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6065A1 -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6065A1
WO2018106065A1 PCT/KR2017/014406 KR2017014406W WO2018106065A1 WO 2018106065 A1 WO2018106065 A1 WO 2018106065A1 KR 2017014406 W KR2017014406 W KR 2017014406W WO 2018106065 A1 WO2018106065 A1 WO 20181060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nsor
band
epidermis
bump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4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건년
박광범
김원효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81060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60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4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in or on a conformable substrate or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on a specially adapted printed circuit boar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human gesture has been studied, and most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ies recognize a user's movement based on an image of a camera based on visual technology. Meanwhile, a touch method for recognizing a gesture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movement has also been studied.
  •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epidermis.
  • 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ump that transmits a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to the sensor between the first band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contact with the epidermis and the sensor that senses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 a wearable device includes a first band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the bumps receive a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 the bump array includes at least one bump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ransmits the extension or contraction and vertical pressure of the epiderm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 the bump protrudes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sensor, and concentrates and transmits the pressur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rst band trans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to the sensor.
  • the sensor array may include a base layer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pattern layer including a wiring pattern and a sensor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pattern layer to protect the pattern layer. Layer.
  • the sensor array may be a sensor for detecting deform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or a sensor for detecting deform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and o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rst band. At least one of the sensors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 the senor is a composite sensor laminated with a sensor pattern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two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pressur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array.
  • the bump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or integrally formed on the sensor array.
  • the wearable device may recognize a user's movement by sensing a physical change occurring on the epidermis of the user's body.
  • a bump is provided between the sensor and the first band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wearable device is formed, the movement of the epidermis is transmitted to the bump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first band, and the movement of the epidermis in which the bump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nd is transferred to the sensor.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arable device of FIG. 1.
  • 3 is a view showing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protrusion of the epidermis.
  •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ensor and bump arrangement of the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2.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wearable device of FIG. 6.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nsor array.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attern of the sensor shown in FIG. 6.
  • the user may wear the wearable device 1 in contact with the skin 2 of the body.
  • the wearable device 1 may be worn on a wrist of a user in the form of a band or a bracelet by using the flexible sensor array 300.
  • the wearable device 1 may detect a physical change occurring in the epidermis 2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of the user,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based on the movement, and receive information intended by the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wearable device 1 is worn on the user's wrist, and the gesture is moved by the hand, the wearable device 1 detects a change in the epidermis 2 of the wrist. By judging, information can be input.
  • the wearable device 1 may be worn on a user's wrist, and a body part on which the wearable device 1 is worn may be worn on another body part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wrist.
  • the shape of the wearable device 1 may be modified to facilitate wearing or attaching to a corresponding body par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device 1 shown in FIG. 1 is worn.
  • the wearable device 1 includes a first band 110, a bump array 200, a sensor array 300, and a second band 130.
  • the first band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urface touching the skin 2 of the body, the bump array 200 is the skin 2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 the second band 130 combines and supports the first band 110, the bump array 200, and the sensor array 300.
  • the first band 11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 the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band 110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and 110, and the protrusion 111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with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and 110. ) May be further formed.
  • the protrusion 11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pidermis 2 to form a space 120 between the epidermis 2 and the protrusions 111.
  • the space 120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epidermis 2 passes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a feeling of wearing.
  • the protrusion 111 may reduce the wear traces generated by the wearable device 1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pidermis 2.
  • the protrusion 11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receives a physical change occurring in the epidermis 2 as the muscle 3 under the epidermis 2 contracts or relaxes.
  • the protrusion 111 transmits the physical change occurring in the epidermis 2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transmit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is transmitted to the bump 210.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1 are formed so that the ends of the protrusions 111 adjacent to the ends of the protrusions 111, which are portions in contact with the skin 2, ar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force applied by the epidermis 2 is concentrated on the protrusion 111 in contact with the epidermis 2 region where the physical change has occurred.
  •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force is not distributed to the other protrusions 111 in contact with an area other than the skin 2 region where the physical change has occurred. Therefore, since the protrus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the sensitivity of the wearable device 1 that detects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may be improved.
