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04890A1 - 자동차광 보안경 - Google Patents

자동차광 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04890A1
WO2017104890A1 PCT/KR2016/000328 KR2016000328W WO2017104890A1 WO 2017104890 A1 WO2017104890 A1 WO 2017104890A1 KR 2016000328 W KR2016000328 W KR 2016000328W WO 2017104890 A1 WO2017104890 A1 WO 20171048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afety glasses
frame
skir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03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운수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써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보레 filed Critical (주)써보레
Priority to US15/779,59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28200B2/en
Priority to CN201680070997.5A priority patent/CN108289758A/zh
Publication of WO20171048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048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2Side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by separating or fastening the earring portion 155 can connect a variety of fixing members. That is, the earring part 155 having the fastening convex part 156 is fastened to the hinge part 151 to fix the present invention by hanging on the ear. If necessary, a fastening convex portion 156 is provided at both ends to fasten the headband (not shown) for elastically wrapping and fixing the wearer's head, or fastening brackets are provided to fasten brackets (not shown) connect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helme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모듈을 갖는 접이 가능한 보안경다리의 끝 부분을 분리시켜서 착용자의 안면에 보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해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있어서, 전면차광렌즈와 측면차광렌즈를 갖는 보안경프레임,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보안경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경다리는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스커트부재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광 보안경
본 발명은 자동으로 유해광을 차단하는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모듈을 갖는 접이 가능한 보안경다리의 끝 부분을 분리시켜서 착용자의 안면에 보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광용 보안경은 용접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 중 발생하는 유해광을 차단하여 작업자나 감독관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의료시술자의 시각 및 안면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유해광의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광 보안경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5602호(등록일자 2013년07월08일) ‘자동 차광 고글’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2166호(등록일자 2015년01월07일) ‘마스크 탈착형 자동 차광 고글’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작업 중 유해광이 발생하면 광감지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에서는 광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차광렌즈에 전압을 공급하여 미리 설정된 차광도에 따라 구동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을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몸체의 좌우 양측에 연결된 밴드를 통해 머리에 고정시키므로 작업자 또는 감독관이 착용 및 휴대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부연하면, 단시간 동안의 작업 또는 감독하는 경우 밴드를 통해 고글을 머리에 고정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장까지 가지고 이동하는 과정에 옷의 주머니 등에 걸어서 휴대할 수 없으므로 휴대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은 안전모에 연결된 브래킷이나 고글다리 따위의 다른 체결구를 연결할 수 없으므로 사용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모듈을 갖는 접이 가능한 보안경다리의 끝 부분을 분리시켜서 안면에 보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광 보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해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있어서, 전면차광렌즈와 측면차광렌즈를 갖는 보안경프레임,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좌우에 배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보안경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경다리는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스커트부재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해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있어서, 전면차광렌즈와 측면차광렌즈를 갖는 보안경프레임,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좌우에 배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보안경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경다리는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스커트부재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보안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커트부재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질의 스커트프레임 및 연질의 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커트프레임에는 전면차광렌즈 및 측면차광렌즈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도록 전면렌즈 고정림 및 측면렌즈 고정림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커트프레임의 후면 양측에는 힌지를 갖는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보스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 및 하면에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부의 후단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부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요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체결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요부는 힌지부의 후단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철부는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이탈방지홈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부의 후단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요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체결철부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요부는 힌지부의 후단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철부는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이탈방지홈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경다리가 회전되어 보안경부재의 부피가 적어지므로 휴대성 및 보관성이 좋아지고 보안경다리의 끝 부분이 분리되어 귀걸이부 또는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커트부재가 이중사출에 의해 경질 및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 중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스커트부재의 보스가 힌지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동의 안정성 및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체결요부와 체결철부의 체결로 인하여 귀걸이부 또는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경부재와 마스크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경부재와 마스크부재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경부재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경부재의 보안경다리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경부재의 보안경다리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경부재의 안경테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광 보안경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렌즈(120)(130)를 갖는 보안경프레임(110)과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140) 및 보안경다리(150)를 포함하는 보안경부재(100), 보안경부재(1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베젤(210) 및 마스크(220)를 포함하는 마스크부재(200)로 대별된다.
