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3573A1 -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 Google Patents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3573A1
WO2020013573A1 PCT/KR2019/008420 KR2019008420W WO2020013573A1 WO 2020013573 A1 WO2020013573 A1 WO 2020013573A1 KR 2019008420 W KR2019008420 W KR 2019008420W WO 2020013573 A1 WO2020013573 A1 WO 20200135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ll
court
gate
ground
volley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84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병구
정연욱
김보섭
Original Assignee
조병구
정연욱
김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21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6793B1/ko
Application filed by 조병구, 정연욱, 김보섭 filed Critical 조병구
Priority to EP19834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21955B1/en
Priority to BR112021000007-0A priority patent/BR112021000007A2/pt
Priority to JP2021500958A priority patent/JP7060297B2/ja
Priority to RU2021100737A priority patent/RU2754109C1/ru
Priority to US17/045,804 priority patent/US11083952B2/en
Priority to CN201980045627.XA priority patent/CN112399877B/zh
Priority to MX2021000255A priority patent/MX2021000255A/es
Publication of WO20200135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3573A1/ko
Priority to PH12021550042A priority patent/PH1202155004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9/00Hand fire-extinguishers in which the extinguishing substance is expelled by an explosion; Exploding containers thrown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4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electrically conductive, e.g. for automatic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4Goals of the type used for football, handball, hocke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8Goals for rugby or American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item multi-coat capable of automatic recovery of the bal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ientific and space-optimized game court that can play a multi-sector competi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ategory court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the ball by sorting the ball of a specific item when playing a multi-item compet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alf or full court capable of playing a variety of sports such as soccer (penalty kick), foot ball, volleyball, and basketball (3: 3 basketball).
  • Soccer, basketball, volleyball and footballs are supplied on the hoo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vent.
  • the volleyball ball and the ball ball are fired toward the center of the net from the side of the court to receive the receiving exercises. Scores can be scored automatically to supply the ball automatically if you need time to resume the game, such as replaying a game in neutral or when the ball is out.
  • the ball is automatically gathered and raised without disturbing the sport by forming a fine slope on the court, and i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ball and supplied to the court.
  • a chip as an electronic signal sensor for identifying the type of ball.
  • the chip depends on the type of ball.
  • the chip embedded in the ball is identified to supply the ball through different gat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ball.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modal coat, the coat includes a ground inclined in one direction, the ground across the pair of the center post, a volleyball net on the top, a foot-foot net on the bottom detachably installed And, at the center of the end line of the ground, a soccer goal, a basketball goal is formed integral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soccer goal, to form a concave ball transfer line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ross the top of the ground, ball transfer line A ball lifter for vertically raising the ball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the top of the ball lift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height of the air and communicating with one end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all feed line; A plurality of gates ar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line at appropriate intervals, and the ends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stand volleyballs or foot balls. To communicate with a ball launcher for firing a ball, and provides the automatic recovery and supply of ball sport coat possible.
  • various ball games can be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trained and enjoyed in one court without being dependent on one sport.
  • the ball is fed and transported automatically on the court and you can enjoy various ball games in paralle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modal coa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at coa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a full coat
  • FIG. 3 is an internal view illustrating a gate structure installed in a ball distribution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hese symbol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symbols.
  •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ny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expressly stated to the contrary. do.
  • the term 'connection', 'installation' or 'attachment' in the specification does not only mean direct connection or direct installation or attachment between components, but also includes connection, installation or attachment through indirect or other components. As broadly as possible.
  •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al coa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half-court multi-court court for soccer penalty kicks, foot balls, volleyball, and 3: 3 basketball.
  • the length and width of the half coat are preferably 14 m x 15 m, respectively.
  • Pool coats are 28m x 15m each, especially foot and volleyball is preferably extended to full coat.
  • the multi-court coat 1 includes a ground 10 as a playgrou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round 10 are finished with a boundary line 12.