  • the bump array 20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receives the physical change of the skin 2 transmitted to the other surface via the protrusion 111 of the first band 110, and the sensor array 300. Transfer the physical change of epidermis (2).
  • at least one bump 210 is dispos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or contraction and vertical pressures of the skin 2 trans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are provided. It passes to the sensor 310 of.
  • the bump array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or integrally formed on the sensor array 300.
  • the second band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nd the first band 110, the bump array 200, and the sensor array 300 are coupled to the second band 130.
  • the wearable sensor 310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sensor 310, the protrusion 111 of the first band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pidermis 2 by the elasticity and flexibility of the second band 130.
  • 3 is a diagram showing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user.
  • the epidermis 2 at the bottom of the wris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wrist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muscle 3.
  • the hand is bent downward or upward (see FIGS. 3B and 3C)
  • the skin 2 at the bottom of the wrist and at the top of the wrist extends or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and the user lifts the hand.
  • the skin 2 of the wrist portion extends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rist longitudinal direction.
  • the gestures shown in FIG. 3 are exemplary, and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recognize various gestures.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skin 2 protruding and highlights the movement of each component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 the protrusion 111 of the first band 110 contacts the epidermis 2 of the body.
  • the bump 21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and the sensor 310 is positioned below the bump 210.
  • a person makes a gesture with a hand for example, see FIG. 3A
  • a physical change occurs in the epidermis 2 by the movement of the muscle 3 under the epidermis 2, and wearable.
  • the device 1 detects this (see FIG. 4B).
  • the protrusion 11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is pressed in the other surface direction of the first band 110. (See arrow shown in FIG. 4B),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is convexly deformed.
  • the first band 110 receives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through the protrusion 111 and transmits the bump 210 to the bump 210 through the other surface.
  • the sensor 310 detects a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by sensing a force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nd 130 as the bump 210 moves.
  • the second band 130 supports the sensor 310 and functions as a support so that the bump 210 can sense a force applied to the sensor 310.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forms of the bump 210 shown in FIG. 4.
  • the shape of the bump 210 is not limite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quadrangle (refer to FIGS. 2 and 3A),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effectively transmit a force to the sensor 310.
  • the bump 210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ensor 310 direction F1 protrudes convexly (see FIG. 4B).
  • the bump 210 transmit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ensor 310, so that the convex protruding surface transmits a force to the sensor 310, so that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can be focused on the sensor 310.
  • the bump 210 protrudes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sensor 310, so that the pressur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transmit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to the sensor 310. Concentrate on delivery.
  • the bump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ensor 310 direction F1 protrudes in a triangular shape (see FIG. 4C). This type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bump 210 is wider than the sensor 310,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received by the bump 210 can be concent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nsor 310.
  • the bump 210 has a shap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ensor 310 direction F1 protrudes convexly,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direction F2 also protrudes convexly (see FIG. 4D). Can be formed. This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of more sensitively accepting the case wher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protrudes.
  • the bump 210 when the bump 21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and 110 and the sensor 310, when the epidermis 2 protrudes, the bump 210 concentrates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so that the sensor ( Since it is transmitted to 310,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wearable device 1.
  •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n exemplary sensor 310 and a bump 210 of the wearable device 1 shown in FIG. 2.
  • the arrows shown in FIG. 6 indicate the direction of physical changes that occur in the epidermis 2 of the user's body.
  • the arrow faci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band 110 is a physical change in which the epidermis 2 extends or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when the wearable device 1 is worn on the user's wrist (FIG. b) and (c)), and the arrow poin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first band 110 indicates the physical change in which the epidermis 2 extends or contrac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rist.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wearable device 1 of FIG. 6.
  • the plurality of bumps 210 included in the bump array 200 contact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and move toge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11 of the first band 110 moves.
  • Extension (1) or contraction (2) of the epidermis (2) is transmitted to the protrusion 111 of the first band, is transmitted to the bump 210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bump 210 The gap between them becomes far (1) or near (2).
  • the sensor 310 detects a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ump 210.
