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6425A1 - 보안경 - Google Patents

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6425A1
WO2017146425A1 PCT/KR2017/001826 KR2017001826W WO2017146425A1 WO 2017146425 A1 WO2017146425 A1 WO 2017146425A1 KR 2017001826 W KR2017001826 W KR 2017001826W WO 2017146425 A1 WO2017146425 A1 WO 20171464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ns
spectacle frame
foreign matter
air circu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8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명일
Original Assignee
한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일 filed Critical 한명일
Priority to JP2017600093U priority Critical patent/JP3220496U/ja
Publication of WO20171464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64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8Ventil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gogg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goggle that can not only prevent the occurrence of fog on the lens with a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but also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lens.
  • Goggl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These goggles protect the eyes from the rays and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during various tasks.
  • safety glasses that provide only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eyes from ordinary light rays do not need to have their inner surfaces closely in contact with the operator's face.
  • the goggles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generate moistu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oggles len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at is, the fog is generated, which causes a problem of covering the worker's view.
  • the occurrence of safety on the goggles may not only cause safety accidents during work, but also prevent the precision work and reduce work efficiency.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3-0152003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4-7024562
  •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3-0038226
  • 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15-0004510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glasses that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lens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fog of the lens with a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 the object is an eyeglass frame for supporting the lens; And a foreign material provided on the spectacle frame in the upper region of the lens and absorbing air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nd spraying 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while preventing fogging of the lens. It is achieved by a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fogging foreign matter removal portion to remove.
  •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al unit the fan duct is disposed in th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eyeglass frame,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ir hole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 An air circulation fan provided in the fan duct;
  • a battery provided in the spectacle frame and providing power to the fan motor;
  • an air circulation duct disposed over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pectacle frame, one side of which is disposed to cover the fan duct, the other side of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spectacle frame, and the protruding end of which is direct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 the spectacle frame may have an upper portion at which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portion is disposed thicker than a lower portion, and a door for replacing the battery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pectacle frame.
  •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SB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provided in the eyeglass frame.
  • Inside the air circulation duct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air circulation.
  • FIG. 1 is a front view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B of FIG. 2.
  • Figure 4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of a porous plate.
  • FIG. 1 is a front view of a safety gogg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B of FIG. 2.
  • the safety glasses 100 is a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to not only prevent the occurrence of fog of the lens 110, but also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lens 110, glasses
  • the frame 120 and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al unit 130 may be included.
  • the spectacle frame 120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ens 110.
  • the spectacle frame 120 may be an injection molded plastic.
  • the spectacle frame 120 is disposed around the lens 110 to protect the lens 110.
  • the spectacle frame 120 has an upper portion at which an antifogging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130 is disposed than a lower portion thereof. It is made thick. Therefor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130 for preventing misting is convenient.
  • the anti-fo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30 is provided on the spectacle frame 120 in the upper region of the lens 110, by sucking the air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ens 110 (see P1 arrow in Figure 3) By spray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see P2 arrow in FIG. 3) serves to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while preventing the fogging of the lens 110.
  • the fog may be generated inside the goggles 100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goggles 100 and the outside. Not only can safety accidents occur during work, not only precision work is impossible, but work efficiency can also be reduced.
  • the fogging is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lens 110.
  •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30 to spray the air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to preven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or I'm getting rid of it.
  • the air inj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is not difficult to implement the structure because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ens 110 is used.
  •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al unit 130 that plays such a role may include a fan duct 140, an air circulation fan 151, a fan motor 153, a battery 155, and an air circulation duct 160. have.
  •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30 is provided in pairs, but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130 may be one long applied.
  • the fan duct 140 is a duct-shaped structure, and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121 formed inside the spectacle frame 120.
  •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ir holes 141 and 142 are formed in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an duct 140. Therefore, when the air circulation fan 151 is operated, the air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ens 110 is circul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holes 141 and 142 of the fan duct 140 along the direction of arrow P1 of FIG. 3. May be directed to the dragon duct 160.
  • the air circulation fan 151 is a fan provided in the fan duct 140. As described above, an air flow is formed so that air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ens 110 is directed to the air circulation duct 160 when rotating.
  • the fan motor 153 rotates the air circulation fan 151, and the battery 155 is provided in the glasses frame 120, and serves to provide power to the fan motor 153.
  • the battery 155 is preferably a replaceable removable.
  • a door 123 for replacing the battery 155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yeglass frame 120.
