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649A1 -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649A1
WO2019117649A1 PCT/KR2018/015863 KR2018015863W WO2019117649A1 WO 2019117649 A1 WO2019117649 A1 WO 2019117649A1 KR 2018015863 W KR2018015863 W KR 2018015863W WO 2019117649 A1 WO2019117649 A1 WO 20191176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ow
magnetic
pole piece
flow generating
arrange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8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태광
Original Assignee
최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706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3980B1/ko
Application filed by 최태광 filed Critical 최태광
Priority to US16/622,88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227191A1/en
Priority to EP18887785.6A priority patent/EP3624147A1/en
Publication of WO20191176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6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and a magnetic body holding device using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magnetic force on an action surface by controlling a disposition state of a freely rotating permanent magnet with a coil, .
  • a magnetic material holding device such as a permanent magnet workholding device is a device used for attaching an object to be attached, which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by magnetic force.
  • a magnetic material holding device such as a mold clamping device, Mold clamping, internal devices attached to a chuck of a machine tool, and the like.
  • Such a magnetic material holding device basically attaches an object to be attached, which is a magnetic substance, to a holding surface by using a strong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 magnetic flux from the permanent magnet is controlled to prevent magnetic flux from being formed on the holding surface And the attachment object is dropped from the holding surface.
  •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a permanent magnet work holding apparatus for holding and releasing a magnetic circuit by changing a magnetic circuit by rotating the permanent magnet (refer to Patent Document 1).
  • a permanent magnet work holding apparatus for holding and releasing a magnetic circuit by changing a magnetic circuit by rotating the permanent magnet (refer to Patent Document 1).
  • the permanent magnet is rotated as a motor. Sinc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motor, the usability is poor, and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 Korean Patent No. 10-1131134 (entitled " permanent magnet work holding device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magnetic force on the action surface by controlling the arrangement state of freely rotating permanent magnets with a coil and a magnetic body holding device using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that is freely rotatable to form at least a first arrangement state and a second arrangement state, and includes a permanent magnet; And at least one pole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magnetic flow therein, and having at least one working surface, wherein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to the action surface is maximize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 magnetic flow portion in which a pole piece is disposed; And at least one coil wound around the pole piece; . And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to change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on the working surface.
  • one of the N-pole surface and the S-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is formed by the action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aces a second surface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action surfaces, wherei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face the first surfac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urfaces.
  • At least one of the N-pole surface and the S-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is configured to face at least one separate pole piece .
  • the magnetic flow sec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he magnetic flow from the permanent magnet forms a magnetic flow path circulating inward.
  • one of the N-pole surface and the S-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is formed of two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aces a second surfac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working surfaces, wherei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face the first surface connected to one of the working surfaces,
  • One of the N-pole surface and the S-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aces the third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aces the fourth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re magne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a pole piece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at least one coil wound on a pole piece connected to the second surface, and a pole piece connected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One coil is wound.
  • the pole piece is dispos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rotates by 90 ° so that switching can be made betwee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the pole piece is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not connected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 the pole piece is disposed such that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connected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nd the other is not connected.
  • a magnetic flux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wherein when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all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magnetic fluxes from the permanent magnets, Flow paths are formed, and the magnetic flow paths are overlapped at some of the pole pieces.
  • a magnetic flux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wherein when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all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magnetic fluxes from the permanent magnets, Flow paths are formed, and the magnetic flow path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one of the operating surfaces to be magnetized is shared by all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
  • the magnetic flow section is constituted.
  • the magnetic flow section includes: a connection pole piece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And a circulating pole piece that is configured to form a magnetic flow path in which the magnetic flux from the permanent magnets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ole piece and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arts when they are formed circulate inward, And at least two pole pieces formed with the a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when the flow generating portions form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includes: the permanent magnet; An N pole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N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is capable of forming a magnetic flow therein; And an S pole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can form a magnetic flow therein; Wherein magnetic flux from the permanent magnet is transmitted to the magnetostrictive portion via the N-pole piece and the S-pole piec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comprises only the permanent magnet.
  • a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includes: a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including a permanent magnet, which is freely rotatable so as to form at least a first arrangement state and a second arrangement state; And at least one pole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magnetic flow therein, and a main-permanent magnet, and has at least one working surface, an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When a magnetic flux from the main-permanent magnet is minimally affected by the formation of a closed loop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and the main-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Wherein the pole piece and the main permanent magnet are dispos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art does not affect the main permanent magnet so that the influence of magnetic flow from the main permanent magnet on the working surface is maximized, A magnetic flow section; And at least one coil wound around the pole piece; . And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 the pole piece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he pole piece is disposed such that an internal circulating magnetic path is formed.
  • At least one coil is disposed on the closed loop forme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generate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nd at least one coil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lating magnetic path formed in the forming.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achieve the third arrangement state,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the magnetic flow unit includes: a first pole piec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on which a working surface is formed and on which a magnetic flow can be formed; A second pole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n which a working surface is formed and in which a magnetic flow can be formed; A third pole piec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on which a working surface is formed and on which a magnetic flow can be formed; And a fourth pole piec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on which a working surface is formed and in which a magnetic flow can be formed; .
  • the main and permanent magnets are arranged such that any one of the N poles and the S pole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and the other poles contact with the second pole piece
  • the pole piece is arranged to be magnetically connected by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is 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the third pole piece and the fourth pole piece are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 the first pole piece and the second pole piece are arranged to be magnetically connected by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when the first pole piece and the second pole piece are in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4 pole piece.
  • the magnetic material hold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described abov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including the permanent magnet rotates to cause variation of the magnetic flow, so that the degree of magnetization on the action surface can be easily controlled.
  • a magnetic material holding device using such a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requires only a small amount of electric current only at the time of holding or releasing conversion, can achieve low power, and can be held or released even in an emergency in which electric power is cut off, Do.
  • FIGS. 1A to 1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E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of Figs. 1A to 1D.
  •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A to 13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A to 15E are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A to 16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A to 17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8A to 18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A to 19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A to 1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E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of Figs. 1A to 1D.
  •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000 includes a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 magnetic flow section 1200, and a coil 1300.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configured to be freely rotatabl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ming at least a first arrangement state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A) and a second arrangement state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C).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is configured to be freely rotatable, and the smaller the frictional force, the better.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constituted by the permanent magnet itself as in this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to FIG. 1D, but may also be a combination of a permanent magnet and a ferromagnetic body such as iron.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exemplifies that the N-pole surface 1101 and the S-pole surface 1102 are not continuous with each other, bu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section.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1110, an N pole piece 1120, and an S pole piece 1130.
  • the N pole piece 11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N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1110 and can form a magnetic flow therein.
  • the S pole piece 113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1110 and can form a magnetic flow therein.
  • the magnetic flux from the permanent magnet 1110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magnetic flux section 1200 via the N pole piece 1120 and the S pole piece 1130.
  • This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for a large apparatus requiring a large magnetic force because it can prevent the permanent magnets 1110 from being damaged.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 includes a protective member 1140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in addition to the permanent magnet 1110, the N-pole piece 1120 and the S-pole piece 1130, As shown in FIG.
  • the protector 1140 may be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aluminum and protects the permanent magnet 1110 from the outsid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quo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by the protective member 1140.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 ' includes two permanent magnets 1100a and 1100b, and an intermediate pole piece 1150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is interpos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s 1100a and 1100b. As shown in Fig.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1100 ', 1100', 1100 '' ' may have various shapes so as to have the N-pole surface 1101 and the S-pole surface 1102.
  • the magnetic flow unit 1200 includes at least one pole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capable of forming a magnetic flow therein.
  • the magnetic flow section 1200 defines the path of magnetic flow through the arrangement of at least one pole piece.
  • the magnetic flow portion 1200 includes a first pole piece 1210, a second pole piece 1220, a third pole piece 1230, and a fourth pole piece 1240.
  • Each of the pole pieces 1210, 1220, 1230, and 1240 may b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 the first pole piece 1210 has a working surface 1211 and the second pole piece 1220 has a working surface 1221.
  • the working surfaces 1211 and 1221 are illustrated as two in this embodiment, but they may be one or three or more.
  •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action surfaces 1211 and 1221 can be freely set according to the use.
  • the pole pieces 1210, 1220, 1230 and 1240 are arrang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applied to the operating surface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See FIG. 1C),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applied to the working surface 1211 and 1221, , 1221 are maximized.
  • the first pole piece 1210 has a first surface 1212 facing the N pole or S pole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the second pole piece 1220 has a second surface 1222 facing the N pole or S pole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1C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he N pole faces the second surface 1222, and the S pole faces the first surface 1212, , But it may be the other way around.
  • the first surface 1212 and the working surface 1211 are connected by a first pole piece 1210 and the second surface 1222 and the working surface 1221 are connected by a second pole piece 1220.
  •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are separately located.
  • the third pole piece 1230 has a third surface 1231 facing at least one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1240 have a fourth surface 1241 facing the other.
  • the N pole faces the third surface 1231 and the S pole faces the fourth surface 1241.
  • the S pole faces the fourth surface 1241.
  • the N pole faces the third surface 1231 and the S pole faces the fourth surface 1241.
  • the S pole faces the fourth surface 1241.
  • it may be the other way around.
  • the magnetic flow unit 1200 is configured so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 1100 rotates by 90 ° so that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can be performed.
  • both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are provided, but any one of them may be provided.
  • the first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can be induced by only one separated pole piece.
  • the coil 1300 is wound on at least one of the pole pieces 1210, 1220, 1230, and 1240.
  • the coil 1300 is wound on the first pole piece 1210, the second pole piece 1220,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respectively.
  • the coil 130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to fourth surfaces 1212, 1222, 1231, and 1241 for control efficiency.
  •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switched to change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on the operating surfaces 1211 and 1221.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a first arrangement state.
  • the first deployed state can be maintained by attraction because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are construct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 the first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is maintained without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1300 wound around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 the magnetic forces on the action surfaces 1211 and 1221 are minimized.
  • no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magnetic bodies in the vicinity of the action surfaces 1211 and 1221.
  • Almost all of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is directed toward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so that almost no residual is formed on the operating surfaces 1211 and 1221 .
  •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is arranged such that the N pole faces the fourth surface 1241 and the S pole faces the third surface 1231, It is defined as a deployment state.
  • the third surface 1231 is magnetized to the N pole
  • the fourth surface 1241 is magnetized to the S pole, Lt; / RTI >
  • the first surface 1212 is magnetized to the N pole
  • the second surface 1222 is magnetized to the S pol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rotates counterclockwis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C, the N pol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aces the second surface 1222, and the S pole faces the first surface 1212. Then, even if the current application to the coil 1300 is removed as shown in FIG. 1C,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fixed in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s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switched to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he working surfaces 1211 and 1221 are magnetized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magnetic body. Accordingly, when the magnetic substance 1 is present in addition to the action surfaces 1211 and 1221, a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substance 1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1C is formed and the magnetic substance 1 can be held. In this way,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function as a magnetic body holding apparatus.
