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78491A1 - 치아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78491A1
WO2016178491A1 PCT/KR2016/004514 KR2016004514W WO2016178491A1 WO 2016178491 A1 WO2016178491 A1 WO 2016178491A1 KR 2016004514 W KR2016004514 W KR 2016004514W WO 2016178491 A1 WO2016178491 A1 WO 20161784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eeth
tooth
soluble material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5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CN201680026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567319A/zh
Priority to US15/572,122 priority patent/US20180140384A1/en
Publication of WO20161784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784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each tooth in the form of a thin cylindrical cylinder solidified at an external room temperature using a substance that can be dissolved by saliva or food and beverages secreted in the oral cavity.
  • the empty space created after dissolv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bonded to all teeth to be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tooth surface adhesive resin, which is made of an appropriate size and solidified cylindrical shape solid This is a resin minitube form tha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arch wire, the resin is to orthodontic devic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tooth decay, to reduce the cost of orthodontic treatment.
  • teeth are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al appearance due to the appearance of images by color and shape, and the dentition due to the alignment of teeth affects not only the teeth but also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face. It is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e image.
  • Orthodontic surgery which has been widely practiced until recently, attaches one bracket to the outer tooth surface of each tooth forming the teeth, and binds a wire made of a rigid material, that is, an orthodontic wire, to the fixed structure formed on the bracket.
  • the external physical force of the wire was to gradually correct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each tooth over a long time.
  • the conventional method of attaching the bracket to the teeth for orthodontics is aesthetically inferior to the aesthetically transparent or tooth-colored resin bracket during the straightening due to the metallic bracket, and the transition between the bracket and the tooth surface and the resin becomes rough. It has a disadvantage of high morbidity of tooth decay during or after corre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wipe the food by brushing because it is shifted at right angles.
  • a wire enters the horizontal slot in the transparent bracket, and the wire is ligated by a transparent elastic rubber ring or a ligature wire.
  • the slightly yellowish area around them retains residual hardened resin and food residues that are leaving the teeth. Over time, it is likely to turn into tooth deca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ach of which is in the form of a thin circular cylinder in the solidified state at room temperature using a substance that can be dissolved by saliva or food and beverages secreted in the oral cavity.
  • a blank produced after dissolv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ttaching a solid cylindrical shape that is made to the size of the tooth outline and solidifying the solid cylindrical shape to the tooth surface with resin, the tooth surface adhesive.
  • the space is soon to be a resin mini-tube to easily insert the arch wire, the resin is to provide a orthodontic devic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ncidence of dental caries, reducing the cost of orthodontic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 complete correction in the primary dental fever before adult correction by applying a thin wire when the adult bracket can not be fixed, and simply treats the tooth fluctuation and gap between teeth due to periodontal disea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orthodontic device for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rthodontic wire wire and resin briquette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foreign body due to the lack of foreign matter.
  • the orthodontic device comprises: unit wires provided on the labyrinth or lingual side of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group or the teeth of the lower teeth group; An adhesive that is cured and fixed after being bonded to the tooth while surrounding the unit wire; Soluble material to be dissolved after being formed in the unit wire to prevent adhesion to the adhesive; And an arch wire inserted into the adhesive from which the unit wire in the state in which the soluble material is dissolved is removed for movement of the tooth, and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 the orthodontic device comprises: a soluble material, which is made of a soluble material; An adhesive provided on the labyrinth or lingual side of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group or the corrected teeth of the lower teeth group while covering the soluble material and adhered to the teeth and then cured and fixed; And an archwire inserted into the adhesive in the dissolved state and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 the adhesive may be made of tooth color and tooth shape.
  • the soluble material may have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at an edge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archwire into the edge of the adhesive.