  • a pair of center posts 60 is located below the ground 10, ie, in the lower corner of FIG. 1.
  • a net 62 is detachably mounted across the center post 60. The user can raise the net 62 when playing volleyball and the net 62 when playing volleyball. You may use the net 62 as a tennis net. In this way, the net is adjustable height up and down, it can supply a ball for the sub / receive practice of volleyball or football over the net a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occer goalpost 70 is installed above the ground 10, that is, in the center of the end line of FIG. 1.
  • the basketball goal 80 is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occer goal 70.
  • the soccer goalpost 70 and the basketball goalpost 80 are manufactured integrally in accordance with the game standards.
  • LED line can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ulti-item coat (1), and the area of the sport can be indicated by forming lines of various colors on the bottom.
  • a ball transfer line 14 conc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cross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10 on which the soccer post 70 is installed.
  • the ball transfer line 14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outline of the groun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ame.
  • the ground 1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eft side.
  • Slope can be made by cutting the ground or constructing a dedicated playgr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is 0.5 ° to 1.5 °. Methods of constructing inclined coats are disclosed, for example, in Applicant's US patent application 16 / 028,613.
  • the balls dropped to the ground 10 automatically move to the ball transfer line 14 and move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 a soccer ball B1 a basketball ball B2, a volleyball ball B3 and a foot ball ball B4 are collected in a ball transfer line 14.
  • the ball lifter 40 consists of a lift post 41 and a screw 42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lift post 41.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all raising device 40 is disclose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No. 10-1977362 of the applicant.
  • the upper end of the rising post 40 communicates with one end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n aerial height above the basketball post 80.
  •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may overlap with the ball transfer line (14).
  •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is inclined toward the right side as opposed to the ground 10. Therefore, the ball passing through the ball lift device 40 flows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nside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 Four places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are provided with the first to fourth gates G1, ..., G4 at appropriate intervals.
  • a soccer ball flows through a first gate G1, a basketball ball is a second gate G2, a volleyball ball is a third gate G3, and a foot ball is passed through a fourth gate G4, respectively.
  • a chip as an electronic signal sensor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ball is embedded in the ball.
  • each gate in communication with each gate so as to fall, for example, behind the end line or close to the center line.
  • the right end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launch device (30).
  • the ball launching device 30 is suspended in the air, and the first opening 32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atmospheric post 36, for example, the firing exit of the volleyball, and the second opening 34 is the firing exit of the foot ball. Is formed.
  • the ball for the sub may be strongly fired over the net 62 using the ball launcher 30 without distributing the ball.
  • the configuration of the ball launch device 30 is known and any existing one can be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op position of the ball can also be adjusted by, for example, extending the final exit of the ball to the line.
  •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1 is suitable for training the general user as well as the athlete who want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raining, especially through the repetitive supply of the ball.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10 is 1.5 degrees or less, but this degree of inclination is an appropriate range which does not give a user a physical burden or a sense of inclination by inclination.
  • FIG. 5 is a multi-court coa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to a full coat, and the transfer, lift, distribution, and launching apparatuses of the ball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at the two end lines, respectively. In this case, you can expect the same effect as a half-court while utilizing a wider ground.
  • the goal posts and posts for training multiple events may be variously changed in position and number, for example, installing a soccer go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r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soccer goa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o not limit.
  • the third is an internal view illustrating a gate structure installed in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side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is provided with a first gate (G1).
  • the first gate G1 includes a solenoid valve 9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passage, and a screen 90 as a partition that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92.
  • the first sensor S1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outlet side adjacent to the solenoid valve 92.
  • the soccer ball B1 includes a chip C1 for identifying the soccer ball. When the soccer ball B1 is close, the first sensor S1 identifies the chip C1 to open the screen 90, and the soccer ball B1 passes through the first gate G1 and is supplied to the ground 10. do.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screen 92 is automatically closed. By repeating this operation, only the soccer ball B1 is selected and supplied through the first gate G1.
