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5655A1 -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 Google Patents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5655A1
WO2017135655A1 PCT/KR2017/001038 KR2017001038W WO2017135655A1 WO 2017135655 A1 WO2017135655 A1 WO 2017135655A1 KR 2017001038 W KR2017001038 W KR 2017001038W WO 2017135655 A1 WO2017135655 A1 WO 20171356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air
geothermal heat
natural circulation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0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종기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정종기
정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기, 정동규 filed Critical 정종기
Publication of WO20171356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56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circulation type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and in particular, has a dual greenhouse structure of a first greenhouse and a second greenhouse, and is located in the first greenhouse by fluidly connecting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2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a greenhouse, and to improve the soil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oil.
  • a greenhouse for growing crops has the same length and is fixed to the ground at both ends of each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s formed in a constant curve are kep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covered with a vinyl film on the frames fixed on the ground.
  • Various crops are to be cultivated within.
  • Such a conventional vinyl house is designed to maintain a temperature at which the crops can be cultivated at a low temperature in winter when the plastic house is generally covered with a single layer of the outer surface of a single-layer frame. Since the installation is made in the form of covering the frame top, there was a problem that easily damaged or lost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flood, hail.
  • an air house In order to improve such a structural problem, an air hous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in which a double house is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air pressure therein, thereby preventing damage caus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 salts that are not absorbed due to irrigation or fertilizer spraying are accumulated to gradually decrease the porosity of the soil, thereby lowering the oxygen flowability of the soil, thereby deteriorating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crop.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ving a dual greenhouse structure of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is located in the first greenhouse fluidly connected 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which is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greenhouse environment properly by increasing the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greenhouse, and improving the soil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oil. have.
  • a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comprises a first membrane body partitioning a space to form a first greenhouse; A second membrane body partitioning a space to form a second greenhouse within the first greenhouse; A multifunctional support fixed to the second membrane to support the second membrane and to fluidly connect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And an air supply pipe buried in the ground where the second greenhouse is formed to supply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to the second greenhouse.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may include a bottom that constitutes a passageway through which the worker can pass, and a side that is fixed to the bottom alo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 a blocking surface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 One or more doors may be included on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worker.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dampers for controlling the fluid connection of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 the damper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flexible pipe length adjustable.
  • the damper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for assisting the blowing.
  • the air supply pipe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air supply pipe protruding into the second greenhouse.
  •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spreader for spreading air.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ual greenhouse structure of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by fluidly connecting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second greenhouse located in the first greenhouse greenhouse environment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to properly maintain the appropriate, and also to improve the soil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oi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of FIG. 1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x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constituting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of FIG. 1,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amper is installed.
  • Figure 4 is a view showing one specific example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constituting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of Figure 1, show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ulti-function support, the multi-functional support door and It is a side 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ate with a ladder installed, and the state with a damper installed.
  • FIG. 5 is a view showing one specific example of the air supply pipe constituting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of FIG.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o supply the air conditioned to the second greenhou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embedded in the ground.
  • FIG. 6 is a view showing one specific example of the air supply pipe constituting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of Figur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ir supply pipe air supplied to the second greenhouse air conditionin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pecific example of the air supply pipe constituting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of FIG.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rane body partitioning a space to form a first greenhouse; A second membrane body partitioning a space to form a second greenhouse within the first greenhouse; A multifunctional support fixed to the second membrane to support the second membrane and to fluidly connect the first greenhouse and the second greenhouse; And an air supply pipe buried in the ground in which the second greenhouse is formed to supply air conditioned to the second greenhouse.
  •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comprises a first membrane body (10) partitioning the space to form a first greenhouse (S1); A second film body 20 partitioning a space to form a second greenhouse S2 in the first greenhouse S1; A multifunctional support 30 fixed to the second membrane 20 to support the second membrane 20 and fluidly connect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And an air supply pipe 50 embedded in the ground (G) in which the second greenhouse (S2) is formed to supply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to the second greenhouse (S2).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the second membrane body 20 constituting the second greenhouse (S2) while at the same time fluidly connecting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are installed in a double.
  • the first membrane body 1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the second greenhouse S2 formed by the second membrane body 20 so as to include a functioning multifunctional support 30. It is possible to supply to the first greenhouse (S1)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effect by the first greenhouse (S1), in particular, the second greenhouse (S2) to prevent the second greenhouse (S2) from experiencing excessive temperature change, the second plant is actually grow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S2 from being excessively low or high,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changes in the appearance such as crushing of the first greenhouse S1 from occurring.
