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76071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76071A1
WO2020076071A1 PCT/KR2019/013235 KR2019013235W WO2020076071A1 WO 2020076071 A1 WO2020076071 A1 WO 2020076071A1 KR 2019013235 W KR2019013235 W KR 2019013235W WO 2020076071 A1 WO2020076071 A1 WO 20200760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rlc
base station
uni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2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현정
백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41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40180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056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JP7382971B2/ja
Priority to US16/633,119 priority patent/US11190970B2/en
Priority to CN201980039820.2A priority patent/CN112544121A/zh
Priority to EP19870955.2A priority patent/EP3780890B1/en
Priority to EP23209122.3A priority patent/EP4297476A3/en
Publication of WO20200760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76071A1/ko
Priority to US17/537,181 priority patent/US11785498B2/en
Priority to US18/482,630 priority patent/US20240049044A1/en
Priority to JP2023190401A priority patent/JP202318466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1Shortest path evaluation by minimising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Definitions

  • FIG. 6 illustrates a situation of establishing a session for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llustrates a terminal operation in an RRC connected state for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ource identifier may indicate a source identifier of a V2X service to be serviced through a unicast session established between two terminals. When two terminals perform unicast transmission, the same source identifier is obtained.
  • 7A to 7F illustrate a signaling procedure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for setting an RLC transmission mode for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UE Assist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 session identifier secured in establishing a unicast session, transmission type information, and QoS information of a service (data rate, reliability, latency, communication range, priority, etc.).
  • the base station may determine the RLC AM mode or RLC UM mode based on the session identifier, transmission type information, and QoS information of the service.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dentifier, transmission type information, and QoS information of the service require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RLC AM-based terminals, the RLC AM mode may be set.
  • the V2X profile supporting the cluster driving service may instruct to use the RLC AM transmission mode.
  • the V2X profile may indicate a set of RLC AM configuration parameters mapped to the RLC AM mode.
  •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packet transmission and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ARQ feedback transmission may also be indicated in a pre-configured configuration.
  • a transmitting terminal performing sidelink unicast-based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is based on an RLC transmission mode obtained through a V2X service broadcast message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or obtained through pre-configured RL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link unicast resource informa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shared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RLC transmission mode may be delivered to the receiving terminal.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RRC message including preset Advanced V2X service resources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preset information usage indicator, preset resource information).
  • NR base station base station installed on NR service frequency, base station installed on NR c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유니캐스트 세션 설정을 필요로 하는 V2X 서비스를 판단하여 다른 단말과의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정하는 중에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유니캐스트 세션 및 V2X 서비스에 매핑되는 RLC 전송 모드별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방식의 패킷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 다양한 방식의 무선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방식들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V2X(vehicle to everything) 단말을 위한 직접 통신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나아가, 보다 통신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신뢰도를 높이며 보다 효율적으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 중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고신뢰성과 저지연 요구치를 달성하는 차량 통신 서비스 및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 설정이 필요한 V2X 서비스를 판단하여 다른 단말과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정하는 중에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RLC 전송 모드 설정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이 설정된 V2X 서비스 프로파일에 매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RLC 전송 모드별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상기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와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에 적용할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상기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의 V2X 서비스 프로파일에 매핑하여 미리 설정된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방식의 패킷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통신 내 신뢰도 및 저지연 요구치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7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세션을 해제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RC 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RC 미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RAT정보를 교환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흐름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RAT정보를 기반으로 V2X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RRC 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RAT정보를 기반으로 V2X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RRC 미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vehicle to everything) 단말들 간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을 위한 RLC 전송 모드 선택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기반으로 유니캐스트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함으로써 V2X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QoS 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두 단말들만을 도시하나, 단말 120 및 단말 1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단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들 120, 13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5G노드비(gNodeB, g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서브 6GHz 대역 및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및 단말들 120, 13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 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단말 1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 또는 단말 13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는 단말 120이 다른 단말과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정한 경우, 단말 12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판단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의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단말 12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V2X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4c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 210 또는 통신부 310은 부호화 및 변조부 402, 디지털 빔포밍부 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를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a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성상도 맵핑(con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한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서로 다른 안테나 집합들 즉,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송신된다. 첫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 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되고, 증폭기들 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4c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동일한 안테나 집합, 즉,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된다. 첫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 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되고, 증폭기들 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다. 그리고,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되도록, 증폭된 신호들은 안테나 요소를 기준으로 합산부들 416-1-1 내지 416-1-M에 의해 합산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4b는 송신 경로 별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되는 예를, 도 4c 송신 경로들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일부 송신 경로들은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고, 나머지 송신 경로들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경로들 및 안테나 어레이들 간 스위치 가능한(switchable)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V2X서비스는 기본 안전(basic safety) 서비스 와 advanced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안전 서비스는 차량 알림 (CAM 또는 BSM) 서비스부터 좌회전 알림 서비스, 앞차 추돌 경고 서비스, 이머전시 차량 접근 알림 서비스, 전방 장애물 경고 서비스, 교차로 신호 정보 서비스 등의 세부 서비스가 해당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V2X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기존 4G기반의 V2X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지원할 수 있다. Advanced 서비스는 기본 안전 서비스보다 QoS요구사항도 강화되었을 뿐 아니라 특정차량 그룹 내에서 V2X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두 대의 차량 간 V2X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V2X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한다. Advanced 서비스는 군집주행 서비스, 자율주행서비스, 원격주행서비스, Extended 센서기반 V2X서비스 등의 세부 서비스가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Advanced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유니캐스트 통신 방식을 차량 간 직접 통신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본 안전 서비스와 Advanced 서비스를 차별화할 수 있는 차량 간 직접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는 4가지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5-1)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 120과 단말 130는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110은 단말 120과 단말 130이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sidelink) 자원 정보 및 RLC (radio link control) 레이어의 전송모드 (RLC AM 모드 내지 RLC UM 모드)의 설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5-2)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 120과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은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110은 단말 120과 단말 130이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5-3) 기지국 110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은 단말 120과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120과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미리 설정된 사이드 링크 자원을 획득하고,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를 결정하고 RLC 레이어의 전송 모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5-4)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 120과 기지국 15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 160은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110과 기지국 150은 단말 120과 단말 160이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관리 및 교환하고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5-1), (5-2), (5-3), (5-4)의 상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운용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이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 미리 설정된 정보로부터 획득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송신용도의 정보,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 공유해야 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이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 미리 설정된 정보로부터 획득, 단말이 임의로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수신용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은 송신 단말과 수신단말에게 적용될 수 있다.
