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36457A1 -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36457A1
WO2020036457A1 PCT/KR2019/010416 KR2019010416W WO2020036457A1 WO 2020036457 A1 WO2020036457 A1 WO 2020036457A1 KR 2019010416 W KR2019010416 W KR 2019010416W WO 2020036457 A1 WO2020036457 A1 WO 20200364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iving
electrodes
signal
touch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4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식
김본기
김세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ublication of WO20200364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364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driving electrode and a receiving electrode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 input devices ar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 input devices such as buttons, keys, joysticks, and touch screens are used. Due to the easy and simpl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the use of the touch screen in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is increasing.
  • the touch screen may constitute a touch surface of a touch input device that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which may be a transparent panel having a touch-sensitive surface. Such a touch sensor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screen such that the touch-sensitive surface covers the visible side of the display screen. By simply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user can operate the computing system. In general, a computing system may recognize a touch and a touch location on a touch screen and interpret the touch to perform computation accordingly.
  • the touch sensor panel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touched from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may be formed in different layers or may be formed in a single layer.
  • the touch sensor panel can be configured at a low cost because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re formed in different layers.
  •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3 / 0181942 discloses prior art in which drive electrodes and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 a complex phenomenon due to low ground ma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GM') may occur.
  • 'LGM' a complex phenomenon due to low ground mass
  • a normal touch signal detec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device while the user holds the device by hand may not appear or decrease in the device in the LGM state.
  •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in the device of the LGM state, there may be a phenomenon in which the detected touch signal appears at two or more poin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that can simplify and analyze a complex phenomenon caused by the LG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capable of restoring a distorted touch signal detected by a device in an LGM state.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driving method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and driving signals are formed by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Vertical line driving step of simultaneously applying.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driving method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in a single layer, and are driven by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 a horizontal line driving step of simultaneously applying a signal is a driving method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in a single layer, and are driven by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based on the touch signals output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driving method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wherein the driving signals are formed by rece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Vertical line driving step of simultaneously applying.
  •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is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and are driven by rece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a horizontal line driving step of simultaneously applying a signal is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and are driven by rece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based on the touch signals output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driving method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and driving signals are formed by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touch signal output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through the vertical line driving step and the second touch signal output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through the horizontal line driving step.
  • the dete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driving method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are formed on a single layer, wherein the driving signals are formed by rece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touch signal output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the vertical line driving step and the second touch signal output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the horizontal line driving step.
  • the dete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 FIG. 1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pacitive touch sensor 10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panel 1 and a configuration for its operation.
  • 1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re disposed on different planes.
  • 1C and 1D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 FIG. 2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structure of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 3A to 3E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mplex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is in the LGM state.
  • 4A to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complicated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is in the LGM state.
  •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uch sensor 10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for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10. Touch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according to a touch on the touch surface from the driving unit 12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that apply a driving signal to TX1 to TXn. And a detector 11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 the touch sensor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of the touch sensor 10 form an orthogonal array,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have any number of dimens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including diagonal, concentric circles, and three-dimensional random arrangements.
  • n and m are positive integers and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values, and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 the driving electrode TX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extending in the first axis direction
  •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RX1 to RXm).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different layers.
  •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oth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or formed inside the display panel. Can be.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 may be formed in one single layer.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 the cov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or inside the display panel.
  •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 ar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g, tin oxide (SnO 2), indium oxide (In 2 O 3), or the like. Oxide) or ATO (Antimony Tin Oxide).
  •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g, tin oxide (SnO 2), indium oxide (In 2 O 3), or the like. Oxide) or ATO (Antimony Tin Oxide).
  •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formed of anothe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ver ink, copper, silver silver, and carbon nanotubes (CNT). Can be.
  •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implemented by a metal mesh.
  • the driving unit 12 may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 some columns of the driver 12 may be used to receive a signal.
  • the sensing unit 11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apacitance Cm 14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d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 a detection signal that includes a detection whether the touch and the touch position can be detected.
  • the sensing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 is coupled by the capacitance Cm 14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 a process of detecting the drivin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to the nth driving electrode TXn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referred to as scanning the touch sensor 10. Can be.
  • the detector 11 may include a receiver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through a switch.
  • the switch is turned on in the time interval for detecting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RX,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RX can be detected at the receiver.
  • the receiver may comprise an amplifier (not shown) and a feedback capacitor coupl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i.e., in the feedback path. At this time,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ground.
  •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rese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eedback capacitor. The reset switch may reset the conversion from current to voltage performed by the receiver.
  •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RX to receive a curren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pacitance Cm 14, and then integrate and convert the current signal into a voltage.
  • the sensing unit 11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data integrated through a receiver into digital data. Subsequently, the digital data may be input to a processor (not shown) and processed to obtain touch information about the touch sensor 10.
  • the detector 11 may include an ADC and a processor.
  • the reception of the signal may be performed by using some terminals of the driving unit 12 without using the sensing unit 11.
  • the switch to the sensing section 11 can be turned off, and the switch between the corresponding terminal of the driving section 12 and the receiver can be turned on. Accordingly, a part of the driving unit 12 serves as the sensing unit 11.
  • the controller 13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driver 12 and the detector 11.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 may generate a driv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2 so that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redetermined driving electrode TX at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generates a detecti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ion control signal to the detection unit 11 so that the detection unit 11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a predetermined reception electrode RX at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can d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 may cause a driving signal to be applied to some physical driving electrodes TX (actual driving electrodes) at some terminals of the driving unit 12.
  • all of the physical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may be used as actual driving electrodes, or all of the physical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may be used as actual driving electrodes.
  • the driving signal application and the reception signal input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o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pplying the driving signal.
  • the driving unit 12 and the sensing unit 11 may constitute a touch detection device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touch sensor 10 is touched and the touch position.
  •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3.
  •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on a 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IC).
