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1981A1 - 발가락 교정기 - Google Patents

발가락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1981A1
WO2017051981A1 PCT/KR2015/012572 KR2015012572W WO2017051981A1 WO 2017051981 A1 WO2017051981 A1 WO 2017051981A1 KR 2015012572 W KR2015012572 W KR 2015012572W WO 2017051981 A1 WO2017051981 A1 WO 20170519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e
toes
big
bottom support
br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5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숙경
Original Assignee
이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경 filed Critical 이숙경
Publication of WO20170519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19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straightener, and more specifically, a big toe receiving portion and a medicinal toe receiving portion formed to stably surround the big toe and the digit toe are formed, and the toe or the digit toe is opened or gathered by pressing to spread or gather.
  • the toe is gathered inward or the deformation of the open foot to correct the shape, in particular toe toe between each other and toes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the toe brace to allow comfortable walking.
  • the toe part serves to balance the whole body through smooth weight distribution during movements such as walking or jumping. If the toes become abnormal shape, the rhythm of weight distribution is broken, which adversely affects various parts of the human skeleton and causes various side effects.
  • the heel of the shoe is high and the width of the front is narrowed, it will be nice, but the foot is inserted into the shoe will have a very bad effect. In other words, if you walk or stand for a long time while wearing high-heeled shoes, the high heels will cause the body's load to be dir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foot, which will put excessive load on the front of the foot or toes,
  • the shape can be modified.
  • This toe deformity causes the big toe, which supports most of the weight when walking, does not normally disperse weight, causing unnatural gait, which causes ankle, knee joint, lower back, and pain.
  • the protruding part causes pain such as skin peeling due to friction with the shoe when the shoe is worn, thereby causing a vicious cycle such as walking becomes more unnatural. Done.
  •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00458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traightening portion that fits on the big toe, plantar foot prot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front part of the foot, and a bunion protection device formed with an exposure hole to connect them and expose them A toe brace of the structure is disclosed.
  • the corrective part allows the correction of the valgus by spreading between the big toe and the adjacent toe, and the plantar protection part covers both the instep and the sole of the foot so that the wearer feels less pain by using a cushioning feeling. .
  • the toe braces can be corrected only by separating the big toe from the adjacent to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orrect the malformation of the other to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toe is gathered inward to form a big toe accommodating part and the toe accommodating part to stably wrap the big toe and the digit toe to correct the valgus hallux valgus It is to provide a toe brace to correct the deformation of the bent or twisted toes, gathered inward or spread by pressing the big toe and ring finger to the correct shap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brace to space between each toe and toes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allow comfortable walk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brace that is easy to wear and low cost is formed of a simple structure.
  • the toe is raised to support the to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oe,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and to maintain the extended state of the raised toe joints, and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 the thumb It is formed in a width to cover the entire toe and the big toe accommodating portion 200 having a tunnel shape so that the big toe can be inserted, and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ig toe accommodating portion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index finger toe I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 300 and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s inserted between the stop toe, is formed in a width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orthodontic protrusion (300) to cover the entire digit toe and the digit toe
  • It is formed to include a medicine toe receiving portion 400 having a tunnel shape to be inserted, the big toe on one side of the medicine toe receiving portion 400 Yongbu 200 receiving the little toe that is formed by concavely drawn in the direction I is characterized
  • the orthodontic protrusion 300 is formed extending in both sides and front and rear at the upper end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ortion 320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of the toe is further formed.
  •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has a bottom space portion 110 is formed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e braces on the bottom surface is fitted to the toe braces by the shock absorbing action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caused by the body load applied to the toes to be buffered.
  • the orthodontic projection 3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rthodontic projections 300 protruding outward toe toe pressure portion 310 is formed so that the side of the toes and the side of the orthodontic projections 300 in close contact with the toes. Simultaneous acupress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oes to prevent movement or twisting.
