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72536A1 -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72536A1
WO2019172536A1 PCT/KR2019/001530 KR2019001530W WO2019172536A1 WO 2019172536 A1 WO2019172536 A1 WO 2019172536A1 KR 2019001530 W KR2019001530 W KR 2019001530W WO 2019172536 A1 WO2019172536 A1 WO 20191725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wth
recipe
plant
user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5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퓨터
농업회사법인 렛츠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퓨터, 농업회사법인 렛츠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퓨터
Publication of WO20191725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725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치 및 생육상태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상기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될 수 있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하고, 상기 생육 레시피 또는 사용자 레시피 입력에 따라 식물재배기를 제어하며, 식물재배기에서 측정되는 생육환경 데이터 및 생육상태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상기 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하고, 상기 신규 생육 레시피를 검증하여 검증된 레시피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생육 레시피에 따라 식물재배기가 동작되는 것 또는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이 선택되면, 사용자 레시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본 발명은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치 및 생육상태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상기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될 수 있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하고, 상기 생육 레시피 또는 사용자 레시피 입력에 따라 식물재배기를 제어하며, 식물재배기에서 측정되는 생육환경 데이터 및 생육상태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상기 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하고, 상기 신규 생육 레시피를 검증하여 검증된 레시피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생육 레시피에 따라 식물재배기가 동작되는 것 또는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이 선택되면, 사용자 레시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자연광 부족, 식물 외부생산의 불안정성 및 미세먼지와 매연에 의한 외부 식물의 오염 등을 이유로 식물의 실내 재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심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경작지가 부족하여 외부 재배가 어려운 환경이므로, 실내에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식물 성장에 필요한 광원을 구비한 식물재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식물마다 최적의 생육환경이 상이하고, 식물 재배기와 같은 좁고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실내 환경에서의 식물재배에 대한 데이터가 많지 않으므로,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되는 식물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에서는 인위적으로 광원을 조절하고,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장기 출타시에는 식물을 관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식물재배기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가 등장하였으나, 좁은 실내환경에서 재배시의 생육결과 데이터들이 아직 부족한 바, 여전히 다양한 식물에 식물재배기를 적용하지 못하고 재배되는 식물의 종이 한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해소되지 못하였다.
본 출원인은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의 생육환경 및 생육상태를 수집하여 식물별 최적의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안출하였다.
이하,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9741호에는 식물재배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소비자가 원하는 실제 식물을 식물공장에 위탁하고 원격을 통해서 파종, 재배, 수확의 제어를 수행하는 식물재배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식물 재배방법 메뉴얼을 제공받고, 원격으로 식물을 재배를 제어하고, 재배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에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새롭게 생성하고, 최적의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식물별 생육 레시피를 제공하여 식물 재배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도 원격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물재배기에 적합한 생육 레시피가 없는 경우, 식물에 적합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물재배기에서 생육되는 식물의 재배환경 및 성장상태를 분석하여, 제공되는 생육 레시피보다 더 적합한 레시피가 있을경우 최적의 레시피로 반영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물재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식물재배기의 사용방법 및 활용법을 공유하여 보다 식물재배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일 식물을 재배하는 사용자들의 경쟁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적의 레시피를 도출하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용식물과 비식용식물의 생장결과 분석 방법을 다르게 제공하여, 각 식물에 적합한 방법으로 식물의 생장을 분석하여 최적의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치 및 생육상태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상기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될 수 있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하고, 상기 생육 레시피 또는 사용자 레시피 입력에 따라 식물재배기를 제어하며, 식물재배기에서 측정되는 생육환경 데이터 및 생육상태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상기 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하고, 상기 신규 생육 레시피를 검증하여 검증된 레시피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생육 레시피에 따라 식물재배기가 동작되는 것 또는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이 선택되면, 사용자 레시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상태를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상태가 기저장된 생육레시피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레시피를 신규 레시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육상태의 분석은, 상기 식물재배기에 재배되는 식물이 식용식물인지 비식용식물인지를 분류한 뒤, 식용식물은 결실을 맺는 식물과 맺지 않는 식물로 분류하고, 비식용식물은 개화하는 식물과 개화하지 않는 식물로 분류하여 식물 분류별 분석요소를 다르게 