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60004A1 -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60004A1
WO2017160004A1 PCT/KR2017/001942 KR2017001942W WO2017160004A1 WO 2017160004 A1 WO2017160004 A1 WO 2017160004A1 KR 2017001942 W KR2017001942 W KR 2017001942W WO 2017160004 A1 WO2017160004 A1 WO 201716000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guide
gum
dental implant
gui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9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현영근
Original Assignee
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21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5379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129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29546B1/ko
Application filed by 현영근 filed Critical 현영근
Priority to CN201780001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635507B/zh
Priority to EP17766905.8A priority patent/EP3378433B1/en
Publication of WO201716000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60004A1/ko
Priority to US15/828,372 priority patent/US10327864B2/en
Priority to US16/262,960 priority patent/US11116602B2/en
Priority to US16/449,442 priority patent/US10905522B2/en
Priority to US17/399,078 priority patent/US1175928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33Gingival retraction applian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pin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and more particularly, to guide the operator to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and tilt of the alveolar bone when forming an implantation hole in the alveolar bone in order to implant the implant in the patient's alveolar bone.
  • a guide pin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is a guide pin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 Dental implants generally comprise a fixture, abutments and crowns.
  • the fixing body has a male screw part which is inserted into a human alveolar bone and serves to support and fix the implant as a whole.
  • the abutment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gum.
  • the crown is one of the prosthesis that replaces the natural tooth and is formed to fit with the abutment and adhesively fixed to the abutment.
  • an implantation hole is first formed to insert the fixture into the alveolar bone.
  • a plan is formed to form an implant placement hole. According to the plan, the operator drills a hole (implant placement hole) in the patient's alveolar bone according to the plan. While a surgeon drills an implant placement hole in a patient's alveolar bone, it is impossible or very difficult to see X-rays or CT images in real time.
  • the alveolar bone is covered with the gum, even if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is familia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the implant placement hole in the correct position and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and position of the alveolar bone during the actual procedure. If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the first implant placement hole is incorrect, the implant placement hole may need to be drilled again. If the implant placement hole becomes too large, the implant may need to be filled with dental cement filled the alveolar bone. This has the problem of delaying the recovery rate of the patient and increasing discomfor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guide the operator to perform the procedure while checking the shap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even while forming an implant placement hole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pin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gum;
  •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gum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to guide the slope of the alveolar bone, in the direction facing the alveolar bone
  • a guide portion having a bone contact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and a periosteum contact portion formed convexly in a direction facing the periosteum of the gum.
  • the guide pin for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the implant procedure by performing the procedure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or grasps the exact position and shape of the alveolar bone when drilling the implant placement hole in the patient's alveolar bon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view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shown in FIG.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shown in FIG.
  • FIG. 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shown in FIG.
  •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rear view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in 100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view of the guide pin 100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shown in FIG. 1.
  • the guide pin 100 for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includes an insertion part 130, a guide part 110, and a support part 120.
  • the guide part 110 is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Guide portion 110 is formed in a form that is easy to grip the operator using a finger or a separate tool.
  • Guide portion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form of a ring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 the insertion unit 1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unit 110. Insertion portion 130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When the insertion part 130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the guide part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guide the inclination of the alveolar bone 1.
  • Insertion portion 130 includes a bone contact portion 131,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and the curved portion 133.
  •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is formed in a planar shape to closely contact the alveolar bone 1 in a direction facing the alveolar bone 1 as shown in FIG. 1. In some cases,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may be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alveolar bone 1.
  • the portion facing the alveolar bone 1 of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has a low surface to be inserted while sl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1 during the insertion portion 130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It is good to have roughness.
  • the periosteal contact portion 132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in which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is formed.
  •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is formed convexly in a direction facing the periosteum 3 of the gum 2. 2 and 3, the protruding ridges 1321 of the periosteal contact portion 132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 the ridge 1321 is defined as a line connecting the highest protruding portion of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is convexly formed so that the ridge line 1321 of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is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is formed convex cross-sectional shape.
  • the periosteal contact portion 132 as described above pushes the periosteum 3 and the gum 2 outward when the insertion portion 130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periosteum 3 of the gum 2. Generate an entry path of 130).