  •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acupressure portion 150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on the lower end of the toe fitted to the toe braces.
  • the big toe accommodating part and the weak toe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to stably wrap the big toe and the digit toe to correct the toe valgus valgus, which is gathered inward, thereby bending by pressing the big toe and the digit toe. It is effective to correct the shape of the twisted toe, the inner side of the gathered or spread foot.
  • the toe b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d correct the malformation of the toes along with the acupressure effect of each part, so that it can treat the hallux valgus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evere diseases such as valgus valgus. Because it is very advantageous to maintain health, especially through the correction of the foot, which is the basis of the bod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overall body shape, such as curved legs, O-shaped legs, curved shoulders, curved spine, there is a health promoting effect.
  • the toe br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between each toe and the toes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correct the correct gait using the stepping foot to enable comfortable walking, thereby distributing the weight of the whole body by five toes
  • Toe braces can be provided to correct the spine and legs so that the body does not tip to one side.
  • the toe br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wear and has a low production cost effec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rear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3.
  • FIG. 5 is a bottom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wearing state of the toe bra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rear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A 'of
  • FIG. 5 is a bottom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wearing state of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the big toe receiving portion 200, the straightening projection 300, the toe receiving portion 400 and the little toe accommodating groove 410 may include.
  • the he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oot including the toe as an anterior portion of the foot and including the arch recessed upwardly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ot and connected to the toe joints
  • the description will be divided into forefoot.
  • the front means a direction toward the toes
  • the rear means a direction away from the toes.
  • Toe straigh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toes are raised to support the toe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es, so that the joints of the toes raised on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That is, the floor support part 100 supports the forefoot part of the user.
  •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s indented between the big toe receiving portion 200, the toe receiving portion 400 and the big toe receiving portion 200 and the weak toe receiving portion 400 to be described below
  • the correction protrusion 300 is formed.
  • the index toe receiving space 120 is formed between the big toe accommodating part 200 and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and the stop toe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and the weak toe accommodating part 400.
  • the space 130 is formed.
  • the big toe accommodating part 20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pport part 100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to cover the entire big toe and is formed to have a tunnel shape so that the big toe can be inserted.
  • the big toe accommodating part 2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lastic because the inner wall of the big toe accommodating part 200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ig toe.
  • the big toe receiving unit 200 When the big toe is pressurized by the big toe receiving unit 200, correction and acupressure are made, and at this time, the big toe accommodating in a tunnel form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big toe so that the big toe can be corrected in an accurate form.
  • the part 200 can hold the entire toe of the big toe to prevent the big toe from being bent inward (inside of the foot) or spreading too much outward.
  • the medicament toe receiving unit 40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spaced apart from the straightening projection 300 by a predetermined width to cover the entire digit toe and the digit toe is inserted It is formed to have a tunnel shape.
  • the weak toe accommodating part 4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lastic.
  • the medicine and toe pressure is made while the medicine toe is pressurized by the medicine toe receiving unit 400, in which case the medicine toe of the tunnel is formed in a width that can cover the entire medicine toe to be corrected in the correct form.
  • the part 400 may hold the entire toe of the ring finger to prevent the ring finger from being corrected while being curved inwardly (inside of the foot) or spreading too much outward.
  • one side of the toe receiving portion 400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little toe receiving recess 410 formed reces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ig toe receiving portion 200.
  • the baby toe accommodating recess 410 is further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little toe as described above, the little toe can be stably seated to achieve correction of the entire shape of the foot, and eliminates foreign body feeling when worn. It can improve the fit.
  • the toe braces When the toe braces are inserted into the foot or the toe of the foot, which is deformed into the wrong habit by the big toe accommodating part 200 and the medicated toe accommodating part 400 formed as described above, or in which the valgus is inwardly spread, the thumb and the ring finger The toes are pressurized to open or gather, and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normal foot.
  •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bottom space portion 110 formed recessed in the upper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 the floor space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absorb the impact through the elastic when walking in the state to which the toe braces are fitted,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foot.