  •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C in that the N pole faces the first face 1212 and the S pole faces the second face 1222 It is possible.
  • This second arrangement may be achieved by revers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0 wound on the first pole piece 1210 and the coil 1300 wound on the second pole piece 1220 in Figure IB have.
  • the working surfaces 1211 and 1221 are magnetized to any of the N poles or S poles, the first pole piece 1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220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current to the coil 1300 wound around the coil.
  • the holding state is maintained even i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0 is removed. Therefore, no current is consumed in the holding state.
  •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coil 1300 as shown in FIG.
  •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300 such that at least an S pole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212 and an N pole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222.
  •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coil 1300 wound around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to magnetize the third surface 1231 and the fourth surface 1241, .
  • the current may not be applied to the coil 1300 of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 the magnetization of the working surfaces 1211 and 1221 is minimized, so tha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magnetic substance 1 (1) located outside the working surfaces 1211 and 1221 is reduced ) Of the magnetic field. That is, the magnetic body 1 is released from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000.
  •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 is a front view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2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 FIG. 2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2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000 of FIGS. 1A to 1D in that a third pole piece 1230 and a fourth pole piece 1240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y are connected,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other configurations. Accordingly, in order to avoid redundant explanations, only differences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2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 the magnetic flow portion 2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ux generating portion 1100 circulates inward to form a magnetic flow path.
  • the third surface 2251 and the fourth surface 2252 which face the N-pole surface or the S-pole surface,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circulating pole piece 2250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he magnetic flow generated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a closed loop like the dotted line through the circulating pole piece 2250.
  • the circulating pole piece 2250 in this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third pole piece 1230 and the fourth pole piece 1240 in Figs. 1A to 1D.
  • At least one coil 1300 is disposed in the first pole piece 1210 in proximity to the first surface 1212. Also, at least one of the coils 130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le piece 1220 in proximity to the second surface 1222. However, the coil 1300 may be wound only on one of the first pole piece 1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220.
  • At least one of the coils 1300 is wound on the circulating pole piece 2250.
  • two coils 1300 are wound on the circulating pole piece 2250, but only one coil may be provided.
  • the coil 1300 wound on the circulating pole piece 2250 is preferably disposed close to the third surface 2251 or the fourth surface 2252 in order to impart an immediate rotational force to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 the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3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has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3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3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configur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section 3200 is form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is circulated inwardly like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2000 described above do.
  • the magnetic flow portion 3200 includes a pole piece unit 3260, in addition to the first pole piece 1210.
  • the pole piece unit 3260 includes the circulating pole piece 2250 and the second pole piece 1220 shown in FIG. 2 as one unit.
  • the pole piece unit 3260 has a second surface 3262, a third surface 3263 and a fourth surface 3264.
  • the N pole or the N pol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applied to the third surface 3263 and the fourth surface 3264, And the third surface 3263 and the fourth surface 3264 are magne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magnetic flow circulating to the inside like a dotted line.
  • the N pole or the S pol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212 or
  • the first surface 1212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1211 and the second surface 3262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3261 ,
  • the working surfaces 1211 and 3261 can be magnetized. That is, as shown in FIG. 3 (b), the magnetic body 1 can be held by forming a magnetic flow like the dotted lin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magnetic body 1.
  • any one of the third surface 3263 and the fourth surface 3264 may be omitted.
  • the coil 1300 corresponding to the omitted plane may be omitted.
  • the pole piece unit 326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3, but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le pieces.
  • the coil 1300 exemplifies the arrangement of four coils 1300 close to the first to fourth faces 1212, 3262, 3263 and 3264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proximate to the second surface 3262.
  • the arrangement of the coils 1300 may reduce the number of the coils 1300 i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can be switched.
  • the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4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4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4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 the magnetic flow portion 4200 includes a pole piece unit 4210, a first pole piece 4220, and a second pole piece 4230.
  • the first pole piece 4220 is a part of the first pole piece 4220 facing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first surface 422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4221.
  • the second pole piece 4230 is a part that faces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second surface 423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4231.
  • Pole piece unit 4210 has working surfaces 4211 and 4212.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forms all the first arrangement states as shown in Figure 4A, the pole piece unit 4210 has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Are formed such that the magnetic flow paths are formed such that the magnetic flux from the magnetic flux paths circulates inwardly, and these magnetic flux paths are configured to overlap in some pole pieces.
  • the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5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5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5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5000 is obtained by extending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3000 of FIG. 3 to both sides, and the operation principle thereof is the same.
  • the magnetic flow portion 5200 includes a pole piece unit 5210 and a connecting pole piece 5220.
  • the pole piece unit 5210 has working surfaces 5211 and 5212.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5A, a separate magnetic flow Path.
  • the connecting pole piece 5220 has a working surface 5221 and when one of the working surfaces to be magnetized (that is, the working surface) is magnetize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5 (b) 5221) is configured to be shared by all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6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6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60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the magnetic flow portion 6200 includes a circulating pole piece 6210, a first pole piece 6220, a second pole piece 6230, and a connecting pole piece 6240.
  • the first pole piece 6220 is a part of the first pole piece 6220 facing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first surface 622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6221.
  • the second pole piece 6230 is a part of the second pole piece 6230 that is formed on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second surface 623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6231.
  • the connecting pole piece 6240 is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he connection pole piece 6240 faces the N pole or the S pol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 the circulating pole piece 6210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flux generating units 1100 and the magnetic flux generating units 1100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ole piece 6240 and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6 (a)).
  • the N pole surface and the S pole surface face each other on the connecting pole piece 6240 as shown in FIG. 6 (a).
  • 6 (b)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ors 1100 are in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he magnetic poles facing the circulating pole piece 6210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magnetic flow like the dotted line,
  • the coils 1300 should be controlled so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is arranged differently.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7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7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7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the magnetic flow portion 7200 includes a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7210, a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a first pole piece 7230 and a second pole piece 7240.
  • the first pole piece 7230 is a part of the first pole piece 7230 that faces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first surface 723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7231.
  • the second pole piece 7240 is a part of the pole piece 7240 facing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second surface 724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7241.
  •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7210 and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allow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to circulate inwar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is configured to form a magnetic flow path (as in Fig. 7 (a)).
  •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may have a working surface 7221 and may have additional features other than the working surface 7231 of the first pole piece 7230 and the working surface 7241 of the second pole piece 7240 It can function as a working surface.
  •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and the working surface 722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pole piece disposed between the both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
  • the coil 1300 is disposed between the pole piece and the working surface 7221 disposed between the both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 the both magnetic flux generating portions 11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7210 as shown in FIG. 7 (a)
  •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faces the N pole surface and the S pole surface, respectively.
  • the magnetic flux generating portions 1100 are arranged such that magnetic fluxes as shown by the dotted lin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7 (b)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arranged in the same manner. 7,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is disposed such that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are in the second disposition state, the same magnetic pole is applied to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7220, As shown in Fig.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8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8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circulating pole piece 8210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8000 of this embodiment has additional action surfaces 8211 and 8212 formed extending from the circulating pole piece 6210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6000 of Fig. .
  • the first pole piece 8220 and the second pole piece 8230 correspond to the first pole piece 6220 and the second pole piece 6230 in FIG. 6, respectively,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8000 of this embodiment has additional acting surfaces 8211 and 8212, so that more stable characteristics can be expected at the time of holding the magnetic body 1.
  •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9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9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9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 the magnetic flow portion 9200 includes a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9210, a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9220, a first pole piece 9230, a second pole piece 9240 and a connecting pole piece 9250 .
  • the first pole piece 9230 is a part of the first pole piece 9230 facing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first surface 923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9231.
  • the second pole piece 9240 is a part of the second pole piece 9240 facing the N pole surface or the S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And has a second surface 9242, whi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9241.
  •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9210 and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9220 are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1100 circulates inwar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1100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o form a magnetic flow path (as shown in Fig. 9 (a)).
  • connection pole pieces 9250 are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to magnetically connec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to each other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are in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the both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9210 as shown in FIG. 9 (a)
  •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9220 faces the N pole surface and the S pole surface, respectively.
  • the N pole surface and the S pole surface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le piece 9250 so that a magnetic flow as shown by the dotted line can be formed, So that the polar surface is confronted.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0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10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0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 the magnetic flow portion 10200 includes a pole piece unit 10210, a circulating pole piece 10220, a pole piece 10230, and a connecting pole piece 10240.
  • the pole piece unit 10210 includes a working surface 10211 and also includes a first surface 10212, a second surface 10213, and a third surface 10214.
  • the circulating pole piece 10220 includes a first surface 10221 and a second surface 10222.
  • the pole piece 10230 includes a working surface 10231 and a first surface 10232.
  • the connecting pole piece 10240 includes a first surface 10241 and a second surface 10242.
  • the first surface 10221 of the circulating pole piece 10220 faces the N-pole surface, and the pole piece unit 10210
  • the second surface 10213 faces the S pole surface.
  • the second surface 12222 of the circulating pole piece 10220 faces the S pole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10214 of the pole piece unit 10210 faces the N pole surface.
  • an internal circulating magnetic flow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10 (a) is formed.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arranged.
  • the N pole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10212 of the pole piece unit 10210 and the connection pole piece 10240
  • the S pole face is faced to the first face 10241 of FIG.
  • the second pole face 10242 of the connecting pole piece 10240 faces the N pole face and the S pole face faces the first face 10232 of the pole piece 10230.
  •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substance 1 is forme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10 (b), so that magne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external magnetic substance 1.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shown in FIG. 10 (b).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1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11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im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 the magnetic flow portion 11200 includes a first pole piece unit 11210, a second pole piece unit 11220, and a connecting pole piece 11230.
  • the first pole piece unit 11210 includes a working surface 11211 and also includes a first surface 11212, a second surface 11213, a third surface 11214, and a fourth surface 11215.
  • the second pole piece unit 11220 includes a working surface 11221 and also includes a first surface 11222 and a second surface 11223.
  • the connecting pole piece 11230 includes a first surface 11231 and a second surface 11232.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he N pole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11222 of the first pole piece unit 11210, The S pole face is faced to the first face 11231 of the second electrode 11230.
  • the second pole face 11232 of the connecting pole piece 11230 faces the N pole face and the fourth pole face 11215 of the first pole piece unit 11210 faces the S pole face.
  • an internal circulating magnetic flow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11 (a) is formed.
  •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may b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shown in FIG. 11 (a).
  • the first pole 11222 of the second pole piece unit 11220 faces the S pole face
  • the second pole piece unit 11220 faces the first pole 11222.
  •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 the second surface 11213 of the piece unit 11210 faces the N pole surface.
  • the second pole piece unit 11220 has the S pole face facing the second face 11223 and the N pole face facing the third face 11214 of the first pole piece unit 11210.
