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30760A1 -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밴드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밴드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8230760A1 WO2018230760A1 PCT/KR2017/006709 KR2017006709W WO2018230760A1 WO 2018230760 A1 WO2018230760 A1 WO 2018230760A1 KR 2017006709 W KR2017006709 W KR 2017006709W WO 2018230760 A1 WO2018230760 A1 WO 2018230760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user
- augmented reality
- reality content
- band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086550 Dinosau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86 photoplethys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Definitio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can interact with the viewers located in the experience space.
-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ulse information, respiration information and oxygen satur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a band device worn by another user existing within a preset radius, and the controller is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band device worn by the other user.
- the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erience spa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exhibition space as a space for displaying an exhibition.
- Exhibits may be objects in traditional ways,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new ways.
- the input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band device 200.
- the input unit 230 is formed to allow input of various methods such as button input, touch input, voice input, gesture input, and the like.
- the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physical key, a touch screen, a microphone, a camera, and the like.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4.
-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 by synthesizing the photographed user image and the specific item image so that an image of a form in which the user wears the determined specific item is genera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a size of a specific item image according to a user's body type, and set an output position of the specific item image according to a user's position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 by us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 exhibit that exists in the experience spac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synthesizing a preset image with a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n exhibit from an image photographed inside an experience space including a user.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exhibit is a dinosaur model,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synthesizing a graphic object that emits fire around the mouth of the dinosaur model.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vely exhibit to the user.
- the new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changed based on a combination of user information of band devic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band device and the second band device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a first character image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and the first band device and the first band device. When the three band devi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 second character image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third user information.
- the controller 240 of the band device 200 may transmit the user's body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the controller 14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alculate physical indices related to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user, such as the stress index of the user and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physical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HP lower by reflecting a body index indicating that the user's stress index is high.
- the controller 140 may set HP higher by reflecting a body index indicating that the user's fitness index is h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의 밴드 장치를 활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및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도록 형성되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복수의 밴드 장치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복수의 밴드 장치들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체험 공간 내에서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밴드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시물은 관람객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관람객에게 전시물을 시각적인 형태로 관람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시물을 단순히 시각적인 형태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전시물과 관람객 사이의 소통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여, 관람객과 소통이 가능한 형태로 전시물을 제공하는 체험 공간이 생겨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체험 공간 내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전시물을 제공하는 형태와 다른 형태의 전시물 제공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체험 공간에 맞추어, 전시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체험 공간에 위치한 관람객에게 생동감 있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험 공간에 위치한 관람객들 간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한 체험 관람을 위하여, 체험 공간에 위치한 관람객의 신체 지수를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체험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밴드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와 상기 체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밴드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와 상기 밴드 장치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 이미지 중 특정 아이템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가 상기 특정 아이템을 착용한 형태의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특정 아이템 이미지를 합성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와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비콘 신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험 공간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신호부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검출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캐릭터 정보,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정보,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밴드 장치와 접촉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밴드 장치 간의 접촉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밴드 장치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밴드 장치의 숫자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증강 현실 컨텐츠 내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복수의 밴드 장치가 착용됨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알림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시각적 외관이 변경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드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지수를 측정한 신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의 활동 지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도록 형성된 본체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본체와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본체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경우, 증강 현실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증강 현실 모드에서, 기 연결된 전자 장치에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맥박 정보, 호흡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다른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험 공간 내의 밴드 장치를 활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및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도록 형성되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복수의 밴드 장치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복수의 밴드 장치들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체험 공간 내에서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관람객의 손목에 착용한 밴드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에게 생동감 있는 체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관람객들 간의 상호 동작을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체험 공간에 위치한 관람객들 상호 간의 활동을 유도하여, 관람객들에게 체험 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관람객의 신체 지수를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현실성 있는 체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b는 전자 장치가 설치된 체험 공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는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밴드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밴드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8은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인터렉션을 통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a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b는 어린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부모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체험 공간은 전시물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전시 공간으로도 불릴 수 있다. 전시물은 전통적인 방식인 사물일 수도 있고, 새로운 방식인 증강 현실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는 실제 환경에 가상의 객체를 중첩한 컨텐츠이다. 본 발명에서의 증강 현실 컨텐츠는 체험 공간의 테마(Thema)에 적합한 증강 현실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을 체험하는 체험 공간인 경우, 증강 현실 컨텐츠는, 정글, 새, 벌레, 나뭇잎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투를 체험하는 체험 공간인 경우, 증강 현실 컨텐츠는 무기, 전투복, 괴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실내 환경을 체험하는 체험 공간인 경우, 증강 현실 컨텐츠는 쇼파, TV, 침대, 책상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 컨텐츠는 체험 공간의 테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체험 공간을 제공하는 제공자는, 테마에 맞추어 적절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험 공간 내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전자 장치(100)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을 전송하는 밴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와 밴드 장치들(200) 간의 통신을 통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b는 전자 장치가 설치된 체험 공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밴드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비콘 신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장치(100)와 밴드 장치 사이에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비콘 신호 모듈은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비콘 신호 모듈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모듈의 일종일 수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2.4GHz 대역의 단파 무선 전송 방식으로, 2MHz 폭의 채널 40개를 사용하며,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기법을 이용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협대역 간섭 문제를 해결하며, 저전력으로 기본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험 공간에는 전시물마다 비콘을 배치시킬 수 있다.
