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04593A1 -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04593A1
WO2019004593A1 PCT/KR2018/005662 KR2018005662W WO2019004593A1 WO 2019004593 A1 WO2019004593 A1 WO 2019004593A1 KR 2018005662 W KR2018005662 W KR 2018005662W WO 2019004593 A1 WO2019004593 A1 WO 20190045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uder
raw material
food
composite materia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6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한
심종우
황승진
서은비
윤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엘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엘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엘비즈
Publication of WO20190045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045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mposite material for use by a small-sized company or a self-employed person in a food-related application.
  • 3D printing is a technology that forms most of the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stone, and paper in various colors, and is gradually expanding the application field while leading the paradigm change of the existing industry.
  • 3D printing In the field of food, relatively recently, it has been applied to pasta, pancake, etc. in overseas.
  • a food printer dedicated to chocolate has outputted simple phrases and symbols.
  • foods such as chocolate, bread, and rice cake of a specific size are cut so that various patterns can be combined in a convenient size, and a character or a 3D object is printed on the cut combined food using a 3D printer .
  • the prior art document 2 discloses an extruder comprising a body of an extruder, a receiv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xtruder body for receiving a printing material, a nozzl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extruder body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material, an LM guide for moving the extruder in XY directions,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oling and solidifying the raw material liquid.
  • Patent Document 1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5-0003372 " Sculptured Printed Food Using 3D Printer " (Open date: 2015.09.14.)
  •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733884 entitled “ 3D Printer” (published on Apr. 24, 2014).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stand mounted on a base through a vertical stand and a horizontal stand to cause three-axis movement; A first extruder that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movable table and extrudes the food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container; A second extruder that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movable table and extrudes the resin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reel; And a holder for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ruder and the second extruder on a movable table.
  • the first extruder further comprises a sterilizer based on a first head of a direct scanning type, and the second extruder is adapted to apply a second head of a compression lamination (FDM) system .
  • FDM compression lamination
  • the vertical stand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 extruder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horizontal stand supports the raw material reel and the feeder.
  • the cradle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ler formed by Capton tape or a thermoelectric device type, and a clamp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gripping a part having a different specification.
  • the cradl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extruders and a second extruder, and further includes a rotation link capable of being manually or electrically driven to change its position.
  • Figure 1 show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an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mposite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food such as plastic based on a foo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low-cost entry-level devices in the production of small quantities of various kinds of products in various education institutions, bakery, coffee specialty shops and the like.
  • the entry-level apparatus basically mean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alize the high resolution of the molded article.
  • a movable base (15) for causing three axis movement is mounted on a base (11) via a vertical base (12) and a horizontal base (13).
  • the base 11 supports the movable table 15 so as to be movable in three axes as a frame for standing on the work table.
  • the vertical table 12 performs X-axis movement and Z-axis movement of the movable table 15 on the base 11 and the horizontal table 13 performs Y-axis movement of the movable table 15 on the vertical table 12 .
  • a first extruder (20) for extruding a food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container (21)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movable base (15).
  • the raw material container 21 stores thermoplastic materials such as chocolate, pasta, and alternative ingredients.
  • the first extruder 20 includes a detachable raw material container 21 and a nozzle 27, and performs melting and extrusion of the raw material.
  • the extruding power of the first extruder (20) is realized by a flange pump and a general motor, or by a general pump and a stepping motor.
  • the first extruder 20 can be mounted on the movable stand 15 selectively with the second extruder 30 described later.
  • a plurality of raw material containers (21) are stored on a storage table (2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11). Loading of the raw material container 21 in the entry-level apparatus is performed manually by the operator, but does not exclude at least partial loading automation.
  • a second extruder (30) for extruding the resin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reel (31)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movable base (15).
  • the raw material reel 31 winds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a subsidiary material accompanied with the food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ament.
  • the second extruder 30 has a nozzle 37 and performs melting and extrusion of the raw material. Since the first extruder 20 generally requires higher power than the second extruder 3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xtrusion with a general pump and a stepping motor.
  • the second extruder 30 may be mounted on the movable extender 15 and the first extruder 20 described above.
  • the first extruder 20 and the second extruder 30 include a heat pad formed by a capton tape method.
  • the first extruder 20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er based on a first head 25 of a direct scanning type and the second extruder 30 may be a compression- Two heads 35 are applied.
  • the first head 25 adopts a method of directly scanning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raw material container 21 by melting.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terilizer such as a UV lamp in the area adjacent to the nozzle 27 to prevent infiltration of bacteria.
  • the second head 35 is formed by laminating various kinds of thermoplastic resins in a most common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method among 3D printing techniques to produce subsidiary materials. FDM is also an advantageous method when a plurality of extruders are used to mix different materials.
  •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 the base 1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wivel base 17 for supporting the molded article substantially at the center thereof.