  •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is pressed and fixed by a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of the gum 2 pushed outward when the insertion portion 130 is inserted. Both sides are pressed by the gum 2 on the basis of the ridge 1321 of the convex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30 is prevented from shaking from side to side.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22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periosteal contact portion 132. Such protrusions 1322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portions. In some cases, the protrusions 1322 may be formed by an anodizing method. Referring to FIG. 2,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22 are formed from 1/2 to 2/3 of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toward the bottom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22 formed at portions except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serve to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130 from shaking in the inserted state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periosteum 3.
  • the curved portion 133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 the curved portion 133 is connected to the alveolar bone 1. It serves to separate between the gums (2).
  • the curved portion 133 is sharply formed in a curved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 the curved portion 133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curved portion 133, when the insertion portion 130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periosteum 3, the curved portion 133 has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contacts the alveolar bone 1. Keep it.
  • the curved portion 133 of this structure serves to accurately separate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periosteum 3 of the gum 2.
  • the curved portion 133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as described above guide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toward the alveolar bone 1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30 pierces the periosteum 3 or the gum 2.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phenomenon.
  • the support part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insertion part 130 and the guide part 110.
  • the support part 120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part 130 and the guide part 110.
  • the operator uses the finger or another tool to hold the guide unit 110.
  • the operator arranges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to face the alveolar bone 1, and the curved portion 133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of the portion to form an implant placement hole.
  • Insertion portion 130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and the support portion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um (2).
  • the curved portion 133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while separating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Since the curved portion 133 is bent toward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the operator can effectively insert the curved portion 133 while feel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1 through the guide portion 110.
  •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1 and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is the gum 2.
  • the protruding ridges 1321 of the periosteum contacting part 132 serve to secure the entry path of the insertion part 130 while spreading between the gums 2 and to fix the insertion part 130 so as not to shake from side to side.
  • the insertion portion 130 is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and the guide portion 110 protrude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alveolar bone 1 at a position close to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ation hole is to be formed.
  • the operator can grasp the shape and the inclination of the alveolar bone 1 covered on the gum 2 without using an image such as CT or X-ray.
  • the operator may form the implant placement hole in the correct position an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110 exposed to the outside.
  • two dental implant guide pins 100 into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lveolar bone 1 and to perform the procedure.
  • Using the two dental implant guide pins 100 can effectively determine the gap and inclination of the inner and outer alveolar bone (1).
  •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form the implant placement hole in a more accurate position and direction.
  •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while directly checking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1 with the naked eye.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uccess rate of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of the form which displayed the identification line on the outer surface of a guide part can also be comprised. If the identification line is formed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the operator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uide portion to refer to the procedure.
  • the identification line may be formed by being engraved or embossed in the guide part, or may be formed by printing in a color contrasted with the guide part.
  • the structure and the number of the support can be variously modifi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having only one support.
  • the structure of the bone contact portion 131, periosteum contact portion 132 and the curved portion 133 of the insertion portion 13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structure described and shown above, the curved portion 133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the insertion part which is not provided.
  • the guide pin 100 for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shown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30 and the guide portion 110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guide part may be bent at an angle of 3 ° to 15 ° with respect to the part.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22 are formed at a portion of the periosteal contact portion 132,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having a periosteal contact portion having no protrusion 1322.
  • Figure 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portion 21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guide portion 2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rtion 230 compared to the guide portion 110 of the first embodiment.
  • the guide part 210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230 by bending at an angle d of 3 ° to 15 °.
  • the guide portion 210 When the guide portion 210 is bent at an angle of 3 ° to 15 °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rtion 230, even if the insertion portion 230 is inclin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alveolar bone, the guide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forming the implant placement hole. It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r at similar angles.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grasp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guide portion 2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ath of the drill for forming the insertion hole.
  • FIG. 7 is a rear view of the guide pin 300 for dental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pin 300 for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guide part 310, a support part 320, and a pair of insertion parts 330.
  • the periosteal contact portion 332 of the insertion portion 330 is formed with two fixing grooves 33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330.
  • a portion of the gum 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33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riosteum contact portion 332 ridges, respectively,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330 from shaking.
  • Support portion 320 is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40 protrude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330.
  • the auxiliary insertion part 340 is also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 2 to prevent the guide part 310 from shaking.
  • the supporting portion 320 is hung on the upper boundary of the tooth and the gum 2 and supported by the gum 2 while 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40 is again the gum.