  • the bottom space portion 110 is formed to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can increase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toe and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foot effect to increase the effect of correction There is.
  • the bottom support part 100 forms a cushioning feeling by the bottom space part 110 to cushion the foot to support the toes supporting the load by mitigating the shock applied to the toes by cushioning the foot. Do not overdo it, giving a continuous acupressure effect has the effect of reducing foot fatigue when walking.
  • the bottom support part 100 has a rear inclination part 140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of the bottom support part 100 at the rear of the bottom support part 100.
  • the rear inclination portion 14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inclination portion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toe and the middle foot portion when the toe braces are inserted to prevent the play between the toe braces and the foot to correct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ect.
  •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may further be formed with a protrusion acupressure portion 150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 the protruding acupressure unit 15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front of the toe receiving space 120 and the stop toe receiving space 130.
  • the protruding acupressure unit 150 not only presses the lower end of the index toe and stop toe, but also forms the protruding acupressure unit 150 so as to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index toe and the stop toe so that the toe braces and the index toe And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stop toe can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index finger and stop toe.
  • the bottom support portion 100 is further formed with a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ig toe receiving portion 200,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is sandwiched between the index toe and the stop toe. Lose. Accordingly,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may be fixed between the index toe and the middle toe so that the index toe and the middle toe are not moved.
  • the index finger and middle toe are to be the central axis to open or collect the thumb and the ring finger to form the correction protrusion to prevent the movement and twisting of the index and middle toe of the index axis. Therefore, by securing a stable center can spread or gather the thumb and toe toes can effectively achieve hallux valgus or open feet.
  • the orthodontic projections 3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rthodontic projections 300 protruding outward to the toe finger pressure portion 310 is the side of the detection and stop toe and the correction
  • the side of the protrusion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space between the detection and stop toes and the correction protrusion 300 to prevent the detection and stop toes from moving, and while pressing the sides of the detection and stop toes at the same time It can be worn comfortably and prevents the toes from twisting and correcting to the correct shape.
  • the toe joint pressure portion 310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so that both sides of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300 have a streamlined structure that protrudes outward, and the sides of the index toe and middle toe are detected.
  • the side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s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raightening and acupressure through the orthodontic protrusions 300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dex finger and the toe.
  • the toe joint pressure portion 31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pressing the second node of the index finger and toe toe.
  • the correction protrusion 300 can prevent the index toe to be inward to correct the toes in the form of a normal foot.
  • the upper end of the straightening projection 300 may be formed extending in both sides and front and rear wing portion 320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side portion.
  • the wing 320 is formed to press the upper muscle area of the joint of the index finger and middle toe.
  • the wing 3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muscles of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toe of the index finger, so that the pressure does not interfere with walking so that the user can normally live without a sense of rejection while wearing the toe braces,
  • the index finger and stop toe side can be supported to allow the index and stop toes to move stably in the toe receptacle and stop toe receptacles so that they can be stably positioned.
  • the toe straightener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part 100 or the circumference of the straightening projection 30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320 or the thumb and the toe receiving part ( A separate acupressure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400 or both of them to increase the acupressure effect on all the portions where the toe brace and the user's toe contact.
  • the thumb and the digit toe receiving unit 40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o press the big toe and the digit toe, the thumb and the digit toe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toe interposed between the index finger ( 300) by holding the stable correction center axis, the index finger and stop toes are fixed to the orthodontic protrusions 300 to be fix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toe braces to prevent the movement or twisting to the deformed foot or By correcting the shape of the open toe and correct footing, the entire body balance, especially the spine and legs, can be corrected.
