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16804A1 -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16804A1
WO2018016804A1 PCT/KR2017/007569 KR2017007569W WO2018016804A1 WO 2018016804 A1 WO2018016804 A1 WO 2018016804A1 KR 2017007569 W KR2017007569 W KR 2017007569W WO 2018016804 A1 WO2018016804 A1 WO 201801680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ilure
network
document
web serv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5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기석
최유재
Original Assignee
(주)시공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공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시공미디어
Publication of WO201801680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168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for storing a documen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for storing a document thereof, which are performed on an HTML5 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 the present invention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Center in 2015 with the fund of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ask No. R0115-15-1011, Project Name Physics Foundation for Production of Scientific Experiment Content for e-Book] Solution development].
  • the conventional web has been used to provide a web page or web site that shows a user specific information composed of text, pictures, sounds, or moving pictures.
  • the web is gradually changed into an application form, it is evolving from a web page to an application form for a computer.
  • an electronic document transmitted through the web is a standardized document, such as a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document that provides an interconnection between radios.
  • HTML is a programming language used to create documents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World Wide Web, one of the Internet services. It is developed for writing hypertext, and most web pages accessed through the web on the Internet are HTML. It is written as
  • This HTML is used to create the homepage as a command to define the font size, text color, font, graphics, document movement (hyperlink) of the document, and emphasizes hypertext, especially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Is a language created by.
  • SGML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HTML5 is the latest standard of HTML, the basic programming language used to create web documents. HTML5 enables users to enjoy colorful graphic effects on Internet browsers and freely enjoy music or video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
  • the online authoring tool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save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orked when the offline state due to a network failure while working with the document. Accordingly, the user who is working on the document has a problem of waiting until the network failure is eliminated or restarting the document work in order to continue working on the currently working document.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9896 (name of the invention: a content authoring system and a service method) uses a content authoring tool in the form of SaaS based on HTML and has one image and a table of contents in the form of a PPT.
  •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authoring content that is displayed in a single screen without being a whole video.
  • the HTML5-based online in the case of a network failure while working on a document in the HTML5-based online authoring tool, by temporarily storing a document that is working offline on a web storage, the HTML5-based online can be used continuously in the event of a network failure.
  • a user terminal on which an authoring service is performed and a document storage method thereof are provided.
  • a user terminal on which the HTML5 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online authoring service is stored, and the program It includes a processor for executing.
  • the processor executes the program, when the network detects a failure, the processor temporarily stores the document on the web storage, determines whether the failure of the network is solved, and when the failure is resolved, the temporary The stored document is stored on a database of the web server.
  • the document storage method in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HTML5-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comprising: detecting an offline state due to a failure of a network during document creation in an online state; If it is detected that the network has failed, temporarily storing the document on web storage; Determining whether a failure of the network has been resolved; And storing the document temporarily stored on the web storage in a database of a web server when the failure of the network is resolved and brought online.
  •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the offline state due to the network failure during the document work in the online state,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work and store the document.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line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a document being created online is stored in a relational database
  • FIG. 3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stored in a NoSQL databas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ocument is temporarily stored on a web storage in an offline state.
  • FIG. 5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storag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of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network failure occur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100 on which an HTML5 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is performed and a method of storing a document thereof.
  • the HTML5 provides an application cache function that enables web browsing offline.
  • the application cache of HTML5 can download and cache various web resources composing web pages such as html, css, js files, image files, font files, etc. to the client and make them available without internet connection.
  •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TML5-based online authoring tool, even if a network failure occurs while working on-line in the online state, the work is cached on the web storage 140 by temporarily storing the document on the web storage 140 This allows for continuous document operation.
  • FIGS. 1 to 4 a user terminal 100 provided with an HTML5-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line author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nline authoring system 1 includes a web server 10 and a user terminal 100.
  •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online authoring system 1 shown in FIG. 1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 the network (A)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respective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A) include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a long term (LTE) term. Evolution (WIvolution)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Internet,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ide Area Network (WAN), Personal Area Network (PAN), Bluetooth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WiFi, etc.,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LTE long term
  • Evolution (WIvolution)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 PAN Personal Area Network
  • Bluetooth Bluetooth
  •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 the web server 10 provides an HTML5-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online authoring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provides document work on an HTML5-based web browser.
