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537A -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537A
KR20210119537A KR1020217029300A KR20217029300A KR20210119537A KR 20210119537 A KR20210119537 A KR 20210119537A KR 1020217029300 A KR1020217029300 A KR 1020217029300A KR 20217029300 A KR20217029300 A KR 20217029300A KR 20210119537 A KR20210119537 A KR 2021011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ed
display
operation comman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269B1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23700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3236A/ko
Publication of KR2021011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계적 정보 제공 스마트폰에서,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문자 서비스가 실행되고, 상기 문자 서비스에 송수신 문자가 존재하고,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단계는 1 단계는 K 단계까지 존재하고, K는 2 이상이고, 상기 선택 영역이 1 단계 일때, 상기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단계를 통하여, 다른 기능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므로서,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하여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 혹은 컨텐츠도 제공할 수 있는 조작 명령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손가락 또는 임의의 조작 수단으로 직접 터치하여 터치한 위치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터치된 위치의 조작을 처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하나의 예로, 터치 패널에는 압력식(Resistiv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 장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조작 명령을 직접 수행할 수가 있게 되며, 실제로 문자 서비스의 기능히 다양해 지면서 이러한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 기능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많은 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있으므로,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또 다른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즉,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7-0029466 호에서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타임라인 형태로 입력된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들 각각을 대응하는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시간 흐름에 따른 대화 형태의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의 메신저 계정과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메신저 계정간의 메신저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신저 대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포함하는 데이터들이 상기 매칭된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 흐름의 순서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에서 시간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7-0138682 호에서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서버와 연계되어 DRM 컨텐츠를 관리하는 메신저 서버의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회원으로 등록된 제1 사용자의 계정과 제2 사용자의 계정간에 메신저 대화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메신저 대화 세션을 통한 컨텐츠 업로드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상기 DRM 서버와 연관하여 관리되는 DRM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가 상기 DRM 컨텐츠인 경우, 상기 DRM 컨텐츠가 포함하는 라이선스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DRM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변경된 상기 DRM 컨텐츠를 상기 메신저 대화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공유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 기술은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7-0029466호(2017년03월15일)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7-0138682호(2017년12월18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조작 명령의 입력 방법과 조작 명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계적 정보 제공 스마트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문자 서비스가 실행되고, 상기 문자 서비스에 송수신 문자가 존재하고,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단계는 1 단계는 K 단계까지 존재하고, K는 2 이상이고, 상기 선택 영역이 1 단계 일때, 상기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단계를 통하여, 다른 기능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중에서 일부 단계 혹은 전체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수신 문자가 선택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신 문자 혹은 송신 문자를 재 전송할 때, 단계 입력을 추가하여 재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서비스를 사용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하여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휴대용 스마트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통상의 입력장치와 입력장치 구동부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거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명령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요약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문자 서비스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단계 별로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내지 도 17은 각각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그룹 항목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내지 도 21은 계층구조 개념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내지 도 21은 계층구조 개념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3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4은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5는 문자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이모티콘 서비스에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을 적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모티콘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문자 재전송에 본원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단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은 단계 입력이 가능한 또 다른 스마트폰과 연결된 경우의 불럭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1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2는 속도가 반영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6은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7은 2차원 단계를 가진 단계적 조작 명령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8과 도 39는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0은 본원 발명이 지도에 적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 내지 도 42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3내지 도 48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한 예이다.
부호의 설명
1 : 수신 문자 2 : 송신 문자
20 ; 중앙처리장치 21 : 메모리부
24 : R/F부 28 : 입력장치
30 ; 디스플레이 32 : 선택 영역 (1단계)
34 : 2 단계 34a : 조작 마크
36 : 3 단계 38 : 4 단계
40 : 선택 창 41 : 선택 항목
42 : 단계 입력 45 : 입력 창
46 : 단계 표시 47 : 입력 공간
48 : 첨부 마크 60 : 제 1 계층
61-1, 61-9 : 제 2 계층
62-1-1, 62-4-3 : 제 3 계층
70, 80, 90 : 목차 71, 81, 91 : 항목
72, 82, 92 ; 그룹 항목
72a, 82a, 92a : 선택된 항목
95 : 검색창 95a : 단어 검색
95b : 음성 검색 97 : 별도 창
97a : 새로운 항목 101 : 서버 제어부
104 : 서버 데이터 베이스 110 : 스마트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므로서,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정보를 출력하는 연결 단자나 프린트 등도 포함된다),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및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02)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마트폰(110)(혹은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마트폰(110)에는 중앙처리장치(CPU)(20),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8) 및 정보 혹은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10)가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100) 내에는 제어부(101)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11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04)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4)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141), 각각의 정보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와 데이터 베이스(104)는 하나의 일 예일 뿐이며, 서버 운영의 모든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통상의 제어부와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통상의 데이터 베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는 사이트 운영부(113)가 접속자(혹은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와 회원 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111)에서는 접속자(혹은 스마트폰)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4)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112)에서는 알고리즘 등을 수행한 결과와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도 3은 휴대용 스마트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스마트폰(일반적인 경우에는 휴대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혹은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그리고, 메모리부(21)(혹은 21a,21b,21c)에 존재하는 롬(21a)은 표시장치의 수행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1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1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10)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부는 각종 정보 입력 기기, 숫자 키, 메뉴키 및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출력부에는 스피커 나 진동장치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0)의 신호 출력을 받아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5)가 있으며, 다시 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30)가 구동 가능한 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7)를 통해서 입력장치(28)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창치 구동부는 중앙처리장치에 입력 정보를 출력하게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스마트폰는 휴대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통상의 입력장치와 입력장치 구동부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장치의 단면도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으로, (A)도는 정전용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B)도는 저항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기 (A)도에서 보호판(28a) 하부에 투명 전극이 코팅된 전극판(29a)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29a)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필름이 한 장 혹은 두장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B)도는 보호판(28a) 상부에 투명전극이 코팅된 2 개의 필름(29a)(29b)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입력장치(28) (28) 상단에 외부 보호판(혹은 화장판)(28b)가 더 구비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28b)에 원하는 문양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통상 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입력장치(28)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입력장치(28)에 대한 발명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입력장치(28)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이때,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이나 접촉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장치 소자와 디스플레이가 일체화된 기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변화나 동작의 변화를 통하여도 단계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C)도는 입력장치 구동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C)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입력장치 구동부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구동부(50)는 교정기능 수행부(51),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52), 평균값 검출부(43), 패널 신호 발생부(54)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입력장치 구동부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통상의 입력장치 구동부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교정기능 수행부(51)는 장치가 최초 동작할 때 터치 입력부(72)의 좌표값에 대하여 교정(calibration)을 수행한다. 이 교정 기능에 따라서 터치 입력부(72)에서 터치한 실제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패널 신호가 선정된다. 즉, 터치 디스플레이(74)의 해상도에 따라 좌표값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부(72)의 신호가 선정되고, 선정된 신호는 제어부(3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패널 신호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52)는 제어부(3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74)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터치 입력부(72)로부터 출력되는 패널 신호에 대한 평균값 검출 횟수를 조정한다. 화면 해상도가 고해상도로 변경되면,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크게 조정된다. 반대로 화면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변경되면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작게 조정된다.
평균값 검출부(53)는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52)에 의해 조정된 평균값 검출 횟수를 토대로 터치 입력부(72)로부터 전송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평균값 검출부(53)는 검출된 평균값을 패널 신호 발생부(54)로 전송한다.
패널 신호 발생부(54)는 제어부(3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74)의 변경된 화면 해상도 또는 가상 스크롤에 의해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정보및 현재 입력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패널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입력 구동부(50)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 또는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또는 임의의 조작 수단을 이용하여 터치한 경우 터치 지점의 위치정보를 소정 횟수 연속하여 검출한 후 그 값들의 평균치를 최종 위치 정보로 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처럼, 디스플레이(30) 위에서 작은 바(Bar)를 사용하거나 혹은 손가락을 사용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하게 된다,
즉, 입력장치(2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선택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도 5에서처럼 두 개의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두 손가락이 선택한 점(포인트)의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늘이는 방법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도 6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에서처럼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스마트폰(110)에서 디스플레이(30) 상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다음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정하므로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30) 내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영역을 선택 영역(32)이라고 하고, 상기 선택 영역(32)은 디스플레이(30) 전체 면적에서 일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32)을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다음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정하므로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선택한다는 것은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 디스플레이(30) 위를 접촉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디스플레이(30) 위에는 입력장치(28)가 존재하므로, 디스플레이(30) 위를 접촉하는 것은 입력장치(28)를 접촉하는 것이다. 물론, 입력장치의 종류에 따라서는 반드시 접촉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단계를 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동거리와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30) 위 혹은 선택 영역을 두두리고, 두두리는 숫자로 단계를 나눌 수도 있으며, 이미지를 정하여 손가락 이미지의 모양으로도 단계롤 나눌 수가 있다.
- 시간으로 단계 이동 실시예 -
1) 유지되는 시간 값에 의하여 단계가 정해진다.
예를들어, 0.5초 유지되면 1 단계 이동하고 1초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되고 1.5초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된다.
2) 유지되는 시간 값이 단계 이동의 경계가 된다.
예를들어, 0.5초 이하로 유지되면 1 단계 이동되고 0.5초 이상으로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된다. 1초 이하로 유지되면 2 단계 이동되고 1초 이상으로 유지되면 3 단계 이동된다,
즉, 정해진 시간 T 값 이하로 유지되면 J 단계 이동되고, 정해진 시간 T 값 이상 이동되면 J+1 단계 이동된다. 혹은 정해진 시간 T1 값 이하로 유지되면 J 단계 이동되고, 정해진 시간 T1 값 이상 정해진 시간 T2 값 이하로 이동되면 J+1 단계 이동된다. (여기서 J 는 1 이상 K-1 이하이며, K 는 최고 단계의 값이다.)
