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36242A1 -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 Google Patents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36242A1
WO2020036242A1 PCT/KR2018/009469 KR2018009469W WO2020036242A1 WO 2020036242 A1 WO2020036242 A1 WO 2020036242A1 KR 2018009469 W KR2018009469 W KR 2018009469W WO 2020036242 A1 WO2020036242 A1 WO 20200362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ri
implantitis
coa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94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종평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벡
Priority to EP18930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42041A4/en
Priority to CN201880097769.6A priority patent/CN112770740B/zh
Priority to US17/268,903 priority patent/US20210267731A1/en
Priority to PCT/KR2018/009469 priority patent/WO2020036242A1/ko
Publication of WO20200362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362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5Pyridinium derivatives, e.g. pralidoxime, pyrid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29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s, e.g. defen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g. benzalkonium chloride or cetr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and an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cetylpyridinium chloride, octy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containing phenol ethoxylate and sodium bicarbonat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n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Periodontal disease is often referred to as a taste, it is divided into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periodontiti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disease. It is a relatively light and fast-recovering form of periodontal disease, ie gingivitis, which is limited to gums, or soft tissues. There is a V-shaped gap between the gingival and the teeth, where bacteria attack the sulcus below the gum line, damaging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djacent tissue. As the inflammation progresses and more tissue is damaged, the groove develops into a periodontal pocket. The more severe periodontitis, the deeper the periodontal sac becomes.
  • Periodontal ligament becomes inflamed and bone loss can cause loss of teeth.
  • the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is a plaque (Plaque) is formed on the teeth of the bacteria, the type of bacteria include Prevotella intermedia, Actinomyces israelii, Fusobacterium nucleatum .
  • peri-implantitis is inflammation of the gums and gum bones around the implant.
  • peri-implantitis is an inflammation of the gums around the implant, which, when severe, is similar to periodontitis in which the gum bone is absorbed.
  • the implants do not have periodontal ligaments and nerves in natural teeth, so the inflammatory response occurs faster and more destructively than natural teeth.
  • Direct causative agents of peri-implantiti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periodontitis.
  • Treatment methods for regeneration of tissues destroyed by periodontal disease and removal of bacteria include tartar removal and root surface lubrication. However, after mechanical cleaning, a germ layer is formed on the root surface, which inhibits fibroblast adhesion and adherent tissue adhesion, and serves as a substrate for bacterial growth, which can interfere with the healing of periodontal tissue.
  • Research into treatment methods has been made (KR 10-1453206B1). It is a drug that removes bacteria and bacteria-induced toxic substances at the time of mechanical treatment.
  • fluoride,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chlorohexidine, formalin, cetylpyridinium chloride, sodium-N-lauroyl sarcosine And zinc iontophoresis have been studi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a composition that can alleviate and prevent symptoms of gingivitis and peri-implantitis,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in a convenient form for the patient to use after brushing Developed.
  • the composition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is used in clinical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e effect of alleviating gingivitis and peri-implantitis.
  • the present invention is 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cetylpyridinium chloride (cetylpyridinium chloride), octyl phenol ethoxylate (octyl phenol ethoxylate), and sod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plant crown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orthodontic device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gingivitis or implants comprising applying the composition between the teeth, around the implant or around the orthodontic devi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or washing between the teeth, around the implant or around the orthodontic device with the composi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peripheral inflamm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said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 1 is a photo of the composition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effective to alleviate and prevent symptoms of gingivitis and peri-implant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bacteria are remov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rown mounted on the implant contaminated by bacteria.
  • Figure 3 is a clinical picture show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swelling and bleeding symptoms of the gums us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ant fixture.
  • Figure 4 is a clinical picture showing the effect of removing the bacteria around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gum inflammation relief 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 Figure 5 is a clinical picture showing the effect of gum inflammation is relieved when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 the bottom of the implant crown.
  • Figure 6 is a result show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sta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antimicrobial peptide is further added.
  • a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ethylene diaminetetra acetate, cetylpyridinium chloride, octyl phenol ethoxylate and sodium bicarbonate in the case of using the coated interdental toothbrush, it was possible to clinically confirm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symptoms of peri-implantitis and gingivitis.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ctive ingredient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cedilpyridinium chloride), octyl phenol ethoxylate (octyl phenol ethoxylate), and sodium bicarbonate in a consistent point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is a substance that forms chelation with divalent cations such as Ca 2+ , Mg 2+ , Fe 2+ , and Pb 2+ at neutral pH and reacts with calcium ions in dentin Formation of calcium complexes may remove the bacterial layer produced during root surface glidation and expose fresh collagen substrates to promote the migration of fibroblasts by chemotaxis and provide a place for maintaining growth factors with biological activity. Therefore,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mineral component present on the root surface and antibacterial effect.