  •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10 are included in the touch sensing IC through, for example, a conductive trace and / or a conductive pattern printed on a circuit board. It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2 and the sensing unit 11.
  • the touch sensing IC may be located on a circuit board on which a conductive pattern is printed, such as a touch circuit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PCB).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IC may be mounted on a main board for opera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 a capacitance Cm of a predetermined value is generated between the adjacent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and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may be changed when an object such as a finger approaches the touch sensor 10.
  • the capacitance may represent mutual capacitance (Cm).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1 to detect whether the touch sensor 10 is touched and / or the touch position. For example, the touch and / or the position of the touch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10 formed of the two-dimensional plane including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may be sensed.
  • FIG. 2 is a view of a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driving electrode and a receiving electrode are disposed on a single layer.
  •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disposed on a single layer.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physically separated.
  • FIG. 2 alth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is illustrated as being attached to each other,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hysically apart.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s disposed along a plurality of rows.
  • the leftmost column is referred to as a 'first column'
  • the second column, the third column, and the like are sequentially sequentially from the first column to the right. It is called.
  • the number of column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sensor panel,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touch sensing IC, or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touch sensing IC. Although FIG. 2 illustrates the first to fourteenth columns, the number of columns may vary according to the touch sensor panel.
  • the plurality of columns include odd rows (first row, third row, fifth row, seventh row%) and even columns (second row, fourth row, sixth row, eighth row).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s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and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 the second electrodes may be arranged in odd rows and the first electrodes may be arranged in even rows.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may have the same size, and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may have the same size.
  • the size of the first electrode arranged in the odd colum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electrode arranged in the even column.
  •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first electrode is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econd electrode.
  •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electrod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the odd rows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the even rows.
  • the number of second electrodes corresponding to one first electrode may be three as shown in FIG.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of second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may be four or more, or two.
  • the number of rows of the touch sensor panel may increase or decrease.
  • the number of rows of the touch sensor pane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cond electrodes.
  • one first electrode arranged in an odd column may be arranged over a plurality of rows.
  • One or more conductive trace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the odd column may be connected to one conductive trace.
  •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may be connected with one or more conductive traces.
  •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may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onductive traces, and the grouped second electrod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ductive traces.
  •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a series connection or a parallel connection.
  •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the even columns may serve as the driving electrodes TX to which the driving signals are applied, and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the odd columns may serve as the receiving electrodes RX or the sensing electrodes to which the received signals are output.
  • the same number means the same driving electrode TX.
  •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may be composed of twelv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and eight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8.
  •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columns 1, 3, 5, and 7 of the odd columns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receiving electrode RX1, the second receiving electrode RX2, the third receiving electrode RX3, and the fourth.
  •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columns 9, 11, and 13 may be the receiving electrodes RX4, and the fifth receiving electrodes RX5, the sixth receiving electrodes RX6, and the seventh receiving electrodes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op to bottom. RX7) and an eighth receiving electrode RX8.
  •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the even columns may function as the receiving electrodes RX or the sensing electrodes to which the received signals are output
  •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the odd columns may serve as the driving electrodes TX to which the driving signals are applied. It may be.
  • the touch sensor panel illustrated in FIG. 2 may include 12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12 and eight driving electrodes TX1 to TX8.
  •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columns 1, 3, 5, and 7 of the odd columns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the third driving electrode TX3, and the four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columns 9, 11, and 13 may be the driving electrodes TX4, and the fifth driving electrodes TX5, the sixth driving electrodes TX6, and the seventh driving electrodes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X7) and the eighth driving electrode TX8.
  •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iring (or conductive tra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s TX as compared to FIG. 1D.
  • the number of wirings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electrod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D.
  • 3A and 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complex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a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is touched in the LGM state.
  • FIG. 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and the touch object touches a predetermined area T.
  • FIG. 3B shows an equivalent circuit for the case where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 a predetermined touch signal may be output by applying driving signals to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in a sequential driving or a multi driving scheme.
  •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8 are moved.
  • the touch signal output through the touch signal output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8 when the device is not in the LGM state may occur. This may mean that distortion is generated in the touch signal output in the LGM state. This phenomenon may occur when the touch sensor panel is operated not only in sequential driving but also in multiple driving.
  •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is the first of two through the mutual capacitance Cm between the two first receiving electrodes RX1 adjacent to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X2. It is delivered to the receiving electrode RX1, respectively.
  • the C LGM is small enough so that the C LGM is the same as the open state. Therefore, an additional signal between the electrodes TX2, RX1, TX5, RX1, TX8 and the touch object in contact with the touch object is obtained. A delivery path is created.
  • the total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ecomes “0”. Since such a complex interaction of capacitance occurs in the driving signal application section of the other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the touch signal V out.RX1 detected through the first receiving electrodes RX1 is severely consequently . The distortion causes the touch signal to be very small.
  • 3C and 3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mplex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is touched in the LGM state.
  • FIG. 3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fth driving electrode TX5 and the touch object touches a predetermined area T '.
  • FIG. 3D shows an equivalent circuit for the case where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5.
  • the predetermined area T ′ touched by the touch object includes two or more receiving electrodes RX1 and RX5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fth driving electrode TX5 is transferred to the two first receiving electrodes RX1 and the two fifth receiving electrodes RX5 through the mutual capacitance Cm, respectively.
  • the C LGM is sufficiently small in the LGM state, the C LGM is equal to the open state, and thus the touch objects and the touch objects (TX5, RX1, TX8, RX1, TX11, RX5, TX2)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touch object. Additional signaling paths are created in between.
  • the coupling signal (or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is transmitted to two first receiving electrodes RX1 and one fifth receiving electrode RX5 in contact with the touch object. do.
  • the touch signal (V out.RX1) that is output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RX1) 1 is deohaejyeo the coupling signal (or LGM interrupt signal) by the LGM becomes the touch signal is very small.
