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5895A1 -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5895A1
WO2018135895A1 PCT/KR2018/000884 KR2018000884W WO2018135895A1 WO 2018135895 A1 WO2018135895 A1 WO 2018135895A1 KR 2018000884 W KR2018000884 W KR 2018000884W WO 2018135895 A1 WO2018135895 A1 WO 20181358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flotation
oil
zon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8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반용찬
Original Assignee
반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01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7337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01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73378B1/ko
Application filed by 반용찬 filed Critical 반용찬
Publication of WO20181358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58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oil and solid components contained in oily water (water containing oil and solid components) separated from crude oil extracted from an oil well using an induced gas flotation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that can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oil and solid components in the oil and the water.
  • Oil fields usually have a bottom water layer, a crude oil layer on top of it, and a gas layer on the oil layer.In the initial stage of production, the oil is spontaneously ejected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under the oil layer as described above. This is called primary production.
  • Crude oil not extracted even after the secondary production is injected into the dielectric layer by steam, surfactant, hydrocarbon gas, carbon dioxide gas, etc., so that gas and crude oil come out in a mixed state, which is called tertiary production.
  • EOR enhanced oil recovery
  • bitumen (Bituman) recovered from the oil sand, which is one of the petroleum resources, has been considered as a preliminary replacement resource because of poor quality in the past, but now the oil obtained from the bitumen is qualitatively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crude oil. It is known to be competitive enough for cost.
  • the oil layer recovery method is a method of injecting hot steam into a high viscosity oil in an oil sand layer which does not flow at room temperature to heat the oil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oil, and recover the hot water and oil condensed by the pressurized steam.
  • the injected water is used by treating brine separated from a fluid obtained from an oil well, or from a separate water source. After the treatment, the wate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well around the well.
  • the brine separated from the fluid contains some oil components and solid components
  • the oil and solid components contained in the brine a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oil and solids remaining in the brine because it is injected into the reservoir through the injection well to prevent the reservoir pores (reservoir pore) to reduc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crude oil.
  • the oil component and the solid component remaining in the brine are removed through a water treatment facility for treating the brine separated from the oil well.
  •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is equipped to undergo a water treatment process by multiple stages of precipitation and filtration, and the facility for each step is a large-scale facility that requires precise control, and thus the control process is improved to simplify or remove some facilities. In this case, the cost for the facility investment can be reduced.
  • the flotation separation method which has been studied as a unit process of water treatment, has the advantage of smaller installation interview and shorter processing time tha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method, and by attaching microbubbles to suspended matter dispersed in a disperse medium. It is a separation method that uses floating phenomena to low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loating phase to float the floating material to the limit surface where the dispersion medium and other phases come into contact. The suspended suspended matter is removed by a scimmer and then converted into water that can be recycled or discharged through an addi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 the flotation method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ject to which it is applied, and also based on the presence of bubbles and the technique of generating bubbles.
  • Flotation separation method can be divided into dissolved air / gas floatation, dispersed air / gas flotation, vacuum flotation, electroflotation, and microbiological injuries. autoflotation).
  • Dissolved air flotation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n the water treatment industry, increases the solubility pressure of air dissolved in water according to Henry's law to oversaturate and induces microbubbles by inflowing into a floating tank at atmospheric pressure.
  • a fine bubb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70 ⁇ m or less occurs due to a sudden decrease in pressure.
  • dissolved air flotation dissolved air flotation
  • the situ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replace the large and high operating cost.
  • airborne flotation processes are not suitable for treating oily water used in oil development. The reason is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air bubbles containing the air will react with the oi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running water and explode.
  • an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of inert gas or fuel gas is used in treating oily water.
  • Induced gas flotation is a suspended solid by injecting and diffusing microbubbles using a device such as an eductor, a motor, or a sparger. It is a facility to separate the floating to the top by adhering to it.
  • the duct or motor used as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during the process is included in the flowing water and the flowing water.
  • contamination and deform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of the additional flotation treatment device, and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cost increases because the water is discharged at a high pressure to generate microbubbles.
  •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fuel gas microbubbles to the flotation treatment tank through bubble generation means installed outside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and reprocesses the fuel gas moved to the top of the flotation treatment tank to regenerate the bubble generation means.
  •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of fuel gas used 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remove the sediment by passing the first floating flotation water through the cyclone, and then resupply it to the front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to remove extra suspended matter.
  • To present a technique for the oil-and-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induction gas flotation separation which has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treatment water removal process by reducing the burden of the treatment water filtering device such as a nutshell filter at the rear of the device do.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0070 (2016.04.25.)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removes sediment at the bottom while discharging treated water from which floating matter is removed from raw water in a flotation treatment tank.
  • the clea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treated water outflow pipe while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treated water, and has the advantage of cleaning the molten water supply pipe cleanly, and rotating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level control
  • a technique related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provides a function of quickly and smoothly adjusting the level of the flotation tank by being equal to the width of the additional partition wall is described.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99863 (2014.08.04.)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ttach a microbubble to a floc, which is an aggregate of impurities formed by adding a flocculant to raw water, onto a water surface.
  • a first processing unit which is removed after floating;
  • a second treatment unit filtering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loc is removed from the first treatment unit by a separation membrane;
  • a washing water treatment unit configured to send the washing water having the separator separated therein to the first treatment unit for treatment, wherein the second treatment unit includes a filtration tank in which reason water is introduced and stored from the first treatment unit, and the disadvantageous membrane is provided.
  • 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s, and 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with partition walls so as to partitio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s, respectively, some of the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s are washed by washing water, and the remaining separation membranes are filtered of the treated water.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formed is described.
  • the prior art literatures have some similarities in that the flotation and flocculant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removed by using the flotation separation method or the flotation separation method by simply using the flotation separation method.
  • Means are provided for supplying fuel gas to the microbubble supply means in treating used water and for removing mist contained in the fuel gas upon resupply to recycle the fuel ga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duction gas flotation apparatus.
  • the prior art documents a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y are not.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running water generated in the crude oil extraction system, using the existing eductor through means for supplying fuel gas microbubbles to the flotation tank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il-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an oil-water treatment method using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which has a simpler operation compared to a system that requires less operation cos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fuel gas microbubble to the flotation treatment tank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to reprocess the fuel gas moved to the top of the flotation treatment tank to efficiently supply the mis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fuel gas before re-supply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eat the treated water primarily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in the flotation treatment apparatus again by a cyclone to separate oil and sediment, and then return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to return the oil and solid components in the flow water.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an oil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that can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water.
