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362A1 -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362A1
WO2019117362A1 PCT/KR2017/014730 KR2017014730W WO2019117362A1 WO 2019117362 A1 WO2019117362 A1 WO 2019117362A1 KR 2017014730 W KR2017014730 W KR 2017014730W WO 2019117362 A1 WO2019117362 A1 WO 20191173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time
signal
time information
recording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7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순
김현태
Original Assignee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1173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3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반주 재생 장치 및 동기 신호를 획득하여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반주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가창 음성을 포함하는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가창 녹음 패킷을 반주 재생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기술과 관련된다.
기존의 오프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가상의 공간에 참여하여 함께 노래를 부르기 때문에, 반주와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이 서로 동기화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는 그 특성 상 반주와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 간에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동기화에 어려움이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녹음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반주 재생 장치로 전송하고 반주 재생 장치에서 이를 출력하는 동안 지연 시간이 발생하여 반주와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 간에 동기화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주와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지연 시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반주 재생 장치; 및 상기 동기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반주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며,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가창 음성을 포함하는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가창 녹음 패킷을 상기 반주 재생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창 녹음 패킷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각 가창 녹음 패킷에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2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음소거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시간 정보가 포함된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창 녹음 패킷을 각각 수신하기 위한 명령; 수신한 각 가창 녹음 패킷에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및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에서,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에서,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에서,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2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음소거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반주 재생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시간 정보가 포함된 동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상기 반주 재생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반주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명령;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가창 음성을 포함하는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가창 녹음 패킷을 상기 반주 재생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창 녹음 패킷을 각각 수신하기 위한 명령; 수신한 각 가창 녹음 패킷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기 저장된 동기 신호들 중 상기 추출한 동기 신호와 대응되는 패턴의 동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대응되는 패턴의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반주 재생 장치에서 반주가 재생되는 동안 동기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기 신호를 획득한 후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반주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가창 녹음 중 지연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것에 대해서는 에코 처리 또는 음소거 처리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노래방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이 돌림 노래처럼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주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00)은 관리 서버(102), 반주 재생 장치(104), 및 사용자 단말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 및 사용자 단말기(106)는 각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2)는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노래방 개설 요청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가상 노래방을 개설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노래 선곡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2)는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를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2)는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예를 들어, 선곡된 노래의 뮤직 비디오 또는 배경 영상 등)을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에는 선곡된 노래에 대한 가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관리 서버(102)로부터 수신한 반주(즉,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관리 서버(102)로부터 수신한 영상(즉,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가 플레이 됨에 따라 해당 노래의 가사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화면을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TV, 노트북, 모니터 등)가 사용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가 출력되는 경우 동기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즉, 동기 신호는 사용자들의 귀에 들리지 않는 신호일 수 있다. 동기 신호에는 해당 동기 신호가 반주의 전체 플레이 시간 중 어느 시간대에 발생되는 것인지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타임 스탬프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 정보는 동기 신호에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를 제1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동기 신호를 제2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와 동기 신호를 합성하여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기 설정된 주기로 동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는 해당 노래의 마디마다 발생되어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각 사용자 단말기(106)들로부터 가창 녹음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104)는 수신한 가창 녹음 패킷에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예를 들어, 20ms 미만)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수신한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는 반주와 사용자의 가창 음성 간의 지연 시간(이하, "동기화 지연 시간"으로 지칭할 수 있음)일 수 있다. 