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0242A1 -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 Google Patents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0242A1
WO2017030242A1 PCT/KR2015/012145 KR2015012145W WO2017030242A1 WO 2017030242 A1 WO2017030242 A1 WO 2017030242A1 KR 2015012145 W KR2015012145 W KR 2015012145W WO 2017030242 A1 WO2017030242 A1 WO 20170302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needle
rod
discharge
ground
light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1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맹민희
최재은
신재헌
Original Assignee
맹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민희 filed Critical 맹민희
Publication of WO20170302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02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ground ro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ground rods coupled to the ground rod to effectively disperse excessive current flowing into the ground rod into the ground.
  • grounding system for safely discharging the ground current to excessive ground current caused by a natural phenomenon such as a lightning strike or a fault current caused by an unexpected malfunction of equipment in an internal power system.
  • the grounding system is a grounding system installed in the ground by grounding the lightning arrester to the facility by using the down-conductor wire to prevent damage by discharging excessive current to the ground quickly.
  • the discharge needle is formed.
  • the discharge needle uses a principle that discharge is easily performed through a pointed end portion, and there is a patent for a ground rod on which a discharge needle is formed.
  • Korean Patent No. 10-1396278 There is a Korean Patent No. 10-1396278.
  • the need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eedle is fixed by spot welding or by using the needle action bracket. In this manner, the needle is fixed to the ground rod by welding or pressing. Workability is low because it must. In addition, due to the phenomenon that the weld portion is more easily corroded than the other portion, the discharge needle welded after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rod.
  • the discharge needle has a need for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the ground rod improved workability and discharge effect without separating the discharge needle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a ground rod that does not drop and deform from the ground rod, and facilitates a process of fixing the discharge needle to the ground rod.
  •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the ground rod coupled to the ground rod includes a disk-shaped body having a hollow therein;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projecting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a fixing ring protruding oblique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wherein the body, the discharge needle, and the fixing ring are integrally formed.
  • the body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slope increase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ring protruding.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discharge needles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needles.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a ground rod coupled to a ground rod includes a disc-shaped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protruding radially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Separating the intermediate molding formed into; Pressing the hollow with a protrusion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ollow to form a fixing ring protruding; And polishing the surfaces of the body, the discharge needle, and the fixing ring.
  • the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may be a step of polishing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slope increase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fixing ring.
  • a ground rod is formed by fitting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ground rod without welding the discharge needle to the ground rod or attaching or compressing the needle to the needle attachment bracket. Work process of fixing the discharge needle on the part becomes eas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needle from falling off and structural deformation due to corros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a ground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grounding needle discharge structure 100 is coupled to the grounding ro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auxiliary discharge needle 121 is formed in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the ground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50 for a grounding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a ground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a ground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the discharge needle 120 and the fixing ring 130.
  • the body 110, the discharge needle 120, and the fixing ring 130 are integrally formed and are not separated.
  • Body 110 is a component that couples the ground rod.
  • Body 110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hollow inside, the ground ro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dy 110 is fitted.
  • the diameter of the hollow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ground rod, which is forcibly coupled with the ground rod, and part of the current in the ground rod is transferred to the body.
  • the body 110 serves to discharge the reflected wave current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ground rod to suppress the potential rise.
  • Discharge needle 120 is a component that effectively distributes the current delivered to the body 110, the discharge needle 120 is formed in a group of four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110 and the hollow of the body 110 and Orthogonal radially protrudes. The tip of the discharge needle 120 is formed to be pointe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current through the pointed portion.
  • the length of the discharge needle 12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mm to 35mm.
  • the length of the discharge needle 120 exceeds 35mm, the contact area is widened with the ground to increase the discharge current transfer rate to the groun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physical shape deformation increases, the discharge needle 120
  • the length of the discharge needle is preferably formed from 25mm to 35mm.
  • Fixing ring 130 is a component that widens the contact area of the ground rod and the body 110,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10).
  • the fixing ring 130 widen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round rod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and the ground rod, and is coupled to the ground rod by unintentional external force during transportation and embedding of the equipmen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the ground rod is prevented from being moved.
  • the body 110 has a wid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rod due to the fixing ring 130, thereby increasing the current in the ground rod that is transmitted to the body 110.
  • the thickness of the fixing ring 13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mm to 4mm.
  •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the ground ro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stainless steel and an alloy.
  • FIG 2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grounding rod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is coupled to the grounding ro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rounding rod 200 is connected to the lightning rod through the lowering conductor, and is embedd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and is a component that induces excessive current to the ground.
  • the grounding rod 2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grounding rod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cibly fitted, but additionally welded to the connection part if necessary. This can be done.
