트폰 자체에서 제공하는 문자 전달 프로그램이다.
즉, 스마트폰 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든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도 16의 목차에서 카메라를 선택하면 카메라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연결되고, 지도를 선어플리케이션인 지도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연결된다,
- 목차에서 우선 순위를 반영한 표시 -
이때,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폰 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여러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라면 모두 포함됨. 즉,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와는 별개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임.) 중에서,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프로그램 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사 전화 프로그램을 제일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1 위가 통신사 전화 프로그램이며, 통신사 문자 프로그램을 두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2 위가 통신사 문자 프로그램이며, 인터넷 프로그램을 세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3 위가 인터넷 프로그램이 된다.
그러면, 도 16의 예에서처럼 목차의 형태로 표시될 경우에는, 상기 1 순위, 2 순위 그리고, 3 순위에 해당되는 기능의 명칭(예를들면, 전화, 문자 혹은 인터넷 등)이 상기 목차에 표시되게 된다.
당연히 경우에 따라서는 4 순위 5 순위 및 그 이상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의 명칭을 나타낸 목차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예를들어 도 16의 목차에서 전화가 선택되면 전화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고, 문자를 선택하면 문자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 시간도 우선 순위에 포함될 수가 있다. 사용 빈도와 함께 사용 시간이 함께 우선 순위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사용 빈도는 적지만, 한번 사용하게 되면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높아 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의 가중치를 각각 서로 얼마로 하여야 할지는,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할 수가 있다.
- 추천 되는 목차 -
목차(70)(80)(90)에 존재하는 항목이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검색 단어"와 "사용자의 입력 단어"가 분석되어 목차의 항목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본원 발명의 콘텐츠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추천으로 목차의 항목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목차에 내에 전체 항목이 6 개라면, 이중에서 4 개의 항목은 시간이나 빈도수에 의한 우선 순위가 반영되어 만들어지고, 나머지 2 개의 항목은 상기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만들어지거나 운영자의 추전에 의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 목차내에 항목의 갯수 -
목차내에 항목의 갯수가 반드시 복수개가 아니어도 된다. 1 개 이상이면 본원 발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지식 정보를 나타낸 실시예의 정보이다,
본원 발명에서 지식 정보(90)는 뉴스, 날씨, 스토리, 쇼핑, 스포츠 등에 관련된 정보를 지식 정보하고 하였다.
그리고, 도 17의 실시예도 상기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식 정보(90)는 목차(91)로 표시되고, 상기 목차(91)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목차(91)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지식 정보(90)에서 목차들의 이 표시되는 우선 순위의 방법도 상기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 목차의 선택과 실행 -
도 15내지 도 17에서의 목차의 선택과 실행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 영역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된다.
2) 중앙처리장치(20)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라 정해진 이동 단계를 결정하고, 최종 단계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최종 단계는 최초 단계에서 이동 단계를 더하거나 빼서 반영된 단계이다.(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 참조)
3) 중앙처리장치(20)는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를 메모리부(21)에서 선택하거나 서버에서 전송 받아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20)가 R/F부(24)와 통신망을 통하여 최종 단계 값을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상기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스마트폰(110)에 전송하여 준다.
물론, 상기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가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에서 미리 전송 받아 메모리부(21)에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4)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가 목차이면,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목차의 형태로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5) 상기 목차 중에서 하나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목차에 대한 지식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수 있고, 선택된 목차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또는 선택된 목차에 대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장(20)치는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정보 혹은 알고리즘을 통하여 선택된 목차에 대한 결과를 진행하고, 또한 서버에서 정보를 전송 받거나 서버와 연결되어 선택된 목차에 대한 결과를 진행할 수 있다.
- 한개의 항목 하나의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항목 -
도 15, 도 16 및 도 17에서는 그룹 항목(72)(82)(92)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항목을 선택하면, 또 다른 목차가 생성된다.
즉, 상기 도 15,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목차 내에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해당되는 다른 기능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혹은 지식 정보가 표시된다. 하지만, 상기 그룹 항목(72)(82)(92)가 선택되면, 또 다른 목차가 표시된다.
따라서,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항목과 그룹 항목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그룹 항목(72)(82)(92)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1) "#"로 표시된 그룹 항목(72)와 "●"로 표시된 그룹 항목(82)(92)처럼, 단어로 표시되지 않고 기호로 표시되는 경우가 존재하며, 상기 그룹 항목(72)(82)(92)가 선택되면, 별도창(디스플레이에 박스 형태로 표시되는 창)이 생성되고 상기 별도창에 목차 형태의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로 표시된 그룹 항목(72)가 선택되면, 별도창으로 "친구 검색", "알림", "송금", "보안", "버전 정보" 등의 항목이 목차가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단어가 상기 그룹 항목(72)(82)(92)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그룹 항목(82)에 "게임"이라는 단어가 표시되고, 상기 "게임"으로 표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별도창에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 "테트리스" 등 게임 항목들이 목차로서 표시되게 된다.
즉, 카테고리 개념의 단어가 그룹 항목(72)(82)(92)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그룹 항목(72)(82)(92)가 선택되면, 그 단어에 해당되는 항목 들이 목차로서 별도창에 표시된다.
이 경우는 단어의 계층구조 개념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3) "#"로 표시된 그룹 목차(72)와 "●"로 표시된 그룹 항목(82)(92)가 선택되면, 별도창에 하위 순위 목차가 표시될 수 있다.
예들들어, 도 15, 16 및 17의 예에서 목차에 표시된 항목들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들이라면, 상기 별도창에 표시된 목차에 표시된 항목은 우선 순위가 낮은 항목들이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5, 16 및 17에서는 다른 기능, 다른 프로그램 및 지식 정보로 각각 구분하여 목차가 표시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동일 목차내에 항목으로서 반드시 다른 기능 만 존재하거나, 혹은 다른 프로그램 만 존재하거나, 혹은 지식 정보 만 존재할 필요가 없다. 예를들어, 다른 프로그램, 다른 기능 혹은 지식 정보가 동일한 목차내에 각각의 항목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도 18은 그룹 항목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목차(70,80,90) 내에서 그룹 항목(72)(82)(92)이 존재하고, 상기 그룹 항목(72)(82)(92)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72a)(82a)(92a)은 선택되지 않은 그룹 항목(72)(82)(92)과 구별되어 표시된다. 즉, 색, 선의 두께, 명도 등으로 구별되게 하거나 깜빡거려서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된다.