동기화 지연 시간은 사용자 단말기(106)에서 발생되는 지연 시간(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는 시간,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는 시간 등을 포함), 사용자 단말기(106)와 반주 재생 장치(104) 간의 네트워크에 의한 지연 시간, 및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발생되는 지연 시간(예를 들어, 가창 녹음 패킷을 수신 처리하는 시간,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시간 등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예를 들어, 20ms ~ 70 ms)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지연 시간이 기 설정된 제2-1 시간 범위(예를 들어, 20ms ~ 40 ms) 이내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제1 레벨로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동기화 지연 시간이 기 설정된 제2-2 시간 범위(40ms ~ 70 ms) 이내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제1 레벨보다 높은 제2 레벨로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 (예를 들어, 70 ms)를 초과하는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뮤트(mute)(음소거)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106-1)의 동기화 지연 시간이 10ms, 제2 사용자 단말기(106-2)의 동기화 지연 시간이 15ms, 제3 사용자 단말기(106-3)의 동기화 지연 시간이 30ms, 제4 단말기(106-4)의 동기화 지연 시간이 75ms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그대로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반주 재생 장치(104)는 제3 사용자의 가창 음성은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반주 재생 장치(104)는 제4 사용자의 가창 음성은 음소거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는 동기화 지연 시간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듣기에 시간차이를 잘 느끼지 못하는 시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는 동기화 지연 시간에 따른 시간 차이를 사용자가 어느 정도 인식하게 되는 시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는 동기화 지연 시간에 따른 시간 차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이 돌림 노래 처럼 느껴지는 시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제2 시간 범위, 및 제3 시간 범위는 사용자 단말기(106)에서 발생되는 지연 시간, 사용자 단말기(106)와 반주 재생 장치(104) 간의 네트워크에 의한 지연 시간, 및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발생되는 지연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반주 재생 장치(104)에 무선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에는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6)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6)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 단말기(106)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106)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운영 체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운영 체제는 애플(Apple) 사의 iOS 또는 구글(Google) 사의 Android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6)는 동일 IP 주소에 무선 접속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은 반주 재생 장치(104)의 화면을 보면서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출력되는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6)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6)는 관리 서버(102)에 접속하여 가상 노래방 개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6)는 관리 서버(102)에 의해 개설된 가상 노래방에 입장하여 노래를 선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9106)는 동기 신호에서 시간 정보(해당 동기 신호가 반주의 전체 플레이 시간 중 어느 시간대에 발생되는 것인지에 대한 시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6)는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르는 해당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가창 음성을 포함하는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6)는 가창 녹음 패킷을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반주가 재생되는 동안 동기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106)에서 동기 신호를 획득한 후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사용자 단말기(106)의 가창 녹음 중 지연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것에 대해서는 에코 처리 또는 음소거 처리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노래방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이 돌림 노래처럼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동기 신호를 출력할 때마다 서로 다른 패턴의 동기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6)에서 반주 재생 장치(104)로부터 획득한 동기 신호를 획득한 후, 획득한 동기 신호를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시켜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동기 신호와 대응되는 패턴의 동기 신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2)는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을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한다(S 101). 즉, 관리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기(106)의 가상 노래방 개설 요청에 가상 노래방을 개설하고, 사용자 단말기(106)의 노래 선곡에 따라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을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 서버(102)가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수신한 노래 선곡에 대한 정보를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달하고,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기 저장된 노래 관련 정보들 중 선곡된 노래와 매칭된 반주 및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 및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S 103). 반주 재생 장치(104)는 반주가 재생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반주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동기 신호에는 해당 동기 신호가 반주의 전체 플레이 시간 중 어느 시간대에 발생되는 것인지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타임 스탬프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사용자 단말기(106)는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신호에서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여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한다(S 105). 여기서, 가창 녹음 패킷은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헤더는 패킷 아이디,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페이로드 정보(예를 들어, 페이로드의 길이, 페이로드의 데이터 타입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는 사용자의 녹음된 가창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기(106)는 반주 재생 장치(104)로부터 동기 신호가 획득될 때마다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사용자 단말기(106)는 가창 녹음 패킷을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한다(S 107).
다음으로, 반주 재생 장치(104)는 가창 녹음 패킷에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한다(S 109).
단계 S 109의 비교 결과,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즉, 동기화 지연 시간)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한다(S 111).
단계 S 109의 비교 결과, 동기화 지연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S 113).