- 압력 으로 단계 이동 실시예 -
본원 발명의 입력장치(28-1)(28-2)에 압력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장치는 통상의 방법에 준한다.
압력 기능이 부가된 입력장치치(28-1)(28-2)일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가 가능하다.
1) 압력의 세기에 따라 1 단계 압력, 2 단계 압력 3 단계 압력, 혹은 K 단계 압력 처럼 단계가 나누어진다.
2) 1 단계 압력 내에서, 시간으로 단계가 나누어 진다.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처럼 단계가 나누어진다.
3) 그 단계의 경우의 수는 아래와 같다,
: 1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 2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 3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 K 단계 압력에서, 1 단계 시간, 2 단계 시간, 3 단계 시간, 혹은 K 단계 시간
도 7은 거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두 손가락(혹은 두 개의 바)이 두 개의 점을 정하고, 상기 점이 움직인 이동 거리를 단계로 구분하고, 각각 단계에 따라 명령을 인식하도록 하는 조작 명령이 "단계의 조작 명령"이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단계는 적어도 2 단계 이상의 한정된 숫자 N 이다. 너무 많으면 좋지 않으므로 10 단계 혹은 5 단계 이내가 적당하다.
또한, 단계에 대하여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1 단계, 2단계, 3 단계 및 N 단계처럼 단계가 정해지고, 하나의 단계로 인식되는 거리 혹은 유지되는 시간은 미리 정해진다. 혹은 선택된 점에 가해지는 하나의 단계에 해당되는 압력 값이 미리 정해진다.
2) 인식될 수 있는 최대 단계의 수는 미리 정해진다. 인식될 수 있는 최대 거리(시간 혹은 압력)도 미리 정해진다.
3) 단계의 조작 명령은 + 방향이 존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 방향도 존재한다.
4)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할 때, 오차 범위가 존재한다.
5) 각각의 단계별로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한다.
도 7에서 보면, 두 점 사이의 이동 경로인 가이드 선(50)(51)을 표시하였고, 도(A)에서처럼 상기 가이드 선에 각각의 단계(50a)(50b)(50c)(50d)(50e)를 표시하였다. (도 (B)에서는 각각 단계가 "(51a), (51b), (51c), (51d), 및 (51e)" 이다)
이때, 선택된 두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도 (A)의 경우에는,
1 단계 "50a", 2 단계 "50b", 3 단계 "50c", 4 단계 "50d", 5 단계 "50e" 이고,
선택된 두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도 (B)의 경우에도,
1 단계 "51a", 2 단계 "51b", 3 단계 "51c", 4 단계 "51d", 5 단계 "51e" 이다.
그리고, 한 단계 이동할 때의 거리를 10mm 로 미리 정한다면,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20 mm 이동한 경우 2 단계 이동이 되고, 전체 단계가 5 단계까지 존재하므로, 최대의 이동 거리는 50mm 가 된다.
물론, 각 단계별로 거리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2 단계까지의 거리는 10mm 로 하고, 2 단계에서 3 단계까지의 거리는 12 mm로 할 수도 있다. 단지 단계별 거리가 미리 정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단계별 거리도, 알고리즘을 정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변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2 단계의 이동 거리가 10mm 이지만, 단계의 조작 명령 전에 상기 단계의 이동 거리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12 mm로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두 점(포인트)이 가까워지면 -(마이너스) 이동, 멀어지면 +(플러스) 이동이 된다. (반대로 가까워지면 + 이동, 멀어지면 - 이동으로 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의 (A)의 예에서는, 1 단계 이동이 10mm 이고 20mm 이동하게 되면,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한 것이다. 또한, 도 7의 (B)의 예에서는, 1 단계 이동이 10mm 이고 20mm 이동하게 되면,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한 것이다.
한편, 상기 4) 번의 항목에서처럼, 본 발명의 단계의 조작 명령에서는 오차 범위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3mm 이동하였을 경우 1 단계로 판단하고, 18 mm이동하였을 경우 2 단계 이동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마치 수학에서 반올림과 내림의 개념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 실시에 따른 오차 범위를 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고자 할 때, 도 6의 실시에에서 도시된 것처럼 단계별 눈금이 표시된 가이드선(50)(51)이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선(50)(52)”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각각의 단계, 단계의 거리 및 방향이 표시되어, 단계의 조작 명령을 편리하게 실시하도록 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물론, 상기 가이드선(50)(52)이 반드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가이드 선이 표시되므로서, 각각의 단계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즉, 가이드선(51)(52)으로 표시된 눈금만큼 이동하므로서 원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 수행을 할 수 있다.
도 7에서 단계별 대응 정보는 "(50a-1), (50b-1), (50c-1), (50d-1), 및 (50e-1)"과 "(51a-1), (51b-1), (51c-1), (51d-1), 및 (51e-1)" 이다.
즉, 도 (A)에서 1 단계 "50a" 에 대응하는 정보는 "50a-1" 이고, 도 (B)에서 1 단계 "51a"에 대응하는 정보는 "51a-1"이다.
아울러, 상기 항목 1)에서 5)까지의 실시예는 유지되는 시간(혹은 압력)의 길이로 단계를 나누는 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명령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의 (A)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손가락 혹은 바가 선택한 한점(포인트)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고, (B)는 회전 운동을 하므로서 이동한 각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플러스) 단계의 명령은 상기 점이 위로 이동할 때이거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로 정해질 수 있고, , -(마이너스) 방향은 +로 정해진 방향과는 반대로 정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정하여 각각의 단계를 정할 수가 있다. 즉 상 방향 이동을 1 단계, 우 방향 2 단계, 하 방향 이동을 3 단계 등으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을 여러개 더 세분할 수도 있다. 즉 시계 방향에서 출발하여 40 도씩 각도를 나누어, 9 단계로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시계 방향에서 80 도 방향으로 이동하면 2 단계가 되는 것이다.
상기의 단계적 조작 명령에 따른 단계의 이동은 선택 영역(32)을 중심으로 하거나 하나의 점을 중심으로 할 수 있고, 특별히 선택 영역을 정하지 않고 화면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은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요약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직선거리이고, 상기 직선 거리가 단계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요약 내용이 표시되는 예이다.
이동한 거리(위 방향 이동이면 + 이동, 아래 방향 이동이면 - 이동)를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정보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1 단계가 "52a" 이고, 2 단계가 "52b" 이다. 그리고, 1 단계 요약 정보가 "52a-1" 이고 2 단계 요약 정보가 "52b-1" 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0) 화면에서는 단계를 표시하는 숫자와 각 단계의 요약 정보의 내용 표시될 수가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선(50)에 단계를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1 단계(52a)에 대응되는 요약 정보는 “휴대폰 간단 사양”이고, 2 단계(52b)에 대응되는 정보는 “휴대폰 세부 사양”이 된다, 따라서 2 단계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휴대폰 세부 사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는 가이드선의 디자인과 가이드선에 표시되는 요약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스마트폰(110)의 메모리부(21)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이 선택되면(사용자의 선택)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의 단계의 조작 명령의 선택 신호를 근거로 메모리부(21)에 저장된 가이드선 정보와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에(30)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의 조작 명령 선택 명령이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의하여 서버에 전송되면,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가이드선 정보와 요약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3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또한, 도 10은 이동한 각도를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와 각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요약 정보)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가이드선(50)에 단계(53a)(53b)(54c)(54d)(54e)가 표시되고, 요약 정보(53a-1)(53b-1)(54c-1)(54d-1)(54e-1)도 표시된다.
-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 -
본원 발명에서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예에 따른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스마트폰의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점(포인트)이 선택(손가락 혹은 바로 선택되어 질 수 있음.)되어 지면,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선택되어진 점의 위치 값(좌표)를 출력한다. 그리고, 점이 이동되면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점의 이동 값(좌표)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값(좌표)는 숫자나 기호가 될 수 있다.
2)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출력된 점의 위치 및 이동 값(좌표)를 판단하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이동 단계를 판단하고, 선택된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현재의 단계가 2 단계였고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하게 되면 선택된 최종 단계는 4 단계가 된다.
3)선택된 최종 단계가 정해지면, 중앙처리장치(20)는 메모리부(21)(혹은 21a, 21b, 21c)에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즉, 중앙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최종 단계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스마트폰는 서버에서 전송받은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즉, 최종 단계가 3 단계라면,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20)는 스마트폰의 메모리부(21)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3 단계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를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정도로도 단계를 나눌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상단에의 움직임을 이미지 소자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가 출력하는 신호를 알고리즘의 판단으로 하여, 움직임의 정도를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의 모양이나 눈의 모양 혹은 다른 이미지의 모양으로 단계를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어떠한 입력의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단계의 조작 명령처럼 단계를 구별하여 나누고, 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면, 단계의 조작 명령 후의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와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
1)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
스마트폰(110)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혹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이 되어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110)의 입력장치(28)를 통해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달되고, 서버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는 전송받은 새로운 정보를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2) 스마트폰 메모리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
스마트폰 내의 중앙처리장치(20)와 메모리부(21)를 사용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그때, 그때 서버에서 단계의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수신 받을 수 있다.이경우는 아래와 같은 순서를 가지게 된다.
첫번째,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혹은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단계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프로그램 실행을 서버에 전송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일반적으로 1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만, 이전 프로그램의 종료 상황에 따라 반드시 1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 만은 아니다.
두번째, 서버의 제어부는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에서스마트폰으로 모든 단계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전체에서 일부 단계의 정보 만 서버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들들어, 단계가 1 단계부터 7 단계까지 존재한다면, 서버가 스마트폰으로 1 단계부터 7 단계의 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지만, 서버가 스마트폰으로 1 단계에서 7 단계중 일부의 정보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단계만 전송할 때에는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의 주변 단계 정보가 서버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세번째,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수신 받은 정보를 메모리부(21)에 저장한다.
네번째,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 최종 단계가 정해지만, 서버에서 전송 받아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3) 혼합 사용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시작될 때 해당되는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 혹은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 최종 단계가 정해져서 그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다.
