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35655A1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Google Patents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235655A1 WO2019235655A1 PCT/KR2018/006408 KR2018006408W WO2019235655A1 WO 2019235655 A1 WO2019235655 A1 WO 2019235655A1 KR 2018006408 W KR2018006408 W KR 2018006408W WO 2019235655 A1 WO2019235655 A1 WO 2019235655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hase
- bridge
- power
- output
- inver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9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he static converters being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hase inverter using a stand-alone multi H-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hase inverter using a stand-alone multi H-bridge that can eliminate the ripple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capacitors.
-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cells are attracting attention today as alternative energy sources because they do not use fossil fuels that are limited to the earth and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 the renewable energy sour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stable power to the load because the voltage and current is unstable. Therefore, recently, energy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have been used to stabilize the power output of the system.
- the conventional renewable power generation system has a structure of supplying power to a load by connecting a power converter from a DC battery power source.
- a ripple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twice the AC frequency and its harmonics is generated separately from the switching frequency component in the DC voltage.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less capacitor type ripple cancellation circuit used in a conventional power converter.
- Figure 1 (a) is a shunt connected ripple port in parallel to the dc port (dc port) of the power conversion circuit, (b) is a winding to the power conversion circuit of the transformer transformer type In addition, it extends from 2 ports to 3 ports, and is formed by adding a ripple port to the port where the winding is added. In both cases it can be seen that the ripple cancellation circuit includes a ripple cancellation capacitor.
- the first to third solar cell module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respectively, and converts the DC voltage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to AC voltages of R phase, Y phase, and B phase, respectively, and supplies them to the AC loa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 a three-phase inverter including first to third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and parallel inputs to the respectiv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to third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and individually output power by switching power flowing through the respective input terminals.
- a multi-phase inverter using a standalone multi H-bridge.
- the transformer through each of th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the three-phase ripple component flowing to the input terminal when the AC voltage output through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 through the magnetization coupled output through the ripple component Can be offset.
- the transformer may further include a resistance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output coil.
- each of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for the switching, and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conductivity of the switching element, a switch frequency, and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witching elements.
- each of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may be configured of any one of a half bridge type, a full bridge type, a push pull type, and a resonance type.
- the power converter in constructing a three-phase inverter that provides three-phase power to the AC load,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DC input terminal of the thre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in the three-phase inverter and at the same time
- the power converter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DC input terminal of the thre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in the three-phase inverter and at the same time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less capacitor type ripple cancellation circuit used in a conventional power converter.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phase inverter using a stand-alone multi H-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C power measured in each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shown in FIG.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phase inverter using a stand-alone multi H-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ulti-phase inverter 100 using the independent multi-H-bridges may include a three-phase inverter having first to third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110-1, 110-2, and 110-3. ,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120-1, 120-2, and 120-3, and a transformer 130.
- Each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110 is connected to each solar cell module (PV-Source; 10-1, 10-2, 10-3) to the input terminal independently, and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by the solar cell module DC voltage (V dc-1 , V dc-2 , V dc-3 ) is converted into AC voltage of R phase, Y phase, and B phase, respectively, and is supplied to the AC loa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 the three-phase inverter may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the outputs and the loads of the inverters.
- th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110 basically includes a DC input terminal and an AC output terminal, and converts the DC power input to the DC input terminal into AC power using the operation of internal switches and outputs the AC power through the AC output terminal. Since the structure of the H-bridge invert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as shown in FIG. 2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of its operation principle is omitted.
- the output current of each of th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110 outputs an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20 degrees. At this time,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thereby causing a ripple in the voltage of the input terminal.
-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structure that can remove the ripple without adding a separate capacitor.
- each of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120-1, 120-2, and 120-3 is input to an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110-1, 110-2, and 110-3.
-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120-1, 120-2, and 120-3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respective inputs of the first to third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110-1, 110-2, and 110-3, and flow through the respective inputs. Switch the power at high frequency and output each individually.
- 2 illustrates a half bridge type power converter 120 including two capacitors C and two switches S.