  • Octyl phenol ethoxylate (C 14 H 22 O (C 2 H 4 O) n ) is a nonionic surfactant, 4- (1,1,3,3-tetramethylbutyl, hydrophobic It has a) -phenyl group and is widely used as a detergent in the biochemical field.
  • Octyl phenol ethoxylate permeabilizes the cell membrane at 0.1-0.5% concentration and permeabilize the bacterial cell wall at 1% concentration in immunostaining. Let's do it.
  • Octyl phenol ethoxylate (octyl phenol ethoxy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lipopolysaccharide (lipopolysaccharide, LPS).
  • nonionic surfactants widely used in the art include polyoxyethylene, Tweens, and spans, but octyl phenol ethoxylate has been tested for the removal effect of lipopolysaccharides. Lipopolysaccharide removal effect was found to be the largest.
  • cetylpyridinium chloride is a tetravalent ammonium compound, which has the effect of killing bacteria and microorganisms,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ooth plaque and gum inflammation.
  • Sodium bicarbonate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H adjustment and polishing.
  • the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is 15 to 30 parts by weight of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octyl phenol ethox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1 to 2 parts by weight cetylpyridinium chloride may be 0.01 to 1 parts by weight
  • sod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 the demineralization effect is not large, and when the content of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does not increase the demineralization effect, there is no benefit from increasing the content.
  • the content of octyl phenol ethoxylate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removing lipopolysaccharides does not occur, and when the content of more than 2 parts by weight does not increase the lipopolysaccharide removal effect, There is no profit from the increase.
  • cetylpyridinium chloride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re is no antimicrobial effect, and if it exceeds 1 part by weight, the antimicrobial effect does not increase and there is no benefit from increasing the content.
  • sodium bicarbonate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n pH adjustment and polishing is not great, and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teeth wear out, so there is no benefit from the increase of the content.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n antibacterial peptide.
  • the antimicrobial peptide is the antimicrobial peptid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uman alpha-defensin ( ⁇ -defensin), human beta-defensin ( ⁇ -defensin), catericidin, LL-37 and histatin (Histati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timicrobial peptides are present in the human innate immune system and bind to and puncture cell membranes, providing a broad range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fungi and viruses (Brogden KA. Antimicrobial peptides: pore formers or metabolic inhibitors). Nat Rev Microbiol 2005; 3: 238.50., S ⁇ rensen OE.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in innate immune responses, Contrib Microbiol 2008; 15: 61.77.). In addition, some antimicrobial peptides also play a role in neutralizing the activity of LPS (Rosenfeld Y, Papo N, Shai Y. Endotoxin (lipopolysaccharide) neutralization by innate immunity host-defense peptides, Peptide properties and plausible modes of action, J Biol Chem 2006; 281: 163643.
  • Antimicrobial peptides are produced in various cells involved in infection, such as epithelial cells, neutrophils, and salivary glands. Among them are human defensins, cathelicidin, LL-37, histatin, etc., and the peptides have cations, and sepsis caused by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Scott MG. Et al ., Interaction of cationic peptides with lipoteichoic acid and Gram-positive bacteria., Infect Immun 1999; 67: 6445.53., Giacometti A. et al ., Potential therapeutic role of cationic peptides in three experimental models of septic shock.,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2; 46: 2132.6.).
  • the antimicrobial peptid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microbial peptides represented by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SEQ ID NO: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microbial peptide represented by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shows the best effect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timicrobial peptide is the antimicrobial peptide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1 ⁇ 10 -5 ⁇ 1 ⁇ 10 -3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parts by weight of 1 ⁇ 10 which the antimicrobial peptide If the conte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antimicrobial effect is not great, and if it contains more than 1 ⁇ 10 -3 parts by weight, the antibacterial effect does not increase and there is no benefit from the increase in the content.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olis, xylitol and proteolytic enzymes, may further include a propolis or xylitol to improve the sensory properties, protein Degrading enzymes can be added to enhance the antimicrobial and lipopolysaccharide removal effect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include excipients (e.g., starch, lactose,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etc.), binders (e.g., starch, gum arabic, carboxymethylcellulose, hydroxymethylcellulose, Crystalline cellulose, etc.), lubricants (e.g., magnesium stearate, talc, etc.), disintegrating agents (e.g.,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talc synthetic aluminum silicate, etc.), diluents (e.g., water, vegetable oils, etc.) Or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 excipients e.g., starch, lactose,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etc.
  • binders e.g., starch, gum arabic, carboxymethylcellulose, hydroxymethylcellulose, Crystalline cellulose, etc.