  • the door 123 is irrelevant whether it is rotatable or sliding.
  • Air circulation duct 160 is disposed ove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yeglass frame 120, one side is disposed to cover the fan duct 140, the other side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eyeglass frame 120, the protruding end 161 is It is a duct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 the air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ens 1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air holes of the fan duct 140 along the direction of arrow P1 of FIG. 3. It may be directed to the air circulation duct 160 via 141, 142. Therefore, the fogging of the lens 110 can be prevented.
  • the air directed to the air circulation duct 160 is injected through the protruding end 161 of the air circulation duct 160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Therefore, foreign matte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may be removed or foreign matter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ur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fogging of the lens with a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as well a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lens.
  • Figure 4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ye shield 200 may also include a spectacle frame 220 and a de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30.
  •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30 may include a charging USB terminal 28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55 but provided in the eyeglass frame 220.
  • the charging USB terminal 281 when the charging USB terminal 281 is provided, the charging USB terminal 281 and the battery 155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harging PCB 282.
  • FIG 5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yeglasses 300 may also include a spectacle frame 120 and a defogging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330.
  • a guide plate 365 for guiding air circulation is provided inside the air circulation duct 160.
  • the air in the lens 110 can be guided wel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without vortexing, leading to a smooth flow of air. have.
  • FIG. 6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ye shiel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yeglasses 400 may also include a spectacle frame 120 and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430 for preventing fog.
  • the protruding end 461 of the air circulation duct 460 is further connected to a length elongation nozzle 462 which is elongated or shortened in the form of a telescopic bar.
  • the length extension nozzle 462 may be manual, or may be a motorized structure by a motor or the like.
  • the contact distance with the lens 110 may be narrowed, so that foreign matte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110 may be applied. May be more effective at removing
  • Figure 8 is a plan view of a porous plate.
  • the eye shield 500 may also include a spectacle frame 120 and a de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530.
  • the porous plate 565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end 161 of the air circulation duct 160 constituting the antifogging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530.
  • a plurality of vent holes 565a are formed in the porous plate 565, which may be more excellent i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lens 110 because air pressure may be increased whil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s 565a. Can 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보안경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보안경은, 렌즈를 지지하는 안경 프레임; 및 상기 렌즈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렌즈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렌즈의 외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상기 렌즈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경
본 고안은,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보안경(Goggles)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보안경은 각종 작업 시 발생되는 광선과 유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통상의 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보안경은 그 내면이 작업자의 얼굴과 밀착될 필요가 없다.
그렇지만, 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기능에 더하여 유해한 유해물질을 취급할 경우라면 눈이 외부 공기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보안경, 예컨대 수영선수들이 착용하는 수경과 같이 밀착이 가능한 보안경이 필요하다.
허나, 후자처럼 얼굴에 밀착되어 착용되는 보안경은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보안경 렌즈의 내측 표면에 습기가 발생되어 즉, 김서림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처럼 보안경에 김서림이 발생되면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정밀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 역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수단을 구비한 보안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구조 대비 그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보안경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5200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7024562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38226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4510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렌즈를 지지하는 안경 프레임; 및 상기 렌즈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렌즈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렌즈의 외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상기 렌즈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배치되되 전후면에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통공이 형성되는 팬 덕트; 상기 팬 덕트 내에 마련되는 공기 순환팬; 상기 공기 순환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상기 안경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팬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팬 덕트를 덮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안경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단부가 상기 렌즈의 외표면을 향하는 공기 순환용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가 배치되는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제작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안경 프레임에 마련되는 충전용 USB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용 덕트의 내부에는 공기순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8은 다공판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100)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110)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1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안경 프레임(120)과,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120)은 렌즈(11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통상적으로 렌즈(110)와 달리, 안경 프레임(120)은 플라스틱의 사출물일 수 있다.
