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825A1 - 다기능 연필꽂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연필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825A1
WO2020213825A1 PCT/KR2020/001657 KR2020001657W WO2020213825A1 WO 2020213825 A1 WO2020213825 A1 WO 2020213825A1 KR 2020001657 W KR2020001657 W KR 2020001657W WO 2020213825 A1 WO2020213825 A1 WO 20202138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ncil holder
installation
pencil
vertical direction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16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ublication of WO20202138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8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8Desk-receptacles for holding writ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that improves the usability of office supplies.
  • the conventional pencil holder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storing various writing instruments such as pencils or ballpoint pens and office supplies such as knives and scissors, the desk cannot be arranged because office supplies other than the pencil holder must be placed on the desk for office convenience.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in not being able to concentrate on office work.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capable of working at an organized desk, eliminating the necessity of placing other office supplies only by placing a pencil holder.
  • the upper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mounting portion is formed as a sli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 the installation portion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pencil holder body port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as an installation body facing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installation body outside the pencil holder body portion.
  • the installation portion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installation portion, penetr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pens to the front, and has at least one lower installation portion having an expansion portion formed of a curved inner surface having an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on the inner side and spaced vertically apart from the upper installation portion.
  • the installation part consists of an installation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ody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installation body at both sides at the inner end of the installation body, and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U' shape;
  • One 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part is opened, and both ends of the pencil holder body part are coupled to the installation body, so that the installation part extends up and down in the pencil holder body part, and the concave part is opened outward between the installation body to the outside of the body connec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cil holder body portion opened upward and formed with a concave receiving portion, and an installa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portion;
  • a concave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pening outward is form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an upper installation portion, which is a concave sli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 It provides a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for a penci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installation portion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formed of a curved inner surface tha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installation portion and penet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pened to the front and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inside.
  • the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to wit other office supplies such as a separate business card holder only with the wit of the pencil holder, and it can be arranged by inserting a smartphone charging line, so that the desk is neat, and it is possible to work at an organized desk. There i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of the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forming a multi-function penci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ncil holder of the multi-function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shown to explain the use of the multi-function penci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 part of FIG. 3
  •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part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ncil holder 100 is formed by making a pair of two pencil holder 110.
  • one pencil holder 110 may be used independently.
  • the material of the pencil holder 110 may be made of wood, synthetic resin, or metal.
  • the pencil holder 110 is composed of a pencil holder body 111, an installation portion 113, and a coupling portion 115.
  • the pencil holder body 111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in which a concave receiving portion 111a opened upward is formed. 2 to 4, the pencil holder body 111 is shown to have the same shape of a squ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one of a polygon such as a circle, a square, a pentagon, or a hexagon.
  • the pencil holder 110 formed by these combinations may be paired to form a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100.
  • Connection parts 113-7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ody 113a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body 113a.
  • the installation body 113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113-7.
  • the concave portion 113-1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installation main body 113a to the outside of the pencil holder main body 111.
  • the concave portion 113-1 is formed to have an upward and downward opening.
  • the connection part 113-7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main body 113a, the concave part 113-1 is formed in an outward and upwardly open form.
  • the concave portion 113-1 is opened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side,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de where the concave portion 113-1 is opened is described as a front.
  • the two pencil holders 110 so that the installation portions 113 face each other and the pencil holder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aper in the concave portions 113-1 opened toward each other. You can also stand the paper with both sides of it inserted.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put up paper for typing, etc., the typ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y utilizing the multifunctional pencil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installation part 113-5 is form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installation part 113-3.
  • One or more lower installation parts 113-5 are formed.
  • the lower installation portions 113-5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ower installation part 113-5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installation body 113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pening forward.
  • the lower installation part 113-5 has an expanded part 113-5a formed of a curved inner surface having an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inside.
  • the lower installation part 113-5 is formed through the installation body 113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a line W, such as a smartphone charging line, is an extension part 113-5a of the lower installation part 113-5. It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 to be organized.
