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7000A1 -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 Google Patents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7000A1
WO2018217000A1 PCT/KR2018/005823 KR2018005823W WO2018217000A1 WO 2018217000 A1 WO2018217000 A1 WO 2018217000A1 KR 2018005823 W KR2018005823 W KR 2018005823W WO 2018217000 A1 WO2018217000 A1 WO 20182170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sal
oral cavity
ring
insertion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8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홍식
이재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644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1399B1/ko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606,39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093755A1/en
Priority to JP2019556983A priority patent/JP6891387B2/ja
Publication of WO20182170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70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al biliary drainage assistiv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a bile duct drainage procedure using an endoscope, the biliary duct drainage tube that can be operated to safely and quickly move the position of the biliary duct drainage tube from the mouth to the nose safely To an oral-nasal repositioning device.
  •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ENBD) drainage is a widely used procedure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cholangiocarcinoma, cholangiocarcinoma, cholangitis, papillary or bile duct obstruction. It is a process. Immediately after the endoscopy, the drainage tube comes out through the mouth, but it is essential to move it to the nasal cavity, but it is a cumbersome process. Previously, the plastic tube was taken out through the nasal cavity and connected to the drainage tube, and then passed through the nasal passage.
  • EBD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 the nasal insert tube is inserted into the nose and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located in the oral cavity is held by the finger or the forceps, and then the nasal insertion tube is taken out of the mouth to connect the bile drainage tube. Pulled back toward the nose, the bile drainage tube had to be taken into the nasal cavity.
  • the auxiliary plastic tube is placed behind the neck and the end of the plastic tube is removed using a finger or the like. Since there is no special procedure aid until now, the finger is inserted deep into the mouth to hold the plastic tube depending on the sense of the fingertip or the forceps. Use medical penlight and open your mouth forcibly and then take out the plastic tube.
  • Patent Document 1 KR 10-0610953 B
  • Patent Document 2 JP 2013-099519 A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ile duct drainage procedure using an endoscope, the guard bile duct drainage tube that can be performed to safely and quickly move the position of the biliary duct drainage tube from the mouth to the nose safely It is to provide an oral-nasal repositioning device.
  • the r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harynx through the oral cavity; And a hook handle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hook portion, wherein in the state where the hook portion is located in the pharynx, when the end portion of the nasal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the pharynx through the nasal passage has passed through the hook portion, the hook handle is pulled out of the nasal cavity.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insertion tube to be drawn out of the mouth.
  • the annula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from the oral cavity; And a nasal insertion tube drawn out of the mouth by the annular module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pharynx through the nasal cavity and connected to the nasal passage and the drainage tube, wherein the annular module has a noose shape inserted into the pharynx through the oral cavity. And a hook handle connected to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portion.
  • the hook handl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bar, the hook portion is provided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ok handle.
  • an adjustment part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hook handle while the end of the hook part is connected to adjust the size of the hook part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hook handle according to the slide movement.
  • the nasal cannula is made of an elongated flexible tube that is hollow, and has a third mark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one point.
  • the step of inserting the ring portion of the annular module through the hole of the opening fastened to the user's mouth into the oral cavity Pushing a nasal insertion tube through the nose to pass the flexible tube inside the annulus; Pulling the annular module out of the oral cavity so that the nasal insertion tube is hooked to the annular portion of the annular module; And connecting the nasal drainage tube to the nasal insertion tube hung from the hook portion and pulling the nasal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the nose.
  • the length adjustment provided on the handle of the ring is included. The size is used to adjust the ring portion.
  • Oral-nasal position change device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from the mouth through the nasal through the annular module and the nostrils are placed in the pharymx Using a nasal insertion tube discharged out of the mouth by the annula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the process of moving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to the nasal cavity can be performed safely and efficient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body shape, height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ring portion through the adjustment portion installed in the handle ring.
  • the space of the oral cavity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oral cavity and the pharynx are smoothly inserted.