이러한 안경 프레임(120)은 렌즈(110)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110)의 둘레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안경 프레임(120)은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가 배치되는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제작된다. 따라서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한편,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는 렌즈(110)의 상부 영역에서 안경 프레임(120)에 마련되며, 렌즈(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흡입하여(도 3의 P1 화살표 참조) 렌즈(110)의 외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도 3의 P2 화살표 참조) 렌즈(110)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렌즈(110)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보안경(100)을 오래 착용할 경우, 보안경(100)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보안경(100) 내부에 김서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처럼 김서림이 발생되면 작업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정밀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 역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를 마련하여 렌즈(110)에 김서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경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가 렌즈(110)의 외표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렌즈(110)의 외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렌즈(110)의 외표면으로 분사되는 공기는 렌즈(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사용되기 때문에 구조의 구현이 어렵지 않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는 팬 덕트(140), 공기 순환팬(151), 팬 모터(153), 배터리(155), 그리고 공기 순환용 덕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있으나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130)는 길게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팬 덕트(140)는 덕트(duct) 형상의 구조물로서, 안경 프레임(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 덕트(140)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통공(141,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 순환팬(151)이 가동되면 렌즈(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는 도 3의 P1 화살표 방향을 따라 팬 덕트(140)의 제1 및 제2 공기통공(141,142)들을 거쳐 공기 순환용 덕트(160)로 향할 수 있다.
공기 순환팬(151)은 팬 덕트(140) 내에 마련되는 팬(fan)이다. 전술한 것처럼 회전 시 렌즈(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가 공기 순환용 덕트(160)로 향하도록 공기 흐름을 형성시킨다.
팬 모터(153)는 공기 순환팬(15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터리(155)는 안경 프레임(120) 내에 마련되며, 팬 모터(153)에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155)는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럴 경우, 안경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배터리(155)의 교체를 위한 도어(1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23)는 회전식이든지 슬라이딩식이든지 관계가 없다.
공기 순환용 덕트(160)는 안경 프레임(120)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되 일측은 팬 덕트(140) 덮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안경 프레임(120)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단부(161)가 렌즈(110)의 외표면을 향하는 덕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안경(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팬 모터(153)에 의해 공기 순환팬(151)이 가동되면 렌즈(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는 도 3의 P1 화살표 방향을 따라 팬 덕트(140)의 제1 및 제2 공기통공(141,142)들을 거쳐 공기 순환용 덕트(160)로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110)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ㄷ.
공기 순환용 덕트(160)로 향하는 공기는 렌즈(110)의 외표면을 향하는 공기 순환용 덕트(160)의 돌출단부(161)를 통해 분사되어 렌즈(110)의 외표면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110)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이물질이 렌즈(110)의 외표면에 묻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200) 역시, 안경 프레임(220)과,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230)는 배터리(1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안경 프레임(220)에 마련되는 충전용 USB 단자(2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충전용 USB 단자(281)가 마련될 경우, 충전용 USB 단자(281)와 배터리(155)는 충전 PCB(282)를 통해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110)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1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300) 역시, 안경 프레임(120)과,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기 순환용 덕트(160)의 내부에는 공기순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6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공기 순환용 덕트(160) 내에 가이드판(365)이 마련되면 렌즈(110) 내의 공기를 와류 없이 렌즈(110)의 외표면으로 잘 가이드할 수 있어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이끌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110)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1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400) 역시, 안경 프레임(120)과,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기 순환용 덕트(460)의 돌출단부(461)에는 텔레스코픽 바아 형태로 길이 신장 혹은 축소되는 길이 신장용 노즐(462)이 더 연결된다. 길이 신장용 노즐(462)은 수동식일 수도 있고, 아니면 모터 등에 의한 동력식 구조일 수도 있다.