  • lubricants e.g., magnesium stearate, talc, etc.
  • disintegrating agents e.
  •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mulated as a powder, microgranules, liquid, powder, spray, ointment or gelling agent, of which the most preferably formulated as a gelling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interdental toothbrush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is coated 0.01 to 0.04g per piece, which is when the coating weight is less than 0.01g, the coating is not properly made on the bristles, when the excess exceeds 0,04g, This is because the coating layer is peeled off.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crown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implant crow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ted with 0.05 ⁇ 0.2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device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orthodontic device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ated with 0.01 ⁇ 0.1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itis or peri-implantitis using the composition or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gingivitis or implant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the composition between the teeth, around the implant or around the orthodontic devi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or washing between the teeth, around the implant or around the orthodontic device with the composition Provides treatment for peripheral inflammation.
  •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 of rinsing the composition with a soft brush or with an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between the teeth, around the implant or around the orthodontic appliance.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 this case, it may be characterized by washing for 1 to 3 times once or twice a day.
  • step (a)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before the first implant or re-establishment of the implant crown isolated from the patient surrounding the peri-implantitis.
  • the composition may be coated with 0.05 ⁇ 0.2g in the implant cr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moving the implanted implant crown; And (b) apply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mplant crown removed with the composition of claim 1.
  • th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0.05 ⁇ 0.2g around the implant crown is remo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in order to minimize the irritation of the inflammation site, it can be applied using a soft fine hair brush or the lik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ating the orthodontic device with the composition; And (b) mounting the coated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ooth.
  • the composition may be coated with 0.01 ⁇ 0.1g in the orthodont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coated on a tooth orthodontic appliance.
  • the composition may be coated with 0.01 ⁇ 0.1g in the orthodont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ating is a technique of sufficiently apply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nterdental toothbrush, implant crown, orthodontic device surf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simply to coat the interdental toothbrush, implant crown, orthodontic device There may be a method of immersing the site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1 second to 10 minutes, another method is to use the brush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implant crown, the site to be coated in the orthodontic device, etc. Can be applied evenly or applied.
  • the composition of the dental cleanser interdental toothbrush is 10ea / set.
  • the weight of the set of dental cleanser interdental toothbrushes (10ea / set) was measured on a scale before coating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 BSC type clean bench
  • the bristle par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was completely immersed in the airtight container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so as to be completely immersed in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then left upside down to the extent that the composition does not fall, and then stood on a drying rack. It was dried completely in a clean bench (BSC type).
  • the weight of the dried interdental toothbrush was measured on a scale to compare the weight before and after coating to confirm the amount of coating.
  • Implant crowns were detached from patients with peri-implantitis and the degre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observed using a disclosing solution.
  •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implant crown surface and after 1-2 minutes, washed with saline.
  • 2 is a photograph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to an implant crown. Before applying the composition, it was dyed red, but 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and washed, it was not dyed by the tooth colorant, which proves that the bacteria and contaminants are completely removed.
  • Example 1 was effective for peri-implantitis.
  • Example 1 was applied to a patient having a lot of gum inflammation and plaque among the patients with the orthodontic appliance (FIG. 4). When stained around the braces with toothpaste, it was stained red.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applied around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rubbed using a micro brush, and the remaining composition was washed with a cotton swab and saline. One week later, when observed again, plaque and inflammation were observed to disappear. This demonstrates that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is effective in plaque removal and gum inflammation relief.
  •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applied to a patient having peri-implantitis among the implants (FIG. 5).
  • the patient used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at home once a day for 6 days, and after 1 week visited, the inflammation around the implant was removed. This proves that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is effective for peri-implantitis.
  • the antimicrobial peptide was further added to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to induce an improvement in efficacy, and the following peptide was used for this purpose.
  • an antimicrobial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liquid dilution method.
  • Periodontal causative organism Prevotella intermedia , was cultured in Tryptic soy broth. The above strains were cultured until the absorbance was 1 at 620 nm, and the cell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experiment. Plated 10 5 to 10 7 bacteria per ml was diluted with PBS to TSA (tryptic soy agar) plates and incubated at 37 °C for 24 hours.
  • the peptide of SEQ ID NO: 2 ha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t 100 ⁇ g / m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better than that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composition mixed with the peptide of SEQ ID NO: 2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removes the bacteria causing gingivitis and peri-implantitis to relieve inflammation, and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ated with the composition is easily applied to teeth, implants, orthodontic devices, etc. And can treat and prevent peri-implantitis, and the composition can be directly coated on the implant crown and orthodontic device as well as the inflamed part of the patient so that the composition can act on the affected area for a longer time than the method applied directly to the affected area. Mitigation effects can be improved.