  • the ring part is smoothly crossed from the oral cavity to the pharynx, and thus the ring part can be stably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pharynx.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procedure time, minimizing the risk of tooth / oral mucosal injury and preventing injury to the operato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infection by using a manual procedure using a finger or the like and forcep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during sleep as it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reuse can be economically effici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nular module constituting the oral cavity-nasal position change device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 and (b) of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o adjust the size of the 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annular module of FIG.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asal insertion tube constituting the oral cavity-nasal position changing device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using the oral cavity-nasal position change device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bile drainage tube.
  • the nasal biliary drainage tube oral-nasal repositioning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nasal biliary drainage tube 10 from the mouth to the pharynx (
  •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which is discharged out of the mouth by the annular module 10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rough the nostrils and is connected to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10 is disposed in the pharymx Include.
  • the annular module 100 is a nasal insertion tube 200 connected to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10 in order to move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10 from the oral cavity. Used to withdraw from the nasal passages out of the mouth.
  • the annular module 100 is provided in the hook 110 and the hook handle 120 and the hook handle 120 to which the rear end of the hook 110 is inserted into the pharynx through the oral cavity. It includes an adjusting unit 130 to adjust the size of.
  • the ring part 110 is made of a wire material having elasticity.
  • the ring part 110 is manufactured in a lasso shape having a through space therein in a ring type.
  • Ring 1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it is most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bout 8 ⁇ 12cm.
  • Ring por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is located in part or the entire pharynx.
  • the ring part 110 is connected in a downward curved state at an angle of about 15 to 30 degrees from the tip of the ring handle 120.
  • the ring portion 110 that is bent downward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stably inserted and placed in the mouth and pharynx of the curved patient.
  • the size and depth of the oral cavity and pharynx are different for each patient accor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body type, height,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ring porti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djust the size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ing handle 120.
  • the size of the ring 110 may be made by the adjusting unit 130 provided in the ring handle 120.
  • the ring portion 110 is adjusted in size by adjusting the area exposed from the tip of the ring handle 120 by the adjuster 130. For example, if the ring portion 110 is drawn out a lot from the tip of the ring handle 120, the size of the ring portion 110 is increased, and if the ring portion 110 is drawn out from the tip of the ring handle 120 less. The size of the ring 110 is reduced.
  • Ring handle 12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lat bar (bar). Ring handle 12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15cm length. A snare-shaped r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of the ring handle 120. In the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hook handle 120 at the rear end, the size of the area exposed from the hook handle 120 is adjusted as the rear end moves back and forth in the ring handle 120. Ring handle 120 is connected to the ring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with the ring 110. Ring handle 12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s described above, as it is provided in a flat bar (bar) shape while pressing the tongue stably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s such, when the oral insertion of the ring 110, by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ring handle 120 to secure more space of the oral cav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ble oral and pharyngeal insertion of the ring 110 is made.
  • the ring handle 120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first mark 140 for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ring portion 110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oral cavity and pharynx.
  • the first mark 1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body shape, and height of the patient. After the practitioner has grasp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gender, body shape, and height of the patient, the first marker 140 is used to adjust the oral insertion depth of the ring handle 120, thereby making the ring 110 stable in the pharynx of the patient. To be placed.
  • the rear end of the ring handle 120 is provided with a slide groove 122
  • the slide groove 122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30 to be movable slide.
  • the adjusting unit 130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lide groove 122 of the ring handle 120 and operates to adjust the size of the ring unit 110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ring handle 120.
  • the adjust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ing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handle 120 is slidably movable.
  • Ring portion 110 is the rea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adjusting portion 130 in the state in which the slide portion of the adjustment portion 130 is drawn or with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ring handle 120, the front end of the ring handle 120
  • the protruding portion is sized.
  • the second marking 150 of the multi-stag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ring 110 is provided on the ring handle 120, the adjustment unit 130 slides.
  • the second mark 15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body shape, and height of the patient. After the practitioner has grasp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x, body shape, and height of the patient, the operator adjusts the size of the ring 110 using the second marker 150 to stabilize the ring 110 in the mouth and pharynx of the patient. To be inserted and placed.