  • air conditioning is an abbreviation for air conditioning, and is used to mean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humidity, flow rate, and the like of air as desired. That is, when the airhous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growth of plants, it is used to mean that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flow rate are controlled to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 the first film body 10 functions to form the first greenhouse S1.
  • the first membrane body 10 may be made of a single-layer film made of the same and / or similar synthetic resins used in a vinyl house, or may be made of a multilayer film that is expanded by blowing air therein and may be freed by air pressure.
  • the first membrane body 10 is formed of a single layer film, the first membrane body 10 is inflated by an air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by forcibly blowing air into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us, the first greenhouse S1.
  • the first membrane fixing means 11 to form a first greenhouse (S1).
  • the first membrane body 10 is further fixed by the second membrane fixing means 12 of a string or a net on its outer surface to form the first greenhouse S1 formed by the first membrane body 10. Even if the air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s formed in the can be fixed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 the first membrane body 10 when the first membrane body 10 is formed of a multilayer film, when pressurized air is supplied and expanded into the multilayer film, the first membrane body 10 may be self-supporting without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membrane fixing means.
  • the second membrane body 20 functions to form the second greenhouse S2, except that the second membrane 20 forms the second greenhouse S2 in the first greenhouse S1 and is supported by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May be understood as being the same as and / or similar to the first membrane body 10, and the second membrane body 20 is also added by the third membrane fixing means 21 and / or the fourth membrane fixing means 22. It can be fixed and supported, so that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avoided.
  • the second greenhouse S2 is formed in the first greenhouse S1 and provides a space for performing the purpose of substantially expecting the greenhouse effect. That is, for example, to provide a substantial plant cultivation space that provides conditions suitable for the growth of the plant in a place where there is a fear of the East Sea or where low temperature is expected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plant.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is fixed to the second membrane 20 to support the second membrane 20 and to fluidly connect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do. That is, when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are not fluidly connected even when the second greenhouse S2 is simply installed in the first greenhouse S1, such as a double plastic house.
  • the heat retention effect of the second greenhouse S2 may be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rst greenhouse S1 having the structure surrounding the entire second greenhouse S2 does not exist, the first greenhouse S1 may be improved.
  • the air conditioners are heated separately (eg, heated), they may be easily cooled by outside air outside the first greenhouse S1, which may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greenhouse environment of the second greenhouse S2. have.
  • the air conditioning in the first greenhouse (S1)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That is, a separate air heating means and the like must be provided,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cost-effective due to an increase in installation cost of the air house system itself, an increase in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upply the air in the second greenhouse (S2), which is appropriately coordinated to form a suitable greenhouse environment, into the first greenhouse (S1) through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pid cooling of the air in the first greenhouse (S1), thereby preventing the rapid change of the greenhouse environment of the second greenhouse (S2).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is near the apex of the second greenhouse S2, that is, the second one.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to be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of the greenhouse (S2).
  • the air supply pipe 50 is buried in the ground G where the second greenhouse S2 is formed and air-conditioned into the second greenhouse S2.
  • outside air of the greenhouse serves to supply the second greenhouse (S2) through the ground (G).
  • the supply of outside air through the ground (G) is to supply fresh air outside the greenhouse, that is, outside the greenhouse, but to supply through the ground (G) to increase the oxygen saturation of the soil, thereby increasing the oxygen fluidity of the soil Maximizing the microbial metabolic activity and improving the soil environment by changing the acidic soil to alkaline soil can be improve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crop.
  • the air supply pipe 50 has its one end exposed to the ground, preferably outside the first greenhouse S1 and / or the second greenhouse S2, more preferably the first greenhouse S1.
  • the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greenhouse S2 by allowing it to be heated to geothermal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buried underground G,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not air-conditioned, thereby allowing the ai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greenhouse S2.
  • S2 It may be possible to create a greenhouse environment as desired for the interior.
  • air conditioning is specifically expressed as heating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ir conditio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heating furnace, and depending on the greenhouse environment to be constructed, the air supply pipe 50 may be used by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ground.
  •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s geothermal heat, that is, heating and / or cooling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pipe (50) to save energy and enable the operation of a cost-effective airhous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i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ir supply pipe 5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heating / cooling the air as necessary.