  • the second gate G2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gate G1, an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basketball ball B2 having the chip C2 for identifying the basketball ball is selected and supplied to the ground 10.
  • any ball can be collected and re-supplied to the playground when exercising on a multi-court.
  •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outlet diameter of the gate may be differently installed for different balls having different sizes for each item, production and maintenance are convenient.
  • the position of the ball to be suppli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ort and the court, there is a sufficient advantage to change the horizont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ate.
  • the control panel 100 includes an on button 102 and an off button 104. Pressing the co-distribution button 108 after pressing the on button 102, each gate of the ball distribution line 50 is operated to supply the ball for each item. Pressing the ball launch button 110, the power to the gate is cut off and all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ball is collected in the ball launch device (30). Dedicated gate is also installed in the ball launch device 30, it is preferable to distinguish the volleyball ball and foot ball.
  • the main display 10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sub display 108 is formed at the right side.
  • LED 106A is provided which shows the flow of the ball around the rectangular boundary of the main display 106.
  • a sens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100 senses a chip embedded in the ball and the flow of the ball is displayed through the LED 106A.
  • the secondary display 108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one LED 108A, which indicates that the ball is normally reaching the ball launch device 3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구(페널티킥), 족구, 배구 및 농구(3:3 농구)등 구기종목을 행할 수 있는 반코트 또는 풀코트이며, 각 종목의 특성에 맞추어 경기를 재진행시키거나 공이 아웃된 것과 같이 경기 재개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리시브 연습이 필요한 경우 공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공급하며, 코트가 경사져 공이 자연스럽게 모여 상승되고 공의 종류에 따라 자동 구분되어 코트로 공급되는 코트를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본 발명은 공의 자동회수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용 코트는 단일 종목에 특화되어 있다. 여러 종목을 같이 이용하는 경우라도 공간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라인이 혼용되어 있으며, 공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다종목의 경기 코트는 제안되지 않았다. 다종목의 경기 코트를 이용하는 경우 공 회수 및 공급 장치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종목에 맞도록 공을 분류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치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종목의 경기를 행할 수 있는 과학적이며 공간 활용을 최적화한 경기 코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종목의 경기를 행하는 경우 특정 종목의 공을 분류하여 자동 공급할 수 있는 다종목 코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구(페널티킥), 족구, 배구 및 농구(3:3 농구) 등 다종목을 행할 수 있는 반코트 또는 풀코트를 제시한다.
각 종목의 특성에 맞추어 축구공, 농구공, 배구공 및 족구공은 농구대 위에서 공급된다. 또한, 배구공과 족구공은 코트의 측면에서 네트의 중앙을 향하여 발사되어 리시브 연습을 할 수 있다. 스코어를 얻어 중립 상태에서 경기를 재진행 시키거나 공이 아웃된 것과 같이 경기 재개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 공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코트에 미세한 경사를 형성하여 스포츠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공이 자동으로 모여 상승되며 공의 종류에 따라 자동 구분되어 코트로 공급된다.
공의 내부에는 공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신호 센서로서의 칩이 내장되어 있다. 칩은 공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공 공급시에는 공에 내장된 칩을 판별하여 공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게이트를 통해 공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종목용 코트로서 상기 코트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그라운드를 포함하고, 그라운드에는 한 쌍의 센터 포스트를 가로질러 상부에 배구용 네트, 하부에 족구용 네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라운드의 엔드라인 중앙에는 축구 골대와, 축구 골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농구 골대를 설치하고, 상기 그라운드의 상부를 가로질러 수평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한 공 이송라인을 형성하고, 공 이송라인과 연통하여 공을 수직 상승시키는 공 상승장치를 설치하고, 공 상승장치의 상단은 공중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공 이송라인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공 분배라인의 일단과 연통되며, 공 분배라인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게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공 분배라인의 끝단은 배구공 또는 족구공을 서브공으로 발사하기 위한 공 발사장치와 연통되도록 한,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코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종목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구기 종목을 하나의 코트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훈련하고 즐길 수 있다.