  • the rotating table 17 is suitable for application of various pattern change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lded product.
  • the holder 40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ruder 20 and the second extruder 30 on the movable base 15. 1 and 2, the holder 4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elected one of the first extruder 20 and the second extruder 30 is mounted.
  • the first extruder 20 and the second extruder 30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movable base 15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molded article, and the work can be rapidly performed.
  • the vertical stand 12 has a support 33 for supporting the standby second extruder 30 and the horizontal stand 13 is provided with a raw material reel 31 and a feeder 32).
  • the first extruder 20 is mounted on the support table 33 on the vertical table 12 while the second extruder 30 is mounted on the storage table 23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table 12 during standby .
  • the raw material reel 31 and the feeder 32 are supported on the horizontal stand 13, the fluctuation (deformation) of the load acting on the filament during the use of the second extruder 30 or in the air is mitigated to prevent interference or damage .
  • the cradle 4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42 formed of Capton tape or a thermoelectric element type, and a clamp 44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gripping a part having a different specification .
  • a temperature controller 42 formed of Capton tape or a thermoelectric element type
  • a clamp 44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gripping a part having a different specification .
  •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air hole 45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table 40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42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nozzles 27 and 37.
  • Capton tapes and thermoelectric elements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 the method thermoelectric element is easy to perform cooling besides heating.
  • the clamp 44 has a movable jaw on both sides and can be held even if the specifications of the first extruder 20 and the second extruder 30 are changed.
  • the cradle 4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xtruders 20 and a plurality of second extruders 30, do.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radle 40 is mounted on four sides of the rotation linkage 46. As shown in Fig. When the disk 47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 link 46, the rotation of the holder 40 is facilitated.
  • the ball plunger 48 guides the interval at which the holder 40 is rotated, and may also include a lock (not shown) for restricting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11) 상에 수직대(12)와 수평대(13)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3축운동을 유발하는 가동대(15); 상기 가동대(15)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원료통(21)의 식품 소재를 압출하는 제1압출기(20); 상기 가동대(15)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원료릴(31)의 수지 소재를 압출하는 제2압출기(30); 및 상기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대(15) 상에 지지하는 거치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식품 제조에 있어서 기본적인 식자재의 성형은 물론 수반되는 플라스틱 등의 부자재도 성형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동시에 작업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본 발명은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규모 기업이나 자영업자들이 식품 관련의 용도에 보급형으로 활용하기 위한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3D 프린팅은 금속, 플라스틱, 석재, 종이 등의 대부분을 소재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하는 기술로서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면서 적용 분야를 점차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식품 분야의 경우 비교적 근래에 해외에서 파스타, 팬케이크 등에 적용된 바가 있고, 국내에서 초콜릿 전용의 푸드 프린터로 간단한 문구와 심벌을 출력한 바가 있다.
식품 분야의 3D 프린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337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33884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특정한 크기의 초컬릿, 빵, 떡 등의 식품을 다양한 문양의 취식이 편리한 크기로 조합이 가능하도록 절단을 하고, 상기 절단된 조합식품 위에 3D프린터를 이용하여 문자 혹은 3D형상물을 인쇄한다.
선행문헌 2는 압출기 몸체, 상기 압출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프린팅 소재가 투입되는 수용기, 상기 압출기 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프린팅 소재를 토출하는 노즐, 상기 압출기를 X-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LM 가이드, Z 방향으로 이동되는 베드, 상기 원료액을 냉각하여 고형화시키는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식품을 제조하는 소규모 기업이나 자영업자에 있어서 기본적인 식자재의 성형은 가능하지만 이에 수반되는 플라스틱, 석재 등의 부자재를 별도로 조달해야 하는 부담의 해소가 곤란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3372호 "3D프린터를 이용한 조각인쇄식품" (공개일자 : 2015.09.14.)