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39635A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39635A1
WO2019039635A1 PCT/KR2017/009337 KR2017009337W WO2019039635A1 WO 2019039635 A1 WO2019039635 A1 WO 2019039635A1 KR 2017009337 W KR2017009337 W KR 2017009337W WO 2019039635 A1 WO2019039635 A1 WO 20190396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ernal input
display
displayed
externa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3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일호
최광수
홍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80,21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70612B2/en
Priority to PCT/KR2017/009337 priority patent/WO2019039635A1/ko
Publication of WO20190396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396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guiding an external device to be easily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outputting video.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has various methods such as outputting an image through a display panel or projecting an image to the outside using visible light or the like.
  •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tendenc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o become larger and more sophisticated.
  • various external apparatuses ar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from the external apparatus i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 connection terminal for an external device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ollable display, a driving unit for varying the size of the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based on the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n the rolled- So that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re displayed.
  •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ollable display, a driver for varying the size of the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when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s selected,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is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ollable display, first and second roller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llable display to vary the size of the rollerable displa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so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ends of the display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o as to reduce the size of the display based on the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during display of the image on the display,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s Controls.
  •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rollable display, a driving unit for varying the size of the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based on an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s So that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are displayed.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connected directly, and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is reduced, When the device is connected, it can be easily gu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the height of the display is the first height due to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object indicating the power terminal to b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 in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joining or detaching of the terminals.
  • the height of the display can be easily reduc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roll down the display unit.
  •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and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n the rolled-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to be displayed ar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o that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can be easily guided,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reduced.
  • the driving unit when detecting the approach to the side or rear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n the rolled-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ar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o that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can be easily induced.
  •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and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s of the external device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detached.
  •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ollable display, a driving unit for varying the size of the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isplay is rolled down when a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s selected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connected directly, and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becomes low,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ollable display,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llerable display to vary the size of the rollerable display,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redetermined image on the display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display is sh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o as to reduce the size of the display based on the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re displayed.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FIGS. 1A to 1D are views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S. 1A to 1D.
  • 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2.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2.
  • 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to 11C are view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FIG.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A to 13F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explana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FIG.
  •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 module " and “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 FIGS. 1A to 1D are views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isplay 180 and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An opening 15 is forme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nd the rollable display 180 can be rolled up and displayed through the opening 15.
  •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175 of FIG. 2) for driving the rollable display 180.
  • the drive unit (175 in FIG. 2) at this time may include a roller (not shown) in which the rollerbible display 180 is wound and a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roller.
  • FIG. 1A illustrates that the roller-covered display 180 is woun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15.
  • FIG. 1A illustrates that the roller-covered display 180 is woun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15.
  •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is in the standby mode, and only some of the units are operated, and the display 180 may not be supplied with power.
  • Fig.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lled-up display 180 is rolled up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75 in Fig. 2) so that the height of the rolledbible display 180 is h1, As shown in FIG.
  • Fig. 1C illustrates that the height of the roller-barbible display 180 is h2 by rolling up the rollerbible display 180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r (175 in Fig. 2).
  • FIG. 1D illustrates that the height of the rollerbble display 180 is a height of h3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75 in FIG. 2) so that the rollerbible display 180 is rolled up.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rollable display 180, a driver 175 for varying the size of the display 180, And a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180.
  •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isplay unit 180 based on the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tated down so that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n the rolled-down display 180 .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immediately grasp the position of an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connected, and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180 is low So that it can be easily gu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rollable display 180, a driver 175 for varying the size of the display 180, And a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180.
  •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180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in the rolled-down display 180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175 so that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18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ternal input terminal is rolled down, So that the object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immedi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connected, and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180 So that it can be easily gu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the rollable display 180 may be a flexible display, and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OLED panel).
  • OLED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 An organic luminescent panel has a plurality of scan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pixels each including a subpixel can be defined in an intersection area of each scan line and a data line.
  • the pixel circui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OLED panel may include a switching transistor SW1, a storage capacitor Cst, a driving transistor SW2,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ED.
  • the scan line (Scan line)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W1 and turned on according to the input scan signal (Vdscan).
