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30894A1 -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 Google Patents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30894A1
WO2018230894A1 PCT/KR2018/006567 KR2018006567W WO2018230894A1 WO 2018230894 A1 WO2018230894 A1 WO 2018230894A1 KR 2018006567 W KR2018006567 W KR 2018006567W WO 2018230894 A1 WO2018230894 A1 WO 20182308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case
soccer
nec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5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욱 filed Critical 최성욱
Publication of WO20182308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308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ball dribbling training equipment that induces a soccer player to improve his / her bowing motion during the unconsciousness in the dribbling process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 the case may be worn on a user's forehead. case),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ase to the user's head, a blinding memb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case, and a neck hanger that acts to cover the user's field of view when the user is bowed.
  • a soccer dribble training equipment comprising a (neck hanger).
  • Dribble a technique that breaks through defenders as the attacker keeps a foot on the soccer ball, is one of the skills required for football players. Therefore, soccer players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to sharpen the dribbling technique, and in order to train the dribbling technique more effectively,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48794 (June 10, 2004) The dribbling exerciser used is introduced.
  • the dribble exerciser air pockets such as balloons are suspended to hang on a string about the height of a person, and the bottom of the string is configured to be tied to the sandbag to be fixed to the floor of the playground. Therefore, the dribbling exerciser is arranged in the playground, and it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opponent as a defensive player so that dribbling training can be avoided while cooking.
  • U.S. Patent Publication No. 2016/0250539 A1 also provides an athlete's ability to maintain an upright position without bowing his head during the game, thereby helping to quickly identify the opponent and his movements during dribbling.
  • Training apparatus is introduced.
  •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00 the head strap 110 to tie to the athlete's head and torso straps 120 to tie to the athlete's waist, and elastic connecting straps 130 connecting the head strap 110 and the body strap 120 )
  • th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100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strap 130 to bow forward during the game, so that the ball handling skills, defensive posture, situation awareness in the stadium and teamwork with fellow players, etc. To improve performance as a resul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a soccer player to improve his / her undesired habit of bowing his head unconsciously in the dribbling process and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resulting in improved teamwork and performance in the stadium. Soccer dribble training equipment.
  • the name of the invention is referred to as soccer dribbling training equipment for convenience, but such a name does not limit the us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 right.
  • Soccer dribble training equipment which is worn on the user's forehead portion is composed of a semi-circular shape, both ends are provided with a case (axial) and a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 a fixing member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art to fix the case to the user's head;
  • a blinding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which enters and exits a lower end of the case while both ends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projection;
  • the user hangs his head while wearing it on the forehead while the neck hanger is caught on the user's neck area while rotating around the spinneret interfering with both ends of the blinding member
  • the blinding member escapes from the case to cover the user's field of view, and when the user lifts his / her head, the blind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stored back into the case.
  • Soccer dribble training equipment if the user bows his head in a state wearing it on the head, the blinding member comes out of the case to cover the user's view. Therefore, when soccer players wear the training equipment and dribble the training, they can improve their bad habit of bowing down unknowingly, and also have a wider view of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other players in the stadium. As a result, teamwork an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cer dribble train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Soccer dribble training equipment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1 and 2, comprises a case 10, a fixing member 20, the blinding member 30 and the neck hanger 40.
  • the case 10 is worn on the user's forehead, and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both ends ar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11 and an axle 12, respectively.
  •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that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orehead of the us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ad for absorbing sweat and preventing slipping.
  • the fix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 of the case 10 to fix the case 10 to the user's head, for example, a fixing band that is tied to the back of the user, or the user's It may be a hook that hangs on the wheel.
  • Attached Figure 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xing member 20 is a fixing band.
  • the blinding member 3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0, and both ends of the blind member 30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projection 12, and are preferably formed in a spectacles shape as a whole. Thus, the blinding member 30 moves in and out of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while rotating about the shaft protrusion 12.
  • the blinding member 30 may be an opaque material completely covering the user's field of view, but preferably, a semitransparent material partially covering the user's field of view, or irregularities that obscure the field of view of the user.
  • the case 10 includes a front plate 10a and a back plate 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ront plate 10a and the back plate 10b. Between) is provided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linding member 30.
  • the bottom edge of the case 10 is formed with a crack portion 13 in which the front plate 10a and the back plate 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blinding member 30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crack portion 13. It is configured to.
