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13454A1 - Baby stroller having changeable structure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 Google Patents

Baby stroller having changeable structure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13454A1
WO2019013454A1 PCT/KR2018/006612 KR2018006612W WO2019013454A1 WO 2019013454 A1 WO2019013454 A1 WO 2019013454A1 KR 2018006612 W KR2018006612 W KR 2018006612W WO 2019013454 A1 WO2019013454 A1 WO 20190134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input
user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612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윤유술
박봉균
정의경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880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68747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82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92397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134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1345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Definitions

  •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seating position when the plate shown in Fig. 14 is retracted. Fig.
  • FIG. 13 is a view showing a pair of binding groove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 the structure of the wheel frame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wheels.
  • the wheel frame may be composed of a front wheel frame for engaging with two wheels in front and a rear wheel frame for engaging with one wheel in the rear.
  • the hinge joint means that two objects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but are coupled so that a few horizontal vertical movements are fixed. Accordingly, the cover 2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but can be combined to fix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FIG. 7 is a schematic top view of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20 shown in Fig.
  •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provided at the opposite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re fixed to the fixing grooves 14a and 14a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10' ').
  •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provided on both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can be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cover 20.
  • the cover 20 can mov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when the cover 20 start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s 10 ' Can be caught by the inner side surfaces 10 'and enter the inside of the cover 20.
  • the cover 20 may form an opening / closing angle according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module (not shown) for measuring the weight appli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 hing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weight .
  • the seat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 the seat 3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through a detachable member (not shown).
  •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may be fla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15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mber.
  •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as shown in Fig. 11 to induce an attitude suitable for the activity.
  • FIGS. 16 and 17 since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S. 16 and 17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mponents no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 FIG. 16 Since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S. 16 and 17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mponents no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 the camera module 110,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measurement module 130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ensing module 140, the speak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cloud server, or the like, o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directly through a Bluetooth tooth.
  •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be comprised of two sensors, each of which measure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sensor that measures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 the sensing module 140 can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by on the baby carriage 1. [ Accordingly, the detection module 14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hands and feet of the child.
  • the speaker modul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module 14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module 140.
  • the speaker module 150 may previously store various voices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child.
  • the speaker module 150 may output any voice among the stored voice when the sensing module 140 provides the sensing signal.
  • the speaker module 150 when the B sens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speaker module 150, the speaker module 150 outputs the B sound, and when the C sensing signal is provided, the speaker module 150 can output the C sound.
  • the control system 1000 may include a baby carriage 1 and a user terminal 200.
  •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 24 is the same as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s. 1 and 16,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by carriage 1 will be omitted.
  • Fig. 2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m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1 are omitt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baby carriage by controlling the baby carriage remotely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trol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by stroller which can provide information on a condition of an infant who is in a baby stroller to the infant's parents through a user terminal. A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thereof; a seat disposed in the housing; a camera module which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receives the captured image from the camera modu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and a movement module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housing.

Description

구조 변경이 가능한 유모차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Stroller capable of structural change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모차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유모차와,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baby carriag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which can change its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a child's body development, To the control system.
최근 저출산으로 인해 외동아이로 태어나 귀하게 자라는 골드키즈(gold kids)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육아에 투자하는 비용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0세에서 14세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엔젤산업(angel industry)의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The number of gold kids who are born as a single child due to low fertility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the cost of investing in childcare is gradually increasing. In response, the size of the angel industry for infants aged 0 to 14 is also expanding.
육아용품 중에서 특히 유모차는 5세 미만의 영유아 보육에 필수적인 용품으로써 영유아기의 자녀가 있는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된다.Baby strollers, especially baby strollers, are a necessity for day care for children under 5 years, and are widely used in most families with infant children.
이와 같이, 자녀 보육에 필수적이라는 유모차 자체의 특성에 더하여 골드키즈에 대한 투자 비용 증가에 따라 최근 고가의 프리미엄 유모차가 다수 유통되고 있다. 다만, 프리미엄 유모차는 적게는 50만원 많게는 200만원을 호가하는 제품도 있어, 일반 가정에서 구매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In this way,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stroller itself, which is essential for childcare,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remium stroller cars with high prices due to an increase in the investment cost for Gold Kids. However, premium stroller products cost as little as 500,000 won and as much as 2,000,000 won, making it economically burdensome to purchase in ordinary households.
설령 이와 같은 프리미엄 유모차를 구매한다고 하더라도, 유모차의 제한된 크기로 인해 자녀가 성장하면 해당 유모차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자녀의 성장에 맞추어 새로운 유모차를 구매해야 하며, 이로 인해 유모차 구매에 소비되는 비용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더 발생한다.Even if you buy such a premium stroller, you will not be able to use the stroller anymore if your child grows because of the limited size of the stroller. Accordingly, a new stroller must be purchas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chil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cost of purchasing the stroller is very high.
뿐만 아니라, 종래 유모차는 단순히 아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할 뿐, 아이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별도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by carriage merely serves as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child, but does not provide a separate function for inducing interest of the child or for the growth of the child.
한편, 최근 맞벌이 부부의 증가에 따라 보모 고용률이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이가 보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married couples has recently increased, the number of nanny employment has also increased, and the time for the child to stay with the nanny is increasing.
아이가 유모차에 탑승하여 보모와 함께 외출한 경우, 아이의 부모는 보모를 통해 아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밖에 없으므로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아이의 상태를 부모에게 스스로 알려줄 수 있는 스마트한 유모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When a child goes on a stroller and goes out with his or her nurse, the parent of the child has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child through the nanny, which causes a sense of psychological anxiety.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smart baby stroller that can inform the parents of the condition of the child by themselves.
본 발명은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which can change its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 child's body.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eat.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which can adjust the angle of a seat.
또한, 본 발명은 간이 식탁이 결속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to which a simple dining table is bound.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ller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a child aboard the stroller to a parent of a child.
또한, 본 발명은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which outputs various sound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child.
또한, 본 발명은 아이에게 다양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that provides various images and sounds to a child.
또한, 본 발명은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which can change its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 child's bod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유모차를 제어할 수 있는 유모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control system in which a user can remotely control a baby carriag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유모차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tructur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 child's body by providing a housing having a top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cover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하면 및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착탈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ach and attach a sheet by providing a detachable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착탈되는 하부 시트 및 하부 시트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 시트에 대해 회동하는 상부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시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y providing a lower seat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upper seat which is hinged to the lower seat and rotates relative to the lower seat.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에 적어도 한 쌍의 결속 홈을 구비함으로써, 간이 식탁을 결속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air of binding grooves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so that the simple table can be bound.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과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side a housing, 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child aboard the baby carriage to the parents of the child.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면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모듈 및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nd a speaker module for outputting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ignal, thereby outputting various sound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ld .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에 따라 전방으로 빔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및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아이에게 다양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images and sounds to a child by including a projector module that emits a beam forward according to image data and a speaker module that outputs sound according to voice data.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body and a cover selectively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body,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ody development of the chil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유모차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으로 유모차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a baby carriage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so that a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유모차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아이가 성장하더라도 유모차를 교체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유모차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tructur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so that the stroll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placed even if the child grows, thereby saving the cost of purchasing a new stroller.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구비된 시트를 탈부착함으로써, 시트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위생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rovided on the baby carriage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so that the se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cleaned, thereby improving the hygiene managemen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구비된 시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아이의 활동에 알맞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 provided on the baby carriage, an attitude suitable for the activity of the child can be derived.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간이 식탁을 결속함으로써, 식사를 위해 아이를 별도의 식탁 의자에 앉힐 필요 없이, 유모차를 식탁 및 식탁 의자로 대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inds a simple dining table to a baby carriage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be substituted for a dining table and a dining table without having to place the child on a separate dining table for a meal.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원격에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모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arent of the child with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child aboard the baby carriage, so that the state of the child can be remotely check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reby providing a psychological sense of security have.