  • the data signal Vdata is transferr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SW2 or one end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formed between the gate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SW2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data signal level transmitted to one end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and the data signal level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VDD) level.
  • the power level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difference of the data signal Vdata.
  • the power level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varies depending on the pulse width difference of the data signal Vdata.
  • the driving transistor SW2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supply level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 the driving current IOLED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stored power supply level, flow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ED.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ED performs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LED includes a light emitting layer (EML) of RGBW corresponding to a subpixel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In addition, a hole blocking laye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EML light emitting layer
  • HIL hole injection layer
  • HTL hole transport layer
  • ETL electron transport layer
  • a hole blocking laye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the sub pixels emit white light in al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OLED.
  • the sub pixels emit white light in al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OLED.
  • green, red and blue sub pixels separate color filters are provided for color implementation. That is, in the case of green, red, and blue sub-pixels, a green, red, and blue color filters are further provided.
  • a white subpixel since a white light is outputted, a separate color filter is not required.
  •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 speaker unit 185a capable of outputting sound in the front direction.
  • speakers (SFa and SFb) belonging to the speaker unit 185a are arrang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300, respectively.
  •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 185a is output in the direction of the user and reaches the user.
  •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f FIGS. 1A to 1D may be a monitor, a TV, a tablet PC,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 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S. 1A to 1D.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isplay 180 and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includes a tuner unit 110, a demodulation unit 12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 network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Not shown), a control unit 17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driving unit 175.
  •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are provided in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It is possible.
  • the tuner unit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50.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 RF Radio Frequency
  • the tuner unit 110 can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 the tuner unit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baseband image, . ≪ / RTI >
  • the tuner unit 110 can include a plurality of tuners in order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 a single tuner that simultaneously receives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s also possible.
  •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8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190.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 And may perform an input / output oper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 And may perform an input / output oper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A / V input / output unit can receive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via the network,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tore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 the storage unit 140 of FIG. 2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control unit 170 It is possible to transmit it to the sensor unit (not shown).
  • 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unit 110 or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so as to output the video or audio output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output.
  •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as an audio signal.
  •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tuner unit 110 to control the tuning of the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the previously stored channel.
  •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 3D object for a predetermined 2D object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nd display the 3D object.
  •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ext.
  • control unit 17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grasped. In addition, the x-axis coordinate and the y-axis coordinate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user position can be grasped.
  •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d extracts an image from an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
  •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stream-decoded together with a decoded image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 the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18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
  •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od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in a full viewing mode displayed in most areas of the display 180.
  • the thumbnail images in the thumbnail list can be sequentially updated.
  • the driving unit 175 may include a roller (not shown) in which the roller-covered display 180 is wound and a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roller.
  • the rollable display 180 can be rolled up or rolled down.
  • the display 180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 control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 the display 180 has an organic luminescent panel and is flexible or rollable.
  • the display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 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th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and outputs it as a voice.
  •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include a speaker unit 185a as described above.
  •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s the user.
  •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cameras.
  •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180 or may be disposed separately.
  •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based on each of the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signals sensed from the sensor unit (not shown)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have.
  • SOC system on chip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level of the DC power.
  •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it or output it by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
  •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hown i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oes not include the tuner unit 110 and the demodulation unit 120 shown in FIG. 2, but may be a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o play back the video content.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an example of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of an image stored in the apparatus or an input image.
  • Another example of the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180 shown in FIG. 2, A set-top box excluding the audio output unit 185, a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game machine, a computer, and the like may be further exemplified.
  • 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 the control unit 170 includes a demultiplexing unit 310, an image processing unit 320, a processor 330, an OSD generating unit 340, a mixer 345, A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a formatter 360,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370.
  • An audio processing unit 370, and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 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225 and a scaler 235. [
  • the video decoder 225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235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180.
  • the video decoder 225 may include a decoder of various standards.
  •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in the control unit 170. [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stored channel.
  •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data transfer control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demultiplexing unit 310,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the OSD generating unit 340, and the like in the controller 170.
  • the OSD generation unit 340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 a graphic or text form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80 can be generated.
  •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a widget, and an icon.