그리고, 선택된 항목(72a)(82a)(92a)에 대한 추가 정보는, 별도창(97) 내에 새로운 항목(97a)들이 목차로서 표시된다.
- 별도창 표시 -
1) 목차 내에는 항목과 그룹 항목이 존재한다.
목차가 항목으로만 구성될 수 있고, 혹은 목차가 그룹 항목으로 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목차에 항목과 그룹 항목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2) 목차(70)(80)(90) 내에 어느 항목(71)(81)(91)이 선택되면, 별도창(97)에 의하여 선택된 항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도 18의 실시예는 목차내에 그룹 항목(72)(82)(92)이 선택되는 경우의 실시예이지만, 도 18의 실시예는 목차(70)(80)(90) 내에 항목(71)(81)(91)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한편, 항목 또는 그룹 항목이 선택될 경우 대응되는 정보가 별도창(97)에 표시되기도 하지만, 상기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가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고 하여도, 선택 메뉴 혹은 제어 메뉴 등은 함께 표시된다.(여기서 메뉴는 화면 상단이나 화면 일부에서 표시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뉴를 의미한다,)
3) 별도창 표시 순서는 아래와 같다.
- 입력장치(28)를 통하여 목차(70)(80)(90)중에서 하나의 항목(71)(81)(91) 혹은 그룹 항목(72)(82)(92)이 선택된다.
- 입력장치가 중앙처리장치에 선택된 위치 값을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는 어떠한 항목(71)(81)(91) 혹은 어떠한 그룹 항목(72)(82)(92)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가 메모리부(21)에 저장될 수도 있고, 서버에서 전송 받은 정보일 수도 있다.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이면,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부에서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서버에서 전송받을 정보이면,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한 상황(정해진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스미트폰에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서버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목차 내에 항목과 그룹 항목을 구별하여 설명의 표시상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제 실시예에서는 항목과 그룹 항목이 구별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내지 도 21은 계층구조 개념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는 계층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목차에서 "쇼핑"이 선택되었을 때를 가정하서 나타낸 실시예 도면이다. 도 17의 목차에서 "쇼핑"이 선택되면, 별도창(97)으로 소핑에 관련된 항목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별도창으로 처음으로 나타난 목차를 제 1 계층이라고 한다.
제 1 계층(60)에는 1번 "패션 브랜드"부터 9번 "가구 생활 제품"까지 항목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제 2 계층 구조는 9 개의 목차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계층 구조는 제 2 계층 구조 목차 내에 존재했던 모든 항목의 갯수 만큰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예에서 항목이 9 개라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항목의 갯수는 1개 혹은 2개 이상 가능하다.
즉, 제 2 계층 구조에서 목차(61-1)는, 제 1 계층(60)의 목차 중에서 "1. 패션 브랜드"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또한, 제 2 계층 구조에서 목차(61-9)는, 제 1 계층(60)의 목차 중에서 "9. 가구 생활 제품"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아울러, 제 3 계층 구조에서 목차(61-1-1)는, 제 2 계층(61-1)의 목차 중에서 "1-1. 여성 의류 패션"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또한, 제 3 계층 구조에서 목차(61-9-10)은, 제 2 계층(61-9)의 목차 중에서 "10. 000 0000 00"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즉, 1 계층 목차의 항목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가 목차로 나타나고 이 목차는 제 2 계층이 되며, 제 2 계층 목차 내에는 또 다른 항목이 존재한다.
그리고, 2 계층 목차의 항목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가 목차로 나타나고 이 목차는 제 3 계층이 되며, 제 3 계층 목차 내에는 또 다른 항목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식으로 제 4 계층과 제 5계층도 존재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신문"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뉴스위크,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등을 항목으로 가진 새로운 목차가 표시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구글, 야휴, 네이버 등을 항목으로 가진 새로운 목차가 표시된다.
또한, "메신저"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위쳇을 항목으로 가진 새로운 목차가 표시되고, 상기 항목 중에서 텔레그램이 선택되면 텔레그램과 연결되게 된다.
도 20은 제 1 계층이 별도창(97)으로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1은 제 2 계층이 추가 별도창(97a)로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결론적으로 목차는 우선순위, 입력 단어, 추천 등이 반영되어 정해지기도 하지만, 계층구조의 개념으로 정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 단계적 조작 명령 -
본원 발명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1 단계부터 가장 높은 단계인 K 단계까지 단계가 존재하고, 현재 N 단계(N 단계는 1 단계에서 K 단계 까지 내에서 임의의 하나의 단계이다.)에서 임의의 단계까지 이동 방법인 단계적 조작 명령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도 5에서 도 10까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단계적 조작 명령은 현재 단계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2 단계 이상 이동이 가능한 방법이다. 그리고, 1 단계에서 3 단계로 이동되는 것처럼, 현재 단계에서 높은 단계 방향(K 단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존재한다. 또한, 3 단계에서 1 단계로 이동되는 것처럼, 현재 단계에서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존재한다.
이때, 거리 이동, 각도 이동 등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높은 단계 방향으로의 이동과 낮은 단계 방향으로의 이동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시간 유지의 방법(혹은 압력의 세기로 단계 정하는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높은 단계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낮은 단계의 이동은 쉽지가 않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좀 더 다양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높은 단계로의 이동은 시간 유지의 방법(혹은 압력 가하는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지만, 낮은 단계로의 이동은 거리나 각도 이동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한다.
높은 단계로의 이동은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하고, 낮은 단계로의 이동은 도 5 혹은 도 8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3 단계 이동할 때에는 1 초의 시간 유지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되고, 3 단계에서 1 단계 이동할 때에는 2 cm 이동 혹은 30 도 이동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2) 1 단계에서는 2 단계 이상 단계 이동이 가능하지만, 2 단계 이후 부터는 단계저 조작 명령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2 단계 이후 부터는 1 단계 이동 만 가능할 수 있다, 혹은 2 단계 이후부터는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2 단계 이후부터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이동되는 단계의 방법을 조절할 때, 그 단계가 2 단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단계 이상부터 본 항목 2)의 단계 이동 규칙이 적용될 수 있고, 임의의 N 단계부터 본 항목 2)의 단계 이동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임의의 N 단계에서는 반드시 J 단계 이동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N 은 2 이상 K 까지이고, J 는 2 이상이다. J 단계 이동은 높은 단계 이동 혹은 낮은 단계 이동이 될 수 있다.