먼저, 보안경부재(100)는 전면차광렌즈(120)와 측면차광렌즈(130)를 갖는 보안경프레임(110),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140), 보안경프레임(110)의 좌우에 배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보안경다리(150)를 포함한다.
보안경프레임(110)은 보안경부재(100)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양측에는 전면렌즈홀(111)이 형성되어 전면차광렌즈(120)가 결합되고, 좌우 양측에는 측면렌즈홀(112)이 형성되어 측면차광렌즈(130)가 결합된다.
전면차광렌즈(120)는 보안경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한 보호렌즈(170)에 의해 작업 시 발생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보호렌즈(170)의 후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철부(171)가 형성되어 보안경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요부(113)에 요철결합된다. 그리고 보호렌즈(170)는 보안경프레임(110)의 전면 중앙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마감캡(114)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되어 보안경프레임(1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통일되고 미려하게 마감하게 된다.
측면차광렌즈(130)는 착용자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측면 시야각을 넓게 확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면차광렌즈(130)는 유색렌즈로 이루어져 측면렌즈림(115)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보안경프레임(110)의 상면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배출구(116)가 형성되어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전면차광렌즈(120) 및 측면차광렌즈(130)의 내면에 김이 서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스커트부재(140)는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부드럽게 밀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커트부재(140)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질의 스커트프레임(141)과 연질의 스커트(143)를 포함한다.
스커트프레임(141)은 단단하고 굳은 경질의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커트프레임(141)의 전면 양측에는 전면렌즈 고정림(141a)이 형성되어 전면차광렌즈(120)의 가장자리를 견고히 고정하고, 좌우 측면에는 측면렌즈 고정림(141b)이 형성되어 측면차광렌즈(130)의 가장자리를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스커트프레임(141)의 후면 양측에는 보스(141c)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힌지(180)가 결합된다. 또한, 스커트프레임(141)의 전면 양측 및/또는 상하 단부에는 탄성후크(도시생략)가 형성되고, 이 탄성후크에 탄성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는 후크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스커트프레임(141)은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후크결합된다. 선택적으로,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 스커트프레임(141)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스커트프레임(141)의 양측 및/또는 상하 단부에 철부(도시생략)를 형성하고, 이 철부에 요철결합되도록 보안경프레임(110)의 내면에 요부(도시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스커트프레임(141)의 내면 중앙에는 결속철부(142)가 구비되어 시력이 안 좋은 착용자가 착용하는 안경테(160)를 탈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안경테(160)에는 결속요부(161)가 형성되어 결속철부(142)에 탈착된다.
스커트(143)는 부드러운 연질의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안면에 부드럽게 밀착되며, 이에 따라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등이 착용자의 눈 따위의 안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보안경다리(150)는 착용자의 귀에 거는 것으로서, 이러한 보안경다리(150)는 스커트부재(140)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보안경프레임(110)의 좌우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안경다리(150)는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스커트부재(140)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151) 및 이 힌지부(151)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부(155)를 포함한다.
힌지부(151)의 선단 내측에는 수용공간(152)이 형성되어 스커트부재(140)의 보스(141c)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이 수용공간(152)의 상면 및 하면에는 힌지홈(152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힌지(180)에 회전가능 결합된다. 힌지부(151)의 후단에는 체결요부(15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귀걸이부(155)의 체결철부(156)가 끼움결합되는데, 이러한 체결요부(1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51)의 후단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홈(153a)과 이 체결홈(153a)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체결철부(156)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53b)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180)는 회전각도를 90° 내외에서 탄력적으로 단속하는 이른바 스텝힌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부연하면, 힌지(180)의 상단부 외경에는 90° 사이로 홈 또는 평평하게 형성된 스텝면(181)이 구비되고, 이 스텝면(181)을 탄력적으로 단속하도록 힌지부(151)의 힌지홈(152a)에는 판스프링(도시생략) 따위를 매립하여, 힌지부(151)가 회전할 때 힌지(180)의 스텝면(181)에 걸리면서 회전되는 각도를 90° 내외로 단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부(151)에는 전면차광렌즈(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모듈은 좌측 힌지부(151)에 구비되는 전원부(도시생략)와 우측 힌지부(151)에 구비되는 제어패널(154)을 포함한다. 전원부는 전면차광렌즈(120)와 제어패널(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원부는 교체 및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패널(154)은 광감지센서(도시생략)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면차광렌즈(12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패널(154)은 전면차광렌즈(120)와 광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회로기판(도시생략), 이 제어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120)의 차광량을 조절하는 차광량조절부(도시생략)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패널(154)의 외면에는 각종 버튼 및 램프가 구비되어 전원, 차광량 조절 및 배터리 상태 따위를 현시하게 된다.