  • the support part 320 serves to prevent the guide part 310 from sh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할 때 치조골의 위치와 기울기를 시술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은 시술자가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홀을 뚫을 때 치조골의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파악한 상태에서 시술을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할 때 치조골의 위치와 기울기를 시술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고정체(fixture)와 지대주(abutment)와 치관(齒冠; crow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임플란트를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대주는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잇몸의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치관은 자연치아를 대체하는 보철물(prosthesis)의 하나로서, 지대주와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그 지대주에 접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임프란트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체를 치조골에 삽입하기 위해 식립홀을 형성한다. 식립홀은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립홀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를 X-ray 또는 CT을 이용해 촬영한 치조골의 형상을 파악한다. X-ray 또는 CT 촬영을 통해 파악한 치조골의 형상을 바탕으로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 후 그 계획에 따라 시술자가 드릴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조골에 구멍(임플란트 식립홀)을 뚫는다. 시술자가 드릴을 이용하여 실제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홀을 뚫는 동안에는 실시간으로 X-ray 또는 CT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 또한, 그러나 치조골은 잇몸으로 덮여 있으므로 치조골의 형상을 숙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시술시에는 치조골의 3차원적 형상과 위치를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하기는 것이 매우 어렵다. 최초 형성한 임플란트 식립홀의 방향이나 위치가 잘못된 경우 다시 임플란트 식립홀을 뚫어야 할 수도 있고 임플란트 식립홀이 너무 커진 경우 치과용 시멘트를 치조골에 채우로 임플란트를 시술해야 할 수도 있다. 이는 환자의 회복 속도를 지연시키고 불편감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하는 동안에도 시술자가 환자의 치조골의 형상(위치와 방향)을 확인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은, 치조골과 잇몸 사이로 찔러 넣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치조골과 잇몸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잇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치조골의 기울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고, 상기 치조골과 마주하는 방향에 상기 치조골과 밀착되는 골접촉부와, 상기 잇몸의 골막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골막접촉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은 시술자가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홀을 뚫을 때 치조골의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파악한 상태에서 시술을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은 삽입부(130)와 가이드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10)는 시술자가 손가락 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 파지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에 링 형태의 복수의 홈이 형성된 형태이다.
삽입부(130)는 가이드부(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삽입부(130)는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찔러 넣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삽입되면, 가이드부(1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치조골(1)의 기울기를 가이드하게 된다.
삽입부(130)는 골접촉부(131)와 골막접촉부(132)와 만곡부(133)를 포함한다.
골접촉부(131)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치조골(1)과 마주하는 방향에 치조골(1)과 밀착되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골접촉부(131)는 치조골(1)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이다. 골접촉부(131)의 치조골(1)과 마주하는 부분은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치조골(1)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도록 낮은 표면 조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골막접촉부(132)는 골접촉부(131)가 형성된 삽입부(130)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골막접촉부(132)는 잇몸(2)의 골막(3)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골막접촉부(132)의 돌출된 능선(1321)은 상기 삽입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능선(ridge; 1321)은 골막접촉부(132)의 가장 높이 돌출된 부분을 연결한 선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막접촉부(132)의 능선(1321)이 삽입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골막접촉부(132)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골막접촉부(132)는 그 단면 형상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골막접촉부(132)는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잇몸(2)의 골막(3) 사이에 삽입될 때 골막(3)과 잇몸(2)을 외측으로 밀어내며 삽입부(130)의 진입경로를 생성한다. 골막접촉부(132)는 삽입부(13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측으로 밀려난 잇몸(2)이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가압되며 고정된다. 볼록하게 형성된 골막접촉부(132)의 능선(1321)을 기준으로 양면이 잇몸(2)에 의해 가압되므로 삽입부(13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골막접촉부(132)의 일부분에는 다수의 돌기(13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1322)는 골막접촉부(132)의 표면 조도를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노다이징(anodizing) 방법으로 돌기들(13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기(1322)는 골막접촉부(13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1/2 내지 2/3 지점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골막접촉부(132)의 하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322)는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골막(3)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만곡부(133)는 삽입부(130)의 끝부분에 배치된다. 