3) 높은 단계로의 이동은 시간 유지되는 길이를 단계로 나누는 방법(혹은 압력 세기로 단계 나누는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지만, 낮은 단계로의 특정한 마크(도 22에서 조작 마크(34a))를 선택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하다.
도 22는 항목 2)의 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의 (A)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1 단계로,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는 선택영역(32)에 해당된다. 도 22의 (A)에서는 1 단계 정보를 이미지로 나타내었으나, 텍스트 정보 동영상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입력장치(28)를 통하여 도 22의 (A)의 이미지(1 단계)가 선택되고, 선택되어지는 시간이 유지되는 길이에 따라서, 2 단계(34)인 도 22의 (B)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고 3 단계인 도 22의 (C)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3 단계에서 1 단계 혹은 2 단계로 이동하거나 2 단계에서 1 단계로 이동하기 위하여 시간 유지되는 길이를 단계로 나누는 방법(압력의 세기로 단계를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을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로 제공한다.
1) 한번만 터치 하면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만 이동한다.
2) 스마트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감 버튼을 선택하면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만 이동한다.
3) 도 22의 조작 마크(34a)가 선택되면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22에서 1 단계(32), 2 단계(34) 혹은 3 단계(36)가 선택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높은 단계 방향으로 단계가 이동된다.
그러나, 조작 마크(34a)가 선택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낮은 단계 방향으로 단계가 이동된다. 낮은 단계로의 이동은 3 단계이서 1 단계로 이동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단계(32)(34)(36) 혹은 조작 마크(34a)가 선택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32)(34)(36) 혹은 조작 마크(34a)가 표시된 영역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도 23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4에서 도 18에서는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 24은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3의 실시예를 보면 임의의 N 단계(여기서 N은 1 이상 K 이하에서 임의의 N)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디스플레이(30)에 검색창(95)이 표시되고, 상기 검색창(95) 내에 단어 검색창(95a)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음성 검색창(95a)이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이미지 검색창도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검색창을 통하여, 정보가 검색될 수 있고, 다른 기능이 검색될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을 검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능이 검색되고 선택되면 다른 기능이 수행되거나 연결되게 된다. 또한 다른 프로그램이 검색되고 선택되면 다른 프로그램이 수행되거나 연결되게 된다.
도 24는 문자가 선택 영역인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4에서처럼 선택영역으로서 수신 문자(1)(32)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수신 문자(1)(32)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제 2 단계 혹은 제 3 단계(34)(36)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실시 방법에 따라, 4 단계, 5 단계 등 그 이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도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송수신 문자(1)(2)가 선택 영역이 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어도,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이 그대로 적용되게 된다.
예를들어, 송수신 문자(1)(2)가 선택 영역(32)이 되어서, 상기 송수신 문자(1)(2)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2 단계, 3 단계 혹은 N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임의의 N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디스플레이(30)에 검색창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창을 통하여, 키워드 검색, 친구 리스트 검색, 전화 번호 검색 등 다양한 검색을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키워드 검색은 인터넷 망을 통한 검색, 주고 받은 문자 내에서의 단어 검색, 다른 기능 검색 혹은 스마트폰 내에서의 다른 프로그램 검색이 될 수가 있다.
도 25는 문자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이모티콘 서비스에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을 적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25의 (A)는 서비스 운영자가 제공하는 정보이다. 즉, 선택장(40)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창(40)에는 선택 항목(41)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항목(41) 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다, 즉, 통상적인 문자 서비스에 제공되는 이모티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이모티콘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의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5의 (A)에서 단계 입력(42)를 선택하면, 도 25의 (B)처럼 입력창(45)이 표시된다. 즉, 도 25의 (B)가 종래 이모티콘 서비스에는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방법이다.
도 25의 (B)처럼 입력창(45)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공간(47), 입력되는 정보의 단계가 표시되는 단계 표시(46), 다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혹은 동영상)를 첨부할 수 있는 첨부 마크(48)가 존재한다. 여기서, 단계 표시(46)는 현재 입력 공간(47)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몇 단계 정보인가를 표시하는 것이다. 즉, 단계 표시(46)에 “3 단계”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입력 공간(47)에 입력되는 정보는 3 단계 정보가 된다.
또한, 도 25의 (B)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마크와 추가 단계를 입력하는 추가 단계 입력 마크도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입력 마크가 선택되면 입력 공간(47)에 입력된 정보가 저장된다.(메모리부(21)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에 전송되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단계 입력 마크가 선택되면 다음 단계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입력창(45)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45)에 새로운 단계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현재 입력장(45)에 입력된 정보가 3 단계(혹은 N 단계)라면, 새로운 입력창(45)에 입력된 정보는 4 단계(혹은 N+1 단계)가 된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모티콘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1)도는 1 단계로 선택 영역(32)이고 이미지이고, 도 26의 (2)도는 동영상으로 2 단계(34) 정보이고, 도 26의 (3)도는 3 단계(36) 정보이고, 도 26의 (4)도는 4 단계(38) 정보이다. (이때, 1 단계와 2 단계 정보가 이미지 혹은 동영상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텍스트 데이터 혹은 텍스트와 이미지가 혼합된 데이터도 가능하고, 텍스트와 동영상이 혼합된 데이터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단계의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도 마찬가지이다.)
도 27은 문자 재전송에 본원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종래에는 수신된 문자(1)를 재전송(혹은 전달) 할 수 있다. 이때, 본원 발명에서는 단계 입력 기능이 더 추가되게 된다. 도 27의 실시예의 재전송 메뉴(2b)에서 “단계 입력”이 선택되면, 단계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45)이 표시되에 단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문자 사용할 때 문자가 입력되는 영역인 문자 입력 창(2a)에 상기 입력창(45)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단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8에서처럼 문자 입력 창(2a)에는 입력 마크(2c)가 존재하며, 상기 입력 마크(2c)는 일반적인 문자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입력마크와 기능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상기 입력마크(2c)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29는 상기 입력마크(2c)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었을 때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상기 입력마크(2c)가 선택되면, 도 29의 (A)에서처럼 선택창(2d)이 문자 입력 창(2a) 내에 혹은 디스플레이(30) 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장(2d) 내에는 선택이 가능한 여러 항목이 목차로서 나타내어진다.