  • the sensor 310 may be selected to have a specific directional sensor 310 to measure the deformation extending or stretch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 the sensor 31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rist and the upper end of the wrist of the wearable device 1 may measure the length of the wrist (ie, FIG. 6).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measuring direction of the sensor 310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band 110 shown in FIG.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ensor array 300.
  • the sensor array 300 includes a base layer 410, a pattern layer 420, and an insulating layer 430.
  • the base layer 410 is formed of a flexible PCB (FPCB) having flexibility
  • the pattern layer 420 is a layer on which the sensor pattern 421 and the wiring pattern 422 are formed on the base layer 410 by patterning.
  • the insulating layer 430 protects the pattern layer 420 and the base layer 410 and is an insulating layer.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attern of the sensor 310 shown in FIG. 6.
  • the sensor 310 included in the sensor array 300 may be a strain gauge method capable of measuring a degree of extension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resistance of the sensor 310 changes, and by measuring the resistance change,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can be detected.
  • the sensor array 3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deform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first band 110 or deform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band 110. At least one of the sensor 310 for sensing or the sensor 310 for sensing the pressur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rst band (110).
  • the complex sensor 450 includes three different sensors 310 in one sensor 310 region, and each sensor 310 can measure horizontal, vertical and vertical axis pressures, respectively, so that the sensor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of the point measured by 310. That is, the composite sensor 450 is a sensor 310 in which a sensor pattern for measuring deformation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and pressur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array is stacked.
  • the composite sensor 450 having such a structure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physical change of the epidermis 2 is frequent, and thus, the extension sensor may detect the extension or contrac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epidermis 2 at once.
  • the complex sensor 450 occupies a small area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array 300, the width of the wearable device 1 may be narrowly design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표피에 닿는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밴드,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전달받는 복수의 범프들을 포함하는 범프 어레이, 상기 복수의 범프들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 및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범프 어레이와 상기 센서 어레이가 결합되고 지지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처리기능을 갖는 장치를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분야가 개척되었으며, 웨어러블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람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제스처 인식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제스처 인식 기술은 시각 기술에 기반하여 카메라의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한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접촉식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신체의 표피와 접촉하는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표피와 접촉하는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밴드와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사이에,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센서로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전달하는 범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신체의 표피에 닿는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밴드,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전달받는 복수의 범프들을 포함하는 범프 어레이, 상기 복수의 범프들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 상기 제1 밴드, 상기 범프 어레이 및 상기 센서 어레이가 결합되고 지지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범프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가 배치되어,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피의 연장 또는 수축 및 수직압력을 상기 복수의 센서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범프는 상기 센서를 향하는 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밴드의 면에 수직하는 압력을 센서로 집중하여 전달한다.
또한, 상기 센서 어레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센서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패턴층을 보호하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어레이는 상기 제1 밴드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제1 밴드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제1 밴드의 면에 수직하는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직교하는 두 방향의 변형 및 상기 센서 어레이 면에 수직한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센서패턴을 적층한 복합센서이다.
또한, 상기 범프는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 어레이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표피에 발생하는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표피와 접촉하는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돌출부들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밴드와 센서 사이에 범프를 구비하여, 표피의 움직임이 제1 밴드의 돌출부를 통해 범프로 전달되고, 범프가 제1 밴드로 전달되는 표피의 움직임을 센서로 집중하여 전달함으로써,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웨어러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표피의 물리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표피가 돌출되는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범프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예시적인 센서와 범프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센서 어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센서의 예시적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신체의 표피(2)에 웨어러블 장치(1)가 접촉하도록 착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플렉서블(flexible) 센서 어레이(300)를 이용하여 밴드 또는 팔찌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움직임에 따른 표피(2)에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결정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고, 손을 움직여 제스처를 취하면 웨어러블 장치(1)가 손목의 표피(2) 변화를 감지하여 어떤 제스처인지 판단함으로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1)가 착용되는 신체부위는 손목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신체부위에 착용 또는 부착이 용이하도록 웨어러블 장치(1)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는 제1 밴드(110), 범프 어레이(200), 센서 어레이(300), 제2 밴드(130)를 포함한다.