  • the presence of bacteria that cause inflammation, but can be removed from the implant crown and orthodontic appliance that is not wiped with brushing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gingivitis and peri-implan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유발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고,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은 치아 사이, 임플란트, 치아교정장치 등에 적용이 용이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본 발명은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 (periodontal disease)은 흔히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에는 V자 모양의 틈이 있는데, 이 홈(sulcus)의 잇몸 선 아래 부분을 박테리아가 공격하여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을 손상시키게 된다. 염증이 진행되어 더 많은 조직이 손상되면서 홈이 치주낭(periodontal pocket)으로 발전하게 되며,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치주인대에 염증이 생기게 되고 골소실이 일어나게 되면 치아까지 상실될 수 있다. 치주질환의 원인은 치아에 형성되는 플라크 (Plaque)라는 세균막이며, 그 세균의 종류로는 Prevotella intermedia, Actinomyces israelii, Fusobacterium nucleatum 등이 있다.
한편, 임플란트 주위염이란 임플란트 주위에서 잇몸과 잇몸뼈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될수록, 임플란트의 시술 건수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초기 임플란트 주위염은 임플란트 주위 잇몸에만 염증이 생기다가 심해지면 잇몸뼈가 흡수되는 치주염과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경우, 자연치아에 있는 치주인대 및 신경이 없기 때문에, 자연치아보다 더 빠르고 파괴적으로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임플란트 주위염의 직접적인 원인균은 치주염에서 발견되는 세균들과 유사하다.
이러한 치주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복용하여 치면세균막을 형성하는 원인균을 퇴치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사용시 발생되는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임상에서는 사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불소 화합물을 이용하거나, 자동 치아세척기구를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효과면에서 큰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항생제 이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의 경우, 액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의 지속기간이 짧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치아에 변색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치주질환으로 인해 파괴된 조직의 재생과 세균 제거를 위한 시술 방법으로는 치석제거술 및 치근면활택술이 있다. 그러나 기계적 청소 후 치근표면에 세균층이 형성되어 섬유모세포 부착 및 결합조직부착을 저해하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는 기질로 제공되어 치주조직의 치유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으로 치근 세척제를 이용한 치근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KR 10-1453206B1). 기계적 처치시에 세균 및 박테리아에서 유도된 독성물질을 같이 제거하는 약제로 구연산(citric acid), 피브로넥틴(fibronectin), 염산 테트라싸이클린 (tetracycline hydrochloride, Tc-HCl), 인산(phosphoric acid), 불화석(stannous fluoride),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포르말린(formalin),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나트륨-N-라우로일 사르코신(sodium-N-lauroyl sarcosine), 아연 이온삼투요법(zinc iontophoresis)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세균 제거용 약제의 경우(예를 들어, KR 10-0621191, KR 10-0978822 B1), 그 액성이 산성이어서 잇몸에 자극을 주었으며,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에 의해 시술받는 것으로 개발되어 있어, 환자가 지속적으로 유지관리 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제는 일반적인 치약 및 가글제가 대부분이며, 그 효과 및 지속성이 크지 않다. 치주질환은 초기에 대처하지 않으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평소의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므로, 증상의 완화뿐만 아니라 환자가 가정에서 쉽게 사용하면서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환자가 양치후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형태로 상기 조성물을 코팅한 치간칫솔을 개발하였다. 상기 조성물과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임상에서 사용하였을 때,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의 용도,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상기 증상의 치료 및 예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임플란트 크라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치료하고자 하는 객체의 치아 사이, 임플란트 주변부 또는 치아교정장치 주변부에 도포하거나 상기 조성물로 치아 사이, 임플란트 주변부 또는 치아교정장치 주변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를 위한 의약품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과 그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 사진이다.
도 2는 세균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임플란트 위에 장착된 크라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하여 세균이 제거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임플란트 고정체에 사용하여 잇몸의 붓기와 출혈증상이 감소한 효과를 나타낸 임상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치아교정장치에 적용한 후, 치아교정장치 주위의 세균을 제거 및 잇몸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임상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임플란트 크라운 하단에 사용하였을 때, 잇몸염증이 완화된 효과를 나타낸 임상사진이다.