  • the separat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be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nd specifically, may be a heater for heating and / or a cooler for cooling.
  • the air supply pipe 50 is preferably buried horizontally in the ground (G), the air supply pipe 50 is formed with one or more vents 51, one or more vents (51) ) Is preferably formed only in the upper half of the air supply pipe 50 so that air, preferably air-conditioned and pressurized high-pressure air is injected upward.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has a bottom surface 32 constituting a passageway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pass, and the bottom surface alo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It may include a side 33 fixed to 32. Thus, it may be possible for an operator to pass and / or perform work on the bottom 32.
  • the side surface 33 integral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32 functions as a guide for safe passage when a worker passes, as well as reinforcing the bottom surface 32, resulting in the bottom surface 32 and the side surface. It can function to reinforce the entire multifunctional support 30 including the 33.
  • the multi-function support 3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31, the multi-function support 30 serves to distinguish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may be divided based on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32 becomes the first greenhouse S1.
  •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32 becomes a 2nd greenhouse S2.
  • a blocking surface 34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side surface 33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 the membrane fixing surface 34 is preferably fix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33,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32, and the second membrane body 20 is fixed to the membrane fixing surface 34. Can be fixed by adhesion.
  • a portion of the second membrane body 20 may be fixed to the membrane fixing surface 34 while a portion of the second membrane body 20 may also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33, and the second membrane body 20 and the membrane fixing surface 34 may be fixed.
  • And / or the fixing between the sides 33 may be accomplish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hereto, but may also be fixed by other fastening means.
  •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rane body 20 is fixed to only one side of the membrane fixing surfaces on both sid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membrane body 20 should be fixed to both membrane fixing surfaces on both sides.
  • one or more doors 4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multi-function support 30 to assist a worker's passage through the multi-function support 30. Through 40) it may be easy for the worker to access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 the door 40 is hingedly fixed to the bottom 32 of the multi-function support 30 by a hinge 41 can be fixed to open and close, preferably for safety the door 40 is the bottom It can be hinged so as to open and close upward relative to (32) so as not to open arbitrarily except when the operator intentionally lifts the door 4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t least one door 40 may be installed in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and a plurality of doors 40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42 for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er.
  • the ladder 42 serves to help the operator to climb up and down from the ground to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nventional ladder for access to the height.
  • At least one or more ladders 42 may be installed even when at least one door 40 is formed, and the same number of ladders as the door 40 may be installed, as well as that of the door 40.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less than a number of ladders may be installed, and each ladder may be movably installed toward the doors 40.
  •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dampers 35 to control the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eenhouse (S1) and the second greenhouse (S2).
  • the damper 35 may be used as long as the damper 35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air.
  •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35 and the flow rate control may operate the damper with a lever manually, or may be operated electronically and automatically by an actuator (not shown).
  • the damper 35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flexible pipe body 36 is adjustable in length.
  • the stretch tube is commonly referred to as 'javabar hose' and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3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expansion pipe 36 is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height from the ground, which is supplied from the second greenhouse (S2) to the first greenhouse (S1) It may be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position at which the air to be blown is blown.
  • the damper 35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37 for assisting air blowing, and the blower 37 may control the flow of air from the second greenhouse S2 to the first greenhouse S1 according to a worker's choice. It can function to promote.
  • the blower 37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blower' and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 the air supply pipe 50 is preferably covered with a gravel layer 60, and is covered with the gravel layer 60 through an air vent 51 formed in the air supply pipe 50. Soil particles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ir supply pipe 50, and a certain gap is stably ensured.
  •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5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gravel layer 60 and the support wire mesh 70 for stably supporting the air supply pipe (50).
  • the air supply pipe 5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air supply pipe 52 protruding into the second greenhouse S2.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ir conditioned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50 through the extension air supply pipe 52 to supply air conditioned to the space of the second greenhouse S2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round G. can do.
  •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pe 52 may further include a diffuser 53 for dispersing air, and the diffuser 53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vents 54 to extend the extension pipe 52.
  • the air supplied through it may be released into the greenhouse space, but may be evenly distributed and released.
  • the first membrane body 10 and the second membrane body 20 is blocked by the outside,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to maintain a constant air pressure to support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air house
  • a machine room (not shown) may be installed where a high pressure pump (not shown) for forcibly supplying air may be installed, and an additional entranc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air house may b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or separately from the machine room.