제1 밴드(110)는 신체의 표피(2)에 닿는 일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돌출부(111)가 형성되며, 범프 어레이(200)는 제1 밴드(110)의 타면으로부터 표피(2)의 물리적인 변화를 전달받는 복수의 범프(210)들을 포함하고, 센서 어레이(300)는 복수의 범프(210)들을 통해 전달되는 표피(2)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310)들을 포함하며, 제2 밴드(130)는 제1 밴드(110), 범프 어레이(200) 및 센서 어레이(300)를 결합하고 지지한다.
제1 밴드(110)는 유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돌출부(111)는 제1 밴드(110)와 동일한 재질로 제1 밴드(110)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밴드(110)와 상이한 재질로 제1 밴드(110)의 일면에 돌출부(111)를 추가로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밴드(11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111)는 표피(2)에 직접 접촉하여, 표피(2)와 돌출부(111)들 사이에 공간(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120)은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시, 표피(2)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외부로 통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1)는 웨어러블 장치(1)가 표피(2)에 밀착되어 발생하는 착용흔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밴드(11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111)는 표피(2) 아래의 근육(3)이 수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표피(2)에 발생하는 물리적인 변화를 전달받는다. 돌출부(111)는 표피(2)에 발생하는 물리적인 변화를 제1 밴드(110)의 타면으로 전달한다. 제1 밴드(110)의 타면으로 전달된 표피(2)의 물리적인 변화는 범프(210)로 전달된다.
복수의 돌출부(111)는 표피(2)와 접촉하는 부분인 돌출부(111)의 단부와 인접한 돌출부(111)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표피(2)의 국소 영역에 물리적 변화가 발생하면, 물리적 변화가 발생한 표피(2) 영역에 접촉한 돌출부(111)에 표피(2)가 가하는 힘이 집중된다. 이는 복수의 돌출부(111)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물리적 변화가 발생한 표피(2)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접촉하는 다른 돌출부(111)에 힘이 분산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밴드(110)의 일면에 돌출부(111)가 형성됨으로써,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치(1)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범프 어레이(200)는 제1 밴드(110)의 타면에 접촉하여, 제1 밴드(110)의 돌출부(111)를 거쳐 타면으로 전달되는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전달받고, 센서 어레이(300)로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전달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310)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210)가 배치되어, 제1 밴드(110)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피(2)의 연장 또는 수축 및 수직압력을 복수의 센서(310)로 전달한다. 범프 어레이(200)는 제1 밴드(110)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센서 어레이(30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센서 어레이(300)는 제1 밴드(110)의 돌출부(111)에서 타면으로 전달되고, 범프 어레이(200)를 통해 전달되는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한다. 센서 어레이(300)는 표피(2) 아래의 근육(3)의 배치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310)를 포함하며, 복수의 센서(310)들은 근육(3)의 밀집도를 기초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목 하단에는 손을 움직이는 근육(3)들이 밀집되어 있고, 손목 상단에는 상대적으로 근육(3)이 밀집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센서 어레이(300)의 손목 하단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센서(310)들이 밀집되고, 손목 상단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센서(310)들이 밀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센서 어레이(300)는 웨어러블 센서(310)가 착용되는 신체부위의 종류 또는 표피(2) 아래에 존재하는 근육(3)의 위치에 따라,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밴드(130)는 탄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1 밴드(110), 범프 어레이(200) 및 센서 어레이(300)가 제2 밴드(13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센서(310)를 착용하면 제2 밴드(130)의 탄성 및 유연성에 의하여 제1 밴드(110)의 돌출부(111)가 표피(2)에 밀착된다.