- the transformer 130 receives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120-1, 120-2, and 120-3 through the first to third input coils n p1 , n p2 , n p3 , respectively. Magnetically coupled to output through a single output coil (n s ).
- the transformer 130 receives the ripple components of each of the three-phase ripple components flowing through the first stage through the first to third power converters when the AC voltage is output from each of th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110 and magnetizes them to output the ripple components. Can be offset.
- each ripple component also makes a difference of 120 degrees.
- the transformer of the ripple cancellation circuit absorbing the three-phase ripple component is integrated into one, the instantaneous sum of the energy passing through the transformer is always almost zero.
- the energy of each phase can be canceled with each other, and the normal alternating current ripple cancell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capacitor element for storing the alternating energy separately.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ny small ripple capacitor when applied to a three-phase inverter or more, and the transformer can be integrated into on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apacitors and transformers, and in terms of price, size, and efficiency. Very advantageous.
- Each power converter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transistors) for high frequency switching.
- the switching element may operate without a separate feedback controller by applying a PWM signal of a fixed frequency and a conductivity with a fixed phase difference to each leg.
- the power converter 12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ity of each switching element, the switch frequency, and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witching elements for ripple cancellation efficiency.
- the power converter 12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full-bridge type, a push-pull type, a resonant type, or the like. Any power conversion circuit using a transformer can be used.
- the transformer 130 may include a resistor Rx between both ends of the output coil as shown in FIG. 2.
- the resistive element consumes unbalance energy that may occur temporaril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thereby preventing a failure of the element of the power converter 120 when the three-phase phase difference is broken in the transient state.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C power measured in each single-phase H-bridge inverter shown in FIG. 3A and 3B show three-phase AC voltage waveforms and an AC current waveform observed at each input terminal of the H-bridge inverter 110, and (c) shows an output terminal of the H-bridge inverter 110.
- FIG. Shows the three-phase AC output voltage waveforms observed at. 3, it can be seen that when each H-bridge inverter 110 outputs an AC current having a 120 degree phase differenc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the AC current also flows into the input terminal.
- each inverter 110 by connecting the power converter 120 to the input terminal of each inverter 110 in parallel and each output of the power converter 120 by integrating the output through one transformer 130 each inverter 110 The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ripple component observed at the input stage can be removed.
- the power converter in constructing a three-phase inverter that provides three-phase power to an AC load,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DC input terminal of three single-phase H-bridge inverters in the three-phase i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단에 각각 제1 내지 제3 태양 전지 모듈이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단에 인가된 직류 전압을 R상, Y상, B상의 교류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단을 통해 교류 부하로 공급하는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한 3상 인버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의 각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각 입력단에 흐르는 전력을 스위칭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제1 내지 제3 입력 코일을 통해 각각 입력받은 후 자화 결합시켜 단일의 출력 코일을 통해 출력하는 변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적인 커패시터 사용 없이도 각각의 단상 인버터의 직류 입력단에 흐르는 교류 성분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커패시터의 사용 없이 리플을 제거할 수 있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를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원은 지구에 한정적으로 존재하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오늘날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원은 전압과 전류가 불안정하므로 부하로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력 출력을 안정화시키고 있다.
종래의 신재생 발전 시스템은 직류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력 변환기를 연결하여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직류 배터리 전원을 원하는 교류 전압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직류 전압에 스위칭 주파수 성분과는 별도로 교류주파수의 2배 주파수 및 그 고조파에 해당하는 리플이 발생하게 된다.