  • the soluble material may form a flang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 circular cylindrical shape solidified at an external room temperature using a substance that can be dissolved by saliva or food and beverages secreted in the oral cavity. It is manufactured in a size suitable for each tooth outline size, and solidified cylindrical solids are bonded to all teeth to be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tooth surface adhesive resin. Once the empty space is formed into a resin minitube, the archwire can be easily inserted, and the resi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tooth decay and reduce the cost of orthodontic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 complete correction in the primary dental fever before adult correction by applying a thin wire when the adult bracket can not be fixed, it is easy to treat the fluctuation of teeth and interdental (opening phenomenon) due to periodontal disease. Also, even in the entire orthodontic brac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ire and resin briquettes is minimized, and the volume is small so that there is no foreign matter, so the calibration time can be shorte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and lower teeth group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group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to insert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dhesive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inserting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dhesive.
  •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includes a unit wire 110, an adhesive 120, a soluble material 130, and an arch wire 140. .
  • the unit wire 11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eeth 30 to be corrected among the teeth 30 of the upper teeth group 10 or the teeth 30 of the lower teeth group 20.
  • the unit wire 110 may be disposed on the labial or lingual side of the tooth (30).
  • the upper teeth group 10 refers to a group of a plurality of teeth (30) provided in the upper jaw ( ⁇ ).
  • the lower teeth group 20 refers to a group of a plurality of teeth 30 provided in the lower jaw.
  • the unit wire 110 may be used by cutting the arch wire 140 to be described later to a unit length.
  • the unit wire 110 does not have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rthodontic device 100 is reduced.
  •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wire 110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 each of the teeth 30 may be different.
  • the length of the unit wire 110 may be different.
  • the unit wires 110 applied to the same tooth 30 have the same length.
  • the adhesive 120 is bonded to the tooth 30 while wrapping the unit wire 110 and then hardened and fixed.
  • the adhesive 12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teeth 30 to be corrected while wrapping the unit wire 110.
  • the adhesive 120 is made of a gel (gel) state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30 to be corrected while being wrapped around the unit wire 110 is cured.
  • the adhesive 12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30 to the minimum area, and the needle bed and the transition part to maintain a smooth curved surface so that food is not easily attached to protect the tooth 30. And, since the tooth 30 is not widely polished, tooth decay does not occur at a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120 is attached.
  • the adhesive 120 may be formed in the color of the tooth 30 and the shape of the tooth 30.
  • the adhesive 120 removes discomfort when contacting gums such as resin and is made of a harmless material.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provided on the unit wire 110 to prevent the adhesive 120 is adhered to.
  • the soluble material 130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unit wire 110.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a component that is dissolved by the saliva inside the mouth, it is cured after being applied to the unit wire (110).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coa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unit wire 110. Then, the adhesive 12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fter wrapping the coated unit wire 110.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characterized by dissolv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a specific component of the needle, etc., and is considered to be harmless. That is, the soluble material 130 is assumed to be a harmless component or a combination of harmless components.
  • the adhesive 120 is formed in the space 122 to open to both sides.
  • the arch wire 140 is formed as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teeth of the teeth 30 of the upper teeth group 10 or the teeth 30 of the lower teeth group 20,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group of teeth 30 V) or lingual.
  • the arch wire 140 is made of the length of the entire tooth distance of the upper teeth group 10 or the lower teeth group 20.
  • the arch wire 140 is inserted into the space 122 of the adhesive 120.
  • the archwire 14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for the movement of the tooth.
  • the archwire 140 is provided to span the entire tooth 30 of the same tooth that needs correction.
  • the arch wire 140 may vary in the type, diameter, or thickness of the met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ction of the tooth 30, that is, the direction and amount of movement of the tooth.
  • Archwire 140 serves to correct the orthodontics of the teeth 30 by applying a side pressure or twisting force to the teeth 30 corresponding to the orthodontic.
  • Arch wire 140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materials, it may be made of a shape corporate alloy. At this time, the arch wire 140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unit wire (110).
  • the archwir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tooth 30 is extracted or not extracted.