또한, 본 발명은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아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아이의 신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ounds are outpu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child, thereby not only inducing interest of a child but also promoting a child's body development through repetitive movements.
또한, 본 발명은 아이에게 다양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함으로써, 아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아이의 주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images and sounds to a child, thereby not only inducing interest of a child but also stimulating both eyesight and hearing, thereby improving a child's attention.
또한, 본 발명은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유모차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아이가 성장하더라도 유모차를 교체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유모차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aby carriag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ild's body, the baby carriage may not be replaced even if the baby grows, thereby saving the cost of purchasing a new baby carria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유모차를 제어함으로써, 유모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baby carriage by controlling the baby carriage remotely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및 하우징의 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nd housing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가 하우징의 전면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shown in Fig. 2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Fig.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개폐 각도에 따른 착석 자세를 각각 도시한 도면.Fig. 4 and Fig. 5 are views showing seat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s of the cover shown in Fig. 3, respectively. Fig.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 및 커버의 양측단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fix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shown in Fig. 3 and both side ends of the cover. Fig.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통해 커버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ver is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6; Fig.
도 8은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착탈되는 시트를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heet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도 9는 하부 시트에 대해 회동하는 상부 시트를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an upper sheet pivoting relative to a lower sheet;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시트의 회동 각도에 따른 착석 자세를 각각 도시한 도면.Figs. 10 to 12 are views showing the seating postur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s of the seat shown in Fig. 9, respectively. Fig.
도 13은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에 구비된 한 쌍의 결속 홈을 도시한 도면.13 is a view showing a pair of binding groove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한 쌍의 결속 홈에 플레이트가 인입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ate is drawn in and out of a pair of binding grooves shown in Fig.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인입시 착석 자세를 도시한 도면.Fig. 15 is a view showing the seating position when the plate shown in Fig. 14 is retracted. Fig.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16 is a view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도 17은 카메라 모듈 및 측정 모듈이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module and a measurement module ar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a housing;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이 아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7 photographs a child.
도 19는 하우징 내부의 영상,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ideo inside the housing,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inside the housing a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도 20은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이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module and a speaker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a housing;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압력 센서가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shown in FIG. 20 senses a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a child; FIG.
도 22는 프로젝터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이 하우징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jector module and a speaker module are provided in a housing;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프로젝터 모듈이 빔을 출사하는 모습 및 스피커 모듈이 음성을 출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jector module shown in FIG. 22 emits a beam and a speaker module outputs a sound.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24 illustrates a control system includ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하우징, 시트, 커버 및 이동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housing, the seat, the cover, and the moving module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및 하우징의 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nd the housing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가 하우징의 전면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개폐 각도에 따른 착석 자세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shown in FIG. 2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and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sitting positions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angles of the cover shown in FIG. 3 .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 및 커버의 양측단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통해 커버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fix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both sides of the cover shown in FIG. 3,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ver being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Fig.
도 8은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착탈되는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하부 시트에 대해 회동하는 상부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시트의 회동 각도에 따른 착석 자세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seat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seat pivoted to the lower seat. Figs. 10 to 12 are views showing seat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s of the seat shown in Fig. 9, respectively.
도 13은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에 구비된 한 쌍의 결속 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한 쌍의 결속 홈에 플레이트가 인입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인입시 착석 자세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pair of binding groove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plate in and out of the pair of binding grooves shown in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seating position when the plate shown in Fig. 14 is retrac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는 하우징(10), 커버(20), 시트(30) 및 이동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모차(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1 and 2, a baby carria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a cover 20, a seat 30, and a moving module 40.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s. 1 and 2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and 2, Or deleted.
이동 모듈(40)은 유모차(1)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휠 프레임 및 복수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휠 프레임은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휠 프레임은 하우징(10)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고, 삽입 고정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ansfer module 40 may include a wheel frame and a plurality of wheels as means for moving the baby carriage 1. [ More specifically, the wheel frame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The wheel frame may be screwed to the housing 10, inserted and fixed,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0.
복수의 휠은 휠 프레임에 결합되어 유모차(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휠은 임의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유모차(1) 이동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위해 세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휠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heels are coupled to the wheel frame to move the baby carriage 1. [ The wheels may be of any number, but may consist of three or more, preferably three, wheels for stability and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stroller 1.
휠의 개수에 따라 휠프레임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 휠 프레임은 전방에 두 개의 휠과 결합되기 위한 전방 휠 프레임 및 후방에 한 개의 휠과 결합되기 위한 후방 휠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wheel frame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wheels. When the number of wheels is three as shown in FIG. 1, the wheel frame may be composed of a front wheel frame for engaging with two wheels in front and a rear wheel frame for engaging with one wheel in the rear.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일 예에 따른 것이고 상술한 바와 달리 휠 프레임은 후방에 두 개의 휠과 결합되기 위한 후방 휠 프레임 및 전방에 한 개의 휠과 결합되기 위한 전방 휠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according to an example, and unlike the above, the wheel frame may be composed of a rear wheel frame to be coupled with two wheels on the rear side and a front wheel frame to be coupled with one wheel on the front side.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면이 후술하는 커버(20)에 의해 막혀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10) 자체의 상면과 전면은 개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ousing 10 may have a top surface and a front surface. 2, the opening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shown as being clogged by the cover 20 described later, but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itself can be opened.
하우징(10)의 개구된 상면은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예를 들어, 아이의 부모)는 유모차(1)에 탑승한 아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유모차(1)에 탑승한 아이는 유모차(1) 외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can be formed oblique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user (for example, the parent of the child) can secure a field of view of the child aboard the baby carriage 1, and the child aboard the baby carriage 1 can secure a view to the outside of the baby carriage 1 can do.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손잡이(1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를 이용하여 유모차(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이 이동 모듈(40)과 분리된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1)를 이용하여 하우징(10)을 요람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grips 11. The user can move the stroller 1 by using the handle 11. [ Meanwhile, when the housing 10 is separated from the moving module 40, the user can use the housing 10 as a cradle by using the handle 11.
하우징(10)에는 완충부재(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은 완충부재(12)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12. Accordingly,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housing 10 can be dispersed by the cushioning member 12.
한편, 하우징(10)은 완충부재(12)를 기준으로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으로 구분될 수 있고, 완충부재(12)를 통해 하우징(10)은 바운서(bouncer)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0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with respect to the buffer member 12, and the housing 10 can function as a bouncer through the buffer member 12.
바운서는 유아용품 중 하나로서, 유아를 가볍게 흔들어주어 유아의 휴식과 수면을 돕는 기능을 수행하는 용품이다. 하우징(10)이 바운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을 가볍게 흔들어주기 위한 스윙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Bouncers are one of the baby products that perform the function of helping infants rest and sleep by gently shaking the infant. In order to allow the housing 10 to function as a bounc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ng module (not shown) for gently rocking the upper housing.