즉, 1 단계의 정보는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고, 2 단계의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질 수 있다.
또한, 서버의 연결 혹은 스마트폰 자체에서의 알고리즘 수행은, 각각 해당되는 프로그램과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때 그때 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렇게 정하는 것은 프로그램적으로 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기 위해서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혹은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는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단계별로 구별되어 저장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문자 서비스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문자 서비스 내에 선택 영역(32)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문자 박스(1)(2) 측면에 선택 영역(32)가 위치하게 된다. 즉, 수신 문자 박스(1)의 측면 혹은 송신 문자 박스(2)의 측면에 선택 영역(32)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32)은 송수신 문자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며, 상기 선택 영역이 송수신 문자와 분리될 수도 있지만, 상기 선택 영역(32)이 송수신 문자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2는 송수신되는 문자(1)(2) 사이에 선택 영역(32)이 존재하는 실시예이다.
도 13은 송수신되는 문자 박스(1)(2)와 선택 영역(32)이 붙어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송수신되는 문자 박스(1)(2)와 선택 영역(32)이 붙어 있는 방법은 선택 영역(32)의 형태나 디자인의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도 11내지 도 13은 송 수신 문자(1)(2) 사이에 만들어지는 영역에 선택 영역(32)이 존재할 수 있거나, 혹은 수신 문자 혹은 수신 문자와 선택 영역이 붙어 있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 내에서 송수신 문자(1)(2)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은 2 개 이상도 가능하다.
- 송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과 정보의 특징 -
첫째, 선택 영역이면서 1 단계 정보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송수신 문자(1)(2)가 표시 될 때, 송 수신 문자 사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1 단계의 정보이다.
2)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표시되는 1 단계 정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3) 1 단계 정보는 박스가 존재하고, 상기 박스 내에 텍스트 혹은 이미지로 표시되는 정보이다.
4) 1 단계 정보는 박스가 존재하고, 박스가 존재하지 않고 텍스트 혹은 이미지로 만 되어 있는 정보이다.
5) 동영상으로 존재하는 정보이다. 이때, 상기 동영상은 박스내에 존재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6) 박스는 반드시 사각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의 종류에 따라 혹은 디자인의 원의 모양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둘째, 2 단계 이상의 정보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2 단계 이상의 정보라 함은, 1 단계의 정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한 결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이다.
2) 2 단계 이상 부터는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될 있는 선택 영역이 될 수도 있고, 선택 영역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될 있는 선택 영역이 될 수도 있을 때에는 별도로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3) 반드시 송수신 문자(1)(2) 사이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 문자(1)(2) 사이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송수신 문자(1)(2) 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단에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단에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 면적에 표시될 수 있다.
4)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4는 단계 별로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1) 도는 1 단계 정보의 형태로서 이미지의 형태이다. 물론 반드시 이미지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단계 정보의 일반적인 특징은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과 정보의 특징" 에서 설명된 항목에 준한다.
그리고, 도 14의 (2) 내지 (7)도는 2 단계 이상의 정보의 형태이이다. 그리고, 2 단계 이상의 정보의 형태와 특징은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과 정보의 특징" 에서 설명된 항목에 준한다.
이때, 도 14의 (3)은 디자인 형상의 외형에 텍스트 정보이다.
또한, 도 14의 (4)는 단계의 정보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목차(71)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목차(7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목차(71)에 대한 추가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5)는 다른 기능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정보이고, 도 14의 (6)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정보이고, 도 14의 (7)은 지식 정보로 연결될 수 있는 정보이다.
아울러, 상기 예의 실시예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오디오 정보(혹은 음성 정보)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정보는 스마트폰(11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 도 14에 따른 단계별로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 -
1 단계 : 이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다.
2 단계 : 동영상 혹은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단계 : 동영상 혹은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단계 : "다른 기능", "다른 프로그램" 혹은 "지식 정보" 중에 하나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5내지 도 17은 각각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기능의 명칭이 목차로서, 임의의 단계의 정보로서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의 목차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다른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다른 기능은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을 의미한다. 요 사이에는 문자 서비스에서도 전화 기능(보이스톡)을 제공하기도 하고, 뉴스 정보 나 쇼핑 정보도 제공하고, 또한 설정 기능도 제공하여 문자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가 있다. 당연히 친구 리스트도 제공된다. 즉, 도 15의 실시예에서의 다른 기능은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기능을 의미한다.
도 15의 (A)는 다른 기능의 명칭이 목차 형태로 표시된 정보(70)이다. 즉, 상기 다른 기능 정보(70)는 목차(71)의 형태로서 제공된다. 예를들어, 상기 도 (A)의 목차 중에서 보이스톡을 선택하면, 보이스톡(전화)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인 보이스톡이 실행될 수 있든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도 15의 (A)의 목차에서 친구 리스트를 선택하면 친구 리스트가 표시되고, 문자 리스트를 선택하면 문자 리스트가 표시되고, 문자(도 (A)의 실시예에서는 도시 생략)를 선택하면 문자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차를 밟을 수 있다.
- 목차에서 우선 순위를 반영한 표시 -
이때,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문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여러 기능 중에서, 상기 문자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 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문자 보내기를 제일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1 위가 보이스톡이며, 친구 리스트 표시를 두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2 위가 친구 리스트 표시이고, 또한, 문자 리스트 표시가 세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3 위가 문자 리스트 표시가 된다.
그러면, 도 15의 (A)에서처럼 목차의 형태로 표시될 경우에는, 상기 1 순위, 2 순위 그리고, 3 순위에 해당되는 기능의 명칭(예를들면, 보이스톡, 친구 리스트 혹은 문자 리스트 등)이 상기 목차에 표시되게 된다. 당연히 경우에 따라서는 4 순위 5 순위 및 그 이상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의 명칭을 나타낸 목차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예를들어 도 15의 (A)의 목차에서 보이스톡이 선택되면 보이스톡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고, 친구 리스트를 선택하면 친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게 된다.
도 15의 (B)는 1 개의 다른 기능(74) 만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상기 1 개의 다른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이 1 개의 다른 기능(74)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프로그램의 명칭이 목차로서, 임의의 단계의 정보로서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의 목차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때, 다른 프로그램은 스마트폰(110) 내에서 제공하는 다른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요 사이에는 스마트폰(110) 내에서도 원래 스마트폰(110) 내에서 제공된 프로그램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예를들어, 원래 스마트폰 내에서 제공되는 문자, 전화, 문자 리스트, 인터넷 등의 프로그램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포털 사이트, 지도, 쇼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도 16은 이러한 프로그램 들이 목차로서 표시됨을 의미한다.
도 16은 다른 프로그램의 명칭이 목차 형태로 표시된 정보(90)이다. 예를들어, 상기 도 16의 목차 중에서 전화를 선택하면, 전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전화는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에서 제공되는 음성 통신 기능(보이스 톡)이 아니라 통신사를 통하여 스마트폰 자체에서 제공하는 전화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도 16의 목차 중에서 문자를 선택하면, 문자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문자는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에서 제공되는 문자 서비스가 아니라 통신사를 통하여 스마트폰 자체에서 제공하는 문자 전달 프로그램이다.
즉, 스마트폰 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든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도 16의 목차에서 카메라를 선택하면 카메라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연결되고, 지도를 선어플리케이션인 지도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연결된다,
- 목차에서 우선 순위를 반영한 표시 -
이때,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폰 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여러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라면 모두 포함됨. 즉, 본원 발명의 문자 서비스와는 별개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임.) 중에서,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프로그램 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사 전화 프로그램을 제일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1 위가 통신사 전화 프로그램이며, 통신사 문자 프로그램을 두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2 위가 통신사 문자 프로그램이며, 인터넷 프로그램을 세번째로 자주 이용하면 우선 순위 3 위가 인터넷 프로그램이 된다.
그러면, 도 16의 예에서처럼 목차의 형태로 표시될 경우에는, 상기 1 순위, 2 순위 그리고, 3 순위에 해당되는 기능의 명칭(예를들면, 전화, 문자 혹은 인터넷 등)이 상기 목차에 표시되게 된다.
당연히 경우에 따라서는 4 순위 5 순위 및 그 이상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의 명칭을 나타낸 목차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예를들어 도 16의 목차에서 전화가 선택되면 전화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고, 문자를 선택하면 문자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 시간도 우선 순위에 포함될 수가 있다. 사용 빈도와 함께 사용 시간이 함께 우선 순위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사용 빈도는 적지만, 한번 사용하게 되면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높아 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의 가중치를 각각 서로 얼마로 하여야 할지는,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할 수가 있다.
- 추천 되는 목차 -
목차(70)(80)(90)에 존재하는 항목이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검색 단어"와 "사용자의 입력 단어"가 분석되어 목차의 항목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본원 발명의 콘텐츠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추천으로 목차의 항목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목차에 내에 전체 항목이 6 개라면, 이중에서 4 개의 항목은 시간이나 빈도수에 의한 우선 순위가 반영되어 만들어지고, 나머지 2 개의 항목은 상기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만들어지거나 운영자의 추전에 의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 목차내에 항목의 갯수 -
목차내에 항목의 갯수가 반드시 복수개가 아니어도 된다. 1 개 이상이면 본원 발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지식 정보를 나타낸 실시예의 정보이다,
본원 발명에서 지식 정보(90)는 뉴스, 날씨, 스토리, 쇼핑, 스포츠 등에 관련된 정보를 지식 정보하고 하였다.
그리고, 도 17의 실시예도 상기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식 정보(90)는 목차(91)로 표시되고, 상기 목차(91)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목차(91)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지식 정보(90)에서 목차들의 이 표시되는 우선 순위의 방법도 상기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 목차의 선택과 실행 -
도 15내지 도 17에서의 목차의 선택과 실행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 영역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된다.