  • the OSD generating unit 340 can generate a poin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pointing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 pointer may be generated by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OSD generating unit 240 may include such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SD generating unit 240.
  • the mixer 345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40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320.
  • a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can convert the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 the frame rate converter 350 can output the frame rate without conversion.
  • the formatter 360 may convert to a video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display 180. For example, it can be converted to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or minl LVDS.
  • 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 minl LVDS minl LVDS
  • the audio processing unit 370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rocess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 the audio processor 370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 the audio processing unit 370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 the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 coded data signal, it can be decoded.
  •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 FIG. 3 the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70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ontrol unit 170 actually implemented.
  • the frame rate converting unit 350 and the formatter 360 are not provided in the controller 170,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as one module.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2.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2.
  •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4B), and back and forth (FIG. 4C).
  •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remote controller 200 can be referred to as a space remote controller or a 3D pointing device because the pointer 205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3D space.
  • FIG. 4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so shifts to the left corresponding thereto.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display the pointer 205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 4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can be zoomed in and displayed.
  • the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zoomed out.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180, the selection area is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pproaches the display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 the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hen the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exclude recogniz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the display 180, it is not recognized that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recognized, and onl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re recognized. Only the pointer 205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a state where the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5, a user input unit 1435, a sensor unit 1440, an output unit 1450, a power supply unit 1460, a storage unit 1470,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148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5 transmits / receives signals to / from any one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deo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video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include an RF module 14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IR module 14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motion and the lik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1421.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1421. [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command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ia the IR module 1423,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as needed.
  • the user input unit 143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1435.
  • the user input unit 1435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 the user input unit 1435 ha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touch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to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the user input unit 14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such as a scroll key, a jog key, etc., which the user can operat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or unit 1440 may include a gyro sensor 1441 or an acceleration sensor 1443.
  • the gyro sensor 1441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gyro sensor 1441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 the acceleration sensor 1443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ving speed and the lik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 distance measuring sensor can be further provided, w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180 can be sensed.
  • the output unit 1450 may output an image or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4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1435 is operated or wheth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1450.
  • the output unit 1450 includes an LED module 1451 that is turned on when a user input unit 1435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5, a vibration module 1453 for outputting sound, an acoustic output module 14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1457 for outputting an image.
  • the power supply unit 14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power supply unit 1460 can reduce power waste by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not mo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power supply unit 14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 the storage unit 14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14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Send and receive.
  • the control unit 14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band or the lik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1470 Can be referenced.
  • the control unit 148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control unit 14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4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1440, (100).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And a coordinate value calculation unit 1415 that can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ordinate value.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RF module 1412.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R module 1413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on unit 1415 corrects the camera shake or error from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and output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202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x, y) can be calculated.
  •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pu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rmine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key operation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ly.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pointer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nd output i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eceived pointer coordinate values to the control unit 180 without any additional camera shake or error correction process.
  •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ng unit 1415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70 instead of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unlike the drawing.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to 11C are views referencing the operation method description of FIG.
  •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there is no input after power-on,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perates in standby mode, only a part of the units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The display 180 may not be powered.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he power to be supplied only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s a standby mode. Alternatively, it may be controlled so that more power is supplied to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the roller-type display 180 is woun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uses the rollerbubble display 180 to be rolled up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isplay input so that the height of the rollerbubble display 180 is increased to the height ha As shown in Fig.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o display the predetermined image 710 on the rolledbible display 180 at the height of ha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display input (S610 ).
  • the predetermined image 710 may be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or the like.
  • FIG. 7A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180.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nd a power terminal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300 .
  • FIG. 7A illustrates that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arranged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FIG. 7A illustrates that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arranged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and the USB terminal may be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of FIG.
  • FIG. 7B shows the rear surface (BDS) of the display 180, in particular,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BDS rear surface of the display 180
  • FIG. 7B illustrates that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from right to left.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S620), and when the external input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S630),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isplay size to be variable (S640).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o display the external input objec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 (S650).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he driving unit 175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based on the external input display command, and the rolled-down display 180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connected immediately,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180 is reduced, so that it can be easily gu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FIG. 7C illustrates that the external input key 20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perates when the predetermined image 710 is displaye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20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uch that when an external input signal is received, 721 to 727) of the external input menu 720.