(5-1)의 상세 동작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송신단말인 경우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의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상기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의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5-2)의 상세 동작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2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송신단말인 경우 기지국 11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기지국 11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송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5-3)의 상세 동작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송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5-4)의 상세 동작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2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60은 기지국 15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송신단말인 경우 기지국 11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6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기지국 15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6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6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6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송신단말인 경우 기지국 15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드 링크 자원 정보 및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기지국 11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직접 통신의 수신단말인 경우 유니캐스트 방식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RLC 레이어의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1) 단말 120은 V2X 서비스 등록 절차를 V2X 서버 또는 V2X 관제 센터와 수행할 수 있다. (2) 단말 130은 V2X 서비스 등록 절차를 V2X 서버 또는 V2X 관제 센터와 수행할 수 있다. (3) 단말 120과 단말 130은 동일한 V2X 서비스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공 받기 위한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의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 절차는 (3-1)과 같이 단말 120이 Unicast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3-2)과 같이 단말 130이 Unicast sess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Unicast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는 2-way 트랜잭션을 포함하거나 단말 120이 Unicast session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써 Unicast session confirm 메시지를 전송하는 3-way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단말 120이 Unicast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단말 120과 단말 130 중 어느 단말이든지 Unicast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군집주행 서비스의 경우에서는 군집주행의 리더 차량의 단말이 Unicast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종속 차량의 단말이 Unicast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여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군집주행의 종속 차량의 단말이 Unicast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리더 차량의 단말이 Unicast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여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립할 수 있다. 이외에 V2X 서비스용도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 절차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120과 단말 130은 (3)의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 절차 중 RLC 전송 모드 설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 120과 단말 130은 (3)의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 절차 후에 RLC 전송 모드 설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3)의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을 통해서 단말 120과 단말 130이 획득하는 세션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세션 식별자 (session ID), 전송 타입 (unicast, broadcast, groupcast 정보), 목적지 식별자 (DST ID), 소스 식별자 (SRC ID)
- 세션 식별자는 두 단말 간 설립된 유니캐스트 세션 식별자를 지시할 수 있다. 두 단말이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세션 식별자를 획득한다.
- 전송 타입은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 목적지 식별자는 두 단말 간 설립된 유니캐스트 세션을 통해 서비스할 V2X 서비스의 목적지 식별자를 지시할 수 있다. 두 단말이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를 획득한다.
- 소스 식별자는 두 단말 간 설립된 유니캐스트 세션을 통해 서비스할 V2X 서비스의 소스 식별자를 지시할 수 있다. 두 단말이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소스 식별자를 획득한다.
- 세션 식별자 내지 목적지 식별자 내지 소스 식별자가 전송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송타입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 기지국 식별자: 두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신의 서빙 기지국의 식별자 정보를 상대방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식별자는 기지국 ID, 셀 ID,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BWP (Bandwidth Part)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TX profile: 두 단말이 유니캐스트 세션에 적용할 사이드링크 전송의 프로파일 (TX profile은 사이드링크 프로토콜 버전 정보이거나 사이드링크 프로토콜의 RAT configuration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프로토콜 버전 정보는 rel-14, rel-15, rel-16,… 또는 LTE-V2X, LTE-eV2X, NR-V2X,… 또는 V2X Phase 1, V2X phase 2, V2X phase 3,…, 또는 Rel-14 compatible, Rel-14 non-compatible, Rel-15 non-compatible, Rel-16 compatible,…등 3GPP 사이드링크 버전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사이드링크 프로토콜의 RAT configuration 인덱스는 사이드링크의 radio 프로파일 (MCS, TX parameter, RX parameter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절차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고하면, 상기 도 5의 4가지 시나리오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은 단말이 RRC-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게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1) 단말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QoS 정보, 단말의 preferred RLC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 기지국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전송에 적용할 RLC 전송 모드 및 RLC configur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3) 기지국은 상기 (2)에서 결정한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의 RLC 전송 모드 및 RLC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2)에서 기지국이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에 필요한 RLC 전송모드 및 configuration을 판단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RLC AM 모드 판단 조건은 다음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세션 식별자 내지 전송 타입 정보가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시한다.
(2) 서비스 QoS 정보 (data rate, reliability, latency, communication range, priority)가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시한다.
(3) 서비스 QoS 정보 (data rate, reliability, latency, communication range, priority) 가 특정 전송율 내지 특정 신뢰도 내지 특정 지연시간 내지 특정 전송 범위 내지 특정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RLC AM 모드를 운영해야 하는 특정 전송율 내지 특정 신뢰도 내지 특정 지연시간 내지 특정 전송범위 내지 특정 우선순위에 대한 기준값을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RLC AM 모드를 운영해야 하는 특정 전송율 내지 특정 신뢰도 내지 특정 지연시간 내지 특정 전송범위 내지 특정 우선순위에 대한 기준값이 pre-configured될 수 있다.)
(4) 서비스 식별자 내지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내지 목적지 식별자 내지 소스 식별자가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시한다.
(5) 서비스 식별자 내지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내지 목적지 식별자 내지 소스 식별자가 RLC AM 모드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RLC AM 모드를 운영해야 하는 특정 서비스 내지 특정 애플리케이션 내지 특정 목적지 내지 특정 소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RLC AM 모드를 운영해야 하는 특정 서비스 내지 특정 애플리케이션 내지 특정 목적지 내지 특정 소스에 대한 정보는 Pre-configured 될 수 있다.)