그리고, 상기 여러 항목 내에는 단계 입력(2e) 항목이 존재하고, 다른 기타 입력(2f) 항목도 존재한다, 물론 도 29에서는 다른 기타 입력 항목(2f)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단계 입력(2e) 항목이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면, 도 29의 (B)에서처럼 입력창(45)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창(45)을 통하여 단계에 대한 정보는 입력된다,
한편, 상기 입력창(45)을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는 방법은 본원 발명의 도 25의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된다. 단지 도 25의 실시예에서는 일부 단계에 대한 정보는 운영자가 제공하지만, 도 28과 도 29의 실시예에서는 1 단계(가장 낮은 단계)부터 K 단계(가장 높은 단계)까지의 정보가 모두 스마트폰(110)을 통하여 입력된다. 즉 본원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1 단계(가장 낮은 단계)부터 K 단계(가장 높은 단계)까지의 정보를 모두 입력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단계에 대한 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거나 메모리부(21)에 저장된다.
한편, 서버에 전송된다는 것은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과 문자로서 연결된 또 다른 스마트폰에, 입력된 단계의 정보가 문자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문자 이외의 다른 콘텐츠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0은 단계 입력이 가능한 또 다른 스마트폰과 연결된 경우의 불럭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은 본원 발명의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이다. 그리고, 또 다른 스마트폰(110-1)에서 단계 입력이 입력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스마트폰(110-1) 혹은 휴대용 단말기는 본원 발명에서 설명된 스마트폰(110) 혹은 휴대용 단말기와 사실상 동하거나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또 다른 스마트폰(110-1)에서도 적용된다.
- 단계 입력에 대한 순서 -
1)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의 입력장치(28-1)를 통하여 단계 입력이 선택된다, 이때,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은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2)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의 중앙처리장치(20-1)는 단계 입력이 선택되면, 입력창(45)을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3) 상기 입력장치(28-1)를 통하여 단계의 정보가 입력되면, 다른 스마트폰(110-1)의 중앙처리장치(20-1) 입력된 단계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4) 서버의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입력된 단계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한편, 서버의 제어부는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5)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은 스마트폰(110)에서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 표시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20)은 단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이때, 단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은 본원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예가 적용된다.
도 31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1의 (A)는 암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예를들어, 어떠한 단계에 대한 정보에 암호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암호를 입력하여야, 단계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이 표시된다.
즉, 2단계, 3 단계, 4 단계(34.36.38) 혹은 1 단계(가장 낮은 단계)에서 K(가장 높은 단계)까지 하나의 임의의 N 단계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상기 N 단계에 대한 정보에 암호가 설정되면, 도 도 31의 (A)에서처럼 암호 입력창(5)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암호 입력창(5)에 암호가 입력되고, 중앙처리장치(20) 혹은 서버의 제어부(101)는 입력된 암호가 미리 설정된 암호와 일치하게 되면, 단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게 된다. 서버의 제어부가 암호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은 통상의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도 31의 (B)는 단계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단계 정보를 입력할 때, 단계 정보 자동 표시 설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계 정보를 입력할 때, 단계 정보 자동 표시를 선택하면, 자동 설정창(6)이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 정보 자동 표시(6a)에서 자동 표시를 지정하거나 지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의 (B)의 단계 정보 자동 표시(6a)에서 “Y(yes)”가 선택되면 자동 표시가 설정되는 것이고, “N(no)”가 선택되면 자동표시가 설정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자동 표시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체 단계가 1 단계부터 5 단계까지라면, 단계 설정 창(6b)에서 시작 단계에 1 단계를 지정하고, 단계 설정 창(6b)에서 종료 단계를 4 단계로 지정하면 1 단계에서 4 단계까지만 자동으로 단계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5 단계의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어야 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때. 단계 정보 자동으로 표시된다는 것은 1 단계부터 4 단계까지 자동으로 순차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계 설정 창(6b)의 괄호에 시간을 지정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표시될 때 각 단계가 표시되는 시간이 지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자동 설정은 스마트폰(110) 사용자 뿐 아니라 서버 운용자도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자동 표시 설정을 해지 할수도 있다, 즉, 자동 표시 설정이 지정된 단계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동 표시 설정 지정 해지하면 단계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32는 속도가 반영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1 단계, 2단계, 3 단계, 4 단계(32,34.36.38) 혹은 1 단계(가장 낮은 단계)에서 K(가장 높은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N 단계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이 도 32의 화살표 방향으로 실시될 수가 있다.
즉, 도 32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계 정보를 선택하여 왼쪽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을 이동하면, 낮은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 이동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계 정보를 선택하여 오른쪽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을 이동하면, 높은 방향(K 단계 방향)으로 1 단계 이동한다.
한편, 이동 속도가 반영될 수 있다, 즉,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 시간이 길면(속도가 느리면) 더 많은 단계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들어,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이 이동되는 시간이 0.5 초이거나 혹은 0.5 초 이하이면은 1 단계 이동(낮은 방향 혹은 높은 방향으로)하고,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이 이동되는 시간이 1초 이거나 혹은 0.5 초 이상 1초 이하이면은 2 단계 이동(낮은 방향 혹은 높은 방향으로)된다.
이때, 선택된 점이 이동하는 방법은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원모양 이동, 각도 이동 등)가 적용되고,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범위에 따른 단계 이동도 본원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선택점이 이동될지라도 1 단계 이하로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K 단계 이상으로도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도 33 내지 도 35는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3의 (A) 보면, 선택영역(32)이 선택되어, 도 5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물론, 도 7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도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3의 (B)에서처럼 상기 선택영역(32)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도 (B)의 (1 단계)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 2 단계의 정보가(36)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도 (B)에서는 2 단계 정보가 4개의 박스 형태로 나타냈지만 반드시 4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N 개다.
그리고, 도 (B)의 2 단계 정보 4 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좌우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화살표 표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3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서는 3 단계 정보가 3 개로 표시되었지만 3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N 개다.
또한, 상기 3 개의 3 단계 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
(도 (B)의 (3 단계)에서 화살표가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 정보) 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도 33의 (C)처럼 4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도 34는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실시예를 나나탠 도면이다. 즉 도 33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선택 영역(32)이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이 선택되어 일정 시간 유지되는 정도에 따라 2 단계, 3 단계 및 그 이상의 단계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혹은 가해진 압력의 크기로 단계를 나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이동 거리(혹은 각도)로 단계가 나누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이하 A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나누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 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이하 B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서로 다르다.
도 35는 서로 다른 A 방법에 의한 실시예와 B 방법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들어, 1 단계인 동일한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A 방법에 의하여 2 단계가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2 단계 정보(34)와 “B 방법에 의하여 2 단계가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2 단계 정보(34)는 서로 다르다. 즉,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방법이 다르면, 동일한 2 단계 정보(34)도 서로 다르다.