  • the adjusting unit 130 is installed to be repeatedly fixed and released to the slide groove 122 of the ring handle 120 by a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is made of a soft PVC or silicon material in the form of an elongated flexible tube.
  • a third mark 210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one point of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 the third marker 210 is for measur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x, body shape, height, etc. of the patient, provided in the form of reference lines in units of 15 cm, 20 cm, and 25 cm from the rear end. Can be.
  • the nasal insertion tube with the third mark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0
  •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of the patient and placed in the pharynx at an appropriate depth without being seen by the eye during the procedure.
  • the annular module 100 of the oral cavity-nasal position change device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has a first mark 140 accor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body type, and height of the patient.
  • the second mark 150 and the degree of oral insertion of the ring handle 120 and the size of the ring 110 the ring 110 can be stably inserted and placed in the oral cavity and pharynx of the patient. To act.
  • the insertion of the ring portion 110 becomes easier, and the ring portion 110 to fit the shape of the curved mouth By being bent downw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ng portion 110 is more stably inserted into the mouth and pharynx of the patient.
  • the nasal duct drainage tube 10 when the nasal duct drainage tube 10 is to be connected to the nasal cavity from the oral cavity, the nasal tube inserted through the nose after opening the patient's mouth with a finger is removed, and then by forceps or fingers.
  •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procedure using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even when there is an opening, so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sleeping state, and even a skilled person can perform the procedur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advantage.
  • the ring-shaped module 110 is composed of a ring portion 110 made of elastic wires and sharp forceps The mucous membrane of the oral cavity is minimized compared to the ruler or finger.
  • the oral cavity-nasal position changer successfully moved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from the mouth to the nose and fixed the position at a success rate of 99.3% in 300 clinical cases in 2015-2016.
  • the procedure time is less than 1 minute, which reduces the procedure time of about 4 minut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finger, and shows the procedure time of about 3 minutes compared to the method using forceps.
  • one side of the nasolacrimal catheter (10: ENBD catheter) is exposed through the patient's opening, and the opening of the opening is fastened to the patient's opening requiring the drainage tube procedure.
  • the ring portion 110 of the annular module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hole.
  • the depth of the ring portion 110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is adjusted using the first mark 140 of the ring handle 120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body shape, height, etc. of the patient.
  • the ring by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ring handle 120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using the first mark 140 provided on the ring handle 120.
  • the insertion depth of the part 110 is appropriately controlled.
  • the oral insertion of the ring portion 110 by using the adjusting portion 130 provided in the ring handle 120 to adjust the size of the ring portion 130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ring handle 120.
  • the size of the ring 110 may be adjusted using the second mark 150 accor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gender, body shape, height, etc. of the patient.
  • the ring part 110 is stably disposed in the part or the whole of the pharynx past the mouth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size by the adjusting unit 130 and the insertion depth by the ring handle 120.
  •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is pushed into the nasal cavity through the nostril.
  • the insertion depth of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is adjusted using the third marker 210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body shape, height, etc. of the patient.
  •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inserted into the nasal passage moves to the pharynx in the nasal passage and passes through the annulus 110 of the annular module 100.
  •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passes through the annulus 110,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is pulled out of the oral cavity so that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of the annular module 100 passes. To hang on the hook 110.
  • the point of the nasal insertion tube 200 caught in the ring portion 110 has a securely caught state.
  • the oral cavity-nasal position changing device of the nasal bile duct drainage tube is very simple and efficient to move the drainage tube to the nasal cavity during endoscopic nasal bile duct drainage proced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구강에서 비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강으로 삽입되는 고리형 모듈; 및 비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형 모듈에 의해 입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경비담과 배액관과 연결되는 비강 삽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 모듈은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는 올가미 형상의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리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본 발명은 경비적 담즙 배액 시술 보조 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이용한 담관 배액술 시술에서,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입에서 코로 안전하면서 쉽고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시술할 수 있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시에는 시술자가 겸자 혹은 손가락 등일 이용하여 담즙 배액관을 입에서 코로 위치시키도록 시술을 시행하였다.