2) 중앙처리장치(20)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라 정해진 이동 단계를 결정하고, 최종 단계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최종 단계는 최초 단계에서 이동 단계를 더하거나 빼서 반영된 단계이다.(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 참조)
3) 중앙처리장치(20)는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를 메모리부(21)에서 선택하거나 서버에서 전송 받아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20)가 R/F부(24)와 통신망을 통하여 최종 단계 값을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상기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스마트폰(110)에 전송하여 준다.
물론, 상기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가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에서 미리 전송 받아 메모리부(21)에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4)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가 목차이면,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목차의 형태로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5) 상기 목차 중에서 하나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목차에 대한 지식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수 있고, 선택된 목차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또는 선택된 목차에 대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장(20)치는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정보 혹은 알고리즘을 통하여 선택된 목차에 대한 결과를 진행하고, 또한 서버에서 정보를 전송 받거나 서버와 연결되어 선택된 목차에 대한 결과를 진행할 수 있다.
- 한개의 항목 하나의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항목 -
도 15, 도 16 및 도 17에서는 그룹 항목(72)(82)(92)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항목을 선택하면, 또 다른 목차가 생성된다.
즉, 상기 도 15,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목차 내에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해당되는 다른 기능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혹은 지식 정보가 표시된다. 하지만, 상기 그룹 항목(72)(82)(92)가 선택되면, 또 다른 목차가 표시된다.
따라서,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항목과 그룹 항목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그룹 항목(72)(82)(92)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1) "#"로 표시된 그룹 항목(72)와 "●"로 표시된 그룹 항목(82)(92)처럼, 단어로 표시되지 않고 기호로 표시되는 경우가 존재하며, 상기 그룹 항목(72)(82)(92)가 선택되면, 별도창(디스플레이에 박스 형태로 표시되는 창)이 생성되고 상기 별도창에 목차 형태의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로 표시된 그룹 항목(72)가 선택되면, 별도창으로 "친구 검색", "알림", "송금", "보안", "버전 정보" 등의 항목이 목차가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단어가 상기 그룹 항목(72)(82)(92)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그룹 항목(82)에 "게임"이라는 단어가 표시되고, 상기 "게임"으로 표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별도창에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 "테트리스" 등 게임 항목들이 목차로서 표시되게 된다.
즉, 카테고리 개념의 단어가 그룹 항목(72)(82)(92)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그룹 항목(72)(82)(92)가 선택되면, 그 단어에 해당되는 항목 들이 목차로서 별도창에 표시된다.
이 경우는 단어의 계층구조 개념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3) "#"로 표시된 그룹 목차(72)와 "●"로 표시된 그룹 항목(82)(92)가 선택되면, 별도창에 하위 순위 목차가 표시될 수 있다.
예들들어, 도 15, 16 및 17의 예에서 목차에 표시된 항목들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들이라면, 상기 별도창에 표시된 목차에 표시된 항목은 우선 순위가 낮은 항목들이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5, 16 및 17에서는 다른 기능, 다른 프로그램 및 지식 정보로 각각 구분하여 목차가 표시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동일 목차내에 항목으로서 반드시 다른 기능 만 존재하거나, 혹은 다른 프로그램 만 존재하거나, 혹은 지식 정보 만 존재할 필요가 없다. 예를들어, 다른 프로그램, 다른 기능 혹은 지식 정보가 동일한 목차내에 각각의 항목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도 18은 그룹 항목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목차(70,80,90) 내에서 그룹 항목(72)(82)(92)이 존재하고, 상기 그룹 항목(72)(82)(92)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72a)(82a)(92a)은 선택되지 않은 그룹 항목(72)(82)(92)과 구별되어 표시된다. 즉, 색, 선의 두께, 명도 등으로 구별되게 하거나 깜빡거려서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된다.
그리고, 선택된 항목(72a)(82a)(92a)에 대한 추가 정보는, 별도창(97) 내에 새로운 항목(97a)들이 목차로서 표시된다.
- 별도창 표시 -
1) 목차 내에는 항목과 그룹 항목이 존재한다.
목차가 항목으로만 구성될 수 있고, 혹은 목차가 그룹 항목으로 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목차에 항목과 그룹 항목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2) 목차(70)(80)(90) 내에 어느 항목(71)(81)(91)이 선택되면, 별도창(97)에 의하여 선택된 항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도 18의 실시예는 목차내에 그룹 항목(72)(82)(92)이 선택되는 경우의 실시예이지만, 도 18의 실시예는 목차(70)(80)(90) 내에 항목(71)(81)(91)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한편, 항목 또는 그룹 항목이 선택될 경우 대응되는 정보가 별도창(97)에 표시되기도 하지만, 상기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가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고 하여도, 선택 메뉴 혹은 제어 메뉴 등은 함께 표시된다.(여기서 메뉴는 화면 상단이나 화면 일부에서 표시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뉴를 의미한다,)
3) 별도창 표시 순서는 아래와 같다.
- 입력장치(28)를 통하여 목차(70)(80)(90)중에서 하나의 항목(71)(81)(91) 혹은 그룹 항목(72)(82)(92)이 선택된다.
- 입력장치가 중앙처리장치에 선택된 위치 값을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는 어떠한 항목(71)(81)(91) 혹은 어떠한 그룹 항목(72)(82)(92)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가 메모리부(21)에 저장될 수도 있고, 서버에서 전송 받은 정보일 수도 있다.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이면,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부에서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서버에서 전송받을 정보이면,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한 상황(정해진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선택된 항목 혹은 그룹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스미트폰에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서버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목차 내에 항목과 그룹 항목을 구별하여 설명의 표시상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제 실시예에서는 항목과 그룹 항목이 구별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내지 도 21은 계층구조 개념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는 계층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목차에서 "쇼핑"이 선택되었을 때를 가정하서 나타낸 실시예 도면이다. 도 17의 목차에서 "쇼핑"이 선택되면, 별도창(97)으로 소핑에 관련된 항목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별도창으로 처음으로 나타난 목차를 제 1 계층이라고 한다.
제 1 계층(60)에는 1번 "패션 브랜드"부터 9번 "가구 생활 제품"까지 항목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제 2 계층 구조는 9 개의 목차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계층 구조는 제 2 계층 구조 목차 내에 존재했던 모든 항목의 갯수 만큰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예에서 항목이 9 개라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항목의 갯수는 1개 혹은 2개 이상 가능하다.
즉, 제 2 계층 구조에서 목차(61-1)는, 제 1 계층(60)의 목차 중에서 "1. 패션 브랜드"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또한, 제 2 계층 구조에서 목차(61-9)는, 제 1 계층(60)의 목차 중에서 "9. 가구 생활 제품"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아울러, 제 3 계층 구조에서 목차(61-1-1)는, 제 2 계층(61-1)의 목차 중에서 "1-1. 여성 의류 패션"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또한, 제 3 계층 구조에서 목차(61-9-10)은, 제 2 계층(61-9)의 목차 중에서 "10. 000 0000 00" 항목의 하부 계층이다.
즉, 1 계층 목차의 항목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가 목차로 나타나고 이 목차는 제 2 계층이 되며, 제 2 계층 목차 내에는 또 다른 항목이 존재한다.
그리고, 2 계층 목차의 항목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가 목차로 나타나고 이 목차는 제 3 계층이 되며, 제 3 계층 목차 내에는 또 다른 항목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식으로 제 4 계층과 제 5계층도 존재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신문"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뉴스위크,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등을 항목으로 가진 새로운 목차가 표시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구글, 야휴, 네이버 등을 항목으로 가진 새로운 목차가 표시된다.
또한, "메신저"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위쳇을 항목으로 가진 새로운 목차가 표시되고, 상기 항목 중에서 텔레그램이 선택되면 텔레그램과 연결되게 된다.
도 20은 제 1 계층이 별도창(97)으로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1은 제 2 계층이 추가 별도창(97a)로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결론적으로 목차는 우선순위, 입력 단어, 추천 등이 반영되어 정해지기도 하지만, 계층구조의 개념으로 정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 단계적 조작 명령 -
본원 발명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1 단계부터 가장 높은 단계인 K 단계까지 단계가 존재하고, 현재 N 단계(N 단계는 1 단계에서 K 단계 까지 내에서 임의의 하나의 단계이다.)에서 임의의 단계까지 이동 방법인 단계적 조작 명령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도 5에서 도 10까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단계적 조작 명령은 현재 단계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2 단계 이상 이동이 가능한 방법이다. 그리고, 1 단계에서 3 단계로 이동되는 것처럼, 현재 단계에서 높은 단계 방향(K 단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존재한다. 또한, 3 단계에서 1 단계로 이동되는 것처럼, 현재 단계에서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존재한다.
이때, 거리 이동, 각도 이동 등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높은 단계 방향으로의 이동과 낮은 단계 방향으로의 이동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시간 유지의 방법(혹은 압력의 세기로 단계 정하는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높은 단계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낮은 단계의 이동은 쉽지가 않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좀 더 다양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높은 단계로의 이동은 시간 유지의 방법(혹은 압력 가하는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지만, 낮은 단계로의 이동은 거리나 각도 이동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한다.
높은 단계로의 이동은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하고, 낮은 단계로의 이동은 도 5 혹은 도 8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3 단계 이동할 때에는 1 초의 시간 유지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되고, 3 단계에서 1 단계 이동할 때에는 2 cm 이동 혹은 30 도 이동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2) 1 단계에서는 2 단계 이상 단계 이동이 가능하지만, 2 단계 이후 부터는 단계저 조작 명령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2 단계 이후 부터는 1 단계 이동 만 가능할 수 있다, 혹은 2 단계 이후부터는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2 단계 이후부터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이동되는 단계의 방법을 조절할 때, 그 단계가 2 단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단계 이상부터 본 항목 2)의 단계 이동 규칙이 적용될 수 있고, 임의의 N 단계부터 본 항목 2)의 단계 이동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임의의 N 단계에서는 반드시 J 단계 이동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N 은 2 이상 K 까지이고, J 는 2 이상이다. J 단계 이동은 높은 단계 이동 혹은 낮은 단계 이동이 될 수 있다.