  • the entrance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where the machine room is located or the other side where the machine room is not located, and the air house may be further supplied with high pressure air from the high pressure pump in the machine room into the air house.
  • the inside of the airhouse may be maintained at a constant pressure to enable the airhouse to maintain an appearance having a constant volume.
  • a temperature for the desired greenhouse environment e. G., The lowest temperature required for proper growth of plants grown therein.
  • auxiliary thermostats eg, moveable and actuated heaters.
  • the natural circulation air house using the geothermal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andard, for example, the elevation of the second greenhouse (S2) may be 10 to 20m, preferably 15m, the first greenhouse ( The elevation of S1) may be about 12 to 25 m, preferably 17 to 18 m, and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32 and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33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may be about 1 m.
  • the elevation of the second greenhouse (S2) may be 10 to 20m, preferably 15m
  • the elevation of S1 may be about 12 to 25 m, preferably 17 to 18 m
  •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32 and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33 of the multifunctional support 30 may be about 1 m.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r manufacturing the air house system and the concentrated fisheries industry to perform plant cultivation using such an air ho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온실과 제2 온실의 이중 온실 구조를 가지며,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제1 온실 내에 위치하는 제2 온실의 단열, 보온 효과를 높여 온실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토양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토양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막체; 상기 제1 온실의 내부에서 제2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막체; 상기 제2 막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막체를 지지하고,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다기능지지대; 및 제2 온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온실이 형성된 지중에 매설된 급기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본 발명은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온실과 제2 온실의 이중 온실 구조를 가지며,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제1 온실 내에 위치하는 제2 온실의 단열, 보온 효과를 높여 온실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토양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토양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일정한 곡선으로 형성된 골조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골조 양측 끝단부분을 지면에 고정시킨 후, 지면 상에 고정된 골조 위에 비닐필름을 덮어 하우스 내에서 각종의 농작물이 재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보편적으로 단층의 골조 외면에 비닐지를 덮어 준 상태에서 기온이 낮은 겨울철 하우스 내의 온도를 농작물이 재배될 수 있는 적정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 비닐하우스는 한 장의 필름으로 골조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태풍이나 홍수, 우박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쉽게 파손 내지는 소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근래에는 비닐하우스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내부에 일정 공기압을 유지시켜 외부 환경으로 인한 파손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에어하우스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하우스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3호에서는 2중의 비닐하우스 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서 더워진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시킴으로서 농작물의 건조에 활용함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비닐하우스 지지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에어하우스 구조에서는 에어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공기압이 에어하우스의 일측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에어하우스 내부의 전체적인 공기압력이 불균일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에어하우스의 외관이 한쪽으로 부풀어 오르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관개시설 또는 비료살포로 인해 흡수되지 않고 남은 염류들이 집적되어 토양의 공극이 점차 감소되면서 토양의 산소 유동성이 낮아져서 농작물의 재배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제1 온실과 제2 온실의 이중 온실 구조를 가지며,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제1 온실 내에 위치하는 제2 온실의 단열, 보온 효과를 높여 온실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토양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토양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는 제1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막체; 상기 제1 온실의 내부에서 제2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막체; 상기 제2 막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막체를 지지하고,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다기능지지대; 및 제2 온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온실이 형성된 지중에 매설된 급기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지지대가 그를 통하여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행로를 구성하는 저면, 상기 다기능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상기 저면에 고정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상기 측면에 막고정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지지대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지지대에는 작업자의 승하강을 위한 사다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지지대에는 제1 온실과 제2 온실의 