  •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substance 1 is forme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11 (b), so that magne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external magnetic substance 1.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of FIG. 11 (b).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12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2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s 1100. [
  • the magnetic flow portion 12200 includes a first pole piece 12210, a second pole piece 12220, a connecting pole piece 12230, a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12240, a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12250 ).
  • the first pole piece 12210 has a working surface 12211 and a first surface 12212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12211.
  • the second pole piece 12220 also has a working surface 12221 and has a first surface 12222 that is connected to the working surface 12221.
  • the connecting pole piece 12230 has a working surface 12231 and has a first surface 12232 and a second surface 12233 magnetically coupled to the working surface 12231.
  •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12240 has a first surface 12241 (corresponding to 12251 not shown in the figure) and a second surface 12242 (corresponding to 12252 not shown in the figu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
  •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12250 has a first surface 12251 and a second surface 12252 that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form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he N-pole surface and the S-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form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12240 and the second By facing the first faces 12241 and 12251 and the second faces 12242 and 12252 of the circulating pole piece 12250, the magnetic flow is circulated inward.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of FIG.
  • the first surface 12232 and the second surface 12233 of the connecting pole piece 12230 are provided with a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 the S pole 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faces the first face 12212 of the first pole piece 12210 and the first face 12222 of the second pole piece 12220, So that the magnetic body can be held on the action surfaces 12211, 12231, and 12221.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2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2000 of FIG. 2 is extended,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S. 13A to 13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3000 includes a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 magnetic flow section 13200, and a coil 1300.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is also included in the magnetic force controlling apparatus 10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agnetic flux section 13200 includes at least one pole piece and a main-permanent magnet 1400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magnetic flow therein.
  • the magnetic flow unit 13200 is distinguished from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es 1000 to 12000 in that it includes the main-permanent magnet 1400.
  • the magnetic flow portion 13200 has at least one working surface 13211 and 13221 and the working surfaces 13211 and 13221 are formed on the pole piece.
  • a closed loop (shown by a dotted line) i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nd the main-permanent magnet 1400,
  • Pole piece and main-permanent magnet 1400 are disposed such that the influence of the main-permanent magnet 1400 on the main-permanent magnet 1400 is minimized.
  • the magnetic flow portion 13200 has pole pieces including a first pole piece 13210 and a pole piece unit 13220, which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magnetic flow therein such as iron .
  • the first pole piece 13210 has a working surface 13211 and this working surface 13211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3212.
  • the pole piece unit 13220 has a working surface 13221 and the working surface 13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3222, the second surface 13223 and the third surface 13224.
  • the permanent magnet 1400 is placed in contact with either the N pole or the S pole in the first pole piece 13210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one of the pole piece unit 13220. Note -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manent magnet 1400 is a main permanent magnet that gives a holding force to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13000, and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action surfaces 13211 and 13221.
  • At least one coil 1300 is wound on the pole piece.
  • the coil 1300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surface 13222 and the second surface 13223 of the pole piece unit 13220.
  • a larger number of coils may be disposed.
  • At least one coil 1300 is disposed on a closed loop formed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orm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lating magnetic path formed when the portion 1100 form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3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0 so that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3A)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13c), thereby changing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at the operating surfaces 13211 and 13221.
  • the princi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N pole surfa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faces the first surface 13222 of the pole piece unit 13220 and the S pole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13212 of the first pole piece 13210 So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can achieve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the closed loop (such as the dotted line) comprising the main permanent magnet 1400,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and the pole pieces is formed,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in permanent magnet 1400 causes magnetic flow And is led to the generation unit 1100. Accordingly, the magnetic flux to the working surfaces 13211 and 13221 is minimized.
  • the magnetic flux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internally circulated in the pole piece unit 13220 (referred to as an 'internal circulating magnetic path') without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1300 as shown in FIG. 13C, , And rarely affects the main-permanent magnet 1400. Accordingly, the magnetic flux from the main-permanent magnet 1400 is directed to the action surfaces 13211 and 13221, so that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xternal magnetic body 1. When a magnetic flow is formed inside the magnetic body 1, the magnetic body 1 is held.
  •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coil 1300 as shown in FIG. 13D.
  • the magnetic flux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n the upper side is weakened by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to the coil 1300, the N pole is locally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3223, and the S pole is locall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3222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rotated and switched to a state as shown in FIG. 13A. Accordingly, the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body 1 is directed to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again as shown in FIG. 13A, so that the magnetic body 1 can be released. Thereafter, even if the current application to the coil 1300 is removed, the released state is maintained.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controlled to form a third arrangement state other tha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Is rotated to form an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3F. This is referred to as a third deployment state,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deployment state.
  • the magnetic flow to the working surfaces 13211 and 13221 is increased and a stronger magne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outer magnetic body 1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is in the third arrangement state .
  • the magnetic substance 1 can be released by switching the thir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3F to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3A through the current control to the coil 1300.
  • 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14A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ve form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FIG. 14B shows the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has form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nd FIG. 14C shows a case where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s 1100 form the third arrangement state.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4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 magnetic flow section 14200, and a coil 1300.
  • the magnetic flow portion 14200 includes a first pole piece 14210, a pole piece unit 14220, and a primary permanent magnet 1400.
  • the first pole piece 14210 has a working surface 14211 and this working surface 14211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4212.
  • the pole piece unit 14220 has a working surface 14221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4222, the second surface 14223 and the third surface 14224.
  • the N pole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14222 of the pole piece unit 14220, and the first pole piece 14210 face the S pole face.
  • the second surface 14223 of the pole piece unit 14220 faces the S pole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14223 of the pole piece unit 14220 faces the third surface And the N-polarity surface is faced to the surface 14224.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may be arranged.
  • the S pole face faces the first face 14222 of the pole piece unit 14220
  • the first surface 14212 of the piece 14210 faces the N pole surface.
  • control metho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3F,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15A to 15E are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includes a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a magnetic flow section 15200, and a coil 1300.
  • the magnetic flow portion 15200 includes a first pole piece 15210, a second pole piece 15220, a circulating pole piece 15250, and a main permanent magnet 1400 .
  • the first pole piece 15210 has a working surface 15211,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5212.
  • the second pole piece 15220 has a working surface 15221,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5222.
  • the circulating pole piece 15250 has a first surface 15251 and a second surface 15252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circulating pole piece 15250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pole piece 15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5220.
  • an internal circulating magnetic flow such as a dotted line is formed through the circulating pole piece 15250, whereby the main permanent magnet 1400
  •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 1100 does not affect the magnetic flow.
  • the magnetic flux from the main permanent magnet 1400 is directed to the action surfaces 15211 and 15221 so that the magnetic substance 1 can be held on the action surfaces 15211 and 15221.
  • 16A to 16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6000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s 1100, a magnetic flow section 6200a, and a coil 1300.
  •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6000 with reference to Fig. 6, except that the main-permanent magnet 6400 is included in the magnetic flow portion 6200a and some of the coils 1300 are omitted have. Note - By including the permanent magnet 64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gnetic force on the action surfaces 6221 and 6231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gnetic body 1 to be attached. Since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6000 of FIG. 6, the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is omitted.
  • the permanent magnet 6400 is arranged such that any one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is contacted to the first pole piece 6220 and the other pole is contacted to the second pole piece 6230.
  • the N-pol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6220 and the S-pol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le piece 6230, but it may be reversed.
  • the coil 1300 is omitted from the magnetic pole of the first pole piece 6220 and the second pole piece 6230 as compared with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6000 of FIG. And thos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can be omitted.
  • the arrangement of such coils 1300 is exemplary and may additionally be disposed on the magnetic flow path.
  • FIG. 16A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chieves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a closed loop of magnetic flow (shown by a dotted line) i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and the main-permanent magnet 6400, The influence on the surfaces 6221 and 6231 is minimized. That is, in this case, even if a magnetic substance is present outside the action surfaces 6221 and 6231, it can not be attached. In this case, the state is maintained even if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300.
  •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unit 1100 can achieve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6C. 16B, current is also applied to the coil 1300 wound around the connecting pole piece 6240. However, the current may not be applied to the coil 1300.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enters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6C,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generates the magnetic flow of the closed loop itself through the circulating pole piece 6210a, It does not have a magnetic influence on the magnet 6400.
  • the magnetic flux of the main-permanent magnet 6400 flows through the magnetic substance 1 outside the action surfaces 6221 and 6231 so that the magnetic substance 1 can be held on the action surfaces 6221 and 6231 .
  • the state shown in Fig. 16C is maintained. That is, current is not consumed for holding the magnetic body 1.
  •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unit 1100 may b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magnetic flux generating units 1100 are inverted by 180 degrees, respectively. That is, there are two second arrangement states, and in order to achieve the specific second arrangement state, a coil 1300 wound around the connection pole piece 6240 may be used.
  • the third arrangement state is defined as being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opposite to the first arrangement state of Fig. 16A.
  • the magnetic flow from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further passed to the magnetic body 1 so that the magnetic body 1 is moved to the working surface 6221, 6231, respectively.
  •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coil 1300 as shown in Fig. 16F.
  • the change to the first deployed state involves a change to the second deployed state and once the coil has been changed to the second deployed state, the coil 1300 wound on the connecting pole piece 6240 has a current Authorization must be additionally performed.
  •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to the coil 1300 it is possible to change to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16A,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even if the current application to the coil 1300 is removed after the change.
  • Such a change in the arrangement stat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a magnetic body is present outside the working surfaces 6221 and 6231.
  • 17A to 17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6000b of Figs. 17A to 17C is a modification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6000a of Figs. 16A to 16F.
  • the magnetic flow section 6200b includes a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6210b separated from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6210b, 2 circulating pole piece 6250. The arrangement of the other pole piec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6000a.
  • the number of the coils 1300 can be reduced by having the constitution of the first circulating pole piece 6210b and the second circulating pole piece 6250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other operating principl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6000a of Figs. 16A to 16F, and therefor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 FIG. 17A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has attain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FIG. 17B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has achiev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FIG. 17C shows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ndicates that the third arrangement state is achieved.
  • Such a change in placement conditions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0.
  • 18A to 18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4000a of Figs. 18A to 18C is a modification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4000 of Fig. 4.
  • the magnetic flow section 4200a includes a first main-permanent magnet 4410 and a second main- (4420).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except that there is only a separated difference between the connection pole pieces 4240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s 1100.
  • the first main-permanent magnet 4410 is arranged such that the N pole contacts the first pole piece 4220 and the S pole contacts the pole piece unit 4210a.
  • the second main-permanent magnet 4420 is arranged such that the S pol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le piece 4230 and the N pole is in contact with the pole piece unit 4210a.
  • first main-permanent magnet 441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 pol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4220 and the N pole is in contact with the pole piece unit 4210a.