-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를 경우 실시예 -
1) 동일한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할 때, 가장 낮은 단계의 다음 단계인 2 단계부터 가장 높은 단계인 K 단계 내에서 어떤 한 단계인 N 단계의 정보(39)는 서로 다르다.
즉, 동일한 N 단계의 정보이지만,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르면 상기 N 단계의 정보(39)는 서로 다르다.
2) 상기 1) 항의 방법의 결과로 표시되는 정보에 있어서,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의 정보가 모두 다르다는 것은 아니다.
즉,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 중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르게 되면, 동일한 단계임에도 서로 정보가 다른 단계가 적어도 1 단계 이상 존재한 다는 것이다.
3) 도 33 내지 도 35의 실시예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르게 될 때, 2 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2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4) 세트의 존재
-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를 본원 발명에서는 하나의 세트하고 하였다.(여기서 N 단계는 2 단계에서 K 단계까지 중에서 어느 한 단계)
A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였을 때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는 제 1 세트(39a)이고, B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였을 때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는 제 2 세트(39b)이다.
마찬가지로 C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였을 때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는 제 3 세트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세트, 제2 세트, 제 3 세트 내에서, 제 1 단계의 정보(1 단계 선택 영역)(32)은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세트가 다를 경우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 중에서 서로 정보가 다른 단계가 적어도 1 단계 이상 존재한다. 물론 세트가 다르면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의 정보가 모두 다를 수 있다.(도 35의 도면에서처럼)
5) 상기 세트가 저장되는 장소는 스마트폰의 메모리부(21)이며, 또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이다.
따라서, 상기 세트(39a)(39b) 내에서의 정보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스마트폰의 메모리부(21)에서 상기 정보를 선택하거나, 서버에서 전송받은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6)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 예시는 아래와 같다.
- 제 1 실시예 : A 방법은 점이 선택되어 이동되는 방법이다. B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제 2 실시예 : A 방법은 상하 방향 이동(한점 혹은 두점 선택)이다. B 방법은 좌우 방향 이동이다. 그리고, C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제 3 실시예 : A 방법은 점이 선택되어 이동되는 방법이다. B 방법은 이동되는 각도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그리고, C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제 4 실시예 : A 방법은 두 점이 선택되고 선택된 점이 좁혀지거나 늘어나는 방법이다. B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그 외, 손가락 이미지 모양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 선택 영역을 두두리는 갯 수로 방법 등이 존재한다.
즉, 상기 실시예의 방법 이외 다양한 실시예 방법의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도 36은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6의 (A)는 본원 발명의 도 5 혹은 도 8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경우이다.
1 단계(32)가 “신문” 정보이고, 상기 1 단계에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2 단계의 정보(목차)(34)로서 신문사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즉,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가 목차 내의 항목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기 2 단계의 신문사 정보(목차)(34)중에 하나의 신문사(항목)을 선택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3 단계 정보의 정보(목차)(36)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즉, 신문사 내에 뉴스의 분류 정보가 “주요 뉴스”, “날씨”, “경제” 처럼 항목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36의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되었지만, 도 36의 (A)의 (3 단계)에서 항목인 “날씨” 나 “주요 뉴스”가 선택되면, 선택 정보인 “날씨”나 “주요 뉴스”에 관한 세부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거나 상기 선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된다.
도 36의 (B)는 본원 발명의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 되는 경우이다. 즉, 도(A) 방법과는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35의 (B)에서 각각의 단계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 준한다.
-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 실행 순서 -
1)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한 예는 도 36의 (A) 사례이다. 1 단계 정보(선택 영역)(32)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된다.
2) 1 단계 정보(선택 영역)(32)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되면 2 단계 목차(정보)(34)가 표시된다.
2 단계에서 표시되는 목차 내의 항목의 개수는 1 단계 선택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기 위하여 선택된 점의 이동 거리와 관계된다.
예를들어, 도 33의 (B)의 실시예에서는 1 단계에서 2 단계로 이동될 때, 도 33의 (B)의 (2 단계)에서는 목차(정보)(34) 내에 항목이 4개 표시되었다. 그러나, (1 단계)에 표시된 화살표(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표시)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선택되는 점이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항목 2 개만 표시될 수도 있고 6 개도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33의 (B)의 (2 단계)에서 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목차(정보)(34)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상태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선택점 점을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하면, 그 상기 표시된 4개 항목이 5개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된다.(물론 최대 정해진 숫자 만큼 만 증가된다.) 그리고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선택된 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표시된 4개 항목이 1개 까지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어, 선택된 두 점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목차(정보)(34) 내의 항목의 숫자가 더 늘어 난다.(물론 미리 정해진 숫자 보다 더 늘어나지는 않는다.) 한편, 선택된 두 점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목차(정보)(34) 내의 항목의 숫자가 1개까지 줄어든다. 당연히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에 따라 늘어나는 항목의 수 혹은 줄어드는 항목의 수가 정해진다.
3) 2 단계 목차(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되면 3 단계 목차(정보)(36)가 표시된다.
이때, 3 단계 목차(정보)(36) 내에서 생성되는 항목의 숫자는 상기 2 단계 목차(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에 따른다.
4) N 단계 목차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되면 N+1 단계 목차(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N+1 단계 목차(정보)(36) 내에서 생성되는 항목의 숫자는 상기 2 단계 목차(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에 따른다.
5)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은 2차원 3차원 4차원을 표시하는 수학의 예를 모방한 표현이다,
즉, 1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 과 2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다르다. 즉, N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 과 N+1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다르다.
6) N 단계 정보(목차)가 선택되어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방향)이 실시되면 N 단계 정보(목차) 내에서 항목의 숫자가 증가되거나 줄어든다. 이때, N 단계 정보(목차)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좌우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방향)이 실시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한 하부 단계 정보(도 19의 계층 구조 예에서 하부 정보)가 N+1 단계의 정보(목차)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N+1 단계의 정보(목차)는 2 개 이상(아주 예외적으로는 항목이 1개도 가능하다.)의 항목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정보가 표시되지만, 하부 정보가 아닌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7) 임의이 N 단계 혹은 N+1 단계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방향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8)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을 위항 사용 방법의 예시
- 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이동 거리에 의하여, 목차 내에 항목의 수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정도가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
- 그리고, 목차 내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선택된 항목의 정보와 다른 정보를 가진 항목이 표시된다. (혹은 선택된 항목의 정보의 하부 계층(도 19의 실시예)의 정보를 가진 항목이 표시된다.)