3) 높은 단계로의 이동은 시간 유지되는 길이를 단계로 나누는 방법(혹은 압력 세기로 단계 나누는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지만, 낮은 단계로의 특정한 마크(도 22에서 조작 마크(34a))를 선택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하다.
도 22는 항목 2)의 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의 (A)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1 단계로,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는 선택영역(32)에 해당된다. 도 22의 (A)에서는 1 단계 정보를 이미지로 나타내었으나, 텍스트 정보 동영상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입력장치(28)를 통하여 도 22의 (A)의 이미지(1 단계)가 선택되고, 선택되어지는 시간이 유지되는 길이에 따라서, 2 단계(34)인 도 22의 (B)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고 3 단계인 도 22의 (C)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3 단계에서 1 단계 혹은 2 단계로 이동하거나 2 단계에서 1 단계로 이동하기 위하여 시간 유지되는 길이를 단계로 나누는 방법(압력의 세기로 단계를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을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로 제공한다.
1) 한번만 터치 하면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만 이동한다.
2) 스마트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감 버튼을 선택하면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만 이동한다.
3) 도 22의 조작 마크(34a)가 선택되면 낮은 단계 방향(1 단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22에서 1 단계(32), 2 단계(34) 혹은 3 단계(36)가 선택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높은 단계 방향으로 단계가 이동된다.
그러나, 조작 마크(34a)가 선택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낮은 단계 방향으로 단계가 이동된다. 낮은 단계로의 이동은 3 단계이서 1 단계로 이동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단계(32)(34)(36) 혹은 조작 마크(34a)가 선택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32)(34)(36) 혹은 조작 마크(34a)가 표시된 영역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도 23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4에서 도 18에서는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 24은 단계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3의 실시예를 보면 임의의 N 단계(여기서 N은 1 이상 K 이하에서 임의의 N)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디스플레이(30)에 검색창(95)이 표시되고, 상기 검색창(95) 내에 단어 검색창(95a)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음성 검색창(95a)이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이미지 검색창도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검색창을 통하여, 정보가 검색될 수 있고, 다른 기능이 검색될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을 검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능이 검색되고 선택되면 다른 기능이 수행되거나 연결되게 된다. 또한 다른 프로그램이 검색되고 선택되면 다른 프로그램이 수행되거나 연결되게 된다.
도 24는 문자가 선택 영역인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4에서처럼 선택영역으로서 수신 문자(1)(32)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수신 문자(1)(32)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제 2 단계 혹은 제 3 단계(34)(36)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실시 방법에 따라, 4 단계, 5 단계 등 그 이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도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송수신 문자(1)(2)가 선택 영역이 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어도,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이 그대로 적용되게 된다.
예를들어, 송수신 문자(1)(2)가 선택 영역(32)이 되어서, 상기 송수신 문자(1)(2)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2 단계, 3 단계 혹은 N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임의의 N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디스플레이(30)에 검색창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창을 통하여, 키워드 검색, 친구 리스트 검색, 전화 번호 검색 등 다양한 검색을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키워드 검색은 인터넷 망을 통한 검색, 주고 받은 문자 내에서의 단어 검색, 다른 기능 검색 혹은 스마트폰 내에서의 다른 프로그램 검색이 될 수가 있다.
도 25는 문자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이모티콘 서비스에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을 적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25의 (A)는 서비스 운영자가 제공하는 정보이다. 즉, 선택장(40)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창(40)에는 선택 항목(41)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항목(41) 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다, 즉, 통상적인 문자 서비스에 제공되는 이모티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이모티콘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의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5의 (A)에서 단계 입력(42)를 선택하면, 도 25의 (B)처럼 입력창(45)이 표시된다. 즉, 도 25의 (B)가 종래 이모티콘 서비스에는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방법이다.
도 25의 (B)처럼 입력창(45)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공간(47), 입력되는 정보의 단계가 표시되는 단계 표시(46), 다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혹은 동영상)를 첨부할 수 있는 첨부 마크(48)가 존재한다. 여기서, 단계 표시(46)는 현재 입력 공간(47)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몇 단계 정보인가를 표시하는 것이다. 즉, 단계 표시(46)에 “3 단계”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입력 공간(47)에 입력되는 정보는 3 단계 정보가 된다.
또한, 도 25의 (B)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마크와 추가 단계를 입력하는 추가 단계 입력 마크도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입력 마크가 선택되면 입력 공간(47)에 입력된 정보가 저장된다.(메모리부(21)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에 전송되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단계 입력 마크가 선택되면 다음 단계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입력창(45)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45)에 새로운 단계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현재 입력장(45)에 입력된 정보가 3 단계(혹은 N 단계)라면, 새로운 입력창(45)에 입력된 정보는 4 단계(혹은 N+1 단계)가 된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모티콘에 적용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1)도는 1 단계로 선택 영역(32)이고 이미지이고, 도 26의 (2)도는 동영상으로 2 단계(34) 정보이고, 도 26의 (3)도는 3 단계(36) 정보이고, 도 26의 (4)도는 4 단계(38) 정보이다. (이때, 1 단계와 2 단계 정보가 이미지 혹은 동영상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텍스트 데이터 혹은 텍스트와 이미지가 혼합된 데이터도 가능하고, 텍스트와 동영상이 혼합된 데이터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단계의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도 마찬가지이다.)
도 27은 문자 재전송에 본원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종래에는 수신된 문자(1)를 재전송(혹은 전달) 할 수 있다. 이때, 본원 발명에서는 단계 입력 기능이 더 추가되게 된다. 도 27의 실시예의 재전송 메뉴(2b)에서 “단계 입력”이 선택되면, 단계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45)이 표시되에 단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문자 사용할 때 문자가 입력되는 영역인 문자 입력 창(2a)에 상기 입력창(45)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단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8에서처럼 문자 입력 창(2a)에는 입력 마크(2c)가 존재하며, 상기 입력 마크(2c)는 일반적인 문자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입력마크와 기능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상기 입력마크(2c)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29는 상기 입력마크(2c)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었을 때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상기 입력마크(2c)가 선택되면, 도 29의 (A)에서처럼 선택창(2d)이 문자 입력 창(2a) 내에 혹은 디스플레이(30) 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장(2d) 내에는 선택이 가능한 여러 항목이 목차로서 나타내어진다.
그리고, 상기 여러 항목 내에는 단계 입력(2e) 항목이 존재하고, 다른 기타 입력(2f) 항목도 존재한다, 물론 도 29에서는 다른 기타 입력 항목(2f)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단계 입력(2e) 항목이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면, 도 29의 (B)에서처럼 입력창(45)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창(45)을 통하여 단계에 대한 정보는 입력된다,
한편, 상기 입력창(45)을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는 방법은 본원 발명의 도 25의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된다. 단지 도 25의 실시예에서는 일부 단계에 대한 정보는 운영자가 제공하지만, 도 28과 도 29의 실시예에서는 1 단계(가장 낮은 단계)부터 K 단계(가장 높은 단계)까지의 정보가 모두 스마트폰(110)을 통하여 입력된다. 즉 본원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1 단계(가장 낮은 단계)부터 K 단계(가장 높은 단계)까지의 정보를 모두 입력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단계에 대한 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거나 메모리부(21)에 저장된다.
한편, 서버에 전송된다는 것은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과 문자로서 연결된 또 다른 스마트폰에, 입력된 단계의 정보가 문자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문자 이외의 다른 콘텐츠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0은 단계 입력이 가능한 또 다른 스마트폰과 연결된 경우의 불럭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은 본원 발명의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이다. 그리고, 또 다른 스마트폰(110-1)에서 단계 입력이 입력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스마트폰(110-1) 혹은 휴대용 단말기는 본원 발명에서 설명된 스마트폰(110) 혹은 휴대용 단말기와 사실상 동하거나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또 다른 스마트폰(110-1)에서도 적용된다.
- 단계 입력에 대한 순서 -
1)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의 입력장치(28-1)를 통하여 단계 입력이 선택된다, 이때,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은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2) 또 다른 스마트폰(110-1)의 중앙처리장치(20-1)는 단계 입력이 선택되면, 입력창(45)을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3) 상기 입력장치(28-1)를 통하여 단계의 정보가 입력되면, 다른 스마트폰(110-1)의 중앙처리장치(20-1) 입력된 단계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4) 서버의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입력된 단계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110)에 전송한다. 한편, 서버의 제어부는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5)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은 스마트폰(110)에서 상기 단계에 대한 정보 표시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폰(110)의 중앙처리장치(20)은 단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이때, 단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은 본원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예가 적용된다.
도 31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1의 (A)는 암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예를들어, 어떠한 단계에 대한 정보에 암호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암호를 입력하여야, 단계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이 표시된다.
즉, 2단계, 3 단계, 4 단계(34.36.38) 혹은 1 단계(가장 낮은 단계)에서 K(가장 높은 단계)까지 하나의 임의의 N 단계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상기 N 단계에 대한 정보에 암호가 설정되면, 도 도 31의 (A)에서처럼 암호 입력창(5)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암호 입력창(5)에 암호가 입력되고, 중앙처리장치(20) 혹은 서버의 제어부(101)는 입력된 암호가 미리 설정된 암호와 일치하게 되면, 단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게 된다. 서버의 제어부가 암호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은 통상의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도 31의 (B)는 단계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단계 정보를 입력할 때, 단계 정보 자동 표시 설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계 정보를 입력할 때, 단계 정보 자동 표시를 선택하면, 자동 설정창(6)이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 정보 자동 표시(6a)에서 자동 표시를 지정하거나 지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의 (B)의 단계 정보 자동 표시(6a)에서 “Y(yes)”가 선택되면 자동 표시가 설정되는 것이고, “N(no)”가 선택되면 자동표시가 설정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자동 표시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체 단계가 1 단계부터 5 단계까지라면, 단계 설정 창(6b)에서 시작 단계에 1 단계를 지정하고, 단계 설정 창(6b)에서 종료 단계를 4 단계로 지정하면 1 단계에서 4 단계까지만 자동으로 단계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5 단계의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어야 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때. 단계 정보 자동으로 표시된다는 것은 1 단계부터 4 단계까지 자동으로 순차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계 설정 창(6b)의 괄호에 시간을 지정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표시될 때 각 단계가 표시되는 시간이 지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자동 설정은 스마트폰(110) 사용자 뿐 아니라 서버 운용자도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자동 표시 설정을 해지 할수도 있다, 즉, 자동 표시 설정이 지정된 단계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동 표시 설정 지정 해지하면 단계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32는 속도가 반영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1 단계, 2단계, 3 단계, 4 단계(32,34.36.38) 혹은 1 단계(가장 낮은 단계)에서 K(가장 높은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N 단계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이 도 32의 화살표 방향으로 실시될 수가 있다.