유체적인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댐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댐퍼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관체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댐퍼에는 송풍을 보조하기 위한 송풍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급기관에는 제2 온실 내로 돌출되는 연장급기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장급기관의 단부에는 공기를 산포하기 위한 산포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온실과 제2 온실의 이중 온실 구조를 가지며,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제1 온실 내에 위치하는 제2 온실의 단열, 보온 효과를 높여 온실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토양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토양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길이방향의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구성하는 다기능지지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댐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구성하는 다기능지지대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기능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기능지지대에 출입문과 사다리가 설치된 상태 및 댐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구성하는 급기관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 상기 급기관이 제2 온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지중에 매립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구성하는 급기관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 상기 급기관이 제2 온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지중에 매립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를 구성하는 급기관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1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막체; 상기 제1 온실의 내부에서 제2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막체; 상기 제2 막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막체를 지지하고,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다기능지지대; 및 제2 온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온실이 형성된 지중에 매설된 급기관;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는 제1 온실(S1)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막체(10); 상기 제1 온실(S1)의 내부에서 제2 온실(S2)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막체(20); 상기 제2 막체(2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막체(20)를 지지하고,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다기능지지대(30); 및 제2 온실(S2)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온실(S2)이 형성된 지중(G)에 매설된 급기관(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으로 설치되는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를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하면서 동시에 제2 온실(S2)을 구성하는 제2 막체(20)를 지지하도록 기능하는 다기능지지대(30)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2 막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온실(S2) 내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막체(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온실(S1) 내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1 온실(S1)에 의한 단열, 보온 효과를 높이고, 특히, 제2 온실(S2)이 과도한 온도 변화를 겪지 않도록 하여 실제 식물이 재배되는 제2 온실(S2)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제1 온실(S1)의 찌그러짐 등의 외형 상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제2 온실(S2)의 단열, 보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2 온실(S2)을 감싸는 제1 온실(S1)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아도 적정한 온실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유지, 보수를 간단하고, 비용경제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용어 "공조(空調)"는 공기조화의 줄임말로서, 공기의 온도, 습도, 유속 등을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에어하우스 시스템이 식물의 생육을 위한 것인 경우, 특히 식물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온도, 습도 및 유속 등이 제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1 막체(10)는 제1 온실(S1)을 형성하도록 기능한다. 제1 막체(10)는 비닐하우스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합성수지제의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되어 공기압에 의해 자립할 수 있는 복층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막체(10)가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막체(10)는 제1 온실(S1) 내로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것에 의하여 대기압 보다 높은 공기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제1 온실(S1)을 형성하거나, 달리 제1 막고정수단(11)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온실(S1)을 형성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제1 막체(10)는 그 외면에 줄 또는 그물로 된 제2 막고정수단(12)에 의해 더 고정되어 제1 막체(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온실(S1) 내부에 대기압 보다 높은 공기압력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달리, 제1 막체(10)가 복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복층 필름 내로 가압된 공기가 공급되어 팽창되는 경우, 별도의 막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도 자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막고정수단(11) 및/또는 제2 막고정수단(12)에 의해 추가로 고정, 지지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제2 막체(20)는 제2 온실(S2)을 형성하도록 기능하며, 제1 온실(S1) 내에 제2 온실(S2)을 형성한다는 점 및 다기능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막체(10)와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막체(20) 역시 제3 막고정수단(21) 및/또는 제4 막고정수단(22)에 의해 추가로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온실(S2)은 상기 제1 온실(S1) 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온실효과를 기대하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동해의 우려가 있거나 저온이 예상되어 식물의 생육이 저해될 수 있는 장소에서 식물의 생육에 적절한 조건을 제공하는 실질적인 식물 재배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다기능지지대(30)는 상기 제2 막체(2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막체(20)를 지지하고,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중으로 설치되는 비닐하우스와 같이, 단순히 제1 온실(S1) 내에 제2 온실(S2)을 설치하여도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이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 비록 제2 온실(S2) 전체를 감싸는 구조의 제1 온실(S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온실(S2)의 보온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기는 하나, 제1 온실(S1) 내부를 별도로 공조(예를 들면, 가열)하지 않는 이상, 제1 온실(S1) 외부의 외기에 의해 쉽게 냉각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온실(S2)의 온실 환경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 온실(S1) 내부의 공조를 별도로 수행하여야 한다. 