  • a line W such as a smartphone charging line
  • the installation part 113 has a height L1 lower than that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can do. If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the pencil holder body 111 is covered by the business card (N) even after inserting the business card (N) into the upper installation part (113-3). You can avoid losing.
  • the installation part 113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as shown in FIG. 3.
  •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provided with a side opening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and coupled to a side opening formed in the pencil holder body 111.
  • the side opening of the pencil holder body part 111 is entirely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stallation part 113 may be coupled to the opened part.
  •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coupled to the lateral opening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and is provided to protrude inward.
  • the installation part 113 includes an installation body 113a and a body connection part 113b.
  •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main body 113a and the main body connection part 113b, and has a cross section formed in a'C' shape.
  • the installation portion 113 is formed with a concave concave portion 113-1 opened outwardly between the installation bodies 113a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113b.
  • the installation part 11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is opened, and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coupled to the opened part.
  • the installation part 113 has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and protrudes upward past the upper end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or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 the installation part 11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ongs to pick up the paper and set the paper.
  • the lower installation part 113-5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pencil holder body 1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installation part 113.
  • the pencil hold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115 that allows the two pencil holder portions 11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coupling portion 115 is provided in each of the two pencil holder body 11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portion 113,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5-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115-3).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is a square, as shown in FIG. 3, an installation part 113 is protruded on one side, and a coupling part is provided on a sid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nstallation part 113 is installed ( 115) is provided.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5-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5-3 constituting the coupling portion 115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made of Velcro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Do.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5-1 constituting the coupling portion 115 is formed of a concave groove or through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on one sid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5-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t is possible to have a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111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5-1.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연필꽂이부가 짝을 이루어 형성되는 연필꽂이로서; 상기 연필꽂이부는 상향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연필꽂이본체부와, 상기 연필꽂이본체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향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연필꽂이
본 발명은 다기능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품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연필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꽂이는 연필이나 볼펜 등의 각종 필기구들을 꽂아두고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용기로서 책상 위에 재치 되어 사용되는 사무용품이다. 연필꽂이에는 이외에도 가위나 칼 등도 꽂아두고 보관한다.
도 1은 종래의 연필꽂이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연필꽂이는 하면이 평면으로 밀폐되고 상향 개구된 소정 높이의 연필꽂이본체(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측 내부에 결합되어 용기(10) 내부를 다 수개의 수납공간(15)으로 구획시키는 칸막이부재(20)를 포함한다. 연필꽂이는 상기 칸막이부재(20) 없이 연필꽂이본체(10)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필꽂이본체(10)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상단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칸막이부재(20)의 각 구획판(22)이 결합되는 결합홈(12)이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결합홈(12)에는 상하방향의 중간지점부터 그 하단까지 일정길이의 단턱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판(22)의 엣지부(23)에는 상하방향의 중간지점부터 하단까지 삽입홈(24)이 구비된다. 