도 3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먹을 쥐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도 3의 (a) 참조), 손목 하단의 표피(2)는 근육(3)의 수축에 의해 손목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손을 아래로 또는 위로 굽히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도 3의 (b) 및 (c) 참조), 손목 하단과 손목 상단의 표피(2)는 손목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축되고, 사용자가 손을 회전하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도 3의 (d) 참조), 손목 부분의 표피(2)는 손목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제스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다양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표피(2)의 물리적 변화들을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표피(2)가 돌출되는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웨어러블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각 구성의 움직임을 강조하여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표피(2)에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도 4의 (a) 참조)에서, 제1 밴드(110)의 돌출부(111)는 신체의 표피(2)에 접촉하며, 제1 밴드(110)의 타면에 범프(210)가 접촉되고, 범프(210) 아래에 센서(310)가 위치한다. 이때, 사람이 손으로 제스처를 취하면(예를 들어, 도 3의 (a) 참조) 표피(2) 아래의 근육(3)의 움직임에 의해 표피(2)에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웨어러블 장치(1)가 이를 감지한다(도 4의 (b) 참조).
도 3의 (a)와 같이 표피(2)가 돌출하는 물리적 변화가 발생하면, 제1 밴드(11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111)가 제1 밴드(110)의 타면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고(도 4의 (b)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 제1 밴드(110)의 타면이 볼록하게 변형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제1 밴드(110)는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돌출부(111)를 통해 전달받고, 타면을 통해 범프(210)로 전달한다.
제1 밴드(110)의 타면이 볼록하게 변형됨에 따라, 범프(210)는 기존의 위치에서 센서(3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범프(210)의 이동에 따라, 제1 밴드(110)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받은 표피(2)의 물리적 변화가 센서(310)로 전달된다. 범프(210)가 센서(310)와 제1 밴드(11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센서(310)가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더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어, 웨어러블 장치(1)의 감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범프(210)가 위치함에 따라 제1 밴드(110)가 전달받는 힘이 범프(210)를 통해 센서(310)로 집중되어 전달되기 때문이다.
센서(310)는 범프(210)의 이동에 따라, 제2 밴드(130)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한다. 제2 밴드(130)는 센서(310)를 지지하여 범프(210)가 센서(310)로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로 기능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범프(210)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범프(210)의 형태는 사각의 단면(도 2 및 도 3의 (a) 참조)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310)에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범프(210)는 센서(310) 방향(F1)의 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도 4의 (b)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범프(210)가 센서(310) 방향으로 힘을 전달함에 있어서, 볼록한 돌출면이 센서(310)에 힘을 전달하게 되므로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센서(310)에 집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범프(210)는 센서(310)를 향하는 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1 밴드(110)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밴드(110)의 면에 수직하는 압력을 센서(310)로 집중하여 전달한다.
또한, 범프(210)는 센서(310) 방향(F1)의 면이 삼각으로 돌출되는 형태(도 4의 (c)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범프(210)가 센서(310)보다 넓은 경우에, 범프(210)가 전달받는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센서(310)에 집중하여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범프(210)는 센서(310) 방향(F1)의 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고 제1 밴드(110) 방향(F2)의 면 또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도 4의 (d)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제1 밴드(110) 타면이 돌출되는 경우를 더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밴드(110)와 센서(310) 사이에 범프(210)가 위치함으로써, 표피(2)가 돌출되는 경우에 범프(210)가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집중하여 센서(310)에 전달하게 되므로 웨어러블 장치(1)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의 예시적인 센서(310)와 범프(210)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는 사용자 신체의 표피(2)에 발생하는 물리적인 변화의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밴드(110)의 폭 방향(W)을 향하는 화살표는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 손목의 길이방향으로 표피(2)가 연장 또는 수축하는 물리적 변화(도 3의 (b) 및 (c) 참조)를 나타내고, 제1 밴드(110)의 길이방향(L)을 향하는 화살표는 손목의 둘레 방향으로 표피(2)가 연장 또는 수축하는 물리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11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11)는 m by n의 매트릭스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1)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범프(210)가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센서(310)의 인접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111) 위치에만 범프(210)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2)에 제1 밴드(110)의 폭 방향(W)으로 연장(①) 또는 수축(②)되는 변화가 발생하면, 제1 밴드(110)의 돌출부(111)는 표피(2)와 접촉하여 표피(2)가 연장(①) 또는 수축(②)하는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제1 밴드(110)의 재질이 유연성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돌출부(111)와 돌출부(11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변형이 가능하다.