시술자가 가이드부(110)을 손으로 잡거나 집게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잡은 상태에서 삽입부(130)를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밀어 넣을 때, 만곡부(133)는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만곡부(133)는 삽입부(130)의 끝부분에서 골접촉부(131)의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선형태로 날카롭게 형성된다. 만곡부(133)의 휘어진 형상으로 인해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골막(3)사이로 삽입될 때 만곡부(133)는 삽입부(130)의 끝단이 치조골(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과 같은 구조의 만곡부(133)는 치조골(1)과 잇몸(2)의 골막(3) 사이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골접촉부(131)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부(133)는 삽입부(130)의 진입방향을 치조골(1)을 향하도록 유도하여 삽입부(130)가 골막(3)이나 잇몸(2)을 찌르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120)는 삽입부(130)와 가이드부(110)의 연결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120)는 삽입부(130)와 가이드부(110)의 연장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의 사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시술자는 손가락 또는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가이드부(110)를 잡는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삽입부(130)의 골접촉부(131)가 치조골(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의 치조골(1)과 잇몸(2) 사이에 만곡부(133)의 끝단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이드부(110)를 아래로 밀어 삽입부(130)의 만곡부(133)를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찔러 넣으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삽입부(130)는 치조골(1)과 잇몸(2)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부(120)는 잇몸(2)의 상단면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때, 만곡부(133)는 치조골(1)과 잇몸(2)을 분리하면서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삽입된다. 만곡부(133)는 골접촉부(131)를 향해 휘어져 있으므로, 시술자는 만곡부(133)가 치조골(1)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이드부(110)를 통해 느끼면서 효과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잇몸(2) 사이에 삽입되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골접촉부(131)는 치조골(1)에 접촉하게 되고 골막접촉부(132)는 잇몸(2)의 골막(3)에 접촉하게 된다. 골막접촉부(132)의 돌출된 능선(1321)은 잇몸(2) 사이를 벌리며 삽입부(130)의 진입경로를 확보하는 역할과, 삽입부(13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삽입부(130)가 치조골(1)과 잇몸(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10)는 식립홀을 형성할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치조골(1)의 기울기를 따라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110)의 위치와 경사를 통해서 시술자는 CT나 X-ray 같은 영상을 이용하지 않고도 잇몸(2)에 덮여 있는 치조골(1)의 형상과 경사를 파악할 수 있다. 시술자는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부(110)의 위치와 방향을 참고하여 임플란트 식립홀을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치조골(1)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하나씩 2개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을 삽입하여 시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을 이용하여 치조골(1) 내측과 외측의 간격 및 경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더욱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하는 경우 시술하는 동안 치조골(1)의 형상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시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종래보다 비약적으로 높은 정확도로 임플란트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에 대해 제1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의 외면에 식별선을 표시한 형태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식별선을 형성하면, 시술자는 가이드부의 기울어진 정도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술에 참고할 수 있다. 식별선은 가이드부에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가이드부와 대비되는 색으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의 구조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하나의 지지부만을 구비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130)의 골접촉부(131), 골막접촉부(132) 및 만곡부(133)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구조 이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만곡부(133)를 구비하지 않는 삽입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100)은 삽입부(130)와 가이드부(110)가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삽입부에 대해 가이드부가 3° 내지 15°의 각도로 꺾여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골막접촉부(132)의 일부분에는 다수의 돌기(1322)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돌기(1322)가 없는 형태의 골막접촉부를 구비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의 가이드부(210)는 제1실시예의 가이드부(110)와 비교하여 삽입부(230)에 대해 소정각도(d)로 꺾여서 결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210)는 삽입부(230)에 대해 3° 내지 15°의 각도(d)로 꺾여서 결합되는 것이 좋다.
가이드부(210)가 삽입부(230)에 대해 3° 내지 15°의 각도로 꺾여서 있으면, 삽입부(230)가 치조골의 경사를 따라 기울어지더라도 가이드부(210)는 임플란트 식립홀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거나 그와 유사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가 식립홀의 형성 방향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식립홀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의 경로를 가이드부(210)가 간섭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300)의 배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300)은 가이드부(310)와 지지부(320)와 한 쌍의 삽입부(330)를 구비한다.
삽입부(330)의 골막접촉부(332)에는 삽입부(3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홈(334)이 2개 형성된다.