(6) 단말의 preferred RLC mode 정보가 RLC AM 모드를 지시한다.
2. 기지국이 단말의 RLC 전송 모드를 판단하는 실시예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UE Assistance Information는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에서 확보되는 세션 정보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로부터 RLC AM 모드 또는 RLC UM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가 RLC AM 기반의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요구한다고 판단되면 RLC AM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UE Assistance Information은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에서 확보되는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및 서비스의 QoS 정보 (data rate, reliability, latency, communication range, priorit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및 서비스의 QoS 정보를 기반으로 RLC AM 모드 또는 RLC UM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및 서비스의 QoS 정보가 RLC AM 기반의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요구한다고 판단되면 RLC AM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UE Assistance Information은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에서 확보되는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서비스의 QoS 정보 (data rate, reliability, latency, communication range, priority 등), 서비스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서비스의 QoS 정보, 서비스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RLC AM 모드 또는 RLC UM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식별자가 RLC AM 기반의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요구한다고 판단되면 RLC AM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목적지 식별자가 RLC AM 기반의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요구한다고 판단되면 RLC AM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UE Assistance Information은 유니캐스트 세션 설립에서 확보되는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서비스의 QoS 정보 (data rate, reliability, latency, communication range, priority 등), 서비스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 단말의 preferred RLC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RLC AM 모드를 설정하거나 RLC UM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b)은 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를 획득한 단말 120과 단말 13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RLC 전송 모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1) 단말12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식별자는 기지국 ID, 셀 ID,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BWP (bandwidth pa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2) 단말 13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단말 120과 단말 130으로부터 세션 정보 내지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기지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과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정보 설정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기지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과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정보 설정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세션정보 즉, 동일한 세션 식별자,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 동일한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을 통해 두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120과 단말 130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의 RLC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RLC 전송 모드는 RLC AM모드 (acknowledge mode) 또는 RLC UM 모드 (unacknowledged mod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선택된 RLC 전송 모드별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RLC AM 모드를 선택한 경우 RLC 설정 정보인 RLC config는 TX 및 RX의 Sidelink RLC configuration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용도의 RLC 설정 정보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KR2019013235-appb-I000001
RLC UM 모드를 선택한 경우 RLC 설정 정보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KR2019013235-appb-I000002
다른 실시예로서 RLC UM 모드를 선택한 경우 기지국은 별도의 RLC 설정 정보를 설정하지 않은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 120과 단말 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이드링크 RLC UM 모드 설정 정보는 단말 120과 단말 130에게 이미 설정되어 있도록 시스템이 설계된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RLC UM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RLC UM의 패킷 송수신용 자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포함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 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4) 기지국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포함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 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120과 단말 130에게 전송하는 RRC configuration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과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드 1은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함을 지시한다. 모드 2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함을 지시한다. 모드 1의 경우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은 SPS (semi persistence scheduling) 방식 내지 configured grant type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모드 1의 경우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은 SPS 방식 내지 configured grant type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 ARQ 피드백 전송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이때 ARQ 피드백 자원의 SPS 주기는 ARQ feedback Poll의 주기를 고려하여 동일한 값 내지 유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 ARQ 피드백 전송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이때 ARQ 피드백 자원의 SPS 주기는 ARQ feedback Poll의 주기를 고려하여 동일한 값 내지 유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 수신단에서 ARQ 피드백을 알아서 전송해야 하는 경우는 SL BSR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을 수행하도록 지시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 ARQ 피드백 전송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이때 ARQ 피드백 자원의 SPS 주기는 ARQ feedback Poll의 주기를 고려하여 동일한 값 내지 유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 수신단에서 ARQ 피드백을 알아서 전송해야 하는 경우는 모드 2 방식으로 할당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은 모드 1, SPS 방식으로 할당
- ARQ 피드백 전송 자원, 수신단에서 ARQ 피드백을 알아서 전송해야 하는 경우도 포함하여, 모드 2 방식으로 할당 (센싱 기반으로 획득)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은 모드 2 방식으로 할당
- ARQ 피드백 전송 자원, 수신단에서 ARQ 피드백을 알아서 전송해야 하는 경우도 포함하여, 모드 2 방식으로 할당
사이드링크 RLC AM 모드의 전송 자원 정보의 다른 실시예로서 모드 1 방식을 사용하되 SL BSR을 기반으로 하는 동적 자원 할당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7c)는 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를 획득한 단말 12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고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RLC 전송 모드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7-3)는 단말 12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되고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말 120과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유니캐스트 세션 설정 절차 중에 교환할 수 있다.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 식별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 식별자 정보는 기지국 ID, 셀 ID,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BW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7-3)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120은 단말 13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단말 120은 기지국으로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은 단말 130과의 유니캐스트 세션을 위한 RLC 설정 정보를 요청한다는 지시 정보를 UE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동일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RLC 설정 정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타이머를 운용할 수 있다. 단말 120으로부터 유니캐스트 세션을 위한 RLC 설정 정보를 요청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단말 130으로부터 동일한 유니캐스트 세션을 위한 RLC 설정 정보를 요청하는 message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말 130으로부터 동일한 유니캐스트 세션을 위한 RLC 설정 정보를 요청하는 message는 단말 130으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 이거나 단말 130의 서빙 기지국인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message에 해당될 수 있다.