  • the adhesive 12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ooth 30 to be correct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tooth surface for the movement of the too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eriod of correction of the tooth (30).
  • the adhesive 120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rch wire 140 may be disposed at a uniform curvature or a set curvatur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 the orthodontic device 100 includes a soluble material 130, an adhesive 120, and an arch wire 140.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made of a soluble and harmless materi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manufactured in a solid.
  • the soluble material 130 may be manufactured in a rod shape.
  • the rod-shaped soluble material 130 is made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n cross section.
  • the soluble material 130 having a solid rod shape is characterized by dissolv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due to a specific component of the needle and the like, and is considered to be harmless. That is, the soluble material 130 is assumed to be a harmless component or a combination of harmless components.
  • the soluble material 130 is naturally dissolved by a needle, etc., so that the space 122 is open to both sides of the soluble material 130.
  • Archwire 140 is easily inserted into adhesive 120 through this space 122.
  • the adhesive 120 is wrapped around the soluble material 130 of the teeth 30 of the upper teeth group 10 or the labial or lingual ( ⁇ ) of the orthodontic teeth 30 of the lower teeth group 20. ) Is attached to the tooth 30 and then cured and fixed.
  • the adhesive agent 120 is assumed to b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archwire 140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oluble material 130 is dissolved. Then, the arch wire 14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dhesive 120 to move the tooth.
  • the solid soluble material 130 may form flanges 150 at both edge peripheral surfaces of the adhesive 120 attached to the peripheral surface to prevent the adhesive 12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axial direction.
  • the flange 150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the he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teeth.
  • the flange 150 has a property of dissolving by a needle or the like afte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soluble material 130.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 the orthodontic device 100 includes a soluble material 130, an adhesive 120, and an arch wire 140.
  • the solid soluble material 130 forms enlarged diameter portions 160 on both sides. Accordingly, the adhesive 120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luble material 130 forms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60 on both sides after the soluble material 130 is dissolved.
  •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60 formed at both edges of the adhesive 120 serves to easily guide the archwire 140 to the edge of the adhesive 12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교정 치아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는 단위와이어, 단위와이어를 감싼 채 해당 치아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되는 접착제, 접착제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위와이어에 형성된 후 용해되는 용해성물질, 및 치체(齒體)의 이동을 위해 용해성물질이 용해된 상태의 단위와이어가 제거된 접착제에 삽입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치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용해성물질을 도포한 단위와이어 또는 고형의 용해성물질의 둘레에 접착제를 감싼 상태로 치열 교정 치아 각각에 부착 후 용해성물질이 용해됨에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의 공간에 아치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접착제로 인해 기존 브라켓 대비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크기를 줄여 교정 치료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충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 장치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서 분비되는 침 또는 음식물 및 음료수 등에 의해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외부 실온에서 고체화된 상태의 가는 원형의 원통 형태로 각각의 치아 외형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되고, 고형화된 원통 형태의 고형물을 치아표면 접착제인 레진으로 치면에 일치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모든 치아에 각각 접착하고 난 후 일정기간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 용해되고 나면 생기는 빈 공간이 곧 레진미니튜브 형태가 되어 아치와이어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레진으로 인해 충치의 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치아 교정 치료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치아는 색깔과 형태에 의해 외관상 형성되는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 외모를 연출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치아의 정렬에 따른 치열은 치아의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기형적 치열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자체적 식생활 등에도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어서 치열의 교정은 치의학상 중요한 치료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치의학적 치료 중에서 치열의 교정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 