  • second main permanent magnet 442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N pole contacts the second pole piece 4230, and the S pole contacts the pole piece unit 4210a.
  • FIG. 18A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has achiev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FIG. 18B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has achiev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FIG. 18C shows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ndicates that the third arrangement state is achieved.
  • Such a change in placement conditions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0.
  • 19A to 19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4000b of Figs. 19A to 19C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hird main permanent magnet 4430 in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4000a of Figs. 18A to 18C. That is, the magnetic flow portion 4200b includes three main-permanent magnets 4410, 4420, and 4430.
  • the first pole piece 4220 is contacted with one of the poles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first main-permanent magnet 4410 and the third main permanent magnet 4430, and the second pole piece 4230 are arranged with main-permanent magnets 4410, 4420, 4430 so that the magnetic poles of the second main permanent magnet 4420 and the third main permanent magnet 44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N pole of the first main permanent magnet 4410 and the third main permanent magnet 4430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4220
  • the second pole piece 4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pole- And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4420 and the third main permanent magnet 44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IG. 19A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has achieved the first arrangement state
  • FIG. 19B shows that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has achieve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 FIG. 19C shows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Indicates that the third arrangement state is achieved.
  • Such a change in placement conditions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0.
  • FIG. 20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of FIG. 20 includes a magnetic flux unit 15200' modified in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of FIGS. 15A to 15E and the magnetic flow unit 15200 'includes a third pole piece 15250 -1) and a fourth pole piece 15250-2.
  • the third pole piece 15250-1 and the fourth pole piece 15250-2 are formed by separating the circulating pole piece 15250 of Figures 15a to 15e into two members so that the working surfaces 15253 and 15254 Is formed.
  • the first pole piece to the fourth pole piece 15210, 15220, 15250-1, and 15250-2 are formed with working surfaces 15211, 15221, 15253, and 15254, respectively, .
  • the permanent magnet 1400 is disposed so that one of the N poles and the S pole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15210 and the other pol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le piece 15220.
  • the first pole piece 15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5220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pole piece 15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5220 are magnetically connected by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 the third pole piece 15250-1 and the fourth pole piece 15250-2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is in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not shown in FIG. 20) (1100).
  • the coil 1300 may be woun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le piece 15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5220 and at least one of the third pole piece 15250-1 and the fourth pole piece 15250-2. .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dditional working surfaces 15253 and 15254 capable of holding additional magnetic bodies 2 in addition to the working surfaces 15211 and 15221 capable of holding the magnetic body 1 And the other operating principle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A to 15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magnetic body 1 and the magnetic body 2 are controlled to be simultaneously held or released simultaneously.
  • 21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in FIG. 21 includes a magnetic flux unit 15200" modified in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in FIG. 20, and the magnetic flow unit 15200 " 15211 and 15221 are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holding one magnetic body 1 together with the action surfaces 15253 and 15254.
  • the first pole piece 15210 'and the second pole piece 15220' are bent at an angle of 90 ° so that the action surfaces 15211 and 15221 can be disposed at desired positions. As such, the arrangement of the action surfaces 15211, 15221, 15253, and 15254 can be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ternal magnetic body to be influenced.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 of FIG. 21 can be manufactured with a thin thickness and can be usefully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be formed thin.
  • FIG. 22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unit 15000 '' 'of FIG. 22 includes a magnetic flow unit 15200' '' modified by the magnetic force control unit 15000 'of FIG. 20, and the magnetic flow unit 15200' - the permanent magnet is omitted.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hold one of the two magnetic bodies 1 and 2 and release the other one .
  •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low generating portion 1100 affects the action surfaces 15211 and 15221 and does not affect the action surfaces 15253 and 15254.
  • the magnetic substance 1 is held on the action surfaces 15211 and 15221, and the magnetic substance 2 is released on the action surfaces 15253 and 15254.
  • the magnetic substance 1 is released from the action faces 15211 and 15221, and the magnetic substance 2 is held on the action faces 15253 and 15254.
  • FIG. 23 is a schematic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 '' of FIG. 23 includes a magnetic flow unit 15200 '' '' modified in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15000 '' of FIG. 21, and the magnetic flow unit 15200 '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permanent magnet is omitted.
  • the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15000 '' ''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hold one of the magnetic materials 1 and 2 arranged in parallel and to arrange the action surfaces 15211, 15221, 15253 and 15254 to release the other .
  • the magnetic flow generation section 1100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to be mechanically fixed when it is 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or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or the third arrangement state). That is, after being changed to the first arrangement state and the second arrangement state (or the third arrangement state) by the coil 1300, it can be fixed for maintenance of the arrangement state.
  • Such fix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released only upon changing between batch states.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maintain the holding state or the released state by preventing the unintentional magnetic flow generating section 1100 from rotating.
  •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agnetic body holding apparatus using the magnetic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used throughout the machining system such as mold clamping, mold clamping of a press machine, chuck of a machine to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롭게 회전하는 영구자석의 배치상태를 코일로 제어함으로써 작용면에서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는, 적어도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흐름생성부;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작용면을 가지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대화되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흐름부; 및 상기 폴피스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용면에서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킨다.

Description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본 발명은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영구자석의 배치상태를 코일로 제어함으로써 작용면에서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permanent magnet workholding device) 와 같은 자성체 홀딩 장치는 철과 같은 자성 물질 (magnetic material) 로 구성된 부착 대상을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오늘날 사출기의 금형 클램핑, 프레스기의 금형 클램핑, 공작 기계의 척 등에 부착되는 내부 장치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성체 홀딩 장치는, 기본적으로 영구자석의 강한 자기력을 이용하여, 자성체인 부착 대상을 홀딩면에 부착시키게 되는데, 해제 시에는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 흐름을 제어하여 홀딩면으로 자기 흐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부착 대상을 홀딩면으로부터 떨어뜨린다.
본 출원인은 영구자석을 회전시킴으로써 자기 회로를 변경시킴으로써 홀딩 및 해제를 행하는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의 경우, 영구자석을 모터로서 회전시키게 되는데, 모터에 많은 힘을 인가하여야 하므로, 사용성이 좋지 못하였고, 모터에 많은 전력이 들어가서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31134호 (발명의 명칭 :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영구자석의 배치상태를 코일로 제어함으로써 작용면에서의 자기력을 제어하는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는, 적어도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흐름생성부;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작용면을 가지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대화되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흐름부; 및 상기 폴피스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용면에서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용면은 두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면과 대면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폴피스와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용면은 두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면과 대면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제3 면과 대면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하나의 면은 제4 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은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면과 연결된 폴피스 및 상기 제2 면과 연결된 폴피스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일이 감기고,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연결된 폴피스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일이 감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90° 회전하여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모두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흐름경로들은 일부 폴피스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모두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흐름경로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모두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화되는 상기 작용면 중 하나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 모두에 의해 공유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흐름부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폴피스 및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이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연결 폴피스 및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과 함께 상기 영구자석들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순환 폴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흐름부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이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연결되는 상기 작용면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폴피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상기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N극과 접촉되고,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N 폴피스; 및 상기 영구자석의 S극과 접촉되고,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S 폴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상기 N 폴피스 및 상기 S 폴피스를 거쳐 상기 자기흐름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상기 영구자석으로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는, 적어도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흐름생성부;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 및 주-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작용면을 가지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와 상기 주-영구자석 간에 폐루프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주-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주-영구자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상기 주-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대화되도록, 상기 폴피스 및 상기 주-영구자석이 배치되는, 자기흐름부; 및 상기 폴피스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용면에서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내부 순환 자기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폐루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 순환 자기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상기 제1 배치상태와 반대방향인 제3 배치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기흐름부는,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 폴피스;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2 폴피스;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3 폴피스; 및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4 폴피스; 를 포함한다. 상기 주-영구자석은 상기 제1 폴피스에 N극 및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고 상기 제2 폴피스에 다른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폴피스 및 상기 제2 폴피스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인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폴피스 및 상기 제4 폴피스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인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폴피스 및 상기 제2 폴피스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제3 폴피스 및 상기 제4 폴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감기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성체 홀딩 장치는, 상술한 자기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기력 제어 장치는 적은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흐름생성부가 회전함으로써 자기흐름의 변동이 발생되어 작용면에서의 자화 정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기력 제어 장치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는 홀딩 또는 해제 변환 시에만 소량의 전류 만이 필요하여, 저전력을 도모할 수 있고, 전력이 차단되는 비상 시에도 홀딩 또는 해제의 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e는 도 1a 내지 도 1d의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자기력 제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e는 도 1a 내지 도 1d의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 (100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자기흐름부 (1200) 와, 코일 (13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적어도 제1 배치상태 (도 1a와 같은 배치상태) 및 제2 배치상태 (도 1c와 같은 배치상태) 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회전은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마찰력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도 1a 내지 도 1d를 통해 설명되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영구자석 자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영구자석과 철과 같은 강자성체의 조합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N극면 (1101) 과 S극면 (1102) 이 서로 연속하지 않는 것을 예시하나, 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e의 (a)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영구자석 (1110), N 폴피스 (1120) 및 S 폴피스 (113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 폴피스 (1120) 는 영구자석 (1110) 의 N극과 접촉되고,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S 폴피스 (1130) 는 영구자석 (1110) 의 S극과 접촉되고,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영구자석 (1110) 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N 폴피스 (1120) 및 S 폴피스 (1130) 를 거쳐 자기흐름부 (1200) 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영구자석 (1110)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자기력을 필요로 하는 대형 장치에 있어서 유리하다.
더불어, 도 1e의 (b)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영구자석 (1110), N 폴피스 (1120) 및 S 폴피스 (1130) 이외에 비자성체 재질의 보호체 (11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체 (1140) 는 고무,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영구자석 (1110) 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보호체 (1140) 에 의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e의 (c)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두개의 영구자석 (1100a, 1100b) 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중간 폴피스 (1150) 를 부가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자기흐름생성부 (1100, 1100', 1100'', 1100''') 는 N극면 (1101) 과 S극면 (1102) 을 가지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흐름부 (1200) 는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로 이루어진다. 자기흐름부 (1200) 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의 배치를 통하여, 자기흐름의 경로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흐름부 (1200) 는, 제1 폴피스 (1210), 제2 폴피스 (1220),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를 포함한다. 각 폴피스들 (1210, 1220, 1230, 1240) 은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폴피스 (1210) 는 작용면 (1211) 을 가지고, 제2 폴피스 (1220) 는 작용면 (1221) 을 가진다. 작용면 (1211, 1221) 은 본 실시예에서 2개로 예시되나, 1개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작용면 (1211, 1221) 의 형상 및 개수는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폴피스들 (1210, 1220, 1230, 1240) 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도 1a 참조) 에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작용면 (1211, 1221) 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도 1c 참조) 에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작용면 (1211, 1221) 에 미치는 영향이 최대화되도록 배치된다.