내시경적 경비담관(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ENBD) 배액술은 담관석, 담관 종양, 담관염, 유두부 혹은 담관폐쇄 등의 여러 질환에서 널리 이용되는 시술이며, 시술에서 배액관을 구강에서 비강으로 이동시키는 술기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내시경 시술 직후에는 배액관이 입을 통해 나오게 되는데 이를 비강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필수적이지만 번거로운 과정인데, 기존에는 비강을 통해 플라스틱 튜브를 구강으로 꺼내어 배액관을 연결하여 다시 비강으로 통과시켜 이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담즙 배액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먼저 부드러운 비강 삽입관을 코로 넣어 구강 내에 위치한 삽입관 끝을 손가락으로 잡거나 또는 겸자로 잡은 후에, 비강 삽입관을 입으로 꺼내서 담즙 배액관을 연결시킨 후 다시 코 쪽으로 당겨서 비강 내로 담즙 배액관을 꺼내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종래의 담즙 배액관의 위치를 변경하는 시술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1)번 그림에서 ENBD 튜브는 처음에 입을 통해 나오게 되는데, 도 5의 2)번 그림에서 보조용 플라스틱 튜브(short plastic tube)를 코로 넣어서 끝을 목젖 뒤에 위치하게 하고, 도 5의 3)번 그림에서는 입을 벌린 상태에서 개구기를 제거하고 플라스틱 튜브 끝을 손가락 또는 겸자 등을 이용하여 입으로 빼낸 상태에서, 도 5의 4)번 그림에서와같이 보조용 플라스틱 튜브에 ENBD 튜브를 삽입한다. 이후, 도 5의 5)번 그림에서와같이 플라스틱 튜브를 코 쪽 방향에서 당기고, 도 5의 6)번 그림에서와같이 코로 ENBD 튜브가 이동되면 팽팽하게 당긴 후 보조용 플라스틱 튜브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에서 보조용 플라스틱 튜브를 목젖 뒤에 위치하게 하고 플라스틱 튜브 끝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빼내는 단계는 시술 보조기구가 현재까지 특별히 없기 때문에 손가락을 입안 깊숙이 넣어 손끝의 감각에 의존하여 플라스틱 튜브를 잡거나 또는 겸자와 의료용 펜라이트를 이용하여 억지로 입을 벌린 후 플라스틱 튜브를 잡아서 꺼내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비강 삽입관 끝부분의 위치를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거나 손끝으로 만져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는 점, 개구기(마우스피스)를 빼고 시술해야 했기 때문에 시술자가 환자 치아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점, 시술 중에 무의식으로 환자의 치아에 의해 시술자의 손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는 점 및 겸자에 환자의 구강과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환자가 입을 벌려야 시술이 가능하므로 내시경을 위해 입에 물린 개구기를 빼고 수면이 깰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단점이 크므로 개구기가 있는 상태에서는 시술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시술 중에 환자의 치아, 구강 점막 손상, 시술 시간 지연, 시술 실패, 담관 배액관 이탈 및 시술자의 손가락 부상 등이 빈번하나 해결 가능한 대안은 현재까지 없는 상태이다.