단계 S 109의 비교 결과, 동기화 지연 시간이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반주 재생 장치(104)는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음소거 처리한다(S 11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주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주 재생 장치(104)는 통신부(111), 반주 재생부(113), 동기 신호 생성부(115), 스피커(117), 표시부(119), 및 출력 처리 판단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관리 서버(10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11)는 관리 서버(102)로부터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각 사용자 단말기(106)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11)는 각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가창 녹음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반주 재생부(113)는 통신부(111)가 수신한 반주를 재생시킬 수 있다. 재생되는 반주는 스피커(117)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115)는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동기 신호는 스피커(117)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는 반주를 출력하는 스피커와는 다른 스피커일 수 있다. 즉, 스피커(117)는 복수 개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115)는 각 동기 신호에 시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표시부(119)는 통신부(111)가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9)는 스피커(117)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의 플레이 시간과 매칭하여 그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출력 처리 판단부(121)는 통신부(111)가 수신한 가창 녹음 패킷에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6)는 마이크(131), 시간 정보 검출부(133), 가창 녹음 패킷 생성부(135), 및 통신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31)는 소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131)는 반주 재생 장치(104)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31)는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시간 정보 검출부(133)는 마이크(131)에서 획득한 동기 신호에서 시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가창 녹음 패킷 생성부(135)는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기반으로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37)는 생성된 가창 녹음 패킷을 반주 재생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200)은 관리 서버(202), 반주 재생 장치(204), 및 사용자 단말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2)는 사용자 단말기(206)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노래방 개설 요청에 따라 가상 노래방을 개설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2)는 사용자 단말기(206)로부터 노래 선곡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2)는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을 각 반주 재생 장치(204)로 전송할 수 있다.
반주 재생 장치(204)는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주 재생 장치(204)가 3개인 것으로 설명하나, 반주 재생 장치(204)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는 반주 및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는 각각 제1 사용자 단말기(206-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206-3)로부터 수신한 가창 녹음 패킷에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각 사용자들의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6)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6-1), 제2 사용자 단말기(206-2), 및 제3 사용자 단말기(20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6-1), 제2 사용자 단말기(206-2), 및 제3 사용자 단말기(206-3)는 각각 원격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기(206)가 3개인 것으로 설명하나, 사용자 단말기(206)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6-1)는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가 설치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6-1)의 사용자(즉, 제1 사용자)는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의 화면을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6-1)는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로부터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검출하여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6-1)는 가창 녹음 패킷을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06-2)는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가 설치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06-2)의 사용자(즉, 제2 사용자)는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의 화면을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06-2)는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로부터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검출하여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06-2)는 가창 녹음 패킷을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206-3)는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가 설치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206-3)의 사용자(즉, 제3 사용자)는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의 화면을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206-3)는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로부터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검출하여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206-3)는 가창 녹음 패킷을 제1 반주 재생 장치(204-1), 제2 반주 재생 장치(204-2), 및 제3 반주 재생 장치(204-3)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관리 서버(예를 들어, 관리 서버(1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반주 재생 장치(예를 들어, 반주 재생 장치(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6))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반주 재생 장치; 및
    상기 동기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반주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며,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가창 음성을 포함하는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가창 녹음 패킷을 상기 반주 재생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창 녹음 패킷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각 가창 녹음 패킷에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하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주 재생 장치는,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2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음소거 처리하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시스템.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시간 정보가 포함된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창 녹음 패킷을 각각 수신하기 위한 명령;
    수신한 각 가창 녹음 패킷에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및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해당 가창 녹음 패킷에 포함된 가창 음성의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에서,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에서,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에코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출력 처리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에서,
    추출한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상기 제2 시간 범위 보다 큰 기 설정된 제3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창 음성을 음소거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컴퓨팅 장치.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반주 재생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시간 정보가 포함된 동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상기 반주 재생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반주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명령;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가창 음성을 포함하는 가창 녹음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가창 녹음 패킷을 상기 반주 재생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선곡된 노래에 대한 반주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