또는 기술 또한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근래까지 널리 시술되어온 치열교정술은, 치열을 이루는 각각의 치아의 외측 치표면에 1개씩의 브라켓을 부착하고,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구조물에 철사, 즉 치열 교정용 호선을 형성한 강인한 재질의 와이어를 묶어 와이어의 외적 물리력에 의해서 각각의 치아의 위치 또는 방향을 장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교정시키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아울러, 근래에는 치열의 내측, 즉 치아의 구강내 설(舌)측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여기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이 와이어의 외력에 의해서 소기의 치열교정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설측 교정 장치와 더불어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등록실용 제20-0172086호인“치아교정용 설측 브라켓”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교합면 슬롯과 수평 슬롯의 크기가 각각 다르고 결합되는 아치와이어의 단면상 중심부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공지의 브라켓에 있어서, 소구치와 대구치 및 전치 등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교합면 슬롯과 수평면 슬롯을 교합면에서 일치시켜 같은 크기의 아치와이어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브라켓을 치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순측을 청결하게 하고 나서 건조시킨 후 표면의 미세 요철면을 만들기 위해 산부식제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붙이고자 하는 부위에 산처리하고 세척을 하면 인위적으로 치면이 미세요철이 부여된다. 다시 건조한 다음, bonding agent를 먼저 치면에 도포하고 난 후 붙이고자는 치면부위에 일정양의 레진을 얹고 브라켓이 치면과 닿는 기저부위에도 일정량의 레진을 적용하고 정확한 치면의 부위에 압착을 하면 여분의 레진은 바깥으로 빠져나오고 치면과 브라켓의 저면이 긴밀하게 압접이 되고, 빛을 쬐면 레진의 경화가 일어나 치면과 접착이 일어난다. 그리고 난 다음 여분의 굳은 레진은 기구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제거된다.
기존 치열교정을 위해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방식은 금속성의 브라켓으로 인해 교정 중에 심미적으로 투명 혹은 치아색깔의 레진의 브라켓에 비해 심미적으로 떨어지고, 브라켓 및 치면과 레진 사이에 연접되는 이행부위가 거칠게 되고 직각으로 이행되어 칫솔질에 의한 음식물을 잘 닦이질 못하여 교정중이나 혹은 교정 후 충치의 이환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투명 브라켓 내의 수평 슬롯 내에 와이어가 들어가 있고, 투명 탄성 고무링 또는 결찰강선(ligature wire)에 의해 와이어가 결찰 되어져 있다. 이들 주변의 약간 노란색을 띈 부분은 잔여분의 굳은 레진과 음식물 잔사가 오래 남아 치아를 탈회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 오래되면 충치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강 내에서 분비되는 침 또는 음식물 및 음료수 등에 의해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외부 실온에서 고체화된 상태의 가는 원형의 원통 형태로 각각의 치아 외형 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되고, 고형화된 원통 형태의 고형물을 치아표면 접착제인 레진으로 치면에 일치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모든 치아에 각각 접착하고 난 후 일정기간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 용해되고 나면 생기는 빈 공간이 곧 레진미니튜브 형태가 되어 아치와이어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레진으로 인해 충치의 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치아 교정 치료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성인용 브라켓을 결착할 수 없는 경우 가는 와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성인 교정 전 유치열에서 완전한 교정을 이룰 수 있고,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의 동요도 및 치간의 이개(벌어짐현상) 등을 간단히 치료하며, 영구치 전체 치열교정에서도 교정용 호선 와이어와 레진 브리켓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부피가 작아 이물감이 없어 교정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교정 치아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는 단위와이어; 상기 단위와이어를 감싼 채 해당 치아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되는 접착제; 상기 접착제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위와이어에 형성된 후 용해되는 용해성물질; 및 치체(齒體)의 이동을 위해 상기 용해성물질이 용해된 상태의 상기 단위와이어가 제거된 상기 접착제에 삽입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치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용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형인 용해성물질; 상기 용해성물질을 감싼 채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교정 치아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어 해당 치아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되는 접착제; 및 상기 용해성물질이 용해된 상태의 상기 접착제에 삽입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치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치아 색상 및 치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해성물질은 상기 접착제의 가장자리로 상기 아치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장자리에 확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해성물질은 둘레면에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구강 내에서 분비되는 침 또는 음식물 및 음료수 등에 의해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외부 실온에서 고체화된 상태의 가는 원형의 원통 형태로 각각의 치아외형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되고, 고형화된 원통형태의 고형물을 치아표면 접착제인 레진으로 치면에 일치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모든 치아에 각 각 접착하고 난 후 일정기간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 용해되고 나면 생기는 빈 공간이 곧 레진미니튜브 형태가 되어 아치와이어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레진으로 인해 충치의 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치아 교정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성인용 브라켓을 결착할 수 없는 경우 가는 와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성인 교정 전 유치열에서 완전한 교정을 이룰 수 있고,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의 동요도 및 치간의 이개(벌어짐현상)등을 간단히 치료할 수 있으며, 영구치 전체치열교정에서도 교정용 호선 와이어와 레진 브리켓의 마찰력을 최소화 하고 부피가 작아 이물감이 없어 교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성인교정까지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하측치아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하측치아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100)는 단위와이어(110), 접착제(120), 용해성물질(130) 및 아치와이어(140)를 포함한다.