  • Flow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horizontal induction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ly long form of the container; A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At least one flotation treatment zone, which is divided into partition walls and aggregates and floats oil and solid materials in flowing water by using microbubbles to remove floating matters firstly; A flowing water supply pipe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container forming the floating treatment zone; A floa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oil and solid substances floating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 primary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divided in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nd the partition wall, into which the float removal water flows from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nd a final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divided into the suspended matter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and a partition wall, into which treated water flows from the primary suspended matter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 Bubble generating means including a bubble supply pip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t least one flotation treatment zone to provide a fuel gas micro-bubble does not contain flowing water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 a micro-bubble resupply device including a mist eliminator for removing a liquid phase from the discharged fuel ga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and supplying the fuel gas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wherein the mist eliminator includes a mist It is composed of a filter-type demister located behind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mist separation plate, the mist separation plate is located on the passage where the fuel gas containing the mist is recycled, is attached to one side wall on the passage to the fuel gas Ascends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ises and then downwards to form a downward angle, and then downwards again to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ngle of angle ( ⁇ 1) is 10 to 35 °, and the secondary The bent angle ( ⁇ 2) is formed to 40 ⁇ 70 °, the mist
  • the cut cylind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to face upward.
  • the horizontal induction gas floa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ly long vessel; A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At least one flotation treatment zone, which is divided into partition walls and aggregates and floats oil and solid materials in flowing water by using microbubbles to remove floating matters firstly; A floa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oil and solid substances floating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divided in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nd the partition wall, into which the float removal water flows from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nd a final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divided into the floating matter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and the partition wall, and the treated water flowing from the floating matter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 Bubble generating means including a bubble supply pip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t least one flotation treatment zone to provide only the fuel gas micro-bubbles that do not contain flowing water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 a cyclone apparatus for receiving the first removal water from which the float is first re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to secondly remove the float and the precipitate by centrifugal force;
  • a treated water resupply device for resupplying the removal water from which the floats and sediments have been removed from the cyclone device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of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It is suppli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zone and the flowing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constituting the floating treatment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where the micro-bubble and the flowing water is introduced.
  • some of the partition walls for separating each floating treatment zone and the floatation water discharge zon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is characterized by that.
  • the flocculation device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flowing water in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the flocculation device is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flocculant reacts with the running water and the flocculant ;
  • a mist eliminator located above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wherein the mist eliminator comprises a mist separator and a filter-type demister located behind the mist separator, wherein the mist separator comprises a fuel including mist.
  • the gas is located on the recirculated passage, it is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passage and ascends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long the rising direction of the fuel gas.
  • the second bent angle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bent angle, the mist separation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lternately installed on the passage.
  • the horizontal induction gas flotation flow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vessel.
  • the flowing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supplying the flowing water from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forming a floating treatment zone in the horizontal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Supplying microbubbles of fuel gas only into the flowing water to the lower end of the floating treatment zone by using bubble generating means; Removing the flotation flotation including the oil and solid components in the flowing water floated by the microbubbles su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Supplying the first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lotation flotation has been removed to the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Receiv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to remove oil and sediment secondary using a cyclone, and re-supply the secondary treated water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in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 And removing the mist from the fuel gas sepa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and returning the mist back to the bubble generator.
  • the oil and the flocculant reacts to produce a flocculant containing the flocculant Genera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in the vessel in which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is loc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in a state of adjusting the pressure using.
  • the oil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is 2 to 5 atm.
  • the operation is simpler than the existing apparatus using the eductor, and the operation cost is relatively low. Can be reduced.
  • the first treatment water from which the floating float such as oil is removed from the floating treatment tank is passed through a cyclone to remove oil and sediment in a second time, and then re-supplied to the front of the floating treatment tank,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solid components in the flowing water.
  • By improv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fouling of the treated water filtering device at the rear end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the induced gas float.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st elim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cculation device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ing device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ter flow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the oil and water treatment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operation
  •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a bubble generating means 200, and a cyclone 400. .
  • the microbubble supply gas resupply device 30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lotation treatment zones 111, 112, and 113 for removing floats from running water including floating contaminants such as oil, and a flotation floa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flotation flotation on the top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120), and the first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and the final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140 into which the first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loating matters such as oil droplets are removed from the plurality of floating treatment zones is introduced.
  • the plurality of floating treatment zones 110 are arranged in a series structure, and partition walls 111-1 to 113-2 are provided at rear ends of the floating treatment zones 111, 112, and 113, respectively. Some of the partition wall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lotation treatment water may flow in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or the primary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at the rear end.
  • the partition wall 113-2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rimary floating matter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among the partition walls is configured to have a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artition wal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ating floating up to the primary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 the induction gas floating treatment tank 1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102 to control the amount of flowing water supplied into the induction gas floating treatment tank 100 when the water level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
  • the oil and solid components are removed from the flowing water supplied to the guide gas floating treatment tank 100 by the flowing water supply pipe 101 through the floating treatment zones 111, 112, and 113.
  • floating treatment zone 111, 112, and 113 are shown in FIGS. 1 and 2,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practice, the floating treatment zone is smaller or larger than this. It may be partitioned.
  • the bubble generating means 200 may supply fine bubbles made of fuel gas to the bubble supply pipe (210, 220, 23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111, 112, 113).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ubble supply valve (211, 221, 231) provided in the bubble supply pipe (210, 220, 230).
  • the bubble generating means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lying microbubbles of a size capable of adhesively floating floating objects such as oil droplets existing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s 111, 112, and 113. Any known one is possible.
  • microbubbles supplied in the flotation treatment zones 111, 112, and 113 meet and adhere to floating matters such as oil existing in the flowing water, and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by buoyancy when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microbubbles are attached to the float.
  • Floats, including microbubbles, float above the water surface.
  • the float removal device 120 is a means for removing the floating floating material formed on top of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belt oil skimmer, pipe oil skimmer and disc oil remover (disc oil) skimmer) or the like may be used, and any devic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s long as the device provides a function to remove the floating floa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ing treatment zone.
  • the wound removal apparatus 120 provides a function of removing the floating flo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ing treatment zone, and may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floating float treatment tank.
  • the primary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is a device for storing and releasing primary float removal water from which floating flotation has been removed through a plurality of flotation treatment zones.
  • the water conveying valve 132 and the primary floating matter removal water suction pump 133 are provided.
  • the oil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primary suspended solids removal water from the primary suspended solids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to one side of the cyclone 400 through the primary suspended solids removal water conveying pipe 131. It is supplied to remove the contaminated suspended solids such as oil droplets and then re-supply the flowing water re-supply device to the induced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 the cyclone 400 receives the primary suspended solids treated with the induced gas float and further removes contaminants and sediments such as oil contained in the primary suspended solids by centrifugal force.
  • the cyclone is supplied to remove the first floating water from which the first floating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thereby further removing the floating contaminants such as the oil of the first removing water.
  • the operation cost and maintenance rate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load of oil, and sediments such as oil droplets or relatively heavy fine sand, soil, etc. that have not been removed by the primary treatment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cyclon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move substances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only by gas bubble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unning water treatment.
  • the lower end of the cyclone is provided with a sediment discharge pipe 410 and a sediment discharge valve 411 capable of discharging the precipitate precipitated through the cyclone process.
  • the upper portion of the cyclone 400 is provided with a treated water conveying pipe 420 and a treated water conveying valve 421, and the secondary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is floated through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ank 100 in front of the cyclone 400. It is resupplied to zone 111. Secondary treated water that has been resupplied is removed through the flotation treatment zones 111, 112, and 113, and the excess float is removed, and is supplied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140 through the primary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130. .
