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8349A1 -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8349A1
WO2018038349A1 PCT/KR2017/004545 KR2017004545W WO2018038349A1 WO 2018038349 A1 WO2018038349 A1 WO 2018038349A1 KR 2017004545 W KR2017004545 W KR 2017004545W WO 2018038349 A1 WO2018038349 A1 WO 20180383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nsing data
predetermined
user
rang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5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주욱
김홍진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310,63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182792A1/en
Publication of WO20180383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83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0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converged personal network application service interworking, e.g. OMA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s [CP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connection technology of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user context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hereto.
  • Wi-Fi speeds up data processing faster than 3G, and is generally cheaper than using existing cellular networks even if there are no separate communication charges or charges according to enforcement policies. Can be utilized.
  • a Wi-Fi enabled user terminal searches for an access point (AP) providing a Wi-Fi service and accesses a wireless data network.
  • AP access point
  • the technology includes a Wi-Fi module that searches for at least one accessible AP that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nd accesses the selected AP according to the control to perform data service; A positioning module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current terminal; A memory module for storing or updating the location-based A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nd generating or updating the location-based AP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AP connected from the Wi-Fi module based on the terminal location identified in the location module, and requesting a data ser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a Wi-Fi inactive state.
  • Cellular and Wifi networks available Start the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by determining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movement, the change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ambient noise, and selectively connects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 user context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that enable economical and fast data service.
  •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collects the sensing data including the external noise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using the sensing data to determine the user situation, the user Recording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in user context information; And whenever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is changed, selecting and connecting a predetermined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user situation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 the user's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movement, the change in the current position, the ambient noise, and the like, to generate user context information, and selectively connect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users to use economical and fast data services.
  • FIG. 1 is a schematic process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user contex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9 are flowcharts of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user contex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by determining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movement, the change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ambient noise, and selectively connects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Enables economical and fast data services.
  • FIG. 1 A schematic procedure of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user contex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nsor group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receiving module, a microphone for sensing a user's movement, movement, ambient noise, and the like.
  • a sensor group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receiving module, a microphone for sensing a user's movement, movement, ambient noise, and the like.
  • the context manager which is an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sensing data through the sensor group, generates a user context indicating a user's state, and connects a preset network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 the user terminal may automatically connect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economical and fast data service to the user,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memory unit 102, a user interface unit 104, a sensor group 106, and a communication unit 114.
  • the controller 100 controls each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and serves as a context manag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mory unit 102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ler 100, and in particular, stores reference information for network connection contr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interface unit 104 provides the controller 100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 the sensor group 106 is composed of a GPS receiving module 108, a microphone sensor 110, an acceleration sensor 112, the GPS receiving module 108 receives the GPS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Provided at 100.
  • the microphone sensor 110 senses external noise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00.
  • the acceleration sensor 112 senses an acceleration change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00.
  • the communication unit 114 includes first to third communication modules 116 to 120, a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communication modules 116 to 120 includes a first cellular network (LTE) and a second cellular network ( 3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IFI)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00.
  • LTE first cellular network
  • 3G second cellular network
  • WIFI wireless Internet network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GPS data every predetermined first period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108 and record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GPS data as the first sensing data (200, 202). step).
  • the controller 100 of the user terminal senses external noise at every second period predetermined through the microphone sensor 110 and records external noise sensing data as second sensing data (steps 204 and 206).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senses the acceleration at a predetermined third perio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and records the acceleration sensing data as the third sensing data (steps 208 and 210).
  • the controller 100 generates user context information using the first to third sensing data, and accesse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etwork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s 212 and 214).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user context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s situation by using sensing data on GPS data, external noise, and acceleration, and selects and connects 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preset a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do.
  • the user's situation that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GPS data, external noise, and the sensing data on the acceleration is a bus boarding and walking, a private boarding, a subway boarding, and a location in a building.
  •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user's situation is performed for each of boarding, walking, driving, subway boarding, location in the building, and underground driving,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data, that is, the GPS, is changed (step 300).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is, the external noise sensing data, falls within the first noise range (60 to 70 dB), which is an external noise range in a relatively noisy place. (Step 302).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third sensing data has a first movement pattern (304). step).