  • FIG. 3E (a) is data showing distortion of the touch signal due to the LGM phenomenon
  • FIG. 3E (b) shows data showing a normal touch signal in the absence of the LGM phenomenon
  • (E) and (b) of FIG. 3e are experimental data tested with a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panel in which a driving electrode and a receiving electrode are formed in a single layer
  • FIG. 3e (a) shows that the device is placed on the floor.
  • One finger touches the center por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 FIG. 3E (b) touches the center portion with one finger while holding the device in the hand.
  • big to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touch area of the thumb is defined as big touch
  • distortion of the touch signal output in the LGM state may become more severe. hav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8B.
  • the normal output value ( It can be seen that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 is obtained, but the final output value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 lower than the normal output value is output when the LGM disturbance signal is generated.
  • the capacitance change ( ⁇ C, eg> -10) consists of only the '-' capacitance value (Cm, eg> -10), but the LGM disturbance signal (+) acts as a '+' when the LGM disturbance signal occurs.
  • C LGM eg> +3
  • a lower capacitance change amount ( ⁇ C , eg> -7) is obtained.
  • Normal outputs form a curve, whereas in the case of LGM disturbance signals, the signal splits in the middle, resulting in peaks, resulting in two curves.
  • a normal situation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finger acts as a normal ground by touching a surface of the device while the user grips the device.
  • the situation where the LGM disturbance signal is generated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finger does not act as a normal ground by touching the surface of the device while the device is lying on the floor, thereby causing floating.
  •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 ⁇ C, eg> -10) is composed of only the '-' capacitance value (Cm, eg> -10), but the LGM disturbance signal is large.
  •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almost disappears.
  • the final output value (capacitance change amount ( ⁇ C)) is almost eliminated.
  • the result of the splitting of the final output value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 by the LGM interference signal illustrated in FIG. 4 may also be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data of FIG. 6B.
  • FIG. 6A shows experimental data in a normal situation
  • FIG. 6B shows experimental data for referring to a result of splitting of the final output value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 by the LGM disturbance signal.
  • the maximum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appears once in the middle portion, but in the case where the LGM disturbance signal is output, the maximum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appears in the middle portion as shown in FIG. 6B. You can see that it comes out once. In this case, even though one big touch is actually made, two general touches may be recognized.
  • FIG. 7A shows experimental data in a normal situation
  • FIG. 7B shows experimental data for referring to a state in which the final output value (capacitance change amount ⁇ C ) has almost disappeared by the LGM disturbance signal.
  • FIG. 8B when a plurality of identical receiving electrodes RX1 are disposed in any one cell area, relatively many LGM disturbance signals are generated. That is, as shown in FIG. 8B (a), the number of identical receiving electrodes RX1 disposed in the touch area is large, or as shown in FIG. 8B (b), the number of identical drive electrodes TX1 disposed in the touch area. In many cases, it can be seen that the LGM disturbance signal is relatively large.
  • the touch is performed by the LGM. Since the ring signal or the LGM disturbance signal is output together with the normal touch signal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 contact with the touch object, the two signals are mixed or canceled with each other, and thus, as shown in FIGS. 3E, 6B, and 7B. The distorted touch signal is output.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a) to (c) of FIG. 9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and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operate as receiving electrodes, It is assumed that the arranged second electrodes act as driving electrodes.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9A to 9C may be a vertic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 the vertic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is a method of simultaneousl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A,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driving electrodes TX1, TX2, and TX3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At the same time. Since the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driving electrodes TX1, TX2 and TX3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the same driving signals are also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driving electrodes TX1, TX2 and TX3 arranged in the tenth column. Is applied simultaneously. In this wa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is rea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ourth to sixth driving electrodes TX4, TX5, and TX6 arranged in a fourth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Apply simultaneously. Since the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fourth to sixth driving electrodes TX4, TX5 and TX6 arranged in the fourth column, the same driving signals are also applied to the fourth to sixth driving electrodes TX4, TX5 and TX6 arranged in the twelfth column. Is applied simultaneously. In this wa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is rea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the predetermined number of driving electrodes TX7, TX8, TX9 arranged in the sixth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hrough TX12 is predetermined.
  • the driving signal of is applied simultaneously. Since predetermined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seventh to nineth driving electrodes TX7, TX8 and TX9 arranged in the sixth column, the driving electrodes TX7, TX8 and TX9 of the seventh to nineth columns arranged in the sixteenth column are also applied.
  • the drive signal is applied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is rea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a coupling signal or an LGM interference signal generated by the LGM is generated only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and output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do.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simultaneousl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rece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to (c) of FIG. 9.
  •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perform any one of (a) to (c) of FIG. 9, two of (a) to (c) of FIG. 9. It may be to perform, or may be to perform all of (a) to (c) of FIG.
  • the complex LGM phenomenon can be easily solved by simplifying the complex LGM phenomenon. Can be analyzed.
  •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may be detected based on one or more first touch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vertic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illustrated in FIGS. 9A to 9C.
  • a coupling signal (or LGM jamming signal) by the LGM through a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of first touch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vertic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illustrated in FIGS. 9A to 9C.
  • the size of can be detected.
  •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A.
  • the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may include subtracting or adding the obtained first touch signals or multiplying or dividing a predetermined coefficient.
  • the distorted touch signal may be restored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coupling signal (or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 a coupling signal or a coupling signal by the LGM previously detected from a touch signal (a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output by driving the touch sensor panel in the LGM state shown in FIG.
  • the restored touch signal may be output by reflecting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are used as receiving electrodes
  •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are used as driving electrodes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may be used as driving electrodes
  •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may be used as receiving electrodes.
  •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3 illustrated in FIG. 1A.
  •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may be reconstructed by subtracting or adding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detected from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S. 10A to 10C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touch sensor panel shown in FIG. 2, and the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operate as receiving electrodes and are arranged in even rows. It is assumed that the two electrodes acted as driving electrodes.