보다 구체적으로, 스윙 모듈은 고정된 하부 하우징에 대해 상부 하우징을 흔들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좌우 및 상하 각도) 및 속도로 스윙(swing)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wing module may shake the upper housing against the fixed lower housing. Accordingly, the upper housing can swing at predetermined angle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gles) and speed with respect to the lower housing.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상면 및 전면이 개구된 구(sphere), 바람직하게는 타원구(elliptical spher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은 하우징(10)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하우징(10) 내부에 탑승한 아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10 may be in the form of a sphere, preferably an elliptical sphere, open at the top and at the front. Accordingly, the housing 10 can dispers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reby protecting the child who rides inside the housing 10 from an external impact.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1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ver 20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을 참조하면, 커버(20)는 하우징(10)의 전면에 힌지(hinge)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의 전면은 하우징(10)의 전체 구조 중에서 개구된 전면과 인접하는 하우징(10)의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ver 20 is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0 which is adjacent to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entire structure of the housing 10.
한편, 힌지 결합은 두 물체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은 가능하나 수평 몇 연직 운동이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커버(20)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대해 회전 운동은 가능하나 수평 및 연직 운동이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joint means that two objects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but are coupled so that a few horizontal vertical movements are fixed. Accordingly, the cover 2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but can be combined to fix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상면과 전면에 각각 제1 개구부(110') 및 제2 개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는 제2 개구부(120')가 형성된 하우징(1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제2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10 'and a second opening 120' on a top surface and a front surface, respectively. The cover 20 is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formed with the second opening 12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부(110')와 제2 개구부(120')는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하우징(10)의 전면은 좌단, 우단 및 하단 모서리(13)로 둘러싸일 수 있다. 커버(20)는 좌단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좌측으로 개폐될 수 있고, 우단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우측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surrounded by the left end, the right end, and the bottom edge 13. The cover 20 may be hinged to the left end corner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left, or may be hinged to the right end corner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right.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1)에 탑승한 아이의 착석 자세를 보조하기 위하여 커버(20)는 하우징(10)의 전면 하단 모서리(13)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전면 하단 모서리(13)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축(hinge axis)이 구비될 수 있다.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ver 20 may be hinged to the lower front edge 13 of the housing 10 to assist the child sitting on the stroller 1 in the sitting position. Accordingly, a hinge axis for hinge conn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front edge 13 of the housing 10.
커버(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폐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커버(20)의 개폐 각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제1 입력 모듈(미도시)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우징(10)의 전면에 대한 커버(20)의 개폐 각도를 제어하는 힌지 제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20 may form an opening / closing angle according to user inpu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input module (not shown) provided with a user input for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 hinge control module (not shown).
제1 입력 모듈은 하우징(10) 외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우징(10)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모듈은 하우징(10) 외부면에 설치된 버튼(스위치)으로 구성될 수 있고, 힌지 제어 모듈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input modul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r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first input module may be a button (switch)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r may be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inge control module.
제1 입력 모듈이 버튼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은 물리적인 접점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제1 입력 모듈이 리모컨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일 수 있다.If the first input module is a button,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physical contact point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input module is the remote controller,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힌지 제어 모듈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20)의 개폐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 제어 모듈은 커버(20)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control module can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 For this purpose, the hing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motor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
예를 들어, 제1 입력 모듈이 하우징(10) 외부면에 구비된 버튼일 때, 버튼은 상향 제어 버튼 및 하향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향 제어 버튼을 누르면 커버(20)의 개폐 각도는 상향으로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하향 제어 버튼을 누르면 커버(20)의 개폐 각도는 하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input module is a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button may include an upward control button and a downward control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upward control button, the opening /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may increase upward,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downward control button, the opening /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may increase downwar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모차(1)에 탑승한 아이는 도 2에 도시된 유아보다 신장이 클 수 있다. 이 때, 커버(20)의 개폐 각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커버(20)는 성장한 아이의 발을 지탱하는 지지 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hild aboard the baby carriage 1 may have a greater height than the baby shown in FIG. At this time, when the open / close angle of the cover 20 is formed as shown in Fig. 4, the cover 20 can serve a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feet of the child.
한편, 커버(20)의 개폐 각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커버(20)는 완전히 아래쪽으로 젖혀져 성장한 아이의 다리를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 /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is formed as shown in Fig. 5, the cover 20 may be completely turned downward so that the legs of the grown child can be dragged downwar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이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유모차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아이가 성장하더라도 유모차를 교체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유모차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the stroll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placed even if the child grows, and thus the cost for purchasing a new stroller can be saved.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고정부재(14a, 14a', 14b, 14b')를 통해 커버(20)가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fixing the cover 20 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fixing members 14a, 14a ', 14b, 14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10)의 전면 및 커버(20)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 및 커버(20)의 양측단(20')에는 커버(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4a, 14a', 14b, 14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4a, 14a', 14b, 14b')는 고정 돌기(14b, 14b') 및 고정 홈(14a, 14a')을 포함할 수 있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2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 fixing members 14a and 14a 'for fixing the cover 20 to the housing 10 are form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10' of the housing 10 and both side ends 20 ' , 14b, 14b 'may be provided. Here, the fixing members 14a, 14a ', 14b, 14b' may include fixing projections 14b, 14b 'and fixing grooves 14a, 14a'.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고정 돌기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20)의 양측단(20')에는 고정 홈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고정 홈이 구비되는 경우, 커버(20)의 양측단(20')에는 고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10 'of the housing 10, they may be provided in the fixing grooves on both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lternatively, when the fix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10 'of the housing 10, fixing projection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10)의 전면 및 커버(20)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20)의 양측단(20')에 구비된 고정 돌기(14b, 14b')는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구비된 고정 홈(14a, 1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20)의 양측단(20')에 구비된 고정 돌기(14b, 14b')는 커버(20) 내부로 인입출될 수 있다.7 is a schematic top view of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2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7,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provided at the opposite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re fixed to the fixing grooves 14a and 14a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10' '). For this purpose,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provided on both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can be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cover 20. [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는 하우징(10)의 전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커버(20)가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과 인접하기 시작하면 커버(20)의 양측단(20')에 구비된 고정 돌기(14b, 14b')는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걸려 커버(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cover 20 can mov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when the cover 20 start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s 10 ' Can be caught by the inner side surfaces 10 'and enter the inside of the cover 20.
커버(20)가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구비된 고정 홈(14a, 14a')까지 이동하면, 커버(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던 고정 돌기(14b, 14b')는 인출되어 고정 홈(14a, 14a')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cover 20 is moved to the fixing grooves 14a and 14a 'provid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10' of the housing 10, the fixing protrusions 14b and 14b ' Can be drawn out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4a and 14a '.
도 7에서는, 커버(20)의 양측단(20')에 고정 돌기(14b, 14b')가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고정 홈(14a, 14a')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커버(20)의 양측단(20')에 고정 홈이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10')에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7, fixing projections 14b and 14b 'are provided on both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nd fixing grooves 14a and 14a 'are provid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10' of the housing 10 The fix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 inner surfaces 10 'of the housing 10 and the fix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both side ends 20' of the cover 20 as described above. However, Same as.