즉, 도 32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계 정보를 선택하여 왼쪽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을 이동하면, 낮은 방향(1 단계 방향)으로 1 단계 이동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계 정보를 선택하여 오른쪽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을 이동하면, 높은 방향(K 단계 방향)으로 1 단계 이동한다.
한편, 이동 속도가 반영될 수 있다, 즉,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 시간이 길면(속도가 느리면) 더 많은 단계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들어,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이 이동되는 시간이 0.5 초이거나 혹은 0.5 초 이하이면은 1 단계 이동(낮은 방향 혹은 높은 방향으로)하고, 화살표의 방향대로 선택점이 이동되는 시간이 1초 이거나 혹은 0.5 초 이상 1초 이하이면은 2 단계 이동(낮은 방향 혹은 높은 방향으로)된다.
이때, 선택된 점이 이동하는 방법은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원모양 이동, 각도 이동 등)가 적용되고,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범위에 따른 단계 이동도 본원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선택점이 이동될지라도 1 단계 이하로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K 단계 이상으로도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도 33 내지 도 35는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3의 (A) 보면, 선택영역(32)이 선택되어, 도 5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물론, 도 7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도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3의 (B)에서처럼 상기 선택영역(32)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도 (B)의 (1 단계)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 2 단계의 정보가(36)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도 (B)에서는 2 단계 정보가 4개의 박스 형태로 나타냈지만 반드시 4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N 개다.
그리고, 도 (B)의 2 단계 정보 4 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좌우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화살표 표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3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서는 3 단계 정보가 3 개로 표시되었지만 3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N 개다.
또한, 상기 3 개의 3 단계 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
(도 (B)의 (3 단계)에서 화살표가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 정보) 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도 33의 (C)처럼 4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도 34는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실시예를 나나탠 도면이다. 즉 도 33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가능한 선택 영역(32)이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이 선택되어 일정 시간 유지되는 정도에 따라 2 단계, 3 단계 및 그 이상의 단계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혹은 가해진 압력의 크기로 단계를 나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이동 거리(혹은 각도)로 단계가 나누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이하 A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나누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 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이하 B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서로 다르다.
도 35는 서로 다른 A 방법에 의한 실시예와 B 방법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들어, 1 단계인 동일한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A 방법에 의하여 2 단계가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2 단계 정보(34)와 “B 방법에 의하여 2 단계가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2 단계 정보(34)는 서로 다르다. 즉,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방법이 다르면, 동일한 2 단계 정보(34)도 서로 다르다.
-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를 경우 실시예 -
1) 동일한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할 때, 가장 낮은 단계의 다음 단계인 2 단계부터 가장 높은 단계인 K 단계 내에서 어떤 한 단계인 N 단계의 정보(39)는 서로 다르다.
즉, 동일한 N 단계의 정보이지만,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르면 상기 N 단계의 정보(39)는 서로 다르다.
2) 상기 1) 항의 방법의 결과로 표시되는 정보에 있어서,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의 정보가 모두 다르다는 것은 아니다.
즉,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 중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르게 되면, 동일한 단계임에도 서로 정보가 다른 단계가 적어도 1 단계 이상 존재한 다는 것이다.
3) 도 33 내지 도 35의 실시예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이 다르게 될 때, 2 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2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4) 세트의 존재
-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를 본원 발명에서는 하나의 세트하고 하였다.(여기서 N 단계는 2 단계에서 K 단계까지 중에서 어느 한 단계)
A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였을 때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는 제 1 세트(39a)이고, B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였을 때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는 제 2 세트(39b)이다.
마찬가지로 C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였을 때 1 단계 정보부터 N 단계 정보까지는 제 3 세트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세트, 제2 세트, 제 3 세트 내에서, 제 1 단계의 정보(1 단계 선택 영역)(32)은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세트가 다를 경우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 중에서 서로 정보가 다른 단계가 적어도 1 단계 이상 존재한다. 물론 세트가 다르면 2 단계부터 K 단계까지의 정보가 모두 다를 수 있다.(도 35의 도면에서처럼)
5) 상기 세트가 저장되는 장소는 스마트폰의 메모리부(21)이며, 또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이다.
따라서, 상기 세트(39a)(39b) 내에서의 정보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때.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스마트폰의 메모리부(21)에서 상기 정보를 선택하거나, 서버에서 전송받은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한다.
6)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 예시는 아래와 같다.
- 제 1 실시예 : A 방법은 점이 선택되어 이동되는 방법이다. B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제 2 실시예 : A 방법은 상하 방향 이동(한점 혹은 두점 선택)이다. B 방법은 좌우 방향 이동이다. 그리고, C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제 3 실시예 : A 방법은 점이 선택되어 이동되는 방법이다. B 방법은 이동되는 각도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그리고, C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제 4 실시예 : A 방법은 두 점이 선택되고 선택된 점이 좁혀지거나 늘어나는 방법이다. B 방법은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이다,
- 그 외, 손가락 이미지 모양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방법, 선택 영역을 두두리는 갯 수로 방법 등이 존재한다.
즉, 상기 실시예의 방법 이외 다양한 실시예 방법의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도 36은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6의 (A)는 본원 발명의 도 5 혹은 도 8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경우이다.
1 단계(32)가 “신문” 정보이고, 상기 1 단계에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2 단계의 정보(목차)(34)로서 신문사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즉,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가 목차 내의 항목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기 2 단계의 신문사 정보(목차)(34)중에 하나의 신문사(항목)을 선택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3 단계 정보의 정보(목차)(36)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즉, 신문사 내에 뉴스의 분류 정보가 “주요 뉴스”, “날씨”, “경제” 처럼 항목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36의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되었지만, 도 36의 (A)의 (3 단계)에서 항목인 “날씨” 나 “주요 뉴스”가 선택되면, 선택 정보인 “날씨”나 “주요 뉴스”에 관한 세부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거나 상기 선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된다.
도 36의 (B)는 본원 발명의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 되는 경우이다. 즉, 도(A) 방법과는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35의 (B)에서 각각의 단계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 준한다.
-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 실행 순서 -
1)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한 예는 도 36의 (A) 사례이다. 1 단계 정보(선택 영역)(32)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된다.
2) 1 단계 정보(선택 영역)(32)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되면 2 단계 목차(정보)(34)가 표시된다.
2 단계에서 표시되는 목차 내의 항목의 개수는 1 단계 선택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기 위하여 선택된 점의 이동 거리와 관계된다.
예를들어, 도 33의 (B)의 실시예에서는 1 단계에서 2 단계로 이동될 때, 도 33의 (B)의 (2 단계)에서는 목차(정보)(34) 내에 항목이 4개 표시되었다. 그러나, (1 단계)에 표시된 화살표(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표시)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선택되는 점이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항목 2 개만 표시될 수도 있고 6 개도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33의 (B)의 (2 단계)에서 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목차(정보)(34)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상태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선택점 점을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하면, 그 상기 표시된 4개 항목이 5개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된다.(물론 최대 정해진 숫자 만큼 만 증가된다.) 그리고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선택된 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표시된 4개 항목이 1개 까지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어, 선택된 두 점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목차(정보)(34) 내의 항목의 숫자가 더 늘어 난다.(물론 미리 정해진 숫자 보다 더 늘어나지는 않는다.) 한편, 선택된 두 점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목차(정보)(34) 내의 항목의 숫자가 1개까지 줄어든다. 당연히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에 따라 늘어나는 항목의 수 혹은 줄어드는 항목의 수가 정해진다.
3) 2 단계 목차(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되면 3 단계 목차(정보)(36)가 표시된다.
이때, 3 단계 목차(정보)(36) 내에서 생성되는 항목의 숫자는 상기 2 단계 목차(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에 따른다.
4) N 단계 목차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 실시되면 N+1 단계 목차(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N+1 단계 목차(정보)(36) 내에서 생성되는 항목의 숫자는 상기 2 단계 목차(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에 따른다.
5)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은 2차원 3차원 4차원을 표시하는 수학의 예를 모방한 표현이다,
즉, 1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 과 2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다르다. 즉, N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 과 N+1 단계에서 항목의 숫자를 늘리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다르다.
6) N 단계 정보(목차)가 선택되어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방향)이 실시되면 N 단계 정보(목차) 내에서 항목의 숫자가 증가되거나 줄어든다. 이때, N 단계 정보(목차)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좌우 방향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방향)이 실시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한 하부 단계 정보(도 19의 계층 구조 예에서 하부 정보)가 N+1 단계의 정보(목차)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N+1 단계의 정보(목차)는 2 개 이상(아주 예외적으로는 항목이 1개도 가능하다.)의 항목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정보가 표시되지만, 하부 정보가 아닌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7) 임의이 N 단계 혹은 N+1 단계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방향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8)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을 위항 사용 방법의 예시
- 선택된 점이 이동되는 이동 거리에 의하여, 목차 내에 항목의 수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정도가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
- 그리고, 목차 내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가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선택된 항목의 정보와 다른 정보를 가진 항목이 표시된다. (혹은 선택된 항목의 정보의 하부 계층(도 19의 실시예)의 정보를 가진 항목이 표시된다.)