  • the final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140 is a device that provides the function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loating contaminants and sediments have been removed from the primary floating water discharge zone.
  • the treatment water transfer valve 142 and the treatment water suction pump 143 are provided.
  • the final treatment water discharge zone 140 and the primary floatation water removal zone 130 i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130-1, and removes the primary float through the partition wall 130-1.
  • the floating water removal water of the water discharge zone 130 flows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140.
  • fuel gas is supplied 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by the fuel gas supply pipe 103, the amount of fuel gas supplied from the fuel gas supply pipe 103 is adjusted by the fuel gas supply valve 104 do.
  • the fuel gas supplied 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through the fuel gas supply pipe 103 preferably has a carbon number of 1 to 4 or less, and may be replaced with an inert gas other than a fuel gas including a hydrocarbon.
  • the fuel gas supply pipe 103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regulating means 105 that can adjust the pressure in the induction gas flotation vessel container. At this time, the pressure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2 to 5 atm. By adjusting the pressure through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gas bubbles supplied. If it does not reach 2 atm, the size of the bubble may be excessive, and if it exceeds 5 atm, the cost of the pressure vessel, etc. will be excessive compared to the effect.
  • the microbubble supply gas resupply device 300 provides a function of resupplying the microbubble fuel gas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induced gas floatation treatment tank 100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200.
  • the microbubble supply gas resupply device 300 includes a fuel gas return line 310, a fuel gas return valve 311, and a mist remover 320, and the mist remover 320 includes fuel gas during a flotation process. It provides the ro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 the microbubble supply gas resupply apparatus 300 may prevent the waste of fuel gas and minimize the injection of additional fuel gas by recycling the fuel gas provided to the microbubble means.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st elim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st eliminator includes a filter type demister to prevent the liquid phase, such as running water, from being discharged with the force of gas movement when the fuel gas is discharged from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apparatus.
  • the mist eliminator 320 includes a filter-type demister 322 and a mist separator plate 321 having an inclined surface so that liquid particle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flow.
  • the mist separation plate 321 rises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uel gas rises, then descends to form a downward angle by firstly, and is further bent downwardly by a second again.
  • One side of the mist separa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mist eliminator 320,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mist eliminator 320 wall.
  • the mist separation plate minimizes the oil phase mist reaching the filter-type demister 322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thereby increasing the replacement cycle or the cleaning cycle of the filter-type demister,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maintenance / repair. Can be reduced.
  • the secondary angle ⁇ 2 should be greater than the primary angle ⁇ 1 of the mist separation plate.
  • the range of the primary bending angle ⁇ 1 may be 10 to 35 °, and the secondary bending angle ⁇ 2 may be in the range of 40 to 70 °. If the primary angle of inclination is less than 10 °, the direction of gas flow diversion is lowered. If it is greater than 35 °, the pressure loss is increased. If the secondary angle of inclination is lower than 40 °, the direction of gas flow diversion is low, and if it is higher than 70 °, the pressure loss is large.
  • the mist separation plate 321 has a length that is greater than half the diameter of the mist eliminator, and has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mist separation plate 321 of such a structure overlaps, whereby fuel gas may move. It is a structure formed by the gas movement.
  • the mist separation plate 321 may be formed using a flat plate, or may be formed by using a cylindrical cylinder cut in a long axial direction rather than a radial direction of a circumference.
  • the surface of the mist separation plate 321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may be formed with a hole to flow the liquid phase flowing down from the top.
  • the hole is necessary when the mist separation plate 321 is made of a flat plate, and when the mist separation plate 321 of the cylindrical cylinder is cut in the long axis direction, the hole will not need to be formed separately. .
  • the mist separation plate uses a shape in which the cylindrical cylinder is cut in the long ax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portion faces upward so that the liquid phase bound to the separation plate can easily flow down.
  • mist separators are configured only for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mist separator 321, and may be configured with only one mist separator plate 321.
  • the plurality of mist separation plates 321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ist separator 3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r more inclined surfaces.
  •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cculation device of the oil an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the oil and water treatment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filtering apparatus of a system.
  • the flowing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flocculating device 500 and filtering device 600.
  • the flocculation apparatus 500 is a device for supplying oily water in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by treating fine flotations in the flowing water with a flocculant, the flow of water storage tank 510, the flocculant storage tank 52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agulation tank 530 for generating the coagulant reacts with the flowing water and the coagulant.
  • the flocculation tank 530 is a flocculation product of the flotation agent in the flowing water supplied from the flow water storage tank 510 through the flow of water discharge pipe 511 and the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flocculant storage tank 520 through the flocculant discharge pipe 521. It is an apparatus for treating the microbubbles to easily adhere to the aggregates by forming a. This utilizes the principle of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adhesion of the microbubbles to the aggregates by treating the aggregates to be similar to the size of the supplied microbubbles.
  • the flocculation tank 530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device capable of applying a stirring treatment to effectively combine the flotation agent and flocculant contained in the running water.
  • the display panel that can visually represent the stirring speed of the stirring apparatus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 the flocculant may include any compound that is generally used in the oil and water treatment process, and the addition of the flocculant to the flocculation tan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that a flocculant may be added by hand or the flocculant may be added to the discharge pipe described above. Any of the known ones can be used.
  • an oil-water discharge valve is provided in the oil-water discharge pipe 511, and a flocculant discharge valve 512 is also provided in the flocculant discharge pipe.
  • agglomerate treatment oil and water discharge pipe 53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gglomeration tank 530, and a coagulant treatment oil and water discharge valve 532 is provided in the coagulant treatment oil and water discharge pipe 531.
  • the supply speed of the flowing water supplied from the coagulation tank 530 in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can be adjusted.
  • the flow water including the aggregate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100.
  • Treatment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treatment water discharge zone 140 to the treatment water filtering module 600 through the treatment water transport pipe 141. At this time, 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eated water filtering device 610 through the treated water supply valve 610, and the treated water filtering device 610 is a nut shell filter, a micro filter or an ultrafiltration membrane. (ultra filter). However, the treated water filtering device 6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known filter device as long as the treated water can be filtered.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ter flow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of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tank (S101), and the microbubbles are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zone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 the microbubbles in the running water combine with floating materials such as oil to float the floating material (S103), and removes the floating floating material on the top of the floating treatment tank (S104).
  • the microbubble supply ga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otation treatment tank is resupplied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S106), and the supply gas resupplying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S105) of removing droplets included in the microbubble supply gas. .
  • the float removal water in the primary floating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is supplied to the cyclone using a primary float removal water suction pump through a primary float removal water return pipe at the bottom of the primary float removal water discharge zone, By removing the oil and sediment contained in the primary suspended solids removal water by a second (S108).
  • the secondary treated water from which oil and sediment are removed from the cyclone is supplied back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S109).
  • the treated water re-supplied to the flotation treatment zone may pass through the induction gas flotation treatment zone again to remove floating materials such as oil droplets of fine powder, thereby increasing the purity of the treated water.
  •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suspended matter and sediment are removed may be supplied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by using the treated water suction pump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zone, and then sent to a later filtering device for further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gas flotation separation method using an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oil and solid components contained in flowing water (water containing oil and solid components), and a method thereof.