한편, 커버(20)는 하우징(10) 내부 바닥면에 인가되는 무게에 따라 개폐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인가되는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미도시) 및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각도로 커버(20)의 개폐 각도를 제어하는 힌지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20 may form an opening / closing angle according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module (not shown) for measuring the weight appli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 hing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weight .
측정 모듈은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지털 무게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 제어 모듈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20)의 개폐 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모터를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measurement modul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digital weight sensing sensor. The hinge control modul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o control the open / close angle of the cover 20 and may include a motor as described above.
힌지 제어 모듈은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아이의 무게에 대응하는 각도로 커버(20)의 개폐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무게가 제1 기준 무게 미만이면 힌지 제어 모듈은 커버(20)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측정된 무게가 제1 기준 무게 미만이면 힌지 제어 모듈은 커버(2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The hinge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opening / closing angle of the cover 20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ey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module. For example, if the measured weight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weight, the hinge control module may not open the cover 20. In other words, if the measured weight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weight, the hinge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cover 20 as shown in Fig.
측정된 무게가 제1 기준 무게 이상 제2 기준 무게 미만이면 힌지 제어 모듈은 커버(2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무게가 제2 기준 무게 이상이면 힌지 제어 모듈은 커버(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we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weight and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weight, the hinge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cover 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f the measured we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weight, the hinge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cover 20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버의 개폐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더라도, 아이의 무게에 따라 아이의 신체크기를 추정하여 아이의 신체에 적합한 유모차 구조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adjust the opening / closing angle of the cover, the body size of the child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hild so that the baby stroller structure suitable for the child's body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는 시트(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heet 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FIG.
도 8을 참조하면, 시트(3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시트(30)는 착탈부재(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에 착탈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바닥면(15)에는 착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eat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The seat 3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through a detachable member (not shown).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may be fla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15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mber.
착탈부재는 시트(30)를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밸크로(Velcro), 지퍼(zipp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30)의 하면에는 내부 바닥면(15)에 구비된 착탈부재와 대응하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tachable member is a means for coupling the seat 30 to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constituted by a velcro or a zipper.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30 may be provided with a member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5.
일 예에서, 착탈부재가 밸크로인 경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에 갈고리 면이 구비되면 시트(30)의 하면에는 걸림고리 면이 구비되고, 각 면을 인접시키는 동작을 통해 시트(30)와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에 걸림고리 면이 구비되고 시트(30)의 하면에 갈고리 면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one example, if the hooking surface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when the attaching / detaching member is a ball screw, a hooking ring surfac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30, The seat 30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can be engaged. Alternatively, a hooking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and a hook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30. [
다른 예에서, 착탈부재가 지퍼인 경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과 시트(30)의 하면에는 각각 이(tooth)가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이와 결합된 손잡이(tab)를 이용하여 각 이가 맞물리게 함으로써 시트(30)와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은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detachable member is a zipper,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30 are each provided with a tooth, and a tooth is combined with any one of the tabs So that the seat 30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에 구비된 시트를 탈부착함으로써, 시트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위생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and clean the seat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at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thereby improving the hygiene management efficiency.
도 9를 참조하면, 시트(30)는 착탈부재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15)에 착탈되는 하부 시트(30a) 및 하부 시트(30a)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 시트(30a)에 대해 회동하는 상부 시트(30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결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9, the seat 30 is attached to the lower seat 30a and the lower seat 30a by being detach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5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detachable member, And an upper sheet 30b which rotates relative to the upper sheet 30b. Since the hinge coupling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부 시트(30b)는 회동 각도에 따라 하부 시트(30a)에 대해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각도가 상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상부 시트(30b)는 (a)에서 (c)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upper sheet 30b can form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heet 30a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s shown in Fig. 9, as the rotation angle increases upward, the upper sheet 30b can move from position (a) to position (c).
상부 시트(30b)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부 시트(30a)에 대한 회동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시트(30b)의 회동 각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제2 입력 모듈(미도시)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부 시트(30a)에 대한 상부 시트(30b)의 회동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제어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heet 30b may form a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heet 30a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input module (not shown) provided with a user input for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eat 30b and a second input module And an angle control modul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ngle.
제2 입력 모듈은 하우징(10) 외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우징(10)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모듈은 하우징(10) 외부면에 설치된 버튼(스위치)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도 제어 모듈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input modul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r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second input module may be a button (switch)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r may be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ngle control module.
제2 입력 모듈이 버튼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은 물리적인 접점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 모듈이 리모컨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일 수 있다.If the second input module is a button,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physical contact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input module is a remote controller,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각도 제어 모듈은 시트(30)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 시트(30b)의 회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도 제어 모듈은 상부 시트(30b)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gle control modul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at 30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eat 30b. For this purpose, the angl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motor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eat 30b.
예를 들어, 제2 입력 모듈이 하우징(10) 외부면에 구비된 버튼일 때, 버튼은 상향 제어 버튼 및 하향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향 제어 버튼을 누르면 상부 시트(30b)의 회동 각도는 상향으로 증가(도 9의 (a) 에서 (c)로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하향 제어 버튼을 누르면 상부 시트(30b)의 회동 각도는 하향으로 증가(도 9의 (c) 에서 (a)로 증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input module is a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button may include an upward control button and a downward control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upward control button,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eat 30b may increase upward (increase from (a) to (c) in FIG. 9) The rotation angle can be increased downward (increase from (c) to (a) in Fig. 9).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각도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부 시트(30b)가 도 9에 도시된 (a)위치로 조절된 경우,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의 모습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9 to 12, when the upper seat 30b is adjusted to the position (a) shown in FIG. 9 under the control of the angle control module, the infant on the stroller 1 is shown in FIG. 10 And may be as shown.
한편, 각도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부 시트(30b)가 도 9에 도시된 (b)위치로 조절된 경우,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의 모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eat 30b is adjusted to the position (b)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ngle control module, the infant on the stroller 1 may be as shown in FIG.
또한, 각도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부 시트(30b)가 도 9에 도시된 (c)위치로 조절된 경우,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의 모습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seat 30b is adjusted to the position (c) shown in FIG. 9 under the control of the angle control module, the infant on the stroller 1 may be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에 구비된 시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아이의 활동에 알맞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an attitude suitable for a child's activity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 provided on the stroller.
예를 들어, 아이가 잠을 자는 경우 사용자는 시트의 각도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hild is sleeping,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as shown in FIG. 10 to induce an attitude capable of taking a good night's sleep.
또한, 아이가 활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트의 각도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활동에 적합한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ild is active,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as shown in Fig. 11 to induce an attitude suitable for the activity.