설정하여 생육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육상태의 분석은, 결실을 맺는 식물은 결실의 갯수,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 요소가 되고, 결실을 맺지 않는 식물은 식물의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 요소가 되며, 개화하는 식물은 개화시점, 개화기간, 꽃의 개수, 꽃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요소가 되고, 개화하지 않는 식물은 식물의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요소가 되어, 식물의 생육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신규 생육 레시피의 선정시, 신규 생육 레시피 및 신규 생육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를 저장하고, 신규 생육 레시피 검증이 수행되면, 검증수행결과를 신규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의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규 생육 레시피의 검증은, 신규 생육 레시피에 대한 검증이 기설정횟수 이상 수행되고, 수행결과의 평균 값이 기설정점수 이상인 경우, 검증된 레시피로 판단하여 생육 레시피로 등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행결과는, 식물의 길이, 열매의 크기, 열매의 갯수, 개화여부, 꽃의 크기, 꽃의 갯수 중 재배되는 식물의 분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요소를 포함하여 분석하되, 검증수행결과와 신규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와 비교하고, 검증수행결과의 오차를 계산하여 오차가 +%로 발생하거나, -%로 발생시에는 -기준값% 미만일경우 기설정된 점수를 부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생육결과 만족도를 전송받아 점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레시피를 공유하고,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사용자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같은 식물을 재배하여 사용자 레시피를 공유하고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사용자를 모집하고, 사용자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를 비교하고 순위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식물의 생육조건별 생육결과를 수집하고, 신규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은 식물재배기에서 생육되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받아 원격으로 식물을 재배하여, 식물 생육 환경 조성에 따른 식물 재배의 실패확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수동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직접 재배하는 성취감과 및 기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보다 바랍직한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규 생육 레시피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여 검증하고, 검증이 이루어진 생육 레시피를 검증된 레시피로 등록하여 최적의 생육 레시피를 통해 더욱 식물을 바람직하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재배기에 적합할 레시피가 없는 경우, 신규 레시피를 도출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실내에서 기를 수 있는 식물의 종류가 많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레시피 경쟁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의 검증 레시피 도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1000 이하, 식물 재배 시스템)은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재배환경과 생육상태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으로 전송받아 식물을 원격으로 확인하고 재배할 수 있으며, 상기 생육환경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고, 분석을 수행하여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별 최적의 레시피를 도출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1000)은 식물재배기(100), 관리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물재배기(100)와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하며, 각각의 식물재배기(100)와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각각 부여된 식별ID에 의해 구분되고, 관련된 식물재배기(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식별ID가 서로 연관되어 DB(500)에 저장되어 관리서버(2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DB(500)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설치되는 식물관리 애플리케이션, 식물종류에 따른 식물 생육 레시피, 식물재배기 작동법,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환경 및 생육상태 데이터,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평가한 식물의 생육상태정보, 식물의 개화여부, 식물의 결실여부 등 식물재배기(100)와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식물재배기(100)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LED 조명을 보유한 식물재배장치이다. 본 발명의 식물재배기(1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생육 레시피를 전송받아 생육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생육 레시피는 하기에서 설명할 생육환경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LED 조명의 점등시간, 식물에 제공되는 물 및 양액의 양, 산소 공급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식물재배기(100)는 내부에 식물을 토경 또는 수경재배하기 위한 공간과,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생육환경 획득부(110), 식물의 생육에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생육환경 조성부(120), 상기 생육환경 조성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 및 관리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육환경 획득부(110)는 식물재배기(100) 내부의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pH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육환경 조성부(120)는 식물재배기(100) 내부에서 식물이 생육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LED 조명, 물공급장치, 양액공급장치, 공기순환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육환경 획득부(110)와 생육환경 조성부(120)에 포함되는 센서 및 장치는 상술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획득하고, 식물의 바람직한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및 장치들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생육환경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식물의 생육 상태를 수집하여 관리서버(200)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생육 레시피에 따라, 생육환경 조성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생육환경 획득부(100)는 내부에서 자라는 식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식물의 정면, 배면, 우측면 및 좌측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식물의 생육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식물의 생육상태 분석은 하기의 