도 6은 항균 펩타이드가 추가로 첨가된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예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sodium ethylene diaminetetra acetat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 (octyl phenol ethoxylate)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효과 및 치은치주염 증상 완화 효과를 임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는 중성 pH에서 Ca2+, Mg2+, Fe2+, 및 Pb2+와 같은 2가 양이온과 킬레이션을 형성하는 물질로 상아질 내 칼슘이온과 반응하여 칼슘착염을 형성하여 치근면 활택시 생성된 세균층을 제거하고 신선한 교원질 기질을 노출시켜 화학주성에 의한 섬유모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성장인자를 유지하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는 치근 표면에 존재하는 미네랄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와 항균효과를 가진다.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C14H22O(C2H4O)n)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친수성 polyethylene oxide기와 소수성인 4-(1,1,3,3-tetramethylbutyl)-phenyl 기를 가지고 있고, 생화학분야에서 세정제(detergent)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는 면역염색법(immunostaining)에서 0.1~0.5%농도에서는 세포막(cell membrane)에 투과(permeabilization)시키고 1%농도에서는 박테리아의 세포벽(cell wall)을 투과(permeabilize)시킨다. 본 발명에서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는 리포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 기술분야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polyoxyethylene), Tween류, span류 등이 있으나, 리포다당류의 제거효과를 시험한 결과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의 리포다당류 제거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는 4가 암모니움 화합물로서 박테리아와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치아 플라크와 잇몸염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는 pH 조절 및 연마작용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15~30 중량부,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 1~2 중량부,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는 0.01~1 중량부,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는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탈미네랄 효과가 크지 않고, 30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탈미네랄 효과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함량의 증가에 따른 실익이 없다. 또한,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리포다당류를 제거하는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2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리포다당류 제거효과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함량의 증가에 따른 실익이 없다.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에 있어서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 효과가 없고,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함량의 증가에 따른 실익이 없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에서는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pH 조절 및 연마작용에 대한 효과가 크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치아를 마모시키기 때문에, 함량의 증가에 따른 실익이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균 펩타이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인간 알파-디펜신(α-defensin), 인간 베타-디펜신(β-defensin), 카세리시딘(cathelicidin), LL-37 및 히스타틴(Histat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항균 펩타이드는 인간의 선천적인 면역 시스템에 존재하고 있으며, 세포막에 결합하고 구멍을 냄으로써, 박테리아(bacteria), 곰팡이, 바이러스에 대해 넓은 범위의 항균력을 보인다(Brogden KA. Antimicrobial peptides: pore formers or metabolic inhibitors in bacteria. Nat Rev Microbiol 2005;3:238.50., Sørensen OE.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in innate immune responses, Contrib Microbiol 2008;15:61.77.). 또한, 그 중 어떤 항균 펩타이드는 LPS의 활성을 중화시키는 역할도 한다(Rosenfeld Y, Papo N, Shai Y. Endotoxin(lipopolysaccharide) neutralization by innate immunity host-defense peptides, Peptide properties and plausible modes of action, J Biol Chem 2006;281:163643).
항균 펩타이드는 상피세포, 호중구, 침샘 등 감염에 관계하는 다양한 세포에서 생산된다. 그 중 인간 디펜신(human defensin)류, 카세리시딘(cathelicidin), LL-37, 히스타틴(Histatin)류 등이 있으며, 상기 펩타이드들은 양이온을 띄고 있으며, 그람음성, 그람양성균에 유발되는 패혈증과 염증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Scott MG. et al., Interaction of cationic peptides with lipoteichoic acid and Gram-positive bacteria., Infect Immun 1999;67:6445.53., Giacometti A. et al., Potential therapeutic role of cationic peptides in three experimental models of septic shock.,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2;46:2132.6.).
한편,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항균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항균 펩타이드는 항균 활성에서 가장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활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서열번호 1 펩타이드 GKCST RGRKC CRRKK-NH2
서열번호 2 펩타이드 GKSST RGRKS CRRKK-NH2
서열번호 3 펩타이드 GKCST RGRKS SRRKK-NH2
서열번호 4 펩타이드 GKSST RGRKC SRRKK-NH2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펩타이드는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 1×10-3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이는 항균 펩타이드를 1×10-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하면 항균 효과가 크지 않고, 1×10-3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항균 효과가 증가하지 않아 함유 증가에 따른 실익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자일리톨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는데, 프로폴리스 또는 자일리톨을 추가로 포함하여 관능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항균효과 및 리포다당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부형제(예를 들어, 녹말, 락토오스, 탄산칼슘, 인산칼슘 등), 결합제(예를 들어, 녹말, 아라비아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결정성 셀룰로오즈 등), 윤활제(예를 들어,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활석 등), 분해제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칼슘, 활석 합성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 희석제(예를 들어, 물, 식물유 등)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미세과립, 액제, 산제, 분무제, 연고제 또는 