또한, 아이가 식사를 마친 직후, 사용자는 시트의 각도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음식물 소화에 적합한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Also, immediately after the child finishes eating,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as shown in Fig. 12 to induce an attitude suitable for digestion of food.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하우징(10) 양측 내부면에 구비되는 결속 홈(16a, 16b) 및 결속 홈(16a, 16b)에 인입출되는 플레이트(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3 to 15,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late 50 which is inserted into and outputted from the coupling grooves 16a and 16b and the coupling grooves 16a and 16b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 홈(16a, 16b)에 인입출되는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3 and 14,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te 50 which is inserted into and discharged from at least one pair of coupling grooves 16a and 16b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결속 홈(16a, 16b)이 구비되는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은 인입출되는 플레이트(50)에 수직을 이루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내부면은 하우징(10)의 외부면과 같이 곡면일 수 있다. 다만, 하우징(10)의 내부면 중 결속 홈(16a, 16b)이 구비되는 양측 내부면은 인입출되는 플레이트(50)에 수직을 이루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on which the binding grooves 16a and 16b are provided may be formed fla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50 to be drawn in and out.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curved like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However,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where the binding grooves 16a and 16b are provided may be formed fla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50 in and ou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속 홈(16a, 16b)은 전방을 향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길이는 인입출되는 플레이트(5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50)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 플레이트(50)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 홈(16a, 16b)의 길이 또한 길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pair of coupling grooves 16a and 16b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The predetermined lengt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late 50 in and out. In other words,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plate 50,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coupling grooves 16a and 16b for fixing the plate 50 can be.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에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다른 두 쌍 이상의 결속 홈이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50)는 복수의 결속 홈 중에서 어느 한 쌍의 결속 홈에 인입출될 수 있다.13, two or more pairs of binding grooves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the paper surface may be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The plate 50 can be pulled into and ou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0)는 한 쌍의 결속 홈(16a, 16b)에 인입출됨으로써 하우징(10)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속 홈(16a, 16b)의 두께는 플레이트(5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50)는 해당 플레이트(50)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결속 홈(16a, 16b)에 인입됨으로써 고정되며, 인입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plate 50 can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housing 10 by being pulled into and out of the pair of coupling grooves 16a, 16b. For this, the thickness of the binding grooves 16a, 16b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late 50. [ In other words, the plate 50 is fixed by being pull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6a and 16b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plate 50, and may not mov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pull-out direction.
플레이트(50)가 한 쌍의 결속 홈(16a, 16b)에 인입된 경우, 플레이트(50) 및 유모차(1)에 탑승한 유아의 모습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When the plate 50 is pulled into the pair of binding grooves 16a and 16b, the plate 50 and the infant on the baby carriage 1 may be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양측 내부면에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다른 두 쌍 이상의 결속 홈이 구비된 경우, 플레이트(50)가 인입되는 결속 홈의 높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5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wo or more pairs of binding grooves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the ground are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inding groove into which the plate 50 is inserted, The height of the base 50 can be adjus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에 플레이트(간이 식탁)를 결속함으로써, 식사를 위해 아이를 별도의 식탁 의자에 앉힐 필요 없이, 유모차를 식탁 및 식탁 의자로 대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inds a plate (a simple table) to a baby carriage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be substituted for a dining table and a dining table without having to place a child on a separate dining table for a meal.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통신 모듈, 측정 모듈, 감지 모듈, 스피커 모듈, 프로젝터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camera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measurement module, a sensing module, a speaker module, and a projector module constituting the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도 17은 카메라 모듈 및 측정 모듈이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and the measurement module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이 아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하우징 내부의 영상,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7 photographs a child, and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nside a housing,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inside the housing ar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도 20은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이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압력 센서가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module and a speaker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shown in FIG. Fig.
도 22는 프로젝터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이 하우징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프로젝터 모듈이 빔을 출사하는 모습 및 스피커 모듈이 음성을 출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jector module and a speaker module are provided in a housing, FIG.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jector module shown in FIG. 22 emits a beam and a speaker module outputs a voice .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24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ystem includ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유모차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S. 16 and 17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mponents no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FIG.
먼저,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유모차(1)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110), 통신 모듈(120) 및 측정 모듈(1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16 to 19, the camera module 110,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measurement module 130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7 및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감지 모듈(140), 스피커 모듈(150), 프로젝터 모듈(160)을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7 and 18, the sensing module 140, the speak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10)은 하우징 내부면(10'')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하우징(10)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하우징(10) 내부 임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inner surface 10 '' to take images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on any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카메라 모듈(110)은 가시광선을 수광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0)은 하우징(10) 내부에 탑승한 아이의 신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광을 수광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하는 영상은 사진일 수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The camera module 110 receives visible light and can take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10 may receiv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body of the chil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nd take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a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개구된 상면은 지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후면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지면에 대해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17,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 17, since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have.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은 하우징 내부면(10'') 중 후면에 구비되어 시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촬영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하우징(10) 내부 시트(20)에 탑승한 아이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110)의 촬영 각도는 시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inner surface 10 " to form an image angle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t 20. [ 18,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camera module 110 for photographing the child aboard the inner sheet 20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t 20. [
또한, 아이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110)은 아이의 얼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10)은 하우징(10) 후면의 내부면(10'') 중에서 아이의 얼굴보다 높은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ace of the child to photograph the face of the child. 17 and 18,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10 ''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higher than the face of the eye.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통신 모듈(120)은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6,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module 110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이를 위해, 통신 모듈(120)은 카메라 모듈(1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amera module 11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may receive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module 11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to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통신 모듈(120)과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 클라우드 서버 등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무선 연결될 수 있고, 블루투스(blue tooth)를 통해 직접 무선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cloud server, or the like, o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directly through a Bluetooth tooth.
한편,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는 유모차(1)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a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 More specifically,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stroller 1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촬영 요청 신호를 통신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a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from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and can transmit the input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통신 모듈(120)에 촬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 모듈(110)은 통신 모듈(120)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제공받고, 촬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camera module 110 receives the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can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다시 말해, 카메라 모듈(110)은 실시간으로 하우징(10) 내부를 촬영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하우징(10) 내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camera module 110 may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n real time, or may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측정 모듈(130)은 하우징 내부면(10'')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모듈(130)은 하우징(10) 내부 임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7,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inner surface 10 '' to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10.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be provided on any surface of the housing 10.
측정 모듈(130)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 모듈(130)은 각각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두 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온도 및 습도를 모두 측정하는 단일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be comprised of two sensors, each of which measure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sensor that measures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측정 모듈(130)은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모듈(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정 모듈(130)은 디지털 온도 센서 및 디지털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o this end,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gital temperature sensor and a digital humidity sensor.
다시 도 16를 참조하면, 통신 모듈(120)은 측정 모듈(130)로부터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120)은 측정 모듈(13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 모듈(130)로부터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6,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the measurement module 130 and transmit the receiv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user terminal 200. 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module 13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module 130.
한편,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유모차(1)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측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측정 요청 신호를 통신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a measur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a measurement request signal from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stroller 1, and can transmit the input measurement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통신 모듈(120)에 측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측정 모듈(130)은 통신 모듈(120)로부터 측정 요청 신호를 제공받고, 측정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ment module 130 receives a measur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measurement module 130 receives a measur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10 Can be measured.
다시 말해, 측정 모듈(130)은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측정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10 in real time, or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120)은 카메라 모듈(110)에서 촬영된 영상과 측정 모듈(130)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by the measurement module 130 to the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우징(10) 내부의 영상과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에 탑승한 아이의 모습과 하우징(10) 내부의 온도(24oC) 및 습도(56%)가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image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10 through the applica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9,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chil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temperature (24 o C) and the humidity (56%) inside the housing 10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에 탑승한 아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원격에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모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arent of the child with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child aboard the baby carriage, so that the state of the child can be remotely check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
다음으로, 도 16,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유모차(1)를 구성하는 감지 모듈(140) 및 스피커 모듈(1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detection module 140 and the speaker module 150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6, 20 and 21. FIG.