  • FIGS. 10A to 10C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0A to 10C is a horizont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 the horizont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is a method of simultaneousl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 the first, fourth, seventh, and tenth driving electrodes TX1 and TX4 arranged in the first row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are shown.
  • TX7, TX10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drive signals. Since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first, fourth, seventh, and tenth driving electrodes TX1, TX4, TX7, and TX10 arranged in the first row, the driving signals are arranged in the fourth row, the seventh row, and the ninth row.
  • the sam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first, fourth, seventh, and tenth driving electrodes TX1, TX4, TX7, and TX10. In this wa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is rea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the second, fifth, eighth, eleventh driving electrodes TX2 which are arranged in the second row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 the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X5, TX8, and TX11. Since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second, fifth, eighth, and eleventh driving electrodes TX2, TX5, TX8, and TX11 arranged in the second row, the driving signals are arranged in the fifth, eighth, and eleventh rows.
  • the same driving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second, fifth, eighth, and eleven driving electrodes TX2, TX5, TX8, and TX11. In this wa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is rea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the third, sixth, ninth, and twelfth driving electrodes TX3 arranged in the third row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12 are provided.
  • TX6, TX9, TX12 simultaneously apply the drive signal. Since the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third, sixth, ninth, and twelve driving electrodes TX3, TX6, TX9, and TX12 arranged in the third row, the sixth, ninth, and twelfth rows are arranged.
  • the same drive sign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third, sixth, nineth, and twelve driving electrodes TX3, TX6, TX9, and TX12. In this way, whil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ignal, is rea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is generated only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and is output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do.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operate as receiving electrodes
  •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operate as driving electrodes.
  •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s operate as driv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operate as receiving electrodes.
  •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simultaneousl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receiv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to (c) of FIG. 10.
  •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perform any one of (a) to (c) of FIG. 10, and of (a) to (c) of FIG. 10. It may be to perform two, or may be to perform all of (a) to (c) of FIG.
  •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may be detected based on one or more second touch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horizont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illustrated in FIGS. 10A to 10C.
  • a coupling signal (or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through a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of second touch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horizont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shown in FIGS. 10A to 10C.
  • the size of can be detected.
  •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A.
  • the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may include subtracting or adding the obtained second touch signals or multiplying or dividing a predetermined coefficient.
  • the distorted touch signal may be restored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coupling signal (or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 a coupling signal or a coupling signal by the LGM previously detected from a touch signal (a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output by driving the touch sensor panel in the LGM state shown in FIG.
  • the restored touch signal may be output by reflecting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are used as receiving electrodes
  •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are used as driving electrodes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may be used as driving electrodes
  •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may be used as receiving electrodes.
  •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3 illustrated in FIG. 1A.
  •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may be reconstructed by subtracting or adding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detected from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 another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9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0 It may be used with a different driving method of the touch sensor panel.
  • the LGM phenomenon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axis. Separated by the axis and analyzed separately, complex LGM phenomena can be easily analyzed by simplifying complex LGM phenomena.
  •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first touch signal obtained through the vertic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and the second touch signal obtained through the horizontal line driving driving method.
  •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may be detect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on the first touch signal and the second touch signal.
  •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the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3 shown in FIG. 1A.
  • the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may include subtracting or adding two touch signals or multiplying or dividing a predetermined coefficient.
  • the distorted touch signal may be restored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coupling signal (or LGM interference signal) by the LGM.
  • a coupling signal or a coupling signal by the LGM previously detected from a touch signal (a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output by driving the touch sensor panel in the LGM state shown in FIG.
  • the restored touch signal may be output by reflecting the magnitude of the LGM interference signal).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are used as receiving electrodes
  •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are used as driving electrodes
  • first electrodes arranged in odd rows may be used as driving electrodes
  • the second electrodes arranged in even rows may be used as receiving electrodes.
  •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3 illustrated in FIG. 1A.
  •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may be reconstructed by subtracting or adding the magnitude of the coupling signal (or LGM disturbance signal) by the LGM detected from the touch signal distorted by the L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및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터치를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센서패널(touch sensor panel)은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터치 여부를 판별한다.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단일층에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경우에 비해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적은 비용으로 터치센서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을 단일층에 형성한 선행문헌으로 미국 특허공개 US2013/0181942호가 있다.