기존에는 직류 전압과 중첩된 리플을 허용기준 이내로 저감하기 위하여 고용량의 전해 커패시터를 활용해 왔으나 전해 커패시터는 고용량이고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무전해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력 변환기에 사용된 무전해 커패시터 타입의 리플 제거 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전력 변환 회로의 직류 포트(dc port)에 대하여 리플 제거 회로(ripple port)를 병렬(shunt)로 연결한 것이고, (b)는 트랜스포머 변압기 형태의 전력 변환 회로에 권선을 추가하여 2 포트에서 3 포트로 확장한 것으로, 권선이 추가된 포트에 리플 제거 회로(ripple port)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두 경우 모두 리플 제거 회로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를 포함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단상 인버터 3개를 이용하여 3상 인버터를 구현할 경우에, 도 1의 (a)과 같은 병렬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인버터마다 리플 제거 회로를 구성해야 하므로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도 1의 (b)와 같이 3 포트로 확장된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컨버터를 고효율로 설계하기 어렵고 제어가 복잡하며 신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4466호(2006.08.2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커패시터의 사용 없이도 리플을 제거할 수 있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입력단에 각각 제1 내지 제3 태양 전지 모듈이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단에 인가된 직류 전압을 R상, Y상, B상의 교류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단을 통해 교류 부하로 공급하는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한 3상 인버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의 각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각 입력단에 흐르는 전력을 스위칭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제1 내지 제3 입력 코일을 통해 각각 입력받은 후 자화 결합시켜 단일의 출력 코일을 통해 출력하는 변압기를 포함하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단상 H-브리지 인버터 각각에서 교류 전압 출력 시 상기 입력단에 각각 흐르는 3상의 리플 성분을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를 통해 입력받아 자화 결합시켜 출력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리플 성분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압기는, 상기 출력 코일의 양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각각은, 상기 스위칭을 위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도통률, 스위치 주파수, 상기 스위칭 소자 간의 위상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각각은, 하프 브릿지 타입, 풀 브릿지 타입, 푸쉬풀 타입 및 공진형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류 부하에 3상 전력을 제공하는 3상 인버터를 구성함에 있어, 3상 인버터 내 3개의 단상 H-브리지 인버터의 각 직류 입력단에 전력 변환기를 독립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전력 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하나의 변압기를 통해 자화 결합시켜 출력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커패시터 사용 없이도 각각의 단상 인버터의 직류 입력단에 흐르는 교류 성분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력 변환기에 사용된 무전해 커패시터 타입의 리플 제거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단상 H-브리지 인버터에서 측정되는 교류 전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100)는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1,110-2,110-3)를 가진 3상 인버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120-1,120-2,120-3), 그리고 변압기(130)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는 입력단에 각각의 태양 전지 모듈(PV-Source; 10-1,10-2,10-3)이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태양 전지 모듈에 의해 입력단에 인가된 직류 전압(Vdc-1,Vdc-2,Vdc-3)을 R상, Y상, B상의 교류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단을 통해 교류 부하(LOAD)로 공급한다. 도 2와 같이 인버터들의 출력과 부하 간 결선을 통하여 3상 인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는 기본적으로 직류 입력단과 교류 출력단을 포함하며, 직류 입력단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내부 스위치들의 동작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출력단을 통해 출력한다. 도 2와 같이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된 H-브리지 인버터의 구조는 기 공지된 것이므로 그 동작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 각각의 출력단에는 120도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데, 이때 각각의 입력단에도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입력단의 전압에 리플이 발생하게 된다.
인버터 각각의 입력단에 커패시터를 병렬 부가할 경우 교류 전류에 의한 리플을 일부 제거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커패시터의 부가 없이도 리플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1,110-2,110-3) 각각의 입력단에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120-1,120-2,120-3) 각각의 입력 단자를 병렬 연결한 다음, 각 전력 변환기(120-1,120-2,120-3)의 출력 전력을 하나의 변압기(130)를 통하여 자화 결합시켜 출력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커패시터 사용 없이도 각각의 단상 인버터의 직류 입력단에 실리는 교류 성분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킨다.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120-1,120-2,120-3)는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1,110-2,110-3)의 각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입력단에 흐르는 전력을 고주파로 스위칭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2는 두 개의 커패시터(C) 및 두 개의 스위치(S)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프 브릿지 타입의 전력 변환기(120)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변압기(130)는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120-1,120-2,120-3)의 출력 전력을 제1 내지 제3 입력 코일(np1,np2,np3)을 통해 각각 입력받은 후 자화 결합시켜 단일의 출력 코일(ns)을 통해 출력한다.
즉, 변압기(130)는 단상 H-브리지 인버터(110) 각각에서 교류 전압 출력 시 입력단에 각각 흐르는 3상의 리플 성분을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를 통해 입력받아 자화 결합시켜 출력하는 것을 통하여 리플 성분을 상쇄시킬 수 있다.