  • the shaft projection 12 is preferably protrud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back plate (10b) of the case (10).
  • the neck hanger 40 is formed in a 'U' shape as a whole, both ends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projection 12 of the case 10, the lower end is rounded to the neck of the user's lower neck It has a straddling structure.
  • the neck hanger 40 is caught by the user's neck and rotates about the shaft protrusion 12 while interfering both ends of the blinding member 30 so that the blinding member 30 is closed. Escape from the case 10 to cover the user's view. When the user raises his head, the blinding member 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0 again.
  • both ends of the case 10 is formed with a first spinneret 12a and a second spinneret 12b, respectively.
  • the first shaft hole 31 into which the first shaft protrusion 12a is inserte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lind member 3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haf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neck hanger 40.
  • the second shaft hole 41 into which the protrusion 12b is inserted is formed.
  • first tooth portion 32 and a second tooth portion 42 engaged with each other are provided around the first shaft hole 31 and the second shaft hole 41.
  • the first tooth part 32 and the second tooth part 4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interlocked structure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4 for returning the blind member 30 back to the case 10.
  •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4 is supported, for example, in the spring pocket 15 of the case 10.
  •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14 may be supported by the blinding member 30 or may be supported by the neck hanger 40.
  • the case 10 is attached with a speaker 16 that periodically generates a predetermined beep sound promised to the user.
  •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speaker 16 may be an alarm sound of ' ⁇ ⁇ ⁇ ⁇ ', 'wound whistle', or 'left, right' voice.
  • reference numeral 16a denotes a 'power switch' of the speaker
  • 16b denotes a 'volume adjustment button'
  • 16c denotes a 'batt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구선수가 드리블 과정에서 무의식 중에 고개를 숙이는 동작을 스스로 개선하여 폭넓은 시야를 확보 하도록 유도하는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착용하는 케이스(case)와, 상기 케이스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눈가림 부재와,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면 상기 눈가림 부재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작용하는 넥 행거(neck hang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본 발명은 축구선수가 드리블 과정에서 무의식 중에 고개를 숙이는 동작을 스스로 개선하여 폭넓은 시야를 확보 하도록 유도하는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착용하는 케이스(case)와, 상기 케이스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눈가림 부재와,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면 상기 눈가림 부재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작용하는 넥 행거(neck hang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에 관한 것이다.
축구경기에서 공격수가 축구공을 키핑(keeping)한 상태로 전진하면서 수비수를 돌파하는 기술인 드리블(dribble)은 축구선수에게 꼭 필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그래서 축구선수들은 드리블 기술을 연마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러한 드리블 기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훈련하기 위하여 예컨대 국내 특허공개 제10-2004-0048794호(2004년 06월 10일)에는 공기 주머니를 이용한 드리블 연습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드리블 연습기는, 풍선 등과 같은 공기 주머니를 사람 키 높이 정도의 끈에 매달아 띄워놓고, 상기 끈 하단에는 모래 주머니를 묶어서 운동장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래서 상기 드리블 연습기를 운동장에 여기저기 배치해 놓고, 이를 상대방 수비 선수로 인식하여 요리조리 피해가면서 드리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미국 공개특허 US2016/0250539 A1(Sep.01, 2016)에는 운동선수가 경기 도중에 머리를 숙이지 않고 똑바로 세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드리블 도중에도 상대편과 자기편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 훈련기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운동 훈련기구(100)는, 선수 머리에 묶는 머리끈(110)과 선수 허리에 묶는 몸통끈(120), 그리고 상기 머리끈(110)과 몸통끈(120)을 연결하는 신축성 연결끈(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운동 훈련기구(100)는 상기 연결끈(130)이 경기 도중에 머리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볼 핸들링 기술과 방어자세, 경기장 내부의 상황 인식 및 동료 선수들과의 팀워크(teamwork) 등을 증진하여 결과적으로 경기력을 향상시켜 준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 훈련기구는 운동선수가 스스로 고개를 들 수 있도록 훈련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선수의 머리를 뒤에서 물리적으로 잡아당겨서 고개를 숙이지 못하도록 행동을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훈련기구를 착용한 운동선수는 다른 행동에도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고, 나아가 훈련 효과도 기대만큼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축구선수가 드리블 과정에서 무의식 중에 고개를 자꾸 숙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을 스스로 개선하고 폭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경기장에서 팀워크와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발명의 명칭을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라고 호칭하였으나, 이러한 명칭이 본 발명에 따른 훈련기구의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훈련기구를 축구 경기용 이외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는,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반원형으로 구성되고, 양쪽 단부에는 각각 축돌기와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case)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것으로, 