    상기 반주가 출력되는 동안 동기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창 녹음 패킷을 각각 수신하기 위한 명령;
    수신한 각 가창 녹음 패킷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기 저장된 동기 신호들 중 상기 추출한 동기 신호와 대응되는 패턴의 동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대응되는 패턴의 동기 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가창 녹음 패킷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PCT/KR2017/014730 2017-12-12 2017-12-14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91173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28A KR101987473B1 (ko) 2017-12-12 2017-12-12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017-0170728 2017-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362A1 true WO2019117362A1 (ko) 2019-06-20

Family

ID=668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730 WO2019117362A1 (ko) 2017-12-12 2017-12-14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7473B1 (ko)
WO (1) WO201911736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2920A (zh) * 2019-11-29 2020-04-10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合唱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040267A (zh) * 2020-09-10 2020-12-04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合唱视频生成方法、合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69884A (zh) * 2020-12-31 2021-04-16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927666A (zh) * 2021-01-26 2021-06-0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18235A (zh) * 2021-04-30 2021-10-19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视频数据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174981A (zh) * 2022-08-03 2022-10-11 湖南广播电视台 一种基于微服务的异地联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1752B2 (ja) 2020-08-27 2024-04-22 株式会社第一興商 サー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57A (ko) * 2003-02-13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무선 접속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과 그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1078367B1 (ko) * 2009-09-09 2011-10-31 주식회사 금영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00515A (ko) * 2011-03-04 2012-09-12 이상혁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26183A (ja) * 2012-07-28 2014-02-06 Daiichikosho Co Ltd カラオケ同期演奏システム
KR20140147237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코리아제너럴파트너스 노래방 음원의 실시간 제공 비지니스 모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631B2 (ja) * 1996-11-20 2005-10-2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KR20000037280A (ko) 2000-04-15 2000-07-05 김용성 웹 상에서의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 장치 및 노래방 서비스방법
KR101325867B1 (ko) * 2012-02-24 2013-11-05 주식회사 팬택 음성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6457326B2 (ja) * 2015-04-28 2019-01-23 株式会社第一興商 歌唱音声の伝送遅延に対応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57A (ko) * 2003-02-13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무선 접속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과 그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1078367B1 (ko) * 2009-09-09 2011-10-31 주식회사 금영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00515A (ko) * 2011-03-04 2012-09-12 이상혁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26183A (ja) * 2012-07-28 2014-02-06 Daiichikosho Co Ltd カラオケ同期演奏システム
KR20140147237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코리아제너럴파트너스 노래방 음원의 실시간 제공 비지니스 모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2920A (zh) * 2019-11-29 2020-04-10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合唱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992920B (zh) * 2019-11-29 2022-04-2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合唱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040267A (zh) * 2020-09-10 2020-12-04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合唱视频生成方法、合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69884A (zh) * 2020-12-31 2021-04-16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927666A (zh) * 2021-01-26 2021-06-0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27666B (zh) * 2021-01-26 2023-11-2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18235A (zh) * 2021-04-30 2021-10-19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视频数据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518235B (zh) * 2021-04-30 2023-11-28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视频数据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174981A (zh) * 2022-08-03 2022-10-11 湖南广播电视台 一种基于微服务的异地联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174981B (zh) * 2022-08-03 2024-02-23 湖南广播电视台 一种基于微服务的异地联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73B1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7362A1 (ko)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5041507A1 (ko)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및 디바이스 간 컨텐츠 동기화를 위한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
WO2020085814A1 (ko) 비접촉 방식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394508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노래하는 방법
WO201105592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lti-sound channel contents using dlna in mobile terminal
WO2013187688A1 (en)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and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EP178404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ound reproduction, and a program product
JP5311071B2 (ja) 楽曲再生装置及び楽曲再生プログラム
WO2022065537A1 (ko) 자막 동기화를 제공하는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246752A1 (ko)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244150B1 (ko) 블록체인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노래하는 방법
WO2020055027A1 (ko) 언어 학습 장치
WO2019160388A1 (ko) 사용자의 발화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WO2021150004A1 (ko) 재생 데이터의 싱크 처리시스템
WO2022250387A1 (ko)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 장치, 음성 처리 시스템 및 음성 처리 방법
CN113611266B (zh) 适用于多人k歌的音频同步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418883B2 (en) Audio interface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US20180262657A1 (en) Control method of oper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and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ntent reproduction system
WO2021225379A1 (ko) 음원 재생정보 제공시스템
JP395632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WO2023003271A1 (ko) 화자들의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154369A1 (ko) 곡에 적합한 자동 디제잉 방법 및 장치
WO2023277231A1 (ko) 발화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WO2020040459A1 (ko) 음악 컨텐츠 생성과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13611272B (zh) 基于多移动终端的扬声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347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47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47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