  • FIG. 7D show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 items 721 to 727 as an HDMI1 terminal item 721, an HDMI2 terminal item 723, an HDMI3 terminal item 725, and a USB terminal item 727.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o display the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Fig. 7D, and based on the pointer 205,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item 721 out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items 721 to 727 of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is selected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The driving unit 175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driving unit 180 is rolled down.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select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nd when the external apparatus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And control the driving unit 175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 the display 180 may be rolled down, as shown in FIG. 7E.
  • 7E illustrates that while the display 180 is rolling down, it has a height of hb lower than ha.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cales down the displayed image during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and controls the downscaled image 73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7E have.
  • FIG. 7F illustrates that, by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first height h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so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reduced to the first height hd by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
  •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18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easily lead to connection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7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among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s 741 to 747 can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position of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 an external input object 743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HDMI2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distinguishably displayed from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745, 747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HDMI3, USB which are not connected.
  •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un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180 as shown in FIG. 7F when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first height hd due to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 the power object 749 representing the power terminal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easily combine or detach the power terminal.
  • 7G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rolledbible display 180 is rolled down to have a height of hd.
  • the user USer can easily connect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since the height of the rollerable display 180 is low when the first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It becomes possible to connect.
  • the position of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can be easily grasped by displaying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74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
  • FIG. 7H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height of the haulable display 180 is ha.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provided when the rollerbible display 180 is rolled down to have the height hd It is possible to display only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7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selected by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driving unit 175 to cause the display 180 to be rolled down so that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in the rolled-
  •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7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741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connected directly,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it can be easily gu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FIG. 7A to 7H illustrate that the rolled-up display is rolled up or rolled down in the up-and-down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roll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F.
  • FIG 8A illustrates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includes a rollable display 180 and a first and a second Rollers 175a and 175b and first and second rollers 175a and 175b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75a and 175b so as to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2 driving units 177a and 177b and a support CSa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display 180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77a and 177b.
  • FIG. 8A shows a front view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in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nd a power terminal ) Are arranged.
  • FIG. 8B is a view showing the under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and power It is illustrated that the power is arranged.
  • FIG. 8C illustrates that the external input key 20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perates when the predetermined image 810 is displaye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201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uch that when an external input signal is received, 821 to 727)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input menu 820.
  • 8D show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 items 721b to 727b, which illustrate the HDMI1 terminal item 721b, the HDMI2 terminal item 723b, the HDMI3 terminal item 725b, and the USB terminal item 725b.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controls to display the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Fig. 8D, and based on the pointer 205,
  •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item 721b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items 721b to 727b of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is selected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rs 177a and 177b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so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180 is reduced.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may select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nd when the external apparatus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The display 180 may be roll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rs 177a and 177b so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180 is reduced.
  • 8E illustrates that the second roller 175b is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portion 177b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ortions 177a and 177b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becomes smaller.
  •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is rolled so tha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Csa, the display 180 is rolled.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scales down the displayed image while the size of the display 180 is reduced, and controls the downscaled image 830 to be displayed can do.
  • FIG. 8F illustrates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ortions 177a and 177b oper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75a and 175b rotate and both sides of the display 180 are rolled.
  •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180 are respectively rolled to illustrate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Csa.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b display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841 to 8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DMI1 to HDMI3 and USB.
  •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rollable display 180 are narrowed, it is possible to easily lead to connection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output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 8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among the first external input objects 841 to 847 can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position of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HDMI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 HDMI1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receives the external input object 843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 HDMI2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841 to 847,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external input objects 841, 745, 847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HDMI3, USB) which are not connected.
  •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un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displays the power
  • the power object 849 representing the power terminal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easily combine or detach the power terminal.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may display the display 180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second height (ha) (HDMI1 to HDMI3, US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in the rolled-down display 180, USB)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are displayed.
  •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second height (ha) (HDMI1 to HDMI3, US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in the rolled-down display 180, USB)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are displayed.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may display the display 180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second height (ha) (HDMI1 to HDMI3, US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in the rolled-down display 180, USB)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objects
  • FIG. 9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re is no image display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a.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175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 FIG. 9B illustrates that, by rolling down the display 180,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b.