9) 선택 영역(목차) 내에 항목이 1개 뿐이라면, “이동 거리에 의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방법”과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방법”이 혼용 사용될 수 있다.
- 동일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2 가지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는 실시예 -
아래 실시예에서 A 방법과 B 방법은, 선택된 점이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 나누는 방법, 선택된 점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로 단계 나누는 방법, 선택된 점이 이동하는 거리 혹은 각도로 단계 나누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방법이다.
1) 제 1 실시예
(a)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1 단계, 2 단계, 3 단계처럼 단계의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데이터 양이 증가된다.
- 데이터가 증가될 때, 이전 단계에 존재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데이터 양이 증가된다,
- 동일 계층(도 19의 계층 구조예에서)의 정보가 증가된다.
예를들어, 단계가 증가되면 항목이나 목차의 갯수가 증가된다.
도 33의 실시예에 따른 예를들면, 1 단계에 “런턴 타임즈”가 존재하지만,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2 단계로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코리아 타임즈“ 등이 추가로 나타나게 된다.
(b)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1 단계, 2 단계, 3 단계처럼 단계의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진다.
예를들어, N+1 단계의 정보에는 N 단계이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 하부 계층(도 19의 계층 구조예에서)의 정보가 표시된다.
2) 선택 영역의 대상이 전화 번호 리스트일 때,
(a)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전화 번호 리스트(목차)에서 하나의 항목(이름이나 명칭 혹은 번호)을 선택되고, 선택된 항목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 그리고, 단계가 증가됨에 따라 전화 번호와 관련된 정보의 데이터가 증가된다.
: 전호 번호가 추가로 표시된다.
: 선택된 이름과 관련된 정보가 추가로 표시된다, 다른 전화번호, 메일 주소, 주소, 메모 등이 추가로 표시된다.
: 정보 편집 등이 추가로 표시된다.
: 문자 기능이 표시된다.
(b) B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문자와 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콘텐츠와 연결된다.
: 전화 이에외 다른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목차가 나타난다.
3) 선택 영역의 대상이 지도일 때,
(a) A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지도에 관한 추가 정보가 표시된다.
: 지도의 상세도가 증가된다.
: 지도 내에 어떠한 지점(상점이나 식당)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명령이 실시되면, 추가 상점이나 식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들면, 상기 지점(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장소일 수 있다,)에 복수개의 상점이나 식당이 존재할 경우 단계적 조작명령이 실시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점이나 식당의 수가 늘어난다.
(a) B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 지도 내에 특정 지점(상점이나 식당)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선택된 지점에 대한 추가 정보가 표시된다.
: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상점이나 식당이 취급하는 상품이나 메뉴이다.
: 상기 상품이나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 상기 상품이나 메뉴를 결재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 상기 상점이나 식당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 상기 상점이나 식당에 메일을 보낼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4) 선택 영역의 대상이 아이콘일 때
: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 차원으로 표시되는 단계적 조작 명령 실행” 방법에 준한다.
도 37은 2차원 단계를 가진 단계적 조작 명령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7의 (A)는 각각의 정보의 단계가 2 차원의 방법 혹은 3 차원의 방법으로 나타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최초 1 단계(1-1 단계) 가 존재하고, 가해지는 값의 크기로 2 단계 3단계, 4 단계 혹은, N 단계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1 단계 내에서도 1-1 단계, 1-2 단계, 1-3 단계, 1-4 단계 혹은, 1-N 단계가 존재한다.
또한, 2 단계 내에서도 2-1 단계, 2-2 단계, 2-3 단계, 2-4 단계 혹은, 2-N 단계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N 단계 내에서도 N-1 단계, N-2 단계, N-2 단계, N-4 단계 혹은, N-N 단계가 존재한다.
1 단계(1-1 단계), 2 단계(2-1 단계), 3단계(3-1 단계), 4 단계(4-1 단계) 혹은, N 단계(N-1 단계)로 단계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을 A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N-1 단계, N-2 단계, N-2 단계, N-4 단계 혹은, N-N 단계로 단계 이동하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을 B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압력, 시간, 거리 이동, 각도 이동 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첫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압력의 세기로 하는 방법, B 방법이 시간 유지의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둘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시간 유지의 방법, B 방법이 거리 이동의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세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속도에 의한 방법, B 방법이 거리 이동의 방법일 수 있다.
아울러, 네째 실시예로 A 방법이 "오른쪽(혹은 왼쪽) 수평 방법으로 거리 이동"의 방법, B 방법이 "아래(혹은 위 방향) 수직 방향으로 거리 이동"의 방법일 수 있다.
즉, A 방법과 B 방법이 동일하지 않도록 다양한 경우의 수의 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방법으로 2 단계 이동하고, B 방법으로 3 단계 이동하면, 2-3 단계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 다른 예로, A 방법으로 N 단계 이동하고, B 방법으로 N 단계 이동하면, N-N 단계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2-3 단계 혹은 상기 N-N 단계의 아이콘은 각각의 단계의 정보의 특징(혹은 요약)이 표시되어 있다. 정보의 특징(혹은 요약)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도 9와 도 10의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3 단계 혹은 상기 N-N 단계의 정보를 더 자세히 보고 싶으면 상기 2-3 단계 혹은 상기 N-N 단계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선택)
도 37의 (B)는 각각의 정보의 단계가 2 차원의 방법 혹은 3 차원의 방법으로 나타나는 또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단계이면서 선택 영역(32)이 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이 되면, 가이드 선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선(50)에는 각각의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혹은 요약)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선(50)의 가이드에 의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이 입력 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으로 만들어진 최종 단계(2, 3, 4, 혹은 N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가 별도창(97)에 표시된다.
이때에도, 도 37의 (A)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A 방법과 B 방법이 존재하여, N-N 단계의 정보가 별도창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적 조작 명령시 A 방법 혹은 B 방법임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 3 차원의 단계 -
1-1 단계(1-1-1단계) 내에서도 1-1-2 단계, 1-1-2 단계, 1-1-3 단계, 1-1-4 단계 혹은, 1-1-N 단계가 존재한다.
또한, 2-2(2-2-1)단계 내에서도 2-2-2 단계, 2-2-3 단계, 2-2-4 단계 혹은, 2-2-N 단계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N-N 단계 내에서도 N-N-1 단계, N-N-2 단계, N-N-2 단계, N-N-4 단계 혹은,N-N-N 단계가 존재한다.
즉, 1 차원 방향으로 단계 이동은 A 방법, 2 차원의 방향으로 단계 이동은 B 방법이라고 하면, 3 차원 방향으로의 단계 이동은 C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C 방법으로의 단계적 조작 명령도, A 방법과 B 방법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계층적으로 볼 때에는, 동일 계층의 정보 이동은 A 방법, 한 계층 낮은 방향으로의 정보 이동은 B 방법이라고 하면, 두 계층 낮은 방향으로의 정보 이동은 C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게층 구조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도 19와 도 20의 실시예에 준한다.
도 38과 도 39는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30-1)과 제 2 디스플레이(30-1)가 구비되고, 제 1, 2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5-1)(25-2)도 구비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에는 제 1 입력장치(28-1)가 구비되고, 제 2 디스플레이에는 제 2 입력장치(2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 1,2 입력장치 구동부(27-1)(27-2)도 구비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1)와 두 개의 입력장치(28-1)(28-2)는 하나의 중앙처리장치(20)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39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디스플레이(30-1)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그 결과는 제 2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다. 물론 제 2 디스플레이에서 단계적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그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디스플레이(30-1)에서 선택 영역(현재 1 단계)을 선택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해 2 단계 이동을 하면, 최종 단계는 3 단계가 되며 상기 3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제 2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다는 것이다.
도 39의 기능은 스마트폰의 메모리부(혹은 서버의 데어터 베이스)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혹은 서버의 제어부)에서 실행 가능하다. 즉 제 1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제 1 입력장치(28-1)를 통하여 입력된 단계의 조작 명령의 결과 선택된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제 1 디스플레이(30-1)를 통하여 단계 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제 2 디스플레이(30-2)에 입력창(45)이 표시되어 본원 발명의 사용자가 스마트폰(110)을 사용하여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창(45)에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30-1)를 통하여 단계 입력(42)이 선택되면, 도 25의 (A)에서의 실시예에서처럼 선택창(40)이 표시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처럼, 단계가 증가되면 이전 단계보다 데이터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이전 단계에 없는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이전 단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정보로만 새로운 단계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되어도 가장 낮은 단계 이하로 혹은 가장 높은 단계 이상으로 더 진행될 수 없다.
본원 발명에서는 매우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실시예를 실시하는 데 기본이 되는 스마트폰과 서버 및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법은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적용될 수 있다.
한 두가지 예를들어 보면, 본원 발명에서 선택 영역은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수 있는 영역이고, 상기 영역은 전체 화면에서 일부 만 대상될 수 있고, 또는 전체 화면(전체 화면일지라도 메뉴 등이 표시되는 영역은 제외)이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택 영역의 개념은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그리고, “최초 1 단계는 선택 영역이 반드시 되지만, 2 단계부터 최고 단계인 K 단계까지에서는 선택 영역은 되지 않고 해당 단계의 정보만 표시되는 N 단계(2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내에서 어느 한 단계)도 존재한다.”는 개념이 존재하면 상기 개념도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 된다.