코트에서 공의 공급과 이송은 자동으로 행해지며, 다양한 구기 종목을 병행하여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종목 코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종목 코트를 풀코트로 구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 분배라인에 설치된 게이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종목 코트의 공 분배와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의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연결', '설치' 또는 '부착'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간의 직접적인 연결 또는 직접적인 설치나 부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것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한 연결, 설치 또는 부착을 포함하는 것으로 최대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종목 코트(1)의 전체 사시도이다. 축구의 페널티킥, 족구, 배구, 및 3:3 농구를 할 수 있는 반코트(half-court)형 다종목 코트이다. 반코트의 길이와 폭은 각각 14m × 15m인 것이 바람직하다. 풀코트는 각각 28m ×15m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족구나 배구는 풀코트로 확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종목 코트(1)는 운동장인 그라운드(10)를 포함한다. 그라운드(10)의 좌우 양측은 경계선(12)으로 마감된다.
그라운드(10)의 하측, 즉 도 1의 아래쪽 코너에는 한 쌍의 센터 포스트(60)가 위치한다. 센터 포스트(60)를 가로 질러 네트(62)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용자는 배구를 할 때에는 네트(62)를 올리고, 족구를 할 때에는 네트(62)를 내릴 수 있다. 네트(62)를 테니스 네트로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네트는 위 아래로 높이 조절가능하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네트 위로 배구나 족구의 서브/리시브 연습을 위한 서브용 공을 공급할 수 있다.
그라운드(10)의 상측, 즉 도 1의 엔드라인 중앙에는 축구 골대(70)가 설치된다. 축구 골대(70)의 상부 중앙에는 농구 골대(80)가 설치된다. 축구 골대(70)와 농구 골대(80)는 경기 규격에 맞추어 일체로 제작된다.
다종목 코트(1) 바닥에는 LED라인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바닥에 다양한 색상의 라인을 형성하여 종목 구역을 표시할 수 있다.
축구 포스트(70)가 설치된 그라운드(10)의 상측을 가로질러 수평 방향으로 오목한 공 이송라인(14)이 형성된다. 공 이송라인(14)은 경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의 아웃 라인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살표로 도시한 것과 같이 그라운드(10)는 상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며, 좌측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지는 지면을 절삭하거나 전용 운동장을 시공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경사각은 0.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코트의 시공 방법은 예를 들어 출원인의 미국 특허 출원 16/028,6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여러 개의 공으로 반복 훈련하는 경우 그라운드(10)에 떨어진 공은 자동으로 공 이송라인(14)으로 모여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축구공(B1), 농구공(B2), 배구공(B3) 및 족구공(B4)이 공 이송라인(14)에 모인 것을 보이고 있다.
공 이송라인(14)의 일단은 공 상승장치(40)와 연결된다. 공 상승장치(40)는 상승 포스트(41)와 상승 포스트(41)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크류(42)로 이루어진다. 공 상승 장치(40)의 세부 구성은 예를 들어 출원인의 한국 특허 제10-197736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승 포스트(40)의 상단은 농구 포스트(80)위의 공중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공 분배라인(50)의 일단과 연통된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공 분배라인(50)은 공 이송라인(14)과 중복될 수 있다. 공 분배라인(50)은 그라운드(10)와 반대로 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다. 따라서, 공 상승장치(40)를 통과한 공은 공 분배라인(50)의 내부에서 도면의 우측으로 흐른다. 공 분배라인(50)의 4개소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제1 내지 제4게이트(G1,...,G4)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축구공은 제1게이트(G1), 농구공은 제2게이트(G2), 배구공은 제3게이트(G3) 그리고 족구공은 제4게이트(G4)를 각각 통과하여 흘러 그라운드(10)로 낙하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공의 내부에는 공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신호 센서로서의 칩이 내장되어 있다.