  • the ground rod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gap i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round rod 200 can minimize the contact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ischarge effect.
  • Grounding rod 200 is preferably formed of a product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stainless steel, alloys.
  • the discharge needle 120 having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ground rod 200, but the discharge needle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45 degrees to fac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current, and flows into the ground rod 200.
  • the current may be discharg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discharge needle 120 in the advancing direction. Due to the straightness of the current, the discharge needle 120 having an angle of 45 degrees may discharge more current than the discharge needle 120 having an angle of 90 degrees.
  • FIG. 3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auxiliary discharge needle 121 is formed in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the ground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xiliary discharge needle 121 serves to maximize the discharge effect by widen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earth.
  • the auxiliary discharge needle 121 extends from the discharge needle 120 is formed in plural, the same as the discharge needle 120 is formed in a pointed shape, the current is assisted with the end of the discharge needle 120 Discharge occurs even at the end of the discharge needle 121.
  • the ground rod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in which the plurality of auxiliary discharge needles 121 are formed may generate a relatively higher discharge current than the ground rod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in which the auxiliary discharge needles 121 are not formed.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50 for a grounding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unlike FIG. 1, six discharge needles 170 protrude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60.
  •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50 for the ground rod having six discharge needles 170 formed thereon may effectively radiate current in various directions, thereby maximizing discharge.
  •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150) for ground rods formed with four and six discharge needles (120, 170)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of discharge needles (120, 170) as necessary Can be variable.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charge needle structure 100 for a ground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301 is a general press working method, which seats a metal plate between the molds and presses the metal plate to form a disk-shaped body 110 having a hollow therein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radially project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110. 120 separates the intermediate moldings that are integrally formed.
  • the intermediate molding When the intermediate molding is separated from the metal sheet, the intermediate molding is seated in the press machine having the projection in step S302. At this time, the protrusion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ollow.
  • the hollow formed in the intermediate molding is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the projection presses the hollow to form a fixing ring 130 protruding from the body (110).
  • step S303 the surface of the body 110, the discharge needle 120 and the fixing ring 130 is polished in step S303 to smoothly process.
  •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from which the fixing ring 130 protrudes may be polished into a curved shape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slope increase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 steps S301 and S302 may be integrated into one step.
  • steps S301 and S302 may be integrated into one step.
  •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120 are integrally welded without welding the discharge needle 120 to the ground rod 200 or attaching or compressing the needle to the needle attachment bracke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needle structure for non-contact rods,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industrial equipments, and there is a repeatability, and thus industrial applic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지봉에 결합되어 접지봉으로 유입된 과도한 전류를 효과적으로 지중으로 분산시켜 방전시키는 방전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과 결합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반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방전침; 및 상기 몸체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방전침 및 고정링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일이 방전침을 접지봉에 용접하거나 침부작용 금구에 침을 부착 또는 압착시키지 않고 다수의 방전침이 일체로 형성된 방전침 구조체를 접지봉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접지봉에 방전침을 고정하는 작업과정이 용이해지며, 부식으로 인한 방전침의 탈락 및 구조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본 발명은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지봉에 결합되어 접지봉으로 유입된 과도한 전류를 효과적으로 지중으로 분산시켜 방전시키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시설물에는 낙뢰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과도한 전류 또는 내부 전력계통에서 예상치 못한 장비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전류 등을 안전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접지시스템이 요구된다.