그런데,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에서는 로우 그라운드 매스(Low Ground Mass, 이하, 'LGM' 이라 함)에 의한 복잡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을 실장한 장치를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이하, 'LGM 상태'라 함.)에서,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터치할 때, LGM에 의한 복잡한 현상이 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LGM에 의한 복잡한 현상으로는, 사용자가 장치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터치하였을 때 감지되었던 정상적인 터치 신호가, LGM 상태의 장치에서는 나타나지 않거나 줄어드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LGM 상태의 장치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가 되는데 감지된 터치 신호가 두 지점 이상에서 나타나는 현상(갈라짐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GM에 의한 복잡한 현상을 단순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GM 상태의 장치에서 감지되는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으로 출력되는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출력되는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상기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으로 출력되는 제1 터치 신호와 상기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으로 출력되는 제2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상기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출력되는 제1 터치 신호와 상기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출력되는 제2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을 사용하면, LGM에 의한 복잡한 현상을 단순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LGM에 의한 복잡한 현상을 단순화하여 분석함으로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LGM 상태의 장치에서 감지되는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가 어떠한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터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터치센서패널(1)에 포함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10)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c와 도 1d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이 구현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조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이 LGM 상태에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이 LGM 상태에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복잡한 다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1)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센서패널(1)을 예시하나 임의의 방식으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센서패널(1)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터치센서패널(1)에 포함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10)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10)는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10)의 동작을 위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으로부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0)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터치 센서(10)의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커버층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터치 센서(1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과 복수의 수신전극(RX)은 하나의 단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과 복수의 수신전극(RX)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층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복수의 구동전극(TX)과 복수의 수신전극(RX)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ver) 및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는 메탈 메쉬(metal mesh)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부(12)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의 일부 열을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4)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4)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10)를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는 각각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m: 1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되어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의 수신을 감지부(11)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부(12)의 일부 단자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감지부(11)로의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 하고, 구동부(12)의 해당 단자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2)의 일부가 감지부(11)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3)는 구동부(12)와 감지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12)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에 전달하여 감지부(11)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13)는 구동부(12)의 일부 단자에서 구동신호가 일부 물리적 구동전극(TX)(실제구동전극)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열에 배치된 물리적 구동전극은 모두 실제 구동전극으로 사용되거나, 동일한 행에 배치된 물리적 구동전극은 모두 실제 구동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신호 인가와 수신신호 입력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구동신호를 인가한 후 일정 시간후에 감지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a에서 구동부(12) 및 감지부(11)는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상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0)에 포함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에 포함된 구동부(12) 및 감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IC는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 예컨대 터치 회로 기판(이하 터치PCB로 지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센싱 IC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인접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서 소정 값의 정전용량(Cm)이 생성되며, 손가락과 같은 객체가 터치 센서(1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a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 mutual capacitance)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센서(10)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와 같이, 단일층(또는 동일층)에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형성된 경우, 배선이 용이하지 않거나 배선수가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기초로, 배선이 용이하며, 배선수가 감소된 형태의 터치센서패널에 대해서 기술하고, 이어서 해당 터치센서패널을 기초로 한 구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단일층에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배치된 다른 실시 형태의 터치센서패널의 형태이다.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은, 단일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전극들은 복수의 터치 전극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도 2에서 홀수열에 배열된 복수의 전극들이 서로 붙어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실질적으로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복수의 열을 따라 배치된다. 도 2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한 열을 '제1 열'이라 하고, 제1 열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제2 열, 제3 열… 이라고 한다. 열의 개수는 터치센서패널의 사이즈, 터치센싱 IC의 채널 수 또는 터치센싱 IC의 단자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내지 제14 열을 도시하였지만, 터치센서패널에 따라 열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열들은 홀수열(제1 열, 제3 열, 제5 열, 제7 열…)과 짝수열(제2 열, 제4 열, 제6 열, 제8 열…)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극들은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과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대로 홀수열에 제2 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고, 짝수열에 제1 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도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의 사이즈는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의 사이즈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의 세로 길이가 제2 전극의 세로 길이보다 길다. 여기서, 제1 전극의 가로 길이는 제2 전극의 가로 길이와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은 짝수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들과 대응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전극에 대응되는 제2 전극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과 대응되는 제2 전극의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고, 2개일 수도 있다. 제2 전극의 개수에 따라 터치센서패널의 행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터치센서패널의 행의 개수는 제2 전극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홀수열에 배치된 하나의 제1 전극은 복수의 행들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에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트레이스가 연결된다.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 각각은 하나의 전도성 트레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 각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도성 트레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전도성 트레이스에 의해 복수개로 그룹핑되고, 그룹핑된 제2 전극들을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은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일 수 있다.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구동전극(TX)으로 기능하고,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수신신호가 출력되는 수신전극(RX, 또는 감지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짝수열에 배열된 구동전극(TX)들에 있어서, 같은 숫자는 같은 구동전극(TX)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은 12개의 구동전극(TX1 내지 TX12)과 8개의 수신전극(RX1 내지 RX8)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홀수열 중 1, 3, 5, 7 열에 배치된 제1 전극들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수신전극(RX1), 제2 수신전극(RX2), 제3 수신전극(RX3), 제4 수신전극(RX4)이 될 수 있고, 9, 11, 13열에 배치된 제1 전극들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5 수신전극(RX5), 제6 수신전극(RX6), 제7 수신전극(RX7), 제8 수신전극(RX8)이 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수신신호가 출력되는 수신전극(RX, 또는 감지전극)으로 기능하고,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구동전극(TX)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은 12개의 수신전극(RX1 내지 RX12)과 8개의 구동전극(TX1 내지 TX8)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홀수열 중 1, 3, 5, 7 열에 배치된 제1 전극들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구동전극(TX1), 제2 구동전극(TX2), 제3 구동전극(TX3), 제4 구동전극(TX4)이 될 수 있고, 9, 11, 13열에 배치된 제1 전극들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5 구동전극(TX5), 제6 구동전극(TX6), 제7 구동전극(TX7), 제8 구동전극(TX8)이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의 경우에는, 도 1d와 비교하여 구동전극(TX) 사이의 배선(또는 전도성 트레이스)에 차이가 있다. 도 2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극 연결 방법에 따르면, 도 1d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극 연결 방법과 비교하여, 배선수가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전극 형태를 기초로 도 1d의 전극 연결 방법을 적용할 경우(미도시), 12 + 12*8 = 108개의 배선을 필요로 한다. 반면, 도 2의 전극 형태를 기초로 도 2의 전극 연결 방법을 적용하면, 4*8 + 3*8 = 64개의 배선을 필요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을 갖는 장치가 LGM 상태에서 터치가 이뤄진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2번 구동전극(TX2)에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터치 객체가 소정 영역(T)을 터치한 경우를 예시한다. 도 3b는 2번 구동전극(TX2)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대한 등가회로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은 각 구동전극(TX1 내지 TX12)에 순차(Sequential) 구동 또는 멀티(multi) 구동 방식으로 구동신호가 인가됨으로서 소정의 터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따르면, 터치센서패널을 갖는 장치가 로우 그라운드 매스(LGM, Low Ground Mass, 이하 LGM으로 약칭한다.) 상태일 때 수신전극(RX1 내지 RX8)을 통해 출력되는 터치 신호가, 상기 장치가 LGM 상태가 아닌 상태일 때 수신전극(RX1 내지 RX8)을 통해 출력되는 터치 신호와 다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LGM 상태에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왜곡이 발생되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터치센서패널이 순차 구동뿐만 아니라, 다중 구동으로 동작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2번 구동전극(TX2)으로 인가된 구동신호는 2번 구동전극(TX2)에 인접한 2개의 1번 수신전극(RX1)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Cm)를 통해서 2개의 1번 수신전극(RX1)으로 각각 전달된다. 그리고, LGM 상태에서 CLGM이 충분히 작아서 CLGM은 오픈(open)된 상태와 같게 되므로, 터치 객체에 접촉된 전극들(TX2, RX1, TX5, RX1, TX8)과 상기 터치 객체 사이에 부가적인 신호 전달 통로(path)가 생성된다. 상기 터치 객체와 상기 각 전극들(TX2, RX1, TX5, RX1, TX8) 사이에는 소정의 커플링 커패시턴스(Cc1, Cc2)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커플링 커패시턴스(Cc1, Cc2)에 의해 상기 신호 전달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 객체와 접촉된 구동전극(TX2)으로 인가된 구동신호가 상기 신호 전달 통로를 통해 터치 객체와 접촉된 수신전극(RX1)들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 전달 통로를 통해 터치 객체와 접촉된 수신전극(RX1)들로 전달되는 신호를 이하에서는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 또는 LGM 방해 신호라 한다.