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33884호 "3D 프린터" (공개일자 : 2017.04.2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제조에 있어서 기본적인 식자재의 성형은 물론 수반되는 플라스틱 등의 부자재도 성형할 수 있는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수직대와 수평대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3축운동을 유발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원료통의 식품 소재를 압출하는 제1압출기; 상기 가동대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원료릴의 수지 소재를 압출하는 제2압출기; 및 상기 제1압출기와 제2압출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대 상에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압출기는 직접주사 방식의 제1헤드를 기반으로 살균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압출기는 압축적층(FDM) 방식의 제2헤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수직대는 대기중인 제2압출기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대는 원료릴과 송급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거치대는 캡톤 테이프(Capton tape) 또는 열전소자 방식으로 형성된 온도조절기, 규격이 다른 부분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거치대는 제1압출기와 제2압출기를 복수로 탑재하고 수동 또는 전동으로 위치변동 가능한 회전연결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 제조에 있어서 기본적인 식자재의 성형은 물론 수반되는 플라스틱 등의 부자재도 성형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동시에 작업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복합 소재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을 기반으로 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비식품을 부가한다. 각종 교육기관, 베이커리, 커피전문점 등에서 다품종 소량의 식품 제조에 있어서 저가의 보급형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급형 장치는 기본적으로 성형품의 고해상도를 구현하지 않아도 무방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축운동을 유발하는 가동대(15)가 베이스(11) 상에 수직대(12)와 수평대(13)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구조이다. 베이스(11)는 작업대에 상치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가동대(15)을 3축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수직대(12)는 베이스(11) 상에서 가동대(15)의 X축운동 및 Z축운동을 수행하고, 수평대(13)는 수직대(12) 상에서 가동대(15)의 Y축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통(21)의 식품 소재를 압출하는 제1압출기(20)가 상기 가동대(15)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원료통(21)은 초콜릿, 파스타, 대체재료(Alternative Ingredients) 등의 열가소성을 지닌 식자재를 저장한다. 제1압출기(20)는 착탈 가능한 원료통(21)과 노즐(27)을 구비하고 원료의 용융과 압출을 수행한다. 제1압출기(20)의 압출 동력은 플란저 펌프와 일반 모터로 구현하거나 일반 펌프와 스테핑모터로 구현한다. 제1압출기(20)는 후술하는 제2압출기(30)와 선택적으로 가동대(1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원료통(21)은 베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된 저장대(23) 상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된다. 보급형 장치에서 원료통(21)의 로딩은 작업자의 수동으로 수행하지만 적어도 부분적인 로딩 자동화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릴(31)의 수지 소재를 압출하는 제2압출기(30)가 상기 가동대(15)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원료릴(31)은 식자재와 더불어 성형품에 수반되는 부자재인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권취한다. 제2압출기(30)는 노즐(37)을 구비하고 원료의 용융과 압출을 수행한다. 통상 제1압출기(20)는 제2압출기(30)보다 높은 동력을 요하므로 일반 펌프와 스테핑모터로 압출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제2압출기(30)는 전술한 제1압출기(20)와 선택적으로 가동대(1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는 캡톤 테이프(Capton tape) 방식으로 형성된 히트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압출기(20)는 직접주사 방식의 제1헤드(25)를 기반으로 살균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압출기(30)는 압축적층(FDM) 방식의 제2헤드(35)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헤드(25)는 원료통(21)에 저장된 원료를 용융하여 직접적으로 주사하는 방식을 택한다. 노즐(27)에 인접한 영역에 UV램프와 같은 살균기를 설치하여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제2헤드(35)는 각종 열가소성 수지를 3D 프린팅 기술 중 가장 일반적인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적층하여 부자재를 생성한다. FDM은 다수의 압출기로 이종의 소재를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도 유리한 방식이다.
한편, 베이스(11)는 대략 중앙에 성형품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대(17)를 두는 것이 좋다. 회전대(17)는 성형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패턴 변화를 부가하는 용도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40)가 상기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대(15) 상에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서 거치대(40)는 제1압출기(20) 및 제2압출기(30) 중에서 선택된 것을 장착한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성형품을 제작하는 동안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를 선택적으로 가동대(15)에 장착하고 제반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수직대(12)는 대기중인 제2압출기(30)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33)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대(13)는 원료릴(31)과 송급기(3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압출기(20)는 대기하는 동안 수직대(12)와 이격된 저장대(23)에 거치되지만, 제2압출기(30)는 대기하는 동안 수직대(12) 상의 지지대(33)에 거치된다. 원료릴(31)과 송급기(32)가 수평대(13)에 지지되면 제2압출기(30)가 사용중이거나 대기중에도 필라멘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변동(변형)을 완화하여 간섭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거치대(40)는 캡톤 테이프(Capton tape) 또는 열전소자 방식으로 형성된 온도조절기(42), 규격이 다른 부분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조절기(42)의 거치대(40)의 저면에서 안착공(45)의 주변에 설치되어 노즐(27)(37)에 대한 온도를 조절한다. 캡톤 테이프(Capton tape)와 열전소자는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방식열전소자는 가열 외에 냉각을 수행하기도 용이하다. 클램프(44)는 이동 가능한 양측의 조(jaw)를 구비한 구조로서 제1압출기(20) 및 제2압출기(30)의 규격이 변동되어도 파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거치대(40)는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를 복수로 탑재하고 수동 또는 전동으로 위치변동 가능한 회전연결대(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회전연결대(46)의 4면에 거치대(40)를 탑재한 상태를 예시한다. 회전연결대(46)의 중앙에 디스크(47)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면 거치대(40)의 회동이 용이하다. 볼플란저(48)는 거치대(40)가 회동되는 간격을 안내하며, 이외에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로크(도시 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복합 소재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11) 상에 수직대(12)와 수평대(13)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3축운동을 유발하는 가동대(15);