카메라(12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체험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0)는, 체험 공간의 내부에 위치한 관람객을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체험 공간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체험 공간을 이루는 벽면 및 천장마다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는 시선이 닿는 어느 영역이든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0)을 제어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는, 가상 공간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나 비디오 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험 공간에는 전시물들(310a, 310b, 310c, 310d)이 배치될 수 있다. 전시물들(310a, 310b, 310c, 310d)은 체험 공간 내에 서로 이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험 공간의 벽면에는 디스플레이부들(131a, 131b, 131c, 131d)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1a, 131b, 131c, 131d)들은 체험 공간을 이루는 벽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체험 공간에는, 사용자의 시선이 닿는 모든 영역에 디스플레이부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험 공간 내에서 디스플레이부들(131a, 131b, 131c, 131d)을 통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생동감 있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밴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밴드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b는 밴드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밴드 장치(200)는 통신부(210), 감지부(220), 입력부(230) 및 제어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밴드 장치(200) 사이, 밴드 장치와 다른 밴드 장치 사이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밴드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밴드 장치(200)는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 장치(200)는 다른 밴드 장치(200)에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밴드 장치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밴드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들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들 상호 간의 협력을 통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체험을 유도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밴드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와 관련된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20)는 밴드 장치의 움직임 정보, 밴드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밴드 장치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20)에는, 밴드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신체 측정부(221)가 포함될 수 있다. 신체 측정부(221)는 밴드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PPG(Photo-plethysmography) 센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는 ECG(Electrocadiograph)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신체 측정부(22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간격으로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22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반영된 형태의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밴드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230)는 버튼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방식의 입력들이 입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입력 방식의 입력들이 입력되기 위하여, 입력부(230)에는, 물리키, 터치 스크린, 마이크, 카메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밴드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통신부(210), 감지부(220), 입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에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밴드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하는 본체(201) 및 본체(2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202)를 포함한다.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201a) 및 제2케이스(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밴드 장치(2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2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의 윈도우(251a)는 제1 케이스(2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2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201)에는 음향 출력부,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2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2)는 본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2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202)에는 파스너(fastener; 2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2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밴드 장치(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밴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밴드 장치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우선, 체험 공간 내부에 입장하려는 사용자는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밴드 장치(200)를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밴드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되면, 증강 현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모드는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드이다.
또는 상기 제어부(240)는 체험 공간 내에 사용자가 입장하면, 증강 현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체험 공간 내의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은 전자 장치(100)를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이 감지되면, 밴드 장치(200)에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입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증강 현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증강 현실 모드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는 체험 공간에서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내의 캐릭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지수와 관련된 신체 정보,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정보는 증강 현실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여러 개의 역할들 중 사용자가 선택된 역할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전투 체험인 경우, 캐릭터 정보는 검을 사용하는 캐릭터, 활을 사용하는 캐릭터, 마법을 사용하는 캐릭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캐릭터 정보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의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복수의 캐릭터 정보 중 추천 캐릭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날카로운 이미지인 경우, 날카로운 이미지를 갖는 추천 캐릭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신체 정보는 밴드 장치(200)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이다. 또한, 신체 정보는 카메라(120)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정보는, 사용자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근거로 추출된 키, 체형 등이 될 수 있다.
히스토리 정보는 체험 공간을 사용한 이력을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체험 공간에서 수행한 역할 정보, 체험 공간에서 수행한 체험들의 체험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120)를 통하여,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S420).