  • FIG. 9C illustrates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c by continuous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 FIG. 9D illustrates that, by continuous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d.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display 180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Can be controlled.
  •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previously 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s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are connected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non-input external input terminals.
  • FIG. 9E illustrates that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wound in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300,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for sensing an approach to a side or a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he driving unit 175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when detecting an approach to the side or rear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300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in the rolled- To 747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D.
  • FIG. 10A illustrates that a predetermined image 1010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a.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determines that the user intends to connect an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80b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Lt; / RTI >
  •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 FIG. 10B illustrates that, by rolling down the display 180,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b.
  • FIG. 10C illustrates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c by continuous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 FIG. 10D illustrates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d by continuous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180 as shown in FIG. 10D when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first height hd due to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Can be controlled.
  •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previously 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s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are connected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non-input external input terminals.
  • the user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and easil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perform mirroring through the paired mobile terminal 60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 11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80 is woun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nd receives the music reproduction signal at the mobile terminal 600 and 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Sound (Soa, Sob) is output.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music playback signal.
  • 11A illustr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s 600 is 1 Da.
  • 11B illustr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is 1Db by allowing the user to approach the mobile terminal 600 more.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approaching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display can be rolled up.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display 180 as a rolled up HDMI3, USB3, and USB)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in the rolled up display 180,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input object (s)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and easil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A to 13F are views referencing the operation method description of FIG.
  •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erable display 180 is rolled up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isplay input, The height can be controlled to have a height of ha.
  •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rol to display the predetermined image 710 on the rollerbble display 180 at the height of ha height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 input (S1210 ).
  • the predetermined image 710 may be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or the like.
  • 13A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180.
  •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nd a power terminal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300 .
  • FIG. 13A illustrates that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arranged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FIG. 13A illustrates that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arranged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and the USB terminal may be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of FIG.
  • FIG. 13B illustrates a rear surface BDS of the display 180.
  •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As shown in FIG.
  • FIG. 13B illustrates that the HDMI1 terminal, the HDMI2 terminal, the HDMI3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from right to left.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power-off input (S1220) and controls the display size to be variabl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S1230) (S1240).
  •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o display an external input objec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external input terminal (S1250).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he driving unit 175 so that the display 180 is rolled down based on the power-off input, and the rolled-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do.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be removed immediately,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180 is lowered, so that it can be easily led out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detached.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13C illustrates that the power off key 202 of the video display device 200 operates when the predetermined image 710 is displaye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a rollable display (not shown) when the power off signal is received by the power off key 202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180 may be rolled down.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cales down the displayed image during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and controls the downscaled image 102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3D have.
  • FIG. 13E illustrates that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hc by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cales down the displayed image and controls the downscaled image 103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3E.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image is not displayed during the rolling-down of the display unit 180.
  • FIG. 13F illustrates that, by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first height h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180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display 180 is the first height hd due to the rolling down of the display 180,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and USB .
  •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to HDMI3, USB)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external device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external input terminal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height of the rollable display 18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easily lead to detachment from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detached.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n external input object 743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HDMI2,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objects 741 to 747,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distinguishably displayed from the external input objects 741, 745, 747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s HDMI1, HDMI3, USB which are not connected.
  •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unconnected external input terminal.
  •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display 180
  • the power object 749 representing the power terminal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terminal.
  •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power terminal.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Or may be selectively comb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의 대형화, 고급화 경향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영상표시장치에 다양한 외부 장치가 접속되어, 외부 장치로부터의 영상이,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된다.