관리서버(200)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노트북, 탭북, PC 등과 같은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식물재배기(100) 내부의 재배환경 및 식물의 생육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생육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레시피를 입력받을 수 있는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레시피 경쟁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관리서버(200)는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 식물재배기 제어부(220), 레시피 수집부(230), 생육상태 분석부(240), 레시피 분석부(250), 커뮤니티부(260), 레시피 경쟁부(270) 및 레시피 검증부(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는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될 수 있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식물의 생육 레시피가 검색되면, 생육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식물재배기(100)에 'a'라는 식물이 재배되는 것으로 설정되면, 'a' 식물에 해당하는 생육 레시피에 따라 식물재배기 제어부(23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와 함께 상기 생육 레시피로 재배시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는 생육일 수에 따른 식물의 크기, 결실여부, 개화여부, 개화색상, 개화된 꽃의 크기, 개화된 꽃의 갯수, 결실의 크기, 결실의 색상 및 식물의 병충해시 색상변화 등 식물의 생장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재배기 제어부(220)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식물재배기(10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지를 입력받고,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선택되면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의 생육 레시피에 따라 자동으로 식물재배기(100)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선택되면,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식물재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레시피 수집부(230)는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에 따른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과 식물의 생육상태를 식물재배기(100)로부터 전송받아 DB(5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설명할 레시피 분석부(250) 및 레시피 경쟁부(270)에서 도출된 신규 생육 레시피와 레시피 검증부(280)를 통해 최적의 레시피로 검증된, 검증 생육 레시피를 수집하여 DB(500)에 저장할 수 있다.
생육상태 분석부(240)는 식물재배기(100)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정면, 배면, 우측면 및 좌측면 총 4면의 이미지를 생육환경 획득부(110)로부터 전송받아, 식물의 길이, 면적, 색상, 개화여부, 결실여부, 개화색상, 개화된 꽃의 크기, 개화된 꽃의 갯수, 결실의 색상, 결실의 갯수, 병충해 여부 등을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육환경 획득부(110)로부터 획득된 식물의 이미지에서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색상을 추출하여 길이를 분석하고, 4면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여 식물의 면적을 도출하며, 재배되는 식물의 꽃에 해당하는 색상을 추출하여 개화여부, 꽃의 크기 및 꽃의 갯수를 확인하며, 재배되는 식물의 결실에 해당하는 색상을 추출하여 결실의 여부, 결실의 갯수 및 결실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충해 발생시의 식물의 색상을 추출하여 병충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배되는 식물의 재배기간에 따른 꽃의 색상, 재배되는 식물의 결실의 색상 및 병충해 발생시 식물의 색상은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된다.
레시피 분석부(250)는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에 따라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된 식물의 생육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보다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를 신규 생육 레시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가 DB(5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재배기(100)에서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상태를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식물의 생육상태의 분석은 재배되는 식물이 식용식물인지, 비식용식물인지를 분류한 뒤, 식용식물일 경우 결실을 맺는 식물과 맺지 않는 식물로 분류하고, 결실을 맺는 식물의 경우 결실의 갯수, 크기, 색상이 생육상태의 분석요소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에 따른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동일 재배기간 동안 재배된 결실의 갯수와 크기를 비교하여 결실이 더 크고 많은 생육 레시피를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결실의 색상은 결실의 수득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결실을 맺지 않는 식물일 경우, 식물의 크기 및 색상이 생육상태의 분석요소가 될 수 있다.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에 따른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동일 재배기간 동안 재배된 식물의 크기와 색상을 비교하여 더 크고 선명한 색상일 경우 입력받은 사용자 레시피를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식용식물은 사용자가 수득된 식물의 맛을 평가하도록 하여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의 판단기준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디바이스(300)으로 부터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된 식물의 맛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비식용식물일 경우, 개화하는 식물과 개화하지 않는 식물로 분류하고, 개화하는 식물의 경우, 개화시점, 개화기간, 꽃의 갯수 및 꽃의 크기가 생육상태의 분석요소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에 따른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동일 재배기간 동안 재배된 식물의 개화기간과 꽃의 갯수를 비교하여 개화기간이 길고 꽃의 갯수가 많을 수록 입력받은 사용자 레시피를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개화하지 않는 식물의 경우, 식물의 크기 및 색상을 분석요소가 될 수 있다.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에 따른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동일 재배기간 동안 재배된 식물의 크기와 색상을 비교하여 더 크고 선명한 색상일 경우 입력받은 사용자 레시피를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크기만을 판단하여 생육 레시피를 도출하는 경우,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를 판단할 수 없게 된다. 과실이 열리는 식물의 경우 가지가 길거나 잎이 크다고 하여 더 많은 과실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과실이 열리지 않는 비식용식물 중 꽃을 관상하기 위한 식물의 경우에도, 가지가 길고 잎이 크다고 더 많은 꽃이 개화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0)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바람직한 생육상태를 분류하여, 식물의 재배 목적에 부합하는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다.