제1 폴피스 (121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N극 또는 S극과 대면하는 제1 면 (1212) 을 가진다. 제2 폴피스 (122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N극 또는 S극과 대면하는 제2 면 (1222) 을 가진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때, N극이 제2 면 (1222) 과 대면하고, S극이 제1 면 (1212) 과 대면하도록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여도 무방하다.
제1 면 (1212) 과 작용면 (1211) 은 제1 폴피스 (1210) 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면 (1222) 과 작용면 (1221) 은 제2 폴피스 (1220) 에 의해 연결된다.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는 각각 분리되어 위치된다. 제3 폴피스 (123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N극 및 S극 중 적어도 하나와 대면하는 제3 면 (1231) 을 가지고, 제4 폴피스 (1240) 는 다른 하나와 대면하는 제4 면 (1241) 을 가진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할 때, N극이 제3 면 (1231) 과 대면하고, S극이 제4 면 (1241) 과 대면하도록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여도 무방하다.
한편,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90° 회전하여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기흐름부 (1200) 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가 모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나, 어느 하나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분리된 하나의 폴피스만으로도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제1 배치상태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일 (1300) 은 폴피스들 (1210, 1220, 1230, 1240) 에 적어도 한 개 감긴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1300) 은 제1 폴피스 (1210), 제2 폴피스 (1220),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에 각각 하나씩 감긴다.
코일 (1300) 은 제어의 효율성을 위해 제1 면 내지 제4 면 (1212, 1222, 1231, 1241) 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작용면 (1211, 1221) 에서의 자기 특성이 변화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배치상태는 제3 폴피스 (1230) 와 제4 폴피스 (1240) 가 강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에 감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아도,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제1 배치상태는 유지된다.
이 경우, 작용면들 (1211, 1221) 에서의 자기력은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작용면들 (1211, 1221) 근방의 자성체에 자기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더욱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의 거의 전부는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를 향하고 있어, 작용면들 (1211, 1221) 에 잔류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앞서 언급하였으나, 제1 배치상태는 N극이 제4 면 (1241) 과 대면하고, S극이 제3 면 (1231) 과 대면하도록,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는 것도 제1 배치상태라고 정의한다.
도 1b와 같이 각각의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제3 면 (1231) 은 N극으로 자화되고, 제4 면 (1241) 은 S극으로 자화됨에 따라,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회전한다. 코일 (1300) 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 면 (1212) 이 N극으로 자화되고 제2 면 (1222) 이 S극으로 자화되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1c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은 제2 면 (1222) 과 대면하고, S극은 제1 면 (1212) 과 대면하게 된다. 이후, 도 1c와 같이 코일 (1300) 에 대한 전류 인가를 제거하더라도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2 배치상태로 고정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작용면 (1211, 1221) 은 자화되어, 외부의 자성체에 대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작용면 (1211, 1221) 외에 자성체 (1) 가 존재할 경우, 자성체 (1) 를 통과하는 도 1c의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이 형성되어, 자성체 (1) 가 홀딩될 수 있다. 이렇든,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000) 는 자성체 홀딩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제2 배치상태는 도 1c에 도시된 것과 달리, N극이 제1 면 (1212) 과 대면하고, S극이 제2 면 (1222) 과 대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2 배치상태는 도 1b에서 제1 폴피스 (1210) 에 감긴 코일 (1300) 및 제2 폴피스 (1220) 에 감긴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만약, 작용면 (1211, 1221) 이 N극 또는 S극 중 임의의 것으로 자화되어도 된다면, 제1 배치상태에서 제2 배치상태로 전환 시에 제1 폴피스 (1210) 및 제2 폴피스 (1220) 에 감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아도 된다.
일단, 도 1c와 같이 외부의 자성체 (1) 를 통과하는 자기흐름이 형성되면,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거하더라도 홀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홀딩 상태의 유지에 전류가 소모되지 않는다.
작용면 (1211, 1221) 의 자화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 1d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된다. 적어도, 제1 면 (1212) 에는 S극, 제2 면 (1222) 에는 N극이 형성되도록,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도 1d와 같이,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에 감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3 면 (1231) 및 제4 면 (1241) 을 자화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면 (1231) 및 제4 면 (1241) 을 자화시키지 않더라도,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1 배치상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배치상태로의 전환 시에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의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특정 자극을 특정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에 감긴 코일 (1300) 에도 전류를 인가해야 한다. 도 1d에서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를 도 1a와 같은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에 감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회전하여, 도 1a와 같은 상태로 전환되고, 작용면 (1211, 1221) 의 자화는 최소화되어, 작용면 (1211, 1221) 외부에 위치하는 자성체 (1) 에 자기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즉, 자성체 (1) 는 자기력 제어 장치 (1000) 로부터 해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의 (a) 는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2000)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 는 도 2의 (a) 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2000) 는, 도 1a 내지 도 1d의 자기력 제어 장치 (1000) 와 비교하여, 제3 폴피스 (1230) 와 제4 폴피스 (1240) 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서는 차이가 없다. 이에 따라,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차이점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200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 (도 2와 같은 배치상태) 를 형성하는 경우, 도 2의 (b) 의 점선과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자기흐름부 (2200) 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2와 같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그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3 면 (2251) 및 제4 면 (2252) 이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순환 폴피스 (2250) 가 구비된다. 따라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 생성되는 자기흐름은 순환 폴피스 (2250) 를 거쳐 점선과 같은 폐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순환 폴피스 (2250) 는 도 1a 내지 도 1d 에서의 제3 폴피스 (1230) 및 제4 폴피스 (1240) 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코일 (1300) 은 제1 면 (1212) 과 근접하게 제1 폴피스 (1210) 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또한, 코일 (1300) 은 제2 면 (1222) 과 근접하게 제2 폴피스 (1220) 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하지만, 코일 (1300) 은 제1 폴피스 (1210) 및 제2 폴피스 (1220) 중 하나에만 감겨도 무방하다.
또한, 코일 (1300) 은 순환 폴피스 (2250) 에 적어도 하나가 감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 폴피스 (2250) 에 두 개의 코일 (1300) 이 감긴 것을 예시하나, 하나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순환 폴피스 (2250) 에 감기는 코일 (1300) 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에 즉각적인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제3 면 (2251) 또는 제4 면 (2252) 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3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3000) 도 상술한 자기력 제어 장치 (2000)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자기흐름부 (3200) 가 형성된다.
자기흐름부 (3200) 는 제1 폴피스 (1210) 이외에, 폴피스 유닛 (3260) 을 포함한다. 폴피스 유닛 (3260) 은 도 2에서의 순환 폴피스 (2250) 및 제2 폴피스 (1220) 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한 것이다.
폴피스 유닛 (3260) 은 제2 면 (3262), 제3 면 (3263) 및 제4 면 (3264) 을 가진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3의 (a) 와 같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제3 면 (3263) 및 제4 면 (3264) 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 또는 S극이 대면하고, 제3 면 (3263) 과 제4 면 (3264) 은 자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점선과 같은 내부로 순환하는 자기흐름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도 3의 (b)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 또는 S극은 제1 면 (1212) 또는 제2 면 (3262) 과 대면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면 (1212) 은 작용면 (121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면 (3262) 은 작용면 (326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작용면들 (1211, 3261) 은 자화될 수 있다. 즉, 도 3의 (b) 와 같이, 외부의 자성체 (1) 를 통과하는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자성체 (1) 를 홀딩할 수 있다.
폴피스 유닛 (3260) 에서, 제3 면 (3263) 및 제4 면 (3264)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때, 생략되는 면에 대응되는 코일 (1300) 도 생략될 수 있다.
폴피스 유닛 (3260) 은 도 3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수의 폴피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코일 (1300) 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면 내지 제4 면 (1212, 3262, 3263, 3264) 에 근접하게 4개를 배치한 것을 예시하나, 제3 면 (3263) 에 근접하게 하나 그리고 제2 면 (3262) 에 근접하게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 (1300) 의 배치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면 그 수를 줄일 수도 있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4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4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 (1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4200) 는 폴피스 유닛 (4210) 과 제1 폴피스 (4220) 와 제2 폴피스 (4230) 를 포함한다.
제1 폴피스 (422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4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1 면 (4222) 을 가지며, 이 제1 면 (4222) 은 작용면 (422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폴피스 (423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4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2 면 (4232) 을 가지며, 이 제2 면 (4232) 은 작용면 (423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폴피스 유닛 (4210) 는 작용면 (4211, 4212) 을 가지며,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4의 (a) 와 같이 모두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들이 형성되고, 이 자기흐름경로들은 일부 폴피스에서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5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5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 (1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력 제어 장치 (5000) 는, 도 3의 자기력 제어 장치 (3000) 를 양측으로 확장시킨 것으로서,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모두 도 5의 (a) 와 같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들이 형성되고, 이 자기흐름경로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게 자기흐름부 (5200) 가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5200) 는 폴피스 유닛 (5210) 과 연결 폴피스 (52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피스 유닛 (5210) 은 작용면 (5211, 5212) 을 가지며, 도 5의 (a)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점선과 같은 별도의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폴피스 (5220) 는 작용면 (5221) 을 가지며,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모두 도 5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화되는 작용면 중 하나 (즉, 도면번호 5221)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모두에 의해 공유되도록 구성된다.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도 3의 자기력 제어 장치 (3000) 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6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6200) 는 순환 폴피스 (6210) 와 제1 폴피스 (6220) 와 제2 폴피스 (6230) 와 연결 폴피스 (6240) 를 포함한다.
제1 폴피스 (622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6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1 면 (6222) 을 가지며, 이 제1 면 (6222) 은 작용면 (622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폴피스 (623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6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2 면 (6232) 을 가지며, 이 제2 면 (6232) 은 작용면 (623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폴피스 (6240)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사이에 개재된다.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연결 폴피스 (6240)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의 N극 또는 S극과 대면한다.
순환 폴피스 (6210)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연결 폴피스 (6240) 및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과 함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의 (a) 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인 경우에는, 도 6의 (a) 와 같이 연결 폴피스 (6240) 에 각각 N극면과 S극면이 대면한다. 또한,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인 경우에는, 도 6의 (b) 와 같이,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순환 폴피스 (6210) 에 대면하는 자극이 서로 다르게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도록 코일들 (1300) 을 제어해야 한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7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7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7200) 는 제1 순환 폴피스 (7210) 와 제2 순환 폴피스 (7220) 와 제1 폴피스 (7230) 와 제2 폴피스 (7240) 를 포함한다.
제1 폴피스 (723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7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1 면 (7232) 을 가지며, 이 제1 면 (7232) 은 작용면 (723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폴피스 (724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7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2 면 (7242) 을 가지며, 이 제2 면 (7242) 은 작용면 (724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순환 폴피스 (7210) 및 제2 순환 폴피스 (7220)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의 (a) 와 같이).