(1) 단말12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out of coverage 지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식별자는 기지국 ID, 셀 ID,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BWP (bandwidth pa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Out of coverage 지시자는 단말 120과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정한 단말 13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못함을 알려주는 정보이다. (2) 기지국은 단말 120과 단말 130의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내지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기지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과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정보 설정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기지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과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정보 설정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Out of coverage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은 단말과의 유니캐스트 세션이 설정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단말 120과 단말 130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의 RLC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RLC 전송 모드는 RLC AM모드 (acknowledge mode) 또는 RLC UM 모드 (unacknowledged mod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선택된 RLC 전송 모드별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RLC AM 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 또는 RLC UM 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는 상기 (7-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기지국은 상기 RLC 전송 모드별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단말 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과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3) 단말 120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획득한 정보를 단말 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4) 단말 130은 단말 120으로부터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3)과 (4)에서 두 단말 간 교환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는 상기 (2)의 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이며 RLC 전송 모드가 RLC AM 이거나 RLC 전송 모드가 RLC UM인 경우에 적용할 설정 정보이다. 상기 (3)과 (4)에서 교환하는 정보는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과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d)는 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를 획득한 단말 120과 단말 13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d)는 단말 120과 단말 13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말 120과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유니캐스트 세션 설정 절차 중에 교환할 수 있다. 단말 120과 단말 13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단말 중 한 단말이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세션 절차를 시작한 단말이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군집 주행의 리더 차량의 단말이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1) 단말120은 out of coverage에서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RLC configuration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단말 120은 유니캐스트 세션 설정 절차 중에 획득한 V2X 서비스 정보 내지 세션 정보에 따라 RLC 전송 모드 (RLC AM 또는 RLC UM)을 결정하고 각 전송모드에 따른 RLC configuration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e-configured 정보에 따르면 두 단말이 수행할 V2X 서비스가 RLC AM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RLC AM 전송 모드 및 RLC AM configuration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2) 단말 120은 (1)에서 결정한 RLC configuration 정보를 단말 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3) 단말 130은 단말 120으로부터 수신된 RLC configuration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2)과 (3)에서 교환하는 정보는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과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두 단말이 유니캐스트 세션의 RLC 전송 모드에 적용할 설정 정보가 pre-configuration에서 확보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2)와 (3)에서 두 단말간 교환하는 정보는 간략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LC 전송 모드별 상세한 RLC configuration 파라미터 세트는 pre-configured configuration에서 획득하고 (2)와 (3)의 메시지는 두 단말이 사용할 해당 파라미터 세트를 지시하는 configuration index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과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정보도 pre-configured configuration 에서 획득하고 어떤 configuration을 사용할 것인지의 index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두 단말이 독립적으로 RLC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두 단말은 pre-configured RLC configuration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두 단말의 유니캐스트 세션 설정 절차 중에 획득한 V2X 서비스 정보 내지 세션 정보에 따라 어떤 RLC configuration을 설정할 지 내지 V2X 서비스 정보 및 세션 정보에 따라 RLC 전송 모드 (RLC AM 또는 RLC UM)을 선택할지에 대한 매핑 정보가 pre-configured RLC configuration에 정의되어 있고, 선택한 RLC 전송 모드에 대한 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가 pre-configured RLC configuration를 통해 획득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군집 주행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단말의 Application layer에서 결정되면 군집 주행 서비스를 지원하는 V2X profile이 RLC AM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2X profile은 RLC AM 모드에 매핑되는 RLC AM configuration 파라미터 세트를 지시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과 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정보도 pre-configured configuration 에서 지시될 수 있다.
(도 7e)는 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를 획득한 단말 120이 기지국 110 커버리지 내에 있고 단말 130은 기지국 150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RLC 전송 모드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7e)는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있는 두 단말 간 V2X 서비스를 위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정하고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에 사용할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단말이 서빙 기지국으로 RLC 전송모드 설정을 요청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상대방 단말의 기지국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기지국 간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모드 설정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1) 단말12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식별자는 기지국 ID, 셀 ID,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BWP (bandwidth pa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2) 단말 13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단말 120과 단말 130으로부터 세션 정보 내지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110과 기지국150은 상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자 정보로부터 상대방 기지국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 110과 기지국 150은 상기 단말 120과 단말 130 간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정보 설정이 필요함을 판단하고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과 기지국150은 세션정보 즉, 동일한 세션 식별자,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 동일한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을 통해 두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10과 기지국150은 상기 단말 120과 단말 130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의 RLC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과 기지국150은 선택된 RLC 전송 모드별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10과 기지국150은 RLC 전송모드에 따른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정보 (패킷 전송자원, ARQ feedback 전송 자원 등)도 교환할 수 있다. (4) 기지국110은 상기(3)에서 결정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에 사용할 RLC전송모드 및 RLC설정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메시지를 단말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5) 기지국 150은 상기(3)에서 결정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에 사용할 RLC전송모드 및 RLC설정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메시지를 단말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4)와 (5)의 RRC configur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f)는 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를 획득한 단말 120이 기지국 110 커버리지 내에 있고 단말 130은 기지국 150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유니캐스트 세션에 대한 RLC 전송 모드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f)는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있는 두 단말 간 V2X 서비스를 위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을 설정하고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에 사용할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각 단말이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 RLC 전송모드 설정을 요청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고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모드 설정 정보를 획득한 뒤에 각 단말이 획득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모드 설정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1) 단말12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식별자는 기지국 ID, 셀 ID, 셀의 주파수 대역 정보, BWP (bandwidth pa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2) 단말 130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소스 식별자, 전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 RLC 전송 모드 도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기지국110은 단말 120의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 모드를 결정, RLC 전송 모드에 따른 설정 정보 및 RLC 전송모드에 따른 전송 자원 정보 (패킷 전송자원, ARQ feedback 전송 자원 등)을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4) 기지국150은 단말 130의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 모드를 결정, RLC 전송 모드에 따른 설정 정보 및 RLC 전송모드에 따른 전송 자원 정보 (패킷 전송자원, ARQ feedback 전송 자원 등)을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5) 단말120과 단말 130은 각각 (3)과 (4)에서 수신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에 사용할 RLC전송모드 및 RLC설정정보 및 전송자원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5)의 동작은 단말120과 단말 130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에 사용할 RLC 전송모드에 따라 동일한 파라미터 세트를 적용해야 하거나 RLC 전송모드 동작의 synch (예를 들어 ARQ feedback poll 주기 등)를 맞추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세트를 설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LC 설정 정보를 획득하려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목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임의의 RRC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송신단말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수신단말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송신단말인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설정 정보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송신용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20 내지 단말 130이 