  • the docum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ncept including a chart, a figure, an image, and a video as well as tex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perations such as editing and editing of any content. This is possible.
  • Web browsers are HTML5 supported browsers such as Internet Explorer, Firefox, Opera, Chrome, and Safari.
  • the web server 10 may include a separate database for storing the document in the online state.
  • the database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web server 10, and alternatively, the database may be separated and implemented as a separate storage location.
  •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online via a network and performs an online authoring service provided by the web server 10.
  •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d with the online authoring service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PC 100c, for example, such as a smartphone 100a,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100b, etc.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namely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ny type of handheld or wearable, such a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BRO) terminal, or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a document being created online is stored in a relational database
  • FIG. 3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stored in a NoSQL database.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ocument is temporarily stored on the web storage 140 in an offline state.
  •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30.
  •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web server 10 through a network.
  •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bot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device, a cable home (MoCA), an Ethernet, an IEEE1294, an integrated wired home network, and an RS-485 control devic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with a wireless LAN (W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wireless USB technology, and wireless HDMI technology.
  • the memory 120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n online authoring service.
  • the memory 120 collectively refers to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maintain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 the memory 120 may include a compact flash (CF) card, a secure digital (SD) card, a memory stick, a solid-state drive (SSD), and a micro SD.
  • CF compact flash
  • SD secure digital
  • SSD solid-state drive
  • Micro SD Micro SD
  •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s such as NAND flash memory such as cards, hard disk drives (HDDs), and optical disc drives such as CD-ROMs, DVD-ROMs, and the like. Can be.
  • the processor 130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First, the processor 130 detects that a network failure occurs while a user works on a document in an online state through an online authoring service using the user terminal 100.
  • the processor 130 recalls the web server 10 agai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f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10 as a result of the recall, it is not detected as a network failure. On the contrary, if a response is not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10 as a result of the recall, it may be determined as a failure of the network.
  • the processor 130 calls three times again.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web server 10 as a result of the recall, it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a network failure.
  • the processor 1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network failure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30 temporarily stores the document created so far on the web storage 140 of the browser. In addition, the document that the user continues working in the offline state may also be temporarily stored on the web storage 140.
  • the processor 130 may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tifying a user that a network failure has occurred.
  •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pop-up, blinking, sound, and vibr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document being created online may be stored on a relational database (RDBMS) and a No Only SQL (NoSQL)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 RDBMS relational database
  • NoSQL No Only SQL
  • the document when a document being created online due to no network failure is received at a preset time or when a storage event, which is a storage request input by a user, is received, the document is relational in the form of rows and columns of a table as shown in FIG. 3A.
  • the document may be stored on the database and in the MonSQLDB, a NoSQL database in the form of JSON in key-value format as shown in FIG. 3B.
  • the processor 130 may temporarily store the document worked up to now or the document worked on the web storage 140.
  • the temporarily stored document may be stored on the local storage of the web storage 140.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rowser is executed again after exiting from the browser, the stored document may be maintained as it is, and thus, the loss of the content of work performed offline may be prevented.
  • the processor 130 may temporarily store a document on local storage as JSON-type data in the same key-value format as the NoSQL storage method as shown in FIG. 4. have.
  • the temporarily stored data includes a key P1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al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 the temporarily stored data is stored based on the key P1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al database. Can be stored on a relational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 the continuity of work after switching to the online state can be ensured.
  • the function that requires access to the web server 10 means, for example, to utilize an external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adding a video, an image, a map, etc. provided online.
  • an external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corresponding function in an online state and continuously provide continuous document work. In contrast, if the network failure has not yet been resolved, the processor 130 may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ailure of the network has not yet been resolved.
  •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a failure of the network has been solved, and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ontinue to provide online documentation services.
  • the processor 130 stores the temporarily stored document on the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when the failure of the network is resolved.
  • FIG. 2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form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perform predetermined roles. can do.
  •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 a component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sub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Components and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os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 5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storag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flowchart of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network failure occurs.
  • Document storage method in the user terminal 100 is performed HTML5 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ile creating a document in the online state by the user (S110), the offline state due to network failure Detect (S120).
  • the user terminal 100 calls the web server 10 (S121), and if the response is not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1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all (S122), the web server 10 is set again After recalling the number of times (S123), if the response is not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10 (S124),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in the network (S125).
  • the online authoring service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S160).