범프 어레이(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범프(210)들은 제1 밴드(110)의 타면에 접촉하여, 제1 밴드(110)의 돌출부(111)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표피(2)의 연장(①) 또는 수축(②)이 제 1밴드의 돌출부(111)로 전달되고, 제1 밴드(110)의 타면에 접촉된 범프(210)까지 전달되어, 범프(210)들의 간격이 멀어지거나(①) 또는 가까워진다(②). 센서(310)는 이러한 범프(210)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밴드(110)의 길이 방향으로 표피(2)가 연장 또는 수축하는 물리적 변화를 측정함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피(2)의 연장 또는 수축을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310)는 특정한 방향으로 연장 또는 신축되는 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특정한 방향성을 갖는 센서(310)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b) 및 (c) 의 제스처를 측정하기 위해서, 웨어러블 장치(1)의 손목 하단과 손목 상단에 배치되는 센서(310)는, 손목의 길이방향(즉, 도 6에 도시된 제1 밴드(110)의 폭 방향(W))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센서(310)의 측정방향을 손목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에 손목의 폭 방향(즉, 도 6에 도시된 제1 밴드(110)의 길이 방향(L))과 나란하게 배치한 센서(310)와, 손목의 길이방향(즉, 도 6에 도시된 제1 밴드(110)의 폭 방향(W))과 나란하게 배치된 센서(310)를 동시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의 (d)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뒤트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손목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표피(2)의 연장이 발생하므로,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센서(310)에서 표피(2)의 물리적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가 손을 뒤트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도 3의 (d) 참조)도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센서 어레이(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레이(300)는 베이스층(410), 패턴층(420), 절연층(43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층(410)은 유연성을 갖는 FPCB(Flexible PCB) 등으로 형성되며, 패턴층(420)은 베이스층(410) 상에 패터닝 방식으로 센서패턴(421) 및 배선패턴(422)이 형성되는 층을 말하고, 절연층(430)은 패턴층(420)과 베이스층(410)을 보호하고 절연기능을 하는 층이다.
패턴층(420)에 패터닝된 센서패턴(421)은 하나의 센서(310)로 기능한다. 따라서 센서 어레이(300)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310)들 각각은 패터닝을 통하여 형성된다. 센서패턴(421)을 포함하는 패턴층(420)과 절연층(430)은 베이스층(4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층(410)의 일면과 타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센서(310)의 예시적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 어레이(300)에 포함되는 센서(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방식일 수 있다. 센서(310)의 측정방향(화살표)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면 센서(310)의 저항이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300)는 제1 밴드(110)의 길이 방향(L)과 동일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310) 또는 상기 제1 밴드(110)의 폭 방향(W)과 동일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310) 또는 상기 제1 밴드(110)의 면에 수직하는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31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가로방향(a)의 센서패턴(421)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을 민감하게 감지하고, 세로방향(b)의 센서패턴(421)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을 민감하게 감지하며, 회전방향(c)의 센서패턴(421)은 센서 어레이(300) 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가로방향(a), 세로방향(b), 회전방향(c)의 센서패턴(421)이 위아래로 중첩되어 복합센서(450)(도 8의 (d)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합센서(450)는 베이스층(410) 상에 가로방향 패턴(421.a)이 형성되고, 절연층(430)이 형성되고, 세로방향 패턴(421.b)이 형성되고, 절연층(430)이 형성되며, 회전방향 패턴(421.c)이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절연층(430)이 형성되어, 하나의 센서(310)가 형성될 넓이에 3개의 다른 센서(310)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센서(450)는 하나의 센서(310)영역에 3개의 다른 센서(310)를 포함하며, 각 센서(310)는 가로방향, 세로방향, 수직 축 압력을 각각 측정할 수 있어, 센서(310)가 측정하는 지점의 표피(2)의 물리적 변화를 더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복합센서(450)는 직교하는 두 방향의 변형 및 상기 센서 어레이 면에 수직한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센서패턴을 적층한 센서(310)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복합센서(450)는 표피(2)의 물리적 변화가 빈번한 지점에 위치하여, 표피(2)의 연장 또는 수축 및 돌출을 한번에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합센서(450)는 센서 어레이(300) 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으므로 웨어러블 장치(1)의 폭을 좁게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7)

  1. 신체의 표피에 닿는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밴드;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전달받는 복수의 범프들을 포함하는 범프 어레이;
    상기 복수의 범프들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표피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 및