도 20 및 도 2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카메라 모듈(110) 및 측정 모듈(130)과 후술하는 프로젝터 모듈(160)을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20 and 21, the camera module 110, the measurement module 130, and a projector module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20을 참조하면, 감지 모듈(140)은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면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140a, 140b, 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40a, 140b, 140c)는 하우징(10)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하우징(10) 내부 임의의 면에 임의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sensing module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140a, 140b, 140c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pressure sensors 140a, 140b, and 140c may be provided on any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an arbitrary number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감지 모듈(140)은 유모차(1)에 탑승한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하우징(10) 외부 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모듈(140)은 아이의 손과 발에 인접한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140 can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by on the baby carriage 1. [ Accordingly, the detection module 14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hands and feet of the child.
감지 모듈(140)은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모듈(140)은 디지털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지 모듈(140)의 압력 감지 기준이 되는 일정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140 may sense a pressur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may generate a sensing signal when pressure is sensed. To this end, the sensing module 140 may include a digital pressure sensor. On the other hand, a predetermined size serving as a pressure sensing reference of the sensing module 140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스피커 모듈(150)은 감지 모듈(1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0, the speaker module 150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module 140, and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스피커 모듈(150)은 감지 모듈(1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지 모듈(140)에서 생성된 감지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module 14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module 140.
스피커 모듈(150)은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출력 장치(150a, 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장치는 하우징(10) 내부로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우징(10) 내부 임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audio output device 150a, 150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outputting soun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 The sound output device may be provided on any surface of the housing 10 so as to output soun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스피커 모듈(150)에는 아이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음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50)은 감지 모듈(140)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저장된 음성 중 임의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150 may previously store various voices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child. The speaker module 150 may output any voice among the stored voice when the sensing module 140 provides the sensing signal.
이와 달리, 스피커 모듈(150)은 감지 모듈(14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peaker module 150 may output a preset voi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40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 모듈(140)은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 미만의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 모듈(140)은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크기 이상이고 제2 크기 미만의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 모듈(140)은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 모듈(140)은 제3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module 140 may generate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nsed pressure. For example, if less than a first magnitude of pressure is sensed, the sensing module 140 may generate a first sensing signal. Also, if a pressure greater than the first magnitude but less than the second magnitude is sensed, the sensing module 140 may generate a second sensing signal. Finally, when a pressure greater than the second magnitude is sensed, the sensing module 140 may generate a third sensing signal.
이 때, 스피커 모듈(150)에는 제1 내지 제3 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음성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audio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sensing signals may be preset in the speaker module 150. [
이에 따라, 스피커 모듈(150)에 제1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스피커 모듈(150)은 제1 음성을 출력하고, 제2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스피커 모듈(150)은 제2 음성을 출력하며, 제3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스피커 모듈(150)은 제3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speaker module 150, the speaker module 150 outputs the first voice. When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provided, the speaker module 150 outputs the second voice, 3 < / RTI > sense signal is provided, the speaker module 150 may output the third voice.
또한 이와 달리, 스피커 모듈(150)은 압력을 감지한 압력 센서의 식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peaker module 150 may output a predetermined voic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감지 모듈(140)은 아이의 오른팔에 인접한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서(140a), 아이의 왼팔에 인접한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140b) 및 아이의 다리에 인접한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된 제3 압력 센서(140c)를 포함할 수 있다.21, the sensing module 140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140a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right arm of the child, a second pressure sensor 140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left arm of the child, And a third pressure sensor 140c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legs of the eye.
이 때, 감지 모듈(140)에 포함되는 각 센서(140a, 140b, 140c)의 식별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식별정보는 각 센서(140a, 140b, 140c)를 서로 다른 센서와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압력 센서(140a, 140b, 140c)의 식별정보는 각각 A, B, C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140a, 140b, 140c included in the sensing module 14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 sensors 140a, 140b and 140c is A, B, and C, respectively,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nsors 140a, 140b, and 140c from different sensors. Lt; / RTI >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가 왼팔로 제2 압력 센서(140b)에 압력을 인가하면 감지 모듈(140)은 제2 압력 센서(140b)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B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아이가 다리로 제3 압력 센서(140c)에 압력을 인가하면 감지 모듈(140)은 제3 압력 센서(140c)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C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when the child applies pressure to the second pressure sensor 140b with his / her left arm, the sensing module 140 can generate the B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140b have. When the eye is applied with pressure to the third pressure sensor 140c by the leg, the sensing module 140 may generate the C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pressure sensor 140c.
스피커 모듈(150)에는 각 압력 센서의 식별정보(A ~ C)에 대응하는 A ~ C 음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A to C audio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to C) of each pressure sensor may be stored in the speaker module 150 in advance.
이에 따라, 스피커 모듈(150)에 B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스피커 모듈(150)은 B 음성을 출력하고, C 감지 신호가 제공되면 스피커 모듈(150)은 C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 sens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speaker module 150, the speaker module 150 outputs the B sound, and when the C sensing signal is provided, the speaker module 150 can output the C sound.
다시 말해, 도 21에 도시된 아이가 왼팔로 압력 센서를 눌렀을 때 스피커 모듈(150)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아이가 다리로 압력 센서를 눌렀을 때 스피커 모듈(150)에서 출력되는 음성과 서로 다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oice output from the speaker module 150 when the child shown in Fig. 21 presses the pressure sensor with the left arm may be different from the voice output from the speaker module 150 when the child presses the pressure sensor with the leg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아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아이의 신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ounds are out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child, thereby not only inducing interest of the child but also promoting the child's body development through repetitive motion.
이어서, 도 16,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유모차(1)를 구성하는 프로젝터 모듈(160) 및 스피커 모듈(1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projector module 160 and the speaker module 150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6, 22 and 23. Fig.
도 22 및 도 2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카메라 모듈(110), 측정 모듈(130) 및 감지 모듈(140)을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22 and FIG. 23, the camera module 110, the measurement module 130, and the detection module 140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6을 참조하면,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이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16,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voic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160)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 모듈(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120)과 프로젝터 모듈(160) 및 통신 모듈(120)과 스피커 모듈(15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provide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projector module 160 and may provide th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speaker module 150. [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projector module 160,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speaker module 15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도 22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150)의 구조는 도 20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15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스피커 모듈(15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speaker module 150 shown in FIG. 22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module 150 shown in FIG. 20,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module 150 will be omitted.
프로젝터 모듈(160)은 렌즈를 통해 영상을 확대 투영하는 광학장치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프로젝터 모듈(160)은 하우징(10)의 전면에 구비되어 통신 모듈(1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전방으로 빔을 출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터 모듈(160)을 구성하는 렌즈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전면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빔을 출사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60 may be an optical device that enlarges and projects an image through a lens. 22, the projector module 16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emits a beam in a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ovided image data. To this end, the lens constituting the projector module 16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22 and 23, and can emit a beam forward.
영상 데이터는 영상에 관한 데이터로서, 프로젝터 모듈(160)은 영상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재생중인 영상을 빔을 통해 전방으로 출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6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재생중인 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다.The image data is data related to an image, and the projector module 160 can output the image being reproduced by the user terminal 200 forward through the beam according to the image data. More 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160 may stream the image being reproduced by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image data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200.