  • the document is temporarily stored on the web storage 140 (S140).
  • the u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failure occurs on the network and provi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S130).
  •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failure of the network is resolved (S150).
  • the user terminal 100 may check whether the network failure is solved at each preset time.
  • the user terminal 100 resolves the failure of the network. If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d if the failure is not resol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an be generated by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network failure is solved, and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or online service. Can provide.
  • the user terminal 100 stores the document temporarily stored on the web storage 140 on the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S160).
  • the document storag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on the relational database and NoSQL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in the document being created online.
  • the document may be converted into JSON-type data in a key-value format and temporarily stored on the local storage of the web storage 140.
  • the temporarily stored data includes a key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al database of the web server 10, an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stored data may be temporarily stored based on a key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al database as it is brought online. Can be stored on a relational database.
  • steps S110 to S16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 the contents alread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user terminal 100 of FIGS. 1 to 4 may be applied to the document methods of FIGS. 5 and 6.
  • the currently written or currently created document is stored on the local storage, which is the web storage 140 of the browser, It can be used continuously even when online, so even when offline, the continuity of document operations can be guaranteed.
  • a method of storing a document in a user terminal 100 on which an HTML5-based online authoring service is performed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은 통신모듈, 상기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장애가 해소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된 상기 문서를 상기 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5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과제번호 R0115-15-1011, 과제명e-Book용 과학 실험 콘텐츠 제작을 위한 물리 기반 솔루션 개발].
일반적으로 종래의 웹(web)은 문자, 그림, 소리 또는 동영상 등으로 구성된 특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웹 페이지나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웹은 점차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단순히 웹 페이지에서 더 나아가 컴퓨터용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한편, 웹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문서는 규격화된 문서로서, 무선들 간의 상호 연결을 제공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가 대표적이다. HTML은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로서,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인터넷에서 웹을 통해 접근되는 대부분의 웹 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된다.
이러한 HTML은 문서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그래픽, 문서이동(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로서 홈페이지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며, 국제표준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에서 특히 하이퍼텍스트를 강조하여 만들어진 언어이다.
또한, HTML5는 웹 문서를 제작하는데 쓰이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인 HTML의 최신 규격으로서, HTML5를 이용하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화려한 그래픽 효과를 구현하며,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최근에는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도구가 개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저작 도구는 문서 작업 중 네트워크 장애로 인하여 오프라인 상태가 되면, 현재 작업 중인 문서를 저장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문서를 작업 중인 사용자는 현재 작업 중인 문서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장애가 해소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또는 문서 작업을 다시 새로이 시작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9896호(발명의 명칭: 콘텐츠 저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는 HTML기반에서 SaaS형태의 콘텐츠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동영상과 PPT형태의 이미지 및 목차가 하나의 전체 동영상이 아니면서도 하나의 화면으로 연동되어 보여지는 콘텐츠를 저작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도구에 있어서 문서 작업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경우, 오프라인 상에서 작업 중인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에도 문서의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은 통신모듈, 상기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장애가 해소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된 상기 문서를 상기 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문서 저장 방법은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성 중, 네트워크의 장애로 인한 오프라인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어 온라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된 상기 문서를 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업 중 네트워크 장애로 인하여 오프라인 상태가 되더라도, 문서의 계속적인 작업 및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HTML5가 지원되는 브라우저에서 작업이 가능한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추가적인 작업 없이 바로 온라인 저작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저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문서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문서가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저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HTML5에서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웹 브라우징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 캐시(Application Cache) 기능이 제공된다. HTML5의 어플리케이션 캐시는 html, css, js 파일 및 이미지 파일, 폰트 파일 등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종 웹 리소스들을 클라이언트 단으로 다운로드해서 캐싱해 둠으로써 인터넷 접속 없이 해당 리소스를 이용하게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업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여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작업 중인 문서를 웹 스토리지(140) 상에 캐싱화하여 임시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문서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저작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저작 시스템(1)은 웹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온라인 저작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network, 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A)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A)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웹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00)로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온라인 저작 서비스는 HTML5 기반의 웹 브라우저 상에서 문서 작업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문서라 함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차트, 도형과,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일체의 콘텐츠에 대한 수정, 편집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는 Internet Explorer, Firefox, Opera, Chrome, Safari 등 HTML5가 지원되는 브라우저를 의미한다.