  • the big toe and the digit toe are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correct the shape of the foot, preventing and preventing valgus. There is a treatable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안정적으로 감싸주는 엄지발가락 수용부와 약지발가락 수용부가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벌리거나 모여지도록 가압함으로써 휘거나 비틀어진 발가락이 내측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진 발의 변형을 올바른 형상으로 교정하며, 특히 각 발가락 사이를 이격시킴과 아울러 발가락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올려진 발가락 관절의 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100)와,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엄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엄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는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설되어 형성되며,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교정돌기(300) 및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교정돌기(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약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약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는 약지발가락 수용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되는 새끼발가락 수용요홈부(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기
본 고안은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안정적으로 감싸주는 엄지발가락 수용부와 약지발가락 수용부가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벌리거나 모여지도록 가압함으로써 휘거나 비틀어진 발가락이 내측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진 발의 변형을 올바른 형상으로 교정하며, 특히 각 발가락 사이를 이격시킴과 아울러 발가락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직립 보행을 하는 인간의 특성상 일상생활은 대부분 선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기초는 정상적이고 튼튼한 발이 기본이다. 특히 발가락 부위는 걷는 행위나 뛰는 행위와 같은 이동 동작시 부드러운 체중 분산을 통해 몸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발가락이 비정상적인 형태가 되면 체중 분산의 리듬이 깨져 인체 골격의 여러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외출시 키가 커보이게 하면서 세련된 차림새를 위하여 뒷굽은 높고 앞 부분의 폭이 좁아 보이는 구두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하이힐은 뒷굽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앞부분을 더욱 길고 뾰족하게 한 형태가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신발의 뒷굽이 높아지고 앞 부분의 폭이 좁아지면 맵시는 좋아지겠지만, 신발에 삽입되는 발의 입장에서는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뒷굽이 높은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장시간 동안 걷거나 서 있게 되면, 높은 뒷굽으로 인하여 신체의 하중이 발의 앞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발의 앞 부분이나 발가락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발과 발가락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앞 부분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발의 양측면과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발 및 발가락이 변형될 수도 있다. 즉, 뒷굽이 높고 앞 부분의 폭이 좁은 신발이 발가락이나 발 볼 등을 심하게 압박함으로써 발가락이 구부러지고 굳은살이 형성되는 등 여러 가지로 발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며, 특히 엄지발가락이나 새끼발가락이 안쪽으로 휘어져 '외반모지'라는 기형을 유발함으로써 신발 착용시 많은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선천적인 발가락 뼈의 이상이나 사고 또는 원인불명의 사유로 인해 정상적인 발 모양이 되지 못하고 발가락이 뒤틀리는 기형이나 발가락이 아래 또는 위로 휘어지는 기형이 발생하여 발가락이 나란하게 배열되지 않음으로써 신체적 및 심리적 고통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발가락의 기형은 보행시 체중의 대부분을 지탱하는 엄지발가락이 체중을 정상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해 부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발목이나 무릎 관절, 허리 등에 이상이 발생하고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발가락과 발의 연결부위가 돌출된 경우에는 돌출 부위로 인해 신발 착용시 신발과의 마찰로 인해 살갗이 벗겨지는 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걸음걸이가 더욱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악순환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발가락을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상품화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부분적인 효과만 얻을 수 있을 뿐 실제로는 많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0458호는 엄지 발가락에 끼워지는 교정부와, 발의 앞 부분을 감싸주는 족저보호부 및 이들을 연결하며 건막류가 노출되도록 노출홀이 형성된 건막류 보호구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의 발가락 교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고안에 따르면, 교정부에서 엄지 발가락과 인접 발가락 사이를 벌려줌으로써 무지외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고, 족저보호부는 발등과 발바닥을 모두 감싸줌으로써 쿠션감을 이용하여 착용자가 통증을 덜 느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가락 교정기는 엄지 발가락만 인접한 발가락으로부터 이격시켜 교정할 수 있을 뿐 다른 발가락들의 기형은 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으로 모아져 발가락이 휜 무지외반증과 벌어진 발을 교정하기 위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안정적으로 감싸주는 엄지발가락 수용부와 약지발가락 수용부가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가압함으로써 휘거나 비틀어진 발가락, 내측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진 발의 변형을 올바른 형상으로 교정하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 발가락 사이를 이격시킴과 아울러 발가락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한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올려진 발가락 관절의 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100)와,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엄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엄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는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설되어 형성되며,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교정돌기(300) 