이처럼 길이 신장용 노즐(462)이 공기 순환용 덕트(460)의 돌출단부(461)에 더 마련될 경우, 렌즈(110)와의 접촉 간격이 좁아질 수 있어서 렌즈(110)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110)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1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고, 도 8은 다공판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500) 역시, 안경 프레임(120)과,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530)를 이루는 공기 순환용 덕트(160)의 돌출단부(161)에는 다공판(565)이 결합된다. 다공판(565)에는 다수의 통기공(565a)이 형성되는데, 공기가 통기공(565a)들을 지나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압이 강해질 수 있기 때문에 렌즈(1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보다 탁월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렌즈(110)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1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보안경
110 : 렌즈
120 : 안경 프레임
121 : 배터리
123 : 도어
130 :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
140 : 팬 덕트
141,142 : 제1 및 제2 공기통공
151 : 공기 순환팬
153 : 팬 모터
155 : 배터리
160 : 공기 순환용 덕트
161 : 돌출단부

Claims (4)

  1. 렌즈를 지지하는 안경 프레임; 및
    상기 렌즈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안경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렌즈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렌즈의 외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상기 렌즈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
    를 포함하되,
    상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배치되되 전후면에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통공이 형성되는 팬 덕트;
    상기 팬 덕트 내에 마련되는 공기 순환팬;
    상기 공기 순환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상기 안경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팬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팬 덕트를 덮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안경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단부가 상기 렌즈의 외표면을 향하는 공기 순환용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가 배치되는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제작되며,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도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안경 프레임에 마련되는 충전용 USB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용 덕트의 내부에는 공기순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
PCT/KR2017/001826 2016-02-24 2017-02-20 보안경 WO201714642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600093U JP3220496U (ja) 2016-02-24 2017-02-20 ゴーグ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03U KR200480344Y1 (ko) 2016-02-24 2016-02-24 보안경
KR20-2016-0001003 2016-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425A1 true WO2017146425A1 (ko) 2017-08-31

Family

ID=5602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826 WO2017146425A1 (ko) 2016-02-24 2017-02-20 보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39090A1 (ko)
JP (1) JP3220496U (ko)
KR (1) KR200480344Y1 (ko)
CN (1) CN107121792A (ko)
WO (1) WO2017146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44Y1 (ko) * 2016-02-24 2016-05-12 한명일 보안경
KR102099708B1 (ko) * 2016-11-03 2020-04-10 한명일 방독면
CN106726127B (zh) * 2017-01-19 2023-06-23 王春山 一种护目镜
CN108433231A (zh) * 2018-03-12 2018-08-24 联想(北京)有限公司 穿戴式设备
WO2019198842A1 (ko) * 2018-04-12 2019-10-17 한명일 방독면
CN108873376A (zh) * 2018-06-29 2018-11-23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防雾护目镜
CN108784929B (zh) * 2018-08-31 2020-04-10 谢子胜 一种基于电磁感应定律的防雾电焊护目镜
CN110275324B (zh) * 2019-04-25 2020-05-26 温州市仿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时使用的眼镜
CN111407513A (zh) * 2020-04-09 2020-07-14 西南医科大学附属中医医院 一种医用电动正压防雾护目镜
CN111631860A (zh) * 2020-06-08 2020-09-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除雾护目镜
CN112545750A (zh) * 2020-11-10 2021-03-26 上海市肺科医院 一种具有自动除雾功能的医用护目镜
CN112353557A (zh) * 2020-11-10 2021-02-12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利于维护的护目镜用除雾结构
US20230072737A1 (en) * 2021-09-07 2023-03-09 Jose Morales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preventing fogging in a head worn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3661A1 (en) * 2001-08-20 2003-02-20 Huh Moon Young Protective goggle
KR20090012742U (ko) * 2008-06-10 2009-12-15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보안경
US20100146685A1 (en) * 2008-12-15 2010-06-17 Eye Savers, Inc. Forced-air protective apparatus
KR20130064210A (ko) * 2011-12-08 2013-06-18 (주)경도상사 고글이 장착된 방호 두건
KR20140128402A (ko) * 2012-02-16 2014-11-05 아보미네이블 랩스, 엘엘씨 보안경용 pwm 가열 시스템