단위와이어(110)는 상측치아군(10)의 치아(30)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치아(30) 중 교정 대상 치아(3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특히, 단위와이어(110)는 치아(30)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측치아군(10)은 상악(上顎)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아(30)의 군(群)을 말한다. 아울러, 하측치아군(20)은 하악(下顎)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아(30)의 군(群)을 말한다.
아울러, 단위와이어(110)는 후술할 아치와이어(140)를 단위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단위와이어(110)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치아 교정 장치(100)의 제작비가 절감된다.
이때, 단위와이어(11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특히, 치아(30) 각각의 설측 또는 순측의 표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그래서, 단위와이어(110)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치아(30)에 적용되는 단위와이어(110)들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착제(120)는 단위와이어(110)를 감싼 채 해당 치아(30)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접착제(120)는 단위와이어(110)를 감싼 채 교정 대상인 치아(30)의 치면에 부착된다. 이때, 접착제(120)는 겔(gel) 상태로 이루어져 단위와이어(110)를 감싼 채 교정 대상 치아(30)의 치면에 부착되고 나서 경화된다.
특히, 접착제(120)는 치아(30)의 치면에 최소면적으로 부착되고 침면과 이행부위가 부드러운 곡면을 유지하여 음식물이 쉽게 달라붙지 않아 치아(3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치아(30)는 치면이 넓게 연마되지 않음에 따라 접착제(120)를 부착하는 부위에 충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심미감을 위해, 접착제(120)는 치아(30)의 색상 및 치아(30)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120)는 레진 등 잇몸에 접촉시 불쾌감을 없애고,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용해성물질(130)은 접착제(120)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위와이어(110)에 구비된다. 특히, 용해성물질(130)은 단위와이어(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용해성물질(130)은 구강 내부의 침 등에 의해 용해되는 성분들로서, 단위와이어(110)에 도포된 후 경화된다.
다시 말해서, 용해성물질(130)은 단위와이어(110)의 표면 전체에 걸쳐 코팅 처리된다. 그리고, 접착제(120)는 코팅 처리된 단위와이어(110)를 감싸고 나서 치면에 부착된다.
특히, 용해성물질(130)은 침의 특정 성분 등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 후 용해되는 특징을 갖고, 무해한 것으로 한다. 즉, 용해성물질(130)은 무해한 성분 또는 무해한 성분들의 조합인 것으로 한다.
이때, 침 등에 의해, 용해성물질(130)이 자연적으로 용해됨으로써, 접착제(120)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공간(122)이 형성된다.
한편, 아치와이어(140)는 상측치아군(10)의 치아(30)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치아(30)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치아(30)군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배치된다.