(특허문헌 1) KR 10-0610953 B
(특허문헌 2) JP 2013-09951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을 이용한 담관 배액술 시술에서,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입에서 코로 안전하면서 쉽고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시술할 수 있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모듈은,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연결된 고리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가 인두에 위치한 상태에서, 비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된 상기 비강 삽입관의 단부가 상기 고리부를 통과한 경우 상기 고리 손잡이를 당겨서 상기 비강 삽입관을 입 밖으로 인출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구강에서 비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강으로 삽입되는 고리형 모듈; 및 비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형 모듈에 의해 입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경비담과 배액관과 연결되는 비강 삽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 모듈은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는 올가미 형상의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리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 손잡이는 납작한 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 손잡이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휘어져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리 손잡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고리 손잡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고리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강 삽입관은 속이 비어 있는 길쭉한 플렉서블 튜브로 제작되며, 일 지점에 다단의 제3 표식이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의 이용 방법은, 사용자의 입에 체결된 개구기의 구멍을 통해 고리형 모듈의 고리부를 구강으로 밀어 넣어 삽입하는 단계; 비강 삽입관을 코를 통해 밀어 넣어 상기 고리부의 안쪽에 플렉서블 튜브를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고리형 모듈을 구강 밖으로 당겨서 상기 비강 삽입관이 상기 고리형 모듈의 고리부에 걸려 나오게 하는 단계; 및 상기 고리부에 걸려 나온 비강 삽입관에 경비 배액관을 연결한 후 코에 삽입된 비강 삽입관을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를 구강으로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리 손잡이에 구비된 길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부의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입에서 코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강으로 삽입되어 단부가 인두(pharymx)에 배치되는 고리형 모듈 및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형 모듈에 의해 입 밖으로 배출되어 경비담관 배액관과 연결되는 비강 삽입관을 이용하여, 경비담관 배액관을 비강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안전하면서도 단순화시켜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리 손잡이에 설치된 조절부를 통해 고리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 등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리부의 구강 및 인두 삽입 시, 납작한 바 형태의 고리 손잡이가 혀를 누르면서 구강에 삽입됨으로써, 구강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고리부의 구강 및 인두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고리부가 하방을 향하여 부드러운 커브를 형성하도록 휘어져 구비됨에 따라, 고리부가 구강에서 인두로 부드럽게 넘어가게 되므로 고리부를 인두에 안정적으로 삽입 및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치아/구강점막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시술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 등을 이용한 수기 시술 및 겸자 등의 사용에 의한 감염의 위험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구기가 구강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 수면 중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독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 효율적인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를 구성하는 고리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와 (b)는 도 1의 고리형 모듈의 작용에 따른 고리부의 크기 조절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를 구성하는 비강 삽입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담즙 배액관의 위치를 변경하는 시술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는 경비담관 배액관(10)의 위치를 입에서 코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강으로 삽입되어 단부가 인두(pharymx)에 배치되는 고리형 모듈(100) 및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형 모듈(100)에 의해 입 밖으로 배출되어 경비담관 배액관(10)과 연결되는 비강 삽입관(200)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리형 모듈(100)은 경비담관 배액관(10)을 구강에서 비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경비담관 배액관(10)에 연결되는 비강 삽입관(200)을 비강에서 입 밖으로 인출하는데 사용된다. 고리형 모듈(100)은 구강을 통해 단부가 인두에 삽입되는 고리부(110), 고리부(110)의 후단부가 연결되는 고리 손잡이(120) 및 고리 손잡이(120)에 구비되어 고리부(110)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고리부(110)는 탄성을 갖는 와이어 재질로 제작된다. 고리부(110)는 링 타입으로 내부에 관통 공간을 갖는 올가미 형상으로 제작된다. 고리부(110)는 소정의 지름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대략 8~12cm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리부(110)는 구강에 삽입되어 인두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한다. 고리부(110)는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로부터 대략 15~30도 각도로 하방으로 휘어진 상태로 연결된다.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고리부(110)는 만곡하게 휘어져 있는 환자의 구강 및 인두에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배치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성별이나 체형, 키 등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따라 환자마다 구강 및 인두의 크기 및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110)는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로부터 그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고리부(110)의 크기는 고리 손잡이(120)에 구비된 조절부(1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부(110)는 조절부(130)에 의해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조절됨으로써 크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로부터 고리부(110)가 많이 인출되면 고리부(11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로부터 고리부(110)가 적게 인출되면 고리부(110)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고리 손잡이(120)는 납작한 바(bar) 형태로 제작된다. 