즉, 별도의 공기 가열 수단 등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는 에어하우스 시스템 자체의 설치비용의 증가,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의 증가 등을 수반하여 비용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온실 환경의 형성을 위하여 적절하게 공조된 제2 온실(S2) 내의 공기를 상기 다기능지지대(30)를 통하여 제1 온실(S1) 내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1 온실(S1) 내의 공기의 급속한 냉각을 방지하도록 하고, 그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제2 온실(S2)의 온실 환경이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온실(S2)의 따뜻한 공기가 상기 제1 온실(S1)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다기능지지대(30)는 상기 제2 온실(S2)의 정점 부근, 즉 제2 온실(S2)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관(50)은, 도 5 내지 도 7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온실(S2)이 형성된 지중(G)에 매설되어 상기 제2 온실(S2)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기, 특히 온실의 외부의 외기를 지중(G)을 통하여 제2 온실(S2) 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지중(G)을 통한 외기의 공급은 외기 즉, 온실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온실 내부로 공급하되, 지중(G)을 통하여 공급토록 함으로써 토양의 산소포화도를 높이고, 그에 의하여 토양의 산소 유동성이 증가되어 미생물 대사활성을 극대화시키게 되고, 산성 토양을 알칼리성 토양으로 변화시키는 토양 환경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기관(50)은 그 일측 단부가 지면 상으로 노출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온실(S1) 및/또는 제2 온실(S2) 외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온실(S1) 외부에 노출되어 공조되지 않은 외기를 흡인하여 매설된 지중(G)을 통과하면서 지열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제2 온실(S2)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조를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하여 제2 온실(S2) 내부를 목적하는 바에 따른 온실 환경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비록,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공조를 특히 가열로 표현하기는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의 공조가 가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달리 구축하고자 하는 온실 환경에 따라서는 대기와 지중 간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급기관(5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 또한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주로 지열을 이용하여 공조, 즉 급기관(50)을 통과하는 공기의 가열 및/또는 냉각을 수행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비용경제적인 에어하우스 시스템의 운영을 가능하게 하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급기관(50)은 공기의 가열/냉각을 위한 별도의 공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별도의 공조시스템은 통상의 에어컨디셔너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가열을 위한 히터(heater) 및/또는 냉각을 위한 쿨러(cooler)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관(50)은 바람직하게는 지중(G)에 수평으로 매설되며, 상기 급기관(50)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51)가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통기구(51)는 공기, 바람직하게는 공조되고 가압된 고압의 공기가 상향으로 분사되도록 급기관(50)의 상반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지지대(30)는 그를 통하여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행로를 구성하는 저면(32), 상기 다기능지지대(30)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상기 저면(32)에 고정되는 측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저면(32)을 딛고서 통행 및/또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면(32)에 일체로 고정된 측면(33)은 작업자의 통행 시 안전한 통행을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함은 물론, 상기 저면(32)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저면(32)과 측면(33)을 포함하는 상기 다기능지지대(30) 전체를 보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지지대(30)는 지주(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다기능지지대(30)는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을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다기능지지대(30)의 저면(32)을 기준으로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이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저면(32)의 상부가 제1 온실(S1)이 되고, 상기 저면(32)의 하부가 제2 온실(S2)이 된다.
상기 다기능지지대(30)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상기 측면(33)에 막고정면(3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막고정면(34)은 상기 측면(33)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즉 상기 저면(3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막고정면(34)에 제2 막체(20)가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막체(20)는 그 단부의 일부가 상기 막고정면(34)에 고정되는 한편으로, 다른 일부가 상기 측면(33)에도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막체(20)와 막고정면(34) 및/또는 측면(33) 간의 고정은 접착제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음은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면, 상기 제2 막체(20)의 단부에 플랜지(도시하지 않음)를 고정시키고, 이 플랜지를 이용하여 플랜지와 막고정면(34)을 볼트/너트의 조합 등 기계적인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조립가능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양측의 막고정면들 중 일측에만 제2 막체(20)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제2 막체(20)는 양측의 막고정면들 