이때, 아치와이어(140)는 상측치아군(10)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전체 치열 거리만큼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용해성물질(130)이 용해된 상태의 단위와이어(110)가 접착제(120)로부터 쉽게 제거된 후, 아치와이어(140)는 접착제(120)의 공간(1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아치와이어(140)는 치체(齒體)의 이동을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아치와이어(140)는 교정이 필요한 동일 치열의 치아(30) 전체에 걸쳐지게 구비된다. 아치와이어(140)는 치아(30)의 교정 정도 즉, 치체(齒體)의 움직임 방향과 움직임량에 따라 금속의 종류 및 직경이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아치와이어(140)는 치열 교정에 해당되는 치아(30)에 측압 또는 뒤틀림력을 부여하여 해당 치아(30)의 치열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치와이어(14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형상기업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아치와이어(140)는 단위와이어(110)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아치와이어(140)는 임의의 치아(30)가 발치된 상태 또는 발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접착제(120)는 교정 대상 치아(30)에 대응되게 구비되는데, 치체(齒體) 이동을 위해 치면과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치아(30)의 교정 기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치열이 고르지 않을 경우에, 아치와이어(140)가 균일한 곡률 또는 설정된 곡률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접착제(120)는 두께가 서로 상이하여 치면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100)는 용해성물질(130), 접착제(120) 및 아치와이어(140)를 포함한다.
용해성물질(130)은,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용해 가능하고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용해성물질(130)은 고형으로 제작된다. 특히, 용해성물질(130)은 막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막대 형상의 용해성물질(130)은 단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고형의 막대 형상인 용해성물질(130)은 침의 특정 성분 등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 후 용해되는 특징을 갖고, 무해한 것으로 한다. 즉, 용해성물질(130)은 무해한 성분 또는 무해한 성분들의 조합인 것으로 한다.
이때, 침 등에 의해, 용해성물질(130)이 자연적으로 용해됨으로써, 용해성물질(130)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공간(122)이 형성된다. 아치와이어(140)는 이 공간(122)을 통해 접착제(120)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접착제(120)는 용해성물질(130)을 감싼 채 상측치아군(10)의 치아(30) 또는 하측치아군(20)의 교정 치아(30)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어 해당 치아(30)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된다.
접착제(12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아치와이어(140)는 용해성물질(130)이 용해된 상태의 접착제(120)에 삽입된다. 그리고, 아치와이어(140)는 치체가 움직이도록 접착제(120)에 삽입된 채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고형인 용해성물질(130)은 둘레면에 부착되는 접착제(120)가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플랜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치열의 상태에 따라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플랜지(150)는 용해성물질(130)과 함께 일정시간 경과 후 침 등에 의해 용해되는 성질을 갖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를 접착제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100)는 용해성물질(130), 접착제(120) 및 아치와이어(140)를 포함한다.
이때, 용해성물질(130), 접착제(120) 및 아치와이어(1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고형의 용해성물질(130)은 양측에 확경부(16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용해성물질(130)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접착제(120)는 용해성물질(130)의 용해 후 양측에 확경부(160)를 형성하게 된다. 접착제(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확경부(160)는 접착제(120)의 가장자리로 아치와이어(140)가 용이하게 삽입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교정 치아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는 단위와이어;
    상기 단위와이어를 감싼 채 해당 치아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되는 접착제;
    상기 접착제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위와이어에 형성된 후 용해되는 용해성물질; 및
    치체(齒體)의 이동을 위해 상기 용해성물질이 용해된 상태의 상기 단위와이어가 제거된 상기 접착제에 삽입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치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2. 용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형인 용해성물질;
    상기 용해성물질을 감싼 채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교정 치아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어 해당 치아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고정되는 접착제; 및