골막접촉부(332) 능선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고정홈(334)에 잇몸(2)의 일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삽입부(330)가 흔들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지지부(320)에는 보조 삽입부(340)가 삽입부(33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삽입부(330)가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삽입될 때 보조 삽입부(340)도 치조골(1)과 잇몸(2) 사이로 삽입되어 가이드부(3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삽입부(330)가 환자의 잇몸(2)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320)가 치아와 잇몸(2)의 경계면 상단에 걸려 잇몸(2)에 의해 지지되면서 보조 삽입부(340)가 다시 잇몸(2)에 대해 지지부(320)를 지지함으로써, 지지부(320)는 가이드부(3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9)

  1. 치조골과 잇몸 사이로 찔러 넣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치조골과 잇몸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잇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치조골의 기울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고, 상기 치조골과 마주하는 방향에 상기 치조골과 밀착되는 골접촉부와, 상기 잇몸의 골막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골막접촉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가이드부의 연결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치조골과 잇몸 사이를 분리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상기 골접촉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골막접촉부의 돌출된 능선은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골막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외주를 감싸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에 대해 3° 내지 15°의 각도로 꺾여서 결합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과 잇몸 사이로 삽입된 상기 가이드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삽입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PCT/KR2017/001942 2016-03-17 2017-02-22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WO2017160004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01985.1A CN107635507B (zh) 2016-03-17 2017-02-22 用于种植牙手术的导针
EP17766905.8A EP3378433B1 (en) 2016-03-17 2017-02-22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15/828,372 US10327864B2 (en) 2016-03-17 2017-11-30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16/262,960 US11116602B2 (en) 2016-03-17 2019-01-31 Dental implant surgical method using guide pin
US16/449,442 US10905522B2 (en) 2016-03-17 2019-06-23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17/399,078 US11759289B2 (en) 2016-03-17 2021-08-11 Non-incisional dental implant surgical method using guide p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35A KR101653798B1 (ko) 2016-03-17 2016-03-17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KR10-2016-0032135 2016-03-17
KR1020160112921A KR101829546B1 (ko) 2016-09-02 2016-09-02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KR10-2016-0112921 2016-09-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828,372 Continuation US10327864B2 (en) 2016-03-17 2017-11-30 Guide pin for dental implant surg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004A1 true WO2017160004A1 (ko) 2017-09-21

Family

ID=5985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942 WO2017160004A1 (ko) 2016-03-17 2017-02-22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327864B2 (ko)
EP (1) EP3378433B1 (ko)
CN (1) CN107635507B (ko)
WO (1) WO20171600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8171U1 (ru) * 2020-11-11 2021-12-07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оротников Элеватор коронковы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6602B2 (en) * 2016-03-17 2021-09-14 Young Keun Hyun Dental implant surgical method using guide pin
CN107635507B (zh) * 2016-03-17 2020-06-05 玄英根 用于种植牙手术的导针
USD950059S1 (en) * 2017-03-31 2022-04-26 Ernesto A. Lee Subperiosteal surgical instrument
US11628041B2 (en) * 2018-03-30 2023-04-18 Christopher Morris Subgingival safe end dental bu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811A (ko) * 2008-05-21 2011-03-04 넥실리스 아게 리세스를 개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123946A1 (en) * 2009-02-06 2011-05-26 Bulloch Scott 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US20120045731A1 (en) * 2010-08-20 2012-02-23 Pankaj Pal Singh Guided pin system trephine drill
KR101586081B1 (ko) * 2015-07-29 2016-01-15 왕제원 치과 임플란트 가이드장치
KR101653798B1 (ko) * 2016-03-17 2016-09-05 현영근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7236A (en) * 1921-05-17 1922-05-23 Evans George Dental instrument
US3815243A (en) * 1973-06-18 1974-06-11 W Eames Wedge for dental matrix bands
USD274154S (en) * 1981-08-05 1984-06-05 Bondurant Robert W Toothpick
US4444305A (en) * 1982-02-16 1984-04-24 Globe International Inc. Conveyor belting for handling bakery goods
DK154684C (da) * 1983-06-28 1992-03-23 John Reipur Dental Profylaxe A Tandstikker
US4616667A (en) * 1983-10-17 1986-10-14 Tang I Ping Tooth cleaning implement
US4571180A (en) * 1984-03-08 1986-02-18 Kulick Walter K Dental instrument