모두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지지대(30)를 통한 작업자의 통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다기능지지대(30)의 저면(32)에 하나 이상의 출입문(4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문(40)을 통하여 작업자가 상기 다기능지지대(30)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40)은 상기 다기능지지대(30)의 저면(32)에 힌지(41)로 힌지가능하게 고정되어 개폐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전을 위하여 상기 출입문(40)은 상기 저면(32)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개폐되도록 힌지고정되어 의도적으로 작업자가 출입문(40)을 들어올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40)은 상기 다기능지지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지지대(30)에는 작업자의 승하강을 위한 사다리(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42)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다기능지지대(30)까지 오르내리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하며, 고소(高所)에의 접근을 위한 통상적인 사다리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출입문(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사다리(42)도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문(40)과 동일 개수의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출입문(40)의 개수 보다 더 적은, 하나 이상의 사다리가 설치되고, 각 사다리가 상기 출입문(40)들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지지대(30)에는 제1 온실(S1)과 제2 온실(S2)의 유체적인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댐퍼(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댐퍼(35)는 유체적인 연결, 즉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고, 유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35)의 개폐 및 유량 제어는 레버가 달린 댐퍼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고, 달리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댐퍼(35)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관체(36)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신축관체는 통상적으로 '자바라 호스'라고 불리우고, 상용적으로 구입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신축관체(36)를 신축시켜 상기 신축관체(36)의 단부의 위치가 지면으로부터 적절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제2 온실(S2)로부터 제1 온실(S1)에로 공급되어야 할 공기가 취입되는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댐퍼(35)에는 송풍을 보조하기 위한 송풍기(37)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송풍기(37)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온실(S2)로부터 제1 온실(S1)로의 공기의 흐름을 촉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송풍기(37)는 통상적으로 '블로어(blower)'라고 불리우고, 상용적으로 구입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관(50)은 자갈층(60)으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갈층(60)으로 덮는 것에 의해서 상기 급기관(50)에 형성된 통기구(51)를 통하여 토양입자가 급기관(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일정한 공극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기관(50) 하부에는 자갈층(60)의 침하를 방지하고 급기관(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철망(70)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자갈층(60) 구성을 이루게 되면, 토양이 급기관(50)과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짐으로서 토양의 미립자가 통기구(51)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에 퇴적됨으로 인한 문제가 개선되어짐과 함께 급기관(50) 주변에 안정적인 공극이 확보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공조된 고압 공기의 분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철망(70)이 하부에 구비됨으로서 자갈층(60)의 침하현상이 방지되어 토양표층이 균일한 평탄면으로 유지됨과 함께 급기관(5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관(50)에는 제2 온실(S2) 내로 돌출되는 연장급기관(5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연장급기관(52)을 통하여 상기 급기관(50)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조된 공기가 지중(G)을 통하지 않고 바로 제2 온실(S2)의 공간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 또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장급기관(52)의 단부에는 공기를 산포하기 위한 산포기(53)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산포기(53)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54)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급기관(52)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온실 공간 내로 방출하되, 고르게 분산되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막체(10) 및 제2 막체(2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며, 양측들 중의 적어도 일측에는 에어하우스 내부의 형상 지지를 위해 일정 공기압력이 유지되도록 공기를 강제 공급하는 고압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설비되는 기계실(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고, 이 기계실에 상기 에어하우스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더 설치되거나, 상기 기계실과는 별도로 상기 기계실이 위치되는 일측 또는 상기 기계실이 위치되지 않는 타측에 출입구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에어하우스 내부에는 기계실 내의 고압펌프로 부터 고압의 공기가 에어하우스 내로 더 공급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에어하우스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실에 설치된 고압펌프를 구동시켜 8 내지 25mmHQ의 고압으로 공기를 에어하우스 내부로 공급함으로서 에어하우스 내부가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어 에어하우스가 일정한 내용적을 갖는 외형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온실(S1) 및/또는 제2 온실(S2), 특히 제1 온실(S1)에는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온도센서에 의해 제1 온실(S1) 내의 온도가 희망하는 온실 환경을 위한 온도(예를 들면, 그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적절한 생육에 요구되는 최저 온도) 이하로 강하되는 경우에 상기 댐퍼(35) 및/또는 송풍기(37)를 작동시키고/시키거나 경보음을 발송하고/하거나 보조 온도조절수단(예를 들면, 이동 및 작동이 가능한 히터)을 작동시키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는 그 규격에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상기 제2 온실(S2)의 표고가 10 내지 20m, 바람직하게는 15m일 수 있고, 제1 온실(S1)의 표고가 약 12 내지 25m,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8m일 수 있고, 상기 다기능지지대(30)의 저면(32)의 폭 및 측면(33)의 높이가 약 1m일 수 있으며, 이러한 규격에 의해 상기 제2 온실(S2)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층의 식물재배판들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다기능지지대(30)를 통하여 작업자가 통행하면서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조하는 제조업 및 이러한 에어하우스를 사용하여 식물 재배 등을 수행하는 농축수산업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제1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막체;