및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교정돌기(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약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약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는 약지발가락 수용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되는 새끼발가락 수용요홈부(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정돌기(300)는 상기 교정돌기(300)의 상단에서 양측 및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 측부의 상면을 지압하는 날개부(3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바닥면에 상기 발가락 교정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인입되는 바닥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충격흡수작용에 의해 상기 발가락 교정기에 끼워진 발가락에 가해지는 신체 하중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정돌기(300)는 상기 교정돌기(300)의 양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발가락마디지압부(310)가 형성되어 발가락의 측면과 상기 교정돌기(300)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발가락을 지압함과 동시에 발가락이 움직이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지압부(150)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발가락 교정기에 끼워지는 발가락의 말단 하부를 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으로 모아져 발가락이 휜 무지외반증을 교정하기 위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안정적으로 감싸주는 엄지발가락 수용부와 약지발가락 수용부가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가압함으로써 휘거나 비틀어진 발가락, 내측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진 발의 변형을 올바른 형상으로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각 부위별 지압 효과와 함께 발가락의 기형을 예방하고 교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무지외반증과 같은 심한 질병을 예방함과 동시에 별도의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무지외반증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유리하고, 특히 신체의 근간인 발의 교정을 통해 굽은 다리, O자 다리, 굽은 어깨, 휘어진 척추 등 체형 전체를 전반적으로 교정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 증진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는 각 발가락 사이를 이격시킴과 아울러 발가락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디딤발을 사용하는 올바른 걸음걸이로 교정하여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몸 전체의 체중을 다섯발가락으로 분산시켜 몸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척추와 다리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상태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바닥지지부(100)와,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교정돌기(300)와, 약지발가락 수용부(400) 및 새끼발가락 수용요홈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위인 후족부, 발의 중앙 부위로써 상측으로 함몰된 아치를 포함하고 발가락 관절과 연결되는 중족부 및 발의 전방부위로써 발가락을 포함하는 전족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발가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발가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지지부(100)에 올려진 발가락의 관절이 구부러지지 않고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엄지발가락 수용부(200), 약지발가락 수용부(400) 및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약지발가락 수용부(400) 사이에 돌성되어 형성되는 교정돌기(3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교정돌기(300)의 사이에 검지발가락 수용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교정돌기(300)와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사이에 중지발가락 수용공간(130)이 형성된다.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엄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엄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에 엄지발가락이 삽입되어 끼워지면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의 내벽이 엄지발가락과 밀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는 탄력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에 의하여 엄지발가락이 가압되면서 교정 및 지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엄지발가락이 정확한 형태로 교정될 수 있도록 엄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터널 형태의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가 엄지발가락 전체면을 잡아주어 엄지발가락이 교정되면서 내측(발의 안쪽)으로 휘거나 외측으로 너무 많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교정돌기(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약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약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에 약지발가락이 삽입되어 끼워지면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내벽이 약지발가락과 밀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는 탄력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에 의하여 약지발가락이 가압되면서 교정 및 지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약지발가락이 정확한 형태로 교정될 수 있도록 약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터널 형태의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가 약지발가락 전체면을 잡아주어 약지발가락이 교정되면서 내측(발의 안쪽)으로 휘거나 외측으로 너무 많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되는 새끼발가락 수용요홈부(4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새끼발가락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인입된 상기 새끼발가락 수용요홈부(410)가 더 형성됨으로써 새끼발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발 전체 형상의 교정을 이룰 수 있으며, 착용시 이물감을 없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에 의해 잘못된 습관으로 변형된 발 또는 무지외반증으로 내측으로 모아진 발 또는 발가락이 벌어진 발에 상기 발가락 교정기를 끼우면 엄지 및 약지 발가락이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가압되어 정상적인 발의 형태로 교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바닥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바닥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공간부(110)는 