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11390A1 -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11390A1
WO2020111390A1 PCT/KR2019/001968 KR2019001968W WO2020111390A1 WO 2020111390 A1 WO2020111390 A1 WO 2020111390A1 KR 2019001968 W KR2019001968 W KR 2019001968W WO 2020111390 A1 WO2020111390 A1 WO 20201113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transmitting
mode focused
focused ultra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9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주영
진창주
허형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EP19889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88555A4/en
Publication of WO20201113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1390A1/ko
Priority to US17/326,721 priority patent/US202102785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 e.g. microbubbles introduced into the bloodstr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61Features of the scanning mechanism, e.g. for moving the transducer within the housing of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7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using several separate ultrasound transducers or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 A61B8/449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transduc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0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e.g. for generating an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0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13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separate transducer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0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2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a three-dimensional transducer configu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19Details of transmitters
    • G01S7/5202Details of transmitters for puls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23Details of receivers
    • G01S7/52036Details of receivers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 G01S7/52038Details of receivers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involving non-linear properties of the propagation medium or of the reflective target
    • G01S7/52039Details of receivers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involving non-linear properties of the propagation medium or of the reflective target exploiting the non-linear response of a contrast enhancer, e.g. a contrast ag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524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526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6Display arrangements
    • G01S7/62Cathode-ray tube displays
    • G01S7/6281Composite displays, e.g. split-screen, multiple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9Ultrasound therapy using microbub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2Ultrasound therapy using the same transducer for therapy and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61N2007/0065Concave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8Ultrasound therapy with multiple treatment transduc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reception dual-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a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ibonacci patterns that are capable of mounting a maximum number of objects on a transducer body having a limited area.
  • a non-linearity is formed in a transducer element array, and a small number of receiving elements are used to induce cavitation of micro bubbles and to visualize 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reception dual 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a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using the transducer.
  • the techniqu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erebrovascular barrier using focused ultrasound is a new non-invasive brain cancer/brain tumor treatment technique that temporarily and safely and locally opens the cerebrovascular barrier (BBB) to accurately deliver the therapeutic drug to a target location.
  • This technology physically performs cerebral blood vessels by inducing the movement of microbubb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vitation) by intravenously injecting ultrasound contrast agents (microbubbles) commonly used in ultrasound imaging, and then irradiating focused ultrasound to the affected area. Open the barrier.
  • cavitation ultrasound contrast agents
  • I's only clinically used equipment uses ultrasonic transducers composed of hundreds of independent elements, but the cavitation visualization function has not been developed.
  • the cavit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reatment process micro-bubbles cannot be detected with existing MRI and CT imaging equipment, and only ultrasonic transducers that can detect sound waves can measure these signal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ual-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elements used in a therapeutic ultrasound transducer and detecting cavitation signals by micro bubbles.
  • transducers having different resonant frequencies are combined to have a plurality of resonant frequencies and treatment depths, and a plurality of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s from the handpiece to the treatment site
  •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provided to irradi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pattern of a transducer having a high nonlinearity, and to transmit/receive a dual 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capable of mounting a maximum number of elements in a limited area. It is in provid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visualizing a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which can reduce the formation of a virtual image and improve the quality of an ultrasound image.
  • the transmission/reception dual-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has a concave curved shape, and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re formed in a transducer body in a Fibonacci pattern; And a plurality of transducer elements each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waves.
  • the transducer element may be arranged in a coaxial form with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 the transmission uni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ing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rece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ransmitting unit.
  •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eption unit may be formed of piezoelectric elements having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 the transducer body has a concave curved shape and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re formed in a Fibonacci pattern; And a plurality of transducer elements each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waves.