제2 순환 폴피스 (7220) 는 작용면 (7221) 을 가질 수 있고, 제1 폴피스 (7230) 의 작용면 (7231) 및 제2 폴피스 (7240) 의 작용면 (7241) 이외의 부가적인 작용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순환 폴피스 (722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작용면 (7221) 은 양 자기흐름생성부 (1100) 사이에 배치된 폴피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코일 (1300) 은 양 자기흐름생성부 (1100) 사이에 배치된 폴피스와 작용면 (722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인 경우에, 양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은 도 7의 (a) 와 같이 제1 순환 폴피스 (7210) 에 각각 N극면 및 S극면이 대면하고, 제2 순환 폴피스 (7220) 에 각각 N극면 및 S극면이 대면한다. 또한,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인 경우에는, 도 7의 (b) 와 같이,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순환 폴피스 (7220) 에 대면하는 자극이 서로 동일하게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된다. 이때, 제2 순환 폴피스 (7220) 는 도 7과 같이 코일 (1300) 이 배치되어,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이룰 때, 같은 자극이 제2 순환 폴피스 (7220) 를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8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8000) 의 순환 폴피스 (8210) 는 도 6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 의 순환 폴피스 (6210) 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가적인 작용면들 (8211, 8212)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폴피스 (8220) 및 제2 폴피스 (8230) 는 각각 도 6의 제1 폴피스 (6220) 및 제2 폴피스 (6230) 에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8000) 는 부가적인 작용면들 (8211, 8212) 을 가짐으로써, 자성체 (1) 의 홀딩 시에 보다 안정적인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9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9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9200) 는 제1 순환 폴피스 (9210) 와 제2 순환 폴피스 (9220) 와 제1 폴피스 (9230) 와 제2 폴피스 (9240) 과 연결 폴피스 (9250) 를 포함한다.
제1 폴피스 (923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9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1 면 (9232) 을 가지며, 이 제1 면 (9232) 은 작용면 (923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폴피스 (924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9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대면하는 제2 면 (9242) 을 가지며, 이 제2 면 (9242) 은 작용면 (924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순환 폴피스 (9210) 및 제2 순환 폴피스 (9220)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9의 (a) 와 같이).
연결 폴피스 (9250)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이룰 때 서로를 자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인 경우에, 양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은 도 9의 (a) 와 같이 제1 순환 폴피스 (9210) 에 각각 N극면 및 S극면이 대면하고, 제2 순환 폴피스 (9220) 에 각각 N극면 및 S극면이 대면한다. 또한,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인 경우에는, 도 9의 (b) 와 같이,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 폴피스 (9250) 에 각각 N극면 및 S극면이 대면하도록 제어된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10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0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10200) 는 폴피스 유닛 (10210) 과, 순환 폴피스 (10220) 와, 폴피스 (10230) 와, 연결 폴피스 (10240) 를 포함한다.
폴피스 유닛 (10210) 은 작용면 (10211) 을 포함하고, 또한 제1 면 (10212), 제2 면 (10213) 및 제3 면 (10214) 을 포함한다.
순환 폴피스 (10220) 는 제1 면 (10221) 및 제2 면 (10222) 을 포함한다.
폴피스 (10230) 은 작용면 (10231) 및 제1 면 (10232) 을 포함한다.
연결 폴피스 (10240) 는 제1 면 (10241) 및 제2 면 (10242) 을 포함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0의 (a) 와 같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순환 폴피스 (10220) 의 제1 면 (10221) 에는 N극면이 대면되고, 폴피스 유닛 (10210) 의 제2 면 (10213) 에는 S극면이 대면된다. 또한, 순환 폴피스 (10220) 의 제2 면 (12222) 에는 S극면이 대면되고, 폴피스 유닛 (10210) 의 제3 면 (10214) 에는 N극면이 대면된다. 이에 따라, 도 10의 (a) 의 점선과 같은 내부순환 자기흐름이 형성된다. 물론, 도 10의 (a) 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0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폴피스 유닛 (10210) 의 제1 면 (10212) 에는 N극면이 대면되고, 연결 폴피스 (10240) 의 제1 면 (10241) 에는 S극면이 대면된다. 또한, 연결 폴피스 (10240) 의 제2 면 (10242) 에는 N극면이 대면되고, 폴피스 (10230) 의 제1 면 (10232) 에는 S극면이 대면된다. 이에 따라, 도 10의 (b) 의 점선과 같이 자성체 (1) 를 통과하는 자기흐름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자성체 (1) 에 자기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물론, 도 10의 (b) 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11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1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11200) 는 제1 폴피스 유닛 (11210) 과, 제2 폴피스 유닛 (11220) 과, 연결 폴피스 (11230) 를 포함한다.
제1 폴피스 유닛 (11210) 은 작용면 (11211) 을 포함하고, 또한 제1 면 (11212), 제2 면 (11213), 제3 면 (11214) 및 제4 면 (11215) 을 포함한다.
제2 폴피스 유닛 (11220) 는 작용면 (11221) 을 포함하고, 또한 제1 면 (11222) 및 제2 면 (11223) 을 포함한다.
연결 폴피스 (11230) 는 제1 면 (11231) 및 제2 면 (11232) 을 포함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1의 (a) 와 같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제1 폴피스 유닛 (11210) 의 제1 면 (11222) 에는 N극면이 대면되고, 연결 폴피스 (11230) 의 제1 면 (11231) 에는 S극면이 대면된다. 또한, 연결 폴피스 (11230) 의 제2 면 (11232) 에는 N극면이 대면되고, 제1 폴피스 유닛 (11210) 의 제4 면 (11215) 에는 S극면이 대면된다. 이에 따라, 도 11의 (a) 의 점선과 같은 내부순환 자기흐름이 형성된다. 물론, 도 11의 (a) 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1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제2 폴피스 유닛 (11220) 의 제1 면 (11222) 에는 S극면이 대면되고, 제1 폴피스 유닛 (11210) 의 제2 면 (11213) 에는 N극면이 대면된다. 또한, 제2 폴피스 유닛 (11220) 의 제2 면 (11223) 에는 S극면이 대면되고, 제1 폴피스 유닛 (11210) 의 제3 면 (11214) 에는 N극면이 대면된다. 이에 따라, 도 11의 (b) 의 점선과 같이 자성체 (1) 를 통과하는 자기흐름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자성체 (1) 에 자기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물론, 도 11의 (b) 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2000)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12200) 는 제1 폴피스 (12210) 와, 제2 폴피스 (12220) 와, 연결 폴피스 (12230) 와, 제1 순환 폴피스 (12240) 와, 제2 순환 폴피스 (12250) 를 포함한다.
제1 폴피스 (12210) 는 작용면 (12211) 을 가지고, 작용면 (1221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 제1 면 (12212) 을 가진다. 또한, 제2 폴피스 (12220) 은 작용면 (12221) 을 가지고, 작용면 (12221) 과 연결된 제1 면 (12222) 을 가진다.
연결 폴피스 (12230) 는 작용면 (12231) 을 가지고, 작용면 (12231) 과 자기적으로 연결된 제1 면 (12232) 과 제2 면 (12233) 을 가진다.
제1 순환 폴피스 (12240) 는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면 (12241, 도면 상에는 표시되지 않음 - 12251과 대응) 과 제2 면 (12242, 도면 상에는 표시되지 않음 - 12252와 대응) 을 가진다. 제2 순환 폴피스 (12250) 는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면 (12251) 과 제2 면 (12252) 을 가진다.
도 1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의 N극면 및 S극면은 제1 순환 폴피스 (12240) 및 제2 순환 폴피스 (12250) 의 제1 면 (12241, 12251) 및 제2 면 (12242, 12252) 에 대면함으로써, 자기흐름은 내부로 순환된다. 물론, 도 12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된다.
도 1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연결 폴피스 (12230) 의 제1 면 (12232) 및 제2 면 (12233) 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이 대면되고, 제1 폴피스 (12210) 의 제1 면 (12212) 및 제2 폴피스 (12220) 의 제1 면 (12222) 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S극면이 대면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성체가 작용면들 (12211, 12231, 12221) 에 홀딩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2000) 는 도 2의 자기력 제어 장치 (2000) 를 확장시킨 구성을 가지므로, 도 2를 참조한 설명을 참고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 (1300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자기흐름부 (13200) 와, 코일 (1300) 을 포함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자기력 제어 장치 (1000) 에도 포함된 구성으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자기흐름부 (13200) 는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 및 주-영구자석 (14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흐름부 (13200) 는 주-영구자석 (1400) 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자기력 제어 장치들 (1000~12000) 과 구별된다.
자기흐름부 (13200) 는 적어도 하나의 작용면 (13211, 13221) 을 가지며, 작용면 (13211, 13221) 은 폴피스 상에 형성된다.
도 13a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주-영구자석 (1400) 간에 폐루프 (점선으로 도시됨) 가 형성됨으로써 주-영구자석 (1400) 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작용면 (13211, 13221) 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도 13c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주-영구자석 (1400) 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폴피스 및 주-영구자석 (1400) 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자기흐름부 (13200) 는 제1 폴피스 (13210) 및 폴피스 유닛 (13220) 을 포함하는 폴피스들을 가지며, 이 폴피스들은 철과 같이 내부에 자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제1 폴피스 (13210) 는 작용면 (13211) 을 가지고, 이 작용면 (13211) 은 제1 면 (13212) 과 연결된다.
폴피스 유닛 (13220) 은 작용면 (13221) 을 가지고, 이 작용면 (13221) 은 제1 면 (13222), 제2 면 (13223) 및 제3 면 (13224) 과 연결된다.
주-영구자석 (1400) 은 제1 폴피스 (13210) 에 N극 및 S극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고 폴피스 유닛 (13220) 와 다른 하나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주-영구자석 (1400) 은 자기력 제어 장치 (13000) 에 홀딩력을 부여하는 주된 영구자석으로서, 작용면 (13211, 13221)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1300) 은 폴피스에 적어도 하나가 감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피스 유닛 (13220) 의 제1 면 (13222) 및 제2 면 (13223) 근방에 코일 (1300) 이 배치된 것을 예시하나, 이보다 많은 수의 코일이 배치되어도 된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1300) 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폐루프 상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내부 순환 자기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3000) 는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제1 배치상태 (도 13a와 같은 배치상태) 와 제2 배치상태 (도 13c와 같은 배치상태)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작용면 (13211, 13221) 에서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에 대한 원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면이 폴피스 유닛 (13220) 의 제1 면 (13222) 과 대면하고, S극면이 제1 폴피스 (13210) 의 제1 면 (13212) 와 대면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1 배치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영구자석 (1400) 과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폴피스들을 포함하는 폐루프 (점선과 같은) 가 형성됨에 따라, 주-영구자석 (1400) 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에 이끌린다. 이에 따라, 작용면 (13211, 13221) 으로의 자기흐름은 최소화된다.