카메라(120)는 체험 공간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카메라(120)는 체험 공간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S410 단계와 S420 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410 단계와 S420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정보 및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제어부(14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캐릭터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아이템 이미지 중 특정 아이템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이미지는 캐릭터의 복장 이미지, 캐릭터의 무기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아이템 이미지는 캐릭터 별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결정된 특정 아이템을 사용자가 착용한 형태의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특정 아이템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특정 아이템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특정 아이템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설정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체험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전시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시물과 관련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포함된 체험 공간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전시물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에 기 설정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어부(140)는 전시물이 공룡 모형인 경우, 공룡 모형의 입 주변에 불을 뿜는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생동감 있는 전시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시물과 관련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는, 전시물의 체험 방법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면서, 전시물 체험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440).
상기 제어부(140)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사용자가 캐릭터의 복장을 입고 있는 이미지(510a)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는, 사용자의 실제 체구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로써,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상에 사용자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가 캐릭터 복장을 입은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로 복장을 입지 않더라도, 체험 공간 내에서 캐릭터의 복장을 착용한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로 촬영된 밴드 장치(200)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 대신 무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밴드 장치(200)를 촬영한 이미지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밴드 장치(200)가 출력될 위치에 무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과, 무기의 움직임을 연동시켜, 사용자가 실제로 무기를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시물과 관련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어부(140)는 전시물(310b)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520a) 및 상기 그래픽 객체(520) 주변에 체험 공간의 체험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520b)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체험 공간의 테마에 적합한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1)에는 전투의 배경이 되는 정글 이미지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체험 공간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손을 드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 증강 현실 이미지 또한 손을 드는 동작을 취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이미지를 자신과 동일시 하면서, 증강 현실을 보다 생동감 있게 체험할 수 있다.
한편, 밴드 장치(200)는 체험 공간 내에 사용자의 퇴장이 감지되면, 증강 현실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퇴장이 감지되면, 증강 현실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 공간에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여, 전시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생동감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험 공간 내에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은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체험 공간 내에 입장하는 것에 감지되면, 체험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1)를 통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체험 공간 내의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비콘 신호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1a, 131b, 131c) 중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31a)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곳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카메라(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1a, 131b, 131c) 중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부(131a) 및 제2디스플레이부(131b) 중 사용자의 시선이 제1디스플레이부(131a)를 향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디스플레이부(131a)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시선이 제2디스플레이부(131b)를 향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131b)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울 처럼 사용자의 시선이 닿는 위치에 자연스럽게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한 조건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의 출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체험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인터렉션을 통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인터렉션을 통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체험 공간에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밴드 장치를 착용한 채, 동시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이때, 체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밴드 장치들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인증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체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밴드 장치들은, 두 개의 밴드 장치가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밴드 장치들 간에는 근접 통신 기술에 근거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체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밴드 장치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밴드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를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밴드 장치와 관련된 이벤트에는 두 개의 밴드 장치 간의 접촉하거나 인접하는 이벤트, 두 개의 밴드 장치로부터 서로 관련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여기에서, 두 개의 밴드 장치가 인접하는 이벤트는, 두 개의 밴드 장치가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이벤트이다.
예를 들어, 도 8a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40)는 제1밴드 장치(200a)와 제2 밴드 장치(200b)가 서로 인접하거나, 접촉하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밴드 장치(200a)는 제1밴드 장치(200a) 및 제2밴드 장치(200b)가 서로 인접한 경우, 제1 및 제2 밴드 장치(220a, 220b)가 서로 인접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전자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40)는 두 개의 밴드 장치가 서로 인접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두 개의 밴드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c)와 같이, 제어부(140)는 두 개의 밴드 장치가 각각 나타내는 캐릭터 정보를 조합한 새로운 증강 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는 밴드 장치들의 사용자 정보의 조합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밴드 장치와 제2밴드 장치가 서로 인접한 경우, 제어부(140)는 제1사용자 정보 및 제2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제1캐릭터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밴드 장치와 제3밴드 장치가 서로 인접한 경우, 제어부(140)는 제1사용자 정보 및 제3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제2캐릭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사람들 간에 밴드 장치를 이용한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복수의 사람들 간의 인터렉션을 통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체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 공간 내의 사용자들은 서로 간의 인터렉션을 통한 새로운 가상 현실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서로 다른 밴드 장치로부터 서로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밴드 장치(200a)로부터 제1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밴드 장치(200b)로부터 제2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 신호와 제2제어 신호는, 서로 관련된 제어 신호로, 두 신호의 조합을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 신호 및 제2제어 신호를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의 (a)와 같이, 제1밴드 장치(200a)는 제1밴드 장치(200a)가 착용된 손목을 몸쪽으로 들어 올리는 제스처를 근거로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밴드 장치(200b)는 제2밴드 장치(200b)가 착용된 손목을 몸 바깥으로 뻗는 제스처를 근거로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밴드 장치(200a) 및 제2밴드 장치(200b)는 각각 제1제어 신호 및 제2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b의 (b)와 같이, 제어부(140)는 제1제어 신호 및 제2제어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수신되면, 상기 제1제어 신호 및 제2제어 신호를 근거로,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체험 공간에서는, 체험 공간에 존재하는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유도함으로써,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적어도 두 개의 밴드 장치에 대하여,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가 로봇인 경우, 제어부(140)는 