  • the transducer body having a limited area is equipped with a maximum number of transducer elements while having high nonlinearity. Since the transducer pattern can be realized,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reducing the formation of virtual imag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ultrasound images.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ual 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bonacci pattern applied to the transducer body of FIG. 1,
  • (a)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bonacci pattern (Fibonacci pattern) that is a form that can be mounted on a limited number of objects in a limited area
  • (b) is a diagram showing a Fibonacci pattern-based transducer element arrangement.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ibonacci pattern of the mounting hole of the transducer body of FIG. 1, (a)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eight mounting holes, (b)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40 mounting holes, (c)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64 mounting holes.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each element of the transducer of FIG. 1,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equipped with transducer elements (piezoelectric elements) having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and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used independently By doing so, it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the receiver on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educed and that cavitation signal collection of ultrasonic waves and micro bubbles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 transducer elements piezoelectric elements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when a trigger signal is input to the transducer element of FIG. 1,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to receive a signal reflected from a micro bubble and transmitted to a beamforming unit to calculate an image frame.
  •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coustic visualization in a space using the receiver of the transducer element of FIG. 1, and (b)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frame reconstructed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r of the transducer element. to be.
  •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visualizing a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using a trans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ual-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bonacci pattern applied to the transducer body of Figure 1
  • (a) is a maximum in a limited area
  • (b)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of Fibonacci pattern-based transducer elements
  • FIG. 3 is a mounting of the transducer body of FIG. 1
  • As a diagram showing the Fibonacci pattern of the hole (a)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eight mounting holes, (b)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40 mounting holes, and (c)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64 mounting holes.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ual mode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includes a transducer body 10 and a transducer element 20,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transducer body 10 serves to fix a plurality of transducer elements 20 to a structure having a concave curved shape and focus ultrasound through one focus point through the transducer elements, and the maximum number of transducer elements within a limited area ( 20)
  •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0a are formed in a fibonacci pattern in order to increase nonlinearity while mounting.
  • the Fibonacci pattern is a pattern that exists universally in nature and is an optimal pattern that can mount the maximum number of objects in a small area.
  • FIG. 2(a) shows a Fibonacci pattern capable of mounting a maximum number of objects in a limited area.
  • FIG. 2(b)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Fibonacci pattern-based transducer elements, and shows that the transducer elements are arranged in a Fibonacci pattern in a maximum quantity in a space having a limited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mounting hole 10a of the transducer body 10 is formed in a Fibonacci pattern, (a)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eight mounting holes, (b) is showing the arrangement of 40 mounting holes Figure (c)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64 mounting holes.
  • the number of transducer element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0a represents the number of channels.
  • the non-linear pattern arrangement of the transducer elements 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entire transducer by reducing the formation of a virtual image that appears when using a linear arrangement and maximizing the number of elements that can be mounted in a limited area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 Accordingly, since the total weight of the transducer can be reduced, th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the manufactured transducer and the transducer body can be increased.
  • Transducer element 20 is moun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0a) of the transducer body 10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waves.
  • a transducer body 10 of a Fibonacci pattern digitized in 3D modeling a more sophisticated Fibonacci shape is constructed.
  • each dual mode transducer element 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ransducer body 10, so that only the corresponding element can be exchanged in the replacement process due to aging of some elements.
  • transducer elements with certain performance by enabling independent production of transducer elements b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of attaching each transducer element directly to the transducer body, and sound output performance of the transducer elements before assembly of the transducer. Because it can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aximized.
  • the transmitter 20a for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toward the microbubbles and the receiver 20b for receiving signals reflected from the microbubbles are arranged in a coaxial form, respectivel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number of transducer elements 20 that can be mounted in a limited area.
  • the receiver 20b since the receiver 20b receives only the harmonic signal 2f O for the transmission signal f 0 ,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 the transmitting unit 20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ing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the receiving unit 20b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mounted inside the transmitting unit 20a. Since the transmitting unit 20a and the receiving unit 20b are combined to constitute the transducer element 20 and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0a, the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can be mounted in a limited area rather than being respectively mounted in separate mounting holes. The number of transducer elements 20 present can be further increased.