    상기 용해성물질이 용해된 상태의 상기 접착제에 삽입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치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치아 색상 및 치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성물질은 상기 접착제의 가장자리로 상기 아치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장자리에 확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성물질은 둘레면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PCT/KR2016/004514 2015-05-06 2016-04-29 치아 교정 장치 WO201617849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26114.0A CN107567319A (zh) 2015-05-06 2016-04-29 牙齿矫正装置
US15/572,122 US20180140384A1 (en) 2015-05-06 2016-04-29 Orthodon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58A KR101565803B1 (ko) 2015-05-06 2015-05-06 치아 교정 장치
KR10-2015-0062858 2015-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8491A1 true WO2016178491A1 (ko) 2016-11-10

Family

ID=5460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514 WO2016178491A1 (ko) 2015-05-06 2016-04-29 치아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40384A1 (ko)
KR (1) KR101565803B1 (ko)
CN (1) CN107567319A (ko)
WO (1) WO2016178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801B1 (ko) * 2015-02-12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KR101565803B1 (ko) * 2015-05-06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KR102092592B1 (ko) 2018-01-18 2020-03-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KR102223315B1 (ko) 2020-03-13 2021-03-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3108A1 (en) * 2009-08-26 2011-03-03 Ariza Joaquin T System of tube and resin for orthodontics
KR20120007066U (ko) * 2011-04-05 2012-10-15 홍순호 치아교정용 투명선,투명,반투명,치아색과유사한 색상의 치아교정용 플라스틱 아치와이어
KR101234205B1 (ko) * 2010-11-18 2013-02-18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565803B1 (ko) * 2015-05-06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31812Y (zh) * 2007-01-18 2008-10-15 刘自长 牙色饰面复合金属圆管正畸托槽
KR20120007066A (ko) * 2009-04-29 2012-01-19 바스프 에스이 중합체 용액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쉘 및 튜브 열 교환기 및 방법
DE102009025555A1 (de) * 2009-06-12 2010-12-16 Bernhard Förster Gmbh Drahtbögen für die Orthodonti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3108A1 (en) * 2009-08-26 2011-03-03 Ariza Joaquin T System of tube and resin for orthodontics
KR101234205B1 (ko) * 2010-11-18 2013-02-18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KR20120007066U (ko) * 2011-04-05 2012-10-15 홍순호 치아교정용 투명선,투명,반투명,치아색과유사한 색상의 치아교정용 플라스틱 아치와이어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565803B1 (ko) * 2015-05-06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03B1 (ko) 2015-11-05
US20180140384A1 (en) 2018-05-24
CN107567319A (zh)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9779A1 (ko) 치아 교정 장치
JP5131978B2 (ja) 歯科用アプライアンスの埋め込み機能および方法
US8043092B2 (en)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and matching temporary overlay
WO2016178491A1 (ko) 치아 교정 장치
CN110087578B (zh) 牙齿矫正器系统
RU2005140047A (ru) Каппа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околозубные ткани
US8376745B2 (en) Method of using a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with digital representation for modeling dental restorations
KR102104786B1 (ko)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Muhamad et al. Anterior dental esthetics in primary teeth
WO2016182226A1 (ko) 상악 치열 교정 장치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da Cunha et al. Replacement of anteri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using conservative ceramics for occlusal and periodontal rehabilitation: an 18-month clinical follow-up
KR20180027240A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CN205548733U (zh) 一种用于辅助唇侧托槽定位的导航装置
KR101379618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링
CN211156376U (zh) 带树脂球的多功能口腔固定矫治器
CN112245043A (zh) 一种上前牙90度扭转矫治器及其制备方法
US20090117518A1 (en) Denture teeth device and method
CN114246697A (zh) 牙齿矫治系统的设计方法和制备方法
WO2014123273A1 (ko) 무날개 치아교정용 브래킷
Urkande et al. Anterior Matrix Systems for Composite Restorations: A Review
CN220404153U (zh) 一种矫治器
US7090492B2 (en) Element for aiding in the cementation of fixed dental prosthesis
KR20130120038A (ko) 치아의 극소형 교정장치
CN213851160U (zh) 一种上前牙90度扭转矫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89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7212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89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