접지시스템은 과도한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킴으로써 피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인하도선을 이용하여 피뢰설비를 시설물에 접지하여 지중에 매설시킨 것으로, 매설된 인하도선의 단부에는 접지봉이 연결되고, 접지봉에는 방전침이 형성된다. 방전침은 끝이 뾰족한 부분을 통해 방전이 쉽게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방전침이 형성된 접지봉에 관한 특허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396278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침상 접지봉의 경우에는 방전침이 스폿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 혹은 침부작용 금구를 이용하여 침을 압착시키는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일일이 용접이나 압착을 통해 방전침을 접지봉에 고정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용접부분이 타부분에 비해 쉽게 부식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해, 대지에 매설된 후 용접된 방전침이 접지봉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작용하게 되며, 방전침이 탈락 및 변형되어 당초 기대한 정도의 방전효과를 내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상기의 방전침은 기존의 제품과 비교하여 방전침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작업성과 방전효과가 향상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지봉으로부터 방전침이 탈락 및 변형되지 않으며, 접지봉에 방전침을 고정하는 작업과정이 용이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과 결합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반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방전침; 및 상기 몸체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방전침 및 고정링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는 상기 고정링이 돌출된 면의 이면이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증가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전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 방전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과 결합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금속판재를 가압하여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반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방전침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중간 성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중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돌기로 상기 중공을 가압하여, 돌출되는 형태의 고정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몸체, 방전침 및 고정링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링이 돌출된 면의 이면이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증가하는 곡면 형태로 연마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일이 방전침을 접지봉에 용접하거나 침부착용 금구에 침을 부착 또는 압착시키지 않고, 다수의 방전침이 일체로 형성된 방전침 구조체를 접지봉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접지봉에 방전침을 고정하는 작업과정이 용이해지며, 부식으로 인한 방전침의 탈락 및 구조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가 접지봉(200)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에 보조 방전침(121)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5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는 몸체(110), 방전침(120) 및 고정링(130)을 포함한다. 몸체(110), 방전침(120) 및 고정링(13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몸체(110)는 접지봉을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몸체(11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110)의 중공으로 접지봉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중공의 지름은 접지봉의 지름과 동일하여, 접지봉과 억지 끼움 결합되고, 접지봉 내 전류의 일부는 몸체로 전달된다. 또한, 몸체(110)는 접지봉 최하단에서 발생하는 반사파 전류에 대한 방전 역할을 하여 전위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방전침(120)은 몸체(110)로 전달된 전류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방전침(120)은 몸체(110)의 외주연을 따라 네 개가 한 그룹을 이루어 몸체(110)의 중공과 직교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방전침(120)의 끝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뾰족한 부분을 통해 전류의 방전이 쉽게 일어나도록 한다.
방전침(120)의 길이는 25mm 내지 35mm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침(120)의 길이가 35mm를 초과할 경우, 대지와 접촉 면적이 넓어져 대지로의 방전전류 전달율이 증가하지만 제작비용과 물리적인 모양의 변형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방전침(120)의 길이가 25mm 미만일 경우, 대지와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대지로의 방전전류 전달율이 감소하므로 방전침의 길이는 25mm 내지 3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130)은 접지봉과 몸체(110)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구성요소로서, 몸체(11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링(130)은 몸체(110)가 접지봉에 결합하였을 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와 접지봉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설비의 운반과 매설 시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접지봉에 결합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링(130)으로 인해 몸체(110)는 접지봉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몸체(110)로 전달되는 접지봉 내의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링(130)의 두께는 2mm 내지 4mm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고정링(130)이 형성된 몸체(110)의 이면은 접지봉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는 스테인레스, 합금 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200)에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지봉(200)은 피뢰설비로부터 인하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지표면과 평행으로 매설되어, 과도한 전류를 지중으로 유도하는 구성요소이다. 접지봉(200)에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를 결합하는 방식에 있어서, 접지봉(200)을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의 중공으로 삽입하여 억지 끼움 결합하나, 필요시 추가적으로 연결부위에 용접이 진행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를 이용하면, 접지봉(200)과의 연결부분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방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면적을 작게 하면서도 접지봉(200)에 결합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의 간격 및 개수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설계 변경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접지봉(200)은 스테인레스, 합금 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있는 제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접지봉(200)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방전침(120)의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방전침(120)은 방전전류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45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접지봉(200)으로 유입되는 전류가 진행방향의 방전침(120)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전류의 직진성으로 인해 45도 각도를 이루는 방전침(120)은 90도 각도를 이루는 방전침(120)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에 보조 방전침(121)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조 방전침(121)은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방전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방전침(121)은 방전침(120)에서 연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고, 방전침(120)과 동일하게 끝부분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가 방전침(120)의 끝부분과 함께 보조 방전침(121)의 끝부분에서도 방전이 일어나도록 한다. 다수의 보조 방전침(121)이 형성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는 보조 방전침(121)이 형성되지 않은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방전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5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과 달리 여섯 개의 방전침(170)이 몸체(160)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섯 개의 방전침(170)이 형성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50)는 전류가 여러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방사되어, 방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와 여섯 개의 방전침(120, 170)이 형성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 150)의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전침(120, 17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301단계는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 방법으로써, 금속판재를 금형 사이에 안착시키고 금속판재를 가압하여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반형상의 몸체(110) 및 몸체(110)의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방전침(1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중간 성형물을 분리한다.
금속판재로부터 중간 성형물이 분리되면, S302단계에서 돌기를 갖는 프레스 기계에 중간 성형물을 안착시킨다. 이때, 돌기는 중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중간 성형물에 형성된 중공은 돌기와 맞닿고, 돌기가 중공을 가압하여 몸체에(110)서 돌출되는 형태의 고정링(130)을 형성시킨다.
고정링(130)이 형성되면, S303단계에서 몸체(110), 방전침(120) 및 고정링(130)의 표면을 연마하여 매끄럽게 처리한다. S303단계에서 고정링(130)이 돌출된 면의 이면은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증가하는 곡면 형태로 연마 될 수 있다.