  • an induction gas flotation separation method using an induced gas flotation separation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oil and solid components contained in flowing water (water containing oil and solid components), and a method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평으로 긴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를 구분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으로 구분되고,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응집 및 부상시켜, 1차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 상기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벽에 형성된 유수 공급관; 상기 부상처리구역에서 부상되는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상기 부상처리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부터 부유물 제거수가 유입되는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 및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을 포함하는 유도가스부상처리조;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상처리구역 내에 유수가 포함되지 않은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제공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와,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연료가스로부터 액체상을 제거하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으로 연료가스를 재공급하는 미스트 제거기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재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원유 채취 시스템에 있어서, 유도가스 부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유정(油井)에서 추출한 원유로부터 분리된 유수(오일 및 고체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 및 고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성분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정(油井)에서 원유를 추출·생산하는 방법은 1차, 2차 및 3차 생산으로 나누어진다. 유전은 대개 맨 아래 물로 된 층이 있고, 그 위에 원유층이 있으며, 원유층 위에 가스층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주로 생산 초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유층 밑에 깔려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원유가 자연히 위로 분출하게 되며 이를 1차 생산이라고 한다.
상기 1차 생산은 초기에 지하의 압력에 의하여 분출되던 원유가 시간이 흐를수록 저류층(reservoir)의 압력 감소에 의해 자연적인 원유(석유)의 생산이 중단되게 되며, 이와 같이 1차 생산되는 원유의 양은 전체 원유 매장량의 극히 일부이다.
즉, 1차 생산 이후에도 대부분 많은 부분의 원유가 저류층에서 생산이 되지 않은 채 남게 된다. 이와 같이 남아있는 원유를 추출하기 위하여 유정 내에 가스나 물(주로, 염수)을 주입하여 강제적으로 원유를 회수하는데 이를 2차 생산이라고 한다.
상기 2차 생산 후에도 추출되지 않은 원유는, 수증기, 계면활성제, 탄화수소가스, 탄산가스 등을 유전층으로 주입해서 가스와 원유가 혼합된 상태로 나오도록 하며 이를 3차 생산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2차 생산 및 3차 생산을 통하여 원유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증진 회수법(enhanced oil recovery, EOR)이라고 한다. 상기 증진 회수법을 이용하여 유정으로부터 얻어진 유체(fluid)는 원유, 염수(brine) 및 가스로 분리된다.
한편, 석유 자원의 하나인 오일 샌드에서 회수되는 비츄멘(Bituman)은 과거 질적으로 열악하여 예비적 대체 자원으로만 생각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상기 비츄멘에서 얻어지는 오일이 원유에서 얻어지는 것과 비교하여 질적 및 비용적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오일 샌드로부터 배츄멘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중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유층 내 회수법이다.
상기 유층 내 회수법은 상온에서는 유동하지 않는 오일 샌드층 내의 고점도 오일에 대해 고온 스팀을 압입하여 가열해 오일의 점도를 낮추고, 상기 압입한 스팀이 응집한 고온수와 기름을 회수하는 방법이다.
상기 EOR을 이용하여 원유를 생산하거나 오일 샌드로부터 비츄멘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물을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주입되는 물은 유정으로부터 얻어진 유체로부터 분리된 염수를 처리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수원지로부터 공급된 물을 처리 후 유정 주변의 주입정에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로부터 분리된 염수는 일부 오일 성분과 고체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염수를 그대로 주입정으로 재주입하여 EOR 및 비츄멘 생산에 사용할 경우에는 염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과 고체 성분이 주입정을 통해 저류층에 주입되어 저류층의 공극(reservoir pore)을 막아 원유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염수에 남아있는 오일 성분과 고체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염수에 남아있는 오일 성분과 고체 성분은 유정에서 분리된 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설비를 통하여 제거된다. 상기 수처리 설비는 다단계의 침전 및 여과에 의한 수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설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계를 위한 설비는 정밀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대규모의 설비이므로, 상기 제어 과정을 개선하여 일부 설비를 간소화하거나 제거하는 경우, 설비 투자를 위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저비용으로 상기 유정으로부터 얻어진 유체로부터 분리된 염수로부터 오일 성분과 고체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하여 수처리하는 방법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한편, 정수처리의 단위공정으로 연구되어 온 부상분리법은 기존의 정수처리 방법보다 설치 면접이 작고, 처리 시간이 짧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산매(dispersed medium)에 분산된 부유물질에 미세기포를 부착시킴으로써 부유상의 비중을 낮추어 분산매와 다른 상이 접하고 있는 한계면까지 부유물질을 부상시키는 현상을 이용하는 분리방법이다. 부상된 부유물질들은 부상물 제거기(skimmer)에 의해 제거된 후, 추가적인 수처리 공정을 통해서 재활용 혹은 방출이 가능한 용수로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상분리법은 적용되는 대상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며 거품의 존재 유무와 기포를 생성하는 기술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부상분리법은 생산기술에 따라 크게 용존부상법(dissolved air/gas floatation), 분산부상법(dispersed air/gas flotation), 진공부상법(vacuum flotation), 전해부상법(electroflotation), 미생물학적부상법(microbiological autoflotation) 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수처리 산업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은 헨리의 법칙에 따라 물속에 녹아 있는 공기의 용해도의 압력을 증가시켜 과포화 시킨 후에 대기압 상태의 부상조로 유입시켜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때, 가압조로부터 대기압 상태의 부상조로 가압수를 유입시키면 갑작스러운 압력 감소로 인하여 평균 입경이 40 ~70 ㎛ 혹은 그 이하의 미세한 기포가 발생한다.
하지만,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은 미세한 기포를 얻을 수 있으나, 높은 압력 및 순환율 등으로 인하여 장치가 크고 운전비가 높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부상처리공정은 석유 개발에 사용된 유수(oily water)를 처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미세기포가 유수 내에 포함된 오일 성분과 반응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석유 시추 사업에서 유수(oily water)를 처리함에 있어서 불활성 기체 또는 연료가스로 이루어진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이용한다.
한편, 유도가스 부상장치(Induced gas flotation)는 이덕터(eductor), 모터(motor) 혹은 스파져(sparger)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미세기포를 주입 확산시킴으로써 이 미세기포를 부유물질(suspended solid)에 접착시켜 상부로 부상분리 시키는 설비이다.