공의 그라운드 낙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게이트와 연통하여 공이 나오는 출구를 라인으로 형성하여 예를 들어 엔드라인의 뒷쪽이나 센터라인에 근접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 분배라인(50)의 우측단은 공 발사장치(30)에 연통된다. 공 발사장치(30)는 공중에 현가되며 대기 포스트(36)의 상부에는 예를 들어 배구공의 발사 출구인 제1개구(3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족구공의 발사 출구인 제2개구(34)가 형성된다. 서브 리시브 연습이 필요한 배구 및 족구의 경우에는 공을 분배하지 않고 공 발사장치(30)를 이용하여 네트(62) 너머로 서브용 공을 강하게 발사할 수 있다. 공 발사장치(30)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어느 것도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의 낙하 위치 역시 공의 최종 출구를 라인으로 연장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도 1의 본 발명은 일반 이용자는 물론 특히 공의 반복 공급을 통해 훈련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선수의 트레이닝용으로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종목 코트(1)를 풀코트로 형성한 것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반코트형과 같이 축구의 페널티킥, 족구, 배구, 및 3:3 농구를 하면서도 공간 제약 없이 원하는 종목의 정식 경기를 즐길 수 있다. 그라운드(10)의 경사각은 1.5° 이하인데 이 정도의 경사는 이용자에게 신체적인 부담이나 경사에 의한 기울임 감각을 주지 않는 적절한 범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종목 코트(1)를 풀코트로 형성하고, 두 엔드라인에 앞서 설명한 공의 이송, 상승, 분배 및 발사 장치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 경우 더 넓은 그라운드를 활용하면서 반코트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 종목을 훈련하기 위한 골대와 포스트는 예를 들어 축구 골대를 좌우에 더 설치하거나 축구 골대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 그 위치와 숫자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 분배라인(50)에 설치된 게이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도면이다. 공 분배라인(50)의 일측에는 제1게이트(G1)가 설치된다. 제1게이트(G1)는 출구 통로의 양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2)와, 솔레노이드 밸브(92)의 동작에 의하여 회동하는 칸막이로서의 스크린(90)으로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92)와 인접하여 출구쪽의 측벽에는 제1센서(S1)가 부착된다. 축구공(B1)의 내부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축구공임을 식별시키기 위한 칩(C1)이 내장되어 있다. 축구공(B1)이 근접하면 제1센서(S1)가 칩(C1)을 식별하여 스크린(90)을 개방하고 축구공(B1)은 제1게이트(G1)를 통과하여 그라운드(10)로 공급된다.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스크린(92)은 폐쇄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으로 제1게이트(G1)를 통해서는 축구공(B1)만이 선별되어 공급된다.
제2게이트(G2) 역시 제1게이트(G1)와 동일한 구조이며, 위와 마찬가지로 농구공임을 식별하는 칩(C2)이 내장된 농구공(B2)만이 선별되어 그라운드(10)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의 내부에 식별자로서의 전자칩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다종목 코트에서 운동하는 경우 어떤 공이라도 수집하여 운동장에 재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목마다 상이한 크기가 상이한 공에 대하여 게이트의 출구 직경만을 달리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제작과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또, 경기 종목과 코트의 크기에 따라 공급되는 공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게이트의 수평 설치 위치를 변경하면 충분한 장점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종목 코트(1)의 공 분배와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00)의 한 예를 도시한다. 제어패널(100)은 온버튼(102), 오프버튼(104)을 포함한다. 온버튼(102)을 누른 후 공분배 버튼(108)을 누르면 공 분배라인(50)의 각각의 게이트가 작동하여 종목별 공 공급이 실행된다. 공 발사 버튼(110)을 누르면 게이트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이 모두 중지되며 공은 공 발사장치(30)로 모인다. 