로봇에서 사용 가능한 제1무기 사용 권한은 제1밴드 장치만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제2무기 사용 권한은 제2밴드 장치만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각각의 밴드 장치의 사용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증강 현실 컨텐츠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체험 공간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협동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즐기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의 제어 권한이 달라지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험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밴드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체험 공간 내에 진입하기 전 자신이 착용할 밴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체험 공간에서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체험하면서, 밴드 장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험 공간에서는, 사용자가 수행할 특정 미션을 제공하고, 특정 미션의 수행이 완료되면, 보상으로 밴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를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밴드의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신체 지수를 근거로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두 개 이상의 밴드 장치로부터 동일한 심박수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밴드를 착용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카메라(120)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근거로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사용자 이미지로부터 밴드 장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밴드 장치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근거하여, 밴드 장치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체험 공간에 진입하기 전, 자신이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를 미리 전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9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a)와 같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200)가 1개인 경우, 제1증강 현실 컨텐츠(910)를 출력하고, 도 9a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200a, 200b)가 2개인 경우, 제2 증강 현실 컨텐츠(92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밴드 장치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권한은 증강 현실 컨텐츠 내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실행 권한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밴드 장치가 1개인 경우, 제1기능에 대한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밴드 장치가 2개인 경우, 제1기능 및 제2기능에 대한 실행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밴드 장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증강 현실 컨텐츠 내에서 실행 가능한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컨텐츠 내에서 실력이 향상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모형 주택 이미지를 증강 현실 컨텐츠로 제공하는 경우, 밴드 장치의 개수에 따라, 모형 주택 이미지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의 (a)와 같이, 제어부(140)는 밴드 장치가 1개인 경우, 쇼파와, 싱크대 이미지가 포함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밴드 장치가 2개인 경우, 쇼파, 싱크대, TV 받침대 이미지가 포함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체험 공간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밴드 장치의 개수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를 체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b는 어린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부모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밴드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수신된 신체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 사용자의 체력 지수 등 사용자의 신체 활동과 관련된 신체 지수들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계산된 신체 지수를 증강 현실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신체 지수를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의 활동 지수를 나타내는 HP(Hit Point)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HP는 증강 현실 컨텐츠가 움직이는 이동 속도, 다른 증강 현실 컨텐츠와의 활동 반응 등이 반영된 지수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다는 신체 지수를 반영하여, HP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체력 지수가 높다는 신체 지수를 반영하여, HP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HP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의 활동 범위나 반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a)와 같이, 제어부(140)는 HP가 높은 경우, 사용자의 걸음 속도와 동일한 이동 속도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10a의 (b)와 같이, 제어부(140)는 HP가 낮은 경우, 사용자의 걸음 속도보다 느린 이동 속도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증강 현실 컨텐츠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에게 휴식을 유도하도록 '휴식이 필요합니다'라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가이드 정보와 함께 증강 현실 컨텐츠의 이동을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의 (c)와 같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여, 신체 지수가 다시 높아지는 것에 근거하여, HP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실제 환경과 유사한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신체 지수를 나타내는 신체 정보를 기 설정된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어린이 관람객의 신체 정보를 부모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부모의 휴대 단말기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체 정보를 근거로, 신체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발달 지수와 신체의 발달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신체 발달 지수에 근거하여, 추천 활동을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산출된 발달 지수와 추천 활동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는, 동일한 나이대 대비 신체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발달 지수와, 신체 부위별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추천 활동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부모는 아이의 신체 발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신체 정보를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관람객의 손목에 착용한 밴드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에게 생동감 있는 체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관람객들 간의 상호 동작을 근거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체험 공간에 위치한 관람객들 상호 간의 활동을 유도하여, 관람객들에게 체험 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관람객의 신체 지수를 반영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현실성 있는 체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 체험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밴드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상기 체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밴드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형성된 카메라 ;상기 밴드 장치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 이미지 중 특정 아이템 이미지를 결정하고,상기 촬영된 사용자가 상기 특정 아이템을 착용한 형태의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특정 아이템 이미지를 합성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밴드 장치와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비콘 신호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체험 공간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제어부는상기 비콘 신호부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검출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정보는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캐릭터 정보,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정보,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밴드 장치는다른 사용자의 밴드 장치와 접촉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상기 제어부는서로 다른 밴드 장치 간의 접촉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서로 다른 밴드 장치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밴드 장치의 숫자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증강 현실 컨텐츠 내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복수의 밴드 장치가 착용됨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알림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시각적 외관이 변경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밴드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지수를 측정한 신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의 활동 지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도록 형성된 본체;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상기 본체와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상기 본체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경우, 증강 현실 모드를 실행하고,상기 증강 현실 모드에서, 기 연결된 전자 장치에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밴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와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신체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맥박 정보, 호흡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통신부는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다른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다른 사용자가 착용한 밴드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새로운 증강 현실 컨텐츠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장치.