3상의 경우 각 리플 성분 역시 120도 차이를 이루게 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3상의 리플 성분을 흡수하는 리플 제거 회로의 변압기를 하나로 통합하게 되면 변압기를 통과하는 에너지의 순시 합이 항상 거의 0에 가까워져 각 상의 에너지가 서로 상쇄될 수 있으며, 교류 에너지를 따로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 소자 없이도 정상적인 교류 리플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상 이상의 인버터에 적용 시에 소형 리플 커패시터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변압기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어 커패시터 및 변압기의 개수를 저감할 수 있고 가격, 크기, 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각각의 전력 변환기(120)는 고주파 스위칭을 위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는 고정된 위상차를 지닌 고정된 주파수와 도통률의 PWM 신호를 각각의 레그에 인가하는 것을 통하여 별도의 되먹임 제어기 없이도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전력 변환기(120)는 리플 제거 효율을 위하여 각 스위칭 소자의 도통률, 스위치 주파수, 상기 스위칭 소자 간의 위상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기(120)는 하프 브릿지(Half-bridge) 타입 이외에도, 풀 브릿지(Full-bridge) 타입, 푸쉬풀(Push-pull) 타입, 공진형(Resonant) 타입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변압기(Transformer)를 이용하는 전력 변환 회로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압기(13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 코일의 양단 사이에 저항 소자(Rx)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소자는 인버터의 동작 중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unbalance) 에너지를 소모하여, 과도 상태에서 3상의 위상차가 깨질 때 전력 변환기(120)의 소자의 고장을 막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단상 H-브리지 인버터에서 측정되는 교류 전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H-브리지 인버터(110)의 각 입력단에서 관측된 3상의 교류 전압 파형 및 교류 전류 파형을 각각 나타내며, (c)는 H-브리지 인버터(110)의 출력단에서 관측된 3상의 교류 출력 전압 파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 3을 통해, 각각의 H-브리지 인버터(110)가 출력단을 통해 120도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류를 출력할 때 입력단에도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각 인버터(110)의 입력단에 전력 변환기(120)를 병렬 연결하고 전력 변환기(120)의 각 출력을 하나의 변압기(130)를 통해 통합시켜 출력함으로써 각 인버터(110)의 입력단에 관측되는 3상의 교류 리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 부하에 3상 전력을 제공하는 3상 인버터를 구성함에 있어, 3상 인버터 내 3개의 단상 H-브리지 인버터의 각 직류 입력단에 전력 변환기를 독립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전력 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하나의 변압기를 통해 자화 결합시켜 출력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커패시터 사용 없이도 각각의 단상 인버터의 직류 입력단에 흐르는 교류 성분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 입력단에 각각 제1 내지 제3 태양 전지 모듈이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단에 인가된 직류 전압을 R상, Y상, B상의 교류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단을 통해 교류 부하로 공급하는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한 3상 인버터;상기 제1 내지 제3 단상 H-브리지 인버터의 각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각 입력단에 흐르는 전력을 스위칭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및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의 출력 전력을 제1 내지 제3 입력 코일을 통해 각각 입력받은 후 자화 결합시켜 단일의 출력 코일을 통해 출력하는 변압기를 포함하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변압기는,상기 단상 H-브리지 인버터 각각에서 교류 전압 출력 시 상기 입력단에 각각 흐르는 3상의 리플 성분을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를 통해 입력받아 자화 결합시켜 출력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리플 성분을 상쇄시키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변압기는,상기 출력 코일의 양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더 포함하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각각은,상기 스위칭을 위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상기 스위칭 소자의 도통률, 스위치 주파수, 상기 스위칭 소자 간의 위상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변환기 각각은,하프 브릿지 타입, 풀 브릿지 타입, 푸쉬풀 타입 및 공진형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8/006408 WO2019235655A1 (ko) | 2018-06-05 | 2018-06-05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8/006408 WO2019235655A1 (ko) | 2018-06-05 | 2018-06-05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9235655A1 true WO2019235655A1 (ko) | 2019-12-12 |
Family