공 발사장치(30)에도 전용 게이트가 설치되어 배구공과 족구공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패널 중앙에는 메인 디스플레이(106)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보조디스플레이(108)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6)의 사각 경계를 둘러서는 공의 흐름을 보여주는 LED(106A)가 설치된다. 제어패널(10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센서는 공에 내장된 칩을 감지하며 LED(106A)를 통하여 공의 흐름이 표시된다. 보조디스플레이(108)에는 예를 들어 하나의 LED(108A)가 설치되며, 공 발사장치(30)에 공이 정상적으로 도달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상 본 발명의 몇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이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4)

  1. 다종목용 코트로서 상기 코트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그라운드를 포함하고, 그라운드에는 한 쌍의 센터 포스트를 가로질러 네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라운드의 한쪽 중앙에는 축구 골대와, 축구 골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농구 골대를 설치하고, 상기 축구 골대가 설치된 그라운드의 엔드라인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한 공 이송라인을 형성하고, 공 이송라인과 연통하여 공을 수직 상승시키는 공 상승장치를 설치하고, 공 상승장치의 상단은 공중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공 이송라인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공 분배라인의 일단과 연통되며, 공 분배라인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게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공 분배라인의 끝단은 배구공 또는 족구공을 서브공으로 발사하기 위한 공 발사장치와 연통되도록 한,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코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는 제1 내지 제4게이트(G1,G2,G3,G4)를 포함하며, 축구공은 제1게이트(G1), 농구공은 제2게이트(G2), 배구공은 제3게이트(G3) 그리고 족구공은 제4게이트(G4)를 각각 통과하여 흘러 그라운드로 낙하하며, 공의 내부에는 공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신호 센서로서의 칩이 내장된,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코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장치는 공중에 현가되며 대기 포스트의 상부에 배구공의 발사 출구인 제1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족구공의 발사 출구인 제2개구가 형성된,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코트.
  4.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게이트는 출구 통로의 양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에 의하여 회동하는 칸막이로서의 스크린을 포함하며, 솔레노이드 밸브와 인접하여 출구쪽의 측벽에는 공 내부의 칩을 식별하는 센서가 부착된,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코트.
PCT/KR2019/008420 2018-07-10 2019-07-09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WO20200135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34899.7A EP3821955B1 (en) 2018-07-10 2019-07-09 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BR112021000007-0A BR112021000007A2 (pt) 2018-07-10 2019-07-09 Estrutura multiesportiva e multi-quadra capaz de coletar e fornecer bola automaticamente
JP2021500958A JP7060297B2 (ja) 2018-07-10 2019-07-09 ボールの自動回収および供給が可能な多種目多重コート構造(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RU2021100737A RU2754109C1 (ru) 2018-07-10 2019-07-09 Мультиспортивная и многоплощадк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пособн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собирать и подавать мячи
US17/045,804 US11083952B2 (en) 2018-07-10 2019-07-09 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CN201980045627.XA CN112399877B (zh) 2018-07-10 2019-07-09 可自动回收及供给球的多运动多用球场构造
MX2021000255A MX2021000255A (es) 2018-07-10 2019-07-09 Estructura multi-deportiva y multi-cancha capaz de recoger y suministrar pelotas automaticamente.