수신단말인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설정정보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수신용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송신단말은 수신단말에게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 중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정보,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 중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전송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송신단말은 수신단말에게 미리 할당된 설정 정보 중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미리 할당된 설정 정보 중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ARQ 피드백 전송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단말 임의의 설정 정보 중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ARQ 피드백 전송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세션을 해제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유니캐스트 세션을 통한 V2X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 단말 120과 단말 130은 유니캐스트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 120과 단말 130는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두 단말은 (1) 유니캐스트 세션 해제 절차 중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두 단말은 (1)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를 진행한 후에 유니캐스트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두 단말 간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RLC 전송 모드가 RLC AM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 120과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 RLC AM 설정 해제 도움 메시지를 전송하고 두 단말 간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RLC AM 설정 해제 도움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라디오 베어러 식별자, 세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RLC 전송 모드가 RLC AM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 120과 단말 130은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두 단말 간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RLC 전송 모드가 RLC AM으로 설정된 경우 두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은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 RLC AM 설정 해제 도움 메시지를 전송하고 두 단말 간 RLC 전송 모드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RLC 전송 모드가 RLC AM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RLC UM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도 RLC UM 설정 정보를 해제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RLC UM 설정 해제 도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 유니캐스트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한 후에 단말 120은 V2X 서버 내지 V2X 센터를 통해 V2X 서비스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3) 유니캐스트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한 후에 단말 130은 V2X 서버 내지 V2X 센터를 통해 V2X 서비스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유니캐스트 세션 해제를 알리는 RLC 전송모드 해제 도움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상세 방안은 다음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LC 전송모드 해제 도움 설정 정보는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 중에 처리될 수 있다. RLC 전송모드 해제 도움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처리될 수 있다. RLC 전송모드 해제 도움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이 RRC_IDLE 또는 RRC_INACTIVE로 천이하는 과정에서 처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9를 참고하면,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단말의 V2X 서비스 세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2X 서비스 세션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타입 정보, 서비스의 QoS 정보, 서비스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 단말의 preferred RLC 전송모드, 기지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 기지국은 상기 V2X 서비스 세션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 모드 (RLC AM 모드 또는 RLC UM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RLC 전송모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기지국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3)상기 (2)의 판단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모드를 RLC AM으로 판단하였으면 기지국은 (4)로 진행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AM 모드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configuration 메시지는 RLC AM의 패킷 전송자원 및 ARQ 피드백전송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의 판단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전송모드를 RLC UM으로 판단하였으면 기지국은 (5)로 진행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RLC UM 모드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configuration 메시지는 RLC UM의 패킷 전송자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수신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 송신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수신단말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수신용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전송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송신단말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전송자원 정보, 송신용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간 공유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RC 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1)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연결상태 (RRC-connected state)에서 통신을 수행하던 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에 필요한 RLC 전송모드 및 설정 정보를 기지국에게 요청하기 위해 (2)에서 V2X 서비스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에서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V2X 서비스 세션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션 식별자, 전송 타입 정보, 서비스의 QoS 정보, 서비스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 단말의 preferred RLC전송모드, 기지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면 상기 RRC configuration 메시지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에 사용할 RLC 전송 모드 및 RLC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configuration 메시지는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신 자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4) 단말은 상기 (3)에서 수신된 RLC전송모드 정보가 RLC AM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4)의 판단에 의해 RLC AM모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은 (5)로 진행하여 RLC AM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4)의 판단에 의해 RLC AM모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6)로 진행하여 RLC UM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송신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 수신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신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용 설정 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할 필요가 있는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RRC 미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11을 참고하면, (1)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미연결상태 (RRC-idle state 또는 RRC-inactive state)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중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위한 RLC 전송모드 및 설정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2)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서비스 방송 메시지 (SIB)를 수신하면 (3) 상기 V2X 서비스방송메시지에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용도의 RLC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3)에서 V2X서비스 방송메시지에 포함되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용도의 RLC 설정 정보는 일 실시예로 V2X 서비스별 RLC 전송모드 매핑 정보, RLC 전송모드 AM의 설정정보, RLC 전송모드 UM의 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V2X서비스별 RLC전송모드 매핑정보는 전송타입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에 매핑되는 RLC 전송모드 (RLC AM 또는 RLC UM)지시자에 해당될 수 있다. V2X서비스별 RLC전송모드 매핑정보는 V2X서비스 프로파일에 매핑되는 RLC전송모드 지시자에 해당될 수 있다. (3)의 판단에 의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위한 RLC설정 정보를 상기 V2X서비스 방송메시지를 통해 획득하면 상기 단말은 (5)에서 상기 수신된 RLC 전송 모드 및 RLC설정정보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의 판단에 의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을 위한 RLC설정 정보를 상기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를 통해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은 (4)에서 pre-configured RLC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pre-configured RLC 설정 정보는 전송타입(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에 매핑되는 RLC 전송모드, V2X 서비스 식별자에 매핑되는 RLC 전송모드, V2X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매핑되는 RLC전송모드, V2X목적지 식별자에 매핑되는 RLC전송모드, V2X소스식별자에 매핑되는 RLC전송모드, RLC AM의 설정 정보, RLC UM의 설정 정보, RLC AM의 패킷 송수신 자원정보, RLC AM의 ARQ 피드백 송수신 자원정보, RLC UM의 패킷 송수신 자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신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를 통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용 설정 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할 필요가 있는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를 통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신단말은 pre-configured RLC 설정 정보를 통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용 설정 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할 필요가 있는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단말은 pre-configured RLC 설정 정보를 통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단말은 단말 임의로 설정된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기반의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신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를 통해 획득된 혹은 pre-configured RLC 설정정보를 통해 획득된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할 필요가 있는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기반의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신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를 통해 획득된 혹은 pre-configured RLC 설정정보를 통해 획득된 RLC 전송모드에 따른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할 필요가 있는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설정 정보, ARQ 피드백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서비스 방송 메시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타입(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별 RLC 전송모드 지시자, V2X서비스 프로파일에 매핑되는 RLC 전송모드 지시자, RLC AM 설정 정보, RLC UM설정정보, RLC AM설정시 패킷 송수신 자원 정보, RLC AM 설정시 ARQ 피드백 송수신 자원 정보, RLC UM설정시 패킷 송수신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T type에 따라 지원하는 V2X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안전서비스는 4G RAT (4G Uu 인터페이스 및 4G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로 지원하고 advanced 서비스는 5G RAT (5G Uu 인터페이스 및 5G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로 지원할 수 있다. 기본안전서비스 식별자는 4G RAT 프로파일에 매핑되고 advanced 서비스 식별자는 5G RAT 프로파일에 매핑될 수 있다.