그러나 종래의 유도가스 부상장치에서는 이덕터(eductor) 혹은 모터(motor)를 이용하여 부상처리조 내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공정 중 미세기포 발생 장치로서 사용된 이덕터나 모터가 유수 및 유수에 포함된 처리제에 의해서 오염 변형될 위험이 있었다. 이와 같은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오염 및 변형은 추가적인 부상처리장치 유지보수비가 증가하며, 또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높은 압력으로 유수를 재 토출하므로 운전코스트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상처리조 에서 부상물을 부상 제거하는데 있어서, 부유물 모두가 부상되지 않거나 부상되더라도 다시 침전됨으로써, 부유물 중 비부상된 침전물이 처리수와 함께 유출됨에 따라 정화효율을 떨어뜨리며, 처리수유출관을 막히게 하고, 나아가 부상처리조의 하부에 침전물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유도가스 부상처리조 외부에 설치된 기포발생수단을 통해 부상처리조에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공급하고 부상처리조 상단으로 이동한 연료가스를 재처리하여 기포발생수단으로 재공급함으로써, 기포발생수단에서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1차 부상부유물 제거수를 사이클론에 통과시켜 침전물을 제거한 후에 부상처리구역의 전단으로 재공급하여 여분의 부유물을 추가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부상처리장치후단에서의 넛셀필터(Nutshell filter)등 처리수 필터링장치의 부담을 줄여 전체 처리수 제거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기능을 가지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0070호(2016.04.25.)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상처리조에서 원수로부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면서 하부의 침전물을 제거함에 따라, 처리수의 정화효율을 높이면서 처리수유출관 막히는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면서, 크리닝부재가 구비되어있어 용해수공급관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수위조절에서 수위를 조절하는 회동부가 구획벽의 폭과 동일함으로써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9863호(2014.08.04.)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불순물의 응집체인 플록에 미세기포를 부착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킨 후 제거하는 제1처리부; 상기 제1처리부에서 플록이 제거된 처리수를 분리막에 의하여 여과하는 제2처리부; 및 상기 분리막을 세헉한 세척수를 상기 제1처리부로 보내어 처리 되도록 하는 세척수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부는 상기 제1처리부로부터 추리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상기 불리막이 구비되는 여과조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에는 복수개의 분리막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조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리막을 각각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분리막 중 일부의 분리막에서는 세척수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분리막에서는 처리수의 여과가 이루어지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단순히 부상분리법을 사용하거나, 부상처리후 막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부상분리법을 사용하여 원수 내에 포함된 부유물 및 응집물을 제거한다는 점은 일부 유사점이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석유산업 공정에 사용된 유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연료가스를 미세기포 공급수단에 제공하고 유도가스 부상처리장치 상부로 이동한 연료가스를 재활용하기 위한 재공급 시 연료가스에 포함된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기포 부상에 의해 1차로 오일, 고체물질 등 오염 부유물이 제거된 1차 처리수를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2차로 제거한 후 다시 유도가스 부상처리장치로 재공급하는 기술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원유 채취 시스템 등에서 발생된 유수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기포발생수단을 통해 부상처리조에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수단을 통하여 기존 이덕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장치가 간단하여 운전코스트가 적게 드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및 유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발생수단을 통해 부상처리조에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공급하고 부상처리조 상단으로 이동한 연료가스를 재처리하여 기포발생수단으로 재공급하기 전에 연료가스에 포함된 미스트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상처리장치내 부상처리구역에서 1차로 처리된 처리수를 다시 사이클론에 의해 2차로 처리하여 오일 등과 침전물질을 분리한 뒤, 다시 부상처리구역으로 되돌림으로써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성분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및 유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는, 수평으로 긴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를 구분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으로 구분되고,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응집 및 부상시켜, 1차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 상기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벽에 형성된 유수 공급관; 상기 부상처리구역에서 부상되는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상기 부상처리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부터 부유물 제거수가 유입되는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 및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을 포함하는 유도가스부상처리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상처리구역 내에 유수가 포함되지 않은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제공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연료가스로부터 액체상을 제거하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으로 연료가스를 재공급하는 미스트 제거기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재공급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미스트 제거기는 미스트 분리판 및 미스트 분리판 후방에 위치하는 필터형 디미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미스트를 포함하는 연료가스가 재순환되는 통로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로상의 일 측 벽면에 부착되어 연료가스가 상승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다가 1차로 꺾여 하향 각을 이루며 하향하다가, 다시 한 번 더 2차로 하향으로 꺾인 형태로서, 상기 1차 꺾인 각(θ1)은 10~35°이고, 2차 꺾인 각(θ2)은 40~70°로 형성되며,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두 개 이상이 서로 번갈아 가며 통로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에서,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평판 혹은 원통형 실린더를 원주의 반지름 방향이 아닌 긴 축방향으로 자른 잘린 실린더 관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에서, 상기 잘린 실린더관은 볼록한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는, 수평으로 긴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를 구분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으로 구분되고,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응집 및 부상시켜, 1차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 상기 부상처리구역에서 부상되는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상기 부상처리 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부터 부유물 제거수가 유입되는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 및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을 포함하는 유도가스부상처리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상처리구역 내에 유수가 포함되지 않은 연료가스 미세기포만을 제공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의 하부로부터 부유물이 1차로 제거된 1차 제거수를 공급받아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 및 침전물을 2차로 제거하는 사이클론장치; 및 상기 사이클론 장치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제거된 제거수를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부상처리구역으로 재공급하는 처리수 재공급 장치;를 포함하되, 오일 및 고체 물질의 부상을 위한 미세기포는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서 공급되고 상기 유수는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면에서 유입되어 미세기포와 유수가 유입되는 위치를 달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는, 각각의 부상처리구역과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을 구분하는 구획벽 중 일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는,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에 유수가 도입되기 전, 유수와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물이 포함된 유수가 생성되는 응집장치; 및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한 미스트 제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스트 제거기는 미스트 분리판 및 미스트 분리판 후방에 위치하는 필터형 디미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미스트를 포함하는 연료가스가 재순환되는 통로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로상의 일 측 벽면에 부착되어 연료가스가 상승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다가 1차로 꺾요 하향 각을 이루며 하향하다가, 다시 한 번 더 2차로 하향으로 꺾인 형태로서, 1차 꺾인 각보다 2차 꺾인 각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두 개 이상이 서로 번갈아 가며 통로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는,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상부에는 상기 용기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방법은, 수평형 유도가스부상처리조 내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벽에서 유수를 공급하는 단계; 기포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하단부로 연료가스만으로 이루어진 미세기포를 유수내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하단부로 공급된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성분을 포함하는 부상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부상부유물이 