상기 발가락 교정기를 끼운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탄성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통해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공간부(110)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발가락과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밀착됨을 높일 수 있어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교정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공간부(110)에 의해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쿠션감을 형성하여 충격완화의 기능을 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발가락을 지지하여 발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작용을 하여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지속적인 지압 효과를 주게 되어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후방에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하측을 향하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후방경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경사부(140)는 상기 발가락 교정기를 끼웠을 때 상기 후방경사부(140)가 발가락과 이어지는 중족부의 전단에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발가락 교정기와 발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정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에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지압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압부(15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발가락 수용공간(120) 및 중지발가락 수용공간(130)의 전방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압부(150)는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말단의 하부를 지압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지압부(150)를 형성하여 검지발가락 및 중지발가락의 말단 하부와 접하도록 하여 상기 발가락 교정기와 검지발가락 및 중지발가락의 밀착력을 높여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움직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에는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설되는 상기 교정돌기(30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교정돌기(300)는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교정돌기(300)는 상기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져 검지발가락 및 중지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움직임 및 비틀림을 제한함으로써, 검지 및 중지발가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와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에 각각 수용된 엄지 및 약지발가락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지 및 중지발가락은 엄지 및 약지발가락을 벌리거나 모으는 중심축이 되는 것이며, 이때 중심축인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움직임 및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중심을 확보함으로써 엄지 및 약지발가락을 벌리거나 모아줄 수 있어 무지외반증 또는 벌어진 발의 교정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300)는 상기 교정돌기(300)의 양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발가락마디지압부(310)가 더 형성되어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측면과 상기 교정돌기(300)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검지 및 중지발가락과 상기 교정돌기(30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검지 및 중지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측면을 지압함과 동시에 안정감 있는 착용이 가능하여 발가락이 돌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올바른 모양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보충 설명하면, 상기 교정돌기(300)의 양측면에 상기 발가락마디지압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교정돌기(300)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유선형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측면과 상기 교정돌기(300)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교정돌기(300)를 통한 교정 및 지압이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형상에 상응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발가락 교정기의 사용시 이물감 내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가락마디지압부(310)는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두번째마디를 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지외반증이 심한 경우 엄지발가락만이 아니라 검지 발가락까지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상기 교정돌기(300)는 검지발가락이 내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발 형태로 발가락이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돌기(300)의 상단에는 양측 및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 측부의 상면을 지압하는 날개부(3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날개부(320)는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관절 부위 상부 근육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날개부(320)는 검지 및 중지발가락의 관절 부위 상부 근육에만 접촉,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행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거부감 없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며, 검지 및 중지발가락 측면 상부를 지지하여 검지 및 중지발가락이 상기 검지발가락 수용부 및 중지발가락 수용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잡아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가락 교정기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 전반 또는 상기 교정돌기(300)의 둘레 또는 상기 날개부(320)의 하부면 또는 상기 엄지 및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내벽 또는 이들 모두에 별도의 지압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발가락 교정기와 사용자의 발가락이 접촉하는 모든 부위에 지압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엄지 및 약지발가락 수용부(400)가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가압하고, 상기 엄지 및 약지발가락 수용부(400) 사이에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교정돌기(300)를 돌설하여 안정적인 