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8781A1 -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8781A1
WO2018088781A1 PCT/KR2017/012560 KR2017012560W WO2018088781A1 WO 2018088781 A1 WO2018088781 A1 WO 2018088781A1 KR 2017012560 W KR2017012560 W KR 2017012560W WO 2018088781 A1 WO2018088781 A1 WO 20180887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vacuum cleaner
rotating
suction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5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철웅
Original Assignee
우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철웅 filed Critical 우철웅
Publication of WO20180887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87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jet device mounted to a vacuum cleaner.
  •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ollects dust by using suction force of a vacuum motor to automatically collect dust, and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is one of essential items in a home or office.
  • Conventional vacuum cleaners generally include a main body in which a dust collecting space in which a dust collecting filter bag is mounted and a vacuum generating space in which a vacuum motor is installed are partitioned by an internal partition wall, a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space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dust moving path; A grip handle tube connected to the corrugated pipe and provided with a controller, a multi-stage length control tube connected to the grip handle tube and forming a dust movement path, and a suction head connected to the multi-stage length control tube to actually suck external dust.
  • a grip handle tube connected to the corrugated pipe and provided with a controller, a multi-stage length control tube connected to the grip handle tube and forming a dust movement path, and a suction head connected to the multi-stage length control tube to actually suck external dust.
  •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can be forcibly sucked in the dust or the like to automatically collect, for example, between window frames.
  • a cleaning part such as a vacuum cleaner cannot transfer suction power and dust is attached to a cleaning surface such as a car interior, dust between the vanity accessories may not be properly cleaned by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motor.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7437 name of the invention: vacuum cleaner with an air spray function
  • a vacuum motor oper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o inject air when necessary
  •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for use as an air compressor.
  •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air injection function operates in one of the air intake mode and the air injection mod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is scattered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inj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injection apparatu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uction hose of the existing vacuum cleaner, without changing the new vacuum clean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jetting device capable of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cattered at the same time as air jetting.
  • the air injection device is mounted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body is mounted so that one end is detachable to the suction hose of the vacuum cleaner; And a second main body positioned at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main body and injecting air to the outside, wherein the first main body includes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at the other end; And a first rotating part positioned inside the first body and rotating by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nd the second main body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main body and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part.
  • a second rotating unit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An air inlet port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rotating unit; And an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discharg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jection apparatus mounted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injection apparatus mounted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ir jet device 10 mounted to a vacuum clean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jection apparatus 10 mounted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injection apparatus 10 mounted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ir injection apparatus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injection apparatus 10”) mounted o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 the air injector 10 is positioned at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first body 100,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uction hose 20 of the vacuum cleaner, and a second body for injecting air ( 200).
  • the first body 100 is located inside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first body 10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at the other end,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It includes a first rotating part 130 to rotate.
  • the first body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mounting hole 120 formed at one side and the suction port 110 formed at the other sid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mounting hole 120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hose 20 of the vacuum cleaner and mounted to the vacuum cleaner, and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receives the first body 100.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hose (20).
  • the first rotating unit 130 may be rotated by the flow of air moved from the suction port 110 to the mounting hole 120.
  • the first main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fixing part 160 provided at one en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ction hose 20 of the vacuum cleaner.
  • the main body fixing unit 160 may fix the first main body 10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uction hose 20.
  • the body fixing part 16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xing part which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etachable method generally used to extend the suction hose 20 of the vacuum cleaner or to mount the suction head.
  • the second main body 20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main body 200,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part 13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30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outside air;
  • the air inlet 21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rotating unit 230, and the air outlet 220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210 is discharged.
  • the second main body 200 generates suction force as the second rotary part 230 rotates,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air inlet 21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nd flows into the air outlet 220. Can be discharged.
  • the second body 200 has an air inlet 2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 first flow pipe 201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unit 230; And a second flow tube 202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220 through which the first flow tube 201 is disposed inside, and the air introduced into one end of the first flow tube 201 is discharged at the other end thereof. .
  •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low pipe 201 may be injected into the air discharge port 220 through a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ow pipe 20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ow pipe 202.
  • the flow direction of air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irst flow tube 201 and the second flow tube 202.
  • the second flow pipe 202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as the other end toward the end, thereby injecting high-pressure ai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220 formed on the other end.
  • the inlet port 110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air outlet port 220 of the second body 200 may b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dust or foreign matter scattered by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2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10.
  • the air injectio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n air nozzle part 270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mounted at one end thereof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air discharge port 220.
  • the air nozzle unit 27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having the same diame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nozzle unit 270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is, the air nozzle unit 270 may vary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to which the air is injected, thereby varying the pressure and shape to which the air is injected.
  • the diameter of the air nozzle unit 270 may be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end, and when the air nozzle unit 270 is mounted, the air nozzle unit 270 may spray high pressure air.
  • the air nozzle unit 270 may have an end portion formed to be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nside the air nozzle unit 270. Can inject air.
  • the air injection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13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30, and the rotating shaft 140 and the first rotating part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30 to the second rotating part 230.