도 13b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도 13a의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은 약화되고, 국소적으로 폴피스 유닛 (13220) 의 제1 면 (13222) 은 N극으로 자화되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면 (13223) 근방의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아도 되지만, 도 13b와 같이 전류를 인가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N극은 제2 면 (13223) 으로 이끌리게 되어, 도 13c와 같은 제2 배치상태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가 전환된다.
도 13c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더라도,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은 폴피스 유닛 (13220) 내에서 내부 순환하게 되어 (이를 '내부 순환 자기경로'라 지칭함), 주-영구자석 (1400) 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주-영구자석 (1400) 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작용면들 (13211, 13221) 로 향하게 되어, 외부의 자성체 (1) 에 자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자성체 (1)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되면, 자성체 (1) 는 홀딩된다.
홀딩 해제를 위해서는 도 13d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된다. 코일 (1300) 에의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상측의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은 약화되고, 제2 면 (13223) 에는 국소적으로 N극이 형성되며, 제1 면 (13222) 에는 국소적으로 S극이 형성되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도 13a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여 전환된다. 이에 따라, 자성체 (1) 를 통과하던 자기흐름은 다시 도 13a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 향하게 됨에 따라, 자성체 (1) 는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코일 (1300) 에의 전류 인가를 제거하더라도, 해제 상태는 유지된다.
도 13e 및 도 13f를 참조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 외에 제3 배치상태를 이루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e와 같이 폴피스 유닛 (13220) 의 제2 면 (13223) 이 N극으로 형성되고, 제1 면 (13222) 이 N극으로 형성되도록 코일 (1300) 을 제어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회전하여 도 13f와 같은 배치를 이룬다. 이를 제3 배치상태로 지칭하며, 제1 배치상태와는 반대방향을 이룬다.
도 13f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3 배치상태를 이루면, 작용면 (13211, 13221) 으로의 자기흐름이 증가되어, 외부의 자성체 (1) 에 대해 보다 강한 자기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3f와 같은 제3 배치상태를 코일 (1300) 에의 전류 제어를 통해, 도 13a와 같은 제1 배치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자성체 (1) 를 해제할 수 있다.
이렇듯,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전환에 의해 주-영구자석 (1400) 의 자기흐름 방향을 제어함에 따라, 작용면 (13211, 13221) 에서의 자기특성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14의 (b)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내고, 도 14의 (c) 는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이 제3 배치상태를 형성했을 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400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자기흐름부 (14200) 와, 코일 (13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기흐름부 (14200) 는 제1 폴피스 (14210), 폴피스 유닛 (14220) 및 주-영구자석 (1400) 을 포함한다.
제1 폴피스 (14210) 는 작용면 (14211) 을 가지고, 이 작용면 (14211) 은 제1 면 (14212) 과 연결된다.
폴피스 유닛 (14220) 은 작용면 (14221) 을 가지고, 이 작용면 (14221) 은 제1 면 (14222), 제2 면 (14223) 및 제3 면 (14224) 과 연결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4의 (a) 와 같이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폴피스 유닛 (14220) 의 제1 면 (14222) 에는 N극면이 대면되고, 제1 폴피스 (14210) 의 제1 면 (14212) 에는 S극면이 대면된다.
또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4의 (b) 와 같이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폴피스 유닛 (14220) 의 제2 면 (14223) 에는 S극면이 대면되고, 제3 면 (14224) 에는 N극면이 대면된다. 물론, 도 14의 (b) 와는 반대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4의 (c) 와 같이 제3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폴피스 유닛 (14220) 의 제1 면 (14222) 에는 S극면이 대면되고, 제1 폴피스 (14210) 의 제1 면 (14212) 에는 N극면이 대면된다.
이외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의 변환을 통한 제어 방법은, 도 13a 내지 도 13f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자기흐름부 (15200) 와, 코일 (1300)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흐름부 (15200) 는, 제1 폴피스 (15210) 와, 제2 폴피스 (15220) 와, 순환폴피스 (15250) 와, 주-영구자석 (14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폴피스 (15210) 는 작용면 (15211) 을 가지고, 이 작용면 (15211) 은 제1 면 (15212) 과 연결된다. 제2 폴피스 (15220) 는 작용면 (15221) 을 가지고, 이 작용면 (15221) 은 제1 면 (15222) 과 연결된다.
순환폴피스 (15250) 는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된 제1 면 (15251) 과 제2 면 (15252) 을 가진다. 순환폴피스 (15250) 는 제1 폴피스 (15210) 및 제2 폴피스 (15220) 와 연결되지는 않는다.
도 15a를 참조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인 경우에는 주-영구자석 (1400) 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 끌리게 되어, 작용면 (15211, 15221) 에는 자성체가 홀딩되지 않는다.
도 15b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도 15a의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은 약화되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회전하게 되고, 도 15c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로 전환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폴피스 (15250) 에 감긴 코일에는 전류를 인가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5c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로 전환되면, 순환폴피스 (15250) 를 통해 점선과 같은 내부 순환 자기흐름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주-영구자석 (1400) 에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주-영구자석 (1400) 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작용면 (15211, 15221) 을 향하게 되어, 작용면 (15211, 15221) 에는 자성체 (1) 가 홀딩될 수 있다.
홀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15d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되고, 이에 따라 도 15c의 점선과 같은 내부 순환 자기흐름은 약화되어, 도 15a와 같은 제1 배치상태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가 전환된다. 이로 인해, 자성체 (1) 는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5e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를 제3 배치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홀딩력을 자성체 (1)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3 배치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코일 (1300) 의 제어는 도 13e 및 도 13f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f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a) 는 적어도 2개의 자기흐름생성부들 (1100) 와, 자기흐름부 (6200a) 와, 코일 (13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다른 구성은 도 6을 참조로 하는 자기력 제어 장치 (6000) 와 동일하나, 자기흐름부 (6200a) 에 주-영구자석 (6400) 이 포함된 것과 일부 코일 (1300) 이 생략되었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주-영구자석 (6400) 이 포함됨으로써 부착대상인 자성체 (1) 의 유무와 관계없이 작용면 (6221, 6231) 에서의 자기력 제어가 가능하다. 이외의 구성은 도 6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 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영구자석 (6400) 은 N극 및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제1 폴피스 (6220) 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의 자극이 제2 폴피스 (6230) 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N극이 제1 폴피스 (6220) 에 접촉되고 S극이 제2 폴피스 (6230) 에 접촉되는 것을 예시하나, 반대여도 무방하다.
코일 (1300) 은 도 6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 와 비교하여 제1 폴피스 (6220) 및 제2 폴피스 (6230) 에 감겼던 것이 생략된 것을 비롯하여,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외측면에 배치되었던 것도 생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1300) 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추가적으로 자기흐름 경로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6a 내지 도 16f를 순차적으로 참조하면서, 자기력 제어 장치 (6000a) 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6a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도시한다.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이룬 경우, 자기흐름생성부 (1100) 와 주-영구자석 (6400) 간에는 자기흐름의 폐루프 (점선으로 도시) 가 형성됨으로써, 자기흐름이 작용면 (6221, 6231) 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된다. 즉, 이 경우 작용면 (6221, 6231) 외측에 자성체가 존재하더라도 부착이 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더라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6b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도 16a의 점선과 같은 자기흐름은 약화되고,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6c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2 배치상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16b에서 연결 폴피스 (6240) 에 감긴 코일 (1300) 에도 전류를 인가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 코일 (1300) 에는 전류를 인가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도 16c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이루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순환 폴피스 (6210a) 를 통해 그 자체로 폐루프의 자기흐름을 생성하여, 주-영구자석 (6400) 에 자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주-영구자석 (6400) 의 자기흐름은 작용면 (6221, 6231) 외측의 자성체 (1) 를 통과하여 흐르게 되어, 자성체 (1) 가 작용면 (6221, 6231) 에 홀딩될 수 있다. 이때, 코일 (1300) 에 인가되던 전류를 차단하더라도 도 16c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즉, 자성체 (1) 의 홀딩의 유지에 전류가 소모되지 않는다.
한편, 도 16c와 달리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각각 180°반전된 배치상태를 이루어도 무방하며, 이 배치상태로 제2 배치상태에 포함된다. 즉, 2가지의 제2 배치상태가 존재하며, 특정 제2 배치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 폴피스 (6240) 에 감긴 코일 (1300) 을 이용하면 된다.
도 16d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회전하여, 도 16e와 같은 제3 배치상태를 이룰 수 있다. 제3 배치상태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16a의 제1 배치상태와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으로 정의된다.
도 16e와 같이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3 배치상태를 이루면 자기흐름생성부 (1100) 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자성체 (1) 에 추가로 통과되어, 자성체 (1) 는 작용면 (6221, 6231) 에 보다 강고하게 홀딩될 수 있다.
제3 배치상태를 제1 배치상태 혹은 제2 배치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도 16f와 같이 코일 (1300) 에 전류를 인가하면 된다. 제1 배치상태로의 변경은 제2 배치상태로의 변경을 수반하며, 일단 제2 배치상태로 변경된 이후에는 연결 폴피스 (6240) 에 감긴 코일 (1300) 에 제2 배치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전류의 인가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코일 (1300) 에의 전류 인가를 제어함으로써, 도 16a와 같은 제1 배치상태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 이후 코일 (1300) 로의 전류 인가를 제거하더라도 제1 배치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제1 배치상태로의 변경에 의해, 자성체 (1) 의 홀딩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6a 내지 도 16f를 참조하여,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제1 배치상태에서 제2 배치상태로의 변경, 제2 배치상태에서 제3 배치상태로의 변경 및 제3 배치상태에서 제1 배치상태로의 변경을 예시하였으나, 각 배치상태의 변경은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배치상태들의 변경은 작용면 (6221, 6231) 외측에 자성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b) 는 도 16a 내지 도 16f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a) 의 변형 구성으로서, 자기흐름부 (6200b) 는 서로 분리된 제1 순환 폴피스 (6210b) 와 제2 순환 폴피스 (6250) 을 포함한다. 그 외의 폴피스들의 배치는 자기력 제어 장치 (6000a) 와 동일하다.