기지국은 어떤 서비스에 대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지원하는지 알려주기 위해 서비스방송메시지(SIB)에 RAT type, 기본안전서비스 지원지시자, Advanced서비스 지원지시자, LTE지시자, NR (new radio)지시자, V2X RAT 버전 정보, 지원하는 RAT 비트맵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4G V2X SIB(기본안전서비스용 정보) 내지 5G V2X SIB(advanced 서비스용 정보)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서비스방송메시지 (SIB)을 통해 RAT type, 기본안전서비스 지원지시자, Advanced서비스 지원지시자를 획득하여 해당 기지국에서 어떤 V2X서비스를 제공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4G V2X SIB (기본안전서비스용 정보)내지 5G V2X SIB(advanced 서비스용 정보)을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에서 어떤 V2X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은 기지국의 서비스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안전서비스 영역인지 Advanced서비스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은 단말의 경우, Pre-configured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별 사이드링크 RAT을 결정할 수 있다. Pre-configured 정보는 서비스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기본 안전서비스/Advanced 서비스 매핑 정보, 기본안전서비스/Advanced서비스에 대응되는 RAT 타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단말의 application layer에서 발생하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 정보 및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application layer에서 발생한 서비스 타입 (기본안전서비스, Advanced서비스)과 단말이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V2X RAT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은 발생한 서비스의 패킷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자원정보 및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요청할 것인지 pre-configured 정보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두 가지 V2X RAT타입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필요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패킷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자원정보 및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4G RAT 내지 4G V2X는 LTE-V2X 기술에 기반할 수 있고, 5G RAT 내지 5G V2X는 NR-V2X 기술에 기반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RAT정보를 교환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도 12의 (12-1)를 참고하면, (1)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SIB)을 전송할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V2X SIB 메시지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기본 안전V2X서비스 지원 여부, Advanced 서비스 지원 여부, RAT 타입 정보, LTE지시자, NR지시자, 각 RAT의 버전 정보, 지원하는 RAT 비트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본 V2X서비스 지원 여부는 LTE-V2X SIB을 전송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Advanced V2X서비스 지원 여부는 NR-V2X SIB을 전송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2) 기본V2X안전서비스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상기 V2X SIB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에서 기본V2X안전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기본V2X안전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기본V2X안전서비스에 대한 정보 (목적지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QoS 정보 등)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 기지국은 상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기본V2X안전서비스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설정 정보(패킷 송수신 자원 정보, 스케줄링 정보, LTE V2X mode 3 설정 및 자원 정보, LTE V2X mode 4 설정 및 자원 정보 등)를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12의 (12-2)를 참고하면, (1)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V2X 서비스 방송메시지(SIB)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V2X SIB 메시지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기본 V2X안전서비스 지원 여부, Advanced 서비스 지원 여부, RAT 타입 정보, LTE지시자, NR지시자, 각 RAT의 버전 정보, 지원하는 RAT 비트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본 V2X서비스 지원 여부는 LTE-V2X SIB을 전송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Advanced V2X서비스 지원 여부는 NR-V2X SIB을 전송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2) Advanced V2X서비스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상기 V2X SIB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에서 Advanced V2X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Advanced V2X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Advanced V2X서비스에 대한 정보 (목적지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QoS 정보 등)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 기지국은 상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Advanced 서비스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설정 정보(패킷 송수신 자원 정보, 스케줄링 정보, NR V2X mode 1 자원 및 설정 정보, NR V2X mode 2 자원 및 설정 정보 등)를 포함하는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V2X 서비스 SIB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V2X패킷 송수신에 필요한 V2X RAT설정 정보를 기지국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단말은 임의로 기지국에게 V2X서비스 타입 정보(기본V2X서비스 ID, Advanced V2X서비스 ID, 기본V2X서비스 지시자, Advanced V2X서비스 지시자, QoS 지시자)를 포함하는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은 기지국의 서비스 주파수, 기지국이 설치된 셀 (LTE 셀인지 NR 셀인지에 따라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에게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 송신여부 및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할 V2X서비스 타입정보 (기본V2X서비스 ID, Advanced V2X서비스 ID, 기본V2X서비스 지시자, Advanced V2X서비스 지시자, QoS 지시자)를 결정할 수 있다.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겠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서빙 기지국이 단말이 원하는 V2X서비스 타입을 지원하지 않는 RAT의 기지국이라고 판단되면 단말은 V2X서비스 타입 정보에 따라서 기본 V2X 서비스용 사전 설정된 자원 정보 내지 Advanced V2X 서비스용 사전 설정된 자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V2X 서비스 SIB을 수신하지만 상기 V2X 서비스 SIB에 단말은 V2X패킷 송수신에 필요한 V2X RAT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V2X 패킷 송수신에 필요한 V2X RAT설정 정보를 기지국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의 V2X RAT 설정 정보 요청 동작은 도 12에서 설명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RAT정보를 기반으로 V2X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RRC 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RRC 연결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단말과 기지국 간 RRC dedicated message를 교환하여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V2X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1) 단말의 application layer에서 V2X 서비스가 시작되면 (2) 단말은 기본 V2X서비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2)의 결과, 기본 V2X 서비스라고 판단하면 단말은 (3)에서 기본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3)에서 기본 V2X 서비스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i. LTE 기지국 (LTE 서비스 주파수에 설치된 기지국, LTE셀에 설치된 기지국)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ii. 기지국이 기본 V2X 서비스 지원한다는 정보 (기본 V2X 서비스 지시자, 기본 V2X 서비스 주파수 정보, 기본 V2X 서비스 자원 풀, 기본 V2X 서비스 SIB, LTE V2X SIB 등) 를 방송하는 경우
(3)의 결과 기본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으면 (4) 단말은 기지국에게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본 V2X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기본V2X서비스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Qo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5)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본V2X 서비스를 위한 자원 및 설정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5)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본 V2X 서비스를 위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수신하였으면 (6) 단말은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V2X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3)의 판단에 의해 기본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없으면 (7) 단말은 pre-configured 설정 정보로부터 기본 V2X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5)의 판단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기본 V2X 서비스를 위한 자원 및 설정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은 (7)로 진행할 수 있다. (5)에서 기지국이 기본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판단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기지국이 사전 설정된 기본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 (사전설정 정보 사용 지시자, 사전설정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한다.