    상기 제1 밴드, 상기 범프 어레이 및 상기 센서 어레이가 결합되고 지지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프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가 배치되어,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피의 연장 또는 수축 및 수직압력을 상기 복수의 센서로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상기 센서를 향하는 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밴드의 면에 수직하는 압력을 센서로 집중하여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레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센서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패턴층을 보호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레이는
    상기 제1 밴드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제1 밴드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제1 밴드의 면에 수직하는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직교하는 두 방향의 변형 및 상기 센서 어레이 면에 수직한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센서패턴을 적층한 복합센서인 웨어러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상기 제1 밴드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 어레이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PCT/KR2017/014406 2016-12-09 2017-12-08 웨어러블 장치 WO20181060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69A KR102224736B1 (ko) 2016-12-09 2016-12-09 웨어러블 장치
KR10-2016-0167869 2016-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6065A1 true WO2018106065A1 (ko) 2018-06-14

Family

ID=6249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406 WO2018106065A1 (ko) 2016-12-09 2017-12-08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4736B1 (ko)
WO (1) WO201810606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642A (ko) * 2007-10-04 2009-04-08 박가람 팔찌형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키 입력방법
KR20140078704A (ko) * 2011-09-24 2014-06-25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인공 피부 및 탄성 스트레인 센서
KR20150112741A (ko) * 2014-03-27 2015-10-07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KR20150121938A (ko) * 2014-04-22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2674A (ko) * 2014-12-30 2016-07-08 임머숀 코퍼레이션 가변적인 물리적 속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햅틱 웨어러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8819B2 (en) 2003-11-17 2010-06-01 Sony Corpo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input device control method
HUP0600892A2 (en) * 2006-11-30 2008-06-30 Pazmany Peter Katolikus Egyete Elastic cover for tactile sensors and tactile sensing arrangement with elastic cov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642A (ko) * 2007-10-04 2009-04-08 박가람 팔찌형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키 입력방법
KR20140078704A (ko) * 2011-09-24 2014-06-25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인공 피부 및 탄성 스트레인 센서
KR20150112741A (ko) * 2014-03-27 2015-10-07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KR20150121938A (ko) * 2014-04-22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2674A (ko) * 2014-12-30 2016-07-08 임머숀 코퍼레이션 가변적인 물리적 속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햅틱 웨어러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18A (ko) 2018-06-19
KR102224736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7356B (zh) 一種三維觸控裝置
WO2017061799A1 (ko) 압력 감지 의자
KR101618301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WO2015002341A1 (en) Smart watch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3081320A1 (ko) 보행 진단을 위한 신발 인솔 센서 및 이와 접촉되는 신발 인솔 기판
WO2018004129A1 (ko) 압력 감지 센서
WO2014014240A1 (ko)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7204514A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WO2017183922A1 (ko) 압력 감지 센서
WO2020122272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스처 인식 방법
WO2017114277A1 (zh) 柔性印刷电路板及具有其的智能手套
US10884504B2 (en) Wearable wrist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a physical change in the epidermis and wirelessly inputting sensor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18106065A1 (ko) 웨어러블 장치
JP2020169982A5 (ko)
WO2015147407A1 (ko) 표적판용 다중 접점식 위치 감지 장치
WO2019103435A1 (ko) 핸드제스처 인식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레이어
CN107454949B (zh) 一种运动传感装置、方法及穿戴模块
WO2018101667A2 (ko) 손가락 마디 간 착용형 반지 타입의 사용자 조작 센싱 장치
SE521283C2 (sv) Anordning för inmatning av styrsignaler till en elektronisk apparat
WO2017010653A1 (ko) 방향 감지 장치
KR101219733B1 (ko) 직물형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접촉 감지방법
CN109820266A (zh) 一种手指弯曲识别手套
WO2018116424A1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WO2019107620A1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404532B1 (ko) 글러브형 모션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81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81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