또한, 귀걸이부(155)는 힌지부(151)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귀걸이부(155)의 선단부에는 체결철부(156)가 구비되어 힌지부(151)의 체결요부(153)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러한 체결철부(156)는 체결요부(153)의 체결홈(153a)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돌기(156a)와 체결요부(153)의 이탈방지홈(153b)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돌기(156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귀걸이부(155)의 체결철부(156)가 힌지부(151) 체결요부(153)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귀걸이부(155)는 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힌지부(151)는 귀걸이부(155)와 분리되지 않는다.
마스크부재(200)는 보안경부재(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베젤(210) 및 이 베젤(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마스크(220)를 포함한다.
베젤(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경부재(100)의 전면 및 측면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는데, 그 전면 양측에는 전면차광렌즈(120)의 시야에 간섭되지 않도록 전면홀(211)이 형성되고, 좌우 측면에는 측면차광렌즈(130)의 시야에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홀(2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젤(210)은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보안경부재(100)가 결합되는 것이다.
마스크(220)는 보안경부재(100)의 아래쪽 안면, 즉 코와 입 및 볼 따위를 가려서 보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스크(220)의 양측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경다리(150)의 힌지부(151)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경부재(100)와 마스크부재(200)를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베젤(210)의 안쪽으로 보안경부재의 전면 및 측면을 밀어 넣으면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베젤(210)의 양측이 약간 벌어지면서 보안경부재(100)에 결합되고, 이를 착용하는 착용자는 눈뿐만 그 아래의 안면을 모두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귀걸이부(155)를 분리 또는 체결하여 다양한 고정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체결철부(156)를 갖는 귀걸이부(155)를 힌지부(151)에 체결하여 귀에 걸어서 본 발명을 고정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체결철부(156)가 양단부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감싸서 고정시키는 헤드밴드(도시생략) 또는 체결철부가 구비되어 안전모의 양측 하부에 연결되는 브래킷(도시생략) 등을 체결하여 본 발명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경다리(150)를 스커트부재(140)의 안쪽으로 접어서 보관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부연하면, 힌지부(151)를 스커트부재(140)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힌지(180)에 의해 보안경다리(150)가 90° 내외에서 탄력적으로 회전각도가 단속되므로, 소정의 힘으로 힌지부(151)를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잘 회전되지 않으면서 접히거나 펼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옷의 주머니 등에 보안경다리(150)를 꼽아서 본 발명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력이 안 좋은 착용자가 안경테(160)를 스커트프레임(141)의 안쪽에 결속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성 및 효율성 등을 제고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유해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있어서,
    전면차광렌즈와 측면차광렌즈를 갖는 보안경프레임,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좌우에 배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보안경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경다리는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스커트부재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2. 유해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에 있어서,
    전면차광렌즈와 측면차광렌즈를 갖는 보안경프레임,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스커트부재, 상기 보안경프레임의 좌우에 배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전면차광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갖는 보안경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경다리는 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스커트부재의 좌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보안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재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질의 스커트프레임 및 연질의 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커트프레임에는 전면차광렌즈 및 측면차광렌즈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도록 전면렌즈 고정림 및 측면렌즈 고정림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프레임의 후면 양측에는 힌지를 갖는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보스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 및 하면에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후단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부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요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체결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부는 힌지부의 후단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철부는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이탈방지홈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후단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요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체결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부는 힌지부의 후단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철부는 상기 체결홈에 끼움결합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이탈방지홈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 보안경.