  • the receiver 20b and the transmitter 20a physically use different piezoelectric elements, they can be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ical systems to realize simultaneous oper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duce cavitation of micro bubbles and cavitation monitoring.
  • the transducer element 20, as shown in Figure 4, the transmitter 20a and the receiver 20b is made of a piezoelectric element having a different resonant frequency, the transmitter 20a and the receiver 20b By using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receiver 20b by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simultaneously generate ultrasonic waves (induce cavitation of micro bubbles) and collect and monitor cavitation signals from micro bubbles.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when a trigger signal is input to the transducer element of FIG. 1,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to receive a signal reflected from a micro bubble and transmitted to a beamforming unit to calculate an image frame.
  •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coustic visualization in a space using the receiver of the transducer element of FIG. 1, and (b)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frame reconstructed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r of the transducer element. to be.
  •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visualizing a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using a trans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mitter 20a transmits a sine wave signal having a frequency f O in the form of a tone burst to a micro bubble for a predetermined time (S2).
  • Receiving a signal (frequency nf O , n 2,3,4, etc.) reflected from the micro-bubbles by the receiving unit 20b by a predetermined sample (S3), and transmitting the image frame by transmitting it to a beamforming unit (not shown) Calculate (S4).
  • the calculated image frame is collected by the video stack configuration unit (not shown) (S5), and one video stack is configured (S6).
  • the one video stack can immediately reproduce an image through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or store it in a memory to prepare for post-processing use.
  •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igger signals input from the outside.
  • step S4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ers 20b may be visualized by visualizing the location of a sound sourc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hat is, a small bubble through a time exposure acoustic beamforming technique. Same as 6(a).
  • the received element that is, the cavitation image of the microbubble
  • the reconstructed image frame is divided into two-dimensional regions for each xy, yz, and zx planes, and is displayed in FIG. 6. Same as (b).
  • the cavit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bubbles is impossible to detect using conventional MRI and CT imaging equipment, and can only be used as an ultrasonic transducer capable of detecting sound waves.
  • Conventional equipment did not have the function of visualizing the cavitation of micro-bubbles,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nd monitor the cavitation signal of micro bubbles in three dimensions.
  • the transducer body has a concave curved shape,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re formed in a Fibonacci pattern; And a plurality of transducer elements each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waves.
  • the pattern of the transducer can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ltrasound image and to effectively visualize the location of the micro-bubble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rough the received signal using the transceiver modu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그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된 면적의 트랜스듀서 본체에 최대 수량의 객체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인 피보나치 패턴(Fibonacci pattern)으로 복수의 장착홀을 형성하고 이 장착홀에 복수의 트랜스튜서 엘리먼트를 장착함으로써 비선형성이 높은 트랜스듀서 엘리먼트 배열을 이루게 하여 적은 수량의 수신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미소 기포의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유도하고 가시화 하는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그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본 발명은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된 면적의 트랜스듀서 본체에 최대 수량의 객체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인 피보나치 패턴(Fibonacci pattern)으로 복수의 장착홀을 형성하고 이 장착홀에 복수의 트랜스튜서 엘리먼트를 장착함으로써 비선형성이 높은 트랜스듀서 엘리먼트 배열을 이루게 하여 적은 수량의 수신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미소 기포의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유도하고 이를 가시화 하는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그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관 장벽 개폐 기술은 일시적으로 안전하고 국소적으로 뇌혈관 장벽을(BBB) 열어 치료 약물을 표적 위치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새로운 비 침습적 뇌암/ 뇌종양 치료 기술이다. 