- 체험 공간 내의 밴드 장치를 활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체험 공간 내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및상기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도록 형성되며,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복수의 밴드 장치들를 포함하고,상기 전자 장치는,상기 체험 공간 내에 위치한 복수의 밴드 장치들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체험 공간 내에서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329A KR101954338B1 (ko) | 2017-06-12 | 2017-06-12 |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밴드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KR10-2017-0073329 | 2017-06-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230760A1 true WO2018230760A1 (ko) | 2018-12-20 |
Family
ID=6466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7/006709 WO2018230760A1 (ko) | 2017-06-12 | 2017-06-26 |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밴드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338B1 (ko) |
WO (1) | WO20182307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80930B2 (en) * | 2019-10-23 | 2021-08-03 | Skonec Entertainment Co., Ltd. | 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
KR102541750B1 (ko) * | 2022-02-18 | 2023-06-13 | 주식회사 미디어프론트 | IoT를 이용한 체험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1394A (ko) * | 2010-04-30 | 2011-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1539226B1 (ko) * | 2013-12-23 | 2015-07-28 | 한국과학기술원 |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퍼블릭 게임 시스템 및 이의 퍼블릭 게임 서비스 방법 |
KR101572346B1 (ko) * | 2014-01-15 | 2015-11-26 | (주)디스트릭트홀딩스 | 증강현실 스테이지, 라이브 댄스 스테이지 및 라이브 오디션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KR101672268B1 (ko) * | 2015-07-30 | 2016-11-04 | (주) 씽크브릿지 |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
KR20170022088A (ko) * | 2015-08-19 | 2017-03-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8009B1 (ko) * | 2016-03-07 | 2016-11-21 | 윤석진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가시화와 요원관리를 위한 종합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
2017
- 2017-06-12 KR KR1020170073329A patent/KR1019543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6-26 WO PCT/KR2017/006709 patent/WO201823076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1394A (ko) * | 2010-04-30 | 2011-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1539226B1 (ko) * | 2013-12-23 | 2015-07-28 | 한국과학기술원 |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퍼블릭 게임 시스템 및 이의 퍼블릭 게임 서비스 방법 |
KR101572346B1 (ko) * | 2014-01-15 | 2015-11-26 | (주)디스트릭트홀딩스 | 증강현실 스테이지, 라이브 댄스 스테이지 및 라이브 오디션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KR101672268B1 (ko) * | 2015-07-30 | 2016-11-04 | (주) 씽크브릿지 |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
KR20170022088A (ko) * | 2015-08-19 | 2017-03-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338B1 (ko) | 2019-05-17 |
KR20180135336A (ko) | 2018-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709514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information | |
WO20190987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hrough wearable device | |
WO2016108537A1 (ko) | 회전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6117758A1 (ko) | 손 재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 |
WO2018164481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AU2018216529B2 (en) |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WO2016208802A1 (ko) |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
WO2018151396A1 (ko) |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EP3329320A1 (en) |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device | |
WO2016006734A1 (ko) |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8034427A1 (ko) | 전자 장치에서의 표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WO2016013269A1 (ja) |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
WO2018110854A1 (ko) |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08761795A (zh) | 一种穿戴式设备 | |
WO2018143509A1 (ko)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
WO2017126741A1 (ko) | Hmd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8230760A1 (ko) |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밴드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
WO201614409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 |
WO201519950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 |
WO2020106104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editation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WO2017018552A1 (ko) |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8105955A2 (ko) |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WO2018084649A1 (ko) | 눈을 촬영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5099500A1 (ko) |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 |
WO2022080549A1 (ko) | 이중 라이다 센서 구조의 모션 트래킹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79136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32PN |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4.03.2020)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79136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