고리 손잡이(120)는 소정의 길이로 구비되며, 15cm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에는 올가미 형상의 고리부(110)가 연결된다. 고리부(110)는 고리 손잡이(120)에 후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고리 손잡이(120)의 내부로 후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리 손잡이(120)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된다. 고리부(110)가 연결된 고리 손잡이(120)는 고리부(110)와 함께 구강에 삽입된다. 구강에 삽입되는 고리 손잡이(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납작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혀를 안정적으로 눌러주며 구강에 삽입된다. 이처럼, 고리부(110)의 구강 삽입시 고리 손잡이(120)를 이용해 혀를 눌러줌으로써 구강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고리부(110)의 안정적인 구강 및 인두 삽입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리 손잡이(120) 상에는 구강 및 인두에 삽입·배치되는 고리부(11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단의 제1 표식(140)이 마련된다. 제1 표식(140)은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와 같은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복수 개의 참고선 형태로 마련된다. 시술자는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와 같은 신체적 특징을 파악한 후, 제1 표식(140)을 이용하여 고리 손잡이(120)의 구강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인두에 고리부(110)가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덧붙여, 고리 손잡이(120)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 홈(122)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홈(122)에는 조절부(1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부(130)는 고리 손잡이(120)의 슬라이드 홈(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에 돌출된 고리부(11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30)는 고리 손잡이(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고리부(110)의 후단부가 연결된다. 고리부(110)는 조절부(130)에 후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조절부(13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일부분이 고리 손잡이(12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에 돌출된 부분의 크기가 조절된다.
한편, 조절부(13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고리 손잡이(120) 상에는 고리부(1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다단의 제2 표식(150)이 마련된다. 제2 표식(150)은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와 같은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복수 개의 참고선 형태로 마련된다. 시술자는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와 같은 신체적 특징을 파악한 후, 제2 표식(150)을 이용하여 고리부(11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및 인두에 고리부(11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조절부(130)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리 손잡이(120)의 슬라이드 홈(122)에 고정 및 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강 삽입관(200)은 속이 비어 있는 길쭉한 플렉서블 튜브의 형태로, 부드러운 PVC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비강 삽입관(200)의 일 지점에는 다단으로 제3 표식(210)이 형성된다. 제3 표식(210)은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 등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따라 비강 삽입관(200)의 삽입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후단부로부터 15cm, 20cm 및 25cm 단위의 참고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기존에 배액관 시술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표식이 없는 삽입관을 일일이 육안 또는 손으로 확인하여 겸자 등을 통해 잡아야 했던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표식(210)이 있는 비강 삽입관(200)을 이용하면, 시술 시에 눈으로 보지 않고도 적절한 깊이로 비강 삽입관(200)을 환자의 비강으로 삽입하여 인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의 고리형 모듈(100)은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와 같은 신체적 특징에 따라 제1 표식(140) 및 제2 표식(150)을 이용하여 고리 손잡이(120)의 구강 삽입 정도 및 고리부(11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및 인두에 고리부(110)가 안정적으로 삽입·배치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납작한 바 형태의 고리 손잡이(120)를 통해 혀를 눌러 구강의 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고리부(110)의 삽입이 더욱 용이해지며, 만곡하게 형성된 구강의 형상에 맞게 고리부(110)가 하방으로 휘어져 구비됨으로써 환자의 구강 및 인두에 고리부(1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술시에는 경비담관 배액관(10)을 구강에서 비강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개구기를 빼고 환자의 입을 손가락으로 벌린 후에 코를 통해 삽입된 비강 튜브를 겸자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으로 끄집어내는 수면 시술로 행했던바, 시행이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비숙련자가 시술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경비담관 배액관 시술은 개구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구강으로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수면 상태에 관계없이 시술이 가능하며, 비숙련자도 빠르고 정확하게 시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술에서는 구강에서 손가락 또는 겸자로 인한 손상이 빈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모듈(110)은 탄성이 있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고리부(110)로 구성되어 있어 날카로운 겸자나 손가락에 비해 구강의 점막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를 이용하여 2015-2016년 300건의 임상례에서 99.3%의 성공률로 경비담관 배액관을 입에서 코로 성공적으로 이동시키고 위치를 고정하였다.