이 기술은 초음파 영상 진단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조영제(미소기포)를 정맥 주입한 후 집속 초음파를 환부에 조사하여 미소기포의 움직임(이하, 캐비테이션이라 함)(cavitation)을 유도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뇌혈관 장벽을 열어 준다. 이 과정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신호를 3차원으로 가시화 하고 모니터링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유일하게 임상에서 사용 중인 I사의 장비는 수백 개의 독립된 엘리먼트로 이루어져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사용하고 있지만 캐비테이션 가시화 기능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치료과정 미소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신호는 기존의 MRI, CT 영상장비로는 탐측이 불가능하고 오직 음파 탐지 가능한 초음파 변환자만이 이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치료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사용되는 엘리먼트 수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미소기포에 의한 캐비테이션 신호 탐측이 가능한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 듀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공개 특허 2016-0023276호 공보(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트랜스듀서를 결합하여 복수개의 공진주파수와 시술 깊이를 갖도록 하고, 핸드피스에서 시술 부위로 복수의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구비된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트랜스듀서는 복수개의 공진주파수를 갖는 트랜스듀서를 배치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복수개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효율적으로 다량으로 배치하면서도 비선형성을 높여 초음파 영상의 품질을 높이는 점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선형성이 높은 트랜스듀서의 패턴을 구현하여 제한된 면적에서 최대 수량의 엘리먼트를 탑재할 수 있는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상의 형성을 줄이고 초음파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오목 곡면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장착홀이 피보나치 패턴으로 형성된 트랜스듀서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는 송신부 및 수신부가 동축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부에서 볼 때 링형상을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내주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은, 외부의 트리거신호가 트랜스듀서에 입력되는 단계; 송신부에서 톤 버스트(tone burst) 형태의 주파수 fO을 갖는 사인 웨이브 신호를 설정된 시간만큼 미소 기포에 송신하는 단계;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nfO , n=2,3,4)를 일정한 샘플만큼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되는 신호를 빔포밍 유닛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하는 단계; 및 비디오 스택 구성부에서 연산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하여, 한 개의 비디오 스택 stack)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의하면, 오목 곡면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장착홀이 피보나치 패턴으로 형성된 트랜스듀서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한된 면적의 트랜스듀서 본체에 최대 수량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장착하면서도 비선형성이 높은 트랜스듀서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어 허상의 형성을 줄이고 초음파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에 의하면, 외부의 트리거신호가 트랜스듀서에 입력되는 단계; 송신부에서 톤 버스트(tone burst) 형태의 주파수 fO을 갖는 사인 웨이브 신호를 설정된 시간만큼 미소 기포에 송신하는 단계;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nfO , n=2,3,4)를 일정한 샘플만큼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되는 신호를 빔포밍 유닛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하는 단계; 및 비디오 스택 구성부에서 연산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하여, 한 개의 비디오 스택 stack)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허상의 형성을 줄인 품질이 높은 초음파 영상을 가시화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랜스듀서 본체에 적용된 피보나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한정된 면적에 최대 수량의 객체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인 피보나치 패턴(Fibonacci patter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피보나치 패턴 기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트랜스듀서 본체의 장착홀의 피보나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8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40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64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트랜스듀서의 각 엘리먼트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송신부와 수신부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압전소자)를 장착하고 송신부와 수신부를 독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송신 주파수에 대한 수신부의 영향을 줄이고 초음파 발생과 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신호 수집을 동시에 진행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에 트리거신호가 입력될 경우, 송신부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빔포밍 유닛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1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의 수신부를 이용한 공간에서의 음향 가시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의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재구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랜스듀서 본체에 적용된 피보나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한정된 면적에 최대 수량의 객체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인 피보나치 패턴(Fibonacci patter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피보나치 패턴 기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트랜스듀서 본체의 장착홀의 피보나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8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40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64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 본체(10) 및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를 포함한다.