겔상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 중 겔상 제제로 제형화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치간칫솔은 개당 상기 조성물이 0.01~0.04g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코팅 중량이 0.01g 미만일 경우, 칫솔모에 코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0,04g을 초과할 경우, 과도하게 코팅이 되어 코팅층이 벗겨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임플란트 크라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임플란트 크라운은 0.05~0.2g 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치아교정장치는 0.01~0.1g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의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를 위한 의약품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이용한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치료하고자 하는 객체의 치아 사이, 임플란트 주변부 또는 치아교정장치 주변부에 도포하거나 상기 조성물로 치아 사이, 임플란트 주변부 또는 치아교정장치 주변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및 예방방법의 하나의 실시 양태로는, 상기 조성물을 부드러운 브러쉬에 묻혀서 또는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로, 치아 사이, 임플란트 주변부 또는 치아교정장치 주변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일 1~2회로 1~3주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는, (a) 임플란트 크라운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b) 코팅된 임플란트 크라운을 식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임플란트 최초 식립 전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환자로부터 분리된 임플란트 크라운의 재식립 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임플란트 크라운에 0.05~0.2g을 코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는, (a) 식립한 임플란트 크라운을 제거하는 단계; 및 (b) 임플란트 크라운이 제거된 주위를 제1항의 조성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임플란트 크라운이 제거된 주위에 0.05~0.2g을 도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염증 부위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드러운 미세모의 브러쉬 등을 이용해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는, (a) 치아교정장치를 상기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및 (b) 코팅된 치아교정장치를 치아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치아교정장치에 0.01~0.1g을 코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는, 치아에 장착된 치아교정장치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치아교정장치에 0.01~0.1g을 코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코팅이란 치간칫솔, 임플란트 크라운, 치아교정장치 표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일정 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히 도포하는 기법으로, 간단하게는 치간칫솔, 임플란트 크라운, 치아교정장치의 코팅하고자 하는 부위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1초 내지 10분 동안 담그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치간칫솔, 임플란트 크라운, 치아교정장치의 코팅하고자 하는 부위에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루 묻히거나 바르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의 제조
나트륨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1.5g 와 착향제인 L-멘톨 1g을 약 100℃ 정도의 73.45g의 정제수에 녹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17g 아세틸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이수화물 (EDTA-2Na-2H2O)을 넣어 약 100℃정도에서 2차 혼합하였다. 1g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인 Triton X-100(Sigma, USA),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5g, 자일리톨(Xylitol)1g,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C)0.05g을 상기 2차 혼합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하여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조하고 주사기에 충진하였다 (도 1).
실시예 2: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의 제조
치과용 클린저 치간칫솔의 구성은 10ea/set이다.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코팅하기 전 치과용 클린저 치간칫솔의 세트(10ea/set)의 무게를 저울로 측정하였다. 클린벤치(BSC type)에서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담긴 밀폐용기에 치간칫솔의 칫솔모 부분이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완벽하게 잠길 정도로 담근 후, 조성물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까지 거꾸로 방치한 후, 건조대에 세워 클린벤치(BSC type)안에서 완벽하게 건조시켰다. 건조된 치간칫솔의 무게를 저울로 측정하여 코팅 전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코팅된 양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KR2018009469-appb-T000001
실험예 1: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적용한 임플란트 크라운의 세균 제거 효과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환자로부터 임플란트 크라운을 탈착하여 치면착색제 (disclosing solution)를 사용하여 세균의 오염정도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임플란트 크라운 표면에 적용하고 1-2분 방치후에,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도 2는 임플란트 크라운에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이후의 사진이다.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에는 붉게 염색이 되었으나, 조성물을 적용하여 세척한 이후에는 치면착색제에 의해 염색이 되지 않았으며, 이는 세균 및 오염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된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험예 2: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적용한 임플란트 주위염 환자의 임상효과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 중에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환자에게 임플란트 크라운을 제거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적용하였다 (도 3). 조성물 적용하고 2일, 6일, 2주 후를 관찰한 결과, 임플란트 주위의 염증과 붓기, 출혈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조성물 적용 2주 후에는 염증이 완전히 제거되어 임플란트 크라운을 다시 장착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임플란트 주위염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적용한 치아교정장치를 부착한 환자의 임상효과