ii. (4) 이후 일정 시간 내에 기지국으로부터 기본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가 포함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
iii. 기지국이 기본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2)의 결과, Advanced V2X 서비스라고 판단하면 단말은 (8)에서 Advanced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8)에서 Advanced V2X 서비스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i. NR 기지국 (NR 서비스 주파수에 설치된 기지국, NR셀에 설치된 기지국)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ii. 기지국이 Advanced V2X 서비스 지원한다는 정보 (Advanced V2X 서비스 지시자, Advanced V2X 서비스 주파수 정보,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풀, Advanced V2X 서비스 SIB, NR V2X SIB 등)를 방송하는 경우
(8)의 결과 Advanced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으면 (9) 단말은 기지국에게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Advanced V2X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는 Advanced V2X서비스 식별자, 목적지 식별자, Qo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0)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Advanced V2X 서비스를 위한 자원 및 설정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1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Advanced V2X 서비스를 위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수신하였으면 (11) 단말은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Advanced V2X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8)의 판단에 의해 Advanced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없으면 (12) 단말은 pre-configured 설정 정보로부터 Advanced V2X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10)의 판단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Advanced V2X 서비스를 위한 자원 및 설정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은 (12)로 진행할 수 있다. (10)에서 기지국이 Advanced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판단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기지국이 사전 설정된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 (사전설정 정보 사용 지시자, 사전설정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달한다.
ii. (9) 이후 일정 시간 내에 기지국으로부터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가 포함된 RRC 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
iii. 기지국이 Advanced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RAT정보를 기반으로 V2X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RRC 미연결상태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다. RRC 미연결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V2X SIB message를 수신하여 V2X서비스 타입에 따른 V2X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1) 단말의 application layer에서 V2X 서비스가 시작되면 (2) 단말은 기본 V2X서비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2)의 결과, 기본 V2X 서비스라고 판단하면 단말은 (3)에서 기본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3)에서 기본 V2X 서비스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i. LTE 기지국 (LTE 서비스 주파수에 설치된 기지국, LTE셀에 설치된 기지국)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ii. 기지국이 기본 V2X 서비스 지원한다는 정보 (기본 V2X 서비스 지시자, 기본 V2X 서비스 주파수 정보, 기본 V2X 서비스 자원 풀, 기본 V2X 서비스 SIB, LTE V2X SIB 등) 를 방송하는 경우
(3)의 결과 기본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으면 (4)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SIB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3)의 판단에 의해 기본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없으면 (5) 단말은 pre-configured 설정 정보로부터 기본 V2X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4)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SIB 메시지에 기본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 경우 단말은 (5)로 진행할 수 있다. V2X SIB 메시지에 기본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실시예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기지국이 사전 설정된 기본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 (사전설정 정보 사용 지시자, 사전설정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V2X SIB 메시지를 전달한다. Ii. 기지국이 기본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SIB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2)의 결과, Advanced V2X 서비스라고 판단하면 단말은 (6)에서 Advanced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6)에서 Advanced V2X 서비스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i. NR 기지국 (NR 서비스 주파수에 설치된 기지국, NR셀에 설치된 기지국)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ii. 기지국이 Advanced V2X 서비스 지원한다는 정보 (Advanced V2X 서비스 지시자, Advanced V2X 서비스 주파수 정보,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풀, Advanced V2X 서비스 SIB, NR V2X SIB 등)를 방송하는 경우
(6)의 결과 Advanced V2X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으면 (7)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SIB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6)의 판단에 의해 Advanced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 없으면 (8) 단말은 pre-configured 설정 정보로부터 Advanced V2X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및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7)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V2X SIB 메시지에 Advanced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 경우 단말은 (8)로 진행할 수 있다.
(7)에서 기지국이 Advanced V2X 서비스용 자원 및 설정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판단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기지국이 사전 설정된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 (사전설정 정보 사용 지시자, 사전설정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SIB 메시지를 전달한다.