  • the rotating shaft 14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130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230, respectively, the rotating shaft 140 includes a bearing 250 for rotatably supporting.
  • the rotation shaft 140 may have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inner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100,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inner lower part of the second flow tube 202.
  • the bearing shaft 250 is position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low tube 20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140 is connect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140 may be smoothly rotated.
  • the rotation shaft 140 may be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body 100, the first flow tube 201, and the second flow tube 202, and the bearing 250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40 penetrates. Can be connected.
  • the rotating shaft 140 When the first rotating part 130 is rotat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the rotating shaft 14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rotating part 13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3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shaft 140 is The same rotation as the first rotation unit 1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uction force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air inlet 210.
  •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units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ne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40 and a rotation hole 131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40 passes. Can be.
  • the first rotating part 13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hole 131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140 penetrates up and down, and four wing portions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140. Can be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wings may be provided with four or less or four or more.
  • the second rotating part 23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rotating part 130.
  • first and second rotation units 230 may be impellers that suck or blow air by rotation.
  • suction port 120 mounting hole
  • bearing 160 body fix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는 일단부가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본체; 및 제1 본체의 둘레부에 위치하고, 외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되, 제1 본체는 타단부에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제1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흡입구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2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회전부; 제2 회전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진공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강제흡입하여 자동으로 포집하는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생활필수품 중 하나인 가전제품이다.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집진필터백이 장착되는 집진공간과 진공모터가 설치되는 진공발생공간이 내부 격벽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집진공간과 연결되고 먼지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주름관과, 주름관에 연결되고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파지손잡이관과, 파지손잡이관에 연결되고 먼지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다단길이조절관과, 다단길이조절관에 연결되고 외부먼지를 실제 흡입하는 흡입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파지손잡이관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진공모터를 작동시킬 경우에, 진공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헤드를 통해 강제흡입된 후, 다단길이조절관, 파지손잡이관 및주름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된 다음, 강제흡입된 먼지 등은 집진필터백 내에 포집되고 강제흡인된 실내공기는 집진필터백을 관통하여 본체의 외부로 다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간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일방향으로만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가 적용됨에 따라, 진공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강제흡입하여 자동으로 포집할 수는 있지만, 예를 들어 창틀 사이와 같이 진공모터의 흡입력이 전달될 수 없는 청소부위, 자동차 실내와 같이 청소면에 먼지 등이 부착된 경우, 화장대 소품 사이의 먼지 등의 경우에는 진공모터의 흡입력만으로는 제대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77437호(발명의 명칭: 공기분사기능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에서는, 정역방향으로 작동가능한 진공모터를 적용하여 필요시 공기를 분사시키는 에어컴프레셔로 활용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기분사기능이 구비된 진공청소기는 공기를 흡입 모드 및 공기를 분사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여, 공기분사를 통해 공기 중으로 먼지 등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분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기능이 구비된 진공 청소기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로운 진공 청소기의 변경없이, 기존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에 장착 가능한 공기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분사와 동시에, 비산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공기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는 일단부가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본체; 및 제1 본체의 둘레부에 위치하고, 외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되, 제1 본체는 타단부에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제1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흡입구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2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회전부; 제2 회전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새로운 진공 청소기의 변경없이, 기존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에 공기 분사 장치를 장착하여, 새로운 진공 청소기 구매없이 공기 분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분사와 동시에, 비산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1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10)(이하, '공기 분사 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분사 장치(10)는 일단부가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20)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본체(100) 및 제1 본체(100)의 둘레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분사하는 제2 본체(20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본체(100)는 타단부에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 및 제1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2을 참조하면, 제1 본체(100)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장착구(120)와 타측에 형성된 흡입구(110)가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장착구(120)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20)에 삽입되어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고, 진공 청소기를 작동 시킬 경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제1 본체(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130)는 흡입구(110)에서 장착구(120)로 이동되는 공기의 유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100)는 일단부에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20)에 착탈되도록 구비된 본체 고정부(16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체 고정부(160)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20)에 장착구(120)가 삽입된 경우, 제1 본체(100)가 흡입호스(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 고정부(160)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20)를 연장 또는 흡입 헤드가 장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착탈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고정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체(200)는 제2 본체(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회전부(1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회전부(230), 제2 회전부(230)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10), 및 공기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2 본체(200)는 제2 회전부(230)가 회전함에 따라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21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200)는 타단부에 