9) 선택 영역(목차) 내에 항목이 1개 뿐이라면, “이동 거리에 의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방법”과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방법”이 혼용 사용될 수 있다.
-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2 가지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실시예 -
아래 실시예에서 A 방법과 B 방법은, 선택된 점이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 나누는 방법, 선택된 점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로 단계 나누는 방법, 선택된 점이 이동하는 거리 혹은 각도로 단계 나누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방법이다.
1) 제 1 실시예
(a)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1 단계, 2 단계, 3 단계처럼 단계의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데이터 양이 증가된다.
- 데이터가 증가될 때, 이전 단계에 존재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데이터 양이 증가된다,
- 동일 계층(도 19의 계층 구조예에서)의 정보가 증가된다.
예를들어, 단계가 증가되면 항목이나 목차의 갯수가 증가된다.
도 33의 실시예에 따른 예를들면, 1 단계에 “런턴 타임즈”가 존재하지만,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2 단계로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코리아 타임즈“ 등이 추가로 나타나게 된다.
(b)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1 단계, 2 단계, 3 단계처럼 단계의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진다.
예를들어, N+1 단계의 정보에는 N 단계이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 하부 계층(도 19의 계층 구조예에서)의 정보가 표시된다.
2) 선택 영역의 대상이 전화 번호 리스트일 때,
(a)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전화 번호 리스트(목차)에서 하나의 항목(이름이나 명칭 혹은 번호)을 선택되고, 선택된 항목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 그리고, 단계가 증가됨에 따라 전화 번호와 관련된 정보의 데이터가 증가된다.
: 전호 번호가 추가로 표시된다.
: 선택된 이름과 관련된 정보가 추가로 표시된다, 다른 전화번호, 메일 주소, 주소, 메모 등이 추가로 표시된다.
: 정보 편집 등이 추가로 표시된다.
: 문자 기능이 표시된다.
(b) B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문자와 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콘텐츠와 연결된다.
: 전화 이에외 다른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목차가 나타난다.
3) 선택 영역의 대상이 지도일 때,
(a)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지도에 관한 추가 정보가 표시된다.
: 지도의 상세도가 증가된다.
: 지도 내에 어떠한 지점(상점이나 식당)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명령이 실시되면, 추가 상점이나 식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들면, 상기 지점(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장소일 수 있다,)에 복수개의 상점이나 식당이 존재할 경우 단계적 조작명령이 실시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점이나 식당의 수가 늘어난다.
(a) B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지도 내에 특정 지점(상점이나 식당)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선택된 지점에 대한 추가 정보가 표시된다.
: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상점이나 식당이 취급하는 상품이나 메뉴이다.
: 상기 상품이나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 상기 상품이나 메뉴를 결재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 상기 상점이나 식당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 상기 상점이나 식당에 메일을 보낼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4) 선택 영역의 대상이 아이콘일 때
: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 실행” 방법에 준한다.
도 37은 2차원 단계를 가진 단계적 조작 명령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7의 (A)는 각각의 정보의 단계가 2 차원의 방법 혹은 3 차원의 방법으로 나타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최초 1 단계(1-1 단계) 가 존재하고, 가해지는 값의 크기로 2 단계 3단계, 4 단계 혹은, N 단계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1 단계 내에서도 1-1 단계, 1-2 단계, 1-3 단계, 1-4 단계 혹은, 1-N 단계가 존재한다.
또한, 2 단계 내에서도 2-1 단계, 2-2 단계, 2-3 단계, 2-4 단계 혹은, 2-N 단계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N 단계 내에서도 N-1 단계, N-2 단계, N-2 단계, N-4 단계 혹은, N-N 단계가 존재한다.
1 단계(1-1 단계), 2 단계(2-1 단계), 3단계(3-1 단계), 4 단계(4-1 단계) 혹은, N 단계(N-1 단계)로 단계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을 A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N-1 단계, N-2 단계, N-2 단계, N-4 단계 혹은, N-N 단계로 단계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을 B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압력, 시간, 거리 이동, 각도 이동 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첫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압력의 세기로 하는 방법, B 방법이 시간 유지의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둘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시간 유지의 방법, B 방법이 거리 이동의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세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속도에 의한 방법, B 방법이 거리 이동의 방법일 수 있다.
아울러, 네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오른쪽(혹은 왼쪽) 수평 방법으로 거리 이동"의 방법, B 방법이 "아래(혹은 위 방향) 수직 방향으로 거리 이동"의 방법일 수 있다.
즉, A 방법과 B 방법이 동일하지 않도록 다양한 경우의 수의 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방법으로 2 단계 이동하고, B 방법으로 3 단계 이동하면, 2-3 단계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 다른 예로, A 방법으로 N 단계 이동하고, B 방법으로 N 단계 이동하면, N-N 단계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2-3 단계 혹은 상기 N-N 단계의 아이콘은 각각의 단계의 정보의 특징(혹은 요약)이 표시되어 있다. 정보의 특징(혹은 요약)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도 9와 도 10의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3 단계 혹은 상기 N-N 단계의 정보를 더 자세히 보고 싶으면 상기 2-3 단계 혹은 상기 N-N 단계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선택)
도 37의 (B)는 각각의 정보의 단계가 2 차원의 방법 혹은 3 차원의 방법으로 나타나는 또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단계이면서 선택 영역(32)이 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이 되면, 가이드 선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선(50)에는 각각의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혹은 요약)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선(50)의 가이드에 의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이 입력 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만들어진 최종 단계(2, 3, 4, 혹은 N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가 별도창(97)에 표시된다.
이때에도, 도 37의 (A)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A 방법과 B 방법이 존재하여, N-N 단계의 정보가 별도창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적 조작 명령시 A 방법 혹은 B 방법임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 3 차원의 단계 -
1-1 단계(1-1-1단계) 내에서도 1-1-2 단계, 1-1-2 단계, 1-1-3 단계, 1-1-4 단계 혹은, 1-1-N 단계가 존재한다.
또한, 2-2(2-2-1)단계 내에서도 2-2-2 단계, 2-2-3 단계, 2-2-4 단계 혹은, 2-2-N 단계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N-N 단계 내에서도 N-N-1 단계, N-N-2 단계, N-N-2 단계, N-N-4 단계 혹은,N-N-N 단계가 존재한다.