트랜스듀서 본체(10)는 복수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를 오목 곡면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에 고정하고 이를 통하여 초음파를 한 집속 점에 집속하는 역할을 하며, 제한된 면적 내에서 최대 수량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를 장착하면서도 비선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장착홀(10a)이 피보나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보나치 패턴은 자연계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패턴으로서 적은 면적에 최대 수량의 객체를 탑재할 수 있는 최적의 패턴이다. 도 2의 (a)는 한정된 면적에 최대 수량의 객체를 탑재할 수 있는 피보나치 패턴을 나타낸다. 도 2의 (b)는 피보나치 패턴 기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 배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한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갖는 공간에 최대 수량으로 트랜스듀서 엘리먼트가 피보나치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트랜스듀서 본체(10)의 장착홀(10a)이 피보나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8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40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64개의 장착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착홀(10a)에 장착되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 개수는 채널수를 나타낸다.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의 비선형 패턴 배열로 인하여 선형 배열을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허상의 형성을 감소시키고 기존에 비해 제한된 면적에서 탑재할 수 있는 엘리먼트 개수를 극대화하여 전체 트랜스듀서의 부피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트랜스듀서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된 트랜스듀서 및 트랜스듀서 본체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는 트랜스듀서 본체(10)의 복수의 장착홀(10a)에 각각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3D 모델링에서 수치화된 피보나치 패턴의 트랜스듀서 본체(10)를 제작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피보나치 형태를 구성한다. 또한 각 듀얼 모드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를 트랜스듀서 본체(10)에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부 엘리먼트 노화로 인한 교체과정에 해당 엘리먼트만 교환할 수 있다. 각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직접 트랜스듀서 본체에 부착하는 기존의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제작 가능하게 함으로서 일정한 성능을 가지는 트랜서듀서 엘리먼트 양산에 편리하고 트랜스듀서 조립 전에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의 음향 출력 성능을 평가 할 수 있기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를 미소기포를 향해 송신하는 송신부(20a) 및 상기 미소기포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b)가 각각 동축의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제한된 면적에 탑재할 수 있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의 개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0b)는 송신 신호(f0)에 대한 하모닉 신호(2fO)만을 수신하기에 송/수신 신호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송신부(20a)는 상부에서 볼 때 링형상을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신부(20b)는 송신부(20a)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송신부(20a)와 수신부(20b)가 결합되어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를 구성하여 장착홀(10a)에 장착되므로, 송신부와 수신부가 별도의 장착홀에 각각 장착되는 것보다 제한된 면적에 탑재할 수 있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의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수신부(20b)와 송신부(20a)는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압전소자를 사용하기에 서로 다른 전기적 시스템에 연결되어 동시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유도와 캐비테이션 모니터링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20a)와 수신부(20b)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지고, 송신부(20a)와 수신부(20b)를 독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송신 주파수에 의하여 수신부(20b)가 받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초음파 발생(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유도)과 미소기포로부터의 캐비테이션 신호 수집, 모니터링을 동시에 진행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에 트리거신호가 입력될 경우, 송신부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빔포밍 유닛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1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의 수신부를 이용한 공간에서의 음향 가시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의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재구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외부의 트리거신호가 트랜스듀서에 입력될 경우(S1), 송신부(20a)에서 톤 버스트(tone burst) 형태의 주파수 fO을 갖는 사인 웨이브 신호를 설정된 시간만큼 미소 기포에 송신하고(S2),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주파수 nfO , n=2,3,4 등)를 일정한 샘플만큼 수신부(20b)에서 수신하고(S3), 빔포밍 유닛(미도시됨)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한다(S4).
이어서, 비디오 스택 구성부(미도시됨)에서 상기 연산된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하여(S5), 한 개의 비디오 스택(video stack)을 구성한다(S6).
한편, 상기 한 개의 비디오 스택은 즉시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하여 후처리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입력되는 트리거 신호 개수에 따라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텝(S4)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부(20b)에서 수신된 신호를 타임 익스포져 어쿠스틱(Time Exposure Acoustic) 빔포밍 기법을 통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음원 즉, 미소 기포의 위치를 가시화하면 도 6의 (a)와 같다.