PCT/KR2016/000328 2015-12-17 2016-01-13 자동차광 보안경 WO20171048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79,591 US10828200B2 (en) 2015-12-17 2016-01-13 Automatic shading googles
CN201680070997.5A CN108289758A (zh) 2015-12-17 2016-01-13 自动遮光护目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23A KR101731928B1 (ko) 2015-12-17 2015-12-17 자동차광 보안경
KR10-2015-0180923 2015-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4890A1 true WO2017104890A1 (ko) 2017-06-22

Family

ID=5874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0328 WO2017104890A1 (ko) 2015-12-17 2016-01-13 자동차광 보안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8200B2 (ko)
KR (1) KR101731928B1 (ko)
CN (1) CN108289758A (ko)
WO (1) WO2017104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558B1 (ko) * 2018-03-09 2019-11-21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보호 시스템
CN109143613B (zh) * 2018-10-23 2020-01-21 温州市朗盛光学有限公司 一种视力矫正眼镜
CN110584876B (zh) * 2019-10-15 2023-10-13 深圳市威斯迈科技发展有限公司 一款可折叠的按摩眼罩
KR102346280B1 (ko) * 2020-02-26 2022-01-03 주식회사 이노 (Inn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US20220346489A1 (en) * 2021-04-30 2022-11-03 Rockwell Collins, Inc. Combined fast-switch tintable vis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770A (ja) * 1996-06-13 1997-12-22 Atsukusu:Kk 眼鏡・ゴーグルにおける固定部材の取り付け構造
KR19980027689U (ko) * 1996-11-19 1998-08-05 박용진 안경
US6062688A (en) * 1998-08-04 2000-05-16 Vinas; Joseph F. Detachable eyeglass foam shield
KR20120093504A (ko) * 2011-02-15 2012-08-23 서운수 자동 차광 고글
KR20130000986A (ko) * 2011-06-24 2013-01-03 주식회사 노벨이노베이션스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942A (ko)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착용수단 교체형 고글
US9400398B2 (en) * 2013-10-15 2016-07-26 Funoogles, Llc Modular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facad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770A (ja) * 1996-06-13 1997-12-22 Atsukusu:Kk 眼鏡・ゴーグルにおける固定部材の取り付け構造
KR19980027689U (ko) * 1996-11-19 1998-08-05 박용진 안경
US6062688A (en) * 1998-08-04 2000-05-16 Vinas; Joseph F. Detachable eyeglass foam shield
KR20120093504A (ko) * 2011-02-15 2012-08-23 서운수 자동 차광 고글
KR20130000986A (ko) * 2011-06-24 2013-01-03 주식회사 노벨이노베이션스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9758A (zh) 2018-07-17
KR101731928B1 (ko) 2017-05-02
US10828200B2 (en) 2020-11-10
US20190298574A1 (en)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4890A1 (ko) 자동차광 보안경
US8365732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WO2017043907A1 (ko) 고글 마스크
WO2019009589A1 (ko) 마스크가 구비된 고글
JPH03228763A (ja) レンズ交換可能なゴーグル
CN111132573B (zh) 焊接头盔
WO2014098511A1 (ko) 방한 마스크
WO2016006836A1 (ko)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BRPI0712849A2 (pt) àculos de seguranÇa incluindo um acessàrio de cabo flexÍvel
WO2016182097A1 (ko) 고글
JP2001042266A (ja) 帽子装着用眼鏡
EP2023873B1 (en) Safety eyewear
US20230363482A1 (en) Headwear-mountable attachment device for supporting a lighting device or other tool or accessory, or kit including same
KR20120054942A (ko) 착용수단 교체형 고글
WO2022085861A1 (ko) 도수조정이 가능한 고글
AU2009245816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KR200184182Y1 (ko) 선글라스렌즈 착탈구조
WO2019045382A1 (ko) 스노클링 고글
CN205597232U (zh) 一种安全帽装置
JP2004202118A (ja) 防塵用眼鏡マスク
BRPI0712852A2 (pt) àculos de seguranÇa incluindo uma inserÇço de prescriÇço
WO2008014475A2 (en) Ski, outdoor activity or tactical goggle protective covering
KR970061223A (ko) 착탈식 보안경
KR19990014527U (ko) 방진용 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58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758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