  • the first movement pattern may belong to a relatively large first variation range of the XZ-axis variation in the acceleration sensing data and a small variation of the second variation range of the Y-axis variation.
  • the controller 100 of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ensing data is changed, the secon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first noise range (60 ⁇ 70dB), and the thir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first movement pattern, the controller 100 of the user The state is determined as the bus boarding state, and the bus boarding stat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 306).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data, that is, the GPS, is changed (step 400).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is, the external noise sensing data, falls within the second noise range (40 to 59 dB), which is an external noise range in a relatively noisy place (Ste 402).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thir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second movement pattern (404). step).
  • the second movement pattern may belong to a relatively large first variation range of the XZ-axis variation in the acceleration sensing data and a third large variation range of the Y-axis variation.
  • the controller 100 of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ensing data is changed, the secon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second noise range (40 ⁇ 59dB), and the secon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second movement pattern.
  • the state is determined as the walking state, and bus ride stat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 406).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data, that is, the GPS, is changed (step 500).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is, the external noise sensing data, belongs to the third noise range (0 to 39 dB) which is an external noise range in a relatively quiet place (Ste 502).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thir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first movement pattern (504). step).
  • the controller 100 may indicate a user's state.
  • the vehicle boarding state is determined and the vehicle boarding stat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 506).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data, that is, the GPS, is changed (step 600).
  •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is, the external noise sensing data, falls within the fourth noise range (75 to 90 dB), which is an external noise range at a relatively very noisy place. Check (step 602).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thir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first moving pattern (Ste 604).
  • the controller 100 is a user
  • the state of the subway is determined as the subway boarding state, and the subway boarding stat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 606).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data, that is, the GPS, is changed (step 700).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is, the external noise sensing data, belongs to the third noise range (0 to 39 dB), which is an external noise range in a relatively quiet place. (Step 702).
  •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thir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first movement pattern (Ste 704).
  • the controller 100 is a user.
  • the stat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driving in the basement while riding in a car, and the underground driving stat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 706).
  •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ensing data is not changed, and the second sensing data belongs to the third noise range (0 to 39 dB) and the third sensing data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moving pattern.
  • the state of the user is determined as a state located in the building,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the building is recorded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step 708).
  • the state of the building may be determined as being in the building only when the third sensing data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patterns.
  • the control unit 100 of the user terminal performs network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corresponding to the bus boarding step (steps 800 and 802).
  •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bus boarding status information may be wireless Internet.
  • the network connection is made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corresponding to the walking state (steps 804 and 806).
  •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to correspond to the walking state connects the network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network connection service.
  • the network connection is performed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 boarding state (steps 808 and 810).
  •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own riding state may be a cellular network.
  • the network connection is performed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to correspond to the subway boarding (steps 814 and 816).
  • public Wi-Fi service is provided for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bus boarding status information may be wireless Internet.
  • the network connection is performed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in operation 818 and 820.
  •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status of the building connects the network to the connection target network set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network connection service.