뿐만 아니라, 프로젝터 모듈(16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빔을 출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or module 160 may store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internal memory, and then output the beam according to the stored image data.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입력 모듈(17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프로젝터 모듈(160)은 입력 모듈(170)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빔을 통해 출사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6, the input module 17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a user. At this time, the projector module 16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170, and may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rough a beam.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 모듈(170)은 하우징(10) 외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우징(10)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70)은 하우징(10) 외부면에 설치된 버튼(스위치)으로 구성될 수 있고, 프로젝터 모듈(16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put module 17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r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input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as a button (switch)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configured as a user terminal 20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rojector module 160.
입력 모듈(170)이 버튼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물리적인 접점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입력 모듈(170)이 사용자 단말(200)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신호일 수 있다.If the input module 170 is a button, the input signal input by the user may be a physical contact signal. Meanwhile, when the input module 170 is the user terminal 200,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
입력 모듈(170)은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프로젝터 모듈(160)의 내부 메모리에는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70 may receive different input signals from the user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projector module 160 in advance.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160)에는 제1 내지 제3 입력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영상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입력 모듈(170)이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 신호를 제공받으면 프로젝터 모듈(160)은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빔을 통해 출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hrough third imag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third input signals may be stored in the projector module 160 in advance. At this time, if the input module 170 receives the second input signal from the user, the projector module 160 may emit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beam.
이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160)은 유모차(1)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 또는 벽면에 빔을 출사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23, the projector module 160 can emit a beam to a screen or a wall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by carriage 1 to output an image.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스피커 모듈(150)은 통신 모듈(1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된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2, the speaker module 150 receives voic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outputs voice according to the voice data provided.
음성 데이터는 음성에 관한 데이터로서, 스피커 모듈(150)은 음성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재생중인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피커 모듈(15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재생중인 음성을 스트리밍 할 수 있다.The voice data is voice data, and the speaker module 150 can output the voice being reproduced by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voice data. More specifically, the speaker module 150 may stream the voice being reproduc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voice dat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0. [
뿐만 아니라, 스피커 모듈(15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module 150 may store the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internal memory, and output voice according to the stored voice data.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입력 모듈(17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모듈(150)은 입력 모듈(170)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6, the input module 17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speaker module 15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170 and output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입력 모듈(170)은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스피커 모듈(150)의 내부 메모리에는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70 may receive different input signals from the user and the voice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speaker module 150 in advance.
예를 들어, 스피커 모듈(150)에는 A 내지 C 입력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A 내지 C 음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입력 모듈(170)이 사용자로부터 B 입력 신호를 제공받으면 스피커 모듈(150)은 B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B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 to C audio corresponding to the A to C input signals may be stored in the speaker module 150 in advance. At this time, if the input module 170 receives the B input signal from the user, the speaker module 150 can output the B audio corresponding to the B input signal.
이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160)이 전방에 영상을 출력하고 있을 때, 스피커 모듈(150)은 하우징(10) 내부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23, the speaker module 150 can output soun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when the projector module 160 outputs a video image in fro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이에게 다양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함으로써, 아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아이의 주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images and sounds to a child, thereby not only inducing interest of a child but also stimulating both eyesight and hearing, thereby improving a child's attention.
이하에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유모차 제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baby carriage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유모차 제어 시스템(1000, 이하, 제어 시스템)은 도 1 및 도 16에 도시된 유모차(1)를 포함할 수 있다.24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ystem includ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by carriage control system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rol system) shown in Fig. 24 may include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s. 1 and 16.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000)은 유모차(1)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4에 도시된 유모차(1)는 도 1 및 도 16에 도시된 유모차(1)와 동일한 바, 유모차(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2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모차(1)의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4, the control system 1000 may include a baby carriage 1 and a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 24 is the same as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s. 1 and 16,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by carriage 1 will be omitted. In Fig. 2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m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1 are omitted.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된 제어 신호를 유모차(1)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는 통신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and transmit the provided control signal to the baby carriage 1. [ Accordingly, the baby carriage 1 can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과 유모차(1)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모차(1)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120)과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 클라우드 서버 등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무선 연결될 수 있고, 블루투스(blue tooth)를 통해 직접 무선 연결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aby carriage 1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baby carriage 1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cloud server, or the like, o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directly through a Bluetooth tooth .
유모차(1)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동작은 영상 촬영 동작, 온도 측정 동작, 습도 측정 동작, 영상 출력 동작 및 음성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1 can perform a control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ntrol signal. Here, the control oper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deo photographing operation, a temperature measuring operation, a humidity measuring operation, a video output operation, and a voice output operation.
유모차(1)는 카메라 모듈(110), 측정 모듈(130), 프로젝터 모듈(160), 스피커 모듈(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1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camera module 110, the measurement module 130, the projector module 160, and the speaker module 150.
보다 구체적으로, 유모차(1)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영상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 모듈(130)을 통해 온도 측정 동작 및 습도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는 프로젝터 모듈(160)을 통해 영상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 모듈(150)을 통해 음성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aby carriage 1 can perform an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and can perform a temperature measurement operation and a humidity measurement oper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130. Also, the baby carriage 1 can perform a video output operation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160 and a voice output operation through the speaker module 150.
여기서 카메라 모듈(110), 측정 모듈(130), 프로젝터 모듈(160) 및 스피커 모듈(150)을 도 1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각 모듈의 동작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camera module 110, the measurement module 130, the projector module 160, and the speaker module 15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16,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of each module will be omitted.
유모차(1)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 및 측정 모듈(130)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1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data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130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유모차(1)를 구성하는 하우징(10) 내부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측정 모듈(130)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유모차(1)를 구성하는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 [ The data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130 may b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1. [
통신 모듈(120)이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는 과정은 도 16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모듈(120)이 측정 모듈(130)로부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는 과정도 도 16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process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an image from the camera module 110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rocess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10 from the measurement module 130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user terminal 200 is also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Omit 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유모차를 제어함으로써, 유모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baby carriage by controlling the baby carriage remotely by the user.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laims (29)

  1.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A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시트;A shee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 및A cover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nd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And a moving modu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유모차.stroller.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은 곡면인 유모차.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s curved.
  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은 상면과 전면에 각각 개구된 제1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The housing includes first and second openings respectively opened on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모차.Wherein the cover is hinged to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는 유모차.And the cover is hinged to the lower front edge of the housing.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모듈; 및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an opening / closing angle of the cover; And
    상기 제공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제어하는 힌지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And a hing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ovided user input.
  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 및 상기 커버의 양측단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유모차.Wherein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over to the housing i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and both side ends of the cover.
  7.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에 고정 돌기가 구비되면 상기 커버의 양측단에 고정 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에 상기 고정 홈이 구비되면 상기 커버의 양측단에 상기 고정 돌기가 구비되는 유모차.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both inner ends of the housing, .
  8.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인가되는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a weight appli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상기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각도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제어하는 힌지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And a hing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over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weight.
  9.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시트는 착탈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착탈되는 유모차.Wherein the seat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rough a detachable member.
  10.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시트는The sheet
    상기 착탈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바닥면에 착탈되는 하부 시트; 및A lower sheet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hrough the detachable member; And
    상기 하부 시트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시트에 대해 회동하는 상부 시트를 포함하는 유모차.And an upper sheet hinged to the lower sea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seat.
  11.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상부 시트의 회동 각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모듈; 및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a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heet; And
    상기 제공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하부 시트에 대한 상기 상부 시트의 회동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And an angl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upper seat relative to the lower seat according to the provided user input.