상기 연필꽂이본체(10)의 결합홈(12)에 구획판(22)의 삽입홈(24)을 끼우는 식으로 연필꽂이본체(10)와 칸막이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필꽂이는 연필이나 볼펜 등의 각종 필기구와 칼이나 가위와 같은 사무용품을 꽂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무 편의성을 위하여 책상에는 연필꽂이 이외의 사무용품이 재치 되어야 하므로 책상이 정리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사무에 집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필꽂이의 재치만으로 다른 사무용품의 재치 필요성이 없어지고, 정리된 책상에서 업무가 가능한 다기능 연필꽂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연필꽂이부가 짝을 이루어 형성되는 연필꽂이로서; 상기 연필꽂이부는 상향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연필꽂이본체부와, 상기 연필꽂이본체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향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치부의 상부에는 상단에서 하향 연장된 슬릿인 상부설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2개의 연필꽂이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설치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2개의 연필꽂이본체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치부는 상기 연필꽂이본체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한 설치본체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연필꽂이본체부의 외측으로 설치본체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치부에는 상부설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한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를 가지는 하부설치부가 상하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치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여 이격된 설치본체와, 상기 설치본체의 내측 단부에 양측이 설치본체에 결합된 본체연결부로 이루어져,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필꽂이본체부는 일측이 개구되고, 연필꽂이본체부의 개구된 양단이 설치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연필꽂이본체부에 설치부가 상하 방향 연장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는 본체연결부의 외측으로 설치본체 사이에서 외향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설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한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를 가지는 하부설치부가 상하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부설치부는 적어도 연필꽂이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은 상향 개구되어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연필꽂이본체부와, 상기 연필꽂이본체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향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단에서 하향 연장된 오목한 슬릿인 상부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설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한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를 가지는 하부설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용 연필꽂이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는 연필꽂이의 재치만으로 별도의 명함꽂이와 같은 다른 사무용품의 재치 필요성이 없어지고, 스마트폰 충전선 등을 꽂아 정리할 수 있어 책상 위가 깔끔하며, 정리된 책상에서 업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필꽂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의 연필꽂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연필꽂이를 이루는 연필꽂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의 연필꽂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기능 연필꽂이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연필꽂이를 이루는 연필꽂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연필꽂이(100)는 2개의 연필꽂이부(110)가 짝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연필꽂이(100)는 1개의 연필꽂이부(110)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연필꽂이부(110)의 재질은 나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연필꽂이부(110)는 연필꽂이본체부(111)와, 설치부(113)와, 결합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는 상향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111a)가 형성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연필꽂이본체부(111)가 사각형의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원형, 사각형이나 5각형 또는 6각형과 같은 다각형 중 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연필꽂이부(110)가 짝을 이루어 다기능 연필꽂이(100)가 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3)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와 설치부(113)는 사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제 등과 같은 수단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113)는 2개의 설치본체(113a)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2개의 설치본체(113a)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여 구비된다. 이하에서 설치부(113)를 설명할 때, 상기 설치본체(113a)의 이격된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치본체(113a)의 하단에는 양측이 설치본체(113a)에 연결된 연결부(11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연결부(113-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3)에는 오목부(113-1)와, 상부설치부(113-3)와, 하부설치부(113-5)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3-1)는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외측으로 설치본체(113a)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3-1)는 상향 및 하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본체(113a)의 하단에 연결부(113-7)가 구비되면, 상기 오목부(113-1)는 외향 및 상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3-1)는 측방 일측에서 외향 개구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목부(113-1)가 개구된 측방을 전방으로 기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필꽂이부(110)는 설치부(113)가 서로 마주하도록 하고 연필꽂이부(110)를 서로 이격시켜, 서로를 향하여 개구된 오목부(113-1)에 종이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하여 종이를 세울 수도 있다. 따라서 타이핑 등을 위하여 종이를 세워둘 필요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다기능 연필꽂이(100)를 활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설치부(113-3)는 상기 설치부(113)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설치부(113-3)는 설치본체(113a)의 상부에 상단에서 하향 연장된 오목한 슬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설치부(113-3)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본체(113a)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설치부(1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N) 등을 꽂아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설치부(113-3)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명함(N) 등을 상부설치부(113-3)에 꽂을 때 명함(N)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설치부(113-5)는 상기 상부설치부(113-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설치부(113-5)는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하부설치부(113-5)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 하부설치부(113-5)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설치부(113-5)는 설치본체(113a)에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설치부(113-5)는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하며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113-5a)를 가진다.