제거된 1차 처리수를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의 하부에서 상기 1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2차로 오일 및 침전물을 제거하고, 2차 처리수를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 내 부상처리구역으로 재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상단부에서 분리된 연료가스에서 미스트를 제거하여 다시 상기 하단부의 기포발생장치로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방법은,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에 유수가 도입되기 전, 유수와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물이 포함된 유수가 생성되는 응집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방법은,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에서 부상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부상처리구역이 위치한 용기내의 압력을 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방법은, 상기 압력이 2 ~ 5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도가스부상처리조 외부에 설치된 기포발생수단을 통해 부상처리조 하단부로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공급함으로써, 이덕터 등을 사용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운전이 간단하고, 운전비용을 상대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상처리조 상단으로 이동한 연료가스를 재순환함에 있어서, 필터형 디미스터(demister) 및 미스트 분리판을 이용해 순환되는 연료가스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미세 오일액적 등을 제거하고 기포발생수단으로 재공급함으로써 기포발생수단에서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필터형 디미스터의 세정 또는 교환 등의 유지보수 기간을 늘림으로써, 유도가스 부상처리장치의 오일액적 등의 부유물 제거 효율 및 운전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오일 등의 부상 부유물이 제거된 1차 처리수를 사이클론에 통과시켜 2차로 오일 및 침전물을 제거한 후에 부상처리조의 전단으로 재공급함으로써, 유수 내 고체 성분의 제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켜, 유도가스 부상을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후단의 처리수 필터링 장치의 파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의 구성 및 구조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의 응집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의 필터링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의 구성 및 구조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는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 기포발생수단(200) 및 사이클론(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 미세기포 공급가스 재공급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는 오일 등의 부유오염물을 포함한 유수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는 다수의 부상처리구역(111,112,113), 상기 부상처리구역 상단에 부상된 부상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상 부유물 제거장치(120), 상기 다수의 부상처리구역으로부터 오일액적 등 부유물이 제거된 1차 처리수가 유입되는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 구역(130) 및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부상처리구역(110)은 직렬구조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상처리구역(111, 112, 113) 후단에는 구획벽(111-1 ~ 113-2)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구획벽 중 일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부상처리수가 후단의 부상처리구역이나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에 유입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벽 중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구획벽(113-2)은 구획벽의 높이가 타 구획벽 보다 높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상처리조(113)의 상부로 올라오는 부상 부유물이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 구역(130)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 내에는 수위 센서(102)를 구비하여 유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 내로 공급되는 유수의 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유수 공급관(101)에 의해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에 공급된 유수는 부상처리구역 (111,112,113)을 거칠수록 오일 및 고체 성분이 제거되게 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2에서는 3개의 부상처리구역(111, 112, 113)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실제로는 이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부상처리구역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포발생수단(200)은 상기 부상처리구역(111, 112, 113)의 하단에 연결된 기포공급관(210, 220, 230)으로 연료가스로 이루어진 미세기포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포공급관(210, 220, 230)에 구비되어진 기포 공급 밸브(211, 221, 231)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포발생수단(2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부상처리구역(111, 112, 113) 내에 존재하는 오일액적 등의 부유물을 접착 부상시킬 수 있는 크기의 미세기포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부상처리구역(111, 112, 113) 내에 공급된 미세기포는 유수 내 존재하는 오일 등의 부유물에 만나 부착되며, 부유물에 일정 이상의 미세기포가 부착될 경우 부력에 의해 부상처리구역의 상단에 형성된 수면 위로 미세기포를 포함한 부유물이 부상된다.
상기 부상물 제거장치(120)는 부상처리구역 상단에 형성된 부상부유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벨트 오일 제거 장치(belt oil skimmer), 파이프 오일 제거장치(pipe oil skimmer) 및 디스크 오일 제거장치(disc oil skimme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부상처리구역의 수면에 형성된 부상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부상물 제거장치(120)는 부상처리구역 상단의 수면 위로 부상된 부상부유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부상된 부유물 처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은 다수의 부상처리구역을 거쳐 부상부유물이 제거된 1차 부유물 제거수가 보관 및 방류되는 장치로서 1차 부유물 제거수 반송관(131), 1차 부유물 제거수 반송밸브(132) 및 1차 부유물 제거수 흡입펌프(133)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수처리 장치는 상기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으로부터 상기 1차 부유물 제 거수 반송관(131)을 통해서 상기 사이클론(400) 일 측면으로 1차 부유물 제거수를 공급하여 오일액적 등 오염 부유물을 2차로 제거한 후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로 재공급하는 유수 재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사이클론(400)은 유도가스부상으로 제거된 1차 부유물 처리수를 받아 원심력에 의해 1차 부유물 제거수에 포함된 오일 등 오염물 및 침전물을 더욱 제거하게 된다. 상기 사이클론은 1차 부유 오염물이 제거된 1차 부유물 제거수를 공급받아 2차로 상기 1차 제거수의 오일 등 부유 오염물을 더욱 제거하는 것이므로 1차 제거수가 아닌 최초 유수를 사이클론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사이클론의 부하가 줄어들게 되어 운전비용 및 유지 보수율이 낮아질 수 있으며, 1차 처리된 유수를 사이클론을 통하여 1차 처리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오일액적이나 상대적으로 무거운 미세 모래, 흙 등 고체물질 등의 침전물을 분리함으로써, 가스의 기포만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어, 유수처리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하단은 사이클론공정을 통해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침전물 배출관(410)과 침전물 배출밸브(4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사이클론(400) 상단은 처리수 반송관(420)과 처리수 반송밸브(4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이클론에서 배출된 2차 처리수는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 전단을 통해 부상처리구역(111)으로 재공급되어진다. 재공급되어진 2차 처리수는 상기 부상처리구역(111,112,113)을 다시 거쳐 여분의 부상물이 제거되어지고,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를 거쳐 처리수 방류구역(140)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렇게 사이클론을 통하여 2차로 처리된 처리수가 다시 한 번 더 유도가스 부상에 의해 부유물이 분리 구획되므로 유도가스부상 분리에 의한 효율은 더 높아진다.
상기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140)은 상기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부터 부유 오염물 및 침전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이송받아 보관 및 방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후단에 처리수 이송관(141), 처리수 이송밸브 (142) 및 처리수 흡입 펌프(143)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140)과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은 구획벽(130-1)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벽(130-1) 상부를 통하여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130)의 부상물 제거수가 처리수 방류구역(140)으로 흘러 넘어오게 된다.
한편, 연료가스는 연료가스 공급관(103)에 의해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100)로 공급되며,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103)에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은 연료가스 공급밸브(104)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103)을 통해 유도가스부상처리조(100)로 공급되는 연료가스는 탄소수가 1 에서 4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화수소를 포함한 연료가스 이외에 불활성 기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103)에는 유도가스부상처리조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수단(10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압력은 2 ~ 5 기압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압력조절수단을 통하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가스 기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기압에 미치지 못할 경우, 기포의 크기는 과대해 질 수 있으며, 5 기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대비 내압용기 등의 비용이 과대해진다.