양쪽 단부가 상기 축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하단으로 출입하는 눈가림 부재와; 양쪽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축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사용자의 턱 하단 목 부위에 둥글게 걸쳐지는 넥 행거(neck hanger);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는, 사용자가 이를 이마에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숙이면 상기 넥 행거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려 상기 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눈가림 부재의 양쪽 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눈가림 부재가 상기 케이스에서 빠져나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고, 상기 사용자가 고개를 들면 상기 눈가림 부재가 다시 상기 케이스 속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는 사용자가 이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숙이면 케이스에서 눈가림 부재가 빠져나와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축구선수들이 상기 훈련기구를 착용하고 드리블 훈련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숙이는 나쁜 습관을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경기장에서 다른 선수들의 위치와 동작을 모두 파악할 수 있는 폭넓은 시야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팀웍과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작동요부 확대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는, 첨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고정부재(20), 눈가림 부재(30) 및 넥 행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는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반원형으로 구성되며, 양쪽 단부에는 각각 연결부(11)와 축돌기(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면, 즉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땀을 흡수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연결부(11)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켜 주는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의 뒤통수로 걸어 매는 고정밴드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귓바퀴에 걸어 고정하는 걸고리 일 수도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고정부재(20)가 고정밴드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눈가림 부재(30)는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되는 것으로, 양쪽 단부가 상기 축돌기(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안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눈가림 부재(30)는 상기 축돌기(1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으로 출입한다.
상기 눈가림 부재(30)는 사용자의 시야를 완전히 가리는 불투명 재질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시야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반투명 재질, 또는 사용자의 시야를 흐리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는 도 1의 확대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앞판(10a)과 뒷판(1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판(10a)과 뒷판(10b) 사이에는 상기 눈가림 부재(30)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앞판(10a)과 뒷판(10b)이 서로 이격된 크랙부(1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크랙부(13)를 통해서 상기 눈가림 부재(30)가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돌기(12)는 상기 케이스(10) 뒷판(10b)의 양쪽 단부 외면에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넥 행거(40)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단부가 상기 케이스(10)의 축돌기(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하단부는 사용자의 턱 하단 목 부위에 둥글게 걸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면 상기 넥 행거(40)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려 상기 축돌기(1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눈가림 부재(30)의 양쪽 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눈가림 부재(30)가 상기 케이스(10)에서 빠져나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고개를 들면 상기 눈가림 부재(30)가 원위치로 돌아가서 다시 상기 케이스(10) 속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제1 축돌기(12a)와 제2 축돌기(1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눈가림 부재(30)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축돌기(12a)가 삽입되는 제1 축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넥 행거(40)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2 축돌기(12b)가 삽입되는 제2 축공(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축공(31)과 상기 제2 축공(41)의 주변에는 서로 치합되는 제1 톱니부(32)와 제2 톱니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톱니부(32)와 제2 톱니부(4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연동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상기 넥 행거(40)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려 앞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톱니부(32)와 제2 톱니부(42)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눈가림 부재(30)가 밑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눈가림 부재(30)를 다시 상기 케이스(10)로 원위치 시켜 주는 탄성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4)의 일측은 예컨대 상기 케이스(10)의 스프링 포켓(15)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14)의 타측은 상기 눈가림 부재(30)에 지지될 수도 있고, 상기 넥 행거(40)에 지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한쪽 에는 사용자에게 미리 약속된 소정의 신호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스피커(16)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16)에서 발생되는 신호음은 ‘삑~ 삑~’하는 경보음이나 ‘호각소리’, 또는‘좌측, 우측’하는 음성일 수도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을 듣고 주기적으로 좌우를 돌아보는 습관을 갖도록 훈련할 수 있다. 축구경기는 단체경기 있기 때문에 축구선수가 드리블을 할 때 수시로 좌우를 살피면서 상대편과 자기편 선수의 위치 및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습관이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6a는 상기 스피커(16)의 ‘전원스위치’이고, 16b는 ‘볼륨조절버튼’이며, 16c는 ‘배터리(battery)’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대상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를 설계 변경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설계 변경으로 인해서 본 발명에서 예기치 못한 새로운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10a,10b; 케이스 11; 연결부