치과교정장치를 부착한 환자 중에 잇몸 염증 및 플라크가 많이 발생한 환자에게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적용하였다 (도 4). 치면착색제로 치아교정장치 주위를 염색했을 때, 붉게 염색이 되었다. 치아교정장치 주위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적용하고 마이크로 브러쉬를 사용하여 문지르고, 남아있는 조성물을 면봉과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1주일 후, 다시 관찰하였을 때, 플라크와 염증이 제거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플라크 제거 및 잇몸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험예 4: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적용한 임플란트 주위염 환자의 임상효과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 중에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환자에게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적용하였다 (도 5). 환자가 집에서 하루에 한번씩 6일 동안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을 사용하고, 1주일 후에 내원하여 관찰한 결과, 임플란트 주위의 염증이 제거되었다. 이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이 임플란트 주위염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험예 5: 항균 펩타이드 첨가에 따른 효능 개선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항균 펩타이드를 추가로 첨가하여 효능의 개선을 유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하기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서열번호 1 펩타이드 GKCST RGRKC CRRKK-NH2
서열번호 2 펩타이드 GKSST RGRKS CRRKK-NH2
상기 항균 펩타이드를 첨가한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액체 희석법에 따라 항균실험을 진행하였다. 치주원인균인 Prevotella intermedia를 Tryptic soy broth에서 배양하였다. 위의 균주들은 620nm에서 흡광도가 1이 될 때까지 배양한 후 세포를 수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BS로 희석하여 ml당 105-107 개의 박테리아를 TSA(tryptic soy agar) 플레이트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액체 희석법을 이용하여 펩타이드에 의한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미세튜브에 1ml의 증류수를 넣은 후 10㎕의 희석된 균액을 넣어 평판배지에 50㎕를 도말하여 대조군(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50㎍/ml, 100㎍/ml,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50㎍/ml, 100㎍/ml의 농도로 37℃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50㎕를 도말하여 생성된 콜로니 수를 카운팅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혼합한 조성물,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를 혼합한 조성물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는 100㎍/ml일 경우 가장 항균력이 높았으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동일한 농도일 때보다 항균 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만 사용할 경우 보다 항균 펩타이드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항균 효과가 더 증가하였고, 특히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를 혼합한 조성물의 항균 효과가 더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유발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고,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치간칫솔은 치아 사이, 임플란트, 치아교정장치 등에 적용이 용이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환자의 염증 부위 뿐 아니라 임플란트 크라운 및 치아교정장치에 직접 코팅이 가능하여 환부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에 비해 더 오랜 기간 환부에 조성물이 작용할 수 있어 염증 완화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이 존재하지만 칫솔질로 닦이지 않는 임플란트 크라운과 치아교정장치의 세균 제거가 가능하여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파일 첨부하였음.

Claims (12)

  1.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octyl phenol ethoxylate),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15~30 중량부, 옥틸 페놀 에톡시레이트 1~2 중량부,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0.01~1 중량부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항균 펩타이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인간 알파-디펜신(α-defensin), 인간 베타-디펜신(β-defensin), 카세리시딘(cathelicidin), LL-37 및 히스타틴(Histat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항균 펩타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 1×10-3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간칫솔은 개당 상기 조성물이 0.01~0.04g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치간칫솔.
  9. 제1항의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임플란트 크라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크라운은 개당 상기 조성물이 0.05~0.2g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임플란트 크라운.
  11. 제1항의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아교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교정장치는 개당 상기 조성물이 0.01~0.1g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치아교정장치.
PCT/KR2018/009469 2018-08-17 2018-08-17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WO202003624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930407.4A EP3842041A4 (en) 2018-08-17 2018-08-17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INGIVA PERIODONTITIS OR PERI-IMPLANTITIS AND INTERDENTAL BRUSH COATED THEREOF
CN201880097769.6A CN112770740B (zh) 2018-08-17 2018-08-17 用于治疗和预防龈牙周炎或种植体周围炎的组合物以及涂覆有该组合物的牙间刷
US17/268,903 US20210267731A1 (en) 2018-08-17 2018-08-17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ingivoperiodontitis or peri-implantitis, and interdental brush coated with same
PCT/KR2018/009469 WO2020036242A1 (ko) 2018-08-17 2018-08-17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9469 WO2020036242A1 (ko) 2018-08-17 2018-08-17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242A1 true WO2020036242A1 (ko) 2020-02-20

Family

ID=6952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9469 WO2020036242A1 (ko) 2018-08-17 2018-08-17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67731A1 (ko)
EP (1) EP3842041A4 (ko)
CN (1) CN112770740B (ko)
WO (1) WO2020036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7751A (zh) * 2022-11-15 2023-04-04 浙江大学 钛种植体表面组装β防御素小分子多肽的方法及钛种植体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191B1 (ko) 2005-07-07 2006-09-07 롯데쇼핑주식회사 폴리리신을 함유한 치아세정지용 조성물
KR100978822B1 (ko) 2005-02-15 2010-08-30 씨칸 리미티드 부식방지 세제 조성물과 치과 및 의료 기기 세정에의 용도
KR20110098685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나이벡 치아의 접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용 클린저 조성물
KR101249702B1 (ko) * 2010-06-16 2013-04-05 주식회사 나이벡 항균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53206B1 (ko) 2013-07-25 2014-10-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근관세척용 나노기포발생장치