(2) 기지국이 Advanced V2X 서비스 자원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SIB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단말 120와 단말 130 간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용도의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 중에 Bi-directional sidelink 트래픽을 지시하는 정보를 교환하고 이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기반 패킷 송수신을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두 단말 간 bi-directional sidelink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신용도의 설정정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교환이 필요한 설정 정보, 수신용도의 설정 정보가 단말 120과 단말 130이 송신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단말 120과 단말 130이 수신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단말 120 또는 단말 130 중 하나의 단말이 상기 bi-directional sidelink 트래픽에 해당되는 SLRB 연결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SLRB 연결 설정 정보를 상대 단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1)에서 단말 120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용도의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는 PC5-S 메시지 또는 PC5-RRC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는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에서 단말 130은 상기 단말 120이 전송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용도의 연결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는 PC5-S 메시지 혹은 PC5-RRC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는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에서 단말 120은 상기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120이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 용도의 연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1) 내지 (2)의 절차에서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 용도의 연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담당할 단말을 지시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연결 설정 정보를 획득할 역할을 담당할 단말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 용도의 연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은 상기 도 5 내지 도 11의 방안을 따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송수신 자원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용 설정 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 공유할 필요가 있는 설정 정보, RLC 전송모드에 따른 수신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20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 120이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설정 정보에 대해서는 단말 120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4)에서 단말 120은 상기 획득된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설정 정보를 단말 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5)에서 단말 130은 상기 단말 120으로부터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 15와 같은 bi-directional sidelink traffic 송수신 용도의 연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기지국이 지시, 단말이 기지국에게 알리고 기지국이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제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송 모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단말로, 상기 제2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모드 타입 정보, 서비스 QoS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preferred RLC(Radio Link Control)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송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전송 모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모드 타입 정보, 서비스 QoS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preferred RLC(Radio Link Control)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2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모드 타입 정보, 서비스 QoS 정보 및 제1 단말의 preferred RLC(Radio Link Control)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단된 상기 전송 모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
    기지국으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송 모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2 단말로, 상기 제2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모드 타입 정보, 서비스 QoS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preferred RLC(Radio Link Control)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
    제1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를 기반으로 전송 모드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전송 모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모드 타입 정보, 서비스 QoS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preferred RLC(Radio Link Control)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사이드링크 RLC 설정(Sidelink RLC configur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
    제1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2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세션 정보, 전송 모드 타입 정보, 서비스 QoS 정보 및 제1 단말의 preferred RLC(Radio Link Control)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단된 상기 전송 모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PCT/KR2019/013235 2018-10-08 2019-10-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076071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68560A JP7382971B2 (ja) 2018-10-08 2019-10-08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間のユニキャスト送信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6/633,119 US11190970B2 (en) 2018-10-08 2019-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39820.2A CN112544121A (zh) 2018-10-08 2019-10-08 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终端到终端单播传输的装置和方法
EP19870955.2A EP3780890B1 (en) 2018-10-08 2019-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erminal-to-terminal unicas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209122.3A EP4297476A3 (en) 2018-10-08 2019-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erminal-to-terminal unicas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537,181 US11785498B2 (en) 2018-10-08 2021-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482,630 US20240049044A1 (en) 2018-10-08 2023-10-0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3190401A JP2023184665A (ja) 2018-10-08 2023-11-07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間のユニキャスト送信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63 2018-10-08
KR20180120063 2018-10-08
KR1020190074108A KR20200040180A (ko) 2018-10-08 2019-06-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9-0074108 2019-06-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633,119 A-371-Of-International US11190970B2 (en) 2018-10-08 2019-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537,181 Continuation US11785498B2 (en) 2018-10-08 2021-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nicast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6071A1 true WO2020076071A1 (ko) 2020-04-16

Family

ID=7016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235 WO2020076071A1 (ko) 2018-10-08 2019-10-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85498B2 (ko)
EP (1) EP4297476A3 (ko)
JP (2) JP7382971B2 (ko)
WO (1) WO20200760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439A1 (zh) * 2020-07-23 2022-0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通信方法和通信装置
EP4164138A1 (en) * 2021-10-07 2023-04-12 Volkswagen Ag Methods for communication devices for or adjusting a processing gain, apparatus,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7513B (zh) * 2019-03-28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设备
US20210392466A1 (en) * 2020-06-11 2021-12-16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WO2024007137A1 (zh) * 2022-07-04 2024-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9A1 (ko) * 2014-02-11 2015-08-2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18353A (ko) * 2014-08-08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60302215A1 (en) * 2014-05-23 2016-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s and methods for d2d transmission
KR20170113445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70142407A (ko) * 2016-06-17 201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26A1 (en) 2014-04-24 2015-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leasing a sidelink radio bearer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832800B2 (en) 2014-08-08 2017-11-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ES2849955T3 (es) * 2016-08-10 2021-08-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onfiguración de planificación semipersistente y V2X en una red inalámbrica
CN108923894B (zh) * 2017-03-23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用户设备、基站、存储介质和系统
US20180279275A1 (en) * 2017-03-23 2018-09-27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facilitating report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sidelink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86552A1 (ko) * 2017-04-02 2018-10-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27380B2 (en) 2018-01-30 2020-1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URLLC in advanced V2X communications
CN112567673A (zh) * 2018-08-09 2021-03-26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用于nr v2x的波束赋形和分组
WO2020061768A1 (zh) * 2018-09-25 2020-04-02 富士通株式会社 一种数据发送方法、装置和通信系统
MX2021003260A (es) * 2018-10-02 2021-05-12 Fg innovation co ltd Comunicaciones de enlace lateral de multiples tecnologias de acceso de radio (rat).
KR20200040180A (ko) * 2018-10-08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9A1 (ko) * 2014-02-11 2015-08-2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302215A1 (en) * 2014-05-23 2016-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s and methods for d2d transmission
KR20160018353A (ko) * 2014-08-08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70113445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70142407A (ko) * 2016-06-17 201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439A1 (zh) * 2020-07-23 2022-0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通信方法和通信装置
EP4164138A1 (en) * 2021-10-07 2023-04-12 Volkswagen Ag Methods for communication devices for or adjusting a processing gain, apparatus,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84665A (ja) 2023-12-28
JP2022502875A (ja) 2022-01-11
EP4297476A3 (en) 2024-03-06
US11785498B2 (en) 2023-10-10
JP7382971B2 (ja) 2023-11-17
US20220086685A1 (en) 2022-03-17
US20240049044A1 (en) 2024-02-08
EP4297476A2 (en)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972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sidelink resource configuration and alloc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1592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f radio bearer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1456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nting transmission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7607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유니캐스트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204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maximum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717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idelink relay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9063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무선랜 병합 시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6638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9643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용 무선 액세스 기술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973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radio link control layer parameter for direc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8071A1 (ko) 단말 및 기지국 간의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2206018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론트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3603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746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15806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drx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20464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정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1091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15801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패킷의 중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284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11413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slice data 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255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collisions of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2971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197167A1 (ko) 단말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 전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46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hange of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32544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노드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09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709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102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6856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