한편, 웹 서버(10)는 온라인 상태에서 작업 중인 문서를 저장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웹 서버(1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저장 장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상에 접속하여, 웹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 PC(100c) 등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a), 노트북, 태블릿 PC(100b) 등과 같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즉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 또는 웨어러블(Wearable)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문서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문서가 웹 스토리지(140) 상에 임시 저장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먼저,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업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웹 서버(10)를 호출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웹 서버(10)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웹 서버(10)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다시 재호출한다. 재호출 결과 웹 서버(10)로부터 응답을 받은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장애로 감지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재호출 결과 웹 서버(10)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네트워크의 장애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웹 서버(10)를 호출한 후 3초 동안 응답이 없을 경우, 다시 3번을 연속하여 호출을 한다. 재호출 결과 웹 서버(10)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현재까지 작성된 문서를 브라우저의 웹 스토리지(140) 상에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오프라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하여 작업 중인 문서 역시 웹 스토리지(140) 상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형태에 따라, 팝업, 깜빡임, 소리, 진동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문서는 웹 서버(10)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및 NoSQL(Not Only SQL)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의 장애가 없어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문서는 기 설정된 시간에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저장 요청인 저장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행과 열의 형태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상에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값(key-value) 형식의 JSON 형태로 NoSQL 데이터베이스인 몽고DB(mongoDB) 상에 해당 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되어 온라인 상태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웹 스토리지(140) 상에 현재까지 작업된 문서 또는 이후 작업된 문서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임시 저장된 문서는 웹 스토리지(140)의 로컬 스토리지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브라우저를 종료한 후 재실행하더라도 저장된 문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바, 오프라인 상에서의 작업한 내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SQL 저장 방식과 동일한 키-값(key-value) 형식의 JSON 형태의 데이터로 로컬 스토리지 상에 문서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웹 서버(10)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P1)를 포함하고 있는바, 추후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된 경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P1)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웹 서버(10)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임시 저장된 문서 또는 임시 저장된 문서에 대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계속하여 작업한 경우에도, 온라인 상태로 전환된 이후 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 작업을 계속하는 중, 사용자로부터의 웹 서버(10)로의 접속이 필요한 기능의 사용 요청을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이때, 웹 서버(10)로의 접속이 필요한 기능은 예를 들어,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이미지, 지도 등을 추가하기 위한 외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단 결과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온라인 상태에서 해당 기능을 제공하여 연속적인 문서 작업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네트워크 장애가 아직 해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장애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요청을 입력 받는 저장 이벤트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 자동 저장하도록 설정된 저장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거나 온라인 상에서의 문서 작업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된 경우 임시 저장된 문서를 웹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문서 저장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저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문서 저장 방법은 먼저, 사용자에 의해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성 중(S110),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오프라인 상태를 감지한다(S120).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10)를 호출하고(S121), 호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웹 서버(10)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S122), 다시 웹 서버(10)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재호출한 뒤(S123), 재호출 결과 웹 서버(10)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S124),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25).
이와 달리, 최초 호출 또는 재호출 후 웹 서버(10)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계속하여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60).
이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문서를 웹 스토리지(140) 상에 임시 저장한다(S140).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 상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3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 장애 해소 여부를 기 설정된 시간마다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의 장애로 인하여 오프라인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오프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업 중 웹 서버(10)로의 접속이 필요한 기능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장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요청을 입력 받는 저장 이벤트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 자동 저장하도록 설정된 저장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정보 또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어 온라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웹 스토리지(140) 상에 임시 저장된 문서를 웹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S16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저장 방법은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문서는 웹 서버(10)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NoSQL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오프라인 상에서는 문서를 키-값(key-value) 형식의 JSON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웹 스토리지(140)의 로컬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웹 서버(10)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사용자 단말(100)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5 및 도 6의 문서 방법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업 중 네트워크 장애로 인하여 오프라인 상태가 되더라도, 브라우저의 웹 스토리지(140)인 로컬 스토리지 상에 현재 작성 중이거나 현재까지 작성된 문서를 저장하고, 이를 온라인 상태에서도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한바, 오프라인 상태가 되더라도 문서 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문서 저장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모듈,
    상기 온라인 저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장애가 해소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된 상기 문서를 상기 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를 호출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웹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상기 웹 서버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재호출하고, 상기 재호출 결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성 중 상기 웹 서버로의 접속이 필요한 기능의 사용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장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저장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상기 문서는 상기 웹 서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NoSQL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된 문서는 상기 웹 스토리지의 로컬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된 문서는 키-값(key-value) 형식의 JSON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로컬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애가 해소됨에 따라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HTML5 기반의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문서 저장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성 중, 네트워크의 장애로 인한 오프라인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어 온라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된 상기 문서를 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 저장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로 인한 오프라인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웹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상기 웹 서버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재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호출 결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 저장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서 저장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상태에서 문서 작성 중 상기 웹 서버로의 접속이 필요한 기능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장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서 저장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장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의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문서 저장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상태에서 작성 중인 상기 문서는 상기 웹 서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NoSQL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는 것인 문서 저장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를 키-값(key-value) 형식의 JSON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웹 스토리지의 로컬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하는 것인 문서 저장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고,
    상기 웹 스토리지 상에 임시 저장된 상기 문서를 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것인 문서 저장 방법.