교정중심축을 잡아주며, 검지 및 중지발가락이 상기 교정돌기(300)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좌우로 움직이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하여 내측으로 모아져 변형된 발 또는 발가락이 벌어진 발을 올바른 형상으로 교정하고, 올바른 걸음걸이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몸 전체의 균형 특히 척추와 다리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특히,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는 무지외반증 증상이 있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를 끼우게 되면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려주어 올바른 발의 모양으로 교정이 이루어져 무지외반증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올려진 발가락 관절의 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100);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엄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엄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는 엄지발가락 수용부(200);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설되어 형성되며,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교정돌기(300); 및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교정돌기(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약지발가락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약지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를 갖는 약지발가락 수용부(4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약지발가락 수용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200)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되는 새끼발가락 수용요홈부(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돌기(300)는,
    상기 교정돌기(300)의 상단에서 양측 및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 측부의 상면을 지압하는 날개부(3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바닥면에 상기 발가락 교정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인입되는 바닥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충격흡수작용에 의해 상기 발가락 교정기에 끼워진 발가락에 가해지는 신체 하중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바닥면에 상기 발가락 교정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인입되는 바닥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충격흡수작용에 의해 상기 발가락 교정기에 끼워진 발가락에 가해지는 신체 하중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지압부(150)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발가락 교정기에 끼워지는 발가락의 말단 하부를 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PCT/KR2015/012572 2015-09-25 2015-11-23 발가락 교정기 WO20170519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6380 2015-09-25
KR20-2015-0006380 2015-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1981A1 true WO2017051981A1 (ko) 2017-03-30

Family

ID=5838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572 WO2017051981A1 (ko) 2015-09-25 2015-11-23 발가락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519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499B1 (ko) * 2019-05-10 2020-05-12 이성진 신체 균형 유지를 위한 보정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보정기의 사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42Y1 (ko) * 1999-07-07 2000-02-15 유동훈 발가락지압구
KR200382048Y1 (ko) * 2004-11-26 2005-04-19 김운산 지압이 가능한 발 교정구
JP2007313043A (ja) * 2006-05-26 2007-12-06 Maki Sato 足指補助用具及び足用補助バンド
KR101454607B1 (ko) * 2014-01-07 2014-10-27 남궁진 인체의 체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발가락 교정기
JP2014239783A (ja) * 2013-06-11 2014-12-25 株式会社 イースマイル 足指間パッ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42Y1 (ko) * 1999-07-07 2000-02-15 유동훈 발가락지압구
KR200382048Y1 (ko) * 2004-11-26 2005-04-19 김운산 지압이 가능한 발 교정구
JP2007313043A (ja) * 2006-05-26 2007-12-06 Maki Sato 足指補助用具及び足用補助バンド
JP2014239783A (ja) * 2013-06-11 2014-12-25 株式会社 イースマイル 足指間パッド
KR101454607B1 (ko) * 2014-01-07 2014-10-27 남궁진 인체의 체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발가락 교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499B1 (ko) * 2019-05-10 2020-05-12 이성진 신체 균형 유지를 위한 보정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보정기의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703U (ko) 발가락 교정기
WO2019093578A1 (ko)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KR200414204Y1 (ko) 신발
KR101697904B1 (ko) 발가락 교정기
CN209518960U (zh) 一种可穿鞋使用的拇外翻矫正器
WO2010134661A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CN108720975B (zh) 一种用于矫正足内翻的行走外骨骼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WO2019164357A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WO2017051981A1 (ko) 발가락 교정기
WO2011025264A2 (ko) 발가락 교정용 발가락 신발
CN209285870U (zh) 一种可穿鞋使用的拇外翻双趾矫正器
KR10158789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1B1 (ko) 발가락 교정구
WO2010134776A2 (ko) O형 또는 x형 다리를 예방하고 사용자 체중에 맞는 쿠션을 제공하는 인체균형신발
WO2021118012A1 (ko) 편평족 치료용 받침부재 및 이 받침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슬리퍼
WO2021157986A1 (ko)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KR101861912B1 (ko) 발가락 교정구
TWI574640B (zh) 足部平衡裝置
KR20180090548A (ko) 발가락 교정구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CN219537605U (zh) 一种拇外翻分指器矫形鞋垫构造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781059B1 (ko) 발가락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47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47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