커뮤니티부(260)는 상기 식물재배기(100)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식물재배기(100)의 사용방법 및 활용법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으며, 동일한 식물을 재배하는 사용자들이 의견을 나눌 수 있고, 본인의 재배하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업로드 하여 타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게시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설명할 레시피 경쟁부(270)를 통해 신규 레시피를 도출하기 위한 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레시피 경쟁부(270)는 식물의 신규 레시피를 도출하기 위하여 모인 참여자들의 사용자 레시피에 따른 식물의 생육상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참여자들은 동일한 식물을 동일한 기간동안 재배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레시피 경쟁 후의 상위 기준% 이내의 사용자 레시피에 대하여, 신규 레시피로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식물재배기(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재배기간 별 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재배기간 동안 식물의 생육상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화하는 식물이면 어느 식물이 먼저 개화하였는지, 결실을 맺는 식물이면 어느 식물이 먼저 결실을 맺었는지, 재배기간이 끝난 후에는 어느 식물이 가장 크고 많은 결실을 맺었는지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시피 경쟁부(270)는 동일 재배일 수에 따른 식물의 성장상태를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재배기(100)에 방울토마토 묘목이 재배되는 경우, 레시피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방울토마토 묘목의 결실여부, 결실의 색상 및 결실의 갯수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현재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참여자가 본인이 재배하는 식물의 생육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자의 참여 의욕을 고취시키고, 사용자 레시피를 설정하는 것에 참고할 수 있다.
한편, 레시피 분석부(250) 및 레시피 경쟁부(270)에 의해 신규 생육 레시피가 도출되면, 검증하는 과정을 통하여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에 등록될 수 있다. 이때, 레시피 검증을 위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 및 신규 생육 래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과정 및 생육결과가 레시피 검증부(280)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레시피 검증부(280)에 접속하여 새로운 레시피 및 생육결과를 확인하고 레시피 검증을 시도할 수 있다.
레시피 검증부(280)는 신규 생육 레시피에 대한 검증이 기설정횟수 이상 수행되고, 수행결과의 평균 값이 기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 검증된 레시피로 판단하여 생육 레시피 제공부(21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수행결과의 점수는 레시피 검증부(280)에 레시피 등록시의 생육결과를 검증수행결과와 비교하고, 검증수행결과의 오차를 계산하여 오차가 +%로 발생하거나, -%로 발생시에는 -기준값% 미만일경우 기설정된 점수를 부여하고, 레시피 검증을 시도한 사용자로부터 성장결과 만족도를 입력받아, 수행결과 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오차가 +값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신규 생육 레시피가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인 것을 의미하고, - 값이고 그 값이 클 경우,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검증수행결과를 판단하는 기준은 식물의 길이, 열매의 크기, 열매의 갯수, 개화여부, 꽃의 크기, 꽃의 갯수 중 재배되는 식물의 분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여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시피 검증부(280)의 레시피 등록시 생육결과의 열매의 갯수가 10개 일때, 오차의 마이너스 기준값이 11이면, 검증수행결과의 열매의 갯수가 9개 이상이면 오차가 -11% 미만이므로, 기설정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생육결과 만족도를 점수로 입력받아, 상기 기설정된 점수와 성장결과 만족도 점수를 합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생육결과 만족도에는 식물의 성장후 외관, 맛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의 검증 레시피 도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식물재배기(100)에 식물의 재배가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으로 부터 식물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S610) 생육 레시피에 따라 자동으로 식물재배기(100)를 제어할지 또는 사용자 레시피에 의해 수동으로 식물제배기(100)를 제어할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S620)
사용자 레시피에 의해 식물재배기(100)를 제어하는 것이 입력되면, 기저장된 식물의 생육 레시피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630)
기저장된 식물의 생육 레시피 및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가 있을 경우, 기저장된 식물의 생육 레시피로 재배시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사용자 레시피에 의해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 데이터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S640)