공기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 회전부(230)가 위치하는 제1 유동관(201); 및 내부에 제1 유동관(201)이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부에 제1 유동관(201)의 일단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20)가 형성된 제2 유동관(2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동관(20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동관(201)의 외주면과 제2 유동관(20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공기 토출구(220)로 분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동관(201)과 제2 유동관(202)을 공기의 유동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제2 유동관(202)은 타단이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타단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100)의 흡입구(110)와 제2 본체(200)의 공기 토출구(220)는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분사된 공기로 인해 비산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흡입구(11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분사 장치(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공기 토출구(220)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에어 노즐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노즐부(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에어 노즐부(27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노즐부(270)는 공기가 분사되는 단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공기가 분사되는 압력 및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에어 노즐부(270)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 노즐부(270)를 장착할 경우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노즐부(270)는 단부가 에어 노즐부(270)의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의 수직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 노즐부(270)를 장착할 경우 넓은 지역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23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 분사 장치(10)는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230)에 연결되고, 제1 회전부(130)의 회전력을 제2 회전부(230)로 전달하는 회전축(140) 및 제1 회전부(130)의 상부 및 하부와 제2 회전부(2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회전축(14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50)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140)은 상단부가 제1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제2 유동관(202)의 내측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40)이 연결되는 제1 본체(100)의 내측 상부 및 제2 유동관(202)의 내측 하부에는 베어링(250)이 위치하여 회전축(14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0)은 제1 본체(100), 제1 유동관(201), 및 제2 유동관(202)을 관통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회전축(140)이 관통된 부분에는 베어링(250)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40)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제1 회전부(130)가 회전될 경우, 제1 회전부(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축(140)의 하부에 연결된 제2 회전부(230)는 제1 회전부(130)와 동일한 회전하여, 공기 유입구(21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회전부(230)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소정을 각도를 가지고 복수개 배치되어 형성된 날개부 및 회전축(140)이 관통되는 회전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회전부(13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축(140)이 관통되는 회전홀(131)이 형성되고, 회전축(140)의 둘레부를 따라 반원형상의 4개의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날개부의 개수는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230)는 제1 회전부(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1 및 제2 회전부(23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송풍하는 임펠러일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 부호]
10 : 공기 분사 장치
100 : 제1 본체
110 : 흡입구 120 : 장착구
130 : 제1 회전부 131 : 회전홀
140 : 회전축
150 : 베어링 160 : 본체 고정부
200 : 제2 본체 201 : 제1 유동관
202 : 제2 유동관
210 : 공기 유입구 220 : 공기 토출구
230 : 제2 회전부 250 : 베어링
270 : 에어 노즐부

Claims (10)

  1.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가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분사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는
    타단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타단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회전부가 위치하는 제1 유동관을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내부에 상기 제1 유동관이 위치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유동관의 일단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제2 유동관를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에어 노즐부을 더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부는
    단부가 공기 분사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부로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을 각도를 가지고 복수개 배치되어 형성된 날개부; 및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홀을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및 제2 회전부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송풍하는 임펠러인 것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일단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에 착탈되도록 구비된 본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PCT/KR2017/012560 2016-11-08 2017-11-08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WO20180887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00A KR20180051287A (ko) 2016-11-08 2016-11-08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KR10-2016-0148400 2016-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781A1 true WO2018088781A1 (ko) 2018-05-17

Family

ID=6211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560 WO2018088781A1 (ko) 2016-11-08 2017-11-08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1287A (ko)
WO (1) WO201808878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020A (ko) * 1997-10-28 1999-05-15 윤홍구 진공청소기의 공기배출장치
KR20000011180A (ko) * 1998-07-13 2000-02-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장해물검출장치
KR200255748Y1 (ko) * 2001-06-01 2001-12-13 장진식 분사식(噴射式) 집진 후드
JP2005278899A (ja) * 2004-03-30 2005-10-13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電気掃除機のブロワノズル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60106236A (ko) * 2005-04-07 2006-10-12 강종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020A (ko) * 1997-10-28 1999-05-15 윤홍구 진공청소기의 공기배출장치
KR20000011180A (ko) * 1998-07-13 2000-02-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장해물검출장치
KR200255748Y1 (ko) * 2001-06-01 2001-12-13 장진식 분사식(噴射式) 집진 후드
JP2005278899A (ja) * 2004-03-30 2005-10-13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電気掃除機のブロワノズル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60106236A (ko) * 2005-04-07 2006-10-12 강종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87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311B1 (ko) 진공청소기
WO2012044114A2 (ko) 천정형 에어컨 세정장치
KR19980023805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구동장치
KR101411712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US20050108846A1 (en) Vent cleaning system
WO2019231158A1 (ko) 청소기
CN107348894A (zh) 一种表面清洁器
JPH11206629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WO2018088781A1 (ko)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공기 분사 장치
WO2016105076A1 (ko)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342797A (zh) 吸尘器滚刷
KR20060106236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1456961B1 (ko) 회전 브러시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 노즐
CN108135411B (zh) 真空吸尘器用吸尘器头及真空吸尘器
JPH0228855Y2 (ko)
KR102081942B1 (ko) 청소기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WO2019182410A1 (en) Vacuum cleaner
KR20090121813A (ko) 청소기의 노즐
KR100400567B1 (ko) 진공청소기
KR100199933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WO2024034831A1 (ko) 진공 청소기
WO2021015532A1 (ko) 진공청소기
WO2023153581A1 (ko) 청소기
KR102570849B1 (ko) 차량용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0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00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