US5110293A (en) * 1988-09-30 1992-05-05 Linkow Leonard I Neckless blade implant
DE3840350C1 (ko) * 1988-11-30 1990-04-12 Girrbach Dental Gmbh, 7530 Pforzheim, De
US5193999A (en) * 1991-11-14 1993-03-16 Attachments International, Inc. Abutment selector
DE4444305A1 (de) * 1994-12-13 1996-06-20 Pavel Dr Kriz Retinierbarer Interdentalkeil
US5890901A (en) * 1998-04-22 1999-04-06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wedge with neck
US6024564A (en) * 1999-06-21 2000-02-15 Kesling; Peter C. Rotating periodontal probe
ATE533428T1 (de) * 2006-02-07 2011-12-15 Simon Paul Mcdonald Zahnkeil
US7976308B2 (en) * 2007-03-27 2011-07-12 Gyula Julius Hegedus Dental wedges and methods
KR20100018121A (ko) * 2008-08-06 2010-02-17 박준철 치과용 파일
US20110008755A1 (en) * 2009-07-13 2011-01-13 Misch Carl E Plate form of dental implant
CA2785828A1 (en) * 2010-01-04 2011-07-07 Tiziano Testori Dental device having a visual indicator
US20110171596A1 (en) * 2010-01-14 2011-07-14 Clark David J Dental Wedge
WO2011087200A1 (en) * 2010-01-14 2011-07-21 Osstemimplant Co., Ltd. Drill for implant surgery
DE102010040414A1 (de) * 2010-09-08 2011-01-13 Voco Gmbh Interdentalkeil
JP2015517891A (ja) * 2012-05-31 2015-06-25 ロンジウム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非対称的な側面を備える歯科用ウェッジ
KR102401548B1 (ko) * 2012-12-24 2022-05-24 덴틀리텍 지.피.엘. 리미티드 치은연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53889B1 (ko) * 2012-12-28 2019-03-04 주식회사 다이다덴트 식별 표시가 구비된 치과용 로터리 파일
US9610139B2 (en) * 2013-05-14 2017-04-04 Dentsply International Inc. Dental wedge
CN107635507B (zh) * 2016-03-17 2020-06-05 玄英根 用于种植牙手术的导针
MX2018011794A (es) * 2016-03-31 2019-02-13 A Lee Ernesto Método, dispositivos y artículos para la conducción de aumento de injerto estético de hueso de mandibula mínimamente invasivo subperióstic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811A (ko) * 2008-05-21 2011-03-04 넥실리스 아게 리세스를 개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123946A1 (en) * 2009-02-06 2011-05-26 Bulloch Scott 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US20120045731A1 (en) * 2010-08-20 2012-02-23 Pankaj Pal Singh Guided pin system trephine drill
KR101586081B1 (ko) * 2015-07-29 2016-01-15 왕제원 치과 임플란트 가이드장치
KR101653798B1 (ko) * 2016-03-17 2016-09-05 현영근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8171U1 (ru) * 2020-11-11 2021-12-07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оротников Элеватор коронковы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7530A1 (en) 2019-10-10
US20180085190A1 (en) 2018-03-29
CN107635507B (zh) 2020-06-05
CN107635507A (zh) 2018-01-26
US10905522B2 (en) 2021-02-02
EP3378433B1 (en) 2020-07-22
US10327864B2 (en) 2019-06-25
EP3378433A1 (en) 2018-09-26
EP3378433A4 (en)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60004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WO2010021478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5030281A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US11759289B2 (en) Non-incisional dental implant surgical method using guide pin
WO2011046294A2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WO2018012735A1 (ko)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 장치
WO2015099275A1 (ko) 경골용 환자맞춤형 수술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수술모듈
WO2020197133A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WO2017146335A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EP3922210A1 (en) Dental system having baseline enabling digit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to be merged with anatomical location and plane analysis of human body
WO2017039158A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WO2011040687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WO2017105031A1 (ko) 치과용 스텐트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21006701A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 및 이를 이용한 스캔데이터 정합 방법
US83824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bore bushings
KR101653798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WO2015012430A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WO2019164282A1 (ko)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
JP2008245681A (ja) サージカルガイド
WO2023229109A1 (ko) 치과용 스텐트
WO2010090399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829546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WO2020013585A1 (ko) 대퇴골 후위 절단 전 굴곡 간격을 확인할 수 있는 갭 게이지 및 유닛
WO2016126002A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제작방법
WO2018147633A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시술을 위한 유도 부싱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6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6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062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