KR20160123391A (ko) * 2010-08-07 2016-10-25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포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아연 화합물 및 항-미생물제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046395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75602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치간 칫솔용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간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3135B2 (en) * 2000-06-30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s of anti-bacterial and host-response modulating agents
US6355229B1 (en) * 2001-06-27 2002-03-12 Church & Dwight Co., Inc. Oral composition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265252A2 (en) * 2008-02-19 2010-12-29 Marvel Lifesciences Limited Ophthalmic preparation containing a pyridinol derivate
CA2851146C (en) * 2011-10-08 2023-08-01 Next Science, Ll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employing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22B1 (ko) 2005-02-15 2010-08-30 씨칸 리미티드 부식방지 세제 조성물과 치과 및 의료 기기 세정에의 용도
KR100621191B1 (ko) 2005-07-07 2006-09-07 롯데쇼핑주식회사 폴리리신을 함유한 치아세정지용 조성물
KR20110098685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나이벡 치아의 접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용 클린저 조성물
KR101249702B1 (ko) * 2010-06-16 2013-04-05 주식회사 나이벡 항균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60123391A (ko) * 2010-08-07 2016-10-25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포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아연 화합물 및 항-미생물제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453206B1 (ko) 2013-07-25 2014-10-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근관세척용 나노기포발생장치
KR20170046395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75602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치간 칫솔용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간 칫솔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OGDEN K. A.: "Antimicrobial peptides: pore formers or metabolic inhibitors in bacteria", NAT. REV. MICROBIOL., vol. 3, 2005, pages 238 - 50, XP055110431, DOI: 10.1038/nrmicro1098
GIACOMETTI A ET AL.: "Potential therapeutic role of cationic peptides in three experimental models of septic shock", ANTIMICROB. AGENTS CHEMOTHER., vol. 46, 2002, XP008106999, DOI: 10.1128/AAC.46.7.2132-2136.2002
ROSENFELD Y.PAPO N.SHAI Y.: "Endotoxin (lipopolysaccharide) neutralization by innate immunity host-defense peptides, Peptide properties and plausible modes of action", J. BIOL. CHEM., vol. 281, 2006, pages 163643
SCOTT M. G. ET AL.: "Interaction of cationic peptides with lipoteichoic acid and Gram-positive bacteria", INFECT. IMMUN., vol. 67, 1999, pages 6445,53
See also references of EP3842041A4
SORENSEN 0. E.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in innate immune responses", CONTRIB. MICROBIOL., vol. 15, 2008, pages 61 - 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2041A4 (en) 2022-04-13
CN112770740A (zh) 2021-05-07
US20210267731A1 (en) 2021-09-02
EP3842041A1 (en) 2021-06-30
CN112770740B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uirynen et al. Can toothpaste or a toothbrush with antibacterial tufts prevent toothbrush contamination?
US5770588A (en) Non-antibacterial tetracycline compositions of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oot caries
Kocak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hree different mouthrinse solutions in decreasing the level of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EP0571556B1 (en) Non-antibacterial tetracycline compositions possessing antiplaque properties
US6432388B1 (en) Whitening anti-plaque and anti-tartar low abrasivity tooth paste
WO2011105869A2 (ko) 치아의 접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용 클린저 조성물
Bergenholtz et al. The plaque‐inhibiting effect of hexetidine (Oraldene®)‐mouthwash compared to that of chlorhexidine
Emilson et al. Effect of mechanical and chemical plaque control measures on oral microflora in schoolchildren
US5738113A (en) Caries treatment method with fluoride
WO2020036242A1 (ko)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Compton et al. Inhibitory effect of benzethonium and zinc chloride mouthrinses on huma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KR102117649B1 (ko)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US5167952A (en) Therapeutic composition formulated as a dental rinse that stimulates Prostaglandin synthesis in the mouth to prevent plaque buildup on the teeth and Periodontal disease
WO2013103250A1 (ko)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BG61063B1 (bg) Средство за поддържане на зъбите
JP2013510799A (ja) 抗バイオフィルム糖ペプチド
WO2018186607A1 (ko) 바이오필름 억제용 펩타이드
Barnes et al. Evaluation of the antiplaque efficacy of two cetylpyridinium chloride-containing mouthwashes
EP1115385B1 (en) Use of 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rodontitis
WO2020256348A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elsey Mouthcare and the intubated patient—the aim of preventing infection
Orug et al. Increased antibacterial activity of zinc polycarboxylate cement by the addition of chlorhexidine gluconate in fixed prosthodontics.
Burchard et al. The Effects of Chlorhexidine and Stannous Fluoride on Fibroblast Attachment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
KR20120054297A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AU700252B2 (en) Composition for dental use comprising krill enzy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04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9304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