금속판재를 몸체(110), 방전침(120) 및 고정링(130)이 형상과 대응하는 금형에 안착시켜 가압 변형할 경우, S301단계와 S302단계는 하나의 단계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용융물을 몸체(110), 방전침(120) 및 고정링(130) 형상에 일치하도록 기계 가공된 강제의 금형에 주입할 경우, S301단계와 S302단계는 하나의 단계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를 이용하면, 일일이 방전침(120)을 접지봉(200)에 용접하거나 침부착용 금구에 침을 부착 또는 압착시키지 않고 다수의 방전침(120)이 일체로 형성된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100)를 접지봉(200)에 끼움결합 함으로써 접지봉(200)에 방전침(120)을 고정하는 작업과정이 용이해지며, 부식으로 인한 방전침(120)의 탈락 및 구조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위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함께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접비봉용 방전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각종 산업 장비에 적용 가능하고, 반복 가능성이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전기에너지를 지중으로 방전시키는 접지봉과 결합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반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방전침; 및
    상기 몸체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방전침 및 고정링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링이 돌출된 면의 이면이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증가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 방전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4. 전기에너지를 지중으로 방전시키는 접지봉과 결합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판재를 가압하여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반형상의 몸체 및 몸체의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방전침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중간 성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중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돌기로 상기 중공을 가압하여, 돌출되는 형태의 고정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몸체, 방전침 및 고정링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링이 돌출된 면의 이면이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증가하는 곡면 형태로 연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의 제조방법.
PCT/KR2015/012145 2015-08-20 2015-11-12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WO20170302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94A KR20170023315A (ko) 2015-08-20 2015-08-20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KR10-2015-0117494 2015-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0242A1 true WO2017030242A1 (ko) 2017-02-23

Family

ID=5805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145 WO2017030242A1 (ko) 2015-08-20 2015-11-12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23315A (ko)
WO (1) WO2017030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74B1 (ko) * 2020-01-15 2020-08-03 주식회사 비파워 스마트 방전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81U (ko) * 1998-06-22 2000-01-25 박종태 낙뢰 처리구
KR200419525Y1 (ko) * 2006-04-13 2006-06-21 맹민희 접지봉용 서지링
KR20080002638U (ko) * 2007-01-11 2008-07-16 한국엑스아이티주식회사 스크루형 접지장치
KR20110007885U (ko) * 2010-02-02 2011-08-10 고동욱 서지방전용 접지장치
KR101222871B1 (ko) * 2011-09-29 2013-01-16 김상덕 접지선용 서지 방전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81U (ko) * 1998-06-22 2000-01-25 박종태 낙뢰 처리구
KR200419525Y1 (ko) * 2006-04-13 2006-06-21 맹민희 접지봉용 서지링
KR20080002638U (ko) * 2007-01-11 2008-07-16 한국엑스아이티주식회사 스크루형 접지장치
KR20110007885U (ko) * 2010-02-02 2011-08-10 고동욱 서지방전용 접지장치
KR101222871B1 (ko) * 2011-09-29 2013-01-16 김상덕 접지선용 서지 방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315A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0242A1 (ko) 접지봉용 방전침 구조체
US8523590B2 (en) Cable system and methods of assembling a cable system
CN108134230A (zh) 一种可热插拔的电连接器
CN102709830A (zh) 一种电气开关设备导电连接装置
CN101834370A (zh) 电连接插套
CN102709831A (zh) 一种电气开关设备的导电连接装置
US931261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anode
CN203906483U (zh) 一种轴用卡簧
CN203967259U (zh) 四分之四可拆卸哈弗卡的对接连接器
CN214479286U (zh) 一种射频电缆组件的快速安装结构
CN208337079U (zh) 一种用于航空发动机电缆的弯管组件
CN104022393A (zh) 电动公交车充电线防护装置
CN207504333U (zh) 一种线缆分层固定装置
CN211055180U (zh) 一种在电气自动化生产线上使用的小推车
CN208706983U (zh) 一种带有径向固定机构的连接器
CN203871565U (zh) 电动公交车充电线防护装置
CN104241012A (zh) 一种导向套
CN203240123U (zh) 一种防护卡套
CN105490242A (zh) 二次电缆线芯绝缘套头
CN220520667U (zh) 一种防护面罩电镀加工用转接装置
CN205192645U (zh) 航空专用插接热电偶
CN203356803U (zh) 一种igbt管脚保护装置
CN210877249U (zh) 一种压盘杆
CN210176970U (zh) 一种电解铝阳极钢爪保护环
CN106870520A (zh) 一种适用于多规格杆径的抱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1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1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