PH12021550042A PH12021550042A1 (en) 2018-07-10 2021-01-07 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77 2018-07-10
KR10-2018-0080172 2018-07-10
KR20180080172 2018-07-10
KR20180080177 2018-07-10
KR1020190082182A KR102046793B1 (ko) 2019-07-08 2019-07-08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KR10-2019-0082182 2019-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573A1 true WO2020013573A1 (ko) 2020-01-16

Family

ID=6914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8420 WO2020013573A1 (ko) 2018-07-10 2019-07-09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83952B2 (ko)
EP (1) EP3821955B1 (ko)
JP (1) JP7060297B2 (ko)
CN (1) CN112399877B (ko)
BR (1) BR112021000007A2 (ko)
MX (1) MX2021000255A (ko)
PH (1) PH12021550042A1 (ko)
RU (1) RU2754109C1 (ko)
WO (1) WO2020013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0503B (zh) * 2021-10-13 2023-04-25 九江学院 一种篮球训练用接球练习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714U (ko) * 1997-08-11 1999-03-05 이승칠 다용도 운동구장
KR200219853Y1 (ko) * 2000-08-18 2001-04-16 주식회사지금닷컴 골프 연습기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JP2003339918A (ja) * 2002-05-24 2003-12-02 Kinki Kuresuko:Kk 投球マシンのボール供給装置
CN202892838U (zh) * 2012-11-12 2013-04-24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足球篮球通用场地器材
KR101622889B1 (ko) * 2015-10-16 2016-05-31 조병구 구기 연습 장치
KR101977362B1 (ko) 2018-07-09 2019-05-13 조병구 공 상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887A (en) * 1978-11-03 1981-12-29 Weiss Jeffrey M Aquatic game device
JPS5810612Y2 (ja) * 1979-01-12 1983-02-26 株式会社富永製作所 打撃練習場における配球装置
JPS5856220A (ja) 1981-09-28 1983-04-02 Alps Electric Co Ltd 磁気ヘツ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4786053A (en) * 1987-02-17 1988-11-22 Mckenzie Brothers Products, Inc. Portable free-standing apparatus for multiple athletic ball games
US4762319A (en) * 1987-07-01 1988-08-09 Krumholz Jerrold J Convertible sports stand construction
JPH02149270U (ko) * 1989-05-19 1990-12-19
US5513843A (en) * 1993-04-09 1996-05-07 Russell; Frank A. Convertible practice system for field goal kicking
US5558338A (en) * 1994-02-14 1996-09-24 Taub; Ronald H. Game assembly for multiple sports usage
JP2576040B2 (ja) * 1994-05-02 1997-01-29 カワ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野球ゲーム装置及び野球ボール
US5584480A (en) * 1995-07-25 1996-12-17 Grimsrud; Chris A. Portable sports target frame
US5613676A (en) * 1996-04-01 1997-03-25 Connolly; Thomas M. Sporting net
US5816953A (en) * 1996-07-02 1998-10-06 Cleveland; William 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tennis practice
KR100235207B1 (ko) 1996-11-20 1999-12-15 김시명 인도어(in door)용 골프 연습장의 골프공 공급장치
KR200255994Y1 (ko) 1998-11-23 2002-02-20 전미자 실내골프연습장의골프공자동회수및공급장치
DE20005276U1 (de) * 1999-03-20 2000-08-03 Cho Kun Lin Automatische Auswertevorrichtung und Kugelausgabevorrichtung
US8409024B2 (en) * 2001-09-12 2013-04-02 Pillar Vision, Inc.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for golf
US7247105B2 (en) * 2005-01-11 2007-07-24 Mattel, Inc. Convertible game apparatus
KR200408524Y1 (ko) * 2005-11-28 2006-02-13 임정훈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CA2536020C (en) * 2006-02-13 2014-09-09 Mark Weber An interactive sports training device
US7351168B1 (en) * 2006-11-14 2008-04-01 Pannell Brian E Multiple sports device
US8262517B2 (en) * 2007-06-27 2012-09-11 Ramesh Balasubramanyan Sensor based tennis serve training apparatus
US8475301B1 (en) * 2009-08-14 2013-07-02 Patrick B. Lane Portable multi-functional gam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KR101235909B1 (ko) * 2009-12-16 2013-02-21 조완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US8025293B1 (en) * 2010-03-26 2011-09-27 Crawford Timothy D Air hockey table