통상 벽 앞에 배치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외부 장치를 위한 접속 단자는, 영상표시장치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해당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찾아서, 해당 외부 접속 단자에, 새로운 외부 장치를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영상표시장치가 대형화될수록, 새로운 외부 장치를 접속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와, 디스플레이의 후단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중에,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지지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제어하며, 사이즈 축소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디스플레이 내의 파워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워 단자를 나타내는 파워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워 단자의 결합 또는 탈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인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 항목이 선택되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게,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된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외부 입력 단자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정 시간 동안, 영상 표시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게 외부 장치 연결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대한 접근 감지시,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게 외부 장치 연결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중에, 전원 오프 입력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게 외부 장치의 탈거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 내의,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선택된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와,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와, 디스플레이의 후단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중에,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지지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제어하며, 사이즈 축소된 디스플레이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d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11c는 도 6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도 12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300)에, 개구부(15)가 형성되며, 개구부(15)를 통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rolling up)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처리 장치(30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를 구동하는 구동부(도 2의 17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구동부(도 2의 175)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는 롤러(미도시)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a는,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권취되어, 개구부(15)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신호 처리 장치(300)는, 대기 모드로서, 일부 유닛만 동작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1b는, 구동부(도 2의 175)의 동작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1의 높이인 것을 가지며, 개구부(15) 외부로 노출된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c는, 구동부(도 2의 175)의 동작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2의 높이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d는, 구동부(도 2의 175)의 동작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3의 높이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175)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175)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선택된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블 디스플레이(180)는, 플렉서블 가능한 디스플레이로서,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은, 복수의 스캔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며, 각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각각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픽셀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의 픽셀 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300)는, 프론트 방향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유닛(185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전면 방향에, 스피커 유닛(185a)에 속하는 스피커(SFa,SFb)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85a)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사용자 방향으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d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d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신호 처리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300)는, 튜너부(110)와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오디오 출력부(185), 구동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방송 수신부(105) 내에, 튜너부(110)와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구동부(175)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는 롤러(미도시)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5)에 의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 또는 롤링 다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며, 플렉시블 또는 롤러블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85a)을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포맷터(36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370),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또는 minl LVDS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또는 소정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의 (b)), 앞뒤(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1425), 사용자 입력부(1435), 센서부(1440), 출력부(1450), 전원공급부(1460), 저장부(1470), 제어부(1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1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1440)는 자이로 센서(1441) 또는 가속도 센서(1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1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450)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1450)는 사용자 입력부(1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1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1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1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1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480)는 사용자 입력부(1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1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11c는 도 6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온 입력 이후,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대기 모드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 내의 일부 유닛만 동작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대기 모드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더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기 모드시, 도 1a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권취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 되어, 도 7a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입력에 따라, ha의 높이의 높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10).
여기서, 소정 영상(710)은,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등일 수 있다.
한편, 도 7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면,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및 파워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7a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좌에서 우측 방향으로, HDMI1 단자, HDMI2 단자, HDMI3 단자, USB 단자, 파워 단자(power)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HDMI1 단자, HDMI2 단자, HDMI3 단자, USB 단자는, 도 2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7b는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후면(BDS)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및 파워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7b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우에서 좌측 방향으로, HDMI1 단자, HDMI2 단자, HDMI3 단자, USB 단자, 파워 단자(power)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을 수신하고(S620), 해당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미접속된 경우(S630), 디스플레이 크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접속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7c는 소정 영상(7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외부 입력키(201)가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외부 입력키(201) 동작에 의해, 외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7d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727)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7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d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727)으로, HDMI1 단자 항목(721), HDMI2 단자 항목(723), HDMI3 단자 항목(725), USB 단자 항목(727)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7d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포인터(205)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727)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이 선택되며,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e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될 수 있다. 