수신 엘리먼트 즉, 복수의 수신부(20b)에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이미지를 가시화하여 재구성된 이미지 프레임을 각 xy, yz, zx 평면들에 대한 2차원 영역들로 나누어 표시하면 도 6의 (b)와 같다.
미소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신호는 기존의 MRI, CT 영상장비로는 탐측이 불가능하고 오직 음파 탐지 가능한 초음파 변환자로만 가능한데, 기존의 장비에는 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가시화 기능이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신호를 3차원으로 가시화 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의하면, 오목 곡면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장착홀이 피보나치 패턴으로 형성된 트랜스듀서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한된 면적의 트랜스듀서 본체에 최대 수량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를 장착하면서 비선형성이 높은 트랜스듀서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어 초음파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를 통해 3차원공간에서 미소기포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에 의하면, 외부의 트리거신호가 트랜스듀서에 입력되는 단계; 송신부에서 톤 버스트(tone burst) 형태의 주파수 fO을 갖는 사인 웨이브 신호를 설정된 시간만큼 미소 기포에 송신하는 단계;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nfO , n=2,3,4 등)를 일정한 샘플만큼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되는 신호를 빔포밍 유닛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하는 단계; 및 비디오 스택 구성부에서 연산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하여, 한 개의 비디오 스택 stack)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허상의 형성을 줄인 품질이 높은 미소기포의 캐비테이션 영상을 가시화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오목 곡면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장착홀(10a)이 피보나치 패턴(Fibonacci pattern)으로 형성된 트랜스듀서 본체(10); 및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를 포함하는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엘리먼트(20)는 송신부(20a) 및 수신부(20b)가 동축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20a)는 상부에서 볼 때 링형상을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신부(20b)는 상기 송신부의 내주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20a)와 상기 수신부(20b)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5. 제 1 항에 기재된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으로서,
    외부의 트리거신호가 트랜스듀서에 입력되는 단계(S1);
    송신부에서 톤 버스트(tone burst) 형태의 주파수 fO을 갖는 사인 웨이브 신호를 설정된 시간만큼 미소 기포에 송신하는 단계(S2);
    상기 미소 기포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부(20b)에서 수신하는 단계(S3);
    상기 반사되는 신호를 빔포밍 유닛에 전송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연산하는 단계(S4); 및
    비디오 스택 구성부에서 연산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하여(S5), 한 개의 비디오 스택(video stack)을 구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미소 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PCT/KR2019/001968 2018-11-28 2019-02-19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WO20201113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89594.8A EP3888555A4 (en) 2018-11-28 2019-02-19 FOCUSED ULTRASOUND DUAL TRANSMIT/RECEIVE MODE TRANSDUCER AND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VISUA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7/326,721 US20210278515A1 (en) 2018-11-28 2021-05-21 Transmitting/receiving dual-mode focused ultrasonic transducer and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visualiza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45 2018-11-28
KR1020180149145A KR102141654B1 (ko) 2018-11-28 2018-11-28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326,721 Continuation US20210278515A1 (en) 2018-11-28 2021-05-21 Transmitting/receiving dual-mode focused ultrasonic transducer and microbubble cavitation image visualization method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390A1 true WO2020111390A1 (ko) 2020-06-04

Family

ID=7085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968 WO2020111390A1 (ko) 2018-11-28 2019-02-19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78515A1 (ko)
EP (1) EP3888555A4 (ko)
KR (1) KR102141654B1 (ko)
WO (1) WO202011139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055A (ja) * 2008-06-02 2009-12-17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超音波探触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超音波診断装置
KR20100047393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메디슨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JP2011524672A (ja) * 2008-05-30 2011-09-01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リアルタイム超音波プローブ
KR20140107852A (ko) * 2013-02-28 2014-09-05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캐비테이션 검출 방법과 그를 위한 초음파 의료 장치