만약, 터치에 의한 상호 커패시턴스(Cm)의 감소량과 LGM에 의한 커플링 커패시턴스(CC1, CC2)의 증가량이 같다면, 커패시턴스의 전체 변화량은 “0”이 된다. 이러한 커패시턴스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다른 구동전극들(TX1~TX12)의 구동신호 인가구간에도 동일하게 발생하므로, 결과적으로 1번 수신전극(RX1)들을 통해서 검출되는 터치 신호(Vout.RX1)는 심하게 왜곡되어 터치 신호가 매우 작아지게 된다.
도 3c 및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을 갖는 장치가 LGM 상태에서 터치가 이뤄진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는 5번 구동전극(TX5)에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터치 객체가 소정 영역(T')을 터치한 경우를 예시한다. 도 3d는 5번 구동전극(TX5)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대한 등가회로를 보여준다.
터치 객체에 의해 터치된 소정 영역(T')은, 도 3a의 소정 영역(T)과 달리,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수신전극들(RX1, RX5)을 포함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5번 구동전극(TX5)으로 인가된 구동신호는 상호 커패시턴스(Cm)를 통해서 2개의 1번 수신전극(RX1)과 2개의 5번 수신전극(RX5)으로 각각 전달된다. 그리고, LGM 상태에서 CLGM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CLGM은 오픈(open)된 상태와 같게 되므로, 터치 객체에 접촉된 전극들(TX5, RX1, TX8, RX1, TX11, RX5, TX2)과 상기 터치 객체 사이에 부가적인 신호 전달 통로(path)가 생성된다.
생성된 부가적인 신호 전달 통로를 통해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가 터치 객체와 접촉된 2개의 1번 수신전극(RX1)들과 하나의 5번 수신전극(RX5)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1번 수신전극(RX1)들을 통해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Vout.RX1)는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가 더해져 터치 신호가 매우 작아지게 된다.
한편, 소정 영역(T') 밖에 위치한 5번 수신전극(RX5)와 5번 구동전극(TX5) 사이에는 실제로 터치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5번 수신전극(RX5)들 중 터치 객체와 접촉된 5번 수신전극(RX5)을 통해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5번 수신전극(RX5)들을 통해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Vout.RX5)는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 커패시턴스(Cm)와 커플링 커패시턴스(CC1, CC2)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다른 구동전극들(TX1~TX12)의 구동신호 인가구간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게 되어, 도 3e의 (a)와 같이 실제 터치를 분별할 수 없게 된다.
도 3e의 (a)는 LGM 현상에 의한 터치 신호의 왜곡 현상을 보여주는 데이터이고, 도 3e의 (b)는 LGM 현상이 없는 경우의 정상적인 터치 신호를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도 3e의 (a)와 (b)는 단일층에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을 갖는 장치를 가지고 실험한 실험 데이터로서, 도 3e의 (a)는 상기 장치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터치센서패널의 중앙 부분을 터치한 것이고, 도 3e의 (b)는 상기 장치를 손에 잡은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상기 중앙 부분을 터치한 것이다.
빅터치(big touch, 본원 발명에서는 엄지 손가락의 터치 면적처럼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경우를 빅터치로 정의한다.)의 경우에 LGM 상태에서 출력되는 터치 신호의 왜곡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센서패널(1)의 표면을 터치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터치 영역에서, LGM 방해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정상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을 얻게 되나, LGM 방해 신호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정상 출력값보다 낮은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정전용량변화량(C, 예> -10)은 '-' 커패시턴스값(Cm, 예> -10) 만으로 구성되나, LGM 방해 신호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 로 작용하는 LGM 방해 신호(CLGM , 예> +3)에 의해 보다 낮은 정전용량변화량(C, 예> -7)을 얻게 된다.