즉, 1 차원 방향으로 단계 이동은 A 방법, 2 차원의 방향으로 단계 이동은 B 방법이라고 하면, 3 차원 방향으로의 단계 이동은 C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C 방법으로의 단계적 조작 명령도, A 방법과 B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계층적으로 볼 때에는, 동일 계층의 정보 이동은 A 방법, 한 계층 낮은 방향으로의 정보 이동은 B 방법이라고 하면, 두 계층 낮은 방향으로의 정보 이동은 C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게층 구조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도 19와 도 20의 실시예에 준한다.
도 38과 도 39는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30-1)과 제 2 디스플레이(30-1)가 구비되고, 제 1, 2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5-1)(25-2)도 구비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에는 제 1 입력장치(28-1)가 구비되고, 제 2 디스플레이에는 제 2 입력장치(2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 1,2 입력장치 구동부(27-1)(27-2)도 구비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1)와 두 개의 입력장치(28-1)(28-2)는 하나의 중앙처리장치(20)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39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디스플레이(30-1)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그 결과는 제 2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다. 물론 제 2 디스플레이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그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디스플레이(30-1)에서 선택 영역(현재 1 단계)을 선택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해 2 단계 이동을 하면, 최종 단계는 3 단계가 되며 상기 3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제 2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다는 것이다.
도 39의 기능은 스마트폰의 메모리부(혹은 서버의 데어터 베이스)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혹은 서버의 제어부)에서 실행 가능하다. 즉 제 1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제 1 입력장치(28-1)를 통하여 입력된 단계의 조작 명령의 결과 선택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제 1 디스플레이(30-1)를 통하여 단계 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제 2 디스플레이(30-2)에 입력창(45)이 표시되어 본원 발명의 사용자가 스마트폰(110)을 사용하여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창(45)에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30-1)를 통하여 단계 입력(42)이 선택되면, 도 25의 (A)에서의 실시예에서처럼 선택창(40)이 표시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처럼, 단계가 증가되면 이전 단계보다 데이터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이전 단계에 없는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이전 단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정보로만 새로운 단계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되어도 가장 낮은 단계 이하로 혹은 가장 높은 단계 이상으로 더 진행될 수 없다.
본원 발명에서는 매우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실시예를 실시하는 데 기본이 되는 스마트폰과 서버 및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은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적용될 수 있다.
한 두가지 예를들어 보면, 본원 발명에서 선택 영역은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수 있는 영역이고, 상기 영역은 전체 화면에서 일부 만 대상될 수 있고, 또는 전체 화면(전체 화면일지라도 메뉴 등이 표시되는 영역은 제외)이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택 영역의 개념은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그리고, “최초 1 단계는 선택 영역이 반드시 되지만, 2 단계부터 최고 단계인 K 단계까지에서는 선택 영역은 되지 않고 해당 단계의 정보만 표시되는 N 단계(2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내에서 어느 한 단계)도 존재한다.”는 개념이 존재하면 상기 개념도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 된다.
도 40은 본원 발명이 지도에 적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0은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혹은, 상기 도 40의 실시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지도가 표시되고, 상기 지도 내에 선택 영역(32)가 존재한다, 상기 선택 영역은 지도 내에 상점, 역, 건물 특정 장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32)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 그러면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된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도 40의 실시예에서는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메뉴를 통하여 주문을 할 수 있는 실시에의 도면이 도시되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설명된 거리를 단계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그럴 경우 상기 단계적 조작명령의 실시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그대로 표시된다,
하지만,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수 있다. 시간의 길이를 단계로 구분하거나 혹은 압력의 크기를 단계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도 선택 영역(34a)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34a)에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다시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도 있고,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A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B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 정보 전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그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즉, 중앙처리장치(20)가 상기 도 40의 실시예에 설명된 알고리즘(방법)대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혹은 중앙처리장치(20)가 상기 도 40의 실시예에 설명된 알고리즘(방법)대로 제 디스플레이(30)의 1 영역과 제 2 영역에 표시한다.
도 41 내지 도 42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한편, 도 41과 도 42의 실시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표시될 때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임의의 처음 정보(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가 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 전체에 걸쳐서 표시되는 경우(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경우)의 실시예이고, 그 실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2)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걸쳐서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상점, 식당, 혹은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도 40의 실시예에서 처럼 표시된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걸쳐서 표시된 처음 정보 내에 선택 영역이 입력장치를 통하여 점으로 선택되어,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1 스텝(step),
입력장치로부터 점의 위치가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는 2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의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3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영역)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영역)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하는 4 스텝(step),(도 40의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상기 4 스텝의 결과가 표시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
물론,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 스텝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1 스텝의 점이 유지되는 시간 혹은 상기 점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로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4 스텝의 단계에서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도 40의 실시예의 도면 참조)에 표시되는 정보를 대상으로 거리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에 따르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4 스텝의 단계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는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다.(도 42의 실시예 참조)
즉, 도 42에서는 음식에 대한 목차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에 대한 목차 중에서 항목(도 42의 실시예에서는 “치킨 사라다”)가 선택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목(도 42의 실시예에서는 “치킨 사라다”)을 대상으로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는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표시 된다.
도 43 내지 도 48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한 예이다.
즉, 스마트폰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외부에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펼쳐진 디스플레이(30)(혹은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30-3)를 중앙처리장치(20)가 제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30)와 제 1,2 디스플레이(30-1)(30-2)를 제어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1)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된다.
(2)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아래와 같다.
처음 정보 내에 선택 영역이 입력장치를 통하여 점으로 선택되어,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1 스텝(step),
입력장치로부터 점의 위치가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는 2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의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3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30-3) 일부에는 상기 처음 정보(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외부 디스플레이(30-3)의 또 다른 일부(도 48의 실시예에서 별도창(30d-1))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하는 4 스텝(step),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3 스텝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1 스텝의 점이 유지되는 시간 혹은 상기 점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로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내부에 디스플레이가 존재하고(도 45 실시예 참조), 상기 내부의 디스플레이(30)가 분할되어, 상기 처음 정보(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도)와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한다.(도 46의 실시예)
- 도 46 실시예의 또 다른 적용 -
상기 도 46의 실시예는 제 1 디스플레이(30-1)와 제 2 디스플레이(30-2)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면, 내부에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상기 처음 정보(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는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는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도 46의 실시예)
- 상기 수행 과정을 스텝으로 설명 -
(1) 폴더블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스마트폰 내부에 디스플레이(30)가 존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5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상기 펼쳐진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2)펼쳐진 디스플레이(30)에 걸쳐서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5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된다. 예를들어 도 4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30a)(혹은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각각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실행 단계는 아래와 같다.