상기 하부설치부(113-5)는 설치본체(113a)에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스마트폰 충전선 등과 같은 선(W)을 하부설치부(113-5)의 확장부(113-5a)에 삽입 위치시켜 정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113)는 연필꽂이본체부(111)보다 낮은 높이(L1)로 하여, 설치부(113)의 상단이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단부보다 하향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설치부(113)의 상단이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단부보다 하향 이격되면 명함(N)을 상부설치부(113-3)에 꽂은 후에도 연필꽂이본체부(111)가 명함(N)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113)는 상단이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단부보다 상향 돌출(L2)되도록 하여, 설치부(113)의 상단이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단부보다 상향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필꽂이본체부(1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113)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방 일측이 개구되고 연필꽂이본체부(111)에 형성된 측방 개구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방 개구부는 상하 방향으로 전체가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에 설치부(113)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치부(113)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방 개구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113)는 설치본체(113a)와 본체연결부(11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2개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방 개구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2개의 설치본체(113a)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어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단을 지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단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13b)는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13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13b)는 설치본체(113a)의 내측 단부에 가로 방향 양측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113)는 설치본체(113a)와 본체연결부(113b)가 결합되며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13)에는 본체연결부(113b)의 외측으로 설치본체(113a) 사이에서 외향 개구된 오목한 오목부(113-1)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13)의 하단에는 가로 방향 양측이 설치본체(113a)에 연결되고, 후방 단부가 본체연결부(113b)에 연결된 연결부(11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본체(113a)는 연결부(113-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3-7)가 구비되면, 상기 오목부(113-1)는 외향 및 상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하부설치부(113-5)는 가로 방향으로 연필꽂이본체부(111)와 설치부(113)를 차례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13)는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부 일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에 설치부(113)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치부(113)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개구된 부분에 하부 일부가 결합되고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상단을 지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단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하부설치부(113-5)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필꽂이본체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개구된 부분보다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필꽂이본체부(111)와 설치부(113)를 차례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태로 구비하여 종이를 집어 종이를 세울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113)가 집게 형태로 구비되면, 하부설치부(113-5)는 설치부(113)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필꽂이본체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필꽂이(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필꽂이부(11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5)는 설치부(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2개의 연필꽂이본체부(111)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115-1)와 제2 결합부(1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115)를 이루는 제1 결합부(115-1)와 제2 결합부(115-3)는 설치부(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방에 구비된다.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단면 형태가 원형인 경우 설치부(113)가 형성된 위치에서 90° 회전된 위치에 결합부(115)가 구비된다.
연필꽂이본체부(111)의 단면 형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인 경우 일측면에 설치부(113)가 돌출 구비되고, 설치부(113)가 설치된 면과 수직한 측면에 결합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5)를 이루는 제1 결합부(115-1)와 제2 결합부(115-3)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면에 부착된 벨크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115)를 이루는 제1 결합부(115-1)는 일측의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이나 통공으로 형성되고, 제2 결합부(115-3)는 타측의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결합부(115-1)에 삽입되는 돌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연필꽂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연필꽂이는 연필꽂이의 재치만으로 별도의 명함꽂이와 같은 다른 사무용품의 재치 필요성이 없어지게 되어 책상 위의 정리가 깔끔하게 된다.

Claims (8)

  1. 2개의 연필꽂이부(110)가 짝을 이루어 형성되는 연필꽂이로서;
    상기 연필꽂이부(110)는 상향 개구된 오목한 수용부(111a)가 형성된 연필꽂이본체부(111)와,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설치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113)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향 개구된 오목부(1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113)의 상부에는 상단에서 하향 연장된 슬릿인 상부설치부(1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필꽂이부(11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5)는 설치부(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2개의 연필꽂이본체부(111)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115-1)와 제2 결합부(11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100).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113)는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한 설치본체(113a)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13-1)는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외측으로 설치본체(113a)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113)에는 상부설치부(113-3)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한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113-5a)를 가지는 하부설치부(113-5)가 상하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용 연필꽂이부(110).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11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여 이격된 설치본체(113a)와, 상기 설치본체(113a)의 내측 단부에 양측이 설치본체(113a)에 결합된 본체연결부(113b)로 이루어져,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는 일측이 개구되고, 연필꽂이본체부(111)의 개구된 양단이 설치본체(113a)에 각각 결합되어, 연필꽂이본체부(111)에 설치부(113)가 상하 방향 연장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113-1)는 본체연결부(113b)의 외측으로 설치본체(113a) 사이에서 외향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1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설치부(113-3)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한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113-5a)를 가지는 하부설치부(113-5)가 상하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부설치부(113-5)는 적어도 연필꽂이본체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용 연필꽂이부(110).