상기 미세기포 공급가스 재공급 장치(300)는 상기 유도가스부상 처리조(100) 상단에 배출된 미세기포 연료가스를 상기 기포발생수단(200)으로 재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미세기포 공급가스 재공급 장치(300)는 연료 가스 반송라인(310), 연료가스 반송밸브(311) 및 미스트 제거기(320)를 포함하며, 상기 미스트 제거기(320)는 부상처리 공정 중에 연료가스 내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 미세기포 공급가스 재공급 장치(300)는 미세기포수단에 제공되는 연료가스를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연료가스의 낭비를 막으며 추가적인 연료가스의 주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미스트 제거기는 유도가스 부상처리장치에서 연료가스를 배출할 때 가스가 이동하는 힘에 딸려서 유 수 등의 액체상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형의 디미스터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미스트 제거기(32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형의 디미스터(322)와 더불어 액체 입자가 부딪혀서 맺혀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진 면 형태의 미스트 분리판(32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미스트 분리판(321)은 연료가스가 상승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다가 1차로 꺾여 하향각을 이루며 하향하다가, 다시 한 번 더 2차로 하향으로 꺾인 형태를 이룬다. 상기 미스트 분리판의 일측은 미스트 제거기(320) 벽면에 부착되어 있고, 타측은 미스트 제거기(320) 벽면에 떨어져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다가 1차 및 2차로 꺾인 형태를 이룸으로 인해 꺾인 부분에서의 흐름은 볼텍스 및 난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볼텍스 및 난류로 인하여 기체상 중의 미스트가 서로 부딪혀 더 큰 액적을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후단에 형성된 필터형 디미스터(322)에 도달하는 오일상의 미스트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필터형 디미스터의 교체주기 혹은 세정주기를 늘릴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미스트 분리판의 1차 꺾인 각(θ1)보다 2차 꺾인 각(θ2)은 더 커야 한다. 이와 같이 1차 각도보다 2차 꺾인 각을 더 크게 함으로 인해 미스트 제거기에 흡입된 기체 흐름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볼텍스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기체 중의 미스트 들이 서로 뭉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미스트 분리판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1차 꺾인 각(θ1)의 범위는 10~35°이며, 2차 꺾인 각(θ2)은 40~70°의 범위일 수 있다. 1차 꺾인 각이 10°미만이면 기체 흐름의 방향전환 효과가 낮아지며, 35°보다 커지면 압력손실이 커진다. 2차 꺾인각이 40°보다 낮으면 기체 흐름의 방향전환 효과가 낮으며, 70°보다 크면 압력손실이 커지게 된다.
상기 미스트 분리판(321)의 길이는 미스트 제거기의 직경의 반을 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구조의 미스트 분리판(3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겹쳐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연료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가스 이동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미스트 분리판(321)은 평판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원통 실린더를 원주의 반지름 방향이 아닌 긴 축방향으로 자른 형태를 판으로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스트 분리판(321)에서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면은 위쪽에서 흘러내린 액체상을 하부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홀은 미스트 분리판(321)이 평판으로 제조된 경우에 필요하며, 원통 실린더를 긴 축방향으로 자른 형태의 미스트 분리판(321)이 사용된 경우에는 별도로 상기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상기 미스트 분리판이 원통 실린더를 긴 축방향으로 자른 형태를 사용할 경우에는, 볼록한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분리판에 부딪혀 맺혀진 액체상이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3에서 상기 미스트 분리판이 4개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미스트 분리판(321)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실질적으로는 미스트 분리판(321) 하나로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고, 또는 복수개의 미스트 분리판(321)이 상기한 방식과 같이 겹치지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미스트 분리판(32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진 면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시스템의 응집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시스템의 필터링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시스템은 응집장치(500) 및 필터링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집장치(500)는 유수 내 미세한 부상물을 응집제로 처리하여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100)내로 유수(oily water)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유수 저장조(510), 응집제 저장조(520) 및 유수와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 물을 생성하는 응집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집조(530)는 상기 유수 저장조(510)로부터 유수 배출관(511)을 통해 공급된 유수 내 부상물과 상기 응집 제 저장조(520)로부터 응집제 배출관(521)을 통해 공급된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물을 형성함으로써, 미세기포가 응집물에 부착되기 용이하도록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는 응집물의 크기를 공급되는 미세기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처리함에 따라서 미세기포의 응집물에 대한 부착확률을 증가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응집조(530)는 유수 내 포함된 부상물과 응집제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교반처리를 가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교반장치의 교반속도를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유수처리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떤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응집제를 응집조에 첨가하는 것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작업으로 첨가하거나 전술한 배출관에 응집제를 첨가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도록 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수 배출관(511)에 유수 배출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응집제 배출관에도 응집제 배출 밸브(512)가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응집조(530) 후단에 응집물을 포함한 유수를 공급하는 응집체 처리 유수 배출관(53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집제 처리 유수 배출관(531)에 응집제 처리 유수 배출 밸브(532)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응집조(530)로부터 유도가스부상처리조(100) 내로 공급하는 유수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 전술한 다른 구성으로도 응집물을 포함한 유수가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100)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처리수 방류구역(140)로부터 상기 처리수 이송관(141)을 통해서 처리수 필터링 모듈(600)로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처리수는 처리수 공급밸브(610)를 통해 처리수 필터링 장치(610)로 공급되며, 이러한 처리수 필터링 장치(610)는 넛쉘필터(Nut shell filter), 정밀여과막(micro filter) 또는 한외여과막(ultra filter)일 수 있다. 그러나, 처리수 필터링 장치(6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처리수를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필터장치라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수처리 방법은, 먼저 유수가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부상처리 구역으로 공급되고(S101), 상기 기포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구역에 미세기포를 공급하고 (S102), 유수 내 미세기포가 오일 등의 부유물과 결합하여 부유물을 부상시킨 후(S103), 상기 부상처리조 상단 에 부상된 부상 부유물을 제거한다(S104).
상기 부상처리조 상단에 배출된 미세기포 공급가스를 부상처리구역으로 재공급(S106)하는데, 상기 공급가스 재 공급 단계는 미세기포 공급가스 내 포함된 액적을 제거하는 과정(S105)을 더 포함한다.
상기 1차 부상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의 부유물 제거수는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 하단에 있는 1차 부유물 제거수 반송관을 통해 1차 부유물 제거수 흡입펌프를 이용해 사이클론에 공급된 후, 원심력에 의해서 1차 부유물 제거수 내에 포함된 오일 및 침전물을 2차로 제거한다.(S108).
상기 사이클론에서 오일 및 침전물이 제거된 2차 처리수는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 다시 공급된다(S109).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 재공급된 처리수는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구역을 다시 거쳐 미분의 오일액적 등의 부 유물을 제거시켜 처리수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사이클론에서 2차 처리된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 구역과 인접한 부상처리구역으로 재도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기 부유물 및 침전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 방류구역을 통해 처리수 흡입 펌프를 이용해 처리수 방류구역으로 공급된 후, 후단의 필터링 장치로 보내져 더욱 처리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가스 부상분리법을 유수(오일 및 고체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 및 고체 성분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정(油井)에서 원유를 추출 및 생산하는 기술 분야에 이용할 경우 유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전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11)

  1. 수평으로 긴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를 구분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으로 구분되고,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응집 및 부상시켜, 1차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 상기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벽에 형성된 유수 공급관; 상기 부상처리구역에서 부상되는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상기 부상처리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부터 부유물 제거수가 유입되는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 및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1차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을 포함하는 유도가스부상처리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상처리구역 내에 유수가 포함되지 않은 연료가스 미세기포를 제공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연료가스로부터 액체상을 제거하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으로 연료가스를 재공급하는 미스트 제거기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재공급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미스트 제거기는 미스트 분리판 및 미스트 분리판 후방에 위치하는 필터형 디미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미스트를 포함하는 연료가스가 재순환되는 통로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로상의 일 측 벽면에 부착되어 연료가스가 상승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다가 1차로 꺾여 하향 각을 이루며 하향하다가, 다시 한 번 더 2차로 하향으로 꺾인 형태로서, 상기 1차 꺾인 각(θ1)은 10~35°이고, 2차 꺾인 각(θ2)은 40~70°로 형성되며,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두 개 이상이 서로 번갈아 가며 통로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평판 혹은 원통형 실린더를 원주의 반지름 방향이 아닌 긴 축방향으로 자른 잘린 실린더관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잘린 실린더관은 볼록한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장치.