KR200480344Y1 (ko) * 2016-02-24 2016-05-12 한명일 보안경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5953A (en) * 1973-06-20 1974-07-30 R Hunter Anti-fogging device for eye shields
US4150443A (en) * 1978-03-13 1979-04-24 Robert E. Smith Anti-fogging sports goggle
CA1151454A (en) * 1980-08-05 1983-08-09 Kenji Yamamoto Goggles for ski use
US4546496A (en) * 1984-06-11 1985-10-15 Willie Lewis Hat mounted ventilation apparatus
US5452480A (en) * 1994-04-15 1995-09-26 Electric Eyewear Systems, Inc. Ski goggles
US5966746A (en) * 1998-01-16 1999-10-19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Nebraska Safety goggles with active ventilation system
US6038707A (en) * 1998-01-23 2000-03-21 Smith Sport Optics Sports goggle having a ventilating fan
US6049917A (en) * 1998-01-23 2000-04-18 Smith Sport Optics Air injection sports goggle and method
JP4470085B2 (ja) * 2001-05-08 2010-06-02 山本光学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ゴーグル
USD478111S1 (en) * 2001-08-20 2003-08-05 Otos Optical Co., Ltd. Protective goggle
US6948813B2 (en) * 2003-01-21 2005-09-27 Dye Precision, Inc. Lens assembly parts and assemblies therefrom
GB2404841B (en) * 2003-08-14 2006-11-15 Npf Ltd Goggles
WO2006125167A2 (en) * 2005-05-18 2006-11-23 Eye Safety Systems, Inc. Goggles with removable fr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303430A1 (en) * 2008-06-09 2009-12-10 Joseph Allen Gregory Wind powered sport goggles
US9066791B2 (en) * 2008-08-01 2015-06-30 HaberVision LLC Ventilation system for goggles
EP2348907A4 (en) * 2008-10-16 2014-03-12 HaberVision LLC BREATHABLE HELMET SYSTEM AND METHOD
US20110285957A1 (en) * 2010-05-24 2011-11-24 William Mikulenka Limited access and antifog protective eyewear for welding
CN202404328U (zh) * 2011-12-30 2012-08-29 杨事成 一种防雾眼镜
US20140259320A1 (en) * 2013-03-15 2014-09-18 Oscar Gonzalez Air safety protector for the facial area including the eyes, nose, mouth and ears
US20150116652A1 (en) * 2013-10-31 2015-04-30 Joseph Bidinot Portable and adjustable fan for eyewear
US9158132B1 (en) * 2014-04-15 2015-10-13 Doug Cole Defogging eyewear accessory
CN105467622A (zh) * 2014-09-11 2016-04-06 季叶俊 一种便携式快速去雾眼镜
CN105607292A (zh) * 2014-11-21 2016-05-25 林思琦 多功能眼镜
US9149391B1 (en) * 2015-01-06 2015-10-06 Kevin Paolinetti Safety goggles with ventilating fans
CN204613537U (zh) * 2015-05-27 2015-09-02 东北石油大学 一种资源勘探用眼镜
CN204790221U (zh) * 2015-06-17 2015-11-18 吴国云 除霾保健眼镜架
CN205862018U (zh) * 2016-08-13 2017-01-04 浙江天瞳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vr眼镜
CN205958860U (zh) * 2016-08-23 2017-02-15 梁永文 一种新型vr眼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3661A1 (en) * 2001-08-20 2003-02-20 Huh Moon Young Protective goggle
KR20090012742U (ko) * 2008-06-10 2009-12-15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보안경
US20100146685A1 (en) * 2008-12-15 2010-06-17 Eye Savers, Inc. Forced-air protective apparatus
KR20130064210A (ko) * 2011-12-08 2013-06-18 (주)경도상사 고글이 장착된 방호 두건
KR20140128402A (ko) * 2012-02-16 2014-11-05 아보미네이블 랩스, 엘엘씨 보안경용 pwm 가열 시스템
KR200480344Y1 (ko) * 2016-02-24 2016-05-12 한명일 보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9090A1 (en) 2017-08-24
KR200480344Y1 (ko) 2016-05-12
JP3220496U (ja) 2019-03-14
CN107121792A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6425A1 (ko) 보안경
WO2019009589A1 (ko) 마스크가 구비된 고글
WO2019059699A1 (ko) 전동식 공기정화 마스크
WO2017115923A1 (ko) 음이온을 이용한 공기정화 필터 분리형 방진마스크
WO2018128301A1 (ko) 상하 좌우 회전식 로봇 청정기
WO2017014440A1 (en) Robot cleaner
WO2018070561A1 (ko) 휴대용 에어 블로워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043907A1 (ko) 고글 마스크
WO2020076001A1 (ko) 공기정화부가 구비된 모자
WO2015174607A1 (ko) 무선 자동 차광수단이 구비된 용접헬멧 및 그 제어방법
WO2021261752A1 (ko) 공기 청정기
WO2021221328A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
WO2016052791A1 (ko) 다기능 마스크
WO2017104890A1 (ko) 자동차광 보안경
CN111728771A (zh) 一种手动除雾防护眼镜
KR101674351B1 (ko) 공기공급라인 및 후드를 갖는 방사선 방호복용 후드가드 시스템
WO2016006836A1 (ko)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KR20100040766A (ko) 생물,동물실험실용 안전복
WO2021054661A1 (ko) 광을 이용한 스킨케어장치
WO2020180154A1 (ko) 보안 구조체
CN110558651B (zh) 一种工程多用型防护面罩
CN208033183U (zh) 一种镜头除尘防护装置
WO2023027409A1 (ko) 마스크 장치
WO2022158721A1 (ko) 공기조화기
WO2017094930A1 (ko) 마스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6000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567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7.01.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567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