  1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 홈에 인입출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Further comprising: a plate that is inserted into and ejected from at least one pair of binding groove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3.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한 쌍의 결속 홈은 전방을 향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는 유모차.Wherein the pair of binding grooves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1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 모듈은The mobile module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휠 프레임; 및A wheel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상기 휠 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세 개의 휠을 포함하는 유모차.And at least three wheels coupled to the wheel frame.
  1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A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capture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camera module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a user terminal
    유모차.stroller.
  1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개구된 상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되는 유모차.Wherein the opened upper surface i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7.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카메라 모듈은The camera module
    상기 하우징 내부면 중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촬영각도를 형성하는 유모차.Wherein the stroller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a photographing angle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t.
  18.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통신 모듈은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Receiving a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카메라 모듈은The camera module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촬영 요청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촬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유모차.The stroller receiving the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request signal.
  19.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And a measurement modul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측정 모듈로부터 상기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유모차.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the measurement module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user terminal.
  20. 제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통신 모듈은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Receiving a measur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측정 모듈은The measurement module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측정 요청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측정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유모차.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measur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measur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in response to the measurement request signal.
  2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 및And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detect a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nd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And a speaker module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module and outputting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22. 제21항에 있어서,22.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스피커 모듈은The speaker module
    상기 압력을 감지한 압력 센서의 식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유모차.And outputs a preset voic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23. 제21항에 있어서,22.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스피커 모듈은The speaker module
    상기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유모차.And outputs a preset voi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nsed pressure.
  24.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t least one of video data and audio data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전방으로 빔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및A projector modul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emitting a beam forward according to the provided image data; And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And a speaker modul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voic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outputting voice according to the provided voice data.
  25. 제24항에 있어서,25. The method of claim 24,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 user,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The projector module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빔을 통해 출사하는 유모차.Wherein the input module receives the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and output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rough a beam.
  26. 제24항에 있어서,25. The method of claim 24,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 user,
    상기 스피커 모듈은The speaker module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유모차.Wherein the baby carriage receives the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and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27.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및A user terminal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유모차를 포함하고,A stroller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상기 제어 동작은 영상 촬영 동작, 온도 측정 동작, 습도 측정 동작, 영상 출력 동작 및 음성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모차 제어 시스템.Wherein the control oper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deo imaging operation, a temperature measurement operation, a humidity measurement operation, a video output operation, and a voice output operation.
  28. 제27항에 있어서,28. 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유모차는The baby carriage
    상기 유모차의 하우징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A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baby carriage to photograph an internal imag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A measurement modul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ing;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상기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measured by the measurement modul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전방으로 빔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및A projector module that receives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emits a beam forward according to the provided image data; An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유모차 제어 시스템.And a speaker module for receiving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outputting voice in accordance with the voice data.
  29. 제28항에 있어서,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유모차는The baby carriage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측정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유모차 제어 시스템.Wherein the control module performs the control opera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camera module, the measurement module, the projector module, and the speaker module.
PCT/KR2018/006612 2017-07-11 2018-06-11 Baby stroller having changeable structure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WO2019013454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64 2017-07-11
KR1020170088064A KR101868747B1 (en) 2017-07-11 2017-07-11 Stroller with changeable structure
KR10-2017-0098238 2017-08-02
KR1020170098238A KR101892397B1 (en) 2017-08-02 2017-08-02 Smart stroller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454A1 true WO2019013454A1 (en) 2019-01-17

Family

ID=6500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612 WO2019013454A1 (en) 2017-07-11 2018-06-11 Baby stroller having changeable structure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1345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339A (en) * 2019-08-15 2019-10-15 佘娟 A kind of highly-safe perambulator
US20220135105A1 (en) * 2020-11-03 2022-05-05 Apryl Bell Stroller for Increasing Child Comfor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26Y1 (en) * 1983-10-10 1985-06-08 박근성 Handcart in addition bag
KR0140302Y1 (en) * 1996-06-28 1999-04-01 양재신 Automatic folding footrest for a car
KR20010002969A (en) * 1999-06-18 2001-01-15 조규호 booster seat
KR20010076952A (en) * 2000-01-28 2001-08-17 임수환 A bed used as chair
KR200239505Y1 (en) * 2001-04-04 2001-10-10 김휘욱 Baby carriage for both bed of cradle
KR20010097273A (en) * 2000-04-21 2001-11-08 황종택 A combined baby carriage and baby bed
JP2008308053A (en) * 2007-06-14 2008-12-25 Yasuaki Iwai Stroller
KR20120043976A (en) * 2010-10-27 2012-05-07 김진영 Apparatus for observing condition of baby and stroller with the same
KR101502406B1 (en) * 2014-01-13 2015-03-24 이재욱 Baby carriage
KR101559026B1 (en) * 2015-07-27 2015-10-08 주식회사 쁘레베베 Baby Carriage Smart Care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Monitoring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26Y1 (en) * 1983-10-10 1985-06-08 박근성 Handcart in addition bag
KR0140302Y1 (en) * 1996-06-28 1999-04-01 양재신 Automatic folding footrest for a car
KR20010002969A (en) * 1999-06-18 2001-01-15 조규호 booster seat
KR20010076952A (en) * 2000-01-28 2001-08-17 임수환 A bed used as chair
KR20010097273A (en) * 2000-04-21 2001-11-08 황종택 A combined baby carriage and baby bed
KR200239505Y1 (en) * 2001-04-04 2001-10-10 김휘욱 Baby carriage for both bed of cradle
JP2008308053A (en) * 2007-06-14 2008-12-25 Yasuaki Iwai Stroller
KR20120043976A (en) * 2010-10-27 2012-05-07 김진영 Apparatus for observing condition of baby and stroller with the same
KR101502406B1 (en) * 2014-01-13 2015-03-24 이재욱 Baby carriage
KR101559026B1 (en) * 2015-07-27 2015-10-08 주식회사 쁘레베베 Baby Carriage Smart Care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Monitoring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339A (en) * 2019-08-15 2019-10-15 佘娟 A kind of highly-safe perambulator
US20220135105A1 (en) * 2020-11-03 2022-05-05 Apryl Bell Stroller for Increasing Child Comf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531A1 (en) Tv control system and tv control device suitable therefor
WO2014021576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user's posture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thereof
WO2019013454A1 (en) Baby stroller having changeable structure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WO2017185316A1 (en) First-person-view fligh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mart glasses
WO2016190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image through hmd device
WO2015023145A1 (en) Distance detection apparatus fo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having variable spatial resolu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same
WO2019027213A1 (e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keyboard and keyboard unit therefor
WO2021251549A1 (en) Display device
WO2016204444A1 (en)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WO2017090833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141727A1 (en) Healthcar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021946A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ver
WO2010044547A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pet excrement
WO2013172570A1 (en) Cradle for mobile device
KR101892397B1 (en) Smart stroller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WO2019208915A1 (en)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image using plurality of cameras through position adjustment of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2206013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8221799A1 (en) Reading entertain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WO202015921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24058364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creen with optimized positioning to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64380A1 (en) Wearable glasses device
WO2021033785A1 (en) Display devi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capable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through user's voice
WO2020184759A1 (en) Robot
WO2023146098A1 (en) Monitoring device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11876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voice input on basis of gestur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18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18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