한편, 기저장된 식물의 생육 레시피가 없을 경우, 현재 재배되고 있는 식물의 사용자 레시피를 신규 생육 레시피로 등록할 수 있다. (S635)
사용자 레시피에 의해 재배된 생육결과가 더 바람직한 생육 레시피에 의해 재배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레시피를 신규 생육 레시피로 등록할 수 있다.(S650)
신규 생육 레시피가 등록되면, 사용자가 레시피 검증을 수행할 시, 생육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레시피 검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50)
신규 생육 레시피가 검증이 되었다 판단되면, 신규 생육 레시피를 검증된 레시피로 설정하고, 생육 레시피로 등록 저장할 수 있다. (S670)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7)

  1. 식물의 생육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치 및 생육상태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상기 식물재배기에서 재배될 수 있는 식물의 생육 레시피를 제공하고, 상기 생육 레시피 또는 사용자 레시피 입력에 따라 식물재배기를 제어하며, 식물재배기에서 측정되는 생육환경 데이터 및 생육상태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상기 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하고, 상기 신규 생육 레시피를 검증하여 검증된 레시피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생육 레시피에 따라 식물재배기가 동작되는 것 또는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동작되는 것이 선택되면, 사용자 레시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상태를 기저장된 생육 레시피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레시피에 따라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상태가 기저장된 생육레시피의 생육결과 예측 데이터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레시피를 신규 레시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육상태의 분석은,
    상기 식물재배기에 재배되는 식물이 식용식물인지 비식용식물인지를 분류한 뒤, 식용식물은 결실을 맺는 식물과 맺지 않는 식물로 분류하고, 비식용식물은 개화하는 식물과 개화하지 않는 식물로 분류하여 식물 분류별 분석요소를 다르게 설정하여 생육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육상태의 분석은,
    결실을 맺는 식물은 결실의 갯수,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 요소가 되고, 결실을 맺지 않는 식물은 식물의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 요소가 되며,
    개화하는 식물은 개화시점, 개화기간, 꽃의 개수, 꽃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요소가 되고, 개화하지 않는 식물은 식물의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요소가 되어, 식물의 생육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신규 생육 레시피의 선정시, 신규 생육 레시피 및 신규 생육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를 저장하고,
    신규 생육 레시피 검증이 수행되면, 검증수행결과를 신규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신규 생육 레시피의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규 생육 레시피의 검증은,
    신규 생육 레시피에 대한 검증이 기설정횟수 이상 수행되고, 수행결과의 평균 값이 기설정점수 이상인 경우, 검증된 레시피로 판단하여 생육 레시피로 등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행결과는,
    식물의 길이, 열매의 크기, 열매의 갯수, 개화여부, 꽃의 크기, 꽃의 갯수 중 재배되는 식물의 분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요소를 포함하여 분석하되,
    검증수행결과와 신규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와 비교하고, 검증수행결과의 오차를 계산하여 오차가 +%로 발생하거나, -%로 발생시에는 -기준값% 미만일경우 기설정된 점수를 부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생육결과 만족도를 전송받아 점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레시피를 공유하고,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사용자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같은 식물을 재배하여 사용자 레시피를 공유하고 신규 생육 레시피를 도출할 사용자를 모집하고, 사용자 레시피로 재배된 식물의 생육결과를 비교하고 순위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식물의 생육조건별 생육결과를 수집하고, 신규 레시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PCT/KR2019/001530 2018-03-09 2019-02-07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WO20191725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40 2018-03-09
KR1020180027840A KR102127516B1 (ko) 2018-03-09 2018-03-09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536A1 true WO2019172536A1 (ko) 2019-09-12

Family

ID=6784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530 WO2019172536A1 (ko) 2018-03-09 2019-02-07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516B1 (ko)