정상 출력값은 하나의 곡선을 이루는 반면, LGM 방해 신호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중간에 신호가 갈라져 봉우리 부분이 생기고, 이로서 두 개의 곡선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상황은, 사용자가 장치를 그립(grip)한 상태에서 상기 장치의 표면을 터치하여, 손가락이 정상적인 그라운드로 작용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그리고, LGM 방해 신호가 발생하는 상황은, 상기 장치가 바닥에 놓여있는 상태에서 상기 장치의 표면을 터치하여, 플로팅(floating)이 발생함으로써 손가락이 정상적인 그라운드로 작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 5의 경우는, 엄지 손가락 터치 면적이 점차 커지면서, 해당 터치 객체에 접촉되는 동일 수신전극(RX1)의 개수가 점차 많아지는 상황을 나타낸다. (상태1에서 1개 -> 상태2에서 3개 -> 상태3에서 4개)
손가락 터치 영역에서, LGM 방해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정전용량변화량(C, 예> -10)은 '-' 커패시턴스값(Cm, 예> -10) 만으로 구성되나, LGM 방해 신호가 많이 발생되는 상황에서는 정전용량변화량(C)이 거의 소멸되게 된다. 이렇듯, 손가락과 접촉되는 동일 수신전극(RX1)의 개수가 많아지면, LGM 방해 신호의 크기가 점차 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거의 소멸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 예시한 LGM 방해 신호에 의해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갈라진 결과는 도 6b의 실험 데이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6a는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LGM 방해 신호에 의해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갈라진 결과를 참조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도 6a와 같이 최고치의 정전용량변화량(C)이 중간 부분에 한 번 나오지만, LGM 방해 신호가 출력되는 상황에서는 도 6b와 같이 최고치의 정전용량변화량(C)이 중간 부분에 두 번 나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실제 한 번의 빅터치가 이루어졌음에도 두 번의 일반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5에서 예시한 LGM 방해 신호에 의해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거의 소멸된 상태는 도 7b의 실험 데이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7a는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LGM 방해 신호에 의해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거의 소멸된 상태를 참조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도 7a와 같이 최고치의 정전용량변화량(C)이 중간 부분에 집중 분포되지만, LGM 방해 신호가 출력되는 상황에서는 도 7b와 같이 최종 출력값(정전용량변화량(C))이 거의 소멸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실제 한 번의 빅터치가 이루어졌음에도 동일 지점에서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결국,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가 낮은(LOW GROUND) 전도성 객체로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연결되면 별도의 신호 전달 통로가 생성되고, 이 통로를 통해 구동전극으로 인가된 구동 신호가 수신전극에 전달되어 정상 터치 신호와 반대되는 LGM 방해 신호(또는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가 생성된다.
도 2의 터치센서패널 구동 방식에 따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한 셀 영역에 복수의 동일 수신전극(RX1)이 배치되면, LGM 방해 신호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된다. 즉, 도 8b의 (a)와 같이, 터치 면적 안에 배치된 동일한 수신전극(RX1)의 개수가 많거나, 도 8b의 (b)와 같이, 터치 면적 안에 배치된 동일한 구동전극(TX1)의 개수가 많은 경우, LGM 방해 신호가 상대적으로 많아짐을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8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식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을 갖는 장치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터치를 하면,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 또는 LGM 방해 신호가 터치 객체와 접촉된 수신전극(RX)을 통해 정상적인 터치 신호와 함께 출력되므로, 두 신호가 서로 혼합 또는 상쇄되어 도 3e의 (a), 도 6b, 및 도 7b와 같은 왜곡된 터치 신호가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LGM에 의한 복잡한 현상을 단순화하여 LGM 현상을 더욱 쉽게 분석할 수 있고, 왜곡된 터치 신호를 정상적인 터치 신호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는 구동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고,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수신전극으로 동작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구동전극으로 동작한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수직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일 수 있다.
수직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들 중 동일한 열에 배열된 복수의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12) 중 제2 열에 배열된 1번 내지 3번 구동전극(TX1, TX2, TX3)에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제2 열에 배열된 1번 내지 3번 구동전극(TX1, TX2, TX3)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제10 열에 배열된 1번 내지 3번 구동전극(TX1, TX2, TX3)에도 동일한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수신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변화량 신호를 읽어들인다.
다른 예를 들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12) 중 제4 열에 배열된 4번 내지 6번 구동전극(TX4, TX5, TX6)에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제4 열에 배열된 4번 내지 6번 구동전극(TX4, TX5, TX6)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제12 열에 배열된 4번 내지 6번 구동전극(TX4, TX5, TX6)에도 동일한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수신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변화량 신호를 읽어들인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12) 중 제6 열에 배열된 7번 내지 9번 구동전극(TX7, TX8, TX9)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제6 열에 배열된 7번 내지 9번 구동전극(TX7, TX8, TX9)에 소정의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제14 열에 배열된 7번 내지 9번 구동전극(TX7, TX8, TX9)에도 상기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수신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변화량 신호를 읽어들인다.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라인 드라이빙 구동 방법을 통해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 또는 LGM 방해 신호가 터치센서패널의 가로 축 방향으로만 발생되어 수신전극들을 통해 출력된다.
한편, 도 9의 (a) 내지 (c)는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수신전극으로 동작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구동전극으로 동작한 것으로 가정한 것인데, 반대로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이 구동전극으로 동작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이 수신전극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동일한 열에 배열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도 9의 (a) 내지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은, 도 9의 (a) 내지 (c) 중 어느 하나만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도 9의 (a) 내지 (c) 중 두개를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도 9의 (a) 내지 (c)를 모두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LGM 현상을 수직 축으로만 분석하므로, 복잡한 LGM 현상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LGM 현상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수직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 얻은 하나 이상의 제1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수직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 얻은 제1 터치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제어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연산 과정은 얻어진 제1 터치 신호들을 빼거나 더하거나 소정의 계수를 곱하거나 나누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LGM 상태의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여 출력되는 터치 신호(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에서 앞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복원된 터치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LGM 상태의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한다는 것은,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을 수신전극으로 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구동전극으로 하거나, 반대로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을 구동전극으로 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수신전극으로 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제어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에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빼거나 더하여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고,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수신전극으로 동작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구동전극으로 동작한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은, 수평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이다.