도 7e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는 중에, ha 보다 낮은 hb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 중, 표시되는 영상을 스케일링 다운하여, 도 7e와 같이,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7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7f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경우, 도 7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로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가 선택된 경우, 도 7f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로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제1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7f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HDMI2)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3)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5,747)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경우, 도 7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 내의 파워 단자(power)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워 단자(power)를 나타내는 파워 오브젝트(749)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워 단자(power)의 결합 또는 탈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7g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되어, hd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USer)는,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제1 외부 장치 연결시,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으므로, 간편하게,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제1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f와 같이,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가 표시됨으로써, 간편하게,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7h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ha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과 같은 경우, 사용자(USer)는,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제1 외부 장치 연결시,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상당히 높으므로,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제1 외부 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7g에서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되어, hd의 높이를 가지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 증 선택된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만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선택된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h는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상하 방향으로 롤링 업 또는 롤링 다운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롤링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b)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b)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와,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양측 단부에 배치는 제1 및 제2 롤러(175a,175b)와,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를 가변하도록, 제1 및 제2 롤러(175a,175b)를 구동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177a,177b)와, 디스플레이(180)의 후단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구동부(177a,177b)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CS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8a는 영상표시장치(100b)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지지대(CSa)의 후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 및 파워 단자(power)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8b는 영상표시장치(100b)의 흐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지지대(CSa)의 후면(CSb)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 및 파워 단자(power)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8c는 소정 영상(8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외부 입력키(201)가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외부 입력키(201) 동작에 의해, 외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8d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821~727)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8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d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b~727b)으로, HDMI1 단자 항목(721b), HDMI2 단자 항목(723b), HDMI3 단자 항목(725b), USB 단자 항목(725b)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도 8d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포인터(205)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b~727b)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 항목(721b)이 선택되며,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되어,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제1 및 제2 구동부(177a,177b)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되어,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제1 및 제2 구동부(177a,177b)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e는, 제1 및 제2 구동부(177a,177b) 중 제2 구동부(177b)에 의해, 제2 롤러(175b)가 회전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이 작아지는 것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이 롤링되어, 지지대(Csa)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80)가 롤링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이 사이즈가 작아지는 중, 표시되는 영상을 스케일링 다운하여, 도 8e와 같이,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8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8f는, 제1 및 제2 구동부(177a,177b) 모두 동작하여, 제1 및 제2 롤러(175a,175b)가 회전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양측이 롤링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좌측과 우측이 각각 롤링되어, 지지대(Csa)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80)가 롤링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도 8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롤링되어, 디스플레이(180)의 좌우 폭이 좁아진 경우,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841~8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로 영상표시장치(100b)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b)의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좌우 폭이 좁아지므로, 외부 장치 연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가 선택된 경우, 도 8f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841~847)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841)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로 영상표시장치(100b)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b)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 외부 입력 단자(HDMI1)에 제1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도 8f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841~847)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HDMI2)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843)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841,745,847)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도 8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롤링되어, 디스플레이(180)의 좌우 폭이 좁아진 경우, 디스플레이(180) 내의 파워 단자(power)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워 단자(power)를 나타내는 파워 오브젝트(849)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워 단자(power)의 결합 또는 탈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2 높이(ha)인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영상 표시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9a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인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영상 표시가 없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b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rolling down)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b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9c는 디스플레이(180)의 계속적인 롤링 다운(rolling down)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c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9d는 디스플레이(180)의 계속적인 롤링 다운(rolling down)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d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경우, 도 9d와 같이,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9d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9d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소정 시간 동안, 별도의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외부 장치 연결에 의한, 외부 입력 영상을 시청하려고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고, 소비전력 저감을 위해, 도 9e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롤링 다운시켜,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권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e는, 제2 소정 시간 이후,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되어,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권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대한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대한 접근 감지시,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0a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인 상태에서, 소정 영상(1010)이 표시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이고, 소정 영상(1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신호 처리 장치(3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대한 사용자의 손(HAD)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b)의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를 연결시키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미도시)는, 근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b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rolling down)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b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0c는 디스플레이(180)의 계속적인 롤링 다운(rolling down)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c인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0d는 디스플레이(180)의 계속적인 롤링 다운(rolling down)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d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경우, 도 10d와 같이,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0d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외부 장치를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패이스부(135)를 통해,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는, 디스플레이(180)가 신호 처리 장치(300) 내에 권취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에서 음악 재생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300)에서 음악 재생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Soa,Sob)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음악 재생 신호의 세기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1a는, 영상표시장치(100)외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거리가 1Da인 것을 예시한다.
도 11b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좀더 접근시켜,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거리가 1Db인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 접속 단자에 외부 장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를 롤링 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 도 11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rolling up)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업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외부 장치를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f는 도 12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입력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업 되어, 도 13a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a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입력에 따라, ha의 높이의 높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10).
여기서, 소정 영상(710)은,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등일 수 있다.