시술 시간은 1분 이내로서, 기존의 손가락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약 4분의 시술시간 단축을 보이고, 겸자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약 3분의 시술 시간 단축을 보인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환자의 개구를 통해 경비담관 배약관(10: ENBD 배약관)의 일측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배액관 시술이 요구되는 환자의 개구에 체결된 개구기의 구멍을 통해 고리형 모듈(100)의 고리부(110)를 구강으로 밀어넣어 삽입한다. 이때, 구강으로 삽입되는 고리부(110)의 깊이는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 등과 같은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고리 손잡이(120)의 제1 표식(140)을 이용하여 조절한다.
즉, 고리부(110)를 구강으로 삽입하는 단계에선, 고리 손잡이(120)에 마련되어 있는 제1 표식(140)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게 고리 손잡이(12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고리부(110)의 삽입 깊이가 적절하게 제어된다. 한편, 고리부(110)의 구강 삽입과 함께, 고리 손잡이(120)에 구비된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고리 손잡이(1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고리부(130)의 크기를 조절한다. 고리부(110)의 크기는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 등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따라 제2 표식(150)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리부(110)는 조절부(130)에 의한 크기 조절과, 고리 손잡이(120)에 의한 삽입 깊이 조절에 의해 환자의 구강을 지나 인두에 일부 또는 전체가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환자의 인두에 고리형 모듈(100)의 고리부(110)가 안정적으로 배치된 후, 도 4의 (b)와 같이, 비강 삽입관(200)을 콧구멍을 통해 비강으로 밀어 넣는다. 비강 삽입관(200)의 삽입 깊이는 환자의 성별이나 체형, 키 등과 같은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3 표식(210)을 이용하여 조절한다. 비강에 삽입된 비강 삽입관(200)은 비강을 타고 인두로 이동하여 고리형 모듈(100)의 고리부(110)를 통과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고리부(110)에 비강 삽입관(200)이 통과하게 되면, 고리형 모듈(100)을 구강 밖으로 당겨 비강 삽입관(200)이 고리형 모듈(100)의 고리부(110)에 걸려 나오도록 한다. 이 경우, 비강 삽입관(200)의 플렉서블한 성질로 인하여 고리부(110)에 걸린 비강 삽입관(200)의 지점이 확실하게 걸린 상태를 갖는다.
도 4(d)를 참조하면, 고리부(110)에 걸려 나온 비강 삽입관(200)에 경비담관 배액관(10)을 연결한 후 코에 삽입된 비강 삽입관(200)을 당긴다.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비강 삽입관(200)을 당기는 과정을 통해 비강 삽입관(200)에 연결된 경비담관 배액관(10)이 코를 통해 배출되면, 경비담관 배액관(!0)에 연결된 비강 삽입관(200)을 분리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는 내시경적 경비담관 배액관 시술 시에 배액관을 비강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매우 단순해지고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입에서 코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비강을 통해 삽입된 비강 삽입관을 입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고리형 모듈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모듈은,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연결된 고리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가 인두에 위치한 상태에서, 비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된 상기 비강 삽입관의 단부가 상기 고리부를 통과할 경우 상기 고리 손잡이를 당겨서 상기 비강 삽입관을 입 밖으로 인출하게 하는 구조인 고리형 모듈.
  2. 경비담관 배액관의 위치를 구강에서 비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강으로 삽입되는 고리형 모듈; 및
    비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형 모듈에 의해 입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경비담과 배액관과 연결되는 비강 삽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 모듈은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는 올가미 형상의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리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손잡이는 납작한 바(bar)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 손잡이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휘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리 손잡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고리 손잡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고리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 삽입관은 속이 비어 있는 길쭉한 플렉서블 튜브로 제작되며, 일 지점에 다단의 제3 표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7. 제2항에 따른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입에 체결된 개구기의 구멍을 통해 고리형 모듈의 고리부를 구강으로 밀어 넣어 삽입하는 단계;
    비강 삽입관을 코를 통해 밀어 넣어 상기 고리부의 안쪽에 플렉서블 튜브를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고리형 모듈을 구강 밖으로 당겨서 상기 비강 삽입관이 상기 고리형 모듈의 고리부에 걸려 나오게 하는 단계; 및
    상기 고리부에 걸려 나온 비강 삽입관에 경비 배액관을 연결한 후 코에 삽입된 비강 삽입관을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를 구강으로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리 손잡이에 구비된 길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의 이용 방법.