  8. 상향 개구되어 오목한 수용부(111a)가 형성된 연필꽂이본체부(111)와, 상기 연필꽂이본체부(111)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설치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113)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향 개구된 오목부(113-1)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단에서 하향 연장된 오목한 슬릿인 상부설치부(113-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설치부(113-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단면적이 증가한 만곡된 내면으로 이루어진 확장부(113-5a)를 가지는 하부설치부(11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필꽂이용 연필꽂이부(110).
PCT/KR2020/001657 2019-04-15 2020-02-05 다기능 연필꽂이 WO202021382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31U KR200489412Y1 (ko) 2019-04-15 2019-04-15 다기능 연필꽂이
KR20-2019-0001531 2019-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825A1 true WO2020213825A1 (ko) 2020-10-22

Family

ID=6681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1657 WO2020213825A1 (ko) 2019-04-15 2020-02-05 다기능 연필꽂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412Y1 (ko)
WO (1) WO2020213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12Y1 (ko) * 2019-04-15 2019-06-13 김동환 다기능 연필꽂이
KR20230075221A (ko) 2021-11-22 2023-05-31 위서율 길이 조절형 연필꽂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5987A2 (en) * 1985-03-29 1986-10-01 Tsukasa Yoshida Pen stand
KR930004273Y1 (ko) * 1990-11-26 1993-07-10 박진호 사무용품 정리함
KR200190262Y1 (ko) * 2000-02-17 2000-09-01 황덕형 조립식 필기구 꽂이통
JP2015093486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ナカショウ 連結自在の文房具類収納ユニット
KR20170089196A (ko) * 2016-01-26 2017-08-03 이호영 선 정리 연필 꽂이
KR200489412Y1 (ko) * 2019-04-15 2019-06-13 김동환 다기능 연필꽂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58Y1 (ko) 2003-12-03 2004-03-11 (주)아트박스 연필꽂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5987A2 (en) * 1985-03-29 1986-10-01 Tsukasa Yoshida Pen stand
KR930004273Y1 (ko) * 1990-11-26 1993-07-10 박진호 사무용품 정리함
KR200190262Y1 (ko) * 2000-02-17 2000-09-01 황덕형 조립식 필기구 꽂이통
JP2015093486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ナカショウ 連結自在の文房具類収納ユニット
KR20170089196A (ko) * 2016-01-26 2017-08-03 이호영 선 정리 연필 꽂이
KR200489412Y1 (ko) * 2019-04-15 2019-06-13 김동환 다기능 연필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12Y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3825A1 (ko) 다기능 연필꽂이
US6363198B1 (en) Optical fiber cable distribution shelf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KR0135403Y1 (ko) 광섬유 배전 센터
DE112012005160T5 (de) Halterung für eine persönliche elektronische Vorrichtung
CA2360798A1 (en) Vertical cable management system with ribcage structure
KR920012955A (ko) 수용 능력이 향상된 광섬유 케이블 종지부
WO2020197060A1 (ko) 코인 티슈용 케이스
WO2018151455A1 (ko) 색조화장품 리필 케이스
CA2154006A1 (en) Hemmed edge file holder
US4984924A (en) Loose leaf holder
WO2021241971A1 (ko) 귀걸이 진열대
WO2022085872A1 (ko) 박스홀더
WO2020130516A2 (ko)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책상용 수험용품 홀더
CN113775904A (zh) 一种企业营商环境评价信息采集终端
WO2021100892A1 (ko) 다이어리 케이스
CN215096608U (zh) 档案管理用记录板
CN215685401U (zh) 一种文具盒
CN207924216U (zh) 一种具有多级限位结构的光纤单元盒
CN218367181U (zh) 一种测绘绘图工具组件
CN216316098U (zh) 一种工具模块
CN214156439U (zh) 一种可设置密码的文具收纳装置
CN220076004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绘图装置
CN211431649U (zh) 一种多功能书本分类夹具
CN218558377U (zh) 标志设计用便携式素材记录本
CN220053375U (zh) 一种美术用可移动式美术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17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17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17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