KR20160023276A (ko) 2014-08-22 2016-03-03 원텍 주식회사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8102749A (ja) * 2016-12-27 2018-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探触子ア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取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6206B2 (ja) * 2007-01-25 2012-06-20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超音波治療用物質導入装置及び超音波走査制御プログラム
FR2923612B1 (fr) * 2007-11-12 2011-05-06 Super Sonic Imagine Dispositif d'insonification comprenant un reseau tridimensionnel d'emetteurs disposes en spirale apte a generer un faisceau d'ondes focalisees de grande intensite
EP2352422A4 (en) * 2008-09-10 2015-08-12 Endra Inc DEVICE FOR PHOTOACOUS IMAGING
CN107028623B (zh) * 2012-02-21 2020-09-01 毛伊图像公司 使用多孔超声确定材料刚度
CA2898503C (en) * 2013-03-04 2024-01-02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ultrasound phase distortions induced by aberrating media
JP2017074165A (ja) * 2015-10-14 2017-04-20 学校法人同志社 プローブおよび超音波画像表示装置
CN113729764A (zh) * 2016-01-27 2021-12-03 毛伊图像公司 具有稀疏阵列探测器的超声成像
EP3487410A4 (en) * 2016-08-01 2020-04-08 Cordance Medical Inc. ULTRASONIC OPENING OF THE BLOOD BRAIN CABINET
US20180140200A1 (en) * 2016-11-18 2018-05-24 Canon Kabushiki Kaisha Probe array, acoustic wave uni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es using same
EP3558457B1 (en) * 2016-12-22 2021-11-10 Sunnybrook Research Institute Systems for performing transcranial ultrasound therapeutic and imaging procedur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4672A (ja) * 2008-05-30 2011-09-01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リアルタイム超音波プローブ
JP2009296055A (ja) * 2008-06-02 2009-12-17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超音波探触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超音波診断装置
KR20100047393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메디슨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KR20140107852A (ko) * 2013-02-28 2014-09-05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캐비테이션 검출 방법과 그를 위한 초음파 의료 장치
KR20160023276A (ko) 2014-08-22 2016-03-03 원텍 주식회사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8102749A (ja) * 2016-12-27 2018-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探触子ア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取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8555A1 (en) 2021-10-06
EP3888555A4 (en) 2022-01-19
KR20200063460A (ko) 2020-06-05
US20210278515A1 (en) 2021-09-09
KR102141654B1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1961A1 (ko) 분리 결합형 초음파 프로브 장치
JP2012523920A (ja) ユニバーサルな複数開口の医療用超音波探触子
JPH0197440A (ja) 超音波プロ−ブ装置
WO2014133209A1 (ko) 캐비테이션 검출 방법과 그를 위한 초음파 의료 장치
EP3329854B1 (en) Three-dimensional imaging ultrasonic scanning method
US20140180111A1 (en) Remote controlled telemedical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WO2015115683A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31684A1 (en) System for transcranial ultrasound imaging
WO2012005515A2 (ko) 요면 형태 어레이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KR101232012B1 (ko) 벨트형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형성 방법
WO2017069451A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105017A (ko)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 방법
CN105726059A (zh) 探头及其制造方法
WO2017146364A1 (ko) 초음파 프로브
WO2020111390A1 (ko) 송수신 듀얼 모드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미소기포 캐비테이션 이미지 가시화방법
KR101151844B1 (ko) 전도성 흡음층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2차원 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
CN109199333A (zh) 基于光纤传导式的光声和超声双模态内窥探头装置及方法
CN101820819A (zh) 经由无线接口与患者监控器的超声通信
WO2016006739A1 (ko)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영상장치
WO2010126264A2 (ko) 횡탄성파 생성 방법, 횡탄성파를 이용한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장치
JP6381979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0475156C (zh) 超声成像方法及妇科处置用实时超声监视装置
JP4382382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プローブ
WO2017183766A1 (ko) 회전 선형 프로브
WO2014208802A1 (ko) 다수의 어레이가 병렬구조로 연결된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초음파 영상 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9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89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