    상기 제1 온실의 내부에서 제2 온실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막체;
    상기 제2 막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막체를 지지하고, 제1 온실과 제2 온실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다기능지지대; 및
    제2 온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온실이 형성된 지중에 매설된 급기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지지대에 그를 통하여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행로를 구성하는 저면, 상기 다기능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상기 저면에 고정되는 측면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지지대에 상기 다기능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상기 측면에 막고정면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지지대에 상기 다기능지지대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지지대에 작업자의 승하강을 위한 사다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지지대에 제1 온실과 제2 온실의 유체적인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댐퍼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관체가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송풍을 보조하기 위한 송풍기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 제2 온실 내로 돌출되는 연장급기관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급기관의 단부에 공기를 산포하기 위한 산포기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PCT/KR2017/001038 2016-02-01 2017-01-31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WO20171356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221 2016-02-01
KR1020160012221A KR101779695B1 (ko) 2016-02-01 2016-02-01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655A1 true WO2017135655A1 (ko) 2017-08-10

Family

ID=5949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038 WO2017135655A1 (ko) 2016-02-01 2017-01-31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9695B1 (ko)
WO (1) WO20171356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8113A1 (en) * 2018-07-04 2020-01-09 Oy Hortimill Ltd System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0410B (zh) * 2020-04-10 2022-07-29 吐鲁番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防治设施土壤土传病害的方法
KR102415642B1 (ko) 2021-07-19 2022-07-01 주식회사 낫소엑스 하부 마감필름이 구비된 에어돔 하우스
KR102650374B1 (ko) * 2021-11-04 2024-03-22 주식회사 미드바르 에어돔 스마트팜
KR102458133B1 (ko) * 2022-06-13 2022-10-24 정영구 농업용 돔 하우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45A (ko) * 2008-08-29 2010-03-10 오평원 지하공기를 이용한 하우스의 단열 장치
KR20130005818A (ko) * 2011-07-07 2013-01-16 김유복 이중 항온 비닐하우스
KR20140093393A (ko) * 2013-01-18 2014-07-28 김원준 냉난방기능 및 적설피해 방지기능을 가진 비닐하우스 제작에 사용되는 이중비닐
KR20150001513A (ko) * 2013-06-27 2015-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5436A (ko) * 2013-08-29 2015-03-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피복 온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314B1 (ko) 2013-02-22 2014-07-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계절 온실 하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45A (ko) * 2008-08-29 2010-03-10 오평원 지하공기를 이용한 하우스의 단열 장치
KR20130005818A (ko) * 2011-07-07 2013-01-16 김유복 이중 항온 비닐하우스
KR20140093393A (ko) * 2013-01-18 2014-07-28 김원준 냉난방기능 및 적설피해 방지기능을 가진 비닐하우스 제작에 사용되는 이중비닐
KR20150001513A (ko) * 2013-06-27 2015-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5436A (ko) * 2013-08-29 2015-03-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피복 온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8113A1 (en) * 2018-07-04 2020-01-09 Oy Hortimill Ltd System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695B1 (ko) 2017-10-10
KR20170091339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655A1 (ko)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US8726586B1 (en) Energy-efficient building structure having a dynamic thermal enclosure
WO2014115958A1 (ko) 습도를 기준으로 하는 최적의 체감 온도 제어 시스템
CN101019493B (zh) 一种高性能日光温室
KR101892913B1 (ko) 스마트 버섯재배사
KR101525172B1 (ko) 실내 온습도 제어 장치
US8556689B2 (en)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system
KR101834742B1 (ko) 온실 공기 순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210219501A1 (en) Greenhouse improvements
KR101519464B1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US8683740B2 (en) Intelligent canopy greenhouse control system
CN105830819B (zh) 一种湿帘风机正压通风循环降温系统及其分段降温方法
KR20150084103A (ko) 온실하우스의 하이브리드 냉난방시스템
CN109076830A (zh) 一种温室
WO2014189211A1 (ko) 실내 공기 순환 장치
JP2009235677A (ja) 温熱環境改善システム
WO2015030527A1 (ko) 에어 그린하우스
KR101750305B1 (ko) 에어 하우스
WO2013024962A1 (ko) 태양열 및 지열을 이용한 온실
KR101532737B1 (ko) 이중 개폐식 에어 하우스
JP2009082009A (ja) ハウスの開閉換気装置。
CN109937717A (zh) 大直径立筒仓渗流通风控温系统
KR101171673B1 (ko) 양압식 환기를 하는 비닐하우스
KR100622455B1 (ko) 무지주 다층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WO2021025331A2 (ko)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477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0.01.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477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