PCT/KR2017/007569 2016-07-21 2017-07-14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WO201801680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36A KR20180010442A (ko) 2016-07-21 2016-07-21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KR10-2016-0092536 2016-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804A1 true WO2018016804A1 (ko) 2018-01-25

Family

ID=6099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569 WO2018016804A1 (ko) 2016-07-21 2017-07-14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0442A (ko)
WO (1) WO2018016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4292A (zh) * 2020-01-09 2021-07-09 上海宝存信息科技有限公司 数据存储装置以及非挥发式存储器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499B1 (ko) * 2018-06-25 2020-01-1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크로스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웹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798A (ko) * 2003-08-08 2003-11-01 가부시키가이샤 마크애니 재팬 문서보안 시스템
US8738706B1 (en) * 2011-11-16 2014-05-2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document editing
KR20140098929A (ko) * 2013-01-31 2014-08-11 주식회사 윌드림 사용자 지향적 개인 출판물 저작 도구를 이용하는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방법 및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시스템
KR20150087168A (ko) * 2015-07-09 2015-07-29 (주)와치텍 Json 문서를 이용한 3차원 실장도 구축 및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
KR20150086649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산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스토리지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798A (ko) * 2003-08-08 2003-11-01 가부시키가이샤 마크애니 재팬 문서보안 시스템
US8738706B1 (en) * 2011-11-16 2014-05-2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document editing
KR20140098929A (ko) * 2013-01-31 2014-08-11 주식회사 윌드림 사용자 지향적 개인 출판물 저작 도구를 이용하는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방법 및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시스템
KR20150086649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산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스토리지 서버
KR20150087168A (ko) * 2015-07-09 2015-07-29 (주)와치텍 Json 문서를 이용한 3차원 실장도 구축 및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4292A (zh) * 2020-01-09 2021-07-09 上海宝存信息科技有限公司 数据存储装置以及非挥发式存储器控制方法
US11520698B2 (en) 2020-01-09 2022-12-06 Shannon Systems Ltd. Data storage device in a key-value storage architecture with data compression,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42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220B2 (en) Network-assisted consensus protocol
KR101376916B1 (ko)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신규 버전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방법,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제품 및 장치
JP2022002079A (ja) 異種グラフノード表現用のモデル生成方法及び装置
CN111555940B (zh) 客户端的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77617A (zh) 基于运维管理系统的web直接运维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6126018A1 (ko) 메신저의 대화내용을 관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3699635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WO2015183045A1 (ko) 채팅 메시지를 태깅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4731826A (zh) 页面操作反馈的方法和装置
CN111400625B (zh) 页面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5074011A1 (en) Enhanced event handler attachment
KR20210035784A (ko) 단어 슬롯을 인식하는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WO2018016804A1 (ko)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CN109471647A (zh) 一种数据的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CN111723309B (zh) 用于网页搜索的方法和装置
WO2024083149A1 (zh) 媒体内容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2007601A1 (zh) 一种信息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05281A (zh) 视图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258917A (zh) 软件测试系统、方法与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108419B2 (en) Virtually applying modifications
CN111813407B (zh) 游戏开发方法、游戏运行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745313A (zh) 终端远程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WO2016159484A1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WO20141333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b widget
CN111787043A (zh) 数据请求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1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1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