  • connection target network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underground driving state may be a cellular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외부소음을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상황을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는 3G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고, 통상 별도의 통신 요금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시행정책에 따라 요금이 발생하더라도 기존의 셀룰러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저렴하므로, 와이파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를 보다 스마트하게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설명하면, 와이파이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AP(Access Point)를 검색하여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를 위해 상기 AP를 검색하는 방법은 예컨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사용자가 직접 와이파이를 활성화시켜 접속 가능한 AP를 탐색하여 연결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와이파이(WiFi) AP를 자동 검색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와이파이 사용시 사용자가 직접 연결하는 불편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의 와이파이 기능을 주기적으로 켜서 AP를 탐색하므로, 사용자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량을 증가시켜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셀룰러 망 및 와이파이 망 이용 가능한 단말기 및 데이터 서비스 수행 방법을 명칭으로 하여 특허공개된 제10-2014-0085024호가 있다. 이 기술은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가능 AP를 검색하고, 상기 제어에 따라 선택된 AP에 접속하여 데이터서비스를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듈;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모듈;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위치기반 AP 정보를 저장하거나 업데이트 저장하는 메모리모듈; 및 상기 위치확인모듈에서 확인된 단말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서 접속된 상기 AP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기반 AP정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고, 와이파이 비활성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요청시, 상기 위치확인모듈에서 확인된 현재 단말 위치와 상기 저장된 상기 위치기반 AP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허용오차내 매칭 성공시 상기 와이파이모듈을 활성화시켜 매칭 성공된 상기 AP에 접속시켜 상기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하고, 매칭 실패시 상기 셀룰러망을 활성화시거나 또는 상기 매칭 성공 후 상기 와이파이모듈의 상기 AP 접속 실패시 상기 와이파이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셀룰러망을 활성화시켜 상기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셀룰러망 및 와이파이망 이용가능한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와이파이 네트워크 및 셀룰러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가 급진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지하철이나 버스에서도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만 기반하는 종래 기술은 그 효율성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 현재위치의 변화 및 주변소음 등을 토대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별하여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경제적이며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외부소음을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상황을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 현재위치의 변화 및 주변소음 등을 토대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별하여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경제적이며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야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의 절차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 현재위치의 변화 및 주변소음 등을 토대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별하여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경제적이며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의 개략적 절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 이동여부, 주변소음 등을 센싱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GPS 수신모듈, 마이크 등의 센서그룹이 구비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인 컨텍스트 매니저는 상기 센서그룹을 통해 센싱 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상태를 지시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그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이로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경제적이며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의 이동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메모리부(10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 센서그룹(106), 통신부(114)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용 단말기의 각부를 제어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컨텍스트 매니저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제어를 위한 참조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센서그룹(106)은 GPS 수신모듈(108), 마이크로폰 센서(110), 가속도 센서(112)로 구성되며, 상기 GPS 수신모듈(108)은 GPS 정보를 수신받아 현재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110)는 외부소음을 센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112)는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14)는 제1 내지 제3통신모듈(116~120)을 구비하며, 이 제1 내지 제3통신모듈(116~120) 각각은 제1셀룰러 망(LTE), 제2셀룰러 망(3G), 무선 인터넷망(WIFI) 등과 제어부(100) 사이를 연결한다.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의 절차>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의 절차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GPS 수신모듈(108)을 통해 미리 정해둔 제1주기마다 GPS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GPS 데이터에 따르는 현재 위치정보를 제1센싱 데이터로 기록한다(200,202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마이크로폰 센서(110)를 통해 미리 정해둔 제2주기마다 외부소음을 센싱함과 아울러 외부소음 센싱 데이터를 제2센싱 데이터로 기록한다(204,206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가속도 센서(112)를 통해 미리 정해둔 제3주기마다 가속도를 센싱함과 아울러 가속도 센싱 데이터를 제3센싱 데이터로 기록한다(208,210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미리 설정된 통신 네트워크를 접속한다(212,214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PS 데이터, 외부소음, 가속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지시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연결한다.
특히 상기 GPS 데이터, 외부 소음, 가속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황은, 버스 탑승 및 도보, 자가용 탑승, 지하철 탑승 및 건물내 위치 등이다.
이에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별하는 과정을 버스 탑승, 도보, 자가용 탑승, 지하철 탑승, 건물내 위치, 지하주행 상태 각각에 대해 수행하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버스 탑승>
먼저 버스 탑승 상황을 판별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제1센싱 데이터, 즉 GPS에 따른 현재위치가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300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2센싱 데이터, 즉 외부소음 센싱 데이터가 비교적 매우 시끄러운 장소에서의 외부소음범위인 제1소음범위(60~70dB)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302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1소음범위(60~70dB)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을 가지는지를 체크한다(304단계).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가속도 센싱 데이터 중 XZ축 변화량은 비교적 큰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변화량은 비교적 작은 제2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1소음범위(60~70dB)에 속하고, 상기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버스 탑승 상태로 판별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버스탑승 상태정보를 기록한다(306단계).
<도보 이동>
먼저 도보 이동 상황을 판별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제1센싱 데이터, 즉 GPS에 따른 현재위치가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400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2센싱 데이터, 즉 외부소음 센싱 데이터가 비교적 시끄러운 장소에서의 외부소음범위인 제2소음범위(40~59dB)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402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2소음범위(40~59dB)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3센싱 데이터가 제2움직임 패턴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404단계). 상기 제2움직임 패턴은 가속도 센싱 데이터 중 XZ축 변화량은 비교적 큰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변화량은 비교적 큰 제3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2소음범위(40~59dB)에 속하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2움직임 패턴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도보 이동 상태로 판별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버스탑승 상태정보를 기록한다(406단계).