한편, 도 13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면,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및 파워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3a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좌에서 우측 방향으로, HDMI1 단자, HDMI2 단자, HDMI3 단자, USB 단자, 파워 단자(power)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HDMI1 단자, HDMI2 단자, HDMI3 단자, USB 단자는, 도 2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13b는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 특히 디스플레이(180)의 후면(BDS)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및 파워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3b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300)의 후면에, 우에서 좌측 방향으로, HDMI1 단자, HDMI2 단자, HDMI3 단자, USB 단자, 파워 단자(power)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입력을 수신하고(S1220), 해당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S1230), 디스플레이 크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4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접속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50).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구동부(175)를 제어하며, 롤링 다운된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탈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로, 탈거하고자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탈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서 탈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13c는 소정 영상(7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200)의 전원 오프키(202)가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오프키(202) 동작에 의해,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13d와 같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가 롤링 다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 중, 표시되는 영상을 스케일링 다운하여, 도 13d와 같이,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10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3e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hc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스케일링 다운하여, 도 13e와 같이,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10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d, 및 도 13e와 달리,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오프키(202) 동작에 의해,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 중,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3f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경우, 도 13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 내의,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로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외부 장치가 간편하게 탈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외부 장치 탈거시, 간편하게,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3f와 같이,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7)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HDMI2)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3)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HDMI1,HDMI3,USB)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741,745,747)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롤링 다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높이가, 제1 높이(hd)인 경우, 도 13f와 같이, 디스플레이(180) 내의 파워 단자(power)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워 단자(power)를 나타내는 파워 오브젝트(749)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워 단자(power)를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다운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의 후면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다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후면에, 파워 단자가 더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다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파워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파워 단자를 나타내는 파워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며,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외부 입력키 동작에 의해, 외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 항목이 선택되며,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중에, 상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다운 중, 상기 표시되는 영상을 스케일링 다운하여,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2 높이인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영상 표시가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다운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대한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대한 접근 감지시,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다운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중에, 전원 오프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다운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구동부;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롤링 다운(rolling down)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롤링 다운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의 후면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롤링 다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제1 높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중에,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이즈 축소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외부 입력키 동작에 의해, 외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항목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입력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중 제1 외부 입력 단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상기 제1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오브젝트 중 기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오브젝트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PCT/KR2017/009337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WO20190396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80,212 US11270612B2 (en) 2017-08-25 2017-08-25 Image display apparatus
PCT/KR2017/009337 WO2019039635A1 (ko)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337 WO2019039635A1 (ko)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635A1 true WO2019039635A1 (ko) 2019-02-28

Family

ID=6543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337 WO2019039635A1 (ko) 2017-08-25 2017-08-25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70612B2 (ko)
WO (1) WO20190396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3754A (zh) * 2019-05-09 2019-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709A (ko) * 2008-08-28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입력신호 안내방법 및 장치
KR20110048705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1409A (ko) * 2010-02-05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60013289A (ko) * 2014-07-24 2016-0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20160129669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4017A1 (en) * 2004-11-15 2006-05-18 Vam Chang Docking station for notebook computers
US10142577B1 (en) * 2014-03-24 2018-11-27 Noble Laird Combination remote control and telephone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US9772657B2 (en)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KR101790429B1 (ko) * 2016-02-15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709A (ko) * 2008-08-28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입력신호 안내방법 및 장치
KR20110048705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1409A (ko) * 2010-02-05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60013289A (ko) * 2014-07-24 2016-0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20160129669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3754A (zh) * 2019-05-09 2019-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333754B (zh) * 2019-05-09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70612B2 (en) 2022-03-08
US20210192999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39634A1 (ko) 영상표시장치
WO201903565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71050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1823610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70187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WO202217704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102592A2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104044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81905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WO201907854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20060186A1 (ko) 영상표시장치
WO2016035983A1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716460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20138962A1 (ko) 영상표시장치
WO2020235698A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WO2019039635A1 (ko) 영상표시장치
WO201907854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2202534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0130233A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WO2020060187A1 (ko) 영상표시장치
WO2021221194A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WO2021221193A1 (ko) 영상표시장치
WO2022075586A1 (ko) 물리적 복제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호처리장치, 영상표시장치
WO2021221191A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23282384A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227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27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