    상기 가동대(15)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원료통(21)의 식품 소재를 압출하는 제1압출기(20);
    상기 가동대(15)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원료릴(31)의 수지 소재를 압출하는 제2압출기(30); 및
    상기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대(15) 상에 지지하는 거치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출기(20)는 직접주사 방식의 제1헤드(25)를 기반으로 살균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압출기(30)는 압축적층(FDM) 방식의 제2헤드(35)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12)는 대기중인 제2압출기(30)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33)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대(13)는 원료릴(31)과 송급기(3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40)는 캡톤 테이프(Capton tape) 또는 열전소자 방식으로 형성된 온도조절기(42), 규격이 다른 부분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40)는 제1압출기(20)와 제2압출기(30)를 복수로 탑재하고 수동 또는 전동으로 위치변동 가능한 회전연결대(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PCT/KR2018/005662 2017-06-27 2018-05-17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WO20190045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487A KR102028669B1 (ko) 2017-06-27 2017-06-27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KR10-2017-0081487 2017-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593A1 true WO2019004593A1 (ko) 2019-01-03

Family

ID=6474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662 WO2019004593A1 (ko) 2017-06-27 2018-05-17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669B1 (ko)
WO (1) WO20190045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9088A (zh) * 2019-07-03 2019-09-27 杭州美哩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自动化果冻啫喱花生产设备及其工作过程
CN110292161A (zh) * 2019-07-03 2019-10-01 杭州美哩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果冻多层花形自动生产设备及其工作过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8980A (zh) * 2014-03-21 2014-06-25 浙江大学 一种可更换喷头的三维打印机
KR20150054618A (ko) * 2013-11-12 2015-05-20 정미경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KR20160107769A (ko) * 2015-03-05 2016-09-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터용 교환형 압출장치
KR20160124554A (ko) * 2015-04-20 2016-10-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출기 일체형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다축 3d 프린터
KR20160129630A (ko) * 2015-04-30 2016-11-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재료 성형을 위한 3d 프린터용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944A1 (en) 2012-04-27 2013-10-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s for determining photoprotective materials
KR101733884B1 (ko) 2015-10-14 2017-05-24 이수연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618A (ko) * 2013-11-12 2015-05-20 정미경 음식재료를 이용한 형상 가공 장치
CN103878980A (zh) * 2014-03-21 2014-06-25 浙江大学 一种可更换喷头的三维打印机
KR20160107769A (ko) * 2015-03-05 2016-09-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터용 교환형 압출장치
KR20160124554A (ko) * 2015-04-20 2016-10-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출기 일체형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다축 3d 프린터
KR20160129630A (ko) * 2015-04-30 2016-11-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재료 성형을 위한 3d 프린터용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9088A (zh) * 2019-07-03 2019-09-27 杭州美哩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自动化果冻啫喱花生产设备及其工作过程
CN110292161A (zh) * 2019-07-03 2019-10-01 杭州美哩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果冻多层花形自动生产设备及其工作过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669B1 (ko) 2019-10-07
KR20190001463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204A1 (ko) 3d 푸드프린터
CN103950202B (zh) 三维打印机
US6230073B1 (en) Computerized foodstuffs imaging process and apparatus
US20140363532A1 (en) Multiple color extrusion type three dimensional printer
EP2326506B1 (en) Digital ink jet printer and process
WO2019004593A1 (ko) 복합소재 성형용 3d 프린팅 장치
US6499842B1 (en) Foodstuffs imaging process and apparatus
EP0834399A1 (en) Process and machine for decorating containers or similar articles
US9375927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igital printing on articles
CN208558310U (zh) 一种自动卸料和续打的3d打印机
CN201537575U (zh) 全自动点胶机
CN106585461B (zh) 全自动汽车地毯生产线及生产方法
JPS646916B2 (ko)
WO2024054225A1 (en) Method for reconfiguring a media printer to optimize single media printing
CN1299890C (zh) 注模和伸展吹模系统的零件转移方法和设备
US1133859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ransparent media during final curing to minimize print head degradation
US11396191B1 (en) Compact media decorator optimized for transparent and semi-transparent media
WO2001012440A1 (en) Multi-station printing system for frusto-conical articles
US9050789B2 (en) Machine and method for marking articles
EP3112175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on articles
WO20222316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ransparent media during final curing to minimize print head degradation
CN211138512U (zh) 一种玻璃瓶热转印装置
US20160193854A1 (en) Printing device
KR20150058749A (ko) 칼라 콘택트렌즈 프린터 시스템
KR20170054164A (ko) 히팅장치를 구비한 델타봇 타입 3d 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249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249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