<자가용 탑승>
먼저 자가용 탑승 상황을 판별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제1센싱 데이터, 즉 GPS에 따른 현재위치가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500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2센싱 데이터, 즉 외부소음 센싱 데이터가 비교적 조용한 장소에서의 외부소음범위인 제3소음범위(0~39dB)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502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1소음범위(0~39dB)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504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었고, 제2센싱 데이터가 제3소음범위(0~39dB)에 속하고,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자가용 탑승 상태로 판별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자가용 탑승 상태정보를 기록한다(506단계).
<지하철 탑승>
먼저 지하철 탑승 상황을 판별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제1센싱 데이터, 즉 GPS에 따른 현재위치가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600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2센싱 데이터, 즉 외부소음 센싱 데이터가 비교적 매우 시끄러운 장소에서의 외부소음범위인 제4소음범위(75~90dB)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602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4소음범위(75~90dB)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604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4소음범위(75~90dB)에 속하고, 상기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지하철 탑승 상태로 판별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지하철 탑승 상태정보를 기록한다(606단계).
<건물내 위치 또는 지하주행상태>
이제 건물내에 위치하는 상황 또는 자가용을 타고 지하를 주행하는 상태를 판별하는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제1센싱 데이터, 즉 GPS에 따른 현재위치가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한다(700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2센싱 데이터, 즉 외부소음 센싱 데이터가 비교적 조용한 장소에서의 외부소음범위인 제3소음범위(0~39dB)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702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1소음범위(0~39dB)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하는지를 체크한다(704단계).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3소음범위(0~39dB)에 속하고, 상기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한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자가용에 탑승한 채 지하를 주행하는 상태로 판별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지하주행 상태정보를 기록한다(706단계).
이와달리 상기 제1센싱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고, 상기 제2센싱 데이터가 제3소음범위(0~39dB)에 속하고, 제3센싱 데이터가 제1움직임 패턴에 속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건물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판별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건물내 위치 상태정보를 기록한다(708단계). 특히 사용자의 상태의 면밀한 검출을 위해 상기 건물내 위치 상태시에는 제3센싱 데이터가 제1 및 제2움직임 패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만 건물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판별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버스탑승 상태정보가 기록되었다면, 버스탑승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연결을 이행한다(800,802단계). 여기서, 버스 등의 대중교통에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버스탑승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연결대상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넷이 될 수 있다.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도보 상태정보가 기록되었다면, 도보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연결을 이행한다(804,806단계). 여기서, 도보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는 위치기반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에 따라, 현재위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자가용탑승 상태정보가 기록되었다면, 자가용탑승 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연결을 이행한다(808,810단계). 여기서 자가용 탑승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는 셀룰러 망이 될 수 있다.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지하철탑승 상태정보가 기록되었다면, 지하철탑승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연결을 이행한다(814,816단계). 여기서, 버스 등의 대중교통에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버스탑승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연결대상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넷이 될 수 있다.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건물내위치 상태정보가 기록되었다면, 건물내위치 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연결을 이행한다(818,820단계). 여기서, 건물내위치 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는 위치기반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에 따라, 현재위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지하주행 상태정보가 기록되었다면, 지하주행 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연결을 이행한다(822,824단계). 여기서 지하주행 탑승상태에 대응되게 설정된 연결대상 네트워크는 셀룰러 망이 될 수 있다.