12,12a,12b; 축돌기 13; 크랙부
14; 탄성부재 15; 스프링 포켓
16,16a,16b,16c; 스피커 20; 고정부재
30; 눈가림 부재 31,41; 축공
32;42; 톱니부 40; 넥 행거

Claims (6)

  1.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반원형으로 구성되며, 양쪽 단부에는 각각 축돌기와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하단 테두리에는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크랙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것으로, 양쪽 단부가 상기 축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크랙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 밖으로 출입하는 눈가림 부재와;
    양쪽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축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턱 하단 목 부위에 둥글게 걸쳐지는 넥 행거; 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면 상기 넥 행거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려 상기 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눈가림 부재의 양쪽 단부를 간섭하여 상기 눈가림 부재가 상기 케이스에서 빠져나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고, 상기 사용자가 고개를 들면 상기 눈가림 부재가 다시 상기 케이스 속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경기의 드리블 훈련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제1 축돌기와 제2 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눈가림 부재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축돌기가 삽입되는 제1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넥 행거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상제 제2 축돌기가 삽입되는 제2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축공과 상기 제2 축공의 주변에는 서로 치합되는 제1 톱니부와 제2 톱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경기의 드리블 훈련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한쪽 에는 상기 넥 행거를 정해진 위치로 회복시켜 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경기의 드리블 훈련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한쪽 에는 사용자에게 미리 약속된 소정의 신호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스피커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경기의 드리블 훈련용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사용자의 뒤통수로 걸어 매는 고정밴드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귓바퀴에 걸어 고정하는 걸고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경기의 드리블 훈련용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가림 부재는 반투명 재질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시야를 흐리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경기의 드리블 훈련용구.
PCT/KR2018/006567 2017-06-12 2018-06-11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WO20182308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53 2017-06-12
KR1020170073153A KR101857785B1 (ko) 2017-06-12 2017-06-12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894A1 true WO2018230894A1 (ko) 2018-12-20

Family

ID=6218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567 WO2018230894A1 (ko) 2017-06-12 2018-06-11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7785B1 (ko)
WO (1) WO2018230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40B1 (ko) * 2019-03-04 2020-11-0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0656A (en) * 1987-03-05 1997-10-28 Gath; Ricky James Safety helmet
KR100649944B1 (ko) * 2005-12-06 2006-1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KR20110061688A (ko) * 2009-12-02 2011-06-10 박찬문 레저용 안전헬멧의 안면보호대
JP2014528738A (ja) * 2011-07-11 2014-10-30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多感覚操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0656A (en) * 1987-03-05 1997-10-28 Gath; Ricky James Safety helmet
KR100649944B1 (ko) * 2005-12-06 2006-1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KR20110061688A (ko) * 2009-12-02 2011-06-10 박찬문 레저용 안전헬멧의 안면보호대
JP2014528738A (ja) * 2011-07-11 2014-10-30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多感覚操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785B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4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arm mov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in sports training, physical training, and physical therapy
CA2906153A1 (en) Foam beads for padding and body protection
US8876639B2 (en) Systems and devices for improving catching skills
US5082291A (en) Projectile and target game apparatus
WO2017091009A1 (ko) 격투기용 몸통 보호구
US20100257651A1 (en) Exercise gloves with integrated resistance
US6220917B1 (en) Body suspended amusement system
WO2018230894A1 (ko)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US20170087395A1 (en) Kinzi
US7000252B1 (en) Protective mask
Martinez Combat mime: A non-violent approach to stage violence
US20030130074A1 (en) Padded athletic training device
KR101719729B1 (ko) 전자 호구
WO2015153343A1 (en) Protective foam material and pads
WO2013129874A1 (ko) 타격 감지 기구를 이용한 게임 장치
US20170333775A1 (en) Blocking pad tackling dummy and method
CN212118989U (zh) 一种多功能的散打护具
WO2017014554A1 (ko) 어깨 조인트 지지부를 갖는 골프 의류
US20180133576A1 (en) Blocking pad tackling dummy and method
WO2004110571A3 (en) Takraw padding
US20070287620A1 (en)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JP7139554B1 (ja) ラグビー練習用バックプロテクター
CN109847260A (zh) 多功能缠绕式训练配重
JP2020174851A (ja) トレーニング方法
KR100714405B1 (ko) 격투용 손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17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17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