처음 정보(도 45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이 입력장치를 통하여 점으로 선택되어,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1 스텝(step),
입력장치로부터 점의 위치가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는 2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의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3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펼쳐진 디스플레이(30) 일부(제 1 영역(30a))(혹은 제 1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30)의 또 다른 일부(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하는 4 스텝(step),(4 스텝의 결과는 도 46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3 스텝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1 스텝의 점이 유지되는 시간 혹은 상기 점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로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또한, 도 47의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가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새로운 창(34-1a)이 생성되어 상기 새로운 창(34-1a)에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결과가 표시된다.
즉, 도 47의 실시예의 경우이다. 도 46에서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에이)에는 음식에 대한 목차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에 대한 목차 중에서 항목(도 46의 실시예에서는 “치킨 사라다”)가 선택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목(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는 새로운 창(34-1a)에 표시 된다.(도 47의 실시예 참조)
- 폴더블 디스플레이 내부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이 접혀지게 되면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한다. 즉, 스마트폰 외부에는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도 43의 실시예 참조)하고, 스마트폰 내부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된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별도창(30d-1)이 생성되고 상기 별도창(30d-1)에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을 펼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30-1)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디스플레이(30-2)에는 상기 별도창(30d-1)에 표시된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나타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에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은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된다.
반대로, 스마트폰이 펼쳐진 상태에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에 각각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스마트폰이 접혀(닫혀)지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30-1)에 표시된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30-3)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별도창(30d-1)에 표시되도록 한다.(도 48의 실시예 참조)
본원발명에서 적용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과, 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분할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한다, 즉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통상적인 방법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계적 정보 제공 스마트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문자 서비스가 실행되고, 상기 문자 서비스에 송수신 문자가 존재하고,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단계는 1 단계는 K 단계까지 존재하고, K는 2 이상이고, 상기 선택 영역이 1 단계 일때, 상기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단계를 통하여, 다른 기능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중에서 일부 단계 혹은 전체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문자가 선택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문자 혹은 송신 문자를 재 전송할 때, 단계 입력을 추가하여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PCT/KR2020/005067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02139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27808.2A CN113661698B (zh) 2018-03-18 2020-04-16 用于提供信息的智能手机及在智能手机中提供信息的方法
CN202310984661.1A CN117061657A (zh) 2018-03-18 2020-04-16 用于提供信息的智能手机及在智能手机中提供信息的方法
US17/604,866 US20220224788A1 (en) 2018-03-18 2020-04-16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giving contents in the smart phone
KR1020217029300A KR102617269B1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7009457A KR20230043236A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1218 2018-03-18
KR1020180104936A KR20190109705A (ko) 2018-03-18 2018-09-03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46383 2019-04-19
KR1020190046383A KR20200026665A (ko) 2018-03-18 2019-04-19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41A1 true WO2020213941A1 (ko) 2020-10-22

Family

ID=6806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067 WO2020213941A1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4788A1 (ko)
KR (4) KR20190109705A (ko)
CN (2) CN113661698B (ko)
WO (1) WO2020213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705A (ko) * 2018-03-18 2019-09-26 김시환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2856A1 (en) * 2010-09-20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tegrated message using portable device
KR20160018816A (ko) * 2008-11-19 2016-02-17 애플 인크. 이모지 캐릭터들을 이용하기 위한 휴대용 터치 스크린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60036522A (ko) * 2014-09-25 2016-04-04 모노타입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텍스트 메시징 시스템 폰트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선택가능한 스타일
KR20160087590A (ko) * 2015-01-14 2016-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60109238A (ko) * 2015-03-10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쳐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KR20190099985A (ko) * 2018-02-19 2019-08-28 김시환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9758A (ko) * 2018-02-20 2019-08-28 최경훈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6665A (ko) * 2018-03-18 2020-03-11 김시환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50927C (zh) * 2005-12-23 2009-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2624974A (zh) * 2011-06-14 2012-08-01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操作命令列表的排列方法
US20150154302A1 (en) * 2012-08-08 2015-06-0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3324387A (zh) * 2013-05-18 2013-09-25 冯俊 显示子文件界面的系统和方法
KR102105959B1 (ko) * 2013-07-22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레이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094508A (zh) * 2014-05-15 2015-11-2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应用程序进行窗口控制的方法和装置
KR101835217B1 (ko) 2016-06-08 2018-03-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환경에서 drm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72361B1 (ko) 2017-03-06 2017-08-2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816A (ko) * 2008-11-19 2016-02-17 애플 인크. 이모지 캐릭터들을 이용하기 위한 휴대용 터치 스크린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20072856A1 (en) * 2010-09-20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tegrated message using portable device
KR20160036522A (ko) * 2014-09-25 2016-04-04 모노타입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텍스트 메시징 시스템 폰트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선택가능한 스타일
KR20160087590A (ko) * 2015-01-14 2016-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60109238A (ko) * 2015-03-10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쳐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KR20190099985A (ko) * 2018-02-19 2019-08-28 김시환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9758A (ko) * 2018-02-20 2019-08-28 최경훈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6665A (ko) * 2018-03-18 2020-03-11 김시환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69B1 (ko) 2023-12-27
KR20200026665A (ko) 2020-03-11
KR20210119537A (ko) 2021-10-05
KR20190109705A (ko) 2019-09-26
US20220224788A1 (en) 2022-07-14
CN113661698A (zh) 2021-11-16
CN113661698B (zh) 2023-08-25
CN117061657A (zh) 2023-11-14
KR20230043236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8714A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5142023A1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WO2016064250A2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71377A1 (en) Conten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device
WO2016024740A1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WO2016024741A1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WO2013022218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WO2013022223A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3022222A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6017948A1 (en)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WO2015102469A1 (ko)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03062A1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WO2016017945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WO2013022221A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60179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rypting or decrypting content
WO20151420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WO201306993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5122664A1 (ko)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WO2016182368A1 (ko)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5093665A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7A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21256890A1 (ko)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84337A1 (zh) 一种身份验证方法、装置和系统
WO2018070669A1 (ko) 다국어 지원 객실용 서비스요청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요청 시스템 및 서비스요청방법
WO2020213941A1 (ko)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15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029300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15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