PCT/KR2018/005823 2017-05-24 2018-05-23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WO2018217000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06,393 US20210093755A1 (en) 2017-05-24 2018-05-23 Device for oral-to-nasal repositioning of nasobiliary drainage tube
JP2019556983A JP6891387B2 (ja) 2017-05-24 2018-05-23 経鼻胆管排液管の口腔−鼻腔位置変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98 2017-05-24
KR20170064098 2017-05-24
KR1020180056442A KR102131399B1 (ko) 2017-05-24 2018-05-17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KR10-2018-0056442 2018-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7000A1 true WO2018217000A1 (ko) 2018-11-29

Family

ID=6439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823 WO2018217000A1 (ko) 2017-05-24 2018-05-23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217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4164A (zh) * 2019-10-16 2020-01-17 深圳市人民医院 用于从口腔中取出交换器的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2538A (en) * 1994-08-25 1996-02-20 Johlin, Jr.; Frederick C. Method for transferring the exit site of a catheter from the mouth to the nose and instrumentation useful therefor
JP2013099519A (ja) * 2011-10-18 2013-05-23 Yokohama City Univ 医療用チューブの誘導器具及び医療用チューブ並びに医療用システム
JP2015073639A (ja) * 2013-10-07 2015-04-20 株式会社トップ 経鼻内視鏡用前処置具
KR20150064534A (ko) * 2013-12-03 2015-06-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경비기관내삽관용 튜브
JP2015134098A (ja) * 2014-01-17 2015-07-27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内視鏡用スネア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2538A (en) * 1994-08-25 1996-02-20 Johlin, Jr.; Frederick C. Method for transferring the exit site of a catheter from the mouth to the nose and instrumentation useful therefor
JP2013099519A (ja) * 2011-10-18 2013-05-23 Yokohama City Univ 医療用チューブの誘導器具及び医療用チューブ並びに医療用システム
JP2015073639A (ja) * 2013-10-07 2015-04-20 株式会社トップ 経鼻内視鏡用前処置具
KR20150064534A (ko) * 2013-12-03 2015-06-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경비기관내삽관용 튜브
JP2015134098A (ja) * 2014-01-17 2015-07-27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内視鏡用スネ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4164A (zh) * 2019-10-16 2020-01-17 深圳市人民医院 用于从口腔中取出交换器的装置
CN110694164B (zh) * 2019-10-16 2022-02-08 深圳市人民医院 用于从口腔中取出交换器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3454A (en) Instrument for use in coniotomy
AU2020280985B2 (en) Endotracheal tube insertion device
US9174014B2 (en) Introducer guide
JP2018512194A (ja) 気管挿管のための装置
ITRM20090010A1 (it) Laringoscopio perfezionato che comprende una serie di elementi magnetici tali da permettere una guida durante una procedura di intubazione endotracheale di un paziente
WO2015130075A1 (ko) 의료용 실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실 삽입기구
US7827985B2 (en) Insertion aid for oral and nasal medical devices
US20150250969A1 (en) Airway open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8217000A1 (ko)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US11517696B2 (en) Notched airway device and use thereof in bag-mask ventilation and endotracheal tube placement
KR102131399B1 (ko) 경비담관 배액관의 구강-비강 위치변경 장치
KR20170034671A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JP7019591B2 (ja) ラリンジアルマスク用固定装置
CN216365213U (zh) 耳鼻喉异物取出装置
CN213852651U (zh) 一次性口鼻交换器
CN210020783U (zh) 一种应用于口腔经鼻腔牵出导管导丝的拉环
CN105559855B (zh) 气管插管钳
WO2012093825A2 (ko)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JP3093530U (ja) 鼻孔より挿入し容易に口へ出てくる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5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5698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5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