ID=687703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18/006408 Ceased WO2019235655A1 (ko) | 2018-06-05 | 2018-06-05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WO (1) | WO2019235655A1 (ko)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80101099A1 (en) * | 2006-10-30 | 2008-05-01 | Jacobs Mark E | Ripple Reduction for Switch-Mode Power Conversion |
| US7672149B2 (en) * | 2007-02-08 | 2010-03-02 | Sma Solar Technology Ag | Device for feeding electrical energy from an energy source |
| KR20110053492A (ko) * | 2008-09-23 | 2011-05-23 |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 개방형 델타 h-브리지 구동 고효율 공심형 영구 자석 머신용 예측 펄스폭 변조 |
| KR20140092340A (ko) * | 2011-11-15 | 2014-07-23 |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 H-브리지 기반 전력 변환기 |
| KR101862517B1 (ko) * | 2017-05-29 | 2018-05-29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
2018
- 2018-06-05 WO PCT/KR2018/006408 patent/WO2019235655A1/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80101099A1 (en) * | 2006-10-30 | 2008-05-01 | Jacobs Mark E | Ripple Reduction for Switch-Mode Power Conversion |
| US7672149B2 (en) * | 2007-02-08 | 2010-03-02 | Sma Solar Technology Ag | Device for feeding electrical energy from an energy source |
| KR20110053492A (ko) * | 2008-09-23 | 2011-05-23 |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 개방형 델타 h-브리지 구동 고효율 공심형 영구 자석 머신용 예측 펄스폭 변조 |
| KR20140092340A (ko) * | 2011-11-15 | 2014-07-23 |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 H-브리지 기반 전력 변환기 |
| KR101862517B1 (ko) * | 2017-05-29 | 2018-05-29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lzahrani et al. | A family of scalable non-isolated interleaved DC-DC boost converters with voltage multiplier cells | |
| EP2130292B1 (en) | Power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s using neutral coupling circuits with interleaved operation | |
| AU2011227120B2 (en) | AC-to-DC conversion | |
| JP4745234B2 (ja) | 電源装置 | |
| KR101029163B1 (ko) | 전력공급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 |
| JP3221828B2 (ja) | 電力変換方法及び電力変換装置 | |
| CN102857130A (zh) | 多电平功率变换器及其制造方法和操作方法 | |
| CN103023128A (zh) | 一种用于ups服务器的电源系统 | |
| US20140133201A1 (en) | Ups systems and methods using ups modules with differential mode inductor coupling | |
| CN104303385A (zh) | 电池能量存储器及功率系统 | |
| US8493760B2 (en) | Electric circuit for converting direct current into alternating current | |
| Naik et al. | A new two-phase five-level converter for three-phase isolated grid-tied systems with inherent capacitor balancing and reduced component count | |
| Jahan et al. | A switched-capacitor inverter with optimized switch-count considering load power factor | |
| Mazumder et al. | A low-device-count single-stage direct-power-conversion solar microinverter for microgrid | |
| Gao et al. | Three degrees of freedom operation of a dual half bridge | |
| KR101862517B1 (ko)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
| CN101199108A (zh) | 用于将dc电压转换为三相ac输出的方法和变换器 | |
| US10554143B2 (en) | SYNDEM converter—a power electronic converter with all voltage and current sensors connected to a common reference point | |
| TW201820763A (zh) | 三埠式直流-交流電能轉換裝置及其控制方法 | |
| WO2019235655A1 (ko) | 독립형 멀티 h-브리지를 이용한 다상 인버터 | |
| Jones et al. | Construction and testing of a 13.8 kV, 750 kVA 3-Phase current compensator using modular switching positions | |
| WO2018145748A1 (en) | Parallel connecting of cell modules in a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by means of interphase transformers | |
| KR20220170645A (ko) | 직류단 가변 전압 출력이 가능한 양방향 전력변환 시스템 | |
| Afshari et al. | A series-AC-link ISOP AC-AC converter with two power cells | |
| Desai et al. |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level inverter topologies for photovoltaic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89219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89219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