도 40은 본원 발명이 지도에 적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0은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혹은, 상기 도 40의 실시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지도가 표시되고, 상기 지도 내에 선택 영역(32)가 존재한다, 상기 선택 영역은 지도 내에 상점, 역, 건물 특정 장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32)이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 그러면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된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도 40의 실시예에서는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메뉴를 통하여 주문을 할 수 있는 실시에의 도면이 도시되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설명된 거리를 단계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그럴 경우 상기 단계적 조작명령의 실시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그대로 표시된다,
하지만,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수 있다. 시간의 길이를 단계로 구분하거나 혹은 압력의 크기를 단계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도 선택 영역(34a)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선택 영역(34a)에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다시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도 있고,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A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B 방법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 정보 전체를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될 때, 그 결과가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즉, 중앙처리장치(20)가 상기 도 40의 실시예에 설명된 알고리즘(방법)대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혹은 중앙처리장치(20)가 상기 도 40의 실시예에 설명된 알고리즘(방법)대로 제 디스플레이(30)의 1 영역과 제 2 영역에 표시한다.
도 41 내지 도 42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한편, 도 41과 도 42의 실시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표시될 때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임의의 처음 정보(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가 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 전체에 걸쳐서 표시되는 경우(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경우)의 실시예이고, 그 실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2)두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걸쳐서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도 41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상점, 식당, 혹은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도 40의 실시예에서 처럼 표시된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0))에 걸쳐서 표시된 처음 정보 내에 선택 영역이 입력장치를 통하여 점으로 선택되어,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1 스텝(step),
입력장치로부터 점의 위치가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는 2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의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3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영역)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영역)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하는 4 스텝(step),(도 40의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 상기 4 스텝의 결과가 표시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
물론, 제 2 디스플레이(30-2)(혹은 제 2 영역)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 1 디스플레이(30-1)(혹은 제 1 영역)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 스텝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1 스텝의 점이 유지되는 시간 혹은 상기 점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로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4 스텝의 단계에서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도 40의 실시예의 도면 참조)에 표시되는 정보를 대상으로 거리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에 따르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가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4 스텝의 단계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는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표시된다.(도 42의 실시예 참조)
즉, 도 42에서는 음식에 대한 목차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에 대한 목차 중에서 항목(도 42의 실시예에서는 “치킨 사라다”)가 선택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목(도 42의 실시예에서는 “치킨 사라다”)을 대상으로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는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1 영역)에 표시 된다.
도 43 내지 도 48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한 예이다.
즉, 스마트폰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외부에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펼쳐진 디스플레이(30)(혹은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30-3)를 중앙처리장치(20)가 제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30)와 제 1,2 디스플레이(30-1)(30-2)를 제어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1)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된다.
(2)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아래와 같다.
처음 정보 내에 선택 영역이 입력장치를 통하여 점으로 선택되어,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1 스텝(step),
입력장치로부터 점의 위치가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는 2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의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3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30-3) 일부에는 상기 처음 정보(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외부 디스플레이(30-3)의 또 다른 일부(도 48의 실시예에서 별도창(30d-1))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하는 4 스텝(step),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3 스텝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1 스텝의 점이 유지되는 시간 혹은 상기 점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로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내부에 디스플레이가 존재하고(도 45 실시예 참조), 상기 내부의 디스플레이(30)가 분할되어, 상기 처음 정보(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도)와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한다.(도 46의 실시예)
- 도 46 실시예의 또 다른 적용 -
상기 도 46의 실시예는 제 1 디스플레이(30-1)와 제 2 디스플레이(30-2)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면, 내부에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상기 처음 정보(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는 제 1 디스플레이(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는 제 2 디스플레이(혹은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도 46의 실시예)
- 상기 수행 과정을 스텝으로 설명 -
(1) 폴더블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스마트폰 내부에 디스플레이(30)가 존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5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는 상기 펼쳐진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2)펼쳐진 디스플레이(30)에 걸쳐서 표시되는 처음 정보(도 45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된다. 예를들어 도 4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30a)(혹은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각각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실행 단계는 아래와 같다.
처음 정보(도 45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이 입력장치를 통하여 점으로 선택되어,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1 스텝(step),
입력장치로부터 점의 위치가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는 2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의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3 스텝(step),
중앙처리장치는 펼쳐진 디스플레이(30) 일부(제 1 영역(30a))(혹은 제 1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30)의 또 다른 일부(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를 표시하는 4 스텝(step),(4 스텝의 결과는 도 46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3 스텝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1 스텝의 점이 유지되는 시간 혹은 상기 점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로 현재 단계에서 이동되는 최종 단계를 판단한다.
또한, 도 47의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3 스텝에서 판단된 선택 영역의 최종 단계의 정보가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레이)에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새로운 창(34-1a)이 생성되어 상기 새로운 창(34-1a)에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실시결과가 표시된다.
즉, 도 47의 실시예의 경우이다. 도 46에서 제 2 영역(30b)(혹은 제 2 디스플에이)에는 음식에 대한 목차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에 대한 목차 중에서 항목(도 46의 실시예에서는 “치킨 사라다”)가 선택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목(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는 새로운 창(34-1a)에 표시 된다.(도 47의 실시예 참조)
- 폴더블 디스플레이 내부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이 접혀지게 되면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한다. 즉, 스마트폰 외부에는 외부 디스플레이(30-3)가 존재(도 43의 실시예 참조)하고, 스마트폰 내부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된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를 대상으로 거리 혹은 각도를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그 결과가 외부 디스플레이(30-3)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처음 정보(도 44의 실시예에서는 지도) 내에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실시되면, 별도창(30d-1)이 생성되고 상기 별도창(30d-1)에 시간 혹은 압력을 단계로 나누는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을 펼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30-1)에는 상기 처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디스플레이(30-2)에는 상기 별도창(30d-1)에 표시된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스마트폰이 펼쳐지면 나타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에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은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된다.
반대로, 스마트폰이 펼쳐진 상태에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30-1)(30-2)에 각각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스마트폰이 접혀(닫혀)지게 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30-1)에 표시된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30-3)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된 정보를 상기 별도창(30d-1)에 표시되도록 한다.(도 48의 실시예 참조)
본원발명에서 적용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과, 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분할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한다, 즉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통상적인 방법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계적 정보 제공 스마트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문자 서비스가 실행되고, 상기 문자 서비스에 송수신 문자가 존재하고, 상기 송 수신 문자 사이에 단계적 조작 명령의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단계는 1 단계는 K 단계까지 존재하고, K는 2 이상이고, 상기 선택 영역이 1 단계 일때, 상기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에서 하나의 임의의 단계를 통하여, 다른 기능 혹은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중에서 일부 단계 혹은 전체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문자가 선택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문자 혹은 송신 문자를 재 전송할 때, 단계 입력을 추가하여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KR1020217029300A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9457A KR20230043236A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1218 2018-03-18
KR1020180104936A KR20190109705A (ko) 2018-03-18 2018-09-03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46383 2019-04-19
KR1020190046383A KR20200026665A (ko) 2018-03-18 2019-04-19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0/005067 WO2020213941A1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457A Division KR20230043236A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537A true KR20210119537A (ko) 2021-10-05
KR102617269B1 KR102617269B1 (ko) 2023-12-27

Family

ID=6806789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936A KR20190109705A (ko) 2018-03-18 2018-09-03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46383A KR20200026665A (ko) 2018-03-18 2019-04-19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7009457A KR20230043236A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7029300A KR102617269B1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936A KR20190109705A (ko) 2018-03-18 2018-09-03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46383A KR20200026665A (ko) 2018-03-18 2019-04-19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7009457A KR20230043236A (ko) 2018-03-18 2020-04-16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4788A1 (ko)
KR (4) KR20190109705A (ko)
CN (2) CN113661698B (ko)
WO (1) WO2020213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705A (ko) * 2018-03-18 2019-09-26 김시환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590A (ko) * 2015-01-14 2016-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60109238A (ko) * 2015-03-10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쳐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50927C (zh) * 2005-12-23 2009-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KR101701151B1 (ko) * 2010-09-20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624974A (zh) * 2011-06-14 2012-08-01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操作命令列表的排列方法
US20150154302A1 (en) * 2012-08-08 2015-06-0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3324387A (zh) * 2013-05-18 2013-09-25 冯俊 显示子文件界面的系统和方法
KR102105959B1 (ko) * 2013-07-22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레이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094508A (zh) * 2014-05-15 2015-11-2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应用程序进行窗口控制的方法和装置
US20160092411A1 (en) * 2014-09-25 2016-03-31 Monotype Imaging Inc. Selectable Styles for Text Messaging System Font Service Providers
KR101835217B1 (ko) 2016-06-08 2018-03-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환경에서 drm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72361B1 (ko) 2017-03-06 2017-08-2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20190099985A (ko) * 2018-02-19 2019-08-28 김시환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07771B1 (ko) * 2018-02-20 2020-05-11 최경훈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9705A (ko) * 2018-03-18 2019-09-26 김시환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590A (ko) * 2015-01-14 2016-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60109238A (ko) * 2015-03-10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쳐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69B1 (ko) 2023-12-27
KR20200026665A (ko) 2020-03-11
KR20190109705A (ko) 2019-09-26
US20220224788A1 (en) 2022-07-14
CN113661698A (zh) 2021-11-16
WO2020213941A1 (ko) 2020-10-22
CN113661698B (zh) 2023-08-25
CN117061657A (zh) 2023-11-14
KR20230043236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414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иска информации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для этого
CN102395946A (zh) 可变速率滚动
CN115004145A (zh) 针对远程内容源设备的子显示屏指定
CN106716324A (zh) 使用公共显示设备发起移动应用的方法、系统和介质
KR2020002665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 정보 제공 방법
CN114846433A (zh) 指定子显示屏的基于手势的方法和系统
CN114930280A (zh) 子显示屏通知处理
CN114830076A (zh) 子显示屏指定和共享
KR20210119537A (ko)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053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phases
CN105893624A (zh) 一种数据显示方法以及系统
KR102107771B1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9985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413167A (zh) 一种终端设备的截屏方法及终端设备
KR20220101020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5411A (ko)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220148063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이모티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20133726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이모티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783279B1 (ko)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40004075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이모티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20123128A (ko)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