수평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은, 복수의 구동전극들 중 동일한 행에 배열된 복수의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12) 중 제1 행에 배열된 1번, 4번, 7번, 10번 구동전극(TX1, TX4, TX7, TX10)에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제1 행에 배열된 1번, 4번, 7번, 10번 구동전극(TX1, TX4, TX7, TX10)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제4 행, 제7 행, 제9 행에 배열된 1번, 4번, 7번, 10번 구동전극(TX1, TX4, TX7, TX10)에도 동일한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수신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변화량 신호를 읽어들인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12) 중 제2 행에 배열된 2번, 5번, 8번, 11번 구동전극(TX2, TX5, TX8, TX11)에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제2 행에 배열된 2번, 5번, 8번, 11번 구동전극(TX2, TX5, TX8, TX11)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제5 행, 제8 행, 제11 행에 배열된 2번, 5번, 8번, 11번 구동전극(TX2, TX5, TX8, TX11)에도 동일한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수신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변화량 신호를 읽어들인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12) 중 제3 행에 배열된 3번, 6번, 9번, 12번 구동전극(TX3, TX6, TX9, TX12)에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제3 행에 배열된 3번, 6번, 9번, 12번 구동전극(TX3, TX6, TX9, TX12)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제6 행, 제9 행, 제12 행에 배열된 3번, 6번, 9번, 12번 구동전극(TX3, TX6, TX9, TX12)에도 동일한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수신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변화량 신호를 읽어들인다.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 또는 LGM 방해 신호가 터치센서패널의 세로 축 방향으로만 발생되어 수신전극들을 통해 출력된다.
한편, 도 10의 (a) 내지 (c)는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은 수신전극으로 동작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은 구동전극으로 동작한 것으로 가정한 것인데, 반대로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이 구동전극으로 동작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이 수신전극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은,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동일한 행에 배열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은, 도 10의 (a) 내지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은, 도 10의 (a) 내지 (c) 중 어느 하나만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0의 (a) 내지 (c) 중 두개를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도 10의 (a) 내지 (c)를 모두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에 의하면, LGM 현상을 수평 축으로만 분석하므로, 복잡한 LGM 현상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LGM 현상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수평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 얻은 하나 이상의 제2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수평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 얻은 제2 터치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제어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연산 과정은 얻어진 제2 터치 신호들을 빼거나 더하거나 소정의 계수를 곱하거나 나누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LGM 상태의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여 출력되는 터치 신호(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에서 앞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복원된 터치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LGM 상태의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한다는 것은,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을 수신전극으로 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구동전극으로 하거나, 반대로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을 구동전극으로 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수신전극으로 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제어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에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빼거나 더하여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또 다른 구동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과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을 함께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과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센서패널의 다른 구동방법을 함께 이용하면, LGM 현상을 수평 축과 수직 축으로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분석하므로, 복잡한 LGM 현상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LGM 현상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 얻은 제1 터치 신호와 수평 라인 드라이빙 구동방법을 통해 얻은 제2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신호와 제2 터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제어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연산 과정은 두 터치 신호를 빼거나 더하거나 소정의 계수를 곱하거나 나누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LGM 상태의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여 출력되는 터치 신호(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에서 앞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복원된 터치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LGM 상태의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한다는 것은,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을 수신전극으로 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구동전극으로 하거나, 반대로 홀수열에 배열된 제1 전극들을 구동전극으로 하고 짝수열에 배열된 제2 전극들을 수신전극으로 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제어부(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에서 검출된 LGM에 의한 커플링 신호(또는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빼거나 더하여 LGM에 의해 왜곡된 터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2.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으로 출력되는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5.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6.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출력되는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9.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구동전극들로 상기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으로 출력되는 제1 터치 신호와 상기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으로 출력되는 제2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12. 복수의 구동전극과 복수의 수신전극이 단일층에 형성된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동일한 행에 배치된 수신전극들로 상기 구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출력되는 제1 터치 신호와 상기 수평 라인 드라이빙 단계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출력되는 제2 터치 신호를 기초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순차 구동 방식 또는 멀티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출력되는 터치 신호에 상기 검출된 LGM 방해 신호의 크기를 반영하여 LGM 방해 신호에 의한 영향이 제거된 터치 신호를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PCT/KR2019/010416 2018-08-16 2019-08-16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WO20200364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15A KR20200020250A (ko) 2018-08-16 2018-08-16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KR10-2018-0095715 2018-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457A1 true WO2020036457A1 (ko) 2020-02-20

Family

ID=6952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416 WO2020036457A1 (ko) 2018-08-16 2019-08-16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20250A (ko)
WO (1) WO202003645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5184A (ja) * 2010-02-05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パネルのノイズ補償方法及び装置
KR20120119419A (ko) *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터치감지회로
KR20150108003A (ko) * 2014-03-14 2015-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5167144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패널
KR20180062540A (ko) * 2016-11-30 2018-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5184A (ja) * 2010-02-05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パネルのノイズ補償方法及び装置
KR20120119419A (ko) *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터치감지회로
KR20150108003A (ko) * 2014-03-14 2015-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5167144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패널
KR20180062540A (ko) * 2016-11-30 2018-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50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8126A1 (ko) 스마트폰
WO2016129827A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전극 시트
WO2016064237A2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6167529A1 (ko) 압력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WO2015016562A1 (ko) 터치 센서 패널, 터치 검출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6089149A1 (ko)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위치와 터치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WO2020149658A2 (ko) 터치센서패널 및 터치입력장치
WO2011126214A2 (en) Touch sensing panel and device for detecting multi-touch signal
WO2017135774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20204345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6195309A1 (ko)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감도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23108A1 (ko) 터치 검출기, 터치 검출 칩 및 터치 입력 장치
WO2014208897A1 (ko)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16182347A1 (ko) 압력 센싱 장치, 압력 검출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장치
WO2016159501A1 (ko) 터치 센서
WO2016195308A1 (ko)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감도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8097435A1 (ko)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9156448A1 (ko) 터치 입력 장치
KR20200015355A (ko) 터치센서패널 및 터치입력장치
WO2010110532A2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WO2018135840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20036457A1 (ko) 터치센서패널의 구동방법
WO2019245255A1 (ko) 터치입력장치의 공통모드노이즈 제거 방법 및 동일 방법으로 구현된 터치입력장치
WO2013183925A1 (ko)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20197088A2 (ko) 터치센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0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50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