Claims (7)

  1. 이동용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외부소음을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상황을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에는 GPS 데이터에 따라 산출된 현재위치와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상황은 현재위치가 가변되며 미리 정해둔 제1범위의 주변소음이 있으며 미리 정해둔 제1움직임 패턴의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발생되면 버스탑승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버스탑승 상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X,Z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진 제2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에는 GPS 데이터에 따라 산출된 현재위치와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상황은 현재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며 미리 정해둔 제2범위의 주변소음이 있으며 미리 정해둔 제1움직임 패턴의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발생되면 지하철 탑승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지하철 탑승상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X,Z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진 제2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에는 GPS 데이터에 따라 산출된 현재위치와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상황은 현재위치가 가변되며 미리 정해둔 제3범위의 주변소음이 있으며 미리 정해둔 제2움직임 패턴의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발생되면 도보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도보상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위치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이며,
    상기 미리 정해둔 제2움직임 패턴은 X,Y,Z축 가속도의 변화량이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에는 GPS 데이터에 따라 산출된 현재위치와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상황은 현재위치가 가변되며 미리 정해둔 제4범위의 주변소음이 있으며 미리 정해둔 제1움직임 패턴의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발생되면 자가용 운행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자가용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X,Z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진 제2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에는 GPS 데이터에 따라 산출된 현재위치와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상황은 현재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며 미리 정해둔 제4범위의 주변소음이 있으며 미리 정해둔 제1움직임 패턴의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발생되면 지하주행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지하주행상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X,Z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진 제2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에는 GPS 데이터에 따라 산출된 현재위치와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상황은 현재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며 미리 정해둔 제4범위의 주변소음이 있으며 미리 정해둔 제1 또는 제2움직임 패턴의 가속도 센싱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으면 건물내위치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건물내위치 상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위치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X,Z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고, Y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진 제2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상기 제1움직임 패턴은 X,Y,Z축 가속도의 변화량은 미리 정해둔 제1변화량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PCT/KR2017/004545 2016-08-24 2017-04-28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WO201803834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10,639 US20190182792A1 (en) 2016-08-24 2017-04-28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by using a user contex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43A KR101780687B1 (ko) 2016-08-24 2016-08-24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KR10-2016-0107843 2016-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349A1 true WO2018038349A1 (ko) 2018-03-01

Family

ID=6003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545 WO2018038349A1 (ko) 2016-08-24 2017-04-28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82792A1 (ko)
KR (1) KR101780687B1 (ko)
WO (1) WO2018038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9981B2 (en) * 2014-05-13 2019-01-01 Hippi, Llc Portable alarm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21A (ko) * 2007-09-03 2009-03-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접속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67314A (ko) * 2008-12-11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재구성가능 단말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68584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망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40085024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셀룰러망 및 와이파이망 이용가능한 단말기 및 데이터서비스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21A (ko) * 2007-09-03 2009-03-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접속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67314A (ko) * 2008-12-11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재구성가능 단말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68584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망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40085024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셀룰러망 및 와이파이망 이용가능한 단말기 및 데이터서비스 수행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ANG, SHIH-HAU ET AL.: "Transportation Modes Classification Using Sensors on Smartphones", SENSORS 2016, vol. 16, no. 8, 19 August 2016 (2016-08-19), pages 1324, XP055467942,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mdpi.com/1424-8220/16/8/1324/ht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2792A1 (en) 2019-06-13
KR101780687B1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67382A2 (en) Method for tethering network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applying the same
WO2019117349A1 (ko) LoRaWAN 기반 대규모 시설물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서버 및 단말
WO2017099479A1 (ko)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CN101523962A (zh) 评估通信接口
WO2010053241A1 (ko) Cpns 환경에서 원거리의 종단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WO2015065138A1 (en) Distributed locker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003060A1 (ko)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0197275A1 (en) Method for installing subscriber pro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0209521A1 (ko) 확장 현실 서비스에 대해 저지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2099372A2 (en) Centr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control point thereof
WO2013109006A1 (en) Server,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00641A1 (zh) eSIM的切换方法、切换装置及终端
WO2017200148A1 (ko) 블루투스용 출입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038349A1 (ko)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르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WO2016076574A1 (ko) 단말 정보 식별 장치 및 방법
WO2020004805A1 (ko) Nan 프로토콜에 기반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022213A1 (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access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WO2021086121A1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7150781A1 (ko)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WO2019135543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021542A1 (en) Central server and charg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ving body according to user rate system using the same
WO2017122958A1 (ko) 건설기계의 미러링 제어 방법 및 미러링 시스템
WO2019199016A1 (ko) 리치 통신 스위트 서비스를 통한 비디오 공유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9098675A2 (ko) 휴대 단말용 커버
WO2023058867A1 (ko) 블루투스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37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37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