  4. 수평으로 긴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를 구분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으로 구분되고,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응집 및 부상시켜, 1차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 상기 부상처리구역에서 부상되는 오일 및 고체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상기 부상처리 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상처리구역으로부터 부유물 제거수가 유입되는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 및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과 구획벽으로 구분되며,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종 처리수 방류구역;을 포함하는 유도가스부상처리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상처리구역 내에 유수가 포함되지 않은 연료가스 미세기포만을 제공하는 기포 공급관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의 하부로부터 부유물이 1차로 제거된 1차 제거수를 공급받아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 및 침전물을 2차로 제거하는 사이클론장치; 및
    상기 사이클론 장치에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제거된 제거수를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부상처리구역으로 재공급하는 처리수 재공급 장치;를 포함하되,
    오일 및 고체 물질의 부상을 위한 미세기포는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하부에서 공급되고 상기 유수는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면에서 유입되어 미세기포와 유수가 유입되는 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상처리구역과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을 구분하는 구획벽 중 일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에 유수가 도입되기 전, 유수와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물이 포함된 유수가 생성되는 응집장치; 및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한 미스트 제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스트 제거기는 미스트 분리판 및 미스트 분리판 후방에 위치하는 필터형 디미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미스트를 포함하는 연료가스가 재순환되는 통로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로상의 일 측 벽면에 부착되어 연료가스가 상승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다가 1차로 꺾요 하향 각을 이루며 하향하다가, 다시 한 번 더 2차로 하향으로 꺾인 형태로서, 1차 꺾인 각보다 2차 꺾인 각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미스트 분리판은 두 개 이상이 서로 번갈아 가며 통로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의 상부에는 상기 용기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유도가스부상 유수처리장치.
  8. 수평형 유도가스부상처리조 내 부상처리구역을 이루는 용기의 측벽에서 유수를 공급하는 단계;
    기포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하단부로 연료가스만으로 이루어진 미세기포를 유수내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하단부로 공급된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유수 내 오일 및 고체 성분을 포함하는 부상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부상부유물이 제거된 1차 처리수를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 제거수 방류구역의 하부에서 상기 1차 처리수를 공급받아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2차로 오일 및 침전물을 제거하고, 2차 처리수를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 내 부상처리구역으로 재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부상처리구역의 상단부에서 분리된 연료가스에서 미스트를 제거하여 다시 상기 하단부의 기포발생장치로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스부상처리조에 유수가 도입되기 전, 유수와 응집제가 반응하여 응집물이 포함된 유수가 생성되는 응집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스 부상처리조에서 부상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부상처리구역이 위치한 용기내의 압력을 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2 ~ 5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방법.
PCT/KR2018/000884 2017-01-23 2018-01-19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81358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56 2017-01-23
KR10-2017-0010154 2017-01-23
KR1020170010156A KR101773379B1 (ko) 2017-01-23 2017-01-23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70010154A KR101773378B1 (ko) 2017-01-23 2017-01-23 미스트제거기를 포함하는 수평형유도가스 부상분리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895A1 true WO2018135895A1 (ko) 2018-07-26

Family

ID=6290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884 WO2018135895A1 (ko) 2017-01-23 2018-01-19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358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4544A1 (es) * 2019-11-28 2021-06-03 Ecopetrol S.A. Dispositivo de flotación compacto para tratamiento de agua - ecoflocs
CN113003749A (zh) * 2021-03-26 2021-06-22 郑州科技学院 一种食品加工业的废水预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320A (en) * 1990-07-10 1995-09-19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ystems, Inc., Usa Biological process for ground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US5484534A (en) * 1994-07-08 1996-01-16 Edmondson; Jerry M. Energy conserving method of water treatment
KR20080078866A (ko) * 2005-12-16 2008-08-28 유오피 엘엘씨 베인식 디미스터
KR20110114965A (ko) * 2010-04-14 2011-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세기포를 이용한 절삭폐수 오일 분리 장치
US20130186278A1 (en) * 2008-05-13 2013-07-25 Cimarron Energy, Inc. Separator with liquid carry-over reduction assembly
KR101773379B1 (ko) * 2017-01-23 2017-09-12 반용찬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3378B1 (ko) * 2017-01-23 2017-09-12 반용찬 미스트제거기를 포함하는 수평형유도가스 부상분리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320A (en) * 1990-07-10 1995-09-19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ystems, Inc., Usa Biological process for ground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US5484534A (en) * 1994-07-08 1996-01-16 Edmondson; Jerry M. Energy conserving method of water treatment
KR20080078866A (ko) * 2005-12-16 2008-08-28 유오피 엘엘씨 베인식 디미스터
US20130186278A1 (en) * 2008-05-13 2013-07-25 Cimarron Energy, Inc. Separator with liquid carry-over reduction assembly
KR20110114965A (ko) * 2010-04-14 2011-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세기포를 이용한 절삭폐수 오일 분리 장치
KR101773379B1 (ko) * 2017-01-23 2017-09-12 반용찬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3378B1 (ko) * 2017-01-23 2017-09-12 반용찬 미스트제거기를 포함하는 수평형유도가스 부상분리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4544A1 (es) * 2019-11-28 2021-06-03 Ecopetrol S.A. Dispositivo de flotación compacto para tratamiento de agua - ecoflocs
CN113003749A (zh) * 2021-03-26 2021-06-22 郑州科技学院 一种食品加工业的废水预处理装置
CN113003749B (zh) * 2021-03-26 2022-08-02 郑州科技学院 一种食品加工业的废水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7960B1 (en) Jet pump treatment of heavy oil production sand
EP3018101B1 (en) Dissolved air floatation device
US6074549A (en) Jet pump treatment of heavy oil production sand
US8632685B2 (en) Multistage DAF-advanced oxidation system
WO2013154234A1 (ko) 오수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0992430B1 (ko)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CN205095472U (zh) 沉降除油罐及采出水处理系统
KR101758594B1 (ko) 복합 및 선택 운전이 가능한 부상침전통합형 오폐수 처리 시스템
JPS6139880B2 (ko)
CA2596038A1 (en) Apparatus for separation of water from oil-based drilling fluid and advanced water treatment
AU694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on-soluble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773379B1 (ko)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09148265A2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부상분리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시스템
WO2013040002A1 (en)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WO2018135895A1 (ko)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EA039769B1 (ru) Линия флотации
CN107235581A (zh) 油气田含油污水处理方法及设备
CN209065558U (zh) 一种带微气泡旋流气浮的沉降罐
KR100530772B1 (ko) 2차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67199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 contaminated fluid
KR19980043088A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1825265A (zh) 油田采出水处理方法
KR101773378B1 (ko) 미스트제거기를 포함하는 수평형유도가스 부상분리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EP0826404B1 (en) Tank for deaeration of water
CN205803170U (zh) 一种含煤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413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6/09/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413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