US8172707B2 (en) * 2010-06-30 2012-05-08 Cox Paul J Net holding standard using basketball rim
GB2498819B (en) * 2012-03-22 2014-02-26 Courtflow Ltd Ball collection system and playing area
CN202777678U (zh) * 2012-09-11 2013-03-13 冯潮 一种多功能球架
US20150057114A1 (en) * 2013-08-25 2015-02-26 Gary Ehasoo Kit for adapting a tennis court of one size to a court of smaller size
BR202013023110U2 (pt) * 2013-09-10 2014-09-02 Joao Francisco Pizzato Annoni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capa protetora para quadra esportiva
WO2016007032A1 (pt) * 2014-07-09 2016-01-14 Isensexpert, Lda. Sistema de treino incluindo meios de determinação de posição e processo de operação do referido sistema de treino
CN204250561U (zh) * 2014-12-01 2015-04-08 张开运 一种篮球足球自动分类收纳箱
KR101600761B1 (ko) 2015-10-16 2016-03-07 조병구 배구 연습 장치
KR101564190B1 (ko) 2015-01-15 2015-11-06 조병구 축구 연습 장치
KR101622890B1 (ko) 2015-10-16 2016-05-31 조병구 농구 연습 장치
CN107106901B (zh) * 2015-01-15 2020-01-07 赵炳九 球类运动练习装置
CN104998403A (zh) 2015-07-11 2015-10-28 陈昊哲 自动回球篮球场
DE202016103157U1 (de) * 2016-06-15 2016-06-24 Michael Häring Vorrichtung zum Rücktransport von Bällen bei einer Spielanordnung einer Ballsportart
US10806990B2 (en) * 2018-07-06 2020-10-20 Byoung Koo CHO Inclined structure of court floor for automatic supply in ball g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714U (ko) * 1997-08-11 1999-03-05 이승칠 다용도 운동구장
KR200219853Y1 (ko) * 2000-08-18 2001-04-16 주식회사지금닷컴 골프 연습기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JP2003339918A (ja) * 2002-05-24 2003-12-02 Kinki Kuresuko:Kk 投球マシンのボール供給装置
CN202892838U (zh) * 2012-11-12 2013-04-24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足球篮球通用场地器材
KR101622889B1 (ko) * 2015-10-16 2016-05-31 조병구 구기 연습 장치
KR101977362B1 (ko) 2018-07-09 2019-05-13 조병구 공 상승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821955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2965A1 (en) 2021-02-25
PH12021550042A1 (en) 2021-09-20
EP3821955B1 (en) 2023-04-19
US11083952B2 (en) 2021-08-10
EP3821955A4 (en) 2021-09-01
CN112399877B (zh) 2022-04-19
EP3821955A1 (en) 2021-05-19
RU2754109C1 (ru) 2021-08-26
BR112021000007A2 (pt) 2021-03-30
MX2021000255A (es) 2021-03-25
CN112399877A (zh) 2021-02-23
JP2021530290A (ja) 2021-11-11
JP7060297B2 (ja)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0389A (en) Golf range method and apparatus
US20050288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pitching a baseball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US5183253A (en) Basketball retrieval and return device
US6409607B1 (en) Golf courses and methods of playing golf
US20040132558A1 (en) Multiple-plane or user-enclosing rebound surfaces for practicing soccer or other sports
WO2020013573A1 (ko)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US5720485A (en) Multi zone basketball game
KR102046793B1 (ko)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CN110944725A (zh) 用于进球得分类体育运动和隔网对抗类体育运动的练习的多重运动空间
US11219808B2 (en) System for team ball game having interactive goal barriers
US5906553A (en) Outdoor practice facility
US4726589A (en) Golf course
US6945881B2 (en) Curved ball court
AU2020103288A4 (en) Sports Training Aid
KR200233559Y1 (ko) 실내 골프게임 장치용 포인트 백 완충장치
CN217119286U (zh) 一种足球组合运动装置
KR200233558Y1 (ko) 실내 골프 게임장치
OA21085A (en) System for team ball game having interactive goal barriers.
WO1992007632A1 (en) Golf practice apparatus
Ackroyd Indoor sports
KR20180112299A (ko) 골프장의 스윙플레이트 구조
WO2008140299A1 (en) Light lines
GB2271936A (en) Golf course
WO2000018480A1 (en) A golf cou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348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0095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1000007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1000007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