서로 분리된 제1 순환 폴피스 (6210b) 와 제2 순환 폴피스 (6250) 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코일 (1300) 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외의 작동원리는 도 16a 내지 도 16f의 자기력 제어 장치 (6000a) 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a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내며, 도 17b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내며, 도 17c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3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치상태들의 변경은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의 자기력 제어 장치 (4000a) 는 도 4의 자기력 제어 장치 (4000) 의 변형 구성으로서, 자기흐름부 (4200a) 는 제1 주-영구자석 (4410) 및 제2 주-영구자석 (4420) 을 더 포함한다. 그외에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폴피스 (4240) 가 분리된 차이만 존재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제1 주-영구자석 (4410) 은 N극이 제1 폴피스 (4220) 에 접촉되고, S극이 폴피스 유닛 (4210a) 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2 주-영구자석 (4420) 은 S극이 제2 폴피스 (4230) 에 접촉되고, N극이 폴피스 유닛 (4210a) 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제1 주-영구자석 (4410) 이 S극이 제1 폴피스 (4220) 에 접촉되고, N극이 폴피스 유닛 (4210a) 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주-영구자석 (4420) 이 N극이 제2 폴피스 (4230) 에 접촉되고, S극이 폴피스 유닛 (4210a) 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8a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내며, 도 18b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내며, 도 18c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3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치상태들의 변경은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의 자기력 제어 장치 (4000b) 는 도 18a 내지 도 18c의 자기력 제어 장치 (4000a) 에서 제3 주-영구자석 (44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기흐름부 (4200b) 는 3개의 주-영구자석 (4410, 4420, 4430)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폴피스 (4220) 에는 제1 주-영구자석 (4410) 및 제3 주-영구자석 (4430) 의 N극 및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고, 제2 폴피스 (4230) 에는 제2 주-영구자석 (4420) 및 제3 주-영구자석 (4430) 의 다른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도록, 주-영구자석들 (4410, 4420, 4430) 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폴피스 (4220) 에 제1 주-영구자석 (4410) 및 제3 주-영구자석 (4430) 의 N극이 접촉되고, 제2 폴피스 (4230) 에 제2 주-영구자석 (4420) 및 제3 주-영구자석 (4430) 의 S극이 접촉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9a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1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내며, 도 19b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내며, 도 19c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3 배치상태를 이룬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치상태들의 변경은 코일 (1300) 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도 15a 내지 15e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에서 변형된 자기흐름부 (15200') 를 포함하며, 자기흐름부 (15200') 는 제3 폴피스 (15250-1) 및 제4 폴피스 (15250-2) 를 가진다.
제3 폴피스 (15250-1) 및 제4 폴피스 (15250-2) 는 도 15a 내지 도 15e의 순환 폴피스 (15250) 가 2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작용면 (15253, 15254) 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폴피스 내지 제4 폴피스 (15210, 15220, 15250-1, 15250-2) 는 각각 작용면 (15211, 15221, 15253, 15254) 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주-영구자석 (1400) 은 제1 폴피스 (15210) 에 N극 및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고 제2 폴피스 (15220) 에 다른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 폴피스 (15210) 및 제2 폴피스 (15220)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도 20과 같이 제1 배치상태인 경우, 자기흐름생성부 (1100) 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제3 폴피스 (15250-1) 및 제4 폴피스 (15250-2) 는, 자기흐름생성부 (1100) 가 제2 배치상태인 경우 (도 20에서 미도시), 자기흐름생성부 (1100) 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코일 (1300) 은 제1 폴피스 (15210) 및 제2 폴피스 (15220)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제3 폴피스 (15250-1) 및 제4 폴피스 (15250-2) 중 적어도 하나에 감기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자성체 (1) 를 홀딩할 수 있는 작용면 (15211, 15221) 외에 추가적인 자성체 (2) 를 홀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면 (15253, 15254)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외의 작동원리는 도 15a 내지 도 15e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자성체 (1) 및 자성체 (2) 는 동시에 홀딩되거나 동시에 해제되도록 제어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도 20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에서 변형된 자기흐름부 (15200'') 를 포함하며, 자기흐름부 (15200'') 는, 작용면 (15211, 15221) 이 작용면 (15253, 15254) 과 함께 하나의 자성체 (1) 를 홀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폴피스 (15210') 및 제2 폴피스 (15220') 는 90°가 꺾여 형성됨으로써 작용면 (15211, 15221) 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듯, 작용면들 (15211, 15221, 15253, 15254) 의 배치는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외부의 자성체의 형상 등에 맞춰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도 21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어 얇게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2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도 20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에서 변형된 자기흐름부 (15200''') 를 포함하며, 자기흐름부 (15200''') 는 주-영구자석이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의 경우,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와는 달리, 두 개의 자성체 (1, 2) 중 어느 하나의 자성체를 홀딩하고 다른 하나의 자성체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22와 같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에서는 작용면 (15211, 15221) 으로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자기력이 영향을 미치고 작용면 (15253, 15254) 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자성체 (1) 는 작용면 (15211, 15221) 에 홀딩되고, 자성체 (2) 는 작용면 (15253, 15254) 에 해제된다.
이와 달리,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배치상태를 변경하면, 자성체 (1) 는 작용면 (15211, 15221) 으로부터 해제되고, 자성체 (2) 는 작용면 (15253, 15254) 에 홀딩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3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도 21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에서 변형된 자기흐름부 (15200'''') 를 포함하며, 자기흐름부 (15200'''') 는 주-영구자석이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력 제어 장치 (15000'''') 는 평행하게 배치된 자성체 (1, 2) 중 어느 하나를 홀딩하고, 다른 하나를 해제하도록 작용면들 (15211, 15221, 15253, 15254) 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자기흐름생성부 (1100) 는 제1 배치상태 또는 제2 배치상태 (혹은 제3 배치상태) 일 경우, 기계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코일 (1300) 에 의해 제1 배치상태 및 제2 배치상태 (혹은 제3 배치상태) 로 변경된 이후, 배치상태의 유지를 위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배치상태 간의 변경 시만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의도치 않은 자기흐름생성부 (1100) 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홀딩 또는 해제 상태의 안정적 유지가 보다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는 금형 클램핑, 프레스기의 금형 클램핑, 공작 기계의 척 등과 같이 기계장치 가공 시스템 전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흐름생성부;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작용면을 가지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대화되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흐름부; 및
    상기 폴피스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용면에서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키는, 자기력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면은 두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면과 대면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폴피스와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면은 두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면과 대면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하나의 면은 상기 작용면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N극면 및 S극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제3 면과 대면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다른 하나의 면은 제4 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은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연결된 폴피스 및 상기 제2 면과 연결된 폴피스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일이 감기고,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연결된 폴피스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일이 감기는, 자기력 제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90° 회전하여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모두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흐름경로들은 일부 폴피스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모두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흐름경로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모두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자화되는 상기 작용면 중 하나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 모두에 의해 공유되도록, 상기 자기흐름부가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흐름부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폴피스 및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이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연결 폴피스 및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과 함께 상기 영구자석들로부터의 자기흐름이 내부로 순환하게 자기흐름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순환 폴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흐름부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이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들의 N극면 또는 S극면과 연결되는 상기 작용면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폴피스를 포함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상기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N극과 접촉되고,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N 폴피스; 및
    상기 영구자석의 S극과 접촉되고, 내부로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S 폴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은 상기 N 폴피스 및 상기 S 폴피스를 거쳐 상기 자기흐름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상기 영구자석으로만 이루어지는, 자기력 제어 장치.
  15. 적어도 제1 배치상태와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흐름생성부;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피스 및 주-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작용면을 가지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와 상기 주-영구자석 간에 폐루프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주-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흐름이 상기 작용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주-영구자석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폴피스 및 상기 주-영구자석이 배치되는, 자기흐름부; 및
    상기 폴피스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의 상기 제1 배치상태와 상기 제2 배치상태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용면에서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키는, 자기력 제어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내부 순환 자기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폴피스가 배치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폐루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 순환 자기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배치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자기흐름생성부는 상기 제1 배치상태와 반대방향인 제3 배치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흐름부는,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 폴피스;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2 폴피스;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3 폴피스; 및
    작용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4 폴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주-영구자석은 상기 제1 폴피스에 N극 및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고 상기 제2 폴피스에 다른 하나의 자극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폴피스 및 상기 제2 폴피스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1 배치상태인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폴피스 및 상기 제4 폴피스는, 상기 자기흐름생성부가 상기 제2 배치상태인 경우, 상기 자기흐름생성부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폴피스 및 상기 제2 폴피스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제3 폴피스 및 상기 제4 폴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감기도록 배치되는, 자기력 제어 장치.
  20. 제1 항 또는 제15 항에 따른 자기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포함하는, 자성체 홀딩 장치.
PCT/KR2018/015863 2017-12-14 2018-12-13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WO201911764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22,886 US20200227191A1 (en) 2017-12-14 2018-12-13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and magnetic body holding device using same
EP18887785.6A EP3624147A1 (en) 2017-12-14 2018-12-13 Magnetic force control device and magnetic body holding devi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2440 2017-12-14
KR10-2017-0172440 2017-12-14
KR10-2018-0030500 2018-03-15
KR20180030500 2018-03-15
KR10-2018-0157060 2018-12-07
KR1020180157060A KR102113980B1 (ko) 2017-12-14 2018-12-07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649A1 true WO2019117649A1 (ko) 2019-06-20

Family

ID=6682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863 WO2019117649A1 (ko) 2017-12-14 2018-12-13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1764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6902A1 (en) * 2007-06-15 2010-07-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ic Drive System for a Switching Device
KR101131134B1 (ko) 2009-10-23 2012-04-03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20120119412A (ko) * 2011-04-21 2012-10-31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101319052B1 (ko) * 2013-06-07 2013-10-17 최태광 영구자석 에너지 제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1427066B1 (ko) * 2014-04-08 2014-08-0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140124739A (ko) * 2014-07-04 2014-10-27 최태광 자성체 홀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6902A1 (en) * 2007-06-15 2010-07-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ic Drive System for a Switching Device
KR101131134B1 (ko) 2009-10-23 2012-04-03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20120119412A (ko) * 2011-04-21 2012-10-31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101319052B1 (ko) * 2013-06-07 2013-10-17 최태광 영구자석 에너지 제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1427066B1 (ko) * 2014-04-08 2014-08-07 최태광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140124739A (ko) * 2014-07-04 2014-10-27 최태광 자성체 홀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39548A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WO2017191959A1 (ko) 충전장치
WO2021006414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0256263A1 (ko) 직류 릴레이
WO2020055020A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WO2018186673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9117649A1 (ko)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EP3014006A1 (e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7188766A1 (ko) 정보 출력 장치
WO2019107829A1 (ko) 모터
WO2021112428A1 (ko) 자기 구동 장치
WO2010058947A2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WO2021112343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19054629A1 (ko)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WO2019031836A1 (ko) 정보 출력 장치
WO2023027374A1 (ko) 자기 구동 장치
WO2020050549A1 (ko) 전기장을 이용한 전류 경로 범위 제어 방법 및 전자 회로
WO2023113357A1 (ko) 자기 구동 장치
WO2021096004A1 (ko) 트립 장치
WO2023121340A1 (ko) 정보 출력 장치
WO2022240004A1 (ko)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WO2024085365A1 (ko) 아크 소호 장치
WO2016072754A1 (ko) 자성체 홀딩 장치를 이용한 연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발사체 장치
WO2021256840A1 (ko)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WO2022098021A1 (ko) 래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77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77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213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