WO (1) WO20191725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1066A (zh) * 2020-01-16 2022-08-12 横河电机株式会社 辅助系统以及辅助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127A (ko) * 2019-12-17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물재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50382B1 (ko) * 2021-03-26 2024-03-27 조민선 블록코딩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식물재배 제어 및 관리 시스템
KR102486504B1 (ko) * 2021-07-29 2023-01-09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커뮤니티를 이용한 재배 데이터 관리 플랫폼 및 관리 방법
KR102508557B1 (ko) * 2022-08-02 2023-03-08 씨엠아이 주식회사 식물 생육정보 제공 방법
KR20240029338A (ko) * 2022-08-26 2024-03-05 최관철 생육환경 정보 측정기를 이용한 식물 관리 기법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43751B1 (ko) * 2022-11-23 2024-03-06 장민수 식물 생장 환경에 따른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20376B1 (ko) * 2022-12-29 2024-01-03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멘토-멘티 기반의 재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52A (ko) * 2001-01-15 2001-04-06 강욱진 인터넷을 이용한 작물재배 정보제공 시스템
JP2003310055A (ja) * 2002-04-26 200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2080790A (ja) * 2010-10-07 2012-04-26 Mega Chips Corp 育成支援システム
KR101710990B1 (ko) * 2016-05-26 2017-02-28 윤좌문 실내 경작물의 생육 관리 및 생육 모델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70105402A (ko) * 2016-12-21 2017-09-19 주식회사 엔씽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식물 생장 레시피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741B1 (ko) 2016-01-25 2017-12-15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재배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52A (ko) * 2001-01-15 2001-04-06 강욱진 인터넷을 이용한 작물재배 정보제공 시스템
JP2003310055A (ja) * 2002-04-26 200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2080790A (ja) * 2010-10-07 2012-04-26 Mega Chips Corp 育成支援システム
KR101710990B1 (ko) * 2016-05-26 2017-02-28 윤좌문 실내 경작물의 생육 관리 및 생육 모델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70105402A (ko) * 2016-12-21 2017-09-19 주식회사 엔씽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식물 생장 레시피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1066A (zh) * 2020-01-16 2022-08-12 横河电机株式会社 辅助系统以及辅助方法
CN114901066B (zh) * 2020-01-16 2024-03-22 横河电机株式会社 辅助系统以及辅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516B1 (ko) 2020-06-26
KR20190106388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2536A1 (ko)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852987B1 (ko) 고부가가치 버섯재배를 위한 모듈형 식물공장시스템
KR101893044B1 (ko)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9245122A1 (ko) 아이오티 기반 온실 내 작물 생육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WO2019050093A1 (ko) 자체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CN106406403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农业管控系统
CN111328735B (zh) 基于大数据的智能化养殖场管理方法和系统
CN105467959B (zh) 基于无线通讯的家用种植机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4073783A1 (ko) 식물 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CN104661514B (zh) 利用led照明的植物栽培系统及其方法、植物栽培用led照明装置及其驱动方法
WO2019245121A1 (ko) 아이오티 기반 온실 환경 관리 시스템
CN213092145U (zh) 一种植物生长智能管理测控系统
KR20120052469A (ko) 농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WO2020230937A1 (ko)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140077513A (ko) 영상을 통한 온실 작물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83021A (ja) 植生制御装置、植物育成システム
CN202217179U (zh) 基于物联网的温室大棚系统
KR20190029540A (ko) 자체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WO2022114344A1 (ko) 작물 재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적응형 재배 정보 제공 시스템
CN114894791A (zh) 基于匹配因子的水稻长势分析系统及方法
CN207965592U (zh) 环境监测控制系统
CN113597941A (zh) 一种温室智能环境调控系统及装置
CN112130608A (zh) 一种智慧大棚系统
CN113196999A (zh) 一种室内植物照明控制方法和装置
CN111869532A (zh) 一种兰花自动化培植系统及培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63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63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